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9990B1 - 운용 중인 광심선을 식별하는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 - Google Patents

운용 중인 광심선을 식별하는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9990B1
KR102329990B1 KR1020210082050A KR20210082050A KR102329990B1 KR 102329990 B1 KR102329990 B1 KR 102329990B1 KR 1020210082050 A KR1020210082050 A KR 1020210082050A KR 20210082050 A KR20210082050 A KR 20210082050A KR 102329990 B1 KR102329990 B1 KR 102329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onnection terminal
power monitor
monitor modul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2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성근
한승완
공병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엔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엔티
Priority to KR1020210082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99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07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 H04B10/075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 H04B10/079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using measurements of the data signal
    • H04B10/0795Performance monitoring; Measurement of transmission parameters
    • H04B10/07955Monitoring or measuring pow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6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80Optical aspects relating to the use of optical transmission for specific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B10/03 - H04B10/70, e.g. optical power feeding or optical transmission through water
    • H04B10/806Arrangements for feeding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optical transmission systems
    • H04B2210/07Monitoring a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using a supervisory signal

Abstract

본 발명은 운용 중인 광심선을 식별하는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Optical Power Tapping Module)에 관한 것으로, 광분배함이 적용되는 곳에서 송신측과 수신측 사이에 포설되는 복수의 광케이블의 광신호를 광심선 대조기없이도 다심화된 심선대조를 하고, 광분배함의 포트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입력측 입력광케이블과 출력측 출력광케이블을 광전송가능하게 연결하며 각각의 입력광케이블과 출력광케이블들에 대한 광전송상태를 검출하여 식별하도록 된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에 있어서 모듈본체(100); 상기 모듈본체(100)에 구비되며 다수의 입력광케이블들이 각각 광전송가능하게 접속하도록 된 입력광접속단자(200); 상기 모듈본체(100)에 구비되며 다수의 상기 출력광케이블들이 각각 광전송가능하게 접속하도록 되고 상기 입력광접속단자를 통해 전송되는 광을 전송받도록 된 출력광접속단자(300) 및 상기 모듈본체(100)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입력광접속단자(200)와 상기 출력광접속단자(300)들의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복수의 입력광케이블에서 출력광케이블로 전송되는 광신호를 검출하여 광케이블의 채널별 광신호 유무와 전력에 대한 모니터링 및 모니터링 결과를 외부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광신호검출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

Description

운용 중인 광심선을 식별하는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Optical power monitor module device that identifies the optical fiber in operation}
본 발명은 운용중인 광심선을 식별하는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Optical Power Tapping Module)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케이블과 광전송장치 또는 광케이블과 광케이블을 상호연결하거나 분기하는 광분배함이 적용되는 곳에서, 광신호 측정시 광심선을 분리하지 않음으로써 통신 서비스의 중단이 없고, 광심선 대조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광신호가 송, 수신 되는 광심선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광분배함의 포트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단순히 음성이나 문자 데이터를 교환하는 수준의 통신을 넘어 영상을 전송하는 방향으로 급속히 발전되고 있으며, 화상 회의 및 스마트 TV 등의 상용화가 급진전 되어감에 따라 초고속 정보 통신 기술에 대한 요구가 날이 갈수록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러한 요구들을 충족시키기 위한 통신망의 전송 속도의 증가와 전송 장애의 감시시스템이 해결해야 할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광통신망의 보급이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광통신 시스템은 크게 송신단(Transmitter), 정보채널(information Channel), 수신단(Receiver)으로 구성된다. 송신단에서는 전송하고자 하는 정보를 변조하여 정보채널을 통해 빛의 형태로 수신단에 전달한다. 이를 위하여 송신단은 메시지 소스, 예컨대 음성, 영상 및 데이터 등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이후, 송신단은 변환된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재변환한 후에 반송파에 실어 정보채널을 통해 수신단으로 전송한다.
정보채널은 광섬유로 이루어진 전송로로서, 유선 광통신 시스템에서는 광케이블이 정보채널의 역할을 수행하며 특정 파장을 갖는 적외선 영역의 광신호를 전달한다. 수신단은 정보채널을 통해 전송된 광신호를 광검출기에서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전기적 신호에서 잡음을 제거하여 원 신호를 추출한다.
