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3417B1 -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 및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 보존액 - Google Patents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 및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 보존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3417B1
KR102333417B1 KR1020200040582A KR20200040582A KR102333417B1 KR 102333417 B1 KR102333417 B1 KR 102333417B1 KR 1020200040582 A KR1020200040582 A KR 1020200040582A KR 20200040582 A KR20200040582 A KR 20200040582A KR 102333417 B1 KR102333417 B1 KR 102333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wth factor
extracellular matrix
derived
insulin
animal f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0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5460A (ko
Inventor
신용우
노성래
국민철
김규병
설윤희
신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프
Priority to KR1020200040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3417B1/ko
Publication of KR20210025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5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604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haracterised by the human or animal origin of the biological material, e.g. hair, fascia, fish scales, silk, shellac, pericardium, pleura, renal tissue, amniotic membrane, parenchymal tissue, fetal tissue, muscle tissue, fat tissue, enamel
    • A61L27/3633Extracellular matrix [EC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683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subjected to a specific treatment prior to implantation, e.g. decellularising, demineralising, grinding, cellular disruption/non-collagenous protein removal, anti-calcification, crosslinking,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enzyme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683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subjected to a specific treatment prior to implantation, e.g. decellularising, demineralising, grinding, cellular disruption/non-collagenous protein removal, anti-calcification, crosslinking,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enzyme treatment
    • A61L27/3687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subjected to a specific treatment prior to implantation, e.g. decellularising, demineralising, grinding, cellular disruption/non-collagenous protein removal, anti-calcification, crosslinking,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enzyme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hemical agents in the treatment, e.g. specific enzymes, detergents, capping agents, crosslinkers, anticalcification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4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e.g. therapeu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12Tissue-regenerating or healing or proliferative agents
    • A61L2300/414Growth fa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Biophys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세포 및 탈지되고, 일정 성장인자를 함유하는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 및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 보존액{Extracelluar matrix derived from animal adipose and preservative solution of extracelluar matrix derived from animal adipose}
본 발명은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 및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 보존액 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매우 우수한 생체 적합성과 생리적 기능을 가지는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에 관한 것이다.
세포외기질(Extracelluar matrix)은 주로 동물의 구조적 지지 등을 담당하는 조직으로, 단순한 세포 간 연결체로서 구조적인 역할과 함께 세포의 분열과 분화 그리고 사멸과 같은 세포생리 조절인자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세포외기질은 결합조직섬유와 무형질의 성분, 세포외액으로 이루어진다.
결합조직섬유는 3중 나선구조로 형성되며, 콜라겐과 엘라스틴이 주성분으로 세포외기질에 강도와 탄성을 제공한다.
무형질 성분은 글리코사미노글리칸(glycosaminoglycans; GAGs)과 단백질(core protein)이 결합한 프로테오글리칸(proteoglycan)이 주 성분으로 음의 전하 때문에 다량의 물과 결합하여 세포외기질에 겔을 형성한다.
이러한 결합조직섬유와 무형질의 성분은 세포외기질의 완충작용을 돕는다.
세포외액은 이온과 지방, 글루코즈, 아미노산 등이 있어서 세포들이 생존하고 특정기능을 수행하게 하는데 프로타제(protease), 성장인자(growth factor) 등의 생리인자가 존재한다.
성장인자는 각종 세포 분열이나 생장 분화를 촉진하는 폴리펩티드의 총칭이다.
여러 종류가 발견되었으며, 기능도 다양하고, 세포의 신호전달계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생물체의 기본적 구성성분이 되는 영양물질 이외에 세포의 증식, 생물체의 증식 및 발육에 필요한 물질로서 세포가 성장하고 분화하는데 필수적 요소이다.
이를 저장하고 적절하게 공급해 주고 세포가 인식할 수 있는 물리적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면 세포의 생존, 성장, 이동 및 분화 등을 매우 촉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세포외기질의 특성을 이용하여 최근에는 세포외기질로부터 유래한 생물지지체 재료가 조직공학과 재생의학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세포외기질을 이용한 조직수복제, 드레싱 밴드 등 다양한 생체소재들이 소개되고 있으나, 현재 상용화된 제품은 세포외기질의 일부 구성 성분만을 이용하고 있다.
세포외기질을 추출하기 위하여 다양한 화학적 생물학적 방법이 개발되었으나, 동물 지방조직을 통한 추출과정에서 세포의 생리활성에 가장 중요한 성장인자(growth factor)를 손실하지 않고 그대로 함유하는 세포외기질은 아직 공개된 바가 없다.
