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3148B1 - 모기방제 장치 - Google Patents

모기방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3148B1
KR102333148B1 KR1020190098372A KR20190098372A KR102333148B1 KR 102333148 B1 KR102333148 B1 KR 102333148B1 KR 1020190098372 A KR1020190098372 A KR 1020190098372A KR 20190098372 A KR20190098372 A KR 20190098372A KR 102333148 B1 KR102333148 B1 KR 102333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squito
main body
gwangneung
king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8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9321A (ko
Inventor
배연재
김왕규
강지현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98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3148B1/ko
Publication of KR20210019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8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by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suction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4Arrangements connected with buildings, doors, window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기방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기방제 장치는 흡혈모기 유충을 포식하는 다수의 광릉왕모기 유충, 및 물(water)을 내부에 수용하는 용기 형태로 형성되되, 흡혈모기 성충이 유입되는 개구부(11), 및 외부와 소통되는 관통홀(13)을 구비하는 본체(10), 및 그물망 형태로 형성되되, 광릉왕모기 유충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체눈을 가지는 그물망 형태로 형성되고, 관통홀(13)을 커버하는 스크린(2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모기방제 장치{MOSQUITO CONTROL EQUIPMENT}
본 발명은 모기방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흡혈모기를 유인하는 산란처와 동시에 광릉왕모기 유충 서식처를 제공하여, 광릉왕모기 유충을 수단으로 흡혈모기를 생물학적으로 방제하는 모기방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릉왕모기(Toxorhynchites christophi)는 왕모기속에 속하는 국내 유일의 종으로서, 가장 큰 모기종에 속한다. 성충은 동물의 피를 빨지 않고 식물의 수액이나 꽃의 꿀을 섭취하지만, 유충일 때에는 다른 모기의 유충을 잡아먹는 생태적 특성을 보인다. 최근에는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비특허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광릉왕모기의 생태적 특성을 활용한 흡혈모기의 방제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특히, 광릉왕모기는 지카바이러스나 뎅기열바이러스를 옮기는 흰줄숲모기와 같은 숲모기류와 서식처를 공유하고 모기의 유충을 잡아먹기 때문에, 해외여행 증가와 평균기온 상승으로 인해 국내 유입 가능성이 높아진 지카나 댕기열 예방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모기방제를 위한 광릉왕모기의 야외 도입에 있어서는 해당 종의 서식처 조건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 광릉왕모기는 오래된 수종이 있는 깊은 숲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생물학적 방제 천적으로서 다른 모기의 발생지에 도입하려면 해당 종의 생태적 정보를 기반으로 서식처의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이에 광릉왕모기의 서식처를 제공하고 이를 모기의 천적으로 활용하여 모기방제를 실현할 수 있는 모기방제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HORIO, M., & TSUKAMOTO, M. (1985). Successful laboratory colonization of 3 Japanese species of Toxorhynchites mosquitoes. Medical Entomology and Zoology, 36(2), 87-93. Rosen, Leon. "The use of Toxorhynchites mosquitoes to detect and propagate dengue and other arboviruses." The American journal of tropical medicine and hygiene 30.1 (1981): 177-183. Schreiber, E. T. "Toxorhynchites." Journal of the American Mosquito Control Association 23.sp2 (2007): 129-132.