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4689B1 - Cup for plants - Google Patents

Cup for pla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4689B1
KR102324689B1 KR1020180118459A KR20180118459A KR102324689B1 KR 102324689 B1 KR102324689 B1 KR 102324689B1 KR 1020180118459 A KR1020180118459 A KR 1020180118459A KR 20180118459 A KR20180118459 A KR 20180118459A KR 102324689 B1 KR102324689 B1 KR 102324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s
discharge pipe
water
water cup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84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38793A (en
Inventor
정채영
Original Assignee
정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채영 filed Critical 정채영
Priority to KR1020180118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4689B1/en
Publication of KR20200038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87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4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46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6Watering arrangements making use of perforated pipe-lines located in the soi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9/00Root feeders; Injecting fertilisers into the roo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2Improving land use; Improving water use or availability; Controlling eros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표면 밑에 심어져 있는 식물의 뿌리에 물이나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액체로 제작된 영양제, 비료 등을 직접 공급할 수 있는 식물용 물컵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식물용 물컵은 상면이 개구된 기둥형태로 형성되어 물을 수용하는 몸체, 몸체의 하방으로 관 형태로 형성되며 상단은 몸체에 연통되고 하단은 폐쇄되며 몸체의 중앙축에서 이격되어 형성되는 배출관 및 배출관의 둘레면에 적어도 하나이상 형성되어 식물뿌리로 물을 공급하는 배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식물용 물컵은 식물의 뿌리에 직접 수분이 공급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통해 적은 양의 물이라도 식물에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cup for plants that can directly supply nutrients, fertilizers, etc. made of water or a liquid necessary for plant growth to the roots of plants planted below the ground surface. At least one is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pipe and the discharge pipe formed in the form of a body that receives water, and is formed in a tube shape downward of the body, the upper end is communicated with the body, the lower end is closed,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body. It consists of an outlet for supplying water to the plant roots. The water cup for pla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ater can be supplied directly to the roots of plants, and through this, even a small amount of water can be effectively provided to plants.

Description

식물용 물컵 {Cup for plants}Water cup for plants {Cup for plants}

본 발명은 식물용 물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표면 밑에 심어져 있는 식물의 뿌리에 물이나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액체로 제작된 영양제, 비료 등을 직접 공급할 수 있는 식물용 물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cup for plants,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cup for plants that can directly supply water or a liquid necessary for plant growth to the roots of plants planted below the ground, such as nutrients, fertilizers, and the like.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에서 재배되는 농작물들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격리되지 않은 노지에서 생산되고 있으며, 노지에서 재배되는 식물은 기상조건의 영향에 의해 생산량이 크게 좌우된다. 노지에서 생산되는 식물이 정상적으로 자라기 위해서는 물, 비료, 영양제 등을 자주 공급해 주어야 한다. 특히 모종을 비닐하우스에서 키운 뒤 노지로 이식한 뒤에는 모종이 노지에 뿌리를 잘 내리도록 물을 많이 자주 공급해주어야 한다.In general, crops cultivated in Korea are produced in an open field that is not isolated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the production of plants grown in the open field is greatly influenced by weather conditions. In order for plants produced in the open field to grow normally, water, fertilizer, and nutrients must be supplied frequently. In particular, after the seedlings are grown in a plastic greenhouse and transplanted into the open field, a lot of water must be supplied frequently so that the seedlings can take root well in the open field.

최근에는 이상기후에 따른 고온의 날씨와 가뭄이 지속되면서 노지에서 재배되는 식물에 물이 제때 공급되지 않아 땅 속에 물호스를 매설하여 물을 공급해주거나, 스프링클러와 같이 지표면에 물을 공급해 주는 관수시설을 이용하고 있지만, 이와 같은 관수시설은 구매 및 설치비용이 매우 고가일 뿐만 아니라 급수에 사용되는 물의 낭비가 심해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Recently, as the high temperature weather and drought caused by abnormal climates continue, water is not supplied to the plants grown in the open field in a timely manner. However, such an irrigation facility ha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efficient because the purchase and installation cost is very high, and the waste of water used for water supply is severe.

또한, 스프링클러가 아닌 선행기술문헌 1과 같이 휴대가 가능한 육묘용 물통은 식물에 집중적으로 수분을 공급할 수는 있지만, 구멍이 너무 많이 뚫려있어서 물을 오랜 시간동안 천천히 수분을 공급할 수는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식물의 안정적인 생산 및 공급을 위해서는 이상기후에 따른 고온과 가뭄이 지속되더라도 적은양의 물로 식물에 집중적으로 수분의 적은양을 장시간동안 꾸준하게 공급할 수 있는 대응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In addition, as in the prior art document 1, which is not a sprinkler, a portable water container for seedlings can supply moisture to plants intensively, but there are too many holes, so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not supply water slowly for a long time. . Therefore, for the stable production and supply of plants, it is urgent to prepare countermeasures that can intensively supply small amounts of moisture to plants for a long time with a small amount of water even if high temperatures and droughts caused by abnormal climates continue.

