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1201B1 - 복합소재를 이용한 수상 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복합소재를 이용한 수상 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1201B1
KR102331201B1 KR1020200107978A KR20200107978A KR102331201B1 KR 102331201 B1 KR102331201 B1 KR 102331201B1 KR 1020200107978 A KR1020200107978 A KR 1020200107978A KR 20200107978 A KR20200107978 A KR 20200107978A KR 102331201 B1 KR102331201 B1 KR 102331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ing body
mold
floating
support
photovoltaic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7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이브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이브에너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이브에너지
Priority to KR1020200107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12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1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1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4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 B29C70/42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70/46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using matched moulds, e.g. for deforming sheet moulding compounds [SMC] or prepr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06Fibrous reinforcements only
    • B29C70/08Fibrous reinforcements only comprising combinations of different forms of fibrous reinforcements incorporated in matrix material, forming one or more layers, and with or without non-reinforced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5/00Building or assembling floating offshore structures, e.g. semi-submersible platforms, SPAR platforms or wind turbine platfor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06Bu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5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solar energy into electric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9/0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 B63B2209/18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solar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소재를 이용한 수상 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금형을 준비하는 단계; 미리 준비된 SMC 시트를 재단하여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SMC 시트를 금형에 투입하고, 금형에 기설정된 온도와 압력을 제공하여 부유체를 성형하는 단계; 금형에서 성형된 부유체를 냉각시키고, 냉각된 부유체를 인출하는 단계; 인출된 부유체를 조립하여 부유 구조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부유체는 전체적인 형상이 납작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방향으로 오목한 홈이 형성되어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의 결합홀이 형성되는 받침 부유체와 전체적인 형상이 납작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받침 부유체의 상측면에 형성된 결합홀을 따라 결합되는 캡 부유체를 포함하고, 금형은 받침 부유체를 성형하는 제1 금형과, 캡 부유체를 성형하는 제2 금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모듈을 수면위로 지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소재를 이용한 수상 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Floating structure for solar power using composite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복합소재를 이용한 수상 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합소재를 이용하여 부유체 구조를 성형하여 태양광 발전 모듈의 안정적인 지지를 통해 효율적인 태양광 발전을 제공할 수 있는 복합소재를 이용한 수상 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광 발전장치는 태양전지판을 설치하여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여 전력을 생산한다. 이러한, 태양광 발전장치는 대지 위에 지지구조물을 설치하여 지지구조물에 태양전지판을 설치하거나, 건축물의 외벽이나 지붕위에 태양전지판을 설치하여 전력을 생산한다.
이와 같은, 태양광 발전장치는 토지를 농업 등의 다른 용도로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경제성이 낮고 유지 및 보수비용이 소요되어 투지비용을 회수하는 기간이 길 수 있어 경제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상 위에 대규모의 태양광 발전소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넓은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자연 훼손이 많아 환경단체 및 인근지역 주민들의 민원으로 발전소 건립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하천, 호수, 저수지, 댐, 바다의 수면 위에 부유하는 부유 구조물 상에 태양광 발전모듈을 설치한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가 많이 설치된다.
