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4153B1 -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 Google Patents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4153B1
KR102324153B1 KR1020210053529A KR20210053529A KR102324153B1 KR 102324153 B1 KR102324153 B1 KR 102324153B1 KR 1020210053529 A KR1020210053529 A KR 1020210053529A KR 20210053529 A KR20210053529 A KR 20210053529A KR 102324153 B1 KR102324153 B1 KR 102324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apital gains
tax
server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3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수
Original Assignee
(주)고포워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고포워드 filed Critical (주)고포워드
Priority to KR1020210053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41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4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4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12Accounting
    • G06Q40/123Tax preparation or sub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서버가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상기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를 기반으로 양도 소득세를 납부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SERVICE RELATED TO TRANSFER INCOME TAX}
본 발명은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양도 소득세를 신고하는 방법으로, 세금 신고 분야의 비전문가인 본인이 직접 신고를 하거나 세무대리인을 통해 신고하는 방법이 있다. 본인이 직접 신고를 하는 경우에는 대다수가 검색을 통해 세금 신고 방법을 따라하게 되는데, 검색을 통해 획득된 정보의 신뢰성을 판단하기 어려우므로 높은 가산세를 부담할 리스크를 가지고, 정보를 선별하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세무대리인을 통한 신고를 상대적으로 안전할 수 있지만, 높은 서비스 수수료와 상담 비용이 발생하며, 세금 신고 및 납부 과정의 진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상기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를 기반으로 양도 소득세를 납부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서버에 있어, 상기 서버는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양도소득세 플랫폼을 운용하며,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 양도 소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양도 소득 정보 입력 포맷을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고, 상기 양도 소득 정보 입력 포맷을 기반으로 제1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단말에 입력된,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재산 거래와 관련된 제1 양도 소득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송수신부(transceiver); 및 상기 제1 양도 소득 정보 및 상기 서버의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된 양도 소득세 산출에 관한 히스토리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재산 거래에 의한 양도 소득세의 예상 값인 제1 예상 양도 소득세를 산출하는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는 서버를 제안한다.
상기 양도 소득세 산출에 관한 히스토리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와 상이한 복수의 과거 사용자들의 복수의 재산 거래들의 복수의 양도가액들에 관한 정보, 복수의 취득가액들에 관한 정보 및 복수의 양도 소득세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예상 양도 소득세를 지시하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서버가 제공하는 양도 소득세 납부 대리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상기 제1 사용자가 대리 서비스 수수료를 납부하였다는 수수료 납부 완료 정보 및 상기 제1 재산 거래와 관련된 제2 양도 소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양도 소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재산 거래와 관련된 양도 소득세 신고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신고 완료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재산 거래들 중에서, 상기 제1 재산 거래의 양도가액과의 차이값이 최소인 양도가액을 나타내는 제2 재산 거래를 검출하고, 상기 복수의 재산 거래들 중에서, 상기 제1 재산 거래의 취득가액과의 차이값이 최소인 취득가액을 나타내는 제3 재산 거래를 검출하고, 상기 제2 재산 거래의 취득가액과 상기 제1 재산 거래의 상기 취득가액과의 차이값을 나타내는 제1 차이값과, 상기 제3 재산 거래의 양도가액과 상기 제1 재산 거래의 상기 양도가액과의 차이값을 나타내는 제2 차이값을 도출하고, 상기 제1 차이값과 상기 제2 차이값 중 작은 값과 관련된 상기 재산 거래의 상기 양도 소득세를 상기 제1 예상 양도 소득세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과거 사용자들 각각이 상기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를 상기 양도소득세 플랫폼에 요청한 횟수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과거 사용자들 중 일부를 블랙 리스트로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과거 사용자들 각각이 상기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를 상기 양도소득세 플랫폼에 요청한 횟수, 그리고 상기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를 상기 양도소득세 플랫폼에 요청한 제1 시점과 제2 시점 사이의 차이를 고려하여 제1 알람 메시지를 외부 서버에 전달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블랙 리스트로 설정되는 사용자들을 복수의 블랙 리스트 그룹으로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블랙 리스트 그룹 중에서 어느 하나의 특정 블랙 리스트 그룹에 포함되는 제2 사용자에 상응하는 예상 양도 소득세가 상기 특정 블랙 리스트 그룹에 포함되는 사용자들에 상응하는 예상 양도 소득세들의 평균값보다 소정의 기준 이상으로 비싼 것으로 판단되면, 제2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외부 서버에게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가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 양도 소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양도 소득 정보 입력 포맷을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양도 소득 정보 입력 포맷을 기반으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제1 재산 거래와 관련된 제1 양도 소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양도 소득 정보 및 상기 서버의 DB(database)에 저장된 양도 소득세 산출에 관한 히스토리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재산 거래에 의한 양도 소득세의 예상 값인 제1 예상 양도 소득세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예상 양도 소득세를 지시하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서버가 제공하는 양도 소득세 납부 대리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가 대리 서비스 수수료를 납부하였다는 수수료 납부 완료 정보 및 상기 제1 재산 거래와 관련된 제2 양도 소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양도 소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재산 거래와 관련된 양도 소득세 신고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신고 완료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양도 소득 정보는, 상기 제1 재산 거래가 부동산 거래인 것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입력된, 부동산 양도일자 정보, 부동산 양도가액 정보, 부동산 취득일자 정보, 부동산 취득가액 정보, 부동산 양도 필요경비 정보, 부동산 보유기간 정보 및 다주택 보유여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양도 소득 정보는, 상기 제1 재산 거래가 주식 거래인 것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입력된, 주식 양도일자 정보, 주식 양도가액 정보, 주식 취득일자 정보, 주식 취득가액 정보, 주식 양도 필요경비 정보, 주식 보유기간 정보, 주당취득가액 정보 및 비상장주식의 대주주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양도 소득 정보는, 상기 제1 재산 거래에 관한 증빙 서류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양도 소득 정보는 상기 제1 양도 소득 정보와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양도 