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90711B1 - 치어 방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어 서식장 조성 방법 - Google Patents

치어 방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어 서식장 조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90711B1
KR102690711B1 KR1020230161923A KR20230161923A KR102690711B1 KR 102690711 B1 KR102690711 B1 KR 102690711B1 KR 1020230161923 A KR1020230161923 A KR 1020230161923A KR 20230161923 A KR20230161923 A KR 20230161923A KR 102690711 B1 KR102690711 B1 KR 102690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y
water
seawater
discharge
water tan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61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영탁
조현해
박영민
Original Assignee
에스비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비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비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61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907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90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9071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어의 적응 및 생존 확률을 높이기 위한 치어 방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어 서식장 조성 방법과 관련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기술된 바, 한 실시예에 따르면, 치어 방류 장치는 케이지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그 내부에 치어가 서식하던 환경의 물과 치어를 담는 수조; 상기 수조의 하부에 배치되고, 치어가 서식하던 환경의 물과 치어를 해수(예;실해역 바닷물)에 방류하기 위해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수조의 하부에 형성된 방류부를 개폐하는 방류개폐구조; 상기 수조의 하부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방류부의 외부 둘레에 배치되는 가림판; 및 상기 수조의 하부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가림판의 외부에 배치되어 방류된 상기 치어를 보호하는 보호망;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치어 방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어 서식장 조성 방법{FINGERLINGS RELEASING DEVICE AND METHOD OF CREATING FINGERLINGS HABITAT USING THEREOF}
본 발명은 해수에 방류되는 치어의 적응 및 생존 확률을 높이기 위한 치어 방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어 서식장 조성 방법에 관련된 것이다.
수산업 분야의 경우 과거 자연적으로 얻어지는 수산자원을 채취하였다면 지금은 산업 및 기술의 발달로 양식장을 조성하여 인공적으로 양식하거나 자원조성을 위해 자연에 방류하여 채취하기도 한다.
바다 속의 어류나 무척추동물 등이 서식하는 데에는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자연환경을 필요로 하나, 기후변화 및 산업화에 의한 정화되지 않은 생활폐수가 산업폐기물 등이 바다에 유입되고, 무분별한 간척사업 등으로 자연 환경이 파괴되거나 오염으로 인해 어패류 등이 점차 사라져 가고 있어 인공으로 양식을 하거나 치어를 방류하는 일이 많아졌다.
예컨대, 인공양식과 더불어 과도한 어획과 매립, 간척 및 해양오염 등으로 수산자원이 계속 감소함에 따라 국내에서는 1976년부터 수산자원을 조성하기 위해 수산치어방류사업을 시작하였다. 즉, 인공양식이 적절하지 않은 품목은 육상에서 키운치어를 선박을 이용하여 바다에 방류하여 자생 및 성장하게 하여 채취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수산치어방류사업은 치어를 바다에 바로 방류하여 수산자원의 양을 증대시키자 하는 직접적이고, 적극적인 자원조성사업으로 현재 생산이 가능한 치어의 수는 대략 50여종이 넘는다.
