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7429B1 - 콘크리트 펌프의 가변 단면을 가지는 꺾인 붐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펌프의 가변 단면을 가지는 꺾인 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7429B1
KR102327429B1 KR1020197034720A KR20197034720A KR102327429B1 KR 102327429 B1 KR102327429 B1 KR 102327429B1 KR 1020197034720 A KR1020197034720 A KR 1020197034720A KR 20197034720 A KR20197034720 A KR 20197034720A KR 102327429 B1 KR102327429 B1 KR 102327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arm
cross
section
bend
concrete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4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6069A (ko
Inventor
젠스 하프너
페터 모글
안스가 뮬러
크누트 카스텐
Original Assignee
푸츠마이스터 엔지니어링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푸츠마이스터 엔지니어링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푸츠마이스터 엔지니어링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00006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6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4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 E04G21/0418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 E04G21/0436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on a mobile support, e.g. truc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4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 E04G21/0418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 E04G21/0445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with bo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68Jibs foldable or otherwise adjustable in configu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4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 E04G21/0418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 E04G21/0427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on a static support, e.g. cr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콘크리트 펌프(1)의 붐 아암(5)과 이동식 콘크리트 펌프(1)에 관한 것이다.
제1 및 제2 단부(10, 11)를 가지는, 특히 콘크리트 펌프(1)의 분배 붐(2)의 붐 아암(5)으로, 적절한 사용 동안 발생하는 주 절곡 하중이 비틀림 하중으로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꺾임부(12)가 붐 아암(5)의 제1 및 제2 단부(10, 11) 사이에 구비되는 붐 아암(5)은, 붐 아암(5)의 꺾임부(12) 너머의 단면의 높이(h)가 붐 아암(5) 단면의 폭(b)보다 더 크고, 붐 아암(5)의 꺾임부(12)의 단면의 폭(b)이 붐 아암(5) 단면의 폭(h)보다 더 크거나 같다.
하부구조(3) 상에 설치된 분배 붐(2)을 가지는 콘크리트 펌프(1)는, 그 적어도 하나가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적어도 두 붐 아암(5)들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펌프의 가변 단면을 가지는 꺾인 붐
본 발명은 이동식 콘크리트 펌프의 붐 아암과 이동식 콘크리트 펌프에 관한 것이다.
이동식 콘크리트 펌프(콘크리트 펌프차; mobile concrete pump)는 일반적으로, 이동식 하부 구조(movable substructure) 상에 배치되고, 이를 통해 유동성(flowable) 콘크리트가 펌핑될(pumped) 수 있는 이송 배관(delivery pipe)이 이를 따라 연장되는 붐 아암(boom arm)을 가진다. 여기서 붐 아암은 서로에 대해 회동축(pivot axis)들 둘레로, 각 경우 붐 아암의 종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는 복수의 붐들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원칙적으로 붐을 이동식 하부 구조와 함께 절첩(fold)할 수 있는데, 이는 소정의 최고 높이를 초과하지 않는다. 여기서 소정의 최고 높이는 예를 들어 도록 교통을 위한 관례적인 통과 높이(clearance height)에 해당하여 이동식 콘크리트 펌프 역시 교향 하부나 터널을 통해 주행할 수 있다.
가능한 한 작아 최대의 가능한 붐 아암 수를 달성하도록 붐을 절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별 붐 아암들이 꺾이게(elbowed) 구성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결과적으로, 전술한 회동축 둘레로 함께 절첩했을 때 붐 아암들이 부분적으로 서로 옆에 위치하여 함께 절첩된 붐 아암들의 세트가 어느 붐 아암도 꺾이지 않은 절첩된 붐 아암들의 대응 세트에 비해 더 낮은 높이를 가지게 된다.
강철로 제조된 꺾인 붐 아암은 종래기술에 알려져 있다. 이 붐 아암의 경우, 동일한 단면적을 가지는 복수의 형강(steel profile)들이 원하는 꺾인 결과를 이루는 방식으로 서로 조립되는데, 꺾인 두 형강들이 기본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이들과 어떤 각도로 연장되는 제3의 형강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작동 동안 붐 아암 상에 작용하는 힘을 흡수하기 위해, 그리고 용접에 의해 꺾임부(elbow)를 산출하기 위해, 형강은 어떤 벽 두께를 가져야 한다. 종래기술에 따른 꺾인 붐 아암은 이에 따라 상당한 중량을 가진다.
