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4418B1 - 수중생물 측정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수중생물 측정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4418B1
KR102324418B1 KR1020200056139A KR20200056139A KR102324418B1 KR 102324418 B1 KR102324418 B1 KR 102324418B1 KR 1020200056139 A KR1020200056139 A KR 1020200056139A KR 20200056139 A KR20200056139 A KR 20200056139A KR 102324418 B1 KR102324418 B1 KR 102324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object
tracking
lidar sensor
tracking informat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6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석원
김성태
권경안
이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크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크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크로스
Priority to KR1020200056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4418B1/ko
Priority to PCT/KR2020/006673 priority patent/WO202123040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4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4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88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7/89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apping or imag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1N2015/0065
    • G01N2015/1081
    • G01N2015/1087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021/1765Method using an image detector and processing of image sign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81Training; Lear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생물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샘플수가 수용되는 챔버; 챔버의 일측면을 통해 샘플수 내의 이동개체의 위치를 측정하는 라이다 센서; 및 라이다 센서를 통해 연속적으로 측정된 이동개체의 위치를 기반으로 이동개체를 분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제어부는, 생물 및 무생물로 분류된 이동개체의 이동경로를 추적하여 생성되는 제1트래킹(tracking) 정보를 각각 입력받아 기계학습을 통해 생성된 모델데이터(model data)를 이용하고, 라이다 센서에서 검출된 이동개체를 추적하여 제2트래킹 정보를 생성하고, 모델데이터와 제2트래킹 정보를 비교하여 이동개체가 살아있는 생물 또는 무생물인지를 판단한다.

Description

수중생물 측정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microorganism}
본 발명은 수중생물 측정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에 적용가능하도록 선박평형수 내의 동물성 플랑크톤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수중생물 측정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평형수 또는 밸러스트수(Ballast Water)는 선박으로부터 화물을 하역시킨 상태 또는 선박에 적재된 화물량이 매우 적은 상태에서 선박을 운행할 경우, 선박이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선박에 설치된 밸러스트 탱크에 채우는 해수를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선박평형수에는 각종 수중생물이 서식하고 있으므로, 이를 아무런 처리없이 타지역에서 배출시킬 경우 심각한 해양오염 및 생태계 파괴를 유발시킬 우려가 높게 된다.
이에 따라 국제해사기구(IMO: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에서는 국제협약을 체결하여 선박평형수의 살균 및 정화처리에 필요한 장치를 선박에 탑재토록 하였다.
선박에 탑재된 선박평형수 처리장치는, 국제해사기구(IMO)의 기준에 맞추어 육상시험 및 선상시험을 거쳐 인증서를 받은 다음 운항하여야 하기 때문에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에 의하여 처리된 평형수가 국제해사기구에서 규정한 배출기준에 적합한 것인지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의 배출기준 만족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수중생물의 생사판별 측정이나 동물성 플랑크톤을 분석할 때, 영상분석 장치의 화면에 표시된 물체의 움직임(Mobility)만으로 판단하였기 때문에 선박과 같이 진동이나 흔들림(rolling)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환경하에서는 동물성 플랑크톤의 움직임과 생물이 아닌 물체(예를 들면, 부유물)의 움직임이 구분되기 어려워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살아있는 동물성 플랑크톤의 개체수를 사람이 직접 계수하여야 하기 때문에 인적 오류(Human error)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3139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선박평형수 내의 동물성 플랑크톤을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수중생물 측정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일관점에 따른 수중생물 측정장치는, 샘플수가 수용되는 챔버; 챔버의 일측면을 통해 샘플수 내의 이동개체의 위치를 측정하는 라이다 센서; 및 라이다 센서를 통해 연속적으로 측정된 이동개체의 위치를 기반으로 이동개체를 분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제어부는, 생물 및 무생물로 분류된 이동개체의 이동경로를 추적하여 생성되는 제1트래킹(tracking) 정보를 각각 입력받아 기계학습을 통해 생성된 모델데이터(model data)를 이용하고, 라이다 센서에서 검출된 이동개체를 추적하여 제2트래킹 정보를 생성하고, 모델데이터와 제2트래킹 정보를 비교하여 이동개체가 살아있는 생물 또는 무생물인지를 판단한다.
