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5768B1 - 승마용 오감자극 굴레 - Google Patents

승마용 오감자극 굴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5768B1
KR102325768B1 KR1020200156974A KR20200156974A KR102325768B1 KR 102325768 B1 KR102325768 B1 KR 102325768B1 KR 1020200156974 A KR1020200156974 A KR 1020200156974A KR 20200156974 A KR20200156974 A KR 20200156974A KR 102325768 B1 KR102325768 B1 KR 102325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le
coupled
horse
strap
n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6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경
오아련
Original Assignee
제주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56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57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5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5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BHARNESS; DEVICES USED IN CONNECTION THEREWITH; WHIPS OR THE LIKE
    • B68B1/00Devices in connection with harness, for hitching, reining, training, breaking or quietening horses or other traction animals
    • B68B1/04Bridles; Re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BHARNESS; DEVICES USED IN CONNECTION THEREWITH; WHIPS OR THE LIKE
    • B68B5/00Details or accessories; Fastening devices for bridles, reins, harness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BHARNESS; DEVICES USED IN CONNECTION THEREWITH; WHIPS OR THE LIKE
    • B68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승마용 오감자극 굴레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승마용 오감자극 굴레는, 말의 목에 지지되는 목끈에 연결되는 복수의 볼끈; 볼끈의 단부에 결합되어 말의 코 영역을 둘러싸는 코 굴레; 말의 입에 물리는 재갈; 목끈에 결합되는 턱끈; 턱끈에 결합되어 말의 이마에 배치되는 이마끈; 일측부는 재갈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턱끈에 결합되는 빰끈; 및 코 굴레에 결합되는 고삐부를 포함하고, 고삐부는 고삐 바디, 고삐 바디의 단부에 마련되어 코 굴레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 및 고삐 바디를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말에 접촉되며 서로 다른 재질을 갖는 복수의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승마용 오감자극 굴레{BRIDLE FOR HORSE}
본 발명은, 굴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말에게 자극은 되지 않으면서 기승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자신감 하락 등의 악영향을 예방할 수 있는 승마용 오감자극 굴레에 관한 것이다.
재활승마란 “신체 및 정신장애인은 물론 정서와 행동의 문제로 어려움 겪는 사람들에게 인지적·신체적·감성적·사회적 안녕을 주기 위해 인간과 말이 함께하는 모든 활동”을 칭한다.
현재 장애인의 범주가 의학적 개념과 함께 사회적·법률적 개념 등이 도입되면서 그 대상자 또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재활승마’에는 이미 발전된 개념이 적용되어 있다.
한편 기승자가 고삐조작에 대해 어려움을 겪는 경우 서툰 고삐 조작은 말의 입에 계속 자극을 주기 때문에 말에게 스트레스를 주게 되고, 기승자 또한 위험한 상황이 발생하게 되거나 이로 인해 말을 다를 수 있다는 자신감이 하락하게 되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87833호(김종일) 2013. 07. 15.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말에게 자극은 되지 않으면서 기승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자신감 하락 등의 악영향을 예방할 수 있는 승마용 오감자극 굴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말의 목에 지지되는 목끈에 연결되는 복수의 볼끈; 상기 볼끈의 단부에 결합되어 말의 코 영역을 둘러싸는 코 굴레; 말의 입에 물리는 재갈; 상기 목끈에 결합되는 턱끈; 상기 턱끈에 결합되어 말의 이마에 배치되는 이마끈; 일측부는 상기 재갈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상기 턱끈에 결합되는 빰끈; 및 상기 코 굴레에 결합되는 고삐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삐부는 고삐 바디, 상기 고삐 바디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코 굴레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 및 상기 고삐 바디를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말에 접촉되며 서로 다른 재질을 갖는 복수의 부재를 포함하는 승마용 오감자극 굴레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부재는, 상기 한 쌍의 결합부 중 하나의 결합부에 근접되게 배치되는 제1 부재; 일단부가 상기 제1 부재에 지지되며 상기 제1 부재와 다른 재질로 마련되는 제2 부재; 일단부가 상기 제2 부재에 지지되며 상기 제2 부재와 다른 재질로 마련되는 제3 부재; 일단부가 상기 제3 부재에 지지되며 상기 제3 부재와 다른 재질로 마련되는 제4 부재; 및 일단부가 상기 제4 부재에 지지되며 상기 제 부재와 다른 재질로 마련되는 제5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재는 양털천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2 부재는 청바지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제3 부재는 고무 패드로 마련되고, 상기 제4 부재는 레이스 원단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5 부재는 스펀지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결합부 중 나머지 하나의 결합부에 배치되는 제1 부재 내지 5 부재는 상기 하나의 결합부에 배치되는 제1 부재 내지 제5 부재와 반대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재갈에 탈착 결합되는 리드 로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고삐부가 고삐 바디와 고삐 바디의 단부에 마련되어 코 굴레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와 고삐 바디를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말에 접촉되며 서로 다른 재질을 갖는 복수의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말에게 자극은 되지 않으면서 기승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자신감 하락 등의 악영향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마용 오감자극 굴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고삐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리드 로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마용 오감자극 굴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고삐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리드 로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승마용 오감자극 굴레(1)는, 말의 목에 지지되는 목끈(10)에 연결되는 복수의 볼끈(20)과, 볼끈(20)의 단부에 결합되어 말의 코 영역을 둘러싸는 코 굴레(30)와, 말의 입에 물리는 재갈(40)과, 목끈(10)에 결합되는 턱끈(50)과, 턱끈(50)에 결합되어 말의 이마에 배치되는 이마끈(60)과, 일측부는 재갈(40)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턱끈(50)에 결합되는 빰끈(70)과, 코 굴레(30)에 결합되는 고삐부(80)와, 재갈(40)에 탈착 결합되는 리드 로프부(90)를 구비한다.
