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9611B1 - 교육적 요소를 예측하는 사전학습 모델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교육적 요소를 예측하는 사전학습 모델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9611B1
KR102329611B1 KR1020200070170A KR20200070170A KR102329611B1 KR 102329611 B1 KR102329611 B1 KR 102329611B1 KR 1020200070170 A KR1020200070170 A KR 1020200070170A KR 20200070170 A KR20200070170 A KR 20200070170A KR 102329611 B1 KR102329611 B1 KR 102329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educational
artificial intelligence
evalu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0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5272A (ko
Inventor
최영덕
이영남
조중현
백진언
신동민
이시우
차영민
김병수
허재위
Original Assignee
(주)뤼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뤼이드 filed Critical (주)뤼이드
Publication of KR20210105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5272A/ko
Priority to KR1020210156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02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4Architecture, e.g. interconnection topolog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저의 문제풀이와 관련된 데이터를 인공지능 모델에 사전학습 시키고, 이를 예측하고자 하는 교육적 요소에 맞게 미세조정하여, 보다 향상된 정확도를 가지는 사전학습 모델링 시스템은, 사전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해 교육적 요소를 예측하는 사전학습 모델링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프라인 사용자의 동작에 따른 상호작용 요소를 수신하고, 상호작용 요소 중 교육학적 평가의 도구로 사용될 수 있는 평가 요소를 통해 사전학습을 수행하는 사전학습 수행부, 사전학습을 마친 인공지능 모델에 대하여, 예측하고자 하는 교육적 요소에 따라 추가학습 동작을 수행하는 미세조정 수행부 및 미세조정이 완료된 인공지능 모델을 기초로 교육적 요소를 예측하는 교육적 요소 예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교육적 요소를 예측하는 사전학습 모델링 시스템 및 방법{PRE-TRAINING MODELING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EDUCATIONAL FACTORS}
본 발명은 사전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해 교육적 요소를 예측하는 사전학습 모델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유저의 문제풀이와 관련된 데이터를 인공지능 모델에 사전학습(pre-training) 시키고, 이를 예측하고자 하는 교육적 요소에 맞게 미세조정(fine-tuning)하여, 보다 향상된 정확도를 가지는 사전학습 모델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과 전자장치의 활용이 각 분야에서 활발히 이루어지며 교육 환경 역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특히, 다양한 교육 매체의 발달로 학습자는 보다 폭넓은 학습 방법을 선택하고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 중에서도 인터넷을 통한 교육 서비스는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극복하고 저비용의 교육이 가능하다는 이점 때문에 주요한 교수 학습 수단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이러한 온라인 교육 서비스는 다양한 모델의 인공지능과 접목하여 기존에 오프라인 교육 환경에서는 불가능했던 임의의 문제에 대한 사용자의 정답 확률을 예측하여 보다 효율적인 학습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인공지능 모델이 수집 가능한 문제풀이 데이터로부터 직접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정답 확률과는 달리, 시험 점수나 등급은 이를 직접적으로 예측하기 위한 실제 시험점수 데이터가 턱없이 부족하고, 그 마저도 오프라인을 통해 소량으로 수집할 수밖에 없어 정답 확률 예측과 비교하여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또한 사용자가 온라인 학습 중간에 학습을 종료할 확률인 이탈율이나 이전에 틀렸던 문제를 다시 풀었을 때 맞혔는지에 관한 복습 정보도 인공지능 모델에 의해 자동적으로 수집되는 정보지만, 수집되는 데이터양이 턱없이 부족하거나 산발적으로 존재하여, 이들 데이터로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을 통해서는 높은 정확도로 예측할 수 없다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발명으로, 본 발명은 교육 컨텐츠에서 유저와 인공지능 모델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생성되는 정보 중 교육학적 평가의 도구로 사용될 수 있는 요소로써 평가 요소를 정의하고, 이를 이용해 인공지능 모델을 학습시킴으로써, 불필요한 학습 데이터의 제거로 감소된 노이즈를 가지고 정확도가 증가된 사전학습 모델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평가 요소를 이용하여 사전 학습(pre-training)된 후 예측하고자 하는 교육적 요소에 따라 미세조정(fine-tuning)된 인공지능 모델을 통해, 학습 데이터의 부족으로 교육적 요소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사전학습 모델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저의 문제풀이와 관련된 데이터를 인공지능 모델에 사전학습 시키고, 이를 예측하고자 하는 교육적 요소에 맞게 미세조정하여, 보다 향상된 정확도를 가지는 사전학습 모델링 시스템은, 사전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해 교육적 요소를 예측하는 사전학습 모델링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프라인 사용자의 동작에 따른 상호작용 요소를 수신하고, 상호작용 요소 중 교육학적 평가의 도구로 사용될 수 있는 평가 요소를 통해 사전학습을 수행하는 사전학습 수행부, 사전학습을 마친 인공지능 모델에 대하여, 예측하고자 하는 교육적 요소에 따라 추가학습 동작을 수행하는 미세조정 