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4805B1 - 사변형 격자지보 - Google Patents

사변형 격자지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4805B1
KR102324805B1 KR1020190147639A KR20190147639A KR102324805B1 KR 102324805 B1 KR102324805 B1 KR 102324805B1 KR 1020190147639 A KR1020190147639 A KR 1020190147639A KR 20190147639 A KR20190147639 A KR 20190147639A KR 102324805 B1 KR102324805 B1 KR 102324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bar
fixing member
upper steel
spacer
gri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7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0064A (ko
Inventor
안형준
김경철
김선길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주식회사 스틸텍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주식회사 스틸텍,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7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4805B1/ko
Publication of KR20210060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0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4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4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5/00Props; Chocks, e.g. made of flexible containers filled with backfilling material
    • E21D15/02Non-telescopic prop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5/00Props; Chocks, e.g. made of flexible containers filled with backfilling material
    • E21D15/5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props
    • E21D15/502Prop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e.g. of specified cross-s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14Lining predominantly with metal
    • E21D11/18Arch members ; Network made of arch members ; Ring elements; Polygon elements; Polygon elements inside arches
    • E21D11/20Special cross- sections, e.g. corrug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 굴착면의 지지를 위한 사각 격자지보에 있어서, 터널을 따라 연장되는 상부 스틸바; 상기 상부 스틸바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상부 스틸바를 따라 연장되는 하부 스틸바; 상기 상부 스틸바 및 상기 하부 스틸바를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및 상기 상부 스틸바 및 상기 하부 스틸바가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스틸바 및 상기 하부 스틸바와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상기 고정부재의 양측 단부에 구비되는 이격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또는 상기 이격부재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격자지보의 개수와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감지부를; 포함한 사변형 격자지보로서, 설치되는 격자지보의 위치와 개수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구조적인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격자지보의 강성을 증대시켜 토압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숏크리트의 침투 및 상호 부착력이 증대되므로 더욱 안정된 터널구조를 구축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변형 격자지보{TETRAGONAL LATTICE GIRDERS}
본 발명은 토목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격자지보의 강성을 증대시켜 토압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호 부착력이 증대되므로 더욱 안정된 터널구조를 구축할 수 있는 사변형 격자지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격자지보는 NATM(New Austrian Tunnelling Method) 공법에 의한 터널 공사시 아치형 지보공의 설치를 록볼트, 와이어 메쉬 숏크리트 등의 타설공사와 함께 수행할 때 적용된다.
즉, NATM 공법은 굴착 후, 초기 지반이 변경되기 전에 지반 부착성과 유연성이 좋은 숏크리트와 록볼트를 설치하여 원지반을 삼축압축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지반이 강도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지반 아치(Arch)를 형성시켜 지반자체의 지지력을 최대한 활용하며, 시공 중 주변지반과 지보공의 응력 및 변위거동을 계측 및 제어함으로써 터널의 안정을 확보할 수 있는 터널 토목 공법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서, 격자지보는 터널 주위에 발생하는 지압을 효과적으로 지지하여 지반의 초기 변형을 최대한 억제하고 숏크리트와 합쳐져 보다 안정된 터널구조를 만드는 강지보재인 것이다.
종래 구조로 이루어진 격자지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의 내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원형 단면의 상부스틸바(1)와, 이런 상부 스틸바(1)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하부 스틸바(2, 3)의 사이에 가칭 스파이더(spider)라 불리는 다수의 고정부재(4)들을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각각 용접 시공한 것이다.
여기에서, 스파이더 또는 고정부재(4)는 래티스(lattice) 철선, 스틸 와이어 등을 길이 방향의 삼각 트러스트 형상, 즉 3차원 폐다각형 형태로 절곡시킨 후, 양 끝단을 용접시킨 것이다.
