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4202B1 - 가필터를 갖는 몰드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귀마개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가필터를 갖는 몰드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귀마개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4202B1
KR102324202B1 KR1020210072883A KR20210072883A KR102324202B1 KR 102324202 B1 KR102324202 B1 KR 102324202B1 KR 1020210072883 A KR1020210072883 A KR 1020210072883A KR 20210072883 A KR20210072883 A KR 20210072883A KR 102324202 B1 KR102324202 B1 KR 102324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mold
provisional
silicone
lower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2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세중
Original Assignee
(주)휴코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코넥 filed Critical (주)휴코넥
Priority to KR1020210072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42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4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4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02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39/1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ast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6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 A61F11/08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internal, e.g. earplu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1/00Handling, e.g. 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storage of plastics material before moulding; Automation, i.e. automated handling lines in plastics processing plants, e.g. using manipulators or robots
    • B29C31/008Handling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1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means for positioning inserts, e.g. lab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20Opening, closing or clam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02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39/04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using movable moulds not appli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39/26Moulds or co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58Additional features; Implant or prostheses propert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250/0075Sound-damping or noise-redu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83/00Use of polymers hav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in the main chain, as mould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iophysics (AREA)
  • Robotics (AREA)
  • Psyc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필터를 갖는 몰드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귀마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귓본 형상으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 배합 실리콘이 주조되는 하부 몰드, 맞춤형 귀마개에 필터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배합 실리콘이 경화되기 전 삽입되는 가필터 및 상기 하부 몰드 상단에 위치되고 상기 가필터를 고정시키는 상부 몰드를 포함하는 가필터를 갖는 몰드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귀마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필터를 갖는 몰드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귀마개 제조 방법 {Mold with Temporary Filt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ustomized Earplug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필터를 갖는 몰드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귀마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이개 및 외이도와 동일한 형상을 하고 사용자의 청력에 적합한 필터를 갖는 맞춤형 귀마개를 제조할 수 있는 가필터를 갖는 몰드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귀마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 건설현장 및 작업장 등의 산업현장에서 갖가지 소음들이 발생한다. 이러한 산업 현장의 소음은 작업자에게 난청, 이명 등의 청력문제를 발생시키며 생산효율을 저하시킨다. 이에, 작업자는 외부환경에 따른 소음을 차단하기 위해 단순한 기능의 귀마개를 사용하고 있어 다양한 형태의 작업 환경을 반영하지 못한다. 예컨대, 단순한 소음차단으로 인해서 작업자들 간의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 귀마개를 탈착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경고음 등도 함께 차단되어 위험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귀마개는 실리콘 또는 아크릴 소재를 사용하여 제조되고 있다. 다만, 실리콘 재질의 귀마개는 변형가능하다는 소재의 이점이 있으나 제작과정에서 사람이 직접 자르고 깎아내야 하는 가공비중이 상당히 높다. 그리고 한천 등을 이용해 네거티브 몰드를 제작하여 귀마개를 제조하기 때문에 몰드의 내구성이 낮고, 몰드의 지속적인 사용이 어렵다. 또한, 아크릴 재질의 귀마개 역시 사람이 직접 손으로 깎아야하므로 정밀도가 낮은 귀마개가 생성될 수 있다.그리고 아크릴은 경질의 소재이므로, 사용자가 하악을 움직이게 되면 이도 내부에서 변형하지 않아 불편함을 느낄 수 있고 진동전달이 용이하여 작업장 등에서 사용하기 부적합하다.
이와 관련하여, 관련문헌 1은 소음성 난청 예방용 커스텀 귀마개에 관한 것으로 고음 감쇠효과를 내는 커스텀 연성 실리콘 귀마개를 맞춤 제작하여 사용자의 신체의 구조와 동일한 외이도 구조를 갖고 있으나, 실리콘 재질을 이용한 귀마개를 제작하는 과정에 있어서 수작업으로 인해 정밀한 생산이 불가능하고 사람의 가공비중이 높다보니 대량생산 또는 효율적인 생산이 어렵다.
