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5609B1 - 내시경의 유체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내시경의 유체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5609B1
KR102325609B1 KR1020200039056A KR20200039056A KR102325609B1 KR 102325609 B1 KR102325609 B1 KR 102325609B1 KR 1020200039056 A KR1020200039056 A KR 1020200039056A KR 20200039056 A KR20200039056 A KR 20200039056A KR 102325609 B1 KR102325609 B1 KR 102325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gas
supply unit
endoscope
gas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9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3659A (ko
Inventor
홍창걸
Original Assignee
홍창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창걸 filed Critical 홍창걸
Priority to EP20173938.0A priority Critical patent/EP3782528B1/en
Priority to US15/930,200 priority patent/US11607118B2/en
Priority to JP2020084227A priority patent/JP6975824B2/ja
Publication of KR20210023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3659A/ko
Priority to CN202110333167.XA priority patent/CN113455994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5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5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12Connection or coupling means
    • A61B1/00119Tubes or pipes in or with an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internal passag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B1/015Control of fluid supply or evacu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의 유체 공급 장치는 내시경에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 공급부, 내시경에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 공급부, 및 액체 공급부와 기체 공급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제어부는, 수술실의 바닥에 배치되며 내시경을 사용하는 시술자로부터 액체 공급부와 기체 공급부의 작동에 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풋 스위치, 및 입력 받은 제어 명령에 따라 액체 공급부 또는 기체 공급부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내시경의 유체 공급 장치{FLUID SUPPLY DEVICE FOR ENDOSCOPE}
본 발명은 내시경의 유체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시경 장치에 물, 기포 제거제 및 공기의 공급을 시술자 혼자서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내시경의 유체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내시경은 위나 대장 등 환자의 몸 속으로 촬영장비를 삽입하여 육안으로 이상여부를 관찰하고, 필요 시 간단한 수술을 진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사용이 편리하고 정확한 진단을 내릴 수 있어 오늘날 의료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내시경을 사용하는 동안 여러 종류의 유체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세척을 통한 시야 확보를 위해서는 세척액을 분사하여야 하고, 장 내의 가스 제거를 위해서는 기포 제거제가 필요하다. 또한, 선명한 관찰을 위해서는 공기나 물을 이용하여 관찰부위를 세척하거나 또는 확장시킬 필요가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내시경 채널에 파이프를 삽입한 후 주사기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세척액이나 공기를 주입하였기 때문에, 시술자(의사) 이외에 별도의 보조자가 필요하였다. 그러나 내시경 시술에 두 명 이상의 인력이 투입되는 것은 인력의 낭비이며, 시술자의 지시 이후에 비로소 보조자가 움직이기 때문에 시술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 밖에 없고 전체 시술 시간도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시술자가 직접 유체 공급을 제어할 수 있도록 조작부에 다양한 제어장치들을 부착한 내시경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시술자가 손가락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 수에는 제한이 있어 동시 조작이 불가능하며 오조작의 우려도 있다. 또한, 시술자의 숙련도에 맞추어 유체 공급 속도 및 공급량를 다양하고 자유롭게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세척액이나 기포 제거제 등을 사용한 경우, 상기 액체들이 내시경 장치와 연결되는 공급관 내에 잔류하게 되어 상기 액체들이 오염되거나 변질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내시경 시술자 혼자서 다양한 유체의 공급 여부 및 공급 속도 및 공급량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내시경의 유체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내시경 장치 조작에 발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술자의 손가락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내시경의 유체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유체 공급 장치의 작동을 중지시킨 이후에 피시술자의 몸 속으로 들어간 유체가 유체 공급 장치 내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체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유체 공급 장치로 액체를 공급한 이후, 공급관 내에 잔류하는 액체를 제거하고 상기 공급관 내부를 건조시킬 수 있는 유체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공급되는 액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유체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내시경의 유체 공급 장치는, 내시경에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 공급부, 상기 내시경에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 공급부, 및 상기 액체 공급부와 상기 기체 공급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수술실 또는 내시경실의 바닥에 배치되며 상기 내시경을 사용하는 시술자로부터 상기 액체 공급부와 상기 기체 공급부의 작동에 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풋 스위치, 및 상기 입력 받은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액체 공급부 또는 상기 기체 공급부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의 유체 공급 장치는, 상기 액체 공급부와 상기 내시경을 연결하는 액체 공급 유로, 상기 기체 공급부와 상기 내시경을 연결하는 기체 공급 유로, 및 상기 액체 공급 유로와 상기 기체 공급 유로를 연결하는 바이패스 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바이패스 유로가 개방되면, 상기 기체 공급 유로의 기체가 상기 액체 공급 유로로 유입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액체 공급부는, 제1 액체가 저장된 제1 액체 탱크, 제2 액체가 저장된 제2 액체 탱크, 및 상기 제1 액체 또는 상기 제2 액체를 내시경에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액체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액체 펌프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액체 공급부는, 상기 제1 액체 탱크와 상기 액체 펌프를 연결하는 유로에 설치되는 제1 개폐밸브, 상기 제2 액체 탱크와 상기 액체 펌프를 연결하는 유로에 설치되는 제2 개폐밸브, 및 상기 액체 펌프와 상기 내시경 장치를 연결하는 유로에 설치되는 제3 개폐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내지 제3 개폐밸브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액체 공급부는, 상기 제1 액체 탱크 및 상기 제2 액체 탱크에 저장된 액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온도 조절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기체 공급부는, 기포를 생성하는 기포발생기, 및 생성된 기포를 내시경으로 공급하기 위한 송풍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기포발생기 및 상기 송풍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기체 공급부는, 제1 기체가 저장된 제1 기체 탱크, 제2 기체가 저장된 제2 기체 탱크, 및 상기 제1 기체 및 상기 제2 기체를 상기 내시경으로 공급하기 위한 기체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기체 펌프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기체 공급부는, 상기 제1 기체 탱크와 상기 기체 펌프를 연결하는 유로에 설치되는 제4 개폐밸브, 상기 제2 기체 탱크와 상기 기체 펌프를 연결하는 유로에 설치되는 제5 개폐밸브, 및 상기 기체 펌프와 상기 내시경을 연결하는 유로에 설치되는 제6 개폐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4 내지 제6 개폐밸브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의 유체 공급 장치는, 상기 액체 공급부 및 상기 기체 공급부를 내시경에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액체 공급부 또는 상기 기체 공급부에서 유체를 공급받는 제1 입력단, 내부에 수술도구 삽입을 위한 공간이 형성된 제 2 입력단, 및 일단은 상기 제1 입력단 및 상기 제2 입력단과 각각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내시경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입력단을 통해 공급된 유체 또는 상기 제2 입력단을 통해 삽입된 수술도구를 상기 내시경으로 안내하는 