최근, 광통신 시스템에는 전송망의 대용량화로 인하여 송신단에서 전송되는 광신호를 다수개의 수신단으로 분배하는 광분배장치가 사용된다. 광분배장치는 다수개의 광연결단자(예컨대, 광어뎁터, 광점퍼코드 등)를 구비한다. 각각의 광연결단자의 입력단에는 송신단과 연결된 광케이블이 접속되고, 출력단에는 수신단과 연결된 광케이블이 접속된다.
이러한 종래의 광분배장치에서는 단지 광신호를 다수개로 분배하는 기능만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광신호의 품질을 측정할 수 없다. 따라서, 종래의 광분배장치에서 전송되는 광신호의 품질 측정을 위해서는 광분배장치의 광연결단자마다 일일이 광파워미터를 연결하여 광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광연결단자를 수차례 탈착하는 과정이 필요하고, 이때 통신이 중단되는 큰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와 더불어 광파워미터를 사용하기 위한 비용이 추가되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광분배장치에서는 광연결단자에 광파워미터를 연결하여 광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기 때문에, 원격지에서 광신호의 품질을 확인하고 이를 제어 및 관리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광통신 시스템에서 송수신되는 광신호를 보다 간편하게 측정하고, 원격지에서 광분배장치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다수의 광심선들이 수용되어 있는 광분배장치에서는 수용변경 등 유지보수에 따라 통신서비스에 영향을 주지 않고 광심선을 식별하여야 하는데, 기존 광심선에 광신호 전송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써, 광심선 대조기(optical fiber identifier)를 이용하는데, 광심선 대조기는 광심선을 절단하지 않고 이용할 수 있으며, 광심선을 굽힘으로써 누설광을 수신하는 국소 검파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통신서비스중인 광심선을 대조하는 경우에는 광단국에서 송출되는 광신호를 작업 지점에서 광심선 대조기로 광심선을 굽혀서 광신호를 검출하게 되고, 유휴 광심선을 대조하는 경우에는 광원 장치로 광신호를 입사하고, 작업 지점에서 광심선 대조기로 광심선을 굽혀서 광신호를 검출하는 방법 등으로 광심선을 식별한다. 광원 장치에서의 신호는 미리 변조하여 단국에서 목적하는 광심선에 입사시킨다. 작업 지점에서 수신 장치에 의해 광섬유를 절단하지 않고 이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심선 대조 작업이 끝난다.
그러나 이러한 광심선 대조 작업은 광신호 감쇄를 야기시켜 통신서비스에 영향을 줄수 있고, 광심선 대조기의 성능과 통신구간의 전송품질 마진에 따라 사용의 제약이 있다. 특별히, 10G이상의 광전송로에서는 편광모드분산특성이 통신서비스에 큰 영향을 주게 되는데(ITU-T G.650), 광심선 대조를 위한 광심선 굽힘은 광섬유의 물리적 변형으로 편광모드분산을 야기시킬수 있어, 10G이상의 광전송로 구간에서의 광심선을 식별하는 방법으로써 적합하지 못하다.
또한 광심선 대조기를 사용하는 방법은 복수개의 광섬유에 대하여 일일이 대조를 하여야 한다는 불편함도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087777호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112079호 특허문헌 3 :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34112호 특허문헌 4 :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5-0102770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통신실, IDC 센서, CCTV, C-ITS 등 광분배함이 적용되는 곳에서 송신측과 수신측 사이에 포설되는 복수의 광케이블의 광신호를 광파워미터 또는 광심선 대조기 없이 측정하며, 별도의 전원이 지속적으로 인가되어야 하는 고가의 지능형 광분배함을 적용할 필요없이 내장된 전원과 스위치를 통해 운용중인 포트의 동작이 표시되도록 하거나, 스마트기기와 접속되는 경우 스마트기기의 전원공급을 통해 운용중인 포트의 동작이 표시되도록 하고, 스마트 기기(스마트폰, 태블릿)의 전용앱을 통해 포트별 전력량의 표시, 포트 설정 및 측정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광분배함의 포트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운용 중인 광심선을 식별하는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력측 입력광케이블과 출력측 출력광케이블을 광전송가능하게 연결하며 각각의 입력광케이블과 출력광케이블들에 대한 광전송상태를 검출하여 식별하도록 된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에 있어서; 모듈본체(100); 상기 모듈본체(100)에 구비되며 다수의 입력광케이블들이 각각 광전송가능하게 접속하도록 된 입력광접속단자(200); 상기 모듈본체(100)에 구비되며 다수의 상기 출력광케이블들이 각각 광전송가능하게 접속하도록 되고 상기 입력광접속단자를 통해 전송되는 광을 전송받도록 된 출력광접속단자(300); 및 상기 모듈본체(100)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입력광접속단자(200)와 상기 출력광접속단자(300)들의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복수의 입력광케이블에서 출력광케이블로 전송되는 광신호를 검출하여 광케이블의 채널별 광신호 유무와 전력에 대한 모니터링 및 모니터링 결과를 외부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광신호검출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광신호 검출부(110)는, 광신호 탭 검출소자(Tap Photo Diode)로 구성되어, 입력측 입력광케이블과 출력측 출력광케이블의 입출력 포트간 전송되는 광신호를 검출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광신호 탭 검출부(111)와, 상기 광신호 탭 검출부(111)에서 검출된 광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112)와, 상기 증폭기(112)에서 증폭된 광케이블의 채널별 전기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며, 스마트기기와 연결시 스마트기기의 전용앱과 연동하여 전용앱으로부터의 명령을 수행하는 MCU(113)와, 와이파이 통신 모듈과 블루투스 통신 모듈로 구성되어 상기 MCU(113)에서의 채널별 전기신호를 와이파이 통신방식을 통해 외부의 AP(Access Point)를 통해 외부로 송신하거나 블루투스 통신 방식으로 페어링된 연결장비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114, 115)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모듈본체(100)에는 상기 입력광접속단자(200)와 출력광접속단자(300)간 광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20)와, 채널별 광신호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동작버튼(130)과, 상기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에서 