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8524B1 - 다기능 스마트 벤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스마트 벤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8524B1
KR102328524B1 KR1020200095817A KR20200095817A KR102328524B1 KR 102328524 B1 KR102328524 B1 KR 102328524B1 KR 1020200095817 A KR1020200095817 A KR 1020200095817A KR 20200095817 A KR20200095817 A KR 20200095817A KR 102328524 B1 KR102328524 B1 KR 102328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bench
fixture
mounting spac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5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준
Original Assignee
이경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준 filed Critical 이경준
Priority to KR1020200095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85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1/00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A47C7/74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7/74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 active means, e.g. by using air blowers 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65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fan combined with single duct; mounting arrangements of a fan in a du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1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including a supplementary source of electric power, e.g. hybrid diesel-PV energy systems
    • H02S10/12Hybrid wind-PV energy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스마트 벤치에 관한 것으로, 착석 기능 및 공기 청정 기능을 갖는 다기능 스마트 벤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 벤치는 착석 가능하게 마련되는 벤치 모듈과, 벤치 모듈의 중심에 배치되며 외부의 공기를 필터링하여 배출하는 공기 청정 모듈을 포함하고, 벤치 모듈은 중앙에 상면이 개구된 장착공간이 형성되고, 상면에 장착공간과 일정 간격을 두고 장착공간을 둘러싸되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메인 몸체와, 안착홈의 상호 대향하는 양측면에 각각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제1고정구 및 제2고정구와, 제1고정구 및 제2고정구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어, 제1고정구 및 제2고정구에 의해 메인 몸체의 상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상판을 포함하며, 공기 청정 모듈은 장착공간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스마트 벤치{MULTIFUCTION SMART BENCH}
본 발명은 다기능 스마트 벤치에 관한 것으로, 착석 기능 및 공기 청정 기능을 갖는 다기능 스마트 벤치에 관한 것이다.
벤치는 여러 사람들이 함께 앉을 수 있는 의자로, 놀이터, 공원, 광장 등에 설치되어 사람들에게 휴식처를 제공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벤치는 단순히 착석 기능만을 제공하여, 계절이나 외부환경에 따라 사용에 어려움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여름이나 겨울철에는 덥거나 추운 날씨로 인해 벤치를 오래 사용하기 힘들며, 봄이나 가을철에는 미세먼지로 인해 벤치를 오래 사용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미세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벤치가 개발되었으나, 배출구가 하측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필터링된 공기가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작은 크기의 필터로 인해 필터 교체 주기가 짧은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필터링된 공기가 사용자에게 고르게 전달될 수 있으며, 필터를 획기적으로 크게 형성하여 필터의 교체 주기를 늘린 다기능 스마트 벤치에 대한 요구가 생기게 되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89092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필터링된 공기가 사용자에게 고르게 전달될 수 있으며, 필터를 획기적으로 크게 형성하여 필터 교체 주기를 늘린 다기능 스마트 벤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착석 가능하게 마련되는 벤치 모듈과, 벤치 모듈의 중심에 배치되며 외부의 공기를 필터링하여 배출하는 공기 청정 모듈을 포함하며, 벤치 모듈은 중앙에 상면이 개구된 장착공간이 형성되고, 상면에 장착공간과 일정 간격을 두고 장착공간을 둘러싸되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메인 몸체와, 안착홈의 상호 대향하는 양측면에 각각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제1고정구 및 제2고정구와, 제1고정구 및 제2고정구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어, 제1고정구 및 제2고정구에 의해 메인 몸체의 상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상판을 포함하고, 공기 청정 모듈은 장착공간에 삽입되는 다기능 스마트 벤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고정구 및 제2고정구는 안착홈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안착홈의 측면을 따라 결합되는 환형의 베이스판과, 베이스판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호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좌우 대칭되는 구조를 갖는 복수의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판은 양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돌기가 삽입 가능한 고정홈이 내측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메인 몸체는 안착홈과 장착공간을 연결시키는 연통로가 내부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공기 청정 모듈은 상단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가지며, 장착공간에 삽입되는 외부 하우징과, 내부공간의 중앙에 배치되며, 측면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면에 배출구가 형성되는 내부 하우징과, 내부 하우징의 상면에 배치되어, 배출구에서 연장되는 유로를 가지며, 유로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복수의 통풍구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배출관과, 내부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배출구로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팬과, 외부 하우징과 내부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필터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배출관의 상부에 설치되며 태양광을 이용해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태양광 발전 모듈과, 태양광 발전 모듈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배출관의 상부에 설치되며 바람을 이용해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풍력 발전 모듈과, 태양광 발전 모듈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배출관의 상부에 설치되며, 전원 공급 여부에 따라 작동되는 송풍 모듈과, 배출관의 상부에 설치되며, 전원 공급 여부에 따라 작동되는 조명 모듈과, 태양광 발전 모듈과 풍력 발전 모듈의 전기 에너지 생산량에 따라 송풍 모듈과 조명 모듈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위치보다 높게 복수의 배출구가 위치하며 송풍 모듈에 의해 하측을 향하는 바람이 형성되기 때문에, 필터링된 공기가 사용자에게 고르게 전달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하우징과 내부 하우징 사이에 필터 구조체가 개재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기존에 비해 필터 구조체의 면적이 넓어 필터 구조체의 교체 주기가 길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 벤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 벤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치 모듈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치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따른 벤치 모듈의 설치 방법을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벤치 모듈의 분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벤치 모듈의 설치 방법을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 벤치의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 벤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 벤치(1)의 정면도이다.
