KR102333724B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3724B1
KR102333724B1 KR1020150148301A KR20150148301A KR102333724B1 KR 102333724 B1 KR102333724 B1 KR 102333724B1 KR 1020150148301 A KR1020150148301 A KR 1020150148301A KR 20150148301 A KR20150148301 A KR 20150148301A KR 102333724 B1 KR102333724 B1 KR 102333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frequency
display
dpcd
frequency informatio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8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7796A (ko
Inventor
김중근
서서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8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3724B1/ko
Priority to US15/292,877 priority patent/US9942512B2/en
Publication of KR20170047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7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2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by changing the field or frame frequency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e.g. frame rate convert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2Synchronisation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other units, e.g. other display units, video-disc play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6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language selection, e.g. for the menu or subtitles
    • H04N5/2357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09G2340/0435Change or adaptation of the frame rate of the video strea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4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 G09G2370/042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for monitor identifi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4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 G09G2370/045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using multiple communication channels, e.g. parallel and serial
    • G09G2370/047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using multiple communication channels, e.g. parallel and serial using display data channel standard [DDC] communi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0Use of a protocol of communication by packets in interfaces along the display data pipe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소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디스플레이 포트(Display Port)로 구현되어, 소스 장치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영상 신호가 디스플레이되는 수직 주파수의 범위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의 모드 중 하나의 모드에 대한 모드 선택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 DPCD(Display Port Configuration Data)를 저장하는 제1 메모리,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작하는 수직 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를 저장하는 제2 메모리 및 EDID를 소스 장치로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모드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DPCD를 모드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된 모드에 대응되는 수직 주파수 정보를 DPCD 내에 저장하고, EDID 대신 수직 주파수 정보가 저장된 DPCD를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스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포트를 통해 소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가 대면적화 및 고해상도화됨에 따라 영상 소스와 디스플레이 장치 간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도 고성능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TV의 경우 Vx1으로 교체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노트북과 같은 IT 제품의 경우 디스플레이 포트(Display Port; DP)로의 교체가 이루어지고 있다.
디스플레이 포트는 비디오전자공학표준위원회(VESA)에 의해 정해진 인터페이스로서 기존의 내부 인터페이스 표준인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와 외부 연결 표준인 디지털 비주얼 인터페이스(Digital Visual Interface; DVI)를 통합하여 하나로 연결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방식이다. DP 인터페이스는 칩과 칩 사이를 연결하는 내부연결은 물론 제품과 제품 사이를 연결하는 외부연결까지 모두 디지털로 연결할 수 있는 기술이다. 두 개로 나눠져 있던 인터페이스를 하나로 합치면서 데이터 대역 폭을 넓혀 더 높은 색 심도(color depth)와 해상도를 지원할 수 있다. DP 인터페이스는 기존 DVI의 4배 이상의 대역폭을 가지며, HDMI보다도 높은 대역폭을 가진다.
한편, 그래픽 카드 등의 하드웨어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해,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갱신 주기와 그래픽 카드의 렌더링 주기가 일치하지 않아 화면이 잘려보이는 티어링 현상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프리싱크 기술이 대두되고 있다.
