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1224B1 - Toilet for pet - Google Patents

Toilet for p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1224B1
KR102331224B1 KR1020200112590A KR20200112590A KR102331224B1 KR 102331224 B1 KR102331224 B1 KR 102331224B1 KR 1020200112590 A KR1020200112590 A KR 1020200112590A KR 20200112590 A KR20200112590 A KR 20200112590A KR 102331224 B1 KR102331224 B1 KR 102331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member
defecation
space
body portion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25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재혁
Original Assignee
김재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혁 filed Critical 김재혁
Priority to KR1020200112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122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1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12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4Litter boxes with screens for separating excrement from litt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01K23/005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s used independently from the animal, i.e. not worn by the animal but operated by a pers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toilet for pets. The toilet for pets can comprise: a body unit having a defecation space formed therein, having an entrance unit for entering and exiting the defection space installed on a surface thereof so as to be open and closed, and filled with sand on the bottom of the defecation space; a locking protrusion unit protruding from an inner wall of the defecation space of the body unit; and a filter member having a side surface detachably fixed to the locking protrusion unit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sand, and having a plurality of penetration holes.

Description

반려 동물 화장실{TOILET FOR PET}Pet toilet {TOILET FOR PET}

본 발명은 반려 동물의 소변 또는 배변에 의한 이물질의 제거가 가능한 반려 동물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for companion animals capable of removing foreign substances by urine or defecation of companion animals.

최근 들어, 강아지 또는 고양이 등의 반려 동물을 키우는 가정이 늘어나면서 반려 동물과 관련된 문제들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그 중 하나는 반려 동물이 지정된 장소가 아닌 아무 곳에서 배변을 하는 문제이다.Recently, as the number of households raising companion animals such as dogs or cats increases, problems related to companion animals also occur frequently. One of them is the problem of pets defecating in a place other than a designated place.

반려 동물의 배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반려 동물의 배변을 특정 장소에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반려 동물 배변기 제품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러한 배변기의 내부에는 소변 또는 배변을 위한 흙이 충진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defecation of companion animals, various companion animal toilet products that can induce the bowel movement of companion animals to a specific place have appeared. The inside of such a toilet may be filled with urine or soil for defecation.

그러나, 종래의 반려 동물 배변기는 반려 동물이 배변하는 과정에서 소변 또는 대변에 의해 흙에 이물질이 발생되어 위생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companion animal toilet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maintain hygiene because foreign substances are generated in the soil by urine or feces during the bowel movement of the companion animal.

등록특허공보 10-1908799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908799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반려 동물의 소변 또는 대변의 배변을 용이하게 하고, 배변 과정에서 발생된 이물질의 용이한 제거가 가능한 반려 동물 화장실을 제공하고자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ilet for companion animals that facilitates defecation of urine or feces of a companion animal and can easily remove foreign substances generated in the course of defec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배변 공간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상기 배변 공간으로 출입을 위한 출입부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배변 공간의 저면에는 모래가 충진되는 바디부와, 바디부의 배변 공간의 내벽면에 돌출되는 걸림돌부와, 모래의 상부 표면에 이격된 위치에서 걸림돌부에 측면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며 다수개의 투과공이 형성된 필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fecation space is formed therein, and an opening and closing part for entry and exit into the defecation space is installed on the side to be able to open and clos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defecation space is filled with sand. It may include a b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inner wall, and a filter member having a side detachably fixed to the blocking protrusion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and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걸림 돌부는. 바디부의 상기 배변 공간의 내벽면에 서로 이격된 위치에 2개로 설치될 수 있다. jamming stones. The body portion may be installed in two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inner wall of the defecation space.

필터부재는, 2개의 걸림 돌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 상태로 바디부의 배변 공간의 내부에 서로 이격된 2개로 설치될 수 있다.The filter member may be installed in two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bowel movement space of the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filter member is detachably fixed to the two locking protrusions.

바디부는, 저면에 바닥면에 지지되는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The body portion may have a hexahedral shape supported on a bottom surface on a bottom surface.

바디부의 측면에는 바디부의 회전을 위한 손잡이부가 돌출될 수 있다.A handle part for rotation of the body part may protrude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part.

바디부는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portion may be formed in a round shape.