출력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단과 상기 제2 입력단이 이루는 각도는 30도 내지 45도 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의 유체 공급 장치는, 상기 액체 공급부 및 상기 기체 공급부를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1 입력단에 연결하는 Y자 형상의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액체의 토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제1 다이얼, 기체의 토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제2 다이얼, 및 상기 액체 공급부 및 상기 기체 공급부의 작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시술자에게 전달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액체 공급부는 토출된 액체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역류방지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기체 공급부는 토출된 기체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 역류방지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내시경의 유체 공급 장치는, 액체가 저장된 액체 탱크; 상기 액체 탱크와 상기 내시경을 연결하는 액체 공급 유로; 상기 액체 공급 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액체 탱크에 저장된 액체를 상기 내시경으로 공급하는 액체 펌프; 기체가 저장된 기체 탱크; 상기 기체 탱크와 상기 내시경을 연결하는 기체 공급 유로; 상기 기체 공급 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기체 탱크에 저장된 기체를 상기 내시경으로 공급하는 기체 펌프; 상기 액체 공급 유로와 상기 기체 공급 유로를 연결하는 바이패스 유로; 상기 액체 공급 유로에서 상기 액체 탱크와 상기 액체 펌프 사이에 설치되는 제1 개폐 밸브, 상기 기체 공급 유로에서 상기 기체 펌프와 상기 내시경 사이에 설치되는 제2 개폐 밸브, 및 상기 바이패스 유로에 설치되는 제3 개폐 밸브; 및 상기 액체 펌프와 상기 기체 펌프의 작동 여부, 및 상기 제1 내지 제3 개폐 밸브들의 개폐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액체 공급 유로에 연결되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의 일단은 상기 액체 탱크를 기준으로 상기 제1 개폐 밸브보다 하류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체 공급 유로에 연결되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의 타단은 상기 기체 탱크를 기준으로 상기 기체 펌프보다 하류에, 그리고 상기 제2 개폐 밸브보다는 상류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의 유체 공급 장치는, 상기 액체 공급 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기체 탱크에 저장된 기체를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통해 상기 액체 공급 유로로 흡입하는 석션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술실의 바닥에 배치되며, 상기 내시경을 사용하는 시술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풋 스위치; 및 상기 입력 받은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액체 펌프, 상기 기체 펌프, 및 상기 제1 내지 제3 개폐 밸브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내시경의 유체 공급 장치는 시술자 혼자서 유체의 공급 여부 및 공급 속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시경 시술에 불필요한 인력 낭비를 줄일 수 있고, 시술자가 공급되는 유체의 종류 및 공급 속도 및 공급량을 직접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내시경 시술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전체 내시경 시술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유체 공급을 제어하는데 발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시술자가 손으로 너무 많은 조작을 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이 경우 보다 정확한 진단 및 안전하고 빠른 수술이 가능하고, 내시경 시술에 소요되는 시간도 줄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유체 공급 장치에서 피시술자의 몸 속으로 공급된 유체가 다시 유체 공급 장치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2차 오염을 방지하고 불필요한 1회용품 사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액체 공급 유로 내부에 잔류하는 액체를 모두 제거하고, 액체 공급 유로 내부를 완전히 건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유체 공급 장치를 사용할 때마다 액체 공급 유로를 교체할 필요가 없으며, 유체 공급 장치를 보다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내시경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내시경의 유체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액체 공급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2의 기체 공급부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6은 액체 공급부 내의 잔류 액체를 제거하기 위한 바이패스 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제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연결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연결부의 입력단 마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내시경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내시경 장치(1)는 시술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그립부(2), 각종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3), 촬영된 영상을 출력하고 제어 신호를 입력 받는 제어 케이블(4), 피시술자의 몸 속으로 삽입되는 삽입부(5), 및 삽입부(5)로 각종 유체들을 공급하거나 생검(biopsy)을 위한 겸자(20)가 삽입되는 채널 포트(6)를 포함한다. 여기서 시술자는 내시경 시술을 시행하는 의사를 의미할 수 있고, 피시술자는 내시경 시술을 받는 환자일 수 있다.
시술자는 그립부(2)를 잡고 삽입부(5)를 피시술자의 몸 속으로 삽입하며, 이 때 제어 케이블(4)에 연결된 모니터 장치(도시되지 않음)를 보면서 조작부(3)를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면, 시술자는 조작부(3)를 제어함으로써 라이트(도시되지 않음)를 켜거나, 사진을 촬영하거나, 또는 특정한 유체를 인체 내부로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유체는, 예를 들면, 세척액, 기포 제거제, 공기 등일 수 있다. 상기 유체들은 채널 포트(6)를 통해 삽입부(5)에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시술자는 필요에 따라 적절한 유체를 선택적으로 인체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내시경 장치(1)의 채널 포트(6)에 결합되는 유체 공급 장치(10)에 관한 것이며,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내시경의 유체 공급 장치(1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내시경의 유체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액체 공급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2의 기체 공급부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6은 액체 공급부 내의 잔류 액체를 제거하기 위한 바이패스 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제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연결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연결부의 입력단 마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내시경의 유체 공급 장치(10)는,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액체 공급부(200),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기체 공급부(300), 및 이들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00)를 포함한다.
액체 공급부(200)는 각종 액체를 내시경 장치(10)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액체는 생리식염수와 같은 세척액, 장 내 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가소콜액(Gasocol Suspension) 등의 기포 제거제, 환부를 염색하기 위한 염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시술자의 제어부(100) 조작에 따라, 액체 공급부(200)는 상기 액체를 필요한 양 만큼 선택적으로 내시경 장치(10)로 공급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공급부(200)는 액체가 저장되는 제1 및 제2 액체 탱크들(210, 220), 액체 탱크들(210, 220)에 저장된 액체를 내시경 장치(1)로 공급하기 위한 액체 펌프(230), 유로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제1 내지 제3 개폐밸브들(211, 221, 231), 및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제1 내지 제3 역류방지밸브들(213, 223, 2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액체 탱크(210)와 제2 액체 탱크(220)는 각각 제1 액체와 제2 액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액체와 상기 제2 액체는 서로 다른 종류의 액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액체는 생리식염수이고, 상기 제2 액체는 기포 제거제 또는 기포 제거제가 함유된 생리식염수일 수 있다. 액체 공급부(200)는 세척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제1 액체를 내시경 장치(1)에 공급하고, 장내의 가스 제거가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제2 액체를 내시경 장치(1)에 공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 액체와 상기 제2 액체는 서로 같은 종류의 액체일 수도 있다.