따라서 맞춤형 귀마개를 제조하기 위한 몰드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귀마개의 제조 방법에 대한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KR 10-188585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필터 교환이 가능한 실리콘 재질의 맞춤형 귀마개를 보다 정밀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상기 배합 실리콘이 경화되기 전 삽입되는 가필터 및 상기 하부 몰드 상단에 위치되고 상기 가필터를 고정시키는 상부 몰드를 구비하는 가필터를 갖는 몰드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귀마개 제조 방법을 얻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필터를 갖는 몰드는 귓본 형상으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 배합 실리콘이 주조되는 하부 몰드; 맞춤형 귀마개에 필터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배합 실리콘이 경화되기 전 삽입되는 가필터; 및 상기 하부 몰드 상단에 위치되고 상기 가필터를 고정시키는 상부 몰드;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필터를 갖는 몰드를 이용한 맞춤형 귀마개 제조 방법은 귓본이 스캔된 후 상기 귓본과 동일한 형상의 메쉬모델이 생성되는 메쉬모델 생성단계; 맞춤형 귀마개에 필터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필터 삽입부와 동일한 형상의 가필터가 생성되는 가필터 생성단계; 상기 메쉬모델 형상으로 공간이 형성되는 하부 몰드와 상기 하부 몰드 상단에 위치되어 상기 가필터를 고정시키는 상부 몰드가 생성되는 몰드 생성단계; 3D 프린터로부터 상기 가필터, 상부 몰드 및 하부 몰드가 출력되는 출력단계; 상기 하부 몰드에 배합비율에 따른 배합 실리콘이 주조되는 주조단계; 상기 상부 몰드와 가필터가 체결된 후 상기 배합 실리콘에 삽입되는 가필터 삽입단계; 상기 배합 실리콘이 경화되면 상기 상부 몰드가 상기 가필터와 분리되고, 상기 가필터가 삽입된 상기 배합 실리콘이 상기 하부 몰드로부터 분리되는 분리단계; 및 경화된 상기 배합 실리콘으로부터 상기 가필터가 분리되어 상기 필터 삽입부가 포함된 상기 맞춤형 귀마개가 형성되는 형성단계;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상기 필터 삽입부에 사용자의 청력에 최적화된 필터를 삽입할 수 있고, 차후 외부환경의 소음의 주파수에 따라서 필터를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몰드에 고정된 가필터가 위치했던 곳에 상기 필터 삽입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필터가 상기 필터 삽입부 내에서 움직이지 않아 추가적인 잡음 및 소음이 발생하지 않고, 가장 차음이 잘되는 부분에 필터가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 몰드가 하부 몰드의 레일을 따라 전 후진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하부 몰드 내부 일측면과 상부 몰드의 일측이 맞닿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배합 실리콘에 삽입된 상기 가필터에 가해지는 외력을 최소화하면서 상부 몰드와 가필터가 분리될 수 있고, 가필터를 위치시키고자 하는 자리에 매번 정확하게 위치하게 하여 보다 정밀한 맞춤형 귀마개 제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필터를 갖는 몰드의 사시도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몰드(a) 및 가필터가 체결된 상부 몰드(b)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 삽입부가 포함된 맞춤형 귀마개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가필터를 갖는 몰드를 이용한 맞춤형 귀마개 제조 방법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가필터를 갖는 몰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필터를 갖는 몰드(1000)의 사시도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몰드(1300)(a) 및 가필터(1200)가 체결된 상부 몰드(1300)(b)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 삽입부(3100)가 포함된 맞춤형 귀마개(3000)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1을 보면, 본원발명의 가필터를 갖는 몰드(1000)는 하부 몰드(1100), 가필터(1200) 및 상부 몰드(130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 몰드(1100)는 귓본(2000) 형상으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 배합 실리콘이 주조된다. 상기 가필터(1200)는 맞춤형 귀마개(3000)에 필터 삽입부(3100)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배합 실리콘이 경화되기 전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몰드(1300)는 상기 하부 몰드(1100) 상단에 위치되고 상기 가필터(1200)를 고정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 몰드(1100)는 양쪽 귀에 착용할 수 있는 상기 맞춤형 귀마개(3000)를 생성하기 위한 것임으로 오른쪽 귀 및 왼쪽 귀의 귓본(2000) 형상으로 공간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몰드(1100)는 가장 바람직하게 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상부 몰드(1300)가 상단에 위치된 후 슬라이딩 방식으로 움직이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고, 상기 배합 실리콘이 상기 양쪽 귀의 귓본(2000) 형상으로 형성된 공간에 동일한 높이로 주조되도록 하고, 이후 경화되기까지 움직임이 가장 최소화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 몰드(1300)는 상기 하부 몰드(1100)의 폭과 수평한 제1 프레임(131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몰드(1300)가 ‘ㄷ’ 형상을 갖도록 상기 제1 프레임(1310)의 양측에 일측이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2 프레임(1320) 및 제3 프레임(13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ㄷ’ 형상에서 개방된 부분인 상기 제2 프레임(1320) 및 제3 프레임(1330)의 타측이 상기 하부 몰드(1100)의 내부 일측면에 맞닿도록 위치됨으로써, 상기 배합 실리콘에 삽입된 가필터(1200)의 위치가 일정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고정부재 없이 단순히 상기 가필터(1200)가 상기 배합 실리콘에 삽입되면 경화되기 전까지 좌우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필터 삽입부(3100)의 공간을 상당히 넓게 만들게 된다. 