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3050B1 - 종자 촬영 장치 - Google Patents

종자 촬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3050B1
KR102323050B1 KR1020200071025A KR20200071025A KR102323050B1 KR 102323050 B1 KR102323050 B1 KR 102323050B1 KR 1020200071025 A KR1020200071025 A KR 1020200071025A KR 20200071025 A KR20200071025 A KR 20200071025A KR 102323050 B1 KR102323050 B1 KR 102323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graphing
unit
seeds
space
s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1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정호
김경환
지현소
최인찬
김송림
이은경
김년희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00071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30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3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3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5Investigating moving fluids or granular sol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01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01Optical details; Scanning details
    • H04N5/2257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01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 G01N2021/0181Memory or computer-assisted visual determin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021/8466Investigation of vegetal material, e.g. leaves, plants, fruits

Abstract

본 발명은 종자 촬영 장치에 관한 것으로, 투입된 종자를 배출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에서 상기 종자를 공급받고 상기 종자를 정렬하면서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의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이동부에서 떨어지는 상기 종자를 촬영하는 촬영부; 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부 및 상기 촬영부는 상기 이동부와 떨어져 있다.
이와 같은 종자 촬영 장치는 대량의 종자를 종자 촬영 장치를 통해 영상 촬영함으로 종자의 특성에 대한 표현형 정보를 손쉽게 획득함으로 시간과 노동력에 대한 비용 절감에 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종자 촬영 장치{PHOTOGRAPHING APPARATUS FOR SEED}
본 발명은 종자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자는 인간 생활에 중요한 자연자원의 하나로 용도가 다양하다. 특히 벼, 보리, 밀, 옥수수 등은 주식원이 되고, 그 밖에 조, 피, 기장, 콩 등도 주요 식량자원이 된다. 콩, 땅콩, 참깨, 해바라기 등은 유지류로 이용되며, 커피, 코코아 등은 기호품의 원료로, 겨자, 후추 등은 향신료로 쓰인다.
이와 같은 종자는 열매와 함께 또는 열매에서 분리된 후에 일정 기간 동안 휴면하였다가 물질대사가 활발해지면서 발아되어 유아와 유근에서 각각 줄기와 뿌리가 생기고 마침내 어린 식물체가 자라 식물체가 된다.
그러나 종자가 불량할 경우 발아가 되지 않거나, 발아가 되도라도 식물체의 생장이 용이하지 못하다. 이에 우수한 식물체 재배를 위해 우량 종자 선택과 관리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41845호 (2013.12.10.)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24147호 (2014.07.22.)
본 발명은 종자의 크기, 모양, 색상 등 특성 분석을 위해 이미지를 대량으로 획득하여 우량 종자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종자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종자 촬영 장치는 투입된 종자를 배출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에서 상기 종자를 공급받고 상기 종자를 정렬하면서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의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이동부에서 떨어지는 상기 종자를 촬영하는 촬영부;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부 및 상기 촬영부는 상기 이동부와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상기 공급부는 지지대; 종자가 투입되는 내부가 일측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와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된 드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구동부; 및 상기 지지대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고 회전하는 상기 드럼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의 내부에는 나선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드럼의 회전으로 투입된 종자는 상기 나선홈을 따라 이동하여 개방된 일측을 통해 상기 이동부로 떨어질 수 있다.
상기 공급부는 상기 드럼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드럼의 내부를 상기 이동부와 연결하는 호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선홈은 3줄 나사일 수 있다.
상기 종자 촬영 장치는 상기 공급부, 상기 이동부 및 상기 촬영부를 지지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의 회전 중심은 상기 베이스의 상면을 기준으로 15° 내지 25°경사져 있으며 상기 드럼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상기 베이스와 가까워질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진동발생부; 그리고 일단이 상기 드럼의 일측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진동발생부와 연결되어 흔들릴 수 있는 이동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레일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종자가 정렬되면서 이동하는 이동홈이 형성되어 있고, 정렬된 종자는 상기 이동레일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하여 상기 촬영부로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진동발생부는 방진부; 상기 방진부에 배치되어 있고 진동할 수 있는 진동몸체; 상기 진동몸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진동몸체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구동부; 