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광릉왕모기의 서식처와 동시에 흡혈모기를 유인하는 산란처를 제공하여, 광릉왕모기를 천적으로 흡혈모기를 방제할 수 있는 모기방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기방제 장치는 흡혈모기 유충을 포식하는 다수의 광릉왕모기 유충, 및 물(water)을 내부에 수용하는 용기 형태로 형성되되, 흡혈모기 성충이 유입되는 개구부, 및 외부와 소통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본체; 및 그물망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광릉왕모기 유충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체눈을 가지는 그물망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을 커버하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기방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및 상기 관통홀은,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상하방향에 대해 수직한 단면이 점차 축소되다가 확대되는 잘록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기방제 장치에 있어서, 측방으로, 상기 본체가 나무 또는 구조물에 체결되도록, 상기 본체의 외면에 형성된 제1 체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기방제 장치에 있어서, 하방으로, 상기 본체가 구조물에 체결되도록,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제2 체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기방제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격벽 부재가 서로 교차하면서 상기 광릉왕모기 유충이 서식하는 다수의 서식공간을 구획하고, 상기 본체에 수용된 상기 물 위에 부유하는 격벽조립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기방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혈모기 성충이 유인되도록, 상기 본체는 다크 컬러(dark color)을 띨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기방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마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공 광릉왕모기 서식처를 조성하되 다양한 숲모기 발생지에서 흡혈모기를 유인하는 산란처로 공유되어, 광릉왕모기의 유충으로 하여금 흡혈모기의 유충을 포식하게 하여 친환경적인 모기방제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기방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기방제 장치 중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모기방제 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기방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기방제 장치는, 흡혈모기 유충을 포식하는 다수의 광릉왕모기 유충, 및 물(water)을 내부에 수용하는 용기 형태로 형성되되, 흡혈모기 성충이 유입되는 개구부(11), 및 외부와 소통되는 관통홀(13)을 구비하는 본체(10), 및 그물망 형태로 형성되되, 광릉왕모기 유충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체눈을 가지는 그물망 형태로 형성되고, 관통홀(13)을 커버하는 스크린(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광릉왕모기를 이용한 모기방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왕모기속에 속하는 국내 유일의 종으로서, 가장 큰 모기종에 속하는 광릉왕모기(Toxorhynchites christophi)는 성충일 때에는 흡혈하지 않고 식물의 수액이나 꽃의 꿀을 섭취하지만, 유충일 때에는 다른 모기의 유충을 잡아먹는 생태적 특성을 보이는바, 이러한 광릉왕모기의 생태적 특성에 기반한 생물학적 모기방제 기술로서, 본 발명에 따른 모기방제 장치가 안출되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기방제 장치는, 본체(10), 및 스크린(20)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용기 형태로 형성된다. 본체(10) 내부의 수용공간에는 다수의 광릉왕모기 유충, 및 물(water)이 수용된다. 광릉왕모기의 알은 물에서 부화하고, 그 유충 또한 물에서 생활하며, 광릉왕모기는 물이 있는 곳에 산란하므로, 광릉왕모기 유충의 서식 및 광릉왕모기 유인을 위해서는 물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체(10)는 광릉왕모기 유충 서식처로 제공된다.
또한, 본체(10)는 외부와 소통할 수 있도록 관통된 개구부(11)를 구비한다. 흡혈모기도 물이 있는 곳에서 산란하기 때문에, 개구부(11)를 통해서, 물을 수용하는 본체(10)의 내부로 흡혈모기가 유인된다. 즉, 흡혈모기가 본체(10)를 산란처로 이용하게 된다. 따라서, 광릉왕모기 유충과 흡혈모기 유충은 서식환경을 공유하게 되고, 이로 인해 모기의 유충을 잡아먹는 생태적 특성을 갖는 광릉왕모기 유충이 흡혈모기 유충을 포식함으로써, 생물학적 모기방제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흡혈모기는 지카바이러스나 뎅기열바이러스를 옮기는 흰줄숲모기와 같은 숲모기류를 포함하여, 방제대상이 되는 모기는 모두 이에 해당한다.
한편, 광릉왕모기 및 흡혈모기의 성충은 나무가 우거진 산간지대의 숲과 같이 어두운 지역을 선호하므로, 그 성충들이 유인되도록, 상기 본체(10)는 차광성 소재 또는 다크 컬러(dark color)을 띠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크린(20)은 그물망 형태의 부재로서, 본체(10)에 장착된다. 여기서, 본체(10)는 상기 개구부(11) 이외에, 외부와 소통되는 관통홀(13)을 구비하는데, 스크린(20)은 그 관통홀(13)을 커버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스크린(20)의 체눈, 즉 그물코는 광릉왕모기 유충의 크기보다는 작지만, 흡혈모기 유충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스크린(20)을 통해 본체(10) 내부의 물을 배출하는 경우, 배출되는 물과 함께 흡혈모기 유충은 배출되지만, 광릉왕모기 유충은 걸러지지 않고 그대로 남게 된다. 결국, 광릉왕모기 유충에 의해 포식되지 않은 흡혈모기 유충을 스크린(20)을 이용해 선별함으로써, 흡혈모기를 방제할 수 있다. 이때, 본체(10) 내부에 남겨진 광릉왕모기 유충은 지속적으로 흡혈모기 방제에 이용되고,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본체(10)의 개구부(11)를 통해 물이 보충될 수 있다.