이에 따라, 차후 삽입될 필터의 크기보다 상기 필터 삽입부(3100)의 공간이 상당히 커져 해당 필터를 고정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맞춤형 귀마개(3000)를 착용한 후 움직이면 상기 필터 삽입부(3100) 내에서 해당 필터가 움직이면서 차음효과를 떨어뜨리고, 추가적인 소음 및 잡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합 실리콘에 삽입되면 경화되기 전까지 상하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필터 삽입부(3100)의 깊이를 깊게 형성되게 하여 필터가 위치되어야 하는 위치에 정확히 위치할 수 없고, 소정의 공간이 발생하게 되어 차음효과를 떨어뜨리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 몰드(1300)는 양쪽 귀에 착용할 수 있는 상기 맞춤형 귀마개(3000)에 각각 상기 필터 삽입부(3100)를 형성하기 위하여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몰드(1300)는 ‘ㄷ’ 형상에서 개방된 부분인 상기 제2 프레임(1320) 및 제3 프레임(1330)의 타측이 상기 하부 몰드(1100)의 내부 일측면에 맞닿도록 위치됨으로, 한 쌍의 상기 상부 몰드(1300)가 상기 하부 몰드(1100)의 상단에 위치하게 되면 ‘ㄷ’ 형상에서 밀폐된 부분이 마주보는 형상으로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상기 상부 몰드(1300) 사이에는 일정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는 한 쌍의 상기 상부 몰드(1300)에 체결된 상기 가필터(1200)가 동시에 완전히 분리될 수 있을 정도의 간격이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가필터(1200)는 상기 필터 삽입부(3100)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필터 삽입부본(1210) 및 상기 필터 삽입부본(1210)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상부 몰드(1300)와 반대방향으로 개방된 ‘ㄷ’ 형상의 체결홈(1221)이 구비되는 손잡이부(1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보면, 상기 손잡이부(1220)에 구비된 상기 체결홈(1221)은 상기 상부 몰드(1300)와 이탈이 용이하도록 상기 상부 몰드(1300)의 상기 제1 프레임(1310)의 중앙에 구비된 체결부(1311)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상기 체결홈(1221)은 상기 상부 몰드(1300)와 반대방향으로 개방된 ‘ㄷ’ 형상으로 구비되는데, 상기 상부 몰드(1300)의 제2 프레임(1320) 내지 제3 프레임(1330)의 타측이 상기 하부 몰드(1100)의 내부 일측면에 맞닿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손잡이부(1220)의 체결홈(1221)과 상기 제1 프레임(1310)의 체결부(1311)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용이하게 분리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배합 실리콘에 삽입된 상기 가필터(1200)에 가해지는 외력을 최소화하면서 상기 상부 몰드(1300)와 가필터(1200)가 분리되도록 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1220)는 작업자가 오른쪽 귀와 왼쪽 귀의 맞춤형 귀마개(3000)를 구분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손잡이부(1220) 상단에 표시할 수 있는 방향표시부(12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 음각으로 오른쪽(Right; R)과 왼쪽(Left; L)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필터(1200)는 상기 맞춤형 귀마개(3000)에 외부환경에서 발생하는 소리가 외이도에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도록 하는 소리 안내관본(1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리 안내관본(1230)의 일측은 상기 필터 삽입부본(1210)의 말단에 접합될 수 있고, 타측은 상기 귓본(2000) 형상으로 형성된 공간의 바닥면과 맞닿을 수 있다. 이는, 차후 상기 맞춤형 귀마개(3000)의 필터 삽입부(3100)에서 상기 맞춤형 귀마개(3000)의 사용자의 외이도와 맞닿는 부분까지 소리가 상기 소리 안내관본(1230)을 통해 형성된 공간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 몰드(1100)의 상단 내부 테두리에 형성되는 레일(1110) 및 상기 상부 몰드(1300)에서 상기 레일(1110)과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레일홈(134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홈(1340)에 상기 레일(1110)의 일부분이 수용되고, 상기 상부 몰드(1300)가 상기 레일(1110)을 따라 전후진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발명은 상기 손잡이부(1220)의 체결홈(1221)과 상기 제1 프레임(1310)의 체결부(1311)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레일홈(1340)에 상기 레일(1110)의 일부분이 수용되고, 상기 상부 몰드(1300)가 상기 레일(1110)을 따라 전후진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구비함으로써, 상기 배합 실리콘에 삽입된 상기 가필터(1200)에 가해지는 외력을 최소화하면서 상기 상부 몰드(1300)와 가필터(1200)가 분리될 수 있다.
