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9191B1 - 접착 가능한 휴대용 고체 산소 키트 - Google Patents

접착 가능한 휴대용 고체 산소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9191B1
KR102329191B1 KR1020200084871A KR20200084871A KR102329191B1 KR 102329191 B1 KR102329191 B1 KR 102329191B1 KR 1020200084871 A KR1020200084871 A KR 1020200084871A KR 20200084871 A KR20200084871 A KR 20200084871A KR 102329191 B1 KR102329191 B1 KR 102329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isture
oxygen
adhesive
solid oxygen
k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4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투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투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투코리아
Priority to KR1020200084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9191B1/ko
Priority to PCT/KR2021/007592 priority patent/WO202201012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9/00Cartridges with absorbing substances for respiratory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1/00Devices for producing oxygen from chemical substances for respiratory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08Respiratory apparatus containing chemicals producing oxyge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03Means for influencing the temperature or humidity of the breathing ga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3/00Oxygen; Ozone; Oxides or hydroxides in general
    • C01B13/02Preparation of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3/00Oxygen; Ozone; Oxides or hydroxides in general
    • C01B13/02Preparation of oxygen
    • C01B13/0203Preparation of oxygen from inorganic compounds
    • C01B13/0207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3/00Oxygen; Ozone; Oxides or hydroxides in general
    • C01B13/02Preparation of oxygen
    • C01B13/0203Preparation of oxygen from inorganic compounds
    • C01B13/0211Peroxy compoun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착 가능한 휴대용 고체 산소 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상술한 접착 가능한 휴대용 고체 산소 키트는, 상부의 일 영역에는 외부 공기의 인입 또는 내부에서 생성된 산소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중공부, 중공부를 덮음으로써 외부 공기의 인입 또는 내부에서 생성된 산소의 외부로의 배출을 막는 가림막부 및 하부의 일 영역에는 접착 영역이 형성된 접착부를 포함하는 표면층; 표면층의 내부에서 중공부를 통해 인입되는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저장하는 흡습층; 및 흡습층의 내부에서 적어도 중공부를 통해 인입되는 공기 중의 수분 또는 흡습층에 저장된 수분과의 화학 반응을 통해 산소를 발생시키는 고체 산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착 가능한 휴대용 고체 산소 키트{ADHESIVE PORTABLE SOLID OXYGEN KIT}
본 발명은 접착 가능한 휴대용 고체 산소 키트에 관련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일면에 포함된 접착 영역을 통해 휴대용 고체 산소를 부착하고자 하는 위치에 부착이 가능하고, 흡습 재질을 함께 이용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산소를 제공하며, 보관 영역에 낱개별로 보관하여 휴대 가능하면서도, 사용한 뒤 불필요한 부분은 간단히 폐기할 수 있는 접착 가능한 휴대용 고체 산소 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대기 중의 미세먼지 또는 바이러스가 코 또는 입으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얼굴에 착용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찬 공기를 직접 들이마시지 않게 되어 감기에 잘 걸리지 않도록 하고, 미세먼지가 코 또는 입으로 유입이 되지 않아 호흡기 질병 등의 예방이 가능해 진다.
