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8072B1 - 가상 피팅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이를 이용한 가상 피팅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 피팅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이를 이용한 가상 피팅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8072B1
KR102328072B1 KR1020200162606A KR20200162606A KR102328072B1 KR 102328072 B1 KR102328072 B1 KR 102328072B1 KR 1020200162606 A KR1020200162606 A KR 1020200162606A KR 20200162606 A KR20200162606 A KR 20200162606A KR 102328072 B1 KR102328072 B1 KR 102328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nit
clothing
user
avat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2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보민
Original Assignee
에이아이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아이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아이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2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8072B1/ko
Priority to PCT/KR2020/017235 priority patent/WO202211431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06K9/0036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94Segmentation; Edge detection involving foreground-background segm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ometry (AREA)
  • Architectur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가상 피팅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이를 이용한 가상 피팅 서비스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피팅 앱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키 정보와,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사용자의 정면 이미지와 측면 이미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키 정보, 상기 정면 이미지 및 상기 측면 이미지를 기초로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를 검출하는 신체사이즈검출부; 상기 신체사이즈검출부에서 검출된 신체 사이즈에 상응하는 기초 아바타를 생성하는 아바타생성부; 상기 기초 아바타에 의류 이미지를 오버레이 하여 합성 아바타를 생성하는 피팅부; 및 상기 합성 아바타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상기 합성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가상 피팅 서비스 제공 서버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상 피팅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이를 이용한 가상 피팅 서비스 제공 방법{SERVER FOR PROVIDING VIRTUAL FITTING SERVICE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상 피팅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이를 이용한 가상 피팅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류를 구매하고자 하는 소비자는 해당 의류를 판매하는 매장에 직접 방문하여 해당 의류를 직접 입어보고 자신에게 맞는지 확인한 후에 구매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그로 인해 소비자는 해당 매장을 직접 방문하여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최근에는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인해 온라인 매장을 통해 의류 구매가 활발이 이루어지고 있고, 그로 인해 상술한 번거로움이 상당 부분 해소될 수 있지만, 소비자는 해당 의류가 자신에게 맞는지 시각적으로 확인할 방법이 없어 선택에 곤란을 겪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판매자 입장에서는 소비자가 의류를 수령한 후 만족하지 못해 반품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어 불필요한 지출이 증가하는 문제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59502호(2008.09.24, 3차원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가상 피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가상 피팅 서버)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사용자에게 가상 공간에서의 피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상 피팅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이를 이용한 가상 피팅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피팅 앱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키 정보와,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사용자의 정면 이미지와 측면 이미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키 정보, 상기 정면 이미지 및 상기 측면 이미지를 기초로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를 검출하는 신체사이즈검출부; 상기 신체사이즈검출부에서 검출된 신체 사이즈에 상응하는 기초 아바타를 생성하는 아바타생성부; 상기 기초 아바타에 의류 이미지를 오버레이 하여 합성 아바타를 생성하는 피팅부; 및 상기 합성 아바타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상기 합성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가상 피팅 서비스 제공 서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의류 이미지가 의류 종류 및 의류 사이즈 별로 구분하여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피팅 앱을 통해 입력되는 의류 종류 및 의류 사이즈를 수신하고, 상기 피팅부는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의류 종류 및 의류 사이즈에 상응하는 의류 이미지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로딩하여 상기 기초 아바타에 오버레이 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의류 종류와 상기 신체사이즈검출부에서 검출된 신체 사이즈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추천할 의류 사이즈를 검출하는 의류사이즈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반품 이력이 신체 사이즈, 의류 종류 및 의류 사이즈에 대한 정보와 함께 저장되고, 상기 의류사이즈검출부는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의류 