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8220B1 - 거푸집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거푸집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8220B1
KR102328220B1 KR1020200037078A KR20200037078A KR102328220B1 KR 102328220 B1 KR102328220 B1 KR 102328220B1 KR 1020200037078 A KR1020200037078 A KR 1020200037078A KR 20200037078 A KR20200037078 A KR 20200037078A KR 102328220 B1 KR102328220 B1 KR 102328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fastening
fastening protrusion
protrusion
spi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0412A (ko
Inventor
김태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누리플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누리플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누리플랜
Priority to KR1020200037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8220B1/ko
Publication of KR20210120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0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푸집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단일 개체로 이루어진 거푸집 연결장치로 복 수의 거푸집을 간편하고 쉽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으며, 구조적 특징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어 흔들림이 방지되고 재사용이 가능한 거푸집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거푸집 패널과 상기 거푸집 패널의 외주면을 따라 구비되며 하나 이상의 체결홈부가 형성된 거푸집 프레임을 포함하는 거푸집을 서로 연결하는 거푸집 연결장치에 있어서, 원형의 바(bar)로 이루어져, 서로 인접하는 상기 거푸집 프레임의 체결홈부에 관통 삽입되는 삽입헤드; 상기 삽입헤드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부로 관통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되는 체결돌기; 상기 삽입헤드의 타측으로 단차면이 형성되도록 연장되는 헤드본체; 및 상기 헤드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체결홈부에 관통 삽입되면 상기 체결돌기를 회전시키는 회전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체결홈부에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손잡이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거푸집 프레임을 고정시켜 상기 거푸집을 서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거푸집 연결장치{A formwork conneting device}
본 발명은 거푸집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단일 개체로 이루어진 거푸집 연결장치로 복 수의 거푸집을 간편하고 쉽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으며, 구조적 특징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어 흔들림이 방지되고 재사용이 가능한 거푸집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거푸집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일정한 형태나 크기로 만들기 위하여 콘크리트를 부어 넣어 원하는 강도에 도달할 때까지 양생 및 지지하는 가설 구조물이다.;ae
이와 같은 거푸집은 목재 거푸집과 철제 거푸집 및 알루미늄 거푸집 등이 있다.
목재 거푸집은 패널과 프레임이 목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로 다른 목재 거푸집의 외면이 맞닿도록 접촉시킨 상태에서 못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목재 거푸집이 서로 연결 결합된다.
그러나 종래의 목재 거푸집은 외면의 상태가 고르지 못하여 시공된 콘크리트 벽체의 표면이 울퉁불퉁하고 매우 거칠 뿐만 아니라, 복수 개의 거푸집을 못 등과 같은 체결부재로 연결 결합한 후 콘크리트 벽체를 시공한 후에 목재 거푸집을 해체하는 과정에서 체결부재의 변형이나 손상 및 파손이 발생하여, 재사용 불가로 인해 시공 비용 및 폐기물 처리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시공 현장에서는 철제 거푸집이나 알루미늄 거푸집을 주로 사용하는데, 철체 거푸집은 유로폼으로 각각 다른 철제 거푸집과 서로 연결 결합하기 위하여 판형의 웨지핀을 삽입한 후 웨지핀에 형성된 결합공에 보조 웨지핀을 삽입 체결함으로써 철제 거푸집이 연결 결합된다.
그리고 대한민국특허청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11600호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알폼핀"에 개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 거푸집은 알폼으로 이웃하는 알루미늄 거푸집과 서로 연결 결합하기 위하여 원형의 알폼핀에 판상의 웨지핀을 삽입하여 결합된다.