특히 이동식 콘크리트 펌프의 가능한 붐 아암들의 수 - 대개 이에 따라 얻어질 수 있는 최대 높이 - 는 종종 콘크리트 펌프의 최대 허용 중량 또는 이와는 달리 최대 허용 차축 부하(axle load)에 의해 제한되어, 개별 붐 아암들 특히 종래기술에 따른 꺾인 붐 아암들의 높은 중량이 단점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의 단점을 더 이상 가지지 않거나 저감되는 꺾인 붐 아암과 이동식 콘크리트 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주 청구항에 청구되는 붐 아암과 하위 청구항 12에 청구되는 이동식 콘크리트 펌프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advantageous development)들은 종속 청구항들의 주제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제1 및 제2 단부를 가지는 붐 아암, 특히 콘크리트 펌프의 분배 붐(placing boom)에 관련되는데, 적절한 사용 동안 비틀림 하중으로 작용하는 절곡 하중(bending load)이 발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꺾인 부분(elbowed section)이 붐 아암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구비되고, 붐 아암이 섬유복합재료(fiber composite material)로 구성되며, 꺾임부 영역 너머에서 붐 아암의 단면에서의 높이가 붐 아암의 단면에서의 폭보다 크고, 꺾임부 영역에서 붐 아암의 단면에서의 폭이 붐 아암의 단면에서의 높이와 같거나 크다.
본 발명은 또한 하부 구조 상에 배치되는 분배 붐을 가지며 적어도 두 붐 아암들을 구비하는 콘크리트 펌프와 관련되는데, 적어도 하나의 붐 아암이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다.
본 발명에 관련되어 사용되는 일부 용어들을 먼저 설명하면:
붐 아암의“폭(width)” 및 “높이(height)”라는 용어들은 붐 아암의 회동축(pivot axis) 둘레의 기하학적 관성 모멘트(moment of inertia)를 연산하는 데 규정되는 바와 같은 치수들을 지칭한다. 이 명세서에서 회동축은 붐 아암이 인접 붐 아암에 대해 그 둘레로 직접 회동할 수 있는, 후자에 대한 축이다.
“연속사 보강 섬유복합재료(continuous fiber-reinforced fiber composite material)”의 경우, 섬유 또는 연속사는 일반적으로 50 mm보다 긴 길이를 가진다. 이 섬유 길이는 특히 이들이 더 이상 압출법(extrusion method)으로 처리될 수 없게 한다. 대신, 이 연속사가 일반적으로 섬유복합재료를 구성할 수 있는 판형 원재료(flat raw material), 즉 로빙(roving)을 산출하도록 처리될 수 있다. 이 명세서에서 로빙(roving)은 기본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연속사들로 구성된 다발(bundle), 가닥(strand), 또는 다섬유 방사(multi-filament yarn)를 지칭한다. "판형 원재료(flat raw material)”는 예를 들어 직물, 부직포, 편조 직물(knitted fabric), 또는 땋은 직물(plaited fabric)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붐 아암이 섬유복합재료로 구성되므로, 원칙적으로 비교대상 강제 붐 아암과 비교하여 중량의 절감이 달성된다. 섬유복합재료의 현저히 더 낮은 비중량(specific weight) 덕분에 비교 가능한 강성을 얻기 위해 벽 두께가 약간 더 크게 선택되더라도 강제 구조에 비해 중량의 상당한 저감이 달성될 수 있다.
특히 꺾이지 않은 붐 아암의 경우 원칙적으로 형상을 유지하면서 재질의 이에 따른 변경이 가능하지만, 본 발명은 꺾인 붐 아암의 경우 이에 따라 재질을 용이하게 대체하거나 적어도 중량을 크게 저감시킬 여유가 없다는 인식에 기반한다. 이는 섬유복합재료로 구성된 꺾인 붐 아암의 경우, 꺾임부 영역에서의 강성이 콘크리트 펌프에 사용하기에 허용될 수 없는 값으로 저하됨이 없이 강제 설계에 비해 벽 두께가 현저히 감소될 수 없다는 사실 자체로 설명된다.
