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3350B1 - 팬 모터 - Google Patents

팬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3350B1
KR102323350B1 KR1020210077362A KR20210077362A KR102323350B1 KR 102323350 B1 KR102323350 B1 KR 102323350B1 KR 1020210077362 A KR1020210077362 A KR 1020210077362A KR 20210077362 A KR20210077362 A KR 20210077362A KR 102323350 B1 KR102323350 B1 KR 102323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bearing support
outer ring
shaft
wave wa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7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5937A (ko
Inventor
황은지
김병직
김성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7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3350B1/ko
Publication of KR20210075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5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3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3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25/06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the electric motor being specially adapted for integration in the pump
    • F04D25/0613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the electric motor being specially adapted for integration in the pump the electric motor being of the inside-out type, i.e. the rotor is arranged radially outside a central stator
    • F04D25/062Details of the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5Shafts or bearings, or assemblies thereof,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056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Mounting Of Bearings Or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고속으로 회전하는 팬 모터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볼 베어링의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베어링 설치 구조는, 스테이터(21), 상기 스테이터(22)와 전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회전하는 로터(22), 그리고 상기 로터(22)가 설치되어 상기 로터(22)와 함께 회전하는 샤프트(23)를 포함하는 모터부(20); 상기 샤프트(23)가 내부로 삽입되는 내륜(243), 상기 내륜의 바깥쪽 둘레에 배치된 외륜(241), 그리고 상기 내륜과 외륜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외륜에 대한 내륜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을 구름 지지하는 구름부재(242)를 포함하는 베어링(24); 내부에 상기 모터부(20)가 수용되는 모터 설치부(111)와, 상기 베어링(24)의 외륜(241)을 지지하며 상기 베어링(24)을 수용하는 베어링 지지부(112, 174)를 구비하는 모터바디부(10); 상기 베어링 지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베어링의 외륜을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가압하여 예압을 부여하는 탄성체(25); 및 상기 베어링(24)의 외륜과 상기 탄성체를 고정하는 제1고정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팬 모터{A Fan Motor}
본 발명은 모터와 팬이 일체로 설치된 팬 모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초고속으로 회전하는 팬 모터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볼 베어링의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팬 모터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기류를 발생시키는 팬을 일체로 구성한 제품이다. 팬 모터는 기류가 필요한 가전제품에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가전제품의 대표적인 예는 청소기이다.
팬 모터가 설치된 본체와 흡입구가 설치된 흡입 덕트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던 종래의 청소기와 달리, 핸디 타입의 청소기는 팬 모터가 흡입 덕트 쪽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팬 모터의 무게가 무거울 경우 사용자의 편의성이 반감된다.
이러한 점으로 인해 핸디 타입의 청소기에는 경량의 팬 모터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경량의 팬 모터는 그만큼 출력이 낮아 청소기의 흡입 능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팬 모터를 소형 경량화 하면서도 모터의 출력을 높이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이처럼 팬 모터를 소형으로 제작하면서도 출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팬 모터의 고속 회전이 필수적인데, 고속 회전은 소음과 진동, 그리고 발열 문제를 야기한다. 또한 고속 회전하는 회전축을 지지할 수 있는 베어링의 설계가 반드시 필요하다.
볼 베어링은 하우징에 지지되는 외륜과, 하우징을 관통하는 회전축에 고정되는 내륜, 그리고 상기 외륜과 내륜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 개의 볼을 포함한다. 통상 내륜은 회전축의 외주면에 끼워 맞춰져서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고, 외륜은 하우징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내륜과 외륜의 상대적인 회전 변위에 대해 볼이 구름 동작하여 마찰력을 최소화하게 된다.
그런데 소형 팬 모터의 출력을 높이기 위해 회전축의 회전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어야 할 외륜이 내륜의 회전에 큰 영향을 받아 함께 회전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베어링의 외륜이 함께 회전하게 되면, 베어링이 변형되거나 손상 또는 파손될 우려가 있고, 이는 베어링의 신뢰도를 크게 떨어뜨린다.
종래에는, 이처럼 외륜이 회전축을 따라 도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외륜과 베어링 지지부 사이에 본딩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액상의 접착제가 굳으면서 변형 고화되는 현상이 볼 베어링의 외륜에 변형을 가하거나 외륜의 정렬을 흐트러뜨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고속으로 회전함에 따라 발생하는 열이 회전축을 길이방향으로 신장시키는데, 이에 따라 내륜의 위치도 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께 변위하게 된다. 이 때 외륜이 본딩에 의해 베어링 지지부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으면, 외륜은 내륜과 함께 변위하지 못한다. 이러한 내륜과 외륜의 변위 차이는 결국 볼에 대한 응력을 발생시키고, 이는 볼 베어링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원인이 된다.
한편, 볼 베어링의 공진 주파수는 상당히 높은 편이지만, 팬 모터를 소형화하면서 회전축을 초고속으로 회전시키다 보니, 볼 베어링에서 진동과 소음이 발생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에 볼 베어링에 예압을 가함으로써 진동과 소음을 저감하는 방안이 적용되고 있다.
