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8173B1 - 애플리케이션 마이그레이션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애플리케이션 마이그레이션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28173B1 KR102328173B1 KR1020210087665A KR20210087665A KR102328173B1 KR 102328173 B1 KR102328173 B1 KR 102328173B1 KR 1020210087665 A KR1020210087665 A KR 1020210087665A KR 20210087665 A KR20210087665 A KR 20210087665A KR 102328173 B1 KR102328173 B1 KR 1023281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pplication
- operating system
- environment
- source code
- user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48—Program initiating; Program switching, e.g. by interrupt
- G06F9/4806—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 G06F9/4843—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by program, e.g. task dispatcher, supervisor, operating system
- G06F9/485—Task life-cycle, e.g. stopping, restarting, resuming execution
- G06F9/4856—Task life-cycle, e.g. stopping, restarting, resuming execution resumption being on a different machine, e.g. task migration, virtual machine migr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70—Software maintenance or management
- G06F8/76—Adapting program code to run in a different environment; Port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G06F9/44552—Conflict resolution, i.e. enabling coexistence of conflicting executabl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G06F9/44568—Immediately runnable cod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G06F9/44589—Program code verification, e.g. Java bytecode verification, proof-carrying c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마이그레이션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제1 운영체제의 환경에서 제2 운영체제의 환경으로 전환하는 마이그레이션 요청이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인 제1 리스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리스트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들을 상기 제2 운영체제의 환경에서 실행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는 실행 가능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제2 운영체제의 환경에서 실행이 불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는 실행 불가능 애플리케이션으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실행 가능 애플리케이션으로 구분된 애플리케이션들을 제1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실행 불가능 애플리케이션으로 구분된 애플리케이션들을 제2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제1 리스트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어느 하나인 제1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 그룹으로 분류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면,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소스 코드인 제1 소스 코드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소스 코드의 내용을 분석하여, 상기 제2 운영체제의 환경에서 실행하기 위해 상기 제1 소스 코드의 수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소스 코드의 수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미리 설정된 자동 전환 규칙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소스 코드의 내용을 수정하여 제2 소스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 운영체제의 환경으로 전환되면, 상기 제2 소스 코드로 구성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마이그레이션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아래 실시예들은 애플리케이션의 마이그레이션을 처리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소프트웨어의 지속적인 발전으로, 새로운 운영체제가 등장하거나,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운영체제도 계속 업그레이드 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운영체제를 다른 운영체제로 변경하는 작업이 필요한데, 이러한 운영체제의 변경 작업을 마이그레이션을 통해 처리될 수 있다,
마이그레이션은 하나의 운영체제의 환경으로부터 더 나은 운영체제의 환경으로 옮아가는 과정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윈도95에서 윈도98로 업그레이드하거나, 윈도NT 서버에서 윈도2000 서버로 옮아가는 것과 같이 하나의 운영체계로부터 더 나은 다른 운영체계로 옮아가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크게는 윈도NT에서 유닉스를 기반으로 하는 운영체계로 옮아가는 과정이나 그 반대 과정, 새로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둘 다 바뀌는 환경으로 이주하는 것, 데이터를 하나의 저장장치에서 다른 저장장치로 옮기는 과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그레이션은 이전의 운영체계에서 설정된 프로그램을 바꿀 필요 없이 현재의 응용프로그램을 새로운 환경에서도 계속 운영할 수 있고, 새로운 운영체계만이 가지고 있는 특성들을 이용할 수 있을 때 흔히 행해진다. 단일 시스템에서 다른 단일 시스템으로 옮아가는 소규모 마이그레이션에서부터 많은 시스템들이 새로운 응용프로그램이나 네트워크로 옮아가는 대규모 마이그레이션에 이르기까지 규모나 형식도 다양하다.
그러나 데이터베이스의 경우 새로운 데이터베이스가 이전의 데이터베이스와 구성 요소가 다를 수도 있기 때문에 실행 파일들을 처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따라서 이전의 데이터베이스를 마이그레이션할 때는 새로운 데이터베이스와 공통된 형식으로 데이터를 변환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특히, 마이그레이션을 처리하는데 있어, 단말과 같은 하드웨어는 동일한 상태에서 소프트웨어인 운영체제의 환경만 변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단말의 운영체제를 업그레이드 하는 경우, 새로운 운영체제의 환경에서도 애플리케이션이 정상적으로 실행되도록, 애플리케이션의 마이그레이션을 처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운영체제로 운영중인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고 있는 제1 애플리케이션이 제2 운영체제의 환경에서 실행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1 애플리케이션의 소스 코드인 제1 소스 코드의 내용을 분석하여, 제2 운영체제의 환경에서 실행하기 위해 제1 소스 코드의 수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자동 전환 규칙을 기반으로, 제1 소스 코드의 내용을 수정하여 제2 소스 코드를 생성하고, 제1 사용자 단말이 제2 운영체제의 환경으로 전환되면, 제2 소스 코드로 구성된 제1 애플리케이션이 제1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도록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 마이그레이션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마이그레이션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제1 운영체제의 환경에서 제2 운영체제의 환경으로 전환하는 마이그레이션 요청이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인 제1 리스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리스트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들을 상기 제2 운영체제의 환경에서 실행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는 실행 가능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제2 운영체제의 환경에서 실행이 불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는 실행 불가능 애플리케이션으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실행 가능 애플리케이션으로 구분된 애플리케이션들을 제1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실행 불가능 애플리케이션으로 구분된 애플리케이션들을 제2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제1 리스트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어느 하나인 제1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 그룹으로 분류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면,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소스 코드인 제1 소스 코드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소스 코드의 내용을 분석하여, 상기 제2 운영체제의 환경에서 실행하기 위해 상기 제1 소스 코드의 수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소스 코드의 수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미리 설정된 자동 전환 규칙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소스 코드의 내용을 수정하여 제2 소스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 운영체제의 환경으로 전환되면, 상기 제2 소스 코드로 구성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마이그레이션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마이그레이션 처리 방법은, 상기 제1 리스트 중에서 제1 사용자에게 필요한 필수 애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상기 필수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인 제2 리스트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리스트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어느 하나인 제2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2 그룹으로 분류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면,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2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2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과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면서 상기 제2 운영체제의 환경에서 실행되는 제2-1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 운영체제의 환경으로 전환되면,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을 대신하여 상기 제2-1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마이그레이션 처리 방법은, 상기 제1 소스 코드의 수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소스 