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1402B1 - 공동주택 전기의 내벽 콘센트함 장치 및 그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전기의 내벽 콘센트함 장치 및 그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1402B1
KR102331402B1 KR1020210043252A KR20210043252A KR102331402B1 KR 102331402 B1 KR102331402 B1 KR 102331402B1 KR 1020210043252 A KR1020210043252 A KR 1020210043252A KR 20210043252 A KR20210043252 A KR 20210043252A KR 102331402 B1 KR102331402 B1 KR 102331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module
outlet
outlet structure
frame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3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삼종
Original Assignee
이삼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삼종 filed Critical 이삼종
Priority to KR1020210043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14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1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1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1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plain wa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providing line outl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 전기의 내벽 콘센트함 장치으로서, 상기 콘센트함 장치가 적용되는 건축물; 상기 콘센트함 장치 구현을 위하여, 상기 건축물에 설치되는, 콘센트구조물; 및 상기 콘센트구조물을 상기 건축물에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콘센트구조물이 임시적재현장에 적재되어 보관되거나, 상기 콘센트구조물이 설치현장에 설치되는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콘센트구조물은, 내측에 공간을 가지면서 벽체에 내설되는 본체; 상기 벽체 내에 배선된 전선과 연결되는 한 쌍의 통전쇠; 상기 본체 내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중심에는 회전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구멍의 내주면에는 상기 통전쇠와, 하기 전자석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통전판이 각각 분리 배치되는 지지대; 상기 회전구멍으로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전면에는 부채꼴 형상을 한 한 쌍의 경사면이 상호 대향하는 회전통;을 포함하는 공동주택 전기의 내벽 콘센트함 장치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동주택 전기의 내벽 콘센트함 장치 및 그 설치방법{Outlet system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동주택 전기의 내벽 콘센트함 장치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센트로의 금속재 삽입으로 발생하는 감전사고의 위험성을 최소화하여 안전한 전기구의 활용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공동주택 내 콘센트구조물을 포함하는 공동주택 전기의 내벽 콘센트함 장치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동주택 등의 대상 건축물에 각종 감전사고를 억제하고 전기적 수단의 활용 위해 콘센트구조물이 설치되야 한다. 그런데 이렇게 시고된 콘센트 구조물을 통해 감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은 물론, 시공과정에 있어서도 콘센트 구조물의 효과적인 설치 관리가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부분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기술은 부재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86595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콘센트로의 금속재 삽입으로 발생하는 감전사고의 위험성을 최소화하여 안전한 전기구의 활용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공동주택 내 콘센트구조물을 설치하는 것과, 이러한 콘센트구조물을 포함하는 콘센트함의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구축할 수 있는 공동주택 전기의 내벽 콘센트함 장치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콘센트 함(구성 또는 시스템)의 콘센트구조물을 건물에 적용함에 있어, 작업자의 작성성을 높이고, 이러한 콘센트구조물의 부품단위 혹은 조립품 단위로 용이한 보관이 가능하여 도난방지, 품질저하 방지, 손상 방지 등이 가능한 공동주택 전기의 내벽 콘센트함 장치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공동주택 전기의 내벽 콘센트함 장치로서, 상기 콘센트함(시스템)이 적용되는 건축물; 상기 콘센트함 장치 구현을 위하여, 상기 건축물에 설치되는, 콘센트구조물; 및 상기 콘센트구조물을 상기 건축물에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콘센트구조물이 임시적재현장에 적재되어 보관되거나, 상기 콘센트구조물이 설치현장에 설치되는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콘센트구조물은, 내측에 공간을 가지면서 벽체에 내설되는 본체; 상기 벽체 내에 배선된 전선과 연결되는 한 쌍의 통전쇠; 상기 본체 내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중심에는 회전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구멍의 내주면에는 상기 통전쇠와, 하기 전자석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통전판이 각각 분리 배치되는 지지대; 상기 회전구멍으로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전면에는 부채꼴 형상을 한 한 쌍의 경사면이 상호 대향하는 회전통;을 포함하는 공동주택 전기의 내벽 콘센트함 장치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콘센트 함(구성 또는 시스템)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발명은 콘센트로의 금속재 삽입으로 발생하는 감전사고의 위험성을 최소화하여 안전한 전기구의 활용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공동주택 내 콘센트구조물을 설치하는 것과, 이러한 콘센트구조물을 포함하는 콘센트함 장치의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구축할 수 있는 공동주택 전기의 내벽 콘센트함 장치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콘센트함 장치의 콘센트구조물을 건물에 적용함에 있어, 작업자의 작성성을 높이고, 이러한 콘센트구조물의 부품단위 혹은 조립품 단위로 용이한 보관이 가능하여 이러한 보관에 기반하여 도난방지, 품질저하 방지, 손상 방지 등이 가능한 공동주택 전기의 내벽 콘센트함 장치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콘센트함 장치 따른 콘센트구조물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콘센트함 장치 따른 회전통의 작동모습을 순차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콘센트함 장치 따른 콘센트구조물의 전면케이스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전면케이스의 통전바아 삽입구의 작동모습을 순차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콘센트함 장치 따른 콘센트구조물의 회전체를 잠그는 걸림대의 작동회로를 도시한 회로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콘센트함 장치 따른 주요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구조물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100)는 벽체에 내설되는 본체(170)와, 상기 본체(170)를 덮는 전면케이스(11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170) 내에 내설되는 지지대(130)와, 상기 지지대(13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통(120) 및, 상기 회전통(120)의 개폐를 제어하는 작동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전면케이스(110)는 플러그(10)의 통전바아(11)가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구(11)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170)의 전면에 고정 배치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콘센트의 시스템과 함은 같은 의미이고 문맥에 적합하게 선택적으로 사용하기로 한다.