또한, 선행기술문헌 1의 육묘용 물통은 뚜껑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종이컵처럼 대량을 겹쳐서 한 번에 많은 개수를 운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water tank for seedling of Prior Art Document 1 has a li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arge number cannot be transported at a time by overlapping a large amount like a paper cup.

1.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15-0011992 호 ("육묘용 물통", 2015.02.03.)1.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5-0011992 ("Water container for seedlings", 2015.02.03.)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의 뿌리에 수분이나 액체로 제작된 비료나 영양제등을 직접 제공할 수 있는 식물용 물컵을 제공함에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cup for plants that can directly provide fertilizers or nutrients made of moisture or liquid to the roots of plants. is in

또한, 가뭄이나 자연재해로 인하여 물이 부족한 경우에도 적은양의 물을 이용하여 식물에 충분한 수분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식물용 물컵을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water cup for plants that enables the supply of sufficient moisture to plants using a small amount of water even when water is insufficient due to drought or natural disaster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식물용 물컵은 식물이 심어진 위치 주변에 설치되어 식물의 뿌리에 물이나 액체를 공급하는 식물용 물컵에 있어서, 상면이 개구된 기둥형태로 형성되어 물을 수용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방으로 관 형태로 형성되며 상단은 상기 몸체에 연통되고 하단은 폐쇄되며 상기 몸체의 중앙축에서 이격되어 형성되는 배출관; 상기 배출관의 둘레면에 적어도 하나이상 형성되어 식물뿌리로 물을 공급하는 배출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ater cup for pla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water cup for plants that is installed around a planted position to supply water or liquid to the roots of plants, and is formed in a columnar shape with an open upper surface to provide water a body for accommodating; a discharge pipe formed in a tube shape downward of the body, the upper end communicating with the body, the lower end closed, and spaced apart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body; at least one outlet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let pipe to supply water to plant root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또한,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 하면의 면적이 상기 몸체 상면의 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area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is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또한, 상기 배출관은, 상기 배출관 하부의 면적이 상기 배출관 상부의 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scharge pipe, characterized in that the area of the lower portion of the discharge pipe is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upper portion of the discharge pipe.

또한, 상기 배출구는, 상기 식물의 뿌리가 분포된 영역과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utle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rea in which the roots of the plant are distributed.

또한, 상기 배출구는, 상기 배출관이 이격된 방향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scharge port,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pipe is formed in a spaced apart direction.

또한, 상기 배출관은, 상기 배출구에서부터 기둥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면배출관;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scharge pipe, the side discharge pipe extending from the outlet in the form of a colum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또한, 상기 배출관은, 상기 배출관의 하단과 상기 배출구의 사이에 형성되는 중간막;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scharge pipe, an intermediate film form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pipe and the outle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또한, 상기 배출관은, 2개가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scharge pip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are formed at positions symmetrical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식물용 물컵은, PE, 고무, 경량 금속 재질 중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lant water cup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f one of PE, rubber, and lightweight metal material.

본 발명에 의하면 식물의 뿌리에 직접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directly supplying moisture to the roots of plants.

또한, 가뭄이나 자연재해로 인해 식물에 충분한 수분공급이 어려울 때에도 본 발명을 이용하여 적은 양의 수분을 낭비하지 않고 식물에 직접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even when it is difficult to supply sufficient moisture to plants due to drought or natural disasters, there is an effect that a small amount of moisture can be directly provided to plants without wasting by using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은 여러 개를 겹쳐서 포장이 가능하므로 한 번에 대용량의 운송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transport a large amount at a time because it is possible to stack several of them.

도 1은 종래의 육묘용 물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식물용 물컵 제 1 설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식물용 물컵 제 2 설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식물용 물컵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식물용 물컵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식물용 물컵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식물용 물컵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식물용 물컵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식물용 물컵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식물용 물컵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식물용 물컵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식물용 물컵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water cup for seedlings;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installation of a water cup for pla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econd installation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ter cup for plants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cup for plants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ter cup for plants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ottom view of a water cup for plants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ter cup for plant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ter cup for plant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ter cup for plant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ter cup for plant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ter cup for plant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ter cup for plants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식물용 물컵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water cup for pl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식물용 물컵 제 1 설치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대체로 하나의 식물에 하나의 식물용 물컵(1000)의 사용이 가능하지만, 도시된 것처럼 하나의 나무에 복수개의 식물용 물컵(1000)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용 물컵(1000)을 이용하여 식물에 물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액체 비료나 영양제의 공급이 가능하다.Figure 2 shows a first installation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cup for pla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generally possible to use one plant water cup 1000 for one plant, but as shown, a plurality of plant water cups 1000 for one tree is possible. In addition, by using the water cup 1000 for pla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water the plants as well as supply liquid fertilizers or nutrients.