한편, 종래 치어의 방류 방식은 단순히 선상에서 해수면으로 치어를 부어 넣는 것에 그쳤고, 치어를 방류한 후 별다른 관리나 조치가 수반되는 것은 아니었다. 즉, 종래의 치어 방류 방식에 의해서 방류된 치어는 치어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서식지에 도달하기도 전에 포식자들에 노출되어 먹히거나 조류 등에 휩쓸려 방류 직후부터 생존율이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치어 방류 방식은 치어를 방류하고자 해수면으로 던지면 수온 및 수질의 차이로 인해 치어들이 열과 수질 충격을 받아 병에 걸리거나 한 동안 정신을 차리지 못하는 사이 주변 포식자들에 먹혀서 생존율이 매우 낮은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23978호(2013.01.24 공고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 어류종묘 방류장치 "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 바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수조에 담아온 물과 해수(예;실해역 바닷물)이 천천히 섞이도록 유도하여 치어가 수온과 수질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고, 해수(예;실해역 바닷물)에 적응한 후에도 주변 포식자들로부터 숨을 곳을 찾기까지 보호하도록 하는 치어 방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어 서식장 조성 방법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치어 방류 장치는, 케이지 본체; 상기 케이지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그 내부에 치어가 서식하던 환경의 물과 치어를 담는 수조; 상기 수조의 하부에 배치되고, 치어가 서식하던 환경의 물과 치어를 해수(예;실해역바닷물)에 방류하기 위해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수조의 하부에 형성된 방류부를 개폐하는 방류개폐구조; 상기 수조의 하부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방류부의 외부 둘레에 배치되는 가림판; 및 상기 수조의 하부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가림판의 외부에 배치되어 방류된 상기 치어를 보호하는 보호망;을 포함하고, 상기 가림판은 상기 방류부가 개방될 경우, 상기 치어가 서식하던 환경의 물이 상기 해수에 천천히 섞이도록 유도함과 아울러 상기 치어가 상기 해수의 수온과 수질에 적응될 수 있도록 적응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지 본체의 외측면에는 상기 케이지 본체를 상기 해수로 이동하여 상기 해저 지반에 거치함과 아울러 고정시키는 복수개의 고정다리들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조는, 상기 수조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치어가 서식하던 환경의 물과 상기 치어를 상기 수조에 투입하는 투입부; 및 상기 수조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해수로 상기 치어가 서식하던 환경의 물과 치어를 방류하는 방류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조의 상면에는 회전에 따라 상기 투입부를 개폐하는 투입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류개폐구조는, 상기 방류부의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방류부와 대면되는 개폐홀이 형성된 개폐 본체부; 및 상기 개폐 본체부의 측면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인입되거나 인출되어 상기 개폐홀를 개폐하는 슬라이딩 개폐부; 및 상기 개폐 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개폐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림판은 상기 치어가 햇빛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가림판에서 탈출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해 햇빛을 통과시키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응 공간은 상기 보호망의 주변 파도로 인해 상기 해수가 상기 수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정온 수역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적응 공간은 상기 해수와 상기 수조에서 방류되는 물이 대류 현상에 의해 천천히 섞이도록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호망은 격자 철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해수의 수온이 상기 수조내에 배치된 물의 온도보다 낮을 경우, 상기 수조의 투입부를 위로 위치시키고, 상기 수조의 방류부를 아래로 위치시켜며, 반대로 상기 해수의 수온이 상기 수조내에 배치된 물의 온도보다 높을 경우, 상기 케이스 본체를 뒤집어서 상기 수조의 방류부가 위로 위치시키고, 상기 수조의 투입부는 아래로 위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치어 방류 장치를 이용한 치어 서식장 조성방법은, 치어가 은신할 수 있는 통로 공간을 제공하는 복합생태블록을 해저 지반에 거치시키고, 복합생태블록의 주변에 잘피모판블록을 이용하여 잘피 성체를 이식하거나 또는 잘피 종자를 파종하여 잘피밭을 조성하는 제1공정; 해조류와 잘피가 자라 치어의 먹이활동과 은신이 가능한 서식장이 조성된 상기 잘피밭에 치어를 담은 치어 방류 장치를 거치하고, 상기 치어 방류 장치의 방류부를 방류개폐구조에 의해 개방하여 치어가 서식하던 환경의 물과 상기 치어를 방류하는 제2공정; 방류된 치어가 서식하던 환경의 물이 상기 치어 방류 장치의 가림판에서 해수에 천천히 섞이고, 상기 치어는 이러한 상기 해수의 수온과 수질에 적응하며, 상기 해수에 적응이 완료된 치어가 상기 잘피밭으로 이동하는 제3공정; 및상기 치어가 모두 방류되면, 상기 치어 방류 장치를 상기 잘피밭에서 회수하는 제4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들에 따르면, 수조에 치어가 서식하던 환경의 물과 해수(예;실해역 바닷물)가 천천히 섞이도록 유도함과 동시에 수조에서 방류된 치어가 해수의 수온과 수질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적응 공간을 형성한 가림판 및 보호망을 구성함으로써, 수조에서 방류되는 치어의 해수 적응력을 높이고, 해수에 적응한 후에도 주변 포식자들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고, 이로인해 치어의 생존 