이와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특허 제 10-1772316호 (공고일: 2017.08.29.)에 개시된 생체 내 분해속도 및 물성 조절 가능한 생체적합성 돼지연골 유래 세포외기질 막 제조방법 및 상기 돼지연골 유래 세포외기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착방지용 조성물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72316호(2017.08.29.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은 동물지방으로부터 세포외기질을 효과적으로 추출하되 탈세포 및 탈지시켜 생체안전성 및 생체적합성을 증가시키고, 세포의 생리활성을 조절할 수 있는 성장인자를 다량으로 함유하는 세포외기질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는 이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탈세포 및 탈지되고, 일정 성장인자를 함유하는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탈세포 및 탈지와 성장인자의 함유는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용매추출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용매추출은 상기 동물지방에 잔류된 지질을 제거하고, 멸균시켜 생체적합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물지방은 지방흡입술을 통하여 추출된 폐지방조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성장인자는 AR, bFGF, b-NGF, EGF, EGFR, FGF-6, FGF-7, GCSF, GDNF, GM-CSF, HB-EGF, HGF, IGFB P-1, IGFB P-2, IGFB P-3, IGFB P-4, IGFB P-6, IGF-I, IGF-ISR, IGF-II, M-CSF, M-CSFR, NT-3, NT-4, PDGFRa, PDGFRb, PDGF-AA, PDGF-AB, PDGF-BB, PIGF, SCF, SCFR, TGF-a, TGF-b, TGF-b2, TGF-b3, VEGF, VEGFR2, VEGFR3 및 VEGF-D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성장인자는 세포외기질 1 g 당 0.52 내지 11.19 ng으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용매추출을 통하여 탈세포 및 탈지되고, 일정 성장인자를 함유하는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 0.1 내지 5 중량부; 및 분산액95 내지 99.9 중량부로 포함하고, 여과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 보존액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성장인자는 AR, bFGF, b-NGF, EGF, EGFR, FGF-6, FGF-7, GCSF, GDNF, GM-CSF, HB-EGF, HGF, IGFB P-1, IGFB P-2, IGFB P-3, IGFB P-4, IGFB P-6, IGF-I, IGF-ISR, IGF-II, M-CSF, M-CSFR, NT-3, NT-4, PDGFRa, PDGFRb, PDGF-AA, PDGF-AB, PDGF-BB, PIGF, SCF, SCFR, TGF-a, TGF-b, TGF-b2, TGF-b3, VEGF, VEGFR2, VEGFR3 및 VEGF-D로 이루어지며, 여과되어 세포외기질 1g 당 0.21 내지 6.86 ng으로 함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장인자는 상기 여과를 통하여 bFGF(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함량이 40 내지 50 % 범위로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탈지 및 탈세포화 되어 생체적합성이 매우 증가되고, 성장인자가 함유되어 세포의 생리활성을 조절할 수 있는 세포외기질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용매추출과정으로 세포외기질을 효과적으로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산, 효소처리 및 방사선 처리하지 않아도 멸균되어 세포외기질의 생체안전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탈세포 및 탈지되어 생체적합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세포외기질의 성분 중 성장인자가 보존된 세포외기질을 제공하며, 성장인자의 함량을 조절하여 세포 생리활성의 조절을 기대할 수 있으며, 조직의 재생을 빠르게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세포외기질의 구조적 특성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서, 이식 부위의 형태에 따라 성형이 가능한 조직 구조 모사체를 쉽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인체유래 폐지방을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세포외기질을 효과적으로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세포외기질을 함유하는 보존액은 오염을 방지하여 장시간 보존이 가능하며, 취급성이 증가되어 세포외기질의 활용성을 매우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 제조방법의 공정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 보존액의 공정흐름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의 단백질 정량분석에 따른 전기영동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의 DNA잔존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의 헤마톡실린 및 에오진 염색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포외기질 시료, 1 wt% 분산액 및 여과되어 제조된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 보존액의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의 VEGF 기준 효소 결합 면역 흡착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이 분산된 분산액 내의 VEGF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이 분산된 분산액의 여과 전후의 DNA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 보존액의 여과 전후의 싸이토카인 항체 어레이 결과에 따른 이미지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 보존액의 여과 전후의 성장인자 종류 및 선명도(intensity)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 보존액의 여과 전후의 성장인자 종류 및 함량(ng/g)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종래 동물지방에서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 ECM) 을 추출하는 방법들이 주로 화학적 처리 및 생물학적 처리와 함께 방사선 조사를 통하여 세포외기질을 추출하고 처리하여 생체안전성, 생체적합성 기계적 성질 등의 물성을 증가시키고 있으나, 세포외기질이 함유하는 성장인자는 화학적 처리, 생물학적 처리 및 방사선처리에 따라 쉽게 파괴될 수 있는 문제가 있으며, 해당 공정은 다량의 산과 효소를 사용하고, 방사선을 사용하여 공정 제어의 위험성이 크고 효율이 매우 감소되어 세포외기질을 효과적으로 수득하기에 적합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용매추출은 초임계상태의 용매를 통하여 추출대상의 물리적 변화 없이 효과적으로 추출하여 추출대상의 기계적 성질(mechanical performance properties)을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동물지방에 대하여 일정 조건으로 초임계유체 용매추출을 적용하는 경우 탈세포 및 탈지되어 생체안정성 및 생체적합성이 매우 증가되고, 세포외기질의 특유 성분인 성장인자(growth factor)의 함량이 조절되어 세포 생리활성의 조절이 가능한 세포외기질을 효과적으로 수득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은 탈세포 및 탈지되고, 일정 성장인자를 함유한다.
상기 동물지방은 돼지 지방일 수 있으나, 지방흡입술을 통하여 추출된 폐지방인 것이 바람직하다.
최근 미용성형을 위한 지방흡입술이 다수 시행되고 있어서 다량의 인체 유래 지방을 획득할 수 있으나, 이러한 지방흡입술에서 줄기세포 및 세포외기질의 유용 물질을 추출하는 경우에는 혈액, 지질 등 불필요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추출된 인체 지방은 활용이 어렵기 때문에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용매추출과정으로 탈세포 및 탈지하여 생체안정성 및 생체적합성을 증가시키는 경우에는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인체 이식이 가능하다.
상기 동물지방은 조직 내에 세포외기질을 포함하는 것이면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탈세포 및 탈지는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용매추출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용매추출은 초임계유체 용매 제조 시 압력, 추출대상인 동물지방 조직에 도입하는 유량, 반응 공정 온도 및 시간이 조절되어 상기 동물지방 조직을 탈세포 및 탈지할 수 있다.