수행부 및 미세조정이 완료된 인공지능 모델을 기초로 교육적 요소를 예측하는 교육적 요소 예측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저의 문제풀이와 관련된 데이터를 인공지능 모델에 사전학습 시키고, 이를 예측하고자 하는 교육적 요소에 맞게 미세조정하여, 보다 향상된 정확도를 가지는 사전학습 모델링 방법은, 사전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해 교육적 요소를 예측하는 사전학습 모델링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프라인 사용자의 동작에 따른 상호작용 요소를 수신하고, 상호작용 요소 중 교육학적 평가의 도구로 사용될 수 있는 평가 요소를 통해 사전학습 단계, 사전학습을 마친 인공지능 모델에 대하여, 예측하고자 하는 교육적 요소에 따라 추가학습 동작을 수행하는 미세조정 단계 및 미세조정이 완료된 인공지능 모델을 기초로 교육적 요소를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전학습 모델링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교육 컨텐츠에서 유저와 인공지능 모델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생성되는 정보 중 교육학적 평가의 도구로 사용될 수 있는 요소로써 평가 요소를 정의하고, 이를 이용해 인공지능 모델을 학습시킴으로써, 불필요한 학습 데이터의 제거로 감소된 노이즈를 가지고 향상된 정확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전학습 모델링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평가 요소를 이용하여 사전 학습(pre-training)된 후 예측하고자 하는 교육적 요소에 따라 미세조정(fine-tuning)된 인공지능 모델을 통해, 학습 데이터의 부족으로 교육적 요소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전학습 모델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호작용 요소, 교육적 요소, 평가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호작용 요소로부터 교육적 요소를 예측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전학습과 미세조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전학습 모델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되며, 명세서 및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모든 조합은 임의의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식으로 규정하지 않는 한, 단수에 대한 언급은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단수 표현에 대한 언급은 또한 복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예시적 실시 예들을 설명할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한정할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단수적 표현들은 또한, 해당 문장에서 명확하게 달리 표시하지 않는 한, 복수의 의미를 포함하도록 의도될 수 있다. 용어 "및/또는," "그리고/또는"은 그 관련되어 나열되는 항목들의 모든 조합들 및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용어 "포함한다", "포함하는", "포함하고 있는", "구비하는", "갖는", "가지고 있는" 등은 내포적 의미를 갖는 바, 이에 따라 이러한 용어들은 그 기재된 특징,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컴포넌트를 특정하며,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컴포넌트,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혹은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방법의 단계들, 프로세스들, 동작들은, 구체적으로 그 수행 순서가 확정되는 경우가 아니라면, 이들의 수행을 논의된 혹은 예시된 그러한 특정 순서로 반드시 해야 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추가적인 혹은 대안적인 단계들이 사용될 수 있음을 또한 이해해야 한다.
또한, 각각의 구성요소는 각각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고, 위 구성요소들이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위 구성요소들이 서로 조합되어 복수 개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전학습 모델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전학습 모델링 시스템(50)은 사용자 단말(100), 서비스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유저에게 문제를 제공하고 유저의 문제풀이 결과를 수신하여 서비스 서버(200)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전학습 모델링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문제풀이 결과를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인공지능 모델을 학습시켜 사용자 맞춤형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다양한 교육적 요소의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종래 인공지능 모델은 유저의 문제풀이 결과를 수집하여 정오답 확률을 예측하고 이를 기초로 간접적으로 사용자의 시험 점수를 예측하였다. 사용자가 문제를 풀이하면 해당 문제의 정오답 여부는 자동으로 기록되기 때문에 개별 문제에 대한 유저의 정오답 확률은 문제풀이 결과만으로 예측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시험 점수, 등급, 자격 여부, 복습 여부와 같은 정보는 유저가 문제를 풀이할 때마다 자동으로 기록되는 정보가 아니거나 수집되는 정보양이 적기 때문에 문제풀이 결과를 통해 간접적으로 예측할 수밖에 없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구체적으로, 시험 점수는 오프라인 상에서 유저가 실제로 받았던 시험 점수를 입력 받아야 하며 그 데이터도 풀이한 문제 수에 비하면 턱없이 부족하다. 유저가 동일한 문제를 다시 풀었을 때 맞았는지 여부인 복습 정보 또한 단기간에 수집될 수 있는 정보가 아니고 동일한 문제에 대한 풀이 결과를 일정기간 이후 다시 수신해야 되기 때문에 수집될 수 있는 데이터 양에 한계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전학습 모델링 시스템은, 유저의 문제풀이 데이터를 인공지능 모델에 사전학습(pre-training) 시키고, 이를 예측하고자 하는 교육적 요소에 맞게 미세조정(fine-tuning)하여, 보다 향상된 정확도로 교육적 요소를 예측할 수 있다.
