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9886B1 - 다차원 저작권 관리 방법 및 다차원 저작권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차원 저작권 관리 방법 및 다차원 저작권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29886B1 KR102329886B1 KR1020200158873A KR20200158873A KR102329886B1 KR 102329886 B1 KR102329886 B1 KR 102329886B1 KR 1020200158873 A KR1020200158873 A KR 1020200158873A KR 20200158873 A KR20200158873 A KR 20200158873A KR 102329886 B1 KR102329886 B1 KR 1023298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uthor
- content
- electronic signature
- previous
-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75 auth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51 e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1 transform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16—Key establishment, i.e. cryptographic processes or cryptographic protocols whereby a shared secret becomes available to two or more parties, for subsequent use
- H04L9/0819—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 H04L9/0822—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using key encryption ke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16—Key establishment, i.e. cryptographic processes or cryptographic protocols whereby a shared secret becomes available to two or more parties, for subsequent use
- H04L9/0819—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 H04L9/0825—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using asymmetric-key encryption or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e.g. key signature or public key certificat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 G06Q2220/10—Usage protection of distributed data files
-
- H04L2209/3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echnology Law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울특별시 서울산업진흥원 2021년도 제4회 서울혁신챌린지 결선(IC210013) "글로벌K웹툰 콘텐츠의 OSMU형 다차원저작권 관리 및 수익공유 플랫폼 개발"을 통해 개발된 기술로, 다차원 저작권 관리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차원 저작권 관리 방법은, 이전 콘텐츠에서 파생된 콘텐츠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의 저작자의 전자 서명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작자의 전자 서명 및 상기 이전 콘텐츠의 저작자인 이전 저작자의 전자 서명을 포함하는 저작권리 인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콘텐츠를 확대 및 재생산하는 환경에서, 콘텐츠의 확대 과정과 이전 저작자 승인 등을 투명하게 증명 및 관리할 수 있는, 다차원 저작권 관리 방법 및 다차원 저작권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블록체인(blockchain)은 P2P(peer-to-peer) 네트워크에 의해 생성되고 관리되는 위변조 불가능한 분산 저장소이다. 블록체인은 트랜잭션(쌍방간의 쪼갤 수 없는 단위 작업)으로 생성된 데이터 블록들을 체인(chain) 형태로 잇따라 연결한 모음을 의미한다. 한번 기록된 데이터는 위조 또는 변조가 불가능하다. 블록 체인에는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들 간에 발생되는 확정된 거래 내역이 저장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많은 노드들은 블록체인 사본을 각자 갖고 있으며, 거래 내역은 모두에게 공개될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의 저작권 관리를 블록체인 기술을 통하여 수행하는 시도들이 등장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웹툰 등 디지털 콘텐츠의 생산 및 유통이 활발히 진행중이다. 그리고 이러한 디지털 콘텐츠는 다양한 방식으로 확대 및 재생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툰에서 파생되어 드라마가 제작될 수 있으며, 드라마 내에서의 주인공의 모습을 담은 굳즈(goods)가 제작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웹툰은 원 저작물, 드라마는 원저작물에서 파생된 2차 저작물, 굳즈(goods)는 2차 저작물에서 파생된 3차 저작물이 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개인이나 웹툰 작가 지망생 등은, 웹툰에서 사용된 캐릭터나 장면을 변형하여 새로운 창작물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웹툰은 원 저작물, 웹툰에서 사용된 캐릭터나 장면을 변형하여 새로운 창작물은 원 저작물에서 파생된 2차 저작물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콘텐츠가 다양하게 확대 및 재생산 되는 환경에서, 콘텐츠와 확대 과정과 콘텐츠의 확대 과정에서 이전 저작자의 승인을 투명하게 증명 및 관리하는 것은 저작자의 보호를 위하여 중요하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에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08-27274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77681호가 있으며, 본 발명은 서울특별시 서울산업진흥원 2021년도 제4회 서울혁신챌린지 결선(IC210013) "글로벌K웹툰 콘텐츠의 OSMU형 다차원저작권 관리 및 수익공유 플랫폼 개발"을 통해 착안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텐츠를 확대 및 재생산하는 환경에서, 콘텐츠의 확대 과정과 이전 저작자의 승인 등을 투명하게 증명 및 관리할 수 있는, 다차원 저작권 관리 방법 및 다차원 저작권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차원 저작권 관리 방법은, 이전 콘텐츠에서 파생된 콘텐츠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의 저작자의 전자 서명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작자의 전자 서명 및 상기 이전 콘텐츠의 저작자인 이전 저작자의 전자 서명을 포함하는 저작권리 인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이전 저작자의 전자 서명은, 상기 저작자의 키 및 상기 이전 저작자의 키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저작자의 전자 서명은, 상기 콘텐츠의 콘텐츠 ID를 상기 저작자의 키로 암호화 함으로써 생성되고, 상기 이전 저작자의 전자 서명은, 상기 저작자의 키를 상기 이전 저작자의 키로 암호화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저작자의 전자 서명은, 상기 콘텐츠의 콘텐츠 ID를 상기 저작자의 개인 키로 암호화 함으로써 생성되고, 상기 이전 저작자의 전자 서명은, 상기 개인 키와 하나의 쌍을 이루는 공개키를 상기 이전 저작자의 개인 키로 암호화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작자의 전자 서명은, 상기 콘텐츠의 콘텐츠 ID를 상기 저작자의 개인 키로 암호화 함으로써 생성되고, 상기 이전 저작자의 전자 서명은, 상기 저작자의 개인 키를 이용하여 자식 개인 키 및 상기 자식 개인 키와 하나의 쌍을 이루는 자식 공개 키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자식 공개키를 상기 이전 저작자의 개인 키로 암호화 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저작자의 개인 키는, 상기 저작자가 원저작자로써 생성한 콘텐츠에 대한 전자 서명을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콘텐츠를 등록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이전 콘텐츠를 등록하고, 상기 이전 저작자의 개인 키를 이용하여 상기 이전 저작자의 전자 서명을 생성하고, 상기 이전 저작자의 전자서명을 포함하는 저작권리 인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콘텐츠에서 파생된 다음 콘텐츠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다음 콘텐츠의 저작자인 다음 저작자의 전자 서명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이전 저작자의 전자 서명, 상기 저작자의 전자 서명 및 상기 다음 저작자의 전자 서명을 포함하는 저작권리 인증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다차원 저작권 관리 시스템은, 이전 콘텐츠에서 파생된 콘텐츠를 저장하는 파일 저장 시스템, 상기 콘텐츠의 저작자의 전자 서명을 생성하는 저작자 단말, 및, 상기 저작자의 전자 서명 및 상기 이전 콘텐츠의 저작자인 이전 저작자의 전자 서명을 포함하는 저작권리 인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저작권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저작자의 키 및 상기 이전 저작자의 키를 이용하여 상기 이전 저작자의 전자 서명을 생성하는 이전 저작자 단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저작자의 전자 서명은, 상기 콘텐츠의 콘텐츠 ID를 상기 저작자의 키로 암호화 함으로써 생성되고, 상기 이전 저작자의 전자 서명은, 상기 저작자의 키를 상기 이전 저작자의 키로 암호화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저작자의 전자 서명은, 상기 콘텐츠의 콘텐츠 ID를 상기 저작자의 개인 키로 암호화 함으로써 생성되고, 상기 이전 저작자의 전자 서명은, 상기 개인 키와 하나의 쌍을 이루는 공개키를 상기 이전 저작자의 개인 키로 암호화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작자의 전자 서명은, 상기 콘텐츠의 콘텐츠 ID를 상기 저작자의 개인 키로 암호화 함으로써 생성되고, 상기 이전 저작자의 전자 서명은, 상기 저작자의 개인 키를 이용하여 자식 개인 키 및 상기 자식 개인 키와 하나의 쌍을 이루는 자식 공개 키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자식 공개키를 상기 이전 저작자의 개인 키로 암호화 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저작자의 개인 키는, 상기 저작자가 원저작자로써 생성한 콘텐츠에 대한 전자 서명을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이전 저작자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파일 저장 시스템은, 상기 콘텐츠를 저장하기 이전에 상기 이전 콘텐츠를 등록하고, 상기 이전 저작자 단말은, 상기 이전 저작자의 개인 키를 이용하여 상기 이전 저작자의 전자 서명을 생성하고, 상기 저작권 관리 서버는, 상기 이전 저작자의 전자서명을 포함하는 저작권리 인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다음 저작자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파일 저장 시스템은, 상기 저작권 권리 인증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한 이후에, 상기 콘텐츠에서 파생된 다음 콘텐츠를 저장하고, 상기 다음 저작자 단말은, 상기 다음 콘텐츠의 저작자인 다음 저작자의 전자 서명을 생성하고, 상기 저작권 관리 서버는, 상기 이전 저작자의 전자 서명, 상기 저작자의 전자 서명 및 상기 다음 저작자의 전자 서명을 포함하는 저작권리 인증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 저작물부터 n차 저작물까지에 대한 다차원 저작권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콘텐츠의 확대 과정, 