예압을 가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는 웨이브 와셔는 볼 베어링의 외륜을 축방향으로 가압한다. 그런데, 외륜과 베어링 지지부가 서로 본딩 등으로 고정되어 있으면, 상기 웨이브 와셔가 외륜에 가하는 압력이 외륜에 온전히 전달되지 못하고, 대부분 접착 부위가 이를 흡수한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설계자가 의도한 예압보다 실제 예압이 덜 가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팬 모터의 회전축이 고속으로 회전하더라도,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볼 베어링의 외륜이 회전축을 따라 돌지 않는 상태를 확실히 유지할 수 있는 볼 베어링의 설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볼 베어링의 외륜이 회전축을 따라 돌지 않도록 하면서도 예압이 확실히 작용할 수 있도록 한 볼 베어링의 설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스테이터(21), 상기 스테이터(22)와 전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회전하는 로터(22), 그리고 상기 로터(22)가 설치되어 상기 로터(22)와 함께 회전하는 샤프트(23)를 포함하는 모터부(20); 상기 샤프트(23)가 내부로 삽입되는 내륜(243), 상기 내륜의 바깥쪽 둘레에 배치된 외륜(241), 그리고 상기 내륜과 외륜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외륜에 대한 내륜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을 구름 지지하는 구름부재(242)를 포함하는 베어링(24); 내부에 상기 모터부(20)가 수용되는 모터 설치부(111)와, 상기 베어링(24)의 외륜(241)을 지지하며 상기 베어링(24)을 수용하는 베어링 지지부(112, 174)를 구비하는 모터바디부(10); 상기 베어링 지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베어링의 외륜을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가압하여 예압을 부여하는 탄성체(25); 및 상기 베어링(24)의 외륜과 상기 탄성체를 고정하는 제1고정수단;을 포함하는 베어링 설치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탄성체와 상기 베어링 지지부를 고정하는 제2고정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외륜(241)은 상기 베어링 지지부에 대해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탄성체는, 상기 베어링(24)의 외륜(241)과 접하는 산(251)과, 상기 베어링 지지부에 접하는 골(252)과, 상기 산과 골을 연결하는 연결부(253)를 구비하는 웨이브 와셔(25)를 포함한다.
상기 제1고정수단은, 상기 외륜(241)과 상기 탄성체가 접하는 부위를 접착하는 것, 상기 외륜(241)과 접하는 탄성체 표면을 거칠기 가공하여 외륜의 표면과 탄성체 표면 간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것, 및 상기 탄성체와 원주 방향으로 간섭되는 걸림단(244)을, 상기 탄성체와 접하는 외륜(241)의 면에 마련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제2고정수단은, 상기 베어링 지지부와 상기 탄성체가 접하는 부위를 접착하는 것, 상기 베어링 지지부와 접하는 탄성체 표면 및 상기 탄성체 표면과 접하는 상기 베어링 지지부의 표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거칠기 가공하여, 베어링 지지부의 표면과 탄성체 표면 간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것, 및 상기 탄성체의 원주 방향으로 간섭되는 걸림단(117)을, 상기 탄성체와 접하는 상기 베어링 지지부 부근에 마련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샤프트(23)에는 상기 내륜(243)이 상기 탄성체(25)의 가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저지하는 단차부(231)가 마련된다.
일 예로서, 상기 단차부(231)는 상기 샤프트(23)의 직경을 달리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상기 단차부(231)는 상기 샤프트의 축 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링 부재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베어링 설치 구조가 적용된 팬 모터를 제공한다.
상기 베어링 지지부(112, 174)는 상기 로터(22)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탄성체(25)는 일측 단부에 마련된 베어링 지지부(112)에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23)의 타측 단부에 임펠러(31)가 설치되어 상기 샤프트(23)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타측 단부에 마련된 베어링 지지부(174)는 상기 로터(22)와 임펠러(31) 사이에 마련된다.
본 발명의 팬 모터 구조에 따르면, 베어링의 외륜이 베어링 지지부에 고정되지 않고 베어링의 예압 수단인 탄성체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베어링의 외륜의 원주 방향 회전은 확실히 제한된다. 따라서 베어링의 외륜이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며 발생할 수 있는 볼 베어링의 손상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접착제로 베어링의 외륜을 베어링 지지부에 고정하는 본딩 구조를 삭제할 수 있어, 베어링의 외륜이 베어링 지지부에서 샤프트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체에 의한 예압이 베어링 외륜에 확실히 전달되고, 접착제가 고화되면서 외륜에 가했던 변형이나 정렬 틀어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속 회전하는 샤프트의 발열 요인으로 인해 샤프트가 축방향으로 신축할 때, 베어링의 외륜이 이에 따라 베어링 지지부 내에서 축방향으로 함께 순응하여 이동하므로, 베어링의 볼에 응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베어링의 외륜 및 상기 베어링의 외륜과 마주하는 베어링 지지부의 내경부에 별도의 가공이나 공정을 가하지 않고서도 베어링의 외륜을 회전 제한되도록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베어링의 정렬이 용이하고 베어링의 정렬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며, 베어링의 신뢰도를 종전보다 더욱 높일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설치 구조가 적용된 팬 모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베어링 설치 구조에 적용된 웨이브 와셔의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팬 모터가 조립된 상태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도 3에서 베어링 설치 구조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실시예들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팬 모터의 구조]
도 1과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로서 팬 모터는, 모터부(20), 상기 모터부가 수용 설치되며 팬 모터의 전체적인 골격을 이루는 모터 바디부(10), 상기 팬 모터의 모터 바디부(10) 상부에 설치되어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유동 발생부(30), 상기 유동 발생부(30)에서 발생한 공기 유동을 분산시키는 디퓨져(40)를 포함한다.