상기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용매추출은 상기 동물지방에 잔류된 혈액을 제거하고, 멸균시켜 생체적합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용매추출은 에탄올을 공용매로 첨가하여 동물지방에 대한 초임계유체의 용해도를 증가시키는 한편 동물지방에 잔류하는 혈액 및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멸균할 수 있다.
상기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용매추출은 동물지방에서 세포외기질을 추출하며, 상기 세포외기질에서 일정 성장인자가 함유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세포외기질이 성장인자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세포 생리활성의 조절이 가능하며, 조직수복재 등의 형태로 인체 조직에 투입되는 경우 조직의 재생을 빠르게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성장인자는 앰피레귤린(AR, amphiregulin), 염기성 섬유모세포성장인자(b-FGF,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베타-신경성장인자(b-NGF, beta nerve growth factor), 상피세포성장인자(EGF, epidermal growth factor), 상피세포성장인자수용기(EGFR,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섬유모세포성장인자-6(FGF-6, fibroblast growth factor-6), 섬유모세포성장인자-7(FGF-7, fibroblast growth factor-7), 과립구집락자극인자(G-CSF, granulocyte colony-stimulating factor), 신경 아교세포계 신경영양인자(GDNF, glial cell line-derived neurotrophic factor), 과립구 포식세포 집락자극인자(GM-CSF, granulocyte-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헤파린결합성 EGF유사성장인자(HB-EGF, heparin-binding EGF-like growth factor), 간세포성장인자(HGF, hepatocyte growth factor), 인슐린유사 성장인자 결합단백질-1(IGFBP-1,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1), 인슐린유사 성장인자 결합단백질-2(IGFBP-2,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2), 인슐린유사 성장인자 결합단백질-3(IGFBP-3,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3), 인슐린유사 성장인자 결합단백질-4(IGFBP-4,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4), 인슐린유사 성장인자 결합단백질-6(IGFBP-6,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6), 인슐린유사 성장인자-1(IGF-I, insulin-like growth factor 1), 인슐린유사 성장인자 인슐린수용기(IGF-ISR, insulin-like growth factor-insulin receptor), 인슐린유사 성장인자-2(IGF-II, insulin-like growth factor 2), 대식세포집락자극인자(M-CSF, 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대식세포집락자극인자 수용기(M-CSFR, 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receptor), 뉴로트로핀-3(NT-3, neurotrophin-3), 뉴로트로핀-4(NT-4, neurotrophin-4), 혈소판유래 성장인자수용체-A(PDGFR A,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receptor A), 혈소판유래 성장인자수용체-B(PDGFRb,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receptor B), 혈소판유래 성장인자-AA(PDGFAA,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AA), 혈소판유래 성장인자-AB(PDGF-AB,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AB), 혈소판유래 성장인자-BB(PDGF-BB,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BB), 태반성장인자(PIGF, placental growth factor), 줄기세포성장인자(SCF, stem cell factor), 줄기세포성장인자 수용체(SCFR, stem cell factor receptor), 전환성장인자 알파(TGF-a, transforming growth factor alpha), 전환성장인자 베타1(TGF-b,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1), 전환성장인자 베타2(TGF-b2,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2), 전환성장인자 베타3(TGF-b3,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3), 혈관내피성장인자(VEG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혈관내피성장인자 수용체-2(VEGFR2, VEGF receptor-2), 혈관내피성장인자 수용체-3(VEGFR3, VEGF receptor-3) 및 혈관내피성장인자 D(VEGF-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D)로 이루어진다.
상기 세포외기질은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용매추출 과정을 통하여 인체 성장인자(human growth factor) 중 FGF-4(fibroblast Growth Factor-4)를 제외한 40가지의 성장인자를 함유한다.
상기 FGF-4는 동물지방을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용매추출에 따라 탈세포 및 탈지하는 과정에서 제거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포외기질은 상기 FGF-4성장인자가 배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성장인자는 세포외기질 1 g 당 0.52 내지 11.19 ng으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용매추출 과정을 통하여 수득한 세포외기질은 탈세포 및 탈지하여도 일정 함량 이상의 성장인자를 함유하여 생체적합성이 매우 증가될 뿐만 아니라, 세포의 생리활성을 조절하고, 조직의 재생을 빠르게 유도할 수 있다.
상기 동물지방을 상기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용매추출 과정이 아닌 산, 효소 처리 및 방사선 처리를 통하여 회수하는 경우 상기 40 종의 성장인자를 모두 회수하기 어려우며, 특히 효소처리 방법은 펩타이드인 성장인자를 쉽게 분해하여 상기 범위 내의 유효 함량을 가지는 세포외기질을 수득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용매추출을 통하여 탈세포 및 탈지되고, 일정 성장인자를 함유하는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 0.1 내지 5중량부; 및 분산액 95내지 99.9 중량부로 포함하고, 여과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 보존액을 제공한다.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용매추출방법으로 회수된 세포외기질은 기계적 특성을 유지할 수 있으나, 고체 상태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s)을 제조하기에 용이하지 않다.
상기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용매추출을 통하여 수득한 세포외기질을 분산액에 분산시키고 여과하는 경우 분자량이 높은 단백질 제거에 의한 생체안전성 및 생체적합성이 증가되고, 0.1 내지 5 wt% 이하의 세포외기질을 분산액에 분산시켜 취급성이 증가되고 활용성이 매우 증가된다.
상기 범위 내로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용매추출방법으로 회수된 세포외기질을 함유하는 경우 세포외기질 내의 성장인자의 함량을 변화시키지 않고 장시간 보존이 가능하다.