소득 정보 입력 포맷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부동산 양도일자 정보, 상기 부동산 양도가액 정보, 상기 부동산 취득일자 정보, 상기 부동산 취득가액 정보, 상기 부동산 양도 필요경비 정보, 상기 부동산 보유기간 정보, 다주택 보유여부 정보, 상기 주식 양도일자 정보, 상기 주식 양도가액 정보, 상기 주식 취득일자 정보, 상기 주식 취득가액 정보, 상기 주식 양도 필요경비 정보, 상기 주식 보유기간 정보, 상기 주당취득가액 정보 및 상기 비상장주식의 대주주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는데 이용되는 텍스트 정보 및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양도 소득세 산출에 관한 히스토리 정보는, 상기 사용자와 상이한 복수의 과거 사용자들의 복수의 재산 거래들의 복수의 양도가액들에 관한 정보, 복수의 취득가액들에 관한 정보 및 복수의 양도 소득세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예상 양도 소득세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재산 거래들 중에서, 상기 제1 재산 거래의 양도가액과의 차이값이 최소인 양도가액을 나타내는 제2 재산 거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재산 거래들 중에서, 상기 제1 재산 거래의 취득가액과의 차이값이 최소인 취득가액을 나타내는 제3 재산 거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2 재산 거래의 취득가액과 상기 제1 재산 거래의 상기 취득가액과의 차이값을 나타내는 제1 차이값과, 상기 제3 재산 거래의 양도가액과 상기 제1 재산 거래의 상기 양도가액과의 차이값을 나타내는 제2 차이값을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차이값과 상기 제2 차이값 중 작은 값과 관련된 재산 거래의 양도 소득세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예상 양도 소득세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차이값과 상기 제2 차이값 중 작은 값과 관련된 상기 재산 거래의 상기 양도 소득세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예상 양도 소득세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차이값과 상기 제2 차이값 중 작은 값과 관련된 상기 재산 거래의 상기 양도 소득세를 상기 제1 예상 양도 소득세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방법은, 상기 양도 소득세 신고에 의해 상기 제1 재산 거래와 관련된 양도소득세 접수증이 발행되었음을 나타내는 양도소득세 접수증 발행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재산 거래와 관련된 양도소득세 납부서가 발행되었음을 나타내는 양도소득세 납부서 발행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가 제공된다. 상기 서버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 송수신부(transceiver) 및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단말로, 양도 소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양도 소득 정보 입력 포맷을 전송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양도 소득 정보 입력 포맷을 기반으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제1 재산 거래와 관련된 제1 양도 소득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양도 소득 정보 및 상기 서버의 DB(database)에 저장된 양도 소득세 산출에 관한 히스토리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재산 거래에 의한 양도 소득세의 예상 값인 제1 예상 양도 소득세를 산출하고, 상기 제1 예상 양도 소득세를 지시하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서버가 제공하는 양도 소득세 납부 대리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가 대리 서비스 수수료를 납부하였다는 수수료 납부 완료 정보 및 상기 제1 재산 거래와 관련된 제2 양도 소득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양도 소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재산 거래와 관련된 양도 소득세 신고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신고 완료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양도 소득세를 효율적으로 납부하도록 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상기 기재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기재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된, 첨부 도면은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다양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도 1은 사용자 단말, 네트워크 및 서버 간의 통신 구조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의 다른 일 예시를 나타낸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의 또 다른 일 예시를 나타낸다.
도 6은 양도 소득세의 납세의무자의 수 및 과세표준 금액의 증가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사용자 단말, 네트워크 및 서버 간의 통신 구조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들 또는 외부 서버들과 통신하는 서버(server)의 일종으로서, 외부 장치들 또는 외부 서버들을 운용하기 위한 서버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서버는,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 윈도우, 리눅스, 유닉스, 매킨토시 등의 운영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서버(120)는,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는 스마트폰, 핸드폰, 스마트 TV, 스마트 워치, 전자 손목 시계, 셋톱박스(set-top box),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데스크탑,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착용형 기기(wearable device), 에어컨, 전자 레인지, 오디오, DVD 플레이어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서버(120) 및 상기 사용자 단말(110)는, 통신망을 통해 상호 통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망은, 예를 들어 무선 통신망 또는 유선 통신망일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망은, 예를 들어 LTE (Long Term Evolution) RAT(Radio Access Technology), NR(New Radio) RAT, WiFi 등에 기반한 통신망일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서버(120) 및 상기 사용자 단말(110)는, 상호 D2D(Device-to-Device)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기지국(예를 들어, gNB 및/또는 eNB)과 UU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D2D 통신 또는 상기 UU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s access) 시스템에서, 정확한 시간 및 주파수 동기화가 요구될 수 있다. 시간 및 주파수 동기화가 정확하게 되지 않으면, 심볼 간 간섭(Inter Symbol Interference, ISI) 및 반송파 간 간섭(Inter Carrier Interference, ICI)으로 인해 시스템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D2D 통신에서는 시간/주파수 동기화를 위해, 물리 계층에서는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를 사용할 수 있고, RLC(radio link control) 계층에서는 MIB(master information block)를 사용할 수 있다.
D2D 통신 과정에서, 상기 서버(120) 및 상기 사용자 단말(110)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s)에 직접적으로 동기화 되거나, 또는 GNSS에 직접적으로 동기화된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의 또는 네트워크 커버리지 밖의) 단말을 통해 비간접적으로 GNSS에 동기화 될 수 있다. GNSS가 동기화 소스로 설정된 경우, 상기 서버(120) 및 상기 사용자 단말(110)는 UTC(Coordinated Universal Time) 및 (미리) 설정된 DFN(Direct Frame Number) 오프셋을 사용하여 DFN 및 서브프레임 번호를 계산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서버(120) 및 상기 사용자 단말(110)는 기지국에 직접 동기화되거나, 기지국에 시간/주파수 동기화된 다른 단말에게 동기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은 eNB 또는 gNB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버(120) 및 상기 사용자 단말(110)가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에 있는 경우, 상기 서버(120) 및 상기 사용자 단말(110)는 기지국이 제공하는 동기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에 직접 동기화될 수 있다. 그 후, 상기 서버(120) 및 상기 사용자 단말(110)는 동기화 정보를 인접한 다른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기지국 타이밍이 동기화 기준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서버(120) 및 상기 사용자 단말(110)는 동기화 및 하향링크 측정을 위해 해당 주파수에 연관된 셀(상기 주파수에서 셀 커버리지 내에 있는 경우), 프라이머리 셀 또는 서빙 셀(상기 주파수에서 셀 커버리지 바깥에 있는 경우)을 따를 수 있다.