종류와 상기 신체사이즈검출부에서 검출된 신체 사이즈를 기초로 반품 이력이 가장 적은 의류 사이즈를 검출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의류사이즈검출부에서 검출한 의류 사이즈가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상기 의류사이즈검출부에서 검출한 의류 사이즈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신체사이즈검출부는, 상기 정면 이미지와 상기 측면 이미지에 복수의 키포인트를 신체 부위별로 표시하는 키포인트생성부; 상기 정면 이미지의 키포인트와 상기 측면 이미지의 키포인트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정면 이미지 또는 상기 측면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시키는 이미지매핑부; 상기 정면 이미지와 상기 측면 이미지에서 사용자의 신체 영역을 배경 영역으로부터 분리하는 이미지세그멘테이션부; 및 상기 키포인트생성부, 상기 이미지매핑부 및 상기 이미지세그멘테이션부에 의해 가공된 상기 정면 이미지와 상기 측면 이미지에서 신체 사이즈를 측정 내지 산출하고, 측정 내지 산출한 신체 사이즈를 상기 키 정보와 비교하여 환산 비율을 산출한 후 이를 이용하여 실제 신체 사이즈로 변환하는 이미지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키포인트는 사용자의 눈, 목, 어깨, 가슴, 허리, 엉덩이, 팔꿈치, 손목, 무릎 및 발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매핑부는 상기 정면 이미지의 눈과 발목에 위치한 키포인트와 상기 측면 이미지의 눈과 발목에 위치한 키포인트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분석부는 신체 부위별 둘레를 하기 수학식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Figure 112020128354818-pat00001
(C: 신체 부위별 둘레, a: 상기 정면 이미지에서의 신체 부위의 폭, b: 상기 측면 이미지에서의 신체 부위의 폭)
상기 이미지분석부는, 상기 정면 이미지에서 허리의 상하로 가장 근접한 2개의 키포인트를 선정하고, 선정된 2개의 키포인트 사이에서 신체 영역 폭이 가장 작은 지점을 추출하며, 추출된 지점에서 허리의 폭(a, b)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분석부는, 상기 측면 이미지에서 가슴 또는 엉덩이의 상하로 가장 근접한 2개의 키포인트를 선정하고, 선정된 2개의 키포인트 사이에서 신체 영역 경계의 변곡점을 추출하며, 추출된 변곡점에서 가슴 또는 엉덩이의 폭(a, b)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키 정보, 정면 이미지 및 측면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키 정보, 상기 정면 이미지 및 상기 측면 이미지를 기초로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신체 사이즈에 상응하는 기초 아바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의류 종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신체 사이즈와 상기 의류 종류를 기초로 반품 이력이 가장 적은 의류 사이즈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의류 사이즈가 추천 사이즈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상기 의류 사이즈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의류 사이즈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의류 종류 및 상기 의류 사이즈에 상응하는 의류 이미지를 상기 기초 아바타에 오버레이 하여 합성 아바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합성 아바타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상기 합성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 피팅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피팅 앱을 통해 키 정보 등을 입력하고 사용자 본인의 정면 이미지와 측면 이미지를 촬영하면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상응하는 기초 아바타가 생성될 수 있고, 사용자는 기초 아바타에 본인이 선택한 종류와 사이즈의 의류를 입혀보는 피팅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피팅 서비스 제공 서버의 블록다이어그램이고,
도 2는 도 1의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피팅 앱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피팅 앱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피팅 앱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신체사이즈검출부의 세부 구성들을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고,
도 6은 도 5의 신체사이즈검출부에 의해 가공된 정면 이미지와 측면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 내지 도 9는 도 5의 이미지분석부에 의해 신체 부위별 둘레를 산출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1의 아바타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기초 아바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의 피팅부에 의해 생성된 합성 아바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피팅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명백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볼 것이지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는 것으로 볼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된 경우, 해당 부분은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용어는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피팅 서비스 제공 서버의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피팅 서비스 제공 서버(10)는 수신부(100), 신체사이즈검출부(200), 아바타생성부(300), 피팅부(400) 및 송신부(500)를 포함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600) 및/또는 의류사이즈검출부(7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수신부(100)는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키 정보와 사용자의 정면 이미지 및 측면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20)에는 피팅 앱(application)이 설치될 수 있고, 사용자는 피팅 앱을 통해 본인의 키 정보를 입력하는 한편 피팅 앱에 연동된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본인의 정면 이미지와 측면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획득된 키 정보, 정면 이미지 및 측면 이미지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버(10)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피팅 앱을 통해 판매자가 제공하는 복수의 의류 종류 및 의류 사이즈를 확인하고 선택할 수 있으며, 수신부(100)는 피팅 앱을 통해 입력되는 의류 종류 및 의류 사이즈, 즉 사용자가 선택한 의류 종류 및 의류 사이즈를 수신할 수 있다.
