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4212B1 - 나선형 이송장치용 지지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나선형 이송장치용 지지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4212B1
KR102324212B1 KR1020190038815A KR20190038815A KR102324212B1 KR 102324212 B1 KR102324212 B1 KR 102324212B1 KR 1020190038815 A KR1020190038815 A KR 1020190038815A KR 20190038815 A KR20190038815 A KR 20190038815A KR 102324212 B1 KR102324212 B1 KR 102324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member
circumferential surface
support assembly
ring
spi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8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7128A (ko
Inventor
이광열
Original Assignee
이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열 filed Critical 이광열
Priority to KR1020190038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4212B1/ko
Publication of KR20200117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7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4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4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24Details
    • B65G33/32Adaptations of bearings or couplings for supporting and connecting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24Details
    • B65G33/26Screws
    • B65G33/265Screws with a continuous helical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5Screw-conveyors
    • B65G2812/0505Driving means, constitutive elements or auxiliar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Screw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나선형 이송장치의 지지어셈블리는 제1링부재와 제2링부재와 복수의 볼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특히 상기 제1링부재와 제2링부재는 내부가 빈 링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그의 내측 개방 부위로 이송물이 통과되도록 함과 더불어 이송스크류를 통해 상기 내측 개방 부위로의 안내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조립 및 유지보수가 쉬우면서도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나선형 이송장치용 지지어셈블리{supporting assembly for screw type transfering}
본 발명은 나선형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나선형으로 이루어지는 이송스크류의 끝단측에 대한 지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이 지지 부위를 지나는 이송 대상물의 이송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나선형 이송장치용 지지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송장치는 각종 이송 대상물을 어느 한 방향 혹은, 어느 한 위치로 이송(또는, 운반)하도록 제공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이송 대상물은 전자 제품 등과 같은 통상의 중량물이나 경량물이 될 수도 있고, 공작기계의 절삭가공 도중 발생되는 칩(chip)이나, 탈곡한 콩, 옥수수, 벼 등과 같은 각종 곡물 및 분쇄된 음식물쓰레기 등과 같이 다양한 칩 형태의 이송물이 될 수도 있다.
상기 각종 칩 형태의 이송물에 대한 이송은 통상 스크류형의 회전축이 구비된 컨베이이어 구조의 이송장치가 주로 사용되며, 이러한 스크류형 회전축의 회전 동작에 의해 이송물이 순차적이면서도 점진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이송장치의 스크류형 회전축은 그의 회전에 따른 떨림을 최소화하기 위한 다양한 지지 구조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에 관련하여는 등록특허 제10-1273443호, 공개실용신안 20-2000-0014033호, 등록특허 제10-1573254호에 제시되고 있는 바와 같다.
그러나,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이송장치는 스크류형 회전축의 양측 끝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이루어지기 때문에 해당 스크류형 회전축의 양 끝단에서는 이송물에 대한 이송이 사실상 이루어지지 못하였고, 이로 인해 상기 스크류형 회전축의 내측 부위에서만 이송물이 이송되도록 구성할 수밖에 없었던 설계상의 한계가 있었다.
특히, 이송물의 이송 경로가 단순히 어느 한 방향인 경우가 아니라 공작기계의 절삭칩 배출과 같이 경사 방향을 향해 연장되도록 이루어지면서 해당 연장 방향으로 이송물을 배출하는 구조의 이송스크류는 이 배출측에 대한 지지가 사실상 이루어지지 못하였으며, 이로 인해 상기 배출측 끝단의 지지가 불안정하여 흔들림이 발생되고, 이러한 이송스크류의 회전시 흔들림으로 인해 이송물이 원활히 이송되지 않아 부분적으로 이송물이 정체되는 현상이 잦았던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종래에는 상기한 문제점 해소를 위해 상기 이송스크류의 타측 끝단을 지지하는 다양한 지지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많은 노력이 있었다.