확률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치어 방류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치어 방류 장치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치어 방류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치어 방류 장치를 이용하여 치어 서식장 조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치어 방류 장치의 다른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일부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전면', '후면', '상면', '하면' 등과 같은 도면에 보이는 것을 기준으로 기술된 상대적인 용어들은 '제1', '제2' 등과 같은 서수들로 대체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서수들에 있어서 그 순서는 언급된 순서나 임의로 정해진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임의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치어 방류 장치(100)는, 수조(120)에 담아온 물(D1)과 해수(B1)(예;실해역 바닷물)가 천천히 섞이도록 유도하여 치어(A1)가 해수(B1)의 수온과 수질에 잘 적응하도록 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치어 방류 장치(100)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치어 방류 장치(100)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치어 방류 장치(100)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치어 방류 장치(100)를 이용하여 치어(A1) 서식장 조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치어 방류 장치(100)의 다른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치어 방류 장치(100)는 케이지 본체(110), 수조(120), 방류개폐구조(130), 가림판(140) 및 보호망(15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케이지 본체(110)는 복수개의 철근봉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복수개의 철근봉들은 상기 케이지 본체(110)의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케이지 본체(110)의 상, 하부는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지 본체(110)는 개방된 상부에 후술하는 수조(120), 방류개폐구조(130), 가림판(140) 및 보호망(150)을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지 본체(110)를 상기 해수(예;실해역바닷물)에 넣기 전에 상기 수조(120)의 상면에 배치된 투입부(121)에 치어(A1)가 서식하던 환경의 물(D1)과 치어(A1)를 투입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수조(120)에는 회전에 따라 상기 투입부(121)를 개폐하는 투입 커버부(123)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입 커버부(123)는 상기 수조(120)에 배치된 힌지부(미도시됨)를 이용하여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투입부(121)를 개방할 수 있다.
이때, 개방된 상기 투입부(121)에 치어(A1)가 서식하던 환경물(D1)과 상기 치어(A1)를 투입함과 동시에 상기 수조(120)에 담을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앞서 도 3(a)와 같이, 상기 케이지 본체(110)를 해수(B1)로 이동하여 상기 해저 지반(C1)로 넣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지 본체(110)의 외측면에는 상기 해저 지반(C1)에 거치함과 동시에 고정시키는 복수개의 고정다리(111)들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고정다리(111)들은 상기 해저 지반(C1)에 박혀서 상기 케이지 본체(110)를 상기 해저 지반(C1)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수조(120)의 하면에는 상기 치어(A1)를 방류하는 방류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방류부(122)는 상기 수조(120)의 하부에 배치된 방류개폐구조(130)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류부(122)는 방류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방류개폐구조(130)는 개폐 본체부(131), 슬라이딩 개폐부(132) 및 가이드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개폐 본체부(131)는 상기 방류부(122)의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개폐 본체부(131)는 상기 방류부(122)와 대면되는 개폐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개폐부(132)는 상기 개폐 본체부(131)의 측면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슬라이딩 개폐부(132)는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인입되거나 인출되어 상기 개폐홀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33)는 상기 개폐 본체부(13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가이드부(133)는 상기 슬라이딩 개폐부(132)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가이드부(133)는 상기 슬라이딩 개폐부(132)의 양일단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도 3(b)와 같이, 해수(예;실해역바닷물)에서 잠수부(미도시됨)가 상기 슬라이딩 개폐부(132)의 일단에 배치된 손잡이(134)를 잡고 당겨면, 상기 슬라이딩 개폐부(132)도 당겨짐과 동시에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 개폐부(132)는 상기 가이드부(133)를 따라 가이드됨과 동시에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개폐부(132)가 슬라이딩 이동시 상기 슬라이딩 개폐부(132)는 상기 개폐 본체부(131)의 개폐홀을 개방함과 동시에 상기 방류부(122)를 개방할 수 있다.
