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1443B1 - 선택된 모드를 기반으로 한 3차원 프린터 시스템 조정 - Google Patents

선택된 모드를 기반으로 한 3차원 프린터 시스템 조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1443B1
KR102331443B1 KR1020197037928A KR20197037928A KR102331443B1 KR 102331443 B1 KR102331443 B1 KR 102331443B1 KR 1020197037928 A KR1020197037928 A KR 1020197037928A KR 20197037928 A KR20197037928 A KR 20197037928A KR 102331443 B1 KR102331443 B1 KR 102331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deposition component
energy
agent
contro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7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1465A (ko
Inventor
바네사 베르지비벨트
매튜 에이 셰퍼드
아더 에이치 바네스
웨슬리 알 슈앨크
헥토르 호세 르브론
제이크 라이트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ublication of KR20200011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1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1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1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86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393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0Additive manufacturing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0Additive manufacturing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 B22F10/10Formation of a green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0Additive manufacturing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 B22F10/30Process control
    • B22F10/36Process control of energy beam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0Additive manufacturing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 B22F10/8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 B22F10/85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65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a combination of solid and fluid materials, e.g. a powder selectively bound by a liquid binder, catalyst, inhibitor or energy absor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05Means for apply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95Hea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50/0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33Y50/02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0Additive manufacturing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 B22F10/70Recycling
    • B22F10/73Recycling of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203/00Cont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999/00Aspects linked to processes or compositions used in powder metallu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5Process effici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Abstract

3차원 프린터용 제어 시스템은 에너지 구성 요소 인터페이스,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 인터페이스 및 제어 로직을 포함한다. 제어 로직은, 인쇄 작업에서, 지정된 출력 객체를 형성할 때, 에너지 구성 요소 인터페이스를 통한 에너지 구성 요소 및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를 통한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의 작동을 제어한다. 부가적으로, 일부 예에서, 제어 로직은 복수의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각각의 모드는, 선택되었을 때, 에너지 구성 요소 또는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 파라미터 하나 이상을 조정한다.

Description

선택된 모드를 기반으로 한 3차원 프린터 시스템 조정
3차원 프린터 시스템은 3차원 물체를 출력물로서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3차원 프린터 시스템의 작동은 사용된 빌드 재료의 유형이나 원하는 출력물의 품질이나 프린터 시스템 자체의 특성과 같은 다양한 요인에 기초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개시 내용은 유사한 참조 번호가 유사한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이하의 첨부 도면들에서 제한없이 예로서 나타낸다.
도 1은 예시적인 3차원 프린터용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작동 중에 조정될 수 있는 예시적인 3차원 프린터를 도시한다.
도 3은 3차원 프린터의 작동 파라미터를 조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도면 전반에 걸쳐, 동일한 참조 번호는 유사하지만 반드시 동일한 요소를 지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은 반드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은 아니며, 일부의 크기는 도시된 예를 보다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또한, 도면은 상세한 설명과 일치하는 예 및/또는 구현예를 제공한다. 그러나 상세한 설명은 도면에 제공된 예 및/또는 구현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들은 선택된 모드에 따라 작동을 조정할 수 있는 3차원 프린터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부 예에서, 선택된 작동 모드에 기초하여, 3차원 프린터 시스템은 3차원 프린터 시스템의 내부 구성 요소가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관한 작동 파라미터의 세트를 조정할 수 있다. 3차원 프린터 시스템은 선택된 작동 모드에 따라 인쇄 작업에 의해 지정된 출력물의 물리적 특성을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일부 예에서, 예들은 사용자가 다수의 이용 가능한 사전 결정된 모드 중에서 하나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3차원 프린터용 제어 시스템을 포함한다. 다수의 사전 결정된 모드의 각각은 3차원 출력물의 물리적 특성, 예컨대, 색상 특성 및 기계적 특성에 대한 공차의 허용 가능 범위를 정의할 수 있다.
시스템 설명
도 1은 3차원 프린터 시스템의 작동 파라미터를 조정할 수 있는 예시적인 3차원 프린터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프린터 제어 시스템(100)은 제어 로직(102), 에너지 구성 요소 인터페이스(104) 및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 인터페이스(106)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로직(102)은 출력물을 생성하기 위해 3차원 프린터 시스템의 작동을 관리하는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로직(102)은 에너지 구성 요소 인터페이스(104)를 통해 에너지 구성 요소의 작동을 제어하고,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 인터페이스(106)를 통해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를 제어하여 출력물을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3차원 프린터 제어 시스템(100)은 재료 증착 구성 요소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제어 로직(102)은 재료 증착 구성 요소 인터페이스를 통해 재료 증착 구성 요소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어 로직(102)은 출력물을 생성하기 위해 인쇄 작업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에너지 구성 요소, 재료 증착 구성 요소 및/또는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의 작동을 제어할 때, 사용될 작동 파라미터의 세트를 결정한다. 또 다른 예에서, 제어 로직(102)은 다수의 작동 모드를 구현할 수 있고, 각각의 모드는 3차원 프린터 시스템의 출력물에 대한 공차의 세트를 정의할 수 있다. 공차는, 예를 들어, 치수 공차, 강도나 재료 특성의 공차, 및 심미적 공차(tolerances of aesthetics)(예컨대, 색상의 진동(vibrancy of color))와 관련될 수 있다. 또한, 각 모드는 다른 모드의 기본값 또는 대응하는 공차값과 비교하여 특정 공차를 제한하거나 완화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각의 모드는 제어 로직(102)이 3차원 프린터 시스템의 작동 파라미터를 출력물의 원하는 물리적 특성의 세트로 매핑하기 위해 대응하는 공차의 범위를 구현하게 할 수 있다.