바디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바디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부가 설치될 수 있다.A base part installed under the body part to rotatably support the body part may be installed.

베이스부는, 저면이 바닥면에 지지되고 상부에는 라운드 형상의 바디부의 측면을 지지하는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base part may have a bottom surface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and a concave part supporting the side surface of the round-shaped body part may be formed on the upper pa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강아지 또는 고양이 등이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흙 위에 소변 또는 대변으로 보고, 소변 또는 대변에 의해 발생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필터링하여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물질이 제거된 흙의 재사용이 가능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filter and remove foreign substances generated by urine or feces by viewing urine or feces on the soil in a state in which a dog or cat is located inside, and the foreign substances are removed It is possible to re-use the old soil, so it is possible to improve user satisfaction.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반려 동물 화장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반려 동물 화장실의 출입부가 개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반려 동물 화장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반려 동물 화장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반려 동물 화장실에서 필터부재가 제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반려 동물 화장실이 상하 뒤집힌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반려 동물 화장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반려 동물 화장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반려 동물 화장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toilet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entry/exit of the companion animal toilet of FIG. 1 is opened.
3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mpanion animal toilet of FIG. 1 .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mpanion animal toilet of FIG. 1 .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lter member is removed from the toilet for companion animals of FIG. 4 .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ilter memb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toilet for companion anim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urned upside down.
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toilet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mpanion animal toilet of FIG. 8 .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mpanion animal toilet of FIG. 8 .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반려 동물 화장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반려 동물 화장실의 출입부가 개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반려 동물 화장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반려 동물 화장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반려 동물 화장실에서 필터부재가 제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mpanion animal toile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entry and exit of the companion animal toilet of FIG. 1 is opened, and FIG. 1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mpanion animal toilet,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mpanion animal toilet of FIG. It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lter memb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반려 동물 화장실(100)은, 내부에 배변 공간(13)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배변 공간(13)으로 출입을 위한 출입부(12)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배변 공간(13)의 저면에는 모래가 충진되는 바디부(10)와, 바디부(10)의 배변 공간(13)의 내벽면에 돌출되는 걸림돌부(16)와, 모래의 상부 표면에 이격된 위치에서 걸림 돌부(16)에 측면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며 다수개의 투과공이 형성된 필터부재(2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to 6 , in the companion animal toilet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owel space 13 is formed therein, and a bowel movement space 13 is formed on the side for entry and exit. The body portion 12 is installed so as to be open and closed,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defecation space 13 is filled with sand, and a blocking protrusion 16 protruding from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defecation space 13 of the body portion 10. ) and a filter member 20 having a side detachably fixed to the locking protrusion 16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and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therein.

바디부(10)는 실내에서 고양이 또는 강아지 등이 반려 동물의 소변 또는 대변의 처리를 위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반려 동물이 바디부(10)의 내부로 유입하여 소변 또는 대변을 볼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body part 10 may be installed at a location for the treatment of urine or feces of a companion animal by a cat or a dog indoors. That is, it may be installed so that the companion animal can urinate or feces by flowing into the body portion 10 .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바디부(10)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면에는 반려 동물이 출입하는 출입부(12)가 설치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body portion 10 is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and the side entrance 12 through which the companion animal enters and exits may be installed.

바디부(10)는 내부에 반려 동물이 소변 또는 배변을 보는 라운드 형상의 배변 공간(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변 공간(13)의 저면에는 반려 동물이 위치되어 소변 또는 배변이 이루어지는 흙이 충진될 수 있다.The body part 10 may have a round-shaped defecation space 13 formed therein for companion animals to urinate or defecate. A companion animal is positioned on the bottom of the defecation space 13 and may be filled with soil in which urine or defecation is made.

따라서, 반려 동물은 바디부(10)의 출입부(12)를 통과하여 바디부(10)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로 소변 또는 대변을 보고, 출입부(12)룰 통해 바디부(10)의 외부로 나갈 수 있다. Therefore, the companion animal passes through the inlet 12 of the body 10 and urinates or feces in a state located inside the body 10 , and passes through the inlet 12 to the outside of the body 10 . can go out to

여기서, 흙(14)에는 반려 동물의 소변 또는 배변시에 발생된 이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이물질은 후술하는 필터부재(20)에 의해 필터링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필터부재(20)를 설명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 the soil 14 may contain foreign substances generated during urine or defecation of companion animals. It is possible to filter these foreign substances by the filter member 20 to be described later.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hile describing the filter member 20 below.

