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6675B1 - Brake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 Google Patents

Brake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6675B1
KR102326675B1 KR1020210094422A KR20210094422A KR102326675B1 KR 102326675 B1 KR102326675 B1 KR 102326675B1 KR 1020210094422 A KR1020210094422 A KR 1020210094422A KR 20210094422 A KR20210094422 A KR 20210094422A KR 102326675 B1 KR102326675 B1 KR 102326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rotating
unit
moun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44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나종호
김재흥
Original Assignee
(주)트랜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트랜스테크 filed Critical (주)트랜스테크
Priority to KR1020210094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667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6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66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4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travel or forc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3Means for enhancing the operator's awareness of arrival of the controlling member at a command or datum position; Providing feel, e.g. means for creating a counterfo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A brake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brake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installed inside a vehicle to change the brake pedal angle of an autonomous vehicle and physically pressurizing or depressurizing a brake pedal, comprises: a body part installed inside a vehicle and arranged adjacently to a brake pedal; a motor part operating according to a signal received by a connected receiving device, mounted on the body part and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by power applied from the outside; a rotation part connected to the motor part and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motor part; a mounting part mounted on the rotation part and pressurizing the brake pedal by interlocking with the rotation part to change the angle of the brake pedal; a detection part connected to the body part and detecting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rotation part by the motor part operating according to the signal received by the receiving device; and a control part for controlling the motor part based on a value detected by the detection part.

Description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Brake control system for a vehicle}Vehicle brake control system {Brake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자율주행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 각도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브레이크 페달을 물리적으로 가압하거나 가압 해제하는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brake control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brake control system installed inside a vehicle to physically press or release a brake pedal in order to change an angle of a brake pedal of an autonomous vehicle.

차량은 운전자가 조향조작수단인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과 가감속조작수단인 가속페달(Accel-pedal) 및 브레이크페달(Brake-pedal) 등의 조작을 통해, 지면을 주행하여 차량 운전자 및 동승자를 원하는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도록 돕는 운송수단이다.In a vehicle, the driver operates the steering wheel, which is a steering control means, and the accelerator pedal and brake-pedal, which are the acceleration/deceleration control means. It is a means of transportation that helps you reach your desired destination.

최근에는 기존의 차량에 복수의 센서와 조향제어수단 및 가감속제어수단을 장착하여, 노면상태, 인접 차량과 사물의 위치 및 도로신호 등을 확인하여 설정된 목적지까지 운전자의 운전조작 없이 자율적으로 운행하는 자율주행 차량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Recently, a plurality of sensors, steering control means, and acceleration/deceleration control means are installed in existing vehicles to check the road surface condition, the location of adjacent vehicles and objects, and road signals to autonomously drive to a set destination without driver's operation. Research on autonomous vehicles is ongoing.