선택된 모드는 제어 로직(102)이 각각 에너지 구성 요소 인터페이스(104),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 인터페이스(108) 및/또는 재료 구성 요소 인터페이스를 통해 에너지 구성 요소,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 및/또는 재료 증착 구성 요소의 작동 파라미터 중 하나 이상을 조정하게 할 수 있다. 에너지 구성 요소(예컨대, 할로겐 텅스텐 램프)는 에너지(예컨대, 열 에너지)를 빌드 재료에 전달하여 인쇄 작업에 의해 지정된 물리적 특성이 있는 출력물을 형성하도록 빌드 재료를 함께 융합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빌드 재료는 분말형(예컨대, 분말 기반 플라스틱)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빌드 재료는 융합제(예컨대, 빌드 재료를 가열, 용융 및 융합시키는 열 흡수제)와 조합될 수 있다. 제어 로직(102)이 제어 및/또는 조정할 수 있는 에너지 구성 요소의 작동 파라미터의 예로는 에너지의 양을 들 수 있다. 제어 로직(102)은, 에너지가 전달될 때; 에너지 구성 요소가 빌드 재료에 에너지를 전달하는 기간; 전달된 에너지의 온도 및/또는 파장; 전력 출력; 및 빌드 재료 및/또는 작용제에 대한 위치를 포함할 수 있는 인자에 기초한 작동 파라미터에 따라 에너지를 조정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어 로직(102)은 출력물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다양한 작용제(예컨대, 착색제/융합제)로부터 임의의 작용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예에서, 인쇄 작업은 선택할 작용제 유형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재료 증착 구성 요소는 융합될 빌드 재료를 증착하여 배치할 수 있다. 제어 로직(102)이 제어 및/또는 조정할 수 있는 재료 증착 구성 요소의 작동 파라미터의 예로는 증착될 빌드 재료의 양을 들 수 있다. 제어 로직(102)은, 빌드 재료가 증착될 때, 증착되는 빌드 재료의 유형(예컨대, 플라스틱, 금속 등), 빌드 재료가 증착되는 속도 및/또는, 3차원 프린터 시스템이 빌드 플랫폼을 포함하는 예에서, 빌드 재료가 증착될 빌드 플랫폼 상의 위치에 기반하는 작동 파라미터에 따라 증착될 빌드 재료의 양을 조정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선택된 모드는 제어 로직(102)이 재료 증착 구성 요소가 신규 빌드 재료(예컨대, 에너지 구성 요소로부터의 에너지에 노출되지 않은 빌드 재료), 재활용 빌드 재료(예컨대, 이전 인쇄 작동/작업 동안에 에너지 구성 요소로부터의 에너지에 노출되었지만, 빌드 재료를 완전히 융합하여 출력물을 형성하기에는 에너지가 충분하지 않은 빌드 재료) 또는 신규 빌드 재료와 재활용 빌드 재료의 혼합물을 증착할지를 조정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3차원 프린터 시스템(100)은 신규 빌드 재료 또는 재활용 빌드 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리셉터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예에서, 제어 로직(102)은 인쇄 작업으로부터 초기에 결정된 작동 파라미터를 해당 모드에서 지시된 작동 파라미터로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 작업에서 3차원 프린터 시스템(100)의 출력물이 신규 빌드 재료를 사용하도록 지정되더라도, 재료 증착 구성 요소가 재활용 빌드 재료를 대신 증착시키도록 선택된 모드는 제어 로직(102)을 트리거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예컨대, 이전 인쇄 이벤트에서 재활용된 빌드 재료가 너무 융합되거나 변경되어 다음 인쇄 작업에서 지정된 물리적 속성이 있는 출력물을 형성할 수 없는 경우) 제어 로직(102)은 3차원 프린터 시스템(100)에 저장된 재활용 빌드 재료가 현재 인쇄 작업에 적합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선택된 모드는 재활용 빌드 재료의 사용이 재활용 빌드 재료의 사용인지 아니면 신규 빌드 재료와 재활용 빌드 재료의 혼합물의 사용인지에 따라 특정될 수 있다.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는, 예를 들어, 출력물의 시각적 외관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작용제를 증착시켜 배치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는 융합제 및/또는 착색제를 증착시킬 수 있다. 제어 로직(102)이 제어 및/또는 조정할 수 있는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의 작동 파라미터의 예로는 증착될 작용제의 양을 들 수 있다. 제어 로직(102)은, 작용제가 증착될 때, 증착될 작용제의 유형(예컨대, 착색제 및/또는 융합제), 작용제의 증착 속도, 작용제가 증착될 빌드 재료(신규 빌드 재료나 재활용 빌드 재료, 또는 신규 및 재활용 빌드 재료의 혼합물)상의 위치에 기초하는 작동 파라미터에 따라 증착될 작용제의 양을 조정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선택된 모드는 제어 로직(102)이 착색제 및 융합제의 혼합물과 관련된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의 작동 파라미터를 조정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3차원 프린터 시스템은 융합제나 다양한 착색제를 저장하기 위한 리셉터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예에서, 제어 로직(102)은 인쇄 작업에서 초기에 결정된 작동 파라미터를, 대응하는 모드에서 지시된 작동 파라미터로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로직(102)은 인쇄 작업의 심미적 특성(예컨대, 색상 진동(color vibrancy)), 착색제의 혼합물, 또는 착색제와 융합제의 조합으로부터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가 상기 심미적 특성을 달성하기 위해 증착되어야 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로직(102)은 선택된 모드가 재료 강도 특성에 대한 공차 범위를 제한하거나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출력물의 심미적 특성에 대한 공차 범위를 완화함을 나타내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택된 모드에 기초하여, 제어 로직(102)은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가 선택된 모드의 공차 범위 내에 있는 착색제의 혼합물이나 착색제와 융합제의 조합을 증착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선택된 모드에 기초하여, 제어 로직(102)은 정렬된 계층화 프로세스(예컨대, 3차원 프린터 시스템은 빌드 재료 및 작용제의 층을 연속적으로 증착 및 융합함으로써 출력물을 형성함)를 제어 및/또는 조정하여 출력물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로직(102)은 재료 증착 구성 요소 및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가 빌드 재료 및 작용제(예컨대, 착색제 및/또는 융합제)를 배치하는 순서를 제어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제어 로직(102)은 에너지 구성 요소가 에너지를 빌드 재료 및/또는 작용제에 노출시키는 타이밍 및 순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로직(102)은 다수의 가능한 모드 중 어느 하나에서 작동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각각의 모드는, 출력물을 형성하기 위해 3차원 프린터 시스템(예컨대, 에너지 구성 요소, 재료 증착 구성 요소 및/또는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의 프로세스를 구현할 때, 제어 로직(102)이 고수할 수 있는 인쇄 작업에 의해 지정된 출력물의 물리적 특성과 관련한 공차의 허용 가능 범위를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각각의 모드는, 출력물을 형성하기 위해 3차원 프린터 시스템의 프로세스를 구현할 때, 제어 로직(102)이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는 물리적 특성(예컨대, 출력물의 심미성, 출력물의 강도 및 출력 객체의 치수 정확도)을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일부 모드는 제어 로직(102)이 인쇄 작업에 의해 지정된 출력물의 물리적 특성과 관련하여 공차의 허용 가능 범위(예컨대, 교정 모드(proof mode))를 완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완화된 공차 범위를 나타내는 선택된 모드는 제어 로직(102)이 완화된 공차 범위 내에서 물리적 특성을 갖는 출력물을 형성하기 위해 3차원 프린터 시스템(예컨대, 에너지 구성 요소, 재료 증착 구성 요소 및/또는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에 대한 작동 파라미터의 세트를 결정하게 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일부 예에서, 제어 로직(102)은 (예컨대, 인쇄 작업에 의해 지정된 물리적 특성이 있는 출력물을 형성하기 위해) 인쇄 작업에 대해 초기에 결정된 작동 파라미터를 완화된 공차 범위 내에서 물리적 특성이 있는 출력물을 형성하는 작동 파라미터로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선택된 모드는 3차원 프린터 시스템에 의해 인쇄 작업의 출력물의 전체적인 형성을 더 빠르게 할 수 있다. 3차원 프린터 시스템의 내부 구성 요소의 작동 파라미터의 예에서, 제어 로직(102)은 완화된 공차 범위 내에서 물리적 특성을 갖는 출력물을 형성하도록 조정될 수 있으며, 이는 에너지 구성 요소에 의해 전달되는 에너지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과, 에너지 구성 요소가 빌드 재료 및/또는 작용제에 에너지를 전달하는 횟수를 감소시키는 것과, 재료 증착 구성 요소에 의해 증착된 빌드 재료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과, 재료 증착 구성 요소에 의해 빌드 재료가 증착되는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과,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에 의해 증착된 작용제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 및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가 작용제를 증착시키는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완화된 공차 범위를 나타내는 