바디부(10)의 배변 공간(13)의 내부에는 필터부재(20)의 설치를 위한 걸림 돌부(16)가 돌출될 수 있다.A locking protrusion 16 for installation of the filter member 20 may protrude from the inside of the defecation space 13 of the body portion 10 .

걸림 돌부(16)는 바디부(10)의 배변 공간(13)의 내벽면에 다수개로 돌출되는 것으로 필터부재(20)의 가장자리를 배변 공간(13)의 내부에 걸림 고정하도록 돌출될 수 있다. The locking protrusion 16 may protrude to lock the edge of the filter member 20 to the inside of the bowel space 13 by protruding in plurality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defecation space 13 of the body portion 10 .

걸림 돌부(16)는 배변 공간(13)의 내부에 다수개가 서로간에 이격된 상태로 돌출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배변 공간(13)의 내벽면을 따라 환형으로 돌출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locking protrusion 16 exemplarily describes that a plurality of protrusions in the interior of the defecation space 13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protrudes in an annular shape alo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defecation space 13 . It is also possible to be

걸림 돌부(16)는 바디부(10)의 배변 공간(13)의 내부에서 상하 위치의 각각에 환형으로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locking protrusion 16 is formed in an annularly protruding state at each of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within the bowel space 13 of the body portion 10 .

즉, 본 실시예의 필터부재(20)는 배변 공간(13)의 내부 상하 위치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 걸림 돌부(16)는 배변 공간(13)의 상하 위치에서 배변 공간(13)의 내벽면을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filter member 20 of this embodiment is to be respectively detachably installed in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inside the defecation space 13, and for this purpose, the locking protrusion 16 is the defecation space 13 in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defecation space 13. ) may be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inner wall surface.

걸림 돌부(16)에는 필터부재(20)를 끼움 고정하도록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A locking groove may be formed in the locking protrusion 16 to fit and fix the filter member 20 .

필터부재(20)는 바디부(10)의 배변 공간(13)의 내부에 상하 위치의 각각에 설치되는 것으로 서로간에 이격된 2개로 설치될 수 있다.The filter member 20 is installed at each of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in the bowel space 13 of the body portion 10, and may be installed in two piec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필터부재(20)는 바디부(10)의 배변 공간(13)의 내부 상하 위치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흙이 통과 가능한 복수개의 투과공(21)이 형성될 수 있다. The filter member 20 is to be respectively installed in upper and lower positions inside the bowel movement space 13 of the body portion 10,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1 through which soil can pass may be formed.

투과공(21)은 필터부재(20)에 흙의 입자가 통과 가능한 미세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으로, 흙의 용이한 통과는 가능하고 흙에 포함된 소변과 대변에 의해 생성된 이물질은 통과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penetrating hole 21 is formed in the filter member 20 with a fine size that allows particles of soil to pass through, allowing easy passage of soil and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generated by urine and feces contained in the soil from passing through. can be

투과공(21)은 필터부재(20)에 원형의 관통된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필터부재(20)의 전체 면적에 대해 메쉬 타입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through hole 21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circularly penetrated through the filter member 20 , and may be formed in a mesh type with respect to the entire area of the filter member 20 .

필터부재(20)는 사용자가 측면을 파지한 상태로 전술한 걸림 돌부(16)의 걸림홈에 끼워 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필터부재(20)는 일정 형상의 변형이 가능한 탄성력을 보유한 상태로 형성되어 걸림 돌부(16)에 용이하게 걸림 고정될 수 있다. The filter member 20 may be fix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of the aforementioned locking protrusion 16 while the user grips the side. To this end, the filter member 20 is formed to have an elastic force capable of deforming a predetermined shape, so that it can be easily caught and fixed to the locking protrusion 16 .