한국등록특허 제10-2086447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086447

본 발명의 목적은, 자율주행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 각도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rake control system capable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a brake pedal angle of an autonomous vehic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은, 자율주행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 각도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브레이크 페달을 물리적으로 가압하거나 가압 해제하는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차량내부에 설치되되, 브레이크 페달과 인접하게 배치된 바디부, 연결된 수신장치에 수신된 신호에 따라 구동되고, 상기 바디부에 장착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에 연결된 채, 상기 모터부에 의해 발생된 회전력에 의해 회동되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에 장착되며, 상기 회동부와의 연동에 따라 브레이크 페달을 가압하여, 브레이크 페달의 각도를 변화시키는 장착부, 상기 바디부에 연결되며, 상기 수신장치에 수신된 신호에 따라 구동된 상기 모터부에 의한 상기 회동부의 회동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값을 기초로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 vehicle brak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hicle brake control system installed inside a vehicle to physically press or release a brake pedal in order to change an angle of a brake pedal of an autonomous vehicle. Doedoe installed in a body part disposed adjacent to the brake pedal, a motor part driven according to a signal received from a connected receiver, mounted on the body part, and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by power applied from the outside, the motor part A rotating part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motor unit while connected to, a mounting part mounted on the rotating part and pressing the brake pedal according to interlocking with the rotating part to change the angle of the brake pedal; Controlling the motor unit based on a value sensed by a sensing unit connected to the body part and sensing a rotation position of the rotating unit by the motor unit driven according to a signal received by the receiving device and the sensing unit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의 상기 모터부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본체 및 상기 모터본체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모터회동축을 구비하며, 상기 회동부는, 회동본체, 상기 회동본체를 관통 형성되며, 상기 모터회동축이 장착되는 장착공간을 제공하는 모터축장착홀, 상기 회동본체를 관통 형성되고, 상기 모터축장착홀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모터축장착홀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장착부장착홀, 상기 회동본체를 관통 형성되고, 상기 모터축장착홀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모터축장착홀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연동장착홀, 상기 회동본체에 연결된 채, 상기 모터회동축과 연동되며, 상기 회동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동본체의 회동에 따라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연동부 및 상기 연동부를 관통한 채, 상기 연동장착홀에 체결되어 상기 연동부와 상기 회동본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motor unit of the vehicle brak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tor body that generates a rotational force and a motor rotation shaft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from the motor body, wherein the rotation unit includes a rotational body, the A motor shaft mounting hole that is formed through the rotating body and provides a mounting space in which the motor rotating shaft is mounted, is formed through the rotating body, is spaced apart from the motor shaft mounting hole, and is based on the motor shaft mounting hole A mounting part mounting hole that is rotated to, is formed through the rotating body, is spaced apart from the motor shaft mounting hole, and an interlocking mounting hole that is rotated based on the motor shaft mounting hole, while connected to the rotating body, the motor rotation It is interlocked with the coaxial, protrudes outward of the rotating body and penetrates through the interlocking part and the interlocking part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and is fastened to the interlocking part and the interlocking part and the It may be provided with a connection for connecting the rotating bod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의 상기 연동부는, 상기 바디부와 상기 회동본체 사이에 배치되는 연동본체, 상기 연동본체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모터회동축이 통과하는 관통홀, 상기 연동본체의 테두리를 따라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가 삽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연결장착홀 및 상기 연동본체의 테두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감지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탐지바를 구비하며, 상기 탐지바는, 상기 회동본체의 회동에 연동되어 회동되는 상기 연동본체의 위치에 따라, 상기 감지부에 감지될 수 있다.The interlocking portion of the vehicle brak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hrough an interlocking body disposed between the body portion and the rotating body, a center of the interlocking body, and through which the motor rotating shaft passes. It includes a hole, a connection mounting hole that is formed to penetrate along the rim of the interlocking body and provide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connection part is inserted, and a detection bar extending from the rim of the interlocking body and disposed to face the sensing unit, The bar may be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interlocking body which is rotated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의 상기 모터회동축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외주면으로부터 함입된 제1 함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모터축장착홀은, 내주면으로부터 함입된 제2 함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동부는, 상기 제1 함입부 및 상기 제2 함입부에 동시에 삽입되어, 상기 모터회동축의 상기 모터축장착홀 내에서의 미끄럼 접촉을 방지하는 장착목을 더 구비할 수 있다.The motor rotation shaft of the vehicle brak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has a first recessed portion recessed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motor shaft mounting hole includes a second recessed portion recesse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rotating portion, the first recessed portion and the second recessed portion is inserted at the same time, may further include a mounting neck for preventing sliding contact in the motor shaft mounting hole of the motor rotating shaf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의 상기 관통홀은, 상기 모터회동축이 삽입되는 제1 관통편 및 상기 제1 관통편과 연결되며, 상기 장착목이 삽입되는 제2 관통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 관통편은, 상기 제1 관통편으로부터 상기 연동본체의 테두리를 향해 함입되어 형성된 제1 내측단과 제2 내측단에 의해 규정되고, 상기 제1 내측단과 상기 제2 내측단의 이격거리는, 상기 장착목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연동본체는, 상기 모터회동축의 제1 방향으로 회전 중에, 상기 장착목과 상기 제1 내측단과의 접촉 후의 계속된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모터회동축의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의 회전 중에, 상기 장착목과 상기 제2 내측단과의 접촉 후의 계속된 회전에 따라 상기 제2 방향으로 회동되며, 상기 장착목은, 상기 제2 관통편의 중앙에 위치한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회동 중에 상기 제1 내측단과 접촉되는 제2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회동되어 제4 위치로 이동되며,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회동 중에 상기 제2 내측단과 접촉되는 제3 위치로 이동되며,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회동되어 제5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회동부는, 상기 장착목의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의 위치 이동 또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3 위치로의 위치 이동 중에 연동되어 회전되고, 상기 연동부는, 상기 장착목의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의 위치 이동 또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3 위치로의 위치 이동 중에 회전되지 않으며, 상기 연결장착홀은, 상기 장착목의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의 위치 이동 또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3 위치로의 위치 이동 중에 상기 연결부와 상기 연동본체가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부의 회동 반경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through-hole of the vehicle brak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through-piece into which the motor rotation shaft is inserted, and a second through-piece connected to the first through-piece and into which the mounting neck is inserted. and the second through-piece is defined by a first inner end and a second inner end formed by being recessed from the first through-piece toward the edge of the interlocking body, and the first inner end and the second inner end are spaced apart The distance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mounting neck, and the interlocking body is rotated in the first direction of the motor rotation shaft in the first direction according to the continued rotation after contact between the mounting neck and the first inner end. is rotated, and during rotation of the motor rotation shaft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rotates in the second direction according to continued rotation after contact between the mounting neck and the second inner end, The neck is moved from a first position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second penetrating piece to a second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first inner end during rotation in the first direction, and rotated from the second position in the first direction in the first direction. It is moved to position 4, and from the first position, it is moved to a third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second inner end during rotation in the second direction, and is rotated from the third position in the second direction to a fifth position. and the rotating part is rotated in associ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position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of the mounting neck or the position movement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third position, and the interlocking unit is the mounting neck is not rotated during the movement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or the movement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third position of It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a rotation radius of the connection part so that the connection part and the interlocking body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during the movement to the second position or the movement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third posi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의 상기 장착부는, 상기 장착부장착홀에 삽입되는 축형성부, 상기 축형성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브레이크 페달을 가압하는 접촉롤러부 및 상기 축형성부의 일측단 및 타측단에 고정되어 상기 축형성부의 상기 장착부장착홀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축고정부를 구비하며, 브레이크 페달의 상기 접촉롤러부와의 대향면에 부착되어 상기 접촉롤러부와 접촉된 채, 상기 회동부의 회동에 따른 가압력을 브레이크 페달에 전달하는 매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촉롤러부는, 상기 매개부에 접촉된 채, 상기 회동부의 회동에 따라 상기 매개부를 따라 구름 접촉할 수 있다.The mounting part of the vehicle brak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haft forming part inserted into the mounting part mounting hole, a contact roller part rotatably mounted to the shaft forming part, and pressing the brake pedal, and the shaft and a shaft fixing portion fixed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orming portion to prevent separation from the mounting portion mounting hole of the shaft forming portion, and is attached to a surface opposite to the contact roller portion of the brake pedal to contact the contact roller portion It further comprises a mediator for transmitting the pressing forc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art to the brake pedal, the contact roller part being in contact with the mediating part, rolling along the mediating par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art. ca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의 상기 감지부는, 감지공간에 위치한 상기 탐지바의 유무를 감지하며, 상기 연동부는, 상기 장착목의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의 위치 이동 또는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5 위치로의 위치 이동 중에 상기 회동부와 연동되어 회전되며, 상기 탐지바는, 상기 장착목의 상기 제1 위치, 상기 제2 위치 및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감지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장착목의 상기 제4 위치 및 상기 제5 위치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연동되어 상기 감지공간으로부터 이탈되며, 상기 장착부는, 상기 장착목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으로 회동되는 상기 회동부와 연동되어 브레이크 페달을 가압하며, 상기 장착목에 의해 상기 제2 방향으로 회동되는 상기 회동부와 연동되어 브레이크 페달을 가압 해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회동축이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 중에,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탐지바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모터회동축이 정지하도록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며, 상기 모터회동축이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 중에,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탐지바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모터회동축이 정지하도록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회동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스토퍼를 구비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회동부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위치에서 벗어난 상기 장착목의 상기 제1 위치로의 위치 조정을 위하여, 상기 모터회동축을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 모드, 상기 회동부의 상기 스토퍼에 의한 회동 제한에 따라 상기 모터회동축이 정지되면, 상기 모터회동축을 상기 제1 방향으로 기설정된 제1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제2 모드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각도만큼 회전된 상기 모터회동축을 상기 제2 방향으로 기설정된 제2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제3 모드를 순차적으로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of the vehicle brak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detection bar located in the sensing space, and the linkage unit includes a position of the mounting neck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ourth position. During movement or position movement from the third position to the fifth position, it is rotated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ng part, and the detection bar is, in the first position, the second position and the third position of the mounting neck, It is located in the sensing space, is interlock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osition to the fourth position and the fifth position of the mounting neck and is separated from the sensing space, and the mounting unit is rotated in the first direction by the mounting neck The rotation part is interlocked to press the brake pedal, and the rotation part is interlocked with the rotation part rotated in the second direction by the mounting neck to release the pressure of the brake pedal, and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motor rotation shaft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During rotation, when the detection bar is not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the motor unit is controlled to stop the motor rotating shaft, and while the motor rotating shaft is rotating in the second direction, the detection bar is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If not detected, the motor unit is controlled to stop the rotating shaft of the motor, and the body unit includes a stopper disposed to face the rotating unit, and the stopper is, the rotating unit rotates in the second direction. Limiting the range, the control unit, a first mode for rotating the motor rotation shaft in the second direction in order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wearing neck deviating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the rotation unit When the motor rotation shaft is stopped according to the rotation restriction by the stopper, a second mode for rotating the motor rotation shaft by a first angle preset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first angle rotated in the first direction A third mode of rotating the motor rotation shaft by a predetermined second angle in the second direction may be sequentially implemen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의 상기 매개부는, 브레이크 페달에 부착되는 매개본체 및 상기 매개본체가 브레이크 페달에 고정되도록 하는 매개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매개본체는, 하측단으로부터 경사면을 형성하는 매개경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매개경사부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사용자 발의 앞단이 위치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매개고정부는, 매개본체의 길이방향 일측단과 브레이크 페달의 일측면에 동시에 체결되는 제1 고정편 및 매개본체의 길이방향 타측단과 브레이크 페달의 타측면에 동시에 체결되는 제2 고정편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고정편은, 하측단으로부터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고정경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고정편은, 하측단으로부터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고정경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고정경사부 및 상기 제2 고정경사부는, 상기 매개경사부와 동일한 경사면을 제공하며,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사용자 발의 앞단이 위치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The intermediate unit of the vehicle brak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termediate body attached to a brake pedal and an intermediate fixing unit for fixing the intermediate body to the brake pedal, wherein the intermediate body is formed from a lower end. Provided with an intermediate slope forming an inclined surface, the intermediate slope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front end of the user's foot pressing the brake pedal is located, and the intermediate fixing portion is simultaneously fastened to one side end of the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one side of the brake pedal and a second fixing piece that is simultaneously fastened to the first fixing piece and the other longitudinal end of the intermediate body and the other side of the brake pedal. The first fixing piece includes a first fixed inclined portion forming an inclined surface from a lower end, and the second fixing piece includes a second fixed inclined portion forming an inclined surface from the lower end, and the first fixed inclined portion and the second fixed inclination part may provide the same inclined surface as the intermediate inclination part, and may form a space in which the front end of the user's foot pressing the brake pedal is loc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의 상기 바디부는, 차량 내부에 장착되는 바디본체, 상기 모터부가 체결되는 모터체결홀 및 상기 감지부의 상기 바디본체로의 장착을 위한 감지부체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body part of the vehicle brak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body mounted inside a vehicle, a motor fastening hole to which the motor part is fastened, and a sensing part fastening part for mounting the sensing part to the body body. can do.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부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을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직접 조작하지 않아도 차량을 감속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rake pedal can be pressed or released by the control unit, the vehicle can be decelerated without the user directly operating the brake pedal.

또한, 본 발명을 차량에 설치했을 경우 사용자가 페달에 발을 위치시키는데 불편함이 없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vehicl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tructure in which the user does not have inconvenience in placing his or her feet on the pedal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의 모터부, 회동부 및 연동부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이 구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의 모터부, 회동부 및 연동부의 회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의 매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brak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brak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motor unit, a rotating unit, and an interlocking unit of a vehicle brak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vehicle brake control system is driv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unit of a vehicle brak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schematic diagrams for explaining rotation of a motor unit, a rotating unit, and an interlocking unit of a vehicle brak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n intermediate part of a vehicle brak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 change, delete, etc. other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through addition, change, deletion, etc. Other embodiment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may be easily proposed, but this will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In addi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shown in the drawings of eac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의 개략 사시도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brak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1)은, 자율주행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P) 각도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브레이크 페달(P)을 물리적으로 가압하거나 가압 해제하는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vehicle brake control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to change the angle of the brake pedal P of the autonomous vehicle to physically move the brake pedal P. It may be a vehicle brake control system that pressurizes or depressurizes the vehicle.

상기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1)은, 바디부(10), 모터부(20), 회동부(30), 장착부(40), 감지부(50) 및 제어부(60)를 구비할 수 있다.The vehicle brake control system 1 may include a body unit 10 , a motor unit 20 , a rotation unit 30 , a mounting unit 40 , a sensing unit 50 , and a control unit 60 .

