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4254B1 - 누수 감지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 Google Patents

누수 감지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4254B1
KR102324254B1 KR1020170111345A KR20170111345A KR102324254B1 KR 102324254 B1 KR102324254 B1 KR 102324254B1 KR 1020170111345 A KR1020170111345 A KR 1020170111345A KR 20170111345 A KR20170111345 A KR 20170111345A KR 102324254 B1 KR102324254 B1 KR 102324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ance value
sensing
battery pack
value range
reference res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1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4391A (ko
Inventor
조양욱
최일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170111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4254B1/ko
Publication of KR20190024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4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4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4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28Leak testing of cells or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08Measuring resistance by measuring both voltage and curr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35Safety or regulating additives or arrangements in electrodes, separators or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68Means for preventing spilling of liquid or electrolyte, e.g. when the battery is tilted or turned o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는 제1 감지 단자, 제2 감지 단자 및 상기 제1 감지 단자와 상기 제2 감지 단자 사이에 연결된 감지 저항을 구비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의 합성 저항값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합성 저항값이 제1 기준 저항값 범위 및 제2 기준 저항값 범위 중 하나 이상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 팩의 누수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누수 감지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Apparatus for detecting leak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vehicl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누수 감지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 팩 내의 누수를 감지하는 누수 감지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와 연료전지 자동차 그리고 전기 자동차는 모두 전기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것으로서, 전기모터에 구동전력을 제공하는 고전압 배터리가 필수적으로 장착된다.
고전압 배터리는 차량 운행 중에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면서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고전압 배터리는 통상적으로 다수개의 배터리모듈로 구성된다. 그리고, 다수개의 각 배터리모듈은 다수개의 배터리 서브모듈로 구성되고, 다수개의 각 서브모듈은 다수개의 고전압 배터리 셀로 구성된다. 이렇게 다수개로 구성된 고전압 배터리 셀은 통상적으로 상부와 하부를 각각 지지하는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에 의해 결합된다.
이때, 다수개의 고전압 배터리 셀은 상호 면대면으로 적층 되도록 하부하우징에 삽입되고, 고전압 배터리 셀의 상부에 상부하우징을 배치하여 조립함으로써, 배터리 서브모듈이 된다.
이러한 고전압 배터리 셀은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며, 특히 다양한 형태의 고전압 배터리 셀 중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는 파우치형(POUCHED TYPE)고전압 배터리 셀의 경우 유연성을 갖는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를 외장부재로 사용함으로써, 쉽게 휘어짐이 가능한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파우치형 고전압 배터리 셀은 중량이 작고 제조비용이 낮다는 등의 장점으로 인해 최근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파우치형 고전압 배터리 셀은 쉽게 휘어질 수 있어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면 쉽게 파손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고전압 배터리 셀 내부의 전해액이 누수되거나 가스가 분출하는 등의 위험이 있으며, 파우치형 고전압 배터리 셀들을 적층하여 고전압 배터리 셀 모듈 및 팩을 구성하므로 고전압 배터리 셀 내부의 전해액이 누수되거나 가스 분출, 폭발이 발생한 경우 인접한 고전압 배터리 셀에도 직접적인 손상이 가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제1 감지 단자, 제2 감지 단자, 감지 전극를 구비하는 감지부의 합성 저항값이 제1 기준 저항값 범위 및 제2 기준 저항값 범위 중 하나 이상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배터리 팩의 누수 여부 및 제1 감지 단자 및 제2 감지 단자 중 하나 이상에 피막이 형성되었는지를 감지할 수 있는 누수 감지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는 제1 감지 단자, 제2 감지 단자 및 상기 제1 감지 단자와 상기 제2 감지 단자 사이에 연결된 감지 저항을 구비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의 합성 저항값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합성 저항값이 제1 기준 저항값 범위 및 제2 기준 저항값 범위 중 하나 이상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 팩의 누수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합성 저항값이 상기 제1 기준 저항값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 상기 합성 저항값이 상기 제1 기준 저항값 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배터리 팩에 