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3153B1 - 영상 정보 부호화 방법 및 복호화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정보 부호화 방법 및 복호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3153B1
KR102333153B1 KR1020200164755A KR20200164755A KR102333153B1 KR 102333153 B1 KR102333153 B1 KR 102333153B1 KR 1020200164755 A KR1020200164755 A KR 1020200164755A KR 20200164755 A KR20200164755 A KR 20200164755A KR 102333153 B1 KR102333153 B1 KR 102333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diction
block
region
sub
intra predi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4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9116A (ko
Inventor
김휘용
이진호
임성창
최진수
김진웅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2007161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87246B1/ko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200139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9116A/ko
Priority to KR1020210164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80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05Selection of the reference unit for prediction within a chosen coding or prediction mode, e.g. adaptive choice of position and number of pixels used for pred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1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among a plurality of spatial predictive coding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19Adaptive subdivision aspects, e.g. subdivision of a picture into rectangular or non-rectangular coding b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46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 H04N19/15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by monitoring actual compressed data size at the memory before deciding storage at the transmission buf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spatial prediction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정보 부호화 방법 및 복호화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일 실시형태인 영상 정보의 복호화 방법은,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서, 예측 영역을 제1 예측 영역과 제2 예측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제1 예측 영역에 대한 인트라 예측 및 복원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예측 영역에 대한 예측 및 복원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예측 영역에 대한 예측 및 복원 단계에서는, 상기 제1 예측 영역에 대한 참조 샘플 또는 상기 복원된 제1 예측 영역 내 소정의 샘플을 참조하여 상기 제2 예측 영역에 대한 인트라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 정보 부호화 방법 및 복호화 방법{Encoding And Decoding Methods For Video Information}
본 발명은 영상 정보 압축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인트라 예측 모드에 종속적인 영상 영역 분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HD(High Definition) 해상도를 가지는 방송 서비스가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확대되면서, 많은 사용자들이 고해상도, 고화질의 영상에 익숙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많은 기관들이 차세대 영상기기에 대한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또한 HDTV와 더불어 HDTV의 4배 이상의 해상도를 갖는 UHD(Ultra High Definition)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보다 높은 해상도, 고화질의 영상에 대한 압축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영상 압축 기술에는 시간적으로 이전 및/또는 이후의 픽쳐로부터 현재 픽쳐에 포함된 화소값을 예측하는 인터(inter) 예측 기술, 현재 픽쳐 내의 화소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픽쳐에 포함된 화소값을 예측하는 인트라(intra) 예측 기술, 조명 변화 등에 의한 화질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한 가중치 예측 기술, 출현 빈도가 높은 심볼(symbol)에 짧은 부호를 할당하고 출현 빈도가 낮은 심볼에 긴 부호를 할당하는 엔트로피 부호화 기술 등이 있다. 특히, 생략 모드(skip mode)에서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이 수행되는 경우, 이전 부호화된 영역으로부터 예측된 값만을 이용하여 예측 블록이 생성되고 별도의 움직임 정보(motion information)나 레지듀얼(residual) 신호가 부호화기로부터 복호화기로 전송되지 않는다. 이러한 영상 압축 기술들에 의해 영상 데이터가 효율적으로 압축될 수 있다.
한편, 영상 정보의 압축 기술 중 인트라 예측에는 다양한 인트라 예측 모드가 사용된다. 예측 모드에 따라서, 서로 다른 참조 샘플을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화소값이 예측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예측 모드, 즉 서로 다른 참조 샘플에 따라서 예측 방법을 적응적으로 변경하여 최적의 압축 효율을 얻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과제는 인트라 부호화의 효율을 높이고 영상 정보 처리 과정의 복잡도를 낮추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서 예측 영역(Prediction Unit: PU) 및 변환 영역(Transform Unit: TU)를 달리 분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예측 모드와 상관없이 예측 영역과 변환 영역이 분할됨으로써 발생하던 복잡도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예측 모드에 따라서 분할된 각 예측 영역에 대한 예측 모드의 결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인트라 예측의 성능 향상을 도모함과 동시에 최적의 예측 영역 분할 구조 및 최적의 변환 영역 분할 구조를 판단하는데 필요한 복잡도를 줄이기 위한 예측 영역 및 변환 영역 분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1) 본 발명이 일 실시형태는 영상 정보의 복호화 방법으로서,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서, 예측 영역을 제1 예측 영역과 제2 예측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제1 예측 영역에 대한 인트라 예측 및 복원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예측 영역에 대한 예측 및 복원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예측 영역에 대한 예측 및 복원 단계에서는, 상기 제1 예측 영역에 대한 참조 샘플 또는 상기 복원된 제1 예측 영역 내 소정의 샘플을 참조하여 상기 제2 예측 영역에 대한 인트라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2) (1)에서,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에 관한 정보는 부호화기로부터 수신될 수 있으며, 상기 예측 영역 분할 단계에서는,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를 사용하는 경우에 기준치 이상의 레지듀얼 신호가 존재하는 영역을 상기 제2 예측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3) (1)에서,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에 관한 정보는 부호화기로부터 수신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예측 영역은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의 참조 샘플로부터 현재 블록 내에서 가장 먼 위치의 영역일 수 있다.
(4) (1)에서,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에 관한 정보는 부호화기로부터 수신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예측 영역 및 제2 예측 영역은 인트라 예측 모드별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5) (1)에서, 상기 제2 예측 영역에 대한 인트라 예측 및 복원 단계에서는, 상기 제2 예측 영역에 대응하는 변환 영역의 변환 계수를 기반으로 레지듀얼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예측 영역에 대한 예측 결과를 상기 생성된 레지듀얼 신호와 결합하여 복원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6) (1)에서, 상기 제2 예측 영역은 복수의 예측 영역으로 더 분할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예측 영역으로부터 분할된 예측 영역에 대해서는 상기 제1 예측 영역에 대한 참조 샘플 또는 복원된 다른 예측 영역 내 소정의 샘플을 참조하여 인트라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7) (1)에서, 상기 제2 예측 영역에 적용되는 예측 모드는 상기 제1 예측 영역에 적용되는 예측 모드 및 상기 제1 예측 영역에 적용되는 예측 모드와 유사한 각도의 예측 모드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8) (7)에서, 상기 제2 예측 영역에 대한 인트라 예측은 상기 복원된 제1 영역 내 샘플을 참조하여 수행될 수 있다.
(9) (1)에서, 상기 제2 예측 영역에 적용되는 예측 모드는 상기 제1 예측 영역에 대한 후보 예측 모드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10) (1)에서, 상기 제2 예측 영역에 적용되는 예측 모드는 상기 제2 예측 영역에 인접한 블록에 적용된 예측 모드 및 상기 제2 예측 영역에 인접한 블록에 적용된 예측 모드와 유사한 각도의 예측 모드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11)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영상 정보의 부호화 방법으로서,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서, 예측 영역을 제1 예측 영역과 제2 예측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제1 예측 영역에 대한 인트라 예측 및 복원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2 예측 영역에 대한 예측 및 복원을 수행하는 단계 및 현재 블록의 예측 모드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예측 영역에 대한 예측 및 복원 단계에서는, 상기 제1 예측 영역에 대한 참조 샘플 또는 상기 복원된 제1 예측 영역 내 소정의 샘플을 참조하여 상기 제2 예측 영역에 대한 인트라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12) (11)에서, 상기 예측 영역 분할 단계에서는,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를 사용하는 경우에 기준치 이상의 레지듀얼 신호가 존재하는 영역을 상기 제2 예측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13) (11)에서, 상기 제2 예측 영역은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의 참조 샘플로부터 현재 블록 내에서 가장 먼 위치의 영역일 수 있다.
(14) (11)에서, 상기 제2 예측 영역에 대한 인트라 예측 및 복원 단계에서는, 상기 제2 예측 영역에 대응하는 변환 영역의 변환 계수를 기반으로 레지듀얼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예측 영역에 대한 예측 결과를 상기 생성된 레지듀얼 신호와 결합하여 복원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15) (14)에서, 상기 변환 영역은 상기 제1 예측 영역 및 제2 예측 영역과 동일한 크기의 영역이거나 상기 제1 예측 영역 또는 제2 예측 영역이 정방형 또는 비정방형으로 분할된 영역일 수 있다.