코드 상에서 수정이 필요한 구역인 제1 구역과 상기 제1 소스 코드 상에서 수정이 필요하지 않은 구역인 제2 구역을 구분하여 분류하는 단계; 상기 제1 소스 코드 상에서 상기 제1 구역이 차지하는 비율인 제1 비율과 상기 제1 소스 코드 상에서 상기 제2 구역이 차지하는 비율인 제2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비율 및 상기 제2 비율을 비교한 결과, 상기 제1 비율이 상기 제2 비율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과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면서 상기 제2 운영체제의 환경에서 실행되는 제1-1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 운영체제의 환경으로 전환되면,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대신하여 상기 제1-1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 운영체제의 환경으로 전환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메모리에서 사용 가능한 공간인 잔여 공간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잔여 공간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용량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그룹으로 분류된 애플리케이션들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잔여 공간이 상기 제1 기준 용량 보다 작지만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용량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그룹으로 분류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미리 설정된 기준 기간 동안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된 애플리케이션들만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잔여 공간이 상기 제2 기준 용량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그룹으로 분류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상기 기준 기간 동안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 횟수 이상으로 실행된 애플리케이션들만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마이그레이션 처리 방법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는 사무실의 입구에 출입문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출입문의 일측에 설치된 인식 모듈에 장정맥 정보가 인식되면, 상기 인식 모듈로부터 상기 장정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장정맥 정보와 미리 등록되어 있는 관리자들의 생체 정보를 비교하여, 장정맥을 이용한 생체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생체 인증의 수행 결과, 상기 장정맥 정보가 제1 관리자의 생체 정보로 인증되면, 상기 제1 관리자의 출입 권한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관리자의 출입 권한이 1레벨로 확인되면, 상기 출입문과 맞닿아 있는 벽에 설치된 도어락의 잠금이 해제되어 상기 출입문이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관리자의 출입 기록을 갱신하는 단계; 상기 제1 관리자의 출입 권한이 2레벨로 확인되면, 비밀번호를 통한 추가 인증 필요 알림 메시지가 상기 인식 모듈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인식 모듈에 입력된 비밀번호를 추가로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관리자의 출입 권한이 3레벨로 확인되면, 비밀번호 및 RFID 카드를 통한 추가 인증 필요 알림 메시지가 상기 인식 모듈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인식 모듈에 입력된 비밀번호 및 RFID 카드 정보를 추가로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관리자의 출입 권한이 4레벨로 확인되면, 관리자 확인용인 제1 QR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1 QR 코드를 제1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인식 모듈에 입력된 제1 QR 코드를 추가로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장정맥을 이용한 생체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장정맥 정보와 미리 등록되어 있는 관리자들의 생체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장정맥 정보가 상기 제1 관리자의 생체 정보인 것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장정맥 정보와 상기 제1 관리자의 생체 정보 간의 일치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일치도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치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장정맥을 이용한 생체 인증을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일치도가 상기 제1 기준치 보다 낮지만 미리 설정된 제2 기준치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하나의 방식을 통한 추가 인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일치도가 상기 제2 기준치 보다 낮지만 미리 설정된 제3 기준치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둘의 방식을 통한 추가 인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일치도가 상기 제3 기준치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장정맥을 이용한 생체 인증을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하나의 방식을 통한 추가 인증이 필요한 경우, 비밀번호를 통한 추가 인증 필요 알림 메시지가 상기 인식 모듈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인식 모듈에 입력된 비밀번호를 추가로 획득하는 단계; 둘의 방식을 통한 추가 인증이 필요한 경우, 비밀번호 및 RFID 카드를 통한 추가 인증 필요 알림 메시지가 상기 인식 모듈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인식 모듈에 입력된 비밀번호 및 RFID 카드 정보를 추가로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장정맥을 이용한 생체 인증이 실패한 경우, 상기 제1 QR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1 QR 코드를 상기 제1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인식 모듈에 입력된 제1 QR 코드를 추가로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운영체제로 운영중인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고 있는 제1 애플리케이션이 제2 운영체제의 환경에서 실행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1 애플리케이션의 소스 코드인 제1 소스 코드의 내용을 분석하여, 제2 운영체제의 환경에서 실행하기 위해 제1 소스 코드의 수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자동 전환 규칙을 기반으로, 제1 소스 코드의 내용을 수정하여 제2 소스 코드를 생성하고, 제1 사용자 단말이 제2 운영체제의 환경으로 전환되면, 제2 소스 코드로 구성된 제1 애플리케이션이 제1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제1 사용자 단말의 운영체제를 업그레이드 하는 경우, 새로운 운영체제의 환경에서도 애플리케이션이 정상적으로 실행되도록, 애플리케이션의 마이그레이션을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그레이션의 절차를 설명하기 위해 마이그레이션의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환에 적용되는 기본 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U2L Assessment 결과 산출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으로 변환되는 소스 코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마이그레이션을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소스 코드의 수정 필요 여부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옮겨서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필수 애플리케이션을 대신하여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소스 코드의 수정량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사용자 단말 메모리의 잔여 공간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른 장정맥을 이용한 생체 인증을 통해 도어락이 설치된 출입문을 개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일실시예에 따른 출입 권한에 따라 추가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일실시예에 따른 일치도에 따라 장정맥을 이용한 생체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4는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그레이션의 절차를 설명하기 위해 마이그레이션의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환에 적용되는 기본 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U2L Assessment 결과 산출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으로 변환되는 소스 코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마이그레이션을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소스 코드의 수정 필요 여부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옮겨서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필수 애플리케이션을 대신하여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소스 코드의 수정량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사용자 단말 메모리의 잔여 공간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른 장정맥을 이용한 생체 인증을 통해 도어락이 설치된 출입문을 개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일실시예에 따른 출입 권한에 따라 추가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일실시예에 따른 일치도에 따라 장정맥을 이용한 생체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4는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들은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텔레비전, 스마트 가전 기기, 지능형 자동차, 키오스크, 웨어러블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제1 사용자 단말(100) 및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 사용자 단말(100)과 장치(200)는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통신망은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이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되어, 서버와 서버 간의 통신과 서버와 단말 간의 통신이 수행되도록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100)은 통신 기능을 갖춘 연산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 데스크톱 PC, 랩탑 PC,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외부 서버와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통신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1 사용자 단말(100)은 장치(200)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장치(200)로 접속할 수 있다.
