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6665B1 - 인공새집 및 그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공새집 및 그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26665B1 KR102326665B1 KR1020200003603A KR20200003603A KR102326665B1 KR 102326665 B1 KR102326665 B1 KR 102326665B1 KR 1020200003603 A KR1020200003603 A KR 1020200003603A KR 20200003603 A KR20200003603 A KR 20200003603A KR 102326665 B1 KR102326665 B1 KR 1023266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irdhouse
- artificial
- bird
- ring member
- managemen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9395 bree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1488 breed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2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claims 1
- 241000271566 Aves Species 0.000 description 2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8
- 241000607479 Yersinia pestis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5770 birds nes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765 wild carro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38631 Hex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7116 Par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7509 Piciform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70295 Serpent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78 claw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94 climb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601 egg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02 straw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14—Nest-boxes, e.g. for singing birds or the like
- A01K31/16—Laying nests for poultry; Egg collecting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Zo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인공새집 및 그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조류의 서식을 위한 인공새집은, 다각형 구조의 본체, 상기 본체의 정면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기본 출입구에 서로 다른 직경의 복수의 링 부재가 순차적으로 조립되어 출입구의 직경 크기가 단계별로 조절되는 가변 출입부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탑재되어 조류의 서식여부를 감시하고 감시된 새집 상태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감시 단말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조류의 서식을 위한 인공새집은, 다각형 구조의 본체, 상기 본체의 정면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기본 출입구에 서로 다른 직경의 복수의 링 부재가 순차적으로 조립되어 출입구의 직경 크기가 단계별로 조절되는 가변 출입부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탑재되어 조류의 서식여부를 감시하고 감시된 새집 상태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감시 단말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공새집 및 그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종류와 크기의 조류가 서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인공새집 및 그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숲과 공원에는 다양한 종류의 조류가 서식하면서 생태계를 유지하고 있다. 예를 들어, 박새는 숲은 물론 주택가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텃새로써 한 마리당 약 10만마리의 곤충 유충을 먹어 숲이 해충의 피해를 보지 않게 한다. 하지만 대규모 도시개발로 인해 숲이 점차 사라지면서 새들의 서식지와 생태계가 위협받고 있다.
이에 도시개발에 따른 자연림이나 거목 등의 소실로 둥지를 틀지 못하는 새들의 서식지를 제공하여 번식을 도와 자연생태보존 및 산림해충방제에 큰 효과를 얻고자 인공새집을 설치하는 생태활동이 연구되고 있다.
예컨대, 다량의 인공새집을 숲, 습지, 공원, 가로수 및 주택가 등에 설치하고 관찰한 결과 대부분의 인공새집이 조류에 분양되어 알을 낳고 새끼를 키우는 것이 관찰됨으로써 번식에 도움이 되고 이로 인한 해충방제효과가 큰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인공새집은 대부분이 조류의 습성을 고려하지 못하고 출입구가 뚫려 있는 단순한 박스구조이며, 조류의 종별 크기(몸집)에 따라 출입구를 다르게 수작업으로 제작해야 하므로 보급에 한계가 있다.
또한, 인공새집은 대부분 나무나 기둥과 같은 수직 구조물에 높게 설치되는데 지역별로 광범위하게 분산 설치된 인공새집의 현재 사용상태(서식, 미서식, 이소 및 방치)를 파악하기 어렵고, 새끼가 자라 둥지를 떠나는 이소(離巢)를 마친 이후 방치된 인공새집의 재활용(재분양)을 위한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조류의 생태습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종류와 크기의 조류가 서식할 수 있도록 가변출입구조를 갖는 인공새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역적으로 분산 설치된 인공새집의 분포와 사용상태를 감시하여 재활용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인공새집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다양한 조류의 서식을 위한 인공새집은, 다각형 구조의 본체; 상기 본체의 정면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기본 출입구에 서로 다른 직경의 복수의 링 부재가 순차적으로 조립되어 출입구의 직경 크기가 단계별로 조절되는 가변 출입부;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탑재되어 조류의 서식여부를 감시하고 감시된 새집 상태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감시 단말기를 포함한다.