본 발명은 꺾임부의 영역에서 붐 아암 상에 작용하는 수직 하중(normal load)의 일부가 원래 절곡 하중이지만 비틀림 하중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이 인식에 기반하여, 본 발명은 꺾임부 영역에서의 이 하중 인가(loading)의 특별한 형태가 더 큰 벽 두께가 아니라, 대신 부하 인가에 맞춘 형상에 의해 지지되도록(counteracted) 한다. 꺾임부 영역 너머의 붐 아암의 단면에서의 높이가 붐 아암의 단면에서의 폭보다 더 커, 그 결과 특정한 절곡 하중들이 잘 흡수되도록 하는 한편, 꺾임부 영역에서는 붐 아암의 단면에서의 폭이 붐 아암의 단면에서의 높이보다 크거나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단면의 맞춤의 결과, 꺾임부의 영역에서도 벽 두께를 증가시킬 필요 없이 충분한 강성이 대개 용이하게 얻어질 수 있다.
이는 전체적인 붐 아암의 절곡 하중과 붐 아암이 절곡 하중에 직교하는 평면에서 꺾인 붐 아암의 꺾임부 영역에서의 결과적인 비틀림 하중 간의 전술한 연결에서 바로 도출된다. 단지 이 경우에 문제되는 비틀림 하중이 발생된다. 특히 붐 아암은 각 경우 붐 아암이 인접 붐 아암에 대해 그 둘레로 회동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회동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면 내에서 꺾일 수 있다. 이 꺾임부의 경우, 종래기술에 알려진 바와 같이, 붐이 함께 절첩되었을 때 붐 아암들을 나란히 놓는 것이 가능하다.
그 대신 꺾임부 영역에서의 벽 두께가 꺾임부 너머의 벽 두께보다 더 작거나 기본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꺾임부 영역에서의 붐 아암의 단면의 높이는 바람직하기로 꺾임부 너머에서의 붐 아암 단면의 높이와 동일한데, 이 높이는 대개 강성의 문제로 붐 아암에 대한 최대 허용되는 구조적 높이에 해당한다. 이 높이가 붐 아암의 전체 길이에 걸쳐 동일하므로, 붐 아암에 작용하는 절곡 하중이 그 전체 길이에 걸쳐 균일하게 흡수되는 것이 보장된다.
후자는 붐 아암의 높이가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테이퍼(taper)져서 일단에서의 높이가 타단에서보다 더 큰 경우에도 적용된다. 이 경우, 붐 아암의 단면의 높이가 꺾임부 영역에 걸쳐 균일하게 테이퍼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측히 높이의 단계적 변경을 방지하고자 의도한 것이다.
천이의 결과 추가적인 노치 효과(notch effect)가 발생하지 않도록 꺾임부 영역 너머의 붐 아암의 단면과 꺾임부 영역 내의 붐 아암의 단면 사이의 천이가 부드러운 것이 바람직하다. 이 (부드러운) 천이 덕분에, 원칙적으로 붐 아암의 바람직하지 못한 형상 때문에 발생될 수 있는 추가적 하중들도 이에 따라 섬유복합재료 상에 발생되지 않는다.
꺾임부 영역 내의 붐 아암의 단면은 기본적으로 p4 대칭을 가지는 팔각형 베이스에 기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대칭의 축들을 형성하는 모서리가 바람직하기로 다른 모서리들보다 더 크거나 및/또는 단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모서리들이 단면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모서리들보다 더 길다. 이 형상 덕분에 꺾임부 영역 내에 발생되는 절곡 및 비틀림 하중이 용이하게 흡수될 수 있다.
꺾임부 영역 너머의 붐 아암의 단면은 기본적으로 p4 대칭을 가지는 팔각형 베이스에 기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대칭의 축들을 형성하는 모서리가 바람직하기로 다른 모서리들보다 더 크거나 및/또는 단면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모서리들이 단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모서리들보다 더 길다. 꺾임부 영역 너머의 영역에서는 절곡 하중이 지배하므로 이 단면은 최적화된다.