모터부(20)는 환 형의 스테이터(21), 상기 스테이터(21)의 중심을 관통하는 샤프트(23), 및 상기 샤프트(23)에 축설되며 상기 스테이터(21)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로터(2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20)는 BLDC 모터(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인 것이 예시된다. 본 발명에서는 BLDC 모터로서 스테이터(21)가 로터(22)의 외측에 배치된 구조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로터(22)의 안쪽에 스테이터(21)가 배치된 구조의 모터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샤프트(23)는 베어링(24)에 의해 회전 지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로터(22)를 사이에 두고 샤프트(23)의 양단에 베어링(24)이 설치된 양단 지지 구조를 예시하고 있으나, 샤프트(23)의 일측, 가령 로터(22)의 상부에 이점 지지하는 지지 구조 역시 적용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의 베어링 설치 구조는, 양단 지지 구조에 더 적합할 수 있으며, 그 중 샤프트의 하부(임펠러가 설치된 단부와 대향하는 단부)의 베어링 설치 구조에 적용하기에 더 적합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23)는 로터가 설치된 부분의 직경이 더 크고, 베어링이 설치된 양단부의 직경이 더 작은 단차부(231)를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샤프트(23)의 하부에 설치된 베어링(24)은 하부의 단차부(231)에 의해 마련된 소직경부에 설치되고, 후술할 모터 하우징(11)에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샤프트(23)의 상부에 설치된 베어링(24)은 상부의 단차부(231)에 의해 마련된 소직경부에 설치되고, 후술할 베어링 하우징(17)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로터(22)는 상기 두 단차부(231) 사이에 마련된 샤프트(23)의 대직경부에 설치된다.
참고로, 샤프트(23)의 단차부는 반드시 직경을 달리 하여 구현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샤프트의 외주면에 C 링 또는 O 링을 고정하는 형태로도 구현 가능하다.
<모터 바디부>
모터 바디부(10)는, 상기 모터부(20)를 수용하고 후술할 임펠러 커버(34)를 고정하는 바디 결합부(115)를 포함하는 모터 하우징(11)과, 상기 모터 하우징(11)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모터부(20)의 상부에 설치된 베어링(24)을 지지하는 베어링 하우징(17)을 포함한다.
상기 모터 하우징(11)은, 상기 모터부(20)가 내장되고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태의 모터 설치부(111)와, 상기 모터 설치부(111)의 상단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외향 연장되는 연결 아암(114)과, 상기 연결 아암(114)의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모터 설치부(111)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환형의 바디 결합부(115)를 포함한다.
모터 설치부(111)의 바닥의 중앙부에는 상기 모터부(20) 하부의 베어링(24)을 고정 지지하는 베어링 지지부(112)가 구비된다. 베어링 지지부(112)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태이며, 샤프트(23) 하부의 베어링(24)은 상기 베어링 지지부(112)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상기 베어링 지지부(112)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베어링 지지부(112)에 설치된 베어링(24)의 내륜(243)의 내주면은 상기 샤프트(23)의 소직경부의 외주면과 접하여 고정되고, 내륜(243)의 상부면은 상기 샤프트의 단차부(231)에 접하여 고정된다.
베어링 지지부(112)에 설치된 베어링(24)의 외륜(244)의 외주면은 상기 베어링 지지부(112)의 내주면과 접하며 고정된다.
상기 내륜(243)과 외륜(241) 사이에는 복수 개의 구름부재, 즉 볼(242)이 개재되어 내륜과 외륜 간의 상대적인 회전을 구름 지지한다.
상기 베어링(24)의 저면과 상기 베어링 지지부(112)의 바닥면 사이에는 탄성체인 웨이브 와셔(25)가 압축 개재되어, 상기 베어링(24)의 외륜(241)을 상방으로 가세한다.
하부에 마련된 베어링(24)의 외륜(241)이 상방 가세되면, 그 힘은 볼(242)을 통해 내륜(243)에 전달되고, 내륜(243)이 샤프트 하부의 단차부(231)를 밀어 올려 샤프트(23)를 상방으로 예압하게 된다. 후술하겠지만, 샤프트(23)가 상방으로 가세되면, 샤프트 상부에 마련된 베어링(24)의 내륜(243)이 샤프트 상부의 단차부에 의해 밀어 올려지며 상방으로 가세되고, 이러한 힘은 볼(242)을 통해 상부 베어링(24)의 외륜(241)을 상방으로 가세한다.
따라서 하부에 마련된 베어링(24)의 외륜(241)을 상방 가세하는 것으로, 상부와 하부에 마련된 베어링(24)이 모두 예압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웨이브 와셔(25)는 대략 납작한 환 형의 와셔로서, 원주 방향을 따라 상하로 굴곡이 이루어진 형태이다. 실시예에 따르면 웨이브 와셔(25)는 120도 간격으로 3개의 산(251)이 마련되고, 상기 3개의 산 사이에 3개의 골(252)이 마련되며, 상기 산과 골은 만곡한 연결부(253)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다만 탄성체로 사용되는 웨이브 와셔의 형태가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단턱이 있는 형태,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에 높이 차가 있는 형태의 웨이브 와셔 등 다양한 다른 탄성체도 사용 가능하다.
상기 모터 설치부(111)의 측벽은 대략적으로 원통형의 형상을 구비하며, 상기 측벽의 내면에는 스테이터(21)가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 설치부(111)의 측벽의 상단부에는 상기 측벽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외향 연장되는 형태의 연결 아암(114)과, 상기 연결 아암(114)의 반경 방향의 외측 단부에 구비되는 바디 결합부(115)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120도 간격으로 3개의 연결 아암(114)이 마련된 구조가 예시된다.
상기 바디 결합부(115)는 상기 모터 설치부(111)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통 또는 플랜지 구조의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바디 결합부(115)는 후술할 임펠러 커버(34)의 하단부 둘레와 형합되며 고정된다.
<베어링 하우징>
상기 모터 하우징(11)에 모터부(20)가 수용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 하우징(11)의 상부에는 베어링 하우징(17)이 설치된다. 베어링 하우징(17)은 상기 모터부(20)의 상부에 마련된 베어링(24)을 지지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즉 로터(22)를 사이에 두고, 샤프트(23)의 하단부는 모터 하우징(11)에 의해 지지되고, 샤프트(23)의 상단부는 베어링 하우징(17)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모터 하우징(11)과 베어링 하우징(17)은 고속으로 회전하는 로터(22)와 샤프트(23)를 지지해야 하므로, 강성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터 하우징(11)과 베어링 하우징(17)은 고속으로 회전하는 모터부의 회전축을 정확히 정렬하고 확실히 지지하기 위한 구조를 구비한다. 따라서 모터 하우징(11)과 베어링 하우징(17)은 상호 위치가 정교하게 규제되며 체결되는 구조를 구비한다.