(16) (11)에서, 상기 제1 예측 영역 및 제2 예측 영역의 분할 단계에서는, 상기 제2 예측 영역을 복수의 예측 영역으로 더 분할하며, 상기 제2 예측 영역으로부터 분할된 예측 영역에 대해서는 상기 제1 예측 영역에 대한 참조 샘플 또는 복원된 다른 예측 영역 내 소정의 샘플을 참조하여 인트라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17) (11)에서, 상기 제2 예측 영역에 적용되는 예측 모드를 상기 제1 예측 영역에 적용되는 예측 모드 및 상기 제1 예측 영역에 적용되는 예측 모드와 유사한 각도의 예측 모드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18) (11)에서, 상기 제2 예측 영역에 적용되는 예측 모드를 상기 제2 예측 영역에 인접하는 블록의 예측 모드 및 상기 제2 예측 영역에 인접하는 블록의 예측 모드와 유사한 각도의 예측 모드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트라 부호화의 효율을 높이고 영상 정보 처리 과정의 복잡도를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예측 모드와 상관없이 예측 영역과 변환 영역이 분할됨으로써 발생하던 복잡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서 예측 영역 및 변환 영역을 달리 분할함으로써, 최적의 예측 영역 분할 구조 및 최적의 변환 영역 분할 구조를 기반으로 예측 및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서 분할된 예측 영역 및 변환 영역에 최적의 예측 모드를 적용함으로써 인트라 예측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영상 부호화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영상 복호화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인트라 예측의 각 모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인트라 예측 모드에서 현재 블록이 참조할 수 있는 샘플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방향성 예측에 따른 레지듀얼 신호의 분포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에서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 미리 정해진 제1 예측 영역과 제2 예측 영역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에서 인트라 예측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에서 상술한 인트라 예측의 방법을 수행하는 부호화기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에서 상술한 인트라 예측의 방법을 수행하는 복호화기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부호화 영역(CU), 예측 영역(PU), 변환 영역(TU)의 분할 구조에 관한 일 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에서, 현재 블록(부호화 대상 블록)을 예측 모드에 따라서 두 개의 예측 영역으로 분할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에서, 현재 블록(부호화 대상 블록)을 예측 모드에 따라서 두 개의 예측 영역으로 분할하는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에서, 현재 블록(부호화 대상 블록)을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서 3개의 예측 영역으로 분할하는 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에서, 비정방형 변환 영역의 변환에 관한 예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에서, 현재 블록 내 선순위 예측 영역과 후순위 예측 영역 사이의 상관성에 기반해서, 선순위 예측 영역의 복원된 샘플을 이용하여 후순위 예측 영역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는 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에서 현재 예측 영역의 예측 모드를 결정하는 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으나,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특정 구성을 “포함”한다고 기술하는 내용은 해당 구성 이외의 구성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추가적인 구성이 본 발명의 실시 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나는 구성부들은 서로 다른 특징적인 기능들을 나타내기 위해 독립적으로 도시되는 것으로, 각 구성부들이 분리된 하드웨어나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단위로 이루어짐을 의미하지 않는다. 즉, 각 구성부는 설명의 편의상 각각의 구성부로 나열하여 포함한 것으로 각 구성부 중 적어도 두 개의 구성부가 합쳐져 하나의 구성부로 이루어지거나, 하나의 구성부가 복수 개의 구성부로 나뉘어져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이러한 각 구성부의 통합된 실시예 및 분리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일부의 구성 요소는 본 발명에서 본질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필수적인 구성 요소는 아니고 단지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선택적 구성 요소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지 성능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구성 요소를 제외한 본 발명의 본질을 구현하는데 필수적인 구성부만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단지 성능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선택적 구성 요소를 제외한 필수 구성 요소만을 포함한 구조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영상 부호화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영상 부호화 장치(100)는 움직임 예측부(110), 움직임 보상부(115), 인트라 예측부(120), 감산기(125), 변환부(130), 양자화부(135), 엔트로피 부호화부(140), 역양자화부(145), 역변환부(150), 가산기(155), 필터부(160) 및 참조영상 버퍼(165)를 포함한다.
영상 부호화 장치(100)는 입력 영상에 대해 인트라(intra) 모드 또는 인터(inter) 모드로 부호화를 수행하고 비트 스트림(bit stream)을 출력할 수 있다. 인트라 모드인 경우에는 인트라 예측부(120)에서 예측이 수행되고, 인터 모드의 경우에는 움직임 예측부(110), 움직임 보상부(115) 등을 통해서 예측이 수행될 수 있다. 영상 부호화 장치(100)는 입력 영상의 입력 블록에 대한 예측 블록을 생성한 후, 입력 블록과 예측 블록의 차분을 부호화할 수 있다.
인트라 모드인 경우, 인트라 예측부(120)는 현재 블록 주변의 이미 부호화된 블록의 화소값을 이용하여 공간적 예측을 수행하여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인터 모드인 경우, 움직임 예측부(110)는, 움직임 예측 과정에서 참조 영상 버퍼(165)에 저장되어 있는 참조 영상에서 입력 블록과 가장 매치가 잘 되는 영역을 찾아 움직임 벡터를 구할 수 있다. 움직임 보상부(115)는 움직임 벡터와 참조 영상 버퍼(165)에 저장되어 있는 참조 영상을 이용하여 움직임 보상을 수행함으로써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감산기(125)는 입력 블록과 생성된 예측 블록의 차분에 의해 레지듀얼 블록(residual block)을 생성할 수 있다. 변환부(130)는 레지듀얼 블록에 대해 변환(transform)을 수행하여 변환 계수(transform coefficient)를 출력할 수 있다. 레지듀얼 신호는 원신호와 예측 신호의 차이를 의미할 수 있고, 또한 원신호와 예측 신호의 차이가 변환(transform)된 형태의 신호 또는 원신호와 예측 신호의 차이가 변환되고 양자화된 형태의 신호를 의미할 수도 있다. 레지듀얼 신호를 블록 단위에서는 레지듀얼 블록이라 할 수 있다.
양자화부(135)는 변환 계수를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양자화한 양자화 계수(quantized coefficient)를 출력할 수 있다.
엔트로피 부호화부(140)는, 양자화부(135)에서 산출된 값들 또는 부호화 과정에서 산출된 부호화 파라미터 값 등에 대응하는 심볼(symbol)을 확률 분포에 따라 엔트로피 부호화하여 비트 스트림(bit stream)을 출력할 수 있다.
엔트로피 부호화가 적용되는 경우, 높은 발생 확률을 갖는 심볼에 적은 수의 비트가 할당되고 낮은 발생 확률을 갖는 심볼에 많은 수의 비트가 할당되도록 함으로써 영상 부호화의 압축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엔트로피 부호화를 위해 CAVLC(Context-Adaptive Variable Length Coding), CABAC(Context-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 등과 같은 부호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엔트로피 부호화부(140)에는 가변 길이 부호화(VLC: Variable Lenghth Coding/Code) 테이블을 사용하여 엔트로피 부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엔트로피 부호화부(140)는 대상 심볼의 이진화(binarization) 방법 및 대상 심볼/빈(bin)의 확률 모델(probability model)을 도출한 후, 도출된 이진화 방법 또는 확률 모델을 사용하여 엔트로피 부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양자화된 계수는 역양자화부(145)에서 역양자화되고 역변환부(150)에서 역변환될 수 있다. 역양자화되고, 역변환된 계수는 복원된 레지듀얼 블록(reconstructed residual block)으로 생성 되며, 가산기(155)는 예측 블록과 복원된 레지듀얼 블록을 이용하여 복원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필터부(160)는 디블록킹 필터(deblocking filter), SAO(Sample Adaptive Offset), ALF(Adaptive Loop Filter)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복원 블록 또는 복원 픽쳐에 적용할 수 있다. 필터부(160)를 거친 복원 블록은 참조 영상 버퍼(165)에 저장될 수 있다.
도 2는 영상 복호화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영상 복호화 장치(200)는 엔트로피 복호화부(210), 역양자화부(220), 역변환부(230), 인트라 예측부(240), 움직임 보상부(250), 필터부(260), 참조 영상 버퍼(270) 및 가산기(280)를 포함한다.
영상 복호화 장치(200)는 부호화기에서 출력된 비트 스트림을 입력 받아 인트라 모드 또는 인터 모드로 복호화를 수행하고 재구성된 영상, 즉 복원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인트라 모드인 경우에는 인트라 예측부(240)에서 예측이 수행되고, 인터 모드인 경우에는 움직임 보상부(250)를 통해서 예측이 수행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200)는 입력 받은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복원된 레지듀얼 블록(residual block)을 얻고 예측 블록을 생성한 후 복원된 레지듀얼 블록과 예측 블록을 더하여 재구성된 블록, 즉 복원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엔트로피 복호화부(210)는, 입력된 비트 스트림을 확률 분포에 따라 엔트로피 복호화하여 양자화된 계수(quantized coefficient) 형태의 심볼들을 생성할 수 있다. 엔트로피 복호화 방법은 상술한 엔트로피 부호화 방법에 대응하여 수행될 수 있다.
양자화된 계수는 역양자화부(220)에서 역양자화되고 역변환부(230)에서 역변환되며, 양자화된 계수가 역양자화/역변환 된 결과 복원된 레지듀얼 블록(residual block)이 생성될 수 있다.
인트라 모드인 경우, 인트라 예측부(240)는 현재 블록 주변의 이미 복호화된 블록의 화소값을 이용하여 공간적 예측을 수행하여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인터 모드인 경우, 움직임 보상부(250)는 움직임 벡터 및 참조 영상 버퍼(270)에 저장되어 있는 참조 영상을 이용하여 움직임 보상을 수행함으로써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가산기(280)는 복원된 레지듀얼 블록과 예측 블록을 기반으로 복원 블록을 생성할수 있다. 필터부(260)는 디블록킹 필터, SAO, ALF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복원 블록에 적용할 수 있다. 필터부(260)는 재구성된 영상, 즉 복원 영상을 출력한다. 복원 영상은 참조 영상 버퍼(270)에 저장되어 화면 간 예측에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인트라 예측 모드에서는 하나 이상의 복원된 참조 샘플을 이용하여 방향성 예측 또는 비방향성 예측을 수행한다.