선택된 모드는 인쇄 작업에 의해 지정된 물리적 특성과는 다른 물리적 특성(예컨대, 심미성, 신장(elongation), 인장 강도, 충격 강도, 치수 정확도 등)을 갖는 출력물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체는 인쇄 작업에 의해 지정된 강도 특성보다 실질적으로 약할 수 있고, 출력물의 심미성은 인쇄 작업에 의해 지정된 심미적 특성과는 (예컨대, 덜 생생한 채색과 같이) 상이할 수 있으며/있거나 출력물의 치수는 인쇄 작업에 의해 지정된 치수 특성보다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일부 모드는 제어 로직(102)이 인쇄 작업에 의해 지정된 출력물의 물리적 특성과 관련하여 공차의 허용 가능 범위(예컨대, 최종 모드)를 제한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제한된 공차의 범위를 갖는 선택된 모드는 제어 로직(102)이 인쇄 작업에 의해 지정된 물리적 특성과 근접하게 일치하는 출력물을 형성하기 위해 3차원 프린터 시스템(예컨대, 에너지 구성 요소, 재료 증착 구성 요소 및/또는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에 대한 작동 파라미터의 세트를 결정하게 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일부 예에서, 제어 로직(102)은 (예컨대, 인쇄 작업에 의해 지정된 물리적 특성이 있는 출력물을 형성하기 위해) 인쇄 작업에 대해 초기에 결정된 작동 파라미터를 제한된 공차 범위 내에서 물리적 특성이 있는 출력물을 형성하는 작동 파라미터로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3차원 프린터 시스템에 의해 인쇄 작업의 출력물의 전체적인 형성은 더 느려질 수 있다. 3차원 프린터 시스템의 내부 구성 요소의 작동 파라미터의 예에서, 제어 로직(102)은 에너지 구성 요소에 의해 전달되는 에너지의 양을 증가시키는 것과, 에너지 구성 요소가 빌드 재료 및/또는 작용제에 에너지를 전달하는 횟수를 증가시키는 것과, 재료 증착 구성 요소에 의해 증착된 빌드 재료의 양을 증가시키는 것과, 재료 증착 구성 요소가 빌드 재료를 증착시키는 속도를 감소시키는 것과,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에 의해 증착된 작용제의 양을 증가시키는 것, 및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가 작용제를 증착시키는 속도를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작동 파라미터를 조정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완화된 공차 범위를 나타내는 선택된 모드는 인쇄 작업에 의해 지정된 물리적 특성과 더욱 근접하게 일치하는 물리적 특성(예컨대, 출력물의 물리적 특성(예컨대, 심미성, 신장, 인장 강도, 충격 강도, 치수 정확도 등))이 있는 출력물을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일부 모드는 제어 로직(102)이 출력물의 물리적 특성(예컨대, 심미성, 신장, 인장 강도, 충격 강도, 치수 정확도 등)에 대해 우선순위를 부여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제어 로직(102)은 선택된 모드에 의해 표시된 물리적 특성에 대해 우선순위를 부여하도록 3차원 프린터 시스템(예컨대, 에너지 구성 요소, 재료 증착 구성 요소 및/또는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에 대한 작동 파라미터의 세트를 결정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제어 로직(102)은 (예컨대, 인쇄 작업에 의해 지정된 물리적 특성이 있는 출력물을 형성하기 위해) 3차원 프린터 시스템의 작동 파라미터를 인쇄 작업에서 결정된 작동 파라미터 중에서 선택된 모드와 연관된 물리적 특성에 대해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출력 객체를 형성하는 작동 파라미터로 조정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모드는 출력물의 형성에서 우선순위를 부여할 다수의 물리적 특성들을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선택된 모드는 인쇄 작업에 의해 지정된 출력물의 심미성(예컨대, 색상, 텍스쳐 등)에 대해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모드는 출력물의 색상 특성에 대해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제어 로직(102)은 (선택된 모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출력물의 색상 특성에 대해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3차원 프린터 시스템(예컨대, 에너지 구성 요소, 재료 증착 구성 요소 및/또는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에 대한 작동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어 로직(102)은, 출력물을 형성할 때, 인쇄 작업에 대해 결정된 작동 파라미터를 (예컨대, 인쇄 작업에 의해 지정된 물리적 특성이 있는 출력물을 형성하기 위해) 선택된 모드와 연관된 물리적 특성에 대해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작동 파라미터로 조정할 수 있다. 3차원 프린터 시스템의 작동 파라미터의 예에서, 제어 로직(102)은 색상에 대해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것으로 조정하여,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에 의해 증착된 착색제의 양과,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에 의해 증착된 융합제의 양과, 에너지 구성 요소에 의해 빌드 재료 및/또는 작용제(예컨대, 착색제 및/또는 융합제)로 전달된 에너지의 양 및 재료 증착 구성 요소와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가 빌드 재료와 작용제를 증착하는 순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로직(102)은, 3차원 프린터 시스템에 대한 작동 파라미터의 세트(예컨대, 인쇄 작업의 출력물을 형성하기 위한 에너지 구성 요소, 재료 증착 구성 요소 및/또는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를 결정하거나 조정할 때, 재료 증착 구성 요소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빌드 재료의 재료 특성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료 증착 구성 요소에 의해 증착된 빌드 재료는 빌드 재료가 더 융합될수록 그것의 심미적 특성 중 일부가 손실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모드는 인쇄 작업의 출력물의 강도 특성(예컨대, 인장 강도 또는 충격 강도)에 대해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것을 나타낸다. 종합하면, 제어 로직(102)은, 출력물을 형성할 때, 선택된 모드와 빌드 재료의 재료 특성을 고려함으로써 3차원 프린터 시스템의 작동 파라미터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로직(102)은 인쇄 작업에 의해 지정된 채색 특성(예컨대, 에너지 구성 요소에 의해 전달되는 착색제에 대한 적절한 파장의 에너지 양을 감소시키고, 에너지 구성 요소가 상기 착색제에 대한 적절한 파장의 에너지를 전달하는 횟수를 감소시키며,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에 의해 증착된 착색제의 양을 감소시킴)에 대하여 공차의 허용 가능 범위를 완화시킬 수 있고, 강도 특성(예컨대, 에너지 구성 요소에 의해 전달되는 빌드 재료 및/또는 융합제에 대한 적절한 파장의 에너지의 양을 증가시키고, 에너지 구성 요소가 빌드 재료 및/또는 융합제에 대한 적절한 파장의 에너지를 전달하는 횟수를 증가시키며,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에 의해 증착된 융합제의 양을 증가시킴)에 대한 공차의 허용 가능 범위를 더욱 제한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선택된 모드는 인쇄 작업의 채색 특성에 대해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부가적으로, 재료 증착 구성 요소에 의해 사용되는 빌드 재료의 재료 특성은 빌드 재료가 에너지 구성 요소로부터 더 많은 에너지를 얻을수록 빌드 재료가 더 융합되어 그 심미적 특성의 일부가 손실될 수 있다. 종합하면, 제어 로직(102)은 인쇄 작업에 의해 지정된 강도 특성(예컨대, 에너지 구성 요소에 의해 전달되는 빌드 재료 및/또는 융합제에 대한 적절한 파장의 에너지 양을 감소시키고, 에너지 구성 요소가 빌드 재료 및/또는 융합제에 대한 적절한 파장의 에너지를 전달하는 횟수를 감소시키며,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에 의해 증착된 융합제의 양을 감소시킴)에 대하여 공차의 허용 가능 범위를 완화시키고, 인쇄 작업의 채색 특성(예컨대, 에너지 구성 요소에 의해 전달되는 착색제에 대한 적절한 파장의 에너지의 양을 증가시키고, 에너지 구성 요소가 착색제에 대한 적절한 파장의 에너지를 전달하는 횟수를 증가시키며,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에 의해 증착된 착색제의 양을 증가시킴)에 대하여 공차의 허용 가능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3차원 프린터 제어 시스템(100)(예컨대, 제어 로직(102))은 다수의 가능한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사용자가 모드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프린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형태(예컨대, 터치 스크린 등)를 사용하여 프린터 시스템에 직접 입력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모드 선택은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통하거나 또는 중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프린터 시스템과 상호 작용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어 로직(102)이 작동하도록 하는 특정 모드를 나타내는 데이터(예컨대, 모드 데이터)는 인쇄 작업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인쇄 작업은 모바일 장치에서 실행되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무선으로 (예컨대, WiFi, 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NFC나 다른 적절한 단거리 통신을 사용하여) 제출되거나 3차원 프린터 시스템(예컨대, SD 카드, 플래시 드라이브나 다른 적절한 휴대 저장 장치)에 직접 업로드될 수 있다.
