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4397B1 - 사용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상태에서 틸팅 및 모드 변경이 이뤄지며 에어셀 쿠션이 장착된 기능성 의자 - Google Patents

사용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상태에서 틸팅 및 모드 변경이 이뤄지며 에어셀 쿠션이 장착된 기능성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4397B1
KR102324397B1 KR1020190159491A KR20190159491A KR102324397B1 KR 102324397 B1 KR102324397 B1 KR 102324397B1 KR 1020190159491 A KR1020190159491 A KR 1020190159491A KR 20190159491 A KR20190159491 A KR 20190159491A KR 102324397 B1 KR102324397 B1 KR 102324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ement
disposed
backrest
seat
foot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9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9801A (ko
Inventor
황귀현
Original Assignee
황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귀현 filed Critical 황귀현
Priority to KR1020190159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4397B1/ko
Publication of KR20210069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9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4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4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47C27/10Fluid mattresses or cushions with two or more independently-fillable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fluid spr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사용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상태에서 틸팅 및 사용자의 자세 변경에 따른 모드 변경이 이뤄지며, 에어셀 쿠션이 장착된 기능성 의자가 제공된다.
상기 기능성 의자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어 틸팅되는 무브먼트; 상기 무브먼트 상에 배치되어 슬라이딩되는 시트; 상기 무브먼트 상에 배치되어 레이백되는 백레스트; 상기 무브먼트 상에 배치되어 리프트업되는 풋레스트; 상기 시트와 상기 백레스트와 상기 풋레스트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에어셀 쿠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용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상태에서 틸팅 및 모드 변경이 이뤄지며 에어셀 쿠션이 장착된 기능성 의자{AN AIR-CELL EQUIPPED FUNCTIONAL CHAIR THAT SUPPORTS THE STABILITY VIA FLAT-RECLINING AND CHANGING THE USER'S POSTURE}
본 발명은 사용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상태에서 틸팅(리클라이닝) 및 모드 변경(사용자의 자세변경)이 이뤄지며 에어셀 쿠션이 장착된 기능성 의자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용자가 바른 자세로 의자에 앉도록 함으로써, 업무 피로를 경감시키고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하는 기능성 의자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기존의 기능성 의자는 사용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틸팅되지 않았으며, 사용자의 자세(앉은 자세, 누운 자세)에 맞추어 모드가 변경되지 않았으며, 시트 외에 별도의 쿠션이 장착되지 않아 사용자를 인체공학적으로 지지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상태에서 틸팅 및 사용자의 자세 변경에 따른 모드 변경이 이뤄지며, 에어셀 쿠션이 장착된 기능성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의자에 눕거나 앉았을 때 압력의 분산을 극대화하여 피로를 줄이고, 오랜 시간을 앉았을 때 피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극소화함으로써 혈액순환을 도와 땀이나 피부 짓무름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에어셀 쿠션이 장착된 기능성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기능성 의자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어 틸팅되는 무브먼트; 상기 무브먼트 상에 배치되어 슬라이딩되는 시트; 상기 무브먼트 상에 배치되어 레이백되는 백레스트; 상기 무브먼트 상에 배치되어 팝업되는 풋레스트; 상기 시트와 상기 백레스트와 상기 풋레스트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에어셀 쿠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의자는 제1모드와 제2모드를 가지며, 상기 제1모드에서 상기 제2모드로 전환 시, 상기 백레스트는 상기 시트와 경사 각도가 증가하도록 레이백되고 상기 풋레스트는 상기 시트와 경사 각도가 감소하도록 리프트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의자는 상기 무브먼트에 배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와 연결되는 틸팅 커넥터와, 상기 틸팅 커넥터에 연결되는 암레스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브먼트는 사용자가 암레스트에 인가하는 힘에 견인되어 틸팅 커넥터를 축으로 틸팅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무브먼트는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시트를 지지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상기 본체와 상기 백레스트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회전 커넥터와, 상기 본체와 상기 풋레스트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회전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백레스트는 상기 제1회전 커넥터를 축으로 회전 구동하고, 상기 풋레스트는 상기 제2회전 커넥터를 축으로 회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피스톤 구동에 의해 수직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에어셀 쿠션은 커버와 커버에 내장되는 쿠션을 포함하고, 상기 쿠션에는 복수의 에어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에어셀에는 볼록한 코어와, 상기 코어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방사상 단부를 향하여 하측으로 만곡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복수의 블레이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는 4개이거나, 6개이거나, 8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기능성 