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6383B1 -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 - Google Patents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6383B1
KR102326383B1 KR1020210131199A KR20210131199A KR102326383B1 KR 102326383 B1 KR102326383 B1 KR 102326383B1 KR 1020210131199 A KR1020210131199 A KR 1020210131199A KR 20210131199 A KR20210131199 A KR 20210131199A KR 102326383 B1 KR102326383 B1 KR 102326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region
slip member
slip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1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유진
이승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싸
Priority to KR1020210131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63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6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6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4Keyplates; Ornaments or the like
    • A47B95/043Protecting rims, buffers or the like

Landscapes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는 얇은 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접힘 가능한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면에 격자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제1영역 내지 제4영역으로 접힘이 가능하도록 나누는 중심 라인과, 상기 제1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제1영역이 바닥면과 맞대어지도록 상기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가 가구의 하단 모서리에 구비될 시 상기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가 바닥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미끄러지도록 하는 슬립부재와, 상기 제2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제2영역이 바닥면과 맞대어지도록 상기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가 가구의 하단 모서리에 구비될 시 상기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가 바닥면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넌슬립부재와, 상기 제3영역 및 상기 제4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제3영역 및 상기 제4영역을 다수의 접힘 영역으로 접힘이 가능하도록 나누는 접힘 라인을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cushioning member for furniture transport}
본 발명은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구운반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가구가 만들어져 소비자에게 사용되기까지는 많은 공정과 운반이 필요하게 되며, 특히, 운반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제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때, 운반과정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은 운반시 제품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안전성 문제와 운반 장소에 안정적으로 배치하는 것이다.
지금까지는 운반시 안전성을 위해 가구의 좌우 및 하부에 판 상의 합성수지나 종이 박스를 끼워 넣어 충격으로부터 가구를 보호하고 있지만, 이러한 방법은 운반 중 가구가 외부 물체에 부딪혀 손상되거나 파손을 방지하는데 부족하고 운반중 가구의 슬립(slip)을 방지하는데 부족한 점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5618호(2007.01.2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구운반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는 얇은 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접힘 가능한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면에 격자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제1영역 내지 제4영역으로 접힘이 가능하도록 나누는 중심 라인과, 상기 제1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제1영역이 바닥면과 맞대어지도록 상기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가 가구의 하단 모서리에 구비될 시 상기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가 바닥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미끄러지도록 하는 슬립부재와, 상기 제2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제2영역이 바닥면과 맞대어지도록 상기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가 가구의 하단 모서리에 구비될 시 상기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가 바닥면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넌슬립부재와, 상기 제3영역 및 상기 제4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제3영역 및 상기 제4영역을 다수의 접힘 영역으로 접힘이 가능하도록 나누는 접힘 라인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슬립부재와 상기 넌슬립부재는 일체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영역은 바닥면과 맞대어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영역에는 일체화된 상기 슬립부재와 상기 넌슬립부재 중에서 상기 슬립부재가 관통하는 슬립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영역에는 일체화된 상기 슬립부재와 상기 넌슬립부재 중에서 상기 넌슬립부재가 관통하는 넌슬립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립홀은 상기 슬립부재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면에서 타면으로 나오도록 하는 제1출구와, 상기 제1출구와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슬립부재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타면에서 일면으로 들어가도록 하는 제1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넌슬립홀은 상기 넌슬립부재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면에서 타면으로 나오도록 하는 제2출구와, 상기 제2출구와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넌슬립부재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타면에서 일면으로 들어가도록 하는 제2입구를 구비하고, 일체화된 상기 슬립부재와 상기 넌슬립부재 중에서 상기 넌슬립부재는 상기 제1출구 및 상기 제1입구를 통해 상기 제1영역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일체화된 상기 슬립부재와 상기 넌슬립부재 중에서 상기 넌슬립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넌슬립부재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연장부재와, 상기 연장부재와 상기 슬립부재의 일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연장부재 또는 상기 슬립부재를 일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손잡이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제1출구, 상기 제1입구, 상기 제2출구 및 상기 제2입구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가 상기 제1출구, 상기 제1입구, 상기 제2출구 및 상기 제2입구를 통해 관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출구와 상기 제1입구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출구와 상기 제1입구를 통해 통과하는 상기 슬립부재 또는 상기 넌슬립부재에 달라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이물질제거장치는 틀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출구와 상기 제1입구의 테두리에 구비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슬립부재 또는 상기 넌슬립부재의 표면을 긁어내는 다수의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에 의하면, 가구운반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를 나타낸 전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의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에 이물질제거장치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를 나타낸 전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10)는 가구(20)의 모서리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어 가구(20)가 차량이나 인부 등에 의해 이동할 시 가구(20)의 모서리가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10)는 얇은 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접힘 가능한 베이스플레이트(100)와,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일면에 격자형태로 구비되어 베이스플레이트(100)를 제1영역(110) 내지 제4영역(140)으로 접힘이 가능하도록 나누는 중심 라인(200)과, 제1영역(110)에 구비되어 제1영역(110)이 바닥면과 맞대어지도록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10)가 가구(20)의 하단 모서리에 구비될 시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10)가 바닥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미끄러지도록 하는 슬립부재(300)와, 제2영역(120)에 구비되어 제2영역(120)이 바닥면과 맞대어지도록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10)가 가구(20)의 하단 모서리에 구비될 시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10)가 바닥면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넌슬립부재(400)와, 제3영역(130) 및 제4영역(140)에 구비되어 제3영역(130) 및 제4영역(140)을 다수의 접힘 영역(510)으로 접힘이 가능하도록 나누는 접힘 라인(500)을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00)는 접힘 가능한 재질로 구비된 제품이 사용되며, 미사용시에는 펴진 상태를 유지하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고, 사용시에는 가구(20)의 모서리를 보호하도록 3차원 형태로 접힐 수 있다.