일실시예로서, 제1 또는 제2트래킹 정보는, 소정시간 간격으로 이동개체를 연속적으로 추적하여 각각의 위치를 선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생성되는 트래킹 이미지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1 또는 제2트래킹 정보는, 소정시간 간격으로 이동개체를 연속적으로 추적하여 각각의 위치를 좌표로 표시한 도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검출된 이동개체의 가로 및 세로의 화소수와 화소당 실제 크기를 근거로 이동개체의 크기로 환산하고, 소정 크기 이상의 이동개체만을 추적하여 제2트래킹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제2트래킹 정보를 생성하는 이동개체의 크기는 10㎛ 이상 50㎛ 이하 또는 50㎛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소정 거리내의 군집 화소는 하나의 이동개체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트래킹 정보는, 이동경로가 추적된 이동개체가 구분되도록 생물 또는 무생물이 라벨링(labeling)되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챔버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육면체로 구성되고, 라이다 센서와 대향되는 면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거나 개방될 수 있다.
여기서, 챔버의 재질은, 라이다 센서와 대향되는 면을 제외한 불투명한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라이다 센서는, 레이저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이동개체로부터 반사되는 레이저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되, 송신부의 출력 파장은 400nm에서 1500n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이동개체의 위치는, X축 좌표, Y축 좌표, 거리를 근거로 한 3차원 좌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수중생물 측정방법은, 생물 및 무생물로 분류된 이동개체의 이동경로를 추적하여 생성되는 제1트래킹 정보를 각각 입력받아 기계학습을 통해 모델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라이다 센서로 챔버 내의 샘플수에 포함된 이동개체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 라이다 센서에서 검출된 이동개체를 추적하여 제2트래킹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모델데이터와 제2트래킹 정보를 비교하여 이동개체가 살아있는 생물 또는 무생물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라이다 센서로 샘플수 내의 이동개체의 위치를 추적하여 3차원 이동좌표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샘플수 내의 부유물과 살아있는 수중생물을 보다 정확하게 구분하도록 함으로써 진동이나 흔들림이 발생되는 선박 환경하에서 정밀도 높은 생사판별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계학습을 통해 생성된 모델데이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살아있는 동물성 플랑크톤을 판단하여 인적 오류를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동물성 플랑크톤으로 판단된 이동개체의 크기를 50㎛를 기준으로 자동으로 계수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에 의해 처리된 선박평형수가 IMO의 배출기준에 만족하는 지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중생물 측정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중생물 측정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중생물 측정방법에서 라이다 센서로 챔버 내의 샘플수에 포함된 이동개체의 위치를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중생물 측정방법에서 검출된 이동개체(살아있는 생물)를 트래킹하여 생성된 트래킹 정보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중생물 측정방법에서 검출된 이동개체(부유물)를 트래킹하여 생성된 트래킹 정보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와 "기", "모듈"과 "부", "유닛"과 "부", "장치"와 "시스템" 등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 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중생물 측정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생물 측정장치(100)는, 다양한 종류의 수중생물(140)이 포함된 샘플수(130)가 수용되는 챔버(110)와, 챔버(110) 내의 샘플수(130)에 빛을 조사하여 수중생물(140)의 위치를 측정하는 라이다 센서(120)와, 라이다 센서(120)에서 측정된 수중생물(140)의 위치를 기반으로 수중생물(140)을 분석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챔버(110) 내의 샘플수(130)는, 샘플수(130) 내에 포함된 수중생물(140)을 분석할 필요가 있는 다양한 분야에서 샘플링될 수 있다.
일례로, 선박평형수는 밸러스팅(ballasting)시에 전기분해 또는 화학약품 투입 등 다양한 방식으로 처리된 다음, 밸러스트 탱크로 유입되어 저장되었다가 디밸러스팅(deballasting)시 배출배관을 통해 선박 밖으로 배출되는데, 배출되는 선박평형수는 국제해사기구에서 규정한 배출기준에 적합한 것인지를 판단하여야 하기 때문에, 배출되는 선박평형수를 샘플링하여 선박평형수 내에 존재하는 수중생물의 종류, 생사판별 등의 분석작업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분야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일예로, 정수장에서 살균처리된 정수를 샘플링하여 본 발명의 수중생물 측정장치(100)를 통해 분석할 수도 있다.