상기 성장인자는 AR, bFGF, b-NGF, EGF, EGFR, FGF-6, FGF-7, GCSF, GDNF, GM-CSF, HB-EGF, HGF, IGFB P-1, IGFB P-2, IGFB P-3, IGFB P-4, IGFB P-6, IGF-I, IGF-ISR, IGF-II, M-CSF, M-CSFR, NT-3, NT-4, PDGFRa, PDGFRb, PDGF-AA, PDGF-AB, PDGF-BB, PIGF, SCF, SCFR, TGF-a, TGF-b, TGF-b2, TGF-b3, VEGF, VEGFR2, VEGFR3 및 VEGF-D로 이루어진다.
상기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 보존액은 인체 성장인자(human growth factor) 중 FGF-4(fibroblast Growth Factor-4)를 제외한 40가지의 성장인자를 함유한다.
상기 성장인자는 여과되어 세포외기질 1g 당 0.21 내지 6.86 ng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 보존액은 여과되어 성장인자의 함량이 조절된다.
상기 여과는 세포외기질 내의 단백질을 제거하여 보존액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내로 성장인자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 보존액은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 함량 대비 상기 범위 내로 성장인자 함량이 감소되나, 세포외기질을 효과적으로 보존할 수 있으며, 활용성을 크게 증가시킨다.
상기 분산액은 탈이온수일 수 있다.
상기 분산액을 탈이온수로 선택하는 경우 세포외기질을 분산시킬 때 오염을 방지하여 보존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여과는 0.2내지 0.45 ㎛ 포어 사이즈(pore sizes)의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필터를 이용하여 세포외기질에 잔류하는 분자량이 높은 단백질을 제거하여 오염 위험성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보존액을 멸균할 수 있으며, 잔존하는 DNA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보존액 중에 성장인자의 감소되거나, 단백질 외에 세포외기질이 함께 제거될 우려가 있으며, 감염 위험 및 DNA가 잔존하여 생체적합성을 감소시킬 우려가 있다.
상기 성장인자는 상기 여과를 통하여 bFGF(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함량이 40 내지 50 % 범위로 감소될 수 있다.
상기 bFGF 는 단백질에 포함되거나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여과를 통하여 보존액 중에 단백질을 여과하여 제거하는 경우 함께 여과되어 함량이 감소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 제조방법의 공정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 제조방법은,
(1) 동물지방을 세척하고 분쇄하여 지방조직을 준비하는 단계;
(2) 준비된 상기 지방조직을 원심분리 하여 수분과 지질을 제거하여 전처리 하는 단계;
(3)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용매추출로 전처리된 상기 지방조직을 탈세포 및 탈지하여 세포외기질을 회수하는 단계; 및
(4) 상기 세포외기질에서 성장인자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우선 동물지방을 세척하고 분쇄하여 지방조직을 준비한다(S100).
상기 동물지방은 돼지 지방일 수 있으나, 지방흡입술을 통하여 추출된 폐지방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물지방이 인체에서 유래된 폐지방인 경우에는 세척을 통하여 잔류된 혈액과 같은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고, 분쇄하는 경우에 이후의 단계에서 원심분리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준비된 상기 지방조직(adipose tissue)을 원심분리하고 수분과 지질을 제거하여 전처리 한다(S110).
상기 원심분리를 통하여 동물지방을 하층의 수분과 상층의 지질로 분리할 수 있으며, 하층의 수분 및 상층의 지질을 제거하여 중층의 고형분을 용매추출 하는 경우 이후의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용매추출과정의 효율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용매추출로 전처리된 지방조직을 탈세포 및 탈지하여 세포외기질을 회수한다(S120).
상기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용매추출은 상기 지방조직을 탈세포 및 탈지하기 위하여 용매추출 조건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시예에서 상기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용매추출은 이산화탄소를 200 내지 600 bar로 가압하여 초임계유체로 제조하고, 상기 초임계유체를 18 내지 70 mL/min의 유량으로, 30 내지 35 ℃에서 2 내지 12시간 동안 상기 동물지방에 침투시켜 세포외기질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가압되어 제조된 초임계유체는 지방조직의 세포벽을 침투하여 세포 내 지질을 용해시켜 탈지시킬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내의 유량으로 지방조직에 침투시키는 경우 세포외기질의 기계적 특성을 유지시키면서, 탈세포 및 탈지시킬 수 있다.
상기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용매추출과정은 지방조직에 잔류된 오염물질이 한 번 더 제거되어 오염방지 및 멸균 효과가 증대된다.
상기 세포외기질에서 성장인자를 확인한다(S130).
상기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용매추출과정으로 탈세포 및 탈지된 세포외기질을 효과적으로 수득할 수 있으며, 세포외기질 중 세포외액에 존재하는 성장인자 또한 다량으로 잔류시킬 수 있다.
상기 성장인자의 확인과정을 통하여 세포의 생리활성을 조절하고, 조직의 재생을 빠르게 유도할 수 있는 성장인자가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세포외기질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성장인자의 확인은 성장인자 중 VEGF, bFGF, IGF-1 및 EGF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성장인자의 수준을 효소 결합 면역 흡착 분석(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으로 성장인자의 함량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효소 결합 면역 흡착 분석은 VEGF, bFGF, IGF-1 및 EGF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성장인자를 기준으로 세포외기질이 함유하는 성장인자의 함량을 확인할 수 있어서 매우 바람직하나, 성장인자의 함량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면 특별하게 제한되지는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 보존액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 보존액의 공정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 보존액 제조방법은
(a) 동물지방을 세척하고 분쇄하여 지방조직을 준비하는 단계;
(b) 준비된 상기 지방조직을 원심분리 하여 수분과 지질을 제거하여 전처리 하는 단계;
(c)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용매추출로 전처리된 상기 지방조직을 탈세포 및 탈지하여 세포외기질을 회수하는 단계;
(d) 회수된 세포외기질을 탈이온수에 분산시켜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e) 상기 분산액을 여과하는 단계; 및
(f) 상기 여과된 분산액 중의 성장인자 함량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우선 동물지방 조직을 세척하고 분쇄하여 지방조직을 준비한다(S200).