누수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합성 저항값이 상기 제2 기준 저항값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 상기 합성 저항값이 상기 제2 기준 저항값 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배터리 팩에 누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합성 저항값이 상기 제1 기준 저항값 범위 및 상기 제2 기준 저항값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 상기 합성 저항값이 상기 제1 기준 저항값 범위 및 상기 제2 기준 저항값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배터리 팩에 누수가 발생하고, 상기 제1 감지 단자 및 상기 제2 감지 단자 중 하나 이상에 피막이 형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정부는 상기 감지 저항의 감지 저항값을 측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저항값에 기초하여 제1 기준 저항값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기준 저항값 범위의 최소 저항값은 0Ω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합성 저항값의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배터리 팩의 누수 여부와 상기 제1 감지 단자 및 제2 감지 단자 중 하나 이상에 피막이 형성되었는지 여부 중 하나 이상을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합성 저항값이 상기 제2 기준 저항값 범위에 포함된 이후,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시간 내에 상기 제1 기준 저항값 범위에 포함되거나, 상기 합성 저항값이 상기 제1 기준 저항값 범위에 포함된 이후, 상기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시간 내에 상기 제2 기준 저항값 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배터리 팩에 누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합성 저항값이 상기 제1 기준 저항값 범위 및 상기 제2 기준 저항값 범위에 포함되지 않은 이후,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시간 내에 상기 제1 기준 저항값 범위에 포함되거나, 상기 합성 저항값이 상기 제1 기준 저항값 범위에 포함된 이후, 상기 제1 기준 저항값 범위 및 상기 제2 기준 저항값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배터리 팩에 누수가 발생하고 상기 제1 감지 단자 및 상기 제2 감지 단자 중 하나 이상에 피막이 형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상기 누수 감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는 상기 누수 감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감지 단자, 제2 감지 단자, 감지 전극를 구비하는 감지부의 합성 저항값이 제1 기준 저항값 범위 및 제2 기준 저항값 범위 중 하나 이상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배터리 팩의 누수 여부 및 제1 감지 단자 및 제2 감지 단자 중 하나 이상에 피막이 형성되었는지를 감지함으로써, 배터리 팩의 누수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배터리 팩의 누수가 발생하기 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의 회로 구성과 배터리 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배터리 팩의 누수가 발생한 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의 회로 구성과 배터리 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배터리 팩의 누수가 발생하기 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의 감지부의 합성 저항값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배터리 팩의 누수가 발생한 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의 감지부의 합성 저항값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배터리 팩의 누수가 발생한 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의 제1 감지 단자와 제2 감지 단자에 피막이 형성된 상태의 회로 구성과 배터리 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배터리 팩의 누수가 발생한 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의 제1 감지 단자와 제2 감지 단자에 피막이 형성된 경우, 감지부의 합성 저항값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9는 배터리 팩의 누수가 발생한 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의 제1 감지 단자와 제2 감지 단자가 누수 용액에 침수되지 않은 상태의 회로 구성과 배터리 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배터리 팩의 누수가 발생한 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의 제1 감지 단자와 제2 감지 단자가 누수 용액에 침수된 상태와 침수되지 않은 상태를 반복하는 경우, 감지부의 합성 저항값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1은 배터리 팩의 누수가 발생하고, 제1 감지 단자와 제2 감지 단자에 피막이 형성된 후,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의 제1 감지 단자와 제2 감지 단자가 누수 용액에 침수되지 않은 상태의 회로 구성과 배터리 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은 배터리 팩의 누수가 발생하고, 제1 감지 단자와 제2 감지 단자에 피막이 형성된 후,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의 제1 감지 단자와 제2 감지 단자가 누수 용액에 침수된 상태와 침수되지 않은 상태를 반복하는 경우, 감지부의 합성 저항값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배터리 팩의 누수가 발생하기 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의 회로 구성과 배터리 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배터리 팩의 누수가 발생한 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의 회로 구성과 배터리 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100)는 배터리 팩(1000)의 내부에 누수가 발생했는지 여부 및 누수가 발생된 후 후술되는 제1 감지 단자(111) 및 제2 감지 단자(112) 중 하나 이상에 피막이 형성되었는지 여부 중 하나 이상을 판단하여 배터리 관리 장치(battary management system; BMS, 200, '이하 BMS라 함')로 판단 결과를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누수 감지 장치(100)는 유선 통신 및 무선 