도 3을 보면, 본원발명의 가필터를 갖는 몰드(1000)를 통해서 형성된 상기 맞춤형 귀마개(3000)는 사용자의 이갑개 및 외이도와 동일한 형상을 하여 차음효과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필터(1200)가 위치했던 곳에 상기 필터 삽입부(310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필터가 상기 필터 삽입부(3100) 내에서 움직이지 않아 추가적인 잡음 및 소음이 발생하지 않고, 가장 차음이 잘되는 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필터 삽입부(3100)에 사용자의 청력에 최적화된 필터를 삽입할 수 있고, 차후 외부환경의 소음의 주파수에 따라서 필터를 교환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가필터를 갖는 몰드를 이용한 맞춤형 귀마개 제조 방법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가필터를 갖는 몰드를 이용한 맞춤형 귀마개 제조 방법 흐름도이다.
도 4를 보면, 본 발명의 가필터를 갖는 몰드를 이용한 맞춤형 귀마개 제조 방법은 메쉬모델 생성단계(S100), 가필터 생성단계(S200), 몰드 생성단계(S300), 출력단계(S400), 주조단계(S500), 가필터 삽입단계(S600), 분리단계(S700) 및 형성단계(S80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쉬모델 생성단계(S100)는 3D 스캐너 및 모델링 프로그램을 구비한 프로세서에 의하여, 귓본(2000)이 스캔된 후 상기 귓본(2000)과 동일한 형상의 메쉬모델이 생성된다. 상기 귓본(2000)이 생성됨에 있어서, 귀 내시경 또는 이어 라이트 장비가 이용되어 사용자의 귀 내부에 상처가 있는지 확인될 수 있다. 그리고 패드가 외이도 2차 굴곡 깊이까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실리콘 주입기가 이용되어 상기 패드에 귓본용 실리콘이 주조되고, 상기 귓본용 실리콘이 경화된 후 경화된 상기 귓본용 실리콘을 해당 귀에서 분리하면 상기 귓본(2000)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맞춤형 귀마개(3000)는 오른쪽 귀 또는 왼쪽 귀에 각각 착용되고 그 생김새로 상이하므로, 각각의 귓본(2000)이 생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메쉬모델 생성단계(S100)는 상기와 같이 생성된 귓본(2000)에서 상기 패드를 제거한 후 3D 스캐너가 이용되어 스캔될 수 있다. 그리고 여러 각도로 상기 귓본(2000)이 스캔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메쉬모델을 생성한다. 이때 상기 메쉬모델은 닫힌 모델, 중화질 항목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가필터 생성단계(S200)는 모델링 프로그램을 구비한 프로세서에 의하여, 맞춤형 귀마개(3000)에 필터 삽입부(3100)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필터 삽입부(3100)와 동일한 형상의 가필터(1200)가 생성된다. 상기 가필터(1200)는 실질적으로 상기 필터 삽입부(3100)에 삽입되는 상기 필터의 95%의 스케일(Scale)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가필터 생성단계(S200)는 상기 필터 삽입부(3100)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필터 삽입부본(1210) 및 상기 필터 삽입부본(1210)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상부 몰드(1300)와 반대방향으로 개방된 ‘ㄷ’ 형상의 체결홈(1221)이 구비되는 손잡이부(1220)를 포함하는 상기 가필터(1200)가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필터 생성단계(S200)는 상기 맞춤형 귀마개(3000)에 외부환경에서 발생하는 소리가 외이도에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도록 하는 소리 안내관본(1230)을 더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리 안내관본(1230)의 일측은 상기 가필터(1200)의 필터 삽입부본(1210)의 말단에 접합되어 생성될 수 있다. 이는, 차후 상기 맞춤형 귀마개(3000)의 필터 삽입부(3100)에서 상기 맞춤형 귀마개(3000)의 사용자의 외이도와 맞닿는 부분까지 소리가 상기 소리 안내관본(1230)을 통해 형성된 공간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몰드 생성단계(S300)는 모델링 프로그램을 구비한 프로세서에 의하여, 상기 메쉬모델 형상으로 공간이 형성되는 하부 몰드(1100)와 상기 하부 몰드(1100) 상단에 위치되어 상기 가필터(1200)를 고정시키는 상부 몰드(1300)가 생성된다.