여기에, 고무성분을 포함하여 길이가 늘어나는 탄성 로프로 상기 본체에 형성된 관통구를 관통하여 수직 구조물의 둘레를 감싼 후 양단의 후크를 통해 체결되는 탄성 밸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정면부, 후면부, 좌우의 측면부, 지붕부 및 바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면부는 상기 가변 출입부의 아래에 가로방향으로 일정간격의 안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우의 측면부는 서로 대칭된 모양으로 상기 후면부와 접하는 상하측 꼭지점 부분을 각각 절단하여 형성된 제1 관통구와 모서리의 일부를 절단하여 형성된 제2 관통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측의 측면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를 개방하기 위한 경첩과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정면부와 후면부의 내벽 양측에 고정된 지지부에 상기 감시 단말기를 탑재하여 슬라이딩 삽입되는 선반부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붕부는 상기 후면부로부터 상기 정면부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에 비해 넓은 면적으로 상기 정면부와 상기 좌우의 측면부로부터 돌출된 처마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붕부는 상기 정면부 방향의 선단 상면에 가로방향으로 돌출된 안착돌기 및 상기 경사면에 일정간격의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오르막 단차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부는 상기 정면부, 후면부, 좌우의 측면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사각의 꼭지점 부분이 각각 절단하여 형성된 제3 관통구; 및 본체 내부의 청소를 위해 상기 바닥부의 상면을 커버하는 교체형 크리닝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면부는 상기 지붕부와 연결된 접점을 중심으로 내측방향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부는 상면에 본체 내부의 청소를 위한 교체형 크리닝 시트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 출입부는 상기 직경이 작은 순서대로 제1 출입구가 형성된 제1 링 부재, 제2 출입구가 형성된 제2 링 부재 및 제3 출입구가 형성된 제3 링 부재의 각 외주면과 내주면이 서로 대응되게 단차진 구조를 갖고 상기 기본 출입구에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링 부재, 제2 링 부재 및 제3 링 부재는 각각 대응되는 제1 링크, 제2 링크 및 제3 링크에 의해 상기 정면부의 내벽에 고정된 힌지축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각 링 부재는 조립 시 앞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원형의 입구돌기를 형성하고, 분리 시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내측으로 회전되어 받침부재에 의해 상기 출입구 측으로 경사진 발판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 출입부는 모든 링 부재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링 부재, 제2 링 부재 및 제3 링 부재가 순차적으로 분리되면 그에 따른 출입구의 직경이 순차적으로 늘어나고, 상기 모든 링 부재가 분리된 상태에서 역순으로 상기 제3 링 부재, 제2 링 부재 및 제1 링 부재가 순차적으로 조립되면 그에 따른 출입구의 직경이 순차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시 단말기는 동작감지센서를 통해 조류의 서식여부를 감지하고,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새집 ID와 감지된 서식상태정보, 미서식상태정보 및 방치상태정보 중 어느 하나의 새집 상태정보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새집 관리 시스템은, 다각형 구조인 본체의 정면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기본 출입구에 서로 다른 직경의 복수의 링 부재가 순차적으로 조립되어 출입구의 직경 크기가 단계별로 조절되는 가변 출입부가 형성된 인공새집; 상기 본체의 내부에 탑재되어 조류의 서식여부를 감시하고 감시된 새집 상태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감시 단말기; 및 지역별로 분산 설치된 상기 인공새집을 중앙에서 관리하며, 상기 감시 단말기로부터 새집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번식기를 거처 이소(離巢)를 마친 인공새집의 위치를 파악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는 지역별로 청소를 포함하여 유지관리가 필요한 상기 인공새집을 파악하여 인공새집 ID, 설치위치 및 설치된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해당 지역의 유관기관 서버 또는 관리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시 단말기는 저전력 통신, 무선통신, 근거리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수단을 통해 상기 관리 서버와 연결되는 통신 모듈;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작동(ON)되어 상기 인공새집의 내부에 존재하는 새의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 설정된 일정시간 주기로 상기 동작감지센서를 작동(ON)하여 한시적 감지를 활성화한 후 종료(OFF)하는 타이머 모듈; 2차전지 혹은 태양전지로 구성되어 상기 감시 단말기의 운용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모듈; 및 상기 동작감지센서를 통해 조류의 서식여부를 감지하고, 인공새집 관리 알고리즘에 따른 새집 ID와 감지된 서식상태정보, 미서식상태정보 및 방치상태정보 중 어느 하나의 새집 상태정보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모듈의 상기 인공새집 관리 알고리즘은, 조류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미서식 상태에서, 상기 동작감지센서로부터 조류감지신호가 처음 수신되면 카운트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동작감지센서로부터 복수의 주기로 연속된 조류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조류 서식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새집 ID와 서식상태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복수의 주기로 연속된 조류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새집 ID와 미서식상태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미서식상태정보의 전송 이후 일정 기간 동안 조류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방치 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새집 ID와 방치상태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감시 단말기에서 감지된 상기 새집 상태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지역별로 설치된 상기 인공새집의 새집 ID, 설치위치 및 설치 영상정보를 등록하여 새집관리테이블을 생성하는 새집상태 관리부; 상기 인공새집에 설치된 영상 장비에서 촬영된 영상을 상기 새집 ID에 매칭하여 저장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인공새집의 관리를 위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고, 그 운용에 따라 생성되는 상기 새집관리테이블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새집관리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전국 각지에 설치된 인공새집의 분포와 사용상태를 지도에 표시하고, 연도별, 계절별, 시간별, 지역별 그래프 및 데이블을 통해 통계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새집상태 관리부는 상기 새집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새집 ID와 서식상태정보, 미서식상태정보 및 방치상태정보 중 어느 하나를 파악하고 상기 새집관리테이블에 매칭된 새집 ID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조류의 종류나 몸집을 고려하여 출입구의 크기를 가변 설치할 수 있는 규격화된 인공새집을 제공함으로써 조류의 종별 크기에 따른 맞춤형 서식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번식기의 조류 습성, 강우에 대한 안전성 및 청소/관리의 편의성을 고려한 구조의 인공새집을 제공함으로써 조류의 번식과 해충방제의 효과가 있다.
또한, 지역별로 인공새집의 분포와 서식여부를 파악하고 방치된 인공새집의 관리를 수행함으로써 신규 인공새집의 적소 보급뿐만 아니라 기존 인공새집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새집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새집의 설치 예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새집 본체의 정면도, 측면도 및 저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2의 A-A 단면도를 통해 인공새집 본체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출입부의 출입구 가변 방법과 그 활용 예시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새집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추가 실시 예에 따른 인공새집 본체의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2는 제2 추가 실시 예에 따른 인공새집 본체의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새집의 설치 예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새집 본체의 정면도, 측면도 및 저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2의 A-A 단면도를 통해 인공새집 본체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출입부의 출입구 가변 방법과 그 활용 예시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새집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추가 실시 예에 따른 인공새집 본체의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2는 제2 추가 실시 예에 따른 인공새집 본체의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된다'거나 '접속된다'고 언급되는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된다'거나 '직접 접속된다'고 언급되는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아니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새집 및 그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새집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새집의 설치 예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새집 관리 시스템은 인공새집(1), 관리 서버(2) 및 유관 서버(3)를 포함하여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인공새집(1)은 숲, 습지, 공원, 가로수 및 주택가 등의 수직 구조물에 분산 설치된다.