그런데, 태양광 발전모듈은 전체적인 모듈이 중량이기 때문에 태양광 발전모듈을 효과적으로 지지하지 못하게 될 경우, 파랑에 따라 쉽게 전도되거나 부력을 지지하지 못하고 물속으로 가라앉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태양광 발전모듈과 견고한 결합과 안정적인 부력을 제공할 수 있는 부유 구조체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받침0-0998337호, 2009년 10월 7일)
본 발명의 목적은 복합소재를 이용하여 부유체 구조를 성형하여 태양광 발전 모듈의 안정적인 지지를 통해 효율적인 태양광 발전을 제공할 수 있는 복합소재를 이용한 수상 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태양광 발전 모듈을 수면위로 지지하는 복합소재를 이용한 수상 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금형을 준비하는 단계; 미리 준비된 SMC 시트를 재단하여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SMC 시트를 금형에 투입하고, 금형에 기설정된 온도와 압력을 제공하여 부유체를 성형하는 단계; 금형에서 성형된 부유체를 냉각시키고, 냉각된 부유체를 인출하는 단계; 인출된 부유체를 조립하여 부유 구조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부유체는 전체적인 형상이 납작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방향으로 오목한 홈이 형성되어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의 결합홀이 형성되는 받침 부유체와 전체적인 형상이 납작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받침 부유체의 상측면에 형성된 결합홀을 따라 결합되는 캡 부유체를 포함하고, 금형은 받침 부유체를 성형하는 제1 금형과, 캡 부유체를 성형하는 제2 금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모듈을 수면위로 지지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모듈을 수면위로 지지하는 복합소재를 이용한 수상 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체는 전체적인 형상이 납작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방향으로 오목한 홈이 형성되어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의 결합홀이 형성되는 받침 부유체; 및 전체적인 형상이 납작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받침 부유체의 상측면에 형성된 결합홀을 따라 결합되는 캡 부유체;를 포함하며, 받침 부유체 및 캡 부유체는 열경화성 수지에 직물 섬유(woven fabric)와 짧게 잘린 유리섬유(chop strand)를 분산시켜 시트형태로 가공하고, 성형작업 시 금형에 투입하여 고온 및 고압에서 성형된다.
여기서, 받침 부유체와 캡 부유체는 서로 맞닿는 면 사이에 접착제 또는 실링재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복합소재를 이용한 수상 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은 태양광 발전용 모듈과 안정적인 결합을 통해 태양광 발전 모듈을 안정적으로 지지를 통한 부력 상태를 유지시켜 효율적인 태양광 발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소재를 이용한 수상 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체 제조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소재를 이용한 부유 구조체가 적용된 태양광 발전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받침 부유체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 부유체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소재를 이용한 부유 구조체가 적용된 태양광 발전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받침 부유체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 부유체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받침 부유체(10)는 받침 부유체(110) 및 캡 부유체(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받침 부유체(110)는 전체적인 형상이 납작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방향으로 오목한 홈이 형성되어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의 결합홀(111)이 형성된다. 이때, 받침 부유체(110)는 둘레방향을 따라 돌출구(112)와 결합홈(113)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구(112)와 결합홈(113)는 후술하는 캡 부유체(120)와 맞닿는 위치에서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돌출구와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받침 부유체(110)는 내주면을 따라 복수의 길이방향 및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격벽(114)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격벽(114)을 통해서 받침 부유체(110)의 무게를 가볍게 하면서 상대적으로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받침 부유체(110)는 열경화성 수지에 직물 섬유(woven fabric)와 짧게 잘린 유리섬유(chop strand)를 분산시켜 시트형태로 가공하고, 성형작업 시 금형에 투입하여 고온 및 고압에서 성형될 수 있다. 받침 부유체(110)는 SMC(Sheet molding compound)로 형성될 수 있다. SMC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저수축제, 이형제, 충진재를 혼합한 수지 콤파운드에 직물 섬유 및 유리섬유를 혼합하여 분산시킨 후에 시트형태로 가공되어 준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SMC는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점착성이 없어 취급이 용이하고 금형에 투입하기 용하여 보다 손쉽게 받침 부유체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어 단시간에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내오염성, 내수성, 내후성, 내식성이 우수하고, 열변형온도가 높고 열에 의한 노화가 작기 때문에 해수에서 설계강도를 유치한 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어 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캡 부유체(120)는 전체적인 형상이 납작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둘레방향을 따라 받침 부유체(110)의 상측면에 형성된 결합홀(111)과 결합되는 결합홀(121)이 형성된다. 이때, 캡 부유체(120)는 받침 부유체(110)와 맞닿는 둘레방향을 따라 돌출구(112)와 결합홈(113)과 결합되는 돌출구(미표시)와 결합홈(미표시)이 형성되어 서로 끼움 결합을 통해 견고한 결합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받침 부유체(110)와 캡 부유체(120)는 서로 맞닿는 면 사이에 접착제 또는 실링재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캡 부유체(120)는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에 복수의 격벽(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격벽을 통해서 캡 부유체(120)의 무게를 가볍게 하면서 상대적으로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캡 부유체(120)는 열경화성 수지에 직물 섬유(woven fabric)와 짧게 잘린 유리섬유(chop strand)를 분산시켜 시트형태로 가공하고, 성형작업 시 금형에 투입하여 고온 및 고압에서 성형될 수 있다. 캡 부유체(120)는 SMC(Sheet molding compound)로 형성될 수 있다. SMC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저수축제, 이형제, 충진재를 혼합한 수지 콤파운드에 직물 섬유 및 유리섬유를 혼합하여 분산시킨 후에 시트형태로 가공되어 준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SMC는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점착성이 없어 취급이 용이하고 금형에 투입하기 용하여 보다 손쉽게 받침 부유체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어 단시간에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내오염성, 내수성, 내후성, 내식성이 우수하고, 열변형온도가 높고 열에 의한 노화가 작기 때문에 해수에서 설계강도를 유치한 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어 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소재를 이용한 수상 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체 제조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소재를 이용한 수상 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체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통해 성형된다.