그러나, 종래 구조의 격자지보는 상부 스틸바(1)와 하부 스틸바(2, 3) 사이에 고정부재(4)로 이루어지는 격자지보를 설치한 후에 터널의 시공이 완료되면 격자지보의 개수와 설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수단이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정확한 시공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고정부재(4)를 절곡시키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만약에 고정부재(4)를 수직 방향으로 절곡시키게 되면 절곡된 영역은 다른 영역에 비하여 강도가 현저하게 저하되기 때문에 격자지보의 전체적인 구조적인 안정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설치되는 격자지보의 위치와 개수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정확한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격자지보의 강성을 증대시켜 토압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더욱 안정된 터널구조를 구축할 수 있는 사변형 격자지보를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터널 굴착면의 지지를 위한 사각 격자지보에 있어서, 터널을 따라 연장되는 상부 스틸바; 상기 상부 스틸바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상부 스틸바를 따라 연장되는 하부 스틸바; 상기 상부 스틸바 및 상기 하부 스틸바를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및 상기 상부 스틸바 및 상기 하부 스틸바가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스틸바 및 상기 하부 스틸바와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상기 고정부재의 양측 단부에 구비되는 이격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또는 상기 이격부재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격자지보의 개수와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감지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변형 격자지보를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고정부재 또는 상기 이격부재의 개수와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이격부재의 접합 영역은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의 양측 단부에 접합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의 단부에 용접 방식에 의하여 접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하부 스틸바와 일정 길이 접촉되며 고정부재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하부수평부와, 상기 하부수평부와 경사를 이루며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와 경사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 스틸바와 일정 길이 접촉되는 상부수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이격부재는 일측 및 타측의 상기 하부수평부 단부에 용접 방식에 의하여 접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에 구비된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하부수평부와 하부수평부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부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재의 타측에 구비된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하부수평부 단부에서 높이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상부 스틸바와 상기 하부 스틸바 사이에 배치되는 수직부와, 수직부와 수직부 사이에 상기 수직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 단부에 접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에 구비된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하부수평부 단부에서 높이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상부 스틸바와 상기 하부 스틸바 사이에 배치되는 수직부와, 수직부와 수직부 사이의 양단부에 상기 수직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설치되는 격자지보의 위치와 개수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구조적인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격자지보의 강성을 증대시켜 토압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더욱 안정된 터널구조를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격자지보를 구성하는 이격부재를 고정부재에 용접 등의 접합 방식에 의하여 제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격자지보의 강성을 유지하면서 신속하고 용이한 제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격자지보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변형 격자지보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변형 격자지보의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변형 격자지보의 고정부재와 이격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변형 격자지보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변형 격자지보의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변형 격자지보의 고정부재와 이격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변형 격자지보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변형 격자지보의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변형 격자지보의 고정부재와 이격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변형 격자지보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변형 격자지보의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변형 격자지보의 고정부재와 이격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사변형 격자지보는, 터널 굴착면의 지지를 위한 사각 격자지보에 있어서, 터널을 따라 연장되는 상부 스틸바(100); 상기 상부 스틸바(100)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상부 스틸바(100)를 따라 연장되는 하부 스틸바(200); 상기 상부 스틸바(100) 및 상기 하부 스틸바(200)를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부재(300); 및 상기 상부 스틸바(100) 및 상기 하부 스틸바(200)가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스틸바(100) 및 상기 하부 스틸바(200)와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상기 고정부재(300)의 양측 단부에 구비되는 이격부재(400)와; 상기 고정부재(300) 또는 상기 이격부재(4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격자지보의 개수와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감지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부 스틸바(100)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상부 스틸바용 스틸바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부 스틸바(100)를 구성하는 복수의 상부 스틸바용 스틸바는 이웃하는 스틸바 사이에 형성된 이격부재(40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스틸바용 스틸바는 고정부재(300)와 접합시에 상부 스틸바(100)를 고정부재(300)와 접합시에 상호 접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상부 스틸바(100)와 고정부재(300) 사이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원형의 종단면이 아닌 사각 형상의 종단면을 갖는 부재이다.
이격부재(400)는 이웃하는 스틸바 사이에 형성됨으로써, 각 스틸바의 위치를 고정함과 아울러, 사각 격자지보의 횡방향으로 가하여지는 힘에 대한 보강부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부 스틸바용 스틸바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부재(400)는 양 단부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취하는 경우, 이격부재(400)를 상부 스틸바(100)에 용접함에 있어, 용접 면적을 넓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각 격자지보의 측면으로 가하여는 힘에 의한 높은 뒤틀림 저항성을 갖는 효과가 추가된다.
또한 하부 스틸바(200)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하부 스틸바용 스틸바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스틸바용 스틸바는 고정부재(300)와 접합시에 하부 스틸바(200)를 고정부재(300)와 접합시에 상호 접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부 스틸바(120)와 고정부재(300) 사이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원형의 종단면이 아닌 사각 형상의 종단면을 갖는 부재이다.