기지국(예를 들어, 서빙 셀)은 D2D 또는 SL(sidelink) 통신에 사용되는 반송파에 대한 동기화 설정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서버(120) 및 상기 사용자 단말(110)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동기화 설정을 따를 수 있다. 만약, 상기 서버(120) 및 상기 사용자 단말(110)가 상기 D2D 또는 SL 통신에 사용되는 반송파에서 어떤 셀도 검출하지 못했고, 서빙 셀로부터 동기화 설정도 수신하지 못했다면, 상기 서버(120) 및 상기 사용자 단말(110)는 미리 설정된 동기화 설정을 따를 수 있다.
또는, 상기 서버(120) 및 상기 사용자 단말(110)는 기지국이나 GNSS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동기화 정보를 획득하지 못한 다른 단말에게 동기화될 수도 있다. 동기화 소스 및 선호도는 단말에게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는, 동기화 소스 및 선호도는 기지국에 의하여 제공되는 제어 메시지를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120) 및 상기 사용자 단말(110)는 네트워크(130)(또는 통신망)를 통해서 상호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단말(110)가 네트워크(130)로 데이터를 전송하면, 네트워크(130)는 상기 서버(120)로 상기 데이터를 전달(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서버(120)가 상기 네트워크(130)로 데이터를 전송하면, 상기 네트워크(130)는 상기 사용자 단말(110)로 상기 데이터를 전달(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버(120) 및 상기 사용자 단말(110)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네트워크(130)를 거치지 않고 상호 통신할 수 있음은, 상기 D2D 통신에 관한 설명에서 전술한 바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7에 대한 설명에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110)와 상기 서버(120) 간의 통신을 기반으로, 상기 서버(120)가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검토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의 흐름도에 개시된 동작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과 결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도 2의 흐름도에 개시된 서버는, 도 1에 개시된 서버(120) 또는 도 7에 개시된 서버(700)와 대응될 수 있다. 다른 일 예시에서, 도 2의 흐름도에 개시된 사용자 단말은, 도 1에 개시된 사용자 단말(110)와 대응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도 2의 흐름도에 개시된 동작들은, 도 1, 도 3 내지 도 7에 개시된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의) 동작들 중 일부와 대응될 수 있다.
단계 S21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 양도 소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양도 소득 정보 입력 포맷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양도 소득 정보 입력 포맷의 일 예시는, 전술된 도 3과 같을 수 있다.
단계 S22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양도 소득 정보 입력 포맷을 기반으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제1 재산 거래와 관련된 제1 양도 소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제1 재산 거래는, 부동산 거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재산 거래는, 아파트 매도 거래, 빌라 매도 거래, 단독 주택 매도 거래 등일 수 있다. 다른 일 예시에서, 상기 제1 재산 거래는, (비상장) 주식 거래, 중고 물품 거래(예; 중고차 등)일 수 있다.
단계 S23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상기 제1 양도 소득 정보 및 상기 서버의 데이터베이스(DB, database)에 저장된 양도 소득세 산출에 관한 히스토리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재산 거래에 의한 양도 소득세의 예상 값인 '제1 예상 양도 소득세'를 산출할 수 있다.
단계 S24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상기 제1 예상 양도 소득세를 지시하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예상 양도 소득세가 800만원인 경우, 상기 제1 예상 양도 소득세를 지시하는 정보는 '8,000,000'을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트(bit value)일 수 있다.
단계 S25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서버가 제공하는 양도 소득세 납부 대리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가 대리 서비스 수수료를 납부하였다는 '수수료 납부 완료 정보' 및 상기 제1 재산 거래와 관련된 '제2 양도 소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26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상기 제2 양도 소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재산 거래와 관련된 양도 소득세 신고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신고 완료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양도 소득 정보는, 상기 제1 재산 거래가 부동산 거래인 것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입력된, 부동산 양도일자 정보, 부동산 양도가액 정보, 부동산 취득일자 정보, 부동산 취득가액 정보, 부동산 양도 필요경비 정보, 부동산 보유기간 정보 및 다주택 보유여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양도 소득 정보는, 상기 제1 재산 거래가 주식 거래인 것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입력된, 주식 양도일자 정보, 주식 양도가액 정보, 주식 취득일자 정보, 주식 취득가액 정보, 주식 양도 필요경비 정보, 주식 보유기간 정보, 주당취득가액 정보 및 비상장주식의 대주주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양도 소득 정보는, 상기 제1 재산 거래에 관한 증빙 서류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양도 소득 정보는 상기 제1 양도 소득 정보와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양도 소득 정보 입력 포맷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부동산 양도일자 정보, 상기 부동산 양도가액 정보, 상기 부동산 취득일자 정보, 상기 부동산 취득가액 정보, 상기 부동산 양도 필요경비 정보, 상기 부동산 보유기간 정보, 다주택 보유여부 정보, 상기 주식 양도일자 정보, 상기 주식 양도가액 정보, 상기 주식 취득일자 정보, 상기 주식 취득가액 정보, 상기 주식 양도 필요경비 정보, 상기 주식 보유기간 정보, 상기 주당취득가액 정보 및 상기 비상장주식의 대주주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는데 이용되는 텍스트 정보 및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양도 소득세 산출에 관한 히스토리 정보는, 상기 사용자와 상이한 복수의 과거 사용자들의 복수의 재산 거래들의 복수의 양도가액들에 관한 정보, 복수의 취득가액들에 관한 정보 및 복수의 양도 소득세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양도 소득세 산출에 관한 히스토리 정보는 국세청 등에 양도 소득세 등의 관련 세금의 납부가 완료된 거래에 대한 히스토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가 '제1 예상 양도 소득세'를 산출하는 단계는 ⓐ 상기 복수의 재산 거래들 중에서, 상기 제1 재산 거래의 양도가액과의 차이값이 최소인 '양도가액'에 상응하는 '제2 재산 거래'를 검출하는 단계, ⓑ 상기 