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2207B1 - 다기능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 및 다기능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가 장착된 차량 - Google Patents
다기능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 및 다기능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가 장착된 차량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32207B1 KR102332207B1 KR1020200161459A KR20200161459A KR102332207B1 KR 102332207 B1 KR102332207 B1 KR 102332207B1 KR 1020200161459 A KR1020200161459 A KR 1020200161459A KR 20200161459 A KR20200161459 A KR 20200161459A KR 102332207 B1 KR102332207 B1 KR 1023322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rbell
- pair
- weight
- weight training
- auxiliary pulle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8—Devices for bench press exercises, e.g. supports, guid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2—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63B21/0724—Bar-bells; Hand bar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63B21/151—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 A63B21/154—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using special pulley-assembli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10—Multi-station exercising machi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 및 다기능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가 장착된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서로 연결되는 한 쌍의 고정 프레임, 상기 한 쌍의 고정 프레임 쪽에 각각 배치되는 무게추, 상기 한 쌍의 고정 프레임 각각에 설치되는 메인 도르래 유닛, 한 쌍의 상기 무게추에 각각 결합되는 보조 도르래 유닛, 상기 메인 도르래 유닛과 보조 도르래 유닛을 통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부에는 손잡이가 설치되는 케이블, 상기 고정 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무게추의 승강 이동을 안내하는 무게추 이동 안내봉 및, 한 쌍의 상기 고정 프레임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바벨이 연장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스미스 머신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한 자리에서 케이블 머신 운동과 스미스 머신 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다기능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가 장착된 차량을 통해 요즘과 같이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우려로 여러 사람이 모여 있는 피트니스 클럽을 방문하기를 꺼리는 사용자에게 차로 직접 이동하여 접근성과 편익성을 높이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기능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 및 다기능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가 장착된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미스 머신과 케이블 머신을 이용한 운동을 한 자리에서 수행할 수 있는 다기능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 및 다기능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가 장착된 차량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신체 근력을 키우는 웨이트 트레이닝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웨이트 트레이닝을 위한 운동기구로는 스미스 머신과 케이블 머신 등과 같은 다양한 머신을 이용하는 운동을 포함한다.
먼저, 스미스 머신은 역기 사용시 부상 방지 및 정확한 동작의 습득을 위해 사용하는 기구로서 상하 왕복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안전 고리가 설치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가슴, 어깨, 다리 등 전신의 근력을 향상하는 데에 사용된다.
또한, 케이블 머신은, 케이블에 연결된 손잡이를 통해 웨이트를 잡아당겨서 상체나 하체의 근육을 강화하기 위한 운동기구이다.
한편, 종래에는 사용자가 위치가 다른 스미스 머신과 케이블 머신을 모두 사용하고자 할 경우 자리를 옮길 수밖에 없었는데, 이미 그 머신의 선사용자가 있는 경우 대기할 수밖에 없어 불편이 따르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차량과 같은 좁은 공간에는 스미스 머신과 케이블 머신을 함께 설치하는 것이 사실상 곤란하여 차량을 이용한 웨이트 트레이닝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미스 머신과 케이블 머신을 결합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다양한 웨이트 트레이닝이 가능하고 차량에 장착할 경우에는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를 이용하기 어려운 장소에 있는 사람들에게 근력 운동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다기능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 및 다기능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가 장착된 차량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는,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서로 연결되는 한 쌍의 고정 프레임;
