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7565B1 - 본콜렉터용 드릴조립체 - Google Patents

본콜렉터용 드릴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7565B1
KR102327565B1 KR1020190136020A KR20190136020A KR102327565B1 KR 102327565 B1 KR102327565 B1 KR 102327565B1 KR 1020190136020 A KR1020190136020 A KR 1020190136020A KR 20190136020 A KR20190136020 A KR 20190136020A KR 102327565 B1 KR102327565 B1 KR 102327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
bone
drill body
elastic stopper
alveolar b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6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1137A (ko
Inventor
김성주
Original Assignee
(주)해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해냄 filed Critical (주)해냄
Priority to KR1020190136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7565B1/ko
Priority to PCT/KR2019/014584 priority patent/WO2021085681A1/ko
Publication of KR20210051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1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35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grafts, harvesting or trans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13Component parts
    • A61B17/1615Drill bits, i.e. rotating tools extending from a handpiece to contact the worked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13Component parts
    • A61B17/1633Sleeves, i.e. non-rotating parts surrounding the bit shaft, e.g. the sleeve forming a single unit with the bit shaf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62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1B17/1673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ja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 A61B2090/033Abutting means, stops, e.g. abutting on tissue or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콜렉터용 드릴조립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본콜렉터용 드릴조립체"는, 선단에 상기 치조골을 절삭하는 절삭날(111a)이 형성된 드릴본체(111)와, 상기 드릴본체(111)의 상부에 일정길이 연장형성된 샹크(118)를 갖는 드릴(110)과;상기 드릴본체(111)의 외부를 감싸게 상기 드릴본체(111)에 결합되며, 탄성적으로 변형이 가능하며 불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는 탄성스토퍼(1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탄성스토퍼(120)는 상하가 개방형성된 원통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스토퍼(120)의 가운데 영역에는 타영역에 비해 두께가 얇고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드릴본체(111)가 상기 치조골(B) 내부로 삽입된 삽입깊이만큼 탄성적으로 접혀져 상기 삽입깊이를 외부로 표시하는 접힘밴드(125)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본콜렉터용 드릴조립체{Drill assembly for bone collector}
본 발명은 본콜렉터용 드릴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드릴이 치조골에 삽입된 깊이를 시술자가 인지할 수 있으며 피시술자의 고통을 줄일 수 있는 본콜렉터용 드릴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용 임플란트는 상단에 나사결합공이 형성되며 치조골에 식립 고정되는 픽스쳐(fixture)와, 픽스쳐의 나사결합공에 나사결합되는 나사축이 하단에 구비되며 상단에 인공치아가 일체로 고정결합되는 어버트먼트(abutment)로 구성된다. 임플란트의 시술을 위해 픽스쳐를 치조골에 매입하고 치조골과 픽스쳐가 유착된 후 픽스쳐에 어버트먼트를 나사결합하여 시술을 완료한다.
이때, 상기 픽스쳐는 치조골에 완전히 매입되도록 시술되며, 어버트먼트는 상측 둘레면이 치조골을 덮고 있는 잇몸에 매입되도록 시술된다. 이러한 치과용 임플란트는 일단 시술이 완료되면 인공치아에 충분한 강도와 수명이 보장되므로, 비교적 높은 가격에도 불구하고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은 임플란트 시술단계 중에서 픽스쳐를 치조골에 식립하기 위해서는 결손된 치아의 잇몸을 절개한 후, 속에 감싸져 있는 치조골을 픽스쳐의 크기에 맞게 절삭한 뒤 픽스쳐를 식립하게 된다. 이때, 치조골 결손부위가 심할 경우 인조골을 사용하여 그 결손부위를 충전하는 시술법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인조골을 사용할 경우 피시술자의 생체조직과 맞지 않아 부작용이 발생 될 수 있는 우려가 있어 피시술자 본인의 치조골을 일부 채집하여 결손된 치조골 내를 충전하는 시술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렇게 치조골을 채집하기 위해 본콜렉터용 드릴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본콜렉터용 드릴(1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본콜렉터용 드릴(10)은 치조골에 삽입되는 드릴본체(11)와, 드릴본체(11)의 외부를 감싸며 내부에 골과 혈액이 수집되는 수집통(13)과, 수집통(13)을 드릴본체(11)의 하부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15)를 포함한다.