신체사이즈검출부(200)는 수신부(100)에서 수신한 키 정보, 정면 이미지 및 측면 이미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신체 사이즈는 신체 부위별 길이, 둘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아바타생성부(300)는 신체사이즈검출부(200)에서 검출된 신체 사이즈에 상응하는 기초 아바타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기초 아바타는 사용자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체형을 가질 수 있다. 기초 아바타는 2차원 또는 3차원 이미지로 구현될 수 있다.
피팅부(400)는 기초 아바타에 의류 이미지를 오버레이 하여 합성 아바타, 즉 기초 아바타가 해당 의류를 착용한 상태로 표현되는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의류 이미지는 데이터베이스(6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팅부(400)는 수신부(100)에서 수신한 의류 종류 및 의류 사이즈, 즉 사용자가 피팅 앱을 통해 선택한 의류 종류 및 의류 사이즈에 상응하는 의류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600)에 요청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600)로부터 로딩 된 해당 의류 이미지를 기초 아바타에 오버레이 함으로써 합성 아바타를 생성할 수도 있다.
송신부(500)는 피팅부(400)에서 생성된 합성 아바타가 사용자 단말기(20)의 피팅 앱을 통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합성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송신부(500)는 의류사이즈검출부(700)에서 검출한 의류 사이즈가 사용자 단말기(20)에 사용자에게 추천할 의류 사이즈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의류사이즈검출부(700)에서 검출한 의류 사이즈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600)에는 복수의 의류 이미지가 의류 종류 및 의류 사이즈 별로 구분하여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600)에는 피팅 앱을 통해 그 동안 판매되었던 복수의 의류 판매 정보가 저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의류 판매 정보는 사용자가 구매한 의류의 의류 종류 및 의류 사이즈에 대한 정보, 신체사이즈검출부(200)에서 검출된 해당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대한 정보, 및 해당 사용자가 해당 의류를 구매한 후 반품한 이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사이즈검출부(700)는 수신부(100)에서 수신한 의류 종류와 신체사이즈검출부(200)에서 검출된 신체 사이즈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600)에 저장된 의류 판매 정보를 활용하여 반품 이력이 가장 적은 의류 사이즈를 사용자에게 추천할 의류 사이즈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가상 피팅 서비스 제공 서버(1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 예를 들어 수신부(100), 신체사이즈검출부(200), 아바타생성부(300), 피팅부(400), 송신부(500), 데이터베이스(600) 및 의류사이즈검출부(700)는 서버 기판에 실장되는 CPU, IC칩, 메모리, LTE모뎀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피팅 앱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피팅 앱을 통해 사용자 본인의 키 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피팅 앱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피팅 앱을 통해 사용자 본인의 정면 이미지와 측면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20)에 설치된 카메라 모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피팅 앱은 카메라 모듈의 수평 및 수직 방향의 정렬 여부와 사용자의 촬영 자세에 대한 정보를 화살표 또는 텍스트 등의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이미지 분석이 용이한 형태의 촬상 이미지를 획득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1의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피팅 앱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20)는 의류사이즈검출부(700)에서 검출한 의류 사이즈, 즉 사용자에게 추천할 의류 사이즈를 수신하여 피팅 앱을 통해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의류 사이즈를 선택할 때에 피팅 앱에 의해 추천된 의류 사이즈를 참작할 수 있어 그 만큼 반품 가능성이 줄어들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신체사이즈검출부의 세부 구성들을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고, 도 6은 도 5의 신체사이즈검출부에 의해 가공된 정면 이미지와 측면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 내지 도 9는 도 5의 이미지분석부에 의해 신체 부위별 둘레를 산출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신체사이즈검출부(200)는 키포인트생성부(210), 이미지매핑부(220), 이미지세그멘테이션부(230) 및 이미지분석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키포인트생성부(210)는 수신부(100)에서 수신된 정면 이미지와 측면 이미지에 복수의 키포인트를 신체 부위별로 표시할 수 있다. 각각의 키포인트는 해당 키포인트가 표시되는 신체 부위의 중심에 표시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키포인트는 사용자의 눈, 목, 어깨, 가슴, 허리, 엉덩이, 팔꿈치, 손목, 무릎 및 발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키포인트는 사용자의 눈에 표시되는 제1 키포인트(1), 사용자의 목에 표시되는 제2 키포인트(2), 사용자의 어깨에 표시되는 제3 키포인트(3), 사용자의 가슴에 표시되는 제4 키포인트(4), 사용자의 허리에 표시되는 제5 키포인트(5), 사용자의 엉덩이에 표시되는 제6 키포인트(6), 사용자의 팔꿈치에 표시되는 제7 키포인트(7), 사용자의 손목에 표시되는 제8 키포인트(8), 사용자의 무릎에 표시되는 제9 키포인트(9), 사용자의 발목에 표시되는 제10 키포인트(11)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키포인트생성부(210)는 정면 이미지와 측면 이미지에서 복수의 키포인트를 추출하기 위해 공지된 다양한 이미지 분석 알고리즘, 예를 들어 Harris corner detector, Shi&Tomasi, SIFT(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SURF, BRIEF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미지매핑부(220)는 정면 이미지와 측면 이미지의 키포인트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정면 이미지 또는 측면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정면 이미지와 측면 이미지는 서로 다른 거리에서 촬영된 이미지라고 하더라도 동일한 크기로 조절될 수 있다.