하지만, 별도의 지지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한 이송스크류의 끝단을 파지하여 지지할 경우 해당 부위를 통과 혹은, 경유하는 이송물의 이송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함에 따라 사실상 그 적용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특히, 이송 경로가 변경되는 벤딩 부위 혹은, 이송이 완료되는 배출측 부위에 상기한 지지 구조가 적용될 경우에는 이송물의 정체가 더욱 클 수밖에 없었던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1273443호 공개실용신안 20-2000-0014033호 등록특허 제10-1573254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나선형으로 이루어지는 이송스크류의 끝단측에 대한 지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그 지지 부위를 이송 대상물이 원활히 통과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나선형 이송장치용 지지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나선형 이송장치용 지지어셈블리에 따르면 내부가 개방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 중 어느 한 측 부위는 다른 한 측 부위로부터 단턱지도록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축경단으로 형성된 제1링부재; 내부가 개방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링부재의 축경단 외주면을 덮도록 형성된 제2링부재; 상기 제1링부재의 축경단과 제2링부재의 내주면 간 대향면에 구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볼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링부재 및 제2링부재 중 어느 한 링부재는 그의 둘레면이 고정체에 고정 설치됨과 더불어 다른 한 링부재는 이송스크류가 결합되면서 상기 이송스크류와 함께 회전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송스크류는 내부가 빈 나선형의 코일로 형성되고, 상기 이송스크류 중 상기 다른 한 링부재에 결합되는 끝단은 해당 이송스크류가 이루는 축 방향과는 수직한 방향으로 절개되어 단면이 직사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다른 한 링부재의 외측면에 면접촉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링부재의 축경단 외주면 및 이에 대향되는 제2링부재의 내주면에는 상기 볼부재가 안착되도록 안착홈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은 상기 볼부재의 1/3 내지 1/2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함께, 상기 제1링부재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링부재의 안착홈이 형성된 부위에 이르기까지 관통되면서 상기 볼부재를 삽입하는 삽입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은 폐쇄덮개로 폐쇄될 수 있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링부재의 외주면 중 어느 한 부위에는 체결홈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은 하나만 형성되거나 혹은, 둘 이상 복수가 상기 제2링부재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나선형 이송장치용 지지어셈블리는 나선형으로 이루어진 이송스크류의 회전시 상기 이송스크류가 흔들리는 등의 문제점이 방지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나선형 이송장치용 지지어셈블리는 제2링부재의 외주면이 고정체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짐과 더불어 나선형의 이송스크류는 그 축 방향과는 수직한 방향으로 절개되도록 이루어지면서 제1링부재의 외측면에 면접촉되어 고정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안정적인 연결 구조의 유지가 가능하게 됨과 더불어 상기 이송스크류를 따라 이송되는 이송물이 각 링부재의 내측 개방 부위로 원활히 유동되면서 통과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나선형 이송장치용 지지어셈블리는 볼부재에 의해 제1링부재와 제2링부재 간의 결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볼부재는 제1링부재의 내주면을 통해 두 링부재 간의 사이에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안정적인 결합 유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이송장치의 지지어셈블리에 이송스크류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서로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이송장치의 지지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서로 다른 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이송장치의 지지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이송장치의 지지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이송장치의 지지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이송장치의 지지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이송장치의 지지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결합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나선형 이송장치용 지지어셈블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이송장치의 지지어셈블리에 이송스크류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서로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이송장치의 지지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서로 다른 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이송장치의 지지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이송장치의 지지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이송장치의 지지어셈블리(이하, “지지어셈블리”라 함)는 크게 제1링부재(100)와 제2링부재(200)와 복수의 볼부재(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특히 상기 제1링부재(100)와 제2링부재(200)는 내부가 빈 링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그의 내측 개방 부위로 이송물이 통과되도록 함과 더불어 이송스크류(400)를 통해 상기 내측 개방 부위로의 안내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조립 및 유지보수가 쉬우면서도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제1링부재(100)는 지지어셈블리의 어느 일단 부위를 형성하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1링부재(100)는 내부가 개방된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링부재(100)의 외주면 중 어느 한 측 부위에는 다른 한 측 부위로부터 단턱질 수 있게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축경단(110)이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축경단(110)의 외주면에는 해당 축경단(1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내측안착홈(120)이 형성된다. 