우선, 상기 몰드 생성단계(S300)는 상기 하부 몰드(1100)의 폭과 수평한 제1 프레임(1310) 및 ‘ㄷ’ 형상을 갖도록 상기 제1 프레임(1310)의 양측에 일측이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2 프레임(1320) 및 제3 프레임(1330)을 포함하는 상기 상부 몰드(1300)가 생성될 수 있다. 이는, ‘ㄷ’ 형상에서 개방된 부분인 상기 제2 프레임(1320) 및 제3 프레임(1330)의 타측이 상기 하부 몰드(1100)의 내부 일측면에 맞닿도록 위치됨으로써, 상기 배합 실리콘에 삽입된 가필터(1200)의 위치가 일정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몰드 생성단계(S300)는 상기 상부 몰드(1300)가 상기 가필터(1200)와 분리가 용이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1310)의 중앙에 체결부(1311)가 생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가필터 생성단계(S200)로부터 생성된 상기 손잡이부(1220)의 체결홈(1221)과 슬라이딩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어 상기 배합 실리콘이 경화된 후 상기 배합 실리콘에 삽입된 상기 가필터(1200)에 가해지는 외력을 최소화하면서 상기 상부 몰드(1300)와 가필터(1200)가 분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몰드 생성단계(S300)는 상기 하부 몰드(1100)의 상단 내부 테두리에 레일(1110)이 생성될 수 있고, 상기 상부 몰드(1300)에서 상기 레일(1110)과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레일홈(1340)이 생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레일홈(1340)에 상기 레일(1110)의 일부분이 수용되고, 상기 상부 몰드(1300)가 상기 레일(1110)을 따라 전후진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배합 실리콘에 삽입된 상기 가필터(1200)에 가해지는 외력을 최소화하면서 상기 상부 몰드(1300)와 가필터(1200)가 분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출력단계(S400)는 3D 프린터로부터 상기 가필터(1200), 상부 몰드(1300) 및 하부 몰드(1100)가 출력된다. 상기 가필터(1200), 상부 몰드(1300) 및 하부 몰드(1100)는 레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주조단계(S500)는 상기 하부 몰드(1100)에 배합비율에 따른 배합 실리콘이 주조된다. 예컨대, 상기 주조단계(S500)는 후처리 가공으로 이소프로필알코올(Isopropyl Alcohol;,IPA)에 5분 이상 담구어 레진 잔여물이 제거되고, 초음파 세정기를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레진 잔여물이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레진이 제거된 상기 가필터(1200), 상부 몰드(1300) 및 하부 몰드(1100)는 UV 경화기에 넣어져 추가적으로 경화될 수 있다. 그리고 액상 이형제에 담가 5분 이상 건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합 실리콘은 서로 다른 물질 안전 보건 자료(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를 갖는 실리콘 A와 실리콘 B가 배합된 실리콘이고, 실리콘 A는 일정비율의 경화촉진제가 첨가되고, 실리콘 B는 일정비율의 마찰감소제가 첨가될 수 있다. 그리고 경화촉진제가 첨가된 실리콘 A와 마찰감소제가 첨기된 실리콘 B가 혼합된 후 안료가 첨가되어 상기 배합 실리콘이 제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가필터 삽입단계(S600)는 상기 상부 몰드(1300)와 가필터(1200)가 체결된 후 상기 배합 실리콘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상부 몰드(1300)의 체결부(1311)와 상기 가필터(1200)의 체결홈(1221)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필터 삽입단계(S600)는 상기 배합 실리콘이 경화되기 전 ‘ㄷ’ 형상에서 개방된 부분인 상기 제2 프레임(1320) 및 제3 프레임(1330)의 타측이 상기 하부 몰드(1100)의 내부 일측면에 맞닿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이는, 상기 배합 실리콘에 삽입된 가필터(1200)의 위치가 일정하도록 하고, 상기 실리콘이 경화되기 전까지 상기 가필터(1200)가 상하좌우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분리단계(S700)는 상기 배합 실리콘이 경화되면 상기 상부 몰드(1300)가 상기 가필터(1200)와 분리되고, 상기 가필터(1200)가 삽입된 상기 배합 실리콘이 상기 하부 몰드(1100)로부터 분리된다.