복수의 재산 거래들 중에서, 상기 제1 재산 거래의 취득가액과의 차이값이 최소인 '취득가액'에 상응하는 '제3 재산 거래'를 검출하는 단계, ⓒ 상기 제2 재산 거래의 취득가액과 상기 제1 재산 거래의 상기 취득가액과의 차이값을 나타내는 '제1 차이값'과, 상기 제3 재산 거래의 양도가액과 상기 제1 재산 거래의 상기 양도가액과의 차이값을 나타내는 '제2 차이값'을 도출하는 단계 및 ⓓ 상기 제1 차이값과 상기 제2 차이값 중 작은 값과 관련된 재산 거래의 양도 소득세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예상 양도 소득세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 단계는, 예를 들면, 상기 제1 차이값과 상기 제2 차이값 중 작은 값과 관련된 상기 재산 거래의 상기 양도 소득세를 상기 제1 예상 양도 소득세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서버는 상기 제1 차이값과 상기 제2 차이값 중 작은 값과 관련된 상기 재산 거래의 상기 양도 소득세를 상기 제1 예상 양도 소득세로 결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방법은, 상기 양도 소득세 신고에 의해 상기 제1 재산 거래와 관련된 양도소득세 접수증이 발행되었음을 나타내는 양도소득세 접수증 발행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재산 거래와 관련된 양도소득세 납부서가 발행되었음을 나타내는 양도소득세 납부서 발행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소정의 요청을 입력하는 경우에만 상기 제1 예상 양도 소득세를 산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표시(또는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추가 요청을 입력하는 경우, 상기 제1 예상 양도 소득세를 산출하는 방법에 준하여, '제2 예상 양도 소득세'를 산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표시(또는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본 발명의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를 통하여 소정의 요청(또는 추가 요청)을 입력한 횟수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를 블랙리스트로 설정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본 발명의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를 통하여 소정의 요청(또는 추가 요청)을 입력하는 것은, 실제로 양도 소득세를 납부하기 위한 것이 아닌, 별도의 조치 없이 양도 소득세를 납부할 경우 얼마인지를 미리 알아보고 부정한 방법을 이용하여 탈세(또는 절세)하려는 의도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일 예로, 서버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를 통하여 소정의 요청(또는 추가 요청)을 입력한 횟수가 소정의 임계치를 넘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를 블랙리스트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는 i) 사용자가 본 발명의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를 통하여 여러 차례 예상 양도 소득세의 산출을 요청하는 횟수(또는 예상 양도 소득세의 산출을 위한 요청 메시지가 여러 차례 입력된 횟수)가 소정의 제1 임계치를 넘는 것으로 판단되고{A조건}, ii) [제1 시점에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요청에 상응하는 제1 요청 메시지와 제2 시점에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요청에 상응하는 제2 요청 메시지가 상기 여러 차례 입력된 복수의 요청 메시지에 포함됨]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 사이의 차이가 제2 임계치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B조건} 외부 서버(예; 양도소득세 납부와 관련되는 상기 블랙리스트를 관리하는 클라우드 서버, 국세청 서버 등)에 알람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iii) 다만 사용자가 본 발명의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를 통하여 여러 차례 예상 양도 소득세의 산출을 요청하는 횟수(또는 예상 양도 소득세의 산출을 위한 요청 메시지가 여러 차례 입력된 횟수)가 소정의 제1 임계치를 넘고{A조건}, (and)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 사이의 차이가 제2 임계치 미만인 것이{B조건}, 앞의 실시예와 같이 양도 소득세를 미리 산출하여 좋지 않은 의도로 판단하는 경우가 아닌, 연말 정산 또는 개인 소득 정산 등의 이유로 조회를 여러 차례 수행할 수도 있기에, 서버는 A조건과 B조건이 모두 만족되는 타이밍이 소정의 기간(예; 연말 정산 기간 또는 개인 소득 정산 기간 등)인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를 블랙리스트로 설정하기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또는 상기 외부 서버에 상기 알람 메시지를 전달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서버가 사용자의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예상 양도 소득세를 산출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는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 한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서버는 전술한 실시예에 기반하여 복수의 사용자 중 일부 사용자를 블랙리스트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렇게 설정되는 블랙리스트로 설정된 사용자들 및/또는 그들의 인원수를 관리 및/또는 감독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본 발명의 양도소득세 플랫폼을 이용하는 복수의 사용자의 인원수 대비 상기 블랙리스트로 설정된 사용자들의 인원수의 비율이 주기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상기 산출되는 비율이 소정의 임계 비율보다 높을 경우에 한하여 상기 A조건과 상기 B조건이 만족되었음을 이유로 상기 외부 서버에게 알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즉, 상기 산출되는 비율이 상기 소정의 임계 비율 이하일 경우에는 상기 알람 메시지의 전송을 생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예를 들면, 복수의 블랙리스트 그룹을 설정할 수 있으며, 전술한 실시예에 기반하여 블랙리스트로 설정되는 사용자들을 상기 복수의 블랙리스트 그룹 각각으로 분류(및/또는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는 후술하는 제1 직업 정보를 기준으로 블랙리스트 그룹을 설정할 수 있다.
서버는 본 발명의 양도소득세 플랫폼을 이용하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으로부터 사용자의 직업을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의 직업을 나타내는 정보는 제1 직업 정보 및 제2 직업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직업 정보는 직업군(occupational cluster)을 나타내는 정보이고, 상기 제2 직업 정보는 상기 제1 직업 정보가 나타내는 직업군에 포함되는 직업들의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개별 직업(job, work, occupation, career)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직업 정보는 직업군(occupational cluster)과 관련되는 상위 개념의 카테고리를 나타낼 수 있으며, 개발, 경영/비즈니스, 마케팅/광고, 디자인, 영업, 고객서비스/리테일(소매, 유통), 인사/교육, 미디어, 엔지니어링/설계, 투자/분석/부동산, 제조/생산, 게임 제작, 물류/무역, F&B(Food and Beverage), 법률/법집행기관, 의료/제약/바이오, 정부/비영리, 건설/시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직업 정보는 제1 직업 정보가 나타나는 직업군에 상응하는 하위 개념의 카테고리를 나타낼 수 있으며, 제2 직업 정보는 상기 제1 직업 정보에 매칭될 수 있다.