상기 한 쌍의 고정 프레임 쪽에 각각 배치되는 무게추;
상기 한 쌍의 고정 프레임 각각에 설치되는 메인 도르래 유닛;
한 쌍의 상기 무게추에 각각 결합되는 보조 도르래 유닛;
상기 메인 도르래 유닛과 보조 도르래 유닛을 통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부에는 손잡이가 설치되는 케이블;
상기 고정 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무게추의 승강 이동을 안내하는 무게추 이동 안내봉; 및,
한 쌍의 상기 고정 프레임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바벨이 연장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스미스 머신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미스 머신 유닛의 일측면은,
상기 한 쌍의 보조 도르래 유닛의 상부에 설치되는 바벨 거치부; 및,
상기 한 쌍의 바벨 거치부에 양측이 고정 결합되는 바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미스 머신 유닛의 다른 측면은,
상기 무게추 이동 안내봉을 둘러싼 상태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파이프와, 상기 제1 파이프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이동편;
상기 제2 파이프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바벨; 및,
상기 바벨의 길이방향 양측에 연결되어 바벨의 이동에 저항력을 작용하는 저항 유닛;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미스 머신 유닛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한 쌍의 고정 프레임의 상단과 하단을 상하 방향으로 연결하는 가이드 봉체;
상기 가이드 봉체를 둘러싼 상태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파이프와, 상기 제1 파이프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이동편;
상기 제2 파이프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바벨; 및,
상기 바벨의 길이방향 양측에 연결되어 바벨의 이동에 저항력을 작용하는 저항 유닛;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항 유닛은, 상기 바벨의 길이방향 양측 각각과 바닥 사이에 연결되는 탄성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항 유닛은, 상기 바벨의 길이방향 양측에 설치되는 원반 무게추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항 유닛은, 상기 바벨의 길이방향 양측 각각과 상기 케이블 타단의 연결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저항유닛은, 상기 고정 프레임에 상기 바벨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복수 개가 상하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되는 걸림바와, 상기 바벨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바에 걸리는 걸림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가 장착된 차량은,
상기 한 쌍의 고정 프레임이 차량의 양 측부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서로 연결되는 한 쌍의 고정 프레임, 상기 한 쌍의 고정 프레임 쪽에 각각 배치되는 무게추, 상기 한 쌍의 고정 프레임 각각에 설치되는 메인 도르래 유닛, 한 쌍의 상기 무게추에 각각 결합되는 보조 도르래 유닛, 상기 메인 도르래 유닛과 보조 도르래 유닛을 통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부에는 손잡이가 설치되는 케이블, 상기 고정 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무게추의 승강 이동을 안내하는 무게추 이동 안내봉 및, 한 쌍의 상기 고정 프레임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바벨이 연장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스미스 머신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한 자리에서 케이블 머신 운동과 스미스 머신 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미스 머신 유닛은 한 쌍의 보조 도르래 유닛의 상부에 설치되는 바벨 거치부 및, 상기 한 쌍의 바벨 거치부에 양측이 고정 결합되는 바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바벨을 이용하여 무게추를 들어올리는 운동을 할 수 있어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는데 비해 구성이 매우 단순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미스 머신 유닛은, 무게추 이동 안내봉을 둘러싼 상태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파이프와, 상기 제1 파이프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이동편, 상기 제2 파이프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바벨 및, 상기 바벨의 양측에 연결되는 탄성체나 원반 무게추 등의 저항 유닛을 포함하고 있어, 한 자리에서 벤치 프레스나 바벨 스쿼트 운동 등 다양한 스미스 머신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 프레임에는 바벨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복수 개가 상하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되는 걸림바가 형성되고, 상기 바벨에는 상기 걸림바에 걸리는 걸림고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스미스 머신을 사용하지 않을 때, 걸림고리를 걸림바를 이용하여 바벨을 원하는 높이에 거치할 수 있어 편리하고, 바벨을 비교적 높은 위치에 올린 상태에서 걸림고리를 걸림바에 걸어놓으면 풀업(턱걸이) 운동으로의 활용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기능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를 차량에 장착하되, 상기 한 쌍의 고정 프레임이 차량의 양 측부에 고정 설치되도록 하여, 요즘과 같이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우려로 여러 사람이 모여 있는 피트니스 클럽을 방문하기를 꺼리는 사용자에게 차로 직접 이동하여 접근성과 편익성을 