그러나 철제 거푸집의 체결부재로 사용되는 웨지핀, 보조 웨지핀과 알루미늄 거푸집의 체결부재로 사용되는 알폼핀, 웨지핀의 체결방식은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흔들리거나 빠질 염려가 있어 작업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체결부재의 구성품이 쌍으로 이루어져, 하나의 구성품이라도 분실하게 되면 다른 하나의 구성품은 사용하지 못하게 되므로 구성품의 활용성이 낮으며, 작업시 구성품들의 분실 가능성이 높은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11600호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3909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복 수의 거푸집을 연결 결합시 거푸집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누구나 쉽게 힘들이지 않고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작업성 및 효율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거푸집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거푸집 연결장치가 단일 개체로 이루어져 구성이 간소화되어 분실 염려가 없으며, 연결된 복 수의 거푸집을 해체시 별도의 도구없이 분리할 수 있는 거푸집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거푸집 연결장치의 회전에 의해 이웃하는 거푸집 프레임이 끼임 고정되어 외부 진동에 의한 흔들림이 방지되는 거푸집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거푸집 패널과 상기 거푸집 패널의 외주면을 따라 구비되며 하나 이상의 체결홈부가 형성된 거푸집 프레임을 포함하는 거푸집을 서로 연결하는 거푸집 연결장치에 있어서, 원형의 바(bar)로 이루어져,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들어 경사지게 삽입유도면이 형성되고, 서로 인접하는 상기 거푸집 프레임의 체결홈부에 관통 삽입되는 삽입헤드; 상기 삽입헤드의 외측으로 타원형상이 돌출 형성되고, 양단으로 갈수록 양측단의 폭이 좁아지며 곡면으로 이루어진 회전유도면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부로 관통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되는 체결돌기; 상기 삽입헤드의 타측으로 단차면이 형성되도록 연장되는 헤드본체; 상기 헤드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양 측면에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체결홈부에 관통 삽입되면 상기 체결돌기를 회전시키는 회전손잡이; 및 서로 인접하는 상기 거푸집 프레임의 양측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며, 상기 체결홈부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면이 돌출 형성되는 회전유도체;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체결홈부에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손잡이에 의해 회전되면서, 거푸집 프레임의 일측면과 맞닿는 면적이 최소화되어 마찰력이 작아지고, 상기 거푸집 프레임이 상기 헤드본체의 단차면에 밀착되도록 고정시켜 상기 거푸집을 서로 연결시키며,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삽입헤드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체결돌기; 및 상기 삽입헤드의 타측에 상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체결돌기와 이격되게 갖추어지는 제2 체결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체결돌기가 상기 체결홈부에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손잡이에 의해 상기 회전유도체의 나선면을 따라 상기 제1,2 체결돌기가 회전되면서 상기 거푸집 프레임의 좌우측을 동일한 간격으로 좁혀지게 하고, 상기 회전유도체는, 양측의 상기 나선면 최상단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2 체결돌기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 및 상기 나선면과 상기 스토퍼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2 체결돌기의 역이동을 방지하는 이동방지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체결홈부는, 상기 헤드본체의 외경보다 작고, 상기 삽입헤드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관통공; 및 상기 관통공의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키홈;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키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제1 체결돌기와 상기 제2 체결돌기 사이의 간격(l)은 서로 인접하는 상기 거푸집 프레임의 간격(d) 및 양측 회전유도체의 높이(h)의 합과 동일하고, 상기 거푸집 프레임은 상기 제1 체결돌기 및 상기 제2 체결돌기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유도체는, 상기 체결홈부의 좌측 외주면을 따라 나선면이 돌출되고, 상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제1,2 체결돌기의 회전이 유도되는 제1 나선부와, 상기 체결홈부의 우측 외주면을 따라 나선면이 돌출되고, 하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제1,2 체결돌기의 회전이 유도되는 제2 나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나선부와 상기 제2 나선부가 서로 인접하는 상기 거푸집 프레임의 양측으로 대칭될 수 있다.