장치(200)는 장치(20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보유한 자체 서버일수도 있고, 클라우드 서버일 수도 있고, 분산된 노드(node)들의 p2p(peer-to-peer) 집합일 수도 있다. 장치(200)는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200)는 제1 사용자 단말(100)과 유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서는 제1 사용자 단말(100) 만을 도시하였으나, 단말의 수는 실시예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장치(200)의 처리 용량이 허용하는 한, 단말들의 수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200)는 플랫폼 교체 사업에 최적화된 애플리케이션 자동 전환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애플리케이션의 자동 전환 솔루션은 인프라 고도화를 위한 플랫폼 마이그레이션 사업 진행 시, 효율적인 애플리케이션의 전환을 위해 자동화 규칙을 정의하고 자동 전환을 지원함으로써, 기간 단축 및 인력 절감을 통하여 테스트 부분에 집중함으로써, 안정적인 전환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 사용자 단말의 운영체제를 업그레이드 하는 경우, 새로운 운영체제의 환경에서도 애플리케이션이 정상적으로 실행되도록, 애플리케이션의 마이그레이션을 처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200)는 애플리케이션 자동 전환 솔루션을 통해, 사전 Assessment 지원, 룰 검증, 검색, 전환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전 Assessment 지원 기능은 컨설팅 서비스로, U2L 전환에 따른 Application Source 영향도(컴파일 결과에 따른 영향, 프레임워크 공통 라이브러리 전환에 따른 영향 등)를 체크할 수 있으며, 룰 검증 기능은 사전작업 결과에 대한 룰 수정을 보완할 수 있으며, 검색 기능은 U2L 전환에 영향 미치는 소스 상세 검색, 프레임워크 전환에 따른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환 기능은 자동 전환 및 반자동(스크립트 생성) 부분의 소스를 전환시킬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자동 전환 솔루션의 주요 장점으로는 소스 관리를 통해 프로젝트 기간 중 운영소스의 잦은 변경에 따른 개발 소스 관리의 어려움 해결, 소스 수정 기간 단축, 소스 수정 리소스 절감, 소스 수정 패턴 일관성 유지, 기간의 단축에 따른 충분한 RunTime Test 기간을 확보함으로써 프로젝트 안정성 제고 등이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그레이션의 절차를 설명하기 위해 마이그레이션의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는 유닉스 환경에서 리눅스 환경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① 최종 소스 여부 확인 과정에서, 제1 사용자 단말(100)은 유닉스 운영체제로 운영되고 있으며, 장치(200)는 유닉스 환경에서의 최종 버전에 대한 소스 코드를 확인할 수 있다.
② 전환 대상 소스 이관 과정에서, 장치(200)는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유닉스 환경에서 리눅스 환경으로 전환되면, 장치(200)는 리눅스 환경으로 전환 대상 소스를 이관시킬 수 있다.
③ 자동 전환 도구 실행 과정에서, 장치(200)는 전환 대상 소스의 자동 전환 도구를 실행시킬 수 있다, 이때, 자동 전환 도구는 미리 설정된 자동 전환 규칙을 기반으로 구성될 수 있다.
④ 1차 자동 전환 소스 확보 과정에서, 장치(200)는 1차로 자동 전환이 완료된 소스를 확보할 수 있다.
⑤ 컴파일 수행 및 수정 보완 과정에서, 장치(200)는 자동 전환이 완료된 소스에 대한 컴파일 수행과 이에 따른 수정 보완을 처리할 수 있다.
⑥ 2차 수동 전환 소스 확보(수동 전환 규칙 생성) 과정에서, 장치(200)는 2차 수동 전환 소스를 확보하고, 수동 전환 규칙을 생성할 수 있다.
⑦ RunTime 테스트 이관 과정에서, 장치(200)는 RunTime Test를 위해 테스터에게 배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의 마이그레이션에 대한 처리 프로세스는 룰 매핑, 검증, 변환, 관리 순으로 처리될 수 있다. 이때, 룰 매핑 단계에서는 변환 대상의 소스별 Rule Set의 선택, 매핑 룰 검증, 추가 코멘트 치환(syntax) 등이 처리되고, 검증 단계에서는 변환 대상 소스프로그램 리스트 생성, 전환 가이드라인 사전 확인, 컴파일 오류 발생시 수정 등이 처리되고, 변환 단계에서는 변환작업 경과 모니터링, 변경 내용 및 변경 라인 로그 생성, 피드백 등이 처리되고, 관리 단계에서는 백업(로그 변환대상 원본 변환소스), 변경 이력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 유사 변환작업에 대한 노하우 축적 등이 처리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환에 적용되는 기본 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동 전환의 기본 규칙에는 17개의 기본 규칙이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기본 규칙을 기반으로, 리눅스 전환 대상 업무의 특성 및 환경에 따른 예외 오류(Error) 및 경고(Warning)를 규칙화하여, 자동 변환에 적용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U2L Assessment 결과 산출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유닉스 환경의 소스를 분석하여 심각도 정보에 따라 분류하고, 검토 및 권고 사항을 제시할 수 있다.