높이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스미스 머신과 케이블 머신 운동기구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에 적용되는 저항 유닛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에 적용되는 저항 유닛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에 적용되는 저항 유닛의 또 다른 구성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가 차량에 적용된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에 적용되는 저항 유닛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에 적용되는 저항 유닛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에 적용되는 저항 유닛의 또 다른 구성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가 차량에 적용된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1000)는,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서로 연결되는 한 쌍의 고정 프레임(100), 상기 한 쌍의 고정 프레임(100) 쪽에 각각 배치되는 무게추(200), 상기 한 쌍의 고정 프레임(100) 각각에 설치되는 메인 도르래 유닛(300), 한 쌍의 상기 무게추(200)에 각각 결합되는 보조 도르래 유닛(400), 상기 메인 도르래 유닛(300)과 보조 도르래 유닛(400)을 통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부에는 제1 손잡이(510)가 설치되는 케이블(500), 상기 고정 프레임(100)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무게추(200)의 승강 이동을 안내하는 무게추 이동 안내봉(110) 및, 한 쌍의 상기 고정 프레임(100)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바벨(610)이 연장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스미스 머신 유닛(600)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는 한 자리에서 케이블 머신과 스미스 머신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즉, 한 자리에서 상기 제1 손잡이(510)를 잡아당겨서 무게추(200)를 들어올림으로써 근력 운동을 수행할 수도 있고, 바벨(610)을 들어올려서 다양한 근력 운동을 수행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케이블(500)의 타단에도 제2 손잡이(520)를 설치하여 반대쪽에서도 제2 손잡이(520)를 잡아당겨서 근력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케이블(500)의 일단에 연결된 제1 손잡이(510)가 고정 프레임(100)의 상단에 설치된 메인 도르래 유닛(300)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게 되어 있고, 케이블(500)의 타단에 연결된 제2 손잡이(520)가 고정 프레임(100)의 하단에 설치된 메인 도르래 유닛(300)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손잡이(510)과 제2 손잡이(520)의 어느 손잡이를 잡아당겨도 근력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고정 프레임(100)의 형상이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으나, 메인 도르래 유닛(300)이나 무게추(200)를 설치하는데 지장이 없다면 그 형상에 있어서 특별히 제한을 둘 필요는 없다.
또한, 상기 메인 도르래 유닛(300)과 보조 도르래 유닛(400)은 한 쌍의 도르래 프레임(DF) 내에 회전체(RD)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힌지(H)를 통해 기울어지는 동작도 가능하게 되어 있으나, 다른 공지의 구조가 채택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체(RD)는 도르래 프레임(DF)에 가려서 육안으로 잘 보이지 않는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한 쌍의 고정 프레임(100)은 상단 일측에서 제1 가로 지지대(150)에 의해 연결되고, 하단에서 제2 가로 지지대(160)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나, 추가적인 지지대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그 설치되는 위치 또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한 쌍의 고정 프레임(100)과 제1 가로 지지대(150) 및 제2 가로 지지대(160)에 의해 전체적으로 직각 채널형을 이루게 되며, 상기 채널형의 홈 내에서 케이블 머신 운동과 스미스 머신 운동을 자유롭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1000)에 포함되는 스미스 머신 유닛(600)의 몇 가지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구성부호를 부여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미스 머신 유닛(600)은, 상기 한 쌍의 보조 도르래 유닛(400)의 상부에 직접 설치되는 바벨 거치부(620) 및, 상기 한 쌍의 바벨 거치부(620)에 양측이 결합되는 바벨(6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바벨(610)을 들어올릴 때, 상기 바벨(610)이 결합되는 상기 바벨 거치부(620)와, 상기 바벨 거치부(620)가 설치된 보조 도르래 유닛(400)과, 상기 보조 도르래 유닛(400)에 결합된 무게추(400)가 함께 들어올려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보조 도드래 유닛(200)으로부터 인출된 케이블(500)은 상기 바벨(610)을 중심으로 위쪽을 향해 양쪽으로 분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바벨(610)을 들어올릴 때, 상기 바벨(610)이 결합되는 상기 바벨 거치부(620)와, 상기 바벨 거치부(620)가 설치된 보조 도르래 유닛(400)과, 상기 보조 도르래 유닛(400)에 결합된 무게추(400)가 함께 들어올려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보조 도드래 유닛(200)으로부터 인출된 케이블(500)은 상기 바벨(610)을 중심으로 위쪽을 향해 양쪽으로 분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엄밀하게는, 상기 바벨 거치부(620)는 보조 도르래 유닛(400)을 구성하는 도르래 프레임(DF)에 설치된다고 보면 되고, 그 고정 설치구조는 용접이나 볼트 체결구조 등 공지의 어떠한 구조도 가능하다.
