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3124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모드 변경을 위한 타이머 값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모드 변경을 위한 타이머 값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3124B1
KR102333124B1 KR1020170052882A KR20170052882A KR102333124B1 KR 102333124 B1 KR102333124 B1 KR 102333124B1 KR 1020170052882 A KR1020170052882 A KR 1020170052882A KR 20170052882 A KR20170052882 A KR 20170052882A KR 102333124 B1 KR102333124 B1 KR 102333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coming data
timer
length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2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9308A (ko
Inventor
김상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2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3124B1/ko
Priority to PCT/KR2018/004735 priority patent/WO2018199590A1/ko
Priority to US16/605,662 priority patent/US11129012B2/en
Publication of KR20180119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9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dependent on the time of the day, e.g. according to expected transmission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4Selective release of ongoing connections
    • H04W76/36Selective release of ongoing connections for reassigning the resources associated with the releas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8Connection release triggered by tim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04W8/245Transfer of terminal data from a network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4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using triggered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및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을 위한 기술과 관련된 것이다. 본 개시는 상기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지능형 서비스(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 관리 처리부(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장치는 송수신부와 상기 송수신부와 기능적으로 결합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파워 세이빙 모드(power saving mode, PSM)을 지원하는 단말(terminal)이 PSM 상태에서 유휴 모드(Idle mode) 상태로 천이(transition)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타이머(timer) 값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타이머 값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게 송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타이머 값은, 착신(mobile terminated, MT) 데이터 예상 발생 시점(time point)과 상기 MME에게 미리 설정된 착신 데이터 목표(target) 수신 값 중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모드 변경을 위한 타이머 값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TIMER VALUE FOR MODE TRANSI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모드 변경을 위한 타이머(timer) 값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상술한 IoT 환경에서, IoT 단말은 제한된 배터리를 이용하여 장시간 동안 동작해야 하므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는 단말의 배터리 절약을 위하여 릴리즈-12(release-12)에서 파워 세이빙 모드(power saving mode, PSM)를 도입하였다. PSM은 기존의 RRC(radio resource control) 유휴 모드(Idle mode)의 전력 소모를 더욱 개선시키기 위한 모드이다. 유휴 모드 상태에서 PSM 상태로 천이한 IoT 단말은 착신(mobile terminated)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는다. 상기 IoT 단말이 연결된 네트워크 망의 이동성 관리 처리부(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는 상기 IoT 단말이 PSM 상태에서 다시 유휴 모드 상태로 천이할 수 있도록 타이머(timer) 값을 할당한다. 상기 타이머 값이 만료(expire)하면, 상기 IoT 단말은 유휴 모드 상태로 천이하고, 착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파워 세이빙 모드(power saving mode, PSM)을 지원하는 단말이 PSM 상태에서 유휴 모드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타이머 값을 할당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 관리 처리부(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에게 미리 설정된 착신 데이터 목표 수신 횟수에 기반하여 단말이 PSM 상태에서 유휴 모드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타이머 값을 할당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ME에게 착신 데이터 예상 발생 시점에 기반하여 단말이 PSM 상태에서 유휴 모드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타이머 값을 할당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 관리 처리부(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의 동작 방법은 파워 세이빙 모드(power saving mode, PSM)을 지원하는 단말(terminal)이 PSM 상태에서 유휴 모드(Idle mode) 상태로 천이(transition)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타이머(timer) 값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타이머 값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게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타이머 값은, 착신(mobile terminated, MT) 데이터 예상 발생 시점(time point)과 상기 MME에게 미리 설정된 착신 데이터 목표(target) 수신 값 중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ME 장치는 송수신부와, 상기 송수신부와 기능적으로 결합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PSM을 지원하는 단말이 PSM 상태에서 유휴 모드 상태로 천이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타이머 값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타이머 값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게 송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타이머 값은, 착신 데이터 예상 발생 시점과 상기 MME에게 미리 설정된 착신 데이터 목표 수신 횟수 중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는 송수신부와, 상기 송수신부와 기능적으로 결합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MME로부터 상기 단말이 PSM 상태에서 유휴 모드 상태로 천이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타이머 값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타이머 값에 기반하여 PSM 상태에서 유휴 모드 상태로 천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타이머 값은, 상기 MME에 의하여, 착신 데이터 예상 발생 시점과 상기 MME에게 미리 설정된 착신 데이터 목표 수신 횟수 중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은, MME로부터, 상기 단말이 PSM 상태에서 유휴 모드 상태로 천이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타이머 값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타이머 값에 기반하여 PSM 상태에서 유휴모드 상태로 천이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타이머 값은, 상기 MME에 의하여, 착신 데이터 예상 발생 시점과 상기 MME에게 미리 설정된 착신 데이터 목표 수신 횟수 중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이동성 관리 처리부(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에게 미리 설정된 착신 데이터 목표 수신 횟수 또는 착신 데이터 예상 발생 시점에 기반하여 단말이 파워 세이빙 모드(power saving mode, PSM) 상태에서 유휴 모드(Idle mode)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타이머 값을 결정함으로써, 단말의 착신 데이터 수신 성공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MME에게 미리 설정된 착신 데이터 목표 수신 횟수 또는 착신 데이터 예상 발생 시점에 기반하여 단말이 PSM 상태에서 유휴 모드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타이머 값을 결정함으로써, 게이트웨이(gateway, GW)의 버퍼링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MME에게 미리 설정된 착신 데이터 목표 수신 횟수 또는 착신 데이터 예상 발생 시점에 기반하여 단말이 PSM 상태에서 유휴 모드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타이머 값을 결정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 AS)로부터 송신되는 착신 데이터의 재전송 시그널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망 개체(entity)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파워 세이빙 모드(power saving mode, PSM)을 지원하는 단말의 모드 상태가 타이머 값에 기반하여 천이되는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타이머 값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신호의 흐름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타이머 값을 결정하기 위한 MME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데이터 목표 수신 횟수에 기반하여 타이머 값을 결정하기 위한 MME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데이터 예상 발생 시점에 기반하여 타이머 값을 결정하기 위한 MME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타이머 값에 기반하여 모드 상태를 천이하기 위한 단말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개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적인 접근 방법을 예시로서 설명한다. 