도 3은 본 발명의 식물용 물컵 제 2 설치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식물용 물컵(1000)을 식물근처에 설치한 모습을 도시한다. 식물용 물컵(1000)은 몸체(100), 배출관(200), 배출구(210)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배출관(200)은 몸체(100)의 중앙에서 이격되어 형성되고, 배출관(200)이 몸체(100)로부터 이격된 쪽에 식물이 심어져 있다. 몸체(100)의 중앙에 배출관(200)이 형성되어 있다면 식물의 뿌리 바로 옆에 배출관(200)이 위치하지 않으므로 배출관(200)과 식물의 뿌리의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작은 채소나 식물의 뿌리에 물이 도달하기 어려우므로 배출관(2000은 몸체(100)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작업자가 몸체(100)에 물을 용이하게 줄 수 있다. 또한, 배출구(210)는 식물의 뿌리가 분포된 영역과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배출구(210)로부터 배출된 수분이 뿌리쪽으로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Figure 3 shows a second installation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ter cup for pla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ws a state that the water cup 1000 for pl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near the plant. The plant water cup 1000 is formed to include a body 100, a discharge pipe 200, and an outlet 210, and the discharge pipe 200 is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body 100, and the discharge pipe 200 is the body ( 100) and plants are planted on the side away from it. If the discharge pipe 200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ody 100, since the discharge pipe 200 is not located right next to the root of the plant, the distance between the discharge pipe 200 and the root of the plant is increased. Therefore, since it is difficult for water to reach the roots of small vegetables or plants, the discharge pipe 2000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dy 100 so that the worker can easily give water to the body 100. In addition, the outlet 210 is It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rea where the roots of the plant are distributed, so that moisture discharged from the outlet 210 can be smoothly supplied to the roots,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도 4는 본 발명의 식물용 물컵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식물용 물컵(1000)은 몸체(100), 배출관(200), 배출구(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100)는 상면(110)이 개구된 기둥형태로 형성되어 물을 수용할 수 있으며, 배출관(200)은 몸체(100)의 하방으로 관 형태로 형성되며 상단은 몸체(100)에 연통되고 하단(220)은 폐쇄되며 몸체(100)의 중앙축에서 이격되어 형성된다. 배출구(210)는 배출관(200)의 둘레면에 적어도 하나이상 형성되어 식물뿌리로 물을 공급한다.4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cup for pla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cup 1000 for pla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body 100 , a discharge pipe 200 , and an outlet 210 . The body 100 is formed in a column shape with an open upper surface 110 to accommodate water, and the discharge pipe 200 is formed in a tube shape downward of the body 100, and the upper end communicates with the body 100 and The lower end 220 is closed and formed spaced apart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body 100 . At least one outlet 210 is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let pipe 200 to supply water to the plant roots.

본 발명에 의한 식물용 물컵(1000)은작은 채소나 화분의 화초의 경우 하나의 식물 당 하나의 식물용 물컵(1000)이 사용이 가능하므로 작은 밭이나 토지에서도 많은 개수의 식물용 물컵(1000)이 필요하다. 또한, 가로수나 정원수 같은 큰 나무들은 한 개의 나무에 여러개의 식물용 물컵(1000)의 설치가 필요하므로 식물용 물컵(1000)은 운반 및 설치가 쉬워야한다. 본 발명의 몸체(100)는 몸체(100) 하면(120)의 면적이 몸체(100) 상면(110)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며, 배출관(200) 또한 배출관(200) 하단(220)의 면적이 배출관(200) 상단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되어 본 발명을 포장하여 운송할 때, 여러 개 겹쳐서 포장이 가능하므로 한 번에 대용량의 운송이 가능하여 운송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농사짓는 사람들은 노년층이 주를 이루므로 물컵(1000)은 무게가 가벼운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식물용 물컵(1000)은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지만, 가볍고 설치하기 쉬우며 운송이 간편하고 깨지지 않는 PE, 고무, 경량 금속 재질 중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water cup 1000 for pl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mall vegetable or potted plant, since one water cup 1000 per plant can be used, so a large number of water cups for plants in a small field or land (1000) I need this. In addition, since large trees such as street trees or garden trees require installation of several plant water cups 1000 on one tree, the plant water cups 1000 should be easy to transport and install. In the bod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ea of the lower surface 120 of the body 100 is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upper surface 110 of the body 100, and the area of the discharge pipe 200 and the lower end 220 of the discharge pipe 200 is It is formed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pipe 200, so that when packing and transporting the present invention, several overlapping packaging is possible, so that a large amount of transport is possible at a time, thereby reducing transport costs. In addition, since older people are mainly farmers, it is preferable that the water cup 1000 is light in weight. Therefore, the water cup 1000 for plants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but is preferably formed of one of PE, rubber, and lightweight metal materials that are light, easy to install, easy to transport, and do not break.