그러나, 마스크를 착용 시에 들숨과 날숨을 반복하게 되면 이산화탄소의 흡입량이 증가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들숨에 섞여 있는 기체 성분 중 산소의 함유량이 날숨에 섞여 있는 기체의 성분 중 산소의 함유량보다 크고, 더군다나 날숨 이후 바로 들숨을 하게 될 시,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는 공기를 직접 들이마시는 양이 적어 필요한 충분한 산소의 양을 흡입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면에 필터 또는 고체 산소가 포함된 마스크의 형태로 발전되었는데, 이러한 마스크에는 일반적으로 필터 또는 고체 산소를 고정하거나 포함시키기 위한 케이스 등을 추가적으로 함께 구비하게 되어 마스크 자체의 무게가 증가하게 되고, 뿐만 아니라 필터 또는 고체 산소를 마스크 착용 시에 함께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케이스가 포함된 특정 마스크만으로 한정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과, 이와 동시에 케이스 크기에 맞추어 특정한 규격의 필터 또는 고체 산소만을 이용하여야 하는 문제점 또한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접착 영역이 형성되어 마스크의 크기 또는 종류에 구애 받지 않으면서도, 사용자의 얼굴 크기 또는 입의 위치에 맞추어 고체 산소를 자유롭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제1 목적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고체 산소의 휴대가 가능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지속적으로 고체 산소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편리함을 제공하는 것에 제2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흡습층을 더 포함하여 지속적으로 고체 산소에 수분을 공급하여 산소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것에 제3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착 가능한 휴대용 고체 산소 키트는, 상부의 일 영역에는 외부 공기의 인입 또는 내부에서 생성된 산소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중공부, 상기 중공부를 덮음으로써 외부 공기의 인입 또는 내부에서 생성된 산소의 외부로의 배출을 막는 가림막부 및 하부의 일 영역에는 접착 영역이 형성된 접착부를 포함하는 표면층; 상기 표면층의 내부에서 상기 중공부를 통해 인입되는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저장하는 흡습층; 및 상기 흡습층의 내부에서 적어도 상기 중공부를 통해 인입되는 공기 중의 수분 또는 상기 흡습층에 저장된 수분과의 화학 반응을 통해 산소를 발생시키는 고체 산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림막부는, 적어도 필름 또는 스티커 재질로써 구성되고, 상기 표면층은, 적어도 방수 기능을 구비하는 필름 재질로써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층은, 내부에 상기 중공부를 통해 인입되는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 및 저장함으로써, 저장된 수분을 상기 고체 산소에 지속적으로 공급하도록 하는 부직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층 또는 가림막부에는 텍스트나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인쇄 또는 음/양각 되는 광고 영역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 가능한 휴대용 고체 산소 키트는, 내부가 빈 공간으로 형성되는 보관 영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수용되고, 둘 이상의 상기 보관 영역 간에는 절취 라인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보관 영역에 수용된 상기 휴대용 고체 산소 키트를 사용 시, 상기 절취 라인을 따라서 사용된 상기 보관 영역을 절단하여 폐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접착 영역이 형성되어 마스크의 크기 또는 종류에 구애 받지 않으면서도, 사용자의 얼굴 크기 또는 입의 위치에 맞추어 고체 산소를 자유롭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게 되므로, 종래의 고체 산소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특정 마스크만을 이용할 필요가 없고, 이러한 특정 마스크를 구입하게 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미 가지고 있는 마스크를 이용하면 되므로 마스크 추가 구입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얼굴 크기에 맞추어 고체 산소를 부착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가 편안하게 산소를 흡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체 산소의 휴대가 가능함으로써, 사용자가 고체 산소를 전부 소모 시, 휴대하던 미사용된 고체 산소를 마스크에 다시 부착하여 사용하기만 하면 되므로, 사용자들이 지속적으로 고체 산소를 이용하여 산소를 흡입함에 있어 간단하면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수분을 흡수하는 흡습층을 더 포함하여 지속적으로 고체 산소에 수분을 공급하여 끊임없이 산소를 공급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휴대의 간편성 및 착용의 편리성이 향상되어 사용자가 장소에 구애 없이 감기, 코골이, 아토피 피부질환, 천식, 비염 등 산소가 인체에 미치는 순기능을 효율적이면서 지속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착 가능한 휴대용 고체 산소 키트를 통해 산소를 발생시키는 방법에 대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착 가능한 휴대용 고체 산소 키트가 마스크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일 예에 대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착 가능한 휴대용 고체 산소 키트에 텍스트와 이미지가 프린트 또는 각인된 일 예에 대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착 가능한 휴대용 고체 산소 키트가 보관 영역에 보관되는 일 예에 대한 도면.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은 접착 가능한 휴대용 고체 산소 키트에 관련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일면에 포함된 접착 영역을 통해 휴대용 고체 산소를 부착하고자 하는 위치에 부착이 가능하고, 흡습 재질을 함께 이용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산소를 제공하며, 보관 영역에 낱개별로 보관하여 휴대 가능하면서도, 사용한 뒤 불필요한 부분은 간단히 폐기할 수 있는 접착 가능한 휴대용 고체 산소 키트에 관한 기술과 관련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접착 영역이 형성되어 마스크의 크기 또는 종류에 구애 받지 않으면서도, 사용자의 얼굴 크기 또는 입의 위치에 맞추어 고체 산소를 자유롭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제1 목적이, 고체 산소의 휴대가 가능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지속적으로 고체 산소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편리함을 제공하는 것에 제2 목적이, 흡습층을 더 포함하여 지속적으로 고체 산소에 수분을 공급하여 산소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것에 제3 목적이 있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면에 기재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각 구성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의 구성이 생략되거나, 과하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되어 있으나, 해당 도시 사항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 및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이해됨이 당연할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하나의 기술적 특징 또는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수의 도면이 동시에 참조되어 설명될 것이다.