하지만,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사용하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소프트웨어 기반의 접근 방법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파워 세이빙 모드(power saving mode, 이하 PSM)을 지원하는 단말이 PSM 상태에서 유휴 모드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타이머 값을 할당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개체(entity) 또는 노드(node)를 지칭하는 용어(예: 단말, 이동성 관리 처리부(mobility management entity, 이하 MME)), 모드 상태를 지칭하는 용어(예: 연결 모드(Connected mode), 유휴 모드(Idle mode), PSM), 특정 타이머를 지칭하는 용어(예: T3324 타이머, T3412 타이머), 및 장치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가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단말(terminal) 110, 기지국(base station) 120, MME 130, 게이트웨이(gateway, GW) 140, 홈 가입자 서버(home subscriber server, HSS) 150, 서비스 노출 개체(service capability exposure function, SCEF) 160, 및 어플이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 AS) 170을 포함한다.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구현 방법에 따라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 포함된 개체(entity)들 각각은 하나의 개체일 수도 있고, 다수의 개체들의 집합(set)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1 은 하나의 GW 140을 도시하였지만, GW 140은 S-GW(serving GW) 및 P-GW(PDN(packet data network)-GW)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110은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장치로서, 기지국 120과 무선 채널을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경우에 따라, 단말 110은 사용자의 관여 없이 운영될 수 있다. 즉, 단말 110 은 기계 타입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지 아니할 수 있다. 단말 110은 단말(terminal) 외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원격 단말(remote terminal)', '무선 단말(wireless terminal)', 또는 '사용자 장치(user device)'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기지국 120은 단말 110에게 무선 접속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이다. 기지국 120은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거리에 기초하여 일정한 지리적 영역으로 정의되는 커버리지(coverage)를 가진다. 기지국 120은 기지국(base station) 외에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이노드비(eNodeB, eNB)', '5G 노드(5th generation node)', '무선 포인트(wireless point)',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reception point, TRP)', 5GNB(5th Generation NodeB)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MME 130은 단말 110의 이동성(mobility)과 관련된 각종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MME 130은 단말 110과 GW 140간 베이러(bearer) 설정 또는 해제와 관련된 절차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MME 130은 단말 110이 동작 모드(예: 연결 모드(Connected mode), 유휴 모드, PSM)로 천이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타이머 값을 할당할 수 있다.
GW 140은 MME 130의 제어에 따라서 단말 110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베어러를 단말 110과 생성한다. 또한, GW 140은 단말 110에게 IP 주소를 할당하고, 앵커 역할을 수행한다. HSS 150은 단말 110의 인증을 위한 키(key) 정보 및 가입자(subscriber)의 프로파일(profile)을 저장한다. SCEF 160은 AS 170과 같은 외부 서버로부터 네트워크를 안전하게 노출시키는 개체이다. SCEF 160은 AS 170으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고, 단말 110을 포함하는 다수의 단말 그룹을 관리하기 위하여 HSS 150과 통신을 수행한다. AS 170은 단말 110이 연결된 네트워크의 외부 서버를 의미한다. AS 170은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서버, 또는 M2M(machine to machine) 서버로 지칭될 수 있다. AS 170은 단말 110에게 송신하고자 하는 착신(mobile terminated, MT) 데이터의 예상 발생 시점(time point)을 SCEF 160 및 HSS 150을 통하여 MME 130에게 송신할 수 있다. 또한, AS 170은 상기 착신 데이터를 SCEF 160 및 MME 130을 통하여 단말 110에게 송신하거나(예: 저용량 데이터이거나, non-IP 데이터인 경우), GW 140, MME 130, 및 기지국 120을 통하여 단말 110에게 송신하거나, GW 140 및 기지국 120을 통하여 단말 110에게 송신할 수 있다(예: 대용량 데이터이거나 IP 데이터인 경우).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망 개체(entity)의 구성을 도시한다. 이하 사용되는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망 개체는 통신부 210, 저장부 220, 제어부 230을 포함한다. 도 2에 예시된 구성은 MME 130, GW 140, HSS 150, SCEF 160 또는 AS 170의 구성일 수 있다. 통신부 210은 네트워크 내 다른 노드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통신부 210은 다른 개체로 송신되는 비트열을 물리적 신호로 변환하고, 다른 개체로부터 수신되는 물리적 신호를 비트열로 변환한다. 또한, 통신부 210은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부 210은 '송신부', '수신부' 또는 '송수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저장부 220은 망 개체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 220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 220은 제어부 23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어부 230은 망 개체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 230은 통신부 210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제어부 230은 저장부 220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저장부 22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는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부 230은 단말(예: 단말 110)의 동작 모드 천이를 위한 타이머 값을 할당하고 상기 할당된 타이머 값을 송신함으로써, 상기 단말의 착신 데이터 수신 성공율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230에 포함된 타이머 결정부 232는 단말 110이 PSM 상태에서 유휴 모드 상태로 천이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타이머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타이머 값은 착신 데이터 예상 발생 시점, 또는 미리 설정된 착신 데이터 목표 수신 횟수 중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 230은 상기 결정된 타이머 값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통신부 210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 230은 단말 110으로부터 트래킹 지역 갱신(tracking area update, TAU) 요청(request)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통신부 210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 230은 구현 방법에 따라 상기 TAU 요청 메시지 대신에 어태치(attach) 요청 메시지 또는 라우팅 지역 갱신(routing area update RAU)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통신부 210을 제어할 수 있다.
타이머 결정부 232는 단말 110이 PSM 상태에 있는 동안에 단말 110으로 송신된 착신 데이터의 평균 송신 횟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착신 데이터 평균 송신 횟수, 미리 설정된 착신 데이터 목표 수신 횟수에 기반하여 상기 타이머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착신 데이터의 평균 송신 횟수, 상기 착신 데이터 목표 수신 횟수, 및 상기 타이머 값의 관계는 상기 착신 데이터의 평균 송신 횟수 및 상기 착신 데이터 목표 수신 횟수의 감마 분포의 누적분포함수에 기반하여 결정된다.