상기 바벨 거치부(620)는 환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바벨(610)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일 예로서, 상기 바벨 거치부(620)의 2개의 몸체(622)가 힌지부(621)를 중심으로 상대 회전하여 상호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상기 바벨(610)에는 상기 바벨 거치부(620)의 몸체(622) 내면이 접촉 결합하도록 결합홈(6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기 바벨 거치부(620)가 바벨(610)로부터 빠지는 경우가 없으며, 바벨(610)을 들 때 무게추(200)가 함께 들어올려지게 되므로 근력운동을 한층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미스 머신 유닛(600)은, 상기 무게추이동 안내봉(110)을 둘러싼 상태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파이프(631)와, 상기 제1 파이프(631)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파이프(632)로 이루어지는 이동편(630), 상기 제2 파이프(632)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바벨(610) 및, 상기 바벨(610)의 길이방향 양측에 연결되어 바벨(610)의 이동에 저항력을 작용하는 저항 유닛(6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는 바벨(610)을 들 때 상기 저항 유닛(640)의 저항을 극복해야 하므로 적절한 근력 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상기 무게추이동 안내봉(110)을 따라 상기 제1 파이프(631)가 이동하게 되므로 근력 운동시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항 유닛(640)으로는, 상기 바벨(610)의 길이방향 양측 각각과 바닥 사이에 연결되는 탄성체(641)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641)의 예로는, 도시된 바와 같은 인장 스프링(641a)이나 고무 밴드(641b) 등이 채택될 수 있다.
또한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항 유닛(640)은, 상기 바벨(610)의 길이방향 양측에 착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반 무게추(642)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프레임(100)에는 상기 바벨(610)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복수개가 상하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되는 걸림바(130)가 형성되고, 상기 바벨(610)에는 상기 걸림바(130)에 걸리는 걸림고리(61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걸림바(130)는 한 쌍의 고정 프레임(100)의 서로 대면하는 면에서 서로를 향해 돌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고 복수개가 상하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미스 머신을 사용하지 않을 때, 걸림고리(615)를 걸림바(130)를 이용하여 바벨(610)을 원하는 높이에 거치할 수 있다.
더욱이, 바벨(610)을 비교적 높은 위치에 올린 상태에서 걸림고리(615)를 걸림바(130)에 걸어놓으면 풀업(턱걸이) 운동으로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걸림바(130)와 걸림고리(615)는 일종의 저항 유닛으로 기능한다.
또한, 하단의 메인 도르래 유닛(300)을 통해 상기 바벨(610)의 길이방향 양측 각각과 상기 케이블(500) 타단이 연결되도록 하면 무게추(200)를 이용한 근력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후술하는 제3 실시예를 예시하는 도 9를 참조할 수 있다.
즉, 상기 바벨(610)에는 케이블(500)의 타단이 연결되는 고정고리(619)가 설치될 수 있으며, 그 구조는 전술한 바벨 거치부(620)와 바벨(610) 사이의 결합구조와 유사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가 바벨(610)을 들 때 무게추(200)가 들어올려지므로 벤치 프레스나 바벨 스쿼트 등 다양한 근력 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3 실시예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미스 머신 유닛(600)은, 상기 한 쌍의 고정 프레임(100)의 상단과 하단을 상하 방향으로 연결하는 가이드 봉체(180), 상기 가이드 봉체(180)를 둘러싼 상태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파이프(631)와, 상기 제1 파이프(631)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파이프(632)로 이루어지는 이동편(630), 상기 제2 파이프(632)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바벨(610) 및, 상기 바벨(610)의 길이방향 양측에 연결되어 바벨(610)의 이동에 저항력을 작용하는 저항 유닛(6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는 바벨(610)을 들 때 상기 저항 유닛(640)의 저항을 극복해야 하므로 적절한 근력 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저항 유닛(640)으로는, 상기 바벨(610)의 길이방향 양측 각각과 바닥 사이에 연결되는 탄성체(641)로 구성될 수 있다(도 8의 (a)와 (b) 참조)
상기 탄성체(641)의 예로는, 도시된 바와 같은 인장 스프링(641a)이나 고무 밴드(641b) 등이 채택될 수 있다.
또한,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항 유닛(640)은, 상기 바벨(610)의 길이방향 양측에 착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반 무게추(642)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8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프레임(100)에는 상기 바벨(610)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복수 개가 상하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되는 걸림바(130)가 형성되고, 상기 바벨(610)에는 상기 걸림바(130)에 걸리는 걸림고리(61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걸림바(130)는 한 쌍의 고정 프레임(100)의 서로 대면하는 면에서 서로를 향해 돌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고 복수개가 상하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미스 머신을 사용하지 않을 때, 걸림고리(615)를 걸림바(130)를 이용하여 바벨(610)을 원하는 높이에 거치할 수 있다.