상기 바디부(10)는, 차량내부에 설치되되, 브레이크 페달(P)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body part 1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brake pedal P.

상기 모터부(20)는, 연결된 수신장치에 수신된 신호에 따라 구동되고, 상기 바디부(10)에 장착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motor unit 20 is driven according to a signal received by a connected receiver, is mounted on the body unit 10, and may generate a rotational force by power applied from the outside.

상기 회동부(30)는, 상기 모터부(20)에 연결된 채, 상기 모터부(20)에 의해 발생된 회전력에 의해 회동될 수 있다.The rotating unit 30 may be rotated by a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motor unit 20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motor unit 20 .

상기 장착부(40)는, 상기 회동부(30)에 장착되며, 상기 회동부(30)와의 연동에 따라 브레이크 페달(P)을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하여, 브레이크 페달(P)의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The mounting unit 40 is mounted on the rotating unit 30, and can change the angle of the brake pedal P by pressing or releasing the pressure of the brake pedal P according to interlocking with the rotating unit 30. have.

상기 감지부(50)는, 상기 바디부(10)에 연결되며, 상기 수신장치에 수신된 신호에 따라 구동된 상기 모터부(20)에 의한 상기 회동부(30)의 회동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50 is connected to the body unit 10 and can detect a rotational position of the rotating unit 30 by the motor unit 20 driven according to a signal received by the receiving device. have.

상기 제어부(60, 도 5 참조)는, 상기 감지부(50)에 의해 감지된 값을 기초로 상기 모터부(20)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60 (refer to FIG. 5 ) may control the motor unit 20 based on the value sensed by the sensing unit 50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의 모터부, 회동부 및 연동부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이 구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brak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motor unit, a rotating unit and an interlocking unit of the vehicle brak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brak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riven.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모터부(20)는, 모터본체(21) 및 모터회동축(23)을 구비할 수 있다.2 to 4 , the motor unit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otor body 21 and a motor rotation shaft 23 .

상기 모터본체(21)는,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모터회동축(23)은, 상기 모터본체(21)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The motor body 21 may generate a rotational force, and the motor rotation shaft 23 may be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from the motor body 21 .

상기 회동부(30)는, 회동본체(31) 모터축장착홀(32), 장착부장착홀(33), 연동장착홀(34), 연동부(35), 및 연결부(36)를 구비할 수 있다.The rotating part 30 may include a rotating body 31, a motor shaft mounting hole 32, a mounting part mounting hole 33, an interlocking mounting hole 34, an interlocking part 35, and a connecting part 36. have.

상기 모터축장착홀(32)은, 상기 회동본체(31)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모터회동축(23)이 장착되는 장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The motor shaft mounting hole 32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rotating body 31 , and may provide a mounting space in which the motor rotating shaft 23 is mounted.

상기 장착부장착홀(33)은, 상기 회동본체(31)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모터축장착홀(32)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모터축장착홀(32)을 기준으로 회동될 수 있다.The mounting part mounting hole 33 is formed through the rotating body 31 , is spaced apart from the motor shaft mounting hole 32 , and can be rotated based on the motor shaft mounting hole 32 . .

상기 연동장착홀(34)은, 상기 회동본체(31)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모터축장착홀(32)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모터축장착홀(32)을 기준으로 회동될 수 있다.The interlocking mounting hole 34 is formed through the rotating body 31 , is spaced apart from the motor shaft mounting hole 32 , and can be rotated based on the motor shaft mounting hole 32 . .

상기 연동부(35)는, 상기 회동본체(31)에 연결된 채, 상기 모터회동축(23)과 연동되며, 상기 회동본체(31)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동본체(31)의 회동에 따라 상기 감지부(5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The interlocking part 35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body 31 and interlocked with the motor rotating shaft 23, and protrudes outward of the rotating body 31 for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31. Accordingly, it may be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50 .

상기 연결부(36)는 상기 연동부(35)를 관통한 채, 상기 연동장착홀(34)에 체결되어 상기 연동부(35)와 상기 회동본체(31)를 연결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36 may pass through the linkage part 35 and be fastened to the linkage mounting hole 34 to connect the linkage part 35 and the rotating body 31 .

상기 연동부(35)는, 연동본체(351), 관통홀(352), 연결장착홀(353) 및 탐지바(354)를 구비할 수 있다.The interlocking part 35 may include an interlocking body 351 , a through hole 352 , a connection mounting hole 353 , and a detection bar 354 .

상기 연동본체(351)는, 상기 바디부(10)와 상기 회동본체(3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interlocking body 35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ody 10 and the rotating body 31 .

상기 관통홀(352)은, 상기 연동본체(351)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모터회동축(23)이 통과할 수 있다.The through hole 352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interlocking body 351 , and the motor rotation shaft 23 can pass therethrough.

상기 관통홀(352)은 제1 관통편(3521) 및 제2 관통편(3522)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through-hole 352 may include a first through-piece 3521 and a second through-piece 3522 .

상기 제1 관통편(3521)은, 상기 모터회동축(23)이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제2 관통편(3522)은, 상기 제1 관통편(3521)과 연결되며, 후술할 장착목(37)이 삽입될 수 있다.The first through-piece 3521 may be inserted into the motor rotation shaft 23, and the second through-piece 3522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through-piece 3521, and a mounting neck (to be described later) 37) can be inserted.

상기 제2 관통편(3522)은, 제1 내측단(3522a) 및 제2 내측단(3522b)에 의해 규정되며, 상기 제1 내측단(3522a) 및 상기 제2 내측단(3522b)은 상기 제1 관통편(3521)으로부터 상기 연동본체(351)의 테두리를 향해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through piece 3522 is defined by a first inner end 3522a and a second inner end 3522b, and the first inner end 3522a and the second inner end 3522b are the first inner end 3522a and the second inner end 3522b. 1 may be formed by being depressed from the through piece 3521 toward the edge of the interlocking body 351 .

상기 제1 내측단(3522a)과 상기 제2 내측단(3522b)의 이격거리는, 상기 장착목(37)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A distance between the first inner end 3522a and the second inner end 3522b may be greater than a width of the mounting neck 37 .

상기 연결장착홀(353)은, 상기 연동본체(351)의 테두리를 따라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36)가 삽입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The connection mounting hole 353 is formed to penetrate along the edge of the interlocking body 351 , and may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connection part 36 is inserted.

상기 연결부(36)는, 상기 연동장착홀(34)과, 상기 연결장착홀(353)에 동시에 삽입되어, 상기 연동본체(351)와 상기 회동본체(31)를 연결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36 may be simultaneously inserted into the interlocking mounting hole 34 and the connection mounting hole 353 to connect the interlocking body 351 and the rotating body 31 .

상기 탐지바(354)는, 상기 연동본체(351)의 테두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감지부(50)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회동본체(31)의 회동에 연동되어 회동되는 상기 연동본체(351)의 위치에 따라, 상기 감지부(50)에 감지될 수 있다.The detection bar 354 extends from the edge of the interlocking body 351 and is disposed to face the sensing unit 50, and the interlocking body 351 is rotated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31. may be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50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

상기 모터회동축(23)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외주면으로부터 함입된 제1 함입부(231)를 구비할 수 있다(도 3의 (a) 참조).The motor rotation shaft 23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may include a first recessed portion 231 recess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ee Fig. 3 (a)).

상기 모터축장착홀(32)은, 내주면으로부터 함입된 제2 함입부(321)를 구비할 수 있다(도 3의 (b) 참조).The motor shaft mounting hole 32 may include a second recessed portion 321 recesse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refer to (b) of FIG. 3).

상기 회동부(30)는 장착목(37)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장착목(37)은, 상기 제1 함입부(231) 및 상기 제2 함입부(321)에 동시에 삽입될 수 있다(도 6 참조).The rotating part 30 may further include a mounting neck 37 , and the mounting neck 37 may be simultaneously inserted into the first recessed part 231 and the second recessed part 321 . (See Fig. 6).

이는, 상기 모터회동축(23)이 상기 모터축장착홀(32)내에서 미끄럼 접촉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서이다.This is to prevent the case where the motor rotation shaft 23 is in sliding contact with the motor shaft mounting hole 32 .

만약, 상기 모터회동축(23)이 상기 모터축장착홀(32)내에서 미끄럼 접촉에 의해 헛돌게 되면, 상기 모터부(20)의 회전력이 상기 회동부(30)로 전달되지 못할 수 있다.If the motor rotation shaft 23 is idle due to sliding contact within the motor shaft mounting hole 32 ,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unit 20 may not be transmitted to the rotation unit 30 .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장착목(37)이, 상기 제1 함입부(231) 및 상기 제2 함입부(321)에 동시에 삽입되어, 상기 모터회동축(23)이 상기 모터장착홀(32)내에서 미끄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모터부(20)의 회전력이 상기 회동부(30)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neck 37 is inserted into the first recessed part 231 and the second recessed part 321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motor rotation shaft 23 is connected to the motor mounting hole. It is possible to prevent sliding contact within the 32 , and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unit 20 to the rotating unit 30 .