챔버(110)는, 측정할 샘플수(140)가 수용되어 측정시간 동안 계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일실시예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육면체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챔버(110)의 라이다 센서(120)와 대향되는 면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거나 개방되게 구성됨으로써 라이다 센서(120)에서 출력되는 빛(레이저)이 챔버(110) 내부의 샘플수(140)로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챔버(110)의 재질은, 라이다 센서(120)에서 출력된 빛이 통과되도록 투명하거나 개방되는 라이다 센서(120)와 대향되는 면을 제외하고는, 라이다 센서(120)에서 출력된 빛을 반사시킬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불투명한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빛을 반사시킬 수 있는 소재로 챔버(110)가 구성될 경우, 라이다 센서(120)에서 출력된 빛이 반사되면서 챔버(110) 내부의 각 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게 되고, 측정된 상기 거리를 기준으로 하여 챔버(110)에 수용된 샘플수(130) 내의 수중생물(140)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챔버(110)는 유입부(미도시) 및 유출부(미도시)를 구비하지 않는 그릇 등의 형태로 구성되어 실험자가 수작업으로 물을 담아서 사용할 수도 있지만, 샘플링 포트(미도시)와 연결된 농축장치(미도시)에 의해 농축된 샘플수가 자동으로 유입 및 유출되도록 유입부(미도시) 및 유출부(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
라이다(Light Detection And Ranging, LiDAR) 센서(120)는, 챔버(110)의 일측면을 통해 빛(레이저)를 주사하여 샘플수(130) 내의 이동개체의 위치를 측정하는 장치로서, 레이저를 송신하는 송신부(미도시)와, 이동개체로부터 반사되는 레이저를 수신하는 수신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라이다 센서(120)는 챔버(110)의 샘플수 내에 포함된 수중생물을 측정하도록 챔버(110)의 상측, 하측 방향, 또는 측면 방향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라이다 센서(120)는 송신부(미도시)에서 출력된 레이저가 이동개체(일례로 수중생물(140))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시간을 측정하여 이동개체의 위치 좌표를 측정하게 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챔버(110)에서는, 라이다 센서(120)와 대향되는 면은 빛이 통과되도록 투명하거나 개방되고, 나머지 면은 불투명한 플라스틱 또는 금속 등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라이다 센서(120)에서 출력된 빛(레이저)는 챔버(110) 내부로 유입되고, 투명한 샘플수(140)을 통과하여 수중생물(140)에 부딪혀 반사되고 반사된 빛을 라이다 센서(120)에서 수신함으로써 수중생물(140)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수중생물(140)이나 부유물(미도시) 등의 반사체가 없는 곳으로 주사된 레이저는 챔버(110)의 내벽에 반사된다.
라이다 센서(120) 송신부(미도시)의 출력 파장은 400nm에서 1500nm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기중에서 지형을 탐지할 때에는 적외선 파장(일례로, 1064nm)을 주로 사용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샘플수(130) 내의 이동개체를 측정하기 때문에 매질의 굴절률 차이로 인해 공기 중의 측정값과 오차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물과 공기간의 굴절률 차이를 고려하여 미리 거리 오차를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라이다 센서(120)의 출력 파장은, 공기중에 사용되는 적외선 파장을 사용할 경우 물에 흡수가 잘되어 측정 오차가 크게 발생하기 때문에 수중 측정에 맞는 녹색 파장(일례로, 532nm)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50)는, 라이다 센서(120)를 통해 연속적으로 측정된 위치들을 근거로 이동개체를 생물인지 무생물인지 분석하는 구성으로, 특히 샘플수 내에서 이동개체를 검출하고, 검출된 이동개체를 추적하여 트래킹(tracking)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를 사전에 기계학습을 통해 생성된 모델데이터와 비교하여 이동개체의 생사여부를 분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데, 이하에서 이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중생물 측정방법을 도시한 순서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수중생물 측정방법은, 생물 및 무생물로 분류된 이동개체의 이동경로를 추적하여 생성되는 제1트래킹 정보를 각각 입력받아 기계학습을 통해 모델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110)와, 라이다 센서로 챔버 내의 샘플수에 포함된 이동개체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S120)와, 라이다 센서에서 검출된 이동개체를 추적하여 제2트래킹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30)와, 모델데이터와 제2트래킹 정보를 비교하여 이동개체가 살아있는 생물 또는 무생물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중생물 측정방법은, 먼저, 다수의 제1트래킹 정보를 생성하고, 이것을 학습데이터로 입력하여 기계학습을 통해 모델데이터를 생성한다(S110). 보다 상세한 과정은 도 4 및 도 5를 통해 상세히 후술한다.
다음으로, 라이다 센서(120)로 샘플수 내의 수중생물의 위치를 측정한다(S120).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중생물 측정방법에서 라이다 센서(120)로 이동개체의 위치를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개체는 다수의 화소로 표시된다.