베어링 하우징(17)의 중앙부에는 상기 샤프트(23)의 상단부에 설치된 베어링(24)을 지지하는 베어링 지지부(174)를 구비한다. 베어링 지지부(174)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서,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 중앙부에는 샤프트가 관통하는 홀이 마련된다. 베어링(24)은 상기 베어링 지지부(174)의 하부로부터 그 내부에 삽입된다.
베어링 지지부(174)에 설치된 베어링(24)의 내륜(243)의 내주면은 상기 샤프트(23)의 소직경부의 외주면과 접하여 고정되고, 내륜(243)의 저면은 상기 샤프트의 단차부(231)에 의해 지지된다.
베어링 지지부(174)에 설치된 베어링(24)의 외륜(244)의 외주면과 상부면은 상기 베어링 지지부(174)의 내주면과 천장면과 접하며 고정된다.
상기 내륜(243)과 외륜(241) 사이에는 복수 개의 구름부재, 즉 볼(242)이 개재되어 내륜과 외륜 간의 상대적인 회전을 구름 지지한다.
앞서 설명한 바 있듯이, 웨이브 와셔(25)에 의해 샤프트(23)는 상방으로 예압되므로, 상기 내륜(243)이 샤프트 상부의 단차부에 의해 밀어 올려지며 상방으로 가세되고, 이러한 힘은 볼(242)을 통해 상부 베어링(24)의 외륜(241)을 상방으로 가세한다. 이러한 예압의 전달을 위해, 상기 베어링 지지부(174)의 천장면은 상기 베어링(24)의 내륜 상부면이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간섭하지 않는 구조를 가진다.
베어링 지지부(174)의 외측 둘레에는 방사상으로 복수 개의 내향 아암(173)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3개의 내향 아암이 120도 간격으로 등간격 배치된 형태가 예시된다. 내향 아암(173)은 베어링 지지부(174)로부터 외향 연장된다.
반경 방향으로 내향 아암(173)의 안쪽과 베어링 지지부(174)의 연결 부위에는 내향 아암보다 두툼한 직육면체 형태의 체결부(175)가 마련된다. 상기 체결부(175)는 후술할 디퓨져(40)의 중앙부가 안착 고정되는 부위이며, 여기에는 디퓨져와의 고정을 위한 나사 체결공이 마련된다.
반경 방향으로 내향 아암(173)의 바깥쪽에는 모터 설치부(111)의 측벽 상단에 고정되는 환형의 고정부(171)가 마련된다. 고정부(171)의 하부는 상기 모터 설치부(111)의 상부와 형합된다. 구체적으로, 고정부(171)의 하부에는 단턱 형상이 마련되고, 이러한 단턱 부위가 모터 설치부(111)의 상면 및 상부 내경면과 형합된다. 이러한 형합구조는 모터 하우징(11)에 대한 베어링 하우징(17) 축방향 위치와 반경방향 위치를 정확히 규제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171)의 외주면(outer circumferential surface)에는 반경 방향으로 외향 연장되는 형태의 외향 아암(172)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외향 아암(172)에도 나사 체결공이 마련된다. 상기 외향 아암(172)과 거기에 마련된 나사 체결공의 배치는, 앞서 설명한 모터 하우징(11)의 연결 아암(114) 및 거기에 마련된 나사 체결공의 배치와 매치된다.
따라서 외향 아암(172)과 연결 아암(114)을 정렬시키며 상기 고정부(171)를 상기 모터 설치부(111)의 상단에 형합한 상태에서, 상기 외향 아암(172)과 연결 아암(114)을 나사 체결하면, 모터 하우징(11)과 베어링 하우징(17)은 상호 정밀하게 정렬된 상태에서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베어링 하우징(17)은 충분한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베어링 하우징(17)의 베어링 지지부(174)와 고정부(171)는 내향 아암(173)을 통해 상호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디퓨져>
상기 베어링 하우징(17)의 상부에는, 디퓨져(40)가 설치된다. 디퓨져(40)는 전체적인 디퓨져의 외관을 규정하는 디퓨져 바디(41)와, 상기 디퓨져 바디(41)의 외면에 마련된 베인(42)을 포함한다.
디퓨져 바디(41)는 중앙부에 홀(45)이 마련되고 평평한 형상을 가지는 평탄부(413)와, 상기 평탄부(413)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반경방향으로 바깥쪽으로 갈수록 하향하는 경사면 형태의 사면부(411)과, 상기 사면부(411)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원통 형태로 하향 연장되는 원통부(412)를 포함한다.
상기 평탄부(413)의 상부에는 후술할 임펠러(31)가 배치되고, 상기 평탄부(413)의 하부면은 앞서 설명한 체결부(175)에 얹어진다. 평탄부(413)의 홀은 베어링 지지부(174)의 외주면에 형합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홀(45) 주변의 평탄부(413)에는 상기 체결부(175)의 나사 체결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나사 체결공이 마련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홀(45)의 형상은 상기 원통형의 베어링 지지부(174)의 직경과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는 원형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홀의 내주면은 베어링 지지부(174)의 외주면과 형합된다. 이 상태에서, 평탄부와 체결부는 나사 체결공을 통해 나사로 상호 고정된다.
상기 평탄부(413)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사면부(411)가 마련된다. 사면부의 경사각은 후술할 임펠러(31)의 경사각과 대응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임펠러(31)는 사류형 임펠러이며, 디퓨져 역시 사류형일 수 있다.