사전학습에는 적어도 하나의 평가 요소가 학습 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다. 평가 요소는 교육 컨텐츠에서 유저와 인공지능 모델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생성되는 정보 중 교육학적 평가의 도구로 사용될 수 있는 요소일 수 있다. 평가 요소는 도 2를 통해 설명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호작용 요소, 교육적 요소, 평가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교육 컨텐츠 인공지능 요소는 상호작용 요소, 교육적 요소 및 평가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호작용 요소는 인공지능 모델과 유저의 상호 작용에 따라 수집되는 정보로, 오프라인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인공지능 모델에 수집되는 정보일 수 있다. 상호작용 요소는 문제 선택 정보, 시작 시간, 비활성화 시간, 플랫폼 정보, 지불 정보, 이벤트 정보, 가장 긴 답변 선택 여부, 정답 여부, 시간 내 풀이 정보, 이탈율, 소요 시간, 수강 완료 정보, 복습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호작용 요소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오프라인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인공지능 모델이 수집할 수 있는 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교육적 요소는 학습과 관계가 있는 정보로서, 사용자가 풀이한 문제, 문제풀이 결과 또는 풀이 과정에서 수집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육적 요소는 시험 점수, 등급, 자격 여부, 정답 여부, 시간내 풀이 정보, 이탈율, 소요 시간, 수강 완료 정보, 복습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평가 요소는 교육 컨텐츠에서 유저와 인공지능 모델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생성되는 정보 중 교육학적 평가의 도구로 사용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평가 요소는 상호작용 요소와 교육적 요소의 교집합으로 이해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평가 요소는 정답 여부, 시간내 풀이 정보, 이탈율, 소요 시간, 수강 완료 정보, 복습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문제 선택 정보는 인공지능 모델이 제공한 문제를 사용자가 풀었는지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시작 시간은 사용자가 해당 문제를 풀이하기 시작한 시간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비활성화 시간은 학습 도중 사용자가 동작하지 않은 기간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플랫폼 정보는 사용자가 웹 또는 앱 중 어디서 학습하였는 지와 같은 온라인 학습환경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지불 정보는 사용자가 유료 컨텐츠를 구매하였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이벤트 정보는 사용자가 학습 도중 어플리케이션 이벤트로 이동하였는지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가장 긴 답변 선택 여부는 사용자가 설명이 가장 긴 보기지문을 선택하였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정답 여부는 사용자가 주어진 문제를 맞혔는지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시간내 풀이 정보는 제한된 시간 내에 문제 풀이를 완료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이탈율은 사용자가 학습 도중 학습을 종료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소요 시간은 사용자가 주어진 문제를 풀이하는데 소요된 시간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수강 완료 정보는 사용자가 강의를 끝까지 수강하였는지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복습 정보는 이전에 푼 문제를 다시 풀었을 때 맞혔는지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시험 점수는 문제 유형(토익, 토플, TEPS, SAT, 대학수학능력시험, …)에 따라 실제 시험에서 받는 점수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등급은 전술한 문제 유형에 따라 평가된 학습 수준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자격 여부는 기준 점수에 따라 자격 여부가 판단되는 시험에서 사용자가 자격을 획득했는지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다시 도 1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가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전학습 모델링 장치(200)는 사전학습 수행부(210), 미세조정 수행부(220), 교육적 요소 예측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전학습 수행부(2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오프라인 사용자의 동작에 따른 상호작용 요소를 수신하고 사전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전학습 수행부(210)는 상호작용 요소 중에서 예측하고자 하는 교육적 요소에 따라, 인공지능 모델을 사전학습 시킬 학습 데이터인 평가 요소를 결정한 뒤 인공지능 모델의 사전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사전학습에 사용될 학습 데이터는 학습 평가 요소일 수 있다.