도 2는 종래 본콜렉터용 드릴(10)을 이용해 골을 수집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드릴본체(11)의 절삭날이 치조골(B)을 절삭하며 일정 깊이 삽입되면, 삽입깊이만큼 수집통(13)이 상부로 이동된다. 그리고, 수집통(13) 내부에는 골과 피가 수집된다.
수집통(13)은 시술자가 내부에 수집된 골과 피의 양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드릴본체(11)가 삽입된 깊이만큼 수집통(13)이 상방향으로 이동되면, 탄성부재(15)는 수집통(13)이 드릴본체(11)를 덮는 방향, 즉 잇몸 방향으로 수집통(13)을 가압한다.
이에 의해 경질재질의 수집통(13)이 탄성부재(15)의 가압력과 함께 큰 압력(P)으로 환부을 가압하게 되어, 피시술자가 큰 고통을 느끼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특허등록번호 제10-1307112호, "치과용 골 채집기"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시술자가 수집된 골과 혈액의 양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본콜렉터용 드릴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드릴본체가 치조골에 삽입된 깊이를 시술자가 인지할 수 있는 본콜렉터용 드릴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술시 환자에게 가해지는 압력을 줄여 환부의 고통을 줄일 수 있는 본콜렉터용 드릴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치조골을 절삭하여 절삭된 영역의 골과 혈액을 수집하는 본콜렉터용 드릴조립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콜렉터용 드릴조립체는, 선단에 상기 치조골을 절삭하는 절삭날(111a)이 형성된 드릴본체(111)와, 상기 드릴본체(111)의 상부에 일정길이 연장형성된 샹크(118)를 갖는 드릴(110)과;상기 드릴본체(111)의 외부를 감싸게 상기 드릴본체(111)에 결합되며, 탄성적으로 변형이 가능하며 불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는 탄성스토퍼(1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탄성스토퍼(120)는 상하가 개방형성된 원통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스토퍼(120)의 가운데 영역에는 타영역에 비해 두께가 얇고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드릴본체(111)가 상기 치조골(B) 내부로 삽입된 삽입깊이만큼 탄성적으로 접혀져 상기 삽입깊이를 외부로 표시하는 접힘밴드(125)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본콜렉터용 드릴조립체는 드릴본체의 외부에 탄성적으로 변형이 가능하며 반투명한 탄성스토퍼가 결합된다. 탄성스토퍼는 탄성을 가지며 부드러운 소재로 형성되므로, 피시술자의 환부에 닿더라도 피시술자가 고통을 느끼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드릴본체가 치조골 내부로 삽입되면, 삽입되는 깊이만큼 탄성스토퍼의 접힘밴드가 접혀진다. 이에 의해 탄성스토퍼가 환부를 가압하지 않아 피시술자의 고통을 줄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치조골의 절삭부위에서 발생된 골과 혈액은 탄성스토퍼 내부로 수집되고 시술자는 탄성스토퍼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수집된 골과 혈액 양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피시술자는 접힘밴드가 접혀진 형태를 보고 드릴본체가 치조골에 삽입된 깊이를 추측할 수 있다. 특히, 접힘밴드의 상하로 반으로 접히면 드릴본체가 최대 깊이로 삽입된 것으로 판단하고 더 이상 드릴본체를 삽입하지 않게 된다.