프리싱크(freesync)란, 프레임과 화면 재생 빈도 차이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해 고성능 게임과 같이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가 변경되는 화면을 끊임 없이 부드럽게 제공하기 위한 기술이다. 프리싱크는 모니터의 주사율과 그래픽 카드의 프레임 레이트를 동기화시켜 화면 끊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프리 싱크 기술은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주파수 범위에 대한 복수의 모드를 설정하고, 복수의 모드에 따른 각각의 주파수 범위가 설정되는 EDID를 만들어 OSD 메뉴를 통한 모드 선택시 내부적으로 EDID를 스위칭하는 방식으로 주파수 동기화를 실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프리싱크 기술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모드에 따른 각각의 EDID에 대한 코드를 모두 저장하여야 하므로, 큰 용량을 필요로 하고 제작 단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모드 상태가 변경될 때마다 소스 장치가 각각의 EDID를 처음부터 다시 읽어들여야 하므로 화면이 검게 변하는 뮤트(mute)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뮤트 현상 없이 모드 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뮤트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디스플레이 포트(Display Port)로 구현되어, 상기 소스 장치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상기 영상 신호가 디스플레이되는 수직 주파수의 범위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의 모드 중 하나의 모드에 대한 모드 선택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 DPCD(Display Port Configuration Data)를 저장하는 제1 메모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작하는 수직 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를 저장하는 제2 메모리 및 상기 EDID를 상기 소스 장치로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드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DPCD에 상기 모드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된 모드에 대응되는 수직 주파수 정보를 상기 DPCD 내에 저장하고, 상기 EDID 대신 상기 수직 주파수 정보가 저장된 DPCD를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소스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포트는 메인 링크(main link), 보조채널(auxiliary channel) 및 HPD(Hot Plug Detect)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 명령이 입력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HPD(Hot Plug Detect) 신호를 상기 HPD 라인을 통해 상기 소스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보조 채널(Auxiliary Channel)을 통해 상기 DPCD를 상기 소스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DPCD를 상기 소스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소스 장치로부터 상기 전송된 DPCD에 포함된 수직 주파수 정보와 동기화된 주파수를 가지는 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모드 선택 명령을 위한 OSD(On Screen Display) 메뉴를 표시하고, 상기 OSD 메뉴를 통해 어느 하나의 모드에 대한 모드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모드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된 모드에 대응되는 수직 주파수 정보를 상기 DPCD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숏 펄스(Short Pulse)를 이용하여 상기 HPD(Hot Plug Detect)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영상 신호가 디스플레이되는 수직 주파수의 범위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의 모드 중 하나의 모드에 대한 모드 선택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모드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된 모드에 대응되는 수직 주파수 정보를 DPCD(Display Port Configuration Data)에 저장하는 단계 및 EDID 대신 상기 선택된 모드에 대응되는 수직 주파수 정보가 저장된 DPCD를 디스플레이 포트(Display Port)로 구현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소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포트는 메인 링크(main link), 보조채널(auxiliary channel) 및 HPD(Hot Plug Detect)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 명령이 입력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HPD(Hot Plug Detect) 신호를 상기 소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보조 채널(Auxiliary Channel)을 통해 상기 DPCD를 상기 소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스 장치로부터 상기 전송된 DPCD에 포함된 수직 주파수 정보와 동기화된 주파수를 가지는 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모드 선택 명령을 위한 OSD(On Screen Display) 메뉴를 표시하고, 상기 OSD 메뉴를 통해 어느 하나의 모드에 대한 모드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모드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된 모드에 대응되는 수직 주파수 정보를 상기 DPCD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HPD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숏 펄스(Short Pulse)를 이용하여 상기 HPD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Mute 현상 및 Flicker 현상을 개선할 수 있고, Mode 변경이 좀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소스 장치가 보조 채널을 통해 주파수를 동기화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DPCD에 저장되는 수직 주파수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인터페이스(120), 사용자 입력부(130), 제1 메모리(140), 제2 메모리(150) 및 프로세서(16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구성이다. 디스플레이부(110)는 CRT(Cathode Ray Tube),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및 PDP(Plasma Display Panel) 등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타입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20)는 소스 장치(200)로부터 영상 신호를 입력받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인터페이스(120)는 디스플레이 포트(Display Port)의 형식으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소스 장치(200)를 서로 연결한다. 디스플레이 포트는 기존 DVI(최대 4, 95Gbps)의 2배 이상인 최대 10.8Gbps의 대역폭을 가지며, 마이크로패킷(Micro-Packet) 아키텍처로 다중 스트림을 지원해 하나의 연결로 최대 1080i 스트림 6개(1080p 3개)를 동시에 전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포트의 링크는 메인 링크(Main link), 보조채널(Auxiliray Channel) 및 HPD(Hot Plug Detect)로 구성될 수 있다.