준비된 상기 준비된 상기 지방조직을 원심분리 하여 수분과 지질을 제거하여 전처리한다(S210).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용매추출로 전처리된 상기 지방조직을 탈세포 및 탈지하여 세포외기질을 회수한다(S220).
상기 S200 내지 S220은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 제조방법과 동일한 과정이므로 이하에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회수된 상기 세포외기질을 탈이온수에 분산시켜 분산액을 제조한다(S230).
상기 탈이온수에 분산시켜 분산액을 제조하는 경우 이후의 여과가 용이하고, 성장인자의 함량을 쉽게 확인하여 세포외기질 보존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분산은 고압 호모게나이저(High pressure homogenizer)를 사용하여 15 ℃에서 15,000 내지 25,000 psi의 압력으로 분산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분산하는 경우 세포외기질의 기계적 특징을 유지하고 세포외기질에 잔류된 단백질이 용출되어 분산액 내로 분산되게 할 수 있다.
이 때 분산은 현탁 상태에 따라 1 내지 5회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분산액을 여과한다(S240).
상기 분산액은 현탁액으로 세포외기질의 단백질이 잔류되어 있기 때문에 오염 및 감염의 위험이 존재한다.
상기 여과를 통하여 잔류된 단백질을 제거하여 세포외기질 보존액의 오염 및 감염을 방지하여 생체안전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취급성 및 활용성 또한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여과는 상기 분산액을 0.2내지 0.45 ㎛ 포어 사이즈(pore sizes)의 시린지 필터를 통과시켜 여과할 수 있다.
상기 포어 사이즈 내의 필터를 이용하여 세포외기질과 함께 잔류하는 단백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보존액을 멸균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고, 잔존하는 DNA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세포외기질 함량이 감소되어 성장인자가 감소되거나 감염 위험으로 멸균할 수 없으며 잔존하는 DNA 제거가 어렵다.
상기 여과된 분산액 중의 성장인자 함량을 확인한다(S250).
상기 여과를 통하여 상기 성장인자는 상기 여과를 통하여 bFGF(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함량이 40 내지 50 % 범위로 감소될 수 있다.
상기 bFGF 는 단백질에 포함되거나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여과를 통하여 보존액 중에 단백질을 여과하여 제거하는 경우 함께 여과되어 함량이 감소되기 때문에 상기 bFGF의 함량 감소를 확인하여 보존액 내의 단백질이 제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생체안전성이 증가된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 보존액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초임계유체 추출 세포외기질
동물지방으로부터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용매추출을 통하여 세포외기질을 수득하기 위하여 지방흡입술과정에서 수득한 폐지방을 오염 방지 처리하여 이송한 이후에 지방에 포함된 혈액을 육안으로 완전하게 씻겨 낼 정도로 분액 깔대기를 이용하여 탈이온수를 충분히 주입하여 혼합 후 20분 방치하여 세척하였다. 총 5회 세척을 실시하였다.
세척한 지방을 1000 mL를 플라스크에 담고 교반기를 이용하여 50 rpm으로 분산시킨 후 펌프(120 rpm 펌핑)를 사용하여 일정한 유속으로 초음파 처리 장치를 통과하도록 하여, 전체 지방에 균일하게 초음파가 투과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초음파의 출력은 400 W에서 진폭 70 %로 조절하여 6 분 동안 지방을 분쇄하여 지방조직을 수득하였다.
초음파 처리 동안 칠러(chiller)를 사용하여 지방조직을 3 ℃로 유지하였다.
초음파 처리한 지방조직을 원심분리기로 옮겨 4,000 rpm으로 20 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하층의 수분과 상층의 지질을 분리하여 제거하였다.
중층의 고형분을 회수하여 반응기에 배치하였다.
상기 반응기는 일측에 이산화탄소 실린더가 구비되고,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는 라인을 따라 냉각기와 펌프가 구비되어 이산화탄소를 가압하여 초임계유체인 용매를 제조하였다.
상기 이산화탄소 실린더 일측에는 공용매인 에탄올 탱크가 구비되고, 에탄올이 배출되는 라인에는 펌프가 구비되어, 상기 에탄올은 상기 초임계유체인 용매에 합류되어 용매의 용해도를 증가시키고, 지방조직에 잔류된 오염물질을 소독하여 멸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조절하였다.
상기 반응기에 300 bar로 가압되고 공용매인 에탄올과 혼합된 용매를 32 ℃에서 20 mL/min의 유량으로 도입하여 용매추출하였다.
추출시간을 2 시간에서 12 시간까지 수행하고, 추출이 완료된 이후에 반응기에 구비된 트랩챔버의 벤트를 개방하여 용매를 증발시켜 제거하여 흰색 고형분인 세포외기질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1. 세포외기질 물성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용매추출에 의하여 수득한 세포외기질에서 단백질 함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단백질 정량분석(Bicinchonic Acid Assay; BCA)을 수행하였다.