여기서, 각 화소의 위치는, X축 좌표, Y축 좌표로 특정되어 2차원 평면 상의 특정 지점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각 화소는 거리정보에 대응되는 색깔을 포함하여 표시함으로써 X축 및 Y축 좌표로 표시된 2차원 위치정보에 거리정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측정결과를 표시할 경우, 3차원 좌표 정보를 2차원 평면 상에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어부(150)는, 여러개의 화소가 모여서 형성된 군집화소가 소정 거리내에 위치할 경우, 상기 군집 화소를 하나의 이동개체로 판단할 수 있다.
도 3에 군집 화소로 표시된 이동개체의 크기는, 군집 화소의 크기(이동개체의 X축 및 Y축의 화소수)와 화소당 실제 크기를 근거로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라이다 센서(12)의 해상도가 1㎛ 일때, 군집 화소가 X축 50개, Y축 100개라면, 이동개체의 실제 크기는 50㎛ * 100㎛가 된다.
이와 같이, 수중생물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S120)를 수행한 이후에는, 라이다 센서에서 검출된 이동개체를 추적하여 제2트래킹 정보를 생성한다(S130).
이후, 모델데이터와 제2트래킹 정보를 비교하여 이동개체가 살아있는 생물 또는 무생물인지를 판단하게 된다(S140).
도 3의 측정결과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트래킹 정보를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으며, 동일한 방식으로 사전에 제1트래킹 정보를 생성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제1트래킹 정보를 생성할 때 사용할 경우에는 살아있는 생물인지 무생물(부유물)인지를 분류하는 절차를 추가로 진행한 다음, 기계학습 과정을 진행하게 된다.
즉, 도 4 및 도 5은, 모델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살아있는 생물의 이동경로(도 4 참조) 및 무생물의 이동경로(도 5 참조)를 각각 추적하여 생성된 제1트래킹 정보 또는 제2트래킹 정보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어부(150)는, 기계학습시 입력되는 제1트래킹 이미지, 즉 학습데이터를 입력받아 학습하는 과정을 통해 모델데이터(model data)를 생성하게 된다. 모델데이터는 본 발명의 제어부(150)에서 생성할 수도 있지만, 별도의 서버 또는 제어장치에서 생성되고 본 발명의 수중생물 측정장치에서 이를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사용된 학습데이터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개체를 살아 있는 생물(일례로, 동물성 플랑크톤)과 부유물로 각각 분류한 제1트래킹 이미지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트래킹 이미지"는 이동개체를 소정시간단위로 추적하여 연결 기록함으로써 도식화한 트래킹 정보의 일실시예로서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대체가 가능하다. 일례로, 도식화된 트래킹 정보는 소정시간단위별 위치를 2차원 좌표로 표시한 도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좌표는 (x,y)로 구성된 직교 좌표계 또는 (r,θ)로 구성된 원통 좌표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좌표는 숫자로 표시될 수 있고, 숫자를 그림으로 대응되게 표현한 그래프로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라이다 센서를 적용하여 위치를 측정한 경우에는 3차원 위치정보로 표시될 수도 있다.
제1트래킹 이미지는 살아 있는 생물(일례로, 동물성 플랑크톤)과 부유물의 이미지가 각각 구별되도록 라벨(label)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는 각각의 이미지를 파일 이름으로 분류할 수도 있으며, 또는 저장공간을 구별하여 분류할 수도 있다.