상기 삽입구(11)를 통해 삽입되는 통전바아(11)는 상기 회전통(120)와 맞닿으면서 더 이상 삽입되지 못한다. 물론, 상기 회전통(120)은 절연재질로 되어서, 상기 통전쇠(160)와의 전기적인 연결은 차단된다. 한편, 상기 회전통(120)은 원기둥 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지지대(130)에 형성된 회전구멍(131)으로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전면엔 한 쌍의 부채꼴 형상의 경사로(121)가 상기 회전통(120)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하게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경사로(121)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공간으로는 플러그(10)의 통전바아(11)가 삽입되는 관통구(123)가 각각 형성된다. 한편, 상기 회전통(120)의 중심에는 회전축(123)이 형성되는데, 상기 회전축(123)은 본체(170)에 형성된 고정체(150)와 연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회전통(120)은 회전통(120)의 회전을 막고 있는 걸림대(181)가 해제되면, 수평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통전바아(11)의 압력이 상기 회전통(120)의 전면에 형성된 경사면(121)으로 가해지면서 상기 회전축(123)을 중심으로 한 회전력이 발생한다. 즉, 상기 통전바아(11)와 경사면(121) 간의 캠방식으로 상기 회전통(120)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회전한 회전통(120)의 전면은 상기 관통구(124)와 통전바아(11)가 일직선상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플러그(10)에 힘을 계속해서 가하면통전바아(11)가 관통구(124)로 삽입된다.
한편, 상기 회전통(120)에서 통전바아(11)의 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회전통(120)는 원위치로 복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축(123)은 토션스프링(140)을 매개로 상기 고정체(150)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플러그(10)가 상기 콘센트(100)로부터 분리됨으로 인해 상기 회전통(120)로의 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토션스프링(140)의 회전력이 회전축(123)에 가해져 상기 회전통(120)가 원위치로 복귀한다. 한편, 상기 회전통(120)의 후단 외주면, 즉, 상기 회전구멍(131)으로 삽입되는 부분은 회전구멍(131)과의 긴밀한 맞물림을 위해 절개된 회전홈(125)을 갖추고, 상기 회전홈(125)에는 상기 관통구(124)로 삽입된 통전바아(11)와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통전편(126)이 구비된다.
상기 통전편(126)에 상응하여, 상기 회전통(120)과 맞닿는 상기 회전구멍(131)의 내주면에는 통전쇠(160)가 배치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통의 작동모습을 순차도시한 도면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통전편(126)과 통전쇠(160)는 평상시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맞닿지 않아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못한다. 하지만, 통전바아(11)의 압력으로 상기 회전통(120)이 회전을 하면, 상기 통전편(126) 또한 회전통(120)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통전쇠(160)에 접근하게 되고, 결국엔 도 2(b)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통전편(126)과 통전쇠(160)가 완전히접촉하여 전기적인 연결을 이루게 된다. 즉, 금속재가 상기 삽입구(111)를 통해 관통구(124)로 인입되더라도, 상기 회전통(120)이 회전을 하지 않으면 상기 금속재에 의한 감전사고는 전혀 일어날 수 없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대(130)는 콘센트(100)의 관리를 위해 본체(170)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본체(170)와의 정확한 분해 및 조립을 위해 상기 지지대(130)에는 지지홈(133)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170)의 내벽에는 상기 지지홈(133)과 맞물리는 걸림턱(171)이 형성된다.