다기능 스마트 벤치(1)는 사용자가 착석 가능하게 마련되는 벤치 모듈(10) 및 외부의 공기를 필터링하여 배출하는 공기 청정 모듈(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공기 청정 모듈(20)은 벤치 모듈(1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으며, 벤치 모듈(10)은 공기 청정 모듈(20)의 둘레를 따라 착석 가능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 벤치(1)의 단면도이다.
벤치 모듈(10)은 지면에 배치되는 메인 몸체(11), 메인 몸체(11)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판(14)의 일단부를 고정하는 제1고정구(12), 메인 몸체(11)의 상부에 제1고정구(12)와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판(14)의 타단부를 고정하는 제2고정구(13) 및 메인 몸체(11)의 상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상판(14)을 포함할 수 있다.
벤치 모듈(1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7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공기 청정 모듈(20)은 벤치 모듈(10)의 중앙에 배치되는 외부 하우징(21), 외부 하우징(21)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 하우징(22), 내부 하우징(22)의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23), 내부 하우징(22)의 내부에 배치되는 팬(24) 및 공기 중 먼지 입자를 걸러내는 필터 구조체(25)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하우징(21)은 상단이 개방된 내부공간(211)을 갖은 원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메인 몸체(11)의 장착공간(111, 도 3 참조)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외부 하우징(21)의 높이는 메인 몸체(11)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등받이로서 이용될 수 있다.
내부 하우징(22)은 외부 하우징(21)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면에 흡입구(2212)가 형성되고 상면에 배출구(2231)가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공간(211)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내부 하우징(22)은 상단이 개구된 내측공간(2211)을 가지며 측면에 흡입구(2212)가 형성되는 원형 기둥 형상의 몸통(221), 몸통(221)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제1연장부(222)와, 제1연장부(222)의 상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배출구(2231)를 형성하는 제2연장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연장부(223)는 배출관(23)을 받쳐 지지할 수 있으며, 단부가 상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배출관(23)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배출관(23)은 배출구(2231)로부터 연장되는 유로(2311, 2321) 및 유로(2311, 2321)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복수의 통풍구(2322)가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 하우징(22)의 상면에 배치되어 외부 하우징(21)보다 높게 상측으로 솟아 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배출관(23) 하단부의 내경(즉, 유로(2311)의 직경)은 제2연장부(223)의 단부측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배출관(23)은 제2연장부(223)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통풍구(2322)는 배출관(23)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관(23)은 길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관(23)은 내부 하우징(22)의 상면에 고정되며 제1유로(2311)를 갖는 제1관(231), 제1관(231)의 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단이 폐쇄된 제2유로(2321)를 갖는 제2관(232) 및 제1관(231)과 제2관(232)을 동시에 관통하는 결속구(2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결속구(233)는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관(231)은 제1유로(2311)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공(2312)이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관(232)은 하단부에 제2유로(2321)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관통공(2323)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결속구(233)가 통과하는 제1관(231)의 관통공(2312)의 위치에 따라 배출관(23)의 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결속구(233)가 통과되지 않은 제1관(231)의 관통공(2312)은 통풍구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내부 하우징(22)의 내측공간(2211)에서 배출구(2231)를 통해 유로(2311, 2321)로 이동된 공기는 통풍구(232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팬(24)은 내부 하우징(22)의 내측공간(2211)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동작에 따라 내측공간(2211)의 공기를 배출구(2231) 측으로 이동시킨다.