또한, 제1트래킹 이미지 또는 제2트래킹 이미지는, 소정 시간 동안 취득된 이동개체의 다수 지점에서의 위치를 연결하여 생성되는데, 소정 시간은 제1트래킹 또는 제2트래킹 이미지의 특성을 충분히 나타낼 수 있는 시간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생성된 제1트래킹 이미지를 입력하여 기계학습을 통해 모델데이터(model data)를 생성하게 되며, 본 발명의 수중생물 측정장치는 이러한 모델데이터와 제2트래킹 이미지를 비교하여 이동개체의 생사 판별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부(150)는, 검출된 이동개체의 가로 및 세로의 화소수와 화소당 실제 크기를 근거로 이동개체의 크기로 환산하고, 소정 크기 이상의 이동개체만을 추적하여 제2트래킹 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일례로, 제2트래킹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동개체의 크기를 10㎛ 이상 50㎛ 이하 또는 50㎛이상으로 설정하여 샘플수인 선박평형수 살균처리 결과가 IMO 기준에 만족하는 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트래킹 이미지와 제2트래킹 이미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시간동안 측정됨으로써 동일한 시간 조건하에 트래킹 이미지를 분석 비교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중생물 측정장치(100)는, 제어부(150)에서 라이다 센서(120)에서 측정된 수중생물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근거로 샘플수내의 부유물과 생물체를 구분하여 분석함으로써 선박평형수 살균처리 결과가 IMO 기준에 만족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라이다 센서(120)는 일반적인 카메라로 촬상하는 컬러 영상은 획득할 수 없지만, 이동개체의 형태 및 크기와 그 위치(거리 등)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이동개체의 3차원 이동좌표를 획득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보다 정확도가 높으며 신속하게 수중생물의 생사판별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중생물 측정장치(100)는, 진동이나 흔들림이 발생되는 선박에 설치되는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에 적용될 경우, 이동개체의 실제 트래킹 이미지와 미리 생성된 모델데이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살아있는 플랑크톤과 부유물을 정확하게 구분하도록 함으로써 정밀도 높은 생사판별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물성 플랑크톤으로 판단된 이동개체의 크기를 50㎛를 기준으로 자동으로 계수하여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에 의해 처리된 선박평형수가 IMO의 배출기준에 만족하는 지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수중생물 측정장치
110: 챔버
120: 라이다 센서
130: 샘플수
140: 수중생물
150: 제어부

Claims (12)

  1. 샘플수가 수용되는 챔버;
    챔버의 일측면을 통해 샘플수 내의 이동개체의 위치를 측정하는 라이다 센서; 및
    라이다 센서를 통해 연속적으로 측정된 이동개체의 위치를 기반으로 이동개체를 분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제어부는,
    생물 및 무생물로 분류된 이동개체의 이동경로를 추적하여 생성되는 제1트래킹(tracking) 정보를 각각 입력받아 기계학습을 통해 생성된 모델데이터(model data)를 이용하고,
    라이다 센서에서 검출된 이동개체를 추적하여 제2트래킹 정보를 생성하고,
    모델데이터와 제2트래킹 정보를 비교하여 이동개체가 살아있는 생물 또는 무생물인지를 판단하되,
    챔버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라이다 센서와 대향되는 면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거나 개방되고,
    라이다 센서와 대향되는 면을 제외한 챔버의 재질은, 불투명한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형성되며,
    라이다 센서는,
    레이저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이동개체로부터 반사되는 레이저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되,
    송신부의 출력 파장은 녹색 파장인, 수중생물 측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또는 제2트래킹 정보는,
    소정시간 간격으로 이동개체를 연속적으로 추적하여 각각의 위치를 선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생성되는 트래킹 이미지로 구성되는, 수중생물 측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또는 제2트래킹 정보는,
    소정시간 간격으로 이동개체를 연속적으로 추적하여 각각의 위치를 좌표로 표시한 도표로 구성되는, 수중생물 측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제어부는,
    검출된 이동개체의 가로 및 세로의 화소수와 화소당 실제 크기를 근거로 이동개체의 크기로 환산하고, 소정 크기 이상의 이동개체만을 추적하여 제2트래킹 정보를 생성하는, 수중생물 측정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제2트래킹 정보를 생성하는 이동개체의 크기는 10㎛ 이상 50㎛ 이하 또는 50㎛ 이상인, 수중생물 측정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제어부는,
    소정 거리내의 군집 화소는 하나의 이동개체로 판단하는, 수중생물 측정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트래킹 정보는,
    이동경로가 추적된 이동개체가 구분되도록 생물 또는 무생물이 라벨링(labeling)되어 입력되는, 수중생물 측정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챔버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육면체로 구성되는, 수중생물 측정장치.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라이다 센서는,
    송신부의 출력 파장이 400nm에서 1500nm인, 수중생물 측정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이동개체의 위치는,
    X축 좌표, Y축 좌표, 거리를 근거로 한 3차원 좌표로 구성되는, 수중생물 측정장치.