도 5는 본 발명의 식물용 물컵 단면도를 도시한다. 배출관(200)은 몸체(100)의 중심에서 일정간격(d1)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선행기술처럼 물컵(1000) 몸체(100)의 중앙에 배출관(200)이 형성된 경우, 식물의 뿌리와 거리가 본 발명에 비해 상대적으로 멀어 물을 직접적으로 주려면 중앙에 형성된 배출관(200)을 식물의 뿌리쪽에 더욱 가깝도록 기울여서 설치해야 한다. 이 경우에는 배출관(200) 위에 형성되어 있는 몸체(100)도 기울여져서 설치되므로 몸체(100)가 수용할 수 있는 수분의 양이 몸체(100)가 기울어지지 않았을 때의 양보다 줄어들게 되고, 설치도 안정적으로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안정적으로 식물용 물컵(1000)이 설치되지 않으므로 식물용 물컵(1000)이 바람에 날아갈 수도 잇고 미관상 안정감을 주지 못한는 문제점도 있따.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물컵(1000)의 배출관(200)은 몸체(100)의 중심에서 일정간격(d1) 이격되도록 형성되므로 물컵(1000)을 기울여서 설치하지 않아도 식물의 뿌리에 가깝게 설치할 수 있어서 안정적으로 설치가 된 상태에서 식물의 뿌리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5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ter cup for pla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pipe 200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body 10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d1). When the discharge pipe 200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water cup 1000 body 100 as in the prior art, the distance from the root of the plant is relatively far compar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order to give water directly, the discharge pipe 200 formed in the center of the plant It should be installed at an angle closer to the root. In this case, since the body 100 formed on the discharge pipe 200 is also installed inclinedly, the amount of moisture that the body 100 can accommodate is reduced than the amount when the body 100 is not inclined, and the installation is also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stable. In addition, since the water cup 1000 for plants is not stably installed, the water cup 1000 for plants may be blown away by the wind and there is also a problem in that it does not give aesthetic stability. Therefore, the discharge pipe 200 of the water cup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body 10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d1), so that it can be installed close to the root of the plant without tilting the water cup 1000, so that it can be installed stably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upply moisture to the roots of plants in the installed state.

또한, 식물이 성장하여 뿌리가 옆으로 뻗어나간다면 배출관(200)의 방향을 식물의 중심뿌리와 멀어지고 뻗어나간 뿌리와 가까운 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식물용 물컵(1000)은 설치 및 제거가 간편하므로 장마철에는 제거할 수도 있다.Also, if the plant grows and the root extends laterally,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pipe 200 may be install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ral root of the plant and close to the extended root. In addition, since the water cup 1000 for plants is easy to install and remove, it may be removed during the rainy season.

더 나아가 물컵(1000)의 배출관(200)은 몸체(100)와 직교하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배출관(200)은 몸체(100)와 직교하지 않고 각도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즉, 식물의 뿌리를 향하여 배출관(200)이 각도를 가지고 형성될 수도 있다. 배출관(200)이 식물의 뿌리를 향하여 각도를 가지고 형성될 경우 식물의 뿌리에 더욱 근접하게 직접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지만, 잘못 설치했을 경우에는 식물의 뿌리가 다칠수도 있는 위험이 있다. 그러므로 물컵(1000)이 몸체(100)와 직교하는 배수관의 형태일 때보다 배수관이 각도를 가지고 형성됐을 때 좀 더 주의를 기울여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배출관(200)이 이격되어 있는 방향에 식물이 위치하도록 물컵(1000)을 설치하는 방법이나 배출관(200)이 각도를 가지고 있는 방향에 식물이 위치하도록 물컵(1000)을 설치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설치방법이다.Furthermore, although the discharge pipe 200 of the water cup 1000 is shown to be orthogonal to the body 100 , the discharge pipe 200 may be formed at an angle rather than orthogonal to the body 100 . That is, the discharge pipe 200 may be formed at an angle toward the root of the plant. When the discharge pipe 200 is formed at an angle toward the root of the pla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moisture can be supplied more closely to the root of the plant, but if installed incorrectly, there is a risk that the root of the plant may be injur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install the water cup 1000 with more care when the drain pipe is formed at an angle than when the water cup 1000 is in the form of a drain pipe orthogonal to the body 100 . That is, the method of installing the water cup 1000 so that the plants are loc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scharge pipe 200 is spaced apart or the method of installing the water cup 1000 so that the plants are located in the direction where the discharge pipe 200 has an angle is this It is an installation method that can maximize the effect of the invention.