이전 저작자의 승인, 저작권 과의 권리 관계 등이 투명하게 증명 및 관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작자들 간의 권리 관계가 명확해지고 수익 배분을 투명하게 할 수 있으며, 이전 저작자들은 확대 생산된 저작물에 대한 통제권을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차원 저작권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서명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으로 저작권을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작품에 대한 저작권을 등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를 확대 및 재생산 하는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전 저작자의 전자 서명을 받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자식 키를 이용하여 이전 저작자(510)의 전자 서명을 받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차원 저작물의 저작권을 등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상황에서의 전자 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서명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으로 저작권을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작품에 대한 저작권을 등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를 확대 및 재생산 하는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전 저작자의 전자 서명을 받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자식 키를 이용하여 이전 저작자(510)의 전자 서명을 받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차원 저작물의 저작권을 등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상황에서의 전자 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도면과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함을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차원 저작권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차원 저작권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저작자 단말(110, 120, 130), 저작권 관리 서버(200), 분산 파일 시스템(300)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저작자 단말(110, 120, 130)은 콘텐츠를 생성한 저작자가 사용하는 단말로써,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의 이동형 단말기나 데스크 탑 등의 고정형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한명의 저작자가 두개의 단말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저작자는 데스크 탑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생성한 후 전송할 수 있으며, 스마트 폰에 저작자의 키를 보유하고 스마트 폰에서 전자 서명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저작자 단말(110, 120, 130)에는, 저작권 관리 서버(200) 또는 다른 주체에 의해 배포된 저작권 관리 앱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저작자 단말(110, 120, 130)은 저작권 관리 앱을 실행시키고, 저작권 관리 앱을 통하여 저작권 관리 서버(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저작자 단말(110, 120, 130)은 저작권 관리 앱을 통하여, 저작권 관리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저작자 단말(110, 120, 130)은, 저작권 관리 앱을 통하여, 저작권의 확인, 작품 정보의 확인, 콘텐츠의 업로드, 저작권으로 관리되는 작품 또는 콘텐츠의 사용 승인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는, 복수의 참여 노드가 P2P(Peer to Peer)로 통신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블록체인 네트워크(400) 내의 참여 노드들은 블록체인에 기록되는 트랜잭션(transaction)의 승인, 블록체인을 이용한 트랜잭션 내역 보관, 다른 노드들과의 주기적인 블록 분산 합의, 작업 증명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참여 노드들은 서버나 PC 등과 같은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네트워크(120)는 참여 노드들에 설치된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통하여, 작품 또는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저작권 관리 서버(20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의 일 노드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작권 관리 서버(200)는, 저작권 관리 서버(200)에 설치되는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통하여, 작품 또는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등록 요청을 트랜잭션(transaction)으로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를 구성하는 복수의 노드는 트랜잭션을 분산합의 과정을 통해 공유하고, 블록에 기록할 수 있다.
저작권 관리 서버(200)는 저작권의 등록 및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저작자 단말(110, 120, 130), 분산 파일 시스템(300)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저작권 관리 서버(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산 파일 시스템(300)은 콘텐츠를 내부 저장소에 분산하여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작자는 저작자 단말을 이용하여 저작권의 대상이 되는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저작자 단말은, 생성된 콘텐츠를 직접 분산 파일 시스템(300)에 업로드 할 수 있으며, 저작권 관리 서버(200)를 통하여 분산 파일 시스템(300)에 업로드 할 수도 있다.
한편 분산 파일 시스템(300)은 콘텐츠를 반드시 분산하여 저장할 필요는 없으며, 따라서 용어 “분산 파일 시스템(300)”은 용어 “파일 저장 시스템(300)”과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저작권 관리 서버(200)는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을 모니터링 및 제어하는 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하는 동작들은 데이터의 전송, 데이터의 등록, 요청의 전송, 승인의 수신 등은 저작권 관리 서버(200)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작권 관리 서버(200)는 저작권 관리 앱과 통신하여, 저작자 단말에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 요청, 명령 등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저작권 관리 서버(200)는 저작권 관리 앱과 통신하여, 저작자 단말로부터 각종 요청이나 승인을 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서명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저작자 단말에는 저작자의 개인키 및 저작자의 개인키와 하나의 쌍을 이루는 공개키가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개인키는 저작자 단말에 저장되어야 한다. 한편 공개키는 저작자 단말에 저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개 키는 저작권 관리 서버(200) 등의 다른 장치에 저장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저작자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는 분산 파일 시스템(300)에 등록될 수 있다. 여기서 저작자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가 분산 파일 시스템(300)에 등록된다는 것은, 저작자가 생성된 콘텐츠가 분산 파일 시스템(300)에 저장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는 저작물로써, 작품을 구성하는 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품이 웹툰인 경우, 콘텐츠는 웹툰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 파일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작품이 영화인 경우 콘텐츠는 동영상 파일이며, 작품이 노래인 경우 콘텐츠는 음악 파일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콘텐츠는 저작자 단말에서 생성되거나 다른 장치에서 생성되어 저작자 단말에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저작자 단말은 분산 파일 시스템(300)에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콘텐츠는 저작권 관리 서버(200)를 경유하여 분산 파일 시스템(300)에 전송 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저작자 단말은 콘텐츠를 저작권 관리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저작권 관리 서버(200)는 분산 파일 시스템(300)에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콘텐츠가 저장되면, 분산 파일 시스템(300)은 저장된 콘텐츠의 콘텐츠 ID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 ID란 분산 파일 시스템(300)에 저장된 콘텐츠의 고유의 ID를 의미하는 것으로, 콘텐츠 해쉬라는 명칭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분산 파일 시스템(300)은 콘텐츠 ID를 저작자 단말 및 저작권 관리 서버(20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콘텐츠 ID가 저작권 관리 서버(200)에 전송되는 경우, 저작권 관리 서버(200)는 저작자 단말에 콘텐츠 ID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저작자 단말은 저작자 전자서명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콘텐츠가 분산파일 시스템(300)에 등록되고 콘텐츠 ID가 저작자 단말에 전달되면, 저작자 단말(저작권 관리 앱)은 전자 서명을 요청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작자로부터 승인의 입력이 수신되면, 저작자 단말(저작권 관리 앱)은 콘텐츠 ID 및 마스터키를 이용하여 암호화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작자 단말(저작권 관리 앱)은 저작자 단말에 저장된 저작자의 개인키를 마스터키로 사용하여 콘텐츠 ID를 암호화 함으로써, 암호화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암호화 메시지가 저작자의 전자 서명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저작자 단말(저작권 관리 앱)은 저작자의 전자 서명을 저작권 관리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으로 저작권을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저작자의 전자 서명을 생성하는 방법은 도 2에서 설명하였으므로, 도 3에서는 그 이후의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저작권 관리 서버(200)는 저작자 단말로부터 저작자의 전자 서명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저작권 관리 서버(200)는 저작자 전자 서명을 포함하는 저작 권리 인증을 생성하고, 생성된 저작 권리 인증을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생성된 저작 권리 인증은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분산 저장될 수 있다.