의자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어 틸팅되는 무브먼트; 상기 무브먼트 상에 배치되어 슬라이딩되는 시트; 상기 무브먼트 상에 배치되어 레이백되는 백레스트; 상기 무브먼트 상에 배치되어 팝업되는 풋레스트; 상기 시트와 상기 백레스트와 상기 풋레스트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에어셀 쿠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의자는 제1모드와 제2모드를 가지며, 상기 제1모드에서 상기 제2모드로 전환 시, 상기 백레스트는 상기 시트와 경사 각도가 증가하도록 레이백되고 상기 풋레스트는 상기 시트와 경사 각도가 감소하도록 리프트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의자는 상기 무브먼트에 배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와 연결되는 틸팅 커넥터와, 상기 틸팅 커넥터에 연결되는 암레스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브먼트는 사용자가 암레스트에 인가하는 힘에 견인되어 틸팅 커넥터를 축으로 틸팅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무브먼트는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시트를 지지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상기 본체와 상기 백레스트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회전 커넥터와, 상기 본체와 상기 풋레스트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회전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백레스트는 상기 제1회전 커넥터를 축으로 회전 구동하고, 상기 풋레스트는 상기 제2회전 커넥터를 축으로 회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피스톤 구동에 의해 수직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에어셀 쿠션은 커버와 커버에 내장되는 쿠션을 포함하고, 상기 쿠션에는 복수의 에어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에어셀에는 볼록한 코어와, 상기 코어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방사상 단부를 향하여 하측으로 만곡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복수의 블레이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는 4개이거나, 6개이거나, 8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의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의자가 틸팅되는 것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의자의 모드가 변경되는 것을 나타낸 부분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의자의 모드가 변경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에어셀 쿠션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에어셀 쿠션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에어셀 쿠션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에어셀 쿠션에 의해 인체공학적으로 균등하게 체중을 지지하는 것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의자(100)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의자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의자가 틸팅되는 것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의자의 모드가 변경되는 것을 나타낸 부분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의자의 모드가 변경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에어셀 쿠션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에어셀 쿠션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에어셀 쿠션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에어셀 쿠션에 의해 인체공학적으로 균등하게 체중을 지지하는 것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의자(100)는 “기능성 의자”로서 사용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상태에서 틸팅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자세 변경에 따라 모드가 변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의자(100)는 베이스(10), 무브먼트(20), 시트(30), 백레스트(40), 풋레스트(50), 암레스트(60), 지지대(70), 틸팅 커넥터(80), 에어셀 쿠션(9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0)는 본 발명의 의자(100)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구성 요소로서, 피스톤(11), 프레임(12) 및 롤러(13)를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11)은 피스톤 구동에 의해 수직 구동할 수 있으며, 피스톤(11)의 상측에는 무브먼트(20), 시트(30), 백레스트(40), 풋레스트(50), 암레스트(60), 지지대(70) 및 틸팅 커넥터(80)가 배치될 수 있으며, 피스톤(11)의 수직 구동에 의해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의자(100)는 베이스(10)의 피스톤(11)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구동함으로써 높이가 조절될 수 있으며, 이를 조작하기 위한 레버(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프레임(12)은 피스톤(1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방사상 여러 가닥으로 펼쳐져 있을 수 있으며, 롤러(13)는 여러 가닥으로 펼쳐진 프레임(12)의 단부에 배치되어 본 발명의 의자(100)가 외력에 의해 이동토록 할 수 있다.
무브먼트(20)는 베이스(10) 상에 틸팅이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무브먼트(20)에는 시트(30), 백레스트(40), 풋레스트(50) 및 암레스트(60)가 배치되어, 무브먼트(20)와 함께 틸팅(리클라이닝)될 수 있다.
한편, 무브먼트(20)에서 시트(30)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시트(3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무브먼트(20)는 모드 변경 시(제1모드에서 제2모드, 앉은 자세에서 누운 자세), 백레스트(40)의 레이백과 풋레스트(50)의 리프트업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브먼트(20)에는 지지대(7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지지대(70)는 틸팅 커넥터(80)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대(70)는 양측 암레스트(60)에 각각 하나씩 존재할 수 있으며, 모서리가 라운드된 중공의 역삼각형 형태로서 하단 꼭지점 부분에서 틸팅 커넥터(8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무브먼트(20)는 사용자가 암레스트(60)에 인가하는 힘에 견인되어 틸팅 커넥터(80)를 축으로 틸팅 구동할 수 있다.