결국, 상기 지지대(130)를 본체(170)로부터 분리했더라도, 상기 지지홈(133)과 걸림턱(171)의 맞물림으로 상기 지지대(130)를 정위치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콘센트(100)의 관리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통전쇠(160)는 건물 내 배선된 전선(W)과 연결되어, 상기 삽입구(111)와 회전통(120) 및 가이드관(131)을 경유한 통전바아(11)가 맞물려 접속되는 것으로, 상기 통전쇠(160)는 건물 내 배선된 전선(W)과 연결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100)는 상기 회전홈(125)에 통전편(126) 이외에 제1통전판(127)이 더 구비되고, 이에 상응하여 상기 지지대(130)의 회전구멍(131)에는 제2통전판(132)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통전판(127) 및 제2통전판(132)은 도 5와 같은 배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석(184)의 작동에 관여하게 된다. 즉, 상기 제1통전판(127) 및 제2통전판(132)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하기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전자석(184)이 작동할 것이나, 상기 제1통전판(127) 및 제2통전판(132)이 전기적으로 분리된 상태라면, 스위치의 조작에 관계없이 상기 전자석(184)은 작동할 수 없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1통전판(127) 및 제2통전판(132)은 평상 시엔 서로 맞닿아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되며, 상기 통전바아(11)의 삽입으로 상기 회전통(120)이 회전하면 상기 제1통전판(127)과 제2통전판(132)이 떨어지면서 상기 전자석(184)의 작동을 강제로 정지시키게 된다.
이는 플러그(10)가 콘센트(100)에 꽂혀 있는 순간에도 상기 전자석이 작동하고 있다면 불필요한 전력소모일 수 있으므로, 상기 걸림대(181)가 상기 홈(122)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상기 회전통(120)이 회전하면, 상기 걸림대(181)를 잡아당기고 있는 전자석(184)의 전원을 차단하여 걸림대(181)를 더 이상 잡아당기지 않게 한다. 또한, 상기 토션스프링(140)의 복원력으로 상기 회전통(120)이 원위치로 복귀하면, 상기 걸림대(181)는 탄발체(182)의 탄발력으로 지지되다가 상기 홈(122)이 나타나면 그 안으로 삽입되어 상기 회전통(120)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잠그게 된다.
미설명 인출번호 'W3'은 상기 제1통전판(127)과 제2통전판(132)을 전자석(184)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매개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의 안전형 설치구조의 전면케이스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전면케이스의 통전바아 삽입구의 작동모습을 순차 도시한 도면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회전통(120)는 상기 걸림대(181)에 의해 항시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하지만, 상기 삽입구(111)를 통해 통전바아(11)가 삽입될 경우에는 상기 회전통(120)가 회전하면서 상기 통전바아(11)를 통전쇠(160)까지 삽입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100)는 걸림대(181)와, 상기 걸림대(181)를 조작할 수 있는 작동회로를 포함한다. 우선, 상기 작동회로를 열고 닫을 수 있는 스위치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스위치는 삽입구(111)에 위치하면서 통전바아(11)의 삽입여부에 따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스위치는 부채꼴 형상을 한 다수의 개폐판(113)이 원형이 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삽입구(111)를 부분 폐구한다. 즉, 상기 개폐판(113)이 모여 원형을 이룰 경우, 상기 원형의 중심으로는 개구된 끼움홈(116)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원형으로 모인 상기 개폐판(113)은 고정함(112) 내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때, 상기 개폐판(113)의 외곽 가장자리에는 제1통전체(114)가 구비되고, 이에 상응하여 상기 고정함(112)의 내측에는 제2통전체(115)가 서로 이격되게 구비된다. 즉,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폐판(113)들은 상기 고정함(112) 중심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며, 그 고정은 개폐판(113) 전방에 돌출된 걸림돌부(113a)를 감는 장력벨트(117)를 통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장력벨트(117)가 상기 개폐판(113)들 각각에 형성된 걸림돌부(113a)를 감싸면서, 평상시에는 상기 장력벨트(117)의 탄성에 의해 도 3(a)도면과 같이 상기 고정함(112)의 중심에 집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끼움홈(116)을 통해 통전바아(11)가 삽입되면, 그 삽입력이 상기 장력벨트(117)의 장력을 넘어서면서 상기 개폐판(113)들을 벌리게 되고, 상기 통전바아(11)가 완전히 관통하면 상기 개폐판(113)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제1통전체(114)들은 상기 고정함(112)의 내벽에 배치된 제2통전체(115)과 접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통전체(115)는 다수개가 서로 떨어져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판(113)의 가장자리에 각각 독립적으로 배치된 제1통전체(115)가 상기 제2통전체(115)들의 통전매개체가 되어서, 전선(W1)과 연결되는 지정된 한쌍의 제2통전체가 서로 통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선(W1)은 상기 작동회로를 구성하는 배선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의 안전형 설치구조의 회전체를 잠그는 걸림대의 작동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상기 개폐판(113)은 다수개가 원형을 이루도록 집적된 것으로, 이중 한 곳만 힘을 받아 이동하여, 이동한 해당 개폐판(113)의 제1통전체(114)가 고정함(112) 내 제2통전체(115)를 통전시키더라도, 남은 부분에 대한 완전한 통전이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작동회로 내에는 정상적인 전류가 흐르지 못한다. 