이에,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착 가능한 휴대용 고체 산소 키트를 통해 산소를 발생시키는 방법에 대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착 가능한 휴대용 고체 산소 키트가 마스크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일 예에 대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착 가능한 휴대용 고체 산소 키트에 텍스트와 이미지가 프린트 또는 각인된 일 예에 대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착 가능한 휴대용 고체 산소 키트가 보관 영역에 보관되는 일 예에 대한 도면이다.
상술한 도면을 함께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 가능한 휴대용 고체 산소 키트는 구체적으로 표면층, 흡습층 및 고체 산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접착 가능한 휴대용 고체 산소 키트(10)의 상부의 일 영역에는 외부 공기의 인입 또는 내부에서 생성된 산소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중공부(16), 중공부(16)를 덮음으로써 외부 공기의 인입 또는 내부에서 생성된 산소의 외부로의 배출을 막는 가림막부(14) 및 하부의 일 영역에는 접착 영역이 형성된 접착부(15)를 포함하는 표면층(13)을 포함한다.
가장 먼저,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고체 산소(11)는 고체 형태의 산소 발생이 가능한 화합물 또는 이와 같은 화합물을 가진 것으로, 산소 발생이 가능한 하나의 모듈 또는 유닛이라 할 수 있다. 고체 산소(11)는 이와 같은 화합물 또는 산소 발생이 가능한 모듈 또는 유닛으로써 정해진 발생 조건에서 자연적으로 발생되거나 또는 전력 공급에 의하여 산소가 발생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전력 공급에 의존하지 않고, 사용자가 마스크(1)를 착용한 상태에서 자연적으로 발생되도록 하는 고체 산소(11)를 이용한다.
이러한 고체 산소(11)는 적어도 과산화칼륨(K2O2), 과산화나트륨(Na2O2), 과산화칼슘(CaO2) 중 하나로 구성되어 물(H2O) 또는 이산화탄소(CO2)와 반응하여 산소(O2)를 생성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 필요에 따라 반응성을 안정시키기 위하여 알칼리 토금속의 수산화물로 구성된 안정제로서, 수산화칼슘(Ca(OH)2), 수산화알루미늄(Al(OH)3), 및 수산화마그네슘(Mg(OH)2)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함께 구성될 수 있다.
만약, 상술한 고체 산소(11)가 적어도 과산화칼륨(K2O2), 과산화나트륨(Na2O2), 과산화칼슘(CaO2) 중 하나로 구성되면서 안정제로써는 수산화칼슘(Ca(OH)2), 수산화알루미늄(Al(OH)3), 및 수산화마그네슘(Mg(OH)2)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이 혼합될 경우의 비율은 물과 반응하였을 때 산소를 원활히 발생시킬 수 있으면서도 안정적으로 산소 공급이 가능해지도록 하는 비율로써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에서는 비율을 제한하지 않는다.