도 3은 인트라 예측의 각 모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DC 모드(Intra_DC), 플래너 모드(Intra_Planar), 루마 모드를 크로마에 적용하는 모드(Intra_FromLuma)를 제외하고, 0, 1, 3~33의 모드가 방향에 따라서 정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각 예측 모드 중에서 현재 블록의 예측에 사용될 수 있는 모드의 개수는 현재 블록의 크기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표 1은 현재 블록의 크기에 따라 사용 가능한 예측 모드의 개수에 관한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표 1>
Figure 112020129326627-pat00001
이때, 예측 대상 블록, 즉 현재 블록의 크기는 표 1에 예시된 2x2, 4x4,8x8, 16x16, 32x32, 64x64 등의 정사각형뿐만 아니라, 2x8, 4x8, 2x16, 4x16, 8x16 등의 직사각형 블록이 될 수도 있다.
예측 대상 블록의 크기는 부호화 영역(Coding Unit: CU), 예측 영역(Prediction Unit: PU), 변환 영역(Transform Unit: TU) 중 적어도 하나의 크기가 될 수 있다.
인트라 예측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각 모드에 따라서, 참조 샘플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도 4는 인트라 예측 모드에서 현재 블록이 참조할 수 있는 샘플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현재 블록(C, 410)에 인트라 예측이 적용되는 경우에, 현재 블록(410) 주변의 복원된 참조 샘플, 즉, 상좌측(above_left) 참조 샘플(420), 상측(above) 참조 샘플(430), 상우측(above_right) 참조 샘플(440), 좌측(left) 참조 샘플(450), 하좌측(below_left) 참조 샘플(460) 중에서 예측 모드에 따라 선택된 참조 샘플이 현재 블록(410)의 예측에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현재 블록(410)의 예측 모드가 도 3에서 모드 0(mode=0)의 수직 방향 모드인 경우에, 현재 블록(410)의 상측(above) 참조 샘플(430)을 이용할 수 있다. 현재 블록(410)의 예측 모드가 모드 1(mode=1)의 수평 방향 모드인 경우에는, 현재 블록(410)의 좌측(left) 참조 샘플(450)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현재 블록(410)의 예측 모드가 모드 13(mode=13)인 경우에는 상측(above) 참조 샘플(430) 또는 상우측(above_right) 참조 샘플(440)을 이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현재 블록(410)의 예측 모드가 모드 7(mode=7)인 경우에는, 좌측(left) 참조 샘플(450) 또는 하좌측(below_left) 참조 샘플(460)을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트라 예측에 사용되는 방향성 예측(인트라 예측 모드, 0, 1, 3~33)에 있어서는 예측 방향에 따라, 즉 예측 모드에 따라 예측 기반 픽셀 값(참조 샘플 값)을 직접 예측 값으로 사용하거나 예측 기반 픽셀 값의 평균값을 예측 값으로 사용한다. 또한, 예측 영역의 분할과는 별개로 변환 영역을 분할해 본 후 변환 영역의 분할 구조를 시그널링 하는 RQT(Residual Quadtree)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 레지듀얼 신호의 분포가 달라지는 특성을 이용하지 못한다. 따라서, 부호화 효율의 향상이 제한적이며, 최적 변환 영역 분할 구조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부호화기의 복잡도가 증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영상 정보의 부호화/복호화에 사용되는 방향성 예측은 참조 샘플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예측의 정확도가 떨어지게 된다.
도 5는 방향성 예측에 따른 레지듀얼 신호의 분포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A)는 좌상측으로부터 우하측 방향으로의 대각 예측이 수행되는 경우의 레지듀얼 신호 분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A)의 예에서는, 예측 대상 블록인 현재 블록(500)에 인트라 예측 모드가 적용되며, 참조 샘플(510, 520)을 이용하여 우하측 방향의 예측(530)이 수행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레지듀얼 신호(540)는 참조 샘플로부터 먼 우하측 방향에 많이 분포한다.
도 5(B)는 수직 방향으로 예측이 수행되는 경우의 레지듀얼 신호 분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B)의 예에서는, 예측 대상 블록인 현재 블록(550)에 인트라 예측 모드가 적용되며, 참조 샘플(560, 570) 중 상측의 참조 샘플(560)을 이용하여 수직 방향의 예측(580)이 수행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레지듀얼 신호(540)는 상측의 참조 샘플(560)로부터 먼 곳에 분포한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레지듀얼 신호의 크기는 참조 샘플로부터 멀어질수록 커지게 된다. 또한, 레지듀얼 신호의 분포는 예측 모드에 따라 달리 분포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방향성 예측에 있어서, 예측의 정확도는 참조 샘플로부터 멀어질수록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참조 샘플로부터 멀어질수록 레지듀얼 신호의 크기가 커지고 레지듀얼 신호가 많이 분포한다는 것을 고려할 때, 인트라 예측의 방향에 따라, 레지듀얼 신호가 많이 분포할 것으로 추정되는 영역에 대해서는 더 가까이에 있는 복원 샘플을 참조 샘플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예측 효율을 더 높일 수 있다.
이때, 레지듀얼 신호가 많이 분포하는 영역을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서 결정할 수 있다.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 레지듀얼 신호의 분호 영역을 결정함으로써, 영역 분할의 정보를 별도로 부호화하는데 필요한 시그널링의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역 분할의 구조를 판단하는데 필요한 복잡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레지듀얼 신호가 많이 분포할 것으로 추정되는 영역을,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예측 영역’이라 하고, 현재 블록에서 제2 예측 영역이 아닌 영역, 즉 레지듀얼 신호가 많이 분포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되는 영역을 ‘제1 예측 영역’이라 한다.
이때, 현재 블록 내에서 소정의 기준치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레지듀얼 신호가 분포하는 영역을 제2 예측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각 예측 모드에 따라서 미리 정해진 소정의 영역이 제2 예측 영역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예컨대, 각 예측 모드에서 참조하는 샘플로부터 현재 블록 내에서 가장 먼 곳에 위치하는 영역이 제2 예측 블록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이때, 제2 예측 영역은 후술하는 도면들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변환 영역과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에서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 미리 정해진 제1 예측 영역과 제2 예측 영역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A)와 도 6(B)의 예에서, 변환 블록은 예측 대상 블록(현재 블록)의 4분의 1 크기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현재 블록(600)의 제1 예측 영역(610)에 대해서, 현재 블록(600) 주변의 복원된 참조 샘플(605)을 이용하여 인트라 예측을 수행한다. 도 6(A)의 예에서는, 현재 블록(600)의 제1 예측 영역(610)에는 우하측 방향의 예측 모드(615)가 적용되고 있다.
도 6(A)에서는 제1 예측 영역(610)에 대한 예측 및 변환/복원을 수행한 후, 제2 예측 영역(620)의 예측에 대해서는 복원된 제1 예측 영역의 샘플(625)을 이용함으로써 잔여 신호가 많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된 제2 예측 영역(620)의 부호화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제2 예측 영역(620)에 대한 예측 모드(630)는 제1 예측 영역(610)에 대한 복원이 수행된 후에 결정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현재 블록(640)의 제1 예측 영역(650)에 대해서, 현재 블록(640) 주변의 복원된 참조 샘플(645)을 이용하여 인트라 예측을 수행한다. 도 6(B)의 예에서는, 현재 블록(640)의 제1 예측 영역(640)에는 수직 방향의 예측 모드(655)가 적용되고 있다.
도 6(B)에서는 제1 예측 영역(650)에 대한 예측 및 변환/복원을 수행한 후, 제2 예측 영역(660)의 예측에 대해서는 복원된 제1 예측 영역의 샘플(665)을 이용함으로써 잔여 신호가 많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된 제2 예측 영역(660)의 부호화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제2 예측 영역(660)에 대한 예측 모드(670)는 제1 예측 영역(650)에 대한 복원이 수행된 후에 결정될 수 있다.
예측 영역을 제1 예측 영역과 제2 예측 영역 외에 추가로 분할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예측 영역에 대한 예측/변환/복원 후에 제2 예측 영역에 대한 예측을 복원된 제1 예측 영역의 샘플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가정을 순차적으로 반복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예측 영역을 분할한 제3 예측 영역의 경우 또는 제1 예측 영역을 제2 예측 영역과 제3 예측 영역으로 분할한 경우에, 제3 예측 영역에 대한 예측은 복원된 제2 예측 영역의 샘플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예측 영역’이라 함은, 다양한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 화소값 예측이 수행되는 영역을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변환 영역’이라 함은 예측 영역의 일부 혹은 전부로 구성되고, 자기 자신을 포함하는 예측 영역과 동일한 예측 모드를 가지면서 변환 부호화를 통해 샘플값 복원이 수행되는 영역을 지칭한다.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에서 인트라 예측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의 인트라 예측 방법은 부호화기에서 수행될 수도 있고, 복호화기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현재 블록에 대하여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서, 예측 영역을 두 개 이상으로 분할한다(S710).