메인 링크(Main link)는 스트림 데이터의 주 전송 채널로서, 등시성 스트림 전송을 위한 단 방향 고속 채널에 해당한다.
또한, 보조 채널(Auxiliary Channel)은 반 이중 양방향 채널로서 링크의 관리 및 장치 제어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보조 채널(Auxiliray Channel)은 링크의 관리 및 장치 제어 후 고속으로 기타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고속 양방향 버스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HPD(hot plug detection) 신호 라인은 소스 장치(200)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서로 연결되었는지 확인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써, 소스 장치(200)로 HPDS(Hot Plug Detect Signal)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소스 장치(200)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처음 연결될 때, 소스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HPD 신호를 인가받아, 스트림을 전송하기 위하여 링크들을 최적화하는 링크 트레이닝(Rink Training)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링크 트레이닝 과정이 완료되면, 소스 장치(200)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스트림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좀 더 구체적인 설명은 도 2와 관련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수직 주파수와 소스 장치(20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의 주파수를 동기화시키는 프리싱크(freesync) 기술을 기초로 한다.
프리싱크 기술이란, 기존의 수직동기화 기술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갱신 주기에 소스 장치가 전송하는 프레임을 강제로 동기화시키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갱신 주기보다 떨어지거나 훨씬 높은 프레임 레이트가 렌더링되면 화면이 잘려보이는 티어링(Tearing) 현상이 발생되었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갱신주기 자체를 가변적으로 변경하여 동기화시키는 기술을 의미한다. 프리싱크 기술은 VESA의 디스플레이 포트 1.2 규격 내에 포함된 어댑티브 싱크(Adaptive Sync) 표준화 기술을 채용한다.
프리싱크 기술에 따르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10)에서 표시되는 OSD 메뉴에서,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작하는 수직 주파수를 일정 범위 내에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56Hz ~ 75Hz의 범위에서 영상을 출력하는 노말 모드, 40Hz ~ 50Hz의 범위에서 영상을 출력하는 제1 모드 및 50Hz ~ 60Hz의 범위에서 영상을 출력하는 제2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OSD 메뉴를 사용자 명령에 따라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 명령에 따라 변경된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작하는 수직 주파수 범위를 선택하면, 싱크 장치는 사용자가 선택된 수직 주파수 범위로 영상을 렌더링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는, 수신된 영상의 주파수와 동기화되도록 선택된 모드에 따른 주파수 범위 내에서 영상이 출력되는 수직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러한 사용자의 모드 선택 명령을 입력받는 구성이다. 즉, 모드 선택 명령이란, 소스 장치(200)에서 전송되는 영상 신호에 따라 조정되는 수직 주파수 값의 범위를 선택하기 위한 명령이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물리적으로 구비된 버튼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130)의 특정 버튼을 누르면, 모드 선택을 위한 OSD 메뉴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된 OSD 메뉴는 56Hz ~ 75Hz의 범위에서 영상을 출력하는 노말 모드, 40Hz ~ 50Hz의 범위에서 영상을 출력하는 제1 모드 및 50Hz ~ 60Hz의 범위에서 영상을 출력하는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원하는 모드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선택된 모드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메모리(140)는 DPCD(Display Port Configuration Data)를 저장하는 구성이다. DPCD는 리시버의 성능 및 디스플레이 포트 링크의 상태 정보를 담고 있다. DPCD는 예를 들면, Scrambler Enable/Disable, DBC On/Off, Contents Protection Enable/Disable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제1 메모리(140)에 저장된 DPCD에 따라 디스플레이 포트의 환경이 설정되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DP 방식으로 구현되어 영상을 정상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된다.
