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7063B1 - 신발 - Google Patents
신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27063B1 KR102327063B1 KR1020200163093A KR20200163093A KR102327063B1 KR 102327063 B1 KR102327063 B1 KR 102327063B1 KR 1020200163093 A KR1020200163093 A KR 1020200163093A KR 20200163093 A KR20200163093 A KR 20200163093A KR 102327063 B1 KR102327063 B1 KR 1023270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id
- midsole
- concave
- carbon
- convex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5—Elasticated plates sandwiched between two interlocking components, e.g. thrustor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보행시 에너지소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이 신발은 지면과 접촉하도록 제공되는 아웃솔과, 아웃솔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1 미드솔 및 제2 미드솔과, 제1 미드솔 및 제2 미드솔 사이에 구비되되, 제1 미드솔 및 제2 미드솔과 닮은꼴 형태로 제공되는 카본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신발은 지면과 접촉하도록 제공되는 아웃솔과, 아웃솔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1 미드솔 및 제2 미드솔과, 제1 미드솔 및 제2 미드솔 사이에 구비되되, 제1 미드솔 및 제2 미드솔과 닮은꼴 형태로 제공되는 카본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신발에 관한 것이다.
신발은 착용시 발을 감싸서 보호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보행을 보다 편안하게 하고 각종 운동 및 작업의 능률을 높여주는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사람의 발바닥은 아치형으로 만곡되어 있는 바, 보행시 발에 반동을 주고 착지시에는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하중을 완화시키며 발바닥의 신경을 보호할 수 있도록 신발의 바닥면 또한 발의 아치에 맞는 형상으로 제조되어야 편안한 보행이 가능하다.
한편, 신발은 착용 상태에서 사람이 편안하게 보행하기 위해서 착지 동작에 따른 발목의 꺾임이 상대적으로 적게 발생하는 안정성을 가져야 하며, 나아가 발을 내딛일 때 지면 또는 체중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 하중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쿠셔닝 기능(이하, "충격흡수성"이라 한다)을 가져야 한다.
보행시 신발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다양한 재질 또는 구조의 밑창이 적용될 수 있는데, 구두의 굽과 같이 딱딱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밑창의 경우, 발뒤꿈치가 지면에 닿을 때의 충격이 발에 그대로 전달되기 때문에 장시간 보행이나 많이 뛰는 운동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통상적인 운동화 밑창과 같이 두껍고 유연한 재질의 밑창이 적용되는 경우, 충격흡수성은 상대적으로 우수하나 밑창이 수축 후 복원하는데 다소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착지 후 다음 동작을 위하여 보다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게 되고 전체적으로 탄성 변형되기 때문에 발목의 꺾임이 심해져서 사용자의 피로도가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신발은 충격흡수성을 우수하게 설계하면 안정성이 저하되고, 안정성을 우수하게 설계하면 충격흡수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는바, 충격흡수성과 안정성을 모두 만족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보행시의 충격 하중을 효과적으로 흡수및 분산하여 충격흡수성이 우수하고, 보행시 에너지소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면과 접촉하도록 제공되는 아웃솔; 상기 아웃솔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1 미드솔 및 제2 미드솔; 및 상기 제1 미드솔 및 상기 제2 미드솔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제1 미드솔 및 상기 제2 미드솔과 닮은꼴 형태로 제공되는 카본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신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카본 플레이트는 발바닥의 중심부를 지지하기 위해 볼록하게 곡률 형성되는 카본 볼록부; 발바닥의 전방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카본 볼록부의 전단부에 오목하게 곡률 형성되는 전방 카본 오목부; 및 발바닥의 후방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카본 볼록부의 후단부에 오목하게 곡률 형성되는 후방 카본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미드솔은 하면에 제1 미드 평탄면을 제공하고, 상면에 제1 미드 볼록면을 제공하는 제1 미드 볼록부; 전방으로 상향 곡률되는 제1 전방 볼록면을 하면에 제공하고, 상기 전방 카본 오목부에 매칭되는 제1 전방 오목면을 상면에 제공하는 제1 전방 미드 오목부; 및 후방으로 상향 곡률되는 제1 후방 볼록면을 하면이 제공하고, 상기 후방 카본 오목부에 매칭되는 제1 후방 오목면을 상면에 제공하는 제1 후방 미드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미드솔은 상기 카본 볼록부에 매칭되는 제2 미드 볼록면을 하면에 제공하고, 발바닥의 중심부에 매칭되는 제2 중심풋 볼록면을 상면에 제공하는 제2 미드 볼록부; 상기 전방 카본 오목부에 매칭되는 제2 전방 오목면을 