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3719B1 - 얼굴인식을 통한 증강현실이모지 스티커 생성방법 - Google Patents

얼굴인식을 통한 증강현실이모지 스티커 생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3719B1
KR102323719B1 KR1020190111146A KR20190111146A KR102323719B1 KR 102323719 B1 KR102323719 B1 KR 102323719B1 KR 1020190111146 A KR1020190111146 A KR 1020190111146A KR 20190111146 A KR20190111146 A KR 20190111146A KR 102323719 B1 KR102323719 B1 KR 102323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ticker
emoji
augmented reality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1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9906A (ko
Inventor
유명진
Original Assignee
유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명진 filed Critical 유명진
Priority to KR1020190111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3719B1/ko
Publication of KR20210029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9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3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3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48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
    • G03B17/5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 with both developing and finishing apparatus
    • G03B17/53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 with both developing and finish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delivering a finished picture after a signal causing exposure has been given, e.g. by pushing a button, by inserting a coin
    • G06K9/0022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26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printing, stamping, franking, typing or teleprin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72Means for inserting a foreground image in a background image, i.e. inlay, out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얼굴인식을 통한 증강현실이모지 스티커 생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초기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일정거리내에서 얼굴이 인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1 단계, 얼굴이 인식되면 증강현실 이모지 화면이 표시되는 제2 단계, 이후, 콘텐츠가 선택되었는지 판단하는 제3 단계, 이후 선택된 콘텐츠를 표시하는 동영상 화면을 표시하는 제4 단계, 이후, 일정시간동안 여러가지 다른 이모지와 배경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소정시간동안 다수장의 스냅사진을 촬영하는 제5 단계, 이후, 촬영된 스냅사진의 레이아웃을 선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제6 단계, 이후, 선택된 레이아웃에 따라 제5 단계에서 촬영된 스냅사진을 레이아웃상태로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얼굴인식을 통한 증강현실이모지 스티커 생성방법{Snap Action Senario}
본 발명은 얼굴인식을 통한 스티커 생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촬영영상에 포함된 사용자 모습 또는 그 주변에 가상의 증강현실(AR:Augmentation Reality) 정보를 적용하여 다양한 영상의 합성 스티커를 생성하되, 특정 테마를 선택하고 미리 여러장의 사진을 촬영하게 하며, 촬영중에는 얼굴인식을 통해 증강현실 이모지가 다른 형태로 표시되면 배경화면도 다르게 표시되게 하여 지루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스티커 사진을 얻을 수 있으므로 이용자의 만족도가 증대되는 효과가 있는 새로운 형태의 얼굴인식을 통한 스티커 생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키오스크를 통한 스티커 발급장치는 정지화면상태로 얼굴을 촬영하여 정해진 정지화면에 얼굴을 촬영한 스티커 사진을 생성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스티커 발급장치는 사용자가 얼굴을 잘못 위치시킨 경우에는 재촬영을 해야하기 때문에 필요이상의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것이었다.
또한 스티커 사진의 형태상 다양한 형태가 요구되는데, 이러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이는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증강현실기술은 컴퓨터 그래픽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사용자의 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기술로서 각광받고 있으며, 다양하게 적용가능하다.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은 현실에 기반하여 정보를 추가 제공하는 기술이다.증강 현실은 추가되는 정보만 가상으로 만들어 보여준다. 즉 증강 현실은 현실 세계의 실제 모습이 주가 된다는 점에서 가상 현실과 다르다. 예를 들면,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실제 도로 장면(Reality)에 주행 정보를 추가하여 보여주면 증강 현실이 되고, 가상의 지도(Virtual)에 주행 정보를 보여주면 가상 현실이 된다.
