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7930B1 - 고탄소 강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탄소 강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7930B1
KR102327930B1 KR1020190171859A KR20190171859A KR102327930B1 KR 102327930 B1 KR102327930 B1 KR 102327930B1 KR 1020190171859 A KR1020190171859 A KR 1020190171859A KR 20190171859 A KR20190171859 A KR 20190171859A KR 102327930 B1 KR102327930 B1 KR 102327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less
present
carbide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1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9747A (ko
Inventor
손창영
최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90171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7930B1/ko
Publication of KR20210079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9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vanad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2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 B21B1/24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in a continuous or semi-continuous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00Rolling materials of special alloys so far as the composition of the alloy requires or permits special rolling methods or sequences ; Rolling of aluminium, copper, zinc or other non-ferrous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36Cold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8Martens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고탄소 강재는, 중량%로, C: 0.8~1.0%, Si: 0.1~0.3%, Mn: 0.3~0.5%, Cr: 0.1~0.3%, V: 0.1~0.3%, P: 0.03% 이하, S: 0.005% 이하,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마르텐사이트 기지조직에 잔부 탄화물을 포함하는 미세조직을 가지며, 상기 탄화물의 평균 입자 크기는 0.7㎛ 이하일 수 있다.

Description

고탄소 강재 및 그 제조방법 {High carbon ste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내마모성이 우수한 고탄소 강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강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서 다양한 방안들이 제안되고 있으며, 일 예로서 강 중에 경화능 원소를 다량 첨가하는 방안이 있다. 탄소(C)는 대표적인 경화능 원소이므로, 강 중 탄소(C) 함량이 증가하는 경우 강의 경도가 상승하여 최종 강재의 내마모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강 중에 첨가되는 탄소(C) 함량이 일정 수준을 초과하는 경우, 과도한 취성에 의해 압연공정의 조업성이 열위해질 수 있으며, 마르텐사이트 조직을 얻기 위한 담금질 공정 후에 강의 인성 확보를 위해 지나치게 높은 온도에서 뜨임 열처리를 실시해야 하므로, 실제 공정조건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다양한 기술적 문제점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 1은 고탄소 열연강판을 이용한 부품 제조 시 후속공정의 단순화를 위하여 박강판의 형태로 열연강판을 제조하는 방안을 제안하지만, 다량의 탄소(C)가 첨가됨에 따라 유발되는 압연 조업성의 열위 및 높은 뜨임 온도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 가능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은 아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21273호 (2010.02.24, 공개)
본 발명의 한 가지 측면에 따르면 제침용 소재로서 특히 적합한 물성을 가지는 고탄소 강재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의 추가적인 과제를 이해하는데 아무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고탄소 강재는, 중량%로, C: 0.8~1.0%, Si: 0.1~0.3%, Mn: 0.3~0.5%, Cr: 0.1~0.3%, V: 0.1~0.3%, P: 0.03% 이하, S: 0.005% 이하,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마르텐사이트 기지조직에 잔부 탄화물을 포함하는 미세조직을 가지며, 상기 탄화물의 평균 입자 크기는 0.7㎛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탄화물의 분율은 1.6~5면적%일 수 있다.
상기 탄화물의 수밀도는 4*104~17*104개/mm2일 수 있다.
상기 탄화물 중 V 함량이 1중량% 이상인 탄화물의 개수는 전체 탄화물 개수 대비 3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강재의 상온 표면 경도는 58 HRC 이상일 수 있다.