제어부 230은 기지국 120으로부터 수신된 자원 해제 요청 메시지(예: E-RAB(radio access bearer) release request)에 기반하여 단말 110이 유휴 모드 상태로 천이하는 시점을 확인하고, AS 170으로부터 착신 데이터 예상 발생 시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부 210을 제어할 수 있다. 타이머 결정부 232는 상기 단말 110이 유휴 모드 상태로 천이하는 시점 및 상기 착신 데이터 예상 발생 시점에 기반하여 상기 타이머 값을 결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다. 이하 사용되는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단말 120은 통신부 310, 저장부 320, 제어부 330를 포함한다. 도 3에 예시된 구성은 단말 110의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통신부 310은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일 실시 예로써, 통신부 310은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다른 실시 예로써, 통신부 310은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한다. 통신부 310은 다수의 송수신 경로(path)들과 다수의 안테나 요소들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 310은 '송신부', '수신부' 또는 '송수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통신부 310에 의해 수행되는 송신 및 수신 동작은 상술한 바와 같은 처리가 수행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저장부 320은 단말 110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 320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 320은 제어부 33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어부 33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micro) 프로세서를 포함하거나, 또는, 프로세서의 일부일 수 있다. 통신부 310의 일부 및 제어부 330은 CP(communication processor)라 지칭될 수 있다. 제어부 330은 단말 110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 330은 통신부 310를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 330은 저장부 320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저장부 32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는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부 330은 MME 130으로부터 수신 받은 타이머 값에 기반하여 단말 110의 동작 모드를 변환함으로써 단말 110의 착신 데이터 수신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 330은 MME 130으로부터, 단말 110이 PSM 상태에서 유휴 모드 상태로 천이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타이머 값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부 310을 제어하고, 상기 타이머 값에 기반하여 단말 110이 PSM 상태에서 유휴 모드 상태로 천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타이머 값은 MME 130에 의하여, 착신 데이터 예상 발생 시점과 MME 130에게 미리 설정된 착신 데이터 목표 수신 횟수 중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된다. 또한, 제어부 330은 MME 130에게 TAU 요청 메시지, 어태치 요청 메시지, 또는 RAU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통신부 310을 제어한다.
IoT 환경에서, 사람의 개입이 배제되고, 기계(machine)와 기계 간 통신이 수행되는 MTC가 연구되어 왔다. MTC 장치의 경우, 사람의 개입이 없고, 착신 데이터가 빈번하게 수신되지 않으므로, 배터리를 오래 유지하는 것이 요구된다. 상기 요구를 반영하기 위하여, MTC 장치는 PSM을 지원할 수 있다. PSM을 지원하는 단말(즉, MTC 장치)는 3가지의 동작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동작 모드는 연결 모드(예: RRC-connected, EMM(EPS(evolved packet service) mobility management)-Registered, 또는 ECM(EPS connection management)-Connected), 유휴 모드(예: RRC-Idle, EMM-Idle, 또는 ECM-Idle), 및 PSM을 포함한다.
연결 모드 상태에 있는 단말은 기지국과 논리적 연결이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RRC-connected의 경우, 단말은 기지국과 RRC 연결 상태를 유지한다. 이 경우, 기지국은 단말의 위치를 셀(cell) 단위로 확인할 수 있다. 유휴 모드 상태에 있는 단말은 셀보다 더 큰 지역 단위인 TA(tracking area) 단위로 관리된다. 유휴 모드 상태에 있는 단말은 상향링크 데이터 송신이 필요하거나,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paging)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유휴 모드 상태에서 연결 모드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유휴 모드 상태에서 PSM 상태로 천이한 단말은 유휴 모드의 모든 절차를 중지하고, 액세스 계층(Access Stratrum)의 기능을 비활성화(deactivation)한다. 따라서, PSM 상태인 단말은 페이징 신호를 수신하지 않으며, 착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다. 상기 PSM 상태인 단말이 발신(mobile originated) 데이터를 송신할 필요가 있거나, 미리 설정된 타이머(timer)가 만료한 경우 상기 PSM 상태인 단말은 유휴 모드로 천이할 수 있다. 이하 도 4에서는, 상기 타이머에 기반하여 단말의 동작 모드가 천이되는 예를 서술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PSM을 지원하는 단말의 모드 상태가 타이머 값에 기반하여 천이되는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단말 110의 모드 상태가 천이되는 동작을 예시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그래프 400은 단말 110의 동작 모드가 시간(time)에 따라 천이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시간의 단위는 시간(hour)일 수 있다. 처음에 단말 110은 연결 모드 상태에 있음을 가정한다. 410 시점(time point)에서, 단말 110은 연결 모드 상태에서 유휴 모드 상태로 천이하며, 이와 동시에 단말 110에 포함된 활성화 타이머(active timer) 및 확장된 주기적 TAU 타이머(extended periodic TAU timer)가 시작(start)한다. 본 개시에서, 활성화 타이머는 PSM을 지원하는 단말이 유휴 모드 상태에서 PSM 상태로 천이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타이머를 의미한다. 상기 활성화 타이머는 T3324로 지칭될 수 있다. 도 4에서, T3324 타이머 값은 시점 420과 시점 410의 차이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확장된 주기적 TAU 타이머는 PSM을 지원하는 단말이 PSM 상태에서 유휴 모드 상태로 천이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타이머를 의미한다. 상기 확장된 주기적 TAU 타이머는 T3412로 지칭될 수 있다. 도 4에서, T3412 타이머 값은 시점 430과 시점 410의 차이로 표현될 수 있다. PSM을 지원하는 단말은 배터리 효율을 위하여 보다 긴 시간 동안 PSM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으므로, 상기 확장된 주기적 TAU 타이머 값은 상기 활성화 타이머 값보다 길게 설정되어야 한다.
420 시점에서, 상기 활성화 타이머가 만료(expire)하면, 단말 110은 유휴 모드 상태에서 PSM 상태로 천이한다. 단말 110이 PSM 상태에 있는 동안에도 착신 데이터가 AS 서버 170으로부터 송신될 수 있지만, 단말 110은 상기 액세스 계층의 기능이 비활성화된 상태이므로 상기 착신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다.