통신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BMS(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 팩(1000)의 내부에 발생한 누수는 배터리 팩(1000)에 수용된 배터리 모듈 또는 배터리 셀 각각의 파우치 내에 주입된 전해액이 파우치 외부로 유출되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기술되는 누수 용액은 복수의 염이 용해된 전해액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누수 감지 장치(100)가 배터리 팩(1000)에 누수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누수 감지 장치(100)는 감지부(110), 측정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110)는 제1 감지 단자(111), 제2 감지 단자(112) 및 감지 저항(11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 단자(111) 및 상기 제2 감지 단자(112)는 누수 감지 장치(100)의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감지 단자(111) 및 상기 제2 감지 단자(112)는 배터리 팩(1000) 내부에 위치하는 누수 감지 장치(100)의 케이스 일면을 관통하여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감지 단자(111) 및 상기 제2 감지 단자(112)는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 등과 같이 부식에 강한 전도성 금속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감지 단자(111) 및 상기 제2 감지 단자(112)는 배터리 팩(1000) 내에 누수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배터리 팩(1000)의 케이스 외부에서 상호 이격되어 절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1 감지 단자(111) 및 상기 제2 감지 단자(112)는 배터리 팩(1000) 내부에 누수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1 감지 단자(111) 및 상기 제2 감지 단자(112)는 전도성을 갖는 누수 용액에 침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 감지 단자(111) 및 상기 제2 감지 단자(112)는 배터리 팩(1000) 내부에 누수가 발생한 경우, 누수 용액이 배터리 팩(1000)의 케이스 내부 중에서 체류하는 공간 즉, 지면(G)과 가까운 하부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감지 단자(111) 및 상기 제2 감지 단자(112)는 각각 후술되는 측정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감지 단자(111) 및 상기 제2 감지 단자(112)는 개별로 연결된 배선을 통해 측정부(120)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감지 저항(113)은 제1 감지 단자(111) 및 제2 감지 단자(112)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 저항(113)의 일단은 제1 감지 단자(111)와 측정부(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감지 저항(113)의 타단은 제2 감지 단자(112)와 측정부(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지 저항(113)은 배터리 팩(1000)의 케이스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감지 저항(113)의 감지 저항값은 후술되는 제어부(130)가 제1 기준 저항값 범위를 설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제어부(130)가 감지 저항값에 기초하여 제1 기준 저항값 범위를 설정하는 구성은 후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측정부(120)는 감지부(110)의 합성 저항값을 측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정부(120)는 제1 감지 단자(111), 제2 감지 단자(112) 및 감지 저항(113)으로 구성된 회로의 양단에 측정 전압을 인가하여 감지부(110)의 합성 저항값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120)는 제1 감지 단자(1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선과 제2 감지 단자(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선에 측정 전압을 인가하고, 인가된 측정 전압으로 인해 통전하는 측정 전류의 측정 전류값을 측정하여 감지부(110)의 합성 저항값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팩(1000)의 내부에 누수가 발생하지 않으면, 제1 감지 단자(111)와 제2 감지 단자(112)는 개방 상태이므로 감지 저항(113)만을 경유하는 제1 측정 전류(I1)의 측정 전류값을 측정하여 감지부(110)의 합성 저항값을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측정부(120)는 배터리 팩(1000)의 내부에 누수가 발생하지 않으면, 감지 저항(113)의 감지 저항값과 동일한 감지부(110)의 합성 저항값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정부(120)는 배터리 팩(1000)의 내부에 누수가 발생하지 않으면, 하기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감지부(110)의 합성 저항값을 측정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7084808123-pat00001
여기서, Rc는 감지부(110)의 합성 저항값, Vd는 측정 전압의 측정 전압값 및 I3는 감지 저항(113)만을 경유하는 제1 측정 전류의 측정 전류값이다.
반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팩(1000)의 내부에 누수가 발생하면, 제1 감지 단자(111)와 제2 감지 단자(112)는 누수 용액에 침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지부(110)의 회로 구성에서 제1 감지 단자(111)와 제2 감지 단자(112)는 단락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측정부(120)는 감지 저항(113)을 우회하여 제1 감지 단자(111)와 제2 감지 단자(112)만을 경유하는 제2 측정 전류(I2)의 측정 전류값을 측정하여 감지부(110)의 합성 저항값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측정부(120)는 배터리 팩(1000)의 내부에 누수가 발생하면, 저항값이 0Ω에 근사하는 제1 감지 단자(111)와 제2 감지 단자(112)가 직렬 연결된 회로의 합성 저항값과 동일한 감지부(110)의 합성 저항값을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측정부(120)는 0Ω에 근사하는 감지부(110)의 합성 저항값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정부(120)는 배터리 팩(1000)의 내부에 누수가 발생하지 않으면, 하기의 수학식 2를 이용하여 감지부(110)의 합성 저항값을 측정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17084808123-pat00002
여기서, Rc는 감지부(110)의 합성 저항값, Vd는 측정 전압의 측정 전압값 및 I2는 제1 감지 단자(111), 누수 용액 및 제2 감지 단자(112)를 차례로 경유하는 제2 측정 전류의 측정 전류값이다.