도 1은 종래 본콜렉터용 드릴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본콜렉터용 드릴을 이용해 치조골을 절삭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본콜렉터용 드릴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본콜렉터용 드릴조립체의 드릴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본콜렉터용 드릴조립체의 탄성스토퍼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본콜렉터용 드릴조립체를 이용해 치조골을 절삭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볼콜렉터용 드릴조립체(1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본콜렉터용 드릴조립체(100)는 치조골(B)을 절삭하는 드릴(110)과, 드릴(110)의 외부를 감싸게 배치되며 탄성적으로 변형되며 내부에 골과 혈액이 채집되며 드릴(110)의 삽입깊이를 시술자에게 나타내는 탄성스토퍼(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본콜렉터용 드릴조립체(100)는 드릴(110)의 외부에 탄성적으로 변형이 가능한 탄성스토퍼(120)가 결합되어 드릴(110)이 치조골(B)을 절삭하며 치조골(B) 내부로 삽입되면, 탄성스토퍼(120)가 탄성적으로 접혀진다. 이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종래 드릴(10)의 플라스틱 수집통(13)과 같이 환부를 가압하지 않아 피시술자의 고통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탄성스토퍼(120)가 탄성적으로 접혀지는 정도를 육안으로 보거나 손으로 느껴 시술자가 드릴(110)의 삽입깊이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드릴(110)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탄성스토퍼(120)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본콜렉터용 드릴조립체(100)를 이용해 치조골을 절삭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릴(110)은 절삭날(111a)이 형성된 드릴본체(111)와, 드릴본체(111)의 상부에 일정길이 형성되는 샹크(118)와, 샹크(118)와 드릴본체(111)를 연결하는 샹크결합턱(117)과, 샹크결합턱(117)과 드릴본체(111) 사이에 구비되어 탄성스토퍼(120)가 결합되는 스토퍼결합관(115)을 포함한다.
드릴본체(111)는 치조골(B)을 절삭하며, 절삭된 영역에서 생성된 골과 혈액을 수집한다. 드릴본체(111)의 하부에는 절삭날(111a)이 형성된다. 드릴본체(111)의 내부에는 수집공(113)이 관통형성된다.
드릴본체(111)의 외부를 탄성스토퍼(120)가 감싼 상태에서 드릴본체(111)가 회전되면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날(111a)에 의해 치조골(B)에서 절삭된 골과 혈액(C)은 상부로 이동하여 수집공(113) 내부에 수집된다. 수집공(113)에 수집된 골과 혈액은 탄성스토퍼(120)가 외부를 감싸고 있으므로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내부에 수용된다.
샹크(118)는 일정 길이를 갖는 축으로 구비되며, 단부에 핸드피스결합구(119)가 구비된다. 핸드피스결합구(119)가 치과용 핸드피스(미도시)에 결합되면, 치과용 핸드피스(미도시)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드릴(110)이 회전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절삭날(111a)이 치조골(B)을 절삭하게 된다.
드릴본체(111)의 상부에는 스토퍼결합관(115)이 구비되고, 스토퍼결합관(115)과 샹크(118) 사이에는 샹크결합턱(117)이 구비된다. 드릴본체(111)가 제1직경(R1)일 때, 스토퍼결합관(115)은 제1직경(R1) 보다 큰 제2직경(R2)로 구비되고, 샹크결합턱(117)은 제2직경(R2) 보다 큰 제3직경(R3)으로 구비된다(R1<R2<R3).
이때, 제2직경(R2)과 제3직경(R3)의 차이는 도 5에 도시된 탄성스토퍼(120)의 드릴결합관(121)의 제1두께(W1) 보다 크게 구비된다. 이에 의해 도 3과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릴결합관(121)이 스토퍼결합관(115)에 끼워졌을 때 스토퍼결합관(115)이 샹크결합턱(117)에 걸려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탄성스토퍼(120)는 드릴본체(111)의 외부를 감싸 치조골(B)로부터 유입된 골과 혈액(C)의 양을 시술자가 육안을 확인할 수 있게 하고, 드릴본체(111)가 치조골(B) 내부로 삽입되는 깊이를 시술자가 알 수 있게 한다.