430 시점에서, 상기 확장된 주기적 TAU 타이머가 만료하면, 단말 110은 PSM 상태에서 유휴 모드 상태로 천이하고 액세스 계층의 기능을 활성화(activation)한다. 유휴 모드 상태로 천이된 단말 110은 단말 110의 위치를 보고하기 위하여 확장된 주기적 TAU 절차(extended periodic TAU procedure)를 수행한다.
PSM을 지원하는 단말은 상기 활성화 타이머 또는 확장된 주기적 TAU 타이머의 시간 값을 설정 받기 위하여 MME 130에게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상기 요청 메시지는 TAU 요청 메시지, RAU 요청 메시지 또는 어태치 요청 메시지일 수 있다. 상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MME 130은 가입자 별로(다시 말해, 단말 별로) 랜덤하게 상기 활성화 타이머 또는 확장된 주기적 TAU 타이머의 시간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설정된 시간 값은 MME 130이 단말 110에게 송신하는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다. 상기 응답 메시지는 TAU Accept, Attach Accept, 또는 RAU Accept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MME 130은 단말 110에게 할당된 활성화 타이머 및 확장된 주기적 TAU 타이머 값을 알고 있으므로, 단말 110이 PSM 상태인 것을 인지한다. 따라서, GW 140으로부터 착신 데이터가 송신될 것임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면, MME 130은 GW 140가 상기 착신 데이터를 버퍼링(buffering)하도록 요청한다. 상기 절차에 따를 경우, 할당된 활성화 타이머 및 확장된 주기적 TAU 타이머의 값은 각 단말의 서비스 특성(예: PSM 시간, 배터리 잔량, 착신 데이터 평균 송신 횟수)을 반영하지 못하므로, GW 140의 버퍼링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 따라서, 버퍼링 용량(capacity)에 한계가 있는 GW 140에서 상기 착신 데이터에 대한 패킷 드랍(packet drop)이 발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PSM을 지원하는 단말에 대한 착신 데이터 예상 발생 시점 또는 MME에게 미리 설정된 착신 데이터 목표 수신 횟수 중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확장된 주기적 TAU 타이머 값을 결정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본 개시에서, 상기 착신 데이터 목표 수신 횟수는 단말이 PSM 상태에 있는 동안에 상기 단말로 수신된 착신 데이터의 횟수를 의미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 상기 착신 데이터 예상 발생 시점은 단말의 액세스 계층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착신 데이터가 상기 단말에게 송신되는 시점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상기 착신 데이터 예상 발생 시점은 단말이 착신 데이터를 받을 수 있는 상태에서 상기 착신 데이터가 상기 단말에게 송신된 시점을 의미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타이머 값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신호의 흐름을 도시한다.
도 5를 참고하면, S510 단계에서, 단말 110은 NAS(non-access stratrum) 메시지를 송신한다. 상기 NAS 메시지는 단말 110 및 MME 130 간 시그널링 프로토콜을 통해 교환되는 메시지를 의미한다. 상기 NAS 메시지는 TAU 요청 메시지, 어태치(attach) 요청 메시지 또는 RAU 요청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S520 단계에서, MME 130은 착신 데이터에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착신 데이터 관련 정보는 타이머 값을 결정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상기 착신 데이터 관련 정보는 착신 데이터 예상 발생 시점 또는 착신 데이터 목표 수신 횟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MME 130은 다양한 방식에 따라 상기 착신 데이터 예상 발생 시점 또는 착신 데이터 목표 수신 횟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착신 데이터 예상 발생 시점에 관한 정보는 AS 170으로부터 SCEF 160 및 HSS 150을 통하여 송신된 통신 패턴(communication pattern)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착신 데이터 목표 수신 횟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MME 130에 미리 설정될 수 있다.
S530 단계에서, MME 130은 상기 수신된 착신 데이터 예상 발생 시점 또는 착신 데이터 목표 수신 횟수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T3412 타이머(즉, 확장된 주기적 TAU 타이머) 값을 결정한다. 일 실시 예로써, MME 130이 상기 착신 데이터 목표 수신 횟수에 기반하여 T3412 타이머 값을 결정하는 동작은 하기와 같다.
MME 130은 저장부 220에 미리 저장된 테이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타이머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테이블 정보는 MME 130에 미리 설정된 착신 데이터 목표 수신 횟수, 착신 데이터 수신 성공율, 및 단말 110이 PSM 상태에 있는 동안에 송신된 착신 데이터의 평균 송신 횟수, 및 단말 110에게 이전에 할당된 T3412 타이머 값에 기반하여 결정된 T3412 타이머 값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테이블 정보는 하기의 표 1과 같이 나타날 수 있다.
성공률(%)
Figure 112017040429506-pat00001
Figure 112017040429506-pat00002
이전에 설정된 타이머 값
(단위: 시간)
변경된
타이머 값
(단위: 시간)
90 2 1/4 360 9.93
75 2 1/4 360 117.67
50 2 1/4 360 208.95
25 2 1/4 360 273.49
10 2 1/4 360 312.14
5 2 1/4 360 328.02
상기 표 1에서, 성공률은 단말 110이 성공적으로 착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확률,
Figure 112017040429506-pat00003
는 착신 데이터 목표 수신 횟수,
Figure 112017040429506-pat00004
는 단말 110이 PSM 상태에 있는 동안에 송신된 착신 데이터의 평균 송신 횟수의 역수를 의미한다. 이전에 설정된 타이머 값은 단말 110에게 이전에 할당되었던 T3412 타이머 값을 의미한다. 변경된 타이머 값은 MME 130이 단말 110에게 할당하고자 하는 T3412 타이머 값을 의미한다.
Figure 112017040429506-pat00005
와 성공률은 MME 130에게 미리 설정된 값에 해당하고,
Figure 112017040429506-pat00006
는 단말 110이 PSM 상태에 있는 동안에 누적하여 입력된 평균 값이다.
예를 들어, 상기 표 1을 참고하면, MME 130에게 착신 데이터 목표 수신 횟수가 2회, 성공률이 75%로 설정되어 있고, 단말 110이 PSM 상태일 때 송신된 착신 데이터의 평균 송신 횟수가 4회이며, 이전에 단말 110에게 할당된 T3412 타이머 값이 360시간인 경우, MME 130은 상기 테이블 정보에 기반하여 단말 110에게 117.67시간의 T3412 타이머 값을 할당할 수 있다. 상기 테이블 정보에 포함된 각각의 파라미터(parameter)들 간의 관계는 하기와 같다.