즉 저작권의 대상이 되는 콘텐츠가 분산 파일 시스템(300)에 저장이 되며, 콘텐츠의 고유의 식별 정보인 콘텐츠 ID와 저작자의 개인키를 이용하여 저작자 전자서명이 생성되고, 저작자 전자서명은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저장이 된다. 이에 따라 저작물이 무엇인지(분산 파일 시스템(300)에 저장된 콘텐츠가 원본 저작물로써 증명됨), 저작권자가 누구인지(저작자 개인 키를 이용하여 서명을 생성함으로써, 분산 파일 시스템(300)에 저장된 콘텐츠의 저작자가 누구인지 증명됨), 콘텐츠가 언제 등록되었는지 등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하여 투명하고 무결성 있게 관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작권의 발생, 저작권의 내용, 저작권의 권리 관계 등이 투명하게 관리될 수 있다.
한편 저작 권리 인증은 콘텐츠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저작권 관리 서버(200)는 저작자 전자서명 및 콘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저작 권리 인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 정보란 콘텐츠에 대한 설명을 의미하는 것으로, 작가 이름/작가 홈페이지 등의 작가 정보, 작품 제목/작품 장르/콘텐츠를 대표하는 썸네일 이미지/ 작품 설명/형식/감정/등급 등의 작품 정보, 작가 블로그나 팬 페이지 등의 기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저작자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는, 특정 작품의 각 회차의 콘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라는 제목의 웹툰이 있는 경우, 저작자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는 A라는 제목의 웹툰의 3회 에피소드를 구성하는 이미지 파일들일 수 있다. 따라서 콘텐츠 ID는 에피소드 ID라는 용어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작품에 대한 저작권 및 각 회차에 대한 저작권이 모두 등록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작품에 대한 저작권을 등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작품이란 공통적 특성에 의하여 묶이는 복수의 콘텐츠를 포괄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A라는 제목의 웹툰이 있는 경우, A라는 제목의 웹툰은 1회차 에피소드, 2회차 에피소드, 3회차 에피소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작품에 포함되는 콘텐츠 각각에 대한 저작권이 등록될 수 있으며, 작품 자체에 대한 저작권도 등록될 수 있다. 즉 1회차 에피소드, 2회차 에피소드, 3회차 에피소드 각각에는 회차 별 저작권이 등록될 수 있으며, A라는 제목의 웹툰에는 작품에 대한 저작권이 등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작자 단말은 블록 체인 네트워크(300)에 작품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작품 정보는, 작품의 제목, 작품의 대표 썸 네일 이미지, 장르, 작품 설명 등 특정 작품을 다른 작품과 구분 짓는데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작품 정보는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등록될 수 있다. 여기서 작품 정보가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등록된다는 것은, 작품 정보가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저장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저작자 단말은, 직접 또는 저작권 관리 서버(200)를 통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작품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는 작품 정보를 포함하는 트랜잭션을 생성 및 저장하고, 트랜잭션 ID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트랜잭션 ID란 작품 정보를 포함하는 트랜잭션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의 ID를 의미하는 것으로, 트랜잭션 해쉬라는 명칭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트랜잭션 ID는, 직접 또는 저작권 관리 서버(200)를 통하여, 저작자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저작자 단말은 작품 등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랜잭션 ID가 저작자 단말에 전달되면, 저작자 단말(저작권 관리 앱)은 전자 서명을 요청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작자로부터 승인의 입력이 수신되면, 저작자 단말(저작권 관리 앱)은 트랜잭션 ID 및 마스터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 메시지인 작품 등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작자 단말(저작권 관리 앱)은 저작자 단말에 저장된 저작자의 개인키를 마스터키로 사용하여 트랜잭션 ID를 암호화 함으로써, 암호화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암호화 메시지가 작품 등록 정보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저작자 단말(저작권 관리 앱)은 작품 등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다시 도 2 및 도 3으로 돌아가서, 도 2 및 도 3에서 등록되는 콘텐츠는 하나의 작품에 포함되는 복수의 콘텐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작품이 웹툰인 경우, A 작품에 포함되는 제1 콘텐츠는, A 작품의 1회 에피소드를 구성하는 복수의 이미지 파일일 수 있으며, A 작품에 포함되는 제2 콘텐츠는 A 작품의 2회 에피소드를 구성하는 복수의 이미지 파일일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작품에는 다양한 종류의 콘텐츠들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품이 웹툰인 경우, A 작품에 포함되는 제1 콘텐츠는 웹툰의 하나의 애피소드를 구성하는 복수의 이미지 파일이고, A 작품에 포함되는 제2 콘텐츠는 웹툰에서 등장하는 캐릭터의 이미지 파일이며, A 작품에 포함되는 제3 콘텐츠는 웹툰에서 이미지와 함께 제공된 음악 파일일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따른 전자 서명 생성 과정은, 하나의 작품에 포함되는 복수의 콘텐츠 각각에 대해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작자 단말은 A 작품에 포함되는 제1 콘텐츠(예를 들어 1회차 에피소드를 구성하는 이미지 파일들)를 분산 파일 시스템(300)에 전송하고, 분산 파일 시스템(300)은 제1 콘텐츠에 대한 제1 콘텐츠 ID를 저작자 단말에 전송하며, 저작자 단말은 제1 콘텐츠 ID를 저작자 단말에 저장된 개인키로 암호화 함으로써 제1 저작자 전자 서명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저작자 전자 서명을 포함하는 저작 권리 인증이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작자 단말은 A 작품에 포함되는 제2 콘텐츠(예를 들어 2회차 에피소드를 구성하는 이미지 파일들)를 분산 파일 시스템(300)에 전송하고, 분산 파일 시스템(300)은 제2 콘텐츠에 대한 제2 콘텐츠 ID를 저작자 단말에 전송하며, 저작자 단말은 제2 콘텐츠 ID를 저작자 단말에 저장된 개인키로 암호화 함으로써 제2 저작자 전자 서명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저작자 전자 서명을 포함하는 저작 권리 인증이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저장될 수 있다.
즉 제1 콘텐츠에 대하여 생성된 제1 저작자 전자 서명은 제1 콘텐츠 ID를 암호화 하여 생성된 것이고, 제2 콘텐츠에 대하여 생성된 제2 저작자 전자 서명은 제2 콘텐츠 ID를 암호화 하여 생성된 것이다. 따라서 제1 저작자 전자 서명은 제1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을, 제2 저작자 전자 서명은 제2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을 증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저작권 관리 서버(200)는 저작자 전자 서명을 포함하는 저작권리 인증을 생성한다고 앞서 설명한 바 있다.
이 경우 저작권 관리 서버(200)는 저작자 전자 서명과 함께 작품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저작권리 인증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작자 단말은 저작자 전자 서명 및 작품 등록 정보를 저작권 관리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저작권 관리 서버(200)는 저작자 전자 서명 및 작품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저작권리 인증을 생성하고, 생성된 저작권리 인증을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생성된 저작권리 인증은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작품에 대한 저작권, 하나의 작품에 포함되는 개별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그리고 작품에 대한 저작권과 개별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의 계층적 관계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하여 투명하게 관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를 확대 및 재생산 하는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저작자 A(510)는 제1 콘텐츠(511)를 창작하였다. 여기서 제1 콘텐츠(511)는 최초의 콘텐츠로써 저작자 A(510)는 원 저작자(510)로 명칭한다. 여기서 제1 콘텐츠(511)는 웹툰이라고 가정한다.