이러한, 상기 측정부(120)는 측정 전압을 감지부(110)에 인가하기 위한 측정 전압 공급 모듈, 감지부(110)에 인가된 측정 전압으로 인해 감지부(110)에 흐르는 측정 전류의 측정 전류값을 측정하는 전류 측정 모듈 및 측정 전압값과 측정 전류값을 이용하여 감지부(110)의 합성 저항값을 측정 또는 산출하는 산출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술된 측정 전압 모듈은 측정 전압을 인가할 수 있는 한, 그 종류는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술된 전류 측정 모듈은 측정 전류의 측정 전류값을 측정할 수 있는 한, 그 종류는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술된 산출 모듈은 측정 전압값과 측정 전류값을 이용하여 감지부(110)의 합성 저항값을 측정 또는 산출할 수 있는 한, 그 종류는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어부(130)는 감지부(110)의 합성 저항값이 제1 기준 저항값 범위 및 제2 기준 저항값 범위 중 하나 이상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배터리 팩(1000)의 누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30)는 감지부(110)의 합성 저항값이 제1 기준 저항값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 합성 저항값이 제1 기준 저항값 범위에 포함되면, 배터리 팩(1000)에 누수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감지부(110)의 합성 저항값이 제2 기준 저항값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 합성 저항값이 제2 기준 저항값 범위에 포함되면, 배터리 팩(1000)에 누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배터리 팩의 누수가 발생하기 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의 감지부의 합성 저항값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를 더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30)는 감지 저항(113)의 감지 저항값(Rd)을 기준으로 제1 기준 저항값 범위(Rr1)를 설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30)는 측정부(120)로부터 측정되거나 미리 설정된 감지 저항(113)의 감지 저항값(Rd)을 중심값으로 미리 설정된 제1 오차율(R1)을 가감하여 제1 기준 저항값 범위(Rr1)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30)는 감지 저항(113)의 저항값이 1MΩ이고, 미리 설정된 제1 오차율(R1)이 10%인 경우, 감지 저항(113)의 저항값 1MΩ에 미리 설정된 제1 오차율(R1) 10%를 가산한 1.01MΩ을 제1 기준 저항값 범위(Rr1)의 최대 저항값으로 설정하고, 감지 저항(113)의 저항값 1MΩ에 미리 설정된 제1 오차율(R1) 10%를 감산한 0.99MΩ을 제1 기준 저항값 범위(Rr1)의 최소 저항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130)는 배터리 팩(1000)에 누수가 발생하지 않으면, 이상적으로 감지부(110)의 합성 저항값이 감지 저항(113)의 감지 저항값(Rd)과 동일하게 측정되지만, 감지 저항(113)의 실험 저항값과 실제 저항값 간의 오차와 감지부(110) 및 측정부(120) 내의 내부 저항들로 인한 오차를 감안하여 감지 저항(113)의 저항값(Rd)을 기준으로 제1 기준 저항값 범위(Rr1)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110)의 합성 저항값(Rc)이 제1 기준 저항값 범위(Rr1)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배터리 팩(1000)에 누수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6은 배터리 팩의 누수가 발생한 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의 감지부의 합성 저항값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을 더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30)는 0Ω을 기준으로 제2 기준 저항값 범위(Rr2)를 설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기준 저항값 범위(Rr2)의 최소 저항값(R2)를 0Ω으로 설정하고, 제2 기준 저항값 범위(Rr2)의 최소 저항값(R2)에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저항값(R3)를 가산하여 제2 기준 저항값 범위(Rr2)의 최대 저항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30)는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저항값(R3)이 3Ω인 경우, 우선 제2 기준 저항값 범위(Rr2)의 최소 저항값(R2)을 0Ω으로 설정하고, 제2 기준 저항값 범위(Rr2)의 최소 저항값(R2) 0Ω에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저항값(R3) 3Ω을 가산한 3Ω을 제2 기준 저항값 범위(Rr2)의 최대 저항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130)는 배터리 팩(1000)에 누수가 발생하면, 이상적으로 제1 감지 단자(111)와 제2 감지 단자(112)가 누수 용액에 침수되어 쇼트가 발생함으로써, 감지부(110)의 합성 저항값이 0Ω으로 측정되지만, 감지 저항(113)의 실험 저항값과 실제 저항값 간의 오차와 감지부(110) 및 측정부(120) 내의 내부 저항들로 인한 오차를 감안하여 감지 저항(113)의 저항값(Rd)을 0Ω을 기준으로 제2 기준 저항값 범위(Rr2)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110)의 합성 저항값(Rc)이 제1 기준 저항값 범위(Rr1)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배터리 팩(1000)에 누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하, 누수 감지 장치(100)가 배터리 팩(1000)에 누수가 발생한 이후, 제1 감지 단자(111) 및 제2 감지 단자(112) 중 하나 이상에 피막이 형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배터리 팩의 누수가 발생한 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의 제1 감지 단자와 제2 감지 단자에 피막이 형성된 상태의 회로 구성과 배터리 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배터리 팩의 누수가 발생한 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의 제1 감지 단자와 제2 감지 단자에 피막이 형성된 경우, 감지부의 합성 저항값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 및 도 8을 더 참조하면, 상기 측정부(120)는 제1 감지 단자(111)와 제2 감지 단자(112)에 피막이 형성된 이후, 감지부(110)의 합성 저항값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감지 단자(111)와 제2 감자 단자는 배터리 팩(1000)에 누수가 발생하면 누수 용액에 침수되고, 감지부(110)에 인가된 측정 전압으로 인해 제2 측정 전류(I2)가 누수 용액을 통해 흐를 수 있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수 용액에 전류가 지속하여 흐르게 되면, 누수 용액에 포함된 이온(E1)들이 전기 반응을 일으켜 배터리 팩(1000)의 내부 중 하부 공간에 침전물(E2)로 침전되거나, 제1 감지 단자(111)와 제2 감자 단자의 침수 부위에 피막(E3, E4)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감지 단자(111)와 제2 감지 단자(112)에 형성된 피막(E3, E4)은 저항 성분을 가짐으로써, 제1 감지 단자(111), 제1 감지 단자(111)에 형성된 피막(E3), 누수 용액, 제2 감지 단자(112)에 형성된 피막(E4) 및 제2 감지 단자(112)로 구성된 회로의 합성된 저항값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지부(110)에 인가된 측정 전압으로 인해 측정부(120)에서 감지부(110)를 향해 흐르는 제3 측정 전류(I3)는 감지 저항(113)을 향해 흐르는 제4 측정 전류(I4)와 제1 감지 단자(111)를 향해 흐르는 흐르는 제5 측정 전류(I5)로 분기할 수 있다.