필터 구조체(25)는 외부 하우징(21)의 내주연과 내부 하우징(22)의 외주연 사이에 개재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크기의 입자를 거를 수 있는 복수의 필터가 적층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필터 구조체(25)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거를 수 있는 입자의 크기가 점차 작아질 수 있다.
한편, 내부 하우징(22)의 흡입구(2212)는 필터 구조체(25)의 최하층에 위치한 필터와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인 몸체(11)는 장착공간(111)과 안착홈(112)을 연통시키는 연통로(113)가 내부에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장착공간(111)에 서브 필터 구조체(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벤치 모듈(10)에 앉아 있는 사용자의 옷에 붙은 먼지도 함께 흡입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치 모듈(10)의 분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치 모듈(10)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치 모듈(10)에서 메인 몸체(11)는 일정한 직경 또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되는 직경을 갖는 원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면이 개구된 장착공간(111)이 상면의 중앙에 형성되고, 장착공간(111)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장착공간(111)을 둘러싸는 안착홈(112)이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장착공간(111)에는 공기 청정 모듈(20)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안착홈(112)은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정한 크기의 사각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고정구(12)는 안착홈(112)의 일측면 둘레를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제1고정구(12)는 안착홈(112)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 환형의 제1베이스판(121) 및 제1베이스판(121)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제1고정돌기(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베이스판(121)은 외주연이 안착홈(112)의 일측면 둘레와 접촉될 수 있으며, 복수의 관통홀(1211)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관통홀(1211)은 상호 인접한 한 쌍의 제1고정돌기(122)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관통홀(1211)에는 메인 몸체(11)와 제1베이스판(121)의 결합을 위한 체결구가 삽입될 수 있다.
제1고정돌기(122)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제1베이스판(121)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좌우 대칭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고정구(13)는 안착홈(112)의 타측면 둘레를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제2고정구(13)는 안착홈(112)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 환형의 제2베이스판(131) 및 제2베이스판(131)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제2고정돌기(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고정구(13)는 제2베이스판(131)의 내주연이 안착홈(112)의 타측면 둘레와 접촉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고정구(12)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제2베이스판(131)과 제2고정돌기(132)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판(14)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평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양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홈(141)이 내측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판(14)은 고정홈(141)에 삽입된 제1고정돌기(122) 및 제2고정돌기(132)에 의해 메인 몸체(11)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판(14)은 메인 몸체(11)의 외주연 측에 위치한 일단으로부터 메인 몸체(11)의 내주연 측에 위치한 타단으로 갈수록 그 단면의 크기가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의 길이는 메인 몸체(11)의 외주연으로부터 내주연으로의 길이와 일치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따른 벤치 모듈(10)의 설치 방법을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설치자는 메인 몸체(11)의 안착홈(112)의 일측면에 제1베이스판(121)의 외측면이 접촉되도록 제1고정구(12)를 안착홈(112)에 배치하고, 안착홈(112)의 타측면에 제2베이스판(131)의 내측면이 접촉되도록 제2고정구(13)를 안착홈(112)에 배치한다. 이때, 제1고정돌기(122)와 제2고정돌기(132)는 일직선상으로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후, 각 베이스판(121, 131)을 메인 몸체(11)에 결합시키고, 상호 인접한 한 쌍의 제1고정돌기(122)와 한 쌍의 제2고정돌기(132) 사이에 상판(14)을 위치시켜 제1고정돌기(122) 및 제2고정돌기(132)가 상판(14)의 고정홈(141)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벤치 모듈(10')의 분해도이다. 이에 대해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벤치 모듈(10)과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벤치 모듈(10')에서 메인 몸체(11')는 안착홈(112')의 일측면과 타측면을 따라 복수의 결합홈(113', 114')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홈(113', 114')은 메인 몸체(11)의 상면과 안착홈(112')의 측면을 걸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고정구(12')는 외주면이 안착홈(112')의 일측면 둘레를 따라 접촉되며, 안착홈(112')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 환형의 제1베이스판(121') 및 안착홈(112')의 일측면을 따라 형성된 결합홈(113')에 일대일로 삽입되되, 메인 몸체(11')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제1고정돌기(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베이스판(121')은 안착홈(112')으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다.