삭제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연결장치는, 전문적인 지식이 요구되지 않아 비전문가도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단순 회전 동작만으로 복 수의 거푸집을 연결 결합시켜 작업 시간이 단축되어 작업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거푸집 연결장치에 의해 연결된 복 수의 거푸집을 해체시 별도의 도구없이 역회전 동작만으로 분리되어 변형이나 손상 및 파손발생 우려가 없으며, 재사용이 가능하여 유지 관리 비용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거푸집 연결장치의 구조적, 형상적 특징에 의해 이웃하는 거푸집 프레임이 견고하게 고정되어 외부 진동에도 흔들리지 않아 작업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거푸집 연결장치의 체결돌기에 의해 거푸집 프레임에 결합시 마찰을 줄여주어 적은 힘으로 끼임 고정되며 마모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연결장치가 장착되는 거푸집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연결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연결장치가 거푸집의 체결홈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연결장치가 거푸집의 체결홈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연결장치가 거푸집 프레임에 장착되는 회전 순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연결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연결장치가 거푸집의 체결홈부에 삽입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연결장치가 거푸집의 체결홈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연결장치가 거푸집의 체결홈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연결장치가 거푸집 프레임에 장착되는 회전 순서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연결장치를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연결장치가 장착되는 거푸집을 나타낸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연결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구성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연결장치가 거푸집의 체결홈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연결장치가 거푸집의 체결홈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연결장치가 거푸집 프레임에 장착되는 회전 순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연결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구성도이고,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연결장치가 거푸집의 체결홈부에 삽입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며,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연결장치가 거푸집의 체결홈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연결장치가 거푸집의 체결홈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연결장치가 거푸집 프레임에 장착되는 회전 순서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연결장치는 복수 개의 거푸집(100)이 서로 연결되게 하는 것으로 거푸집(10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거푸집(100)은 거푸집 패널(110)과 거푸집 프레임(12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거푸집 패널(110)은 사각 판으로 이루어져, 거푸집 프레임(120)이 거푸집 패널(110)의 외주면을 따라 설정 두께(d/2)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거푸집(100)의 거푸집 패널(110)과 거푸집 프레임(120)은 알루미늄 또는 철제와 같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거푸집(100)을 사용 후 분리하여 재사용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프레임(120)에는 하나 이상의 체결홈부(130)가 설정형상으로 형성되어 거푸집 연결장치가 장착될 수 있다. 도 1의 부분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홈부(130)는 관통공(131)과, 관통공(131)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키홈(132)을 포함하며 각 구성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될 거푸집 연결장치의 구성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거푸집 프레임(120)은 서로 연결되도록 인접하게 구비되며 체결홈부(130)가 연통되도록 배치되어 거푸집 연결장치가 체결홈부(130)를 통해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연결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연결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a)와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연결장치는 삽입헤드(200), 체결돌기(300), 헤드본체(400), 회전손잡이(500)를 포함하며 이하 각 구성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삽입헤드(200)는 거푸집 프레임(120)의 체결홈부(130)로 관통 삽입되는 것으로, 원형의 바(ba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삽입헤드(200)는 체결홈부(130)의 관통공(131)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삽입헤드(200)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들어 경사지게 형성되는 삽입유도면(20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삽입헤드(200)의 삽입유도면(201)에 의해 삽입헤드(200)가 체결홈부(130)로 삽입될 시 관통공(131)의 면적보다 인입되는 면적이 작아져 보다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체결돌기(300)는 삽입헤드(20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삽입헤드(200)와 같이 거푸집 프레임(120)의 체결홈부(130)로 관통 삽입된다. 그리고 체결돌기(300)는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되며, 회전시 인접하는 거푸집 프레임(120)의 일측면에 밀착되어 고정되게 한다. 이때, 체결돌기(300)는 체결홈부(130)의 키홈(13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돌기(300)는 키홈(132)의 내측으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키홈(132)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며, 회전시 관통공(131)과의 이격된 공간 사이로 분리되지 않도록 관통공(13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키홈(132)과 체결돌기(300)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방향, 하방향 및 상하방향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돌기(300)가 삽입헤드(2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하방향 대칭되게 돌출되면 회전손잡이(500)의 동작에 의해 회전시 거푸집 프레임(120)에 균일한 힘으로 고정되어 거푸집 프레임(120)이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연결 고정되어 작업자의 작업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돌기(300)는 양단으로 갈수록 양측단의 폭이 좁아지는 회전유도면(30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유도면(301)은 곡면으로 이루어져 체결돌기(300)가 타원이나 둥근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돌기(300)의 회전유도면(301)에 의해 삽입헤드(200)가 체결홈부(130)로 삽입되어, 체결돌기(300)가 외부로 완전히 노출된 상태에서 회전손잡이(500)의 동작에 의해 회전시 인접하는 거푸집 프레임(120)의 일측면과 맞닿는 면적이 최소화되어 마찰력이 작아져 쉽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헤드본체(400)는 삽입헤드(200)의 타측으로 단차면(401)이 형성되도록 삽입헤드(200)의 직경보다 크게 연장 형성된다. 여기서 헤드본체(400)는 삽입헤드(200)와 같은 원형의 바(bar)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다각형 등 형상에 제한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헤드본체(400)의 단차면(401)은 삽입헤드(200)가 체결홈부(130)로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손잡이(500)의 동작에 의해 회전시 인접하는 거푸집 프레임(120)의 타측면에 밀착되며, 인접하는 거푸집 프레임(120)이 체결돌기(300)와 헤드본체(400) 사이에 끼임 고정되게 한다. 즉, 체결돌기(300)와 헤드본체(400) 사이의 간격(L)이 서로 인접하는 거푸집 프레임(120)의 간격(d)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체결돌기(300)와 헤드본체(400)의 구조에 의해 인접하는 거푸집 프레임(120)이 견고하게 고정되어 흔들림이 방지되고 사용 후에도 분리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유지 관리 비용이 절감된다.