이때, 치어(A1)가 서식하던 환경의 물(D1)과 치어(A1)는 개방된 상기 방류부(122)를 통과하여 상기 수조(120)의 외부로 이동하여 방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치어(A1)가 서식하던 환경의 물(D1)과 치어(A1)는 방류됨과 동시에 상기 수조(120)의 하부에 배치된 가림판(140)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가림판(140)은 상기 방류부(122)가 상기 방류개폐구조(130)에 의해 개방될 경우, 치어(A1)가 서식하던 환경의 물(D1)과 치어(A1)가 잠시 머물(D1)수 있도록 적응 공간(141)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치어(A1)가 서식하던 환경의 물(D1)과 치어(A1)는 상기 가림판(140)의 적응 공간(141)에 잠시 머물 수 있다. 이때, 상기 치어(A1)가 서식하던 환경의 물(D1)은 상기 적응 공간(141)을 통해 상기 해수(B1)(예; 실해역 바닷물)와 천천히 섞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적응 공간(141)은 후술하는 상기 보호망(150)의 주변 파도로 인해 상기 해수(B1)가 상기 수조(12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정온 수역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적응 공간(141)은 파도가 없는 잔잔한 정온 수역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응 공간(141)은 상기 수조(120)의 방류부(122)에서 방류되는 상기 물(D1)과 상기 해수(B1)(예; 실해역 바닷물)가 대류 현상에 의해 천천히 섞이도록 유도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적응 공간(141)은 방류되는 상기 물(D1)과 상기 해수(B1)가 천천히 섞여서 치어(A1)가 수온과 수질에 적응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할 수 있다.
앞서 도 3(c)와 같이, 상기 치어(A1)가 상기 적응 공간(141)에서 상기 해수(B1)에 적응이 완료되면, 상기 치어(A1)는 상기 적응 공간(141)에서 탈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적응 공간(141)에 햇빛이 들어와서 상기 치어(A1)가 밝은 빛을 따라 자연스럽게 상기 수조(120)에서 탈출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적응 공간(141)에 햇빛이 투과되도록 상기 가림판(140)은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가림판(140)은 햇빛을 통과시키는 투명 재질로 제작하여 상기 치어(A1)들의 수조(120) 탈출을 위한 햇빛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보호망(150)은 이렇게 상기 수조(120)에서 탈출한 상기 치어(A1)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가림판(14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보호망(150)은 격자 철망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보호망(150)은 크기가 작은 상기 치어(A1)를 통과시킬 수 있으나, 상기 치어(A1)보다 큰 포식자는 통과하지 못함으로, 상기 치어(A1)는 상기 포식자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치어(A1)는 상기 보호망(150)내에서 포식자로부터 공격을 피할 수 있다.
예컨대, 앞서 도 4와 같이, 상기 치어(A1)는 상기 보호망(150)의 내부에서 주변을 살피다가 상기 포식자가 없으면 상기 보호망(150)에서 나와서 은신할 바위틈, 해조류 및 잘피 사이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치어(A1)의 적응 및 생존 확률을 높여 상기 치어(A1)의 방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와 같이, 해수(B1)(예;실해역 바닷물)의 수온이 상기 수조(120)내에 담은 치어(A1)가 서식하던 환경의 물(D1)의 온도보다 낮을 경우, 상기 수조(120)의 투입부(121)를 위로 위치시키고, 상기 수조(120)의 방류부(122)를 아래로 위치시킨 상태로, 상기 해수(예;실해역바닷물)에 넣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수조(120)의 상부에 투입부(121)를 형성하고, 상기 수조(120)부의 하부에 방류부(122)를 형성하며, 이 상태로 상기 수조(120)를 상기 해저 지반(C1)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조(120)의 방류부(122)에서 방류되는 치어(A1)가 서식하던 환경의 물(D1)은 대류 현상에 의해 해수(B1)(예;실해역 바닷물)에 천천히 섞이게 된다. 예컨대, 온도가 높은 치어(A1)가 서식하던 환경의 물(D1)이 위쪽에 있고, 온도가 낮은 해수(B1)(예;실해역 바닷물)는 아래쪽에 있으면, 대류 현상에 의해 아주 천천히 섞이게 된다.