도 4의 (a)는 예외 오류(Error)의 주요 심각도가 상일 경우, 오류에 대한 조치 가이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4의 (b)는 경고(Warning)의 주요 심각도가 상일 경우, 오류에 대한 조치 가이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으로 변환되는 소스 코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a)는 자동 변환되기 전 상태의 소스 코드인 제1 소스 코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5의 (b)는 자동 변환된 소스 코드인 제2 소스 코드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자동 변환의 기본 규칙에 따라, 제1 소스 코드에 기재된 내용이 자동으로 변환되어, 제1 소스 코드에서 제2 소스 코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마이그레이션을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S601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운영체제의 환경에서 제2 운영체제의 환경으로 전환하는 마이그레이션 요청을 제1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100)은 유닉스 환경으로 운영되고 있는데, 제1 사용자에 의해 유닉스 환경에서 리눅스 환경으로 전환하는 마이그레이션이 요청되면, 장치(200)는 유닉스 환경에서 리눅스 환경으로 전환하는 마이그레이션 요청을 제1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S6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사용자 단말(100)에서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인 제1 리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사용자 단말(100)은 제1 운영체제의 환경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제1 리스트는 제1 운영체제로 운영되고 있는 제1 사용자 단말(100)에서 현재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의미할 수 있으며, 장치(200)는 제1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제1 리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S6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리스트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 가능 애플리케이션과 실행 불가능 애플리케이션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실행 가능 애플리케이션은 제1 운영체제의 환경에서 뿐만 아니라 제2 운영체제의 환경에서도 실행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하고, 실행 불가능 애플리케이션은 제1 운영체제의 환경에서 실행될 수 있지만 제2 운영체제의 환경에서 실행이 불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제1 리스트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들을 제2 운영체제의 환경에서 실행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는 실행 가능 애플리케이션과 제2 운영체제의 환경에서 실행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는 실행 불가능 애플리케이션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장치(200)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2 운영체제에서 실행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획득하여, 이를 통해, 제1 리스트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 가능 애플리케이션과 실행 불가능 애플리케이션으로 구분할 수 있다.
S604 단계에서, 장치(200)는 실행 가능 애플리케이션으로 구분된 애플리케이션들을 제1 그룹으로 분류하고, 실행 불가능 애플리케이션으로 구분된 애플리케이션들을 제2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S605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제1 운영체제의 환경에서 제2 운영체제의 환경으로 전환되면, 제1 리스트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제1 그룹으로 분류된 애플리케이션들만 제1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제2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가능 애플리케이션으로 구분되고, 제3 애플리케이션 및 제4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불가능 애플리케이션으로 구분된 경우, 장치(200)는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제2 애플리케이션을 제1 그룹으로 분류하고, 제3 애플리케이션 및 제4 애플리케이션을 제2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후,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제1 운영체제의 환경에서 제2 운영체제의 환경으로 전환되면, 장치(200)는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제2 애플리케이션이 제1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되도록 제어하고, 제3 애플리케이션 및 제4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제1 운영체제의 환경에서 제2 운영체제의 환경으로 전환되면, 제1 운영체제로 운영될 때 제1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되어 있는 모든 애플리케이션이 마이그레이션을 통해 옮겨서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제2 운영체제의 환경에서도 실행이 가능할 애플리케이션들만 선별하여 마이그레이션을 통해 옮겨서 설치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소스 코드의 수정 필요 여부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옮겨서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S701 단계에서, 장치(200)는 상기 제1 리스트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어느 하나인 제1 애플리케이션이 제1 그룹으로 분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제1 운영체제의 환경으로 운영되고 있는 제1 사용자 단말(100)에서 제1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경우, 제1 애플리케이션은 제2 운영체제의 환경에서도 실행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어 제1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S7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애플리케이션의 소스 코드인 제1 소스 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장치(200)는 제1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제1 소스 코드를 획득할 수 있고, 제1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외부 서버로부터 제1 소스 코드를 획득할 수도 있다.
S7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소스 코드의 내용을 분석하여, 제2 운영체제의 환경에서 실행하기 위해, 제1 소스 코드의 수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제1 소스 코드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제1 소스 코드가 제2 운영체제의 환경 상에서 오류 없이 실행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면, 제1 소스 코드의 수정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제1 소스 코드가 제2 운영체제의 환경 상에서 오류 발생으로 실행될 수 없는 것으로 분석되면, 제1 소스 코드의 수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703 단계에서 제1 소스 코드이 수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S704 단계에서, 장치(200)는 자동 전환 규칙을 기반으로, 제1 소스 코드의 내용을 수정하여 제2 소스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자동 전환 규칙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제1 운영체제의 환경에서 제2 운영체제의 환경으로 전환될 때, 전환 대상인 애플리케이션 업무의 특성 및 환경에 따른 예외 오류(Error) 및 경고(Warning)를 규칙화하여 설정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소스 코드가 자동 전환 규칙에 따른 매칭 패턴에 따라 내용이 수정되어, 제1 소스 코드의 변경으로 제2 소스 코드가 생성될 수 있다.
S705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제1 운영체제의 환경에서 제2 운영체제의 환경으로 전환되면, 제2 소스 코드로 구성된 제1 애플리케이션이 제1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 소스 코드의 수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제1 운영체제의 환경에서 제2 운영체제의 환경으로 전환되면, 제1 소스 코드로 구성된 제1 애플리케이션이 제1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제2 소스 코드로 구성된 제1 애플리케이션이 제1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S703 단계에서 제1 소스 코드이 수정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S706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제1 운영체제의 환경에서 제2 운영체제의 환경으로 전환되면, 제1 소스 코드로 구성된 제1 애플리케이션이 제1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 소스 코드의 수정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제1 운영체제의 환경에서 제2 운영체제의 환경으로 전환되면, 제1 소스 코드로 구성된 제1 애플리케이션이 제1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될 수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필수 애플리케이션을 대신하여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S801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리스트 중에서 제1 사용자에게 필요한 필수 애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필수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인 제2 리스트를 제1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에 제1 리스트가 표시되면, 제1 사용자는 제1 리스트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자신에게 필요한 필수 애플리케이션들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때, 선택된 필수 애플리케이션들은 제2 리스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장치(200)는 제2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S8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상기 제1 리스트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어느 하나인 제2 애플리케이션이 제2 그룹으로 분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제1 운영체제의 환경으로 운영되고 있는 제1 사용자 단말(100)에서 제2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경우, 제2 애플리케이션은 제2 운영체제의 환경에서 실행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어 제2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S8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애플리케이션이 제2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제2 애플리케이션이 필수 애플리케이션으로 선택되어, 제2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803 단계에서 제2 애플리케이션이 제2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S804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애플리케이션과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면서 제2 운영체제의 환경에서 실행되는 제2-1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애플리케이션과 제2-1 애플리케이션은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제2 애플리케이션은 제1 운영체제의 환경에서 실행되는 제1 운영체제 전용 애플리케이션이고, 제2-1 애플리케이션은 제2 운영체제의 환경에서만 실행되는 제2 운영체제 전용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이때, 장치(200)는 제2 애플리케이션 및 제2-1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외부 서버로부터, 제2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2-1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805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제1 운영체제의 환경에서 제2 운영체제의 환경으로 전환되면, 제2 애플리케이션을 대신하여 제2-1 애플리케이션이 제1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장치(200)는 S804 단계에서 획득된 제2-1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반으로, 제2-1 애플리케이션이 제1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S803 단계에서 제2 애플리케이션이 제2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장치(200)는 제2 애플리케이션이 필수 애플리케이션으로 선택되지 않았으므로,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제1 운영체제의 환경에서 제2 운영체제의 환경으로 전환되면, 제2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소스 코드의 수정량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S901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소스 코드의 내용을 분석하여, 제2 운영체제의 환경에서 실행하기 위해 제1 소스 코드의 수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 제1 소스 코드의 수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1 소스 코드 상에서 수정이 필요한 구역인 제1 구역과 제1 소스 코드 상에서 수정이 필요하지 않은 구역인 제2 구역을 분류할 수 있다.