회전손잡이(500)는 헤드본체(40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기 용이하도록 양 측면에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회전손잡이(500)는 체결돌기(300)가 체결홈부(130)에 관통 삽입된 후 체결돌기(300)가 외부로 완전히 노출된 상태에서 작업자에 의해 회전방향으로 가압되어 체결돌기(300)가 회전되며, 체결홈부(130)의 위치 선상에서 벗어난 체결돌기(300)가 인접하는 거푸집 프레임(120)의 일측면에 맞닿아 고정되게 한다.
도 3 내지 5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인접하는 거푸집 프레임을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연결되기 위한 복수의 거푸집(100)의 거푸집 프레임(120)이 체결홈부(130)가 연통되도록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 경우, 연통되는 복수의 체결홈부(130) 중 어느 하나에 거푸집 연결장치의 체결돌기(300)가 체결홈부(130)의 키홈(132) 위치와 동일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어서 거푸집 연결장치의 삽입헤드(200)가 거푸집 프레임(120)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관통 삽입되면, 거푸집 연결장치의 체결돌기(300)와 헤드본체(400) 사이에 거푸집 프레임(120)이 위치되도록 이동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회전손잡이(500)를 회전방향으로 가압하여 회전시키면 체결돌기(300)가 회전하게 된다.
체결돌기(300)는 회전과정에서 체결홈부(130)의 위치 선상에서 벗어나 체결이 해제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으며, 동시에 체결돌기(300)가 인접하는 거푸집 프레임(120)의 일측면에 맞닿을 수 있고, 헤드본체(400)의 단차면(401)이 거푸집 프레임(120)의 타측면에 맞닿을 수 있다. 즉, 거푸집 프레임(120)은 체결돌기(300) 및 헤드본체(400) 사이의 공간에 끼움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거푸집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인접하는 거푸집 프레임(120)을 연결 해제하는 과정은 연결하는 과정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거푸집 연결장치를 회전시켜 연결된 거푸집을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연결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연결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a)와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연결장치는 삽입헤드(200), 제1 체결돌기(310), 제2 체결돌기(320), 헤드본체(400), 회전손잡이(500), 회전유도체(600)를 포함하며 이하 각 구성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삽입헤드(200)는 전술된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연결장치의 삽입헤드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체결돌기(310)는 삽입헤드(200)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전술된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연결장치의 체결돌기(300)와 동일하게 볼 수 있다.
제1 체결돌기(310)는 삽입헤드(200)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삽입헤드(200)가 체결홈부(130)로 삽입되어 제1 체결돌기(310)가 외부로 완전히 노출되게 배치된다. 또한, 제1 체결돌기(310)는 가장자리가 곡면 또는 양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회전유도면(301)이 갖추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체결돌기(310)의 회전유도면(301)은 후술될 회전유도체(600)의 나선면(601)에 맞닿는 면적이 최소화되어 마찰력이 작아져 제1 체결돌기(31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한다.