이와 더불어 특히 본 발명의 접착 가능한 휴대용 고체 산소 키트(10)는 하부의 일 영역에 접착 영역이 형성된 접착부(15)를 포함함으로써, 마스크(1) 종류 또는 크기에 구애 받음이 없이, 사용자가 기존에 사용하던 마스크(1)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접착부(15)의 접착 영역은 양면 테이프 또는 기타 접착제 등을 부착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고, 물론, 이러한 접착 영역에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접착 가능한 휴대용 고체 산소 키트(10)를 개봉 또는 사용하기 이전, 일시적으로 접착 영역이 원하지 않은 물체에 임의로 붙지 않도록 미도시된 접착 방지막으로써 접착 영역을 덮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접착 방지막은 적어도 필름 등의 재질로써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접착부(15)의 접착 방지막을 개방함으로써, 본 발명의 접착 가능한 휴대용 고체 산소 키트(10)는 도 4와 같이 사용자의 입이 맞닿는 마스크(1)의 내부의 일면에 부착되어 활용된다. 즉, 접착부(15)를 통해 마스크(1)의 종류에 구애 받지 않으면서도, 사용자의 얼굴 크기 또는 입의 위치에 맞추어 본 발명의 접착 가능한 휴대용 고체 산소 키트(10)를 부착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경우에 따라, 본 발명의 접착 가능한 휴대용 고체 산소 키트(10)는 마스크(1)뿐만 아니라 산소 호흡기 등 사용자에게 산소를 제공함이 바람직한 물건에 부착되어 함께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접착 가능한 휴대용 고체 산소 키트(10)를 통해 산소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접착 가능한 휴대용 고체 산소 키트(10)의 단면도이고 이를 함께 참조하면, 도 1은 사용되기 이전의 접착 가능한 휴대용 고체 산소 키트(10)의 단면도로써 외부 공기의 인입을 막는 가림막부(14)가 있음으로 인해 홀(Hole)처럼 형성된 중공부(16)가 덮인 상태임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접착 가능한 휴대용 고체 산소 키트(10)를 사용하고자 할 시에는, 도 2와 같이 가림막부(14)를 열어(또는 개봉하여) 가림막부(14)에 의해 외부의 공기와 차단이 되던 중공부(16)를 통해 공기가 통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의 가림막부(14)는 적어도 필름 또는 스티커 재질로써 구성되어, 예를 들어 종래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물티슈 용기의 입구에 부착된 필름지 또는 스티커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로써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물론, 물티슈 용기에 추가적으로 더 구성될 수 있는 캡(Cap)과 대응되는 구성 요소를 더 이용하거나 또는 중공부(16)의 일 영역이 외부를 향하여 돌출되어 가림막부(14)가 경우에 따라서는 막의 형태가 아닌, 돌출된 영역과 맞물릴 수 있는 뚜껑일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은 간단히 필름 또는 스티커 재질로써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렇듯, 가림막부(14)가 개방이 되면, 중공부(16)를 통해 가림막부(14)에 의해 인입되지 못하던 외부의 공기가 인입이 되는 것이다.
이때의 외부의 공기는 대기 중의 공기를 가리키는 것뿐만 아니라, 본 발명이 마스크(1) 내부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만큼, 사용자가 호흡할 시의 들숨 또는 날숨까지 모두 포함한다.
이렇듯 중공부(16)를 통해 공기가 인입이 될 시, 마스크 내부에는 사용자의 호흡으로 인해 습기가 차게 되는데, 이때 상술한 표면층(13)의 내부에 포함되어 중공부(16)를 통해 인입되는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저장하는 흡습층(12)을 통해 마스크(1) 내부의 습기를 머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흡습층(12)은 흡습/흡수 섬유(예를 들어 아크릴레이트 섬유 및 폴리프로필렌 섬유 등) 또는 흡습/흡수 필름 등을 이용하여 호흡으로써 발생된 수분, 습기 등을 머금도록 하는 것이고, 이러한 흡습층(12)이 마스크(1) 내부의 습기를 머금음과 동시에, 머금은 습기가 외부로 기화되거나 방출되지 않도록 상술한 표면층(13)은 적어도 방수 기능을 구비하는 필름 재질로써 구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표면층(13)이 방수 기능을 구비하는 필름 재질로 구성됨으로써, 외부의 수분이 과도하게 내부로 유입됨을 방지하고 중공부(16)를 통해 공기를 유입하도록 함과 동시에, 내부의 흡습층(12)을 통해 머금은 수분이 외부로 기화되거나 방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흡습층(12)은 지속적으로 마스크(1) 내부의 호흡으로 발생된 수분을 보관 또는 저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 도 3에 도시되었듯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게 됨으로써, 흡습층(12)의 내부에 포함된 고체 산소(11)는 적어도 중공부(16)를 통해 인입되는 공기 중의 수분 또는 흡습층(12)에 저장된 수분과의 화학 반응을 통해 산소를 발생시키게 되고, 이렇게 발생된 산소를 다시 중공부(16)를 통해 배출하는 것이다.