그런데, 상기 작동회로는 전자석(184)과 접속되어 상기 전자석(184)의 자력발생 여부를 관리한다. 즉, 상기 제1통전체(114) 및 제2통전체(115)가 모두 접촉되어 상기 작동회로에 정상적인 전류가 공급되면, 상기 전자석(184)에 자력이 발생하면서 걸림대(181)를 잡아당기는 것이다. 반면, 상기 전자석(184)이 작동하지 않을 경우엔, 상기 걸림대(181)가 탄발체(182)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걸림대(181)를 회전통(120)의 홈(122)으로 밀어내므로, 상기 회전통(120)은 걸림대(181)에 걸려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대(181)는 중공이 형성된 가이드(183)를 통해 직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므로, 일단은 상기 홈(122)으로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183)로 삽입되어, 상기 전자석(184)의 자력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엔 상기 회전통(120)은 회전을 하지 못하게 된다. 물론, 상기 전자석(184)이 작동하여 자력을 발생시키면, 상기 걸림대(181)는 상기 가이드(183)를 통해 전자석(184)쪽으로 이동하면서 그 일단이 상기 홈(122)으로부터 이탈되고, 결국, 상기 회전통(120)는 회전을 방해하는 간섭을 받지 않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통전체(114)와 제2통전체(115)는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되어서, 상기 제1통전체(114) 및 제2통전체(115)가 하나라도 접촉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작동회로는 정상적인 전류의 흐름을 방해받게 한다. 또한, 상기 작동회로에 공급되는 전기는 전선(W)에 병렬로 연결되어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100)는 한 쌍의 상기 삽입구(111)에 대응하여 상기 걸림대(181) 또한 한 쌍이 형성된다. 즉, 하나의 삽입구(111)에 배치된 걸림대(181)는 당해 삽입구(111)에 배치된 개폐판(113) 및 고정함(112)을 포함하는 작동회로에 의해 동작되고, 남은 다른 삽입구에 배치된 걸림대는 당해 삽입구에 배치된 개폐판 및 고정함을 포함한 작동회로에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되는 것이다. 결국, 일반인이 한 쌍의 삽입구 중 하나의 삽입구에 금속재를 넣을 경우, 상기 삽입구(111)에 배치된 개폐판(113) 및 고정함(112)을 포함하는 작동회로가 통전하면서 당해 걸림대(181)가 동작하더라도, 다른 한 쪽의 삽입구와 관련한 걸림대는동작을 하지 않으므로, 상기 회전통(120)는 회전을 할 수 없어 상기 금속재를 더 이상 집어넣을 수 없게 된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통전판(127)과 제2통전판(132)이 작동회로에 더 포함되면서, 상기 제1통전체(114)와 제2통전체(115)의 단락여부에 관계없이 작동회로의 전체 단락을 제어하게 된다. 도 5(a)는 플러그(10)가 콘센트(100)에 꽂히기 전의 상태, 즉 일반적인 상태이고, 도 5(b)는 플러그(10)가 콘센트(100)에 꽂혀 전자석(184)이 작동하고, 이로인해 상기 걸림대(181)가 상기 홈(122)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5(c)는 상기 플러그(10)가 완전히 삽입되어 상기 제1통전판(127) 및 제2통전판(132)이 단락되면서 전자석(184)으로 공급되는 전기가 차단되어 그 작동을 멈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미설명된 인출번호 "112a"는 상기 고정함(112) 내에 형성된 관통구로, 상기 삽입구를 통해 삽입된 통전바아(11)가 상기고정함(12)을 관통하여 보다 안쪽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통로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콘센트함 장치 따른 주요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내용을 기반으로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공동주택 전기의 내벽 콘센트함 장치으로서, 상기 콘센트함 장치가 적용되는 건축물; 상기 콘센트함 장치 구현을 위하여, 상기 건축물에 설치되는, 콘센트구조물; 및 상기 콘센트구조물을 상기 건축물에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콘센트구조물이 임시적재현장에 적재되어 보관되거나, 상기 콘센트구조물이 설치현장에 설치되는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콘센트구조물은, 내측에 공간을 가지면서 벽체에 내설되는 본체; 상기 벽체 내에 배선된 전선과 연결되는 한 쌍의 통전쇠; 상기 본체 내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중심에는 회전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구멍의 내주면에는 상기 통전쇠와, 하기 전자석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통전판이 각각 분리 배치되는 지지대; 상기 회전구멍으로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전면에는 부채꼴 형상을 한 한 쌍의 경사면이 상호 대향하는 회전통;을 포함한다.