저작자 B(520)는 제1 콘텐츠(511)에서 파생된 제1-1 콘텐츠(512)를 창작하였다. 여기서 제1-1 콘텐츠(512)는 제1 콘텐츠(511)의 스토리와 캐릭터를 기반으로 창작된 애니메이션일 수 있다. 그리고 저작자 B(520)는 저작자로 명칭한다.
저작자 C(530)는 제1-1 콘텐츠(512)에서 파생된 제1-1-1 콘텐츠(513)를 창작하였다. 여기서 제1-1-1 콘텐츠(513)는 제1-1 콘텐츠(512)의 스토리와 캐릭터를 기반으로 창작된 드라마일 수 있다.
제1 콘텐츠(511)(원 저작물)에서 파생되어 제1-1 콘텐츠(512)(2차 저작물) 및 제1-1-1 콘텐츠(513)(3차 저작물)이 창작되었으며, 제1-1 콘텐츠(512)(2차 저작물)에서 파생되어 제1-1-1 콘텐츠(513)(3차 저작물)이 창작되었다.
그리고 저작물의 내용이 무엇인지, 어느 저작물이 먼저 창작되었는지, 어느 저작물이 원 저작물이며 어느 저작물이 원 저작물로부터 파생된 저작물인지, 저작자 B(520)는 저작자 A(510)의 승인을 받고 2차 저작물인 제1-1 콘텐츠(512)를 생성한 것인지, 저작자 C(530)는 저작자 A(510)와 저작자 B(520)의 승인을 받고 3차 저작물인 제1-1-1 콘텐츠(513)를 생성한 것인지 등이 명확하게 관리되지 않는 경우, 잦은 분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저작자의 권리가 침해되게 된다.
이와 같이 다차원 저작권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다차원 저작권 들의 관계를 투명하게 증명 및 관리 하는 것이 중요하다.
저작자 B(520)가 저작자 A(510)의 저작물(제1 콘텐츠(511))을 기반으로 새로운 콘텐츠를 창작하였으며, 저작자 C(530)가 저작자 B(520)의 저작물(제1-1 콘텐츠(512))을 기반으로 새로운 저작물(제1-1-1 콘텐츠(513))을 창작한 상황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저작자 A(510)는 “이전 저작자(510)”, 저작자 B(520)는 “저작자(520)”, 저작자 C(530)는 “다음 저작자(530)”라는 명칭과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전 저작자(510)가 생성한 콘텐츠(511)는 “이전 콘텐츠”, 저작자(520)가 생성한 콘텐츠(512)는 “이전 콘텐츠에서 파생된 콘텐츠”, 다음 저작자(530)가 생성한 콘텐츠(513)는 “콘텐츠에서 파생된 다음 콘텐츠”라는 명칭과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저작자(520)는 이전 콘텐츠에 기반하여 이전 콘텐츠에서 파생된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저작자의 저작권을 등록하기 위하여,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차원 저작권 관리 방법은, 이전 콘텐츠에서 파생된 콘텐츠를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저작자(520)의 저작자 단말은, 직접 또는 저작권 관리 서버(200)를 통하여, 콘텐츠(512)를 분산 파일 시스템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분산 파일 시스템(300)은 콘텐츠(512)를 내부 보관소에 분산 저장하고, 저장된 콘텐츠(512)의 식별 정보인 콘텐츠 ID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다차원 저작권 관리 방법은 콘텐츠의 저작자(520)의 전자 서명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작자(520)의 전자 서명은, 콘텐츠(512)의 콘텐츠 ID를 저작자의 키로 암호화 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콘텐츠 ID는 저작자 단말에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작자(520)의 저작자 단말(저작권 관리 앱)은 전자 서명을 요청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작자(520)로부터 승인의 입력이 수신되면, 저작자(520)의 저작자 단말(저작권 관리 앱)은 콘텐츠 ID 및 마스터키를 이용하여 암호화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작자(520)의 저작자 단말(저작권 관리 앱)은 저작자 단말에 저장된 저작자의 개인키를 마스터키로 사용하여 콘텐츠 ID를 암호화 함으로써, 암호화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암호화 메시지가 저작자(520)의 전자 서명이 될 수 있다.
한편 저작자(520)의 저작자 단말(저작권 관리 앱)은 저작자의 전자 서명을 저작권 관리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콘텐츠(520)의 저작권은, 저작자(520)의 전자 서명뿐만이 아니라 이전 저작자(510)의 전자 서명까지 함께 포함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등록될 수 있다.
한편 저작자(520)의 전자 서명은, 저작자(520)의 개인 키가 아닌, 개인 키와 쌍을 이루는 공개 키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 다만 외부로 공개되는 공개 키보다는, 저작자(520)에 고유하게 부여되고 저작자(520)만 알고 있는 개인 키를 이용하여 전자 서명을 생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전 저작자의 전자 서명을 받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이전 저작자(510)의 전자 서명을 받는 것은, 저작자(520)의 전자 서명을 생성하는 것보다 먼저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저작자(520)의 전자 서명을 생성을 생성한 후 이전 저작자(510)의 전자 서명을 받는 방식도 가능하다.
저작자(520)의 저작자 단말에는, 저작자(520)의 개인키 및 개인키와 쌍을 이루는 공개키가 저장될 수 있다.
이전 저작자(510)와 저작자(520) 사이에는, 이전 콘텐츠로부터 파생된 새로운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저작자(520)의 저작자 단말(저작권 관리 앱)은, 이전 자작자(510)에 대한 전자 서명을 요청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작자(520)로부터 이전 저작자(510)에 대한 전자 서명의 요청을 승인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저작자(520)의 저작자 단말(저작권 관리 앱)은 저작자(520)의 키를 이전 저작자(510)의 저작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전 저작자의 전자 서명은, 저작자(520)의 키 및 이전 저작자(510)의 키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전 저작자(510)의 전자 서명은, 저작자(520)의 키를 이전 저작자(510)의 키로 암호화 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저작자(520)의 저작자 단말(저작권 관리 앱)은 저작자(520)의 키를 이전 저작자(510)의 저작자 단말에 전송한다고 설명한 바 있다. 여기서 전송되는 키는, 저작자(520)의 공개 키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이전 저작자(510)의 저작자 단말에 전송되는 공개 키는, 저작자(520)의 전자 서명을 생성하는데 사용될 개인 키와 쌍을 이루는 키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저작자(520)의 저작자 단말(저작권 관리 앱)은, 저작자(520)의 전자 서명에 사용된(또는 사용될) 개인키와 쌍을 이루는 공개 키를 이전 저작자(510)의 저작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개 키는, 직접 또는 저작권 관리 서버(200)를 경유하여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이전 저작자(510)의 저작자 단말(저작권 관리 앱)은 저작자(520)로부터의 서명 요청을 나타내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전 저작자(510)로부터 승인의 입력이 수신되면, 이전 저작자(510)의 저작자 단말(저작권 관리 앱)은 저작자(520)의 개인 키와 하나의 쌍을 이루는 공개 키를, 이전 저작자(510)의 개인 키로 암호화 하여 암호화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암호화 메시지가 이전 저작자(510)의 전자 서명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이전 저작자(510)의 저작자 단말(저작권 관리 앱)은 이전 저작자의 전자 서명을 저작권 관리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저작자(520)의 저작자 단말이 공개 키를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저작자(520)의 공개 키는 저작권 관리 서버(200)에서도 보유할 수 있으며, 저작권 관리 서버(200)가 이전 저작자(510)의 저작자 단말에 저작자(520)의 공개 키를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저작자(520)의 저작자 단말이 이전 저작자(510)의 저작자 단말에 공개 키를 전송하고, 저작자(520)의 공개 키를 이전 저작자(510)의 키로 암호화 한다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저작자(520)의 저작자 단말이 이전 저작자(510)의 저작자 단말에 개인 키(저작자(520)의 전자 서명에 사용되었거나 사용될 개인 키)를 전송하고, 이전 저작자(510)의 저작자 단말은 저작자(520)의 개인 키를 이전 저작자(510)의 키로 암호화하여 이전 저작자의 전자 서명을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저작자(520)의 개인 키는 저작자(520)에 고유하게 부여되고 저작자(520)만 알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저작자(520)의 개인 키를 전송하여 이전 저작자(510)의 서명을 받는 것 보다는, 저작자(520)의 공개 키를 전송하여 이전 저작자(510)의 서명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전 저작자(510)의 저작자 단말은 이전 저작자(510)의 개인 키로 저작자(520)의 키를 암호화 한다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전 저작자(510)의 저작자 단말은 이전 저작자(510)의 공개 키로 저작자(520)의 키를 암호화할 수도 있다.