중심 라인(200)은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일면에 격자형태로 구비되어 베이스플레이트(100)가 3차원 형태로 접히도록 하고, 베이스플레이트(100)는 중심 라인(200)에 의해 제1영역(110) 내지 제4영역(140)으로 구분되며, 제1영역(110)이 좌측 상단, 제2영역(120)이 우측 상단, 제3영역(130)이 좌측 하단, 제4영역(140)이 우측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플레이트(100)를 3차원 형태로 접을 시에는 제3영역(130)과 제4영역(140)이 겹쳐지면서 제1영역(110)과 제2영역(120)이 수직을 형성함과 동시에 제1영역(110)과 제2영역(120)이 각각 겹쳐진 제3영역(130) 및 제4영역(140)과 수직을 형성할 수 있다.
접힘 라인(500)은 베이스플레이트(100)를 3차원 형태로 접기 위해 제3영역(130)과 제4영역(140)을 겹칠 시 다양한 크기의 면적으로 접히도록 함으로써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10)가 가구(20)의 모서리 형태에 맞게 용이하게 보호하도록 하여 가구(20)의 모서리를 충분히 보호하지 못해 완충 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슬립부재(300)는 제1영역(110)의 타면 즉, 중심 라인(200)과 대응되는 면에 구비되고, 슬립부재(300)는 가구(20)의 모서리를 보호하는 다수의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10) 중에서 가구(20)의 하단 모서리에 구비되는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10)의 제1영역(110)이 바닥면과 맞대어질 시,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10)가 바닥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미끄러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큰 힘을 들이지 않더라도 가구(20)를 옮길 수 있어 가구운반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넌슬립부재(400)는 제2영역(120)의 타면 즉, 중심 라인(200)과 대응되는 면에 구비되고, 넌슬립부재(400)는 가구(20)의 모서리를 보호하는 다수의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10) 중에서 가구(20)의 하단 모서리에 구비되는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10)의 제2영역(120)이 바닥면과 맞대어질 시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10)가 바닥면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구(20)를 차량 등을 통해 운반하거나 특정위치에 임시로 적재할 시 가구(20)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가구(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여기서, 가구(20)를 일정거리 이동시킨 후 특정위치에 위치시키고자 할 시에는 우선 제1영역(110)을 바닥면과 마주보도록 하여 슬립부재(300)가 바닥면과 맞대어지도록 하고, 이동완료 후 제2영역(120)이 바닥면과 마주보도록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10)를 컨트롤하여 넌슬립부재(400)가 바닥면과 맞대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영역(110) 및 제2영역(120)의 일면에는 고무 자석이 각각 구비되어 철재 구조물에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10)의 변형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의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10)는 슬립부재(300)와 넌슬립부재(400)가 일체형으로 구비되고, 제1영역(110)은 바닥면과 맞대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영역(110)에는 일체화된 슬립부재(300)와 넌슬립부재(400) 중에서 슬립부재(300)가 관통하는 슬립홀(600)이 형성되고, 제2영역(120)에는 일체화된 슬립부재(300)와 넌슬립부재(400) 중에서 넌슬립부재(400)가 관통하는 넌슬립홀(700)이 형성될 수 있다.