3차원 프린터 제어 시스템(100)은 제어 로직(102)이 작동할 수 있는 상이한 유형의 모드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는 다수의 사전 결정된 모드를 저장할 수 있고, 각 모드는 출력물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공차의 허용 가능 범위를 정의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일부 구현예에서, 데이터베이스는 재료 증착 구성 요소 및 그에 상응하는 재료 특성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빌드 재료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빌드 재료의 재료 특성은 제어 로직(102)이 작동할 수 있는 모드의 이용 가능성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빌드 재료의 광학적 특성(예컨대, 예시적인 빌드 재료는 에너지 구성 요소(104)로부터 임의의 양의 에너지를 흡수한 후에 검은색으로 변할 수 있음)은 빌드 재료의 색상 특성에 대해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모드를 제한하거나 이용할 수 없게 할 수 있다. 각각의 빌드 재료의 재료 특성에 기초하여 각각의 빌드 재료에 대한 모드의 가용성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도 2는 작동 중에 조정될 수 있는 예시적인 3차원 프린터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프린터(200)는 에너지 구성 요소(202), 재료 증착 구성 요소(204),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206) 및 3차원 제어 시스템(100)(여기서는 제어 시스템(100)이라고 함)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시스템(100)은 출력물(208)을 생성하기 위해 3차원 프린터(200)의 작동을 관리하는 프로세스 및 다른 로직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시스템(100)은 에너지 구성 요소(202), 재료 증착 구성 요소(204) 및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206)의 작동을 제어하여 출력물(208)을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어 시스템(100)은 다중 모드에서 작동할 수 있다. 각각의 모드는 3차원 프린터(200)의 출력물에 대한 공차의 세트(예컨대, 치수 공차, 강도 또는 재료 특성의 공차, 및 심미성의 공차(예컨대, 색상의 진동))를 정의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제어 시스템(100)은 3차원 프린터(200)(예컨대, 에너지 구성 요소(202), 재료 증착 구성 요소(204) 및/또는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206))에 대한 작동 파라미터의 세트를 결정하여 공차의 세트를 준수하는 출력물을 형성할 수 있다.
선택된 모드는 제어 시스템(100)이 3차원 프린터(200)(예컨대, 에너지 구성 요소(202), 재료 증착 구성 요소(204) 및/또는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206))의 내부 구성 요소의 작동 파라미터를 제어/조정하게 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제어 시스템(100)은 다수의 인터페이스(예컨대, 에너지 구성 요소 인터페이스, 재료 증착 구성 요소 인터페이스 및/또는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 인터페이스)에 의해 3차원 프린터(200)의 내부 구성 요소를 제어/조정할 수 있다. 3차원 프린터(200)의 작동 파라미터의 예에서, 제어 시스템(100)은, 선택된 모드에 기초하여 조정될 수 있고, 이는 에너지가 에너지 구성 요소(202)에 의해 전달될 때, 에너지 구성 요소(202)에 의해 전달되는 에너지의 양과, 에너지 구성 요소(202)가 에너지를 빌드 재료로 통과 및 전달하는 속도와, 에너지 구성 요소(202)가 에너지를 디렉트(direct)하는 위치, 재료 증착 구성 요소(204)가 빌드 재료를 배치하는 양, 재료 증착 구성 요소(204)가 빌드 재료를 배치하는 속도, 재료 증착 구성 요소(204)가 빌드 재료를 배치하는 위치,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206)가 작용제를 배치하는 양,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206)가 작용제를 배치하는 속도,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206)가 작용제를 배치하는 위치, 및 재료 증착 구성 요소(204)와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206)가 빌드 재료와 작용제를 배치하고 에너지 구성 요소(202)가 에너지를 전달하는 순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선택된 모드에 기초하여, 제어 시스템(100)은 정렬된 계층화 프로세스(예컨대, 3차원 프린터(200)는 빌드 재료 및 작용제의 층을 연속적으로 증착 및 융합함으로써 출력물(208)을 형성함)를 제어 및/또는 조정하여 출력물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시스템(100)은 재료 증착 구성 요소(204) 및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206)가 빌드 재료 및 작용제(예컨대, 착색제 및/또는 융합제)를 배치하는 순서를 제어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제어 시스템(100)은 에너지 구성 요소(202)가 에너지를 빌드 재료 및/또는 작용제에 노출시키는 타이밍 및 순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시스템(100)은 다수의 가능한 모드 중 어느 하나에서 작동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각각의 모드는, 출력물을 형성할 때, 제어 시스템(100)이 준수할 수 있는, 인쇄 작업에 의해 지정된 출력물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공차의 허용 가능 범위를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각각의 모드는, 출력물을 형성할 때, 제어 시스템(100)이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는 물리적 특성(예컨대, 출력물의 심미성, 출력물의 강도 및 출력 객체의 치수 정확도)을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일부 모드는 제어 시스템(100)이 인쇄 작업에 의해 지정된 출력물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공차의 허용 가능 범위(예컨대, 교정 모드(proof mode))를 완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완화된 공차의 범위를 나타내는 선택된 모드는 제어 시스템(100)이 완화된 공차 범위 내에서 물리적 특성을 갖는 출력물을 형성하기 위해 3차원 프린터(200)(예컨대, 에너지 구성 요소(202), 재료 증착 구성 요소(204) 및/또는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206))에 대한 작동 파라미터의 세트를 결정하게 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일부 예에서, 제어 시스템(100)은 (예컨대, 인쇄 작업에 의해 지정된 물리적 특성이 있는 출력물을 형성하기 위해) 인쇄 작업에 대해 초기에 결정된 작동 파라미터를 완화된 공차 범위 내에서 물리적 특성이 있는 출력물을 형성하는 작동 파라미터로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선택된 모드는 3차원 프린터(200)에 의해 인쇄 작업의 출력물의 전체적인 형성을 더 빠르게 할 수 있다. 3차원 프린터(200)의 작동 파라미터의 예에서, 제어 시스템(100)은 완화된 공차 범위 내에서 물리적 특성이 있는 출력물을 형성하도록 조정될 수 있으며, 이는 에너지 구성 요소(202)에 의해 전달되는 에너지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과, 에너지 구성 요소(202)가 빌드 재료 및/또는 작용제에 에너지를 전달하는 횟수를 감소시키는 것과, 재료 증착 구성 요소(204)에 의해 증착된 빌드 재료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과, 재료 증착 구성 요소(204)에 의해 빌드 재료가 증착되는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과,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206)에 의해 증착된 작용제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 및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206)가 작용제를 증착시키는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완화된 공차 범위를 나타내는 선택된 모드는 인쇄 작업에 의해 지정된 물리적 특성과는 다른 물리적 특성(예컨대, 심미성, 신장, 인장 강도, 충격 강도, 치수 정확도 등)을 갖는 출력물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체는 인쇄 작업에 의해 지정된 강도 특성보다 실질적으로 약할 수 있고, 출력물의 심미성은 인쇄 작업에 의해 지정된 심미적 특성과는 (예컨대, 덜 생생한 채색과 같이) 상이할 수 있으며/있거나 출력물의 