제1고정돌기(122')는 결합홈(113')의 측면 개구를 통해 삽입 및 이탈이 가능하나, 안착홈(112')에 제1베이스판(121')이 삽입되는 경우, 제1베이스판(121')에 의해 결합홈(113')의 측면 개구가 가로막혀 결합홈(113')으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제2고정구(13')는 내주면이 안착홈(112')의 타측면 둘레를 따라 접촉되며, 안착홈(112')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 환형의 제2베이스판(131') 및 안착홈(112')의 타측면을 따라 형성된 결합홈(114')에 일대일로 삽입되되, 메인 몸체(11')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제2고정돌기(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고정돌기(132')는 결합홈(114')의 측면 개구를 통해 삽입 및 이탈이 가능하나, 안착홈(112')에 제2베이스판(131')이 삽입되는 경우, 제2베이스판(131')에 의해 결합홈(114')의 측면 개구가 가로막혀 결합홈(114')으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따른 벤치 모듈(10')의 설치 방법을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설치자는 메인 몸체(11')에서 안착홈(112')의 일측면을 따라 형성된 결합홈(113')마다 제1고정돌기(122')를 배치하고, 안착홈(112')의 타측면을 따라 형성된 결합홈(114')마다 제2고정돌기(132')를 배치한다. 이후, 안착홈(112')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베이스판(121', 131')을 배치시킴으로써, 제1고정돌기(122')와 제2고정돌기(132')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후, 상호 인접한 한 쌍의 제1고정돌기(122')와 한 쌍의 제2고정돌기(132') 사이에 상판(14)을 위치시켜 제1고정돌기(122') 및 제2고정돌기(132')가 상판(14)의 고정홈(141)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 벤치(1)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다기능 스마트 벤치(1)는 태양광을 이용해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태양광 발전 모듈(30), 바람을 이용해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풍력 발전 모듈(40), 벤치 모듈(10)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바람을 제공하는 송풍 모듈(50), 주변을 밝히는 조명 모듈(60),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70) 및 외부 환경에 따라 송풍 모듈(50)과 조명 모듈(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태양광 발전 모듈(30)은 배출관(23)의 상부에 배출관(23)을 둘러싸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그 직경이 벤치 모듈(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풍력 발전 모듈(40)은 태양광 발전 모듈(30) 보다 상측에 배치되도록 배출관(23)의 상부에 배출관(23)을 둘러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송풍 모듈(50)은 태양광 발전 모듈(30) 보다 하측에 배치되도록 배출관(23)의 상부에 배출관(23)을 둘러싸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제어 모듈(80)의 전원 공급 여부에 따라 작동될 수 있다.
조명 모듈(60)은 배출관(23)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으며, 광을 발산하는 라이트(61), 라이트(61)에 감겨 설치되며 일정 전압이 인가되는 감전선(62) 및 라이트(61) 및 감전선(62)보다 하측에 위치하며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단면적을 갖는 메쉬망(6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정 전압은 날벌레를 감전시킬 정도의 전압일 수 있으며, 감전된 날벌레들은 메쉬망(63)에 모일 수 있다.
한편, 라이트(61)와 감전선(62)은 각각 제어 모듈(80)에 의한 전원 공급 여부에 따라 상호 개별적으로 작동이 가능하다.