상대재로 JS-SK85소재를 사용한 핀온디스크 방식(ASTM G99)의 내마모 시험에서, 상기 강재의 마모량은 22mg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고탄소 강재의 제조방법은, 중량%로 C: 0.8~1.0%, Si: 0.1~0.3%, Mn: 0.3~0.5%, Cr: 0.1~0.3%, V: 0.1~0.3%, P: 0.03% 이하, S: 0.005% 이하,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슬라브를 재가열하고, 열간압연하고, 권취하는 단계; 상기 권취된 강재를 1~6℃/min의 승온속도로 가열하여 550~650℃의 온도범위에서 0.5~10시간 동안 유지하는 1차 소둔 단계; 상기 1차 소둔된 강재를 650~730℃의 온도범위에서 10~30시간 동안 유지하는 2차 소둔 단계; 상기 2차 소둔된 강재를 20~50%의 압하율로 냉간압연하는 단계; 상기 냉간압연된 강재를 780~900℃로 가열하고 30분 이하로 유지한 후 50~150℃/s의 냉각속도로 50℃ 이하의 온도범위까지 냉각하는 담금질 열처리 단계; 및 상기 담금질 열처리된 강재를 200~300℃에서 10~60분간 유지하는 뜨임 열처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브의 재가열 온도는 1000~1300℃이고, 상기 열간압연은 850~1150℃의 온도범위에서 행해지며, 상기 권취는 600~650℃의 온도범위에서 행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측면에 따르면, 내마모성을 효과적으로 확보하여 제침용 소재로서 특히 적합한 물성을 가지는 고탄소 강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의 시편 A의 미세조직을 관찰한 사진이다.
본 발명은 내마모성이 우수한 고탄소 강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들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되는 구현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구현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고탄소 강재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고탄소 강재는, 중량%로, C: 0.8~1.0%, Si: 0.1~0.3%, Mn: 0.3~0.5%, Cr: 0.1~0.3%, V: 0.1~0.3%, P: 0.03% 이하, S: 0.005% 이하,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마르텐사이트 기지조직에 잔부 탄화물을 포함하는 미세조직을 가지며, 상기 탄화물의 평균 입자 크기는 0.7㎛ 이하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합금조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특별히 달리 기재하지 않는 한, 합금조성의 함량과 관련된 % 및 ppm은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가공성이 우수한 강재는, 중량%로 C: 0.8~1.0%, Si: 0.1~0.3%, Mn: 0.3~0.5%, Cr: 0.1~0.3%, V: 0.1~0.3%, P: 0.03% 이하, S: 0.005% 이하,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탄소(C): 0.8~1.0%
탄소(C)는 대표적인 경화능 향상 원소로, 본 발명에서는 담금질 후 경도 확보를 위하여 필수적으로 첨가되는 원소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효과를 위해 0.8% 이상의 탄소(C)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탄소(C) 함량은 0.8% 초과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한 탄소(C) 함량은 0.82% 이상일 수 있다. 반면, 강 내 탄소(C) 함량이 일정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강 중 세멘타이트 분율이 지나치게 높아져 취성파괴를 조장할 우려가 있으므로, 본 발명은 탄소(C) 함량의 상한을 1.0%로 제한할 수 있다. 바람직한 탄소(C) 함량은 1.0% 미만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한 탄소(C) 함량은 0.98% 이하일 수 있다.
실리콘(Si): 0.1~0.3%
실리콘(Si)는 강의 강도 향상에 기여하는 성분이므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효과 달성을 위해 0.1% 이상의 실리콘(Si)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리콘(Si) 함량의 하한은 0.12%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한 실리콘(Si) 함량의 하한은 0.15%일 수 있다. 다만, 강 중 실리콘(Si) 함량이 일정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냉간압연성이 열위해질 뿐만 아니라, 열처리 시 탈탄 가능성이 커지며, 강재 표면에 스케일 결함의 증가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실리콘(Si) 함량의 상한을 0.3%로 제한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리콘(Si) 함량의 상한은 0.28%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한 실리콘(Si) 함량의 상한은 0.25%일 수 있다.
망간(Mn): 0.3~0.5%
망간(Mn)은 경화능 향상에 기여하는 원소일 뿐만 아니라, 고용강화에 의한 소재의 강도 향상에 효과적으로 기여하는 원소이다. 또한, 망간(Mn)은 강 중의 황(S)과 결합하여 MnS로 석출되므로, 황(S)에 의한 적열취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효과 달성을 0.3% 이상의 망간(Mn)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망간(Mn) 함량의 하한은 0.32%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한 망간(Mn) 함량의 하한은 0.35%일 수 있다. 다만, 강 중 망간(Mn) 함량이 일정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냉간압연성이 열위해질 뿐만 아니라, 중심편석에 의한 가공성 저하가 문제될 수 있는바, 본 발명은 망간(Mn) 함량의 상한을 0.5%로 제한할 수 있다. 바람직한 망간(Mn) 함량의 상한은 0.48%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한 망간(Mn) 함량의 상한은 0.45%일 수 있다.