제2 체결돌기(320)는 삽입헤드(200)의 타측에 상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제1 체결돌기(310)와 설정간격 이격되게 갖추어진다. 이때, 제1 체결돌기(310)와 제2 체결돌기(320) 사이에 서로 인접하는 거푸집 프레임(120)이 배치되며, 제1 체결돌기(310)와 제2 체결돌기(320) 사이의 간격(l)은 서로 인접하는 거푸집 프레임의 간격(d) 및 양측 회전유도체(600)의 높이(h)의 합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제2 체결돌기(320)는 제1 체결돌기(310)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장자리가 곡면 또는 일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회전유도면(301)이 갖추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체결돌기(320)의 회전유도면(301)은 제1 체결돌기(310)의 회전유도면(301)과 같이, 회전유도체(600)의 나선면(601)에 맞닿는 면적이 최소화되어 마찰력이 작아져 제2 체결돌기(32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한다.
헤드본체(400)는 삽입헤드(200)의 타측으로 단차면(401)이 형성되도록 삽입헤드(200)의 직경보다 크게 연장 형성된다. 여기서 헤드본체(400)는 삽입헤드(200)와 같은 원형의 바(bar)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다각형 등 형상에 제한없이 이루어질 수있다.
회전손잡이(500)는 전술된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연결장치의 회전손잡이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회전손잡이(500)의 동작에 의해 거푸집 연결장치가 고정되어 인접하는 거푸집 프레임이 연결되는 과정을 후술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회전유도체(600)는 서로 인접하는 거푸집 프레임(120)의 양측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며, 체결홈부(130)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면(601)이 돌출 형성된다. 이때, 제1 체결돌기(310)가 체결홈부(130)에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손잡이(500)에 의해 회전유도체(600)의 나선면(601)을 따라 제1,2 체결돌기(310,320)가 회전되면서 거푸집 프레임(120)을 고정시켜 거푸집(100)을 서로 연결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회전유도체(600)는 제1 나선부(601a)와 제2 나선부(601b)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나선부(601a)는 체결홈부(130)의 키홈(132) 좌측 외주면을 따라 나선면(601)이 돌출되고, 상방향으로 돌출된 제1,2 체결돌기(310,320)의 회전이 유도되게 한다. 또한, 제2 나선부(601b)는 체결홈부(130)의 키홈(132) 우측 외주면을 따라 나선면(601)이 돌출되고, 하방향으로 돌출된 제1,2 체결돌기(310,320)의 회전이 유도되게 한다. 이러한 회전유도체(600)의 제1 나선부(601a)와 제2 나선부(601b)는 제1,2 체결돌기(310,320)의 회전 방향으로 점차 높아지게 형성되어 나선면(601)을 이룬다.
게다가 제1 나선부(601a)와 제2 나선부(601b)는 서로 인접하는 거푸집 프레임(120)의 양측으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회전손잡이(500)의 동작에 의해 제1 체결돌기(310)와 제2 체결돌기(320)가 동시에 회전되면서 거푸집 프레임(120)의 좌우측을 동일한 간격으로 좁혀지게 한다. 이로 인해 제1 체결돌기(310)와 제2 체결돌기(320) 사이에 인접하는 거푸집 프레임(120)과 양측의 제1,2 나선부(601a,601b)가 균일하게 끼임 고정되어 거푸집 프레임(120)이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한다.
또한, 회전유도체(600)는 스토퍼(610)와 이동방지홈(6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610)는 양측의 나선면(601) 최상단에 돌출 형성되며 제1,2 체결돌기(310,320)의 이동을 제한한다. 그리고 이동방지홈(620)은 나선면(601)과 스토퍼(610)의 사이에 배치되고, 설정구간 홈이 형성되어 제1,2 체결돌기(310,320)의 역이동을 방지한다.
도 7 내지 10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인접하는 거푸집 프레임을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연결되기 위한 복수의 거푸집(100)의 거푸집 프레임(120)이 체결홈부(130)가 연통되도록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연통되는 복수의 체결홈부(130) 중 어느 하나에 거푸집 연결장치의 제1,2 체결돌기(310,320)가 체결홈부(130)의 키홈(132) 위치와 동일한 상태로 구비된다.