치수가 인쇄 작업에 의해 지정된 치수 특성보다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일부 모드는 제어 시스템(100)이 인쇄 작업에 의해 지정된 출력물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공차의 허용 가능 범위(예컨대, 최종 모드)를 제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제한된 공차 범위를 갖는 선택된 모드는 제어 시스템(100)이 인쇄 작업에 의해 지정된 물리적 특성과 근접하게 일치하는 출력물을 형성하기 위해 3차원 프린터(200)(예컨대, 에너지 구성 요소(202), 재료 증착 구성 요소(204) 및/또는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206))에 대한 작동 파라미터의 세트를 결정하게 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일부 예에서, 제어 시스템(100)은 (예컨대, 인쇄 작업에 의해 지정된 물리적 특성이 있는 출력물을 형성하기 위해) 인쇄 작업에 대해 초기에 결정된 작동 파라미터를 제한된 공차 범위 내에서 물리적 특성이 있는 출력물을 형성하는 작동 파라미터로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3차원 프린터(200)에 의한 인쇄 작업의 출력물의 전체적인 형성은 더 느려질 수 있다. 3차원 프린터(200)의 작동 파라미터의 예에서, 제어 시스템(100)은 에너지 구성 요소(202)에 의해 전달되는 에너지의 양을 증가시키는 것과, 에너지 구성 요소(202)가 빌드 재료 및/또는 작용제에 에너지를 전달하는 횟수를 증가시키는 것과, 재료 증착 구성 요소(204)에 의해 증착된 빌드 재료의 양을 증가시키는 것과, 재료 증착 구성 요소(204)가 빌드 재료를 증착시키는 속도를 감소시키는 것과,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206)에 의해 증착된 작용제의 양을 증가시키는 것, 및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206)가 작용제를 증착시키는 속도를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작동 파라미터를 조정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완화된 공차 범위를 나타내는 선택된 모드는 인쇄 작업에 의해 지정된 물리적 특성과 더 근접하게 일치하는 물리적 특성(예컨대, 출력물의 물리적 특성(예컨대, 심미성, 신장, 인장 강도, 충격 강도, 치수 정확도 등))을 갖는 출력물을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일부 모드는 제어 시스템(100)이 출력물의 물리적 특성(예컨대, 심미성, 신장, 인장 강도, 충격 강도, 치수 정확도 등)에 대해 우선순위를 부여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제어 시스템(100)은 선택된 모드로 표시된 물리적 특성에 대해 우선순위를 부여하도록 3차원 프린터(200)(예컨대, 에너지 구성 요소(202), 재료 증착 구성 요소(204) 및/또는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206))에 대한 작동 파라미터의 세트를 결정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제어 시스템(100)은 (예컨대, 인쇄 작업에 의해 지정된 물리적 특성이 있는 출력물을 형성하기 위해) 3차원 프린터(200)의 작동 파라미터를, 인쇄 작업에 대해 결정된 작동 파라미터로부터 선택된 모드와 연관된 물리적 특성에 대해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출력 객체를 형성하는 작동 파라미터로 조정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모드는 출력물의 형성에서 우선순위를 부여할 다수의 물리적 특성들을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선택된 모드는 인쇄 작업의 출력물의 심미성(예컨대, 색상, 텍스쳐 등)에 대해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모드는 출력물의 색상 특성에 대해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제어 시스템(100)은 (선택된 모드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출력물의 색상 특성에 대해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3차원 프린터(200)(예컨대, 에너지 구성 요소(202), 재료 증착 구성 요소(204) 및/또는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206))에 대한 작동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어 시스템(100)은, 출력물을 형성할 때, 인쇄 작업에 대해 결정된 작동 파라미터를 (예컨대, 인쇄 작업에 의해 지정된 물리적 특성이 있는 출력물을 형성하기 위해) 선택된 모드와 연관된 물리적 특성에 대해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작동 파라미터로 조정할 수 있다. 3차원 프린터(200)(예컨대, 에너지 구성 요소(202), 재료 증착 구성 요소(204) 및/또는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206))의 작동 파라미터의 예에서, 제어 시스템(100)은 색상에 대해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것으로 조정할 수 있고, 이는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206)에 의해 증착된 착색제의 양과,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206)에 의해 증착된 융합제의 양과, 에너지 구성 요소(202)에 의해 빌드 재료 및/또는 작용제(예컨대, 착색제 및/또는 융합제)로 전달된 에너지의 양, 및 재료 증착 구성 요소(204)와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206)가 빌드 재료와 작용제를 증착하는 순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시스템(100)은, 3차원 프린터(200)(예컨대, 인쇄 작업의 출력물을 형성하기 위한 에너지 구성 요소(202), 재료 증착 구성 요소(204) 및/또는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206))에 대한 작동 파라미터의 세트를 결정 또는 조정할 때, 재료 증착 구성 요소(204)에 의해 이용되는 빌드 재료의 재료 특성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료 증착 구성 요소(204)에 의해 증착된 빌드 재료는 빌드 재료가 더 융합될수록 그것의 심미적 특성 중 일부를 잃을 수 있다. 또한, 선택된 모드는 인쇄 작업의 출력물의 강도 특성(예컨대, 인장 강도 또는 충격 강도)에 대해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것을 나타낸다. 종합하면, 제어 시스템(100)은, 출력물을 형성할 때, 선택된 모드와 빌드 재료의 재료 특성을 고려함으로써 3차원 프린터(200)의 작동 파라미터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시스템(100)은 인쇄 작업에 의해 지정된 채색 특성(예컨대, 에너지 구성 요소(202)에 의해 전달되는 착색제에 대한 적절한 파장의 에너지의 양을 감소시키고, 에너지 구성 요소(202)가 상기 착색제에 대한 적절한 파장의 에너지를 전달하는 횟수를 감소시키며,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206)에 의해 증착된 착색제의 양을 감소시킴)에 대하여 공차의 허용 가능 범위를 완화시킬 수 있고, 강도 특성(예컨대, 에너지 구성 요소(202)에 의해 전달되는 빌드 재료 및/또는 융합제에 대한 적절한 파장의 에너지의 양을 증가시키고, 에너지 구성 요소(202)가 빌드 재료 및/또는 융합제에 대한 적절한 파장의 에너지를 전달하는 횟수를 증가시키며,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206)에 의해 증착된 융합제의 양을 증가시킴)에 대한 공차의 허용 가능 범위를 더욱 제한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선택된 모드는 인쇄 작업의 채색 특성에 대해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부가적으로, 재료 증착 구성 요소(204)에 의해 사용되는 빌드 재료의 재료 특성은 빌드 재료가 에너지 구성 요소(202)로부터 더 많은 에너지를 얻을수록 빌드 재료가 더 융합되어 그 심미적 특성의 일부를 잃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종합하면, 제어 시스템(100)은 인쇄 작업에 의해 지정된 강도 특성(예컨대, 에너지 구성 요소(202)에 의해 전달되는 빌드 재료 및/또는 융합제에 대한 적절한 파장의 에너지의 양을 감소시키고, 에너지 구성 요소(202)가 빌드 재료 및/또는 융합제에 대한 적절한 파장의 에너지를 전달하는 횟수를 감소시키며,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206)에 의해 증착된 융합제의 양을 감소시킴)에 대하여 공차의 허용 가능 범위를 완화시키고, 인쇄 작업의 채색 특성(예컨대, 에너지 구성 요소(202)에 의해 전달되는 착색제에 대한 적절한 파장의 에너지의 양을 증가시키고, 에너지 구성 요소(202)가 착색제에 대한 적절한 파장의 에너지를 전달하는 횟수를 증가시키며,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206)에 의해 증착된 착색제의 양을 증가시킴)에 대하여 공차의 허용 가능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프린터(200)는 빌드 플랫폼(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선택된 모드는 제어 시스템(100)이 재료 증착 구성 요소(204)의 증착 높이(예컨대, 재료 증착 구성 요소(204)와 빌드 플랫폼(220)이나 빌드 플랫폼(220) 상의 출력물의 사전 형성된 층 사이의 거리)와 관련된 재료 증착 구성 요소(204)의 작동 파라미터를 조정하게 할 수 있다. 