크롬(Cr): 0.1~0.3%
크롬(Cr)은 망간(Mn)과 마찬가지로 경화능 향상에 효과적으로 기여하는 원소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효과를 위하여 0.1% 이상의 크롬(Cr)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크롬(Cr) 함량의 하한은 0.13%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한 크롬(Cr) 함량의 하한은 0.16%일 수 있다. 다만, 강 중 크롬(Cr) 함량이 일정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냉간압연성이 저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처리에 의한 세멘타이트의 분해가 지연되어 구상화 소둔에 의하더라도 탄화물의 구상화가 완료되지 않을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크롬(Cr) 함량의 상한을 0.3%로 제한할 수 있다. 바람직한 크롬(Cr) 함량의 상한은 0.28%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한 크롬(Cr) 함량의 상한은 0.25%일 수 있다.
바나듐(V): 0.1~0.3%
바나듐(V)은 탄화물을 형성하여 강의 경도를 향상시키는 원소이다. 따라서, 보 발명은 이와 같은 효과를 위해 0.1% 이상의 바나듐(V)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바나듐(V) 함량의 하한은 0.12%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한 바나듐(V) 함량의 하한은 0.14%일 수 있다. 반면, 바나듐(V) 함량이 일정 수준을 초과하는 경우, 탄화물 형성에 의한 경도 향상 효과는 포화되는 반면, 과도한 비용 상승을 초래하므로, 본 발명은 바나듐(V) 함량의 상한을 0.3%로 제한할 수 있다. 바람직한 바나듐(V) 함량의 상한은 0.25%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한 바나듐(V) 함량의 상한은 0.2%일 수 있다.
인(P): 0.03% 이하(0% 포함)
강 중 인(P)은 대표적인 불순물 원소이나, 성형성을 크게 해치지 않으면서도 강도 확보에 가장 유리한 원소이기도 하다. 다만, 인(P)이 과도하게 첨가되는 경우, 취성파괴 가능성이 증가하여 열간압연 도중 슬라브의 판파단을 유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금강판의 표면 특성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P) 함량의 상한을 0.03%로 제한할 수 있다.
황(S): 0.005% 이하(0% 포함)
황(S)은 강 중에 불가피하게 유입되는 불순물 원소로서, 가능한 한 그 함량을 낮게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강 중 황(S)은 적열 취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황(S) 함량의 상한을 0.005%로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고탄소 강재는 상기한 성분 이외에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통상의 제조과정에서는 원료 또는 주위 환경으로부터 의도되지 않는 불순물이 불가피하게 혼입될 수 있으므로, 이를 전면적으로 배제할 수는 없다. 이들 불순물은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라도 알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그 모든 내용을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언급하지는 않는다. 더불어, 상기 조성 이외에 유효한 성분의 첨가가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고탄소 강재는 미세조직으로 마르텐사이트 기지조직에 잔부 탄화물을 포함하며, 불가피하게 도입되는 불순물 조직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탄화물의 분율은 1.6~5면적%일 수 있다. 탄화물 분율이 일정 수준 미만이 경우, 충분한 석출강화 효과를 확보할 수 없으므로, 본 발명은 탄화물 분율의 하한을 1.6면적%로 제한할 수 있다. 반면, 탄화물 분율이 과다한 경우, 최종 부품에서의 마르텐사이트 분율이 상대적으로 감소되므로, 소재의 경도가 저하되어 목적하는 내마모성을 확보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탄화물 분율의 상한을 5면적%로 제한할 수 있다.