필터부재(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바디부(10)의 배변 공간(13)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측면을 파지한 상태로 걸림 돌부(16)의 걸림홈에 끼움 고정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바디부(10)의 일부분을 개폐 가능하게 구성하여 필터부재(20)의 설치 과정에서 바디부(10)의 일부분을 개방한 상태로 필터부재(20)가 설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filter member 20 is fitted into the locking groove of the locking protrusion 16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grips the side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bowel space 13 of the body portion 10. It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that it is detachably install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a part of the body part 1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open and close so that the filter member 20 is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body part 10 is opened during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filter member 20 . It is also possible to

필터부재(20)는 반려 동물이 소변 또는 대변을 보는 과정에서는 미설치되며, 반려 동물이 소변 또는 배변을 본 이후에 흙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설치될 수 있다. The filter member 20 is not installed while the companion animal urinates or feces, and may be installed when the companion animal wants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soil after urinating or defecating.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흙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바디부(10)의 배변 공간(13)의 내부에 필터부재(20)를 상하로 이격된 위치에 각각 설치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remov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soil, the filter member 20 in the bowel movement space 13 of the body portion 10 may be installed at positions spaced up and down, respectively.

여기서, 필터부재(20)는 바디부(10)의 배변 공간(13)의 하부에 위치에 설치된 하나는, 배변 공간(13)의 저면에 충진된 흙의 표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Here, the filter member 20 is one installed at a position in the lower part of the defecation space 13 of the body part 10, the upper surface spaced a certain distance from the surface of the soil filled in the bottom of the defecation space 13 to be located can

따라서, 사용자가 흙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부재(20)를 이용하여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바디부(10)를 상하 뒤집은 상태로 위치되도록 하여 흙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부재(20)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Therefore, when the user wants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soil by using the filter member 20, the body portion 10 is positioned in an upside-down state so that the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soil are removed using the filter member 20. It is possible to remove

즉, 사용자가 바디부(10)를 상하 반전된 상태로 뒤집은 경우 어느 하나의 필터부재(20)의 하부에 위치한 흙은 바디부(10)의 반전에 따라 필터부재(20)를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흙에 포함된 이물질은 바디부(10)의 상하 반전에 따라 필터링된 상태에서 필터부재(20)의 제거와 함께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user inverts the body part 10 in a vertically inverted state, the soil located under any one of the filter members 20 passes through the filter member 20 according to the inversion of the body part 10 . Accordingly,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soil can be easily removed together with the removal of the filter member 20 in a filtered state according to the vertical inversion of the body portion 10 .

이에 대해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0)의 내부에는 흙이 충진된 상측으로 2개의 필터부재(20)가 서로간에 이격된 상태로 각각 설치될 수 있다. First, as shown in FIG. 4 , the two filter members 20 may be installed in the upper side of the body part 10 with the soil filled therein, respectively,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이와 같이, 반려 동물이 바디부(10)의 내부로 위치하여 흙에 소변 또는 대변을 본 상태에서 바디부(10)의 내부에 필터부재(20)를 설치한다.In this way, the filter member 20 is installed inside the body 10 in a state where the companion animal is located inside the body 10 and has urine or feces in the soil.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 동물 화장실이 상하 뒤집힌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toilet for companion animals is turned upside d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0)를 상하 반전시키는 경우, 이물질이 포함된 흙은 2개의 필터부재(20)를 각각 통과하여 바디부(10)의 배변 공간(13)의 내부에 재위치된다. 여기서, 흙에 포함된 이물질(14a)은 바디부(10)가 상하 반전하는 과정에서 하나의 필터부재(20)를 통해 필터링된 상태로 필터부재(20)의 표면에 위치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 when the body part 10 is vertically inverted, the soil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passes through the two filter members 20 respectively to the inside of the defecation space 13 of the body part 10 . is relocated Here, the foreign substances 14a contained in the soil may be located on the surface of the filter member 20 in a state of being filtered through one filter member 20 in the process of the body part 10 being vertically inverted.

따라서, 흙에 포함된 이물질은 바디부(10)를 반전시킨 상태에서 필터부재(20)를 제거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흙은 필터부재(20)에 의해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제거되는 바, 재사용이 가능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Therefore,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soil can be easily removed by removing the filter member 20 in a state in which the body portion 10 is inverted. In addition, since foreign substances are effectively removed from the soil by the filter member 20, it can be reused, thereby improving user satisfaction.