기존 정지화면에서 제공하던 영상 적용 스티커 제작방법에 증강현실을 적용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모지(Emoji)를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스티커도 출시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증강현실 이모지 기능이 구비된 휴대폰도 출시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형태가 키오스크 형태의 스티커 발급장치 혹은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선행기술문헌]
대한민국특허등록번호 제10-1915157호(등록일자 2018년10월30일)(발명의 명칭: 테마앨범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필요성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촬영영상에 포함된 사용자 모습 또는 그 주변에 가상의 증강현실(AR:Augmentation Reality) 정보를 적용하여 다양한 영상의 합성 스티커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얼굴인식을 통한 증강현실이모지 스티커 생성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촬영부, 제어부, 거리인식부, 스티커제작프로그램, 디스플레이부, 출력부, 콘텐츠 DB, 메모리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이모지 스티커 생성장치(키오스크)를 이용한 얼굴인식을 통한 증강현실 이모지 스티커 생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티커제작프로그램은 증강현실이모지 표시부, 동영상표시부, 레이아웃설정부, 콘텐츠설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증강현실 이모지 스티커 생성장치의 제어부는 스티커 생성과정을 처리하되,
초기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일정거리내에서 얼굴이 인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1 단계,
얼굴이 인식되면 증강현실 이모지 화면이 표시되는 제2 단계,
이후, 콘텐츠가 선택되었는지 판단하는 제3 단계,
이후 선택된 콘텐츠를 표시하는 동영상 화면을 표시하는 제4 단계,
이후, 일정시간동안 여러가지 다른 이모지와 배경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소정시간동안 다수장의 스냅사진을 촬영하는 제5 단계,
이후, 촬영된 스냅사진의 레이아웃을 선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제6 단계,
이후, 선택된 레이아웃에 따라 제5 단계에서 촬영된 스냅사진을 레이아웃상태로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7 단계를 처리하며,
상기 제4단계에서, 선택된 콘텐츠를 표시하는 동영상 화면들에는 여러가지로 변형되어 표현되는 이모지와, 배경화면이 표시되며, 이용자는 화면이 전환되는 과정을 즐기면서 특수효과까지 설정하여 동영상 콘텐츠속의 주인공 아바타가 되어 콘텐츠 속의 또 다른 아바타 들과 증강 현실 여행을 할 수 있게 되고, 각각의 화면에서 이용자의 얼굴화면에는 시간 경과에 따라 다른 형태의 이모지가 표시되며, 배경화면도 달라지되, 사용자는 동영상 화면 하단부의 사진화면을 터치하여 스티커 사진을 촬영하거나 자동으로 설정되어 촬영되며,
상기 제7 단계이후에 선택된 레이아웃에 따라 제5 단계에서 촬영된 스냅사진을 운영자 컴퓨터 서버로 관리자 PC를 통해 업로드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8 단계를 처리하며,
관리자 PC를 통해 업로드된 데이터는 운영자 홈페이지 사이트에서 게시 혹은 다운로드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5 단계에서의 이모지는 증강현실 이모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증강현실이모지 스티커 생성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스티커 제작 프로그램을 제어하되, 초기 인트로 화면에 일정거리 이내로 사용자가 접근하면, 자동으로 인지하여 스티커 제작프로그램의 증강현실이모지 표시부가 작동하여 증강현실 이모지가 사용자의 얼굴위에 표현되어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도록 하며,
이후, 상기 제어부는 여러가지 다른 테마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테마 선택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사용자가 터치입력이 가능한 화면의 해당 부분을 터치하여 선택하면, 선택된 부분이 하이라이트되어 표시되도록 하고, 다음화면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사용자가 비용(지폐 혹은 코인)을 투입하여 투입된 비용인 인식하게 되면 해당 선택 테마이후의 화면들이 계속진행 될 수 있도록 하고, 이후, 키오스크 장치의 스티커 제작프로그램의 동영상표시부, 배경영상 표시부가 계속 작동하게 되도록 제어하며, 선택된 테마선택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화면 하단부의 사진 화면을 터치하게 되면 스티커 사진을 촬영하거나 자동으로 설정된 스티커 사진이 촬영되어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촬영된 사진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사진들은 레이아웃 위치가 배치완료된 후에 스티커 사진으로 출력되거나 업로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인식을 통한 증강현실이모지 스티커 생성방법이 제공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촬영영상에 포함된 사용자 모습 또는 그 주변에 가상의 증강현실(AR:Augmentation Reality) 정보를 적용하여 다양한 영상의 합성 스티커를 생성할 수 있어서 이용자의 편의성 및 만족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기존의 배경화면에 얼굴이 인식된 상태로 단순하게 표현된 스티커 사진에서, 특정 테마를 선택하고 미리 여러장의 사진을 촬영하게 하며, 촬영중에는 얼굴인식을 통해 증강현실 이모지가 다른 형태로 표시되면 배경화면도 다르게 표시되게 하여 지루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스티커 사진을 얻을 수 있으므로 이용자의 만족도가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얼굴인식을 통한 증강현실이모지 스티커 생성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장치에 의하여 제공되는 얼굴인식을 통한 증강현실이모지 스티커 생성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얼굴인식을 통한 증강현실이모지 스티커 생성방법을 구현한 실시예를 나타낸 스티커 생성과정의 화면들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얼굴인식을 통한 증강현실이모지 스티커 생성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얼굴인식을 통한 증강현실이모지 스티커 생성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증가현실 이모지 스티커 생성장치(키오스크)(10)은 촬영부(11), 거리인식부(14), 스티커제작프로그램(12), 제어부(17), 디스플레이부(18), 출력부(19), 콘텐츠 DB(13), 메모리(15)를 포함한다.