제1 액체 탱크(210)와 액체 펌프(230)를 연결하는 유로에는 제1 개폐밸브(211) 및 제1 역류방지밸브(213)가 설치될 수 있고, 제2 액체 탱크(220)와 액체 펌프(230)를 연결하는 유로에는 제2 개폐밸브(213) 및 제2 역류방지밸브(223)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개폐밸브들(211, 221)은 해당 유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고, 제1 및 제2 역류방지밸브들(213, 223)은 액체가 탱크(210, 220) 방향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제1 및 제2 개폐밸브들(211, 221)은 제어부(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시술자가 풋 스위치(130)를 조작하면 컨트롤러(140)는 제1 개폐밸브(211) 또는 제2 개폐밸브(221)에 선택적으로 유로 개방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즉, 시술자는 내시경 장치(1)의 조작부(3)를 손으로 조작하지 않더라도, 발을 이용하여 내시경 시술에 필요한 액체의 종류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액체 펌프(230)는 제1 액체 탱크(210) 또는 제2 액체 탱크(220)에 저장된 액체를 채널 포트(6)를 통해 내시경 장치(1)로 공급할 수 있다. 액체 펌프(230)의 작동은 제어부(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술자가 풋 스위치(130)를 조작하면 컨트롤러(140)는 액체 펌프(230)로 작동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즉, 시술자는 풋 스위치(130)를 조작하여 액체 펌프(23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액체 공급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액체 펌프(230)를 통한 액체의 토출량 역시 제어부(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술자가 입력부(110)의 제1 입력 스위치(113)를 통해 희망하는 액체 토출량을 설정하면, 컨트롤러(140)는 액체 펌프(230)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를 제어함으로써 액체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액체 펌프(230)에서 토출된 액체는 액체 공급 유로(240)를 통해 채널 포트(6)로 공급될 수 있다. 액체 공급 유로(240)에는 제3 개폐밸브(231) 및 제3 역류방지밸브(233)가 설치될 수 있다. 제3 개폐밸브(231)는 제어부(1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액체 공급 유로(240)를 개방하거나 또는 폐쇄할 수 있다. 제3 역류방지밸브(233)는 액체 펌프(230)에서 토출된 액체가 다시 액체 펌프(230) 방향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제3 개폐밸브(231)는 제어부(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시술자가 풋 스위치(130)를 조작하면 컨트롤러(140)는 제3 개폐밸브(231)에 유로 개방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즉, 시술자는 내시경 장치(1)의 조작부(3)를 손으로 조작하지 않더라도, 발을 이용하여 내시경 시술에 필요한 액체의 공급 여부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내지 제3 개폐밸브들(211, 221, 231)은 전류 신호로 제어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액체 공급부(200)는 내시경 장치(1)로 공급되는 액체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 조절장치(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도 조절장치(250)는 제1 액체 탱크(210)에 저장된 액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제1 온도 조절장치(251), 및 제2 액체 탱크(220)에 저장된 액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제2 온도 조절장치(2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온도 조절장치들(251, 252)은 각각 제1 및 제2 액체 탱크들(210, 220)에 접촉하도록 또는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1 및 제2 온도 조절장치들(251, 252)은 액체가 공급되는 액체공급유로(240)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온도 조절장치들(251, 252)은 저장된 액체를 가열하는 전열 장치이거나 또는 저장된 액체를 냉각하는 냉각 장치일 수 있다.
온도 조절장치(250)는 액체 탱크(210, 220)에 저장된 액체 또는 액체공급유로(240)를 흐르는 액체가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함으로써, 최적의 온도로 조절된 액체를 내시경 장치(1)를 통해 피시술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시경 시술자는 손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발을 사용하여 액체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개폐밸브(211) 또는 제2 개폐밸브(22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공급되는 액체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고, 제3 개폐밸브(23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액체의 공급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액체 펌프(230)를 제어하여 액체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들은 모두 시술자가 풋 스위치(130) 및 입력부(110)를 조작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액체 공급을 위한 별도의 보조자를 둘 필요가 없으며, 시술자가 손으로 조작해야 하는 장치의 수를 줄일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이고 신속한 내시경 시술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액체 공급부(200)가 두 개의 저장탱크(210, 220)를 가진 것, 즉 액체 공급부(200)가 두 종류의 액체만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액체 공급부(200)는 한 종류의 액체만을 공급하거나 또는 3가지 이상의 액체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액체 공급부(200)는 염료 탱크(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액체 공급부(200)는 세척액, 기포 제거제, 염료, 또는 그 이외에 내시경 시술에서 사용되는 액체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는 두 가지 종류의 액체를 하나의 액체 펌프(230)가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액체 공급부(200)는 서로 다른 종류의 액체가 저장된 복수개의 액체 탱크와 복수개의 액체 펌프를 포함하고, 각각의 액체 펌프는 한가지 종류의 액체만을 토출할 수도 있다.
기체 공급부(300)는 각종 기체를 내시경 장치(10)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체는 공기, 산소, 이산화탄소 등일 수 있다. 공기는 위 내시경 시술에 이용될 수 있고, 농축 산소는 기관지 내시경 시술에 이용될 수 있으며, 이산화탄소는 대장 내시경 시술에 이용될 수 있다. 다만, 각각의 내시경 시술에서 다른 종류의 기체가 이용되거나, 또는 여러 종류의 기체들이 함께 이용될 수도 있다.
기체 공급부(300)는 상기 기체를 필요한 양 만큼 선택적으로 내시경 장치(10)로 공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기체 공급부(300)의 몇 가지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체 공급부(300)는 기포를 생성하는 기포발생기(310), 생성된 기포를 내시경 장치(1)로 공급하는 송풍기(320), 및 유로를 통한 기포의 흐름을 일 방향으로 제한하는 제4 역류방지밸브(32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체 공급부(300)에서 기체가 이동하는 통로에는 '유로' 대신 관, 덕트 등의 표현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체가 이동하는 통로 역시 유로로 지칭하기로 한다.