인공새집(1)은 다각형 구조의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정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출입구의 직경 크기가 단계별로 조절가능 하게 설치된 가변 출입부(20),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탑재되는 감시 단말기(30) 및 상기 본체(10)를 관통하여 수직구조물의 일면에 부착하는 탄성 벨트(40)를 포함한다. 감시 단말기(30)는 타이머와 동작감지센서를 통해 인공새집(1) 내에 조류의 서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관리 서버(2)은 지역별로 분산 설치된 인공새집(1)을 중앙에서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관리 서버(2)는 인공새집(1)에 설치된 감시 단말기(30)로부터 조류의 서식에 여부에 따른 새집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번식기를 거처 이소(離巢)를 마친 인공새집(1)의 위치를 파악한다. 이 때, 번식기에 부화된 새끼가 자라 둥지를 떠난 이소를 마친 인공새집(1)은 다음 번식기에 재활용될 수 있도록 내부 청소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관리 서버(2)는 지역별로 청소를 포함하여 관리가 필요한 인공새집(1)을 파악하여 관리 정보를 유관 서버(3)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정보에는 인공새집 ID, 설치위치(예; GPS 좌표) 및 설치된 영상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유관 서버(3)는 지역별 관공서, 생태관리기관 및 환경단체 등의 유관기관 시스템이다.
유관 서버(3)는 관리 서버(2)로부터 인공새집(1)의 관리 정보를 수신하여 설치위치를 파악하고, 관리자를 인공새집(1)의 설치위치로 투입한다. 이 때, 관리 서버(2) 또는 유관 서버(3)는 관리자의 단말기 조회에 따른 인공새집 ID별 위치정보를 지도에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새집(1)의 본체(10), 가변 출입부(20), 감시 단말기(30) 및 탄성 벨트(4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새집 본체의 정면도, 측면도 및 저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새집(1)의 본체(10)는 정면부(10a), 후면부(10b), 좌우의 측면부(10c), 지붕부(10d) 및 바닥부(10e)를 포함하여 다각형 구조로 조립된다. 이때, 본체(10)의 각 면은 나무, 압축목재 또는 합성수지를 통해 정해진 규격에 따라 대량으로 제작되고, 타커, 못, 쐐기 및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조립될 수 있다.
정면부(10a)는 가변 출입부(20) 및 안착 홈(11)을 포함한다.
가변 출입부(20)는 정면부(10a)를 관통하여 형성된 기본 출입구(20d)에 서로 다른 직경의 복수의 링 부재(21)가 단계적으로 조립되며, 링 부재(21)가 조립된 개수에 따라 직경이 서로 다른 제1 출입구(20a), 제2 출입구(20b), 제3 출입구(20c) 및 제4 출입구(20d, 상기 기본 출입구와 동일함) 중 어느 하나의 직경으로 가변 된다.
즉, 가변 출입부(20)는 새의 종별 몸집 크기를 고려한 또는 특정 조류의 서식 제공을 목적으로 상기 링 부재(21)의 조립 개수가 다르게 설정되어 출입구의 직경이 가변 될 수 있다. 예컨대, 가변 출입부(20)는 모든 링 부재(21a, 21b, 21c)가 조립된 상태로 제1 출입구(20a)를 형성하거나, 순차적으로 제1 링 부재(21a)가 분리된 상태로 제2 출입구(20b)를 형성하거나, 제2 링 부재(21b)가 분리된 상태로 제3 출입구(20c)를 형성하거나, 제3 링 부재(21c)까지 모두 분리된 상태로 제4 출입구(20d)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편의상 링 부재(21)를 3개로 가정하고 직경 크기를 모두 등 간격으로 표현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링 부재(21)의 설치 개수와 간격은 변경될 수 있다.
안착 홈(11)은 가변 출입부(20)의 아래에 가로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먹이를 물어온 어미새가 출입구 측에 착지되는 발판역할을 한다.
후면부(10b)는 정면부(10a)에 비해 가로 폭이 동일하지만 높이방향의 길이가 크게 제작된다.
좌우의 측면부(10c)는 대칭된 모양으로 후면부(10b)와 접하는 상하측 꼭지점 부분을 각각 절단하여 형성된 제1 관통구(h1)와 모서리의 일부를 절단하여 형성된 제2 관통구(16b)를 포함한다. 제1 관통구(h1)와 제2 관통구(h2)는 실내 환기와 배수 역할을 하며, 필요 시 나무나 기둥의 수직 구조물에 설치하기 위한 탄성 벨트(40)가 관통되거나 전자장비의 배선이나 안테나의 인출통로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일 측면부(10c)는 관리를 위해 실내를 개방하기 위한 경첩(12)과 손잡이(13)를 더 포함하고, 도면에서는 생략되었으나 자물쇠와 같은 별도의 잠금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지붕부(10d)는 정면부(10a), 후면부(10b), 좌우의 측면부(10c)를 포함하는 사각 단면의 외벽에 의해 지지되어 본체(10)의 상부를 커버하며, 후면부(10b)로부터 정면부(10a)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지붕부(10d)는 안착돌기(14), 단차부(15) 및 처마(16)를 포함한다.
지붕부(10d)는 바닥부(10e)에 비해 넓은 면적으로 정면부(10a)와 좌우의 측면부(10c)로부터 돌출된 처마(16)가 형성된다. 처마(16)는 외벽을 비로부터 보호하고 태양광을 차단하는 차광 역할을 한다.