반대로 도 5와 같이, 해수(B1)(예;실해역 바닷물)의 수온이 상기 수조(120)내에 담은 치어(A1)가 서식하던 환경의 물(D1)의 온도보다 높을 경우, 상기 수조(120)의 방류부(122)를 위로 위치시키고, 상기 수조(120)의 투입부(121)를 아래로 위치시킨 상태로, 상기 해수(예;실해역바닷물)에 넣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수조(120)의 상부에 방류부(122)를 형성하고, 상기 수조(120)부의 하부에 투입부(121)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수조(120)를 거꾸로 뒤집은 상태로 상기 해저 지반(C1)에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수조(120)내에 담겨진 치어(A1)가 서식하던 환경의 물(D1)의 온도가 높고, 상기 해수(B1)(예;실해역 바닷물)의 수온은 낮으므로, 상기 수조(120)에서 방류되는 치어(A1)가 서식하던 환경의 물(D1)은 대류 현상에 의해 해수(B1)(예;실해역 바닷물)에 아주 천천히 섞이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치어 방류 장치(100)를 이용한 치어 서식장 조성 방법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서 제1공정 내지 제4공정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해수(예;실해역 바닷물)에서 치어(A1)가 은신할 수 있는 통로 공간을 제공하는 복합생태블록(1)을 해저 지반(C1)에 거치시킬 수 있고, 상기 복합생태블록(1)의 주변에 잘피모판블록을 이용하여 잘피 성체를 이식하거나 또는 잘피 종자를 파종하여 잘피밭(2)을 조성할 수 있다.(제1공정)
그 다음, 상기 해조류(2)와 상기 잘피가 자라 치어(A1)의 먹이활동과 은신이 가능한 서식장이 조성된 상기 잘피밭(2)에 상기 치어(A1)가 서식하던 환경의 물(D1)과 치어(A1)를 담은 치어 방류 장치(100)를 해저 지반(C1)에 거치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치어 방류 장치의 방류부(122)를 방류개폐구조(130)에 의해 개방하여 상기 치어(A1)가 서식하던 환경의 물(D1)과 상기 치어(A1)를 방류할 수 있다.(제2공정)
이때, 상기 치어 방류 장치(100)의 가림판(140)은 방류되는 상기 치어(A1)가 서식하던 환경의 물(D1)과 해수(B1)(예;실해역 바닷물)를 천천히 섞이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림판(140)에서 상기 치어(A1)는 이러한 상기 해수의 수온과 수질에 적응할 수 있다.
따라서, 방류된 상기 치어(A1)는 상기 치어 방류 장치(100)의 가림판(140)에서 해수(B1)(예;실해역 바닷물)에 적응될 수 있다. 상기 해수(B1)(예;실해역 바닷물)에 적응이 완료된 치어(A1)가 포식자들을 피해 안전하게 상기 잘피밭(2)으로 이동할 수 있다.(제3공정)
상기 치어(A1)가 모두 방류되면, 상기 치어 방류 장치(100)를 상기 잘피밭(2)에서 회수할 수 있다.(제4공정)
이와 같이, 상기 치어 방류 장치(100)를 이용한 치어 서식장을 조성함으로써, 상기 치어(A1)의 적응 및 생존 확률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치어 방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어 서식장 조성 방법은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치어 방류 장치
110 : 케이지 본체 120 : 수조
130 : 방류개폐구조 140 : 가림판
150 : 보호망
121 : 투입부 122 : 방류부
123 : 투입 커버부
131 : 개폐 본체부 132 : 슬라이딩 개폐부
133 : 가이드부 141 : 적응 공간
A1 ; 치어 B1 : 해수
C1 : 해저 지반 D1 : 치어가 서식하던 환경의 물


Claims (9)

  1. 치어 방류 장치에 있어서,
    케이지 본체; 상기 케이지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그 내부에 치어가 서식하던 환경의 물과 치어를 담는 수조;
    상기 수조의 하부에 배치되고, 치어가 서식하던 환경의 물과 치어를 해수(예;실해역 바닷물)에 방류하기 위해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수조의 하부에 형성된 방류부를 개폐하는 방류개폐구조;
    상기 수조의 하부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방류부의 외부 둘레에 배치되는 가림판; 및
    상기 수조의 하부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가림판의 외부에 배치되어 방류된 상기 치어를 보호하는 보호망;을 포함하고,