붐 아암의 모서리들의 적어도 일부의 단면이 외측으로 볼록하게 굴곡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꺾임부 영역과 꺾임부 너머의 영역 모두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붐 아암의 비틀림 감성은 이 부분적으로 볼록한 형상에 의해 증가된다.
붐 아암의 단면의 모퉁이들은 둥글리는(rounded) 것이 바람직하다. 이 둥글린 모퉁이들에 의해 응력 피크가 방지되거나 적어도 감소된다.
붐 아암은 관절 점(articulation point)으로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through opening)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관통 개구들 중의 하나가 여기로 개방되는 붐 아암의 외면들의 대향(opposite) 영역들은 서로 평행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예를 들어 힌지 볼트(hinge bolt)가 안내되는 이 관통 개구의 영역에서 외면들이 서로 평행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붐 아암에 예를 들어 다른 붐 아암 등의 구성요소의 부착이 촉진된다.
붐 아암은 바람직하기로 무한(endless) 섬유 보강 섬유복합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며, 섬유상(fibrous) 부직포, 섬유상 직물, 섬유상 땋은 직물,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섬유상 부직포의 경우, 개별 섬유 또는 로빙을 붐 아암의 형상에 최적화된 형식으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직물 기재(woven substrate)에 개별 섬유가 예를 들어 재봉에 의해 고정되어 특별히 제조된 부직포 예비성형품(nonwoven preform)을 원하는 공정에 사용할 수도 있다.
붐 아암을 조립식 매트(prefabricated mat)의 적층으로 제조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여기서 섬유는 달리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0°/+45°/±90°/-45° 또는 ±0°/+30°/+60°/±90°/-60°/-30°의 준(quasi) 등방성(isotropic) 배치가 가능하다. 여기서 층들은 개별적으로 적층되거나 또는 조립식 다층 부직포의 형태로 적층될 수 있다. 기대되는 하중에 대응하는 붐 아암의 형상으로 배설한(laid) 단방향 부직포 역시 사용이 가능하다.
섬유를 배설 동안 또는 배설 후 매트릭스(matrix)를 도입하는 적절한 방법은 종래기술에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섬유는 습식 형태(즉 매트릭스 재질로 함침), 건식 형태(매트릭스 재질의 후속적 도입을 수반), 또는 프리프레그(prepreg)(열가소성 매트릭스 재질로 함침된 섬유)로 위치될 수 있다. 수지, 바람직하기로 에폭시 수지가 특히 매트릭스 재질로 사용될 수 있다.
붐 아암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섬유복합재료의 두 층들 사이에 코어(core) 재질을 구비하여 샌드위치 구조를 형성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이 코어 재질은 예를 들어 발사(balsa) 나무나 발포재(foam)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펌프의 설명은 위 실시예들을 참조하기 바란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도움을 받는 예를 통해 설명하는데, 도면에서:
도 1: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펌프의 예시적 실시예를 보이고;
도 2: 도 1의 콘크리트 펌프의 두 펌프들의 상세도를 보이며;
도 3: 꺾임부 영역에서의 도 2의 꺾인 붐 아암의 단면도를 보이고; 그리고
도 4: 꺾임부 너머의 영역에서의 도 2의 꺾인 붐 아암의 단면도를 보인다.
도 1에 도시된 분배 붐(placing boom; 2)을 가지는 이동식 콘크리트 펌프(1)는 분배 붐(2)이 이동식 하부구조(3) 위에 고정된 트럭 장착 콘크리트 펌프이다. 분배 붐(2)은 절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유압 실린더(4)에 의해 서로에 대해 회동(pivot)할 수 있으며, 그 안에 유동성(flowable) 콘크리트의 이송관(delivery pipe; 6)(그 일부만이 도시됨)이 통과하는 복수의 붐 아암(boom arm; 5)들을 구비한다. 유동성 콘크리트는 하부구조(3) 상에 설치된 중앙 펌프(7)의 도움으로 공급 호퍼(feeding hopper; 8)로부터 이송관(6)을 통해 이송관(6)의 개방단(open end; 6')으로 이송될 수 있다.