탄성스토퍼(120)는 상하가 개방된 원통관 형태로 구비된다. 탄성스토퍼(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릴본체(111)의 스토퍼결합관(115)에 끼워지는 드릴결합관(121)과, 드릴결합관(121) 하부에 드릴결합관(121)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드릴본체(111)가 치조골(B) 내부로 삽입될 때 탄성적으로 접혀지는 접힘밴드(125)와, 접힘밴드(125)의 하부에 구비되어 드릴본체(111)를 감싸는 드릴보호관(123)을 포함한다.
탄성스토퍼(120)는 드릴결합관(121), 접힘밴드(125) 및 드릴보호관(123)이 일체로 성형되어 제조된다. 탄성스토퍼(120)는 시술자의 잇몸에 닿았을 때 잇몸을 가압하지 않도록 말랑말랑한 촉감을 가지며 탄성적으로 용이하게 접혀지는 소재로 형성된다. 또한, 탄성스토퍼(120)는 시술자가 탄성스토퍼(120) 내부에 충진된 골과 혈액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탄성스토퍼(120)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스토퍼(120)의 내경은 스토퍼결합관(115)의 외경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드릴결합관(121)이 스토퍼결합관(115)에 탄성적으로 끼워져 위치가 고정된다. 탄성스토퍼(120)의 외경은 샹크결합턱(117)의 외경 보다는 작게 형성되어 샹크결합턱(117)에 걸려 위치가 고정된다.
탄성스토퍼(120)의 전체길이(ℓ3)는 드릴본체(111)의 길이(ℓ1)와 스토퍼결합관(115)의 길이(ℓ2)를 합한 길이 보다 일정 길이 짧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도 3과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스토퍼(120)가 드릴본체(111)에 결합되었을 때, 절삭날(111a)이 탄성스토퍼(120)의 하부로 일정 길이 노출된다.
이렇게 탄성스토퍼(120)의 하부로 노출된 절삭날(111a)을 절개된 잇몸(A) 사이의 치조골(B) 상단에 배치시키고 핸드피스(미도시)를 구동하면 드릴본체(111)가 회전하며 절삭날(111a)이 치조골(B) 내부로 삽입되게 된다.
접힘밴드(125)는 드릴결합관(121) 및 드릴보호관(123)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접힘밴드(125)의 두께(W2)는 드릴결합관(121) 및 드릴보호관(123)의 두께(W1) 보다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된다.
이렇게 접힘밴드(125)의 두께(W2)가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므로, 드릴본체(111)가 치조골(B) 내부로 삽입되면, 드릴본체(111)가 삽입된 깊이만큼 접힘밴드(125)가 탄성적으로 접혀지며 변형된다. 이러한 접힘밴드(125)의 탄성변형 형상을 보고 시술자는 드릴본체(111)의 삽입깊이를 예측할 수 있다.
여기서, 접힘밴드(125)는 접힘밴드(125)와 드릴결합관(121)의 경계영역, 접힘밴드(125)와 드릴보호관(123)의 경계영역에는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함몰 형성된 상부접힘홈(127)과 하부접힘홈(126)이 각각 구비된다. 상부접힘홈(127)과 하부접힘홈(126)은 도 5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사선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접힘밴드(125)는 단면형상이 일정 곡률을 갖는 원호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의해 접힘밴드(125)는 드릴본체(111)가 삽입되는 깊이만큼 반경방향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접혀지게 된다.
이때, 상부접힘홈(127)과 하부접힘홈(126)이 내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접힘밴드(125)가 보다 용이하게 접혀질 수 있다.
접힘밴드(125)의 전체 길이(ℓ4)는 드릴본체(111)가 치조골(B)에 삽입되어야 하는 최대 깊이의 2배에 해당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릴본체(111)가 치조골(B) 내부로 최대 깊이만큼 삽입되면, 접힘밴드(125)는 접혀지며 상부접힘홈(127)과 하부접힘홈(126)의 내벽면이 서로 닿게 된다.