슬립홀(600)은 슬립부재(300)가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일면에서 타면으로 나오도록 하는 제1출구(610)와, 제1출구(610)와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구비되어 슬립부재(300)가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타면에서 일면으로 들어가도록 하는 제1입구(620)를 구비하고, 넌슬립홀(700)은 넌슬립부재(400)가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일면에서 타면으로 나오도록 하는 제2출구(710)와, 제2출구(710)와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구비되어 넌슬립부재(400)가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타면에서 일면으로 들어가도록 하는 제2입구(720)를 구비할 수 있다.
슬립부재(300)는 제1출구(610)와 제1입구(620)를 통해 제1영역(110)의 타면으로 노출되어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10)가 바닥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미끄러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입구(620)를 통해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일면에 노출된 슬립부재(300)의 일단을 잡아당길 시 일체화된 넌슬립부재(400)가 제1출구(610) 및 제1입구(620)를 통해 제1영역(110)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제1영역(110)의 타면으로 노출되어 가구(20)를 차량 등을 통해 운반하거나 특정위치에 임시로 적재할 시 가구(20)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가구(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체화된 슬립부재(300)와 넌슬립부재(400)를 슬립홀(600)과 넌슬립홀(700)을 통해 제1영역(110)의 타면에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가구(20)의 운반 또는 적재에 따라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10)를 컨트롤하지 않아도 상황에 따라 슬립부재(300) 또는 넌슬립부재(400)가 바닥면과 맞대어지도록 할 수 있어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10)의 사용편의성 및 가구(20)운반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일체화된 슬립부재(300)와 넌슬립부재(400) 중에서 넌슬립부재(400)의 일단에는 넌슬립부재(400)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연장부재(800)를 구비하여 넌슬립부재(400)가 제1영역(110)에 위치하더라도 일단이 제2영역(120)의 타면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제2영역(120)에서 넌슬립부재(400)의 일단을 잡아당겨 넌슬립부재(400)가 제2영역(120)에 위치함과 동시에 슬립부재(300)가 제1영역(110)에 용이하게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연장부재(800)와 슬립부재(300)의 일단에는 손잡이(900)가 각각 구비되어 연장부재(800) 또는 슬립부재(300)를 용이하게 잡아당기도록 함으로써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10)의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손잡이(900)는 제1출구(610), 제1입구(620), 제2출구(710) 및 제2입구(720)보다 크게 형성되어 손잡이(900)가 제1출구(610), 제1입구(620), 제2출구(710) 및 제2입구(720)를 통해 관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10)에 구비되는 이물질제거장치(10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에 이물질제거장치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10)는 제1출구(610)와 제1입구(620)에 각각 구비되어 제1출구(610)와 제1입구(620)를 통해 통과하는 슬립부재(300) 또는 넌슬립부재(400)에 달라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장치(10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물질제거장치(1000)는 틀 형상으로 구비되어 제1출구(610)와 제1입구(620)의 테두리에 구비되는 케이스(1100)와, 케이스(1100)의 일단에 구비되어 슬립부재(300) 또는 넌슬립부재(400)의 표면을 긁어내는 다수의 돌기(1200)를 구비하여 일체화된 슬립부재(300)와 넌슬립부재(400)가 제1출구(610)와 제1입구(620)를 통해 이동할 시 슬립부재(300) 또는 넌슬립부재(400)의 표면에 달라붙은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슬립부재(300) 또는 넌슬립부재(400)가 이물질에 의해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 20: 가구
100: 베이스플레이트 110: 제1영역
120: 제2영역 130: 제3영역
140: 제4영역 200: 중심 라인
300: 슬립부재 400: 넌슬립부재
500: 접힘 라인 510: 접힘 영역
600: 슬립홀 610: 제1출구
620: 제1입구 700: 넌슬립홀
710: 제2출구 720: 제2입구
800: 연장부재 900: 손잡이
1000: 이물질제거장치 1100: 케이스
1200: 돌기

Claims (3)

  1. 가구 모서리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에 있어서,
    상기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는 얇은 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접힘 가능한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면에 격자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제1영역 내지 제4영역으로 접힘이 가능하도록 나누는 중심 라인과,
    상기 제1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제1영역이 바닥면과 맞대어지도록 상기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가 가구의 하단 모서리에 구비될 시 상기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가 바닥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미끄러지도록 하는 슬립부재와,
    상기 제2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제2영역이 바닥면과 맞대어지도록 상기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가 가구의 하단 모서리에 구비될 시 상기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가 바닥면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넌슬립부재와,