목끈(10)은, 말의 목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목끈(10)은 가죽이나 끈을 포함하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볼끈(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는 목끈(10)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코 굴레(30)에 결합되어 목끈(10)과 코 굴레(30)를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볼끈(20)은 가죽이나 끈을 포함하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코 굴레(30)는, 말의 코 영역을 둘러싸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끈(10)보다 작은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코 굴레(30)는 가죽이나 끈을 포함하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재갈(40)은, 말의 입에 물려지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부재(41)와, 연결 부재(41)의 일단부에 마련되는 제1 링(42)과, 연결 부재(41)의 타단부에 마련되는 제2 링(43)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연결 부재(41)는 제1 링(42)과 제2 링(43)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형태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연결 부재(41)는 제1 링(42)과 제2 링(43)을 원형 형태로 감쌀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연결 부재(41)는 공지된 재갈(40)에 사용되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턱끈(5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형태로 마련되어 목끈(10)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턱끈(50)은 가죽이나 끈을 포함하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고, 목끈(10)에 접착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고, 매듭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마끈(6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턱끈(50)의 상부를 연결하며 말의 이마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이마끈(60)은 양단부가 턱끈(50)에 매듭 결합 또는 접착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이마끈(60)은 가죽이나 끈을 포함하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빰끈(7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는 제1 링(42)과 제2 링(43)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부는 볼끈(20)과 이마끈(60)에 결합되어 재갈(40)을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빰끈(70)은 제1 링(42)과 제2 링(43), 볼끈(20)과 이마끈(60)에 매듭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빰끈(70)은 가죽이나 끈을 포함하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고삐부(8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 굴레(30)에 결합될 수 있고, 말에게 자극은 되지 않으면서 기승자의 안전을 보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고삐부(8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삐 바디(81)와, 고삐 바디(81)의 단부에 마련되어 코 굴레(30)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82)와, 한 쌍의 결합부(82) 중 하나의 결합부(82)에 근접되게 배치되는 제1 부재(83)와, 일단부가 제1 부재(83)에 지지되며 제1 부재(83)와 다른 재질로 마련되는 제2 부재(84)와, 일단부가 제2 부재(84)에 지지되며 제2 부재(84)와 다른 재질로 마련되는 제3 부재(85)와, 일단부가 제3 부재(85)에 지지되며 제3 부재(85)와 다른 재질로 마련되는 제4 부재(86)와, 일단부가 제4 부재(86)에 지지되며 제4 부재(86)와 다른 재질로 마련되는 제5 부재(87)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부재(83)는 양털천으로 마련되고, 제2 부재(84)는 청바지 재질로 마련되고, 제3 부재(85)는 고무 패드로 마련되고, 제4 부재(86)는 레이스 원단으로 마련되고, 제5 부재(87)는 스펀지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결합부(82) 중 나머지 하나의 결합부(82)에 배치되는 제1 부재(83) 내지 5 부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기 하나의 결합부(82)에 배치되는 제1 부재(83) 내지 제5 부재(87)와 반대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2를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는 제1 부재(83) 내지 제5 부재(87)와 우측에 배치되는 제1 내지 제5 부재(87)의 재질이 달라 기승자는 말의 상태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 중 선택하여 말을 유도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결합부(82)는 고삐 바디(81)와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코 굴레(30)에 끈이나 후크 등의 체결 부재(94)를 이용하여 탈착 결합될 수 있다.
리드 로프부(9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갈(40)의 연결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리드 로프부(9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 부재(91)와, 로프 부재(91)의 단부에 결합되는 결합링(92)과, 결합링(92)에 결합되는 한 쌍의 밴드 부재(93)와, 한 쌍의 밴드 부재(93)의 단부에 마련되는 체결 부재(94)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로프 부재(91)는 결합링(92)에 매듭 결합될 수 있고, 한 쌍의 밴드 부재(93)도 결합링(92)에 매듭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체결 부재(9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된 후크 형상을 가져 코 굴레(30)에 탈착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승마용 오감자극 굴레
10 : 목끈 20 : 볼끈
30 : 코 굴레 40 : 재갈
41 : 연결 부재 42 : 제1 링
43 : 제2 링 50 : 턱끈
60 : 이마끈 70 : 빰끈
80 : 고삐부 81 : 고삐 바디
82 : 결합부 83 : 제1 부재
84 : 제2 부재 85 : 제3 부재
86 : 제4 부재 87 : 제5 부재
90 : 리드 로프부 91 : 로프 부재
92 : 결합링 93 : 밴드 부재
94 : 체결 부재