필요한 전원 공급, 상기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에서 운용중인 포트의 운용 설정 및 상기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의 동작상태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접속단자(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모듈본체(100)에는 상기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에서 필요로 하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전원공급부(150)는, 상기 접속단자(140)를 통해 연결되는 스마트기기 또는 보조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상기 전원공급부(150)는 건전지, 리튬전지를 포함하여 상기 모듈본체(100)에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속단자(140)가 상기 스마트기기(400)와 데이터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면, 상기 스마트기기(400)에 설치된 전용앱을 통해 포트설정, 파워값 표시, 측정값을 외부로 전송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신호검출부(110)는 상기 모니터링 및 모니터링 결과를 외부로 출력 시 상기 접속단자(140)를 통해 스마트기기(400)와 연결되어 스마트기기(400)를 통해 상기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를 운용하는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 서버로 전송하거나, 상기 무선통신부(114, 115)를 통해 상기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 서버에서 상기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과 접속하여 광케이블 심선의 통신중인 회선 식별여부, 전력량 측정, 각각의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의 식별번호와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 각각에 연결된 포트의 정보(포트명, 포트별 운용여부, 설치날짜, 시공사 등) 확인 및 스케줄링에 의한 원격제어가 수행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모듈본체(100), 입력광접속단자(200), 출력광접속단자(300)의 위치와 구성을 설치되는 환경과 사용자의 필요에 맞게 조정되되, 상기 입력광접속단자(200)와 출력광접속단자(300)는 모듈본체(100)의 양측에 서로 대응되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입력광접속단자(200)와 출력광접속단자(300)가 모듈본체(100)의 일측에서 상하로 마주보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입력광접속단자(200)와 출력광접속단자(300)가 모듈본체(100)의 양측에 서로 대응되도록 구성되면서 상기 동작버튼(130)과 접속단자(140)가 상기 입력광접속단자(200)와 동일한 면에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는, 상기 모듈본체(100)를 카드 슬롯 형태로 제작하고, 이를 셀프에 필요에 맞게 장착하여 운용할 포트수에 따라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는, 광분배함, 광분배셀프, 광종단함, 세대단자함/구내단자함, 광단자함, 5G 단자함에 적용됨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통신실, IDC 센서, CCTV, C-ITS 등 광분배함이 적용되는 곳에서 송신측과 수신측 사이에 포설되는 복수의 광케이블의 광신호를 광심선 대조기나, 별도의 전원이 지속적으로 인가되어야 하는 고가의 지능형 광분배함을 적용할 필요없이 내장된 전원과 스위치를 통해 운용중인 포트의 동작이 표시되도록 하거나, 스마트기기와 접속되는 경우 스마트기기의 전원공급을 통해 운용중인 포트의 동작이 표시되도록 하고,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전용앱을 통해 포트별 전력량의 표시, 포트 설정 및 측정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광분배함의 포트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둘째,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에 필요한 전원을 건전지나 리튬전지를 내장하여 이용하거나, 스마트기기, 보조배터리와 연결시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되도록 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셋째,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의 광신호 검출부는 광신호 탭 검출소자(Tap Photo Diode)를 이용하여 통신 중인 회선의 식별 여부뿐만이 아니라 광파워미터를 대체하는 광신호의 세기 측정이 가능하며, 기존의 측정시 통신이 중단되어야만 했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넷째,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에 무선통신부를 구성하여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 서버에서 상기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과 접속하여 광케이블 심선의 통신중인 회선 식별여부, 전력량 측정, 각각의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의 식별번호와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 각각에 연결된 포트의 정보(포트명, 포트별 운용여부, 설치날짜, 시공사 등) 확인 및 스케줄링에 의한 원격제어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운용 중인 광심선을 식별하는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의 외형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운용 중인 광심선을 식별하는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은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운용 중인 광심선을 식별하는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의 광신호 검출부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용 중인 광심선을 식별하는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에 광패치코드가 연결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 운용 중인 광심선을 식별하는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와 스마트기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운용 중인 광심선을 식별하는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의 