기포발생기(310)는 대기 중의 공기를 이용하여 공기나 산소의 기포를 생성할 수 있다. 기포발생기(310)의 작동 여부는 제어부(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시술자의 조작에 따라 기포의 크기나 모양 등을 제어할 수도 있다.
송풍기(320)는 기포발생기(310)에서 생성된 기포를 채널 포트(6)를 통해 내시경 장치(1)로 공급할 수 있다. 송풍기(320)의 작동은 제어부(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술자가 풋 스위치(130)를 조작하면 컨트롤러(140)는 송풍기(320)로 작동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풍기(320)가 작동하거나 또는 송풍기(320)의 작동이 중지될 수 있다.
또한, 송풍기(320)를 통한 기체의 토출량 역시 제어부(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술자가 입력부(110)의 제2 입력 스위치(115)를 통해 희망하는 기체의 토출량을 설정하면, 컨트롤러(140)는 송풍기(320)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를 제어함으로써 기체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송풍기(320)에서 토출된 기체는 기체 공급 유로(340)를 통해 채널 포트(6)로 공급될 수 있다. 기체 공급 유로(340)에는 제4 역류방지밸브(323) 및 압력 조절 밸브(341)가 설치될 수 있다. 제4 역류방지밸브(323)는 송풍기(320)에서 토출된 기체가 다시 송풍기(320) 방향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전 압력은 내시경의 유체 공급 장치(10)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제조사가 설정하거나, 또는 내시경 시술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시술자가 설정하는 값으로서, 안전 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기체 공급 유로(340)의 압력 상한값이다. 압력 조절 밸브(341)는 기체 공급 유로(340)의 압력이 기 설정된 안전 압력에 도달하면 기체 공급 유로(340)와 외부(대기)를 연통시키며, 기체 공급 유로(340)의 내부 압력이 지나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시경 시술자는 손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발을 사용하여 기체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포발생기(310)와 송풍기(320)의 작동을 제어하여 기체의 공급 여부 및 공급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들은 모두 시술자가 풋 스위치(130) 및 입력부(110)를 조작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기체 공급을 위한 별도의 보조자를 둘 필요가 없으며, 시술자가 손으로 조작해야 하는 장치의 수를 줄일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이고 신속한 내시경 시술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기체 공급부(300)는 공기 또는 공기 중에 다량이 포함된 산소 등을 이용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그 농도가 옅은 기체의 경우에는 별도의 저장탱크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체 공급부(300)는 기체가 저장되는 제1 및 제2 기체 탱크들(350, 360), 기체 탱크들(350, 360)에 저장된 기체를 내시경 장치(1)로 공급하기 위한 기체 펌프(370), 유로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제4 내지 제6 개폐밸브들(351, 361, 371), 및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제5 내지 제7 역류방지밸브들(353, 363, 37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체 탱크(350)와 제2 기체 탱크(360)는 각각 제1 기체와 제2 기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기체와 상기 제2 기체는 서로 다른 종류의 기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기체는 공기이고, 상기 제2 기체는 이산화탄소일 수 있다.
제1 기체 탱크(350)와 기체 펌프(370)를 연결하는 유로에는 제4 개폐밸브(351) 및 제5 역류방지밸브(353)가 설치될 수 있고, 제2 기체 탱크(360)와 기체 펌프(370)를 연결하는 유로에는 제5 개폐밸브(361) 및 제6 역류방지밸브(363)가 설치될 수 있다. 제4 및 제5 개폐밸브들(351, 361)은 해당 유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고, 제5 및 제6 역류방지밸브들(353, 363)은 기체가 탱크(350, 360) 방향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제4 및 제5 개폐밸브들(351, 361)은 제어부(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시술자가 풋 스위치(130)를 조작하면 컨트롤러(140)는 제4 개폐밸브(351) 또는 제5 개폐밸브(361)에 선택적으로 유로 개방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즉, 시술자는 내시경 장치(1)의 조작부(3)를 손으로 조작하지 않더라도, 발을 이용하여 내시경 시술에 필요한 기체의 종류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기체 펌프(370)는 제1 기체 탱크(350) 또는 제2 기체 탱크(360)에 저장된 기체를 채널 포트(6)를 통해 내시경 장치(1)로 공급할 수 있다. 기체 펌프(370)의 작동은 제어부(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술자가 풋 스위치(130)를 조작하면 컨트롤러(140)는 기체 펌프(370)로 작동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즉, 시술자는 풋 스위치(130)를 조작하여 기체 펌프(37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기체 공급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기체 펌프(370)를 통한 기체의 토출량 역시 제어부(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술자가 입력부(110)의 제2 입력 스위치(115)를 통해 희망하는 기체 토출량을 설정하면, 컨트롤러(140)는 기체 펌프(370)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를 제어함으로써 기체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기체 펌프(370)에서 토출된 기체는 기체 공급 유로(340)를 통해 체널 포트(6)로 공급될 수 있다. 기체 공급 유로(340)에는 제6 개폐밸브(371), 제7 역류방지밸브(373), 및 압력 조절 밸브(341)가 설치될 수 있다. 제6 개폐밸브(371)는 제어부(100)의 신호에 따라 기체 공급 유로(340)를 개방하거나 또는 폐쇄할 수 있다. 