Claims (5)

  1. 말의 목에 지지되는 목끈에 연결되는 복수의 볼끈;
    상기 볼끈의 단부에 결합되어 말의 코 영역을 둘러싸는 코 굴레;
    말의 입에 물리는 재갈;
    상기 목끈에 결합되는 턱끈;
    상기 턱끈에 결합되어 말의 이마에 배치되는 이마끈;
    일측부는 상기 재갈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상기 턱끈에 결합되는 빰끈; 및
    상기 코 굴레에 결합되는 고삐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삐부는 고삐 바디, 상기 고삐 바디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코 굴레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 및 상기 고삐 바디를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말에 접촉되며 서로 다른 재질을 갖는 복수의 부재를 포함하는 승마용 오감자극 굴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재는,
    상기 한 쌍의 결합부 중 하나의 결합부에 근접되게 배치되는 제1 부재;
    일단부가 상기 제1 부재에 지지되며 상기 제1 부재와 다른 재질로 마련되는 제2 부재;
    일단부가 상기 제2 부재에 지지되며 상기 제2 부재와 다른 재질로 마련되는 제3 부재;
    일단부가 상기 제3 부재에 지지되며 상기 제3 부재와 다른 재질로 마련되는 제4 부재; 및
    일단부가 상기 제4 부재에 지지되며 상기 제4 부재와 다른 재질로 마련되는 제5 부재를 포함하는 승마용 오감자극 굴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양털천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2 부재는 청바지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제3 부재는 고무 패드로 마련되고,
    상기 제4 부재는 레이스 원단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5 부재는 스펀지 재질로 마련되는 승마용 오감자극 굴레.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결합부 중 나머지 하나의 결합부에 배치되는 제1 부재 내지 5 부재는 상기 하나의 결합부에 배치되는 제1 부재 내지 제5 부재와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는 승마용 오감자극 굴레.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갈에 탈착 결합되는 리드 로프부를 더 포함하는 승마용 오감자극 굴레.
KR1020200156974A 2020-11-20 2020-11-20 승마용 오감자극 굴레 KR102325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974A KR102325768B1 (ko) 2020-11-20 2020-11-20 승마용 오감자극 굴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974A KR102325768B1 (ko) 2020-11-20 2020-11-20 승마용 오감자극 굴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5768B1 true KR102325768B1 (ko) 2021-11-12

Family

ID=78497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6974A KR102325768B1 (ko) 2020-11-20 2020-11-20 승마용 오감자극 굴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576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76215A (en) * 1968-04-26 1972-07-11 Xerox Corp Imaging system
US20080022638A1 (en) * 2006-07-25 2008-01-31 Eva Charlene Sandor Contoured construction for improved fit in horse bridles
KR101287833B1 (ko) 2011-06-29 2013-07-19 김종일 자동 견인식 승마장치
US20200255282A1 (en) * 2017-09-01 2020-08-13 Amahorse Trading S.R.L. Bridle for hors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76215A (en) * 1968-04-26 1972-07-11 Xerox Corp Imaging system
US20080022638A1 (en) * 2006-07-25 2008-01-31 Eva Charlene Sandor Contoured construction for improved fit in horse bridles
KR101287833B1 (ko) 2011-06-29 2013-07-19 김종일 자동 견인식 승마장치
US20200255282A1 (en) * 2017-09-01 2020-08-13 Amahorse Trading S.R.L. Bridle for hors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22171A (en) Bitless bridle for saddle and draft animals
US20020148207A1 (en) Bitless bridle for governing horses and other animals
KR102325768B1 (ko) 승마용 오감자극 굴레
ATE25066T1 (de) Reithalfter.
US8001750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an animal
US3657863A (en) Bosal device
US7096652B2 (en) Riding pad for two persons
EP3360845B1 (en) Connector for use in equestrian equipment, use of such connector and bridle comprising such connector
US233631A (en) Bridle
US20180327251A1 (en) Combination bridles
US20080060323A1 (en) Harness, such as a horseriding bridle or snaffle bridle, for limiting the pressure exerted on the nape of the animal
US453943A (en) Bridle
US709700A (en) Bridle-bit.
US613979A (en) Checking device
US85158A (en) Improved safety-bridle
Ryan Bridles: ensuring the right fit
GB2514811A (en) Horse Bridle
NL2028430B1 (en) Equine training harness
DE102019107535B4 (de) Zaumzeug für Pferde
US20080022638A1 (en) Contoured construction for improved fit in horse bridles
JP3230672U (ja) マスクによる息苦しさから解放される製品
US520381A (en) Halter
US538049A (en) Bridle-bit
IT202200001511U1 (it) Testiera per cavalli
US492241A (en) Bridle-b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