만일, 상술한 흡습층(12)의 부재 시, 호흡을 통해 발생된 수분만을 이용하여 고체 산소(11)를 화학 반응시켜 산소를 발생시킬 경우, 마스크(1) 내부의 수분은 항상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예를 들어 사용자가 뛰었을 경우 더 많은 수분이 발생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고체 산소(11)와 화학 반응할 만큼의 충분한 양의 수분이 발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시간 또는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고체 산소(11)를 통한 산소 발생량이 달라지게 되므로, 호흡을 통한 수분만이 아니라 흡습층(12)을 통해 머금은 수분을 고체 산소(11)와 접촉시켜 산소를 발생시키게 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일정량의 산소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이때의 화학 반응은 상술하였듯, 고체 산소(11)가 적어도 과산화칼륨(K2O2), 과산화나트륨(Na2O2), 과산화칼슘(CaO2) 중 하나로 구성되어 물(H2O) 또는 날숨 등에 포함된 이산화탄소(CO2)와 반응하여 산소(O2)를 생성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뿐만 아니라, 표면층(13)은 내부에 중공부(16)를 통해 인입되는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 및 저장함으로써, 저장된 수분을 고체 산소(11)에 지속적으로 공급하도록 하는 부직포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술한 흡습층(12)과 함께 부직포를 동시에 이용하게 되므로, 흡습층(12)이 흡수하지 못하는 양의 수분을 더 흡수하고 저장함을 통해, 고체 산소(11)에 더욱 많은 수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부직포는 고흡수성수지 소재를 이용하는 것으로, 일 예로는 미용 용도의 마스크팩에 이용되거나 흡수패드 등에 사용되는 소재를 본 발명의 수분을 흡수하는 부직포로써 이용 가능하다.
한편으로, 본 발명의 접착 가능한 휴대용 고체 산소 키트(10)의 표면층(13) 또는 가림막부(14)에는 텍스트나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인쇄 또는 음/양각 되는 광고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5의 표면층(13)에는 "SMILE"이라는 텍스트가 표면층(13)의 상면에 맞추어 인쇄 또는 음/양각 되었음을 알 수 있고, 가림막부(14)의 상면에는 이미지가 인쇄 또는 음/양각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광고 영역을 함께 포함함에 따라, 제품 판매자의 입장에서는 자체 광고를 제품에 부착하여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다양한 외관 디자인에 의하여 본인의 선호도에 따라 선택하여 이용함으로써 본인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매출 증대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다.