상호작용 요소 중 무엇을 평가 요소로 결정할지는 예측하고자 하는 교육적 요소에 따라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고, 평가 요소 중 무엇을 사전 교육에 사용될 학습 평가 요소로 결정할지 또한 예측하고자 하는 교육적 요소에 따라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학습 평가 요소는 하나 이상의 평가 요소를 조합해가며 교육적 요소를 예측한 결과와 실제값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교 결과 가장 높은 정확도를 보이는 평가 요소의 조합을 학습 평가 요소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전학습 수행부(210)는 학습 평가 요소를 결정한 뒤 사전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사전학습은 예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학습 데이터 양이 부족할 때, 예측에 필요한 학습양을 맞추기 위해 관련 있는 학습 데이터 또는 노이즈로 인공지능 모델을 학습시키는 동작일 수 있다.
'시험 점수'를 예측하기 위해 '정답 여부', '시간내 풀이 정보'를 학습 평가 요소로 결정한 경우를 예시할 수 있다. 이때 인공지능 모델은 사전학습을 통해 동일한 학습 데이터(시험 점수)로 학습되지 않더라도, 관련 있는 데이터(정답 여부, 시간내 풀이 정보)로 사전학습됨으로써 교육적 요소(시험 점수)의 예측이 가능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미세조정 수행부(220)는 사전학습을 마친 인공지능 모델을 예측하고자 하는 교육적 요소에 따라 추가학습 시키는 동작일 수 있다. 미세조정 수행부(220)는 사전학습을 통해 고정된 가중치를 가지는 인공지능 모델에 추가 데이터를 학습시켜 가중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추가 데이터는 예측하고자 하는 교육적 요소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추가 데이터는 학습 평가 요소와 비교하여 예측하고자 하는 교육적 요소와 관련성이 더 높은 데이터일 수도 있고, 과적합을 막기 위해 의도적으로 관련성이 낮은 데이터를 포함시킬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추가 데이터는 예측하고자 하는 교육적 요소에 대한 학습 데이터일 수 있다. 위의 예에서, 사전학습 단계에서 '정답 여부', '시간내 풀이 정보'로 학습된 후, 미세조정 단계에서는 '시험 점수'에 대한 데이터만을 추가 데이터로써 인공지능 모델을 추가 학습시킬 수 있다.
교육적 요소 예측부(230)는 미세조정이 완료된 인공지능 모델을 기초로 교육적 요소를 예측할 수 있다. 위의 예에서, 교육적 요소 예측부(230)는 '정답 여부', '시간내 풀이 정보'로 사전학습 및 미세조정 거쳐 고정된 가중치를 가지는 인공지능 모델을 기초로 '시험 점수'를 예측하게 된다.
문제풀이 데이터로부터 직접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정답 확률과는 달리, 시험 점수나 등급은 이를 직접적으로 예측하기 위한 실제 시험점수 데이터가 턱없이 부족하고, 그 마저도 오프라인을 통해 소량으로 수집할 수밖에 없어 정답 확률 예측과 비교하여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전학습 모델링 시스템에 따르면, 한정된 자원을 가지는 교육 분야에서 관련 있는 평가 요소로 사전학습/미세조정된 인공지능 모델을 통해, 학습 데이터가 부족한 교육적 요소를 보다 높은 정확도로 예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호작용 요소로부터 교육적 요소를 예측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시작 시간', '정답 확률', '시간내 풀이 정보', '복습 정보'로 사전학습된 인공지능 모델로부터 시험 점수를 예측(A1, A2, A3, A4)하고, '시작 시간', '정답 확률'로 사전학습된 인공지능 모델로부터 '복습 정보'를 예측(B1, B2)하는 것을 일례로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 모델은, 평가 요소(정답 확률, 시간내 풀이 정보, 복습 정보) 뿐만 아니라, 평가 요소가 아닌 상호작용 요소(시작 시간)로도 사전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 모델은, 평가 요소가 아닌 교육적 요소(시험 점수) 뿐만 아니라, 평가 요소인 교육적 요소(복습 정보)도 사전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을 통해 예측(B1, B2)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 모델은, 사전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을 통해 예측(B1, B2)된 교육적 요소(복습 정보)를, 다시 다른 교육적 요소(시험 점수)를 예측(A4)하기 위한 사전학습의 학습 데이터로 사용할 수도 있다.