제2 메모리(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EDID를 저장하는 메모리로서,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으로 구현될 수 있다. 종래의 프리싱크 기능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각 모드에 대응되는 주파수 정보를 포함하는 EDID를 개별적으로 EEPROM에 저장하고, OSD 메뉴에서 선택된 모드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된 EDID를 스위칭(Switching)하던 것에 반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메모리(150)에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기본적으로 동작하는 주파수 범위(노말 모드에 대응)를 갖는 하나의 EDID만 제2 메모리(150)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모드에 각각 대응되는 수직 주파수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모드에 대응되는 수직 주파수 정보가 제1 메모리(140)의 DPCD 내 사용자가 정의할 수 있는 영역에 저장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모드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된 모드에 대응되는 수직 주파수 정보를 DPCD의 사용자 정의 영역에 저장하고, DPCD를 소스 장치(200)로 전송하여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각 모드에 따른 EDID 정보를 개별적으로 EEPROM에 저장할 필요가 없으므로, 각 EDID에 따른 코드 사이즈로 인해 큰 용량을 필요로 했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EEPROM에 저장된 각각의 EDID 정보를 모드가 변경될 때마다 읽어들임으로써 발생되었던 Mute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과 관련하여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프로세서(16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프로세서(160)는 DPCD를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소스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60)는 모드 선택 명령이 입력되기 전에는, EEPROM에 저장된 EDID를 소스 장치(200)에 전송하여, EDID에 포함된 노말 모드에 해당하는 수직 주파수에 따라 영상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프로세서(160)는 모드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된 모드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된 모드에 대응되는 수직 주파수 정보를 포함하는 DPCD를 소스 장치(200)로 전송하여, DPCD에 포함된 모드에 해당하는 수직 주파수에 따라 영상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소스 장치(200)는 수신된 수직 주파수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입력될 영상을 렌더링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선택된 수직 주파수 정보와 동기화된 프레임 레이트를 가지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소스 장치(200)로부터 동기화된 주파수를 가지는 영상을 수신하면, 수신된 영상을 선택된 모드에 대응되는 수직 주파수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60)는 수신된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와 정확하게 동기화되도록 선택된 모드에서의 수직 주파수 범위 내에서 수직 주파수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출력시킬 동영상의 주파수가 48Hz인 경우, 사용자는 40Hz ~ 50Hz 사이의 수직 주파수를 갖는 제1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선택된 제1 모드의 수직 주파수 정보를 DPCD에 저장하여 소스 장치(200)로 전송하고, 소스 장치(200)는 동영상의 주파수가 제1 모드 내의 범위이므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동영상을 그대로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동영상의 프레임 레이트와 일치하도록 수직 주파수를 제1 모드 내에서의 수직 주파수인 48Hz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출력시킬 동영상의 주파수가 24Hz인 경우, 제1 모드의 수직 주파수보다 낮으므로, 소스 장치(200)는 동영상의 주파수를 2배로 한 후(48Hz),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2배로 주파수가 변경된 동영상을 수신하면, 수신된 동영상의 주파수 흔들림을 개선하기 위하여 주파수를 48Hz로 고정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소스 장치가 보조 채널을 통해 주파수를 동기화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DP는 영상, 음성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각종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메인 링크(21), 보조 채널(22) 및 핫 플러그 검출 라인(23)을 사용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싱크 장치라고도 호칭될 수 있다.
메인 링크(21)는 스트림 데이터의 주 전송 채널로서 등시성 스트림 전송(Isochronous Stream Transmitter)을 위한 단방향 고속 채널이다. 1, 2 또는 4개의 레인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차동 쌍으로 구성되어 있다. 메인 링크(21)는 레인당 2.7Gbps, 1.6Gbps의 비트 레이트를 갖을 수 있다. 등시성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소스 장치(200)는, 메인 링크(21)를 통해 전달될 영상 및 음성 신호를 특정 형태로 변환하여 재구성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보조 채널(22)은 메인 링크를 구성하고 유지하기 위해 링크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소스 장치(200)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지 파악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핫 플러그 검출 라인(23)은 소스 장치(200)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연결을 알려주기 위한 신호 라인이다. HPD 신호는 소스 장치(200)에 IRQ(Interrupt Request), 연결 해제(Unplug), 그리고 연결/재연결(Plug/Re-Plug) 등의 이벤트를 알려준다.