이렇게 상부접힘홈(127)과 하부접힘홈(126)의 내벽면이 서로 닿게 되면 더 이상 탄성스토퍼(120)가 접혀지지 않게 되고, 접힘밴드(125)가 접혀져 외측으로 튀어나오게 되므로 시술자가 드릴본체(111)가 최대깊이로 삽입되었음을 인지하게 된다.
일례로, 접힘밴드(125)의 전체 길이(ℓ4)는 5mm~6mm 범위로 형성되고, 드릴본체(111)의 최대 삽입깊이는 2.0~2.5mm로 설정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본콜렉터용 드릴조립체(100)의 사용과정을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콜렉터용 드릴조립체(100)는 드릴(110)과 탄성스토퍼(120)를 서로 조립하여 사용한다. 탄성스토퍼(120)는 세척한 후 살균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다.
시술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스토퍼(120)를 드릴본체(111)에 결합한다. 이를 위해 시술자는 탄성스토퍼(120)의 드릴결합관(121)이 상부로 향하도록 드릴본체(111)의 하부에 탄성스토퍼(120)를 끼운다. 그리고, 드릴결합관(121)을 드릴본체(111)의 스토퍼결합관(115)에 끼워 고정한다.
스토퍼결합관(115)에 끼워진 드릴결합관(121)은 샹크결합턱(117)에 막혀 더 이상 상부로 이동되지 않고 위치가 고정된다.
이렇게 드릴(110)과 탄성스토퍼(120)의 결합이 완료되면, 탄성스토퍼(120)의 개방된 하부로 절삭날(111a)이 일정길이 노출된다.
이 상태에서 시술자는 샹크(118)의 핸드피스결합구(119)에 핸드피스(미도시)를 결합하고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이 공급되면 드릴(110)이 회전된다.
시술자는 회전되는 드릴(110)의 절삭날(111a)이 미리 절개한 잇몸(A) 내부로 드러난 치조골(B) 상부에 배치한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콜렉터용 드릴조립체(100)가 치조골(B)의 상부에 배치되면, 드릴결합관(121)과 드릴보호관(123) 및 접힘밴드(125)는 펼쳐진 상태를 유지한다.
절삭날(111a)이 치조골(B)에 닿으면서 회전되면 치조골(B)을 절삭하며 치조골 내부로 삽입된다. 절삭날(111a)이 치조골(B)을 절삭하면서 치조골(B)의 골과 혈액(C)이 절삭날(111a)을 따라 상부로 이동되고 드릴본체(111)의 수집공(113)에 수집된다.
시술자는 불투명한 탄성스토퍼(120)를 통해 내부에 수집된 골과 혈액(C)의 양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드릴본체(111)가 치조골 내부로 삽입되면, 탄성스토퍼(120)는 드릴본체(111)가 삽입되는 삽입깊이만큼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접힘밴드(125)가 가운데를 향해 서로 접혀지게 된다.
드릴본체(111)가 설정된 최대 깊이만큼 치조골(B) 내부로 삽입되면,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힘밴드(125) 상하의 하부접힘홈(126)의 내벽면과 상부접힘홈(127)의 내벽면이 서로 맞닿게 된다. 이렇게 접힘밴드(125)가 반으로 접혀지게 되면 시술자는 접힘밴드(125)가 최대한 접혀진 것을 육안 또는 손으로 만졌을 때 돌출된 정도를 통해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시술자는 더 이상 드릴본체(111)를 치조골 내부로 삽입하지 않고 드릴본체(111)의 삽입깊이를 제한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드릴본체(111)가 치조골 내부로 삽입될 때, 탄성스토퍼(120)는 탄성적으로 접혀지게 되므로 종래 도 1의 드릴(10)의 수집통(13)과 같이 환부를 압박하지 않게 되어 피시술자의 고통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탄성스토퍼(120)는 실리콘과 같이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되므로 피시술자의 환부와 닿더라도 압력을 가하거나 고통을 가하지 않게 된다.