단말이 PSM 상태에 있는 동안에 착신 데이터가 송신되는 사건이 n회 발생한다고 가정하면, 상기 착신 데이터가 단위 시간 동안에 송신된 횟수에 대한 이산확률분포는 푸아송 분포(poisson distribution)를 따른다. 여기서 착신 데이터 미수신 횟수를 줄이기 위하여 설정되는 타이머 값(즉, T3412 타이머 값)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푸아송 분포에서 n번째 사건이 발생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에 대한 분포를 얼랑 분포(erlang distribution)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얼랑 분포는 상기 n이 양의 정수인 경우만을 가정하므로, 이를 양의 실수로 확장하기 위하여 감마 분포를 고려할 수 있다. 감마 분포식은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날 수 있다.
Figure 112017040429506-pat00007
상기 수학식 1에서,
Figure 112017040429506-pat00008
는 분포의 형상과 관계있는 형상 매개 변수(shape parameter)로서, 본 실시 예에서는 단말이 PSM 상태에 있는 동안에 기대되는(목표) 착신 데이터 수신 횟수이다.
Figure 112017040429506-pat00009
는 분포의 스케일과 관계있는 스케일 매개 변수(scale parameter)로서, 본 실시 예에서는 단말이 PSM 상태에 있는 동안에 송신된 착신 데이터 평균 송신 횟수이다. 상기 착신 데이터 평균 송신 횟수의 역수는
Figure 112017040429506-pat00010
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7040429506-pat00011
Figure 112017040429506-pat00012
는 모두 0보다 큰 수이다.
Figure 112017040429506-pat00013
는 감마 함수이며, 상기 감마 함수식은 하기의 수학식 2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7040429506-pat00014
상기 수학식 2에서, a는 상기 얼랑 분포에서 n에 대응하는 값이며, 상기 a는 0보다 큰 양의 실수이다.
상기 수학식 1에서 표현된 감마 분포식의 누적분포함수(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 C.D.F)는 하기의 수학식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7040429506-pat00015
Figure 112017040429506-pat00016
상기 수학식 3에서,
Figure 112017040429506-pat00017
은 n에 관한 감마 함수이며, n은 단위 시간 동안 착신 데이터 송신이 발생한 횟수이다.
Figure 112017040429506-pat00018
는 착신 데이터 평균 송신 횟수의 역수이다.
Figure 112017040429506-pat00019
는 감마 분포에서 n번째 사건이 발생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의 분포를 의미하므로, 운영자가 희망하는 착신 데이터 수신 성공률을 확률 변수
Figure 112017040429506-pat00020
로 하여 n 번째 사건이 발생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의 분포를 구하기 위하여 감마 분포의 누적분포함수
Figure 112017040429506-pat00021
의 역함수를 산출하면 하기의 수학식 4와 같다.
Figure 112017040429506-pat00022
MME 130은 상기 함수식
Figure 112017040429506-pat00023
에 의하여 산출된 결과 값을 이용하여 T3412 타이머 값을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MME 130은 단말 110에게 이전에 설정된 타이머 값의 증/감분에 상기 함수식에 기반하여 산출된 결과 값을 곱함으로써 변경된 T3412 타이머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함수식에 의하여 산출된 결과 값과 이전에 설정된 T3412 타이머 값 및 변경된 T3412 타이머 값의 관계를 나타내면 하기의 표 2와 같다.
성공률(%)
Figure 112017040429506-pat00024
Figure 112017040429506-pat00025
함수식 결과값 이전에 설정된 타이머 값
(단위: 시간)
변경된
타이머 값
(단위: 시간)
90 2 1/4 1-
Figure 112017040429506-pat00026
0.0276 360 9.93
75 2 1/4 1-
Figure 112017040429506-pat00027
0.3268 360 117.67
50 2 1/4 1-
Figure 112017040429506-pat00028
0.5804 360 208.95
25 2 1/4 1-
Figure 112017040429506-pat00029
0.7597 360 273.49
10 2 1/4 1-
Figure 112017040429506-pat00030
0.8670 360 312.14
5 2 1/4 1-
Figure 112017040429506-pat00031
0.9112 360 328.02
상기 표 2에서, 성공률은 단말 110이 성공적으로 착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확률,
Figure 112017040429506-pat00032
는 착신 데이터 목표 수신 횟수,
Figure 112017040429506-pat00033
는 단말 110이 PSM 상태에 있는 동안에 송신된 착신 데이터의 평균 송신 횟수의 역수를 의미한다. 이전에 설정된 타이머 값은 단말 110에게 이전에 할당되었던 T3412 타이머 값을 의미한다. 변경된 타이머 값은 MME 130이 단말 110에게 할당하고자 하는 T3412 타이머 값을 의미한다. 결과값은 상기 수학식 4에 의하여 생성된 함수식
Figure 112017040429506-pat00034
Figure 112017040429506-pat00035
, 성공률, 및
Figure 112017040429506-pat00036
를 입력하였을 때 산출되는 결과 값이다.
Figure 112017040429506-pat00037
와 성공률은 MME 130에게 미리 설정된 값에 해당하고,
Figure 112017040429506-pat00038
는 단말 110이 PSM 상태에 있는 동안에 누적하여 입력된 평균 값이다.
예를 들어, 상기 표 2를 참고하면, MME 130에게 착신 데이터 목표 수신 횟수가 2회, 성공률이 75%로 설정되어 있고, 단말 110이 PSM 상태일 때 송신된 착신 데이터의 평균 송신 횟수가 4회이며, 이전에 단말 110에게 할당된 T3412 타이머 값이 360시간인 경우, MME 130은 상기 함수식
Figure 112017040429506-pat00039
Figure 112017040429506-pat00040
, 성공률, 및
Figure 112017040429506-pat00041
를 입력하여 결과 값 0.3268을 산출할 수 있다. MME 130은 상기 산출된 결과 값을 이전에 설정된 타이머 값 360시간에 곱함으로써 단말 110에게 할당하고자 하는 T3412 타이머 값 117.67(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 110은 이전에 T3412 타이머 값을 360시간으로 설정하였다면, MME 130으로부터 새롭게 할당된 T3412 타이머 값은 117.67시간에 해당한다. 이 경우, 단말 110이 PSM 상태에 있는 동안에 미 착신된 데이터의 횟수가 2회 발생하는 확률이 75%가 된다.