상기 내측안착홈(120)은 후술될 볼부재(300)가 안착되는 부위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2링부재(200)는 지지어셈블리의 다른 일단 부위를 형성하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 즉, 상기 제2링부재(200)는 상기 제1링부재(100)와 함께 지지어셈블리의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제2링부재(200)는 내부가 개방된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링부재(200)의 내주면 중 어느 한 측 부위(제1링부재와의 결합 부위)에는 다른 한 측 부위로부터 단턱지면서 상기 제1링부재(100)의 축경단(110) 외주면을 덮도록 상대적으로 내경이 큰 확경단(210)이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확경단(210)의 내주면에는 해당 확경단(2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외측안착홈(22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외측안착홈(220)은 제2링부재(200)를 제1링부재(100)에 결합할 경우 상기 제1링부재(100)의 내측안착홈(120) 위치와 일치되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내측안착홈(120) 및 외측안착홈(220)은 각각 볼부재(300)의 1/3 내지 1/2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면서 제1링부재(100)와 제2링부재(200)의 결합시 상기 각 안착홈(120,220) 사이에 위치되는 볼부재(300)들로 인해 상기 제1링부재(100)로부터 제2링부재(200)가 분리됨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링부재(200)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2링부재(200)의 외측안착홈(220)이 형성된 부위에 이르기까지 관통되면서 볼부재(300)를 삽입하는 삽입홀(230)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홀(230)은 폐쇄덮개(240)로 폐쇄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상기 삽입홀(230)을 통해 볼부재(300)가 원치않게 취출됨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볼부재(300)는 상기 제2링부재(200)에 대하여 제1링부재(100)가 원활히 회전되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볼부재(300)는 상기 제1링부재(100)의 축경단(110)과 제2링부재(200)의 확경단(210) 간 대향면에 대응 형성된 각 안착홈(120,220) 내에 구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각각의 볼부재(300)는 상기 제2링부재(2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삽입홀(230)을 통해 상기 각 안착홈(120,220) 내에 순차적으로 안착되도록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지지어셈블리를 이루는 제1링부재(100) 및 제2링부재(200) 중 어느 한 링부재는 그의 둘레면이 고정체(500)(첨부된 도 7 참조)에 고정 설치됨과 더불어 다른 한 링부재는 이송스크류(400)가 결합되면서 상기 이송스크류(400)와 함께 회전되도록 이루어짐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고정체(500)는 나선형 이송장치의 주변에 위치되는 고정된 부위로써, 특정 물체가 될 수도 있고, 이송 경로 중의 어느 한 부위가 될 수도 있다.
상기 이송스크류(400)는 내부가 빈 나선형의 코일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이송스크류(400) 중 상기 다른 한 링부재에 결합되는 끝단은 해당 이송스크류(400)가 이루는 축 방향과는 수직한 방향으로 절개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이송스크류(400)의 끝단면을 권선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절개하여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이송스크류(400)의 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절개하여 형성함으로써 그의 끝단면이 직사각형의 단면을 이루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다른 한 링부재의 외측면에 면접촉되면서 결합 고정되도록 하며, 이를 통해 상기 이송스크류(400)를 따라 이송되는 이송물이 상기 다른 한 링부재의 외측면에 막히지 않고 상기 다른 한 링부재의 개방된 내측으로 원활히 통과할 수 있게 유도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어느 한 링부재는 제2링부재(200)이고, 상기 다른 한 링부재는 제1링부재(100) 임을 그 예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링부재(200)의 외주면 중 어느 한 부위에는 체결홈(250)이 요입 형성된다. 이러한 체결홈(250)은 해당 제2링부재(200)를 특정 위치에 고정 설치하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며, 바람직하기로는 나선형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물이 이송되는 경로상의 고정체(500)에 접촉되면서 상기 고정체(500)와 볼트(혹은,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체결홈(250)은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으나, 상기 제2링부재(200)의 외주면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해당 제2링부재(2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둘 이상 복수를 순차적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조립 작업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이송장치용 지지어셈블리의 조립 과정을 순서대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제1링부재(100)와 제2링부재(200) 및 복수의 볼부재(300)를 각각 준비한다.