  12. 삭제
KR1020200056139A 2020-05-11 2020-05-11 수중생물 측정장치 및 방법 KR102324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139A KR102324418B1 (ko) 2020-05-11 2020-05-11 수중생물 측정장치 및 방법
PCT/KR2020/006673 WO2021230409A1 (ko) 2020-05-11 2020-05-22 수중생물 측정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139A KR102324418B1 (ko) 2020-05-11 2020-05-11 수중생물 측정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4418B1 true KR102324418B1 (ko) 2021-11-15

Family

ID=78502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6139A KR102324418B1 (ko) 2020-05-11 2020-05-11 수중생물 측정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24418B1 (ko)
WO (1) WO2021230409A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67140B2 (ja) * 2004-01-23 2009-11-18 日本電気株式会社 水中生物の移動経路推定方法及び移動経路推定システム
KR101531392B1 (ko) 2013-12-02 2015-07-07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Toc 분석장치 및 이를 이용한 toc 분석 시스템
KR20170083572A (ko) * 2014-11-05 2017-07-18 볼라스트 워터 모니터링 에이/에스 평형수 분석 시스템
JP6221210B2 (ja) * 2012-09-11 2017-11-01 株式会社サタケ 微生物の検査方法及びその装置
KR20180005817A (ko) * 2016-07-07 2018-01-17 (주)시스코어 해양 환경 탐지 시스템
US20180059023A1 (en) * 2016-08-25 2018-03-01 U.S.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Lidar instrument and method of operation
KR101844928B1 (ko) * 2016-11-24 2018-04-03 (주) 테크로스 샘플수 분석장치 및 방법
WO2020056055A1 (en) * 2018-09-11 2020-03-19 Nalu Scientific, LLC System and method for high-sample rate transient data acquisition with pre-conversion activity detection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67140B2 (ja) * 2004-01-23 2009-11-18 日本電気株式会社 水中生物の移動経路推定方法及び移動経路推定システム
JP6221210B2 (ja) * 2012-09-11 2017-11-01 株式会社サタケ 微生物の検査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531392B1 (ko) 2013-12-02 2015-07-07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Toc 분석장치 및 이를 이용한 toc 분석 시스템
KR20170083572A (ko) * 2014-11-05 2017-07-18 볼라스트 워터 모니터링 에이/에스 평형수 분석 시스템
KR20180005817A (ko) * 2016-07-07 2018-01-17 (주)시스코어 해양 환경 탐지 시스템
US20180059023A1 (en) * 2016-08-25 2018-03-01 U.S.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Lidar instrument and method of operation
KR101844928B1 (ko) * 2016-11-24 2018-04-03 (주) 테크로스 샘플수 분석장치 및 방법
WO2020056055A1 (en) * 2018-09-11 2020-03-19 Nalu Scientific, LLC System and method for high-sample rate transient data acquisition with pre-conversion activity detectio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나노 입자의 사용과 문제점 (지오엔지니어링 블로그, June 201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30409A1 (ko) 2021-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0937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objects in underwater environments
US7430047B2 (en) Small container fluid dynamics to produce optimized inspection conditions
Davis et al. The Video Plankton Recorder (VPR): design and initial results
US9207188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ainting quality of components, in particular of motor-vehicle bodies
JP2008508513A (ja) 容器を検査する装置及び方法
CN110132989A (zh) 一种混凝土裂缝检测设备、方法以及终端系统
US7680316B2 (en) Imaging device and methods to derive an image on a solid phase
KR101883350B1 (ko) 샘플수 분석장치 및 방법
CN104764684B (zh) 用于通过使用光分布来提高粒子成像设备中的测量精确度的装置、系统和方法
KR101482580B1 (ko) 유리병 검사 장치 및 텔레센트릭 렌즈 유닛
US7417666B2 (en) 3-D imaging system
KR101844928B1 (ko) 샘플수 분석장치 및 방법
CN115077414B (zh) 一种水下航行器测量海面目标物底部轮廓的装置和方法
CN113610083B (zh) 车辆vin码的字符识别和字符打刻深度检测系统及检测方法
KR102324418B1 (ko) 수중생물 측정장치 및 방법
CN113310851A (zh) 一种实时浑浊介质目标识别系统和方法
CN110738698B (zh) 浮水式海底数据测量方法、装置和电子设备
RU148827U1 (ru) Подводный видеорегистратор планктона
CN112184710A (zh) 一种基于视觉感知的线扫激光气泡检测方法及系统
CA323772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raft calculation
KR102431452B1 (ko) 수중드론을 이용한 수중 탐사시스템
CN114166699A (zh) 一种悬浮颗粒体积的光学测量装置和方法
KR102294417B1 (ko) 샘플수 분석장치 및 방법
Bodenmann et al. Methods for quantitative studies of seafloor hydrothermal systems using 3D visual reconstructions
JP7075765B2 (ja) 液中物測定装置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