이어서,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서, 변환 영역을 두 개 이상으로 분할한다(S720).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서 예측 영역과 변환 영역의 처리 순서를 결정한다(S730).
이렇게 결정된 처리 순서에 따라서, 첫 번째 예측 영역(제1 예측 영역)에 대한 인트라 예측/복원을 수행한다(S740).
첫 번째 예측 영역을 복원한 후에는, 처리 순서에 따라서 두 번째 예측 영역(제2 예측 영역)에 대한 인트라 예측/복원을 수행한다(S750).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에서 상술한 인트라 예측의 방법을 수행하는 부호화기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부호화기는 복수의 예측 영역에 대하여 최적 예측 모드를 결정한다(S810). 최적 예측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을 현재 블록 내에서 예측 모드별로 미리 정해놓은 n 번째 예측 영역을 대상으로 설명하면, 예측 모드별로 미리 정해놓은 변환 영역의 구조 및 변환/복원의 순서에 따라 예측 및 변환/복원을 수행한다. 또한, n 번째 예측 영역에 대한 예측 오차 및/또는 예측 비트량을 계산하고, 이를 토대로 n 번째 예측 영역에 대한 최적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현재 블록에 대한 분할 구조 및 처리 순서를 결정한다(S820). S810에서 결정된 현재 블록의 첫 번째(n=1) 예측 영역에 대한 최적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서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영역과 변환 영역의 분할 구조, 예측 영역과 변환 영역의 처리 순서를 결정한다.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영역과 변환 영역의 분할 구조와 함께 전체 예측 영역의 개수 N을 결정할 수 있다.
이어서, 예측 영역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시그널링 한다(S830). n번째 예측 영역의 최적 인트라 예측 모드를 시그널링 한다. 두 번째 이후(n>1)의 예측 영역의 예측에 사용 가능한 예측 모드들과, 두 번째 이후(n>1) 예측 영역의 복원된 영역 중 n 번째 예측 영역과 인접한 영역의 예측 모드들을 활용하여, n 번째 예측 영역의 예측을 위한 예측 모드 후보(들)을 결정할 수 있다.
예측 영역에 대한 변환 부호화를 수행한다(S840). n 번째 예측 영역에 속한 각 변환 영역(들)에 대하여, 상기 S820 단계에서 결정된 변환 영역의 분할 구조 및 처리 순서에 따라, n 번째 예측 영역의 최적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른 예측 오차 신호에 대해 각 변환 영역의 변환 계수를 부호화함으로써 n 번째 예측 영역에 대한 변환 부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전체 예측 영역(n==N)에 대하여 상술한 각 단계를 수행하였으면, 상기 각 단계의 수행을 종료한다. 아직 전체 예측 영역에 대하여 상기 단계들을 수행하지 않았으면(n<N), 다음 예측 영역(즉, n=n+1인 예측 영역)에 대하여 S810 단계부터 이하의 단계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도 8의 전체 단계는 제1 예측 영역(첫 번째 예측 영역)에서부터 제2 예측 영역(두 번째 예측 영역), 이어서 제3 예측 영역(세 번째 예측 영역)의 순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첫 번째 예측 영역에 대한 단계인 S820 단계는 제2 예측 영역부터는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에서 상술한 인트라 예측의 방법을 수행하는 복호화기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복호화기는 부호화기로부터 수신한 비트 스트림을 파싱하여, 첫 번째 예측 영역(제1 예측 영역)에 대한 예측 모드를 획득한다(S910).
복호화기는 현재 블록에 대한 분할 구조 및 처리 순서를 결정한다(S920). 복호화기는 S910 단계에서 획득한 예측 모드에 따라서 현재 블록(복호 대상 블록)에 대한 예측 영역 및 변환 영역의 분할 구조 그리고 예측 영역 및 변환 영역의 처리 순서를 결정한다. 예측 영역 및 변환 영역의 분할 구조와 함께 전체 예측 영역의 개수 N을 결정할 수 있다.
예측 영역 내의 변환 영역별로 변환 계수를 복호화한다(S930). 예컨대, 현재 블록에 N 개의 예측 영역별로, 예측 영역에 속하는 각 변환 영역의 변환 계수를 비트 스트림으로부터 파싱하여 복호화할 수 있다. 제2 예측 영역(두 번째 예측 영역) 이후의 예측 영역에 대해서는, 제1 예측 영역(첫 번째 예측 영역)의 예측에 사용 가능한 예측 모드들과, 제1 예측 영역(첫 번째 예측 영역)을 제외하고 이미 복원된 예측 영역 중 n 번째 예측 영역과 인접한 영역의 예측 모드들을 활용하여, n 번째 예측 영역의 예측을 위한 예측 모드 후보(들)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각 변환 영역에 대한 복원 신호를 생성한다(S940). n 번째 예측 영역에 대하여 살펴보면, n 번째 예측 영역에 속하는 각 변환 영역(들)에 대하여, 상기 S910 단계에서 결정된 변환 영역의 분할 구조 및 처리 순서에 따라서 각 변환 영역의 변환 계수를 역변환하여 레지듀얼 신호를 복원한다. 복원된 레지듀얼 신호와 n 번째 예측 영역에 대한 예측 모드에 따라서 수행된 예측 결과를 합산하여, 각 변환 영역에 대한 복원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n 번째 예측 영역을 복원할 수 있다.
전체 예측 영역(n==N)에 대하여 상술한 각 단계를 수행하였으면, 상기 각 단계의 수행을 종료한다. 아직 전체 예측 영역에 대하여 상기 단계들을 수행하지 않았으면(n<N), 다음 예측 영역(즉, n=n+1인 예측 영역)에 대하여 S910 단계부터 이하의 단계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도 9의 전체 단계는 제1 예측 영역(첫 번째 예측 영역)에서부터 제2 예측 영역(두 번째 예측 영역), 이어서 제3 예측 영역(세 번째 예측 영역)의 순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첫 번째 예측 영역에 대한 단계인 S930 단계는 제2 예측 영역부터는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0은 부호화 영역(CU), 예측 영역(PU), 변환 영역(TU)의 분할 구조에 관한 일 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도 10에서는, 가장 위쪽의 열부터 차례대로 64x64 사이즈의 부호화 영역(1010), 32x32 사이즈의 부호화 영역(1020), 16x16 사이즈의 부호화 영역(1030), 8x8 사이즈의 부호화 영역(1040)에 대한 분할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각 부호화 영역(CU)의 사이즈에 대한 예측 영역(PU)과 변환 영역(TU)의 분할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부호화 영역 사이즈에 대해서 SDIP(Short Distance Intra Prediction) 영역을 규정할 수 있다. SDIP는 종래의 분할 구조에 직사각형 및 라인(line) 분할 구조를 추가한 방식으로 SDIP의 경우에는 부호화 영역이 정방형의 예측 영역으로 나뉘지 않고 비정방형, 예컨대 높이(또는 폭)는 부호화 영역과 동일하고, 폭(또는 높이)은 부호화 영역의 1/2 또는 1/4인 직사각형 형태의 예측 영역으로 나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MDIP(Mode Dependent Intra Prediction)에 의한 예측이 수행될 수 있다. MDIP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예측 모드에 따라서 분할 구조가 달라지게 된다. 도 10에서는 본 명세서에서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서 분할 구조를 달리하거나 추가로 분할 영역을 구분하는 방법 중 상측 참조 샘플을 이용하는 경우와 좌측 참조 샘플을 이용하는 두 방법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성 예측 외에도 DC 모드와 플래너(planar) 모드 등과 같이 비방향성 인트라 예측 모드를 사용하여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MDIP가 아닌 일반적인 인트라 예측의 경우 및 SDIP의 경우에는 현재 블록의 크기에 따라서 예측 영역과 변환 영역의 분할 방식이 달라질 수 있다. 반면에 MDIP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더 이상 분할이 불가능한 최소 예측 영역/최소 변환 영역의 크기(4x4)를 제외하고는 블록의 크기에 따라서 분할 구조가 달라지지 않는다. MDIP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예측 모드에 따라서 분할 구조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부호화 영역 내 예측 영역에 대하여, 쿼드 트리 구조를 기반으로 상당히 많은 변환 영역의 분할 구조가 제시될 수 있는데, 이렇게 다양한 분할 구조에 대해서 압축의 결과를 모두 비교해보고 최적의 변환 구조를 선택하게 되면 부호화에 따른 복잡도가 높게 된다. 