단백질 정량분석 방법에 따라 전체적으로 주입한 단백질의 함량을 70 ug으로 맞춘 후, 전기영동을 수행하였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의 단백질 정량분석에 따른 전기영동 사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좌측부터 마커, 추출 전 지방시료, 추출 후 시료 2종이며 추출 후에도 밴드(Band)의 변화가 없이 유지 되었다.
동일한 양의 단백질을 주입했을 때 Band가 유지되므로 초임계 추출 후 탈지되고, 단백질은 변화 없이 유지된 것을 확인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의 DNA잔존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추출시간 DNA 함량(ng/mg)
2 시간 70.72211
6 시간 31.07875
12 시간 35.60731294
상기 표 1은 동물지방의 초임계용매를 이용한 용매추출에 있어서 용매추출 시간에 따라 세포외기질에 잔존하는 DNA의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4 및 표1을 참조하면, 2시간 동안 초임계추출을 진행하는 경우 DNA 함량이 약70 ng/mg으로 확인되었으나, 12 시간 동안 초임계추출을 진행하는 경우 약 35 ng/mg의 DNA 잔존량을 나타내어, 면역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DNA함량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세포 내 핵이 파괴되어 탈세포화 된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용매추출에 의하여 수득한 세포외기질이 탈세포화된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헤마톡실린 및 에오진 염색(Hematoxylin and E osin staining)을 수행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의 헤마톡실린 및 에오진 염색사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용매추출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초임계추출 전 지방조직의 염색사진을 좌측에 나타내고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용매추출 후 수득한 세포외기질의 염색사진을 우측에 나타내었다.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용매추출 후 세포외기질에서는 세포핵을 관찰할 수 없었고 세포가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여 탈세포된 것을 확인하였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용매추출 과정에서 세포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좌측에 추출 전 지방조직의 주사전자현미경의 세포사진을 좌측에 나타내고, 추출 후 조직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을 우측에 나타내었다.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용매추출 후 세포는 모두 제거되었으며, 섬유질 모양이 확인되어 세포외기질이 탈세포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 보존액 제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세포외기질 시료를 탈이온수에 1 wt%로 첨가하여 혼합하고, 고압 호모게나이저를 사용하여 15 ℃에서 20,000 psi의 압력으로 분산시켰다.
5회 반복하여 분산시켜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분산액을 포어 사이즈(Pore size) 0.2 ㎛인 시린지 필터(Syringe Filter)를 사용해 여과하여 투명한 상태의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 보존액을 제조하였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포외기질 시료, 1 wt% 분산액 및 여과되어 제조된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 보존액의 사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세포외기질 시료를 분산하여 투명 액체 상태의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 보존액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성장인자 확인
실시예 1에 따라 수득한 세포외기질이 성장인자를 함유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효소 결합 면역 흡착 분석(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이하 ELISA)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1 wt% 분산액 준비하고, 사용할 플레이트 웰(Plate Well) 각각에 세척용액(Washing Solution)을 투입하여 세척하였다. 표준용액(Standard) 및 시료(Sample)를 각 Well에 넣고 상온에서 2 시간 반응시켰다.
미반응 표준용액과 시료를 세척용액으로 세척하였다.
각 웰에 검출항체(Detection Antibody)를 주입하고, 상온에서 2 시간 동안 배양하고 세척하였다.
Streptavidin-HRP를 주입하고, 상온에서 30 분간 배양한 이후에 다시 세척하였다.
TMB Solution을 주입 후 발색될 때까지 배양하고, 450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의 VEGF 기준 효소 결합 면역 흡착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이 분산된 분산액 내의 VEGF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1 wt% 분산액 내 VEGF의 농도는 40.34 pg/ml이고, 실시예 1에 따른 세포외기질 시료 내의 VEGF 함량은 4.03 ng/g인 것을 확인하여 동물지방에 대한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용매추출로 수득한 세포외기질 시료에서 성장인자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여과에 따른 DNA 함량변화
실시예 2에 따른 보존액의 여과 전후 DNA 함량을 분석하였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이 분산된 분산액의 여과 전후의 DNA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여과 전 5.57 ng/μl에서 0.13 ng/μl로 감소되어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용매추출 방법으로 수득한 세포외기질을 분산시켜 여과하는 경우에 잔존 DNA를 더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성장인자의 종류 및 함량 확인
실시예 1에 따른 세포외기질에 다양한 성장인자가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인체 성장인자 항체 어레이(Human Growth Factor Antibody Array) 멤브레인, Abcam 키트를 사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시료의 처리는 키트의 프로토콜에 따라 진행하였으며 시료에 존재하는 단백질의 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1/10으로 희석하였다.
한편 실시예 2에 따른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 보존액에 함유되어 있는 성장인장의 종류 및 함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싸이토카인 항체 어레이(Cytokine Antibody Array)로 분석하였다.
1 wt% 분산액(Control) 및 여과용액(Filter Solution)을 1/10로 희석하여 준비하고, 멤브레인(Membrane)을 버퍼용액(Washing buffer)으로 세척 후 상온에서 30 분간 대기(Blocking)하였다.
희석한 분석 대상액을 멤브레인(Membrane)에 도포하고, 4 ℃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 후 아스피레이터로 분석 대상액을 제거하였다.
버퍼용액으로 잔여 분석 대상액을 세척하고, 상온에서 바이오틴-콘쥬게이트 항싸이토카인(Biotin-Conjugated Anti-Cytokine)을 주입하고, 2 시간동안 배양 후 액체를 제거하고 잔여물을 세척하였다.
상온에서 HRP-Conjugated Streptavidin을 주입하고, 2 시간 동안 배양 후 액체를 제거하고 잔여물을 세척하였다.