이 경우 하부 스틸바(200)를 구성하는 복수의 하부 스틸바용 스틸바는 이웃하는 스틸바 사이에 형성된 이격부재(40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격부재(400)는 이웃하는 스틸바 사이에 형성됨으로써, 각 스틸바의 위치를 고정함과 아울러, 사각 격자지보의 횡방향으로 가하여지는 힘에 대한 보강부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하부 스틸바용 스틸바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부재(400)는 양 단부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취하는 경우, 이격부재(400)를 스틸바(100)에 용접함에 있어서 용접 면적을 넓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각 격자지보의 측면으로 가하여는 힘에 의한 높은 뒤틀림 저항성을 갖는 효과가 추가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부 스틸바(100)와 하부 스틸바(200)는 하나의 스틸바로 형성될 수 있고 또한 복수의 스틸바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상부 스틸바(100) 또는 하부 스틸바(200) 중 어느 하나만 복수의 스틸바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고정부재(300)는 상부 스틸바(100) 및 하부 스틸바(200)를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고정부재(300)는 상부 스틸바(100)와 하부 스틸바(200)에 각각 용접 등과 같은 방식에 의하여 접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300)는 하부 스틸바(200)와 일정 길이 접촉되며 고정부재(300)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하부수평부(310)와, 하부수평부(310)와 경사를 이루며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경사부(320)와, 경사부(320)와 경사부(320) 사이에 구비되어 상부 스틸바(100)와 일정 길이 접촉되는 상부수평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수평부(310)는 하부 스틸바(200)와 일정 길이 접촉되어 용접에 의하여 접촉된 영역이 하부 스틸바(200)와 접합될 수 있도록 하되, 점접촉이 아니라 면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하부 스틸바(200)와 하부수평부(310) 사이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일정 길이 평탄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하부수평부(310)는 상부 스틸바(100)와 결합되는 상부수평부(330)를 기준으로 상부수평부(330)의 양측에 구비되어 결과적으로 복수의 개소에서 하부 스틸바(200)와 하부수평부(310)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부수평부(330)는 하부수평부(310)와 하부수평부(310) 사이의 위치에 구비되며 상부 스틸바(100)와 일정 길이 접촉되어 용접에 의하여 접촉된 영역이 상부스틸바(100)와 접합될 수 있도록 하되, 점접촉이 아니라 면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부 스틸바(100)와 상부수평부(330) 사이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일정 길이 평탄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부(320)는 상부수평부(330)와 일측 하부수평부(310) 사이와, 상부수평부(330)와 타측 하부수평부(310) 사이에 각각 구비되어 하부수평부(310)와 상부수평부(33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부수평부(330)와 일측 하부수평부(310) 사이에 구비된 경사부(320)는 상부수평부(330)와 타측 하부수평부(310) 사이에 구비된 경사부(320) 보다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변형 격자지보의 경우에는 상부수평부(330)와 타측 하부수평부(310) 사이에 구비된 경사부(320) 측의 하부수평부(310) 단부에는 수직부(410)와 연결부(420)가 구비되고, 상부수평부(330)와 일측 하부수평부(310) 사이에 구비된 경사부(320) 측의 하부수평부(310) 단부에는 연결부(420)가 구비되도록 한다.
즉, 고정부재(300)의 일측에 구비된 이격부재(400)는 하부수평부(310)와 하부수평부(310)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부(420)로 구성되고, 고정부재(300)의 타측에 구비된 이격부재(400)는 하부수평부(310) 단부에서 높이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부 스틸바(100)와 하부 스틸바(200) 사이에 배치되는 수직부(410)와, 수직부(410)와 수직부(410) 사이에 수직부(410)와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부(420)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이격부재(400)는 제품에 따라 유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데, 고정부재(300)의 강성이 약한 경우에는 고정부재(300) 하나당 이격부재(400)가 하나씩 구비되지만, 고정부재(300)의 강성이 강한 경우에는 고정부재(300) 2개 혹은 3개당 이격부재(400)가 하나씩 구비될 수도 있다.
수직부(410)는 하부수평부(310) 단부에 용접 등의 접합 방법에 의하여 접합 영역(401)을 형성함으로써 하부수평부(310)와 결합되는 부재로서 상부 스틸바(100)와 하부 스틸바(200) 사이의 이격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수직부(410)는 강봉 타입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제작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일정 두께를 갖는 평탄한 판형으로 형성된 평철 타입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연결부(420)는 수직부(410)와 수직부(410) 사이 및 하부수평부(310)와 하부수평부(310) 사이에 구비되되 용접 등의 접합 방법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부 스틸바(100)와 상부 스틸바(100) 사이 및 하부 스틸바(200)와 하부 스틸바(200) 사이의 이격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연결부(420)도 수직부(410)와 마찬가지로 강봉 타입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제작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일정 두께를 갖는 평탄한 판형으로 형성된 평철 타입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수직부(410)와 연결부(420)를 하부수평부(310)와 일체로 제작하지 않고 별도로 용접 등의 접합 방법에 의하여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은 하부수평부(310)의 단부에서 수직부(410)나 연결부(420)를 절곡시키는 작업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경사부(320)와 하부수평부(310)가 이루는 각도 및 경사부(320)와 상부수평부(330)가 이루는 각도는 둔각이지만, 하부수평부(310)와 수직부(410)가 이루는 각도는 직각이므로 경사부(320)를 형성하기 위한 절곡 정도보다 수직부(410)를 형성하는 절곡 정도가 휠씬 크기 때문에 수직부(410)의 절곡 형성이 쉽지 않게 된다.