도 7은, 자식 키를 이용하여 이전 저작자(510)의 전자 서명을 받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서, 이전 저작자(510)의 저작자 단말은 저작자(520)의 공개 키를 이전 저작자(510)의 개인 키로 암호화 하여 이전 저작자의 전자 서명을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한 바 있다.
이 경우 이전 저작자의 전자 서명은, 저작자(520)의 자식 공개 키를 이전 저작자의 개인 키로 암호화 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작자(520)의 저작자 단말은, 저작자(520)의 개인 키(710)를 이용하여 자식 개인 키(721) 및 자식 개인 키(721)와 쌍을 이루는 자식 공개키(722)를 생성할 수 있다. 즉 개인 키(710)는 부모 키가 될 수 있으며, 부모 키로부터 하나의 쌍을 이루는 자식 개인 키(721)와 자식 공개키(722)가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저작자(520)의 저작자 단말(저작권 관리 앱)은, 저작자(520)의 자식 공개 키(722)를 이전 저작자(510)의 저작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전 저작자(510)의 전자 서명은, 저작자(520)의 자식 공개 키(722) 및 이전 저작자(510)의 개인 키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즉 이전 저작자(510)의 전자 서명은 저작자(520)의 자식 공개 키(722) 및 이전 저작자(510)의 개인 키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으며, 저작자(520)의 전자 서명은 저작자(520)의 자식 개인키(721) 또는 저작자(520)의 부모 개인 키(710)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저작자(520)의 저작자 단말이 이전 저작자(510)의 저작자 단말에 자식 공개 키(722)를 전송하고, 저작자(520)의 자식 공개 키(722)를 이전 저작자(510)의 키로 암호화 한다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저작자(520)의 저작자 단말이 이전 저작자(510)의 저작자 단말에 자식 개인 키(721)를 전송하고, 이전 저작자(510)의 저작자 단말은 저작자(520)의 자식 개인 키(721)를 이전 저작자(510)의 키로 암호화하여 이전 저작자의 전자 서명을 생성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차원 저작물의 저작권을 등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저작자의 전자 서명을 생성하는 방법과 이전 저작자의 전자 서명을 생성하는 방법은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도 8에서는 그 이후의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저작권 관리 서버(200)는, 저작자(520)의 전자 서명 및 이전 콘텐츠(511)의 저작자인 이전 저작자(510)의 전자 서명을 포함하는 저작 권리 인증(830)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저장할 수 있다.
저작권 관리 서버(200)는 이전 저작자의 전자 서명(820)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전 저작자(510)의 전자 서명(820)은, 이전 저작자(510)와 저작자(520)가 콘텐츠의 사용에 대하여 합의를 한 후 이전 저작자(510)가 서명에 승인을 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저작권 관리 서버(200)는 이전 저작자(510)의 저작자 단말로부터 직접 이전 저작자의 전자 서명(820)을 수신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전 저작자의 전자 서명(820)은 먼저 저작자(520)의 저작자 단말에 전송된 후, 저작자(520)의 저작자 단말이 저작권 관리 서버(2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콘텐츠가 생성되어 분산 파일 시스템(300)에 등록된 이후, 저작자(520)의 저작자 단말은 저작자(520)의 전자 서명(810)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저작자(520)의 저작자 단말은 저작권 관리 서버(200)에 저작자(520)의 전자 서명(810)을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저작권 관리 서버(200)는, 저작자의 전자 서명(810) 및 이전 저작자의 전자 서명(820)을 포함하는 저작 권리 인증(830)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저작 권리 인증(830)은 분산합의 과정을 통하여 블록에 기록될 수 있으며, 저작자의 전자 서명(810) 및 이전 저작자의 전자 서명(820)은 함께 관리될 수 있다.
한편 저작권 관리 서버(200)는 저작자의 전자 서명(810), 이전 저작자의 전자 서명(820) 및 콘텐츠를 포함하는 작품의 작품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저작 권리 인증(830)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을 등록하는 과정에서, 저작자의 전자 서명(810), 이전 저작자의 전자 서명(820), 콘텐츠를 포함하는 작품의 저작권을 증명하는 작품 등록 정보가 함께 블록 체인 네트워크(400)에 저장되어, 함께 관리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이전 저작자란, 반드시 원 저작자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복수의 이전 저작자가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원 저작물(원 콘텐츠), 원 저작물에서 파생된 1차 저작물(1차 콘텐츠), 1차 저작물에서 파생된 2차 저작물(2차 콘텐츠)이 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1차 저작물을 생성한 저작자 입장에서는 이전 저작자가 원 저작물의 저작자인 원 저작자일 수 있다.
또한 2차 저작물을 생성한 저작자 입장에서는, 이전 저작자가 원 저작물의 저작자인 원 저작자 및 1차 저작물의 저작자인 1차 저작자일 수 있다. 그리고 2차 저작물을 저작권 등록하는 경우에는, 원 저작자의 전자 서명 및 1차 저작자의 전자 서명이 모두 필요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상황에서의 전자 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저작자 A는 제1 콘텐츠를 최초로 생성하였으므로, 저작자 A는 제1 콘텐츠의 원 저작자이다.
이 경우 제1 콘텐츠는 분산 파일 시스템(300)에 등록되고, 저작자 A의 저작자 단말은, 저작자 단말에 저장된 저작자 A의 개인 키로 제1 콘텐츠의 콘텐츠 ID를 암호화 함으로써 제1 콘텐츠의 전자 서명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서명을 포함하는 저작권리 인증이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및 권리 관계가 증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서명이 제1 콘텐츠의 콘텐츠 ID를 이용하여 생성되었기 때문에, 콘텐츠 ID를 이용하여 분산 파일 시스템(300)에 저장된 제1 콘텐츠를 조회하는 경우 제1 콘텐츠의 내용이 증명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서명이 저작자 A의 개인키를 이용하여 생성되었기 때문에, 제1 콘텐츠의 저작자가 저작자 A인 것으로 증명될 수 있다.
또한 저작권리 인증은 저작자 A의 전자 서명을 포함하고 다른 저작자의 전자 서명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저작자 A가 제1 콘텐츠의 원 저작자인 것으로 증명될 수 있다.
또한 제1 콘텐츠가 다른 저작자가 창작한 다른 콘텐츠로부터 파생된 것이 분명하지만,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저장된 저작권리 인증에는 다른 저작자의 전자 서명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저작자 A는 다른 저작자의 동의 없이 다른 콘텐츠를 사용했음이 증명될 수 있다.