하면에 제공하고, 발바닥의 전방부에 매칭되는 제2 전방풋 오목면을 상면에 제공하는 제2 전방 미드 오목부; 및 상기 후방 카본 오목부에 매칭되는 제2 후방 오목면을 하면에 제공하고, 발바닥의 후방부에 매칭되는 제2 후방풋 오목면을 상면에 제공하는 제2 후방 미드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미드솔은 상기 제1 미드 볼록부와 상기 제1 전방 미드 오목부 사이에 관통되어 연장 형성되는 전방 길이방향 슬릿부; 및 상기 제1 미드 볼록부와 상기 제2 후방 미드 오목부 사이를 관통되어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전방 길이방향 슬릿부와 동일 선상에서 이격되게 배치되는 후방 길이방향 슬릿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미드솔은 상기 제2 전방풋 오목면에서 신발의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폭방향 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미드 볼록부는 상기 제2 미드 볼록부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갖고, 상기 제1 전방 미드 오목부는 상기 제2 전방 미드 오목부보다 더 얇은 두께를 갖고, 상기 제1 후방 미드 오목부는 상기 제2 후방 미드 오목부보다 더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본 플레이트는 전체 소재에 대해서 카본 성분이 적어도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본 플레이트가 적용된 신발을 통한 보행시, 신체의 하중에 저항하는 반발력이 증가될 수 있고, 특히, 장시간 보행시, 하지 근육의 활동을 적게하여 에너지소비에 있어 보다 효율적이며 피로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보행시 신발의 작용 효과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신발의 하중에 대한 지지력 및 반발력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보행시 신발의 작용 효과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신발의 하중에 대한 지지력 및 반발력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 '접속', '공급', '전달', '접촉'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 접속, 공급, 전달, 접촉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10)은, 아웃솔(100), 제1 미드솔(200), 제2 미드솔(300), 카본 플레이트(400) 및 힐컵(50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웃솔(100)은 신발의 맨 바닥면에 위치되어 지면과 직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아웃솔(100)의 바닥면에는 지면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홈/돌기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아웃솔(100)의 상부에는 제1 미드솔(200), 카본 플레이트(400) 제2 미드솔(300) 및 힐컵(500)이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제1 미드솔(200)은 아웃솔(100)의 상부와 카본 플레이트(400)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이 제1 미드솔(200)은 제1 미드 볼록부(210), 제1 전방 미드 오목부(220), 제1 후방 미드 오목부(230), 전방 길이방향 슬릿부(240) 및 후방 길이방향 슬릿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미드 볼록부(210)는 제1 미드솔(200)의 중심부에서 상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제1 미드 볼록부(210)의 하면에는 제1 미드 평탄면(211)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미드 평탄면(211)은 아웃솔(100)의 상면과 전체적으로 매칭될 수 있다. 다만, 제1 미드 평탄면(211)의 적어도 일부는, 아웃솔(100)에 관통하여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제1 미드 볼록부(210)의 상면에는 제1 미드 볼록면(2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미드 볼록면(212)은 카본 플레이트(400)의 하면과 매칭되도록 볼록한 곡률면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전방 미드 오목부(220)는 제1 미드솔(200)의 전방부에서 상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방 미드 오목부(220)는 전방 변곡부위를 중심으로 제1 미드 볼록부(210)의 전방측에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전방 변곡부위는 제1 미드솔(200)의 볼록한 형상에서 오목한 형상으로 변곡이 이루어지는 제1 미드솔(200)의 전방측 변곡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 제1 전방 미드 오목부(220)의 하면에는 전방으로 상향 곡률되는 제1 전방 볼록면(221)이 형성될 수 있고, 제1 전방 미드 오목부(220)의 상면에는 카본 플레이트(400)의 전방 카본 오목부(420)에 매칭되는 제1 전방 오목면(22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후방 미드 오목부(230)는 제1 미드솔(200)의 후방부에서 상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후방 미드 오목부(230)는 후방 변곡부위를 중심으로 제1 미드 볼록부(210)의 후방측에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후방 변곡부위는 제1 미드솔(200)의 볼록한 형상에서 오목한 형상으로 변곡이 이루어지는 제1 미드솔(200)의 후방측 변곡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1 후방 미드 오목부(230)의 하면에는 후방으로 상향 곡률되는 제1 후방 볼록면(231)이 형성될 수 있고, 제1 후방 미드 오목부(230)의 상면에는 후방 카본 오목부(430)에 매칭되는 제1 후방 오목면(232)이 형성될 수 있다.