상기 바디부(10)는, 바디본체(11), 모터체결홀(13) 및 감지부체결부(15)를 구비할 수 있다.The body part 10 may include a body body 11 , a motor fastening hole 13 , and a sensing part fastening part 15 .

상기 바디본체(11)는 차량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모터체결홀(13)에는, 상기 모터부(20)가 체결되며, 상기 감지부체결부(15)는, 상기 감지부(50)를 상기 바디본체(11)로 장착시킬 수 있다.The body body 11 is mounted inside the vehicle, the motor unit 20 is fastened to the motor fastening hole 13 , and the sensing unit fastening unit 15 connects the sensing unit 50 to the body. It can be attached to the body (11).

상기 장착부(40)는, 축형성부(41), 접촉롤러부(43) 및 축고정부(45)를 구비할 수 있다.The mounting part 40 may include a shaft forming part 41 , a contact roller part 43 , and a shaft fixing part 45 .

상기 축형성부(41)는, 상기 장착부장착홀(33)에 삽입될 수 있다.The shaft forming part 41 may be inserted into the mounting part mounting hole 33 .

상기 접촉롤러부(43)는, 상기 축형성부(4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브레이크 페달(P)을 가압할 수 있다.The contact roller part 43 is rotatably mounted on the shaft forming part 41 and may press the brake pedal P.

상기 축고정부(45)는, 상기 축형성부(41)의 일측단 및 타측단에 고정되어 상기 축형성부(41)가 상기 장착부장착홀(3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haft fixing part 45 may be fixed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haft forming part 41 to prevent the shaft forming part 41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mounting part mounting hole 33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1)은, 매개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brake control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termediate unit 70 .

상기 매개부(70)는, 상기 브레이크 페달(P)의 상기 접촉롤러부(43)와의 대향면에 부착되어 상기 접촉롤러부(43)와 접촉된 채, 상기 회동부(30)의 회동에 따른 가압력을 브레이크 페달(P)에 전달할 수 있다.The intermediate part 70 is attached to a surface opposite to the contact roller part 43 of the brake pedal P, and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roller part 43 ,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part 30 . A pressing force may be transmitted to the brake pedal P.

상기 접촉롤러부(43)는, 상기 매개부(70)에 접촉된 채, 상기 회동부(30)의 회동에 따라 상기 매개부(70)를 따라 구름 접촉할 수 있다.The contact roller 43 may be in rolling contact along the intermediate portion 7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ortion 30 while in contact with the intermediate portion 70 .

구체적으로, 상기 접촉롤러부(43)는, 상기 매개부(70)의 상면에 접촉된 채, 상기 매개부(70)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 되며 브레이크 페달(P)을 가압하거나 가압해제 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act roller part 43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part 70 and slides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part 70 to press or release the brake pedal P. .

상기 감지부(50)는, 중앙에 감지공간(G)을 형성하며, 상기 감지공간(G)에 위치한 상기 탐지바(354)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도 4의 확대도 참조).The sensing unit 50 forms a sensing space G in the center, and may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detection bar 354 located in the sensing space G (see enlarged view of FIG. 4 ).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의 모터부, 회동부 및 연동부의 회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unit of a vehicle brak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6 and 7 are a motor unit, a rotating unit and a motor unit of the vehicle brak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rotation of the linkage.

도 6의 (a), (b), (c)는 도 6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7의 (a), (b), (c)는 도 7의 B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6 (a), (b) and (c) are enlarged views of part A of FIG. 6 , and (a), (b), (c) of FIG. 7 are enlarged views of part B of FIG. 7 . is an enlarged view.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의 상기 모터회동축(23)은 제1 방향(M) 또는 제2 방향(N)으로 회전될 수 있다.5 to 7 , the motor rotation shaft 23 of the vehicle brak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otated in a first direction (M) or a second direction (N).

여기서 제1 방향(M)은, 상기 접촉롤러부(43)가 상기 회동부(30)와 연동되어 브레이크 페달(P)을 가압하는 방향이고(도 6 참조), 상기 제2 방향(N)은 상기 접촉롤러부(43)가 상기 회동부(30)와 연동되어 브레이크 페달(P)을 가압해제 하는 방향일 수 있다(도 7 참조).Here, the first direction M is a direction in which the contact roller 43 is interlocked with the rotation unit 30 to press the brake pedal P (see FIG. 6 ), and the second direction N is The contact roller part 43 may be linked to the rotation part 30 in a direction to release the pressure of the brake pedal P (see FIG. 7 ).

상기 연동본체(351)는, 상기 모터회동축(23)이 상기 제1 방향(M)으로 회전 중에 상기 장착목(37)이 상기 제1 내측단(3522a)과 접촉 후 계속된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방향(M)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 interlocking body 351 is, as the motor rotation shaft 23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M, the mounting neck 37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inner end 3522a and then continues to rotate. It may be rotated in the first direction M.

구체적으로, 상기 연동본체(351)는, 상기 모터회동축(23)의 상기 제1 방향(M)으로의 회전에 의해 무조건 회전 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장착목(37)이 상기 제1 내측단(3522a)에 접촉되고 난 후 상기 모터회동축(23)이 상기 제1 방향(M)으로 더 회전하는 경우에만, 상기 제1 방향(M)으로 회전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interlocking body 351 is not rotated unconditionally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rotation shaft 23 in the first direction M, but the mounting neck 37 is the first inner end ( 3522a), and only when the motor rotation shaft 23 further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M, it may be rotated in the first direction M.

이는, 상기 제1 내측단(3522a)과 상기 제2 내측단(3522b)의 이격거리가 상기 장착목(37)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상기 장착목(37)이 상기 제1 내측단(3522a)에 접촉 되어야만 상기 연동본체(351)에 상기 모터회동축(23)의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inner end 3522a and the second inner end 3522b is formed to be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mounting neck 37, so that the mounting neck 37 is the first inner end 3522a. ) becaus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rotating shaft 23 can be transmitted to the interlocking body 351 only when in contact.

상기 연동본체(351)는, 상기 모터회동축(23)이 상기 제2 방향(N)으로 회전 중에 상기 장착목(37)이 상기 제2 내측단(3522b)과 접촉 후 계속된 회전에 따라 상기 제2 방향(N)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 interlocking body 351 is, as the motor rotation shaft 23 rotates in the second direction (N), the mounting neck 37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inner end 3522b and then continues to rotate. It may be rotated in the second direction (N).

구체적으로, 상기 연동본체(351)는, 상기 모터회동축(23)의 상기 제2 방향(N)으로의 회전에 의해 무조건 회전 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장착목(37)이 상기 제2 내측단(3522b)에 접촉되고 난 후 상기 모터회동축(23)이 상기 제2 방향(N)으로 더 회전하는 경우에만, 상기 제2 방향(N)으로 회전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interlocking body 351 is not rotated unconditionally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rotation shaft 23 in the second direction N, but the mounting neck 37 is the second inner end ( 3522b), and only when the motor rotation shaft 23 further rotates in the second direction (N), it can be rotated in the second direction (N).

이는, 상기 제1 내측단(3522a)과 상기 제2 내측단(3522b)의 이격거리가 상기 장착목(37)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상기 장착목(37)이 상기 제2 내측단(3522b)에 접촉 되어야만 상기 연동본체(351)에 상기 모터회동축(23)의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inner end (3522a) and the second inner end (3522b) is formed to be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mounting neck (37), the mounting neck (37) is the second inner end (3522b) ) becaus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rotating shaft 23 can be transmitted to the interlocking body 351 only when in contact.

구체적으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장착목(37)에 의한 상기 회동부(30) 및 상기 연동부(35)의 회전에 대해 설명하겠다.Specifically,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 rotation of the rotating part 30 and the linkage part 35 by the mounting neck 37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장착목(37)의 상기 제1 방향(M)으로의 위치이동에 대해 설명하면, 도 6의 (a)는 상기 장착목(37), 상기 회동부(30), 및 상기 연동부(35)의 초기위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First, referring to FIG. 6 ,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mounting neck 37 in the first direction M is described. FIG. 6 (a) shows the mounting neck 37 and the rotating part 30 , and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initial position of the linkage part (35).

상기 초기위치에서의 상기 접촉롤러부(43)는, 브레이크 페달(P)을 가압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The contact roller part 43 in the initial position may be in a state in which the brake pedal P is not pressed.

상기 초기위치에서 상기 장착목(37)은 제1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탐지바(354)는 상기 감지공간(G)내에 위치할 수 있다.In the initial position, the mounting neck 37 may be located in the first position, and the detection bar 354 may be located in the sensing space G. As shown in FIG.