특히, 이미지매핑부(220)가 이미지 매핑 시에 정면 이미지의 눈과 발목에 위치한 키포인트와 측면 이미지의 눈과 발목에 위치한 키포인트를 이용할 때에 매핑 정밀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예를 들어, 이미지매핑부(220)는 정면 이미지의 제1 키포인트(1)와 측면 이미지의 제1 키포인트(1)를 동일한 높이에 위치시킨 후에, 정면 이미지의 제10 키포인트(11)와 측면 이미지의 제10 키포인트(11)가 서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때까지 정면 이미지 또는 측면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이미지세그멘테이션부(230)는 정면 이미지와 측면 이미지에서 사용자의 신체 영역을 배경 영역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정면 이미지와 측면 이미지의 사용자 신체 영역의 경계를 따라 경계선이 형성될 수 있고, 이는 후술하는 것처럼 신체 부위별 둘레를 산출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이미지세그멘테이션부(230)는 신체 영역 분리를 위해 공지된 다양한 이미지 세그멘테이션 알고리즘(image segmentation algorithm)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세그멘테이션부(230)는 이미지 세그멘테이션 시에 OPEN CV의 침식/확장 기술을 이용하여 신체 영역의 경계선을 매끄럽게 변환시킬 수도 있다.
키포인트생성부(210), 이미지매핑부(220) 및 이미지세그멘테이션부(230)에 의한 이미지 가공은 도면에 도시된 순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순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미지분석부(240)는 키포인트생성부(210), 이미지매핑부(220) 및 이미지세그멘테이션부(230)에 의해 가공된 정면 이미지와 측면 이미지를 기초로 신체 사이즈를 검출할 수 있다.
먼저, 이미지분석부(240)는 정면 이미지와 측면 이미지에서 신체 사이즈를 측정 내지 산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미지분석부(240)는 복수의 키포인트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신체 사이즈, 예를 들어 팔 길이, 다리 길이 등을 측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미지분석부(240)는 신체 부위별 둘레를 하기 수학식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도 있다.
[수학식]
Figure 112020128354818-pat00002
상기 수학식에서 C는 신체 부위별 둘레를 의미할 수 있고, a는 정면 이미지에서 해당 신체 부위의 폭을 의미할 수 있으며, b는 측면 이미지에서 해당 신체 부위의 폭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미지분석부(240)는 허리 둘레를 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정면 이미지에서 허리의 상하로 가장 근접한 2개의 키포인트(4, 6)를 선정할 수 있고, 선정된 2개의 키포인트(4, 6) 사이에서 신체 영역의 폭이 가장 작은 지점을 추출할 수 있다. 그 결과, 정면 이미지에서의 허리 폭(a)은 추출된 지점에서의 신체 영역의 폭을 측정하여 얻을 수 있고, 측면 이미지에서의 허리 폭(b)은 추출된 지점과 동일한 높이에서의 신체 영역의 폭을 측정하여 얻을 수 있다(도 7 참조).
다른 예를 들면, 이미지분석부(240)는 가슴 둘레를 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측면 이미지에서 가슴의 상하로 가장 근접한 2개의 키포인트(2, 5)를 선정할 수 있고, 선정된 2개의 키포인트(2, 5) 사이에서 신체 영역 경계의 변곡점, 예를 들어 신체 영역의 좌측 경계의 기울기가 아래로 갈수록 양의 값에서 음의 값으로 변하는 지점을 추출할 수 있다. 그 결과, 측면 이미지에서의 가슴 폭(b)은 추출된 변곡점에서의 신체 영역의 폭을 측정하여 얻을 수 있고, 정면 이미지에서의 가슴 폭(a)은 추출된 변곡점과 동일한 높이에서의 신체 영역의 폭을 측정하여 얻을 수 있다(도 8 참조).