전방 길이방향 슬릿부(240)는 제1 미드 볼록부(210)와 제1 전방 미드 오목부(220) 사이에 관통되어 연장 형성되는 슬릿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후방 길이방향 슬릿부(250)는 제1 미드 볼록부(210)와 제1 후방 미드 오목부(230) 사이를 관통되어 연장 형성되는 슬릿 형상일 수 있다. 이들 전방 길이방향 슬릿부(240) 및 후방 길이방향 슬릿부(250)는, 제1 미드솔(200)의 동일 선상에서 길이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미드솔(300)은 아웃솔(100)의 상부, 보다 자세하게는 카본 플레이트(4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미드솔(300)은 제2 미드 볼록부(310), 제2 전방 미드 오목부(320), 제2 후방 미드 오목부(330) 및 폭방향 홈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미드 볼록부(310)는 제2 미드솔(300)의 중심부에서 상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미드 볼록부(310)의 하면에는 카본 볼록부(410)에 매칭되는 제2 미드 볼록면(3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미드 볼록부(310)의 상면에는 발바닥의 중심부에 매칭되는 제2 중심풋 볼록면(3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방 미드 오목부(320)는 제2 미드솔(300)의 전방부에서 상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방 미드 오목부(320)는 전방 변곡부위를 중심으로 제2 미드 볼록부(310)의 전방측에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전방 변곡부위는 제2 미드솔(300)의 볼록한 형상에서 오목한 형상으로 변곡이 이루어지는 제2 미드솔(300)의 전방측 변곡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전방 미드 오목부(320)의 하면에는 전방 카본 오목부(420)에 매칭되는 제2 전방 오목면(32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방 미드 오목부(320)의 상면에는 발바닥의 전방부에 매칭되는 제2 전방풋 오목면(32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후방 미드 오목부(330)는 제2 미드솔(300)의 후방부에서 상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후방 미드 오목부(330)는 후방 변곡부위를 중심으로 제2 미드 볼록부(310)의 후방측에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후방 변곡부위는 제2 미드솔(300)의 볼록한 형상에서 오목한 형상으로 변곡이 이루어지는 제2 미드솔(300)의 후방측 변곡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후방 미드 오목부(330)의 하면에는 후방 카본 오목부(430)에 매칭되는 제2 후방 오목면(33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후방 미드 오목부(330)의 상면에는 발바닥의 후방부에 매칭되는 제2 후방풋 오목면(332)이 형성될 수 있다.
폭방향 홈부(340)는 제2 전방풋 오목면(322)에서 신발의 전,후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슬릿 형상일 수 있다. 각각의 폭방향 홈부(340)는 제2 전방풋 오목면(322)에서 신발의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폭방향 홈부(340)이 제2 전방풋 오목면(322)에 형성되므로, 보행시 폭방향 홈부(340)의 홈 형태의 공간을 이용하여 제2 미드솔(300)의 원할한 굽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들 제1 미드솔(200) 및 제2 미드솔(300)은, 길이방향으로 서로 다른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미드 볼록부(210)의 두께(L1)는 제2 미드 볼록부(310)의 두께(H1)보다 더 두꺼운 두께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전방 미드 오목부(220)의 두께(L2)는 제2 전방 미드 오목부(320)의 두께(H2)보다 더 얇은 두께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후방 미드 오목부(230)의 두께(L3)는 제2 후방 미드 오목부(330)의 두께(H3)보다 더 얇은 두께를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미드솔(200) 및 제2 미드솔(300)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다른 두께를 적용함으로써, 보행시 충격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보행시, 신체의 무게중심이 안정적으로 옮겨지면서 균형잡힌 보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보행시 발생되는 충격 및 압력이 효과적으로 흡수되어, 사용자의 피로도가 감소될 수 있다.