도 1의 콘크리트 펌프(1)의 붐 아암(5)들 중 2개가 도 2에 개별적으로 도시되었는데, 두 붐 아암(5)들 중 하나는 꺾인 구조이고(elbowed), 적어도 꺾인 붐 아암(5)은 연속사 보강(continuous fiber-reinforced) 섬유복합재료(fiber composite material)로 구성된다. 두 붐 아암(5)들은 힌지 볼트(hinge bolt; 9)를 통해 서로에 대해 회동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도 2의 꺾인 붐 아암(5)은 붐 아암(5)의 제1 단부(10)와 제2 단부(11) 사이에 배치된 꺾임부(12) 영역을 구비하는데, 꺾임부는 힌지 볼트(9) 및 이에 의해 규정되는 회동축에 평형한 평면 내에 위치한다. 꺾임부 영역에서의 붐 아암(5)의 단면은 도 3에 도시된 한편, 꺾임부 영역(12) 너머의 동일한 붐 아암(5)의 단면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단면들은 각각 점선으로 도시된 모서리(15, 15', 15")들과 마킹(mark)으로 지시된 모퉁이(14)들을 가지며, 일점쇄선으로 지시된 대칭축(16)의 도움으로 각 경우 p4 대칭을 가지는 팔각형 베이스(octagonal base; 13)에 기반한다. 여기서 대칭축(16)들을 형성하는 데 사용된 이들 모서리(15, 15')는 어느 대칭축(16)과도 교차하지 않는 모서리(15")보다 더 길다.
도 3에서 바로 볼 수 있듯, 꺾임부(12) 영역의 단면에서 폭(b)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 모서리(15)가 높이(h) 방향으로 연장되는 모서리(15')보다 더 길다. 꺾임부에서는 그 반대가 적용된다. 도 4에 보이듯, 높이(h)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 모서리(15')가 폭(b) 방향으로 연장되는 모서리(15)보다 더 길다.
붐 아암(5)은 꺾임부(12)(도 3 참조)와 그 너머(도 4 참조)의 영역에서 붐 아암(5)의 모서리(15, 15') 모두 외측으로 볼록하게 굴곡된다. 여기서 곡률은 붐 아암(5)이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한 높이(h)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붐 아암(5)의 상측은 도 2에 보이듯 단(step)을 가지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도 2에서 꺾임부(12) 영역에서의 붐 아암(5)의 단면으로부터 이 영역 너머의 단면으로의 천이가 부드러워 단면의 변화의 결과로 추가적인 노치 효과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가능한 응력 피크를 방지하기 위해 붐 아암(5)은 단면의 모퉁이(14)에서 둥글려져 있다(rounded)(도 3 및 4 참조).
또한 도 4에서 붐 아암(5)이, 두 대향하여 평행한 외면(17)들이 결과되는 방식으로 일부 영역들에서 외측으로 넓어진다. 관통 개구(through opening; 18)(그 축만이 도시됨)가 예를 들어 힌지 볼트(9)(도2 참조)의 통과를 위해 이 평행한 외면(17)에 형성된다. 이 외면(17)들은 다른 관통 개구(18)의 영역에도 구비될 수 있다.
붐 아암(5)은 연속사 보강 섬유복합재료로 한 덩어리로 구성될 수 있는데, 여기서 붐 아암(5)은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조립식 매트들이 적층된다. 붐 아암(5)의 전체 길이에 걸쳐 구조를 생성하는 구성요소들의 수는 일정하다. 결과적으로, 단면적 역시 붐 아암(5)의 번체 길이에 걸쳐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러나 꺾임부(12) 영역에서의 붐 아암(5)의 단면(도 3 참조)이 이 영역 외부(도 4 참조)보다 더 큰 외주(circumference)를 가지므로, 동일한 단면적을 얻도록 꺾임부(12) 영역에서 개별적인 부분들의 벽 두께가 약간 감소된다.