제2 직업 정보는, 예를 들면, 개발(제1 직업 정보)과 관련되거나 매칭되는 웹 개발자, 서버 개발자, 프론트엔드 개발자, 자바 개발자, 안드로이드 개발자, iOS 개발자, 파이썬 개발자, DevOps/시스템 관리자, 데이터 엔지니어, Node.js 개발자, 시스템/네트워크 관리자, C/C++ 개발자, 개발 매니저, 머신러닝 엔지니어,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직업 정보는, 예를 들면, 경영/비즈니스(제1 직업 정보)와 관련되거나 매칭되는 서비스 기획자, 사업개발/기획자, 프로젝트 매니저, 전략 기획자, 운영 매니저, 데이터 분석가, 회계원/경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직업 정보는, 예를 들면, 마케팅/광고(제1 직업 정보)와 관련되거나 매칭되는 디지털 마케터, 마케터, 마케팅 전략 기획자, 콘텐츠 마케터, 브랜드 마케터, 소셜 마케팅, 광고 기획자(A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직업 정보는, 예를 들면, 디자인(제1 직업 정보)과 관련되거나 매칭되는 UX 디자이너, UI/GUI 디자이너, 웹 디자이너, 그래픽 디자이너, 모바일 디자이너, 영상/모션 디자이너, 제품 디자이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직업 정보는, 예를 들면, 영업(제1 직업 정보)과 관련되거나 매칭되는 기업영업 담당자, 영업 관리자, 기술영업 전문가, 외부영업 전문가, 주요고객사 담당자, 솔루션 컨설턴트, 고객성공매니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직업 정보는, 예를 들면, 고객서비스/리테일(제1 직업 정보)과 관련되거나 매칭되는 CS 매니저, MD, CS 어드바이저, 리테일 MD, CRM 전문가, 패션 MD, 매장점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직업 정보는, 예를 들면, 인사/교육(제1 직업 정보)과 관련되거나 매칭되는 인사 담당자, 리크루터, 조직 관리 전문가, 인사평가 전문가, HRD/교육 전문가, 급여/보상 전문가, HRB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직업 정보는, 예를 들면, 미디어(제1 직업 정보)와 관련되거나 매칭되는 콘텐츠 크리에이터, 영상 편집가, 프로듀서, 에디터, 비디오 제작, 작가, 음향 엔지니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직업 정보는, 예를 들면, 엔지니어링/설계(제1 직업 정보)와 관련되거나 매칭되는 자동차 공학자, 기계 엔지니어, 전기 엔지니어, 제품 엔지니어, 전기기계 공학자, 제어 엔지니어, 전자 엔지니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직업 정보는, 예를 들면, 투자/분석/부동산(제1 직업 정보)과 관련되거나 매칭되는 회계 담당자, 재무 분석가, 회계사/회계원, 애널리스트, IR, CPA, 준법감시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직업 정보는, 예를 들면, 제조/생산(제1 직업 정보)과 관련되거나 매칭되는 품질 관리자, 생산 관리자, 제조 엔지니어, 테스트 엔지니어, 공정 관리자, 기계제작 기술자, 기계/설비조작, 안전 관리자, 화학자, 자재 관리자, 생산직 종사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직업 정보는, 예를 들면, 게임제작(제1 직업 정보)과 관련되거나 매칭되는 게임 클라이언트 개발자, 게임 기획자, 모바일 게임 개발자, 유니티 개발자, 게임 서버 개발자, 게임 아티스트, 게임 그래픽 디자이너, 게임 운영자(GM), 언리얼 개발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직업 정보는, 예를 들면, 물류/무역(제1 직업 정보)과 관련되거나 매칭되는 물류 담당자, 물류 분석가, 운송 관리자, 배송 담당자, 웨어하우스 전문가, 선적/발송 사무원, 운행 관리원, 화물트럭 운전기사, 무역사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직업 정보는, 예를 들면, F&B(제1 직업 정보)와 관련되거나 매칭되는 요리사, 식품 MD, 외식업 종사자, 외식업 메뉴 개발자, 영양사, 바텐더, 레스토랑 관리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직업 정보는, 예를 들면, 법률/법집행기관(제1 직업 정보)과 관련되거나 매칭되는 법무담당자, 법무 자문위원, 변호사, 변리사, 명세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직업 정보는, 예를 들면, 의료/제약/바이오(제1 직업 정보)과 관련되거나 매칭되는 연구원, 생명공학 연구원, 임상시험 연구원, 증례 관리자, 수의사, 약학 분석 화학자, 임상시험 간호사, 미생물학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직업 정보는, 예를 들면, 정부/비영리(제1 직업 정보)와 관련되거나 매칭되는 정보 분석가, 카운셀러, 공무원, 직업군인, 환경 전문가, 지역 전문가, 자원봉사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직업 정보는, 예를 들면, 건설/시설(제1 직업 정보)과 관련되거나 매칭되는 유지보수 관리자, 견적 기술자, 정비공, 관리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제1 직업 정보에 기반하여 복수의 블랙리스트 그룹을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설정되는 복수의 블랙리스트 그룹 각각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들에 의해 발생하는 예상 양도소득세 결과 값들에 대한 평균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예를 들면, 해당 블랙리스트 그룹 내에 포함되는 일 사용자가 본 발명의 양도소득세 플랫폼을 통하여 양도소득세의 산출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입력하였을 때, 그 결과 값이 상기 평균으로부터 소정의 기준 이상으로 비싼 값(즉, 양도소득세)이 획득되는 경우에는, 추가적인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외부서버에게 전달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추가적인 알람 메시지는 상기 일 사용자(또는 상기 일 사용자의 거래 및/또는 양도)를 관찰하여야 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서버에 있어, 상기 서버는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양도소득세 플랫폼을 운용하며,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 양도 소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양도 소득 정보 입력 포맷을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고, 상기 양도 소득 정보 입력 포맷을 기반으로 제1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단말에 입력된,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재산 거래와 관련된 제1 양도 소득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송수신부(transceiver); 및 상기 제1 양도 소득 정보 및 상기 서버의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된 양도 소득세 산출에 관한 히스토리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재산 거래에 의한 양도 소득세의 예상 값인 제1 예상 양도 소득세를 산출하는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는 서버를 제안한다.