이어서 거푸집 연결장치의 삽입헤드(200)가 거푸집 프레임(120)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관통 삽입된다.
그리고 거푸집 연결장치의 제1,2 체결돌기(310,320) 사이에 인접하는 거푸집 프레임(120)과 회전유도체(600)가 위치되도록 이동된다.
다음으로 회전손잡이(500)가 회전유도체(600)의 나선면(601)이 돌출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회전하게 된다.
동시에 제1 체결돌기(310)가 거푸집 프레임(120)의 일측면에 형성된 회전유도체(600)를 따라 회전되며, 제2 체결돌기(320)가 거푸집 프레임(120)의 타측면에 형성된 회전유도체(600)를 따라 회전된다.
여기서 상방향으로 돌출된 제1 체결돌기(310)와 제2 체결돌기(320)가 제1 나선부(601a)를 따라 이동하며, 하방향으로 돌출된 제1 체결돌기(310)와 제2 체결돌기(320)가 제2 나선부(601b)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2 체결돌기(310,320)가 양측 회전유도체(600)의 최상단에 맞물리면서 끼임 고정되며, 스토퍼(610)가 구비된 지점까지 회전되어 이동방지홈(620)에 안착된다.
거푸집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인접하는 거푸집 프레임(120)을 연결 해제하는 과정은 연결하는 과정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거푸집 연결장치를 회전시켜 연결된 거푸집을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은 거푸집 연결장치의 회전 동작에 의해 인접하는 거푸집 프레임이 끼임 고정되어 연결되는 간단한 구조로 견고하게 고정되어 흔들림이 방지되고 재사용이 가능한 거푸집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 범주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다양한 변형 예들을 포함하도록 작성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거푸집 110 : 거푸집 패널
120 : 거푸집 프레임 130 : 체결홈부
131 : 관통공 132 : 키홈
200 : 삽입헤드 201 : 삽입유도면
300 : 체결돌기 301 : 회전유도면
310 : 제1 체결돌기 320 : 제2 체결돌기
400 : 헤드본체 401 : 단차면
500 : 회전손잡이 600 : 회전유도체
601 : 나선면 601a : 제1 나선부
601b : 제2 나선부 610 : 스토퍼
620 : 이동방지홈

Claims (9)

  1. 거푸집 패널과 상기 거푸집 패널의 외주면을 따라 구비되며 하나 이상의 체결홈부가 형성된 거푸집 프레임을 포함하는 거푸집을 서로 연결하는 거푸집 연결장치에 있어서,
    원형의 바(bar)로 이루어져,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들어 경사지게 삽입유도면이 형성되고, 서로 인접하는 상기 거푸집 프레임의 체결홈부에 관통 삽입되는 삽입헤드;
    상기 삽입헤드의 외측으로 타원형상이 돌출 형성되고, 양단으로 갈수록 양측단의 폭이 좁아지며 곡면으로 이루어진 회전유도면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부로 관통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되는 체결돌기;
    상기 삽입헤드의 타측으로 단차면이 형성되도록 연장되는 헤드본체; 및
    상기 헤드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양 측면에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체결홈부에 관통 삽입되면 상기 체결돌기를 회전시키는 회전손잡이; 및
    서로 인접하는 상기 거푸집 프레임의 양측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며, 상기 체결홈부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면이 돌출 형성되는 회전유도체;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체결홈부에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손잡이에 의해 회전되면서, 거푸집 프레임의 일측면과 맞닿는 면적이 최소화되어 마찰력이 작아지고, 상기 거푸집 프레임이 상기 헤드본체의 단차면에 밀착되도록 고정시켜 상기 거푸집을 서로 연결시키며,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삽입헤드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체결돌기; 및
    상기 삽입헤드의 타측에 상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체결돌기와 이격되게 갖추어지는 제2 체결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체결돌기가 상기 체결홈부에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손잡이에 의해 상기 회전유도체의 나선면을 따라 상기 제1,2 체결돌기가 회전되면서 상기 거푸집 프레임의 좌우측을 동일한 간격으로 좁혀지게 하고,
    상기 회전유도체는,
    양측의 상기 나선면 최상단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2 체결돌기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 및
    상기 나선면과 상기 스토퍼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2 체결돌기의 역이동을 방지하는 이동방지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부는,
    상기 헤드본체의 외경보다 작고, 상기 삽입헤드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관통공; 및
    상기 관통공의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키홈;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키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연결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돌기와 상기 제2 체결돌기 사이의 간격(l)은 서로 인접하는 상기 거푸집 프레임의 간격(d) 및 양측 회전유도체의 높이(h)의 합과 동일하고,
    상기 거푸집 프레임은 상기 제1 체결돌기 및 상기 제2 체결돌기 사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연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도체는,
    상기 체결홈부의 좌측 외주면을 따라 나선면이 돌출되고, 상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제1,2 체결돌기의 회전이 유도되는 제1 나선부와,
    상기 체결홈부의 우측 외주면을 따라 나선면이 돌출되고, 하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제1,2 체결돌기의 회전이 유도되는 제2 나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나선부와 상기 제2 나선부가 서로 인접하는 상기 거푸집 프레임의 양측으로 대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연결장치.