Claims (15)

  1. 제1 및 제2 단부(10, 11)를 가지는 붐 아암(5)으로, 사용 동안 발생하는 주 절곡 하중이 비틀림 하중으로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꺾임부(12)가 상기 붐 아암(5)의 상기 제1 및 제2 단부(10, 11) 사이에 구비되는 붐 아암에서,
    상기 꺾임부(12) 너머에서, 상기 붐 아암(5)의 제1 단면에서의 높이(h)가 상기 붐 아암(5)의 제1 단면에서의 폭(b)보다 더 크고,
    상기 꺾임부(12)에서, 상기 붐 아암(5)의 제2 단면에서의 폭(b)이 상기 붐 아암(5)의 제2 단면의 높이(h)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펌프의 붐 아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꺾임부(12) 너머에서 상기 붐 아암(5)의 제1 단면과 상기 꺾임부(12)에서 상기 붐 아암(5)의 제2 단면 사이의 천이가, 상기 천이의 결과로 추가적인 노치 효과가 발생하지 않도록 부드러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펌프의 붐 아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꺾임부(12)에서의 상기 붐 아암(5)의 제2 단면이 p4 대칭을 가지는 기본적으로 팔각형 베이스(15, 15', 15")를 기반으로 하고, 상기 제2 단면의 상기 폭(b) 방향으로 연장되는 모서리(15)가 상기 제2 단면의 상기 높이(h) 방향으로 연장되는 모서리(15')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펌프의 붐 아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꺾임부(12) 너머에서의 상기 붐 아암(5)의 제1 단면이 p4 대칭을 가지는 기본적으로 팔각형 베이스를 기반으로 하고, 상기 제1 단면의 상기 높이(h) 방향으로 연장되는 모서리(15')가 상기 제1 단면의 상기 폭(b) 방향으로 연장되는 모서리(15)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펌프의 붐 아암.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붐 아암(5)의 적어도 일부 모서리(15, 15', 15")들의 단면이 외측으로 볼록하게 굴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펌프의 붐 아암.
  6. 제 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붐 아암(5)의 단면의 모퉁이(14)가 둥글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펌프의 붐 아암.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붐 아암(5)이 관절 점으로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18)를 가지고,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18)가 형성되는 상기 붐 아암(5)의 외면(17)들의 대향 영역들이 각각 서로 평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펌프의 붐 아암.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꺾임부(12)에서의 벽 두께가 상기 꺾임부(12) 너머에서의 벽 두께보다 더 작거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펌프의 붐 아암.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꺾임부(12)에서의 단면적이 상기 꺾임부(12) 너머에서 단면적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펌프의 붐 아암.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꺾임부(12)에서의 상기 붐 아암(5)의 제2 단면의 상기 높이(h)가, 상기 꺾임부(12) 너머에서의 상기 붐 아암(5)의 제1 단면의 상기 높이(h)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펌프의 붐 아암.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붐 아암(5)의 상기 높이(h)가 상기 한 단부(10)로부터 다른 단부(11)까지에 걸쳐, 역시 상기 꺾임부(12) 영역에도 걸쳐 균일하게 테이퍼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펌프의 붐 아암.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붐 아암(5)이 연속사 보강 섬유복합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펌프의 붐 아암.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꺾임부(12)에서, 상기 붐 아암(5)의 제2 단면에서의 상기 폭(b) 방향으로 연장되는 모서리(15)가 상기 제2 단면의 상기 높이(h) 방향으로 연장되는 모서리(15')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펌프의 붐 아암.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꺾임부(12) 너머에서, 상기 붐 아암(5)의 제1 단면에서의 상기 제1 단면의 상기 높이(h) 방향으로 연장되는 모서리(15')가 상기 제1 단면의 상기 폭(b) 방향으로 연장되는 모서리(15)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펌프의 붐 아암.
  15. 하부구조(3) 위에 설치된 분배 붐(2)을 가지며, 적어도 두 붐 아암(5)들을 구비하는 콘크리트 펌프(1)에서,
    제 1항 내지 제4항, 제7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하나의 붐 아암(5)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펌프.