또 다른 예를 들면, 이미지분석부(240)는 엉덩이 둘레를 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측면 이미지에서 엉덩이의 상하로 가장 근접한 2개의 키포인트(5, 9)를 선정할 수 있고, 선정된 2개의 키포인트(5, 9) 사이에서 신체 영역 경계의 변곡점, 예를 들어 신체 영역의 우측 경계의 기울기가 아래로 갈수록 음의 값에서 양의 값으로 변하는 지점을 추출할 수 있다. 그 결과, 측면 이미지에서의 가슴 폭(b)은 추출된 변곡점에서의 신체 영역의 폭을 측정하여 얻을 수 있고, 정면 이미지에서의 가슴 폭은(a)은 추출된 변곡점과 동일한 높이에서의 신체 영역의 폭을 측정하여 얻을 수 있다(도 9 참조).
한편, 변곡점 추출을 위해 신체 영역 경계에서의 기울기를 구할 때에 다양한 이미지 분석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체 영역의 경계에 위치한 각각의 픽셀에서 소벨(sobel)의 x방향 필터와 y방향 필터를 이용하여 x방향 및 y방향의 이미지 가중치를 계산한 후에 해당 픽셀에서 기울기 각도를 계산함으로써 변곡점이 추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목, 허벅지, 팔, 다리 둘레 등은 정면 이미지 또는 측면 이미지에서 직경을 측정한 후에 원의 둘레 공식 등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이미지분석부(240)는 상술한 것과 같이 측정 내지 산출한 신체 사이즈를 수신부(100)에서 수신한 키 정보와 비교하여 환산 비율을 산출할 수 있고, 산출된 환산 비율을 측정 내지 산출한 신체 사이즈에 곱해 실제 신체 사이즈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분석부(240)에서 산출한 키가 A cm이고, 수신부(100)에서 수신한 키는 B cm라고 한다면, 환산 비율은 B를 A로 나눈 값, 즉 B/A일 수 있다.
도 10은 도 1의 아바타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기초 아바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기초 아바타는 신체사이즈검출부(200)에서 검출된 신체 사이즈를 기초로 생성될 수 있고, 이와 같이 생성된 기초 아바타와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 정보는 피팅 앱을 통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도 11은 도 1의 피팅부에 의해 생성된 합성 아바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합성 아바타는 도 10의 기초 아바타에 사용자가 선택한 종류와 사이즈의 의류 이미지가 오버레이 된 상태로 피팅 앱을 통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피팅 앱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의류 사이즈와 색상을 변경하면서 다양한 의류를 실제로 입어보는 것과 같은 가상 피팅 체험을 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피팅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피팅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의 키 정보, 정면 이미지 및 측면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S10),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를 검출하는 단계(S20), 기초 아바타를 생성하는 단계(S30), 사용자가 선택한 의류 종류를 수신하는 단계(S40), 사용자에게 추천할 의류 사이즈를 검출하는 단계(S50), 사용자 단말기에 검출된 의류 사이즈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60), 사용자가 선택한 의류 사이즈를 수신하는 단계(S70), 합성 아바타를 생성하는 단계(S80), 및 사용자 단말기에 합성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9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가상 피팅 서비스 제공 방법은 가상 피팅 서비스 제공 서버(10)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중복될 수도 있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서버(10)는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사용자의 키 정보, 정면 이미지 및 측면 이미지를 수신하면(S10), 수신된 키 정보, 정면 이미지 및 측면 이미지를 기초로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를 검출할 수 있고(S20), 이와 같이 검출된 신체 사이즈에 상응하는 기초 아바타를 생성할 수 있다(S30).