즉, 상기 분리단계(S700)는 상기 상부 몰드(1300)가 상기 하부 몰드(1100)의 일측면과 떨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고, 상기 가필터 삽입단계(S600)로부터 슬라이드 방식으로 체결된 상기 상부 몰드(1300)의 체결부(1311)와 상기 가필터(1200)의 체결홈(1221)이 분리되고 상기 부 몰드(1300)가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난 후 상기 가필터(1200)의 손잡이부(1220)가 파지된 후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가필터(1200)가 삽입된 상기 배합 실리콘이 상기 하부 몰드(1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형성단계(S800)는 경화된 상기 배합 실리콘으로부터 상기 가필터(1200)가 분리되어 상기 필터 삽입부(3100)가 포함된 상기 맞춤형 귀마개(3000)가 형성된다. 즉, 상기 가필터(1200)의 손잡이부(1220)가 파지된 후 외력이 가해지면 경화된 상기 배합 실리콘으로부터 상기 가필터(1200)가 분리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0.. 가필터를 갖는 몰드
1100.. 하부 몰드
1110.. 레일
1200.. 가필터
1210.. 필터 삽입부본
1220.. 손잡이부
1221.. 체결홈
1230.. 소리 안내관본
1222.. 방향표시부
1300.. 상부 몰드
1310.. 제1 프레임
1311.. 체결부
1320.. 제2 프레임
1330.. 제3 프레임
1340.. 레일홈
2000.. 귓본
3000.. 맞춤형 귀마개
3100.. 필터 삽입부

Claims (5)

  1. 귓본 형상으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 배합 실리콘이 주조되는 하부 몰드;
    맞춤형 귀마개에 필터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배합 실리콘이 경화되기 전 삽입되는 가필터; 및
    상기 하부 몰드 상단에 위치되고 상기 가필터를 고정시키는 상부 몰드;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몰드는,
    상기 하부 몰드의 폭과 수평한 제1 프레임; 및
    ‘ㄷ’ 형상을 갖도록 상기 제1 프레임의 양측에 일측이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2 프레임 및 제3 프레임;을 포함하고,
    ‘ㄷ’ 형상에서 개방된 부분인 상기 제2 프레임 및 제3 프레임의 타측이 상기 하부 몰드의 내부 일측면에 맞닿도록 위치됨으로써, 상기 배합 실리콘에 삽입된 가필터의 위치가 일정하도록 하고,
    상기 가필터는,
    상기 필터 삽입부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필터 삽입부본; 및
    상기 필터 삽입부본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상부 몰드와 반대방향으로 개방된 ‘ㄷ’ 형상의 체결홈이 구비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홈은,
    상기 상부 몰드와 이탈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의 중앙에 구비된 체결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필터를 갖는 몰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몰드의 상단 내부 테두리에 형성되는 레일; 및
    상기 상부 몰드에서 상기 레일과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레일홈;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홈에 상기 레일의 일부분이 수용되고, 상기 상부 몰드가 상기 레일을 따라 전후진 방향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상기 배합 실리콘에 삽입된 상기 가필터에 가해지는 외력을 최소화하면서 상기 상부 몰드와 가필터가 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필터를 갖는 몰드.