    상기 가림판은 상기 방류부가 개방될 경우, 상기 치어가 서식하던 환경의 물이 상기 해수에 천천히 섞이도록 유도함과 아울러 상기 치어가 상기 해수의 수온과 수질에 적응될 수 있도록 적응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어 방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 본체의 외측면에는 상기 케이지 본체를 상기 해수로 이동하여 해저 지반에 거치함과 아울러 고정시키는 복수개의 고정다리들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어 방류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상기 수조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치어가 서식하던 환경의 물과 상기 치어를 상기 수조에 투입하는 투입부; 및
    상기 수조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해수로 상기 치어가 서식하던 환경의 물과 치어를 방류하는 방류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조의 상면에는 회전에 따라 상기 투입부를 개폐하는 투입 커버부;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치어 방류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류개폐구조는,
    상기 방류부의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방류부와 대면되는 개폐홀이 형성된 개폐 본체부; 및
    상기 개폐 본체부의 측면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인입되거나 인출되어 상기 개폐홀를 개폐하는 슬라이딩 개폐부; 및
    상기 개폐 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개폐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어 방류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판은 상기 치어가 햇빛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가림판에서 탈출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해 햇빛을 통과시키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어 방류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 공간은 상기 보호망의 주변 파도로 인해 상기 해수가 상기 수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정온 수역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적응 공간은 상기 해수와 상기 수조에서 방류되는 물이 대류 현상에 의해 천천히 섞이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어 방류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망은 격자 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어 방류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의 수온이 상기 수조내에 배치된 물의 온도보다 낮을 경우, 상기 수조의 투입부를 위로 위치시키고, 상기 수조의 방류부를 아래로 위치시켜며,
    반대로 상기 해수의 수온이 상기 수조내에 배치된 물의 온도보다 높을 경우, 상기 케이지 본체를 뒤집어서 상기 수조의 방류부가 위로 위치시키고, 상기 수조의 투입부는 아래로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어 방류 장치.
  9. 제 1 항의 치어 방류 장치를 이용한 치어 서식장 조성방법에 있어서,
    치어가 은신할 수 있는 통로 공간을 제공하는 복합생태블록을 해저 지반에 거치시키고, 복합생태블록의 주변에 잘피모판블록을 이용하여 잘피 성체를 이식하거나 또는 잘피 종자를 파종하여 잘피밭을 조성하는 제1공정;
    해조류와 잘피가 자라 치어의 먹이활동과 은신이 가능한 서식장이 조성된 상기 잘피밭에 치어를 담은 치어 방류 장치를 거치하고, 상기 치어 방류 장치의 방류부를 방류개폐구조에 의해 개방하여 치어가 서식하던 환경의 물과 상기 치어를 방류하는 제2공정;
    방류된 치어가 서식하던 환경의 물이 상기 치어 방류 장치의 가림판에서 해수에 천천히 섞이고, 상기 치어는 이러한 상기 해수의 수온과 수질에 적응하며, 상기 해수에 적응이 완료된 치어가 상기 잘피밭으로 이동하는 제3공정; 및
    상기 치어가 모두 방류되면, 상기 치어 방류 장치를 상기 잘피밭에서 회수하는 제4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어 방류 장치를 이용한 치어 서식장 조성방법.