카본 플레이트(400)는 제1 미드솔(200) 및 제2 미드솔(30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카본 플레이는 제1 미드솔(200) 및 제2 미드솔(300)과 닮은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본 플레이트(400)는 제1 미드솔(200) 및 제2 미드솔(30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면서, 크기는 더 작게 제작될 수 있다.
카본 플레이트(400)는 카본 볼록부(410), 전방 카본 오목부(420) 및 후방 카본 오목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본 볼록부(410)는 제1 미드 볼록부(210) 및 제2 미드 볼록부(3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카본 볼록부(410)는 발바닥의 중심부를 지지하기 위해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곡률 형성될 수 있다.
전방 카본 오목부(420)는 제1 전방 미드 오목부(220) 및 제2 전방 미드 오목부(3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전방 카본 오목부(420)는 발바닥의 전방부를 지지하도록 카본 볼록부(410)의 전방부에 상방향으로 오목하게 곡률 형성될 수 있다.
후방 카본 오목부(430)는 제1 후방 미드 오목부(230) 및 제2 후방 미드 오목부(3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후방 카본 오목부(430)는 발바닥의 후방부를 지지하도록 카본 볼록부(410)의 후방부에 상방향으로 오목하게 곡률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카본 플레이트(400)는 전체 소재에 대해서 카본 성분이 적어도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카본 플레이트(400)는 전체 소재에 대해서 카본 성분이 20중량%으로 구성될 수 있다.
카본 플레이트(400)에 포함된 카본 성분의 물성 실험결과, 카본 성분이 20중량% 포함된 카본 플레이트가 적용된 신발이, 카본 성분이 15중량% 또는 30중량% 포함된 카본 플레이트가 적용된 신발보다 강연도-비틀림방향, 강연도-길이방향 테스트에서 높은 결과가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카본 플레이트가 적용된 신발에 대한 감성테스트 결과, 장기 착화 초반 10km 시점에서는 종래 신발(일 예로, 퀀텀 인피니티)의 쿠셔닝이 본 발명과 비교하여 우수하다고 응답되었으나, 20km 보행을 마친 후에는 본 발명의 쿠셔닝이 우수하다고 응답되었고, 편암함에 있어서도 더 큰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신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보행시 신발의 작용 효과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신발의 하중에 대한 지지력 및 반발력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 보행하는 경우, 사용자의 신발이 지면(G)에 착지될 때, 사용자의 뒤꿈치가 1차적으로 착지한 후(1단계: 도 5의 a), 발 전체가 접촉하게 되며(2단계: 도 5의 b), 계속해서 전족(앞꿈치)이 추진(3단계: 도 5의 c)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탄성계수가 높은 카본 성분이 첨가된 카본 플레이트(400)를 신발의 전체면에 대해서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의 보행시, 발바닥이 바닥면에 닿는 단계별(1단계, 2단계, 3단계) 반발력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카본 볼록부(410)의 볼록한 형태가 사용자의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높일 수 있고(도 6의 b), 전방 카본 오목부(420) 및 후방 카본 오목부(430)의 오목한 형태가 사용자의 하중에 대한 반발력을 높일 수 있다(도 6의 a,c).