상기 관리유닛은, 상기 적재현장과 상기 설치현장의 바닥부(B)에 설치되는 제1프레임(1100)과, 상기 적재현장과 상기 설치현장의 바닥부(B)에 설치되는 제2프레임(1200)과, 상기 제1프레임(1100)과 상기 제2프레임(1200) 사이에 설치되는 제3프레임(1300)과, 상기 제1프레임(1100) 내지 상기 제3프레임에 외삽되며 상기 바닥부(B)와 대향하여 이격되는 체결모듈과, 상기 제1프레임(1100) 외측부로 설치되는 제1설치패널(1110)과, 상기 제1설치패널(1110)의 외측부 높이방향으로 상방에 설치되는 제1보관모듈(1111)과, 상기 제1설치패널(1110)의 외측부 높이방향으로 하방에 설치되는 제2보관모듈(1112)과, 상기 제1설치패널(1110)의 외측부 높이방향으로 상기 제1보관모듈(1111)과 상기 제2보관모듈(1112) 사이에 설치되는 제3보관모듈(111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보관모듈(1111) 내지 상기 제3보관모듈(1113)은 각각 상기 제1설치패널(1110)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보관모듈(1111)은 상기 콘센트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부품이 외부로 노출된채 적재되며, 상기 제1보관모듈(1111)은 상기 제3보관모듈(1113)과 상호간에 이격되어 제1보관공간(S1)을 형성하며, 상기 제1보관공간(S1)에는 상기 콘센트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부품이 적재된다.
아울러, 상기 제3보관모듈(1113)은 상기 제2보관모듈(1112)과 상호간에 이격되어 제2보관공간(S2)을 형성하며, 상기 제2보관공간(S2)에는 상기 콘센트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부품이 적재되며, 상기 제1보관모듈(1111)의 상부 안착면상에는 제1감지부(1111a)가 구비되어, 기설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안착된 대상물(예: 콘센트구조물의 완제품, 콘센트구조물의 일부 부품 등)의 무게 감지를 통하여 의도되지 않은 대상물이 아닌 특정된 대상물인 콘센트구조물물의 구성품이 적어도 일부 거치되는지 여부를 식별한다.
상기 제3보관모듈(1113)의 상부 안착면상에는 제3감지부(1113a)가 구비되어, 기설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안착된 대상물의 무게 감지를 통하여 의도되지 않은 비대상물이 아닌 특정된 대상물인 콘센트구조물물의 구성품이 적어도 일부 거치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며, 상기 제2보관모듈(1112)의 상부 안착면상에는 제2감지부(1112a)가 구비되어, 기설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안착된 대상물의 무게 감지를 통하여 의도되지 않은 비대상물이 아닌 특정된 대상물인 콘센트구조물물의 구성품이 적어도 일부 거치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며, 상기 제1보관모듈(1111)과 상기 제3보관모듈(1113)은 상기 제1프레임(1100)에서 상호 근접하도록 유동하여 상기 제1보관공간(S1)에 위치되는 상기 대상물을 일정한 힘으로 눌러 고정하여, 유동을 방지한다.
상기 제2보관모듈(1112)과 상기 제3보관모듈(1113)은 상기 제2프레임(1200)에서 상호 근접하도록 유동하여 상기 제2보관공간(S2)에 위치되는 상기 대상물을 일정한 힘으로 눌러 고정하여, 유동을 방지하며, 상기 제1보관모듈(1111)의 저면부에는 충격 및 미끄럼방지를 위한 제1완충패드(3115)가 구비되어, 상기 제3감지부(1113a)와 대상물을 사이에 두고 가압하여 고정하며, 상기 제3보관모듈(1113)의 저면부에는 충격 및 미끄럼방지를 위한 제2완충패드(3116)가 구비되어, 상기 제2감지부(1112a)와 대상물을 사이에 두고 가압하여 고정한다.
상기 제4보관모듈(1211)의 저면부에는 충격 및 미끄럼방지를 위한 제4완충패드(4115)가 구비되어, 상기 제3감지부(1113a)와 대상물을 사이에 두고 가압하여 고정하며, 상기 제6보관모듈(1213)의 저면부에는 충격 및 미끄럼방지를 위한 제5완충패드(4116)가 구비되어, 상기 제5감지부(1212a)와 대상물을 사이에 두고 가압하여 고정하며, 상기 제1보관모듈(1111)의 외측에는 제1패널(3111)이 구비되며, 상기 제1패널(3111)은 하부로 제1슬라이딩패널(3112)을 유동시키며, 상기 제2보관모듈(1112)의 외측에는 제2패널(3115)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3보관모듈(1113)의 외측에는 제3패널(3113)이 구비되며, 상기 제3패널(3113)은 하부로 상기 제2슬라이딩패널(3114)을 유동시키며, 상기 제1슬라이딩패널(3112)은 상기 제3패널(3113)상에 삽입 안착되며, 상기 제2슬라이딩패널(3114)은 상기 제2패널(3115)상에 삽입 안착되며, 상기 제4보관모듈(1211)의 외측에는 제4패널(4111)이 구비되며, 상기 제4패널(4111)은 하부로 제4슬라이딩패널(4112)을 유동시키며, 상기 제5보관모듈(1212)의 외측에는 제5패널(4115)이 구비된다.