안착돌기(14)는 새가 발톱으로 움켜쥐어 안착할 수 있도록 지붕부(10d)의 상면에 가로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는 번식기의 어미새가 반복적으로 먹이를 잡아 새끼에게 줘야 하기 때문에 인공새집(1)의 지붕에 올라 주변을 관찰하는 습성이 있으며, 지붕으로 날아든 어미새가 경사면에 미끄러지기 쉽기 때문에 안착돌기(14)에 용이하게 안착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고려한 것이다(도 9 참조).
단차부(15)는 지붕부(10d)의 경사진 상면에 일정간격의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오르막 단차(15a, 15b)를 포함한다. 즉, 단차부(15)는 오르막 단차(15a, 15b)를 통해 우천시 경사면을 따라 흐르는 빗물이 가변 출입부(20)가 형성된 정면부(10a) 측으로 흐르지 않고 측면부(10c) 측으로 빠져나가도록 설계된다.
이를 통해, 우천시 지붕부(10d)의 경사면을 따라 흐르는 빗물이 가변 출입부(20)를 통해 유입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우천시 인공새집(1)을 출입하는 새가 정면부(10a)로 흐르는 빗물에 젖는 것을 방지하여 출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바닥부(10e)는 정면부(10a), 후면부(10b), 좌우의 측면부(10c)의 내측에 설치되며, 사각의 꼭지점 부분을 각각 절단하여 형성된 제3 관통구(h3)를 포함한다.
제3 관통구(h3)는 실내 환기와 배수 역할을 하며, 인공새집(1) 내부에 둥지를 꾸미기 위하여 물어온 나뭇가지, 지푸라기, 이끼, 동물의 털 등의 잔재나 배설물 등이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2의 A-A 단면도를 통해 인공새집 본체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출입부(20)는 제1 링 부재(21a), 제2 링 부재(21b) 및 제3 링 부재(21c)의 각 외주면과 내주면이 서로 대응되게 단차진 구조로 조립된다. 그리고, 제1 링 부재(21a), 제2 링 부재(21b) 및 제3 링 부재(21c)는 각각 대응되는 제1 링크(22a), 제2 링크(22b) 및 제3 링크(22c)에 의해 힌지축(24)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조립된 각 링 부재(21a, 21b, 21c)는 상기 단차진 구조로 인하여 정면부(10a)의 바깥쪽으로는 회전되지 않고, 분리 시 힌지축(24)을 중심으로 내측으로 회전되며 정면부(10a)의 내벽에 설치된 받침부재(25)에 의해 걸려 고정된다.
이 때, 힌지축(24)의 아래에는 받침부재(25)가 형성되어 출입구 설정에 따라 가변 출입부(20)에서 분리된 링 부재(21)와 링크(22)가 출입구 측으로 일정한 경사를 갖도록 지지되는 발판을 이룬다. 즉, 받침부재(25)는 상기 일정한 경사로 지지된 상기 링 부재(21)와 링크(22)를 통해 새끼가 출입구 측으로 쉽게 올라와 먹이를 받아 먹을 수 있게 안내하는 발판 역할을 한다(도 9참조).
한편,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출입부의 출입구 가변 방법과 그 활용 예시를 나타낸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출입부(20)는 모든 링 부재(21a, 21b, 21c)가 조립된 상태에서 제1 링 부재(21a), 제2 링 부재(21b) 및 제3 링 부재(21c)가 순차적으로 분리되면 그에 따른 출입구의 직경이 순차적으로 늘어난다(20a < 20b < 20c).
반대로, 모든 링 부재(21a, 21b, 21c)가 분리된 상태에서 역순으로 제3 링 부재(21c), 제2 링 부재(21b) 및 제1 링 부재(21a)가 순차적으로 조립되면 그에 따른 출입구의 직경이 순차적으로 줄어든다(20c > 20b > 20a).
이러한 출입구의 직경 크기는 인공새집(1)을 설치 시 서식지 제공 목적에 따른 새의 종별 크기를 고려하여 가변 설정된다.
예컨대, 도 8(A)와 같이, 가변 출입부(20)는 모든 링 부재(21a, 21b, 21c)가 조립된 상태에서 제1 출입구(20a)를 갖도록 설정되어, 박새와 몸의 크기가 비슷한 쇠박새나 진박새 등이 함께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8(B)와 같이, 가변 출입부(20)는 제1 링 부재(21a)의 분리로 제2 출입구(20b)의 증가된 직경을 갖도록 가변 되어, 곤줄박이와 몸의 크기가 비슷한 다른 종의 새들이 함께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8(C)와 같이, 가변 출입부(20)는 제2 링 부재(21b)의 분리로 제3 출입구(20c)의 증가된 직경을 갖도록 가변 되어, 오색딱따구리와 몸의 크기가 비슷한 다른 종의 새들이 함께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8(D)와 같이, 가변 출입부(20)는 제3 링 부재(21c)의 분리로 제4 출입구(20d)의 증가된 직경을 갖도록 가변 되어, 소쩍새와 몸의 크기가 비슷한 다른 종의 새들이 함께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도 6 참조할 때, 본체(10)의 측면부(10c) 개방으로 보여지는 내부 구성은 정면부(10a)와 후면부(10b)의 내벽 양측에 고정된 지지부(17), 감시 단말기(30)를 탑재하고 상기 지지부(17)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선반부(18) 및 새가 서식된 이후에 내부 관리를 위해 교체되는 크리닝 시트(19)를 포함한다.