제7 역류방지밸브(373)는 기체 펌프(370)에서 토출된 기체가 다시 기체 펌프(370) 방향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압력 조절 밸브(341)는 기체 공급 유로(340)의 압력이 기 설정된 안전 압력에 도달하면 기체 공급 유로(340)와 외부(대기)를 연통시키며, 기체 공급 유로(340)의 내부 압력이 지나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제6 개폐밸브(371)는 제어부(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시술자가 풋 스위치(130)를 조작하면 컨트롤러(140)는 제6 개폐밸브(371)에 유로 개방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즉, 시술자는 내시경 장치(1)의 조작부(3)를 손으로 조작하지 않더라도, 발을 이용하여 내시경 시술에 필요한 액체의 공급 여부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4 내지 제6 개폐밸브들(351, 361, 371)은 전류 신호로 제어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시경 시술자는 손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발을 사용하여 기체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4 개폐밸브(351) 또는 제5 개폐밸브(36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공급되는 기체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고, 제6 개폐밸브(371)를 선택적을 개폐하여 기체의 공급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기체 펌프(370)를 제어하여 기체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들은 모두 시술자가 풋 스위치(130) 및 입력부(110)를 조작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기체 공급을 위한 별도의 보조자를 둘 필요가 없으며, 시술자가 손으로 조작해야 하는 장치의 수를 줄일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이고 신속한 내시경 시술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5에는 기체 공급부(300)가 두 개의 저장탱크(350, 360)를 가진 것, 즉 기체 공급부(300)가 두 종류의 기체만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기체 공급부(300)는 한 종류의 기체만을 공급하거나 또는 3가지 이상의 기체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기체 공급부(300)는 산소 탱크(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기체 공급부(300)는 공기, 이산화탄소, 또는 산소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는 두 가지 종류의 기체를 하나의 기체 펌프(370)가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기체 공급부(300)는 서로 다른 종류의 기체가 저장된 복수개의 기체 탱크와 복수개의 기체 펌프를 포함하고, 각각의 기체 펌프는 한가지 종류의 기체만을 토출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의 유체 공급 장치(10)는 내시경 장치(1)에 액체 또는 기체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내시경 시술 중 마지막으로 액체를 공급한 경우에는, 액체 공급 유로(240) 및 출력 유로(410) 내부에 액체가 채워진 상태일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유로 내에 액체가 채워진 상태는, 내시경 시술이 연속적으로 행해지는 경우에는 큰 문제가 없으나, 다음 내시경 시술까지 시간적 간격이 큰 경우에는 문제로 작용할 수 있다. 유로 내에 채워진 액체들이 오염되거나 변질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내시경 사용 종료 후 사용된 모든 유로들을 폐기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는 자원의 낭비로서 내시경 시술의 비용 상승 요인이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체 공급 유로(340)와 액체 공급 유로(240)를 연결하고, 기체를 이용하여 액체 공급 유로(240) 내부의 액체를 모두 제거하고, 액체 공급 유로(240) 내부를 완전 건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의 유체 공급 장치(10)는,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액체 공급부(200),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기체 공급부(300), 기체 공급부(300)와 액체 공급부(200)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바이패스 수단(600), 및 이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액체 공급부(200) 및 기체 공급부(300)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로 상술한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액체 공급부(200) 및 기체 공급부(300)의 구성 요소들은 각각 도 3 및 도 5에 사용된 구성 요소와 동일한 인용 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제어부(100)에 대해서는 후술할 예정이므로, 여기서는 바이패스 수단(60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바이패스 수단(600)은 액체 공급 유로(240)와 기체 공급 유로(340)를 연결하는 바이패스 유로(610), 바이패스 유로(61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바이패스 개폐 밸브(620), 및 기체 공급 유로(340)의 기체를 액체 공급 유로(240)로 이동시키는 석션 펌프(6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바이패스 유로(610)의 일단(A)은 기체 펌프(370)보다 하류에 연결되고, 타단(B)은 액체 펌프(230)보다 상류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상류'와 '하류'는 기체 탱크(350) 또는 액체 탱크(210)로부터 시작되는 유체의 흐름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서, 기체 탱크(350) 또는 액체 탱크(210)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까운 곳을 '상류'라 지칭하고, 상대적으로 먼 곳을 '하류'라 지칭하는 것이다.
바이패스 유로(610)의 일단(A)이 기체 펌프(370)보다 하류에 연결된다는 것은, 바이패스 유로(610)의 일단(A)이 기체 펌프(370)와 커넥터(400) 사이에 연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이패스 유로(610)의 일단(A)이 기체 펌프(370)보다 상류에 연결될 경우, 후술할 석션 펌프(630)가 제1 기체 탱크(350)에 저장된 기체를 액체 공급 유로(240)까지 끌어와야 하는데, 이 경우 바이패스 유로(610)를 통한 기체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바이패스 유로(610)의 일단(A)은 기체 펌프(370)보다 하류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이패스 유로(610)의 타단(B)이 액체 펌프(230)보다 상류에 연결된다는 것은, 바이패스 유로(610)의 타단(B)이 제1 액체 탱크(210)와 액체 펌프(230) 사이에 연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이패스 유로(610)의 타단(B)이 액체 펌프(230)보다 하류에 연결될 경우, 액체 펌프(230) 내부를 채우고 있는 액체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바이패스 유로(610)의 타단(B)은 액체 펌프(230)보다 상류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이패스 개폐 밸브(620)는 바이패스 유로(610)에 설치되며, 제어부(100)에서 송출된 전류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시술자가 제어부(100)를 조작하여 액체 제거 기능을 선택하면, 바이패스 수단(600)을 통해 기체가 공급됨으로써 액체 공급 유로(240) 내부의 액체가 제거될 수 있고, 액체 공급 유로(240) 내부가 완전 건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액체 공급 유로(240) 상의 제1 개폐 밸브(211)는 폐쇄되고 제3 개폐 밸브(231)는 개방되며, 기체 공급 유로(340) 상의 제4 개폐 밸브(351)는 개방되고 제6 개폐 밸브(371)는 폐쇄될 수 있다. 또한, 바이패스 유로(610) 상의 바이패스 개폐 밸브(620)는 개방되고, 석션 펌프(630)가 작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기체 탱크(350)에 저장된 기체는 바이패스 유로(610)를 거쳐 액체 공급 유로(240)로 공급될 수 있다. 액체 공급 유로(240)에 공급된 기체는 액체 공급 유로(240) 내부를 채우고 있던 액체를 밀어내게 된다. 이에 따라, 액체 공급 유로(240) 내부의 액체가 모두 제거될 수 있고, 액체 공급 유로(240) 내부를 완전히 건조시킬 수 있다.