    상기 제3영역 및 상기 제4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제3영역 및 상기 제4영역을 다수의 접힘 영역으로 접힘이 가능하도록 나누는 접힘 라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부재와 상기 넌슬립부재는 일체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영역은 바닥면과 맞대어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영역에는 일체화된 상기 슬립부재와 상기 넌슬립부재 중에서 상기 슬립부재가 관통하는 슬립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영역에는 일체화된 상기 슬립부재와 상기 넌슬립부재 중에서 상기 넌슬립부재가 관통하는 넌슬립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홀은 상기 슬립부재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면에서 타면으로 나오도록 하는 제1출구와,
    상기 제1출구와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슬립부재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타면에서 일면으로 들어가도록 하는 제1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넌슬립홀은 상기 넌슬립부재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면에서 타면으로 나오도록 하는 제2출구와, 상기 제2출구와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넌슬립부재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타면에서 일면으로 들어가도록 하는 제2입구를 구비하고,
    일체화된 상기 슬립부재와 상기 넌슬립부재 중에서 상기 넌슬립부재는 상기 제1출구 및 상기 제1입구를 통해 상기 제1영역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
KR1020210131199A 2021-10-01 2021-10-01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 KR102326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199A KR102326383B1 (ko) 2021-10-01 2021-10-01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199A KR102326383B1 (ko) 2021-10-01 2021-10-01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6383B1 true KR102326383B1 (ko) 2021-11-15

Family

ID=78502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1199A KR102326383B1 (ko) 2021-10-01 2021-10-01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638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4733U (ko) * 1993-04-08 1994-11-17 이갑순 운반가구용 모서리 보호대
KR200435618Y1 (ko) 2006-09-19 2007-02-02 송헌구 가구 모서리 보호구
US20180220799A1 (en) * 2017-02-08 2018-08-09 Jens Mueller Corner shield
CN209650850U (zh) * 2019-04-09 2019-11-19 丰城市星泽科技有限公司 一种防潮防静电瓦楞纸箱
KR20200091265A (ko) * 2019-01-22 2020-07-30 주식회사 하우저 가구 운반용 완충체 및 이를 이용한 가구 운반 방법
CN213263773U (zh) * 2020-09-28 2021-05-25 霸州市荣润腾包装制品有限公司 一种高强度保温纸箱
KR20210068916A (ko) * 2019-12-02 2021-06-10 주식회사 호원 경량형 시트자재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4733U (ko) * 1993-04-08 1994-11-17 이갑순 운반가구용 모서리 보호대
KR200435618Y1 (ko) 2006-09-19 2007-02-02 송헌구 가구 모서리 보호구
US20180220799A1 (en) * 2017-02-08 2018-08-09 Jens Mueller Corner shield
KR20200091265A (ko) * 2019-01-22 2020-07-30 주식회사 하우저 가구 운반용 완충체 및 이를 이용한 가구 운반 방법
CN209650850U (zh) * 2019-04-09 2019-11-19 丰城市星泽科技有限公司 一种防潮防静电瓦楞纸箱
KR20210068916A (ko) * 2019-12-02 2021-06-10 주식회사 호원 경량형 시트자재 고정장치
CN213263773U (zh) * 2020-09-28 2021-05-25 霸州市荣润腾包装制品有限公司 一种高强度保温纸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7408B1 (ko) 조립식 구조체용 탈착식 클립
US7971733B2 (en) Window pallet and method of use thereof
US4019672A (en) Packing insert and blank therefor
US20140299706A1 (en) Stackable pallet system having foldable end boards
KR101533801B1 (ko) 절첩식 포장상자
US20170073105A1 (en) An Edge Fitting to Support and Protect a Cargo Casing
KR102326383B1 (ko) 가구 운반용 완충부재
US20170320651A1 (en) Package and buffer member thereof
US5479681A (en) Cargo collapse preventing device
US2910221A (en) Crate
US3029994A (en) Top lifting fiber-board shipping crate
JP5047836B2 (ja) ボックスパレット
JP4421926B2 (ja) 高重心縦長精密機器の輸送用ボックスパレット
SE9200787L (sv) Lägesfixerande plastkonstruktion avsedd att appliceras mellan lådor av exempelvis wellpapp eller mellan lådor och lastpall
JPH08230881A (ja) 運搬物用積載装置
US11096459B2 (en) Luggage protector assembly
EP2036834B1 (en) Packaging system, method of packaging, method of transporting
US2628737A (en) Adjustable packing case and the like
EP2363352A1 (en) Protective covers
RU154222U1 (ru) Тара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и хранения изделий
JP5127560B2 (ja) スロープ部材
WO2018029438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KR200494355Y1 (ko) 광학 필름의 적재 키트 및 적재 방법
JP2605221B2 (ja) 運搬物用荷くずれ防止装置
US11643288B2 (en) Integrated shipping ramp for multi-package unit loa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