물론, 도 5의 실시 예에서는 표면층(13) 또는 가림막부(14)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텍스트 또는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본 발명의 다른 구성 요소에도 또한 인쇄 또는 음/양각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다른 한편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수의 접착 가능한 휴대용 고체 산소 키트(10)를 휴대하기 위해, 접착 가능한 휴대용 고체 산소 키트(10)는 내부가 빈 공간으로 형성되는 보관 영역(2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수용되고,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다수의 보관 영역(20) 간에는 다수의 절취 라인(21)을 통해 연결되어, 보관 영역(20)에 수용된 휴대용 고체 산소 키트를 사용 시, 절취 라인(21)을 따라서 사용된 보관 영역(20)을 절단하여 폐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일 예와 같이, 하나의 보관 영역(20)에 하나의 접착 가능한 휴대용 고체 산소 키트(10)가 보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의 보관 영역(20)은 비닐이나 손으로 간단히 뜯거나 찢을 수 있는 재질로써 구성되어 별도의 도구 없이 간단히 보관 영역(20)을 개봉하여 접착 가능한 휴대용 고체 산소 키트(10)를 꺼낼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관 영역(20)에 보관되어 있던 접착 가능한 휴대용 고체 산소 키트(10)를 꺼내어 사용자가 소모할 경우, 보관 영역(20)은 내부에 아무 것도 포함하지 않은 불필요한 부분이 되므로 이를 폐기할 필요가 있는데, 이때 상술한 절취 라인(21)을 따라 불필요해진 보관 영역(20)만을 분리 및 절단하여 폐기하도록 함으로써, 휴대 시의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술한 본 발명의 접착 가능한 휴대용 고체 산소 키트를 통해 접착 영역이 형성되어 마스크의 크기 또는 종류에 구애 받지 않으면서도, 사용자의 얼굴 크기 또는 입의 위치에 맞추어 고체 산소를 자유롭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게 되므로, 종래의 고체 산소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특정 마스크만을 이용할 필요가 없고, 이러한 특정 마스크를 구입하게 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미 가지고 있는 마스크를 이용하면 되므로 마스크 추가 구입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얼굴 크기에 맞추어 고체 산소를 부착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가 편안하게 산소를 흡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접착 가능한 휴대용 고체 산소 키트의 휴대가 가능함으로써, 사용자가 접착 가능한 휴대용 고체 산소 키트를 전부 소모 시, 휴대하던 미사용된 접착 가능한 휴대용 고체 산소 키트를 다시 마스크에 부착하여 사용하기만 하면 되므로, 사용자들이 지속적으로 고체 산소를 이용하여 산소를 흡입함에 있어 간단하면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흡습층을 더 포함하여 지속적으로 고체 산소에 수분을 공급하여 끊임없이 산소를 공급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휴대의 간편성 및 착용의 편리성이 향상되어 사용자가 장소에 구애 없이 감기, 코골이, 아토피 피부질환, 천식, 비염 등 산소가 인체에 미치는 순기능을 효율적이면서 지속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 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상부의 일 영역에는 외부 공기의 인입 또는 내부에서 생성된 산소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중공부, 상기 중공부를 덮음으로써 외부 공기의 인입 또는 내부에서 생성된 산소의 외부로의 배출을 막는 가림막부 및 하부의 일 영역에는 접착 영역이 형성된 접착부를 포함하는 표면층;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한 뒤 호흡할 시, 상기 표면층의 내부에서 상기 중공부를 통해 인입되는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저장함으로써 마스크 내부의 습기를 머금도록 기능하는 흡습층; 및
    상기 흡습층의 내부에서 적어도 상기 중공부를 통해 인입되는 공기 중의 수분 또는 상기 흡습층에 저장된 수분과의 화학 반응을 통해 산소를 발생시키는 고체 산소;를 포함하되,
    상기 표면층, 상기 흡습층 및 상기 고체 산소를 포함하는 접착 가능한 휴대용 고체 산소 키트는,
    상기 접착부가 제공하는 접착력으로 사용자의 입이 맞닿는 마스크 내부의 일면에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얼굴 크기 또는 입의 위치에 접착되게 한 후 사용되고,
    상기 가림막부는,
    적어도 필름 또는 스티커 재질로써 구성되되, 추가적으로 캡(Cap)구성을 더 포함하도록 하고,
    상기 표면층은,
    적어도 방수 기능을 구비하는 필름 재질로써 구성되고,
    상기 표면층은,
    내부에 상기 중공부를 통해 인입되는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 및 저장하도록 하는 부직포;를 더 포함하여, 상기 부직포를 상기 흡습층과 함께 동시 이용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흡습층에서 흡수되지 못한 양의 수분을 상기 부직포에서 흡수되도록 하면서 방수 기능을 구비하는 필름 재질로 구비되는 상기 표면층에 의해 흡습된 수분이 외부로 기화되거나 방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산소 발생 효율이 증대되도록 하고,