상기 양도 소득세 산출에 관한 히스토리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와 상이한 복수의 과거 사용자들의 복수의 재산 거래들의 복수의 양도가액들에 관한 정보, 복수의 취득가액들에 관한 정보 및 복수의 양도 소득세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예상 양도 소득세를 지시하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서버가 제공하는 양도 소득세 납부 대리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상기 제1 사용자가 대리 서비스 수수료를 납부하였다는 수수료 납부 완료 정보 및 상기 제1 재산 거래와 관련된 제2 양도 소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양도 소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재산 거래와 관련된 양도 소득세 신고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신고 완료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재산 거래들 중에서, 상기 제1 재산 거래의 양도가액과의 차이값이 최소인 양도가액을 나타내는 제2 재산 거래를 검출하고, 상기 복수의 재산 거래들 중에서, 상기 제1 재산 거래의 취득가액과의 차이값이 최소인 취득가액을 나타내는 제3 재산 거래를 검출하고, 상기 제2 재산 거래의 취득가액과 상기 제1 재산 거래의 상기 취득가액과의 차이값을 나타내는 제1 차이값과, 상기 제3 재산 거래의 양도가액과 상기 제1 재산 거래의 상기 양도가액과의 차이값을 나타내는 제2 차이값을 도출하고, 상기 제1 차이값과 상기 제2 차이값 중 작은 값과 관련된 상기 재산 거래의 상기 양도 소득세를 상기 제1 예상 양도 소득세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과거 사용자들 각각이 상기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를 상기 양도소득세 플랫폼에 요청한 횟수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과거 사용자들 중 일부를 블랙 리스트로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과거 사용자들 각각이 상기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를 상기 양도소득세 플랫폼에 요청한 횟수, 그리고 상기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를 상기 양도소득세 플랫폼에 요청한 제1 시점과 제2 시점 사이의 차이를 고려하여 제1 알람 메시지를 외부 서버에 전달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블랙 리스트로 설정되는 사용자들을 복수의 블랙 리스트 그룹으로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블랙 리스트 그룹 중에서 어느 하나의 특정 블랙 리스트 그룹에 포함되는 제2 사용자에 상응하는 예상 양도 소득세가 상기 특정 블랙 리스트 그룹에 포함되는 사용자들에 상응하는 예상 양도 소득세들의 평균값보다 소정의 기준 이상으로 비싼 것으로 판단되면, 제2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외부 서버에게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의 일 예시를 나타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의 다른 일 예시를 나타내며,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의 또 다른 일 예시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제공하는,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는, 주택, 토지, 비상장주식 등 재산의 소유권을 양도하면서 발생하는 소득에 부과되는 세금인 양도 소득세를 간편하게 신고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일 수 있다. 양도소득세를 세무대리인을 통해 신고할 경우 금전적 부담을, 직접 신고할 경우 가산세 리스크와 시간적 비효율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 상기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는, 상기된 문제점을 개선하여, 사용자가 온라인 플랫폼에 서류와 신청서만 업로드만 하면 간편하게 양도소득세를 신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를 보다 구체적으로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상기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는 합리적인 비용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세무대리인을 통해 신고할 경우 부담하게 되는 상담비용과 신고수수료는, 예를 들어, 약 50만원 내지 150만원일 수 있다. 상기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는, 예를 들어, 평균 30만원의 서비스 비용으로 신고자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두 번째로, 상기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에 따르면, 실시간으로 업무 프로세스가 확인될 수 있다. 설문조사 결과의 일 예시에 따르면, 세무대리인을 통한 양도소득세 신고 시 업무 진행상황을 알기 힘들다는 단점을 나타낸다. 일 예시에 따른 상기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는, 홈페이지 내 마이페이지에서 실시간 업무 진행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세 번째로, 상기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는 간편한 온라인 서비스 및 데이터 기반의 부가적인 가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는 실시간 대응이 이루어지는 온라인 서비스와 더불어 DB(database)를 바탕으로 한 부가가치를 제공할 수 있다. 양도소득세 신고자료를 바탕으로 각 회원들에게 최적화된 큐레이션 서비스(curation service)와 공시가 스크래핑(예; 공시가격, scraping)을 통한 예상 세금 계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예상 세금 계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의 거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포맷이 예시로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예상 양도세를 산출하기 위해, 양도일자, 양도가액, 취득일자, 취득가액, 필요경비, 보유기간 및 다주택 보유여부 및 기본공제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서버는,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기반으로, 예상 양도세를 산출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가 진행되는 단계가 구체화되어 있다. 상기 진행 단계는, 예를 들어 순서대로 견적요청 단계, 견적서 확인 및 결제 진행 단계, 입금 확인 단계, 신고 검토 중 단계 및 신고 완료 단계이다. 도 4의 예시에서는 상기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가 현재 '신고 검토 중' 단계에 있다. 상기 신고 검토 중 단계에서는,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거래 대금 정보, 거래 증명서 및 현재 법률 등을 기반으로, 양도 소득세의 신고를 위한 조건이 모두 충족되었는지 여부가 검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4는 상기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가 진행되는 단계들의 일 예시를 나타낼 뿐이며, 상기 단계들에서 일부 단계가 삭제되거나 일부 단계가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고 완료' 후 양도 소득세 접수증 발행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나, 양도소득세 납부서 발행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등이 추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의 타겟은 비상장주식 거래와 간편 주택 거래로 양도소득세 납부 의무가 생긴 과세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E-나라지표 통계에 따르면 2016년부터 2018년까지의 거래 건수가 매년 평균 120%가 상승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2019년 장외시장 거래대금이 9,904억에 도달하는 바, 비상장주식 거래시장 규모 또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는 KOSIS 2018 주요 세목 전자신고 현황을 바탕으로 세무대리인을 통하지 않은 신고자 18만 명 중 단순 및 간편신고가 가능한 5%(3.6만 명)을 잠재고객으로 판단하고 있다.