한편, 액체 펌프(230)는 액체를 토출하기 위한 펌프로서, 내부에 액체가 채워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정상적으로 유체를 토출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기체 펌프인 석션 펌프(630)를 별도로 구비하여 바이패스 유로(610)를 통한 기체 공급을 제어하는 것이다. 석션 펌프(630)는 바이패스 유로(620)에 설치되거나 또는 액체 공급 유로(240)에 설치될 수 있다. 석션 펌프(630)는 제1 기체 탱크(350)에 저장된 기체가 바이패스 유로(610)를 통해 액체 공급 유로(240)로 이동할 수 있도록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액체와 기체를 모두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펌프를 사용한다면, 석션 펌프(630)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더라도, 액체 공급 유로(240)에 설치된 하나의 펌프를 이용하여 액체와 기체를 선택적으로 토출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의 유체 공급 장치(10)는, 기체 공급부(300)와 액체 공급부(200)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바이패스 수단(600) 대신, 액체 공급 유로(240)에 설치되는 기포발생기(도시되지 않음)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기체 탱크(350)에 저장된 기체를 이용하여 액체 공급 유로(240)를 건조시키는 것이 아니라, 액체 공급 유로(240)에 별도의 기포발생기를 구비하고 상기 기포발생기를 이용하여 액체 공급 유로(240)를 건조시키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기포발생기는 도 6에 도시된 석션 펌프(630)와 동일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시술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110)와 풋 스위치(130),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액체 공급부(200), 기체 공급부(300) 및 바이패스 수단(6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40), 및 액체 공급부(200), 기체 공급부(300) 및 바이패스 수단(600)의 동작 정보를 시술자에게 전달하는 표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유체 공급 장치(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110)는 유체 공급 장치(10)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전원 스위치(111), 액체 공급부(200)를 통한 액체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제1 다이얼(113), 기체 공급부(300)를 통한 기체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제2 다이얼(115), 및 온도 조절장치(250)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온도 조절 스위치(117)를 포함할 수 있다. 시술자는 제1 다이얼(113) 또는 제2 다이얼(115)을 조작하여 액체 또는 기체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술자가 자신의 숙련도에 맞추어 액체 또는 기체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온도 조절 스위치(117)를 통해 공급되는 액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표시부(120)는 현재 유체 공급 장치(10)에 대한 작동 정보를 시술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부(120)는 유체 공급 장치(10)의 온/오프 정보를 나타내는 전원 램프(121), 액체가 공급되고 있음을 알리는 액체 공급 램프(123), 기체가 공급되고 있음을 알리는 기체 공급 램프(125), 및 온도 조절장치(250)의 작동 정보를 나타내는 온도 조절 램프(127) 등 각종 표시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표시부(120)는 현재 공급되고 있는 유체에 대한 정보를 청각적으로 시술자에게 전달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표시부(120)는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는 현재 공급되고 있는 유체의 종류, 공급 속도, 전체 공급량, 유체의 온도, 공급의 시작과 중단에 대한 정보들을 소리로 시술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부(120)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9)는 현재 공급중인 유체의 종류, 유체의 공급 속도, 유체의 온도 등에 대한 정보들을 시술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129)는 피시술자의 바이탈 사인(vital sign) 등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컨트롤러(140)는 무선 통신 등을 이용해 내시경 장치(1)나 기타 의료 장치들로부터 피시술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29)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건강 상태 정보는, 예를 들면, 피시술자의 산소 포화도 농도, 맥박 수, 체온, 혈압 등일 수 있다.
내시경 시술을 진행할 때 여러 가지 의료 장비들이 동시에 사용될 수 있는데, 시술자는 여러 장비들을 동시에 확인하면서 피시술자의 상태를 파악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여러 장비들에 나뉘어 있는 정보들을 디스플레이 장치(129)에 한꺼번에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시술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고, 갑작스런 피시술자의 상태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한편, 도 7에는 입력부(110)와 표시부(120)가 각각 4개의 입력 장치들(111, 113, 115, 117)과 4개의 표시 장치들(121, 123, 125, 127)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 되는 것은 아니며, 입력 정보의 종류, 입력 방식, 표시 정보의 종류, 표시 방식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풋 스위치(130)는 내시경 시술이 이루어지는 수술실의 바닥에 배치되며, 복수개의 선택 스위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시술자는 상기 선택 스위치들을 발로 누름으로써 해당 스위치와 연결된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풋 스위치(130)는 내시경 장치(1)에 액체가 공급되도록 하는 액체 공급 스위치(131), 내시경 장치(1)에 기체가 공급되도록 하는 기체 공급 스위치(133), 바이패스 수단(600)을 통해 액체 공급 유로(240) 내부의 액체를 제거하고 액체 공급 유로(240) 내부를 건조시키는 클린 스위치(135), 온도 조절장치(250)를 작동시키는 항온 스위치(137), 공급되는 액체의 종류를 선택하는 액체 선택 스위치(도시되지 않음), 공급되는 기체의 종류를 선택하는 기체 선택 스위치(도시되지 않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시술자가 상기 선택 스위치들 중 하나를 발로 누르면, 눌려진 선택 스위치에 해당하는 조작 신호가 생성되어 컨트롤러(140)에 전달될 수 있다. 한편, 풋 스위치(130)에 구비된 선택 스위치들의 개수, 형태 등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시술자는 내시경 시술 중 풋 스위치(130)를 조작하여 공급 유체의 종류와 공급 타이밍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보조자 없이도 내시경 시술에 필요한 유체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내시경의 유체 공급 장치(10)는 액체 공급부(200)와 기체 공급부(300)를 채널 포트(6)에 연결하는 커넥터(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넥터(400)는 2개의 입력단과 1개의 출력단을 가지는 Y자형 커넥터일 수 있다. 상기 2개의 입력단은 액체 공급부(200)의 액체 공급 유로(240) 및 기체 공급부(300)의 기체 공급 유로(34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출력단은 출력 유로(410)를 가지며, 출력 유로(410)는 내시경 장치(1)의 채널 포트(6)에 연결될 수 있다. 액체 공급 유로(240) 또는 기체 공급 유로(340)로 공급된 유체는 커넥터(400)의 출력 유로(410)를 통해 내시경 장치(1)로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출력 유로(410)는 내부가 단일 채널로 구성되거나, 또는 사용되는 유체의 종류에 맞게 복수개의 채널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만, 바이패스 수단(600)을 사용하여 액체 공급 유로(240) 내부의 액체를 제거하는 과정에서는, 커넥터(400)의 출력단이 내시경 장치(1)에 연결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한편, 내시경 시술 과정에서는 검사를 위해 조직의 일부를 떼어내거나(생검, biopsy) 또는 간단한 수술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내시경 장치(1) 내부로 겸자(20)나 수술도구가 삽입되어야 하며, 이는 채널 포트(6)를 통해 이루어 질 수 있다.
그러나, 채널 포트(6)에는 유체 공급 장치(10)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생검을 위해서는 유체 공급 장치(10)를 분리하여야 한다. 즉, 시술자는 채널 포트(6)에서 유체 공급 장치(10)의 출력 유로(410)를 분리한 이후 채널 포트(6)를 통해 겸자(20)를 삽입하고, 생검이 종료된 이후에는 다시 출력 유로(410)를 채널 포트(6)에 결합하여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내시경의 유체 공급 장치(10)는 유체 공급과 겸자(20) 삽입이 동시에 가능한 연결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도 8,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500)는 2개의 입력단(510, 520)과 1개의 출력단(530), 및 입력단 마개(540)를 가질 수 있다.