감시 단말기(30)는 동작감지센서(32)를 통해 인공새집(1)의 현재 사용상태(현재 서식, 미서식, 퇴거 및 방치)를 파악한다. 예컨대, 감시 단말기(30)는 동작감지센서(32)를 통해 내부에 새가 입주하여 서식중인 것을 감지하고,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새집 ID(고유식별정보)와 감지된 정보를 외부의 관리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감시 단말기(30)는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저전력 무선통신수단이나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할 수 있으며, 외부전원, 배터리 및 모듈화된 태양광 전지를 통해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선반부(18)는 감시 단말기(30)를 통해 새가 입주하여 서식 중인 것이 확인되면, 생태정보수집을 위해 필요한 영상 장비(50)를 더 탑재하여 인공새집(1) 내부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장비(50)는 주야간 모니터링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카메라, 핀 조명 및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장비(50)는 필요 시 인공새집(1)에 설치되어 번식기의 조류 생태정보를 관찰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이후에 관리자에 의해 회수될 수 있다.
크리닝 시트(19)는 바닥부(10e)의 상면에 교체형으로 설치되며 새의 서식 중에 꾸며진 둥지와 배설물 등이 누적된다.
크리닝 시트(19)는 감시 단말기(30)를 통해 서식중인 새가 이소를 마친 이후 방치된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관리자에 의해 교체될 수 있다.
이러한, 교체형 크리닝 시트(19)를 통해 수직구조물에 높게 설치되는 인공새집(1)의 특성상 청소가 어려운 관리 문제를 간단히 해결할 수 있으며, 분산 설치된 인공새집(1)이 사용된 후 오염된 상태로 방치되지 않고 다른 새들이 재사용할 수 있도록 깨끗하게 관리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탄성 벨트(40)는 고무성분으로 길이가 늘어나는 탄성 로프(41)와 상기 탄성로프(41)의 양단에 설치된 후크(42)를 포함한다. 탄성 밸트(40)는 본체(10)에 형성된 관통구를 탄성 로프(41)로 관통하여 나무와 같은 수직 구조물의 둘레를 감싼 후 양단의 후크(42)를 통해 체결된다.
일반적으로 인공새집을 철사(와이어)를 이용하여 나무와 같은 구조물에 감아 고정하였으나 수년이 지나면 나무가 자라서 철사가 나무에 박히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이에, 탄성 벨트(40)는 나무가 자람에 따른 탄성 로프(41)가 자동으로 늘어남으로써 나무가 훼손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새집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새집 관리 시스템은 인공새집(1)에 설치되는 감시 단말기(30)와 관리 서버(2)의 연동구조로 이루어진다.
감시 단말기(30)는 통신 모듈(31), 동작감지센서(32), 타이머 모듈(33), 배터리 모듈(34) 및 제어 모듈(35)를 포함한다.
통신 모듈(31)은 저전력 통신, 무선통신, 근거리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수단을 통해 관리 서버(2)와 연결된다.
동작감지센서(32)는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작동(ON)되어 인공새집(1)의 내부에 존재하는 새의 동작을 감시하고, 동작이 감지되면 조류감지신호를 제어 모듈(35)로 전달한다. 반면, 일정시간 동작이 감시되지 않으면 자동 종료(OFF)된다.
타이머 모듈(33)은 타이머의 작동으로 설정된 일정시간 주기로 동작감지센서(32)를 작동(ON)하여 한시적 감지기능을 활성화한 후 종료(OFF)한다. 예컨대, 타이머 모듈(33)은 12시간 주기로 동작감지센서(32)를 작동하여 감시기능을 활성화한 후 10분 후 종료할 수 있다.
인공새집(1)에 설치되는 감시 단말기(30)는 한정된 배터리 전원으로 운용되며, 동작감지센서(32)는 인공새집(1)에 조류가 서식하는 것을 확인만 하면 되므로 항상 켜있을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타이머 모듈(33)은 동작감지센서(32)를 일정 주기로만 작동하여 불필요한 작동전원을 줄일 수 있다.
배터리 모듈(34)은 감시 단말기(30)의 운용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배터리 모듈(34)은 충이 가능한 이차전지로 구성되거나 초소형 태양전지 모듈이 적용될 수 있다.
제어 모듈(35)은 인공새집 관리 알고리즘에 따른 새집 조류의 서식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감시 단말기(3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이를 위한 프로세서(MCU)와 새집 ID가 저장된 메모리로 구성된다.
제어 모듈(35)은 상기 인공새집 관리 알고리즘에 따라 이전 주기에 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미서식상태에서, 동작감지센서(32)로부터 조류감지신호가 처음 수신되면 이를 카운트(+1)하여 메모리에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 모듈(35)은 동작감지센서(32)로부터 복수의 주기로 연속된 조류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조류 서식상태로 판단하고 통신 모듈(31)을 통해 새집 ID와 서식상태정보를 관리 서버(2)로 전송한다.
이후, 제어 모듈(35)은 복수의 주기로 연속된 조류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통신 모듈(31)을 통해 새집 ID와 미서식상태정보를 관리 서버(2)로 전송하고, 이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후, 제어 모듈(35)은 미서식상태정보의 전송 후 일정 기간 동안 조류감지신호가 더 수신되지 않으면 인공새집(1)이 방치 상태로 판단하고 통신 모듈(31)을 통해 새집 ID와 방치상태정보를 관리 서버(2)로 전송한다.
관리 서버(2)는 정보 수집부(201), 새집상태 분석부(202), 영상 처리부(203), 데이터베이스(204) 및 제어부(205)를 포함한다.
정보 수집부(201)는 유/무선 통신수단을 포함하며, 인공새집(1)의 모니터링을 위해 전국 각지에 분산 설치된 감시 단말기(30)에서 감지된 새집 상태정보를 수집한다.
새집상태 관리부(202)는 지역별로 설치된 인공새집(1)의 새집 ID, 설치위치(예; GPS 좌표) 및 설치 영상정보를 등록하여 데이터베이스(204)의 새집관리테이블에 생성하고, 그 새집 ID별 상태정보를 업데이트한다.