한편, 바디부(10)의 측면에는 상하 반전을 위해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부(18)가 돌출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on the side of the body portion 10, it is also possible to protrude the handle portion 18, which the user grips for vertical inversion.

손잡이부(18)는 바디부(10)의 대향하는 양측에 각각 돌출되는 바, 사용자가 손잡이부(18)를 양손으로 파지한 상태로 바디부(10)의 용이한 상하 반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he handle portion 18 protrudes from opposite sides of the body portion 10, respectively, so that the user can easily invert the body portion 10 up and down while holding the handle portion 18 with both hands. hav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반려 동물 화장실(100)은, 강아지 또는 고양이 등이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흙 위에 소변 또는 대변으로 보고, 소변 또는 대변에 의해 발생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필터링하여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물질이 제거된 흙의 재사용이 가능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companion animal toilet 100 of this embodiment is a dog or cat that sees urine or feces on the soil in a state where it is located inside, and easily filters and removes foreign substances generated by urine or feces. It is possible, and it is possible to reuse the soil from which foreign substances have been removed, thereby improving user satisfac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반려 동물 화장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반려 동물 화장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0은 도 8의 반려 동물 화장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mpanion animal toil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mpanion animal toilet of FIG. 8, and FIG. 10 is the companion animal toilet of FIG. It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FIGS. 1 to 7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members having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omitted.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반려 동물 화장실(200)의 바디부(110)는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8 to 10 , the body part 110 of the companion animal toilet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a round shape.

이러한 바디부(110)는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면에는 반려 동물의 출입을 위한 출입부(112)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디부(110)가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은 후술하는 베이스부(120) 상에 용이하게 회전된 상태로 설치되기 위함이다.The body part 110 is formed in a round shape, and an entrance 112 for entry and exit of a companion animal may be installed on the side thereof. As described above, the reason that the body part 110 is formed in a round shape is to be installed in a rotated state easily on the base part 120 to be described later.

바디부(110)의 측면에는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로 안정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부(18)가 돌출될 수 있다. A handle 18 may protrude from the side of the body 110 to stably rotate in a state held by the user.

바디부(110)의 내부에는 반려 동물의 소변 또는 대변의 처리를 위한 흙이 충진되고, 흙의 상부에는 2개의 필터부재(20)가 설치될 수 있다. The body part 110 is filled with soil for the treatment of urine or feces of companion animals, and two filter members 20 may be installed on the soil.

한편, 바디부(110)는 바닥면에 베이스부(120)에 의해 회전 상태의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body part 110 can be stably supported in a rotating state by the base part 120 on the bottom surface.

베이스부(120)는 저면이 바닥면에 지지되고 상부에는 바디부(110)를 지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부(120)는 라운드 형상의 베이스부(120)의 회전 상태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오목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The base part 120 may be installed such that the bottom surface is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supports the body part 110 . The base part 120 may have a concave part 121 for stably supporting the rotational state of the round-shaped base part 120 .

전술한 바와 같이, 바디부(110)는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어 베이스부(12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바디부(110)의 상하 반전 작동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필터부재(20)에 의한 흙의 이물질 제거 작용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body part 110 is formed in a round shape and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part 120 , so that the vertical inversion operation of the body part 110 can be made more easily, so that the filter member ( 20), the foreign matter removal action of the soil can be made more smoothly.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natural to fall within the scope of

10, 110...바디부 12...출입부
13...배변 공간 14...흙
14a..이물질 16...걸림 돌부
18...손잡이부 20...필터부재
21...투과공 120..베이스부
121..오목부
10, 110... Body part 12... Entrance part
13...the defecation space 14...soil
14a.. Foreign object 16... Jamming protrusion
18... Handle part 20... Filter element
21...through hole 120..base part
121.. concave

Claims (5)