더욱이, 바벨(610)을 비교적 높은 위치에 올린 상태에서 걸림고리(615)를 걸림바(130)에 걸어놓으면 풀업(턱걸이) 운동으로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걸림바(130)와 걸림고리(615)는 일종의 저항 유닛으로 기능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의 메인 도르래 유닛(300)을 통해 상기 바벨(610)의 길이방향 양측 각각과 상기 케이블(500) 타단이 연결되도록 하면 무게추(200)를 이용한 근력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바벨(610)에는 케이블(500)의 타단이 연결되는 고정고리(619)가 설치될 수 있으며, 그 구조는 전술한 바벨 거치부(620)와 바벨(610) 사이의 결합구조와 유사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가 바벨(610)을 들 때 무게추(200)가 들어올려지므로 벤치 프레스나 바벨 스쿼트 등 다양한 근력 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서는 벤치 프레스를 위한 벤치(700)가 배치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다기능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1000)가 차량(VC) 내에 장착되면 차량 내에서 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한 쌍의 고정 프레임(100)이 차량(VC)의 양 측부에 고정 설치되어 차량 실내에서 자유롭게 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요즘과 같이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우려로 여러 사람이 모여 있는 피트니스 클럽을 방문하기를 꺼리는 사용자에게 차로 직접 이동하여 접근성과 편익성을 높이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고정 프레임
110... 무게추 이동 안내봉
130... 걸림바
150... 제1 가로 지지대
160... 제2 가로 지지대
180... 가이드 봉체
200... 무게추
300... 메인 도르래 유닛
400... 보조 도르래 유닛
500... 케이블
510... 제1 손잡이
520... 제2 손잡이
600... 스미스 머신 유닛
610... 바벨
611... 결합홈
615... 걸림고리
619... 고정고리
620... 바벨 거치부
621... 힌지부
622... 몸체
630... 이동편
631... 제1 파이프
632... 제2 파이프
1000... 본 발명의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
VC... 차량
H... 힌지
DF... 도르래 프레임
RD... 회전체
110... 무게추 이동 안내봉
130... 걸림바
150... 제1 가로 지지대
160... 제2 가로 지지대
180... 가이드 봉체
200... 무게추
300... 메인 도르래 유닛
400... 보조 도르래 유닛
500... 케이블
510... 제1 손잡이
520... 제2 손잡이
600... 스미스 머신 유닛
610... 바벨
611... 결합홈
615... 걸림고리
619... 고정고리
620... 바벨 거치부
621... 힌지부
622... 몸체
630... 이동편
631... 제1 파이프
632... 제2 파이프
1000... 본 발명의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
VC... 차량
H... 힌지
DF... 도르래 프레임
RD... 회전체
Claims (9)
-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서로 연결되는 한 쌍의 고정 프레임;
상기 한 쌍의 고정 프레임 쪽에 각각 배치되는 무게추;
상기 한 쌍의 고정 프레임 각각에 설치되는 메인 도르래 유닛;
한 쌍의 상기 무게추에 각각 결합되는 보조 도르래 유닛;
상기 메인 도르래 유닛과 보조 도르래 유닛을 통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부에는 손잡이가 설치되는 케이블;
상기 고정 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무게추의 승강 이동을 안내하는 무게추 이동 안내봉; 및,
한 쌍의 상기 고정 프레임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바벨이 연장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스미스 머신 유닛;
을 포함하되,
상기 스미스 머신 유닛은,
상기 한 쌍의 보조 도르래 유닛의 상부에 직접 설치되며 상기 바벨이 결합되는 바벨 거치부; 및,
상기 한 쌍의 바벨 거치부에 길이방향 양측이 고정 결합되는 바벨;
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 도르래 유닛으로부터 인출된 케이블은 상기 바벨을 중심으로 위쪽을 향해 양쪽으로 분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바벨을 들어올릴 때 상기 바벨이 결합되는 상기 바벨 거치부와, 상기 바벨 거치부가 설치된 보조 도르래 유닛과, 상기 보조 도르래 유닛에 결합된 무게추가 함께 들어올려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벨 거치부는 상기 바벨의 둘레를 둘러싸는 2개의 몸체가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대 회전하여 상호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바벨의 외면에는 상기 바벨 거치부의 몸체 내면이 접촉 결합하도록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
-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다기능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가 장착된 차량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고정 프레임이 차량의 양 측부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가 장착된 차량.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46995 | 2020-11-05 | ||
KR1020200146995 | 2020-11-05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32207B1 true KR102332207B1 (ko) | 2021-12-01 |