다음으로, 서버(10)는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의류 종류를 수신하면(S40), 검출된 신체 사이즈와 수신된 의류 종류를 기초로 반품 이력이 가장 적은 의류 사이즈를 검출할 수 있고(S50), 이와 같이 검출된 의류 사이즈가 추천 사이즈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검출된 의류 사이즈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S60).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버(10)는 추천 사이즈를 검출 내지 제공하지 않고 사용자가 선택한 의류 사이즈를 수신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서버(10)는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의류 사이즈를 수신하게 되면(S70), 수신된 의류 종류 및 의류 사이즈에 상응하는 의류 이미지를 기초 아바타에 오버레이 하여 합성 아바타를 생성할 수 있고(S80), 이와 같이 생성된 합성 아바타가 사용자 단말기(20)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합성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에 전송할 수 있다(S90).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실시 예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서버 20: 사용자 단말기
100: 수신부 200: 신체사이즈검출부
210: 키포인트생성부 220: 이미지매핑부
230: 이미지세그멘테이션부 240: 이미지분석부
300: 아바타생성부 400: 피팅부
500: 송신부 600: 데이터베이스
700: 의류사이즈검출부

Claims (10)

  1.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피팅 앱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키 정보와,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사용자의 정면 이미지와 측면 이미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키 정보, 상기 정면 이미지 및 상기 측면 이미지를 기초로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를 검출하는 신체사이즈검출부;
    상기 신체사이즈검출부에서 검출된 신체 사이즈에 상응하는 기초 아바타를 생성하는 아바타생성부;
    상기 기초 아바타에 의류 이미지를 오버레이 하여 합성 아바타를 생성하는 피팅부; 및
    상기 합성 아바타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상기 합성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팅 앱은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한 촬영 시 상기 카메라 모듈의 수평 및 수직 방향의 정렬 여부와 사용자의 촬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신체사이즈검출부는,
    상기 정면 이미지와 상기 측면 이미지에 복수의 키포인트를 신체 부위별로 표시하는 키포인트생성부;
    상기 정면 이미지의 눈에 위치한 키포인트를 상기 측면 이미지의 눈에 위치한 키포인트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시킨 후 상기 정면 이미지의 발목에 위치한 키포인트가 상기 측면 이미지의 발목에 위치한 키포인트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때까지 상기 정면 이미지 또는 상기 측면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시키는 이미지매핑부;
    상기 정면 이미지와 상기 측면 이미지에서 사용자의 신체 영역을 배경 영역으로부터 분리하는 이미지세그멘테이션부; 및
    상기 키포인트생성부, 상기 이미지매핑부 및 상기 이미지세그멘테이션부에 의해 가공된 상기 정면 이미지와 상기 측면 이미지에서 신체 사이즈를 측정 내지 산출하고, 측정 내지 산출한 신체 사이즈를 상기 키 정보와 비교하여 환산 비율을 산출한 후 이를 이용하여 실제 신체 사이즈로 변환하는 이미지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분석부는 신체 부위별 둘레를 하기 수학식을 이용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피팅 서비스 제공 서버.
    [수학식]
    Figure 112021102899961-pat00016

    (C: 신체 부위별 둘레, a: 상기 정면 이미지에서의 신체 부위의 폭, b: 상기 측면 이미지에서의 신체 부위의 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이미지가 의류 종류 및 의류 사이즈 별로 구분하여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피팅 앱을 통해 입력되는 의류 종류 및 의류 사이즈를 수신하고,
    상기 피팅부는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의류 종류 및 의류 사이즈에 상응하는 의류 이미지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로딩하여 상기 기초 아바타에 오버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피팅 서비스 제공 서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의류 종류와 상기 신체사이즈검출부에서 검출된 신체 사이즈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추천할 의류 사이즈를 검출하는 의류사이즈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반품 이력이 신체 사이즈, 의류 종류 및 의류 사이즈에 대한 정보와 함께 저장되고,
    상기 의류사이즈검출부는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의류 종류와 상기 신체사이즈검출부에서 검출된 신체 사이즈를 기초로 반품 이력이 가장 적은 의류 사이즈를 검출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의류사이즈검출부에서 검출한 의류 사이즈가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상기 의류사이즈검출부에서 검출한 의류 사이즈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피팅 서비스 제공 서버.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키포인트는 사용자의 눈, 목, 어깨, 가슴, 허리, 엉덩이, 팔꿈치, 손목, 무릎 및 발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피팅 서비스 제공 서버.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분석부는, 상기 정면 이미지에서 허리의 상하로 가장 근접한 2개의 키포인트를 선정하고, 선정된 2개의 키포인트 사이에서 신체 영역 폭이 가장 작은 지점을 추출하며, 추출된 지점에서 허리의 폭(a, b)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피팅 서비스 제공 서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분석부는, 상기 측면 이미지에서 가슴 또는 엉덩이의 상하로 가장 근접한 2개의 키포인트를 선정하고, 선정된 2개의 키포인트 사이에서 신체 영역 경계의 변곡점을 추출하며, 추출된 변곡점에서 가슴 또는 엉덩이의 폭(a, b)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피팅 서비스 제공 서버.