상기 제6보관모듈(1213)의 외측에는 제6패널(4113)이 구비되며, 상기 제6패널(4113)은 하부로 상기 제5슬라이딩패널(4114)을 유동시키며, 상기 제4슬라이딩패널(4112)은 상기 제6패널(4113)상에 삽입 안착되며, 상기 제5슬라이딩패널(4114)은 상기 제5패널(4115)상에 삽입 안착되며, 상기 관리유닛은, 상기 제2프레임(1200) 내부로부터 외측부로 설치되는 제2설치패널(1210)과, 상기 제2설치패널(1210)의 외측부 높이방향으로 상방에 설치되는 제4보관모듈(1211)과, 상기 제2설치패널(1210)의 외측부 높이방향으로 하방에 설치되는 제5보관모듈(1212)과, 상기 제2설치패널(1210)의 외측부 높이방향으로 상기 제4보관모듈(1211)과 상기 제5보관모듈(1212) 사이에 설치되는 제6보관모듈(121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4보관모듈(1211) 내지 상기 제6보관모듈(1213)은 각각 상기 제2설치패널(1210)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4보관모듈(1211)은 상기 콘센트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부품이 외부로 노출된채 적재되며, 상기 제4보관모듈(1211)은 상기 제6보관모듈(1213)과 상호간에 이격되어 제3보관공간(S3)을 형성하며, 상기 제3보관공간(S3)에는 상기 콘센트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부품이 적재된다.
상기 제5보관모듈(1212)은 상기 제6보관모듈(1213)과 상호간에 이격되어 제4보관공간(S4)을 형성하며, 상기 제4보관공간(S4)에는 상기 콘센트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부품이 적재되며, 상기 제4보관모듈(1211)의 상부 안착면상에는 제4감지부(1211a)가 구비되어, 기설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안착된 대상물의 무게 감지를 통하여 의도되지 않은 대상물이 아닌 특정된 대상물인 콘센트구조물물의 구성품이 적어도 일부 거치되는지 여부를 식별한다.
한편, 상기 제6보관모듈(1213)의 상부 안착면상에는 제6감지부(1213a)가 구비되어, 기설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안착된 대상물의 무게 감지를 통하여 의도되지 않은 비대상물이 아닌 특정된 대상물인 콘센트구조물물의 구성품이 적어도 일부 거치되는지 여부를 식별한다.
상기 제5보관모듈(1212)의 상부 안착면상에는 제5감지부(1212a)가 구비되어, 기설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안착된 대상물의 무게 감지를 통하여 의도되지 않은 비대상물이 아닌 특정된 대상물인 콘센트구조물물의 구성품이 적어도 일부 거치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며, 상기 제4보관모듈(1211)과 상기 제6보관모듈(1213)은 상기 제2프레임(1200)에서 상호 근접하도록 유동하여 상기 제3보관공간(S3)에 위치되는 상기 대상물을 일정한 힘으로 눌러 고정하여, 유동을 방지한다.
상기 제5보관모듈(1212)과 상기 제6보관모듈(1213)은 상기 제2프레임(1200)에서 상호 근접하도록 유동하여 상기 제4보관공간(S4)에 위치되는 상기 대상물을 일정한 힘으로 눌러 고정하여, 유동을 방지하며, 상기 제1프레임(1100)의 내측방향에는 제1가동패널(1410)이 구비되며. 상기 제2프레임(1200)의 내측방향에는 제2가동패널(1510)이 구비되며. 상기 제3프레임(1300)은, 일측으로 구비되는 제1고정력제공부(1310)와, 상기 제1고정력제공부(1310)에서 전진하며 상기 제1가동패널(1410)에 연동 고정되는 제1고정체(1311)와, 타측으로 구비되는 제2고정력제공부(1320)와, 상기 제2고정력제공부(1320)에서 전진하며 상기 제2가동패널(1510)에 연동 고정되는 제2고정체(1321)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관리유닛은, 상기 바닥부(B)에 설치되는 제1장착체(1611)와, 상기 제1장착체(1611)로부터 상기 제1프레임(1100)을 관통하여 상기 제3프레임(1300)에 일부 삽입장착되는, 제1삽입고정체(1612)와, 상기 바닥부(B)에 설치되는 제2장착체(1710)와, 상기 제2장착체(1710)로부터 상기 제2프레임(1200)을 관통하여 상기 제3프레임(1300)에 일부 삽입장착되는, 제2삽입고정체(1621)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장착체(1610)는 하부에 제1출몰체(1611)가 출몰하여 상기 바닥부(B)에 고정장착되며, 상기 제2장착체(1710)는 하부에 제2출몰체(1711)가 출몰하여 상기 바닥부(B)에 고정장착되며, 상기 체결모듈은, 상기 제1프레임(1100)에 수평으로 외삽되어 설치되는 제1-1체결플레이트(1811)와, 상기 제2프레임(1200)에 수평으로 외삽되어 설치되는 제1-2체결플레이트(1812)와, 상기 제3프레임(1300)에 수평으로 외삽되어 설치되는 제1-3체결플레이트(1813)와, 상기 제1-1체결플레이트(1811)와 상기 제1-3체결플레이트(1813) 사이를 상호 진퇴이동시켜, 상기 제1프레임(1100)과 상기 제3프레임(1300)간의 긴장력을 제공하는 제1중간구동체(1814)와, 상기 제1-2체결플레이트(1812)와 상기 제1-3체결플레이트(1813) 사이를 상호 진퇴이동시켜 상기 제2프레임(1200)과 상기 제3프레임(1300)간의 긴장력을 제공하는 제2중간구동체(1815)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제1설치패널(1110)은 상기 제1프레임(110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가동패널(1410)과 연동되되, 상기 제1가동패널(1410)은 상기 제1프레임(1100)을 관통하는 제1연동바(1311)로 상기 제1설치패널(1110)에 연동되어, 상기 제1설치패널(1110)을 상기 제1프레임(1100)으로부터 상대적 위치로 근접 혹은 이격되도록 이동시키며, 상기 제2설치패널(1210)은 상기 제2프레임(120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가동패널(1510)과 연동되되, 상기 제2가동패널(1510)은 상기 제2프레임(1200)을 관통하는 제2연동바(1321)로 상기 제2설치패널(1210)에 연동되어, 상기 제2설치패널(1210)을 상기 제2프레임(1200)으로부터 상대적 위치로 근접 혹은 이격되도록 이동시키며, 상기 제1프레임(1100)의 상부에는 제1촬영바디(2111)와 상기 제1촬영바디(2111)의 단부에서 촬영을 수행하는 제1촬영체(2112)를 포함하는 제1촬영모듈(2110)이 구비된다.