외형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6에 나타낸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운용 중인 광심선을 식별하는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 제3실시예에 따른 운용 중인 광심선을 식별하는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의 외형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 제3실시예에 따른 운용 중인 광심선을 식별하는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를 8포트 광분배함에 설치하여 활용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 제3실시예에 따른 운용 중인 광심선을 식별하는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를 셀프에 카드 슬롯 형태로 장착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확장이 가능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본 발명 제3실시예를 셀프에 장착한 완제품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 제3실시예에 따른 운용 중인 광심선을 식별하는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의 원격제어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운용 중인 광심선을 식별하는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의 적용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1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운용 중인 광심선을 식별하는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Optical Power Tapping Module)의 외형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운용 중인 광심선을 식별하는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3은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운용 중인 광심선을 식별하는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의 광신호 검출부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용 중인 광심선을 식별하는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과 광패치코드가 연결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운용 중인 광심선을 식별하는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측 입력광케이블과 출력측 출력광케이블을 광전송가능하게 연결하며 입력광케이블과 출력광케이블들에 대한 광전송상태를 검출하여 식별하도록 하는 모듈본체(100)와, 상기 모듈본체(100)에 구비되며 복수의 입력광케이블들이 각각 광전송가능하게 접속하도록 된 입력광접속단자(200)와, 모듈본체(100)에 구비되며 복수의 출력광케이블들이 각각 광전송가능하게 접속하도록 되고 상기 입력광접속단자(200)를 통해 전송되는 광을 전송받도록 된 출력광접속단자(300)와, 모듈본체(100)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입력광접속단자(200)와 상기 출력광접속단자(300)들의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복수의 입력광케이블에서 출력광케이블로 광을 전송하며, 광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광신호를 검출하여 광케이블의 채널별 광신호 유무와 전력에 대한 모니터링 및 모니터링 결과를 외부로 출력하는 광신호검출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입력광접속단자(200)와 출력광접속단자(300)는 모듈본체(100)의 양측에 서로 대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모듈본체(100)에는 입력광접속단자(200)와 출력광접속단자(300)간 광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20)와, 채널별 광신호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동작버튼(130)과,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에서 필요한 전원 공급,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에서 운용중인 포트의 운용 설정 및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의 동작상태를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접속단자(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표시부(120)는 광신호검출부(110)와 연동되어 광케이블의 광신호 검출에 따른 동작을 표시하며, LED로 구성될 수 있다.
접속단자(140)는 USB 포트(USB-C)로 구성되어 스마트기기나 보조배터리를 포함하는 외부 장비와 접속되는데 이용된다.
한편 운용 중인 광심선을 식별하는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는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에서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5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50)는 건전지(도 2)나 리튬전지(도 3)를 포함하는 모듈본체(100)에 장착되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전원공급부(150)는 모듈본체(100)에 장착되는 구성대신 접속단자(140)를 통해 외부로부터 별도로 전원을 공급받아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에서 필요한 전원으로 이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운용 중인 광심선을 식별하는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의 광신호 검출부(11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신호 탭 검출부(111)와, 증폭기(112), MCU(Micro Controller Unit)(113), 무선통신부(114, 115) 및 DC/DC 컨버터(1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광신호 탭 검출부(111)는 광신호 탭 검출소자(Tap Photo Diode)로 구성되며, 입력측 입력광케이블과 출력측 출력광케이블의 입출력 포트간 전송되는 광신호를 전송되는 광신호에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일부 검출(예로써 광신호의 1~5%)하여 검출된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증폭기(112)는 광신호 탭 검출부(111)에서 검출된 광신호를 증폭한다.