식물용 물컵(1000)의 배출구(210)는 배출구(210)를 통하여 물이 배수됐을 때, 바로 식물의 뿌리에 줄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러므로 물컵(1000)의 배출구(210)는 배출관(200)이 이격된 방향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식물뿌리의 종류에 따라서 배출구(210)는 배출관(200)이 이격된 방향이 아닌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배출관(200)의 상단이 아닌 다양한 위치에도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종을 밭에 이식하는 경우에는 뿌리가 아직 토지에 뿌리를 내리지 않아 지표면에 가까이 있으므로 배출구(210)는 배출관(200)의 상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d2<d3). 또한, 식물의 뿌리가 지표면을 따라 옆으로 펴지는 경우여도 배출구(210)는 배출관(200)의 상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d2<d3). 반면, 식물의 뿌리가 지표면에 수직으로 자라나는 경우에 배출구(210)는 위치에 관계없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The outlet 210 of the water cup 1000 for a plant is formed so that when water is drained through the outlet 210, it can be immediately given to the root of the plant. Therefore, the outlet 210 of the water cup 1000 is preferably form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scharge pipe 200 is spaced apart, but the outlet 210 is formed in a position other tha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scharge pipe 200 is spaced apart depending on the type of plant root. may be,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positions ot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pipe 200 . For example, when a seedling is transplanted into a field,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charge port 210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pipe 200 because the root is close to the ground surface because the root has not yet taken root in the land (d2 < d3).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let 210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outlet pipe 200 even when the root of the plant is spread laterally along the ground surface (d2 < d3). On the other hand, when the root of a plant grows perpendicular to the ground surface, the outlet 210 may be formed regardless of a location, or a plurality of outlets may be formed.