이와 같이, 카본 플레이트(400)가 적용된 신발을 이용한 보행시, 신체의 하중에 저항하는 반발력이 증가될 수 있고, 특히, 장시간 보행시, 하지 근육의 활동을 적게하여 에너지소비에 있어 보다 효율적이며 피로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0: 아웃솔 200: 제1 미드솔
210: 제1 미드 볼록부 211: 제1 미드 평단면
211: 제1 미드 볼록면 220: 제1 전방 미드 오목부
221: 제1 전방 볼록면 222: 제1 전방 오목면
230: 제1 후방 미드 오목부 231: 제1 후방 볼록면
232: 제1 후방 오목면 240: 전방 길이방향 슬릿부
250: 후방 길이방향 슬릿부 300: 제2 미드솔
310: 제2 미드 볼록부 311: 제2 미드 볼록면
312: 제2 중심풋 볼록면 320: 제2 전방 미드 오목부
321: 제2 전방 오목면 322: 제2 전방풋 오목면
330: 제2 후방 미드 오목부 331: 제2 후방 오목면
332: 제2 후방풋 오목면 340: 전방 길이방향 슬릿부
350: 후방 길이방향 슬릿부 400: 카본 플레이트
410: 카본 볼록부 420: 전방 카본 오목부
430: 후방 카본 오목부
210: 제1 미드 볼록부 211: 제1 미드 평단면
211: 제1 미드 볼록면 220: 제1 전방 미드 오목부
221: 제1 전방 볼록면 222: 제1 전방 오목면
230: 제1 후방 미드 오목부 231: 제1 후방 볼록면
232: 제1 후방 오목면 240: 전방 길이방향 슬릿부
250: 후방 길이방향 슬릿부 300: 제2 미드솔
310: 제2 미드 볼록부 311: 제2 미드 볼록면
312: 제2 중심풋 볼록면 320: 제2 전방 미드 오목부
321: 제2 전방 오목면 322: 제2 전방풋 오목면
330: 제2 후방 미드 오목부 331: 제2 후방 오목면
332: 제2 후방풋 오목면 340: 전방 길이방향 슬릿부
350: 후방 길이방향 슬릿부 400: 카본 플레이트
410: 카본 볼록부 420: 전방 카본 오목부
430: 후방 카본 오목부
Claims (8)
- 지면과 접촉하도록 제공되는 아웃솔;
상기 아웃솔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1 미드솔 및 제2 미드솔; 및
상기 제1 미드솔 및 상기 제2 미드솔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제1 미드솔 및 상기 제2 미드솔과 닮은꼴 형태로 제공되는 카본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카본 플레이트는
발바닥의 중심부를 지지하기 위해 볼록하게 곡률 형성되는 카본 볼록부와, 발바닥의 전방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카본 볼록부의 전단부에 오목하게 곡률 형성되는 전방 카본 오목부와, 발바닥의 후방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카본 볼록부의 후단부에 오목하게 곡률 형성되는 후방 카본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미드솔은
하면에 제1 미드 평탄면을 제공하고, 상면에 제1 미드 볼록면을 제공하는 제1 미드 볼록부와, 전방으로 상향 곡률되는 제1 전방 볼록면을 하면에 제공하고, 상기 전방 카본 오목부에 매칭되는 제1 전방 오목면을 상면에 제공하는 제1 전방 미드 오목부와, 후방으로 상향 곡률되는 제1 후방 볼록면을 하면이 제공하고, 상기 후방 카본 오목부에 매칭되는 제1 후방 오목면을 상면에 제공하는 제1 후방 미드 오목부와, 상기 제1 미드 볼록부와 상기 제1 전방 미드 오목부 사이에 관통되어 연장 형성되는 전방 길이방향 슬릿부와, 상기 제1 미드 볼록부와 상기 제1 후방 미드 오목부 사이를 관통되어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전방 길이방향 슬릿부와 동일 선상에서 이격되게 배치되는 후방 길이방향 슬릿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미드솔은
상기 카본 볼록부에 매칭되는 제2 미드 볼록면을 하면에 제공하고, 발바닥의 중심부에 매칭되는 제2 중심풋 볼록면을 상면에 제공하는 제2 미드 볼록부와, 상기 전방 카본 오목부에 매칭되는 제2 전방 오목면을 하면에 제공하고, 발바닥의 전방부에 매칭되는 제2 전방풋 오목면을 상면에 제공하는 제2 전방 미드 오목부와, 상기 후방 카본 오목부에 매칭되는 제2 후방 오목면을 하면에 제공하고, 발바닥의 후방부에 매칭되는 제2 후방풋 오목면을 상면에 제공하는 제2 후방 미드 오목부; 상기 제2 전방풋 오목면에서 신발의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폭방향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미드솔 및 상기 제2 미드솔은, 길이방향으로 서로 다른 두께가 적용되되, 상기 제1 미드 볼록부는 상기 제2 미드 볼록부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갖고, 상기 제1 전방 미드 오목부는 상기 제2 전방 미드 오목부보다 더 얇은 두께를 갖고, 상기 제1 후방 미드 오목부는 상기 제2 후방 미드 오목부보다 더 얇은 두께를 갖고,
상기 복수 개의 폭방향 홈부는
상기 제2 전방 미드 오목부의 양측 가장자리부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제2 전방풋 오목면에서 신발의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전방 길이방향 슬릿부 및 상기 후방 길이방향 슬릿부와 교차되게 배치되는,
신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 플레이트는