  9. 삭제
KR1020200037078A 2020-03-26 2020-03-26 거푸집 연결장치 KR102328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078A KR102328220B1 (ko) 2020-03-26 2020-03-26 거푸집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078A KR102328220B1 (ko) 2020-03-26 2020-03-26 거푸집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412A KR20210120412A (ko) 2021-10-07
KR102328220B1 true KR102328220B1 (ko) 2021-11-18

Family

ID=78114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078A KR102328220B1 (ko) 2020-03-26 2020-03-26 거푸집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822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1010A (ja) * 2003-08-11 2005-03-10 Fukuvi Chem Ind Co Ltd 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の連結具
KR102014677B1 (ko) * 2019-01-09 2019-08-27 하철상 원터치 조작으로 길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관통슬리브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5653Y1 (ko) * 1995-08-31 1998-10-15 김재연 건축용 폼의 연결장치
KR20100011600U (ko) 2009-05-20 2010-11-30 주식회사 근하기공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알폼핀
KR20110032903A (ko) * 2009-09-24 2011-03-30 서우석 플라스틱 유로폼을 갖는 거푸집 시공용 기구
KR20110039099A (ko) 2009-10-09 2011-04-15 주식회사 근하기공 일체형 폼 연결 볼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1010A (ja) * 2003-08-11 2005-03-10 Fukuvi Chem Ind Co Ltd 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の連結具
KR102014677B1 (ko) * 2019-01-09 2019-08-27 하철상 원터치 조작으로 길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관통슬리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412A (ko) 202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185948A (en) Scaffolding
KR101866078B1 (ko) 철근 조립용 지그장치
US2613424A (en) Wall form system
US2904870A (en) Concrete wall form
WO2006066379A1 (en) Modular formwork wall with dovetail joint connectors
KR102328220B1 (ko) 거푸집 연결장치
US2997769A (en) Tie rod assembly for concrete wall form panels
US3007221A (en) Nail free wall form assembly device
CN206393801U (zh) 一种嵌锁式可调高模具
RU173404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равнивания плиток
US2714755A (en) Adjustable shore head
US3748806A (en) Concrete wall form
US7229062B1 (en) Reten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tabilizing concrete forms
CN108979146B (zh) 建筑模板的对接连接件以及建筑模板的对接连接方法
US4643387A (en) Formwork system
KR101284190B1 (ko) 거푸집판 체결장치
KR101229093B1 (ko) 슬래브 개구부 마구리용 전용 거푸집패널
CN213927568U (zh) 一种装配式预制柱定位安装系统
CN210361820U (zh) 一种便于拆装的预制构件横梁模具
KR200277910Y1 (ko) 콘크리트 벽체 시공용 유로폼 조립구조
KR20210085184A (ko) 조립하기 편리한 트러스거더와 데크플레이트 결합용 스페이서
KR200335217Y1 (ko) 건축용 거푸집 해체용 공구
CN211873826U (zh) 新型方柱固定件
EP1757754A2 (en) Plastic wedge with tangential metal support for the pressure positioning of the boards of a shell for masonry
US1100488A (en) Form for concrete struc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