다른 실시 예로써, MME 130이 착신 데이터 예상 발생 시점에 기반하여 T3412 타이머 값을 결정하는 동작은 하기와 같다.
도 5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MME 130은 기지국 120으로부터 자원 해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자원 해제 요청 메시지는 E-RAB Release request 메시지일 수 있다. MME 130은 상기 수신된 자원 해제 요청 메시지의 수신 시점에 기반하여 단말 110이 유휴 모드로 진입하는 시점
Figure 112017040429506-pat00042
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시점
Figure 112017040429506-pat00043
은 도 4에서 410 시점에 대응할 수 있다. MME 130은 S520 단계에서 수신된 착신 데이터 예상 발생 시점
Figure 112017040429506-pat00044
및 상기 단말 110이 유휴 모드로 진입하는 시점
Figure 112017040429506-pat00045
에 기반하여 T3412 타이머 값을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 110이 시점
Figure 112017040429506-pat00046
에서 착신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기 위해서는 단말 110이 시점
Figure 112017040429506-pat00047
이전에 PSM 상태에서 유휴 모드 상태로 천이하여야 하므로, MME 130은 시점
Figure 112017040429506-pat00048
에서 시점
Figure 112017040429506-pat00049
을 뺀 값 또는 해당 값 미만으로 T3412 타이머 값을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MME 130은 T3412 타이머 값을 하기의 수학식 5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7040429506-pat00050
T3412는 MME 130이 단말 110에게 할당하는 T3412 타이머 값(단위: 시간)을 의미한다.
Figure 112017040429506-pat00051
은 착신 데이터 예상 발생 시점을 의미한다.
Figure 112017040429506-pat00052
은 단말 110이 연결 모드 상태에서 유휴 모드 상태로 천이하는 시점을 의미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타이머 값을 결정하기 위한 MME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도 6에 개시된 동작은 MME 130의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610 단계에서, MME 130은 PSM을 지원하는 단말 110이 PSM 상태에서 유휴 모드 상태로 천이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타이머(즉, T3412 타이머) 값을 결정한다. 상기 타이머 값은, 착신 데이터 예상 발생 시점과 상기 MME에게 미리 설정된 착신 데이터 목표 수신 횟수 중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된다.
610 단계에서, MME 130은 상기 결정된 타이머 값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게 송신한다. 상기 타이머 값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는 TAU accept, RAU accept, 또는 attach accept 메시지일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데이터 목표 수신 횟수에 기반하여 타이머 값을 결정하기 위한 MME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도 7은 도 6의 610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도 7을 참고하면, 710 단계에서, MME 130은 단말 110으로부터 NAS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NAS 메시지는 TAU request 메시지, RAU request 메시지 또는 attach request 메시지일 수 있다. MME 130은 상기 NAS 메시지를 수신한 것이 확인될 때까지 상기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상기 NAS 메시지가 수신되면 720 단계에서, MME 130은 단말 110이 PSM 상태에 있는 동안에 단말 110으로 송신된 착신 데이터의 평균 송신 횟수를 확인한다.
730 단계에서, MME 130은 상기 확인된 착신 데이터 평균 송신 횟수, MME 130에 미리 설정된 착신 데이터 목표 수신 횟수에 기반하여 상기 타이머 값을 결정한다. 상기 착신 데이터의 평균 송신 횟수, 상기 착신 데이터 목표 수신 횟수, 및 MME 130이 결정하고자 하는 타이머 값의 관계는 상기 착신 데이터의 평균 송신 횟수 및 상기 착신 데이터 목표 수신 횟수의 감마 분포의 누적분포함수에 기반하여 결정된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데이터 예상 발생 시점에 기반하여 타이머 값을 결정하기 위한 MME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도 8은 도 6의 610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도 8을 참고하면, 810 단계에서, MME 130은 단말 110이 연결 모드 상태에서 유휴 모드 상태로 천이하는 시점을 확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MME 130은 기지국 120으로부터 수신된 자원 해제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단말 110이 연결 모드 상태에서 유휴 모드 상태로 천이하는 시점을 확인한다.
820 단계에서, MME 130은 AS 170으로부터 착신 데이터 예상 발생 시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착신 데이터 예상 발생 시점은 통신 패턴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착신 데이터 예상 발생 시점은 AESE(architecture enhancements for services capability exposure) 통신 패턴 집합(communication pattern set)에 포함된 스케줄링된 통신 시간(scheduled-communication-time)일 수 있다.
830 단계에서, MME 130은 상기 단말이 유휴 모드 상태로 천이하는 시점 및 상기 착신 데이터 예상 발생 시점에 기반하여 상기 타이머 값을 결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MME 130은 상기 착신 데이터 예상 발생 시점 및 상기 단말이 유휴 모드 상태로 천이하는 시점의 차이를 상기 타이머 값으로 결정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타이머 값에 기반하여 모드 상태를 천이하기 위한 단말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도 9에 도시된 동작은 단말 110의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910 단계에서, 단말 110은 MME 130으로부터 단말 110이 PSM 상태에서 유휴 모드 상태로 천이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타이머(즉 T3412 타이머) 값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타이머 값에 관한 정보는 TAU accept, RAU accept, 또는 Attach accept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타이머 값은, MME 130에 의하여, 착신 데이터 예상 발생 시점과 MME 130에게 미리 설정된 착신 데이터 목표 수신 횟수 중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된다.