원통부(412)의 외경은 모터 설치부(111)의 측벽의 외경과 대응한다. 그리고 원통부(412)의 하단부는 상기 모터 설치부(111)의 상단부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밀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베어링 하우징(17)의 고정부(171)가 모터 설치부(111)와 원통부(412)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원통부(412)의 하단부와 모터 설치부(111)의 상단부가 서로 밀착된 구조가 예시된다.
상기 베어링 하우징(17)의 고정부(171) 상부에는 단턱 구조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디퓨져(40)의 원통부(412)의 하단부에는 상기 단턱 구조와 대응하는 형태의 단턱 구조가 마련된다.
상기 디퓨져(40)의 하단부에는 베인(42)이 마련된다. 베인(42)은 임펠러(31)에 의해 가압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공기 토출구(116) 방향으로 가이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 토출구(116)가 모터 하우징(11)의 상부에 마련되며, 베인(42)은 상기 공기 토출구(116)보다 상부에서 디퓨져(40)에 마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속으로 회전하는 모터부를 지지할 수 있는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베어링 하우징(17)은 금속 재질로 제작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디퓨져(40)는 내구성이 요구되지 않고, 형상이 복잡한 베인(42)의 가공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 토출구(116)가 모터 하우징(11)의 상부에 배치되므로, 베인을 모터 하우징(11)보다 상부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인(42)을 금속 재질의 모터 하우징(11)이 아닌, 합성수지 재질의 디퓨져(40)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디퓨져는 상하방향으로 보았을 때 후술할 임펠러(31)의 하부, 그리고 상기 베어링 하우징(17)의 상부에 배치되며, 반경방향으로 보았을 때 임펠러(31)보다 더 외측, 그리고 상기 바디 결합부(115)보다 내측 배치된다.
한편 상기 디퓨져(40)의 사면부(411)에는 그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냉각 유로 출구(43)가 마련된다. 상기 냉각 유로 출구(43)는 베인(42)보다 임펠러(31)에 더 가까운 위치에 마련된다. 또한 상기 냉각 유로 출구(43)는 임펠러(31)의 공기 토출 측에 가깝게 배치되어 있다.
<임펠러>
임펠러(31)는 디퓨져(40)의 상부에 설치된다. 임펠러(31)의 중심에는 상하방향으로 샤프트(23)가 삽입되는 축설공(312)이 마련된다. 상기 축설공(312)은 임펠러(31)의 전체적인 강성을 지지하는 허브 또는 임펠러 바디(311)에 형성되어 있어서, 샤프트(23)의 회전력은 상기 임펠러(31)에 잘 전달된다.
상기 임펠러 바디(311)는 회전의 중심에서 반경방향으로 점점 멀어질수록 하향 경사지는 사면을 가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임펠러(31)는 사류형 임펠러일 수 있다. 상기 임펠러 바디(311)의 상부에는 공기를 가압하는 블레이드(311)가 방사상으로 복수 개 마련된다.
임펠러(31)의 흡입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블레이드(311)의 상단부가 후술할 임펠러 커버(34)의 내면과 거의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임펠러 커버>
임펠러 커버(34)는 상기 모터 바디부(10)의 상부를 덮는 형태이다. 임펠러 커버(34)의 상부 중앙부에는 팬 모터 내부로 흡입되는 통로인 공기흡입구(341)가 마련된다.
상기 임펠러 커버(34)는 팬 모터의 중심축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공기흡입구(341)로부터 하향 경사진 형태를 포함하고, 임펠러 커버(34)의 하단부에는 커버 결합부(342)가 마련된다.
커버 결합부(342)는 모터 바디부(10)의 바디 결합부(115)와 형합하는 구조이다. 커버 결합부(342)의 단턱 형상 내부에 상기 바디 결합부(115)가 끼워진다.
[흡입공기의 유로]
상술한 구조를 가지는 팬 모터는, 임펠러 커버(34)의 상부 중앙부에 마련된 공기흡입구(341)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펠러(31)로부터 원심 하향 토출하고, 임펠러 커버(34)의 하단부와 모터 설치부(111) 사이에 마련된 공간, 즉 모터 하우징(11)의 상부 둘레에 마련된 공기 토출구(116)를 통해 공기를 토출한다.
[냉각공기의 유로]
상기 팬 모터는 초고속 회전을 할 수 있다. 팬 모터의 출력을 높이기 위해 가령 팬 모터를 11만 rpm 정도까지 회전시킬 경우, 모터부(20)의 발열량은 더욱 많아진다.
이에 본 발명은, 압력 차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공기의 유동이 발생하도록 하고, 이러한 공기의 유동이 모터부(20)가 설치된 공간을 유동하도록 한다.
흡입 공기의 유로에 있어서, 디퓨져(40)의 사면부(411)에 형성된 냉각 유로 출구(43)는 흡입 공기의 유동 경로가 되는 공간과 모터부(20)가 설치된 공간을 연통시킨다. 상기 임펠러(31)에 의해 가압된 공기는 디퓨져(40)의 상부 공간에서 매우 빠른 유속을 가지게 되고, 이에 따라 모터부(20)가 설치된 공간보다 디퓨져(40)의 상부 공간의 압력이 낮아지게 된다(베르누이 원리). 따라서 대략 대기압 상태의 모터 하우징(11) 외부로부터 냉각 유로 입구(113), 모터부(20) 설치 공간, 베어링 하우징(17)의 베어링 지지부(174)와 고정부(171) 사이의 공간, 그리고 냉각 유로 출구(43)에 이르는 공기의 흐름이 생성된다.