KR1020230161923A 2023-11-21 2023-11-21 치어 방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어 서식장 조성 방법 Active KR102690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61923A KR102690711B1 (ko) 2023-11-21 2023-11-21 치어 방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어 서식장 조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61923A KR102690711B1 (ko) 2023-11-21 2023-11-21 치어 방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어 서식장 조성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90711B1 true KR102690711B1 (ko) 2024-08-05

Family

ID=92378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61923A Active KR102690711B1 (ko) 2023-11-21 2023-11-21 치어 방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어 서식장 조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907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89850B1 (ko) 2024-09-09 2025-03-31 한국수산자원공단 효율적인 수산자원 조성과 방류 안전성 증대를 위한 수산자원 방류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149B1 (ko) * 2010-07-14 2011-10-10 대한민국 어류종묘 중간 육성기 및 이를 이용한 어류종묘 방류 시스템
KR20130095007A (ko) * 2012-02-17 2013-08-27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수산종묘 방류 장치
KR102444810B1 (ko) * 2022-04-08 2022-09-19 에스비비 주식회사 친환경 다공성 복합 생태블록을 이용한 해양생물 산란서식장 조성방법
KR20220138817A (ko) * 2021-04-05 2022-10-13 (주)한국종합환경연구소 수산생물의 종자 방류장치 및 방류 방법
KR20230014269A (ko) * 2021-07-21 2023-01-30 한국수산자원공단 어란 부화방류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149B1 (ko) * 2010-07-14 2011-10-10 대한민국 어류종묘 중간 육성기 및 이를 이용한 어류종묘 방류 시스템
KR20130095007A (ko) * 2012-02-17 2013-08-27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수산종묘 방류 장치
KR20220138817A (ko) * 2021-04-05 2022-10-13 (주)한국종합환경연구소 수산생물의 종자 방류장치 및 방류 방법
KR20230014269A (ko) * 2021-07-21 2023-01-30 한국수산자원공단 어란 부화방류시스템
KR102444810B1 (ko) * 2022-04-08 2022-09-19 에스비비 주식회사 친환경 다공성 복합 생태블록을 이용한 해양생물 산란서식장 조성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89850B1 (ko) 2024-09-09 2025-03-31 한국수산자원공단 효율적인 수산자원 조성과 방류 안전성 증대를 위한 수산자원 방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1386B1 (ko) 역통발형 치어 보호장치
JP5746545B2 (ja) 稚魚保護育成礁
Bendell Favored use of anti-predator netting (APN) applied for the farming of clams leads to little benefits to industry while increasing nearshore impacts and plastics pollution
KR102690711B1 (ko) 치어 방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어 서식장 조성 방법
Belle et al. Better management practices for net‐pen aquaculture
Bauer Fisheries and aquaculture
Shumway Molluscan shellfish aquaculture: A practical guide
Salayo et al. Stock enhancement of abalone, Haliotis asinina, in multi-use buffer zone of Sagay Marine Reserve in the Philippines
KR101415366B1 (ko) 이중 튜브식 해삼 양성용 쉘터 및 이를 이용한 해삼용 가두리
KR100906456B1 (ko) 이매패류 양식장치
KR100817754B1 (ko) 자연어장구축장치
KR100794269B1 (ko) 피조개부착치패 보호망 및 상기 보호망을 이용한 피조개치패 중간양성방법
Macusi et al. Factors that structure algal communities in tropical rocky shores: what have we learned
US20070181072A1 (en) Integrated system of shellfish production and utilization #2
JP2016149953A (ja) 藻場造成装置及び藻場造成方法
El-Sayed Fish and fisheries in the Nile Delta
Kapantagakis III. 7. MANAGEMENT AND LEGISLATION In HELLEnIC fIsHERIEs
Smith Manila clam aquaculture in shrimp-infested mudflats
Lodeiros et al. Scallop aquaculture
Kihia et al. Diet and trophic status of fish landed by tropical artisanal bait fishermen, Mida Creek Kenya
Dzidzornu Investigations into hatchery and nursery operations for the culture of the freshwater prawn (Macrobrachium Vollenhovenii, Herklots 1857) in Ghana
KR20170006474A (ko) 토종물고기 보호용 인공어초
Rachman et al. Comparison of catching efficiency of two Indonesian traditional traps, Ayunan and Tamba
CN114451332B (zh) 一种海水苗种防敌害中培养殖装置
KR102597245B1 (ko) 큰징거미새우 치하 중간 육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11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12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7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7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