한편, 본체(10)의 형상과 관련해서, 상기 본체(10)는 네펜데스(nepenthes) 형태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10)는 상부와 하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상부에 상기 개구부(11) 및 관통홀(13)이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 사이에 잘록하게 함몰된 형태로 잘록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잘록부(15)는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는 상하방향에 대해 수직한 단면(수직단면)이 점차 축소되다가 확대되는 영역이다. 따라서, 잘록부(15)를 중심으로 상부의 수직단면이 더 넓게 형성되므로, 광릉왕모기 및 흡혈모기 성충이 쉽게 본체(10) 내부로 유인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모기방제 장치는 본체(10)를 다른 사물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1 체결구(30), 및/또는 제2 체결구(40)를 포함할 수 있다. 광릉왕모기는 나무구멍, 뿌리구멍이나 폐타이어 등에서 서식하는 생태적 특성이 있고, 흡혈모기도 숲에서 서식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모기방제 장치는 광릉왕모기 및 흡혈모기가 서식할 수 있는 환경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측방으로 상기 본체(10)가 다른 사물에 결착되도록, 본체(10)의 외면에 제1 체결구(3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사물은 나무 또는 구조물을 의미한다. 여기서, 제1 체결구(30)는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체(10)의 측면을 다른 사물에 밀착하고, 벨트, 끈, 케이블 타이 등을 다른 사물에 감아 고리형 제1 체결구(30)에 연결함으로써, 본체(10)를 고정할 수 있다. 다만, 제1 체결구(30)가 반드시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벨크로(velcro)를 사용하거나, 나사 또는 못을 박을 수 있도록 구멍을 구비한 플레이트를 채용할 수 있다.
한편, 제2 체결구(40)는 지면에 박힌 말뚝과 같은 구조물 위에 본체(10)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나사 또는 못을 박을 수 있도록 구멍을 구비한 플레이트 형태로서, 본체(1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제2 체결구(40)가 반드시 다공성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본체(10)의 하방에 배치되는 구조물 위에 본체(10)를 결착할 수 있는 모든 공지의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종합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인공 광릉왕모기 서식처를 조성하되 다양한 숲모기 발생지에서 흡혈모기를 유인하는 산란처로 공유되어, 광릉왕모기의 유충으로 하여금 흡혈모기의 유충을 포식하게 하여 친환경적인 모기방제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기방제 장치 중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고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기방제 장치는 격벽조립체(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릉왕모기 유충은 포식자로서 알에서 부화한 순간부터 동종포식 습성이 두드러진다. 따라서, 본체(10) 내에 서식하는 광릉왕모기 유충은 흡혈모기 유충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 서로를 포식하게 된다. 이에 광릉왕모기 유충을 서로 격리하고자 격벽조립체(50)가 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격벽조립체(50)는 다수의 격벽 부재(51)가 서로 교차하면서 다수의 서식공간을 구획하고, 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되어 물(W) 위에 떠있게 된다. 따라서, 수면에 부유하는 격벽조립체(50)에 의해, 광릉왕모기 유충은 서로 격리되어 각각의 서식공간에서 생활하게 된다. 또한, 광릉왕모기의 알은 물에서 부화하고, 유충 및 번데기 시기를 물에서 보내는데, 수중에서 우화하는 광릉왕모기의 번데기를 관찰할 결과, 우화 시에 익사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우화된 성충이 격벽조립체(50)에 올라타서 날개를 건조한 후 안전하게 비행할 수 있으므로, 격벽조립체(50)는 우화 시의 우화부전 및 익사를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모기방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고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모기방제 장치는, 본체(10)의 개구부(11)를 개폐하는 마개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기방제 장치는 나무 또는 구조물에 매달거나 올려놓아 사용되기 때문에, 빗물이 본체(10) 내부로 유입되어 넘칠 수 있고, 이로 인해 광릉왕모기 유충이 소실될 수 있다. 이에, 본체(10)에 마개부(60)가 결합되어, 본체(10)의 개구부(11)를 개폐함으로써, 광릉왕모기 유충을 보호한다. 이때, 마개부(60)는 본체(10)에 힌지결합되어, 회동하면서 개구부(11)를 개폐할 수 있다. 여기서, 마개부(60)의 개폐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동 개폐의 경우에는, 본체(10) 내부에 수심을 감지하는 센서(도시되지 않음)를 부착하고, 소정의 높이 수준의 수심이 감지되면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서 힌지축을 회전시켜 마개부(60)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힌지축은 전기모터(도시되지 않음)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고,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는 센서(도시되지 않음)의 신호를 수신하여 전기모터 회전 명령을 생성하고, 이를 전기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송신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한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본체 11: 개구부
13: 관통홀 15: 잘록부
20: 스크린 30: 제1 체결구
40: 제2 체결구 50: 격벽조립체
51: 격벽 부재 60: 마개부

Claims (7)

  1. 흡혈모기 유충을 포식하는 다수의 광릉왕모기 유충, 및 물(water)을 내부에 수용하는 용기 형태로 형성되되, 흡혈모기 성충이 유입되는 개구부, 및 외부와 소통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본체; 및