이의 상태에서 상기 제1링부재(100)의 축경단(110)을 상기 제2링부재(200)의 확경단(210)이 덮어서 서로 결합되도록 한 후 상기 제2링부재(2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삽입홀(230)로 각 볼부재(300)를 순차적으로 삽입하여 상기 축경단(110)과 확경단(120) 간의 대향면에 형성된 외측안착홈(220)과 내측안착홈(120) 간의 대향면 사이에 각각 안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볼부재(300)들의 삽입이 완료된 이후에는 상기 제2링부재(200)의 삽입홀(230)을 폐쇄덮개(240)로 덮어 상기 각 안착홈(120,220) 내에 안착된 볼부재(300)가 상기 삽입홀(230)을 통해 원치않게 취출됨이 방지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제1링부재(100)와 제2링부재(200)는 각 볼부재(300)의 지지를 받아 상대 회전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두 링부재(100,200)와 볼부재들(300) 간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두 링부재(100,200)의 상호 분리 역시 방지된다. 즉, 상기 두 링부재(100,200)는 서로 간의 사이에 위치된 볼부재(300)들에 의해 서로 간의 분리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고 서로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결합된 두 링부재(100,200) 중 제1링부재(100)의 외측면에는 이송스크류(400)의 끝단면을 밀착한 상태로 체결 고정하며, 상기 제2링부재(200)는 그의 외주면에 형성된 체결홈(250)을 고정체(500)에 형성된 체결공(도시는 생략됨)과 일치시킨 상태에서 서로 볼팅 체결하여 고정한다.
결국, 전술된 바와 같이 조립 및 설치되는 본 발명의 나선형 이송장치용 지지어셈블리에 의해 나선형으로 이루어진 이송스크류(400)의 회전시 상기 이송스크류(400)가 흔들리는 등의 문제점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나선형 이송장치용 지지어셈블리는 제2링부재(200)의 외주면이 고정체(500)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짐과 더불어 나선형의 이송스크류(400)는 그 축 방향과는 수직한 방향으로 절개되도록 이루어지면서 제1링부재(100)의 외측면에 면접촉되어 고정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안정적인 연결 구조의 유지가 가능하게 됨과 더불어 상기 이송스크류(400)를 따라 이송되는 이송물이 각 링부재(100,200)의 내측 개방 부위로 원활히 유동되면서 통과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나선형 이송장치용 지지어셈블리는 볼부재(300)에 의해 제1링부재(100)와 제2링부재(200) 간의 결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볼부재(300)는 제1링부재(100)의 내주면을 통해 두 링부재(100,200) 간의 사이에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안정적인 결합 유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나선형 이송장치용 지지어셈블리의 구조에서 볼부재(300)의 삽입을 위한 삽입홀(230)은 상기 제2링부재(200)에만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첨부된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이송장치용 지지어셈블리와 같이 제1링부재(100)의 내주면에 상기 제1링부재(100)의 내측안착홈(120)이 형성된 부위에 이르기까지 관통되는 삽입홀(130)을 형성하고, 이 삽입홀(130)로 볼부재(300)를 삽입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삽입홀(130) 역시 폐쇄덮개(140)로 폐쇄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상기 삽입홀(130)을 통해 볼부재(300)가 원치않게 취출됨이 방지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나선형 이송장치용 지지어셈블리는 이송스크류의 끝단을 지지하는 구조로만 실시되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첨부된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이송장치용 지지어셈블리와 같이 제1링부재(100)의 양단에 서로 다른 두 이송스크류(400)의 끝단이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실상 상기 이송스크류(400)의 중앙측 부위를 지지하는 구조로 이루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의 경우, 상기 제2링부재(200)는 확경단(210)이 제거된 상태로 상기 제1링부재(100)가 상기 제2링부재(200)의 후단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이렇게 노출된 제2링부재(200)의 후단에 또 다른 이송스크류(400)를 결합하도록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이송장치용 지지어셈블리의 구조는 이송스크류(400)가 단순히 코일형으로만 이루어진 구조가 아니라 중앙측으로 샤프트를 갖는 이송스크류의 구조에 적용(도시는 생략됨)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렇듯, 본 발명의 나선형 이송장치용 지지어셈블리는 다양한 적용 및 변형이 가능한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100. 제1링부재 110. 축경단
120. 내측안착홈 200. 제2링부재
210. 확경단 220. 외측안착홈
230. 삽입홀 240. 폐쇄덮개
250. 체결홈 300. 볼부재
400. 이송스크류 500. 고정체

Claims (5)

  1. 내부가 개방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 중 어느 한 측 부위는 다른 한 측 부위로부터 단턱지도록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축경단으로 형성된 제1링부재와, 내부가 개방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링부재의 축경단 외주면을 덮도록 형성된 제2링부재와, 상기 제1링부재의 축경단과 제2링부재의 내주면 간 대향면에 구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볼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링부재 및 제2링부재 중 어느 한 링부재의 둘레면이 고정체에 고정 설치됨과 더불어 다른 한 링부재는 이송스크류가 결합되면서 상기 이송스크류와 함께 회전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1링부재의 축경단 외주면 및 상기 제1링부재의 축경단 외주면에 대향되는 제2링부재의 내주면에는 상기 볼부재가 안착되도록 안착홈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은 상기 볼부재의 1/3 내지 1/2을 수용할 수 있을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제1링부재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링부재의 안착홈이 형성된 부위에 이르기까지 관통되면서 상기 볼부재를 삽입하는 삽입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은 폐쇄덮개로 폐쇄될 수 있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이송장치용 지지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스크류는 내부가 빈 나선형의 코일로 형성되고,
    상기 이송스크류 중 상기 다른 한 링부재에 결합되는 끝단은 해당 이송스크류가 이루는 축 방향과는 수직한 방향으로 절개되어 단면이 직사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다른 한 링부재의 외주면에 면접촉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이송장치용 지지어셈블리.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부재의 외주면 중 어느 한 부위에는 체결홈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은 하나만 형성되거나 혹은, 둘 이상 복수가 상기 제2링부재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이송장치용 지지어셈블리.