상기 스티커제작프로그램(12)은 증강현실이모지 표시부, 동영상표시부, 레이아웃설정부, 콘텐츠설정부를 포함한다.
키오스크(10)에서 제작한 스티커는 통신망을 통해 운영자 컴퓨터 서버(20)에 업로드된다. 관리자 PC(30)를 통해 업로드된 데이터는 운영자 홈페이지 사이트에서 게시 혹은 다운로드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장치에 의하여 제공되는 얼굴인식을 통한 증강현실이모지 스티커 생성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초기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일정거리내에서 얼굴이 인식되었는지를 판단한다(S4).
이후, 얼굴이 인식되면 증강현실 이모지 화면이 표시된다(S6).
이후, 콘텐츠가 선택을 위한 화면이 표시되고, 콘텐츠가 선택되었는지 판단한다(S8).
이후 선택된 콘텐츠를 표시하는 동영상 화면을 표시한다(S10).
이후, 일정시간동안 여러가지 다른 이모지와 배경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소정시간동안 여러장의 스냅사진들을 촬영하게 된다(S12).
이후, 촬영된 스냅사진의 레이아웃을 선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S14).
이후, 선택된 레이아웃에 따라 촬영된 스냅사진을 레이아웃상태로 출력시키거나 또는 업로드 한다(S16).
도 3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얼굴인식을 통한 증강현실이모지 스티커 생성방법을 구현한 실시예를 나타낸 스티커 생성과정의 화면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1의 키오스크 장치(10)에 사용자가 접근하게 되면, 촬영부(11)를 통해 얼굴을 촬영하게 되고 거리인식부(14)를 통해 거리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초기 인트로 화면(S1)에 일정거리 이내로 사용자가 접근하면, 자동으로 인지하여 스티커 제작프로그램(12)의 증강현실이모지 표시부가 작동하여 증강현실 이모지(100)가 얼굴위에 표현되어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다. 증강현실 이모지에 대하여는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내용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한다.
이용자는 다음 버튼(B1)을 클릭하여 다음 화면으로 진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일정시간 후에 자동으로 다음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음을 물론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이용자에게 여러가지 다른 테마(화면에서는 가상여행을 떠날 장소를 선택하는 것으로 가정하였고, 생일파티(T1), 바닷속 세상(T2), 쥬라기 공원(T3), 비밀의 정원(T4) 테마 중 하나의 테마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다른 테마 선택화면(S2)이 표시된 것을 볼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입력이 가능한 화면의 해당 부분을 터치하여 선택하면, 선택된 부분 즉 쥬라기공원(T3)이 하이라이트되어 표시되고, 다음화면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때 키오스크 장치(10)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예로서, 사용자는 비용(지폐 혹은 코인)을 투입하여 투입된 비용인 인식하게되면 해당 선택 테마이후의 화면들이 계속진행될 수 있는 구조로 미리 설정된 것으로 가정한다. 이후 키오스크 장치(10)의 스티커 제작프로그램(12)의 동영상표시부, 배경영상 표시부등이 계속 작동하게 되며, 테마선택 화면을 보여주기 위한 다음 화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이용자에게 선택된 테마화면 표시 중에 주의사항 혹은 스티커 사진 촬영 안내화면(S3)이 표시된다. 안내 내용은 "가상여행을 하는 동안 15장의 사진을 찍을 것이며, 입을 벌리거나 V자를 해보세요. 재미있는 일이 생길거예요"라는 메시지이다. 관련 포즈 안내화면(C1,C2,C3)도 표시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이용자가 선택한 쥬라기공원 가상여행 초기화면(S4)이 표시된다. 이후 구체적인 화면들이 표시되게 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쥬라기공원 가상여행 실제화면들(S5,S6,S7,S8,S9,S10,S11)을 볼 수 있다. 각각의 화면에는 여러가지로 변형되어 표현되는 이모지와, 배경화면이 표시되며, 이용자는 이러한 화면이 전환되는 과정을 즐기면서 특수효과까지 설정하여 동영상 콘텐츠속의 주인공 아바타가 되어 콘텐츠 속의 또 다른 아바타 들과 증강 현실 여행을 할 수 있게 된다.