[베어링의 설치 구조]
상기 샤프트(23)가 11만 rpm 정도로 회전하게 되면, 샤프트(23)에는 많은 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열은 샤프트(23)를 길이 방향으로 열 팽창시키며, 이에 따라 샤프트(23)에 설치된 베어링(24) 역시 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물론 샤프트의 열팽창에 따른 베어링(24)의 변위는 마이크로미터 단위일 수 있지만, 소형의 정밀 부품에서 이는 제품의 신뢰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샤프트(23)가 위와 같이 초고속으로 회전하면, 저속에서는 잘 고정되어 있던 베어링의 외륜이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어링(24)의 내륜(243)은 샤프트(23)에 열 박음 또는 접착 등의 방식으로 고정되며, 외륜(241)은 베어링지지부에 끼워 맞춤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의 베어링지지부(112)에 설치된 외륜(241)은, 상기 샤프트(23)의 열팽창에 대비하여 샤프트의 축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여야 하고, 상기 샤프트(23)가 고속으로 회전하더라도 이에 따라 돌지 않아야 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탄성체, 즉 웨이브 와셔(25)와 베어링(24)의 외륜이 서로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여기서 탄성체와 외륜의 고정은 주로 원주방향, 즉 회전방향으로의 고정을 의미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웨이브 와셔(25)와 베어링지지부(112)와의 고정 구조를 추가적으로 제공하여 상기 외륜(241)의 고정을 더욱 확실히 할 수 있다. 여기서 웨이브 와셔와 베어링지지부의 고정 역시 원주방향, 즉 회전방향으로의 고정을 의미한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웨이브 와셔(25)의 산(251) 부분은 베어링의 외륜(241)의 저면을 상방으로 가압하고, 골(252) 부분은 베어링지지부(112)의 바닥면에 의해 지지된다.
<제1실시예>
도 4의 제1실시예를 참조하면, 상기 베어링(24)의 외륜의 저면에는 하향 돌출된 걸림단(244)이 마련된다. 걸림단(244)은, 외륜 저면의 원주에 있어서, 상기 웨이브 와셔(25)의 산(251)이 배치되는 부분을 회피하여, 대략 상기 웨이브 와셔(25)의 골(252)이 배치되는 부분에 마련된다.
상기 걸림단(244)은, 상기 외륜과 웨이브 와셔가 상대적으로 회전하려고 할 때, 상기 웨이브 와셔의 산 부분과 간섭되어 두 부품의 상대적인 회전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베어링 지지부(112)의 바닥면에는, 상향 돌출된 걸림단(117)이 마련된다. 상기 걸림단(117)은 베어링지지부 바닥면의 원주에 있어서, 상기 웨이브 와셔(25)의 골(252)이 배치되는 부분을 회피하여, 대략 상기 웨이프 와셔(25)의 산(251) 이 배치되는 부분에 마련된다.
상기 걸림단(117)은, 상기 베어링 지지부(112)와 웨이브 와셔가 상대적으로 회전하려고 할 때, 상기 웨이브 와셔의 골 부분과 간섭되어 두 부품의 상대적인 회전을 방지한다.
제1실시예에 따르면 걸림단(117)이 베어링지지부의 바닥면에 형성된 것이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베어링 지지부의 내주면에서 내향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걸림단(117)이 베어링 지지부에 일체로 마련된 구조가 아닌, 나사 등과 같은 별도의 부품을 체결하는 구조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 외륜의 저면에 마련된 걸림단(244) 구조는 생략 가능하다. 가령, 베어링의 외륜에 추가적인 가공을 할 때 외륜의 변형의 유발이 우려될 때에는 이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베어링 지지부의 걸림단(117)에 대해 웨이브 와셔(25)의 회전이 확실히 방지되고, 웨이브 와셔(25)의 산 부분이 상기 베어링의 외륜 저면을 강하게 가압한다면, 상기 산 부분과 외륜의 저면 사이에 큰 마찰력이 발생하여, 상기 외륜의 회전을 방지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특히 고속으로 회전하는 경우, 샤프트(23)가 열 신장함에 따라 웨이브 와셔(25)가 베어링의 외륜 저면을 가압하는 힘은 더 강하게 작용하는바, 이에 따라 마찰력도 함께 증가하여 외륜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실시예>
도 5의 제2실시예를 참조하면, 상기 베어링(24)의 외륜의 저면과 웨이브 와셔(25)의 산이 접하는 부분에는 본딩부(50)가 구비된다. 즉 접착제 등을 통해 상기 베어링(24)의 외륜의 저면과 웨이브 와셔(25)의 산(251) 부분은 상호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본딩부(50)에 의해, 상기 베어링(24)의 외륜과 웨이브 와셔(25)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이 제한된다.
또한 상기 베어링지지부(112)의 바닥면과 상기 웨이브 와셔(25)의 골이 접하는 부분에도 본딩부(5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웨이브 와셔(25)와 베어링지지부(112) 역시 상대적인 회전이 제한된다.
제2실시예에 따르면, 예압을 주기 위해 사용되는 웨이브 와셔(25)에 본딩을 적용하는 것만으로도, 베어링의 외륜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본딩부(50)는 베어링의 외륜과 베어링 지지부 사이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딩부(50)가 고화되면서 베어링의 외륜을 변형시키거나 정렬을 틀어버리는 일이 없다. 아울러 베어링의 외륜은 샤프트의 축 방향으로는 슬라이딩 가능하다.