도 6는 본 발명의 식물용 물컵 저면도를 도시한다. 배출관(200)은 몸체(100)의 중심에서 일정간격(d1)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는 앞서 언급했듯이 배출관(200)이 식물의 뿌리 방향으로 치우쳐서 구비되므로 식물의 뿌리에 물을 좀 더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위함이다. 배출관(200) 외면의 일부는 몸체(100) 외면의 일부와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 될 수 있다. 즉, 배출관(200)이 몸체(100)의 지름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수분의 배수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몸체(100)의 하면(120)이 수평을 이루지 않고 배수관이 형성된 쪽이 침하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도면상에 몸체(100)의 하면(120)은 지표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밭의 골을 따라서 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한쪽 방향이 침하하게도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도면상에는 물컵(1000)의 몸체(100)는 하면(120)이 평평한 원기둥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몸체(100)는 필요에 따라 원뿔대, 사각기둥 등의 형상 및 바닥이 침하한 기둥형상, 바닥면이 곡면인 기둥형상 등으로 다양하게 변경실시 될 수 있으며 수분을 담을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느 형상이던지 가능하다.6 shows a bottom view of a water cup for pla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pipe 200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body 10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d1). This is to more efficiently supply water to the root of the plant because the discharge pipe 200 is provided to be biased toward the root of the plant, as mentioned above.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discharge pipe 200 may be formed to be positioned in a straight line with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00 . That is, the discharge pipe 200 may be formed in a diameter portion of the body 100 . At this time, in order to facilitate drainage of moisture, the lower surface 120 of the body 10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side on which the drain pipe is formed sinks instead of being horizontal. That is, in the drawing, the lower surface 120 of the body 100 is formed to be parallel to the ground surface, but may be formed in a curved surface along the valley of the field or may be formed to be depressed in one direction. That is, in the drawing, the body 100 of the water cup 1000 is shown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 flat lower surface 12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can be variously changed to a column shape with a submerged bottom, a column shape with a curved bottom surface, and the like, and any shape is possible as long as it can contain moisture.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식물용 물컵 단면도를 도시한다. 앞서언급했듯이 본 발명에 의한 물컵(1000)은 플라스틱이나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배출관(200)의 길이가 짧은 식물용 물컵을 밭에 설치해 놓으면 태풍이나 야생동물에 의해 뽑힐 가능성이 많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식물용 물컵(1000)은 배출관(200)의 길이를 길게 하여 태풍이나 야생동물에 의해 뽑히지 않도록 한다. 하지만 배출관(200)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면 물컵(1000)의 몸체(100)에 물을 공급했을 때, 배출구(210) 하단(220)이 막혀있고, 물은 배출구(210)로만 배수되므로 배출구(210)가 형성된 위치에서부터 배출관(200)의 하단(220)까지의 배출관(200)에는 물이 고여 있는 현상이 발생한다. 그래서 본 발명에 따른 식물용 물컵(1000)은 배출관(200)의 길이를 줄이지 않고, 배출관(200)의 하단(220)과 배출구(210)의 사이에 형성되는 중간막(230)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중간막(230)과 배출구(210) 하단(220)사이의 공간을 지지공간(231)이라고 한다. 지지공간(231)이 형성됨으로서 배출관(200)의 길이를 줄이지 않고도 물이 배출관(200)의 하단(220)에 물이 고이는 형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식물용 물컵(1000)이 태풍이나 강풍에 의해 날아갈 확률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중간막(230)을 형성하면 물이 고이지 않아서 적은 양의 물이라도 낭비없이 식물에게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지지공간(231)에 무게추나 돌을 담아 더욱 단단하게 식물용 물컵(1000)을 고정 및 설치할 수도 있으며 식물의 원활한 성장을 위해 지지공간(231)에 고체영양제를 넣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고체영양제가 용해되어 점진적으로 영양분을 공급할 수도 있다.7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ter cup for plant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mentioned above, since the water cup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f plastic or rubber material, if a plant water cup having a short length of the discharge pipe 200 is installed in the field, it is highly likely to be pulled out by typhoons or wild animals. Therefore, the water cup 1000 for pla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discharge pipe 200 from being pulled out by a typhoon or wild animals by elongating the length. However, if the length of the discharge pipe 200 is long,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body 100 of the water cup 1000, the discharge port 210, the lower end 220 is blocked, and the water is drained only through the discharge port 210, so the discharge port ( A phenomenon in which water accumulates in the discharge pipe 200 from the position where the 210 is formed to the lower end 220 of the discharge pipe 200 occurs. So, the water cup 1000 for pl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duce the length of the discharge pipe 200, and further includes an interlayer 230 formed between the lower end 220 of the discharge pipe 200 and the discharge port 210. can be A space between the interlayer film 230 and the lower end 220 of the outlet 210 is referred to as a support space 231 . Since the support space 231 is form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ater from accumulating in the lower end 220 of the discharge pipe 200 without reducing the length of the discharge pipe 200, and the water cup 1000 for pla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yphoon or a typhoon. It can reduce the probability of being blown away by strong winds. In addition, when the interlayer film 230 is formed, water does not accumulate, so that even a small amount of water can be supplied to plants without waste. If necessary, the water cup 1000 for plants can be fixed and installed more firmly by putting weights or stones in the support space 231, and solid nutrients are put into the support space 231 for smooth plant growth over time. Accordingly, solid nutrients can be dissolved and nutrients can be supplied gradually.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식물용 물컵 단면도를 도시한다. 몸체(100)의 하면(120)과 나란하게 배출구가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다. 이는 본 발명을 제작할 때 드릴을 이용하여 한쪽에만 배출구(210)를 형성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제작의 편의를 위하여 양쪽에 배출구(210)가 형성되도록 제작할 수도 있다. 배출구(210)가 몸체(100)의 하면(120)에 나란한 방향으로 2개가 형성되어 있으면 두 개의 배출구(210)는 수압차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두 개의 배출구(210)는 지름의 크기를 동일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8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ter cup for plant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ws that a plurality of outlets are formed in parallel with the lower surface 120 of the body 100 . Since it is difficult to form the outlet 210 only on one side using a drill when manufacturing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manufactured so that the outlet 210 is formed on both sides for convenience of manufacture. If two outlets 210 are formed in parallel to the lower surface 120 of the body 100, the two outlets 210 do not generate a hydraulic pressure difference, so the two outlets 210 have the same diameter. may be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식물용 물컵 단면도를 도시한다. 제 3 실시예는 배출구(210)가 몸체(100)의 하면(120)과 수직방향으로 일렬로 2개 형성되어 있다. 배출구(210)가 몸체(100)의 하면(120)과 수직방향으로 일렬로 2개 형성된 경우에는 하단에 형성된 배출구(210)가 수압이 더 세므로 하단에 형성된 배출구(210)에서 상단에 형성된 배출구(210)보다 물이 더 세게 나올 수 있다. 그러므로 상측에 위치한 배출구(210)와 하측에 위치한 배출구(210)에서 균일한 수압으로 물이 배수되기 위해서는 두 개의 배출구(210)의 지름을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만약 수압에 영향을 많이 받지 않는 식물이라면 두 개의 구멍이 동일한 지름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배출구(210)의 지름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출구(210)가 몸체(100)의 하면(120)과 수직방향으로 일렬로 2개 이상 형성된 경우에 중간막(230)은 가장 하단에 형성된 배출구(210)보다 하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9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ter cup for plant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hird embodiment, two outlets 210 are formed in a line perpendicular to the lower surface 120 of the body 100 . When two outlets 210 are formed in a line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the lower surface 120 of the body 100, the outlet 210 formed at the lower end has higher water pressure, so the outlet formed at the upper end from the outlet 210 formed at the lower end Water can come out harder than (210). Therefore, in order to drain water with a uniform water pressure from the outlet 210 located at the upper side and the outlet port 210 located at the lower side, the two outlets 210 may have different diameters. If the plant is not very affected by water pressure, two holes may be formed with the same diameter. That is, the diameter of the outlet 210 may be variously formed as needed. In addition, when two or more outlets 210 are formed in a line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the lower surface 120 of the body 100 , the intermediate film 230 is preferably formed below the outlet 210 formed at the lowest end.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식물용 물컵 단면도를 도시하며,도 1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식물용 물컵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0과 도 11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식물용 물컵(1000)은 측면배출관(21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측면배출관(211)은 배출구(210)에서부터 기둥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측면배출관(211)이 형성되면 식물의 뿌리에 더욱 가까이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ter cup for plant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ter cup for plant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10 and 11 , the water cup 1000 for plants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side discharge pipe 211 . The side discharge pipe 211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discharge port 210 in the form of a column. When the side discharge pipe 211 is form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moisture can be supplied closer to the root of the plant.

