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0747B1 - 보행자 안전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영상투사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보행자 안전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영상투사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30747B1 KR102330747B1 KR1020210087630A KR20210087630A KR102330747B1 KR 102330747 B1 KR102330747 B1 KR 102330747B1 KR 1020210087630 A KR1020210087630 A KR 1020210087630A KR 20210087630 A KR20210087630 A KR 20210087630A KR 102330747 B1 KR102330747 B1 KR 1023307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rosswalk
- image
- artificial intelligence
- image data
- st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3473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0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10191 image analysi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13527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3135 deep lear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528 artificial neural net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351 Integrated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485 cop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1—Traffic information broadcasting
-
- H04N5/23254—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상기 도 1의 보행자 안전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영상투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인공지능(AI) 카메라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빔 프로젝터가 횡단보도 영상을 투사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빔 프로젝터가 횡단보도 영상을 투사하는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안전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영상투사방법에 대한 순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200 --- 제어부
300 --- 빔 프로젝터
400 --- 센서부
500 --- 신호등
600 --- 횡단보도 영역
110 --- 촬영부
120 ---영상 분석부
130 --- 학습부
140 --- 저장부
150 --- 통신부
Claims (18)
- 횡단보도 주변에 설치되고, 횡단 대기 상태에서 횡단보도 영역을 촬영하여 횡단보도 영상을 분석하고, 횡단 상태에서 횡단보도 영역의 객체 이동을 검출하는 인공지능(AI) 카메라;
횡단보도 주변에 설치되어 조도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인공지능(AI) 카메라에서 분석된 횡단보도 영역의 상태 및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조도 변화에 따라 횡단보도 영역에 횡단보도 영상을 투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제어된 기 설정된 소정 비율 범위의 횡단보도 영상을 투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빔 프로젝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된 날씨 정보 및 상기 센서부의 조도 변화에 대응하여 횡단보도 영역에 투사되는 횡단보도 영상의 색상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보행자 안전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영상투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지능(AI) 카메라는,
횡단보도 영역의 횡단 대기 상태 및 횡단 상태를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횡단 대기 상태의 횡단보도 영상 데이터에서 횡단보도 라인을 추출하여 시야 제한 상태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횡단 상태의 횡단보도 영상 데이터에서 객체의 움직임을 추출하여 이상 상황 발생 여부를 판별하는 영상 분석부;
상기 영상 분석부에서 판단된 시야 제한 상태의 횡단보도 영상 데이터를 학습하고, 상기 판별된 이상 상황 발생 여부를 학습하는 학습부;
상기 학습부에서 학습된 횡단보도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는 저장부; 및
상기 영상 분석부에서 판별된 시야 제한 상태의 횡단보도 영상 데이터 및 횡단보도 이상 상황 발생 여부를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안전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영상투사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분석부는 상기 횡단 대기 상태의 횡단보도 영상 데이터에서 추출된 횡단보도 라인을 상기 학습부에서 학습된 횡단보도 영상 데이터의 횡단보도 라인과 크기 및 색상 비율을 비교하여 횡단보도의 시야 제한 상태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안전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영상투사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분석부는 상기 촬영된 횡단 상태의 횡단보도 영상 데이터에서 객체 탐지, 객체 분류 및 객체 이동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안전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영상투사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탐지에서 검출된 객체가 보행자로 분류되면 횡단보도 영역의 횡단 시작점과 횡단 종료점까지 검출하되, 일정 시간 동안 보행자의 크기 변화 또는 이동이 검출되지 않을 경우 이상 상황 발생 사태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안전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영상투사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탐지에서 검출된 객체가 물체로 분류되면 교통환경 통행 방해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안전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영상투사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부는 상기 영상 분석에서 분석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기반 영상 인식 딥러닝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인공 지능 학습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보행자 안전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영상투사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공지능(AI) 카메라로부터 횡단 상태에 횡단보도 영역의 객체가 검출된 것으로 판별되면, 횡단보도 영역에 투사하는 횡단보도 영상의 색상과 상기 검출된 객체에 투사하는 영상의 색상을 서로 다르게 투사하여 객체를 분별하도록 제어하는 보행자 안전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영상투사장치.