즉,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소스 코드는 변환 대상 매칭 패턴에 따라 수정이 필요한 구역인 제1 구역(음영 부분)과 수정이 필요하지 않은 구역인 제2 구역(음영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 분류될 수 있다.
S9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소스 코드 상에서 제1 구역이 차지하는 비율인 제1 비율과 제1 소스 코드 상에서 제2 구역이 차지하는 비율인 제2 비율을 각각 산출할 수 있다.
장치(200)는 제1 소스 코드의 전체 글자 수, 제1 구역의 글자 수, 제2 구역의 글자 수를 확인한 후, 제1 구역의 글자 수를 제1 소스 코드의 전체 글자 수로 나눈 값에 백분율을 적용하여 제1 비율을 산출하고, 제2 구역의 글자 수를 제1 소스 코드의 전체 글자 수로 나눈 값에 백분율을 적용하여 제2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소스 코드의 전체 글자 수가 100개이고, 제1 구역의 글자 수가 60개이고, 제2 구역의 글자 수가 40개인 경우, 장치(200)는 60%를 제1 비율로 산출하고, 40%를 제2 비율로 산출할 수 있다.
S9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비율이 제2 비율 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903 단계에서 제1 비율이 제2 비율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S904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애플리케이션과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면서 제2 운영체제의 환경에서 실행되는 제1-1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애플리케이션과 제1-1 애플리케이션은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면서, 제1 애플리케이션은 운영체제의 환경과 상관없이 제1 운영체제 및 제2 운영체제의 환경에서 모두 실행되는 범용 애플리케이션이고, 제1-1 애플리케이션은 제2 운영체제의 환경에서만 실행되는 제2 운영체제 전용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이때, 장치(200)는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제1-1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외부 서버로부터,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1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905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제1 운영체제의 환경에서 제2 운영체제의 환경으로 전환되면, 제1 애플리케이션을 대신하여 제1-1 애플리케이션이 제1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장치(200)는 S904 단계에서 획득된 제1-1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반으로, 제1-1 애플리케이션이 제1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제1 소스 코드 상에서 수정이 필요한 구역이 수정이 필요하지 않은 구역 보다 더 많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소스 코드의 내용을 수정하여 제2 소스 코드를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제1 애플리케이션을 대신하여 제1-1 애플리케이션이 제1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S903 단계에서 제2 비율이 제1 비율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S906 단계에서, 장치(200)는 자동 전환 규칙을 기반으로, 제1 소스 코드의 내용을 수정하여 제2 소스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S907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제1 운영체제의 환경에서 제2 운영체제의 환경으로 전환되면, 제2 소스 코드로 구성된 제1 애플리케이션이 제1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제1 소스 코드 상에서 수정이 필요하지 않은 구역이 수정이 필요한 구역 보다 더 많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소스 코드의 내용을 수정하여 제2 소스 코드를 생성한 후, 제2 소스 코드로 구성된 제1 애플리케이션이 제1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사용자 단말 메모리의 잔여 공간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S1001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제1 운영체제의 환경에서 제2 운영체제의 환경으로 전환되면, 제1 사용자 단말(100)의 메모리에서 사용 가능한 공간인 잔여 공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1 사용자 단말(100)은 제1 운영체제의 환경에서 제2 운영체제의 환경으로 전환됨에 따라, 제1 운영체제의 환경에서 사용했던 애플리케이션들이 전부 삭제되고, 제2 운영체제를 운영하는데 필요한 필수적인 프로그램들만 설치되어 있는 상태이다.