또한, 무브먼트(20)는 베이스(10)의 피스톤(11) 상에 배치되는 본체(21)와, 본체(21)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시트(30)를 지지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22)와, 슬라이딩 플레이트(22)와 백레스트(4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회전 커넥터(23)와, 본체(21)와 풋레스트(5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회전 커넥터(24)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백레스트(40)의 안정적인 구동을 위해 무브먼트(20)는 제1회전 커넥터(23) 외에 본체(21)와 백레스트(40)를 연결하는 링크와 힌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풋레스트(50)의 안정적인 구동을 위해 무브먼트(20)는 제2회전 커넥터(24) 외에 본체(21)와 풋레스트(50)를 연결하는 링크와 힌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모드(사용자의 앉은 자세를 위한 모드)에서 제2모드(사용자의 누운 자세를 위한 모드)로 전환 시, 백레스트(40)는 제1회전 커넥터(23)에 의해 가이드되어 구동하여 시트(30)와 경사 각도가 증가하도록 레이백되고, 풋레스트(60)는 제2회전 커넥터(24)에 의해 가이드되어 구동하여 시트(30)와 경사 각도가 감소하도록 팝업될 수 있다.
에어셀 쿠션(90)은 시트(30)와 백레스트(40)와 풋레스트(50)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어 사용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에어셀 쿠션(90)은 커버(91)와, 커버(91)에 내장되는 쿠션(92)을 포함할 수 있다. 쿠션(92)에는 복수의 에어셀(93)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에어셀(93) 각각에는 볼록한 코어(93-1)와, 코어(93-1)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방사상 단부를 향하여 하측으로 만곡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복수의 블레이드(93-2)가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블레이드(93-2)는 설계적 요청에 따라 4개(도 5 참조)이거나, 6개(도 6 참조)이거나, 8개(도 7 참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자(100)는 에어셀 쿠션(90)의 복수의 에어셀(93)의 코어(93-1)와 복수의 블레이드(93-2)에 의해, 복수의 에어셀(93)이 사용자의 신체와의 접점에서 사용자의 신체와 형합되어 탄성 변형됨에 따라, 하중을 균등하게 분산할 수 있는 동시에 안정적으로 사용자를 서포트할 수 있다(도 8 참조).
즉, 본 발명의 의자(100)에서는 사용자가 의자에 눕거나 앉았을 때, 코어(93-1)와 복수의 블레이드(93-2)를 포함하는 복수의 에어셀(93)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에어셀 쿠션(90)에 의해 압력을 분산시켜(즉, 체중 분산 극대화), 피로를 경감시키고 혈액순환을 개선시켜 땀이나 피부 짓무름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의자(100)의 변형례(미도시)에서는 복수의 에어셀(93)의 내부에 압력 센서가 배치될 수 있으며, 백레스트(40)에 배치되는 에어셀 쿠션(90)에 일정 수준 이상의 압력이 인가되면, 사용자가 누운 자세로 변경하려는 의도로 파악하고, 전자 신호를 제1회전 커넥터(23)와 제2회전 커넥터(24)에 전송하고 이를 전동 모터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모드에서 제2모드로 자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에어셀 쿠션(90)에 일정 수준 이상의 압력을 인가하는 것이 아닌, 에어셀 쿠션(90)을 두번 빠르게 누름으로써 모드 전환 신호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자(100)의 변형례(미도시)에는 타이머 기능이 내장되어, 사용자의 모드 전환 신호에 의해 누운 자세로 변경한 다음 일정 시간이 지나면 정자세로 돌아와 사용자의 잠을 강제 알람으로 깨울 수 있으며, 이 경우, 전동 모터는 빠르게 회전하는 것과 느리게 회전하는 것을 교번하여 정자세로 복귀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진동 자극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잠을 효과적으로 깨울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의자(100)의 변형례(미도시)에서는 별도의 펌프가 추가되어 복수의 에어셀(93)에서 압력을 많이 받는 에어셀에 선택적으로 공기를 더 공급함으로써, 사용자를 더욱 안정적인 자세로 지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8)

  1.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어 틸팅되는 무브먼트;
    상기 무브먼트 상에 배치되어 슬라이딩되는 시트;
    상기 무브먼트 상에 배치되어 레이백되는 백레스트;
    상기 무브먼트 상에 배치되어 팝업되는 풋레스트;
    상기 시트와 상기 백레스트와 상기 풋레스트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에어셀 쿠션;
    상기 무브먼트에 배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와 연결되는 틸팅 커넥터; 및
    상기 틸팅 커넥터에 연결되는 암레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무브먼트는 사용자가 상기 암레스트에 인가하는 힘에 견인되어 상기 틸팅 커넥터를 축으로 틸팅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의자는 제1모드와 제2모드를 가지며,