여기서, 소스 장치(200)는 보조 채널의 마스터가 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보조 채널의 슬레이브가 된다. 마스터로서 소스 장치(200)는 요청 신호를 초기화해야 하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요청 신호에 따른 응답 신호를 보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HPD 신호를 검출하면 소스 장치(200)는 보조 채널(22)을 보조 대기 상태로 지정해야 하며 디스플레이 장치(100)도 대기 상태에 놓이게 해야 한다.
보조 채널의 링크층 서비스의 종류는 보조 채널 링크 서비스와 보조 채널 장치 서비스로 구성된다. 소스 장치(2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에서 링크와 장치들을 관리하기 위해서 폴리시 메이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보조 채널의 동작은 HPD 신호에 의해서 시작하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논리 "1과 "0"을 반복하는 펄스 열의 HPD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모드가 변경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모드가 변경되었음이 확인되면, 소스 장치(200)는 스트림 전송을 초기화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DPCD를 읽어오며, 링크 구성,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성능 및 링크 상태 정보들을 얻을 수 있다.
즉, 소스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EDID에 포함된 수직 주파수 정보를 읽어오다가, 모드 변경에 따른 HPD 신호가 수신되면, DPCD에 포함된 수직 주파수 정보를 읽어올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60)는 숏 펄스(Short Pulse)를 이용하여 HPD 신호를 싱크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포트의 약속된 규격에 따르면, 싱크 장치(200)는 HPD 신호가 롱 펄스에 의해 전송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EDID 자체를 읽어오지만, HPD 신호가 숏 펄스에 의해 전송되면, DPCD만을 읽어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드 상태 변경시마다 소스 장치(200)가 각각의 EDID 자체를 읽어들이지 않아도, DPCD만 읽어들이면 되므로 뮤트(mute) 현상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메인 링크(21)가 구성된 후 소스 장치(200)는 HPD의 상승 엣지 이후 HPD 토글(Toggle)이 발생할 때마다 DPCD를 읽어올 수 있다. 소스 장치(200)는 HPD의 상승 엣지 이후 100ms 안에 보조 채널 읽기 동작 등을 통해 DPCD의 사용자 정의 영역을 검사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모드 상태 변경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DPCD에 저장되는 수직 주파수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DPCD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정의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영역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DPCD의 사용자 정의 영역(31)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 모드에 따른 수직 주파수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모드에 따른 수직 주파수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DPCD에는 모드가 변경될 때 마다 변경된 모드에 대응되는 수직 주파수 범위로 수직 주파수 값이 변경되어 저장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시청하고자 하는 동영상의 출력 주파수가 48Hz로 확인되는 경우, 사용자는 OSD 메뉴에서 40Hz ~ 50Hz의 수직 주파수 범위를 갖는 제1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는 지원 가능한 주파수에 대한 정보로서 변경된 수직 주파수가 표시될 수 있다.