예컨대, 새집상태 관리부(202)는 감시 단말기(30)에서 수신된 새집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새집 ID와 서식상태정보, 미서식상태정보 및 방치상태정보 중 어느 하나를 파악하여 상기 새집관리테이블에 매칭된 새집 ID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새집상태 관리부(202)는 상기 감시 단말기(30)의 제어 모듈(35)이 조류 서식상태를 판단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감시 단말기(30)에 센서만 설치된 경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서버(2) 단에서 각 새집 ID별 상태정보를 직접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영상 처리부(203)는 상기 서식상태정보가 수신된 인공새집(1)에 생태연구를 영상 장비(50)가 설치된 경우, 영상 장비(50)에서 촬영된 영상을 해당 새집 ID에 매칭하여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20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새집(1)의 관리를 위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고, 그 운용에 따라 생성되는 상기 새집관리테이블을 저장한다.
제어부(20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새집(1)의 관리를 위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처리 시스템으로써, 데이터베이스(204)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실행과 데이터를 토대로 인공새집 별 상태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제어부(205)는 새집관리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전국 각지에 설치된 인공새집(1)의 분포와 사용상태를 지도에 표시할 수 있으며, 연도별, 계절별, 시간별, 지역별 그래프 및 데이블을 통해 통계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205)는 지역별로 청소 및 배터리 교체의 관리가 필요한 인공새집(1)을 파악하여 관리 정보를 유관 서버(3)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정보에는 인공새집 ID, 설치위치(예; GPS 좌표) 및 설치된 영상정보를 포함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조류의 종별 크기에 따라 출입구의 크기가 가변 되는 인공새집을 규격화 제작함으로써 다양한 조류에 대한 맞춤형 서식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번식기의 조류 습성, 우천시의 안전성 및 청소/관리의 편의성을 고려한 구조의 인공새집을 제공함으로써 조류의 번식과 해충방제의 효과가 있다.
또한, 지역별로 인공새집의 분포와 서식여부를 파악하고 방치된 인공새집의 관리를 수행함으로써 신규 인공새집의 적소 보급뿐만 아니라 기존 인공새집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의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추가 실시 예에 따른 인공새집 본체의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추가 실시 예에 따른 인공새집의 본체(10)는 도 6의 구성과 유사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 추가된 구성을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가변 출입부(20)의 제1 링 부재(21a), 제2 링 부재(21b) 및 제3 링 부재(21c)의 앞면에 외측으로 각각 제1 입구돌기(23a), 제2 입구돌기(23b) 및 제3 입구돌기(21c)가 추가 형성된 점이 다르다.
상기 각 입구돌기(23a, 23b, 21c)는 각각 해당 출입구의 설정 시 정면부(10a)로부터 돌출되어 원형의 단차를 형성하므로 우천시 정면부(10a)의 외벽을 타고 흐르는 빗물이 출입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각 입구돌기(23a, 23b, 21c)는 도 9와 같이 먹이를 물어온 어미새가 용이하게 안착할 수 있는 발판역할을 하는 이점이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인공새집은 야외에 설치되는 특성상 직사광선, 바람 및 강우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출입구를 약간 아래방향으로 설치해야 하며, 뱀이나 청솔모와 같은 천적의 침입으로부터 안전하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나무와 같은 자연 구조물은 인공새집을 아래방향으로 비스듬이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전신주, 가로등 및 건물의 벽과 같은 인공 구조물은 설치면이 수직이므로 아래방향으로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다.
이에, 도 12는 제2 추가 실시 예에 따른 인공새집 본체의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추가 실시 예에 따른 인공새집의 본체(10)는 도 6의 구성과 유사하며, 가변 출입부(20)가 정면이 아닌 아래를 향하도록 지붕부(10d)와 연결된 정면부(10a)의 단면이 내측방향으로 일정각도(예; 20~30도)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우천시 빗물이 출입구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천적으로부터의 접근을 제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인공새집 10: 본체
10a: 정면부 10b: 후면부
10c: 측면부 10d: 지붕부
10e: 바닥부 11: 안착 홈
12: 경첩 13: 손잡이
14: 안착돌기 15: 단차부
16: 처마 17: 지지부
18: 선반부 19: 크리닝 시트
20: 가변 출입부 h1, h2, h3: 제1, 제2, 제3 관통구
20a, 20b, 20c, 20d: 제1, 제2, 제3, 제4 출입구
21a, 21b, 21c: 제1, 제2, 제3 링 부재
22a, 22b, 22c: 제1, 제2, 제3 링크
23a, 23b, 23c: 제1, 제2, 제3 입구돌기
24: 힌지축 25: 받침부재
30: 감시 단말기 31: 통신 모듈
32: 동작감지센서 33: 타이머 모듈
34: 배터리 모듈 35: 제어 모듈
40: 탄성 밸트 50: 영상 장비
2: 관리 서버 201: 정보 수집부
202: 새집상태 관리부 203: 영상 처리부
204: 데이터베이스 205: 제어부
10a: 정면부 10b: 후면부
10c: 측면부 10d: 지붕부
10e: 바닥부 11: 안착 홈
12: 경첩 13: 손잡이
14: 안착돌기 15: 단차부
16: 처마 17: 지지부
18: 선반부 19: 크리닝 시트
20: 가변 출입부 h1, h2, h3: 제1, 제2, 제3 관통구
20a, 20b, 20c, 20d: 제1, 제2, 제3, 제4 출입구
21a, 21b, 21c: 제1, 제2, 제3 링 부재
22a, 22b, 22c: 제1, 제2, 제3 링크
23a, 23b, 23c: 제1, 제2, 제3 입구돌기
24: 힌지축 25: 받침부재
30: 감시 단말기 31: 통신 모듈
32: 동작감지센서 33: 타이머 모듈
34: 배터리 모듈 35: 제어 모듈
40: 탄성 밸트 50: 영상 장비
2: 관리 서버 201: 정보 수집부
202: 새집상태 관리부 203: 영상 처리부
204: 데이터베이스 205: 제어부
Claims (20)
- 다양한 조류의 서식을 위한 인공새집에 있어서,
다각형 구조의 본체;
상기 본체의 정면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기본 출입구에 서로 다른 직경의 복수의 링 부재가 순차적으로 조립되어 출입구의 직경 크기가 단계별로 조절되는 가변 출입부;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탑재되어 조류의 서식여부를 감시하고 감시된 새집 상태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감시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가변 출입부는 상기 직경이 작은 순서대로 제1 출입구가 형성된 제1 링 부재, 제2 출입구가 형성된 제2 링 부재 및 제3 출입구가 형성된 제3 링 부재의 각 외주면과 내주면이 서로 대응되게 단차진 구조를 갖고 상기 기본 출입구에 조립되는 인공새집. - 제1항에 있어서,