탄화물의 평균 입자 크기는 0.51~0.7㎛일 수 있으며, 탄화물의 수밀도는 4*104~17*104개/mm2일 수 있다. 탄화물의 평균 입도가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조대 탄화물에 의해 마모환경 하에서 탄화물의 탈락이 발생하여 마모성이 저하될 수 있는바, 본 발명은 탄화물 평균 입도의 상한을 0.7㎛로 제한할 수 있다. 탄화물의 입도뿐만 아니라 탄화물의 균일 분포 역시 강재의 경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므로, 본 발명은 강재의 경도 확보 측면에서 탄화물의 수밀도를 4*104~17*104개/mm2의 범위로 제한할 수 있다
전체 탄화물의 개수 대비 바나듐(V) 함량이 1중량% 이상인 탄화물 개수의 비율이 60% 이상일 수 있다. 바나듐(V) 함량이 1% 이상인 탄화물의 경우, 구상화 소둔 시 탄화물의 성장을 억제하여 탄화물을 미세하게 만들 뿐만 아니라 780~900℃에서 열처리 후 담금질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탄화물의 재용해를 억제하므로 최종 강재의 탄화물을 효과적으로 미세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탄화물 미세화에 따른 경도 향상 효과를 도모하기 위해, 전체 탄화물의 개수 대비 바나듐(V) 함량이 1중량% 이상인 탄화물의 개수 비율을 60% 이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고탄소 강재의 상온 표면 경도는, 브리넬 경도 기준, 58 HRC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고탄소 강재는, 상대재로 JS-SK85소재를 사용한 핀온디스크 방식(ASTM G99)의 내마모 시험에서의 강재 마모량이 22mg 이하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고탄소강 강재는, 바나듐(V) 첨가에 의해 바나듐카바이드(VC)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공정 조건의 엄격한 제어를 통해 미세한 탄화물이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하므로, 제침용 소재로서 특히 적합한 내마모성을 구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고탄소 강재의 제조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고탄소 강재의 제조방법은, 중량%로 C: 0.8~1.0%, Si: 0.1~0.3%, Mn: 0.3~0.5%, Cr: 0.1~0.3%, V: 0.1~0.3%, P: 0.03% 이하, S: 0.005% 이하,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슬라브를 재가열하고, 열간압연하고, 권취하는 단계; 상기 권취된 강재를 1~6℃/min의 승온속도로 가열하여 550~650℃의 온도범위에서 0.5~10시간 동안 유지하는 1차 소둔 단계; 상기 1차 소둔된 강재를 650~730℃의 온도범위에서 10~30시간 동안 유지하는 2차 소둔 단계; 상기 2차 소둔된 강재를 20~50%의 압하율로 냉간압연하는 단계; 상기 냉간압연된 강재를 780~900℃로 가열하고 30분 이하로 유지한 후 50~150℃/s의 냉각속도로 50℃ 이하의 온도범위까지 냉각하는 담금질 열처리 단계; 및 상기 담금질 열처리된 강재를 200~300℃에서 10~60분간 유지하는 뜨임 열처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브 재가열, 열간압연 및 권취
소정의 합금조성 함량으로 구비되는 슬라브를 준비한 후 재가열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슬라브 합금조성은 전술한 강재의 합금조성과 대응하므로, 본 발명의 슬라브 합금조성 제한 이유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강재의 합금조성 제한 이유로 대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슬라브 재가열 온도는 통상의 슬라브 재가열에 적용되는 조건이 적용될 수 있으나, 비 제한적인 예로서, 본 발명의 슬라브 재가열 온도는 1000~1300℃의 범위일 수 있다.
재가열된 슬라브에 대해 850~1150℃의 온도범위에서 열간압연을 실시하여 열연강재를 제공할 수 있다. 열간압연 온도가 과도하게 높은 경우, 미세조직의 조대화에 의한 물성 저하가 우려되므로, 본 발명은 열간압연 온도범위의 상한을 1150℃로 제한할 수 있다. 반면, 열간압연 온도가 일정 수준 미만인 경우, 과도한 압연 부하가 우려되므로, 본 발명은 열간압연 온도의 하한을 850℃로 제한할 수 있다.