여기서 제1 위치란, 상기 장착목(37)이 상기 제2 관통편(3522)의 중앙에 위치하는 위치일 수 있다(도 6의 (a) 참조).Here, the first position may be a position in which the mounting neck 37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second through-piece 3522 (refer to (a) of FIG. 6 ).

상기 장착목(37)은, 상기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접촉롤러부(43)가 브레이크 페달(P)을 가압하도록 할 수 있다.The mounting neck 37 may be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so that the contact roller 43 presses the brake pedal P.

여기서 제2 위치란, 상기 장착목(37)이 상기 제1 방향(M)으로 회동 중에 상기 제1 내측단(3522a)과 접촉되는 위치일 수 있다(도 6의 (b) 참조).Here, the second position may be a position in which the mounting neck 37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inner end 3522a while rotating in the first direction M (see FIG. 6(b) ).

구체적으로, 상기 장착목(37)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회동되는 동안 상기 회동부(30)는, 상기 장착목(37)과 연동되어 상기 제1 방향(M)으로 회동되지만, 상기 연동본체(351)는 상기 제1 방향(M)으로 회동되지 않을 수 있다.Specifically, while the mounting neck 37 is rotat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he rotating part 30 is rotated in the first direction M in conjunction with the mounting neck 37 , but , the interlocking body 351 may not be rotated in the first direction (M).

이 때문에, 상기 장착목(37)이 상기 제1 위치 또는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탐지바(354)는, 위치이동 되지 않고 상기 감지부(50)의 감지공간(G) 내에 위치될 수 있다(도 6의 (a), (b) 참조).For this reason, when the mounting neck 37 is located in the first position or the second position, the detection bar 354 is not moved and is located in the sensing space G of the sensing unit 50 . It can be (see Fig. 6 (a), (b)).

상기 장착목(37)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방향(M)으로 더 회동되어 제4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도 6의 (c) 참조).The mounting neck 37 may be further rotated in the first direction M from the second position to move to a fourth position (see FIG. 6(c) ).

상기 연동본체(351)는, 상기 장착목(37)이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회동부(30)와 연동되어 상기 제1 방향(M)으로 회동될 수 있다.The interlocking body 351 may be rotated in the first direction M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ng part 30 when the mounting neck 37 is moved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ourth position.

다시 말해, 상기 제4 위치는 상기 장착목(37)이 상기 제1 내측단(3522a)과 접촉한 채 상기 제1 방향(M)으로 더 회동되어 상기 연동본체(351)가 상기 제1 방향(M)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위치일 수 있다.In other words, in the fourth position, the mounting neck 37 is further rotated in the first direction M while in contact with the first inner end 3522a so that the interlocking body 351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 M) may be a position to be rotated.

상기 탐지바(354)가 상기 연동본체(351)에 의해 상기 제1 방향(M)으로 회동되어 상기 감지공간(G)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면, 브레이크 페달(P)은, 상기 접촉롤러부(43)에 의해 최대로 가압된 상태일 수 있다.When the detection bar 354 is rotated in the first direction M by the interlocking body 351 and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sensing space G, the brake pedal P is the contact roller part 43 It may be in a state pressurized to the maximum by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장착목(37)의 상기 제2 방향(N)으로의 위치이동에 대해 설명하면, 도 7의 (a)는, 상기 장착목(37)이, 상기 제4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Referring to FIG. 7 , the movement of the mounting neck 37 in the second direction N will be described. It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ate in which it is located.

상기 장착목(37)은, 상기 제4 위치에서 상기 제3 위치로 위치이동 될 수 있다(도 7의 (a) 및 (b) 참조).The mounting neck 37 may be moved from the fourth position to the third position (see FIGS. 7A and 7B ).

여기서, 제3 위치란, 상기 장착목(37)이 상기 제4 위치에서 상기 제2 방향(N)으로 회동 중에 상기 제2 내측단(3522b)과 접촉되는 위치일 수 있다(도 7의 (b) 참조).Here, the third position may be a position at which the mounting neck 37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inner end 3522b while rotating in the second direction N from the fourth position (FIG. 7(b)). ) Reference).

구체적으로, 상기 장착목(37)이 상기 제4 위치에서 상기 제3 위치로 회동되는 동안 상기 회동부(30)는, 상기 장착목(37)과 연동되어 상기 제2 방향(N)으로 회동되지만, 상기 연동본체(351)는 상기 제2 방향(N)으로 회동되지 않을 수 있다.Specifically, while the mounting neck 37 is rotated from the fourth position to the third position, the rotating part 30 is rotated in the second direction N in conjunction with the mounting neck 37 , but , the interlocking body 351 may not be rotated in the second direction (N).

상기 장착목(37)은,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2 방향(N)으로 더 회동되어 제5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도 7의 (c) 참조). The mounting neck 37 may be further rotated from the third position in the second direction N to move to a fifth position (see FIG. 7(c) ).

상기 연동본체(351)는, 상기 장착목(37)이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5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회동부(30)와 연동되어 상기 제2 방향(N)으로 회동될 수 있다.The interlocking body 351 may be rotated in the second direction (N) by interlocking with the rotating part 30 when the mounting neck 37 is moved from the third position to the fifth position.

다시 말해, 상기 제5 위치는 상기 장착목(37)이 상기 제2 내측단(3522b)과 접촉한 채 상기 제2 방향(N)으로 더 회동되어 상기 연동본체(351)가 상기 제2 방향(N)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위치일 수 있다.In other words, in the fifth position, the mounting neck 37 is further rotated in the second direction N while in contact with the second inner end 3522b so that the interlocking body 351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 It may be a position to be rotated to N).

상기 장착목(37)이 상기 제4 위치에서 상기 제5 위치로 회동됨에 따라 상기 접촉롤러부(43)는, 브레이크 페달(P)을 가압해제 할 수 있다.As the mounting neck 37 is rotated from the fourth position to the fifth position, the contact roller 43 may release the pressure of the brake pedal P.

이 경우 상기 감지공간(G)으로부터 이탈 되어있던 상기 탐지바(354)는, 상기 연동본체(351)의 상기 제2 방향(N)으로의 회동에 따라 상기 감지공간(G)내로 이동되고, 최대 각도로 회동되면 상기 감지공간(G)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도 7의 (c) 참조).In this case, the detection bar 354 separated from the sensing space G is moved into the sensing space G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interlocking body 351 in the second direction N, and the maximum When it is rotated at an angle, it can be separated from the sensing space G (refer to (c) of FIG. 7).

상기 연결장착홀(353)은, 상기 연결부(36)의 회동 반경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on mounting hole 353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a rotation radius of the connection part 36 .

이는, 상기 장착목(37)의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의 위치 이동 또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3 위치로의 위치 이동 중에 상기 연결부(36)와 상기 연동본체(351)가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means that the connection part 36 and the interlocking body 351 are connected during the movement of the mounting neck 37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or the movement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third position. This is to avoid mutual interference.

상기 모터회동축(23)이 상기 제1 방향(M)으로 회전 중에, 상기 감지부(50)에 의해 상기 탐지바(354)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모터회동축(23)이 정지하도록 상기 모터부(20)를 제어할 수 있다(도 6의 (c) 참조).When the detection bar 354 is not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50 while the motor rotation shaft 23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M, the control unit 60 controls the motor rotation shaft 23 ) can be controlled to stop the motor unit 20 (refer to (c) of FIG. 6).

상기 모터회동축(23)이 상기 제1 방향(M)으로 회전 중에, 상기 감지부(50)에 의해 상기 탐지바(354)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이는 상기 접록롤러부(43)가 브레이크 페달(P)를 최대로 가압한 상태이므로, 상기 제어부(60)가, 상기 모터회동축(23)을 상기 제1 방향(M)으로 더 회전시키지 않고,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When the detection bar 354 is not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50 while the motor rotation shaft 23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M, this means that the contact roller 43 is the brake pedal. Since (P) is in the maximum pressurized state, the control unit 60 controls the motor rotation shaft 23 to stop without further rotating the motor rotation shaft 23 in the first direction M.

상기 모터회동축(23)이 상기 제2 방향(N)으로 회전 중에, 상기 감지부(50)에 의해 상기 탐지바(354)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모터회동축(23)이 정지하도록 상기 모터부(20)를 제어할 수 있다(도 7의 (c) 참조). When the detection bar 354 is not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50 while the motor rotation shaft 23 rotates in the second direction N, the control unit 60 controls the motor rotation shaft 23 ) may control the motor unit 20 to stop (see (c) of FIG. 7).