고무성분을 포함하여 길이가 늘어나는 탄성 로프로 상기 본체에 형성된 관통구를 관통하여 수직 구조물의 둘레를 감싼 후 양단의 후크를 통해 체결되는 탄성 밸트를 더 포함하는 인공새집.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정면부, 후면부, 좌우의 측면부, 지붕부 및 바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면부는 상기 가변 출입부의 아래에 가로방향으로 일정간격의 안착 홈이 형성되는 인공새집.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의 측면부는
서로 대칭된 모양으로 상기 후면부와 접하는 상하측 꼭지점 부분을 각각 절단하여 형성된 제1 관통구와 모서리의 일부를 절단하여 형성된 제2 관통구를 포함하는 인공새집. - 제4항에 있어서,
일 측의 측면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를 개방하기 위한 경첩과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정면부와 후면부의 내벽 양측에 고정된 지지부에 상기 감시 단말기를 탑재하여 슬라이딩 삽입되는 선반부가 구성되는 인공새집.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부는
상기 후면부로부터 상기 정면부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에 비해 넓은 면적으로 상기 정면부와 상기 좌우의 측면부로부터 돌출된 처마가 형성되는 인공새집.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부는
상기 정면부 방향의 선단 상면에 가로방향으로 돌출된 안착돌기 및 상기 경사면에 일정간격의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오르막 단차를 포함하는 인공새집.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상기 정면부, 후면부, 좌우의 측면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사각의 꼭지점 부분이 각각 절단하여 형성된 제3 관통구; 및
본체 내부의 청소를 위해 바닥부의 상면을 커버하는 교체형 크리닝 시트;
를 포함하는 인공새집.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부는
단면이 지붕부와 연결된 접점을 중심으로 내측방향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새집.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 부재, 제2 링 부재 및 제3 링 부재는
각각 대응되는 제1 링크, 제2 링크 및 제3 링크에 의해 상기 정면부의 내벽에 고정된 힌지축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공새집. - 제11항에 있어서,
각 링 부재는
조립 시 앞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원형의 입구돌기를 형성하고,
분리 시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내측으로 회전되어 받침부재에 의해 상기 출입구 측으로 경사진 발판을 형성하는 인공새집.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출입부는
모든 링 부재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링 부재, 제2 링 부재 및 제3 링 부재가 순차적으로 분리되면 그에 따른 출입구의 직경이 순차적으로 늘어나고,
상기 모든 링 부재가 분리된 상태에서 역순으로 상기 제3 링 부재, 제2 링 부재 및 제1 링 부재가 순차적으로 조립되면 그에 따른 출입구의 직경이 순차적으로 줄어드는 인공새집.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단말기는
동작감지센서를 통해 조류의 서식여부를 감지하고,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새집 ID와 감지된 서식상태정보, 미서식상태정보 및 방치상태정보 중 어느 하나의 새집 상태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인공새집. - 다각형 구조인 본체의 정면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기본 출입구에 서로 다른 직경의 복수의 링 부재가 순차적으로 조립되어 출입구의 직경 크기가 단계별로 조절되는 가변 출입부가 형성된 인공새집;
상기 본체의 내부에 탑재되어 조류의 서식여부를 감시하고 감시된 새집 상태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감시 단말기; 및
지역별로 분산 설치된 상기 인공새집을 중앙에서 관리하며, 상기 감시 단말기로부터 새집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번식기를 거처 이소(離巢)를 마친 인공새집의 위치를 파악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가변 출입부는 상기 직경이 작은 순서대로 제1 출입구가 형성된 제1 링 부재, 제2 출입구가 형성된 제2 링 부재 및 제3 출입구가 형성된 제3 링 부재의 각 외주면과 내주면이 서로 대응되게 단차진 구조를 갖고 상기 기본 출입구에 조립되는 인공새집 관리 시스템.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지역별로 청소를 포함하여 유지관리가 필요한 상기 인공새집을 파악하여 인공새집 ID, 설치위치 및 설치된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해당 지역의 유관기관 서버 또는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인공새집 관리 시스템. -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단말기는
저전력 통신, 무선통신, 근거리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수단을 통해 상기 관리 서버와 연결되는 통신 모듈;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작동(ON)되어 상기 인공새집의 내부에 존재하는 새의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
설정된 일정시간 주기로 상기 동작감지센서를 작동(ON)하여 한시적 감지를 활성화한 후 종료(OFF)하는 타이머 모듈;
2차전지 혹은 태양전지로 구성되어 상기 감시 단말기의 운용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모듈; 및
상기 동작감지센서를 통해 조류의 서식여부를 감지하고, 인공새집 관리 알고리즘에 따른 새집 ID와 감지된 서식상태정보, 미서식상태정보 및 방치상태정보 중 어느 하나의 새집 상태정보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 모듈;
을 포함하는 인공새집 관리 시스템.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의 상기 인공새집 관리 알고리즘은,
조류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미서식 상태에서, 상기 동작감지센서로부터 조류감지신호가 처음 수신되면 카운트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동작감지센서로부터 복수의 주기로 연속된 조류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조류 서식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새집 ID와 서식상태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복수의 주기로 연속된 조류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새집 ID와 미서식상태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미서식상태정보의 전송 이후 일정 기간 동안 조류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방치 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새집 ID와 방치상태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공새집 관리 시스템.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감시 단말기에서 감지된 상기 새집 상태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지역별로 설치된 상기 인공새집의 새집 ID, 설치위치 및 설치 영상정보를 등록하여 새집관리테이블을 생성하는 새집상태 관리부;