한편 저작자 A의 개인키는 저작자 A에게 부여된 고유의 키로, 자신이 창작한 콘텐츠에 대한 전자 서명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며, 또한 자신이 창작한 콘텐츠로부터 파생된 콘텐츠에 대한 전자 서명을 생성하는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즉 특정 저작권리 인증에 저작자 A의 개인키가 사용된 전자 서명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은, 특정 저작권리 인증에 의해 저작권이 인증되는 콘텐츠가 저작자 A에 의해 직접 창작되었거나, 저작자 A의 창작물로부터 파생된 콘텐츠라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저작자 A는 제2 콘텐츠도 최초로 창작하였으므로, 저작자 A는 제2 콘텐츠의 원 저작자이다.
이 경우 제2 콘텐츠는 분산 파일 시스템(300)에 등록되고, 저작자 A의 저작자 단말은, 저작자 단말에 저장된 저작자 A의 개인 키로 제2 콘텐츠의 콘텐츠 ID를 암호화 함으로써 제2 콘텐츠의 전자 서명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서명을 포함하는 저작권리 인증이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및 권리 관계가 증명될 수 있다.
한편 저작자 B는 제1 콘텐츠를 참고하여, 제1 콘텐츠에서 파생된 제1-1 콘텐츠를 창작하였다. 따라서 저작자 B는 제1-1 콘텐츠에 대하여 2차 저작자의 지위를 가지고, 여기서 원 저작자는 저작자 A이다.
이 경우 저작자 B의 저작자 단말은, 저작자 B의 키를 저작자 A의 저작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저작자 A의 저작자 단말은 저작자 B의 키를 저작자 A의 키로 암호화 함으로써 저작자 A의 전자 서명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작자 A의 개인 키를 이용하여 저작자 A의 전자 서명을 생성할 수 있으며, 여기서 사용된 개인 키는 앞서 설명한 제1 콘텐츠에 대한 전자 서명을 생성하는데 사용된 개인 키일 수 있다.
또한 제1-1 콘텐츠는 분산 파일 시스템(300)에 등록되고, 저작자 B의 저작자 단말은, 저작자 단말에 저장된 저작자 B의 개인 키로 제1-1 콘텐츠의 콘텐츠 ID를 암호화 함으로써 제1-1 콘텐츠의 전자 서명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저작자 A의 전자 서명 및 저작자 B의 전자 서명을 포함하는 저작권리 인증이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1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및 권리 관계가 증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작자 B의 전자 서명이 제1-1 콘텐츠의 콘텐츠 ID를 이용하여 생성되었기 때문에, 콘텐츠 ID를 이용하여 분산 파일 시스템(300)에 저장된 제1-1 콘텐츠를 조회하는 경우 제1-1 콘텐츠의 내용이 증명될 수 있다.
또한 저작자 B의 전자 서명이 저작자 B의 개인키를 이용하여 생성되었기 때문에, 제1-1 콘텐츠의 저작자가 저작자 B인 것으로 증명될 수 있다.
또한 저작권리 인증은 저작자 B의 전자 서명과 함께 저작자 A의 전자 서명을 포함하기 때문에, 저작자 A가 제1-1 콘텐츠에 대한 이전 저작자임이 증명될 수 있다.
또한 저작자 A의 전자 서명은 저작자 A의 키를 이용하여 생성되었기 때문에, 저작자 A는 자신이 서명을 하지 않았다는 부인(즉 자신의 창작물을 사용할 것을 허락한 적이 없다는 부인)을 할 수 없다.
또한 저작자 A의 전자 서명은 저작자 B의 공개 키를 이용하여 생성되었다. 즉 저작자 A는 저작자 B의 공개 키에 자신의 개인 키로 서명을 한 것이기 때문에, 저작자 A가 자신의 창작물을 사용할 것을 저작자 B에게 허락하였다는 것이 직접적으로 증명될 수 있다. 또한 저작자 B는 저작자 A의 승인을 받기 위하여 자신의 공개 키를 전송한 것이기 때문에, 저작자 B는 제1 콘텐츠에 대한 저작자 A의 저작권을 인정하고, 제1 콘텐츠의 사용 승인을 받기 위하여 자신의 공개 키를 전송했다는 것이 증명될 수 있다.
또한 저작자 B의 전자 서명은, 저작자 A에 전송된 공개 키와 쌍을 이루는 개인 키를 이용하여 생성되었다. 즉 저작자 B의 전자 서명에는 저작자 B의 개인 키가 사용되고, 저작자 A의 전자 서명에는 저작자 B의 개인 키와 쌍을 이루는 저작자 B의 공개 키가 사용되었기 때문에, 제1-1 콘텐츠가 저작자 A의 저작물로부터 파생되었다는 것이 직접적으로 증명될 수 있다.
한편 저작자 B는 제3 콘텐츠를 최초로 창작하였으며, 따라서 저작자 B는 제3 콘텐츠의 원 저작자이다.
이 경우 저작자 B의 개인 키(부모 키)는, 저작자 B가 원 저작자로써 생성한 제3 콘텐츠의 전자 서명을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 콘텐츠는 분산 파일 시스템(300)에 등록되고, 저작자 B의 저작자 단말은, 저작자 단말에 저장된 저작자 B의 개인 키(부모 키)로 제3 콘텐츠의 콘텐츠 ID를 암호화 함으로써 제3 콘텐츠의 전자 서명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서명을 포함하는 저작권리 인증이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저장될 수 있다.
다시 제1-1 콘텐츠로 돌아가서, 저작자 B의 저작자 단말이 저작자 A의 저작자 단말에 전송한 키는 저작자의 개인 키를 기반으로 생성된 자식 공개 키일 수 있다. 이 경우 저작자 A의 전자 서명은, 저작자 B 자식 공개 키를 저작자 A의 키로 암호화 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즉 저작자 B의 개인 키(부모 키)는 저작자 B에게 부여된 고유의 키로, 저작자 B가 창작한 콘텐츠에 대한 전자 서명을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1 콘텐츠에 대한 저작자 A의 전자 서명을 받을 때에는, 저작자 B의 고유의 키인 개인 키(부모 키)에 기반하여 생성된 자식 공개 키를 사용한다. 그리고 자식 공개 키와 자식 개인 키가 존재하는 경우, 개인 키(부모)에 대한 추적이 가능하다. 즉 저작자 B는 저작자 A의 승인을 받기 위하여 자신의 개인 키(부모 키)에 기반하여 생성된 자식 공개 키를 전송한 것이기 때문에, 저작자 B는 제1 콘텐츠에 대한 저작자 A의 저작권을 인정하고, 제1 콘텐츠의 사용 승인을 받기 위하여 자신의 자식 공개 키를 전송했다는 것이 증명될 수 있다.
또한 저작자 B의 개인 키(부모 키)는 저작자 B에게 부여된 고유의 키로, 외부로 공개되어서는 안된다. 따라서 저작자 B의 개인 키(부모 키) 대신, 개인 키(부모 키)를 기반으로 생성된 자식 키를 전송함으로써, 개인 키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다음 저작자인 저작자 C는 제1-1 콘텐츠를 참고하여, 다음 콘텐츠(제1-1 콘텐츠에서 파생된 제1-1-1 콘텐츠)를 창작하였다. 따라서 저작자 C는 제1-1-1 콘텐츠에 대하여 3차 저작자의 지위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원 저작자는 저작자 A, 2차 저작자는 저작자 B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저작자 C는, 저작자 A와 제1 콘텐츠에 기반한 콘텐츠의 생성을 협의할 수 있다.