  10.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피팅 앱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키 정보와,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사용자의 정면 이미지와 측면 이미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키 정보, 상기 정면 이미지 및 상기 측면 이미지를 기초로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를 검출하는 신체사이즈검출부; 상기 신체사이즈검출부에서 검출된 신체 사이즈에 상응하는 기초 아바타를 생성하는 아바타생성부; 상기 기초 아바타에 의류 이미지를 오버레이 하여 합성 아바타를 생성하는 피팅부; 및 상기 합성 아바타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상기 합성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가상 피팅 서비스 제공 서버를 이용한 가상 피팅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피팅 앱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키 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정면 이미지 및 측면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신체사이즈검출부가 상기 키 정보, 상기 정면 이미지 및 상기 측면 이미지를 기초로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아바타생성부가 상기 신체사이즈검출부에서 검출된 신체 사이즈에 상응하는 기초 아바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피팅부가 상기 기초 아바타에 의류 이미지를 오버레이 하여 합성 아바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합성 아바타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상기 합성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피팅 앱은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한 촬영 시 상기 카메라 모듈의 수평 및 수직 방향의 정렬 여부와 사용자의 촬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신체사이즈검출부는,
    상기 정면 이미지와 상기 측면 이미지에 복수의 키포인트를 신체 부위별로 표시하는 키포인트생성부;
    상기 정면 이미지의 눈에 위치한 키포인트를 상기 측면 이미지의 눈에 위치한 키포인트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시킨 후 상기 정면 이미지의 발목에 위치한 키포인트가 상기 측면 이미지의 발목에 위치한 키포인트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때까지 상기 정면 이미지 또는 상기 측면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시키는 이미지매핑부;
    상기 정면 이미지와 상기 측면 이미지에서 사용자의 신체 영역을 배경 영역으로부터 분리하는 이미지세그멘테이션부; 및
    상기 키포인트생성부, 상기 이미지매핑부 및 상기 이미지세그멘테이션부에 의해 가공된 상기 정면 이미지와 상기 측면 이미지에서 신체 사이즈를 측정 내지 산출하고, 측정 내지 산출한 신체 사이즈를 상기 키 정보와 비교하여 환산 비율을 산출한 후 이를 이용하여 실제 신체 사이즈로 변환하는 이미지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분석부는 신체 부위별 둘레를 하기 수학식을 이용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피팅 서비스 제공 방법.
    [수학식]
    Figure 112021102899961-pat00017

    (C: 신체 부위별 둘레, a: 상기 정면 이미지에서의 신체 부위의 폭, b: 상기 측면 이미지에서의 신체 부위의 폭)
KR1020200162606A 2020-11-27 2020-11-27 가상 피팅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이를 이용한 가상 피팅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328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606A KR102328072B1 (ko) 2020-11-27 2020-11-27 가상 피팅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이를 이용한 가상 피팅 서비스 제공 방법
PCT/KR2020/017235 WO2022114315A1 (ko) 2020-11-27 2020-11-30 가상 피팅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이를 이용한 가상 피팅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606A KR102328072B1 (ko) 2020-11-27 2020-11-27 가상 피팅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이를 이용한 가상 피팅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8072B1 true KR102328072B1 (ko) 2021-11-18

Family

ID=78717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2606A KR102328072B1 (ko) 2020-11-27 2020-11-27 가상 피팅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이를 이용한 가상 피팅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28072B1 (ko)
WO (1) WO202211431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6403A1 (ko) * 2021-11-25 2023-06-01 (주)클로버추얼패션 3차원 아바타의 신체 부위 경계면 결정 방법 및 장치
WO2023096208A1 (ko) * 2021-11-25 2023-06-01 에이아이바 주식회사 실감형 패션 메타버스 서비스 제공하는 방법, 그 장치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WO2023249368A1 (ko) * 2022-06-23 2023-12-28 주식회사 시고르자브종 동물 이미지를 기초로 동물의 사이즈를 예측하기 위한 방법 및 그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502B1 (ko) 2005-07-19 2008-09-24 에스케이네트웍스 주식회사 3차원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가상 피팅 서비스 제공 방법및 가상 피팅 서버