한편, 시술자가 탄성스토퍼(120) 내부에 수집된 골과 혈액(C)의 양을 보고 충분하게 수집된 경우, 드릴본체(111)를 치조골(B) 외부로 분리한다. 드릴본체(111)가 치조골(B) 외부로 분리되면 탄성스토퍼(120)의 접힘밴드(125)는 원상태로 펼쳐지고 도 6의 (a)와 같이 전체 드릴본체(111)를 감싸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본콜렉터용 드릴조립체는 드릴본체의 외부에 탄성적으로 변형이 가능하며 반투명한 탄성스토퍼가 결합된다. 탄성스토퍼는 탄성을 가지며 부드러운 소재로 형성되므로, 피시술자의 환부에 닿더라도 피시술자가 고통을 느끼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드릴본체가 치조골 내부로 삽입되면, 삽입되는 깊이만큼 탄성스토퍼의 접힘밴드가 접혀진다. 이에 의해 탄성스토퍼가 환부를 가압하지 않아 피시술자의 고통을 줄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치조골의 절삭부위에서 발생된 골과 혈액은 탄성스토퍼 내부로 수집되고 시술자는 탄성스토퍼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수집된 골과 혈액 양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피시술자는 접힘밴드가 접혀진 형태를 보고 드릴본체가 치조골에 삽입된 깊이를 추측할 수 있다. 특히, 접힘밴드의 상하로 반으로 접히면 드릴본체가 최대 깊이로 삽입된 것으로 판단하고 더 이상 드릴본체를 삽입하지 않게 된다.
이상 몇 가지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00 : 본콜렉터용 드릴조립체 110 : 드릴
111 : 드릴본체 111a : 절삭날
113 : 수집공 115 : 스토퍼결합관
117 : 샹크결합턱 118 : 샹크
119 : 핸드피스결합구 120 : 탄성스토퍼
121 : 드릴결합관 123 : 드릴보호관
125 : 접힘밴드 126 : 하부접힘홈
127 : 상부접힘홈
A : 잇몸
B : 치조골
C : 골과 혈액

Claims (4)

  1. 치조골을 절삭하여 절삭된 영역의 골과 혈액을 수집하는 본콜렉터용 드릴조립체에 있어서,
    선단에 상기 치조골을 절삭하는 절삭날(111a)이 형성된 드릴본체(111)와, 상기 드릴본체(111)의 상부에 일정길이 연장형성된 샹크(118)를 갖는 드릴(110)과;
    상기 드릴본체(111)의 외부를 감싸게 상기 드릴본체(111)에 결합되며, 탄성적으로 변형이 가능하며 불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는 탄성스토퍼(120)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스토퍼(120)는 상하가 개방형성된 원통관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스토퍼(120)의 가운데 영역에는 타영역에 비해 두께가 얇고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드릴본체(111)가 상기 치조골(B) 내부로 삽입된 삽입깊이만큼 탄성적으로 접혀져 상기 삽입깊이를 외부로 표시하는 접힘밴드(125)를 포함하며,
    상기 접힘밴드(125)는 단면이 일정곡률을 갖는 원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치조골에 대한 상기 드릴본체(111)의 삽입깊이를 상기 탄성스토퍼(120)를 통해 시술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드릴본체(111)의 삽입깊이에 대응하여 상기 탄성스토퍼(120)의 접힘밴드(125)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콜렉터용 드릴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110)은,
    상기 드릴본체(111)와 상기 샹크(118)를 연결하는 샹크결합턱(117)과;
    상기 드릴본체(111)와 상기 샹크결합턱(117) 사이에 상기 드릴본체(111)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샹크결합턱(117)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외주연에 상기 탄성스토퍼(120)가 끼워지는 스토퍼결합관(115)을 포함하며,
    상기 샹크결합턱(117)의 외경은 상기 탄성스토퍼(12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드릴본체(111)에는 상기 골과 혈액이 수집되는 수집공(113)이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콜렉터용 드릴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스토퍼(120)는,
    상기 접힘밴드(125)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스토퍼결합관(115)에 끼움결합되는 드릴결합관(121)과;
    상기 접힘밴드(125)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릴본체(111)의 외부를 감싸는 드릴보호관(123)을 포함하며,
    상기 드릴결합관(121)과 상기 접힘밴드(125)의 경계영역의 외주면과, 상기 드릴보호관(123)과 상기 접힘밴드(125)의 경계영역의 외주면에는 각각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일정 깊이 함몰 형성된 상부접힘홈(127)과 하부접힘홈(126)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콜렉터용 드릴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본체(111)가 기설정된 최대깊이만큼 치조골 내부에 삽입되면, 상기 접힘밴드(125)는 탄성적으로 접혀지며 상기 상부접힘홈(127)의 내벽면과 상기 하부접힘홈(126)의 내벽면이 서로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콜렉터용 드릴조립체.