- 인공지능(AI) 카메라에서 횡단 대기 상태의 횡단보도 영역 및 횡단 상태의 횡단보도 영역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횡단 대기 상태의 횡단보도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시야 제한 상태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판별된 횡단보도 영상 데이터가 시야 제한 상태로 판별되면, 빔 프로젝터로부터 횡단보도 영상을 투사하는 단계;
상기 투사된 횡단보도 영역 내에서 횡단 상태의 횡단보도를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횡단보도 영상 데이터에서 이상 상황 발생 여부를 판별하고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이상 상황 발생에서 긴급 상황으로 판별되면 제어부에서 긴급 구조 기관에 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시야 제한 상태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는 인공지능 카메라에서 촬영된 횡단 대기 상태의 횡단보도 영상 데이터에서 추출된 횡단보도 라인을 기 학습된 횡단보도 영상 데이터의 횡단보도 라인과 크기 및 색상 비율을 비교하여 횡단보도의 시야 제한 상태 여부를 판별하는 보행자 안전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영상투사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지능(AI) 카메라에서 상기 촬영된 횡단 대기 상태 및 횡단 상태의 영상 데이터를 학습하고, 상기 학습된 횡단보도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보행자 안전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영상투사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하는 단계에서 상기 횡단 대기 상태 및 횡단 상태의 영상 데이터에 대해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기반 영상 인식 딥러닝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인공 지능 학습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보행자 안전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영상투사방법.
- 삭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보도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에서 상기 촬영된 횡단 상태의 횡단보도 영상 데이터에서 객체 탐지, 객체 분류 및 객체 이동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안전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영상투사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탐지에서 검출된 객체가 보행자로 분류되면 횡단보도 영역의 횡단 시작점과 횡단 종료점까지 검출하되, 일정 시간 동안 보행자의 크기 변화 또는 이동이 검출되지 않을 경우 이상 상황 발생 사태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안전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영상투사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탐지에서 검출된 객체가 물체로 분류되면 교통환경 통행 방해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안전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영상투사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빔 프로젝터로부터 횡단보도 영상을 투사하는 단계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된 날씨 정보 및 센서부에 감지된 조도 변화에 대응하여 횡단보도 영역에 횡단보도 영상의 색상을 선택적으로 투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보행자 안전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영상투사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빔 프로젝터로부터 횡단보도 영상을 투사하는 단계는 상기 인공지능(AI) 카메라로부터 횡단 상태에 횡단보도 영역의 객체가 검출된 것으로 판별되면, 객체를 분별하도록 횡단보도 영역에 투사하는 횡단보도 영상의 색상과 상기 검출된 객체에 투사하는 영상의 색상을 서로 다르게 투사하는 보행자 안전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영상투사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7630A KR102330747B1 (ko) | 2021-07-05 | 2021-07-05 | 보행자 안전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영상투사장치 및 그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7630A KR102330747B1 (ko) | 2021-07-05 | 2021-07-05 | 보행자 안전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영상투사장치 및 그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30747B1 true KR102330747B1 (ko) | 2021-12-01 |
Family
ID=78899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87630A Active KR102330747B1 (ko) | 2021-07-05 | 2021-07-05 | 보행자 안전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영상투사장치 및 그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3074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73998A (ko) | 2023-06-07 | 2024-12-16 | 주식회사 상림기술 | 인공지능 기반의 엣지 카메라와 로고젝터를 이용한 보행자 안전 시스템 및 그 방법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41430A (ko) | 2011-10-17 | 2013-04-25 | 신현진 | Led 조명부를 갖는 횡단보도용 신호등 장치 및 그의 횡단보도 조명 방법 |