먼저, 금형을 준비한다(S100). 이때, 금형은 받침 부유체를 성형하는 제1 금형과 캡 부유체를 성형하는 제2 금형으로 준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금형은 상금형과 하금형으로 분리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미리 준비된 SMC 시트를 재단하여 준비한다(S200). SMC 시트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저수축제, 이형제, 충진재를 혼합한 수지 콤파운드에 직물 섬유 및 유리섬유를 혼합하여 분산시킨 후에 시트형태로 가공되어 준비될 수 있다.
준비된 SMC 시트를 금형에 투입하고, 금형에 기설정된 온도와 압력을 제공하여 부유체를 성형한다(S300).
금형에서 성형된 부유체를 냉각시키고, 냉각된 부유체를 인출한다(S300).
인출된 부유체를 조립하여 부유 구조체를 제조한다(S400).
이를 통해 성형된 받침 부유체와 캡 부유체가 성형된다. 받침 부유체는 전체적인 형상이 납작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방향으로 오목한 홈이 형성되어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의 결합홀이 형성되는 받침 부유체와 전체적인 형상이 납작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캡 부유체는 상측면에 형성된 결합홀이 형성되어 받침 부유체에 결합되어 태양광 발전 모듈을 지지하는 부유 구조체가 성형되게 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10 : 받침 부유체 111 : 결합홀
112 : 돌출구 113 : 결합홈
114 : 격벽 120 : 부유체
121: 결합홀

Claims (3)

  1. 태양광 발전 모듈을 수면위로 지지하는 복합소재를 이용한 수상 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금형을 준비하는 단계;
    열경화성 수지에 직물 섬유(woven fabric)와 짧게 잘린 유리섬유(chop strand)를 분산시켜 시트형태로 가공하여 준비된 SMC 시트를 재단하여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SMC 시트를 상기 금형에 투입하고, 상기 금형에 기설정된 온도와 압력을 제공하여 부유체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금형에서 성형된 부유체를 냉각시키고, 상기 냉각된 부유체를 인출하는 단계;
    상기 인출된 부유체를 조립하여 부유 구조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부유체는,
    전체적인 형상이 납작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방향으로 오목한 홈이 형성되어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의 결합홀이 형성되는 받침 부유체와 전체적인 형상이 납작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 부유체의 상측면에 형성된 상기 결합홀을 따라 결합되는 캡 부유체를 포함하고,
    상기 금형은,
    상기 받침 부유체를 성형하는 제1 금형과, 상기 캡 부유체를 성형하는 제2 금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모듈을 수면위로 지지하는 복합소재를 이용한 수상 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
  2. 태양광 발전 모듈을 수면위로 지지하는 복합소재를 이용한 수상 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체에 있어서,
    전체적인 형상이 납작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방향으로 오목한 홈이 형성되어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의 결합홀이 형성되고 내주면을 따라 길이 방향 및 횡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격벽을 포함하는 받침 부유체; 및
    전체적인 형상이 납작한 직육면체 형상으로 내주면을 따라 길이 방향 및 횡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격벽이 형성되어 상기 받침 부유체의 상측면에 형성된 상기 결합홀을 따라 결합되는 캡 부유체;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 부유체 및 상기 캡 부유체는,
    열경화성 수지에 직물 섬유(woven fabric)와 짧게 잘린 유리섬유(chop strand)를 분산시켜 시트형태로 가공하고, 성형작업 시 금형에 투입하여 고온 및 고압에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를 이용한 수상 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체.