노말 모드에서 제1 모드로 모드 변경이 수행된 경우, 노말 모드에 대한 수직 주파수 정보 대신 선택된 제1 모드에 대한 수직 주파수 정보가 DPCD의 사용자 정의 영역(31)에 저장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사용자는 시청할 영상(게임이나 영화 등)의 주파수를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터페이스(120)로부터 영상 신호가 디스플레이되는 수직 주파수의 범위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의 모드 중 확인된 주파수에 대응되는 모드에 대한 모드 선택 명령을 입력받는다(S410). 이때, 화면에 OSD 메뉴를 표시하고, 표시된 OSD 메뉴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 대한 모드 선택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후, 모드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된 모드에 대응되는 수직 주파수 정보를 DPCD에 저장한다(S420).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작하는 수직 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EDID 대신 선택된 모드에 대응되는 수직 주파수 정보가 저장된 DPCD를 디스플레이 포트로 구현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스 장치로 전송한다(S430). 구체적으로,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HPD 신호를 소스 장치(200)로 전송하고, 보조 채널을 통해 DPCD를 소스 장치로 전송한다. 이후, 소스 장치(200)로부터 상기 전송된 DPCD에 포함된 수직 주파수 정보와 동기화된 주파수를 가지는 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각 모드 별로 EDID 제작이 불필요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코드 사이즈를 축소할 수 있으며, Mute 현상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다양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즉, 각종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어 상술한 다양한 제어 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 매체에 저장된 상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영상 신호가 디스플레이되는 수직 주파수의 범위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의 모드 중 하나의 모드에 대한 모드 선택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모드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된 모드에 대응되는 수직 주파수 정보를 포함하는 DPCD(Display Port Configuration Data)를 저장하는 단계 및 EDID 대신 선택된 모드에 대응되는 수직 주파수 정보가 저장된 DPCD를 디스플레이 포트(Display Port)로 구현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디스플레이부
120: 인터페이스 130: 사용자 입력부
140: 제1 메모리 150: 제2 메모리
160: 프로세서 200: 소스 장치

Claims (10)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디스플레이 포트(Display Port)로 구현된 인터페이스;
    사용자 입력부;
    DPCD(Display Port Configuration Data)를 저장하는 제1 메모리;
    영상 신호의 수직 주파수의 범위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의 모드 중 하나에 대한 제1 수직 주파수 정보를 포함하는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를 저장하는 제2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명령이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제1 수직 주파수 정보와 상기 명령에 대응되는 모드의 제2 수직 주파수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제2 수직 주파수 정보와 상기 제1 수직 주파수 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제2 수직 주파수 정보를 포함하는 DPCD를 소스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포트는 메인 링크(main link), 보조채널(auxiliary channel) 및 HPD(Hot Plug Detect)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명령이 입력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HPD(Hot Plug Detect) 신호를 상기 HPD 라인을 통해 상기 소스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보조 채널(Auxiliary Channel)을 통해 상기 DPCD를 상기 소스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DPCD를 상기 소스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소스 장치로부터 상기 전송된 DPCD에 포함된 상기 제2 수직 주파수 정보와 동기화된 주파수를 가지는 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명령을 위한 OSD(On Screen Display) 메뉴를 표시하고, 상기 OSD 메뉴를 통해 어느 하나의 모드에 대한 상기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명령에 따라 선택된 모드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수직 주파수 정보를 상기 DPCD에 저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숏 펄스(Short Pulse)를 이용하여 상기 HPD(Hot Plug Detect) 신호를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영상 신호의 수직 주파수의 범위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의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에 포함된 제1 수직 주파수 정보와 상기 명령에 대응되는 모드의 제2 수직 주파수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수직 주파수 정보와 상기 제1 수직 주파수 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제2 수직 주파수 정보를 포함하는 DPCD를 디스플레이 포트(Display Port)로 구현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포트는 메인 링크(main link), 보조채널(auxiliary channel) 및 HPD(Hot Plug Detect)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 명령이 입력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HPD(Hot Plug Detect) 신호를 상기 소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보조 채널(Auxiliary Channel)을 통해 상기 DPCD를 상기 소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장치로부터 상기 전송된 DPCD에 포함된 상기 제2 수직 주파수 정보와 동기화된 주파수를 가지는 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명령을 위한 OSD(On Screen Display)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OSD 메뉴를 통해 어느 하나의 모드에 대한 상기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명령에 따라 선택된 모드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수직 주파수 정보를 상기 DPCD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HPD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숏 펄스(Short Pulse)를 이용하여 상기 HPD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 방법.