만약에, 수직부(410)의 연결부(420)를 절곡시키는 작업이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바 형의 하부수평부(310)를 절곡시키게 되면 절곡된 영역은 다른 영역에 비하여 강도가 현저하게 저하되기 때문에 격자지보의 전체적인 구조적인 안정성이 저하되어 토압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키지 못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변형 격자지보의 경우에 이격부재(400)는 고정부재(300)의 일측 단부에 접합되는데, 고정부재(300)의 일측에 구비된 이격부재(400)는 하부수평부(310) 단부에서 높이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부 스틸바(100)와 하부 스틸바(200) 사이에 배치되는 수직부(410)와, 수직부(410)와 수직부(410) 사이의 양단부에 수직부(410)와 일체로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부(420)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는 고정부재(300)의 일측에 구비된 이격부재(400)를 사각 단면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강성이 증대되어 격자지보의 토압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이격부재(400)는 제품에 따라 유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데, 고정부재(300)의 강성이 약한 경우에는 고정부재(300) 하나당 이격부재(400)가 하나씩 구비되지만, 고정부재(300)의 강성이 강한 경우에는 고정부재(300) 2개 혹은 3개당 이격부재(400)가 하나씩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수직부(410)는 강봉 타입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제작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일정 두께를 갖는 평탄한 판형으로 형성된 평철 타입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아울러, 연결부(420)도 수직부(410)와 마찬가지로 강봉 타입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제작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일정 두께를 갖는 평탄한 판형으로 형성된 평철 타입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감지부(500)는 상기 고정부재(300) 또는 상기 이격부재(4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격자지보의 개수와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감지부(500)는 상기 고정부재(300) 또는 상기 이격부재(400)의 개수와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센서(510)로 구성될 수 있는데, 위치센서(510)는 위치센서(510)가 설치된 부품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적인 부품으로서 지피에스(GPS) 수신기와 같은 장치가 대표적이다.
위치센서(510)를 고정부재(300) 또는 이격부재(400)의 일측에 설치하게 되면 터널의 아치 형상으로 따라 설치되는 복수의 격자지보의 각각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격자지보의 개수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추후 유지 및 관리가 수월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위치센서(510)에 의하여 상부 스틸바(100)와 하부 스틸바(200) 사이에 설치되는 격자지보의 개수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설치되어야 하는 격자지보의 개수가 잘못 설치되는 오시공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변형 격자지보는 격자지보의 강성을 증대시켜 토압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호 부착력이 증대되므로 더욱 안정된 터널구조를 구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격자지보를 구성하는 이격부재(400)를 고정부재(300)에 용접 등의 접합 방식에 의하여 제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격자지보의 강성을 유지하면서 신속하고 용이한 제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재(300)와 이격부재(400)가 따로 분리된 상태로 운반한 후에 현장에서 용접 등의 접합 방식에 의하여 이들을 일체로 형성하여 시공하기 때문에 운반, 설치 및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상부 스틸바 200 : 하부 스틸바
300 : 고정부재 310 : 하부 수평부
320 : 경사부 330 : 상부 수평부
400 : 이격부재 410 : 수직부
420 : 연결부 500 : 감지부
510 : 위치센서

Claims (10)

  1. 터널 굴착면의 지지를 위한 사각 격자지보에 있어서,
    터널을 따라 연장되는 상부 스틸바(100);
    상기 상부 스틸바(100)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상부 스틸바(100)를 따라 연장되는 하부 스틸바(200);
    상기 상부 스틸바(100) 및 상기 하부 스틸바(200)를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부재(300); 및
    상기 상부 스틸바(100) 및 상기 하부 스틸바(200)가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스틸바(100) 및 상기 하부 스틸바(200)와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상기 고정부재(300)의 양측 단부에 구비되는 이격부재(400)와;