KR1020190136020A 2019-10-30 2019-10-30 본콜렉터용 드릴조립체 KR102327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020A KR102327565B1 (ko) 2019-10-30 2019-10-30 본콜렉터용 드릴조립체
PCT/KR2019/014584 WO2021085681A1 (ko) 2019-10-30 2019-10-31 본콜렉팅용 드릴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020A KR102327565B1 (ko) 2019-10-30 2019-10-30 본콜렉터용 드릴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137A KR20210051137A (ko) 2021-05-10
KR102327565B1 true KR102327565B1 (ko) 2021-11-17

Family

ID=75716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6020A KR102327565B1 (ko) 2019-10-30 2019-10-30 본콜렉터용 드릴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27565B1 (ko)
WO (1) WO202108568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872B1 (ko) * 2012-05-24 2014-03-17 박병활 치과용 골 채집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694Y1 (ko) * 2005-10-27 2006-01-24 황화수 자가골분 채취장치
JP2009207659A (ja) * 2008-03-04 2009-09-17 Platon Japan:Kk 歯科用骨収集装置
KR100948616B1 (ko) * 2008-07-15 2010-03-18 공용표 스토퍼가 구비된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KR101307112B1 (ko) 2012-04-10 2013-09-10 김성윤 치과용 골 채집기
KR102198293B1 (ko) * 2018-02-21 2021-01-05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드릴을 위한 스토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872B1 (ko) * 2012-05-24 2014-03-17 박병활 치과용 골 채집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137A (ko) 2021-05-10
WO2021085681A1 (ko) 202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2447A (en) Implant fixture, and forceps for implant fixtures
US8155361B2 (en) Insertion device for deep-in-the-canal hearing devices
KR100886400B1 (ko) 치과용 픽스처 포장용기
US20080182225A1 (en) Tooling and Methodology for Maxillary Sinus Elevation
KR101092313B1 (ko)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JP2005319308A (ja) 歯科用くさび
KR101280869B1 (ko) 임플란트 구조체
KR102327565B1 (ko) 본콜렉터용 드릴조립체
KR101854349B1 (ko) 어버트먼트 지그
US20110143308A1 (en) Piezo insert for implant surgical operation
KR200441072Y1 (ko) 치과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고정부시
KR200406694Y1 (ko) 자가골분 채취장치
KR101515790B1 (ko) 힐링어버트먼트 취부용 지그
KR20180078396A (ko) 치과 임플란트 유닛
US20090069834A1 (en) Auxiliary tool for formation of implant pre-hole
KR102276544B1 (ko)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드릴 어셈블리
KR100929258B1 (ko) 의료용 탭핑기구
KR200493997Y1 (ko) 치과용 픽스츄어 시술 커넥터
KR102395906B1 (ko) 치과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보관 케이스
KR200452712Y1 (ko) 치과용 회전기구
EP4042969A1 (en) Implant device in natural tooth shape having detachable dental root
US11202689B2 (en) Combination, system; holding means; dental tool and dental set
KR100923275B1 (ko) 치과용 뼈 절단공구
KR101471803B1 (ko) 상악동 막의 손상 방지 장치
CN218889772U (zh) 用于植牙手术的人工牙根锁入装置及术后维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