MCU(113)는 증폭기(112)에서 증폭된 광케이블의 채널별 전기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며, 스마트기기 연결시 스마트기기의 전용앱과 연동하여 스마트기기 전용앱으로부터의 명령을 이행한다. 스마트기기 전용앱은 예를 들면 포트 정보(포트명, 포트별 운용여부, 설치날짜, 시공사 등) 확인, 포트 설정, 파워값 표시, 측정값 서버 전송 등을 수행하도록 한다.
무선통신부(114, 115)는 각각 와이파이 통신모듈과 블루투스 통신 모듈로 구성되어 MCU(113)에서의 채널별 전기신호를 와이파이 통신방식을 통해 외부의 AP(Access Point)를 통해 서버로 송신하거나 블루투스 통신 방식으로 페어링된 연결장비를 통해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DC/DC 컨버터(116)는 광신호 검출부(110)에서 필요로 하는 전원을 전원공급부(130)나 접속단자(140)를 통해 공급받아 이를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에서 필요한 전원레벨로 변환하여 공급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운용 중인 광심선을 식별하는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과 스마트기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과 스마트기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도 5에서는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의 모듈본체(100)와 스마트기기(400)를 데이터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것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러한 스마트기기(400)에는 포트설정, 파워값 표시, 측정값을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전용앱이 미리 설치되어 있어, 모듈본체(100)와 스마트기기(400)가 데이터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면 전용앱을 통해 포트 정보 확인과 포트설정, 파워값 표시, 측정값의 외부 전송이 이루어지며, 이를 위해 스마트기기(400)는 모듈본체(100)의 MCU(113)와 통신한다.
이때 스마트기기를 연결하여 사용중인 포트를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스마트기기(또는 보조 배터리)에 연결하여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고, 운용중인 포트가 표시부(120)를 구성하는 LED를 통해 표시된다.
또한 스마트기기 전용앱을 구동하여 포트별 전력량을 표시하고 필요시 스마트기기에서 서버로 송신 가능하다. 또한 광신호 탭 검출부(111)의 광신호 탭 검출소자(Tap Photo Diode)를 통해 포트별 광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손쉽게 스마트기기에서 측정값 확인이 가능하다.
물론 내장된 건전지나 리튬전지를 통해 공급된 전원과, 동작버튼(130)을 눌러 운용중인 포트가 표시부(120)의 LED를 통해 표시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운용 중인 광심선을 식별하는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의 외형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나타낸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운용 중인 광심선을 식별하는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운용 중인 광심선을 식별하는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의 외형구조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측 입력광케이블과 출력측 출력광케이블을 광전송가능하게 연결하며 입력광케이블과 출력광케이블들에 대한 광전송상태를 검출하여 식별하도록 하는 모듈본체(100)와, 상기 모듈본체(100)에 구비되며 복수의 입력광케이블들이 각각 광전송가능하게 접속하도록 된 입력광접속단자(200)와, 모듈본체(100)에 구비되며 복수의 출력광케이블들이 각각 광전송가능하게 접속하도록 되고 상기 입력광접속단자(200)를 통해 전송되는 광을 전송받도록 된 출력광접속단자(300)와, 모듈본체(100)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입력광접속단자(200)와 상기 출력광접속단자(300)들의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복수의 입력광케이블에서 출력광케이블로 광을 전송하며, 광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광신호를 검출하여 광케이블의 채널별 광신호 유무와 전력에 대한 모니터링 및 모니터링 결과를 외부로 출력하는 광신호검출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입력광접속단자(200)와 출력광접속단자(300)가 모듈본체(100)의 일측에서 상하로 마주보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 제3실시예에 따른 운용 중인 광심선을 식별하는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의 외형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 제3실시예에 따른 운용 중인 광심선을 식별하는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의 외형구조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데, 입력측 입력광케이블과 출력측 출력광케이블을 광전송가능하게 연결하며 입력광케이블과 출력광케이블들에 대한 광전송상태를 검출하여 식별하도록 하는 모듈본체(100)와, 상기 모듈본체(100)에 구비되며 복수의 입력광케이블들이 각각 광전송가능하게 접속하도록 된 입력광접속단자(200)와, 모듈본체(100)에 구비되며 복수의 출력광케이블들이 각각 광전송가능하게 접속하도록 되고 상기 입력광접속단자(200)를 통해 전송되는 광을 전송받도록 된 출력광접속단자(300)와, 모듈본체(100)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입력광접속단자(200)와 상기 출력광접속단자(300)들의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복수의 입력광케이블에서 출력광케이블로 광을 전송하며, 광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광신호를 검출하여 광케이블의 채널별 광신호 유무와 