KR20170006604A (ko) * 2015-07-08 2017-01-18 주식회사 케이티 서버 장치 및 이에 의한 의류 추천 방법
KR101709279B1 (ko) * 2015-01-21 2017-02-23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90036731A (ko) * 2017-09-28 2019-04-05 이민수 사이즈 제안을 지원하는 쇼핑몰 서비스 제공 장치
KR20190108976A (ko) * 2018-03-16 2019-09-25 (주)어반유니온 3차원 가상 피팅을 이용한 쇼핑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쇼핑 시스템
KR20200091832A (ko) * 2019-01-03 2020-07-31 (주) 아이딕션 신체 사이즈 측정용 사진 획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신체 사이즈 측정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502B1 (ko) 2005-07-19 2008-09-24 에스케이네트웍스 주식회사 3차원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가상 피팅 서비스 제공 방법및 가상 피팅 서버
KR101709279B1 (ko) * 2015-01-21 2017-02-23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70006604A (ko) * 2015-07-08 2017-01-18 주식회사 케이티 서버 장치 및 이에 의한 의류 추천 방법
KR20190036731A (ko) * 2017-09-28 2019-04-05 이민수 사이즈 제안을 지원하는 쇼핑몰 서비스 제공 장치
KR20190108976A (ko) * 2018-03-16 2019-09-25 (주)어반유니온 3차원 가상 피팅을 이용한 쇼핑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쇼핑 시스템
KR20200091832A (ko) * 2019-01-03 2020-07-31 (주) 아이딕션 신체 사이즈 측정용 사진 획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신체 사이즈 측정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6403A1 (ko) * 2021-11-25 2023-06-01 (주)클로버추얼패션 3차원 아바타의 신체 부위 경계면 결정 방법 및 장치
WO2023096208A1 (ko) * 2021-11-25 2023-06-01 에이아이바 주식회사 실감형 패션 메타버스 서비스 제공하는 방법, 그 장치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WO2023249368A1 (ko) * 2022-06-23 2023-12-28 주식회사 시고르자브종 동물 이미지를 기초로 동물의 사이즈를 예측하기 위한 방법 및 그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14315A1 (ko) 2022-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8072B1 (ko) 가상 피팅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이를 이용한 가상 피팅 서비스 제공 방법
US11915352B2 (en) Processing user selectable product images and facilitating visualization-assisted virtual dressing
US11403866B2 (en) Method, medium, and system for fast 3D model fitting and anthropometrics using synthetic data
US10964078B2 (en) System, device, and method of virtual dressing utilizing image processing, machine learning, and computer vision
JP6490430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332547B1 (en) Virtual apparel fitting systems and methods
US10991067B2 (en) Virtual presentations without transformation-induced distortion of shape-sensitive areas
KR101775327B1 (ko) 가상현실에서의 의류 피팅방법 및 피팅프로그램
EP3745352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body measurements and providing clothing size recommendations
US20200074667A1 (en) Clothing Size Determination Systems and Methods of Use
JP5613741B2 (ja) 画像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4966284A (zh) 基于深度数据获得对象尺寸信息的方法及设备
KR101720016B1 (ko) 미러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특징점 기반 의상 피팅 시스템 및 방법
Cho et al. An implementation of a garment-fitting simulation system using laser scanned 3D body data
KR101499699B1 (ko) 깊이 정보 기반으로 사용자의 3차원 신체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043346A (ko) 가상 패션 아이템 기반 3차원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KR20230043343A (ko) 신체 사이즈 기반 가상 피팅 서비스 시스템
KR20230043347A (ko) 3차원 모델링 아바타를 이용한 피팅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30043348A (ko) Ai 기반 메타머스 패션 플랫폼 제공 프로그램
KR20230043345A (ko) 3d 모델링 제작 시스템을 기록한 기록매체
KR20230043342A (ko) 메타버스 커머스 서비스에서 3차원 기반 가상 피팅 아바타를 생성하는 방법
KR20230043349A (ko) 사용자의 특성을 반영한 가상 캐릭터 피팅 시뮬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30043341A (ko) 사용자 맞춤형 의류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30043340A (ko) 가상 피팅을 이용한 메타버스 커머스 서비스 제공 장치
KR20230043344A (ko) 3d 패션 플랫폼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