이후, 제5 측정 전류(I5)는 제1 감지 단자(111), 제1 감지 단자(111)에 형성된 피막(E3), 누수 용액, 제2 감지 단자(112)에 형성된 피막(E4) 및 제2 감지 단자(112)를 차례로 거쳐 흐를 수 있다.
최종적으로, 제4 측정 전류(I4)와 제5 측정 전류(I5)는 측정부(120) 및 제2 감지 단자(112)를 연결하는 배선과 감지 저항(113)의 타단이 연결되는 노드에서 제3 측정 전류(I3')로 다시 합쳐질 수 있다.
상기 측정부(120)는 감지부(110)에 입력되어 제4 측정 전류(I4)와 제5 측정 전류(I5)로 분기된 후 다시 합쳐져 출력되는 제3 측정 전류(I3, I3')의 측정 전류값을 측정하여 감지부(110)의 합성 저항값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정부(120)는 배터리 팩(1000)의 내부에 누수가 발생하고, 제1 감지 단자(111)와 제2 감지 단자(112)에 피막(E3, E4)이 형성되면, 하기의 수학식 3을 이용하여 감지부(110)의 합성 저항값을 측정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112017084808123-pat00003
여기서, Rc는 감지부(110)의 합성 저항값, Vd는 측정 전압의 측정 전압값 및 I3는 감지 저항(113)과 피막이 형성된 제1 감지 단자(111) 및 제2 감지 단자(112)로 분기된 후 다시 합쳐지는 제3 측정 전류의 측정 전류값이다.
여기서, 상기 측정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감지 단자(111) 및 제2 감지 단자(112)에 저항 성분을 갖는 피막이 형성되면 제1 감지 단자(111), 제1 감지 단자(111)에 형성된 피막(E3), 누수 용액, 제2 감지 단자(112)에 형성된 피막(E4) 및 제2 감지 단자(112)가 직렬로 연결된 회로의 합성된 피막 저항값과 감지 저항(113)의 감지 저항값(Rd)이 합성된 저항값을 감지부(110)의 합성 저항값으로 측정할 수 있다.
즉, 제1 감지 단자(111) 및 제2 감지 단자(112)에 저항 성분을 갖는 피막이 형성된 경우, 상기 측정부(120)로부터 측정되는 감지부(110)의 합성 저항값은 하기의 수학식 4로 표현할 수 있다.
<수학식 4>
Figure 112017084808123-pat00004
여기서, Rc는 감지부(110)의 합성 저항값, Vd는 측정 전압의 측정 전압값, I3는 감지 저항(113)과 피막이 형성된 제1 감지 단자(111) 및 제2 감지 단자(112)로 분기된 후 다시 합쳐지는 제3 측정 전류의 측정 전류값, Rd는 감지 저항(113)의 감지 저항값 및 Re는 제1 감지 단자(111), 제1 감지 단자(111)에 형성된 피막(E3), 누수 용액, 제2 감지 단자(112)에 형성된 피막(E4) 및 제2 감지 단자(112)가 직렬로 연결된 회로의 합성된 피막 저항값이다.