920 단계에서, 단말 110은 유휴 모드 상태에서 PSM 상태로 천이한다. 단말 110이 유휴 모드 상태에서 PSM 상태로 천이함과 동시에, 단말 110이 MME 130으로부터 수신된 타이머가 시작(start)한다. 930 단계에서, 단말 110은 상기 시작된 타이머가 만료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았다면, 단말 110은 PSM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면, 단말 110은 PSM 상태에서 유휴 모드 상태로 천이한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ead only memory, ROM),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ompact disc-ROM, CD-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cs, DVD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2)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 관리 처리부(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단말(terminal)이 파워 세이빙 모드(power saving mode, PSM)에 있는 동안 상기 단말로 송신된 착신 데이터의 한 번 이상의 송신 횟수를 식별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로 송신된 착신 데이터의 상기 한 번 이상의 송신 횟수에 기반하여 타이머(timer)의 길이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타이머의 길이는 단말의 상태를 PSM 상태에서 유휴 모드(idle mode) 상태로 천이(transition)하기 위하여 이용되고,
    상기 결정된 타이머의 길이에 관한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의 길이는 상기 단말로 송신된 착신 데이터의 상기 한 번 이상의 송신 횟수 및 미리 설정된 착신 데이터 목표 수신 횟수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 송신된 착신 데이터의 상기 한 번 이상의 송신 횟수, 상기 착신 데이터 목표 수신 횟수, 및 상기 타이머의 길이의 관계는,
    상기 단말로 송신된 착신 데이터의 상기 한 번 이상의 송신 횟수 및 상기 착신 데이터 목표 수신 횟수의 감마 분포의 누적분포함수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의 길이를 결정하는 과정은,
    기지국(base station, BS)으로부터 수신된 자원 해제 요청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이 유휴 모드 상태로 천이하는 시점을 식별하는 과정과,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 AS)로부터 상기 착신 데이터 예상 발생 시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이 유휴 모드 상태로 천이하는 시점 및 상기 착신 데이터 예상 발생 시점에 기반하여 상기 타이머의 길이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의 길이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착신 데이터 예상 발생 시점 및 상기 단말이 유휴 모드 상태로 천이하는 시점의 차이를 상기 타이머의 길이로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 관리 처리부(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장치에 있어서,
    송수신부와,
    상기 송수신부와 기능적으로 결합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단말(terminal)이 파워 세이빙 모드(power saving mode, PSM)에 있는 동안 상기 단말로 송신된 착신 데이터의 한 번 이상의 송신 횟수를 식별하고,
    상기 단말로 송신된 착신 데이터의 상기 한 번 이상의 송신 횟수에 기반하여 타이머(timer)의 길이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타이머의 길이는 단말의 상태를 PSM 상태에서 유휴 모드(idle mode) 상태로 천이(transition)하기 위하여 이용되고,
    상기 결정된 타이머의 길이에 관한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의 길이는 상기 단말로 송신된 착신 데이터의 상기 한 번 이상의 송신 횟수 및 미리 설정된 착신 데이터 목표 수신 횟수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 송신된 착신 데이터의 상기 한 번 이상의 송신 횟수, 상기 착신 데이터 목표 수신 횟수, 및 상기 타이머의 길이의 관계는,
    상기 단말로 송신된 착신 데이터의 상기 한 번 이상의 송신 횟수 및 상기 착신 데이터 목표 수신 횟수의 감마 분포의 누적분포함수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지국(base station, BS)으로부터 수신된 자원 해제 요청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이 유휴 모드 상태로 천이하는 시점을 식별하고,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 AS)로부터 상기 착신 데이터 예상 발생 시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단말이 유휴 모드 상태로 천이하는 시점 및 상기 착신 데이터 예상 발생 시점에 기반하여 상기 타이머의 길이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신 데이터 예상 발생 시점 및 상기 단말이 유휴 모드 상태로 천이하는 시점의 차이를 상기 타이머의 길이로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terminal) 장치에 있어서,
    송수신부와,
    상기 송수신부와 기능적으로 결합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이동성 관리 처리부(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로부터, 타이머(timer)의 길이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타이머의 길이에 기반하여 파워 세이빙 모드(power saving mode, PSM) 상태에서 유휴 모드(idle mode) 상태로 천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타이머의 길이는, 상기 단말이 상기 PSM 상태에 있는 동안, 상기 단말로 송신된 착신(mobile terminated, MT) 데이터의 한 번 이상의 송신 횟수에 관련되는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의 길이는,
    상기 단말이 상기 PSM 상태에 있는 동안에 상기 단말로 송신된 착신 데이터의 상기 한 번 이상의 송신 횟수, 및 미리 설정된 착신 데이터 목표 수신 횟수에 관련되는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 송신된 착신 데이터의 상기 한 번 이상의 송신 횟수, 상기 착신 데이터 목표 수신 횟수, 및 상기 타이머의 길이의 관계는,
    상기 단말로 송신된 착신 데이터의 상기 한 번 이상의 송신 횟수 및 상기 착신 데이터 목표 수신 횟수의 감마 분포의 누적분포함수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장치.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의 길이는,
    상기 MME가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 AS)로부터 수신한 착신 데이터 예상 발생 시점 및 상기 단말이 유휴 모드 상태로 천이하는 시점의 차이에 관련되는 장치.
  1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terminal)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이동성 관리 처리부(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로부터, 타이머(timer)의 길이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타이머의 길이에 기반하여 파워 세이빙 모드(power saving mode, PSM) 상태에서 유휴 모드(idle mode) 상태로 천이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타이머의 길이는, 상기 단말이 상기 PSM 상태에 있는 동안, 상기 단말로 송신된 착신(mobile terminated, MT) 데이터의 한 번 이상의 송신 횟수에 관련되는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의 길이는,
    상기 단말이 상기 PSM 상태에 있는 동안에 상기 단말로 송신된 착신 데이터의 상기 한 번 이상의 송신 횟수, 및 미리 설정된 착신 데이터 목표 수신 횟수에 관련되는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 송신된 착신 데이터의 상기 한 번 이상의 송신 횟수, 상기 착신 데이터 목표 수신 횟수, 및 상기 타이머의 길이의 관계는,
    상기 단말로 송신된 착신 데이터의 상기 한 번 이상의 송신 횟수 및 상기 착신 데이터 목표 수신 횟수의 감마 분포의 누적분포함수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방법.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의 길이는,
    상기 MME가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 AS)로부터 수신한 착신 데이터 예상 발생 시점 및 상기 단말이 유휴 모드 상태로 천이하는 시점의 차이에 관련되는 방법.
  1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착신 데이터 예상 발생 시점은,
    AESE(architecture enhancements for services capability exposure) 통신 패턴 집합(communication pattern set)에 포함된 스케줄링 된 통신 시간을 포함하는 방법.