  5. 귓본이 스캔된 후 상기 귓본과 동일한 형상의 메쉬모델이 생성되는 메쉬모델 생성단계;
    맞춤형 귀마개에 필터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필터 삽입부와 동일한 형상의 가필터가 생성되는 가필터 생성단계;
    상기 메쉬모델 형상으로 공간이 형성되는 하부 몰드와 상기 하부 몰드 상단에 위치되어 상기 가필터를 고정시키는 상부 몰드가 생성되는 몰드 생성단계;
    3D 프린터로부터 상기 가필터, 상부 몰드 및 하부 몰드가 출력되는 출력단계;
    상기 하부 몰드에 배합비율에 따른 배합 실리콘이 주조되는 주조단계;
    상기 상부 몰드와 가필터가 체결된 후 상기 배합 실리콘에 삽입되는 가필터 삽입단계;
    상기 배합 실리콘이 경화되면 상기 상부 몰드가 상기 가필터와 분리되고, 상기 가필터가 삽입된 상기 배합 실리콘이 상기 하부 몰드로부터 분리되는 분리단계; 및
    경화된 상기 배합 실리콘으로부터 상기 가필터가 분리되어 상기 필터 삽입부가 포함된 상기 맞춤형 귀마개가 형성되는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가필터를 갖는 몰드를 이용한 맞춤형 귀마개 제조 방법.
KR1020210072883A 2021-06-04 2021-06-04 가필터를 갖는 몰드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귀마개 제조 방법 KR102324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883A KR102324202B1 (ko) 2021-06-04 2021-06-04 가필터를 갖는 몰드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귀마개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883A KR102324202B1 (ko) 2021-06-04 2021-06-04 가필터를 갖는 몰드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귀마개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4202B1 true KR102324202B1 (ko) 2021-11-10

Family

ID=78500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2883A KR102324202B1 (ko) 2021-06-04 2021-06-04 가필터를 갖는 몰드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귀마개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42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03928A1 (en) * 2020-09-29 2022-03-31 Adapto Global ApS Modular earpiece adap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853B1 (ko) 2018-02-07 2018-08-06 김태형 산업용 개인맞춤형 귀마개용 필터
KR20200028495A (ko) * 2012-07-12 2020-03-16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귀마개를 제조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8495A (ko) * 2012-07-12 2020-03-16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귀마개를 제조하는 방법
KR101885853B1 (ko) 2018-02-07 2018-08-06 김태형 산업용 개인맞춤형 귀마개용 필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03928A1 (en) * 2020-09-29 2022-03-31 Adapto Global ApS Modular earpiece adaptor
US11991495B2 (en) * 2020-09-29 2024-05-21 Adapto Global ApS Modular earpiece adap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59602C2 (ru) Самоподгоняющееся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мещения в ушном канале
US8467556B2 (en) Canal hearing device with disposable battery module
DK2510708T3 (en) Individually customized in-ear headset
JP5271412B2 (ja) 非ロール型フォームイヤーチップ
JP5823966B2 (ja) 個別に調整された軟質構成要素
JP7053490B2 (ja) 二次材料注入による、カスタマイズされたエラストマ製イヤモールド
KR102324202B1 (ko) 가필터를 갖는 몰드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귀마개 제조 방법
DK1448014T3 (da) Et fastholdelsesorgan til en öreprop
US10779992B2 (en) Hearing protection devices and attenuation button for same
JP2013143612A (ja) インサート型ヘッドホンの測定用装着部材
DK1795160T3 (da) Hörebeskyttelsesindretning med et akustisk filterelement samt en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samme
US11246755B2 (en) Sound attenuation earplug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e
JP6169778B2 (ja) 耳掛け補聴器
KR101042104B1 (ko) 귓속 삽입형 범용 보청기를 위한 표준 이어 쉘의 제조방법
Garcia-Gonzalez et al. Effect of the middle ear cavity on the response of the human auditory system
JPS62279576A (ja) 耳形耳栓の製造方法と装置
JP2008042310A (ja) 補聴器
DK2898704T3 (en) ENCAPSULATED HEARING DEVICE
WO2020180901A1 (en) Vented sound attenuation earplug system
KR20160012084A (ko) 도관에서 돔을 갖는 맞춤 이어폰
ATE415928T1 (de) Gehörschutzstöpsel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Du et al. Performance of a dual-cup-dual-cushion earmuff design
JP7220529B2 (ja) イヤモールドの製造方法及び軟骨伝導補聴器の製造方法
KR101777182B1 (ko) 쉘 및 실리콘 슬리브 팁이 상호 탈부착 용이하며, 착용시 울림현상이 없는 보청기
Tate Earmoul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