검출 버퍼(Detection buffer) 도포 후 5분 이내 화학발광 검출 카메라(Chemiluminescence Detection Camera)로 촬영하여 이미지 J 프로그램(ImageJ Program)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 보존액의 여과 전후의 싸이토카인 항체 어레이 결과에 따른 이미지이다.
이미지 J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도 10 내 흑색 점의 선명도(Intensity)를 측정하였다.
싸이토카인 어레이(Cytokine array)를 통해 측정된 이미지 내 해당 항체에 대한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시료 내 해당 물질이 얼마나 들어있는지에 대한 상대적 값을 확인하였다.
Positive Control인 VEGF 에 대한 상대적인 값을 기준으로 검출된 나머지 성장인자의 상대값을 환산하여 계산하였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 보존액의 여과 전후의 성장인자 종류 및 선명도(intensity)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용매추출을 통하여 수득한 세포외기질에서 총 40가지의 성장인자를 확인할 수 있으며, 세포외기질을 함유한 보존액의 여과 후에 성장인자 함량이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 보존액의 여과 전후의 성장인자 종류 및 함량(ng/g)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실시예 1에 따른 세포외기질은 인체 성장인자 41가지 중 총 40가지의 성장인자를 함유하고 있으며, FGF-4는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용매추출과정에서 제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용매추출과정의 탈세포 및 탈지효과는 성장인자의 함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용매추출과정의 추출조건에 따라 성장인자가 함량 및 종류가 조절된 세포외기질을 수득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 보존액은 세포외기질 1g 당 0.21 내지 6.86 ng으로 여과에 따라 성장인자가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여 보존액 중의 성장인자의 함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성장인자 중 여과과정을 통하여 bFGF(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의 함량이 40 내지 50 % 범위로 감소된 것을 확인하여 1 wt%의 분산액 중에 잔류하는 단백질이 존재하나, 상기 단백질에 포함되어 있는 bFGF가 여과를 통하여 제거되기 때문에 상기 보존액 중의 단백질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상기 보존액 중의 단백질을 제거하여 세포외기질 보존액이 감염 및 오염 위험성을 감소시켜 생체안전성을 증가시키고, 여과 과정에서 멸균할 수 있으며, 잔존하는 DNA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어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 보존액의 취급성 및 보존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최근 증가되는 지방흡입술에 따라 인체지방이 다량으로 폐기되는 점을 주목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던 중 지방조직에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용매추출방법을 사용하여 추출조건을 조절하는 경우 세포외기질의 기계적 특성을 유지하면서, 탈세포 및 탈지되어 생체안전성과 생체적합성을 증가시킨 세포외기질을 수득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용매추출에서 세포외기질에 성장인자가 다량으로 잔류하여 세포의 생리활성을 조절하고 조직의 재생을 빠르게 유도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용매추출과정에서 특정 성장인자가 배제되는 특징을 확인하여 종래 화학적, 생물학적 처리를 통한 세포외기질과 성장인자의 구성이 상이한 세포외기질을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 및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 보존액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고,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4)

  1. 탈세포 및 탈지되고, 성장인자를 함유하는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로서,
    상기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은,
    (1) 세척한 동물지방 1000mL를 분쇄하여 지방조직을 준비하는 단계;
    (2) 준비된 상기 지방조직을 원심분리하여 수분과 지질을 제거하여 전처리 하는 단계; 및
    (3)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용매추출로 상기 전처리된 지방조직을 탈세포 및 탈지하여 세포외기질을 회수하는 단계; 로 제조되고,
    상기 단계 (3)은,
    반응기의 일측에 이산화탄소 실린더가 구비되고,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는 라인을 따라 냉각기와 펌프가 구비되어 이산화탄소를 가압하여 초임계유체인 용매를 제조하고,
    상기 이산화탄소 실린더 일측에는 공용매인 에탄올 탱크가 구비되고, 에탄올이 배출되는 라인에는 펌프가 구비되어 상기 용매에 에탄올이 혼합된 용매를 제조하여,
    상기 전처리된 동물지방이 배치된 반응기에 200 내지 600 bar로 가압되고 공용매인 에탄올이 혼합된 용매를 32 ℃에서 18 내지 70 mL/min의 유량으로 2 내지 12 시간 동안 도입하여 용매추출하고,
    상기 성장인자는,
    상기 동물지방에서 추출된 것으로, 세포외기질 1 g 당 0.52 내지 11.19 ng 으로 함유되고, 앰피레귤린(AR, amphiregulin), 염기성 섬유모세포성장인자(b-FGF,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베타-신경성장인자(b-NGF, beta nerve growth factor), 상피세포성장인자(EGF, epidermal growth factor), 상피세포성장인자수용기(EGFR,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섬유모세포성장인자-6(FGF-6, fibroblast growth factor-6), 섬유모세포성장인자-7(FGF-7, fibroblast growth factor-7), 과립구집락자극인자(G-CSF, granulocyte colony-stimulating factor), 신경 아교세포계 신경영양인자(GDNF, glial cell line-derived neurotrophic factor), 과립구 포식세포 집락자극인자(GM-CSF, granulocyte-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헤파린결합성 EGF유사성장인자(HB-EGF, heparin-binding EGF-like growth factor), 간세포성장인자(HGF, hepatocyte growth factor), 인슐린유사 성장인자 결합단백질-1(IGFBP-1,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1), 인슐린유사 성장인자 결합단백질-2(IGFBP-2,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2), 인슐린유사 성장인자 결합단백질-3(IGFBP-3,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3), 인슐린유사 성장인자 결합단백질-4(IGFBP-4,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4), 인슐린유사 성장인자 결합단백질-6(IGFBP-6,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6), 인슐린유사 성장인자-1(IGF-I, insulin-like growth factor 1), 인슐린유사 성장인자 인슐린수용기(IGF-ISR, insulin-like growth factor-insulin receptor), 인슐린유사 성장인자-2(IGF-II, insulin-like growth factor 2), 대식세포집락자극인자(M-CSF, 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대식세포집락자극인자 수용기(M-CSFR, 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receptor), 뉴로트로핀-3(NT-3, neurotrophin-3), 뉴로트로핀-4(NT-4, neurotrophin-4), 혈소판유래 성장인자수용체-A(PDGFR A,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receptor A), 혈소판유래 성장인자수용체-B(PDGFRb,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receptor B), 혈소판유래 성장인자-AA(PDGFAA,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AA), 혈소판유래 성장인자-AB(PDGF-AB,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AB), 혈소판유래 성장인자-BB(PDGF-BB,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BB), 태반성장인자(PIGF, placental growth factor), 줄기세포성장인자(SCF, stem cell factor), 줄기세포성장인자 수용체(SCFR, stem cell factor receptor), 전환성장인자 알파(TGF-a, transforming growth factor alpha), 전환성장인자 베타1(TGF-b,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1), 전환성장인자 베타2(TGF-b2,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2), 전환성장인자 베타3(TGF-b3,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3), 혈관내피성장인자(VEG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혈관내피성장인자 수용체-2(VEGFR2, VEGF receptor-2), 혈관내피성장인자 수용체-3(VEGFR3, VEGF receptor-3) 및 혈관내피성장인자 D(VEGF-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D)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지방은