사전학습에 사용되는 인공지능 요소와 사전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을 통해 예측되는 교육적 요소는 평가 요소에 속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결정될 수 있다. 다만 '시작 시간'과 같이 교육적 요소가 아닌 상호작용 요소는 한정된 자원을 가지는 교육 분야에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과 관련이 적고 불필요한 학습 데이터로써 노이즈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전학습 모델링 시스템은, 교육 컨텐츠에서 유저와 인공지능 모델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생성되는 정보 중 교육학적 평가의 도구로 사용될 수 있는 요소로써 평가 요소를 정의하고, 이를 이용해 인공지능 모델을 학습시킴으로써, 불필요한 학습 데이터의 제거로 노이즈를 감소시키고 정확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전학습과 미세조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전학습(pre-training) 단계에서 복수의 상호작용 요소를 시퀀스로 입력 받고 임베딩을 수행할 수 있다. 임베딩은 사용자가 입력한 표현이나 형태가 다르더라도, 연관성을 계산, 수치를 통해 이를 나타내면서 단어, 문장, 글의 의미를 작성하는 동작일 수 있다.
상호작용 요소의 임베딩은 N번 수행되고, 각 레이어에서 교육적 요소의 예측 결과에 따라 가중치를 조정해가면서 사전학습이 수행된다. 도 4에는 사전학습에 사용되는 교육적 요소로 정답 확률 또는 시간내 풀이 정보가 도시되었지만, 그 외에도 이탈율, 소요 시간, 수강 완료 정보, 복습 정보 등 다양한 교육적 요소를 이용해 사전학습이 수행될 수 있다.
사전학습을 통해 결정된 가중치는 미세조정(fine-tuning)을 위한 기초로 사용될 수 있다. 미세조정 단계에서, 인공지능 모델은 예측하고자 하는 교육적 요소에 따라 추가학습을 통해 다시 가중치를 조정할 수 있다.
도 4의 예에서, 인공지능 모델은 정답 확률과 시간내 풀이정보로 사전학습 되며, 이후 미세조정을 거쳐 1) 시험 점수 예측, 2) 복습 정보 예측을 위한 모델로 사용되게 된다.
사전학습 되는 학습 평가 요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양한 평가 요소들의 조합으로 결정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정답 확률과 시간내 풀이 정보의 평가 요소가 있을 때, 1) 시험 점수 예측의 경우 정답 확률과 시간내 풀이 정보를 모두 반영하여 사전학습 했을 때 가장 높은 정확도를 가졌으며, 2) 복습 정보 예측의 경우 정답 확률만 반영하여 사전학습 했을 때 가장 높은 정확도를 가졌다.
사전학습과 미세조정을 마친 인공지능 모델은 고정된 가중치를 갖게 되고, 인공지능 모델은 이를 기초로 교육적 요소를 예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전학습 모델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S510 단계에서 교육 컨텐츠의 인공지능 요소는 상호작용 요소, 교육적 요소, 평가 요소로 구분될 수 있다. 각 요소의 구분은 문제 유형(토익, 토플, TEPS, SAT, 대학수학능력시험, …)에 따라, 또는 인공지능 예측의 목적에 따라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S520 단계에서, 사전학습 모델링 시스템은 예측하고자 하는 교육적 요소에 따라, 인공지능 모델을 사전학습 시킬 학습 데이터인 학습 평가 요소를 결정할 수 있다.
학습 평가 요소는 평가 요소가 아닌 상호작용 요소가 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불필요한 노이즈가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 교육 방법은, 평가 요소 중에 학습 평가 요소를 결정하고 사전학습을 위한 학습 데이터로 사용할 수 있다.
학습 평가 요소의 결정은 예측하고자 하는 교육적 요소에 따라 상이한 평가 요소의 조합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시험 점수 예측의 경우 정답 확률, 시간내 풀이 정보로 인공지능 모델을 사전학습 할 수 있으며, 복습 정보 예측의 경우 정답 확률로 인공지능 모델을 사전학습 할 수 있다.