제1 입력단(510)은 출력 유로(410)에 결합되고, 출력단(530)은 내시경 장치(1)의 채널 포트(6)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입력단(520)은 겸자(20) 등의 수술도구가 삽입되는 통로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내시경 시술 도중 생검이 필요한 경우, 유체 공급 장치(10)를 분리하지 않고도 겸자(20) 등의 수술도구를 내시경 장치(1)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제2 입력단(520)은 입력단 마개(540)를 이용하여 필요한 경우에만 개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입력단(520) 내부에는 유체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 방지부(521, 523)가 구비될 수 있다.
겸자(2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입력단 마개(540)가 제2 입력단(520)의 개방된 일단을 폐쇄하고 있기 때문에, 제1 입력단(510)으로 공급된 유체가 제2 입력단(520)으로 역류하더라도 특별한 문제가 없다. 그러나, 겸자(20)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제1 입력단(510)으로 공급된 유체가 제2 입력단(520)으로 역류하여 외부로 유출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겸자(20)와 제2 입력단(520)의 내주면 사이 공간을 차단하는 역류 방지부(521, 523)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류 방지부(521, 523)는 제2 입력단(520)의 내주면에서 내부를 향해 돌출된 환형의 부재로서, 삽입된 겸자(20)에 밀착하여 유체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역류 방지부(521, 523)는 고무나 실리콘 등 탄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되며, 유체 역류를 보다 확실하게 차단하기 위하여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입력단(510)과 제2 입력단(520)이 이루는 각도(θ)는 30도 내지 45도 일 수 있다.
입력단들(510, 520)이 이루는 각도가 너무 크면 유체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할 수 있다. 반면, 입력단들(510, 520)이 이루는 각도가 너무 작으면 겸자(20) 등을 삽입할 때 다른 입력단이 간섭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겸자(20) 삽입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유체의 원활한 흐름을 유지할 수 있는 각도가 30도 내지 45일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단 마개(540)는 제2 입력단(5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541), 몸체(54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543), 및 몸체(541)와 덮개(543)를 연결하는 연결부(545)를 포함한다.
몸체(541)의 중앙에는 제1 개구(542)가 형성되고, 덮개(543)의 중앙에는 제2 개구(544)가 형성될 수 이다. 이때, 제1 개구(542)는 제2 개구(544)보다 더 클 수 있다. 즉, 제2 입력단(520)으로 삽입되는 수술도구의 크기에 따라 제1 개구(542) 또는 제2 개구(544)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입력단 마개(540)는 고무 등 탄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단 마개(540)가 실링부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유체 공급 장치(10)에서 공급된 유체가 연결부(500)의 제2 입력단(520)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제2 입력단(520) 내부의 역류 방지부(521, 523)가 유체의 역류를 1차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겸자(20) 등의 수술도구가 입력단 마개(540)의 개구(542, 544)를 통해 삽입됨으로써 유체의 역류를 2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의 유체 공급 장치(10)는 시술자 혼자서 유체의 종류, 공급 여부, 공급 속도 등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시경 시술에 불필요한 인력 낭비를 줄일 수 있고, 시술자의 숙련도에 맞게 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유체의 공급을 제어하는데 발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시술자가 손가락으로 조작해야 하는 장치의 수를 줄일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이고 신속한 내시경 시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의 유체 공급 장치(10)는 피시술자의 인체 내부로 공급된 유체들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2차 오염을 방지하고 불필요한 1회용품의 사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바이패스 수단(600)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이 종료된 이후 액체 공급 유로(240) 내부에 잔류하는 액체를 모두 제거할 수 있고, 액체 공급 유로(240) 내부를 완전히 건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 시마다 유로를 교체할 필요가 없으며, 장치를 보다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내시경 장치 10: 내시경의 유체 공급 장치
20: 겸자 100: 제어부
110: 입력부 120: 표시부
130: 풋 스위치 140: 컨트롤러
200: 액체 공급부 300: 기체 공급부
400: 커넥터 500: 연결부
600: 바이패스 수단

Claims (17)

  1. 내시경에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 공급부;
    상기 내시경에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 공급부; 및
    상기 액체 공급부 및 상기 기체 공급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수술실의 바닥에 배치되며, 상기 내시경을 사용하는 시술자로부터 상기 액체 공급부와 상기 기체 공급부의 작동에 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풋 스위치; 및
    상기 입력 받은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액체 공급부 또는 상기 기체 공급부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 공급부와 상기 내시경을 연결하는 액체 공급 유로;
    상기 기체 공급부와 상기 내시경을 연결하는 기체 공급 유로; 및
    상기 액체 공급 유로와 상기 기체 공급 유로를 연결하는 바이패스 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이패스 유로가 개방되면, 상기 기체 공급 유로의 기체가 상기 액체 공급 유로로 유입되고,
    상기 액체 공급부는,
    제1 액체가 저장된 제1 액체 탱크;
    제2 액체가 저장된 제2 액체 탱크; 및
    상기 제1 액체 또는 상기 제2 액체를 상기 내시경에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액체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액체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액체 공급부는,
    상기 제1 액체 탱크와 상기 액체 펌프를 연결하는 유로에 설치되는 제1 개폐밸브;
    상기 제2 액체 탱크와 상기 액체 펌프를 연결하는 유로에 설치되는 제2 개폐밸브; 및
    상기 액체 펌프와 상기 내시경 장치를 연결하는 유로에 설치되는 제3 개폐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내지 제3 개폐밸브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상기 액체 공급부는,
    상기 제1 액체 탱크 및 상기 제2 액체 탱크에 저장된 액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온도 조절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체 공급부는,
    기포를 생성하는 기포발생기; 및
    상기 기포발생기에서 생성된 기포를 상기 내시경으로 공급하기 위한 송풍기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기포발생기 및 상기 송풍기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기체 공급부는,
    제1 기체가 저장된 제1 기체 탱크;
    제2 기체가 저장된 제2 기체 탱크; 및
    상기 제1 기체 및 상기 제2 기체를 상기 내시경으로 공급하기 위한 기체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기체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기체 공급부는,
    상기 제1 기체 탱크와 상기 기체 펌프를 연결하는 유로에 설치되는 제4 개폐밸브;
    상기 제2 기체 탱크와 상기 기체 펌프를 연결하는 유로에 설치되는 제5 개폐밸브; 및