KR1020197034720A 2017-05-12 2018-05-09 콘크리트 펌프의 가변 단면을 가지는 꺾인 붐 KR1023274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208031.0A DE102017208031A1 (de) 2017-05-12 2017-05-12 Gekröpfter Auslegerarm mit veränderlichem Querschnitt für mobile Betonpumpen
DE102017208031.0 2017-05-12
PCT/EP2018/062109 WO2018206703A1 (de) 2017-05-12 2018-05-09 Gekröpfter auslegerarm mit veränderlichem querschnitt für mobile betonpump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6069A KR20200006069A (ko) 2020-01-17
KR102327429B1 true KR102327429B1 (ko) 2021-11-17

Family

ID=62196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4720A KR102327429B1 (ko) 2017-05-12 2018-05-09 콘크리트 펌프의 가변 단면을 가지는 꺾인 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52788B2 (ko)
EP (1) EP3622133B1 (ko)
KR (1) KR102327429B1 (ko)
CN (1) CN110621833B (ko)
DE (1) DE102017208031A1 (ko)
WO (1) WO20182067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164579A (ja) 2021-04-16 2022-10-27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生体電極組成物、生体電極、及び生体電極の製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2514A (ja) * 2003-10-06 2005-04-28 Tadano Ltd 伸縮ブーム
US20110220228A1 (en) * 2010-03-12 2011-09-15 Cifa Spa Arm to distribute concrete and relative production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12761A (en) * 1966-06-09 1968-11-26 Ohio Brass Co Insulating boom and method of manufacture
AT332101B (de) * 1969-06-10 1976-09-10 Schwing Friedrich Vorrichtung zum verteilen von beton
US3893480A (en) * 1973-12-26 1975-07-08 Glenn G Dunbar Hydraulic line assembly
US4171597A (en) * 1976-01-29 1979-10-23 Coles Cranes Limited Crane boom and telescopic section for it
US4262696A (en) * 1978-05-16 1981-04-21 Rotec Industries, Inc. Swivel arm concrete placer
US5238716A (en) * 1991-07-19 1993-08-24 Yutaka Adachi Composite beam having a hollow cross section
JPH06313325A (ja) * 1993-04-30 1994-11-08 Komatsu Ltd 建設機械用作業機のブーム部材
DE19829829A1 (de) * 1998-07-03 2000-01-13 Grove Us Llc Shady Grove Verbundwerkstoff-Teleskopteil und -ausleger
DE10106427B4 (de) * 2001-02-12 2006-06-22 Schwing Gmbh Verteilervorrichtung für Dickstoffe, insbesondere für Beton
US6786233B1 (en) * 2001-02-23 2004-09-07 Schwing America, Inc. Boom utilizing composite material construction
US6719009B1 (en) * 2001-02-23 2004-04-13 Schwing America, Inc. Composite material piping system
US6698451B2 (en) * 2001-02-23 2004-03-02 Schwing America, Inc. Conveying pipeline mounted inside a boom
DE20120121U1 (de) * 2001-12-12 2002-03-07 Grove Us Llc Shady Grove Teleskopausleger für einen Fahrzeugkran
US6913041B2 (en) * 2002-10-15 2005-07-05 Construction Forms, Inc. Tapered boom hose
DE102008013203A1 (de) * 2008-03-08 2009-09-17 Terex-Demag Gmbh Ausleger zur endseitigen Aufnahme von Lasten, Ausleger-Baugruppe mit mindestens zwei derartigen Auslegern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erartigen Auslegers
US8505184B2 (en) * 2009-03-13 2013-08-13 Cifa Spa Method to make an arm for the distribution of concrete, and arm thus made
US9290363B2 (en) * 2011-07-21 2016-03-22 Manitowoc Crane Companies, Llc Tailor welded panel beam for construction machi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8991029B2 (en) * 2011-09-26 2015-03-31 Caterpillar Inc. Beam structure
ITMI20120206A1 (it) * 2012-02-14 2013-08-15 Cifa Spa Segmento di un braccio articolato e braccio articolato comprendente detto segmento
DE102012213727A1 (de) * 2012-08-02 2014-02-06 Putzmeister Engineering Gmbh Betonverteilermast für Betonpumpen