이는, 상기 접촉롤러부(43)가 브레이크 페달(P)을 완전히 가압해제 한 상태이므로, 상기 제어부(60)가 상기 모터회동축(23)을 상기 제2 방향(N)으로 더 회전시키지 않고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In this case, since the contact roller part 43 completely releases the pressure of the brake pedal P, the control unit 60 stops the motor rotation shaft 23 without further rotating the motor rotation shaft 23 in the second direction (N). to control to do so.

상기 바디부(10)는, 스토퍼(17)를 구비할 수 있다.The body portion 10 may include a stopper 17 .

상기 스토퍼(17)는, 상기 회동부(30)와 대향하도록 배치된 채, 상기 회동부(30)의 상기 제2 방향(N)으로의 회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The stopper 17 may limit the rotation range of the rotation part 30 in the second direction N while being disposed to face the rotation part 30 .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어부(60) 및 상기 스토퍼(17)를 구비하여 상기 모터회동축(23)의 제2 방향(N)으로의 회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limit the rotation range of the motor rotation shaft 23 in the second direction N by providing the control unit 60 and the stopper 17 .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회동부(30)는, 상기 제2 방향(N)으로 회동중에 상기 스토퍼(17)에 의해 상기 제2 방향(N)으로 더 회동되지 못할 수 있다.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7 , the rotation part 30 may not be further rotated in the second direction N by the stopper 17 while it is rotated in the second direction N.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1 위치에서 벗어난 상기 장착목(37)의 상기 제1 위치로의 위치 조정을 위하여, 제1 모드, 제2 모드 및 제3 모드를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ler 60 may implement a first mode, a second mode, and a third mode in order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mounting neck 37 deviat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모터회동축(23)을 상기 제2 방향(N)으로 회전시키는 제1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60 may implement a first mode for rotating the motor rotation shaft 23 in the second direction (N).

상기 제어부(60)에 의해 상기 제1 모드의 구현이 완료되면 상기 탐지바(354)는, 상기 감지공간(G)으로부터 이탈된 상태일 수 있다(도 7의 (c) 참조). When the implementation of the first mode is completed by the controller 60, the detection bar 354 may be in a state separated from the sensing space G (refer to (c) of FIG. 7).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1 모드 구현 중 상기 모터회동축(23)이 상기 스토퍼(17)에 의해 회동이 정지되면, 상기 모터회동축(23)을 상기 제1 방향(M)으로 기 설정된 제1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상기 제2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When the rotation of the motor rotation shaft 23 is stopped by the stopper 17 dur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first mode, the control unit 60 moves the motor rotation shaft 23 in the first direction (M). The second mode of rotating by a set first angle may be implemented.

여기서 제1 각도란, 상기 모터회동축(23)이 상기 제1 방향(M)으로 회동하는 경우, 상기 탐지바(354)가 상기 회동부(30)와 연동된 채 회동되어 상기 감지공간(G)내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각도를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first angle means that when the motor rotation shaft 23 is rotated in the first direction M, the detection bar 354 is rotated while being interlocked with the rotation unit 30 and the sensing space G ) may mean an angle that allows it to be located within.

상기 모터회동축(23)이 상기 제1 방향(M)으로 상기 제1 각도만큼 회전되면, 도 6의 (b)의 경우처럼 상기 탐지바(354)가 상기 감지공간(G)내에 위치될 수 있다When the motor rotation shaft 23 is rotated by the first angle in the first direction M, the detection bar 354 may be positioned in the sensing space G as in the case of FIG. 6(b). have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2 모드를 구현한 후, 상기 모터회동축(23)을 상기 제2 방향(N)으로 기설정된 제2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상기 제3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After implementing the second mode, the controller 60 may implement the third mode of rotating the motor rotation shaft 23 in the second direction N by a predetermined second angle.

여기서 제2 각도란, 상기 장착목(37)이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위치될 수 있는 각도를 의미한다.Here, the second angle means an angle at which the mounting neck 37 can be positioned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상기 제어부(60)에 의해 상기 제3 모드가 구현되면, 상기 장착목(37)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위치이동 될 수 있다.When the third mode is implemented by the control unit 60 , the mounting neck 37 may be moved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이 경우 상기 연동본체(351)는 상기 회동부(30)와 연동되어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탐지바(354)는 상기 감지공간(G)내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interlocking body 351 is interlocked with the rotating part 30 and does not rotate, the detection bar 354 can maintain a state positioned in the sensing space (G).

상기 제3 모드까지 구현되면, 상기 회동부(30), 상기 연동부(35) 및 상기 장착목(37)은 도 6의 (a)에 도시된 상기 초기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When implemented up to the third mode, the rotating part 30 , the linkage part 35 and the mounting neck 37 may be positioned at the initial positions shown in FIG. 6A .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의 매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8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n intermediate part of a vehicle brak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의 상기 매개부(70)는, 매개본체(71) 및 매개고정부(73)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intermediate unit 70 of the vehicle brak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termediate body 71 and an intermediate fixing unit 73 .

상기 매개본체(71)는, 브레이크 페달(P)에 부착되며, 매개경사부(711)를 구비할 수 있다.The intermediate body 71 is attached to the brake pedal P, and may include an intermediate inclined portion 711 .

상기 매개경사부(711)는, 브레이크 페달(P)을 밟는 사용자 발(F)의 앞단이 위치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The intermediate inclination part 711 may form a space in which the front end of the user's foot F that steps on the brake pedal P is located.

만약, 상기 매개경사부(711)를 구비하지 않는다면 사용자가 브레이크 페달(P)에 발(F)을 위치시키는 경우 발(F)의 앞단이 상기 매개본체(71)와 맞닿아 브레이크 페달(P)을 밟는데 불편함을 줄 수 있다.If the intermediate inclination part 711 is not provided, when the user places the foot F on the brake pedal P, the front end of the foot F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termediate body 71 and the brake pedal P It may make it uncomfortable to step on.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매개본체(71)에 상기 매개경사부(711)를 구비하여, 브레이크 페달(P)을 밟는 사용자 발(F)의 앞단이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도 8의 (b) 참조).In order to prevent th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mediate body 71 may be provided with the intermediate inclination part 711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user's foot F, which steps on the brake pedal P, is positioned (FIG. 8). see (b)).

상기 매개고정부(73)는, 상기 매개본체(71)가 브레이크 페달(P)에 고정되도록 하며, 제1 고정편(731) 및 제2 고정편(732)을 구비할 수 있다.The intermediate fixing part 73 may have the intermediate body 71 fixed to the brake pedal P, and may include a first fixing piece 731 and a second fixing piece 732 .

상기 제1 고정편(731)은, 상기 매개본체(71)의 길이방향 일측단과 브레이크 페달(P)의 일측면에 동시에 체결될 수 있으며, 제1 고정경사부(731a)를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fixing piece 731 may be simultaneously fastened to one end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termediate body 71 and one side of the brake pedal P, and may include a first fixed inclined portion 731a.

상기 제1 고정경사부(731a)는, 하측단으로부터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매개경사부(711)와 동일한 경사면을 제공할 수 있다.The first fixed inclined portion 731a may form an inclined surface from a lower end thereof and may provide the same inclined surface as the intermediate inclined portion 711 .

상기 제2 고정편(731)은, 상기 매개본체(71)의 길이방향 타측단과 브레이크 페달(P)의 일측면에 동시에 체결될 수 있으며, 제2 고정경사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The second fixing piece 731 may be simultaneously fastened to the other longitudinal end of the intermediate body 71 and one side of the brake pedal P, and may include a second fixed inclined portion (not shown). .

상기 제2 고정경사부(미도시)는, 하측단으로부터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매개경사부(711)와 동일한 경사면을 제공할 수 있다.The second fixed inclined portion (not shown) may form an inclined surface from a lower end thereof, and may provide the same inclined surface as the intermediate inclined portion 711 .

상기 제1 고정경사부(731a) 및 상기 제2 고정경사부(미도시)는, 브레이크 페달(P)을 밟는 사용자 발(F)의 앞단이 위치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fixed inclined portion 731a and the second fixed inclined portion (not shown) may form a space in which the front end of the user's foot F pressing the brake pedal P is located.

만약, 상기 제1 고정경사부(731a) 및 상기 제2 고정경사부(미도시)를 구비하지 않는다면 사용자가 브레이크 페달(P)에 발(F)을 위치시키는 경우 발(F)의 앞단이 상기 고정편(731, 732)과 맞닿아 브레이크 페달(P)을 밟는데 불편함을 줄 수 있다.If the first fixed inclined portion 731a and the second fixed inclined portion (not shown) are not provided, when the user places the foot F on the brake pedal P, the front end of the foot F is the It may be in contact with the fixing pieces 731 and 732 to give inconvenience to stepping on the brake pedal P.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고정경사부(731a) 및 상기 제2 고정경사부(미도시)를 구비하여, 브레이크 페달(P)을 밟는 사용자 발(F)의 앞단이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도 8의 (b) 참조).In order to prevent th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ixed inclined portion 731a and the second fixed inclined portion (not shown) are provided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user's foot F that steps on the brake pedal P is positioned. It can be (see Fig. 8 (b)).