도 12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식물용 물컵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6 실시예의 배출관(200)은 2개가 서로 몸체(100)의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 6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식물용 물컵(1000)은 배출관(200) 2개가 몸체(100)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배출구(210) 또한 몸체(100)를 중심으로 2개가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것처럼 배출관(200)이나 배출구(210)는 대응되게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식물뿌리의 형태나 식물이 심어진 배치방법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실시 될 수 있다. 제 6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식물을 양쪽에 두고 가운데에 하나만 설치하면 양쪽에 있는 식물의 뿌리에 직접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므로 식물이 심어진 간격이 좁을 때에 제 6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식물 2개당 하나의 물컵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식물의 심어진 간격이 좁을 때 사용할 수 있다.12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ter cup for plants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wo discharge pipes 200 of the sixth embodiment may be formed at positions symmetrical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ody 100 . In the water cup 1000 for pla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two discharge pipes 200 are formed at symmetrical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body 100, and the discharge port 210 is also 2 centered on the body 100. The dog is formed in a symmetrical position. As shown, the discharge pipe 200 or the discharge port 210 do not have to be formed correspondingly, and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plant root or the arrangement method in which the plant is planted.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has the advantage that water can be directly supplied to the roots of the plants on both sides by placing the plants on both sides and installing only one in the middl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can be used when the planting interval of plants is narrow because one water cup can be used per two plants when the spacing between plants is narrow.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application is varied, and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1000 : 식물용 물컵
100 : 몸체
110 : 몸체의 상면 120 : 몸체의 하면
200 : 배출관
210 : 배출구 211 : 측면배출관
220 : 배출관 하단 230 : 중간막
231 : 지지공간
1000: water cup for plants
100: body
110: upper surface of the body 120: lower surface of the body
200: discharge pipe
210: outlet 211: side outlet pipe
220: lower discharge pipe 230: intermediate film
231: support space

Claims (9)