    그물망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광릉왕모기 유충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체눈을 가지는 그물망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을 커버하는 스크린;을 포함하고,
    다수의 격벽 부재가 서로 교차하면서 상기 광릉왕모기 유충이 서식하는 다수의 서식공간을 구획하고, 상기 광릉왕모기 유충이 용화 및 우화된 광릉왕모기 성충이 올라탈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본체에 수용된 상기 물 위에 부유하는 격벽조립체;를 더 포함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광릉왕모기 유충이 사육되면서, 상기 흡혈모기 유충을 포식하는 모기방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및 상기 관통홀은,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상하방향에 대해 수직한 단면이 점차 축소되다가 확대되는 잘록부가 구비되는 모기방제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측방으로, 상기 본체가 나무 또는 구조물에 체결되도록, 상기 본체의 외면에 형성된 제1 체결구;를 더 포함하는 모기방제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방으로, 상기 본체가 구조물에 체결되도록,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제2 체결구;를 더 포함하는 모기방제 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혈모기 성충이 유인되도록, 상기 본체는 다크 컬러(dark color)을 띠는 모기방제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마개부;를 더 포함하는 모기방제 장치.
KR1020190098372A 2019-08-12 2019-08-12 모기방제 장치 KR102333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372A KR102333148B1 (ko) 2019-08-12 2019-08-12 모기방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372A KR102333148B1 (ko) 2019-08-12 2019-08-12 모기방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321A KR20210019321A (ko) 2021-02-22
KR102333148B1 true KR102333148B1 (ko) 2021-11-29

Family

ID=74687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372A KR102333148B1 (ko) 2019-08-12 2019-08-12 모기방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314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29458A1 (en) 2005-12-27 2010-09-16 Robert Lee Bowden Apparatus and Method of Mosquito Control
KR101499059B1 (ko) * 2014-06-17 2015-03-0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곤충사육장치, 이를 이용한 곤충사육방법 및 곤충 대량 사육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3592A (ko) * 2016-02-05 2017-08-16 오영규 모기 번식 억제기
KR102201230B1 (ko) * 2017-08-09 2021-01-1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광릉왕모기 대량 사육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29458A1 (en) 2005-12-27 2010-09-16 Robert Lee Bowden Apparatus and Method of Mosquito Control
KR101499059B1 (ko) * 2014-06-17 2015-03-0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곤충사육장치, 이를 이용한 곤충사육방법 및 곤충 대량 사육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321A (ko) 2021-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6697A (en) Mosquito destroyer
Hangay et al. A Guide to the Beetles of Australia
US8109035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mosquito control
US7694455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mosquito control
KR101214248B1 (ko) 밀웜 산란장치
CN109997758A (zh) 一种人工鱼巢及其用途
Blackledge et al. Predatory interactions between mud-dauber wasps (Hymenoptera, Sphecidae) and Argiope (Araneae, Araneidae) in captivity
KR102333148B1 (ko) 모기방제 장치
Zina Communal nests in Physalaemus pustulosus (Amphibia: Leptodactylidae): experimental evidence for female oviposition preferences and protection against desiccation
KR100817754B1 (ko) 자연어장구축장치
Griffiths et al. Rearing conditions influence refuge use among over‐wintering Atlantic salmon juveniles
KR20220023446A (ko) 두족류 산란장
Sidman Song of the Water Boatman: & Other Pond Poems
KR20230103207A (ko) 사마귀과 약충 사육장치
KR102201230B1 (ko) 광릉왕모기 대량 사육 시스템
Rödel Predation on tadpoles by hatchlings of the freshwater turtle
Bishop et al. Notes on some natural enemies of the mosquito in Colorado
KR101938162B1 (ko) 반딧불이 공동 사육 시스템
KR101885237B1 (ko) 낚시용 인조미끼 및 그 제조방법
Hughes Conservation breeding of the tadpole shrimp Triops cancriformis in Britain
KR20200127548A (ko) 동애등에의 유화장
KR200450889Y1 (ko) 곤충 학습관찰용 용기
KR20190094569A (ko) 애완 동물 사육 장치
KR102609933B1 (ko) 생태순환적인 왕지네의 사육시스템
KR102690711B1 (ko) 치어 방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어 서식장 조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