Family
ID=78899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61459A KR102332207B1 (ko) | 2020-11-05 | 2020-11-26 | 다기능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 및 다기능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가 장착된 차량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32207B1 (ko)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5002678A2 (en) * | 2003-06-27 | 2005-01-13 | Keiser Corporation | Exercise apparatus using weight and pneumatic resistances |
KR20060080849A (ko) * | 2005-06-15 | 2006-07-11 | 이해석 | 간이 역기 |
KR20140045763A (ko) * | 2012-10-09 | 2014-04-17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케이블 운동기구 |
KR20140049766A (ko) * | 2012-10-18 | 2014-04-28 | 유흥열 | 차량 탑재형 이동식 스윙 놀이기구 |
US20160144218A1 (en) * | 2014-11-24 | 2016-05-26 | Joong Chenn Industry Co., Ltd. | Multifunctional leg training machine |
KR20170005739A (ko) * | 2015-07-06 | 2017-01-16 | 한태희 | 웨이트트레이닝 머신 |
KR102004656B1 (ko) | 2018-05-10 | 2019-07-26 | 이병돈 | 각도조절 및 스윙 가능한 스미스 머신 |
KR102053683B1 (ko) | 2017-11-27 | 2019-12-09 | 주식회사 론픽 | 전동제어식 피트니스 케이블 머신 |
-
2020
- 2020-11-26 KR KR1020200161459A patent/KR10233220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5002678A2 (en) * | 2003-06-27 | 2005-01-13 | Keiser Corporation | Exercise apparatus using weight and pneumatic resistances |
KR20060080849A (ko) * | 2005-06-15 | 2006-07-11 | 이해석 | 간이 역기 |
KR20140045763A (ko) * | 2012-10-09 | 2014-04-17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케이블 운동기구 |
KR20140049766A (ko) * | 2012-10-18 | 2014-04-28 | 유흥열 | 차량 탑재형 이동식 스윙 놀이기구 |
US20160144218A1 (en) * | 2014-11-24 | 2016-05-26 | Joong Chenn Industry Co., Ltd. | Multifunctional leg training machine |
KR20170005739A (ko) * | 2015-07-06 | 2017-01-16 | 한태희 | 웨이트트레이닝 머신 |
KR102053683B1 (ko) | 2017-11-27 | 2019-12-09 | 주식회사 론픽 | 전동제어식 피트니스 케이블 머신 |
KR102004656B1 (ko) | 2018-05-10 | 2019-07-26 | 이병돈 | 각도조절 및 스윙 가능한 스미스 머신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621807A (en) | Leg and hip exercising apparatus | |
US11918839B2 (en) | Reversible resistance exercise machine | |
US7086999B2 (en) | Bar with sliding handgrips for resistance exercise device | |
AU582922B2 (en) | Cable-operated exerciser | |
US4934693A (en) | Multi-exercise free weight apparatus | |
US5401227A (en) | Constant tension exercise device | |
US7553262B2 (en) | Exercise apparatus using weights and springs for high-speed training | |
US5669859A (en) | Weightlifting apparatus | |
US5016874A (en) | Multi-directional exercise device | |
US4188029A (en) | Multiple use weight lifting exercising device | |
AU598431B2 (en) | Weightlifting exercise device | |
US4010947A (en) | Variable weight exercise machine | |
KR101904909B1 (ko) | 무게추를 갖는 헬스기구 | |
US20060040810A1 (en) | Foldable gravity resistance gym | |
US20120083392A1 (en) | Variable grip and resistance exercise machine | |
US4691918A (en) | Multiple exercise device | |
KR102332207B1 (ko) | 다기능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 및 다기능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가 장착된 차량 | |
US7134989B2 (en) | Multifunction exercise machine | |
US5046725A (en) | Variable weight grip exerciser | |
KR101064307B1 (ko) | 상체 운동기구 | |
CA2383085A1 (fr) | Appareil de musculation pour faire des pompes | |
KR102029703B1 (ko) | 다목적 운동기구 | |
KR20120121774A (ko) | 운동기구 | |
US7524270B2 (en) | Exercise machine | |
KR200366132Y1 (ko) | 종합 헬스기의 스탠딩 카프 라이즈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