저장 모듈(70)은 벤치 모듈(10)의 내부 또는 공기 청정 모듈(20)의 내부에 배치되어, 태양광 발전 모듈(30) 및 풍력 발전 모듈(40)에서 생산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 모듈(80)은 벤치 모듈(10)의 내부 또는 공기 청정 모듈(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 모듈(80)은 태양광 발전 모듈(30) 및 풍력 발전 모듈(40)이 일정 시간 동안 생산하는 전기 에너지 양(이하, 전기 에너지 생산량)을 카운팅하는 카운터부(81) 및 전기 에너지 생산량에 따라 저장 모듈(70)로부터 송풍 모듈(50) 및 조명 모듈(60)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 공급부(8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카운터부(81)는 측정시점부터 일정 시간 이전까지의 태양광 발전 모듈(30)과 풍력 발전 모듈(40)의 전기 에너지 생산량을 각각 카운팅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82)은 태양광 발전 모듈(30)의 전기 에너지 생산량이 제1설정값(X) 이상이고, 풍력 발전 모듈(40)의 전기 에너지 생산량이 제2설정값(Y) 이하이면, 송풍 모듈(50)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82)는 태양광 발전 모듈(30)의 전기 에너지 생산량이 제1설정값(X) 미만이면, 조명 모듈(60)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이때, 전원 공급부(82)는 풍력 발전 모듈(40)의 전기 에너지 생산량이 제3설정값(Y)이 이하이면, 라이트(61)와 감전선(62)에 동시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으며, 풍력 발전 모듈(40)의 전기 에너지 생산량이 제3설정값(Z)을 초과하면, 라이트(61)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모듈(30)과 풍력 발전 모듈(40)의 전기 에너지 생산량으로 외부 환경을 파악하여, 송풍 모듈(50)과 조명 모듈(6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모듈(30)의 아래 위로 풍력 발전 모듈(40)과 송풍 모듈(50)이 위치하기 때문에, 이들의 작동으로 인해 공기의 흐름이 발생되고, 태양광 발전 모듈(30)의 온도를 낮춰 높은 발전 효율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기능 스마트 벤치(1)는 디스플레이 모듈(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90)은 태양광 발전 모듈(30) 보다 하측에 배치되도록 배출관(23)의 상부에 배출관(23)을 둘러싸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전원 인가 여부에 따라 작동될 수 있다. 이때, 제어 모듈(80)은 먼지 측정 센서(미도시)로부터 먼지 측정값을 전달받고, 측정값에 매칭되는 색상 또는 문자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90)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전원 공급부(82)는 외부 환경과 상관없이 공기 청정 모듈(20) 및 디스플레이 모듈(90)에 계속해서 전원을 공급하거나,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먼지 측정 센서로부터 측정된 값이 기설정된 값 이상일 때,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 벤치(1)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제어 모듈(80)은 S10단계에서 카운터부(81)를 통해 태양광 발전 모듈(30)과 풍력 발전 모듈(40)의 전기 에너지 생산량을 각각 카운팅할 수 있다.
제어 모듈(80)은 S20단계에서 태양광 발전 모듈(30)의 전기 에너지 생산량이 제1설정값(X)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태양광 발전 모듈(30)의 전기 에너지 생산량이 제1설정값(X)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면, S30단계에서 제어 모듈(80)은 풍력 발전 모듈(40)의 전기 에너지 생산량이 제2설정값(Y) 이하인지 판단할 수 있다. 풍력 발전 모듈(40)의 전기 에너지 생산량이 제2설정값(Y) 이하인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 모듈(80)은S40 단계에서 송풍 모듈(50)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한편, 태양광 발전 모듈(30)의 전기 에너지 생산량이 제1설정값(X) 미만인 것으로 판단하면, S50단계에서 제어 모듈(80)은 풍력 발전 모듈(40)의 전기 에너지 생산량이 제3설정값(Z)이하 인지 판단할 수 있다. 풍력 발전 모듈(40)의 전기 에너지 생산량이 제3설정값(Z)이하인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 모듈(80)은 S60단계에서 라이트(61) 및 감전선(62)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풍력 발전 모듈(40)의 전기 에너지 생산량이 제3설정값(Z)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 모듈(80)은 S70단계에서 라이트(61)에만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이때, 제3설정값(Z)은 제2설정값(Y)보다 작을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다기능 스마트 벤치
10 : 벤치 모듈
20 : 공기 청정 모듈

Claims (5)

  1. 착석 가능하게 마련되는 벤치 모듈과, 상기 벤치 모듈의 중심에 배치되며 외부의 공기를 필터링하여 배출하는 공기 청정 모듈을 포함하는 다기능 스마트 벤치에 있어서,
    상기 벤치 모듈은,
    중앙에 상면이 개구된 장착공간이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장착공간과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장착공간을 둘러싸되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메인 몸체와,
    상기 안착홈의 상호 대향하는 양측면에 각각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제1고정구 및 제2고정구와,
    상기 제1고정구 및 상기 제2고정구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고정구 및 상기 제2고정구에 의해 상기 메인 몸체의 상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상판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 청정 모듈은, 상기 장착공간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마트 벤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구 및 상기 제2고정구는,