식물이 심어진 위치 주변에 설치되어 식물의 뿌리에 물이나 액체를 공급하는 식물용 물컵에 있어서,
상면이 개구된 기둥형태로 형성되어 물을 수용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방으로 관 형태로 형성되며 상단은 상기 몸체에 연통되고 하단은 폐쇄되며 상기 몸체의 중앙축에서 이격되어 형성되는 배출관; 및
상기 배출관의 둘레면에 적어도 하나이상 형성되어 식물뿌리로 물을 공급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 하면의 면적이 상기 몸체 상면의 면적보다 작고,
상기 배출관 하부의 면적이 상기 배출관 상부의 면적보다 작으며,
상기 식물용 물컵 각각이 상하 방향으로 서로 겹쳐져 보관되도록 상기 몸체와 상기 배출관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소정 비율로 폭이 증가하며,
상기 몸체의 측면의 내부면 및 외부면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배출관의 측면의 내부면 및 외부면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배출관의 하단과 상기 배출구의 사이에 중간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중간막과 상기 배출구의 하단 사이의 공간에 지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는 몸체의 하면에 수직 방향으로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고,
상측에 위치한 상기 배출구의 지름이 하측에 위치한 상기 배출구의 지름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용 물컵.
In a water cup for plants installed around a planted location to supply water or liquid to the roots of plants,
The upper surface is formed in the form of an open column body for accommodating water;
a discharge pipe formed in the form of a tube downwardly of the body, the upper end communicating with the body, the lower end being closed, and spaced apart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body; and
At least one outlet is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pipe to supply water to the plant roots; includes,
The area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is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The area of the lower part of the discharge pipe is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upper part of the discharge pipe,
The width of the body and the discharge pipe increases at a predetermined ratio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so that each of the water cups for plants is stored overlapping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are formed parallel to each other,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of the discharge pipe are formed parallel to each other,
Further comprising an intermediate film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pipe and the outlet,
A support space is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intermediate membrane and the lower end of the outlet,
Two or more outlets may b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Water cup for pla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of the outlet located on the upper side is different from the diameter of the outlet located on the lower sid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식물의 뿌리가 분포된 영역과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용 물컵.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let,
Water cup for plant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rea where the roots of the plant are distribu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배출관이 이격된 방향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용 물컵.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let,
Water cup for pla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pipe is formed in a spaced apart dir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은,
상기 배출구에서부터 기둥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면배출관;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용 물컵.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charge pipe,
a side discharge pipe extending from the outlet in a columnar shape; Water cup for plant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은,
2개가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용 물컵.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charge pipe,
Two water cups for plants,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formed at positions symmetrical to each oth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용 물컵은,
PE, 고무, 경량 금속 재질 중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용 물컵.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ant water cup,
A water cup for plant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f one of PE, rubber, and lightweight metal materials.
KR1020180118459A 2018-10-04 2018-10-04 Cup for plants KR1023246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459A KR102324689B1 (en) 2018-10-04 2018-10-04 Cup for pla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459A KR102324689B1 (en) 2018-10-04 2018-10-04 Cup for pla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793A KR20200038793A (en) 2020-04-14
KR102324689B1 true KR102324689B1 (en) 2021-11-10

Family

ID=70291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8459A KR102324689B1 (en) 2018-10-04 2018-10-04 Cup for pla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4689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324Y1 (en) * 2009-05-29 2011-06-28 한경수 Water and nutrient supply apparatus for street tree
KR20150011992A (en) 2013-07-24 2015-02-03 한세희 Water bottle for raising seedlings
KR20170072469A (en) * 2015-12-17 2017-06-2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Simple water supply device for cultivation of outdoor veget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793A (en) 2020-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80184C (en) A tube for plant cultivation preventing root twist
US10477781B2 (en) Plant tray
US10231387B2 (en) Plant tray
US9468154B2 (en) Tower planter growth arrangement and method
US9661810B2 (en) Demand driven self-watering planter
US6453607B1 (en) Root-level plant watering and feeding device
US20100319251A1 (en) Fallow-free aerobic garden
US11483983B2 (en) Weed barrier and method of use
US9265201B2 (en) Plant tray
US20160227712A1 (en) Pyramidal Nursery Pot
JP2006197871A (en) Cultivation method using bagged culture medium and bagged culture medium
WO2009007414A1 (en) Device for soilless culture of plants and mushrooms
KR102324689B1 (en) Cup for plants
EP3338536A1 (en) Planting system and method for transplanting a plant
KR20180137538A (en) Gardening equipment
US10624281B2 (en) Drip irrigation device for flower pot
US11006591B2 (en) Durable and modular self-watering system for growing plants
KR20140004927U (en) Plants Cultivation Vessel
KR102169932B1 (en) Pot assembly for cultivating or growing crops
EP3158860B1 (en) Plant tray
KR20220012454A (en) the plant cultivation management facility creating the whole weather growth environment of the outdoor induced to the residual moisture of strata
GB2544077A (en) Irrigation device
US20200045893A1 (en) Plant nursery and storage system for use in the growth of field-ready plants
KR200477085Y1 (en) Container for tree or vegetable
GB2483214A (en) Stackable cloche with removable l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