S530 단계에서, 사전학습 모델링 시스템은 학습 평가 요소로 인공지능 모델의 사전학습을 수행하고, S540 단계에서 예측하고자 하는 교육적 요소에 따라, 사전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의 미세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미세조정은 사전학습을 마친 인공지능 모델을 예측하고자 하는 교육적 요소에 따라 추가학습 시키는 동작일 수 있다. 미세조정은 사전학습을 통해 고정된 가중치를 가지는 인공지능 모델에 추가 데이터를 학습시켜 가중치를 업데이트하는 동작일 수 있다.
S540 단계에서, 사전학습 모델링 시스템은 사전학습 및 미세조정이 완료된 인공지능 모델을 기초로 교육적 요소를 예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50: 사전학습 모델링 시스템
100: 사용자 단말
200: 사전학습 모델링 장치
210: 사전학습 수행부
220: 미세조정 수행부
230: 교육적 요소 예측부

Claims (7)

  1. 사전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해 교육적 요소를 예측하는 사전학습 모델링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오프라인 상태의 학습과 관련된 동작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을 통해 수집된 상호작용 요소(element)를 수신하고,
    기설정된 교육적 요소에 근거하여, 상기 상호작용 요소 중에서 상기 교육적 요소와 대응되는 평가 요소를 구분하며, 상기 교육적 요소는 상기 학습의 수행결과와 관련된 요소로서 상기 학습과 관련된 문제의 정답 여부, 시간내 풀이 정보, 학습 이탈율, 학습 소요 시간, 수강 완료 정보 또는 복습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학습과 관련된 개별 문제를 풀이하는 사이클 별로, 상기 평가 요소를 수집하며,
    상기 평가 요소를 이용하여, 인공지능 모델의 사전학습을 수행하는 사전학습 수행부;
    상기 사전학습을 마친 인공지능 모델의 미세조정을 위해, 예측하고자 하는 교육적 요소에 따라 추가학습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예측하고자 하는 교육적 요소는 상기 교육적 요소 중 상기 사용자의 개별 문제 풀이로 수집되지 않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별도의 입력이 요구되는 정보인 미세조정 수행부; 및
    상기 미세조정이 완료된 인공지능 모델에 근거하여, 상기 예측하고자 하는 교육적 요소를 예측하는 교육적 요소 예측부; 를 포함하는 사전학습 모델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학습 수행부는,
    상기 예측하고자 하는 교육적 요소에 따라, 상기 평가 요소 중에서 상기 인공지능 모델을 사전학습 시킬 학습 데이터인 학습 평가 요소를 결정하고, 상기 학습 평가 요소를 기초로 사전학습을 수행하는 사전학습 모델링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평가 요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평가 요소를 조합하여 상기 교육적 요소를 예측한 결과와 실제값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결정하는 사전학습 모델링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조정 수행부는,
    상기 사전학습을 통해 고정된 가중치를 가지는 인공지능 모델에 추가 데이터를 학습시켜 상기 가중치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추가 데이터는,
    상기 예측하고자 하는 교육 데이터에 따라 상이하게 결정되거나 또는 상기 예측하고자 하는 교육적 요소에 대한 학습 데이터로 결정되는 사전학습 모델링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하고자 하는 교육적 요소는,
    시험 점수, 등급 또는 상기 사용자의 시험을 볼 자격이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평가 요소는,
    정답 여부, 시간내 풀이 정보, 이탈율, 소요 시간, 수강 완료 정보 또는 복습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사전학습 모델링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적 요소 예측부는,
    평가 요소인 교육적 요소를 상기 사전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을 통해 예측하거나 또는 상기 사전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을 통해 예측된 교육적 요소를 다시 다른 교육적 요소를 예측하기 위한 사전학습의 학습 데이터로 사용하는 사전학습 모델링 시스템.
  7. 사전학습 모델링 장치가 사전학습 모델링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오프라인 상태의 학습과 관련된 동작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을 통해 수집된 상호작용 요소(element)를 수신하는 단계;
    기설정된 교육적 요소에 근거하여, 상기 상호작용 요소 중에서 상기 교육적 요소와 대응되는 평가 요소를 구분하는 단계; 상기 교육적 요소는 상기 학습의 수행결과와 관련된 요소로서 상기 학습과 관련된 문제의 정답 여부, 시간내 풀이 정보, 학습 이탈율, 학습 소요 시간, 수강 완료 정보 또는 복습 정보를 포함함,
    상기 사용자가 상기 학습과 관련된 개별 문제를 풀이하는 사이클 별로, 상기 평가 요소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평가 요소를 이용하여, 인공지능 모델의 사전학습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사전학습을 마친 인공지능 모델의 미세조정을 위해, 예측하고자 하는 교육적 요소에 따라 추가학습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예측하고자 하는 교육적 요소는 상기 교육적 요소 중 상기 사용자의 개별 문제 풀이로 수집되지 않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별도의 입력이 요구되는 정보임, 및
    상기 미세조정이 완료된 인공지능 모델에 근거하여, 상기 예측하고자 하는 교육적 요소를 예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전학습 모델링 방법.