본 발명의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1)은 자율주행 차량에 내장된 브레이크 제어시스템과 별도로 설치/구동되어,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The vehicle brake control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driven separately from the brake control system built into the autonomous vehicle to implement the vehicle's brake system.

일례로, 사용자가 모터부(20)에 연결된 수신장치로 신호를 보내어 모터부(20)를 구동시킴으로써, 차량 자체 브레이크 시스템과 별도로 차량의 브레이크를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자율주행 차량을 시험/평가하기 위한 과정에서, 예기치 못한 자체 브레이크 시스템의 결함으로 인한 차량 파손을 방지하거나 차량에 의한 안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함이다.For example, the user may control the brake of the vehicle separately from the vehicle's own brake system by sending a signal to a receiver connected to the motor unit 20 to drive the motor unit 20 . This is to prevent damage to the vehicle due to an unexpected defect in the self-brake system or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caused by the vehicle in the process of testing/evaluating the autonomous vehicle.

또는, 사용자에 의한 임의 제어와는 별개로, 비정상적인 차량 구동 신호가 감지되면 스스로 모터부(20)가 구동되도록 하여, 차량 자체 브레이크 시스템을 보조하는 역할로 이용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part from arbitrary control by the user, when an abnormal vehicle driving signal is detected, the motor unit 20 is driven by itself, so that it may be used to assist the vehicle's own brake system.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In the above, the configuration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ased on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hat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refore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 10: 바디부
20: 모터부 21: 모터본체
23: 모터회동축 30: 회동부
35: 연동부 36: 연결부
37: 장착목 40: 장착부
43: 접촉롤러부 50: 감지부
60: 제어부 70: 매개부
P: 브레이크 페달 G: 감지공간
1: vehicle brake control system 10: body part
20: motor unit 21: motor body
23: motor rotation shaft 30: rotation unit
35: linkage part 36: connection part
37: mounting neck 40: mounting portion
43: contact roller 50: sensing unit
60: control unit 70: intermediate unit
P: brake pedal G: sensing space

Claims (9)