전력에 대한 모니터링 및 모니터링 결과를 외부로 출력하는 광신호검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모듈본체(100)에는 입력광접속단자(200)와 출력광접속단자(300)간 광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20)와, 채널별 광신호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동작버튼(130)과,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에서 필요한 전원 공급,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에서 운용중인 포트의 운용 설정 및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의 동작상태를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접속단자(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이때, 동작버튼(130)과 접속단자(140)가 본 발명 제1, 제2실시예에서는 모듈본체(100)의 하측면에 구성된 반면 제3실시예에서는 입력광접속단자(200)가 구성되는 좌측면에 구성될 수도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 제3실시예에 따른 운용 중인 광심선을 식별하는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를 8포트 광분배함에 설치하여 활용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 제3실시예에 따른 운용 중인 광심선을 식별하는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를 8포트 광분배함에 설치하여 활용한 모습은 통신실에서 보편적으로 쓰이고 있는 8포트 광분배함에 본 발명 제3실시예에 따른 광심선을 식별하는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를 장착하여 설치한 모습을 나태내고 있으며, 모듈본체(100)의 입력광접속단자(200)에 입력광케이블이 접속되어 광신호를 전송받고, 출력광케이블과 성단작업을 통해 연결된 피그테일에 출력광접속단자(300)가 연결되어 광신호를 정상적으로 내보내면, 동작버튼을 누름으로써 LED로 구성되는 표시부(120)에 불빛이 들어와 전송상태 확인이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 제3실시예에 따른 운용 중인 광심선을 식별하는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를 셀프에 카드 슬롯 형태로 장착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확장이 가능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셀프(500)에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를 카드 슬롯 형태로 장착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확장이 가능한 구조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셀프(500)에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를 슬롯에 맞게 끼워 다수개를 배열한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증축이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사용하지 않는 슬롯은 슬롯 블랭크(510)을 장착하여 빈공간을 막아둔다.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확장이 가능하기 때문에 소규모의 광분배함 혹은 대규모의 광분배함 모두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도 11은 도 10에서 설명한 본 발명 제3실시예에 따른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를 셀프에 카드 슬롯 형태로 장착한 완제품의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는데, 기존의 광분배함과 동일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여 기존의 광분배함 교체에 용이하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의 원격제어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의 적용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Optical Power Tapping Module)의 원격제어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양한 행태의 광분배함에 설치된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Optical Power Tapping Module)에 대하여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Optical Power Tapping Module) 서버(OPTM 서버)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데, 각각의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는 기본적으로 설치현장에서 광패치코드의 통신중인 회선에 대하여 표시부(120)의 LED를 통해 육안확인이 가능(동작버튼(130)을 동작시켜)한데, 내장된 건전지나 리튬전지(5년 이상 사용 가능) 또는 현장 관리자에 의한 스마트기기 또는 보조배터리와 연결하면 동작이 되는데 전용앱에 의한 스마트기기에서 포트별 전력량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OPTM 서버와 스마트기기와 네트워크 기능에 의한 통신은 물론 와이파이,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통신부(114, 115)를 통해 OPTM 서버를 통해서도 원격지에서 원격 노드(통신실, CCTV, ITC 등)에 설치된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과 접속하여 광케이블 심선의 운용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러한 광케이블 심선의 운용여부는 통신중인 회선 식별여부, 전력량 측정 등이 가능하고, 각각의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의 식별번호와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 각각에 연결된 포트정보와, 포트별 운용여부 및 스케줄링에 의한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운용된다.