상기 제2실시예의 본딩부(50) 구조는 상기 제1실시예의 걸림단 구조와 함께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3실시예>
도 6의 제3실시예를 참조하면, 적어도 상기 웨이브 와셔(25)의 산(251) 부분의 상부면과 골(252) 부분의 하부면에는 거칠기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거칠기 가공에 의해 조면부(254)가 형성되면, 웨이브 와셔(25)의 산(251) 부분과 베어링의 외륜의 저면 사이의 마찰계수가 크게 높아진다. 이에 따라 베어링의 외륜과 웨이브 와셔의 상대적인 회전방향에 대한 마찰력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웨이브 와셔의 골(252) 부분과 베어링지지부(112) 바닥면 사이의 마찰계수도 크게 높아져서, 베어링지지부와 웨이브 와셔의 상대적인 회전방향에 대한 마찰력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가공의 편의를 위해 웨이브 와셔(25)의 상부면과 하부면의 모든 부위를 거칠기 가공하는 것 역시 고려할 수 있다.
제3실시예의 웨이브 와셔 거칠기 가공 구조는 상기 제1실시예의 걸림단 구조와 함께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3실시예의 경우, 종래의 베어링 설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단지 거칠기 가공된 웨이브 와셔를 사용함으로써 베어링의 외륜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4실시예>
도 7의 제4실시예를 참조하면, 웨이브 와셔(25)의 산(251)과 베어링의 외륜 사이에는 제2실시예와 같이 본딩부(50)를 적용하여, 웨이브 와셔(25)와 베어링의 외륜 간 상대적인 회전을 방지하고, 베어링 지지부에는 제1실시예와 같이 걸림단(117)을 적용하여, 웨이브 와셔(25)와 베어링 지지부 간 상대적인 회전을 방지한 구조가 적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걸림단(117)과 웨이브 와셔 간 간섭으로 인해 베어링 지지부에 대한 웨이브 와셔의 회전 방지가 매우 확실하게 일어나고, 베어링의 외륜에는 별다른 가공을 하지 않고 단순히 본딩부(50)만이 적용되므로, 베어링의 신뢰성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베어링의 외륜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5실시예>
도 8의 제5실시예를 참조하면, 웨이브 와셔(25)의 산(251)과 베어링의 외륜 사이에는 제3실시예와 같이 웨이브 와셔(25)에 조면부(254)를 형성하여, 웨이브 와셔(25)와 베어링의 외륜 간 상대적인 회전을 방지하고, 베어링 지지부에는 제1실시예와 같이 걸림단(117)을 적용하여, 웨이브 와셔(25)와 베어링 지지부 간 상대적인 회전을 방지한 구조가 적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걸림단(117)과 웨이브 와셔 간 간섭으로 인해 베어링 지지부에 대한 웨이브 와셔의 회전 방지가 매우 확실하게 일어나고, 베어링의 외륜에는 별다른 가공을 하지 않고 조립 과정에서 접착제를 도포하고 부착하는 단계도 필요 없이 단순히 조면부(254)가 형성된 웨이브 와셔를 사용하면 되므로, 베어링의 신뢰성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고 조립 과정이 복잡해지는 일 없이 베어링의 외륜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들 간에는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조합 내지 치환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모터 바디부
11: 모터 하우징
111: 모터 설치부
112: 베어링 지지부
113: 냉각 유로 입구
114: 연결 아암
115: 바디 결합부
116: 공기 토출구
117: 걸림단
17: 베어링 하우징
171: 고정부
172: 외향 아암
173: 내향 아암
174: 베어링 지지부
175: 체결부
20: 모터부
21: 스테이터
22: 로터
23: 샤프트
24: 베어링
241: 외륜
242: 볼
243: 내륜
244: 걸림단
25: 웨이브 와셔(탄성체)
251: 산
252: 골
253: 연결부
254: 조면부(roughened surface)
30: 유동 발생부
31: 임펠러
311: 임펠러 바디(허브)
312: 축설공
313: 블레이드
34: 임펠러 커버
341: 공기 흡입구
342: 커버 결합부
40: 디퓨져
41: 디퓨져 바디
411: 사면부
412: 원통부
413: 평탄부
42: 베인
43: 냉각 유로 출구
45: 홀
50: 본딩부

Claims (12)

  1. 스테이터(21), 상기 스테이터(21)와 전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회전하는 로터(22), 그리고 상기 로터(22)가 설치되어 상기 로터(22)와 함께 회전하는 샤프트(23)를 포함하는 모터부(20);
    상기 모터부(20)를 내장하고 상부로 개방된 모터 설치부(111)와, 상기 모터 설치부(111)의 바닥의 중앙부에 마련된 베어링 지지부(112)를 구비하는 모터 하우징(11);
    중앙부에 베어링 지지부(174)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 하우징(11)의 상부에서 상기 모터 하우징(11)에 고정되는 베어링 하우징(17);
    상기 베어링 하우징(17)의 상부에 배치되고 베인(42)을 구비하는 디퓨져(40);
    상기 디퓨져(4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23)의 상단부에 축설되는 임펠러(31);
    상기 디퓨져(40)와 임펠러(31)의 상부를 덮고, 중앙부에 공기흡입구(341)가 마련된 임펠러 커버(34); 및
    상기 샤프트(23)가 내부로 삽입되는 내륜(243), 상기 내륜의 바깥쪽 둘레에 배치된 외륜(241), 그리고 상기 내륜과 외륜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외륜에 대한 내륜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을 구름 지지하는 구름부재(242)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지지부(112)와 상기 베어링 지지부(174)에 각각 수용되는 한 쌍의 베어링(24);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부(20)가 작동하여 상기 임펠러(31)가 회전하면, 상기 임펠러(31)에 의해 상기 공기흡입구(341)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원심 하방으로 유동하는, 팬모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지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베어링의 외륜을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가압하여 예압을 부여하는 탄성체(25);를 더 포함하는, 팬모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지지부(174)에 설치된 베어링(24)의 외륜(244)의 외주면과 상부면은 상기 베어링 지지부(174)의 내주면과 천장면에 의해 지지되고 내륜(243)은 상기 천장면에 의해 간섭되지 않으며,
    상기 탄성체(25)는, 상기 베어링 지지부(112)의 바닥과 해당 베어링 지지부(112)에 수용된 베어링(24) 사이에 탄성 개재된 웨이브 와셔(25)를 포함하고,
    상기 웨이브 와셔(25)의 하부는 상기 베어링 지지부(112)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웨이브 와셔(25)의 상부는 상기 베어링 지지부(112)에 수용된 베어링(24)의 외륜(241)을 상방으로 탄성 가압하는, 팬모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지지부(112)에 설치된 베어링(24)의 외륜(241)은 상기 베어링 지지부(112)에 대해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된, 팬모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23)에서 상기 로터(22)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단차부(231)가 마련되고,
    상기 베어링 지지부(112)에 설치된 베어링(24)의 내륜(243)의 내주면은 상기 샤프트(23)의 외주면과 접하여 고정되고 내륜(243)의 상부면은 상기 단차부(231)에 접하여 고정되며,
    상기 베어링 지지부(174)에 설치된 베어링(24)의 내륜(243)의 내주면은 상기 샤프트(23)의 외주면과 접하여 고정되고 내륜(243)의 하부면은 상기 단차부(231)에 접하여 고정되는, 팬모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231)는 상기 샤프트(23)의 직경을 달리하여 형성되는 단턱인, 팬모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231)는 상기 샤프트의 축 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링 부재인, 팬모터.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웨이브 와셔는, 상기 베어링(24)의 외륜(241)과 접하는 산(251)과, 상기 베어링 지지부(112)에 접하는 골(252)과, 상기 산과 골을 연결하는 연결부(253)를 구비하는, 팬모터.