재료 증착 구성 요소(204)와 사전에 융합된 출력물의 층 또는 빌드 플랫폼(220)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더 많은 빌드 재료가 재료 증착 구성 요소(204)에 의해 증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드는, 출력부(208)를 형성할 때, 각 빌드 재료층의 두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예에서, 모드는, 출력물(208)을 형성할 때, 각각의 빌드 재료층의 두께에 대한 공차의 범위 및 이들 범위를 제한할 것인지 또는 완화할 것인지를 나타낼 수 있다. 제어 시스템(100)은 재료 증착 구성 요소(204)에 대한 적절한 작동 파라미터를 두께에 대해 표시되거나 제한되거나 완화된 공차 범위로 매핑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3차원 프린터(200)는 신규 빌드 재료나 재활용 빌드 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빌드 재료 리셉터클(들)(예컨대, 빌드 재료 리셉터클(210) 및 빌드 재료 리셉터클(212))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재료 증착 구성 요소(204)는, 인쇄 작업의 출력물(208)을 형성할 때, 빌드 재료 리셉터클(210) 및/또는 빌드 재료 리셉터클(212)에 저장된 빌드 재료(신규 빌드 재료 및/또는 재활용 빌드 재료)를 사용 및 증착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프린터(200)는 빌드 재료 리셉터클(들)(예컨대, 빌드 재료 리셉터클(210) 및 빌드 재료 리셉터클(212))을 포함할 수 있다. 신규 빌드 재료는 에너지 구성 요소(202)로부터 에너지에 전혀 노출되지 않은 빌드 재료이다. 재활용 빌드 재료는 에너지 구성 요소(202)로부터의 에너지에 노출된 빌드 재료이지만, 빌드 재료를 완전히 융합시켜 출력물(208)을 형성하기에는 불충분한 에너지가 얻어진 빌드 재료이다. 일부 예에서, 빌드 재료 리셉터클(210) 및/또는 빌드 재료 리셉터클(212)은 신규 빌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빌드 재료 리셉터클(210) 또는 빌드 재료 리셉터클(212)은 재활용 빌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일부 예에서, 선택된 모드는 재활용 빌드 재료, 신규 빌드 재료, 또는 신규 빌드 재료와 재활용 빌드 재료의 혼합물의 사용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예에서, 상기 모드의 선택은 인쇄 작업으로부터 초기에 결정된 작동 파라미터를 해당 모드에서 나타낸 작동 파라미터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시스템(100)은 신규 빌드 재료를 사용하도록 인쇄 작업에서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재활용 빌드 재료의 사용을 나타내는 모드의 선택은 제어 시스템(100)이 재료 증착 구성 요소(204)의 작동 파라미터를 재활용 빌드 재료의 사용으로 변경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3차원 프린터(200)는 다양한 착색제나 융합제를 저장하기 위한 작용제 리셉터클(들)(218)(예컨대, 착색제 리셉터클(214) 및 융합제 리셉터클(216))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제어 시스템(100)은 선택된 모드 및/또는 인쇄 작업에 기초하여 착색제 리셉터클(214) 및/또는 융합제 리셉터클(216)로부터 착색제의 사용과 관련된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206)에 대한 작동 파라미터의 세트를 결정할 수 있다.
3차원 프린터 제어 시스템(100)(예컨대, 제어 로직(102))은 다수의 가능한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사용자가 모드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프린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형태(예컨대, 터치 스크린 등)를 사용하여 프린터 시스템에 직접 입력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모드 선택은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통하거나 또는 중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프린터 시스템과 상호 작용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어 시스템(100)이 작동하도록 하는 특정 모드를 나타내는 데이터(예컨대, 모드 데이터)는 인쇄 작업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인쇄 작업은 모바일 장치에서 실행되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무선(예컨대, WiFi, 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NFC나 다른 적절한 단거리 통신)으로 제출되거나 3차원 프린터(200)(예컨대, 제어 시스템(100)에 의해 수신됨)에 직접 업로드(예컨대, SD 카드, 플래시 드라이브나 다른 적절한 휴대 저장 장치)될 수 있다.
제어 시스템(100)은 제어 시스템(100)이 작동할 수 있는 상이한 유형의 모드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는 다수의 사전 결정된 모드를 저장할 수 있고, 각 모드는 출력물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공차의 허용 가능 범위를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현예에서, 데이터베이스는 재료 증착 구성 요소(204) 및 그에 상응하는 재료 특성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빌드 재료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빌드 재료의 재료 특성은 제어 시스템(100)이 작동할 수 있는 모드의 이용 가능성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시적인 빌드 재료의 광학적 특성(예컨대, 예시적인 빌드 재료는 에너지 구성 요소(202)로부터 임의의 양의 에너지를 흡수한 후에 검은색으로 변할 수 있음)은 빌드 재료의 색상 특성에 대해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모드를 제한하거나 이용할 수 없게 할 수 있다. 각각의 빌드 재료의 재료 특성에 기초하여, 각각의 빌드 재료에 대한 모드의 가용성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방법론
도 3은 출력물의 물리적 특성을 조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도 3에 대한 아래의 설명은 설명되고 있는 예시적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적절한 구성 요소를 나타내기 위해, 도 1과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된 것과 같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는 설명을 참조하기 위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예에서, 3차원 프린터 제어 시스템(100)(본 명세서에서는 제어 시스템(100)이라 함)은 출력물에 대한 인쇄 작업을 수신할 수 있다(단계 300). 예를 들어, 제어 로직(102)은 모바일 컴퓨팅 장치로부터 인쇄 작업을 수신할 수 있다. 인쇄 작업은 물리적 특성(예컨대, 강도, 코스메틱, 치수 등) 또는 출력물의 복수의 물리적 특성을 지정할 수 있다. 제어 로직(102)은 인쇄 작업에서 지정된 물리적 특성이 있는 출력물을 생성하기 위해 3차원 프린터 시스템에 대한 작동 파라미터의 세트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어 시스템(100)은 무선(예컨대, WiFi, 블루투스, BLE(Bluetooth low energy), NFC, 또는 다른 적절한 단거리 통신)으로 인쇄 작업을 사용자의 모바일 컴퓨팅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인쇄 작업은 제어 시스템(100)(예컨대, SD 카드, 플래시 드라이브 또는 다른 적절한 모바일 저장 장치)에 직접 업로드될 수 있다.
제어 시스템(100)은 또한 선택된 모드에 기초하여 설정을 결정할 수 있다(단계 302). 일부 예에서, 각각의 모드는 제어 시스템(100)이 인쇄 작업으로부터 결정된 3차원 프린터 시스템(예컨대, 에너지 구성 요소, 재료 증착 구성 요소 및/또는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의 작동 파라미터를 조정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각각의 모드는, 인쇄 작업의 출력물을 형성할 때, 제어 시스템(100)이 준수할 수 있는 인쇄 작업에 의해 지정된 물리적 특성에 대한 공차의 허용 가능 범위에 대응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각각의 모드는 우선 순위를 정하기 위해 제어 시스템(100)에 대한 출력물의 물리적 특성(예컨대, 출력의 심미성, 강도 및/또는 치수 정확성)을 나타낼 수 있다.