열간압연된 강재를 600~650℃의 온도범위에서 권취할 수 있다. 권취 온도가 과도하게 높은 경우, 펄라이트 조직 내의 세멘타이트 두께가 두꺼워질 뿐만 아니라, 권취 후의 상변태에 의한 형성불량이 우려되므로, 본 발명은 권취 온도의 상한을 650℃로 제한할 수 있다. 반면, 권취 온도가 일정 수준 미만인 경우, 소재의 강도가 지나치게 높아 권취 후 공정에서 판파단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 우려되므로, 권취 온도의 하한을 600℃로 제한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탄화물 분절 단계에서 재질편차에 따른 판파단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열연 코일의 전장 길이 방향 온도편차를 20℃ 이하로 제어할 수 있다.
2단 소둔
본 발명의 발명자는 고탄소 강재의 내마모성 향상 방안에 대해 심도 있는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일정 함량의 바나듐(V)을 첨가하여 바나듐카바이드(VC) 석출 현상을 이용하되, 소둔 조건의 엄격한 제어를 통해 바나듐카바이드(VC)의 분율 및 입도 등을 최적화하는 경우 강재의 내마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사항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도출하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범위에 1차 소둔을 실시한 후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범위에서 2차 소둔을 실시하므로, 미세한 탄화물을 다량 형성하여 목적하는 내마모성을 구현할 수 있다.
1차 소둔은 1~6℃/min의 승온속도로 강재를 가열하여 550~650℃의 온도범위에서 0.5~10시간 동안 유지함으로써 실시될 수 있다.
1차 소둔을 위한 승온 시 승온속도가 일정 수준 미만인 경우, 생산성 및 조업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은 1차 소둔 시 승온속도의 하한을 1℃/min로 제한할 수 있다. 반면, 1차 소둔을 위한 승온 시 승온속도가 일정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소재의 내권부와 외권부의 온도편차가 커서 열처리 온도 제어에 용이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1차 소둔 시 승온속도의 상한은 6℃/min로 제한할 수 있다.
1차 소둔 온도가 과도하게 낮거나, 1차 소둔 유지시간이 과도하게 짧은 경우, 탄화물 형성을 위한 사이트(seed)가 충분히 형성되지 않아 목적하는 수준의 탄화물 분율을 확보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1차 소둔 온도 및 유지시간의 하한을 각각 550℃ 및 0.5시간으로 제한할 수 있다. 반면, 1차 소둔 온도가 과도하게 높은 경우, 조대 탄화물이 형성되어 오히려 내마모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1차 소둔 유지시간이 과도하게 긴 경우, 열처리에 장시간이 소요되어 상업적으로 이롭지 못하므로, 본 발명은 1차 소둔 온도 및 유지시간의 상한을 각각 650℃ 및 10시간으로 제한할 수 있다.
1차 소둔 후, 1차 소둔된 강재를 650~730℃의 온도범위에서 10~30시간 동안 유지하는 2차 소둔이 실시될 수 있다.
탄화물의 효과적인 구상화를 위해, 본 발명은 2차 소둔 온도 및 유지시간의 하한을 각각 650℃ 및 10시간으로 제한할 수 있다. 반면, 2차 소둔 온도가 과도하게 높거나, 2차 소둔 유지시간이 과도하게 긴 경우, 조대 탄화물이 형성되어 오히려 내마모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2차 소둔 온도 및 유지시간의 상한을 각각 730℃ 및 30시간으로 제한할 수 있다.
냉간압연
2차 소둔 후 2차 소둔된 강재를 냉간압연하여 강재의 라멜라 세멘타이트를 기계적으로 분절할 수 있다. 담금질 및 뜨임 열처리에 앞서 냉간압연에 의해 강재 내의 라멜라 세멘타이트를 기계적으로 분절하는바, 최종 강재의 탄화물을 효과적으로 미세화시킬 수 있다. 냉간압연의 압하량이 일정 수준 미만인 경우, 세멘타이트의 기계적 분절이 불충분하여 열처리 후에도 탄화물의 구상화가 완료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탄화물의 충분한 구상화를 고려하여, 냉간압연의 압하량 하한을 20%로 제어할 수 있다. 반면, 냉간압연의 압하량이 과다한 경우, 압연 도중의 소재 판파단이 우려되는바, 본 발명은 냉간압연의 압하량 상한을 50%로 제한할 수 있다.