    상기 안착홈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상기 안착홈의 측면을 따라 결합되는 환형의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호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좌우 대칭되는 구조를 갖는 복수의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은, 양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 가능한 고정홈이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마트 벤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몸체는,
    상기 안착홈과 상기 장착공간을 연결시키는 연통로가 내부에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마트 벤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청정 모듈은,
    상단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장착공간에 삽입되는 외부 하우징과,
    상기 내부공간의 중앙에 배치되며, 측면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면에 배출구가 형성되는 내부 하우징과,
    상기 내부 하우징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배출구에서 연장되는 유로를 가지며, 상기 유로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복수의 통풍구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배출관과,
    상기 내부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로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팬과,
    상기 외부 하우징과 상기 내부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필터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마트 벤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의 상부에 설치되며 태양광을 이용해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태양광 발전 모듈과,
    상기 태양광 발전 모듈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배출관의 상부에 설치되며 바람을 이용해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풍력 발전 모듈과,
    상기 태양광 발전 모듈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배출관의 상부에 설치되며, 전원 공급 여부에 따라 작동되는 송풍 모듈과,
    상기 배출관의 상부에 설치되며, 전원 공급 여부에 따라 작동되는 조명 모듈과,
    상기 태양광 발전 모듈과 상기 풍력 발전 모듈의 전기 에너지 생산량에 따라 상기 송풍 모듈과 상기 조명 모듈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마트 벤치.
KR1020200095817A 2020-07-31 2020-07-31 다기능 스마트 벤치 KR102328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817A KR102328524B1 (ko) 2020-07-31 2020-07-31 다기능 스마트 벤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817A KR102328524B1 (ko) 2020-07-31 2020-07-31 다기능 스마트 벤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8524B1 true KR102328524B1 (ko) 2021-11-17

Family

ID=78702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5817A KR102328524B1 (ko) 2020-07-31 2020-07-31 다기능 스마트 벤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852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1451A (ko) * 2011-03-25 2011-04-21 임태영 플랜터에 빗물을 공급하는 파고라 및 이의 설치방법
KR101289092B1 (ko) 2011-08-29 2013-07-23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벤치
KR20170121531A (ko) * 2016-04-25 2017-11-02 주식회사 아울하이텍 태양광 및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다목적 벤치
KR102065774B1 (ko) * 2019-04-25 2020-01-14 (주)아이즈텍 미세먼지 저감 벤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1451A (ko) * 2011-03-25 2011-04-21 임태영 플랜터에 빗물을 공급하는 파고라 및 이의 설치방법
KR101289092B1 (ko) 2011-08-29 2013-07-23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벤치
KR20170121531A (ko) * 2016-04-25 2017-11-02 주식회사 아울하이텍 태양광 및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다목적 벤치
KR102065774B1 (ko) * 2019-04-25 2020-01-14 (주)아이즈텍 미세먼지 저감 벤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99845B (zh) 空气净化器
JPH0622457Y2 (ja) 室内噴水器兼空気清浄器
US11465085B2 (en) Air purifying system
CN213930652U (zh) 一种功能多样的led吸顶灯
KR102328524B1 (ko) 다기능 스마트 벤치
CN106196274B (zh) 空气净化器
US20200298158A1 (en) Air purifier and air purifying system
KR102328533B1 (ko) 다기능 스마트 벤치
KR102084197B1 (ko) 에너지 절감형 흡연부스 장치
CN201892065U (zh) 一种带风扇的led灯泡及灯具
CN105042423A (zh) 具有空气净化器的和充放电插口的多功能照明灯
CN106196311B (zh) 空气净化器及其过滤模块
CN211269124U (zh) 带空气净化功能的升降桌
CN114353036A (zh) 一种负离子健康led灯
CN205261309U (zh) 具有空气净化器的和充放电插口的多功能照明灯
KR20200002647U (ko) 조명겸용 공기청정기
JPH1146659A (ja) プリント格子板電撃殺虫機
CN211556465U (zh) 一种居民小区用交流低压配电柜
CN213066436U (zh) 一种模块式空气消毒装置
CN205909238U (zh) 一种路灯散热灯座
CN204388245U (zh) 一种空气净化器
CN211694805U (zh) 具有空气净化功能的灯具
KR20190081514A (ko) 휴대용 모듈을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US20240033673A1 (en) Air purifier with integrated electronics cooling
CN217057233U (zh) 一种散热型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