3차원 프린터 시스템(예컨대, 에너지 구성 요소, 빌드 재료 증착 구성 요소 및/또는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을 제어/조정할 수 있는 제어 로직의 작동 파라미터의 예는, 에너지가 에너지 구성 요소에 의해 전달될 때, 에너지 구성 요소에 의해 전달된 에너지의 양, 에너지 구성 요소가 빌드 재료에 에너지를 전달하는 횟수, 에너지 구성 요소가 에너지를 디렉트(direct)하는 위치, 재료 증착 구성 요소가 빌드 재료를 배치하는 양, 재료 증착 구성 요소가 빌드 재료를 배치하는 속도, 재료 증착 구성 요소가 빌드 재료를 배치하는 위치, 재료 증착 구성 요소와 이전에 형성된 출력물(또는 빌드 플랫폼)의 층간의 거리,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가 작용제를 배치하는 양,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가 작용제를 배치하는 속도,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가 작용제를 배치하는 위치, 및 재료 증착 구성 요소와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가 빌드 재료와 작용제를 배치하고 에너지 구성 요소가 에너지를 전달하는 순서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일부 모드는 제어 시스템(100)이 인쇄 작업에 의해 지정된 물리적 특성과 관련하여 공차의 허용 가능 범위(예컨대, 교정 모드(proof mode))를 완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완화된 공차 범위와 연관된 선택된 모드는 제어 시스템(100)이 완화된 공차 범위 내에서 물리적 특성이 있는 출력물을 형성하기 위해 3차원 프린터 시스템(예컨대, 에너지 구성 요소, 재료 증착 구성 요소 및/또는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에 대한 작동 파라미터의 세트를 결정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일부 모드는 제어 시스템(100)이 인쇄 작업에 의해 지정된 물리적 특성과 관련하여 공차의 허용 가능 범위(예컨대, 최종 모드)를 제한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제한된 공차 범위와 연관된 선택된 모드는 제어 시스템(100)이 인쇄 작업에 의해 지정된 물리적 특성과 더욱 근접하게 일치하는 물리적 특성이 있는 출력물을 형성하기 위해 3차원 프린터 시스템(예컨대, 에너지 구성 요소, 재료 증착 구성 요소 및/또는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에 대한 작동 파라미터의 세트를 결정하게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일부 모드는, 출력물을 형성할 때, 우선 순위를 정하기 위해 제어 시스템(100)에 대한 출력물의 물리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모드는 제어 시스템(100)이, 출력물을 형성할 때, 물리적 특성(예를 들어, 출력물의 심미성, 출력물의 강도 및 출력물의 치수 정확도)의 우선 순위를 정하기 위해 3차원 프린터 시스템(예를 들어, 에너지 구성 요소, 재료 증착 구성 요소 및/또는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의 작동 파라미터를 조정하게 할 수 있다.
제어 시스템(100)(예컨대, 제어 로직(102))은 다수의 가능한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프린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형태(예컨대, 터치 스크린 등)를 사용하여 프린터 시스템에 직접 입력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모드 선택은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통하거나 또는 중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프린터 시스템과 상호 작용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어 로직(102)이 작동하도록 하는 특정 모드를 나타내는 데이터(예컨대, 모드 데이터)는 인쇄 작업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인쇄 작업은 모바일 장치에서 실행되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무선으로 (예컨대, WiFi, 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NFC나 다른 적절한 단거리 통신을 사용하여) 제출되거나 3차원 프린터 시스템(예컨대, SD 카드, 플래시 드라이브나 다른 적절한 휴대 저장 장치)에 직접 업로드될 수 있다.
제어 시스템(100)은 인쇄 작업과 연관된 작동 파라미터로부터 선택된 모드에 기초하는 작동 파라미터로 에너지 구성 요소, 재료 증착 구성 요소 및/또는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 파라미터를 조정할 수 있다(단계 304). 전술한 바와 같이, 일부 예에서, 선택된 모드는 인쇄 작업에 의해 지정된 물리적 특성에 대한 공차의 허용 가능 범위에 대응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선택된 모드는 우선순위를 부여할 출력물의 물리적 특성이나 복수의 물리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 시스템(100)은 조정된 작동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인쇄 작업에 의해 지정된 출력물의 물리적 특성이나 복수의 물리적 특성을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시스템(100)은 3차원 프린터 시스템(예컨대, 에너지 구성 요소, 재료 증착 구성 요소 및/또는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의 작동 파라미터를 조정하여 조정된 작동 파라미터에 기초한 물리적 특성이 있는 출력물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다양한 대안적 및/또는 등가의 구현이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도시 및 설명된 특정예를 대체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출원은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특정예의 모든 개조 또는 변형을 포함하고자 한다.

Claims (15)

  1. 3차원 프린터용 제어 시스템으로서,
    에너지 구성 요소(energy component),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agent depositing component) 및 재료 증착 구성 요소(material depositing component)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와,
    제어 로직
    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 로직은,
    인쇄 작업에서 지정된 출력 객체를 형성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상기 에너지 구성 요소, 상기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 및 상기 재료 증착 구성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고, 또한
    상기 제어 로직은, 상기 에너지 구성 요소, 상기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 및 상기 재료 증착 구성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3차원 프린터용의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구현하도록 하고, 각각의 모드는, 선택되었을 때, 상기 제어 로직이 상기 에너지 구성 요소, 상기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 및 상기 재료 증착 구성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하나 이상의 작동 파라미터를 조정하여 상기 에너지 구성 요소, 상기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 및 상기 재료 증착 구성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속도를 조절하게 하며,
    상기 복수의 모드의 각각은 상기 출력 객체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공차의 허용 가능 범위를 정의하는
    3차원 프린터용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직은 추가로, 상기 인쇄 작업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모드의 구현을 변경하는,
    제어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작업의 파라미터는 빌드 재료 유형을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직은 추가로,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트리거하게 하는,
    제어 시스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직은, 상기 3차원 프린터용의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구현하도록 상기 재료 증착 구성 요소를 제어하고, 각각의 모드는, 선택되었을 때, 상기 제어 로직이 상기 재료 증착 구성 요소의 작동 파라미터를 조정하게 하는,
    제어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드 각각에 대한 복수의 설정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로직은, 상기 선택된 모드와 연관된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에너지 구성 요소, 상기 재료 증착 구성 요소 및 상기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 각각의 하나 이상의 작동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제어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드는 제 1 모드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직은, 상기 제 1 모드가 선택되는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에너지 구성 요소, 상기 재료 증착 구성 요소 또는 상기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작동 파라미터를, 상기 인쇄 작업의 코스메틱 파라미터에 대해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사전 설정된 범위로 조정하는,
    제어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직은, 상기 제 1 모드가 선택되는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에너지 구성 요소, 상기 재료 증착 구성 요소 또는 상기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작동 파라미터의 사전 설정된 범위를, 상기 재료 증착 구성 요소의 레이어링 속도(layering speed)에 대해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사전 설정된 범위로 조정하는,
    제어 시스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직은, 상기 제 1 모드가 선택되는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에너지 구성 요소, 상기 재료 증착 구성 요소 또는 상기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작동 파라미터를, 상기 인쇄 작업의 치수 정확도 파라미터, 강도 파라미터 및 코스메틱 파라미터에 대해 동일하게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사전 설정된 범위로 조정하는,
    제어 시스템.
  12. 3차원 프린터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출력 객체에 대한 인쇄 작업을 수신하는 단계와,
    복수의 모드 중 선택된 모드에 기초하여 복수의 설정 중 하나의 설정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설정에 기초하여, 에너지 구성 요소, 재료 증착 구성 요소 또는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하나 이상의 작동 파라미터를 조정하여 상기 에너지 구성 요소, 상기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 및 상기 재료 증착 구성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속도를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모드의 각각은 상기 출력 객체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공차의 허용 가능 범위를 정의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작동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단계는 추가로, 상기 인쇄 작업의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작업의 상기 파라미터는 빌드 재료 유형을 포함하는,
    방법.