담금질 열처리
냉간압연된 강재를 780~900℃의 온도범위까지 가열하여 30분 이하로 유지한 후 50~150℃/s의 냉각속도로 50℃의 온도범위까지 냉각하는 담금질 열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담금질 열처리의 가열온도가 일정 수준 미만인 경우, 탄화물이 충분히 고용되지 않아 담금질 후 마르텐사이트 분율이 낮아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담금질 열처리의 가열 온도 하한을 780℃로 제한할 수 있다. 반면, 담금질 열처리의 가열 온도가 일정 수준을 초과하는 경우, 탄화물이 대부분 재고용되어 목적하는 수준의 탄화물 분율을 확보할 수 없으므로, 본 발명은 담금질 열처리의 가열 온도를 900℃ 이하로 제한할 수 있다.
뜨임 열처리
담금질 열처리 후 소재의 인성 부여를 위해 200~300℃의 온도범위에서 10~60분간 유지하는 뜨임 열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뜨임 열처리 온도가 일정 수준 미만인 경우, 충분한 인성 확보가 어려우므로, 본 발명은 뜨임 열처리 온도를 200℃ 이상으로 제한할 수 있다. 반면, 뜨임 열처리 온도가 일정 수준을 초과하는 경우, 소재의 경도 저하가 우려되므로, 본 발명은 뜨임 열처리 온도의 상한을 300℃로 제한할 수 있다.
전술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강재는 마르텐사이트 기지조직에 잔부 탄화물을 포함하는 미세조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탄화물의 평균 입자 크기는 0.7㎛ 이하일 수 있으며, 상기 탄화물의 분율은 1.6~5면적%일 수 있다. 상기 탄화물의 수밀도는 4*104~17*104개/mm2의 범위일 수 있으며, 상기 탄화물 중 바나듐(V) 함량이 1중량% 이상인 탄화물의 개수는 전체 탄화물 개수 대비 30% 이상의 비율을 차지할 수 있다.
전술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강재의 상온 표면 경도는 58 HRC 이상일 수 있으며, 상대재로 JS-SK85소재를 사용한 핀온디스크 방식(ASTM G99)의 내마모 시험에서 강재의 마모량은 22mg 이하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여 보다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실시예)
표 1의 합금조성으로 구비되는 슬라브를 준비한 후 1200℃의 온도범위에서 가열하고, 900~1150℃의 온도범위에서 열간압연을 실시하였다. 표 2의 조건으로 소둔 열처리를 실시하였으며, 0.6mm 두께의 박강판으로 냉간압연 하였다. 이후 표 2의 조건으로 담금질 및 뜨임 열처리를 실시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담금질 열처리는 표 2의 온도로 가열한 후 급냉하여 실시하였으며, 뜨임 열처리는 250℃의 온도범위에서 30분 동안 유지하는 조건을 적용하였다.
강종 합금조성 (중량%)
C Si Mn Cr V P S
1 0.86 0.21 0.40 0.17 0.15 0.0159 0.0021
2 0.83 0.20 0.37 0.13 0.22 0.0123 0.0015
3 0.93 0.21 0.43 0.18 0.19 0.0141 0.0019
4 0.85 0.17 0.39 0.14 0.01 0.0096 0.0019
5 0.72 0.19 0.44 0.17 0.16 0.0135 0.0024
시편
No.