상기 제2프레임(1200)의 상부에는 제2촬영바디(2121)와 상기 제2촬영바디(2121)의 단부에서 촬영을 수행하는 제2촬영체(2122)를 포함하는 제2촬영모듈(2120)이 구비되며, 상기 제1설치패널(1110)은 상기 제1촬영모듈(2110)과 상기 제1-1체결플레이트(1811)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2설치패널(1210)은 상기 제2촬영모듈(2120)과 상기 제1-2체결플레이트(181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공동주택의 콘센트함 장치 설치방법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함 장치가 적용되는 건축물을 선정하는 단계; 선정된 상기 건축물에 대하여 상기 콘센트함 장치 구현을 위하여, 상기 건축물에 콘센트구조물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다른 중복되는 구성적 특징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전술한 상기 제1보관모듈 내지 상기 제6보관모듈 중 적어 도 어느 하나는 각각 다수로 구비되어, 보다 많은 대상물의 취급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전술한 물리적 구성들의 구동방식은 모터, 엑츄에이터 등을 기반으로 전후유동, 회전이동이 이루어지며 각 구성부의 형상과 크기는 설치 현장과 구현하고자하는 자재들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플러그 11 ; 통전바아
100 ; 콘센트 110 ; 전면케이스
111 ; 삽입구 112 ; 고정함

Claims (2)

  1. 삭제
  2. 공동주택 전기의 내벽 콘센트함 장치 설치방법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함 장치가 적용되는 건축물을 선정하는 단계;
    선정된 상기 건축물에 대하여 상기 콘센트함 장치 구현을 위하여, 상기 건축물에 콘센트구조물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콘센트구조물을 상기 건축물에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콘센트구조물이 적재현장에 적재되어 보관되거나, 상기 콘센트구조물이 설치현장에 설치되는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유닛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콘센트구조물은,
    내측에 공간을 가지면서 벽체에 내설되는 본체; 상기 벽체 내에 배선된 전선과 연결되는 한 쌍의 통전쇠; 상기 본체 내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중심에는 회전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구멍의 내주면에는 상기 통전쇠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유닛은,
    상기 적재현장과 상기 설치현장의 바닥부(B)에 설치되는 제1프레임(1100)과,
    상기 적재현장과 상기 설치현장의 바닥부(B)에 설치되는 제2프레임(1200)과,
    상기 제1프레임(1100)과 상기 제2프레임(1200) 사이에 설치되는 제3프레임(1300)과,
    상기 제1프레임(1100) 내지 상기 제3프레임에 외삽되며 상기 바닥부(B)와 대향하여 이격되는 체결모듈과,
    상기 제1프레임(1100) 외측부로 설치되는 제1설치패널(1110)과, 상기 제1설치패널(1110)의 외측부 높이방향으로 상방에 설치되는 제1보관모듈(1111)과,,
    상기 제1설치패널(1110)의 외측부 높이방향으로 하방에 설치되는 제2보관모듈(1112)과,
    상기 제1설치패널(1110)의 외측부 높이방향으로 상기 제1보관모듈(1111)과 상기 제2보관모듈(1112) 사이에 설치되는 제3보관모듈(1113)을 포함하며,
    상기 제1보관모듈(1111) 내지 상기 제3보관모듈(1113)은 각각 상기 제1설치패널(1110)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보관모듈(1111)은 상기 콘센트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부품이 외부로 노출된채 적재되며,
    상기 제1보관모듈(1111)은 상기 제3보관모듈(1113)과 상호간에 이격되어 제1보관공간(S1)을 형성하며, 상기 제1보관공간(S1)에는 상기 콘센트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부품이 적재되고,
    상기 제3보관모듈(1113)은 상기 제2보관모듈(1112)과 상호간에 이격되어 제2보관공간(S2)을 형성하며,
    상기 제2보관공간(S2)에는 상기 콘센트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부품이 적재되며,
    상기 제1보관모듈(1111)의 상부 안착면상에는 제1감지부(1111a)가 구비되어, 기설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안착된 대상물의 무게 감지를 통하여 의도되지 않은 대상물이 아닌 특정된 대상물인 콘센트구조물물의 구성품이 적어도 일부 거치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공동주택 전기의 내벽 콘센트함 장치 설치방법.