전체 소재에 대해서 카본 성분이 적어도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신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3093A KR102327063B1 (ko) | 2020-11-27 | 2020-11-27 | 신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3093A KR102327063B1 (ko) | 2020-11-27 | 2020-11-27 | 신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27063B1 true KR102327063B1 (ko) | 2021-11-17 |
Family
ID=78702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63093A KR102327063B1 (ko) | 2020-11-27 | 2020-11-27 | 신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2706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19639A (ko) | 2023-01-30 | 2024-08-06 | 최현호 | 신발용 기능성 인솔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89421A (ko) | 2012-02-02 | 2013-08-12 | 주식회사 영원아웃도어 | 충격 흡수 및 반발 탄성 기능을 갖는 신발 밑창 |
US20140298682A1 (en) * | 2013-03-06 | 2014-10-09 | University Of Delaware | Footwear System with Composite Orthosis |
KR101893429B1 (ko) * | 2017-02-16 | 2018-08-30 | 주식회사 포스처360 | 척추와 관절보호를 위한 자세교정신발 |
KR102097381B1 (ko) * | 2019-11-18 | 2020-04-06 | (주) 에프앤에이글로벌 | 충격흡수 및 보행추진 기능을 갖는 밑창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
-
2020
- 2020-11-27 KR KR1020200163093A patent/KR10232706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89421A (ko) | 2012-02-02 | 2013-08-12 | 주식회사 영원아웃도어 | 충격 흡수 및 반발 탄성 기능을 갖는 신발 밑창 |
US20140298682A1 (en) * | 2013-03-06 | 2014-10-09 | University Of Delaware | Footwear System with Composite Orthosis |
KR101893429B1 (ko) * | 2017-02-16 | 2018-08-30 | 주식회사 포스처360 | 척추와 관절보호를 위한 자세교정신발 |
KR102097381B1 (ko) * | 2019-11-18 | 2020-04-06 | (주) 에프앤에이글로벌 | 충격흡수 및 보행추진 기능을 갖는 밑창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19639A (ko) | 2023-01-30 | 2024-08-06 | 최현호 | 신발용 기능성 인솔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2022912B2 (en) | Footwear with stabilizing sole | |
US11723428B2 (en) | Footwear with stabilizing sole | |
US9681701B2 (en) | Outsoles having grooves forming discrete lugs | |
US6598320B2 (en) | Shoe incorporating improved shock absorption and stabilizing elements | |
US10045589B2 (en) | Sole construction for energy storage and rebound | |
EP2157876B1 (en) | Supporting plate apparatus for shoes | |
US6694642B2 (en) | Shoe incorporating improved shock absorption and stabilizing elements | |
US4783910A (en) | Casual shoe | |
US4881329A (en) | Athletic shoe with energy storing spring | |
EP2454959A1 (en) | A multicomponent sole support assembly for sports footwear | |
KR102327063B1 (ko) | 신발 | |
EP0619084A1 (en) | Athletic shoe sole assembly with flexible arches | |
CN210672266U (zh) | 一种平足专用鞋底以及应用该鞋底的鞋 | |
KR200457896Y1 (ko) | 신발 깔창 | |
EP4122348A1 (en) | Footwear with stabilizing sole | |
KR20230001869U (ko) | 기능성 신발 | |
TWM469772U (zh) | 鞋墊裝置 | |
KR20120085568A (ko) | 보행추진부재가 내장된 신발 | |
US20200359738A1 (en) | FlooRunner | |
KR101063735B1 (ko) | 헬스 워킹 샌들 | |
CN218898566U (zh) | 可提升能量反馈的缓震结构、鞋底及鞋 | |
CN221469187U (zh) | 非运动女鞋的鞋中底及非运动女鞋 | |
CN211268864U (zh) | 一种具有足弓支撑功能的减震舒适鞋底 | |
WO2008108562A1 (en) | Shoe | |
JP3229046U (ja) | シュー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