KR1020150148301A 2015-10-23 2015-10-23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33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301A KR102333724B1 (ko) 2015-10-23 2015-10-23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5/292,877 US9942512B2 (en) 2015-10-23 2016-10-13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301A KR102333724B1 (ko) 2015-10-23 2015-10-23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7796A KR20170047796A (ko) 2017-05-08
KR102333724B1 true KR102333724B1 (ko) 2021-12-01

Family

ID=58559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8301A KR102333724B1 (ko) 2015-10-23 2015-10-23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942512B2 (ko)
KR (1) KR1023337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9559B1 (ko) * 2017-12-08 2022-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9767732B (zh) * 2019-03-22 2021-09-10 明基智能科技(上海)有限公司 减少影像延迟的显示方法及显示系统
KR102364317B1 (ko) * 2020-07-14 2022-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2911170B (zh) * 2021-03-26 2021-09-21 深圳智尚视讯科技有限公司 用于hdmi的兼容性提升方法、存储介质、设备及系统
CN113596559A (zh) * 2021-07-21 2021-11-02 Vidaa美国公司 一种信息栏显示信息的方法及显示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12682A1 (en) * 2013-07-02 2015-01-08 Opticis Co., Ltd. Dual Mode Display-Port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8181B1 (ko) 1995-03-31 1998-10-15 김광호 디지탈 기록재생시스템의 가변적 동기패턴검출장치 및 방법
US8180932B2 (en) * 2007-05-28 2012-05-15 Realtek Semiconductor Corp. Signal receiving method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format of input signal and related signal receiving circuit
TWI382394B (zh) * 2007-11-22 2013-01-11 Realtek Semiconductor Corp 韌體更新之方法與系統
US7961656B2 (en) 2008-09-29 2011-06-14 Intel Corporation Protocol extensions in a display port compatible interface
KR20110091852A (ko) 2008-12-01 2011-08-16 소니 주식회사 송신 장치 및 전송 데이터 포맷 결정 방법
KR101178037B1 (ko) 2009-09-08 2012-08-29 옵티시스 주식회사 보조 연결 장치
KR101232057B1 (ko) 2011-02-28 2013-03-11 스마트파이 주식회사 이중 모드 리시버
US9524681B2 (en) * 2011-12-19 2016-12-20 Intel Corporation Backlight modulation over external display interfaces to save power
US9575917B1 (en) * 2013-08-30 2017-02-21 Analogix Semiconductor, Inc. Protocol for digital audio-video interfa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12682A1 (en) * 2013-07-02 2015-01-08 Opticis Co., Ltd. Dual Mode Display-Port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42512B2 (en) 2018-04-10
KR20170047796A (ko) 2017-05-08
US20170118443A1 (en) 2017-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372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TWI488172B (zh) 多螢幕顯示
US8582028B2 (en) Multi-monitor control
KR102545078B1 (ko)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시스템
JP6684802B2 (ja) 仮想化されたディスプレイ出力ポートの構成
CN103854617B (zh) 检测数据位深度的方法和用该方法的显示设备的接口设备
KR102344545B1 (ko)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TW202028959A (zh) 顯示裝置及其高顯示頻寬控制方法
US10031710B2 (en) Display device constituting multi-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40110242A (ko) 디스플레이 드라이브 집적회로 및 영상 표시 시스템
TWI518673B (zh) 影像切換器及其切換方法
CN110609668B (zh) 电子设备和用于控制该电子设备的方法
WO2014141425A1 (ja) 映像表示システム、ソース機器、シンク機器及び映像表示方法
KR20160131673A (ko)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818499B2 (en) Reception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reception device, and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JP2014232993A (ja) Av機器
US9110514B2 (en) Electronic device with switchable display screen, computer system thereof and method for switching display screen
US9426454B2 (en) 3D display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00134285A (ko) 신호 전송방법, 신호 전송장치 및 신호 전송시스템
JP6742635B2 (ja) シンク装置、及び制御方法
US11688330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23007999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WO2018051624A1 (ja)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7139706A (ja) 受像装置及び制御方法
KR20150085723A (ko) Aux 신호 동기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