이에 따라, 배터리 팩(1000)에 누수가 발생하고, 제1 감지 단자(111) 및 제2 감지 단자(112)에 피막이 형성된 경우, 상기 측정부(120)로부터 측정되는 감지부(110)의 합성 저항값은 제1 기준 저항값 범위(Rr1)와 제2 기준 저항값 범위(Rr2)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130)는 합성 저항값이 제1 기준 저항값 및 제2 기준 저항값 범위(Rr2)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배터리 팩(1000)의 누수 여부뿐만 아니라, 제1 감지 단자(111) 및 제2 감지 단자(112)에 피막이 형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30)는 합성 저항값(Rc)이 제1 기준 저항값 범위(Rr1) 및 제2 기준 저항값 범위(Rr2)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 저항값(Rc)이 제1 기준 저항값 범위(Rr1) 및 제2 기준 저항값 범위(Rr2)에 모두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배터리 팩(1000)에 누수가 발생했을 뿐만 아니라, 제1 감지 단자(111) 및 제2 감지 단자(112)에 피막(E3, E4)이 형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30)는 배터리 팩(1000)에 누수가 발생했는지 여부와 제1 감지 단자(111) 및 제2 감지 단자(112)에 피막이 형성됐는지 여부의 판단 결과를 유선 통신 및 무선 통신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BMS(20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유선 통신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및 FlexRay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는 유선 통신일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은 WLAN(Wireless LAN)(Wi-Fi),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및 ZigBee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제1 감지 단자(111) 및 제2 감지 단자(112)에 피막(E3, E4)이 형성되어 저항 성분이 발생하는 경우, 측정부(120)로부터 측정되는 감지부(110)의 합성 저항값(Rc)이 제2 기준 저항값 범위(Rr2)를 벗어나게 되어 배터리 팩(1000)에 누수가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배터리 팩(1000)에 누수가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누수 감지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배터리 팩의 누수가 발생한 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의 제1 감지 단자와 제2 감지 단자가 누수 용액에 침수되지 않은 상태의 회로 구성과 배터리 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배터리 팩의 누수가 발생한 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의 제1 감지 단자와 제2 감지 단자가 누수 용액에 침수된 상태와 침수되지 않은 상태를 반복하는 경우, 감지부의 합성 저항값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9 및 도 10을 더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도 3 및 도 4의 100) 대비, 제어부(130)가 판단하는 항목이 추가될 뿐 다른 구성 요소의 구조와 역할은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100)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1000)은 자동차에 포함되어 전력을 모터에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100)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1000)은 자동차가 움직임에 따라 함께 움직일 수 있고, 배터리 팩(1000)의 케이스 내부로 누수된 누수 용액 또한 케이스 내부에서 유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100)의 제1 감지 단자(111) 및 제2 감지 단자(11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가 움직임에 따라 누수 용액에 침수되지 않은 상태와 누수 용액에 침수된 상태를 반복할 수 있다.
상술된 도 3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감지 단자(111) 및 제2 감지 단자(112)가 누수 용액에 침수되지 않은 경우, 배터리 팩(1000)에 누수가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측정부(120)는 제1 기준 저항값 범위(Rr1)에 포함되는 감지부(110)의 합성 저항값을 측정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자동차가 움직임에 따라 누수 용액에 침수되지 않은 상태와 누수 용액에 침수된 상태를 반복함으로써,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정부(120)는 제1 기준 저항값 범위(Rr1)에 포함되는 감지부(110)의 합성 저항값(Rc)과 제2 기준 저항값 범위(Rr2)에 포함되는 감지부(110)의 합성 저항값(Rc)을 번갈아가며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30)는 감지부(110)의 합성 저항값(Rc)의 변화에 대응하여 배터리 팩(1000)의 누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30)는 감지부(110)의 합성 저항값(Rc)이 제2 기준 저항값 범위(Rr2)에 포함된 이후,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시간 내에 상기 제1 기준 저항값 범위(Rr1)에 포함되거나, 감지부(110)의 합성 저항값(Rc)이 제1 기준 저항값 범위(Rr1)에 포함된 이후,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시간 내에 제2 기준 저항값 범위(Rr2)에 포함되면, 배터리 팩(1000)에 누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30)는 제1 기준 시간 이내에 감지부(110)의 합성 저항값(Rc)이 제1 기준 저항값 범위(Rr1) 및 제2 기준 저항값 범위(Rr2) 간에 변경되면, 감지부(110)의 합성 저항값이 제1 기준 저항값 범위(Rr1)에 포함되었음에도 배터리 팩(1000)에 누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누수 감지 장치(100)는 자동차에 포함된 배터리 팩(1000)에 누수가 발생하여 누수 용액에 유동하더라도 정확하게 누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누수 감지 장치(100)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1000)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배터리 팩의 누수가 발생하고, 제1 감지 단자와 제2 감지 단자에 피막이 형성된 후,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의 제1 감지 단자와 제2 감지 단자가 누수 용액에 침수되지 않은 상태의 회로 구성과 배터리 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은 배터리 팩의 누수가 발생하고, 제1 감지 단자와 제2 감지 단자에 피막이 형성된 후,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의 제1 감지 단자와 제2 감지 단자가 누수 용액에 침수된 상태와 침수되지 않은 상태를 반복하는 경우, 감지부의 합성 저항값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1 및 도 12를 더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도 3 및 도 4의 100) 대비, 제어부(130)가 판단하는 항목이 추가될 뿐 다른 구성 요소의 구조와 역할은 동일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100)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1000)은 자동차에 포함되어 전력을 모터에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100)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1000)은 자동차가 움직임에 따라 함께 움직일 수 있고, 배터리 팩(1000)의 케이스 내부로 누수된 누수 용액 또한 케이스 내부에서 유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100)의 제1 감지 단자(111) 및 제2 감지 단자(112)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가 움직임에 따라 누수 용액에 침수되지 않은 상태와 누수 용액에 침수된 상태를 반복할 수 있다.