KR20150122971A (ko) | 2014-04-24 | 2015-11-03 | 주식회사 코사코시스템 | 횡단보도의 경보용 신호등 |
KR101851009B1 (ko) * | 2016-11-17 | 2018-04-23 |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시스템 |
KR20180050892A (ko) * | 2016-11-07 | 2018-05-16 |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 이미지 인식을 이용한 보행자 보조 신호 제공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KR20190052741A (ko) * | 2017-11-09 | 2019-05-17 | 임철수 | 횡단보도 안전선표시장치 |
KR102181222B1 (ko) * | 2019-11-26 | 2020-11-20 | 주식회사 천운 | 횡단보도 보행자의 안전 관리 시스템 |
KR102215566B1 (ko) * | 2020-05-25 | 2021-02-15 | 주식회사 핀텔 | 스마트 안전 횡단보도 서비스 제공 시스템 |
-
2021
- 2021-07-05 KR KR1020210087630A patent/KR102330747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41430A (ko) | 2011-10-17 | 2013-04-25 | 신현진 | Led 조명부를 갖는 횡단보도용 신호등 장치 및 그의 횡단보도 조명 방법 |
KR20150122971A (ko) | 2014-04-24 | 2015-11-03 | 주식회사 코사코시스템 | 횡단보도의 경보용 신호등 |
KR20180050892A (ko) * | 2016-11-07 | 2018-05-16 |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 이미지 인식을 이용한 보행자 보조 신호 제공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KR101851009B1 (ko) * | 2016-11-17 | 2018-04-23 |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시스템 |
KR20190052741A (ko) * | 2017-11-09 | 2019-05-17 | 임철수 | 횡단보도 안전선표시장치 |
KR102181222B1 (ko) * | 2019-11-26 | 2020-11-20 | 주식회사 천운 | 횡단보도 보행자의 안전 관리 시스템 |
KR102215566B1 (ko) * | 2020-05-25 | 2021-02-15 | 주식회사 핀텔 | 스마트 안전 횡단보도 서비스 제공 시스템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73998A (ko) | 2023-06-07 | 2024-12-16 | 주식회사 상림기술 | 인공지능 기반의 엣지 카메라와 로고젝터를 이용한 보행자 안전 시스템 및 그 방법 |
KR102743923B1 (ko) | 2023-06-07 | 2024-12-17 | 주식회사 상림기술 | 인공지능 기반의 엣지 카메라와 로고젝터를 이용한 보행자 안전 시스템 및 그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22859B1 (ko) | 교통 영상감시시스템의 멀티 표적 추적 방법 | |
KR101671428B1 (ko) | 지능형 교차로 위법 차량 감시 시스템 | |
EP1930863B1 (en) | Detecting and recognizing traffic signs | |
Robert | Night-time traffic surveillance: A robust framework for multi-vehicle detection, classification and tracking | |
KR101833359B1 (ko) | 차량의 외부 영상 빅데이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및 장치 | |
KR101780320B1 (ko) | 지능형 다기능 영상 감시 시스템 | |
JP7009987B2 (ja) | 自動運転システム及び自動運転方法 | |
KR102174556B1 (ko) | 차량번호 인식과 인공지능을 이용해 교통정보를 관제하는 영상감시장치 | |
WO2020123712A1 (en) | Fusion-based traffic light recognition for autonomous driving | |
KR102310845B1 (ko) | 인공지능 기반의 cctv 일체형 스마트 가로등 | |
KR101900237B1 (ko) | 획득한 영상에 대한 상황 판단 데이터를 이용한 현장 판단 방법 | |
US20190197887A1 (en) | Coordinated alert and event guidance system | |
CN107972569A (zh) | 车灯组控制方法、装置、系统及车辆 | |
KR101440478B1 (ko) | 지능형 교통신호 제어방법 및 시스템 | |
KR102330747B1 (ko) | 보행자 안전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영상투사장치 및 그 방법 | |
CN113223276A (zh) | 一种基于视频识别的行人跨栏行为警报方法及装置 | |
KR20230102341A (ko) | AIoT 기반 교통안전 통합 관리시스템 | |
CN119418522A (zh) | 一种基于视觉识别的交通运输调度方法 | |
KR102499340B1 (ko) | 이기종 객체 필터 기반 하이브리드 영상 분석 장치 및 방법 | |
KR102799016B1 (ko) | 지능형 cctv 카메라와 스마트 가로등(전광판) 연동 시스템 | |
CN119370014A (zh) | 车灯控制方法、车载电子装置和车机系统 | |
CN113581059A (zh) | 灯光调节方法及相关装置 | |
KR102339011B1 (ko) | 자율차량에서 주야간 보행자 감지를 위한 적응적 스위처 및 이를 이용한 보행자 감지 장치 | |
KR20220071514A (ko) | 영상 기반의 객체 인식 및 주변 환경 감지를 통한 보행 신호 제어 장치 | |
KR20190065907A (ko) | 얼굴 인식을 이용한 교통 관리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70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8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0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1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1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1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