법률 및 등기, 회계 등에 대한 대리 플랫폼들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동산, 부동산, 주식 등 재산의 소유권을 양도하면서 발생하는 세금인 양도소득세를 신고하는 간편한 플랫폼은 없거나 그 수가 미미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는, 기존에 보수적으로 진행되던 양도소득세 신고과정의 문제점과 잠재소비자들의 니즈를 바탕으로 원스톱 양도소득세 플랫폼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서, 비효율적인 양도소득세 신고 프로세스가 개선될 수 있다. 지금까지는 대부분의 양도소득세 신고 업무는 직접 신고와 세무대리인을 통한 신고의 방식으로 진행되어 왔다. 비전문가가 양도소득세를 직접신고(전체 양도소득세 신고자의 20%) 하는 경우, 대다수는 검색을 통해 세금신고 방법을 따라하게 된다. 이 경우 정보의 신뢰성을 판단하기 어려워 높은 가산세 리스크와 시간적 비효율이 초래될 수 있다. 또한, 세무대리인을 통한 신고(전체 양도소득세 신고자의 80%)는 안전하지만, 평균적으로 약 50만원 내지 150만원 수준의 비교적 높은 서비스 수수료와 상담비용이 발생한다. 또한, 기존의 보수적인 업무방식은 실시간 진행상황 파악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양도소득세 신고 방식을 개선하고자, 양도소득세 간편신고 서비스(즉, 상기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서비스는, 예를 들어 '양도박사'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는 초기 상담부터 세금신고까지 하나의 페이지에서 이루어지며, 업무 효율화를 통해 보다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의 프로세스는, 예를 들어 도 5와 같을 수 있다.
먼저 실시간 온라인 상담이 수행될 수 있다. 홈페이지 내 채널톡(또는 챗봇)으로 자유롭게 상담을 신청하면 실시간으로 문의를 확인하고 상담을 진행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견적을 받고자 하는 고객(또는 사용자)은 사전질문지를 작성하여 견적을 요청할 수 있다. 사전질문지를 바탕으로 작성된 견적서가 고객에게 전달될 수 있다. 이는 도 5의 STEP 01에 해당한다. 도 5의 STEP 02에서, 사용자는 상기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가 제공하는 견적서를 확인하고, 대리 수수료를 입금하고, 상담을 수행하며, 시스템에서 요청하는 서류를 플랫폼을 통해 업로드 할 수 있다.
STEP 03에서 최종적으로 전문가가 사용자(또는 고객)의 서류를 검토한 후, 보완할 사항이 없다면 STEP 04에서 2일 내에 신고를 완료하며, STEP 05에서 납부서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고객은 이전 서비스 이용 내역, 제출 서류, 납부서 등을 '마이페이지'를 통해 받아 볼 수 있으며, 현재 진행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양도 소득세의 납세의무자의 수 및 과세표준 금액의 증가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이다.
양도소득세 신고대리 시장은 점차 확대하고 있다. 양도소득세 납세자 인원 및 과세표준 금액에 관한 도 6의 A 통계를 참조하면,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양도소득세 납세의무자는 연평균 120% 증가하였으며, 양도소득세 과세표준 금액 또한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기를 기반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는, 비상장주식, 스톡옵션 및 주택 분야의 양도 소득세 대리 납부 시장에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 부동산 양도소득세
최근 주택용 부동산 규제와 최저금리 발표로 금년 2분기 상업형 부동산 거래량이 전년대비 1만 1831건이 증가하였다. 또한, 2020년 8월 한달 간 대형 부동산 카페에 올라온 양도소득세 관련 질문글은 평균 100건이며, 조회수는 300회 이상이다. 즉, 주택양도소득세(분양권, 1세대 1주택) 신고 서비스에 대한 잠재적 고객이 늘어나고 있다.
또한, 2017년 이후 장외주식을 거래하는 K-OTC시장의 규모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현재 비상장주식의 경우 장외거래가 이루어지며, 양도소득세가 자동으로 납부되지 않기 때문에 간편한 양도소득세 플랫폼인 본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 언택트 상담 서비스의 확대
코로나 19사태로 온라인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전문가에게 상담을 받는 언택트(untact, 비대면) 전문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다. N사의 경우 언택트 소비가 늘어나며 3개월만에 약 4만건의 상담이 진행되었으며, 월 1000만원 이상의 수익을 달성하는 전문가들이 발생하고 있다. S증권 역시 경력 10년 이상 상담팀들을 통해 비대면 상담서비스를 제공하여 고객수, 만족 응답률 측면에서 효과를 보고 있다.
이처럼 최근 금융, 노무, 보험, 법률,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상담 서비스가 출시되고 있지만 '양도소득세' 전문 상담 서비스는 존재하지 않고 있다. 상기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는 홈텍스로 직접 세금신고를 하기는 어렵고, 코로나19로 인해 세무서 방문이 꺼려지는 양도소득세 신고대상자에게 비대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 서비스 구현 목적
상기에 언급한 다양한 변화로 비상장주식 양도소득세 신고가 필수적인 경우는 증가하고 있으나, 여전히 신고자들에게 '양도소득세 신고'는 생소하고 어려운 분야다. 이에 상기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는 IT기술을 활용하여 고객에게 합리적인 비용으로 전문적인 서비스를 출시하였다.
또한, 상기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 내에 쌓이는 DB를 분석하여 단발성 신고 서비스에서 벗어나 맞춤형 큐레이션 서비스, 공시가를 반영한 예상 세금 계산기 등 다양한 부가가치를 제공하는 양도소득세 플랫폼으로 발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는 투자자, 개인, 창업자의 양도소득세 신고 간편 솔루션 제공과 동시에 양도소득세 신고한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700)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710), 송수신부(720) 및 프로세서(7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도 7에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서버(700)의 필수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고, 서버(700)는 도 7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700)에서 데이터베이스(710), 송수신부(720) 및 프로세서(730)는 각각 별도의 칩(chip)으로 구현되거나, 적어도 둘 이상의 구성 요소가 하나의 칩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710)는 송수신부(720) 및/또는 프로세서(730)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7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프로세서(730)가 학습 모델을 실행할 때 이용될 수 있다.