    상기 기체 펌프와 상기 내시경을 연결하는 유로에 설치되는 제6 개폐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4 내지 제6 개폐밸브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상기 액체 공급부 및 상기 기체 공급부를 상기 내시경에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액체 공급부 또는 상기 기체 공급부에서 유체를 공급받는 제1 입력단;
    내부에 수술도구 삽입을 위한 공간이 형성된 제 2 입력단; 및
    일단은 상기 제1 입력단 및 상기 제2 입력단과 각각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내시경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입력단을 통해 공급된 유체 또는 상기 제2 입력단을 통해 삽입된 수술도구를 상기 내시경으로 안내하는 출력단을 포함하고,
    상기 액체 공급부 및 상기 기체 공급부를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1 입력단에 연결하는 Y자 형상의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액체의 토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제1 다이얼;
    기체의 토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제2 다이얼; 및
    상기 액체 공급부 및 상기 기체 공급부의 작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시술자에게 전달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체 공급부는
    토출된 액체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역류방지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기체 공급부는
    토출된 기체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 역류방지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기체 공급 유로에는
    상기 기체 공급 유로의 압력이 기 설정된 안전 압력에 도달하면 상기 기체 공급 유로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압력 조절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안전 압력은
    안전 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기체 공급 유로의 압력 상한값이고,
    상기 풋 스위치는
    상기 내시경 장치에 액체가 공급되도록 하는 액체 공급 스위치;
    상기 내시경 장치에 기체가 공급되도록 하는 기체 공급 스위치;
    상기 액체 공급 유로 내부의 액체를 제거하고 상기 액체 공급 유로 내부를 건조시키는 클린 스위치;
    상기 온도 조절장치를 작동시키는 항온 스위치;
    공급되는 액체의 종류를 선택하는 액체 선택 스위치; 및
    공급되는 기체의 종류를 선택하는 기체 선택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 입력단 마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단 마개는
    상기 제2 입력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 제1 개구가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 상기 제1 개구보다 크기가 작은 제2 개구가 형성된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 및 제2 개구는
    상기 제2 입력단으로 삽입되는 수술도구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의 유체 공급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200039056A 2019-08-23 2020-03-31 내시경의 유체 공급 장치 KR102325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173938.0A EP3782528B1 (en) 2019-08-23 2020-05-11 Fluid supply device for endoscope
US15/930,200 US11607118B2 (en) 2019-08-23 2020-05-12 Fluid supply device for endoscope
JP2020084227A JP6975824B2 (ja) 2019-08-23 2020-05-13 内視鏡の流体供給装置
CN202110333167.XA CN113455994A (zh) 2019-08-23 2021-03-29 内窥镜的流体供应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03923 2019-08-23
KR1020190103923 2019-08-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659A KR20210023659A (ko) 2021-03-04
KR102325609B1 true KR102325609B1 (ko) 2021-11-15

Family

ID=75174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9056A KR102325609B1 (ko) 2019-08-23 2020-03-31 내시경의 유체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25609B1 (ko)
CN (1) CN113455994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10440B2 (ja) * 2002-08-07 2005-10-26 株式会社昇豊製作所 鼻咽喉用内視鏡洗浄消毒装置
US20060266423A1 (en) * 2005-05-25 2006-11-30 Fujinon Corporation Water feeding device for endoscope
KR101118860B1 (ko) * 2010-08-12 2012-03-14 황선철 내시경 검사 및 수술을 위한 기체 주입 장치
JP5028311B2 (ja) * 2008-03-24 2012-09-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用送水液の加温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8878A (ko) * 2004-05-14 2005-11-17 엔비엠 주식회사 점막 세척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10440B2 (ja) * 2002-08-07 2005-10-26 株式会社昇豊製作所 鼻咽喉用内視鏡洗浄消毒装置
US20060266423A1 (en) * 2005-05-25 2006-11-30 Fujinon Corporation Water feeding device for endoscope
JP5028311B2 (ja) * 2008-03-24 2012-09-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用送水液の加温装置
KR101118860B1 (ko) * 2010-08-12 2012-03-14 황선철 내시경 검사 및 수술을 위한 기체 주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659A (ko) 2021-03-04
CN113455994A (zh) 2021-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19773C2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аппарат для подачи жидкости в эндоскоп для эндоскопической ирригации и промывания линзы
EP2016914B1 (en) Endoscope apparatus comprising an endoscope and an insertion assisting device
JP2009504302A (ja) 内視鏡の流体供給装置
US5575753A (en) Endoscopic apparatus using a covered type endoscope fitted in an endoscope cover
BRPI0614120A2 (pt) sistema de controle aperfeiçoado para fornecer meio fluìdo a endoscópio
CN103211566B (zh) 具有注水注气选择按钮的内窥镜
JP7269223B2 (ja) 内視鏡処置に関する改善された視覚化のための装置
JP5520877B2 (ja) 内視鏡送気システム
US20120130174A1 (en) Rapid Endoscopic Gastrointestinal Irrigation System for Gastrointestinal Bleeding
JP2007268147A (ja) 医療装置
JP6975824B2 (ja) 内視鏡の流体供給装置
KR102325609B1 (ko) 내시경의 유체 공급 장치
JP5953455B1 (ja) 管路開閉装置及び管路開閉装置を備える挿入システム
US20120277532A1 (en) Endoscope gas-supply system
WO2011024900A1 (ja) 内視鏡用補助具
US20210236712A1 (en) Vortical Ear Irrigation
CN203263348U (zh) 具有注水注气选择按钮的内窥镜
JP6996018B2 (ja) 制御ユニット
JP3850394B2 (ja) 内視鏡システム
JP4643246B2 (ja) 腹腔鏡下外科手術システム
JP7187671B2 (ja) 送気装置、送気量制御方法及び送気システム
KR20170068440A (ko) 일회용 상처 세척 장치 및 연관된 사용 방법
JPH0665334B2 (ja) 内視鏡装置
US20190290812A1 (en) Fully disposable suction and irrigation apparatus for use in medical procedures
US20230255448A1 (en) Fluid feeding and suction apparatus, endoscope system, and method of suction residue by endoscop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