도 13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Optical Power Tapping Module)이 적용되는 적용환경을 나타내고 있는데, 광분배함, 광분배셀프, 광종단함, 세대단자함/구내단자함, 광단자함, 5G 단자함 등에 적용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과 같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모듈본체 110 : 광신호검출부
111 : 광신호 탭 검출부 112 : 증폭기
113 : MCU 114, 115 : 무선통신부
116 : DC/DC 컨버터 120 : 표시부
130 : 동작버튼 140 : 접속단자
150 : 전원공급부
200 : 입력광접속단자 300 : 출력광접속단자
400 : 스마트기기(스마트폰, 태블릿 등)
500 : 셀프(카드슬롯 모듈 고정틀)
510 : 슬롯 블랭크

Claims (11)

  1. 입력측 입력광케이블과 출력측 출력광케이블을 광전송가능하게 연결하며 각각의 입력광케이블과 출력광케이블들에 대한 광전송상태를 검출하여 식별하도록 된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에 있어서;
    모듈본체(100)와;
    상기 모듈본체(100)에 구비되며 다수의 입력광케이블들이 각각 광전송가능하게 접속하도록 된 입력광접속단자(200)와;
    상기 모듈본체(100)에 구비되며 다수의 상기 출력광케이블들이 각각 광전송가능하게 접속하도록 되고 상기 입력광접속단자를 통해 전송되는 광을 전송받도록 된 출력광접속단자(300)와;
    상기 모듈본체(100)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입력광접속단자(200)와 상기 출력광접속단자(300)들의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복수의 입력광케이블에서 출력광케이블로 전송되는 광신호를 검출하여 광케이블의 채널별 광신호 유무와 전력에 대한 모니터링 및 모니터링 결과를 외부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광신호검출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한편;
    상기 모듈본체(100)에는 상기 입력광접속단자(200)와 출력광접속단자(300)간 광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20)와, 채널별 광신호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동작버튼(130)과, 상기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에서 필요한 전원 공급, 상기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에서 운용중인 포트의 운용 설정 및 상기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의 동작상태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접속단자(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용 중인 광심선을 식별하는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신호 검출부(110)는,
    광신호 탭 검출소자(Tap Photo Diode)로 구성되어, 입력측 입력광케이블과 출력측 출력광케이블의 입출력 포트간 전송되는 광신호를 검출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광신호 탭 검출부(111)와, 상기 광신호 탭 검출부(111)에서 검출된 광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112)와, 상기 증폭기(112)에서 증폭된 광케이블의 채널별 전기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며, 스마트기기 연결시 스마트기기의 전용앱과 연동하여 스마트기기 전용앱으로부터의 명령을 수행하는 MCU(113)와, 와이파이 통신모듈과 블루투스 통신 모듈로 구성되어 상기 MCU(113)에서의 채널별 전기신호를 와이파이 통신방식을 통해 외부의 AP(Access Point)를 통해 외부로 송신하거나 블루투스 통신 방식으로 페어링된 연결장비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114, 115)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용 중인 광심선을 식별하는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듈본체(100)에는 상기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에서 필요로 하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용 중인 광심선을 식별하는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150)는,
    상기 접속단자(140)를 통해 연결되는 스마트기기 또는 보조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용 중인 광심선을 식별하는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150)는 건전지, 리튬전지를 포함하여 상기 모듈본체(100)에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용 중인 광심선을 식별하는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140)가 상기 스마트기기(400)와 데이터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면, 상기 스마트기기(400)에 설치된 전용앱을 통해 포트명, 설치날짜, 시공사를 포함하는 포트정보와, 파워값 표시, 측정값을 외부로 전송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용 중인 광심선을 식별하는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광신호검출부(110)는 상기 모니터링 및 모니터링 결과를 외부로 출력 시 상기 접속단자(140)를 통해 스마트기기(400)와 연결되어 스마트기기를 통해 상기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를 운용하는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 서버로 전송하거나, 상기 무선통신부(114, 115)를 통해 상기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 서버에서 상기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과 접속하여 광케이블 심선의 통신중인 회선 식별여부, 전력량 측정, 각각의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의 식별번호와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 각각에 연결된 포트정보와, 포트별 운용여부 및 스케줄링에 의한 원격제어가 수행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용 중인 광심선을 식별하는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듈본체(100), 입력광접속단자(200), 출력광접속단자(300)의 위치와 구성을 설치되는 환경과 사용자의 필요에 맞게 조정되되,