강종 1차 소둔 2차 소둔 담금질온도
(℃)
유지시간
(min)
승온속도
(℃/min)
소둔온도
(℃)
유지시간
(hr)
소둔온도
(℃)
유지시간
(hr)
A 1 3 630 1 720 15 800 15
B 1 3 580 2 720 15 820 15
C 1 3 600 2 720 15 850 15
D 2 3 630 1 720 15 800 15
E 2 3 600 2 720 15 850 15
F 3 3 630 1 720 15 800 15
G 3 3 600 2 720 15 850 15
H 4 3 630 0.5 720 15 800 15
I 4 3 720 0.5 720 15 850 15
J 5 3 600 2 720 15 850 15
K 1 3 720 0.5 720 15 850 15
L 2 3 600 2 720 15 950 15
M 2 3 600 0.1 720 15 850 15
N 1 7 550 0.5 720 15 850 15
O 2 3 500 0.5 720 15 850 15
각 시편의 미세조직을 관찰하고, 표면경도와 내마모량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3에 기재하였다. 각 시편을 절단 및 경면연마하고 에칭을 실시한 후,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각 시편의 단면 조직을 관찰하였다. 표면경도는 브리넬경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HRC를 측정하였으며, 내마모량은 ASTM G99 시험법에 따라 실시한 후 시료의 무게를 측정하여 마모량을 평가하였다.
시편
No.
강종 경도
(HRC)
탄화물분율
(%)
탄화물크기
(μm)
V 함량이 1% 이상인 탄화물 비율
(%)
탄화물
수밀도
(개/mm2)
마모량
(mg)
A 1 60.6 3.2 0.52 67 1.5 x105 17
B 1 60.7 2.8 0.57 63 1.1 x105 16
C 1 61.0 1.9 0.66 67 5.6 x104 19
D 2 60.1 3.0 0.53 75 1.4 x105 19
E 2 60.3 1.8 0.68 71 5.0 x104 21
F 3 61.2 3.3 0.51 65 1.6 x105 16
G 3 61.5 3.1 0.53 70 1.4 x105 17
H 4 58.6 1.5 0.78 2 3.1 x104 24
I 4 59.1 1.3 0.85 1 2.3 x104 23
J 5 56.3 1.3 0.87 70 2.2 x104 26
K 1 59.8 1.2 0.88 47 2.0 x104 26
L 2 59.5 0.8 1.16 78 7.6 x103 28
M 2 56.8 1.7 0.98 53 2.3 x104 27
N 2 59.7 1.3 0.86 55 2.2 x104 26
O 2 57.0 1.5 0.95 55 2.1 x104 27
표 1 내지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합금조성 및 공정조건을 만족하는 시편들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탄화물 조건을 만족하여 우수한 내마모성을 확보하는 반면, 본 발명의 합금조성 및 공정조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만족하지 않는 시편들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탄화물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며, 열위한 내마모성을 구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8)

  1. 중량%로, C: 0.8~1.0%, Si: 0.1~0.3%, Mn: 0.3~0.5%, Cr: 0.1~0.3%, V: 0.1~0.3%, P: 0.03% 이하, S: 0.005% 이하,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마르텐사이트 기지조직에 1.6~5면적%의 탄화물을 포함하는 미세조직을 가지며,
    상기 탄화물의 평균 입자 크기는 0.51~0.7㎛이고,
    상기 탄화물의 수밀도는 4*104~17*104개/mm2이며,
    상대재로 JS-SK85소재를 사용한 핀온디스크 방식(ASTM G99)의 내마모 시험에서의 마모량이 22mg 이하인, 고탄소 강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물 중 V 함량이 1중량% 이상인 탄화물의 개수는 전체 탄화물 개수 대비 30% 이상인, 고탄소 강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의 상온 표면 경도는 58 HRC 이상인, 고탄소 강재.