S1002 단계에서, 장치(200)는 S1001 단계에서 확인된 잔여 공간이 제1 기준 용량 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 용량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1002 단계에서 잔여 공간이 제1 기준 용량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S10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그룹으로 분류된 애플리케이션들이 제1 사용자 단말(100)에 전부 설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애플리케이션, 제2 애플리케이션 및 제3 애플리케이션이 제1 그룹으로 분류되어 있는 경우, 장치(200)는 잔여 공간이 제1 기준 용량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애플리케이션, 제2 애플리케이션 및 제3 애플리케이션이 제1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1002 단계에서 잔여 공간이 제1 기준 용량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S1004 단계에서, 장치(200)는 S1001 단계에서 확인된 잔여 공간이 제2 기준 용량 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준 용량은 제1 기준 용량 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S1004 단계에서 잔여 공간이 제2 기준 용량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S1005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그룹으로 분류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기준 기간 동안 제1 사용자 단말(100)에서 실행된 애플리케이션만 제1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기간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애플리케이션, 제2 애플리케이션 및 제3 애플리케이션이 제1 그룹으로 분류되어 있고, 기준 기간은 일주일로 설정되어 있고, 제1 애플리케이션의 최근 실행일은 3일 전이고, 제2 애플리케이션의 최근 실행일은 5일 전이고, 제3 애플리케이션의 최근 실행일은 10일 전인 경우, 장치(200)는 잔여 공간이 제1 기준 용량 보다 작지만 제2 기준 용량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최근 실행일이 일주일 이내인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제2 애플리케이션만 제1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되도록 제어하고, 최근 실행일이 일주일이 지난 제3 애플리케이션이 제1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S1004 단계에서 잔여 공간이 제2 기준 용량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S1006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그룹으로 분류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기준 기간 동안 제1 사용자 단말(100)에서 기준 횟수 이상으로 실행된 애플리케이션만 제1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기간 및 기준 횟수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애플리케이션, 제2 애플리케이션 및 제3 애플리케이션이 제1 그룹으로 분류되어 있고, 기준 기간은 일주일로 설정되어 있고, 기준 횟수는 5회로 설정되어 있고, 일주일 동안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횟수는 10회이고, 일주일 동안 제2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횟수는 6회이고, 일주일 동안 제3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횟수는 3회인 경우, 장치(200)는 잔여 공간이 제2 기준 용량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일주일 동안 5회 이상으로 실행된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제2 애플리케이션만 제1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되도록 제어하고, 일주일 동안 5회 미만으로 실행된 제3 애플리케이션이 제1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른 장정맥을 이용한 생체 인증을 통해 도어락이 설치된 출입문을 개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S1101 단계에서, 장치(200)는 출입문의 일측에 설치된 인식 모듈로부터 장정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사용자 단말(100)이 PC이고,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위치하는 사무실의 입구에 출입문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출입문의 일측에 생체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인식 모듈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인식 모듈에 장정맥 정보가 입력되면, 인식 모듈은 입력된 장정맥 정보를 인식할 수 있으며, 장치(200)는 인식 모듈로부터 장정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장치(200)는 인식 모듈과 유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S11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장정맥 정보와 미리 등록되어 있는 관리자들의 생체 정보를 비교하여, 장정맥을 이용한 생체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자들의 생체 정보는 장치(200)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관리자들의 장정맥 정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인식 모듈로부터 획득된 장정맥 정보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관리자들의 생체 정보를 비교하여, 획득된 장정맥 정보를 가진 제1 관리자를 찾는 생체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S11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생체 인증의 수행 결과, 생체 인증이 성공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인식 모듈에 장정맥 정보가 제대로 입력되지 않은 경우, 생체 인증이 실패할 수 있으며, 생체 인증이 실패하면, S1101 단계로 되돌아가, 장치(200)는 인식 모듈로부터 장정맥 정보를 다시 획득할 수 있다. 장치(200)는 장정맥 정보의 재획득을 위해, 생체 인증 실패로 인한 장정맥 정보의 재입력 알림 메시지가 인식 모듈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인식 모듈은 화면 상에 재입력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재입력 알림 메시지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S1103 단계에서 생체 인증의 수행 결과, 장정맥을 이용한 생체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확인되면, S1104 단계에서, 장치(200)는 생체 인증된 제1 관리자의 출입 권한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생체 인증의 수행 결과를 통해, 장정맥 정보가 제1 관리자의 생체 정보로 인증되었는지 파악할 수 있으며, 장정맥 정보가 제1 관리자의 생체 정보로 인증되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1 관리자의 신상 정보를 통해, 제1 관리자의 출입 권한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관리자의 출입 권한은 1레벨부터 4레벨까지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으며, 출입 권한이 가장 높게 부여된 등급은 1레벨이고, 출입 권한이 가장 낮게 부여된 등급은 4레벨일 수 있다.
S1105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관리자의 출입 권한이 1레벨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1105 단계에서 제1 관리자의 출입 권한이 1레벨로 확인되면, S1106 단계에서, 장치(200)는 출입문에 설치된 도어락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제어하여, 도어락의 잠금 해제로 인해 출입문이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 관리자의 출입 권한이 1레벨로 확인되면, 도어락이 잠금 해제되어 출입문이 개방될 수 있다. 이때, 도어락은 출입문과 맞닿아 있는 벽에 설치되어 있으며,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만 잠금 해제되었다가 다시 잠금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장치(200)는 제1 관리자의 장정맥을 이용한 생체 인증으로, 도어락의 잠금이 해제되어 출입문이 개방되면, 제1 관리자의 출입 기록을 갱신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장정맥 정보가 인식된 시간을 제1 관리자의 출입 기록에 추가하여 저장할 수 있다.
S1105 단계에서 제1 관리자의 출입 권한이 1레벨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S1107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관리자에 대한 추가 인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추가 인증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2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12는 일실시예에 따른 출입 권한에 따라 추가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먼저, S1201 단계에서, 장치(200)는 장정맥을 이용한 생체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확인되면, 생체 인증된 제1 관리자의 출입 권한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관리자의 출입 권한은 1레벨부터 4레벨까지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으며, 출입 권한이 가장 높게 부여된 등급은 1레벨이고, 출입 권한이 가장 낮게 부여된 등급은 4레벨일 수 있다.