    상기 입력광접속단자(200)와 출력광접속단자(300)는 모듈본체(100)의 양측에 서로 대응되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입력광접속단자(200)와 출력광접속단자(300)가 모듈본체(100)의 일측에서 상하로 마주보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입력광접속단자(200)와 출력광접속단자(300)가 모듈본체(100)의 양측에 서로 대응되도록 구성되면서 상기 동작버튼(130)과 접속단자(140)가 상기 입력광접속단자(200)와 동일한 면에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용 중인 광심선을 식별하는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는,
    상기 모듈본체(100)를 카드 슬롯 형태로 제작하고, 이를 셀프에 필요에 맞게 장착하여 운용할 포트수에 따라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용 중인 광심선을 식별하는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는,
    광분배함, 광분배셀프, 광종단함, 세대단자함/구내단자함, 광단자함, 5G 단자함에 적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용 중인 광심선을 식별하는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
KR1020210082050A 2021-06-24 2021-06-24 운용 중인 광심선을 식별하는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 KR102329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050A KR102329990B1 (ko) 2021-06-24 2021-06-24 운용 중인 광심선을 식별하는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050A KR102329990B1 (ko) 2021-06-24 2021-06-24 운용 중인 광심선을 식별하는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9990B1 true KR102329990B1 (ko) 2021-11-23

Family

ID=78694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050A KR102329990B1 (ko) 2021-06-24 2021-06-24 운용 중인 광심선을 식별하는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999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3412A (ko) * 2001-10-22 2003-05-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전송시스템의 광파워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KR20050102770A (ko) 2004-04-22 2005-10-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광신호 분배기를 구비한 광 분산 시스템
KR20090087777A (ko) 2008-02-13 2009-08-1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광분배장치를 이용한 광신호 품질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04162U (ko) * 2008-10-13 2010-04-22 전혜옥 광신호를 측정하는 측정장치가 내재된 광통신 장비와 광신호를 측정하는 측정단자가 구비된 광통신 장비
KR20130034112A (ko) 2011-09-28 2013-04-05 노광우 광신호 장애 검출시스템
KR20160112079A (ko) 2015-03-17 2016-09-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분배망에서의 광선로 검사 방법 및 그에 따른 검사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3412A (ko) * 2001-10-22 2003-05-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전송시스템의 광파워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KR20050102770A (ko) 2004-04-22 2005-10-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광신호 분배기를 구비한 광 분산 시스템
KR20090087777A (ko) 2008-02-13 2009-08-1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광분배장치를 이용한 광신호 품질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04162U (ko) * 2008-10-13 2010-04-22 전혜옥 광신호를 측정하는 측정장치가 내재된 광통신 장비와 광신호를 측정하는 측정단자가 구비된 광통신 장비
KR20130034112A (ko) 2011-09-28 2013-04-05 노광우 광신호 장애 검출시스템
KR20160112079A (ko) 2015-03-17 2016-09-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분배망에서의 광선로 검사 방법 및 그에 따른 검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11825B1 (en) Configurable safety shutdown for an optical amplifier using non-volatile storage
US20120288273A1 (en) Intelligent splitter monitor
CN104467959B (zh) 使用光损耗测试仪器的免提光纤测试的方法及装置
WO2016023332A1 (zh) 一种光网络智能化的实现方法以及装置
CN102396171A (zh) 基于光纤的分布式天线系统、组件和用于监视和配置基于光纤的分布式天线系统、组件的相关方法
CN103329460A (zh) 用于灾害应急广播通信的光整合系统
WO2018155872A1 (ko) Otdr을 이용한 광선로 감시 시스템
CN111628826B (zh) 一种光信号监测装置和系统
CN108809414A (zh) 光纤网络智能维护装置及其光纤全数据检测仪
WO2018216883A1 (ko) Otdr을 이용한 중계기 광코어 감시시스템
KR102329990B1 (ko) 운용 중인 광심선을 식별하는 광전력 모니터 모듈 장치
KR102124531B1 (ko) 인빌딩 유무선 광통합 장치 및 유선 광신호 처리 장치
CN103840879B (zh) 一种光纤局向识别方法、装置和系统
US20220116109A1 (en) Communication monitor method and communication monitor device
CN208623672U (zh) 光纤网络智能维护装置及其光纤全数据检测仪
CN210469537U (zh) 基于光sdi单纤双向的可控屏ops接口音视频转换器
KR20170125461A (ko) 광단자함에 설치되는 분배선로감시용 otdr
JP5661199B2 (ja) 通信障害検出装置
KR100767328B1 (ko) 지능형 광 분배장치
JP5316066B2 (ja) 宅側予備応答装置及び宅側装置並びに光線路の検査方法
JP2010010889A (ja) 加入者装置
JP2005192138A (ja) 光分岐線路監視システム
KR102098634B1 (ko) 광케이블 분배 수납용 함체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87777A (ko) 광분배장치를 이용한 광신호 품질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Colapinto et al. Scalability in IoT Sensor Networks for Smart Build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