KR1020210043252A 2021-04-02 2021-04-02 공동주택 전기의 내벽 콘센트함 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2331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252A KR102331402B1 (ko) 2021-04-02 2021-04-02 공동주택 전기의 내벽 콘센트함 장치 및 그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252A KR102331402B1 (ko) 2021-04-02 2021-04-02 공동주택 전기의 내벽 콘센트함 장치 및 그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1402B1 true KR102331402B1 (ko) 2021-12-01

Family

ID=78933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3252A KR102331402B1 (ko) 2021-04-02 2021-04-02 공동주택 전기의 내벽 콘센트함 장치 및 그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14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3814B1 (ko) 2021-12-13 2022-10-14 (주)광명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실내 전기 다기능 콘센트 구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026B1 (ko) * 2006-05-23 2006-12-13 주식회사 한국종합전기 공동주택용 전원공급기의 안전형 설치구조
KR100657022B1 (ko) * 2006-05-23 2006-12-13 주식회사 한국종합전기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공동주택 내 콘센트 구조
KR20100132853A (ko) * 2009-06-10 2010-12-20 주식회사 한국랙스 랙 구조물용 로드빔
KR20140012373A (ko) * 2012-07-20 2014-02-03 주식회사 유비스 수납 박스과 조립식 레그 및 익스텐션 구조를 통합한 기능성 테이블
KR20200086595A (ko) 2019-01-09 2020-07-17 서동만 공동주택의 실내전기구 고정형 콘센트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026B1 (ko) * 2006-05-23 2006-12-13 주식회사 한국종합전기 공동주택용 전원공급기의 안전형 설치구조
KR100657022B1 (ko) * 2006-05-23 2006-12-13 주식회사 한국종합전기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공동주택 내 콘센트 구조
KR20100132853A (ko) * 2009-06-10 2010-12-20 주식회사 한국랙스 랙 구조물용 로드빔
KR20140012373A (ko) * 2012-07-20 2014-02-03 주식회사 유비스 수납 박스과 조립식 레그 및 익스텐션 구조를 통합한 기능성 테이블
KR20200086595A (ko) 2019-01-09 2020-07-17 서동만 공동주택의 실내전기구 고정형 콘센트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3814B1 (ko) 2021-12-13 2022-10-14 (주)광명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실내 전기 다기능 콘센트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99881B (zh) 滑动式门的开闭装置
KR102331402B1 (ko) 공동주택 전기의 내벽 콘센트함 장치 및 그 설치방법
EP0359728A2 (en) Locking device for a door of a washing machine, a spin dryer or the like
EP2808434B1 (en) Laundry treatment device with door assembly
KR20100044934A (ko) 강제해정수단이 구비된 데드볼트 전자잠금장치
KR100657026B1 (ko) 공동주택용 전원공급기의 안전형 설치구조
KR100835243B1 (ko) 공동주택의 벽면 매설형 배전선 보호대
KR100657022B1 (ko)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공동주택 내 콘센트 구조
JP4116520B2 (ja) 開閉装置
JP5344052B2 (ja) コントロールセンター
EP3176354A1 (en) Actuating apparatus for sliding door
KR100834099B1 (ko) 공동주택의 안전형 분배전반
JP7219599B2 (ja) シャッター装置、シャッター装置の開放操作方法、シャッター装置の開閉操作方法
KR20160090684A (ko) 링메인유닛(rmu)의 인터록 장치
JP7082556B2 (ja) シャッター装置
KR100650790B1 (ko) 감전사고방지용 실내용 전원공급기구
EP3220497A1 (en) Motor control center unit
KR101901401B1 (ko) 방화문용 자동 폐쇄장치
KR100699012B1 (ko) 아파트 내 전기공급을 차단하는 잠금쇠형 전원단락장치
CN100422496C (zh) 电子撞击器组件
KR101285871B1 (ko) 충전커넥터 잠금장치
KR102477790B1 (ko) 미닫이문의 자동 폐쇄 장치
US3277253A (en) Safety interlock mechanism for an electric switch and receptacle unit
EP3445929B1 (en) A door provided with at least one latch
KR101069297B1 (ko) 감전방지용 개폐기구를 갖춘 공동주택용 전원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