또한, 변환 영역의 다양한 분할 구조를 시그널링 하기 위해 시그널링의 오버헤드가 증가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바와 같이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서 현재 블록의 분할을 결정하게 되면, 예측 영역의 분할 구조와 변환 영역의 분할 구조가 예측 모드에 따라서 1 또는 2개로 고정되어 최적화되어 있으므로, 부호화 성능을 높이고 복잡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예측 모드별 분할 구조에 따라서 예측 모드의 후보 집합을 줄일 수 있어서, 부호화 복잡도를 더 낮출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예측 모드에 따른 변환 영역의 분할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에서, 현재 블록(부호화 대상 블록)을 예측 모드에 따라서 두 개의 예측 영역으로 분할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1의 예에서는, 부호화 영역을 정방형의 예측 영역으로 분할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A), (B) 및 (C)에서 부호화 영역(1100, 1135, 1170) 내 분할된 제1 예측 영역(P1)은 주변의 복호화된 샘플(1115, 1150, 1185)을 기반으로 인트라 예측될 수 있다. 분할된 예측 영역에 대한 부호화는 제1 예측 영역(P1)에 대한 예측/복원을 수행한 후 제2 예측 영역(P2)에 대한 예측/복원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레지듀얼 신호가 많이 존재하는 제2 예측 영역(P2)에 대한 예측을 수행할 때, 복원된 제1 예측 영역(P1)의 샘플을 참조 샘플로 활용함으로써 예측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1(A)를 참조하면, 현재 블록(1100)의 제1 예측 영역(1105)은 뛰어난 압축 효율을 얻을 수 있는 참조 샘플을 기반으로 예측될 수 있다. 도 11(A)의 예에서 현재 블록의 상측(above)/상우측(above-right)의 샘플(1120)이 제1 예측 블록(1105)에 대하여 가장 뛰어난 압출 효율을 얻을 수 있는 참조 샘플이라고 가정하면, 참조 샘플(1120)을 이용해서 제1 예측 영역(1105)에 대한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서, 예측 모드 {20, 11, 21, 0, 22, 12, 23, 5, 24, 13, 25, 6} 등이 참조 샘플(1120)이 될 수 있다. 제2 예측 영역(1110)에 대한 예측은 복원된 제1 예측 영역(1105)의 샘플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11(B)의 예에서도, 현재 블록(1135)의 제1 예측 영역(1135)은 뛰어난 압축 효율을 얻을 수 있는 참조 샘플을 기반으로 예측될 수 있다. 도 11(B)의 예에서 현재 블록의 좌측(left)/하좌측(below-left)의 샘플(1155)이 제1 예측 블록(1140)에 대하여 가장 뛰어난 압출 효율을 얻을 수 있는 참조 샘플이라고 가정하면, 참조 샘플(1155)을 이용해서 제1 예측 영역(1140)에 대한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서, 예측 모드 {28, 15, 29, 1, 30, 16, 31, 8, 32, 17, 33, 9} 등이 참조 샘플(1155)이 될 수 있다. 제2 예측 영역(1145)에 대한 예측은 복원된 제1 예측 영역(1140)의 샘플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11(C)의 예에서도, 현재 블록(1170)의 제1 예측 영역(1175)은 뛰어난 압축 효율을 얻을 수 있는 참조 샘플을 기반으로 예측될 수 있다. 도 11(C)의 예에서는 도 11(A) 및 도 11(B)의 예와 달리, DC 모드와 플래너 모드 중 하나를 예측 모드로 사용하는 경우까지 예시하고 있다. 즉, 현재 블록의 상측(above)/상좌측(above-left)의 샘플(1190-1), 좌측(left)/상좌측(above-left)의 샘플(1190-2)이 제1 예측 블록(1175)에 대하여 가장 뛰어난 압출 효율을 얻을 수 있는 참조 샘플이라고 가정하면, 참조 샘플(1190-1, 1190-2)을 이용해서 제1 예측 영역(1175)에 대한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서, 예측 모드 {2, 34, 4, 19, 10, 18, 3, 26, 14, 27, 7} 등이 참조 샘플(1190-1, 1190-2)이 될 수 있다. 제2 예측 영역(1180)에 대한 예측은 복원된 제1 예측 영역(1175)의 샘플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11(A), (B), (C)의 현재 블록에 대응하는 영역(1125, 1160, 1195)에서 T1, T2, T3, T4는 각각의 변환 영역을 나타내며, 변환/복원을 수행하는 순서는 예측 순서에 따라서, T1→T2→T3→T4가 되거나 T1→T3→T2→T4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예측 영역에 대응하는 변환 영역(T4)이 가장 나중에 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의 예에서는 변환 영역의 분할 구조(1125, 1160, 1195)에서 볼 수 있듯이, 각 변환 영역(T1~T4)가 정방향으로 분할되는 예를 설명하였다.
도 11(A), (B) 및 (C)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은 참조 샘플이 가장 효과적인 참조 샘플이라고 가정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가정일 뿐이며, 가장 뛰어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참조 샘플은 예측 블록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에서, 현재 블록(부호화 대상 블록)을 예측 모드에 따라서 두 개의 예측 영역으로 분할하는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2의 예에서는, 부호화 영역을 비정방형의 예측 영역으로 분할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A), (B) 및 (C)에서 부호화 영역(1120, 1230, 1260) 내 분할된 제 1예측 영역(P1)은 주변의 복호화된 샘플(1209, 1239, 1269)을 기반으로 인트라 예측될 수 있다. 분할된 예측 영역에 대한 부호화는 제1 예측 영역(P1)에 대한 예측/복원을 수행한 후 제2 예측 영역(P2)에 대한 예측/복원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레지듀얼 신호가 많이 존재하는 제2 예측 영역(P2)에 대한 예측을 수행할 때, 복원된 제1 예측 영역(P1)의 샘플을 참조 샘플로 활용함으로써 예측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2(A)의 예에서 현재 블록(1200)의 상측(above)/상좌측(above-left) 또는 좌측(left)/상좌측(above-left)의 샘플(1210-1, 1210-2)이 제1 예측 영역(1203)에 대하여 가장 뛰어난 압출 효율을 얻을 수 있는 참조 샘플이라고 가정하면, 참조 샘플(1210-1, 1210-2)을 이용하는 예측 모드(1213)을 통해서 제1 예측 영역(1203)에 대한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참조 샘플(1210-1, 1210-2)를 이용하는 경우는 DC 모드와 플래너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예측 모드로 사용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현재 블록의 상측(above)/상우측(above-right)의 샘플(1216)이 제1 예측 영역(1203)에 대하여 가장 뛰어난 압축 효율을 얻을 수 있는 참조 샘플이라고 가정하면, 참조 샘플(1216)을 이용하는 예측 모드(1219)를 통해서 제1 예측 영역(1203)에 대한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예측 영역(1206)에 대한 예측은 복원된 제1 예측 영역(1103)의 샘플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12(B)의 예에서 현재 블록(1230)의 상측(above)/상좌측(above-left) 또는 좌측(left)/상좌측(above-left)의 샘플(1240-1, 1240-2)이 제1 예측 영역(1233)에 대하여 가장 뛰어난 압출 효율을 얻을 수 있는 참조 샘플이라고 가정하면, 참조 샘플(1240-1, 1240-2)을 이용하는 예측 모드(1243)을 통해서 제1 예측 영역(1233)에 대한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참조 샘플(1240-1, 1240-2)를 이용하는 경우는 DC 모드와 플래너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예측 모드로 사용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현재 블록의 좌측(left)/하좌측(below-left)의 샘플(1246)이 제1 예측 영역(1233)에 대하여 가장 뛰어난 압축 효율을 얻을 수 있는 참조 샘플이라고 가정하면, 참조 샘플(1246)을 이용하는 예측 모드(1249)를 통해서 제1 예측 영역(1233)에 대한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예측 영역(1236)에 대한 예측은 복원된 제1 예측 영역(1233)의 샘플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측/상좌측의 참조 샘플(1210-1, 1240-1, 1270-1) 그리고 좌측/상좌측의 참조 샘플(1210-2, 1240-2, 1270-2)을 이용하는 예측 모드(1213, 1243)은 도 12(A)와 도 12(B)의 경우에 모두 적용 가능하므로, 화면 내 예측 모드가 상기 예측 모드(1213, 1243)인 경우에는 도 12(A)와 도 12(B) 중 어떤 분할 구조를 가지는지를 지시자로 시그널링할 수도 있다.