DE102012224340A1 (de) * 2012-12-21 2014-06-26 Putzmeister Engineering Gmbh Mastarm für einen Betonverteilermast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CN103332610B (zh) * 2013-07-09 2016-03-09 武汉理工大学 一种碳纤维复合材料臂架端部的连接结构
CN103352572A (zh) * 2013-08-01 2013-10-16 徐州徐工施维英机械有限公司 一种混凝土泵车的臂架以及混凝土泵车
DE102014215947A1 (de) * 2014-08-12 2016-03-03 Putzmeister Engineering Gmbh Hohlkörper
DE102014012493A1 (de) * 2014-08-27 2016-03-03 Schwing Gmbh Knickmast
DE102015108473A1 (de) * 2015-05-28 2016-12-01 Schwing Gmbh Großmanipulator mit schnell ein- und ausfaltbarem Knickmast
DE102016112748A1 (de) * 2016-07-12 2018-01-18 Schwing Gmbh Großmanipulator mit gewichtoptimiertem Knickmast
DE102017203705A1 (de) * 2017-03-07 2018-09-13 Putzmeister Engineering Gmbh Auslegerarmsystem mit bauraumreduzierender Einfaltstellung
US10806105B2 (en) * 2017-10-04 2020-10-20 Deere & Company System of integrated passageways in a carbon fiber boom and method thereof
AT520543B1 (de) * 2018-01-23 2019-05-15 Schwing Gmbh F Großmanipulator mit Endschlauchhalter
US10697148B2 (en) * 2018-04-11 2020-06-30 Deere & Company Hybrid loader boom arm assembly
US10662609B2 (en) * 2018-04-11 2020-05-26 Deere & Company Hybrid loader boom arm assembly
DE102019107456A1 (de) * 2019-03-22 2020-09-24 Schwing Gmbh Knickmast mit Mastsegment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astsegment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2514A (ja) * 2003-10-06 2005-04-28 Tadano Ltd 伸縮ブーム
US20110220228A1 (en) * 2010-03-12 2011-09-15 Cifa Spa Arm to distribute concrete and relative produc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7208031A1 (de) 2018-11-15
CN110621833A (zh) 2019-12-27
US20200199897A1 (en) 2020-06-25
US11952788B2 (en) 2024-04-09
WO2018206703A1 (de) 2018-11-15
EP3622133A1 (de) 2020-03-18
CN110621833B (zh) 2022-05-31
EP3622133B1 (de) 2022-04-20
KR20200006069A (ko) 2020-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73847B (zh) 具有结合在一起的多个分段的风轮机叶片
CN101855396B (zh) 用于加强风力涡轮机叶片结构的结构垫、风力涡轮机叶片和制造风力涡轮机叶片的方法
CN104114856B (zh) 风轮机叶片
US8105523B2 (en) Reinforcement beam as well as method and fiber laminate for manufacturing the reinforcement beam
JP6104541B2 (ja) スキン及びスティフナーを含む構造体の製造方法
NL2015927B1 (en) Composite grid structure.
CN102493651B (zh) 混凝土设备及其臂架
DK2361752T3 (en) Component-component fiber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EP3658767B1 (en) Web foot for a shear web
DK2678263T3 (en) Method of manufacturing arms in a composite material for distributing concrete and thus obtained arm
KR102327429B1 (ko) 콘크리트 펌프의 가변 단면을 가지는 꺾인 붐
US20210229757A1 (en) Fiber Composite Body and Method for Producing a Fiber Composite Body
EP2727820B1 (en) Stringer
CN102232037B (zh) 飞行器的平面的结构部件和其加工方法
CN104029254A (zh) 带有cfk衬料的导轨
CN104602897B (zh) 功能优化的纤维复合构件及其制造方法
KR101818883B1 (ko) 분절형 합성거더 및 이의 시공방법
ITMI20110862A1 (it) Braccio telescopico per gru e gru comprendente tale braccio
JP2022520800A (ja) 複合積層体の安定化のための複合ロッド
DE102017102366A1 (de) Endverankerung von textilen Flächengebilden
EP4000843A1 (en) Fiber structure and fiber-reinforced composite
RU2641867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композитного конструктивного элемента, композитный конструктивный элемент и ветроэнергетическая установка
EP2256035B1 (en) Rotor blade with flat unidirectional fiber layers
US10870992B2 (en) Reinforcement arrange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a construction material body using the reinforcement arrangement
CN215888669U (zh) 一种建筑外墙内置保温系统及断桥连接杆的定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