    상기 고정부재(300) 또는 상기 이격부재(4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격자지보의 개수와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감지부(500)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500)는 상기 고정부재(300) 또는 상기 이격부재(400)의 개수와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센서(5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변형 격자지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재(400)는 상기 고정부재(300)의 양측 단부에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변형 격자지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300)와 상기 이격부재(400)의 접합 영역(401)은 굴곡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변형 격자지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재(400)는 상기 고정부재(300)의 단부에 용접 방식에 의하여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변형 격자지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300)는 상기 하부 스틸바(200)와 일정 길이 접촉되며 고정부재(300)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하부수평부(310)와, 상기 하부수평부(310)와 경사를 이루며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경사부(320)와, 상기 경사부(320)와 경사부(3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 스틸바(100)와 일정 길이 접촉되는 상부수평부(33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변형 격자지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재(400)는 일측 및 타측의 상기 하부수평부(310) 단부에 용접 방식에 의하여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변형 격자지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300)의 일측에 구비된 상기 이격부재(400)는 상기 하부수평부(310)와 하부수평부(310)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부(420)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재(300)의 타측에 구비된 상기 이격부재(400)는 상기 하부수평부(310) 단부에서 높이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상부 스틸바(100)와 상기 하부 스틸바(200) 사이에 배치되는 수직부(410)와, 수직부(410)와 수직부(410) 사이에 상기 수직부(410)와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부(4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변형 격자지보.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재(400)는 상기 고정부재(300)의 일측 단부에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변형 격자지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300)의 일측에 구비된 상기 이격부재(400)는 상기 하부수평부(310) 단부에서 높이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상부 스틸바(100)와 상기 하부 스틸바(200) 사이에 배치되는 수직부(410)와, 수직부(410)와 수직부(410) 사이의 양단부에 상기 수직부(410)와 일체로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부(4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변형 격자지보.
KR1020190147639A 2019-11-18 2019-11-18 사변형 격자지보 KR102324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639A KR102324805B1 (ko) 2019-11-18 2019-11-18 사변형 격자지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639A KR102324805B1 (ko) 2019-11-18 2019-11-18 사변형 격자지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064A KR20210060064A (ko) 2021-05-26
KR102324805B1 true KR102324805B1 (ko) 2021-11-09

Family

ID=76137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7639A KR102324805B1 (ko) 2019-11-18 2019-11-18 사변형 격자지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4805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261B1 (ko) * 2017-02-13 2019-07-24 주식회사 스틸텍 간격유지 및 강성증대 구조의 스파이더가 적용된 사변형 격자지보
KR20180130291A (ko) * 2017-05-29 2018-12-07 (주)서동 지보재 위치 확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064A (ko) 202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8565B1 (ko) 강관삽입형 띠장 및 버팀보
KR101385028B1 (ko) 링 버팀대를 구비한 흙막이 구조물
KR101595702B1 (ko) 보강브릿지가 구비된 강판을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202063B1 (ko) 조립식 격자지보
KR100916546B1 (ko) 지중 가시설 및 이 시공방법
KR101531626B1 (ko) 피씨(Precast concrete) 합성슬래브용 전단 보강 부재
KR102324805B1 (ko) 사변형 격자지보
US20110052333A1 (en) Wire facing unit for retaining walls with strut attachment locator
KR101257106B1 (ko) 보강된 격자지보
KR102069419B1 (ko) 내부가 강관으로 보강된 복합말뚝
JP6018170B2 (ja) 土壌中の補強された構造物
KR102324806B1 (ko) 사변형 격자지보
KR101988528B1 (ko) 앵커를 이용한 자립식 말뚝 구조
KR102004303B1 (ko) 철판스트립 및 강관 구조체 거더
KR101528248B1 (ko) 사각 격자지보 및 이를 이용한 터널 굴착면의 보강 공법
KR102087101B1 (ko) T형상의 지보재를 이용한 터널 보강공법
KR102156874B1 (ko) 지중 비개착 터널굴착의 강합성콘크리트 상부하중을 하부로 전달하는 소형관 하부이동 방지 시공방법
CN109403343A (zh) 钢筋笼与钢管柱组合的深基坑支护施工方法
KR20210060063A (ko) 사변형 격자지보
KR20210076614A (ko) 사변형 격자지보
KR101598048B1 (ko) 고강도 격자지보
KR101653890B1 (ko) 터널 안정화를 위한 터널 각부보강 연결보의 시공 방법
US20110058904A1 (en) Stabilizing Reinforcement For Use In Reinforced Soil Works
KR20220135682A (ko) 엄지말뚝 시공용 강재 조립 파일
KR101866792B1 (ko) 흙막이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