    상기 표면층 또는 가림막부에는 텍스트나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인쇄 또는 음/양각 되는 광고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 가능한 휴대용 고체 산소 키트는,
    내부가 빈 공간으로 형성되는 보관 영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수용되고,
    둘 이상의 상기 보관 영역 간에는 절취 라인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보관 영역에 수용된 상기 휴대용 고체 산소 키트를 사용 시, 상기 절취 라인을 따라서 사용된 상기 보관 영역을 절단하여 폐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가능한 휴대용 고체 산소 키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084871A 2020-07-09 2020-07-09 접착 가능한 휴대용 고체 산소 키트 KR102329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871A KR102329191B1 (ko) 2020-07-09 2020-07-09 접착 가능한 휴대용 고체 산소 키트
PCT/KR2021/007592 WO2022010124A1 (ko) 2020-07-09 2021-06-17 접착 가능한 휴대용 고체 산소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871A KR102329191B1 (ko) 2020-07-09 2020-07-09 접착 가능한 휴대용 고체 산소 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9191B1 true KR102329191B1 (ko) 2021-11-22

Family

ID=78717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4871A KR102329191B1 (ko) 2020-07-09 2020-07-09 접착 가능한 휴대용 고체 산소 키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29191B1 (ko)
WO (1) WO2022010124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4504A (ko) * 2011-04-07 2012-10-17 최승모 산소발생제가 구비된 마스크
KR101737731B1 (ko) * 2016-05-18 2017-05-18 이서현 산소발생마스크
KR102042607B1 (ko) * 2018-05-28 2019-11-27 박정복 산소발생장치
KR20200002107A (ko) * 2018-06-29 2020-01-08 주식회사 오투엠 개폐부재를 구비한 산소공급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KR20200022923A (ko) * 2018-08-24 2020-03-04 이재관 산소 발생 키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01124B4 (de) * 2015-01-23 2016-08-11 B/E Aerospace Systems Gmbh Sauerstoffmaske
KR102116608B1 (ko) * 2018-04-16 2020-05-28 임화목 미세 입자 제거용 고체산소 내장형 마스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4504A (ko) * 2011-04-07 2012-10-17 최승모 산소발생제가 구비된 마스크
KR101737731B1 (ko) * 2016-05-18 2017-05-18 이서현 산소발생마스크
KR102042607B1 (ko) * 2018-05-28 2019-11-27 박정복 산소발생장치
KR20200002107A (ko) * 2018-06-29 2020-01-08 주식회사 오투엠 개폐부재를 구비한 산소공급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KR20200022923A (ko) * 2018-08-24 2020-03-04 이재관 산소 발생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10124A1 (ko) 2022-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95634B2 (ja) 呼吸装置
KR20040097997A (ko) 방연 마스크
US569009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vitalizing exhaled air
GB2299943A (en) Respirator and emergency oxygen generator
US20070144513A1 (en) Emergency oxygen mask
KR101995860B1 (ko) 접착식 원터치 습식 화재대피 마스크
EP0328685A1 (en) Powdery medicine applicator device
KR101737731B1 (ko) 산소발생마스크
US20230347188A1 (en) Life-saving towel with function of generating oxygen
US4271834A (en) Disposable portable mask for emergency use
US20210331002A1 (en) Head encapsulation unit
KR101340583B1 (ko) 휴대용 산소호흡기
KR102329191B1 (ko) 접착 가능한 휴대용 고체 산소 키트
KR20180027483A (ko) 산소 마스크
KR20160143421A (ko) 산소 마스크
KR101338497B1 (ko) 휴대용 산소호흡기
JPH0679617B2 (ja) 酸素発生形呼吸用保護具収納体
KR102079243B1 (ko) 비상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비상대피 시스템
JP2007000297A (ja) 香り放散貼付材
KR20130055229A (ko) 간이호흡장치
KR20230000434U (ko) 일회용 산소캡슐
KR102362440B1 (ko) 산소 발생기능을 구비한 생명구조타올
JPH082078Y2 (ja) 呼吸器
JPH0242287Y2 (ko)
RU2738184C1 (ru) Защитная маска с угольным фильтро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