  15. 3차원 프린터 시스템으로서,
    에너지 구성 요소와,
    제 1 리셉터클(first receptacle)을 포함하는 재료 증착 구성 요소와,
    적어도 제 2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와,
    제어 시스템
    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 시스템은,
    인쇄 작업에서 지정된 출력 객체를 형성할 때, 상기 에너지 구성 요소, 상기 재료 증착 구성 요소 및 상기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3차원 프린터 시스템이 복수의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게 하고, 각각의 모드는, 선택되었을 때, 상기 출력 객체의 하나 이상의 물리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며,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모드 중 선택된 모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에너지 구성 요소, 상기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 및 상기 재료 증착 구성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하나 이상의 작동 파라미터를 조정하여 상기 에너지 구성 요소, 상기 작용제 증착 구성 요소 및 상기 재료 증착 구성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속도를 조절하고,
    상기 복수의 모드의 각각은 상기 출력 객체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공차의 허용 가능 범위를 정의하는
    3차원 프린터 시스템.
KR1020197037928A 2017-07-28 2017-07-28 선택된 모드를 기반으로 한 3차원 프린터 시스템 조정 KR1023314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7/044456 WO2019022775A1 (en) 2017-07-28 2017-07-28 MODULATING A THREE-DIMENSIONAL PRINTER SYSTEM BASED ON A SELECTED MO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1465A KR20200011465A (ko) 2020-02-03
KR102331443B1 true KR102331443B1 (ko) 2021-11-25

Family

ID=65041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7928A KR102331443B1 (ko) 2017-07-28 2017-07-28 선택된 모드를 기반으로 한 3차원 프린터 시스템 조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1260599B2 (ko)
EP (1) EP3615312A4 (ko)
JP (1) JP6997311B2 (ko)
KR (1) KR102331443B1 (ko)
CN (1) CN110770004B (ko)
BR (1) BR112020001834A2 (ko)
WO (1) WO20190227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97311B2 (ja) * 2017-07-28 2022-01-17 ヒューレット-パッカード デベロップメント カンパニー エル.ピー. 選択されたモードに基づく3次元プリンタの調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13751A2 (en) * 2007-07-25 2009-01-29 Objet Geometries Ltd. Solid freeform fabrication using a plurality of modeling material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266900A (en) * 1999-05-24 2000-12-12 Potomac Photonics, Inc. Apparatus for fabrication of miniature structures
CN108058373B (zh) 2011-04-17 2021-03-16 斯特拉塔西斯有限公司 用于对象的增材制造的系统和方法
WO2013113372A1 (en) 2012-01-31 2013-08-0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echniques for three-dimensional printing
JP6225385B2 (ja) 2012-03-04 2017-11-08 ストラタシス リミテッド 液体を堆積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9308690B2 (en) 2012-07-31 2016-04-12 Makerbot Industries, Llc Fabrication of objects with enhanced structural characteristics
US9418503B2 (en) * 2013-03-15 2016-08-16 Virginia Tech Intellectual Properties, Inc. 3D printing vending machine
JP6268794B2 (ja) 2013-08-02 2018-01-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三次元画像表示用のプログラム及び印刷装置
MX2016009288A (es) 2014-01-16 2016-10-07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Lp Generar objetos tridimensionales.
KR101872628B1 (ko) 2014-01-16 2018-06-28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입체 물체 생성
CN105939836B (zh) 2014-01-16 2018-05-01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构造材料简档
US20150314532A1 (en) * 2014-05-01 2015-11-05 BlueBox 3D, LLC Increased inter-layer bonding in 3d printing
JP6461488B2 (ja) * 2014-05-21 2019-01-30 株式会社ミマキエンジニアリング 三次元構造物を形成する形成装置
US20150375451A1 (en) * 2014-06-30 2015-12-31 Disney Enterprises, Inc. Multi-color 3d printer
JP2016047603A (ja) 2014-08-27 2016-04-07 株式会社ミマキエンジニアリング 立体物造形装置及び立体物の製造方法
CN104608383B (zh) 2015-01-29 2017-09-15 广东工业大学 一种基于熔融沉积3d打印机的控制系统及其方法
CN105109046B (zh) 2015-09-22 2017-09-15 天津丽彩数字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3d打印机的暂停换料方法
EP3383621B1 (en) 2016-03-24 2020-09-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ccuracy improvement and surface finishing using fusing agent and detailing agent
RU164639U1 (ru) 2016-03-31 2016-09-10 Павел Георгиевич Малый 3d-принтер "вепр"
US9980069B2 (en) * 2016-08-29 2018-05-22 Invensense, Inc. Acoustically configurable microphone
CN106313503B (zh) 2016-10-13 2019-07-12 广州黑格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3d打印方法
JP6997311B2 (ja) * 2017-07-28 2022-01-17 ヒューレット-パッカード デベロップメント カンパニー エル.ピー. 選択されたモードに基づく3次元プリンタの調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13751A2 (en) * 2007-07-25 2009-01-29 Objet Geometries Ltd. Solid freeform fabrication using a plurality of modeling materi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78695A1 (en) 2021-06-17
JP2020527495A (ja) 2020-09-10
US20220143927A1 (en) 2022-05-12
CN110770004B (zh) 2022-01-28
EP3615312A1 (en) 2020-03-04
JP6997311B2 (ja) 2022-01-17
US11701836B2 (en) 2023-07-18
BR112020001834A2 (pt) 2020-07-28
CN110770004A (zh) 2020-02-07
US11260599B2 (en) 2022-03-01
WO2019022775A1 (en) 2019-01-31
KR20200011465A (ko) 2020-02-03
EP3615312A4 (en) 202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1443B1 (ko) 선택된 모드를 기반으로 한 3차원 프린터 시스템 조정
CN108437470B (zh) 生成用于制作三维物体的控制数据的装置和方法
JP2020018874A (ja) スマートデバイスを使用する毛髪着色システム
JP7253012B2 (ja) 仮想造形ボリューム内のセグメント
EP3074206A1 (en) Manufacturing food using 3d printing technology
CN108068314B (zh) 彩色三维物件的切层打印方法及彩色三维打印系统
GB2550333A (en) Control of vehicle systems
WO2018017099A1 (en) 3d printing
CN107211072B (zh) 产生用于生产三维对象的控制数据的装置、方法和存储介质
TW201607781A (zh) 結合材料噴頭和顏料噴頭的3d列印方法及系統
US20160375638A1 (en) Method of Additive Manufacturing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Objects with One Or More Colors Through Light Exposure
JP6808754B2 (ja) 3dプリンターでの新たな粉体およびリサイクル粉体の供給管理
US11358339B2 (en) 3D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s of operating a 3D printing apparatus
US11383448B2 (en) Generating objects in additive manufacturing utilizing a predefined portion within a threshold distance of a wall of fabrication chamber
EP3964350B1 (en) Thermal marking of 3d printed objects
KR102265191B1 (ko) 3d 프린터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20118708A1 (en) A method of printing an envelope
US11526150B2 (en) Inferring object attributes
JP2019099903A (ja) 三次元物体の付加的製造装置の動作方法
JP7217617B2 (ja) 造形装置及び造形方法
JP6932479B2 (ja) 情報処理端末、管理システム、制御方法、プログラム
KR102261909B1 (ko) 네트워크를 통한 3d 프린팅 레서피 공유 및 개선 방법
EP3502347A1 (en) Shoe customization process
US20210387431A1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manufacturing an optical lens
CN116800805A (zh) 一种备车方法、装置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