    상기 제1모드에서 상기 제2모드로 전환 시, 상기 백레스트는 상기 시트와 경사 각도가 증가하도록 레이백되고 상기 풋레스트는 상기 시트와 경사 각도가 감소하도록 리프트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의자.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브먼트는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시트를 지지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상기 백레스트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회전 커넥터와, 상기 본체와 상기 풋레스트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회전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의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백레스트는 상기 제1회전 커넥터에 의해 가이드되어 구동하고, 상기 풋레스트는 상기 제2회전 커넥터에 의해 가이드되어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의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피스톤 구동에 의해 수직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의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셀 쿠션은 커버와 커버에 내장되는 쿠션을 포함하고, 상기 쿠션에는 복수의 에어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의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에어셀에는 볼록한 코어와, 상기 코어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방사상 단부를 향하여 하측으로 만곡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복수의 블레이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는 4개이거나, 6개이거나, 8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의자.
KR1020190159491A 2019-12-04 2019-12-04 사용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상태에서 틸팅 및 모드 변경이 이뤄지며 에어셀 쿠션이 장착된 기능성 의자 KR102324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491A KR102324397B1 (ko) 2019-12-04 2019-12-04 사용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상태에서 틸팅 및 모드 변경이 이뤄지며 에어셀 쿠션이 장착된 기능성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491A KR102324397B1 (ko) 2019-12-04 2019-12-04 사용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상태에서 틸팅 및 모드 변경이 이뤄지며 에어셀 쿠션이 장착된 기능성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801A KR20210069801A (ko) 2021-06-14
KR102324397B1 true KR102324397B1 (ko) 2021-11-09

Family

ID=76417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9491A KR102324397B1 (ko) 2019-12-04 2019-12-04 사용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상태에서 틸팅 및 모드 변경이 이뤄지며 에어셀 쿠션이 장착된 기능성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439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1106B1 (ko) * 2016-06-21 2017-10-27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1739Y1 (ko) * 1994-10-13 1998-09-15 지용태 다목적 안락의자의 작동봉 실린더부착구조와 좌우 다리체의 체결수단
KR200484671Y1 (ko) * 2015-12-15 2017-10-16 주식회사 씰테크 에어셀 쿠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1106B1 (ko) * 2016-06-21 2017-10-27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801A (ko) 2021-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6107A (en) Lifting apparatus for a seating structure
CN202858401U (zh) 一种办公室两用功能椅架
US7341310B1 (en) Office chair with automated height adjustment
CN105902034A (zh) 一种头枕自动调节的沙发
KR102324397B1 (ko) 사용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상태에서 틸팅 및 모드 변경이 이뤄지며 에어셀 쿠션이 장착된 기능성 의자
CN205758100U (zh) 休闲椅
CN205432942U (zh) 一种省空间多用沙发
US6722736B2 (en) Movable switch for a motorized recliner
CN105902003A (zh) 一种休闲椅
KR200180804Y1 (ko) 스텐드형 의자
CN110522222A (zh) 一种椅背调节扶手结构
KR101209274B1 (ko) 의자의 팔걸이
CN219184602U (zh) 一种可辅助患者坐下的座椅
KR102617406B1 (ko) 통기성이 향상된 파손방지 기능을 갖는 좌식의자
CN217987127U (zh) 多功能智能沙发
CN215189801U (zh) 一种洗头设备
JP2004016370A (ja) 介護用ベッド
CN216220900U (zh) 一种具有旋转功能的舒适型沙发
CN220089013U (zh) 靠背分体床
CN220832411U (zh) 一种强承重的高舒适旋转单人摇椅
CN210748201U (zh) 一种可调节高度的电动单人椅
CN216293567U (zh) 带升降功能的智能沙发
CN218551855U (zh) 一种可调节靠椅
CN212878552U (zh) 可转向倾斜的沙发
JP2003325619A (ja) マッサージ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