상술된 도 4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감지 단자(111) 및 제2 감지 단자(112)가 누수 용액에 침수되지 않은 경우, 배터리 팩(1000)에 누수가 발생하고, 제1 감지 단자(111)와 제2 감지 단자(112)에 피막(E3, E4)이 형성?瑛슴〉? 불구하고 상기 측정부(120)는 제1 기준 저항값 범위(Rr1)에 포함되는 감지부(110)의 합성 저항값(Rc)을 측정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자동차가 움직임에 따라 누수 용액에 침수되지 않은 상태와 누수 용액에 침수된 상태를 반복함으로써,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정부(120)는 제1 기준 저항값 범위(Rr1)에 포함되는 감지부(110)의 합성 저항값(Rc)과 제1 기준 저항값 범위(Rr1) 및 제2 기준 저항값 범위(Rr2)에 포함되는 감지부(110)의 합성 저항값(Rc)을 번갈아가며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30)는 감지부(110)의 합성 저항값(Rc)의 변화에 대응하여 배터리 팩(1000)의 누수 여부와 제1 감지 단자(111) 및 제2 감지 단자(112)에 피막(E3, E4)이 형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30)는 감지부(110)의 합성 저항값(Rc)이 제1 기준 저항값 범위(Rr1) 및 제2 기준 저항값 범위(Rr2)에 포함되지 않은 이후,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시간 내에 제1 기준 저항값 범위(Rr1)에 포함되거나, 감지부(110)의 합성 저항값(Rc)이 제1 기준 저항값 범위(Rr1)에 포함된 이후, 제1 기준 저항값 범위(Rr1) 및 제2 기준 저항값 범위(Rr2)에 포함되지 않으면, 배터리 팩(1000)에 누수가 발생하고 제1 감지 단자(111) 및 제2 감지 단자(112) 중 하나 이상에 피막(E3, E4)이 형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30)는 제1 기준 시간 이내에 감지부(110)의 합성 저항값(Rc)이 제1 기준 저항값 범위(Rr1) 및 제2 기준 저항값 범위(Rr2) 외의 범위와 제1 기준 저항값 범위(Rr1) 간에 변경되면, 감지부(110)의 합성 저항값(Rc)이 제1 기준 저항값 범위(Rr1)에 포함되었음에도 배터리 팩(1000)에 누수가 발생하고 제1 감지 단자(111) 및 제2 감지 단자(112) 중 하나 이상에 피막(E3, E4)이 형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누수 감지 장치(100)는 자동차에 포함된 배터리 팩(1000)에 누수가 발생하여 누수 용액에 유동하고, 제1 감지 단자(111) 및 제2 감지 단자(112)에 피막(E3, E4)이 형성되더라도 정확하게 누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BMS, 배터리 모듈, 배터리 모듈을 수납하기 위한 케이스, 카트리지 및 버스바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상술된 누수 감지 장치를 더 포함하여 배터리 팩 내의 누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는,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은 자동차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는, 본 발명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0: 배터리 팩
100: 누수 감지 장치
110: 감지부
111: 제1 감지 단자 112: 제2 감지 장치
113: 감지 저항
120: 측정부
130: 제어부
200: BMS

Claims (11)

  1. 배터리 팩 내부의 누수를 감지하는 누수 감지 장치에 있어서,
    제1 감지 단자, 제2 감지 단자 및 상기 제1 감지 단자와 상기 제2 감지 단자 사이에 연결된 감지 저항을 구비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의 합성 저항값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합성 저항값이 중복되지 않은 제1 기준 저항값 범위 또는 제2 기준 저항값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 팩의 누수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합성 저항값이 상기 제1 기준 저항값 범위 및 상기 제2 기준 저항값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배터리 팩에 누수가 발생하고, 상기 제1 감지 단자 및 상기 제2 감지 단자 중 하나 이상에 피막이 형성된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감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합성 저항값이 상기 제1 기준 저항값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 상기 합성 저항값이 상기 제1 기준 저항값 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배터리 팩에 누수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누수 감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합성 저항값이 상기 제2 기준 저항값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 상기 합성 저항값이 상기 제2 기준 저항값 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배터리 팩에 누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누수 감지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감지 저항의 감지 저항값을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저항값에 기초하여 제1 기준 저항값 범위를 설정하는 누수 감지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준 저항값 범위의 최소 저항값은 0Ω인 누수 감지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합성 저항값의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배터리 팩의 누수 여부와 상기 제1 감지 단자 및 제2 감지 단자 중 하나 이상에 피막이 형성되었는지 여부 중 하나 이상을 판단하는 누수 감지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합성 저항값이 상기 제2 기준 저항값 범위에 포함된 이후,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시간 내에 상기 제1 기준 저항값 범위에 포함되거나, 상기 합성 저항값이 상기 제1 기준 저항값 범위에 포함된 이후, 상기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시간 내에 상기 제2 기준 저항값 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배터리 팩에 누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누수 감지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합성 저항값이 상기 제1 기준 저항값 범위 및 상기 제2 기준 저항값 범위에 포함되지 않은 이후,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시간 내에 상기 제1 기준 저항값 범위에 포함되거나, 상기 합성 저항값이 상기 제1 기준 저항값 범위에 포함된 이후, 상기 제1 기준 저항값 범위 및 상기 제2 기준 저항값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배터리 팩에 누수가 발생하고 상기 제1 감지 단자 및 상기 제2 감지 단자 중 하나 이상에 피막이 형성된 것으로 판단하는 누수 감지 장치.