각각의 화면에서 이용자의 얼굴화면에는 시간 경과에 따라 다른 형태의 이모지가 표시되며, 배경화면도 달라진 것을 볼 수 있다. 사용자는 화면 하단부의 사진화면을 터치하여 스티커 사진을 촬영할 수 있고 자동으로 설정되어 촬영될 수도 있음을 물론 가능하다.
도 9를 참조하면, 이전에 촬영된 스티커 사진의 레이아웃을 선택하기 위한 레이아웃 표시화면(S12)을 볼 수 있다. 상기 스티커제작프로그램(12)의 레이아웃설정부가 동작되어 표시되는 레이아웃 표시화면(L1,L2,L3,L4,L5,L6)에서 저장된 사진들 중 마음에 드는 사진을 골라 배치하고 출력하고 업로드 하기 위한 준비과정으로서 레이아웃을 선택하게 된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도 9에서 선택한 레이아웃 화면이 표시되며, 동시에 좌측에는 촬영한 스티커 사진들이 표시된다. 이용자는 왼쪽 사진을 끌어다 오른쪽 레이아웃 위치에 배치하면 된다. 사용법 버튼(U1)을 통해 사용법을 알아볼 수도 있다. 이용자는 촬영한 스티커 사진들(P1,P2,P3,P4,P5,P6,P7,P8)(15장이 촬영되도록 설정할 수 도 있으나 직접 자신이 선택한 사진 8장만 표시된 것으로 가정하였다) 중에서 레이아웃 위치(L31,L32,L33,L34)에 넣고 싶은 사진을 끌어다 넣게 된다. 레이아웃후에 레이아웃 위치에는 P1,P2,P4,P7의 사진이 선택되어 배치되었고, 이용자는 배치완료된 사진을 출력할 수 있고, 또한 업로드 시킬 수 있다. 출력을 위한 화면(S15)이 표시되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촬영영상에 포함된 사용자 모습 또는 그 주변에 가상의 증강현실(AR:Augmentation Reality) 정보를 적용하여 다양한 영상의 합성 스티커를 생성할 수 있어서 이용자의 편의성 및 만족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즉, 기존에 배경화면에 얼굴이 인식된 상태로 단순하게 표현된 스티커 사진에서, 특정 테마를 선택하고 미리 여러장의 사진을 촬영하게 하며, 촬영중에는 얼굴인식을 통해 증강현실 이모지가 다른 형태로 표시되면 배경화면도 다르게 표시되게 하여 지루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스티커 사진을 얻을 수 있으므로 이용자의 만족도가 증대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얼굴인식을 통한 증강현실이모지 스티커 생성방법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키오스크 장치
12: 스티커제작프로그램
14: 거리인식부
20: 운영자 컴퓨터서버

Claims (3)

  1. 촬영부, 제어부, 거리인식부, 스티커제작프로그램, 디스플레이부, 출력부, 콘텐츠 DB, 메모리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이모지 스티커 생성장치를 이용한 얼굴인식을 통한 증강현실 이모지 스티커 생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티커제작프로그램은 증강현실이모지 표시부, 동영상표시부, 레이아웃설정부, 콘텐츠설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증강현실 이모지 스티커 생성장치의 제어부는 스티커 생성과정을 처리하되,
    초기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일정거리내에서 얼굴이 인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1 단계,
    얼굴이 인식되면 증강현실 이모지 화면이 표시되는 제2 단계,
    이후, 콘텐츠가 선택되었는지 판단하는 제3 단계,
    이후 선택된 콘텐츠를 표시하는 동영상 화면을 표시하는 제4 단계,
    이후, 일정시간동안 여러가지 다른 이모지와 배경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소정시간동안 다수장의 스냅사진을 촬영하는 제5 단계,
    이후, 촬영된 스냅사진의 레이아웃을 선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제6 단계,
    이후, 선택된 레이아웃에 따라 제5 단계에서 촬영된 스냅사진을 레이아웃상태로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7 단계를 처리하며,
    상기 제4단계에서, 선택된 콘텐츠를 표시하는 동영상 화면들에는 여러가지로 변형되어 표현되는 이모지와, 배경화면이 표시되며, 이용자는 화면이 전환되는 과정을 즐기면서 특수효과까지 설정하여 동영상 콘텐츠속의 주인공 아바타가 되어 콘텐츠 속의 또 다른 아바타 들과 증강 현실 여행을 할 수 있게 되고, 각각의 화면에서 이용자의 얼굴화면에는 시간 경과에 따라 다른 형태의 이모지가 표시되며, 배경화면도 달라지되, 사용자는 동영상 화면 하단부의 사진화면을 터치하여 스티커 사진을 촬영하거나 자동으로 설정되어 촬영되며,
    상기 제7 단계이후에 선택된 레이아웃에 따라 제5 단계에서 촬영된 스냅사진을 운영자 컴퓨터 서버로 관리자 PC를 통해 업로드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8 단계를 처리하며,
    관리자 PC를 통해 업로드된 데이터는 운영자 홈페이지 사이트에서 게시 혹은 다운로드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5 단계에서의 이모지는 증강현실 이모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증강현실이모지 스티커 생성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스티커 제작 프로그램을 제어하되, 초기 인트로 화면에 일정거리 이내로 사용자가 접근하면, 자동으로 인지하여 스티커 제작프로그램의 증강현실이모지 표시부가 작동하여 증강현실 이모지가 사용자의 얼굴위에 표현되어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도록 하며,