자율주행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 각도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브레이크 페달을 물리적으로 가압하거나 가압 해제하는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차량내부에 설치되되, 브레이크 페달과 인접하게 배치된 바디부;
연결된 수신장치에 수신된 신호에 따라 구동되고, 상기 바디부에 장착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에 연결된 채, 상기 모터부에 의해 발생된 회전력에 의해 회동되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에 장착되며, 상기 회동부와의 연동에 따라 브레이크 페달을 가압하여, 브레이크 페달의 각도를 변화시키는 장착부;
상기 바디부에 연결되며, 상기 수신장치에 수신된 신호에 따라 구동된 상기 모터부에 의한 상기 회동부의 회동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값을 기초로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부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본체 및
상기 모터본체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모터회동축을 구비하며,
상기 회동부는,
회동본체,
상기 회동본체를 관통 형성되며, 상기 모터회동축이 장착되는 장착공간을 제공하는 모터축장착홀,
상기 회동본체를 관통 형성되고, 상기 모터축장착홀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모터축장착홀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장착부장착홀,
상기 회동본체를 관통 형성되고, 상기 모터축장착홀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모터축장착홀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연동장착홀,
상기 회동본체에 연결된 채, 상기 모터회동축과 연동되며, 상기 회동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동본체의 회동에 따라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연동부 및
상기 연동부를 관통한 채, 상기 연동장착홀에 체결되어 상기 연동부와 상기 회동본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
In the vehicle brake control system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to physically press or release the brake pedal in order to change the angle of the brake pedal of the autonomous vehicle,
a body part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brake pedal;
a motor unit driven according to a signal received by a connected receiver, mounted on the body unit, and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by power applied from the outside;
a rotating unit connected to the motor unit and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motor unit;
a mounting unit mounted on the rotating unit and configured to change an angle of the brake pedal by pressing the brake pedal according to interlocking with the rotating unit;
a sensing unit connected to the body unit and configured to sense a rotational position of the rotating unit by the motor unit driven according to a signal received by the receiv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otor unit based on the value sensed by the sensing unit;
The motor unit,
Motor body that generates rotational force and
and a motor rotating shaft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from the motor body,
The rotating part,
rotating body,
A motor shaft mounting hole formed through the rotating body and providing a mounting space in which the motor rotating shaft is mounted;
A mounting part mounting hole that is formed through the rotating body, is spaced apart from the motor shaft mounting hole, and rotates based on the motor shaft mounting hole;
An interlocking mounting hole that is formed through the rotating body, is spaced apart from the motor shaft mounting hole, and rotates based on the motor shaft mounting hole;
An interlocking part that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body, is interlocked with the motor rotating shaft, protrudes outwardly of the rotating body and is sensed by the sensing uni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and a connection part which is fastened to the linkage mounting hole while passing through the linkage part to connect the linkage part and the rotating body.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는,
상기 바디부와 상기 회동본체 사이에 배치되는 연동본체,
상기 연동본체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모터회동축이 통과하는 관통홀,
상기 연동본체의 테두리를 따라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가 삽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연결장착홀 및
상기 연동본체의 테두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감지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탐지바를 구비하며,
상기 탐지바는,
상기 회동본체의 회동에 연동되어 회동되는 상기 연동본체의 위치에 따라, 상기 감지부에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linkage is
an interlocking body disposed between the body part and the rotating body;
a through hole formed through the center of the interlocking body and through which the motor rotation shaft passes;
A connection mounting hole that is formed to penetrate along the rim of the interlocking body and provide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connection part is inserted; and
and a detection bar extending from the rim of the interlocking body and disposed to face the sensing unit,
The detection bar is
The vehicle brake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nsed by the sensing uni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interlocking body rotated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회동축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외주면으로부터 함입된 제1 함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모터축장착홀은,
내주면으로부터 함입된 제2 함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동부는,
상기 제1 함입부 및 상기 제2 함입부에 동시에 삽입되어, 상기 모터회동축의 상기 모터축장착홀 내에서의 미끄럼 접촉을 방지하는 장착목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motor rotation shaft is
It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has a first recessed portion recess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motor shaft mounting hole,
and a second recessed portion recesse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rotating part,
and a mounting neck which is simultaneously inserted into the first recessed part and the second recessed part to prevent sliding contact of the motor rotation shaft in the motor shaft mounting ho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모터회동축이 삽입되는 제1 관통편 및 상기 제1 관통편과 연결되며, 상기 장착목이 삽입되는 제2 관통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 관통편은,
상기 제1 관통편으로부터 상기 연동본체의 테두리를 향해 함입되어 형성된 제1 내측단과 제2 내측단에 의해 규정되고,
상기 제1 내측단과 상기 제2 내측단의 이격거리는, 상기 장착목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연동본체는,
상기 모터회동축의 제1 방향으로 회전 중에, 상기 장착목과 상기 제1 내측단과의 접촉 후의 계속된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모터회동축의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의 회전 중에, 상기 장착목과 상기 제2 내측단과의 접촉 후의 계속된 회전에 따라 상기 제2 방향으로 회동되며,
상기 장착목은,
상기 제2 관통편의 중앙에 위치한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회동 중에 상기 제1 내측단과 접촉되는 제2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회동되어 제4 위치로 이동되며,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회동 중에 상기 제2 내측단과 접촉되는 제3 위치로 이동되며,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회동되어 제5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회동부는,
상기 장착목의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의 위치 이동 또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3 위치로의 위치 이동 중에 연동되어 회전되고,
상기 연동부는,
상기 장착목의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의 위치 이동 또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3 위치로의 위치 이동 중에 회전되지 않으며,
상기 연결장착홀은,
상기 장착목의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의 위치 이동 또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3 위치로의 위치 이동 중에 상기 연결부와 상기 연동본체가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부의 회동 반경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through hole is
It consists of a first through-piece into which the motor rotation shaft is inserted and a second through-piece connected to the first through-piece, into which the mounting neck is inserted,
The second through piece,
It is defined by a first inner end and a second inner end formed by being depressed toward the edge of the interlocking body from the first through-piec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inner end and the second inner end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mounting neck,
The interlocking body is
During rotation in the first direction of the motor rotation shaft, rotated in the first direction according to the continuous rotation after the contact between the mounting neck and the first inner end,
During rotation of the motor rotation shaft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it is rotated in the second direction according to the continued rotation after contact between the mounting neck and the second inner end,
The installation tree is
From a first position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second through-piece, it is moved to a second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first inner end during rotation in the first direction, and is rotated from the second position in the first direction to a fourth position. i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it is moved to a third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second inner end during rotation in the second direction, and is rotated from the third position in the second direction to a fifth position,
The rotating part,
and rotates interlockingly during the movement of the mounting neck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or the movement of the position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third position;
The linkage is
is not rotated during the movement of the neck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or the movement of the neck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third position;
The connection mounting hole is
Corresponds to the rotation radius of the connection part so that the connection part and the interlocking body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during the movement of the mounting neck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or the movement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third position Vehicle brake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so as to b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장착부장착홀에 삽입되는 축형성부,
상기 축형성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브레이크 페달을 가압하는 접촉롤러부 및
상기 축형성부의 일측단 및 타측단에 고정되어 상기 축형성부의 상기 장착부장착홀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축고정부를 구비하며,
브레이크 페달의 상기 접촉롤러부와의 대향면에 부착되어 상기 접촉롤러부와 접촉된 채, 상기 회동부의 회동에 따른 가압력을 브레이크 페달에 전달하는 매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촉롤러부는,
상기 매개부에 접촉된 채, 상기 회동부의 회동에 따라 상기 매개부를 따라 구름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mounting part,
a shaft forming part inserted into the mounting part mounting hole;
a contact roller part which is rotatably mounted on the shaft forming part and presses the brake pedal;
and a shaft fixing part fixed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haft forming part to prevent separation from the mounting part mounting hole of the shaft forming part,
It further includes a; a mediator attached to the opposite surface of the contact roller of the brake pedal to transmit the pressing forc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unit to the brake pedal while in contact with the contact roller unit;
The contact roller unit,
While in contact with the intermediate portion, the vehicle brake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rolling contact along the intermediate por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or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감지공간에 위치한 상기 탐지바의 유무를 감지하며,
상기 연동부는,
상기 장착목의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의 위치 이동 또는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5 위치로의 위치 이동 중에 상기 회동부와 연동되어 회전되며,
상기 탐지바는,
상기 장착목의 상기 제1 위치, 상기 제2 위치 및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감지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장착목의 상기 제4 위치 및 상기 제5 위치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연동되어 상기 감지공간으로부터 이탈되며,
상기 장착부는,
상기 장착목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으로 회동되는 상기 회동부와 연동되어 브레이크 페달을 가압하며,
상기 장착목에 의해 상기 제2 방향으로 회동되는 상기 회동부와 연동되어 브레이크 페달을 가압 해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회동축이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 중에,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탐지바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모터회동축이 정지하도록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며,
상기 모터회동축이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 중에,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탐지바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모터회동축이 정지하도록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회동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스토퍼를 구비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회동부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위치에서 벗어난 상기 장착목의 상기 제1 위치로의 위치 조정을 위하여,
상기 모터회동축을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 모드,
상기 회동부의 상기 스토퍼에 의한 회동 제한에 따라 상기 모터회동축이 정지되면, 상기 모터회동축을 상기 제1 방향으로 기설정된 제1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제2 모드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각도만큼 회전된 상기 모터회동축을 상기 제2 방향으로 기설정된 제2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제3 모드를 순차적으로 구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
7. The method of claim 6,
The sensing uni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detection bar located in the sensing space,
The linkage is
During the movement of the position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ourth position of the mounting neck or the movement of the position from the third position to the fifth position, it is rotated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ng part,
The detection bar is
In the first position, the second position, and the third position of the mounting neck, it is located in the sensing space,
It is interlock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osition to the fourth position and the fifth position of the mounting neck and is separated from the sensing space,
The mounting part,
By interlocking with the rotating part rotated in the first direction by the mounting neck, the brake pedal is pressed,
The brake pedal is released by interlocking with the rotating part rotated in the second direction by the mounting neck,
The control unit is
When the detection bar is not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while the motor rotating shaft is rotating in the first direction, the motor unit is controlled to stop the motor rotating shaft,
If the detection bar is not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while the motor rotating shaft rotates in the second direction, controlling the motor unit to stop the motor rotating shaft,
The body part,
and a stopper disposed to face the rotating part,
The stopper is
Limiting the range of rotation of the rotation unit in the second direction,
The control unit i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ounting neck out of the first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a first mode for rotating the motor rotation shaft in the second direction;
a second mode of rotating the motor rotating shaft by a first angle preset in the first direction when the motor rotating shaft is stopped according to the rotation restriction by the stopper of the rotating unit;
and sequentially implementing a third mode of rotating the motor rotation shaft rotated by the first angle in the first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second angle in the second direc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부는,
브레이크 페달에 부착되는 매개본체 및
상기 매개본체가 브레이크 페달에 고정되도록 하는 매개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매개본체는,
하측단으로부터 경사면을 형성하는 매개경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매개경사부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사용자 발의 앞단이 위치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매개고정부는,
매개본체의 길이방향 일측단과 브레이크 페달의 일측면에 동시에 체결되는 제1 고정편 및
매개본체의 길이방향 타측단과 브레이크 페달의 타측면에 동시에 체결되는 제2 고정편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고정편은,
하측단으로부터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고정경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고정편은,
하측단으로부터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고정경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고정경사부 및 상기 제2 고정경사부는,
상기 매개경사부와 동일한 경사면을 제공하며,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사용자 발의 앞단이 위치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
7. The method of claim 6,
The mediator is
The intermediate body attached to the brake pedal and
and an intermediate fixing part for fixing the intermediate body to the brake pedal;
The medium body is
and an intermediate inclined portion forming an inclined surface from the lower end;
The intermediate inclination unit,
It forms a space where the front end of the user's foot that steps on the brake pedal is located,
The intermediary fixing unit,
a first fixing piece that is simultaneously fastened to one end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termediate body and one side of the brake pedal; and
and a second fixing piece that is simultaneously fastened to the other longitudinal end of the intermediate body and the other side of the brake pedal;
The first fixing piece,
and a first fixed inclined portion forming an inclined surface from the lower end,
The second fixing piece,
and a second fixed inclined portion forming an inclined surface from the lower end,
The first fixed inclined portion and the second fixed inclined portion,
The vehicle brake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the same inclined surface as the intermediate inclination part and forms a space in which the front end of the user's foot pressing the brake pedal is locat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차량 내부에 장착되는 바디본체,
상기 모터부가 체결되는 모터체결홀 및
상기 감지부의 상기 바디본체로의 장착을 위한 감지부체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body part,
The body body mounted inside the vehicle,
a motor fastening hole to which the motor part is fastened; and
and a sensing unit fastening unit for mounting the sensing unit to the body body.
KR1020210094422A 2021-07-19 2021-07-19 Brake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KR1023266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422A KR102326675B1 (en) 2021-07-19 2021-07-19 Brake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422A KR102326675B1 (en) 2021-07-19 2021-07-19 Brake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6675B1 true KR102326675B1 (en) 2021-11-22

Family

ID=78717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4422A KR102326675B1 (en) 2021-07-19 2021-07-19 Brake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667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27018A1 (en) * 2022-07-30 2024-02-08 宁德时代(上海)智能科技有限公司 Vehicle brake control device and brake control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447B1 (en) 2019-07-10 2020-03-09 주식회사 케이에이알 Automatic driving system and automatic deceleration control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447B1 (en) 2019-07-10 2020-03-09 주식회사 케이에이알 Automatic driving system and automatic deceleration control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27018A1 (en) * 2022-07-30 2024-02-08 宁德时代(上海)智能科技有限公司 Vehicle brake control device and brake control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63923B1 (en) Installation structure of a pedal stroke sensor
KR101782368B1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086447B1 (en) Automatic driving system and automatic deceleration control apparatus
US6554744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road speed of a motor vehicle
EP0634979B1 (en) Set of motor vehicle controls for the assistance of invalid drivers
US20100222976A1 (en) Driving assistance system having presence monitoring
KR102326675B1 (en) Brake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EP1186494A3 (en) Brake fluid pressure retaining apparatus
KR101999689B1 (en)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control device in a vehicle
US10099664B2 (en) Adjustable brake apparatus for use with vehicles
AU2018204926B2 (en) Vehicle Control System
US20050067889A1 (en) Brake-by-wire input device arrangment
JP6654820B2 (en) Driving support device and driving support method
US20210146910A1 (en) Autonomous driving system and autonomous steering apparatus
JP7103968B2 (en) Bulldozer safety device
KR20170090152A (en) Emergency bra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 vehicle using electronic parking brake system and electronic stability control system
US6356190B1 (en) Brake early warning system and method of use
US20040263326A1 (en) Brake early warning system and method of use
KR2019006889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rake of vehicle
KR970016565A (en) Unmanned driving test system of test car
JPH05162623A (en) Automatic brake device
WO1997033781A3 (en) Device for braking
JP3094617B2 (en) Travel control device for connecting trailer in battery-powered towing tractor
KR101903669B1 (en) A perceiving device of brake and acceleration pedals for vehicles
KR200450775Y1 (en) The auto brake system of the v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