내부에 배변 공간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상기 배변 공간으로 출입을 위한 출입부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배변 공간의 저면에는 모래가 충진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상기 배변 공간의 내벽면에 돌출되는 걸림돌부; 및
상기 모래의 상부 표면에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걸림돌부에 측면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며, 모래가 통과 가능한 다수개의 투과공이 형성된 필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 돌부는 상기 바디부의 상기 배변 공간의 내벽면에 서로 이격된 위치에 2개로 설치되며,
상기 필터부재는 2개의 상기 걸림 돌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 상태로 상기 바디부의 상기 배변 공간의 내부에 서로 이격된 2개로 설치되고,
상기 바디부의 측면에는 상기 바디부의 회전을 위한 손잡이부가 돌출되며,
상기 바디부는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는 상기 바디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부가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부는 저면이 바닥면에 지지되고 상부에는 라운드 형상의 상기 바디부의 측면을 지지하는 오목부가 형성되는 반려 동물 화장실.
A defecation space is formed therein, the side of the body portion for opening and closing for access to the defecation space is installed to be able to open and close, the bottom of the defecation space is filled with sand;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defecation space of the body part; and
and a filter member having a side detachably fixed to the locking protrusion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and,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rough which the sand can pass; and
Two of the locking protrusions are install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defecation space of the body part,
The filter member is installed in two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interior of the defecation space of the body portion in a state that is detachably fixed to the two locking protrusions,
A handle part for rotation of the body part protrudes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part,
The body portion is formed in a round shape,
A base portion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body portion is installed on a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The base part has a bottom surface supported on a bottom surface and a concave part for supporting the side surface of the round-shaped body part is formed on the upper par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112590A 2020-09-03 2020-09-03 Toilet for pet KR1023312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590A KR102331224B1 (en) 2020-09-03 2020-09-03 Toilet for p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590A KR102331224B1 (en) 2020-09-03 2020-09-03 Toilet for p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1224B1 true KR102331224B1 (en) 2021-12-01

Family

ID=78899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2590A KR102331224B1 (en) 2020-09-03 2020-09-03 Toilet for p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1224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8532A (en) * 2013-05-24 2014-12-04 김순자 Toilet for cats
KR20150019115A (en) * 2013-08-12 2015-02-25 이용현 Toilet for pet
KR101643879B1 (en) * 2015-12-17 2016-07-29 박명은 Toilet apparatus for cat
KR20180100034A (en) * 2017-02-28 2018-09-06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Toilet for a pet
KR101908799B1 (en) 2016-12-15 2018-10-16 엄준호 Toilet for pets
KR20200002307A (en) * 2018-06-29 2020-01-08 장익조 Hourglass cat toilet
KR20200053769A (en) * 2018-11-09 2020-05-19 김소영 Smart toilet for cat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8532A (en) * 2013-05-24 2014-12-04 김순자 Toilet for cats
KR20150019115A (en) * 2013-08-12 2015-02-25 이용현 Toilet for pet
KR101643879B1 (en) * 2015-12-17 2016-07-29 박명은 Toilet apparatus for cat
KR101908799B1 (en) 2016-12-15 2018-10-16 엄준호 Toilet for pets
KR20180100034A (en) * 2017-02-28 2018-09-06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Toilet for a pet
KR20200002307A (en) * 2018-06-29 2020-01-08 장익조 Hourglass cat toilet
KR20200053769A (en) * 2018-11-09 2020-05-19 김소영 Smart toilet for ca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02041B1 (en) Cylindrical system for animal excrement removal with removable litter tray
EP0781088B1 (en) Litter box for domestic animals
JP6265972B2 (en) Animal toilet box
US5220886A (en) Litter box accessory
US3937182A (en) Pet toilet
KR102220159B1 (en) Toilet for pet
KR20100050474A (en) Animal toilet
US5435266A (en) Bird cage feeder assembly
US4926794A (en) Domestic pets' chamberpot
US907437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osing of animal waste down a drain
US5816195A (en) Debris containment system for use by animals and related method
KR102395772B1 (en) Automatic sand filter cat toilet with improved hygien
US20060272590A1 (en) Cat litter box cabinet system
KR101903677B1 (en) Excretion cleaner for pet
KR102071317B1 (en) Hourglass cat toilet
KR102331224B1 (en) Toilet for pet
US6119629A (en) Cat litter box
KR20150019115A (en) Toilet for pet
KR20170039920A (en) Flush type excrement prop for pet
CA3009392A1 (en) Catch drawer litter box
JP2000188988A (en) Toilet for pet
KR101992710B1 (en) Cat feces separator
KR20190060730A (en) Poop disposal apparatus for pets
JP5269874B2 (en) Animal toilet
KR102427354B1 (en) Cat toil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