    이후, 상기 제어부는 여러가지 다른 테마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테마 선택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사용자가 터치입력이 가능한 화면의 해당 부분을 터치하여 선택하면, 선택된 부분이 하이라이트되어 표시되도록 하고, 다음화면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사용자가 비용을 투입하여 투입된 비용인 인식하게 되면 해당 선택 테마이후의 화면들이 계속진행 될 수 있도록 하고, 이후, 키오스크 장치의 스티커 제작프로그램의 동영상표시부, 배경영상 표시부가 계속 작동하게 되도록 제어하며, 선택된 테마선택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화면 하단부의 사진 화면을 터치하게 되면 스티커 사진을 촬영하거나 자동으로 설정된 스티커 사진이 촬영되어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촬영된 사진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사진들은 레이아웃 위치가 배치완료된 후에 스티커 사진으로 출력되거나 업로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인식을 통한 증강현실이모지 스티커 생성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190111146A 2019-09-08 2019-09-08 얼굴인식을 통한 증강현실이모지 스티커 생성방법 KR102323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146A KR102323719B1 (ko) 2019-09-08 2019-09-08 얼굴인식을 통한 증강현실이모지 스티커 생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146A KR102323719B1 (ko) 2019-09-08 2019-09-08 얼굴인식을 통한 증강현실이모지 스티커 생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9906A KR20210029906A (ko) 2021-03-17
KR102323719B1 true KR102323719B1 (ko) 2021-11-08

Family

ID=75243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1146A KR102323719B1 (ko) 2019-09-08 2019-09-08 얼굴인식을 통한 증강현실이모지 스티커 생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371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95580A (ja) * 2014-03-28 2015-11-05 フリュー株式会社 写真シール作成装置および画像生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633A (ko) * 2015-05-28 2016-12-07 주식회사 플렉싱크 증강현실을 이용한 체험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95580A (ja) * 2014-03-28 2015-11-05 フリュー株式会社 写真シール作成装置および画像生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9906A (ko) 2021-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7506B2 (en) Automatic target box in methods and systems for editing content-rich layouts in media-based projects
KR101450584B1 (ko) 단말의 화면 표시 방법
KR102131646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2230909B (zh) 小程序的数据绑定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Lal Digital design essentials: 100 ways to design better desktop, web, and mobile interfaces
US20140026061A1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cloud service and terminal for supporting the same
WO2015148733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he real-time modification of videos and images within a social network format
US1004885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wipe shift photo browsing
CN105094538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12954196A (zh) 拍摄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20190068341A (ko) 사용자의 인터랙션에 따라 제어 또는 합성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10162507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system, a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and program
JP5639384B2 (ja) 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13918522A (zh) 一种文件生成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7016034A (zh) 信息处理装置及信息处理方法
JP2022002393A (ja) 画像処理装置、画像データ提供装置、写真撮影遊戯装置、画像データ提供システム、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KR102323719B1 (ko) 얼굴인식을 통한 증강현실이모지 스티커 생성방법
CN117692552A (zh) 壁纸显示的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092156B1 (ko) 표시 장치의 영상 인코딩 방법
CN106933455B (zh) 应用图标的处理方法和处理装置
KR102138193B1 (ko) 복수의 카메라 패키지로 이루어진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5491466B2 (ja) 編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撮影装置
CN117274057A (zh) 图像拼接方法及装置
CN116132656A (zh) 一种虚拟现实设备及视频评论显示方法
CN117097945A (zh) 视频处理方法及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