도 12(C)의 예는, 상측/상좌측 혹은 좌측/상좌측의 참조 샘플을 이용하는 예측 모드들에 대해서 도 12(A) 및 도 12(B)의 예와는 다른 분할 구조를 이용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C)의 예에서, 현재 블록(1260)의 상측(above)/상좌측(above-left)의 샘플(1270-1)이나 좌측(left)/상좌측(above-left)의 샘플(1270-2)이 제1 예측 블록(1263)에 대하여 가장 뛰어난 압출 효율을 얻을 수 있는 참조 샘플이라고 가정하면, 참조 샘플(1270-1, 1270-2)을 이용하는 예측 모드(1273)을 통해서 제1 예측 영역(1263)에 대한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참조 샘플(1270-1, 1270-2)를 이용하는 경우는 DC 모드와 플래너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예측 모드로 사용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제2 예측 영역(1266)에 대한 예측은 복원된 제1 예측 영역(1263)의 샘플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12(A) 및 도 12(B)의 현재 블록(1200, 1230)에 대응하는 영역(1220, 1250)에서 T1, T2, T3, T4는 각각의 변환 영역을 나타내며, 변환/복원을 수행하는 순서는 T1→T2→T3→T4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예측 영역에 대응하는 변환 영역(T4)이 가장 나중에 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2(C)에서 영역 (1270, 1280, 1290)은 현재 블록(1260)에 대응하는 영역으로서, 변환 영역의 다양한 분할 구조 및 변환 순서를 나타내는 예들이다. 영역(1270, 1280)의 T1~T16과 영역(1290)의 T1~T10은 각각의 변환 영역을 나타낸다. T1~T9는 항상 T10 이후의 변환 영역보다 먼저 변환/복원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보다 가까운 복원 샘플을 참조 샘플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대상 변환 영역보다 상측과 좌측에 인접해 있는 변한 영역이 먼저 복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역(1270)은 제1 예측 영역(P1)에 대응하는 변환 영역들(T1~T9)이 지그재그(zig-zag) 순서로 변환/복원되는 예이며, 영역(1280)은 제1 예측 영역(P1)에 대응하는 변환 영역들(T1~T9)이 좌-상(left-above) 모서리에서 우-하(right-below) 모서리의 순서로 변환/복원되는 예이다. 영역(1280)은 제1 예측 영역(P1)에 대응하는 변환 영역들(T1~T9)이 좌-상(left-above) 모서리에서 우-하(right-below) 모서리의 순서로 변환/복원되는 예일 수도 있다. 또한, 영역(1290)은 동일한 예측 영역에 속하는 복수의 변환 영역을 하나의 변환 영역으로 합쳐서 처리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영역(1290)에서는 영역(1270, 1280)과 비교할 때, 영역(1270, 1280)의 좌상측 4개 변환 영역과 하측 4개 변환 영역이 각각 하나의 변환 영역으로서 처리되고 있다.
도 12의 예에서는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변환 영역의 분할 구조(1220, 1250)에서 볼 수 있듯이, 각 변환 영역(T1~T4)가 비정방향으로 분할되는 예와 도 12(C)에 도시된 변환 영역의 분할 구조(1270, 1280, 1290)에서 볼 수 있듯이 각 변환 영역들(Ts)이 비정방형으로 분할될 수 있는 예를 설명하였다.
한편, 도 12(A), (B) 및 (C)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은 참조 샘플이 가장 효과적인 참조 샘플이라고 가정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가정일 뿐이며, 가장 뛰어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참조 샘플은 예측 블록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에서, 현재 블록(부호화 대상 블록)을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서 3개의 예측 영역으로 분할하는 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예컨대, 도 13에서는 현재 블록이 정방형 예측 영역과 비정방형 예측 영역으로 분할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13(A) 및 (B)에서 부호화 영역(1300, 1330) 내 분할된 제1 예측 영역(P1)은 주변의 복호화된 샘플(1310, 1340)을 기반으로 인트라 예측될 수 있다. 분할된 예측 영역에 대한 부호화는 제1 예측 영역(P1)에 대한 예측/복원을 수행한 후 제2 예측 영역(P2) 및 제3 예측 영역(P3)에 대한 예측/복원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레지듀얼 신호가 많이 존재하는 제2 예측 영역(P2) 및 제3 예측 영역(P3)에 대한 예측을 수행할 때, 복원된 제1 예측 영역(P1)의 샘플을 참조 샘플로 활용함으로써 예측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2 예측 영역(P2)와 제3 예측 영역(P3) 간에는 제2 예측 영역(P2)가 먼저 처리될 수도 있고, 제3 예측 영역(P3)이 먼저 처리될 수도 있다.
도 13(A)의 예에서 현재 블록(1300)의 좌측(left)/상좌측(above-left) 또는 상측(above)/상좌측(above-left)의 샘플(1313-1, 1313-2)이 제1 예측 영역(1303)에 대하여 가장 뛰어난 압출 효율을 얻을 수 있는 참조 샘플이라고 가정하면, 참조 샘플(1313-1, 1313-2)을 이용하는 예측 모드(1315)를 통해서 제1 예측 영역(1303)에 대한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참조 샘플(1313-1, 1313-2)를 이용하는 경우는 DC 모드와 플래너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예측 모드로 사용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현재 블록(1300)의 상측(above)/상우측(above-right)의 샘플(1317)이 제1 예측 영역(1303)에 대하여 가장 뛰어난 압축 효율을 얻을 수 있는 참조 샘플이라고 가정하면, 참조 샘플(1317)을 이용하는 예측 모드(1320)를 통해서 제1 예측 영역(1303)에 대한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예측 영역(1305) 및 제3 예측 영역(1307)에 대한 예측은 복원된 제1 예측 영역(1303)의 샘플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13(B)의 예에서 현재 블록(1330)의 좌측(left)/상좌측(above-left) 또는 상측(above)/상좌측(above-left)의 샘플(1343-1, 1343-2)이 제1 예측 영역(1333)에 대하여 가장 뛰어난 압출 효율을 얻을 수 있는 참조 샘플이라고 가정하면, 참조 샘플(1343-1, 1343-2)을 이용하는 예측 모드(1345)를 통해서 제1 예측 영역(1333)에 대한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참조 샘플(1343-1, 1343-2)를 이용하는 경우는 DC 모드와 플래너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예측 모드로 사용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현재 블록(1330)의 좌측(left)/하좌측(below-left)의 샘플(1347)이 제1 예측 영역(1333)에 대하여 가장 뛰어난 압축 효율을 얻을 수 있는 참조 샘플이라고 가정하면, 참조 샘플(1347)을 이용하는 예측 모드(1350)를 통해서 제1 예측 영역(1333)에 대한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예측 영역(1335) 및 제3 예측 영역(1337)에 대한 예측은 복원된 제1 예측 영역(1333)의 샘플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13(A) 및 도 13(B)의 현재 블록(1300, 1330)에 대응하는 영역(1323, 1353)에서 T1, T2, T3, T4는 각각의 변환 영역을 나타내며, 변환/복원을 수행하는 순서는 T1→T2→T3→T4 또는 T1→T2→T4→T3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예측 영역과 제3 예측 영역에 대응하는 변환 영역(T3, T4)이 가장 나중에 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의 예에 도시된 변환 영역의 분할 구조(1323, 1353)에서 볼 수 있듯이, 도 13에서는 변환 영역이 정방형 및 비정방형이 혼합된 형태로 분할되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다.
도 13(A) 및 (B)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은 참조 샘플이 가장 효과적인 참조 샘플이라고 가정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가정일 뿐이며, 가장 뛰어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참조 샘플은 예측 블록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상술한 도 11 내지 도 13의 실시예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각 실시예에 따른 처리 과정에서 일부만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각 실시예의 일부 또는 전부가 다른 실시예의 일부 또는 전부와 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13의 (A) 및 (B)와 도 12의 (C)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예측 모드가 여러 블록 분할 구조를 가질 수 있는 경우가 발생한다면, 별도의 지시자를 시그널링함으로써 해당 모드가 여러 블록 분할 구조 중 어느 구조에 대한 것인지를 지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비정방형 변환 영역에 대해서는 비정방형, 예컨대 직사각형(rectangular) 변환을 적용할 수도 있고, 신호 값 예컨대 레지듀얼 신호 등을 정방(square)형으로 재배치(reordering) 한 후 정방형 변환을 적용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에서, 비정방형 변환 영역의 변환에 관한 예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4에서는 8x2 크기의 비정방형 변환 영역을 예로 들어 부호화기에서의 신호 값 재배치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도 14(A)는 8x2 크기의 비정방형 변환 영역의 레지듀얼 신호 값을 수평 우선 스캔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4(B)는 8x2 크기의 비정방형 변환 영역의 레지듀얼 신호값을 수직 우선 스캔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4(C)는 8x2 크기의 비정방형 변환 영역의 레지듀얼 신호 값을 지그재그 스캔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4(A) 내지 도 14(C)와 같은 스캔 방식은 부호화 영역 내 첫 번째 예측 영역(제1 예측 영역)의 예측 모드에 따라서 미리 정해질 수도 있다.
도 14(A) 내지 도 14(C)와 같이 스캔된 변환 영역의 신호값들은 정방형 변환 영역에 재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4(D)와 같이 8x2 크기의 비정방형 변환 영역 내 신호값을 4x4 크기의 정방형 변환 영역에 재배치할 수 있다. 재배치된 신호값은 DCT(Discrete Cosine Transform) 및/또는 DST(Discrete Sine Transform) 등의 변환 방식에 의해 주파수 영역으로의 변환이 가능해진다.
한편, 복호화기에서는 정방형 변환 영역에 배열되어 있는 변환 계수를 역변환한다. 역변환은 변환 계수를 생성할 때 적용한 변환 방식을 역으로 적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IDCT(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 및/또는 IDST(Inverse Discrete Sine Transform)이 변환 계수에 적용될 수 있다. 복호화기는 역변환된 변환 계수를 도 14(D)의 역방향으로 스캔하고, 도 14(A) 내지 도 14(C)의 역방향으로 재배치함으로써, 역변환된 변환 계수를 8x2 크기의 비정방형 변환 영역에 재배치할 수 있다.