이 경우 저작자 C의 저작자 단말은, 저작자 C의 키를 저작자 A의 저작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저작자 A의 저작자 단말은 저작자 C의 키를 저작자 A의 키로 암호화 함으로써 저작자 A의 전자 서명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작자 A의 저작자 단말은 저작자 A의 개인 키를 이용하여 저작자 A의 전자 서명을 생성할 수 있으며, 여기서 사용된 개인 키는 앞서 설명한 제1 콘텐츠에 대한 전자 서명을 생성하는데 사용된 개인 키일 수 있다.
또한 저작자 C는, 저작자 B와 제1-1 콘텐츠에 기반한 콘텐츠의 생성을 협의할 수 있다.
이 경우 저작자 C의 저작자 단말은, 저작자 C의 키를 저작자 B의 저작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저작자 B의 저작자 단말은 저작자 C의 키를 저작자 B의 키로 암호화 함으로써 저작자 B의 전자 서명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작자 B의 저작자 단말은 저작자 B의 개인 키를 이용하여 저작자 B의 전자 서명을 생성할 수 있으며, 여기서 사용된 개인 키는 앞서 설명한 제1-1 콘텐츠에 대한 전자 서명을 생성하는데 사용된 개인 키일 수 있다.
또한 제1-1-1 콘텐츠는 분산 파일 시스템(300)에 등록되고, 저작자 C의 저작자 단말은, 저작자 단말에 저장된 저작자 C의 개인 키로 제1-1-1 콘텐츠의 콘텐츠 ID를 암호화 함으로써 제1-1-1 콘텐츠에 대한 저작자 C의 전자 서명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저작자 A의 전자 서명, 저작자 B의 전자 서명 및 저작자 C의 전자 서명을 포함하는 저작권리 인증이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1-1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및 권리 관계가 증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작자 C의 전자 서명이 제1-1-1 콘텐츠의 콘텐츠 ID를 이용하여 생성되었기 때문에, 콘텐츠 ID를 이용하여 분산 파일 시스템(300)에 저장된 제1-1-1 콘텐츠를 조회하는 경우 제1-1-1 콘텐츠의 내용이 증명될 수 있다.
또한 저작자 C의 전자 서명이 저작자 C의 개인키를 이용하여 생성되었기 때문에, 제1-1-1 콘텐츠의 저작자가 저작자 C인 것으로 증명될 수 있다.
또한 저작권리 인증은 저작자 C의 전자 서명과 함께 저작자 A의 전자 서명 및 저작자 B의 전자 서명을 포함하기 때문에, 저작자 A 및 저작자 B가 제1-1-1 콘텐츠에 대한 이전 저작자임이 증명될 수 있다.
또한 저작자 A의 전자 서명은 저작자 A의 키를 이용하여 생성되었기 때문에, 저작자 A는 자신이 서명을 하지 않았다는 부인(즉 자신의 창작물을 사용할 것을 허락한 적이 없다는 부인)을 할 수 없다.
또한 저작자 B의 전자 서명은 저작자 B의 키를 이용하여 생성되었기 때문에, 저작자 B는 자신이 서명을 하지 않았다는 부인(즉 자신의 창작물을 사용할 것을 허락한 적이 없다는 부인)을 할 수 없다.
또한 저작자 A의 전자 서명과 저작자 B의 전자 서명은 저작자 C의 공개 키를 이용하여 생성되었다. 즉 저작자 A와 저작자 B는 저작자 C의 공개 키에 자신의 개인 키로 서명을 한 것이기 때문에, 저작자 A와 저작자 B가 자신의 창작물을 사용할 것을 저작자 C에게 허락하였다는 것이 직접적으로 증명될 수 있다. 또한 저작자 C는 저작자 A와 저작자 B의 승인을 받기 위하여 자신의 공개 키를 전송한 것이기 때문에, 저작자 C는 제1 콘텐츠에 대한 저작자 A의 저작권과 제2 콘텐츠에 대한 저작자 B의 저작권을 인정하고, 제1 콘텐츠 및 제1-1 콘텐츠의 사용 승인을 받기 위하여 자신의 공개 키를 전송했다는 것이 증명될 수 있다.
또한 저작자 C의 전자 서명은, 저작자 A 및 저작자 B에 전송된 공개 키와 쌍을 이루는 개인 키를 이용하여 생성되었다. 즉 저작자 C의 전자 서명에는 저작자 C의 개인 키가 사용되고, 저작자 A와 저작자 B의 전자 서명에는 저작자 C의 개인 키와 쌍을 이루는 저작자 C의 공개 키가 사용되었기 때문에, 제1-1 콘텐츠가 저작자 A의 저작물로부터 파생되었다는 것이 직접적으로 증명될 수 있다.
한편 저작자 D는 제3 콘텐츠를 참고하여, 제3 콘텐츠에서 파생된 제3-1 콘텐츠를 창작하였다. 따라서 저작자 D는 제3-1 콘텐츠에 대하여 2차 저작자의 지위를 가지고, 여기서 원 저작자는 저작자 B이다.
이 경우 저작자 D의 저작자 단말은, 저작자 D의 키를 저작자 B의 저작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저작자 B의 저작자 단말은 저작자 D의 키를 저작자 B의 키로 암호화 함으로써 저작자 B의 전자 서명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작자 B의 개인 키를 이용하여 저작자 B의 전자 서명을 생성할 수 있으며, 여기서 사용된 개인 키는 앞서 설명한 제3 콘텐츠에 대한 전자 서명을 생성하는데 사용된 개인 키일 수 있다.
또한 제3-1 콘텐츠는 분산 파일 시스템(300)에 등록되고, 저작자 D의 저작자 단말은, 저작자 단말에 저장된 저작자 D의 개인 키로 제3-1 콘텐츠의 콘텐츠 ID를 암호화 함으로써 제3-1 콘텐츠의 전자 서명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저작자 B의 전자 서명 및 저작자 D의 전자 서명을 포함하는 저작권리 인증이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원 저작물부터 n차 저작물까지에 대한 다차원 저작권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콘텐츠의 확대 과정, 이전 저작자의 승인, 저작권 과의 권리 관계 등이 투명하게 증명 및 관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작자들 간의 권리 관계가 명확해지고 수익 배분을 투명하게 할 수 있으며, 이전 저작자들은 확대 생산된 저작물에 대한 통제권을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 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 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 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 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 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 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프로그램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시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10: 저작자 단말 200: 저작권 관리 서버
300: 분산 파일 시스템 400: 블록체인 네트워크
300: 분산 파일 시스템 400: 블록체인 네트워크
Claims (16)
- 파일 저장 시스템이, 이전 콘텐츠에서 파생된 콘텐츠를 저장하는 단계;
저작자 단말이, 상기 저작자 단말에 설치된 저작권 관리 앱을 실행하여, 상기 이전 콘텐츠의 저작자인 이전 저작자에 대한 전자 서명을 요청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저작자 단말이, 상기 콘텐츠의 저작자로부터 상기 이전 저작자에 대한 전자 서명의 요청을 승인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저작자 단말이, 상기 콘텐츠의 저작자의 개인 키를 이용하여 자식 개인 키 및 상기 자식 개인 키와 하나의 쌍을 이루는 자식 공개 키를 생성하고, 상기 자식 공개 키를 이전 저작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전 저작자 단말이, 상기 이전 저작자 단말에 설치된 저작권 관리 앱을 실행하여, 상기 콘텐츠의 저작자로부터의 서명 요청을 나타내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이전 저작자 단말이, 서명 요청에 대한 승인의 입력을 상기 이전 저작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전 저작자 단말이, 상기 자식 공개 키를 상기 이전 저작자의 개인 키로 암호화 하여 상기 이전 저작자의 전자 서명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이전 저작자 단말이, 상기 이전 저작자의 전자 서명을 저작권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저작자 단말이, 상기 콘텐츠의 콘텐츠 ID를 상기 자식 개인 키로 암호화 하여 상기 콘텐츠의 저작자의 전자 서명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저작자 단말이, 상기 콘텐츠의 저작자의 전자 서명을 상기 저작권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작권 관리 서버가, 상기 콘텐츠의 저작자의 전자 서명 및 상기 이전 저작자의 전자 서명을 포함하는 저작권리 인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의 저작자의 개인 키는,
상기 콘텐츠의 저작자가 원저작자로써 생성한 콘텐츠에 대한 전자 서명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다차원 저작권 관리 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파일 저장 시스템이, 상기 콘텐츠에서 파생된 다음 콘텐츠를 저장하는 단계;
다음 저작자 단말이, 상기 다음 콘텐츠의 저작자인 다음 저작자의 전자 서명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작권 관리 서버가, 상기 이전 저작자의 전자 서명, 상기 콘텐츠의 저작자의 전자 서명 및 상기 다음 저작자의 전자 서명을 포함하는 저작권리 인증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차원 저작권 관리 방법. - 저작권 관리 서버;
이전 콘텐츠에서 파생된 콘텐츠를 저장하는 파일 저장 시스템;
저작권 관리 앱을 실행하여 상기 이전 콘텐츠의 저작자인 이전 저작자에 대한 전자 서명을 요청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콘텐츠의 저작자로부터 상기 이전 저작자에 대한 전자 서명의 요청을 승인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콘텐츠의 저작자의 개인 키를 이용하여 자식 개인 키 및 상기 자식 개인 키와 하나의 쌍을 이루는 자식 공개 키를 생성하고, 상기 자식 공개 키를 이전 저작자 단말에 전송하는 저작자 단말; 및