KR1020200070170A 2020-02-18 2020-06-10 교육적 요소를 예측하는 사전학습 모델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329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6477A KR102590244B1 (ko) 2020-06-02 2021-11-15 교육적 요소를 예측하는 사전학습 모델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847 2020-02-18
KR20200019847 2020-02-1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6477A Division KR102590244B1 (ko) 2020-06-02 2021-11-15 교육적 요소를 예측하는 사전학습 모델링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5272A KR20210105272A (ko) 2021-08-26
KR102329611B1 true KR102329611B1 (ko) 2021-11-22

Family

ID=77465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0170A KR102329611B1 (ko) 2020-02-18 2020-06-10 교육적 요소를 예측하는 사전학습 모델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96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50171A1 (ko) * 2021-05-24 2022-12-01 (주)뤼이드 교육적 요소를 예측하는 사전학습 모델링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12736B1 (en) * 2009-10-23 2013-04-02 Purdue Research Foundation System and method of using academic analytics of institutional data to improve student success
KR102084556B1 (ko) * 2018-03-05 2020-04-23 (주)뤼이드 Ai 튜터를 이용한 학습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00000824A (ko) * 2018-06-25 2020-01-03 한국과학기술원 중심 분산 손실 함수를 활용한 딥 러닝 모델 기반의 얼굴 표정 인식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턴일지] Transfer Learning(전이 학습) 이란. 네이버 블로그. nicewoong. 2018.01.20.*
오정훈, 유헌창, 딥러닝기법을 활용한 학습성과분석, 한국정보처리학회 논문집 제25권제2호, 2018.11. 711-714페이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5272A (ko) 2021-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uters et al. Adaptive item‐based learning environments based on the item response theory: Possibilities and challenges
KR102096301B1 (ko) 액티브 러닝 기법을 적용한 머신 러닝 프레임워크 운용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060166174A1 (en) Predic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nd pedagogical agent modeling in the cognitive imprinting of knowledge and skill domains
US20220318941A1 (en) Apparatus,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for evaluating skill of user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rained through transferrable feature applied to plural test domains
US20230137987A1 (en) Machine Learning for Video Analysis and Feedback
CN109829059A (zh) 推荐知识点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10354543B2 (en) Implementing assessments by correlating browsing patterns
JP2018205354A (ja) 学習支援装置、学習支援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Mu et al. Towards Suggesting Actionable Interventions for Wheel-Spinning Students.
CN112348725A (zh) 基于大数据的知识点难度定级方法
KR102329611B1 (ko) 교육적 요소를 예측하는 사전학습 모델링 시스템 및 방법
JP2021521568A (ja) 適応コンピテンシーアセスメントモデル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Mwamikazi et al. An adaptive questionnaire for automatic identification of learning styles
CN116258613B (zh) 课程规划方法、课程规划设备和可读存储介质
EL MEZOUARY et al. An evaluation of learner clustering based on learning styles in MOOC course
KR102590244B1 (ko) 교육적 요소를 예측하는 사전학습 모델링 시스템 및 방법
US20200364304A1 (en) Automatic evalu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processes
KR102385073B1 (ko) 점수 확률분포 형태 통일화를 통해 평가 가능한 문제를 추천하는 학습 문제 추천 시스템 및 이것의 동작방법
Mostafavi et al. Data-Driven Proficiency Profiling.
CN112256743A (zh) 一种自适应出题方法、设备及存储介质
Wang et al. MOCHI: an offline evaluation framework for educational recommendations
Cabo Use of Machine Learning to Identify Predictors of Student Performance in Writing Viable Computer Programs with Repetition Loops and Methods
CN112199476A (zh) 在会话智能导师系统中部分正确答案后选择支架的自动决策
Lee et al. Prescribing deep attentive score prediction attracts improved student engagement
Han et al. Investigating performance in a blended SPO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