제1 관리자의 출입 권한이 2레벨 이하로 확인되면, S12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관리자에 대한 추가 인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12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관리자의 출입 권한이 2레벨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1203 단계에서 제1 관리자의 출입 권한이 2레벨로 확인되면, S1204 단계에서, 장치(200)는 비밀번호를 이용한 추가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비밀번호를 통한 추가 인증이 필요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가 인식 모듈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후, 인식 모듈에 입력된 비밀번호를 추가로 획득하여, 비밀번호를 이용한 추가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S1203 단계에서 제1 관리자의 출입 권한이 2레벨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S1205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관리자의 출입 권한이 3레벨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1205 단계에서 제1 관리자의 출입 권한이 3레벨로 확인되면, S1206 단계에서, 장치(200)는 비밀번호 및 RFID 카드를 이용한 추가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비밀번호 및 RFID 카드를 통한 추가 인증이 필요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가 인식 모듈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후, 인식 모듈에 입력된 비밀번호 및 RFID 카드 정보를 추가로 획득하여, 비밀번호를 이용한 추가 인증과 RFID 카드를 이용한 추가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S1205 단계에서 제1 관리자의 출입 권한이 3레벨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제1 관리자의 출입 권한이 4레벨까지 설정될 수 있으므로, 제1 관리자의 출입 권한은 4레벨로 확인될 수 있으며, 제1 관리자의 출입 권한이 4레벨로 확인되면, S1207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QR 코드를 이용한 추가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관리자 확인용인 제1 QR 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1 QR 코드를 제1 관리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후, 인식 모듈에 입력된 제1 QR 코드를 추가로 획득하여, 제1 QR 코드를 이용한 추가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QR 코드를 이용한 추가 인증 시, 제1 QR 코드를 이용한 출입 인증과 같이, 인증 시간 및 인증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여, 제1 QR 코드를 이용한 추가 인증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3은 일실시예에 따른 일치도에 따라 장정맥을 이용한 생체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먼저, S1301 단계에서, 장치(200)는 인식 모듈로부터 장정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인식 모듈에 포함된 장정맥 인식 모듈은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이격된 위치에 있는 손바닥이 비접촉 상태로 접근할 경우, 비접촉 상태로 접근한 손바닥의 장정맥을 인식하여 장정맥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장치(200)는 장정맥 인식 모듈로부터 장정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13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장정맥 정보와 미리 등록되어 있는 관리자들의 생체 정보를 비교하여, 장정맥 정보가 제1 관리자의 생체 정보인 것을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장치(200)는 인식 모듈을 통해 획득된 장정맥 정보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관리자들의 생체 정보를 비교하여, 장정맥 정보와 가장 유사한 제1 관리자의 생체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S13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장정맥 정보와 제1 관리자의 생체 정보 간의 일치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장치(200)는 장정맥 정보와 제1 관리자의 생체 정보를 비교하여, 장정맥 정보와 제1 관리자의 생체 정보 간에 얼마나 일치하는지 여부에 대한 일치도를 이미지 분석을 통해 산출할 수 있다.
S1304 단계에서, 장치(200)는 산출된 일치도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치 보다 높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치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1304 단계에서 일치도가 제1 기준치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S1305 단계에서, 장치(200)는 장정맥을 이용한 생체 인증을 성공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정맥 정보와 제1 관리자의 생체 정보 간의 일치도가 98%이고, 제1 기준치가 95%인 경우, 장치(200)는 장정맥을 이용한 생체 인증을 성공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장치(200)는 장정맥을 이용한 생체 인증을 성공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도어락의 잠금이 해제되어 출입문이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1304 단계에서 일치도가 제1 기준치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S1306 단계에서, 장치(200)는 산출된 일치도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치 보다 높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준치는 제1 기준치 보다 낮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S1306 단계에서 일치도가 제2 기준치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S1307 단계에서, 장치(200)는 하나의 방식을 통한 추가 인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정맥 정보와 제1 관리자의 생체 정보 간의 일치도가 93%이고, 제1 기준치가 95%이고, 제2 기준치가 90%인 경우, 장치(200)는 하나의 방식을 통한 추가 인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장치(200)는 하나의 방식을 통한 추가 인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비밀번호를 통한 추가 인증 필요 알림 메시지가 인식 모듈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인식 모듈에 입력된 비밀번호를 추가로 획득하여, 비밀번호를 이용한 추가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S1306 단계에서 일치도가 제2 기준치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S1308 단계에서, 장치(200)는 산출된 일치도가 미리 설정된 제3 기준치 보다 높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기준치는 제2 기준치 보다 낮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S1308 단계에서 일치도가 제3 기준치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S1309 단계에서, 장치(200)는 둘의 방식을 통한 추가 인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정맥 정보와 제1 관리자의 생체 정보 간의 일치도가 87%이고, 제1 기준치가 95%이고, 제2 기준치가 90%이고, 제3 기준치가 85%인 경우, 장치(200)는 둘의 방식을 통한 추가 인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장치(200)는 둘의 방식을 통한 추가 인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비밀번호 및 RFID 카드를 통한 추가 인증 필요 알림 메시지가 인식 모듈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인식 모듈에 입력된 비밀번호 및 RFID 카드 정보를 추가로 획득하여, 비밀번호를 이용한 추가 인증과 RFID 카드를 이용한 추가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S1308 단계에서 일치도가 제3 기준치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S1310 단계에서, 장치(200)는 장정맥을 이용한 생체 인증을 실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장치(200)는 장정맥을 이용한 생체 인증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관리자 확인용인 제1 QR 코드를 생성하고, 제1 QR 코드를 제1 관리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인식 모듈에 입력된 제1 QR 코드를 추가로 획득하여, 제1 QR 코드를 이용한 추가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4는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200)는 프로세서(210) 및 메모리(22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10)는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전술된 적어도 하나의 장치들을 포함하거나,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전술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장치(200)를 이용하는 자 또는 단체는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전술된 방법들 일부 또는 전부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전술된 방법들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전술된 방법들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는 메모리(220)에 저장될 수 있다. 장치(200)는 입출력 장치(도면 미 표시)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유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3)
-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마이그레이션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제1 운영체제의 환경에서 제2 운영체제의 환경으로 전환하는 마이그레이션 요청이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인 제1 리스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리스트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들을 상기 제2 운영체제의 환경에서 실행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는 실행 가능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제2 운영체제의 환경에서 실행이 불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는 실행 불가능 애플리케이션으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실행 가능 애플리케이션으로 구분된 애플리케이션들을 제1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실행 불가능 애플리케이션으로 구분된 애플리케이션들을 제2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제1 리스트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어느 하나인 제1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 그룹으로 분류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면,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소스 코드인 제1 소스 코드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소스 코드의 내용을 분석하여, 상기 제2 운영체제의 환경에서 실행하기 위해 상기 제1 소스 코드의 수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소스 코드의 수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소스 코드 상에서 수정이 필요한 구역인 제1 구역과 상기 제1 소스 코드 상에서 수정이 필요하지 않은 구역인 제2 구역을 구분하여 분류하는 단계;