저작권 관리 앱을 실행하여 상기 콘텐츠의 저작자로부터의 서명 요청을 나타내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고, 서명 요청에 대한 승인의 입력을 상기 이전 저작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자식 공개 키를 상기 이전 저작자의 개인 키로 암호화 하여 상기 이전 저작자의 전자 서명을 생성하고, 상기 이전 저작자의 전자 서명을 상기 저작권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이전 저작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저작자 단말은,
상기 콘텐츠의 콘텐츠 ID를 상기 자식 개인 키로 암호화 하여 상기 콘텐츠의 저작자의 전자 서명을 생성하고, 상기 콘텐츠의 저작자의 전자 서명을 상기 저작권 관리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저작권 관리 서버는,
상기 콘텐츠의 저작자의 전자 서명 및 상기 이전 저작자의 전자 서명을 포함하는 저작권리 인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고,
상기 콘텐츠의 저작자의 개인 키는,
상기 콘텐츠의 저작자가 원저작자로써 생성한 콘텐츠에 대한 전자 서명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다차원 저작권 관리 시스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9항에 있어서,
다음 저작자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파일 저장 시스템은,
상기 저작권리 인증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한 이후에, 상기 콘텐츠에서 파생된 다음 콘텐츠를 저장하고,
상기 다음 저작자 단말은,
상기 다음 콘텐츠의 저작자인 다음 저작자의 전자 서명을 생성하고,
상기 저작권 관리 서버는,
상기 이전 저작자의 전자 서명, 상기 콘텐츠의 저작자의 전자 서명 및 상기 다음 저작자의 전자 서명을 포함하는 저작권리 인증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다차원 저작권 관리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8873A KR102329886B1 (ko) | 2020-11-24 | 2020-11-24 | 다차원 저작권 관리 방법 및 다차원 저작권 관리 시스템 |
KR1020210158050A KR20220071914A (ko) | 2020-11-24 | 2021-11-16 | 다차원 저작권 관리 방법 및 다차원 저작권 관리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8873A KR102329886B1 (ko) | 2020-11-24 | 2020-11-24 | 다차원 저작권 관리 방법 및 다차원 저작권 관리 시스템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58050A Division KR20220071914A (ko) | 2020-11-24 | 2021-11-16 | 다차원 저작권 관리 방법 및 다차원 저작권 관리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29886B1 true KR102329886B1 (ko) | 2021-11-22 |
Family
ID=7871756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58873A KR102329886B1 (ko) | 2020-11-24 | 2020-11-24 | 다차원 저작권 관리 방법 및 다차원 저작권 관리 시스템 |
KR1020210158050A KR20220071914A (ko) | 2020-11-24 | 2021-11-16 | 다차원 저작권 관리 방법 및 다차원 저작권 관리 시스템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58050A KR20220071914A (ko) | 2020-11-24 | 2021-11-16 | 다차원 저작권 관리 방법 및 다차원 저작권 관리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2329886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272745A (ja) * | 1994-10-27 | 1996-10-18 | Mitsubishi Corp | データ著作権管理システム |
KR20200077681A (ko) * | 2018-12-20 | 2020-07-01 | 주식회사 마크애니 |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계약을 이용한 콘텐츠 파일 유통 시스템 및 그 방법 |
-
2020
- 2020-11-24 KR KR1020200158873A patent/KR10232988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
- 2021-11-16 KR KR1020210158050A patent/KR2022007191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272745A (ja) * | 1994-10-27 | 1996-10-18 | Mitsubishi Corp | データ著作権管理システム |
KR20200077681A (ko) * | 2018-12-20 | 2020-07-01 | 주식회사 마크애니 |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계약을 이용한 콘텐츠 파일 유통 시스템 및 그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71914A (ko) | 2022-05-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44302B1 (ko) | 저작권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
KR102084674B1 (ko) | 블록체인 기반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 | |
JP6961818B2 (ja) | データ共有方法、クライアント、サーバ、コンピューティングデバイス、及び記憶媒体 | |
US10728283B1 (en) |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encrypted electronic storage and confidential network transfer of private data through a trustless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system | |
EP3635597B1 (en) | Systems and methods of content transaction consensus | |
US20190114396A1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sharing, transferring and removing previously owned digital media | |
JP6601623B2 (ja) | コンテンツ流通システム、コンテンツ流通方法、コンテンツ生成装置及びコンテンツ生成プログラム | |
US9374226B2 (en) | Protection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digital files whether new, second-hand, for rental, exchange or transfer | |
CN111753002B (zh) | 基于同意的数据管理 | |
GB2607026A (en) | A smart contract based blockchain application using non-fungible token for authorized asset sharing | |
KR20210037274A (ko) | 저작물 관리 장치 및 방법 | |
JP2023043870A (ja) | ユーザ・データ・プライバシを管理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 |
Agyekum et al. | Digital media copyright and content protection using IPFS and blockchain | |
KR20230165398A (ko) | 3d 에셋 플랫폼을 위한 nft의 메타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
KR102329886B1 (ko) | 다차원 저작권 관리 방법 및 다차원 저작권 관리 시스템 | |
Temmermans et al. | Exploration of media block chain technologies for JPEG privacy and security | |
KR102702363B1 (ko) | 블록체인 기반 공유자산 거래 시스템의 제어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시스템 | |
KR102454861B1 (ko) | 복호화 키 기반의 3차원 파일의 보안 시스템 및 방법 | |
US20240054481A1 (en) | Content Rights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ing Trusted Ledgers | |
KR20230047846A (ko) | 마스터키의 분산 보관 및 복구 방법 | |
Thumar et al. |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PFS Enabled Security Framework for Multimedia Data Files | |
US20240195626A1 (en) |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limited access non-fungible tokens | |
KR20230004216A (ko) | 블록체인 기반의 미디어 콘텐츠용 토큰 발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
KR20230090808A (ko) | 블록체인을 이용한 사회 관계망 서비스 제공 시스템 | |
KR20240014275A (ko) | NFT(Non-Fungible Token)의 디지털 콘텐츠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관리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