  20.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유휴 모드 상태로 천이하는 시점 및 상기 착신 데이터 예상 발생 시점에 기반하여 상기 타이머의 길이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이 유휴 모드 상태로 천이하는 시점 및 상기 착신 데이터 예상 발생 시점 간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타이머의 길이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착신 데이터 예상 발생 시점은,
    AESE(architecture enhancements for services capability exposure) 통신 패턴 집합(communication pattern set)에 포함된 스케줄링 된 통신 시간을 포함하는 장치.
  2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이 유휴 모드 상태로 천이하는 시점 및 상기 착신 데이터 예상 발생 시점 간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타이머의 길이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KR1020170052882A 2017-04-25 2017-04-2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모드 변경을 위한 타이머 값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333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882A KR102333124B1 (ko) 2017-04-25 2017-04-2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모드 변경을 위한 타이머 값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CT/KR2018/004735 WO2018199590A1 (ko) 2017-04-25 2018-04-2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모드 변경을 위한 타이머 값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6/605,662 US11129012B2 (en) 2017-04-25 2018-04-24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timer value for changing m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882A KR102333124B1 (ko) 2017-04-25 2017-04-2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모드 변경을 위한 타이머 값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308A KR20180119308A (ko) 2018-11-02
KR102333124B1 true KR102333124B1 (ko) 2021-11-30

Family

ID=63918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2882A KR102333124B1 (ko) 2017-04-25 2017-04-2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모드 변경을 위한 타이머 값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129012B2 (ko)
KR (1) KR102333124B1 (ko)
WO (1) WO20181995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75642B2 (en) 2017-04-06 2019-08-06 Itron, Inc. Device and battery management in a cellular network
KR102525428B1 (ko) 2018-08-07 2023-04-26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US10728847B2 (en) 2018-10-05 2020-07-28 Itron, Inc. Cellular modem for low power applications
US10945204B2 (en) * 2018-10-05 2021-03-09 Itron, Inc. Battery power management for a cellular device
CN111277992B (zh) * 2018-12-05 2022-09-16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确定终端网络状态的方法和系统
US10945120B2 (en) 2019-02-27 2021-03-09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dynamically provisioning and using 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location mappings in service capability exposure function (SCEF) or network exposure function (NEF)
US10972368B2 (en) * 2019-05-17 2021-04-06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providing reduced signaling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 monitoring
KR102262836B1 (ko) * 2019-10-28 2021-06-0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단말기 비활성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US11381955B2 (en) 2020-07-17 2022-07-05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monitoring machine type communications (MTC) device related information
CN112218359B (zh) * 2020-11-18 2023-02-21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定时器时长的设置方法和装置
CN115515209A (zh) * 2021-06-23 2022-12-23 中移物联网有限公司 低功耗通讯方法、装置、终端设备、存储介质和系统
US11895080B2 (en) 2021-06-23 2024-02-06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resolution of inter-network domain nam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73978A1 (en) * 2009-01-08 2011-11-1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Data transmission device
US20160100362A1 (en) * 2014-09-29 2016-04-07 Convida Wireless, Llc Service capability server / epc coordination for power savings mode and paging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64958B2 (en) * 2013-08-08 2017-02-07 Intel IP Corporation Power saving mode optimizations and related procedures
KR102320037B1 (ko) 2014-05-08 2021-11-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절전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US9730156B1 (en) * 2014-11-07 2017-08-08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ower saving mode enhancements in a network environment
US9756564B2 (en) * 2015-01-13 2017-09-05 Intel IP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enhanced power saving for mobile terminated communication
EP3269182B1 (en) * 2015-03-13 2021-08-11 Intel Corporation Mobility management entity, user equipment and method to support extended discontinuous reception mechanism
US10616949B2 (en) 2015-09-11 2020-04-0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operating idle mode by applying extended DRX m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10721612B2 (en) * 2016-03-23 2020-07-2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cking area updat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11050705B2 (en) * 2017-03-20 2021-06-2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ignaling optimization during short messaging for internet of things devices in a mobility networ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73978A1 (en) * 2009-01-08 2011-11-1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Data transmission device
US20160100362A1 (en) * 2014-09-29 2016-04-07 Convida Wireless, Llc Service capability server / epc coordination for power savings mode and pag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29012B2 (en) 2021-09-21
WO2018199590A1 (ko) 2018-11-01
KR20180119308A (ko) 2018-11-02
US20200120478A1 (en) 2020-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312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모드 변경을 위한 타이머 값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6956227B2 (ja) 許可不要動作
EP3295713B1 (en) System and method of ue-centric radio access procedure
KR102394118B1 (ko) 단말 모니터링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1754447B1 (ko) 그룹 기반의 머신-투-머신 통신
TWI646858B (zh) 用於支持使用者設備(ue)之方法及存取節點、一ue、及在無線通訊系統中由該ue執行之對應方法
US2019002105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sav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RU2578666C2 (ru) Уменьшение избыточной сигнализации при переходах между состояниями управления радиоресурсами (rrc)
EP3678425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related device
US10306552B2 (en) Coordination using the UE application
RU2676409C1 (ru) Узел сети радиодоступа и способ для скоординированных во времени сот для расширенного прерывистого приема (edrx)
EP3689044B1 (en) Systems and methods providing an idle early data transmission solution accommodating power-saving mode
KR101912167B1 (ko) 자기-조직화 트래킹 영역들의 분산 구현
JP5753631B2 (ja) M2m端末グループのデータ伝送方法
US20210337472A1 (en) Bwp adjustment method and apparatus
US20210227623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6557421B2 (ja) 通信におけるタイマー・ハンドリング
TWI685273B (zh) 位置追踪方法及使用其之基站與用戶設備
EP261359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terminal connection control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2957135A1 (en) Method and network node for set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n idle mode
US20230403678A1 (en) Avoiding paging collision by ue comprising plurality of sims in wireless network
US1141245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ime period related to operating m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521218B1 (ko) 셀룰러 사물 인터넷 장치의 전력 절감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8352939A (zh) 延长用于扩展覆盖的计时器
WO2014007264A1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基地局及び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