  3. 삭제
KR1020200107978A 2020-08-26 2020-08-26 복합소재를 이용한 수상 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31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978A KR102331201B1 (ko) 2020-08-26 2020-08-26 복합소재를 이용한 수상 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978A KR102331201B1 (ko) 2020-08-26 2020-08-26 복합소재를 이용한 수상 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1201B1 true KR102331201B1 (ko) 2021-12-01

Family

ID=78899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7978A KR102331201B1 (ko) 2020-08-26 2020-08-26 복합소재를 이용한 수상 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120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337B1 (ko) 2008-04-03 2010-12-03 공종현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
KR20140036092A (ko) * 2012-09-14 2014-03-25 (주)아이시스이엔씨 단일형 지지부재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 모듈 설치를 위한 친환경 부유식 구조물
KR101728232B1 (ko) * 2015-09-10 2017-04-19 (주)아이시스이엔씨 수상 부유식 태양광발전 구조물의 유지관리통로 겸용 부력체
KR20190035206A (ko) * 2017-09-26 2019-04-03 스코트라 주식회사 접지부재를 갖는 플로트 및 이를 구비한 수상 구조물
KR20190042135A (ko) * 2017-10-14 2019-04-24 이희준 높이 조절식 부력체를 이용한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337B1 (ko) 2008-04-03 2010-12-03 공종현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
KR20140036092A (ko) * 2012-09-14 2014-03-25 (주)아이시스이엔씨 단일형 지지부재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 모듈 설치를 위한 친환경 부유식 구조물
KR101728232B1 (ko) * 2015-09-10 2017-04-19 (주)아이시스이엔씨 수상 부유식 태양광발전 구조물의 유지관리통로 겸용 부력체
KR20190035206A (ko) * 2017-09-26 2019-04-03 스코트라 주식회사 접지부재를 갖는 플로트 및 이를 구비한 수상 구조물
KR20190042135A (ko) * 2017-10-14 2019-04-24 이희준 높이 조절식 부력체를 이용한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113655U (zh) 一种浮动载体
EP2058222A1 (en) Special platform for generating electricity using solar energy
KR100975212B1 (ko) 부유식 태양전지판 설치용 구조물
CN204442234U (zh) 漂浮于水面上的光伏支架
KR101685787B1 (ko) 수상 태양광 패널 고정 플로트
KR20190002833U (ko) 광발전 모듈을 위한 지지 장치 및 광발전 시스템
KR200491745Y1 (ko) 광전지 패널을 위한 수면 부유 지지 구조
KR101501466B1 (ko) 수면 위에 부력을 이용하여 설치되는 태양광 발전장치 설치용 부구
CN104283491A (zh) 一种漂浮在水面上的太阳能光伏电站
KR101847148B1 (ko) 친환경 수상 태양광 발전 구조물
KR102331201B1 (ko) 복합소재를 이용한 수상 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04658A (ko) 수상 태양광발전용 부유체
CN114348200A (zh) 一种高使用寿命的水上光伏板漂浮安装基础及光伏系统
KR102640092B1 (ko) 태양광 발전 장치
KR101739065B1 (ko) 수상 태양광발전용 부유체
KR20190014367A (ko) 에어캡(뽁뽁이)이 있는 부력체와 에어캡이 없는 부력체를 혼용한 수상태양광시스템
CN211573700U (zh) 一种风电叶片螺栓定位防护套
KR101097363B1 (ko) 부유체 및 그것을 구비한 수면 부유식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1228253B1 (ko) 태양광 전지 모듈 제조 방법
CN102214928A (zh) 一种水上光伏并网发电系统
JP2000227256A (ja) 光熱ハイブリッドパネルとソーラーシステム付き住宅
Akole et al. Floating solar plant
KR101971094B1 (ko) 에어캡(뽁뽁이)이 있는 부력체 및 그 부력체를 이용한 수상태양광시스템
KR200481086Y1 (ko) 수상 태양광 발전시설
CN113788117A (zh) 水上光伏支架漂浮支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