  9.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24)의 외륜과 상기 웨이브 와셔(25)를 고정하는 제1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팬모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수단은,
    상기 외륜(241)과 상기 웨이브 와셔(25)가 접하는 부위를 접착하는 것,
    상기 외륜(241)과 접하는 웨이브 와셔(25) 표면을 거칠기 가공하여 외륜의 표면과 웨이브 와셔(25) 표면 간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것, 및
    상기 웨이브 와셔(25)와 원주 방향으로 간섭되는 걸림단(244)을, 상기 웨이브 와셔(25)와 접하는 외륜(241)의 면에 마련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팬모터.
  11.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브 와셔(25)와 상기 베어링 지지부(112)를 고정하는 제2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팬모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수단은,
    상기 베어링 지지부(112)와 상기 웨이브 와셔(25)가 접하는 부위를 접착하는 것,
    상기 베어링 지지부(112)와 접하는 웨이브 와셔(25) 표면 및 상기 웨이브 와셔(25) 표면과 접하는 상기 베어링 지지부(112)의 표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거칠기 가공하여, 베어링 지지부(112)의 표면과 웨이브 와셔(25) 표면 간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것, 및
    상기 웨이브 와셔(25)의 원주 방향으로 간섭되는 걸림단(117)을, 상기 웨이브 와셔(25)와 접하는 상기 베어링 지지부(112) 부근에 마련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팬모터.
KR1020210077362A 2019-03-28 2021-06-15 팬 모터 KR102323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362A KR102323350B1 (ko) 2019-03-28 2021-06-15 팬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090A KR102267547B1 (ko) 2017-10-23 2019-03-28 팬 모터
KR1020210077362A KR102323350B1 (ko) 2019-03-28 2021-06-15 팬 모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6090A Division KR102267547B1 (ko) 2017-10-23 2019-03-28 팬 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5937A KR20210075937A (ko) 2021-06-23
KR102323350B1 true KR102323350B1 (ko) 2021-11-08

Family

ID=6658143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6090A KR102267547B1 (ko) 2017-10-23 2019-03-28 팬 모터
KR1020210077362A KR102323350B1 (ko) 2019-03-28 2021-06-15 팬 모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6090A KR102267547B1 (ko) 2017-10-23 2019-03-28 팬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675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754B1 (ko) 2019-06-14 2021-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터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KR102334621B1 (ko) * 2019-07-10 2021-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팬모터
WO2023189560A1 (ja) * 2022-03-28 2023-10-05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モータ、ファンおよび軸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9179A (ko) * 2012-12-18 2014-06-26 삼성전기주식회사 전동 송풍기
KR101966453B1 (ko) * 2013-07-15 2019-04-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차량용 공기 블로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5103A (ko) 2019-05-02
KR20210075937A (ko) 2021-06-23
KR102267547B1 (ko) 202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3350B1 (ko) 팬 모터
US20230287892A1 (en) Fan motor
KR101898348B1 (ko) 모터
KR102396910B1 (ko) 팬 모터
KR101937420B1 (ko) 팬 모터
US9404504B2 (en) Blower
TWI768293B (zh) 風扇馬達及其製造方法
US8317497B2 (en) Motor-fan assembly having a tapered stationary fan with a concave underside
KR20110112864A (ko) 로터 어셈블리
KR101967552B1 (ko) 팬 모터
US8390161B2 (en) Electric motor having a rain guard
US8292603B2 (en) Rotary vacuum pump, vacuum device, and pump connection structure
US11626772B2 (en) Suction mo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same
KR101967550B1 (ko) 팬 모터
KR102397096B1 (ko) 팬모터
KR102512293B1 (ko) 모터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KR102203255B1 (ko) 팬 모터
KR102020727B1 (ko) 팬 모터
KR102425457B1 (ko) 팬 모터
US20140003972A1 (en) Fan motor structure
US20110217187A1 (en) Motor-fan assembly having a tapered fan with a concave underside
KR102020724B1 (ko) 팬모터
KR20170125479A (ko) 진공 펌프
CN213392746U (zh) 一种烟机及其风机
KR20180130860A (ko)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