    지방흡입술을 통하여 추출된 폐지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
  3. 삭제
  4. 삭제
KR1020200040582A 2019-08-27 2020-04-02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 및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 보존액 KR102333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582A KR102333417B1 (ko) 2019-08-27 2020-04-02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 및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 보존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041 2019-08-27
KR1020200040582A KR102333417B1 (ko) 2019-08-27 2020-04-02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 및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 보존액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5041 Division 2019-08-27 2019-08-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460A KR20210025460A (ko) 2021-03-09
KR102333417B1 true KR102333417B1 (ko) 2021-12-02

Family

ID=78867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582A KR102333417B1 (ko) 2019-08-27 2020-04-02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 및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 보존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34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04434A1 (ko) * 2022-04-21 2023-10-26 주식회사 티앤알바이오팹 다단계 탈세포화된 조직 보충재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89588A1 (en) * 2009-08-11 2012-07-26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lantation of Processed Adipose Tissue and Processed Adipose Tissue Product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316B1 (ko) 2016-03-11 2017-08-29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생체 내 분해속도 및 물성 조절 가능한 생체적합성 돼지연골 유래 세포외기질 막 제조방법 및 상기 돼지연골 유래 세포외기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착방지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89588A1 (en) * 2009-08-11 2012-07-26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lantation of Processed Adipose Tissue and Processed Adipose Tissue Produc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04434A1 (ko) * 2022-04-21 2023-10-26 주식회사 티앤알바이오팹 다단계 탈세포화된 조직 보충재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460A (ko) 202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0376B2 (en) Decellularized biomaterial from non-mammalian tissue
Choi et al. Full-thickness skin wound healing using human placenta-derived extracellular matrix containing bioactive molecules
US9775931B2 (en) Liquefaction of bone matrix
EP3402876B1 (en) Vascular extracellular matrix hydrogel
Bellas et al. Sustained volume retention in vivo with adipocyte and lipoaspirate seeded silk scaffolds
WO2011087743A2 (en) Decellularized adipose cell growth scaffold
CN104055795B (zh) 一种可注射植入剂及其制备方法
US20180155678A1 (en) Placenta-derived matrix and methods of preparing and use thereof
Wang et al. Functional acellular matrix for tissue repair
US10098986B1 (en) Ready to use biodegradable and biocompatible artificial skin substitute and a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WO2013025766A1 (en) Muscle tissue regeneration using muscle fiber fragments
Erten et al. Detergent-free decellularization of bovine costal cartilage for chondrogenic differentiation of human adipose mesenchymal stem cells in vitro
Zhu et al. An acellular cerebellar biological scaffold: Preparation, characterization, biocompatibility and effects on neural stem cells
KR102333417B1 (ko)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 및 동물지방 유래 세포외기질 보존액
Kimura et al. In situ adipogenesis in fat tissue augmented by collagen scaffold with gelatin microspheres containing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Kim et al. Non‐invasive in vivo monitoring of transplanted stem cells in 3D‐bioprinted constructs using near‐infrared fluorescent imaging
US20150344842A1 (en) Method for production of decellularized biological material and the decellularized biological material prepared therefrom
CN114286694B (zh) 动物脂肪源性细胞外基质及动物脂肪源性细胞外基质保存液
US20220111121A1 (en) Tissue engineering bone scaffol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15581810A (zh) 一种富含外泌体的水凝胶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870088A (zh) 一种Wnt信号激活骨细胞脱细胞基质及其表衬的骨修复支架的制备方法与应用
KR102586304B1 (ko) 무세포 신경 이식재 및 그 제조방법
RU2795904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бесклеточного матрикса из пуповины человека для создания высокорегенеративного раневого покрытия
Sokol et al. Prospects for application of bovine pericardial scaffold for cardial surgery
Zhao et al. Structural and Functional Evaluation of Decellularized Jellyfish Matrices for Cell Culture and Wound Rep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