상기 인공새집에 설치된 영상 장비에서 촬영된 영상을 상기 새집 ID에 매칭하여 저장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인공새집의 관리를 위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고, 그 운용에 따라 생성되는 상기 새집관리테이블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새집관리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전국 각지에 설치된 인공새집의 분포와 사용상태를 지도에 표시하고, 연도별, 계절별, 시간별, 지역별 그래프 및 데이블을 통해 통계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인공새집 관리 시스템.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새집상태 관리부는
상기 새집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새집 ID와 서식상태정보, 미서식상태정보 및 방치상태정보 중 어느 하나를 파악하고 상기 새집관리테이블에 매칭된 새집 ID에 업데이트하는 인공새집 관리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3603A KR102326665B1 (ko) | 2020-01-10 | 2020-01-10 | 인공새집 및 그 관리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3603A KR102326665B1 (ko) | 2020-01-10 | 2020-01-10 | 인공새집 및 그 관리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90398A KR20210090398A (ko) | 2021-07-20 |
KR102326665B1 true KR102326665B1 (ko) | 2021-11-15 |
Family
ID=77127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03603A KR102326665B1 (ko) | 2020-01-10 | 2020-01-10 | 인공새집 및 그 관리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26665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22012B1 (ko) * | 2021-07-30 | 2022-07-15 | 국립생태원 | 소형 포유류 트랩 운용 시스템 및 그 방법 |
KR20230083477A (ko) | 2021-12-03 | 2023-06-12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조류의 생태 모니터링을 위한 생태정보 센서 및 기록 시스템을 탑재한 인공 새집 |
KR102680996B1 (ko) * | 2023-04-14 | 2024-07-02 | 국립생태원 | 소형 야생동물 모니터링 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64805B2 (ja) * | 1994-05-12 | 2000-07-12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
US20120012066A1 (en) * | 2010-07-16 | 2012-01-19 | Beery Marion L | Birdhouse Or Nest Box |
KR102060415B1 (ko) * | 2018-07-26 | 2019-12-30 | (주)아이티엔제이 | 꿀벌 보호를 위한 벌통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23856U (ja) * | 1991-09-10 | 1993-03-30 | 東京加工紙株式会社 | 組立式紙製巣箱 |
JP3064805U (ja) * | 1998-11-04 | 2000-01-28 | 株式会社フラワー東急 | 野鳥・野性小型哺乳動物の巣箱 |
KR101698315B1 (ko) * | 2014-12-05 | 2017-01-20 | 대한민국 | 새집 |
-
2020
- 2020-01-10 KR KR1020200003603A patent/KR10232666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64805B2 (ja) * | 1994-05-12 | 2000-07-12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
US20120012066A1 (en) * | 2010-07-16 | 2012-01-19 | Beery Marion L | Birdhouse Or Nest Box |
KR102060415B1 (ko) * | 2018-07-26 | 2019-12-30 | (주)아이티엔제이 | 꿀벌 보호를 위한 벌통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90398A (ko) | 2021-07-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26665B1 (ko) | 인공새집 및 그 관리 시스템 | |
US7537358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pelling pests | |
BR112021002477A2 (pt) | imagem assistida por sensor | |
CN113925039A (zh) | 一种基于物联网的园林病虫害智能防护系统及防控方法 | |
US6591545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ystematic eradication of mosquitoes adjacent to dwellings | |
CN108935373A (zh) | 一种蝗虫种群监测和防治的方法及诱捕装置 | |
US10709128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bird control | |
US11557142B1 (en) | Home wildlife deterrence | |
US20130305588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killing flying insects | |
Salmon et al. | Wildlife pest control around gardens and homes | |
US20230086397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rodent neophobia with respect rodent to population control means | |
CN108669019B (zh) | 白蚁仿生诱杀控制装置 | |
JPH1023836A (ja) | 移動式鶏舎及び鶏の飼育法 | |
Nurshuhada et al. | Overview of technologies used in swiftlet housing. | |
CN213147931U (zh) | 一种安防围栏 | |
US20240334037A1 (en) | Birdhouse incorporating a camera for remote viewing | |
CN211607949U (zh) | 一种基于3s技术的柑橘虫灾监测系统 | |
Dede et al. | AI in the Wild: Challenges of Remote Deployments | |
CN217958425U (zh) | 一种飞行类昆虫识别及计数装置 | |
Findlay | Optimisation of monitoring using camera-traps and field evidence when identifying Eurasian otter Lutra lutra resting or breeding sites | |
Marshall | Cavity-nesting bee and wasp diversity and foraging trip duration in urban residential gardens | |
CN206651261U (zh) | 一种林业害虫捕捉器 | |
Grade | Fear, Parental Behavior, and Community Structure in Residential Lands | |
Sannakashappanavar et al. | Intelligent Surveillance and Protection System for Farmlands from Animals | |
KR200307521Y1 (ko) | 조류의 인공둥지가 형성된 전신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