  10.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11.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
KR1020170111345A 2017-08-31 2017-08-31 누수 감지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KR102324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345A KR102324254B1 (ko) 2017-08-31 2017-08-31 누수 감지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345A KR102324254B1 (ko) 2017-08-31 2017-08-31 누수 감지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391A KR20190024391A (ko) 2019-03-08
KR102324254B1 true KR102324254B1 (ko) 2021-11-08

Family

ID=65800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345A KR102324254B1 (ko) 2017-08-31 2017-08-31 누수 감지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42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5901B1 (ko) 2023-07-06 2023-09-07 주식회사 한중엔시에스 누수 감지 장치
KR102596479B1 (ko) 2023-07-10 2023-10-31 주식회사 한중엔시에스 누수 감지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1676A (ko) * 2004-04-19 2005-10-25 학교법인 성균관대학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부식감지용 센서 및 시스템
US20120251859A1 (en) * 2011-03-31 2012-10-04 Lg Chem, Ltd. Battery pack having liquid leak detection system
KR101306506B1 (ko) * 2011-09-21 2013-09-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침수 검출 회로 및 이를 이용한 침수 검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5901B1 (ko) 2023-07-06 2023-09-07 주식회사 한중엔시에스 누수 감지 장치
KR102596479B1 (ko) 2023-07-10 2023-10-31 주식회사 한중엔시에스 누수 감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391A (ko) 201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86373B (zh) 一种电池充电方法和装置
US10067176B2 (en) Insulation resistance measuring device and method capable of rapidly measuring insulation resistance
US11054480B2 (en) Electrical load for electronic battery tester and electronic battery tester including such electrical load
KR102636361B1 (ko) 배터리 제어 장치 및 배터리 제어 시스템
US8507117B2 (en)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ssembled battery, vehicle, battery-equipped device, battery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deterioration of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JP4293942B2 (ja) 電動車両用漏電検出回路および電動車両用漏電検出方法
JP6260812B2 (ja) 電池残存容量推定装置、電池残存容量判定方法及び電池残存容量判定プログラム
JP6101714B2 (ja) 電池制御装置、電池システム
CN104051759B (zh) 估计多电压燃料电池系统中的冷却剂电导率
US20130314049A1 (en) Battery cell temperature detection
Baghdadi et al. Electro-thermal model of lithium-ion batteries for electrified vehicles applications
CN107749444B (zh) 电池组模块和用于监测电池组模块的方法
KR102324254B1 (ko) 누수 감지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JP6054000B2 (ja) 電池パックの絶縁抵抗を決定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1118775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SOC of battery
US11152652B2 (en) Fast and precise detection of an internal short circuit on a lithium-ion battery
EP3828568A1 (en) Battery management device, battery management method and battery pack
CN110495046A (zh) 用于估计电池的温度的装置和方法
CN106537165A (zh) 用于测量具有多个电池组模块的电池组的电流的方法和设备
US20150153415A1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Internal OHMIC Resistance of a Battery Module,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Motor Vehicle
JP2006100005A (ja) 燃料電池の漏電検出装置
CN111044909B (zh) 电池的状态预测方法及装置
EP3805768A1 (en)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battery management method, and battery pack
Schmid et al. Electrochemical balancing of lithium-ion cells by nickel-based cells
CN104360281A (zh) 一种基于移动终端的电池识别方法、系统及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