송수신부(72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송수신부(720)는 외부 장치(예를 들어, 외부 사용자 단말)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730)는 서버(7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프로세서(730)는 서버(700)의 데이터베이스(71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710) 및 송수신부(72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프로세서(730)는 서버(700)의 데이터베이스(71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도 1 내지 도 6에서 전술된 서버(700)의 동작의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730)는, 사용자 단말로, 양도 소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양도 소득 정보 입력 포맷을 전송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부(72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73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양도 소득 정보 입력 포맷을 기반으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제1 재산 거래와 관련된 제1 양도 소득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부(72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730)는, 상기 제1 양도 소득 정보 및 상기 서버의 DB(database)에 저장된 양도 소득세 산출에 관한 히스토리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재산 거래에 의한 양도 소득세의 예상 값인 제1 예상 양도 소득세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730)는, 상기 제1 예상 양도 소득세를 지시하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부(72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730)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서버가 제공하는 양도 소득세 납부 대리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가 대리 서비스 수수료를 납부하였다는 수수료 납부 완료 정보 및 상기 제1 재산 거래와 관련된 제2 양도 소득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부(72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730)는, 상기 제2 양도 소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재산 거래와 관련된 양도 소득세 신고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신고 완료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부(720)를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

  1. 서버에 있어, 상기 서버는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양도소득세 플랫폼을 운용하며,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
    양도 소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양도 소득 정보 입력 포맷을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고, 상기 양도 소득 정보 입력 포맷을 기반으로 제1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단말에 입력된,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재산 거래와 관련된 제1 양도 소득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송수신부(transceiver); 및
    상기 제1 양도 소득 정보 및 상기 서버의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된 양도 소득세 산출에 관한 히스토리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재산 거래에 의한 양도 소득세의 예상 값인 제1 예상 양도 소득세를 산출하는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되,
    상기 양도 소득세 산출에 관한 히스토리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와 상이한 복수의 과거 사용자들의 복수의 재산 거래들의 복수의 양도가액들에 관한 정보, 복수의 취득가액들에 관한 정보 및 복수의 양도 소득세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예상 양도 소득세를 지시하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서버가 제공하는 양도 소득세 납부 대리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상기 제1 사용자가 대리 서비스 수수료를 납부하였다는 수수료 납부 완료 정보 및 상기 제1 재산 거래와 관련된 제2 양도 소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양도 소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재산 거래와 관련된 양도 소득세 신고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신고 완료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재산 거래들 중에서, 상기 제1 재산 거래의 양도가액과의 차이값이 최소인 양도가액을 나타내는 제2 재산 거래를 검출하고,
    상기 복수의 재산 거래들 중에서, 상기 제1 재산 거래의 취득가액과의 차이값이 최소인 취득가액을 나타내는 제3 재산 거래를 검출하고,
    상기 제2 재산 거래의 취득가액과 상기 제1 재산 거래의 상기 취득가액과의 차이값을 나타내는 제1 차이값과, 상기 제3 재산 거래의 양도가액과 상기 제1 재산 거래의 상기 양도가액과의 차이값을 나타내는 제2 차이값을 도출하고,
    상기 제1 차이값과 상기 제2 차이값 중 작은 값과 관련된 상기 재산 거래의 상기 양도 소득세를 상기 제1 예상 양도 소득세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과거 사용자들 각각이 상기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를 상기 양도소득세 플랫폼에 요청한 횟수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과거 사용자들 중 일부를 블랙 리스트로 설정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블랙 리스트로 설정되는 사용자들을 복수의 블랙 리스트 그룹으로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블랙 리스트 그룹 중에서 어느 하나의 특정 블랙 리스트 그룹에 포함되는 제2 사용자에 상응하는 예상 양도 소득세가 상기 특정 블랙 리스트 그룹에 포함되는 사용자들에 상응하는 예상 양도 소득세들의 평균값보다 소정의 기준 이상으로 비싼 것으로 상기 서버에 의해 판단되면, 상기 서버는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외부 서버에게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 삭제
KR1020210053529A 2021-04-26 2021-04-26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KR102324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529A KR102324153B1 (ko) 2021-04-26 2021-04-26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529A KR102324153B1 (ko) 2021-04-26 2021-04-26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4153B1 true KR102324153B1 (ko) 2021-11-10

Family

ID=78500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529A KR102324153B1 (ko) 2021-04-26 2021-04-26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41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0713B1 (ko) * 2022-05-25 2023-02-16 김진호 양도세 연산 시스템 구동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8846A (ko) * 2005-04-14 2006-10-18 전미진 인터넷상의 원격 제어지원을 이용한 세금계산 및 신고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세금계산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할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
KR102043563B1 (ko) * 2018-08-09 2019-11-12 주식회사 인텔리콘 연구소 인공지능을 활용한 질의응답 및 전문가 추천 하이브리드 서비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8846A (ko) * 2005-04-14 2006-10-18 전미진 인터넷상의 원격 제어지원을 이용한 세금계산 및 신고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세금계산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할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
KR102043563B1 (ko) * 2018-08-09 2019-11-12 주식회사 인텔리콘 연구소 인공지능을 활용한 질의응답 및 전문가 추천 하이브리드 서비스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0713B1 (ko) * 2022-05-25 2023-02-16 김진호 양도세 연산 시스템 구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61105B2 (en) Computer readable medium,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 virtual venue for the transfer of taxpayer-specific information
US2018008238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providing financial loan products
US1132823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a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objects for scheduling
US20150220942A1 (en) Data collection and reporting system
AU20232039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expenses and billing
US20210264381A1 (en) Shift identification
Melo et al. Business intelligence and analytics i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US20130006684A1 (en) Engine,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business valuation and database services using alternative payment arrangements
KR102324153B1 (ko) 양도 소득세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US20240135090A1 (en) Recommendation platform for skill development
US201301035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business verification using the data universal numbering system
US11979466B2 (en) Online service platform (OSP) generating and transmitting on behalf of primary entity to third party proposal of the primary entity while maintaining the primary entity anonymous
US20230162286A1 (en) System, Method, and Platform for Providing Support and Financial Resources for Small Businesses
KR101977236B1 (ko) 아웃소싱 서비스 거래에서 발생되는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부분결제취소 서비스 제공 방법
Cariolle et al. The Use of Digital for Public Service Provision in Sub-Saharan Africa
KR20220023070A (ko) 온라인 벤더 운영 플랫폼
US20200090283A1 (en) System and method of accounting/tax preparation referrals
Fortuin The effects of mobile cloud accounting on the operations of small, medium and micro-enterprises in selected Cape Town markets
US11711316B1 (en) Online software platform (OSP) accessing digital rules updated based on client inputs
US20170140399A1 (en) Commitments and forecasting management
Van den Bergh The awareness and perception of cloud computing technology by accounting firms in Cape Town
Cataldo II Managerial Accounting
KR20230057679A (ko) 빅데이터에 기반한 온-오프라인 재고관리 시스템 및 방법
Gaffney et al. Putting a Price on Sharing: Fresh Cost Data as an Essential Ingredient of Evaluating Interlibrary Loan Services
Advisor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CT) Strategy Pap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