부호화 대상 블록(현재 블록)이 두 개 이상의 예측 영역(PU)로 분할되는 경우, 예측 영역의 순서상 후순위 예측 영역의 예측 모드와 선순위 예측 영역의 예측 모드는 높은 상관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런 특성을 이용하면, 예측 영역별 예측 모드의 부호화에 필요한 시그널링의 오버헤드를 줄이고 부호화 성능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에서, 현재 블록 내 선순위 예측 영역과 후순위 예측 영역 사이의 상관성에 기반해서, 선순위 예측 영역의 복원된 샘플을 이용하여 후순위 예측 영역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는 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5(A)의 예에서, 현재 블록(1500)의 제1 예측 영역(1503)에 대해서는 상측/상우측 참조 샘플(1507)을 이용하여 예측을 수행한다. 제2 예측 영역(1505)에 대해서는 좌측/하좌측 참조 샘플(1510) 및/또는 이미 복원된 제1 예측 영역(1503)의 일부 샘플(1513)을 이용하여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2 예측 영역(1505)의 예측에 이용되는 제1 예측 영역(1503)의 일부 샘플(1513)은 제2 예측 영역(1505)에 인접한 제1 예측 영역(1503)의 샘플로서 제2 예측 영역(1505)에 대한 예측이 수행되기 전에 복원된 샘플이다.
도 15(B)의 예에서, 현재 블록(1515)의 제1 예측 영역(1517)에 대해서는 상측/상좌측 참조 샘플(1523-1) 또는 좌측/상좌측 참조 샘플(1523-2)을 이용하여 예측을 수행한다. 제2 예측 영역(1520)에 대해서는 이미 복원된 제1 예측 영역(1517)의 일부 샘플(1525)을 이용하여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2 예측 영역(1520)의 예측에 이용되는 제1 예측 영역(1517)의 일부 샘플(1525)은 제2 예측 영역(1520)에 인접한 제1 예측 영역(1517)의 샘플로서 제2 예측 영역(1520)에 대한 예측이 수행되기 전에 복원된 샘플이다.
도 15(C)의 예에서, 현재 블록(1530)의 제1 예측 영역(1533)에 대해서는 상측/상좌측 참조 샘플(1537-1) 또는 좌측/상좌측 참조 샘플(1537-2)을 이용하여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측/우상측 참조 샘플(1540)을 이용하여 제1 예측 영역(1533)에 대한 예측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2 예측 영역(1535)에 대해서는 좌측/하좌측 참조 샘플(1543) 및/또는 이미 복원된 제1 예측 영역(1533)의 일부 샘플(1545)을 이용하여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2 예측 영역(1535)의 예측에 이용되는 제1 예측 영역(1533)의 일부 샘플(1545)은 제2 예측 영역(1535)에 인접한 제1 예측 영역(1533)의 샘플로서 제2 예측 영역(1535)에 대한 예측이 수행되기 전에 복원된 샘플이다.
도 15(D)의 예에서, 현재 블록(1550)의 제1 예측 영역(1553)에 대해서는 상측/상좌측 참조 샘플(1557-1) 또는 좌측/상좌측 참조 샘플(1557-2)을 이용하여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예측 영역(1555)에 대해서는 상측/상우측 참조 샘플(1560-1), 좌측/하좌측 참조 샘플(1560-2) 및/또는 이미 복원된 제1 예측 영역(1553)의 일부 샘플(1563)을 이용하여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2 예측 영역(1555)의 예측에 이용되는 제1 예측 영역(1553)의 일부 샘플(1563)은 제2 예측 영역(1555)에 인접한 제1 예측 영역(1553)의 샘플로서 제2 예측 영역(1555)에 대한 예측이 수행되기 전에 복원된 샘플이다.
도 15(E)의 예에서, 현재 블록(1565)의 제1 예측 영역(1567)에 대해서는 상측/상좌측 참조 샘플(1575-1) 또는 좌측/상좌측 참조 샘플(1575-2)을 이용하여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측/우상측 참조 샘플(1577)을 이용하여 제1 예측 영역(1567)에 대한 예측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2 예측 영역(1570)에 대해서는 좌측/하좌측 및 상측/상좌측 참조 샘플(1580) 및/또는 이미 복원된 제1 예측 영역(1567)의 일부 샘플(1583)을 이용하여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3 예측 영역(1573)에 대해서는 상측/상우측 참조 샘플(1589) 및/또는 이미 복원된 제1 예측 영역(1567)의 일부 샘플(1587)을 이용하여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2 예측 영역(1570)과 제3 예측 영역(1573)의 예측에 이용되는 제1 예측 영역(1567)의 일부 샘플(1583, 1587)은 각각 제2 예측 영역(1570)과 제3 예측 영역(1573)에 인접한 제1 예측 영역(1567)의 샘플로서 제2 예측 영역(1570)과 제3 예측 영역(1573)에 대한 예측이 수행되기 전에 복원된 샘플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도 15(A) 내지 도 15(D)에서의 제2 예측 영역(P2)과 도 15(E)에서의 제2 예측 영역(P2)와 제3 예측 영역(P3)은 다른 복원 샘플보다 제1 예측 영역(P1)과 많이 인접해 있으므로, 이런 경우에는 제2 예측 영역(P2) 및 제3 예측 영역(P3)의 예측 모드 후보를 제1 예측 영역(P1)의 예측에 이용가능 했던 예측 모드들(참조 샘플(1507, 1523-1, 1523-2, 1537-1, 1537-2, 1540, 1557-1, 1557-2, 1575-1, 1575-2, 1577 등)을 이용하는 예측 모드)로 제한할 수 있다.
혹은, 도 15(A) 내지 도 15(E)의 제2 예측 영역(P2) 및 제3 예측 영역(P3)과 인접한 영역의 예측에 이용된 예측 모드들만으로 제2 예측 영역(P2) 및 제3 예측 영역(P3)에 대한 예측 모드 후보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두 예를 조합하여, 제1 예측 영역(P1)의 예측에 이용가능 했던 예측 모드들(참조 샘플(1507, 1523-1, 1523-2, 1537-1, 1537-2, 1540, 1557-1, 1557-2, 1575-1, 1575-2, 1577 등)을 이용하는 예측 모드)과, 제1 예측 영역(P1)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중 제2 예측 영역(P2) 혹은 제3 예측 영역(P3)과 인접한 영역의 예측 모드들로 제2 예측 영역(P2) 혹은 제3 예측 영역(P3)의 예측 모드 후보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5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예측 영역의 모양과 위치에 따라서 예측 영역에 대한 예측에 사용 가능한 샘플의 모양과 범위가 달라지게 된다. 도 15(A)와 도 15(E)의 제2 예측 영역(P2)의 경우와 같이, 참조 샘플들이 예측 영역을 상당 부분 둘러싸는 경우에는, 양방향 예측 예컨대, 양쪽 예측 값의 가중합으로 해당 예측 영역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는 것이 더 좋은 예측 효율을 가져올 수도 있다.
도 15에서 설명한 방법에 따라서, 각 예측 영역에 대한 후보 예측 모드를 설정할 수 있으며, 부호화기는 이중 하나의 예측 모드를 선택하여 예측 영역에 대한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예측 모드의 선택은 RDO(Rate Distortion Optimization) 등과 같은 압축 효율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부호화기는 선택된 예측 모드에 관한 정보를 복호화기에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복호화기에서는 부호화기와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후보 예측 모드를 설정한 후, 현재 예측 영역에 적용할 예측 모드를 선택할 수도 있고, 부호화기로부터 전송된 정보가 지시하는 예측 모드를 현재 예측 블록에 적용할 수도 있다.