KR1020190038815A 2019-04-03 2019-04-03 나선형 이송장치용 지지어셈블리 KR102324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815A KR102324212B1 (ko) 2019-04-03 2019-04-03 나선형 이송장치용 지지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815A KR102324212B1 (ko) 2019-04-03 2019-04-03 나선형 이송장치용 지지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128A KR20200117128A (ko) 2020-10-14
KR102324212B1 true KR102324212B1 (ko) 2021-11-09

Family

ID=72847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8815A KR102324212B1 (ko) 2019-04-03 2019-04-03 나선형 이송장치용 지지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421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443Y1 (ko) * 2015-02-16 2015-06-09 윤영주 칩 이송용 스크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3717A (ja) * 1994-02-09 1995-08-22 Houriyou Sangyo Kk チューブコンベヤ
KR20000014033U (ko) 1998-12-29 2000-07-15 추호석 스크류 컨베이어장치
EP2394067A4 (en) * 2009-02-03 2017-04-05 Leslie Donald Dunn Stub shaft and bearing assembly and conveyor idler roller incorporating same
KR101273443B1 (ko) 2013-03-28 2013-06-11 김용출 폐형광등 스크류 컨베이어의 회전축 지지장치
KR101573254B1 (ko) 2014-04-23 2015-12-11 주로테크 주식회사 스크류 컨베어의 축 씰링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443Y1 (ko) * 2015-02-16 2015-06-09 윤영주 칩 이송용 스크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128A (ko) 202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92686B2 (ja) ローラークレードルおよびモジュラー搬送アセンブリ
KR102105183B1 (ko) 이송스크류
EP2200914B1 (en) Auger conveyors
CN101970863B (zh) 流体转子
CN105228781B (zh) 刀架
KR102324212B1 (ko) 나선형 이송장치용 지지어셈블리
US7556214B2 (en) Cutting assembly
KR102130834B1 (ko) 이송물 이송장치
US4338049A (en) High pressure feeder pivotal center screen
EP1365978B1 (en) Screw conveyor comprising two concentric shaftless screws
CN106516601A (zh) 一种双螺旋直接驱动送料机
WO2009119035A1 (ja) コンバインの脱穀装置
CN107725361B (zh) 涡旋式流体机械
US20180057272A1 (en) Dry granular material feeder/conveyor for near-vertical lifting
KR20200106241A (ko) 나선형 이송장치
KR20210001311A (ko) 이송스크류용 지지장치
WO2006136171A3 (en) Centrifugal decanter
US20150107965A1 (en) Screw element for a screw conveyor
JPH0695922B2 (ja) フィルタ供給装置
JP2001048335A (ja) スクリュウコンベヤ
CN110869583B (zh) 螺旋输送机和盾构掘进机
KR20100108629A (ko) 곡물 이송기용 기어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곡물 이송기
JP6812686B2 (ja) ボールねじ装置
US3144125A (en) Spiral conveyor including disassembly means
KR20180038141A (ko) 제작 및 보수가 용이한 이송 스크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