  6. 삭제
  7. 중량%로 C: 0.8~1.0%, Si: 0.1~0.3%, Mn: 0.3~0.5%, Cr: 0.1~0.3%, V: 0.1~0.3%, P: 0.03% 이하, S: 0.005% 이하,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슬라브를 재가열하고, 열간압연하고, 권취하는 단계;
    상기 권취된 강재를 1~6℃/min의 승온속도로 가열하여 550~650℃의 온도범위에서 0.5~10시간 동안 유지하는 1차 소둔 단계;
    상기 1차 소둔된 강재를 650~730℃의 온도범위에서 10~30시간 동안 유지하는 2차 소둔 단계;
    상기 2차 소둔된 강재를 20~50%의 압하율로 냉간압연하는 단계;
    상기 냉간압연된 강재를 780~900℃로 가열하고 30분 이하로 유지한 후 50~150℃/s의 냉각속도로 50℃ 이하의 온도범위까지 냉각하는 담금질 열처리 단계; 및
    상기 담금질 열처리된 강재를 200~300℃에서 10~60분간 유지하는 뜨임 열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고탄소 강재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브의 재가열 온도는 1000~1300℃이고,
    상기 열간압연은 850~1150℃의 온도범위에서 행해지며,
    상기 권취는 600~650℃의 온도범위에서 행해지는, 고탄소 강재의 제조방법.

KR1020190171859A 2019-12-20 2019-12-20 고탄소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327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859A KR102327930B1 (ko) 2019-12-20 2019-12-20 고탄소 강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859A KR102327930B1 (ko) 2019-12-20 2019-12-20 고탄소 강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747A KR20210079747A (ko) 2021-06-30
KR102327930B1 true KR102327930B1 (ko) 2021-11-17

Family

ID=76602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1859A KR102327930B1 (ko) 2019-12-20 2019-12-20 고탄소 강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793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57114A (ja) 2011-09-09 2013-03-28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 加工性及び焼入性に優れた中炭素鋼板とその製造方法
JP2016222990A (ja) 2015-06-02 2016-12-28 新日鐵住金株式会社 高炭素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9026882A (ja) * 2017-07-28 2019-02-21 新日鐵住金株式会社 鋼部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365B1 (ko) 2008-08-14 2012-06-08 주식회사 포스코 고탄소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CN103764862B (zh) * 2011-09-09 2016-12-07 新日铁住金株式会社 中碳钢板、淬火构件以及它们的制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57114A (ja) 2011-09-09 2013-03-28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 加工性及び焼入性に優れた中炭素鋼板とその製造方法
JP2016222990A (ja) 2015-06-02 2016-12-28 新日鐵住金株式会社 高炭素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9026882A (ja) * 2017-07-28 2019-02-21 新日鐵住金株式会社 鋼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747A (ko) 202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75378A (ko) 수소지연파괴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선재, 강재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1834996B1 (ko) 경화능이 우수한 고경도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30123913A (ko) 강도 및 내식성이 향상된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강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26074B1 (ko) 템퍼 취성 저항성이 우수한 고탄소 열연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2120699B1 (ko) 인성 및 부식피로특성이 향상된 스프링용 선재, 강선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0856313B1 (ko)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부품용 보론강 선재 및 그제조방법
KR102327930B1 (ko) 고탄소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819383B1 (ko) 열처리 경화형 고탄소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153196B1 (ko) 고탄소 보론강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71035A (ko) 초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348549B1 (ko) 가공성이 우수한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696095B1 (ko) 신선성이 우수한 열처리재의 제조방법
KR102494554B1 (ko) 공구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79830A (ko) 초고강도 스프링용 선재, 강선 및 그 제조방법
KR102531584B1 (ko) 내마모성이 우수한 열연강판, qt 처리된 열연강판 및 그들의 제조방법
KR102327929B1 (ko) 피로수명이 우수한 판 스프링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639886B1 (ko) 피로특성이 우수한 베어링강 및 그 제조 방법
KR101676128B1 (ko) 강도와 연성이 우수한 열처리 경화형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109278B1 (ko) 연질화 열처리의 생략이 가능한 선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494553B1 (ko) 가공성이 우수한 고인성 고탄소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502011B1 (ko) Qt열처리된 고탄소 열연강판, 고탄소 냉연강판, qt열처리된 고탄소 냉연강판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2492641B1 (ko) 내피로특성과 질화처리 특성이 향상된 스프링용 선재, 강선, 스프링 및 그 제조 방법
KR102531462B1 (ko) 인성이 향상된 중탄소 강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98150B1 (ko)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경도 방탄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98149B1 (ko)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경도 방탄강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