도 15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예측 영역들에 대한 참조 샘플(예측 모드)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들에 불과하며, 각 예측 영역에 대한 참조 샘플(예측 모드)은 예측 영역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에서 현재 예측 영역의 예측 모드를 결정하는 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6(A)는 현재 블록(1600) 내 제1 예측 영역(P1)과 제2 예측 영역(P2)에 대하여, 제1 예측 영역(P1)의 예측 모드(1610)를 제2 예측 영역(P2)의 예측 모드(1620)로 사용하는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제1 예측 영역(P1)의 예측 모드(1610)를 그대로 제2 예측 영역(P2)의 예측 모드로 사용하는 대신에, 제1 예측 영역(P1)의 예측 모드(1610)과 유사한 각도를 가지는 예측 모드를 제2 예측 영역(1620)의 예측 모드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예측 영역(P1)의 예측 모드가 DC 모드이거나 플래너(planar) 모드인 경우에는, 제2 예측 영역(P2)의 예측 모드로 DC 모드 또는 플래너 모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6(B)는 현재 블록(1630) 내 제1 예측 영역(P1)과 제2 예측 영역(P2)에 대하여, 제2 예측 영역(P2)와 인접한 블록의 예측 모드를 제2 예측 영역(P2)의 예측 모드(1660)로 사용하는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예컨대, 제2 예측 영역(P2)의 좌측 영역의 예측 모드(1650) 또는 제2 예측 영역(P2)과 접하는 제1 예측 영역(P1)의 예측 모드(1640) 중에서 제2 예측 영역(P2)의 예측 모드(1660)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6(C)는 도 16(A)와 도 16(B)를 조합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6(C)에서는 제2 예측 영역(P2)과 인접한 블록의 예측 모드(1680, 1690) 및 인접한 블록의 예측 모드(1680, 1690)와 유사한 예측 모드 중에서 제2 예측 영역(P2)의 예측 모드(1699)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6의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부호화기는 현재 예측 영역에 적용될 예측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주변 블록(제1 예측 영역 포함)의 예측 모드와 유사한 각도를 가지는 예측 모드를 포함하는 후보군에서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RDO(Rate Distortion Optimization) 등과 같은 압축 효율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부호화기는 선택된 예측 모드에 관한 정보를 복호화기에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복호화기에서는 부호화기와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후보 예측 모드를 설정한 후, 현재 예측 영역에 적용할 예측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두 번째 예측 영역(제2 예측 영역) 이후의 예측 영역(제3 예측 영역, 제4 예측 영역, …)에 어떤 예측 모드를 선택할 것인지는, 제1 예측 영역에 대한 예측 모드 및/또는 예측 영역의 분할 구조 등에 따라서 부호화기와 복호화기 사이에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복호화기는 부호화기로부터 전송된 정보가 지시하는 예측 모드를 현재 예측 블록에 적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양태의 예시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다른 교체,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관한 설명에서 일 구성 요소가 타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다른 구성 요소가 상기 타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두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반면에, 일 구성 요소가 타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두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3)

  1.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모드를 인트라 예측 모드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현재 블록을 제1 하위 블록과 제2 하위 블록을 포함하는 적어도 2 이상의 하위 블록들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제1 하위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2 하위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하위 블록 및 상기 제 2 하위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블록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하위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 단계에서는,
    상기 제1 하위 블록에 대한 참조 샘플 또는 복원된 제1 하위 블록 내 소정의 샘플을 참조하여 상기 제2 하위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고,
    상기 제2 하위 블록에 적용되는 인트라 예측 모드는 상기 제1 하위 블록에 적용되는 인트라 예측 모드이고,
    상기 적어도 2 이상의 하위 블록들은 상기 현재 블록을 세로 방향으로 분할하여 획득된 블록들을 포함하는,
    영상 정보 복호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에 관한 정보는 부호화기로부터 수신되며,
    상기 현재 블록 분할 단계에서는,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를 사용하는 경우에 기준치 이상의 레지듀얼 신호가 존재하는 영역을 상기 제2 하위 블록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정보 복호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에 관한 정보는 부호화기로부터 수신되며,
    상기 제2 하위 블록은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의 참조 샘플로부터 현재 블록 내에서 가장 먼 위치의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정보 복호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에 관한 정보는 부호화기로부터 수신되며,
    상기 제1 하위 블록 및 제2 하위 블록은 인트라 예측 모드별로 미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정보 복호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위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은 상기 제1 하위 블록 내 샘플을 참조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정보 복호화 방법.
  6. 삭제
  7. 삭제
  8. 현재 블록의 예측 모드를 인트라 예측 모드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현재 블록을 제1 하위 블록과 제2 하위 블록을 포함하는 적어도 2 이상의 하위 블록들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제1 하위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2 하위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블록의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하위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 단계에서는,
    상기 제1 하위 블록에 대한 참조 샘플 또는 복원된 제1 하위 블록 내 소정의 샘플을 참조하여 상기 제2 하위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고,
    상기 제2 하위 블록에 적용되는 인트라 예측 모드는 상기 제1 하위 블록에 적용되는 인트라 예측 모드이고,
    상기 적어도 2 이상의 하위 블록들은 상기 현재 블록을 세로 방향으로 분할하여 획득된 블록들을 포함하는,
    영상 정보 부호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블록 분할 단계에서는,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를 사용하는 경우에 기준치 이상의 레지듀얼 신호가 존재하는 영역을 상기 제2 하위 블록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정보 부호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위 블록은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의 참조 샘플로부터 현재 블록 내에서 가장 먼 위치의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정보 부호화 방법.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위 블록에 적용되는 인트라 예측 모드는 상기 제2 하위 블록에 인접하는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 및 상기 제2 하위 블록에 인접하는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와 유사한 각도의 인트라 예측 모드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정보 부호화 방법.
  13. 비트스트림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현재 블록의 예측 모드를 인트라 예측 모드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현재 블록을 제1 하위 블록과 제2 하위 블록을 포함하는 적어도 2 이상의 하위 블록들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제1 하위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2 하위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블록의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하위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 단계에서는,
    상기 제1 하위 블록에 대한 참조 샘플 또는 복원된 제1 하위 블록 내 소정의 샘플을 참조하여 상기 제2 하위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고,
    상기 제2 하위 블록에 적용되는 인트라 예측 모드는 상기 제1 하위 블록에 적용되는 인트라 예측 모드이고,
    상기 적어도 2 이상의 하위 블록들은 상기 현재 블록을 세로 방향으로 분할하여 획득된 블록들을 포함하는,
    영상 정보 부호화 방법에 의해 생성된 비트스트림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200164755A 2011-07-05 2020-11-30 영상 정보 부호화 방법 및 복호화 방법 KR102333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674A KR102438021B1 (ko) 2011-07-05 2021-11-25 영상 정보 부호화 방법 및 복호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402 2011-07-05
KR20110066402 2011-07-05
KR1020120071616A KR102187246B1 (ko) 2011-07-05 2012-07-02 영상 정보 부호화 방법 및 복호화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1616A Division KR102187246B1 (ko) 2011-07-05 2012-07-02 영상 정보 부호화 방법 및 복호화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4674A Division KR102438021B1 (ko) 2011-07-05 2021-11-25 영상 정보 부호화 방법 및 복호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9116A KR20200139116A (ko) 2020-12-11
KR102333153B1 true KR102333153B1 (ko) 2021-12-01

Family

ID=47437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4755A KR102333153B1 (ko) 2011-07-05 2020-11-30 영상 정보 부호화 방법 및 복호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33153B1 (ko)
WO (1) WO2013005967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3200A (ko) * 2011-07-05 2022-09-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 정보 부호화 방법 및 복호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09207B (zh) * 2015-03-23 2020-07-28 Lg 电子株式会社 在内预测模式的基础上处理图像的方法及其装置
CN115460408A (zh) * 2016-01-27 2022-12-09 韩国电子通信研究院 通过使用预测对视频进行编码和解码的方法和装置
CN116634140A (zh) 2016-08-03 2023-08-22 株式会社Kt 用于对视频进行编码和解码的方法和装置
KR102528387B1 (ko) * 2017-01-09 2023-05-0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영상 부호화 또는 복호화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8212577A1 (ko) * 2017-05-17 2018-11-22 주식회사 케이티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US11303884B2 (en) 2018-06-21 2022-04-12 K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video signa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3227A1 (ja) 2009-03-31 2010-10-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画像復号装置
KR102187246B1 (ko) * 2011-07-05 2020-12-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 정보 부호화 방법 및 복호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9213A (ja) * 2000-12-28 2002-07-26 Sony Corp 動きベクトル検出方法及び装置、並びに画像符号化装置
KR100750128B1 (ko) * 2005-09-06 2007-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0727972B1 (ko) * 2005-09-06 2007-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EP2388999B1 (en) * 2010-05-17 2021-02-24 Lg Electronics Inc. New intra prediction mod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3227A1 (ja) 2009-03-31 2010-10-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画像復号装置
KR102187246B1 (ko) * 2011-07-05 2020-12-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 정보 부호화 방법 및 복호화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3200A (ko) * 2011-07-05 2022-09-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 정보 부호화 방법 및 복호화 방법
KR102518242B1 (ko) * 2011-07-05 2023-04-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 정보 부호화 방법 및 복호화 방법
KR20230050289A (ko) * 2011-07-05 2023-04-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 정보 부호화 방법 및 복호화 방법
KR102618513B1 (ko) * 2011-07-05 2023-12-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 정보 부호화 방법 및 복호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05967A2 (ko) 2013-01-10
KR20200139116A (ko) 2020-12-11
WO2013005967A3 (ko) 2013-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8021B1 (ko) 영상 정보 부호화 방법 및 복호화 방법
KR102409443B1 (ko)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RU2765234C1 (ru) Способ внутреннего предсказания и кодер и декодер, использующие его
KR102288286B1 (ko) 인트라 예측 방법 및 그 장치
KR102333153B1 (ko) 영상 정보 부호화 방법 및 복호화 방법
KR102103004B1 (ko)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JP6164660B2 (ja) ビデオ符号化での分割ブロック符号化方法、ビデオ復号化での分割ブロック復号化方法及びこれを実現する記録媒体
KR20220151140A (ko)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555352B1 (ko) 인트라 예측 방법과 이를 이용한 부호화 장치 및 복호화 장치
KR102061201B1 (ko) 블록 정보에 따른 변환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KR20210114915A (ko) 변환 계수 스캔 방법 및 그 장치
KR102358871B1 (ko) 인트라 예측 방법 및 그 장치
KR102387909B1 (ko)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KR20170058838A (ko) 화면간 예측 향상을 위한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2416804B1 (ko) 영상 부호화 방법/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KR20210008105A (ko)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220098114A (ko) 영상 부호화 방법/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KR20180111374A (ko) 향상된 산술부호화를 제공하는 영상 처리 방법, 그를 이용한 영상 복호화,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