상기 제1 소스 코드 상에서 상기 제1 구역이 차지하는 비율인 제1 비율과 상기 제1 소스 코드 상에서 상기 제2 구역이 차지하는 비율인 제2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비율 및 상기 제2 비율을 비교한 결과, 상기 제2 비율이 상기 제1 비율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미리 설정된 자동 전환 규칙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소스 코드의 내용을 수정하여 제2 소스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소스 코드가 생성된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 운영체제의 환경으로 전환되면, 상기 제2 소스 코드로 구성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비율 및 상기 제2 비율을 비교한 결과, 상기 제1 비율이 상기 제2 비율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과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면서 상기 제2 운영체제의 환경에서 실행되는 제1-1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1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획득한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 운영체제의 환경으로 전환되면,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대신하여 상기 제1-1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마이그레이션 처리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스트를 획득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제1 리스트 중에서 제1 사용자에게 필요한 필수 애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상기 필수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인 제2 리스트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리스트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어느 하나인 제2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2 그룹으로 분류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면,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2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2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과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면서 상기 제2 운영체제의 환경에서 실행되는 제2-1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 운영체제의 환경으로 전환되면,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을 대신하여 상기 제2-1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마이그레이션 처리 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7665A KR102328173B1 (ko) | 2021-07-05 | 2021-07-05 | 애플리케이션 마이그레이션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7665A KR102328173B1 (ko) | 2021-07-05 | 2021-07-05 | 애플리케이션 마이그레이션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28173B1 true KR102328173B1 (ko) | 2021-11-17 |
Family
ID=78703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87665A KR102328173B1 (ko) | 2021-07-05 | 2021-07-05 | 애플리케이션 마이그레이션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28173B1 (ko)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96014A (ja) * | 2000-12-15 | 2006-07-27 | Ntt Docomo Inc | 異種デバイス間におけるアプリケーションのマイグレーション方法およびシステム |
KR20070062395A (ko) * | 2005-12-12 | 2007-06-15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 관리 장치 및 방법 |
KR20080084332A (ko) * | 2007-03-16 | 2008-09-19 | (주)온디멘드 | 데이터베이스 마이그레이션 장치 및 방법 |
KR20140072702A (ko) * | 2012-12-05 | 2014-06-13 | (주) 티엔지 소프트 | 어플리케이션 변환 시스템 |
KR101631039B1 (ko) | 2015-11-30 | 2016-06-24 | (주)클로닉스 | 컴퓨터 시스템의 운영체제 및 데이터 중 불필요한 파일은 제외하는 마이그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
KR20180080329A (ko) | 2015-12-02 | 2018-07-11 | 어드밴스드 마이크로 디바이시즈, 인코포레이티드 | 어플리케이션 마이그레이션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KR20180085058A (ko) * | 2011-06-29 | 2018-07-25 |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 가상 머신 이주 도구 |
KR102010152B1 (ko) | 2016-11-30 | 2019-08-12 |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가상머신의 마이그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KR102191971B1 (ko) | 2014-10-10 | 2020-12-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모바일 사용자 경험 개선을 위한 가상 머신 마이그레이션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2021
- 2021-07-05 KR KR1020210087665A patent/KR10232817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96014A (ja) * | 2000-12-15 | 2006-07-27 | Ntt Docomo Inc | 異種デバイス間におけるアプリケーションのマイグレーション方法およびシステム |
KR20070062395A (ko) * | 2005-12-12 | 2007-06-15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 관리 장치 및 방법 |
KR20080084332A (ko) * | 2007-03-16 | 2008-09-19 | (주)온디멘드 | 데이터베이스 마이그레이션 장치 및 방법 |
KR20180085058A (ko) * | 2011-06-29 | 2018-07-25 |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 가상 머신 이주 도구 |
KR20140072702A (ko) * | 2012-12-05 | 2014-06-13 | (주) 티엔지 소프트 | 어플리케이션 변환 시스템 |
KR102191971B1 (ko) | 2014-10-10 | 2020-12-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모바일 사용자 경험 개선을 위한 가상 머신 마이그레이션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KR101631039B1 (ko) | 2015-11-30 | 2016-06-24 | (주)클로닉스 | 컴퓨터 시스템의 운영체제 및 데이터 중 불필요한 파일은 제외하는 마이그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
KR20180080329A (ko) | 2015-12-02 | 2018-07-11 | 어드밴스드 마이크로 디바이시즈, 인코포레이티드 | 어플리케이션 마이그레이션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KR102010152B1 (ko) | 2016-11-30 | 2019-08-12 |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가상머신의 마이그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612767B2 (en) | Context aware dynamic composition of migration plans to cloud | |
US20190347127A1 (en) | Service provisioning and orchestration for virtual machine to container migration | |
US10778539B1 (en) | Resolving configuration drift for computing resource stacks | |
US9588752B2 (en) | Performing unattended software installation | |
US20160026493A1 (en) | Planned virtual machines | |
US11030049B2 (en) | Data backup management during workload migration | |
US10412195B2 (en) | Risk-aware service management stack transformation during workload migration | |
CN113678100A (zh) | 软件定义存储资产的统一和自动安装、部署、配置和管理 | |
KR20170022028A (ko) | 컨테이너 이미지 보안 검사 방법 및 그 장치 | |
US10402216B1 (en) | Live support integration in a virtual machine based development environment | |
CN106469068B (zh) | 应用程序的部署方法及系统 | |
US10411961B2 (en) | Image management in cloud environments | |
US11288232B2 (en) | Database deployment objects and deterministic locking models | |
CN113811854A (zh) | 利用跨应用的活动相关性的微应用功能建议 | |
WO2022199136A1 (zh) | 应用改造方法、系统、集群、介质及程序产品 | |
US10768961B2 (en) | Virtual machine seed image replication through parallel deployment | |
US20230048653A1 (en) | Software application deployment | |
KR102328173B1 (ko) | 애플리케이션 마이그레이션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
US11848820B1 (en) | Parallel execution of network services with overlapping device configuration | |
US10705824B2 (en) | Intention-based command optimization | |
US20230198991A1 (en) | File-based configuration of access management | |
KR102430989B1 (ko) | 인공지능 기반 콘텐츠 카테고리 예측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
US10169007B1 (en) | Service provider network integrated compilation service and runtime system | |
JP6705482B2 (ja) | システム構築パラメータ管理装置、システム構築パラメータ管理システム、システム構築パラメータ管理方法、及び、システム構築パラメータ管理プログラム | |
US20220270191A1 (en) | System for automatically splitting smart contrac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