및 상기 진동몸체와 상기 이동레일을 연결하여 상기 진동몸체의 진동을 전달하는 텐션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레일은 상기 공급부, 상기 촬영부 및 상기 진동몸체와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상기 텐션부는 상기 이동레일과 연결되어 있는 텐션브래킷; 그리고 상기 텐션브래킷과 상기 진동몸체를 연결하고 있는 텐션연결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텐션연결부는 일단이 상기 진동몸체와 결합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텐션브래킷과 연결된 복수의 판스프링; 상기 판스프링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위치하여 이웃한 판스프링의 사이에 배치되어 판스프링들을 떨어뜨리는 복수의 스페이서; 및 상기 판스프링의 일단과 타단 그리고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를 관통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텐션브래킷은 중앙 부분이 상기 이동레일의 하면과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텐션브래킷의 양단은 구부러져 상기 체결수단으로 상기 판스프링과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촬영부는 상기 이동레일 타단 아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레일에서 떨어지는 상기 종자가 내부를 통과하는 촬영몸체; 상기 촬영몸체에 복수 배치되어 상기 촬영몸체를 지지하는 받침브래킷; 상기 촬영몸체에 배치되어 있으며 떨어지는 상기 종자를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상기 촬영몸체의 내부에 위치하여 떨어지는 상기 종자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와 마주하며 적어도 하나의 배경조명모듈; 상기 촬영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공간조명모듈; 및 상기 촬영몸체의 아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촬영몸체를 통과한 상기 종자를 받는 회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영몸체는 내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경조명모듈, 상기 공간조명모듈이 위치하고 상기 종자가 떨어지는 촬영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촬영몸체의 상면에는 상기 이동레일 타단에서 떨어지는 상기 종자가 상기 촬영공간으로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촬영몸체의 하면에는 상기 촬영공간을 통과한 상기 종자가 배출되는 배출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출홀은 상기 회수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촬영부는, 상기 촬영몸체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개방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방홀에 배치되어 있는 투명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영부는 상기 유입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레일에서 상기 촬영공간으로 떨어지는 상기 종자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조명모듈은 상기 촬영몸체의 내부 상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유입홀과 연결된 제1통과홀이 상하 관통된 공간상부조명; 그리고 상기 촬영몸체의 내부 바닥에 배치되어 상기 공간상부조명과 마주하고 있으며 상기 배출홀과 연결된 제2통과홀이 상하 관통된 공간하부조명;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상부조명은 상기 제1통과홀이 형성되어 있는 조명몸체; 상기 조명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공간램프; 및 상기 공간하부조명과 마주하고 있는 상기 조명몸체의 일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공간램프의 빛이 투과되는 복수의 조명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경조명모듈은 상기 카메라와 마주하고 있는 배경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배경플레이트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배경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경램프는 상기 종자의 색상에 따라 온/오프될 수 있다.
상기 회수부는 상기 촬영몸체에 배치되어 있고 슬라이딩홈이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부재;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딩편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상면으로 개방된 회수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회수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수공간은 상기 배출홀을 통해 상기 촬영몸체의 내부와 연통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회수몸체는 상기 촬영몸체의 하면과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회수몸체의 하면과 접하는 상기 베이스의 부분에는 상기 회수몸체를 상기 촬영몸체의 하면으로 가압하는 탄성가압편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가압편은 상기 베이스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상기 촬영몸체의 하면 방향으로 구부러져 상기 회수몸체를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대량의 종자를 종자 촬영 장치를 통해 영상 촬영함으로 종자의 특성에 대한 표현형 정보를 손쉽게 획득함으로 시간과 노동력에 대한 비용 절감에 대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종자 촬영 장치를 통해 대량으로 생산된 정보로 유전자기능 규명 등 생명공학기술을 이용한 종자개량 및 신품종 개발에 활용하여 산업적 활용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발생부에 의해 흔들리는 이동레일이 카메라가 배치된 촬영몸체와 떨어져 있어 진동발생부에서 발생한 진동이 카메라로 전달되지 않는다. 그리고 진동발생부가 방지부 지지되어 있다. 이에 진동발생부와 연결된 이동레일만 진동에 흔들리고 카메라는 흔들리지 않는다. 따라서 카메라가 흔들리지 않아 떨어지는 종자를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경조명모듈과 공간조명모듈에 의해 종자의 색상 형태 등을 정확하기 촬영하며 공간조명모듈에 의해 떨어지는 종자에 그림자가 형성되지 않아 촬영된 종자의 이미지는 왜곡되지 않고 명확한 종자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종자 촬영 장치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종자 촬영 장치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을 Ⅳ-Ⅳ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5는 도 2의 배면도.
도 6은 도 1의 촬영부의 내부를 나타낸 분해도.
도 7은 도 6을 Ⅶ-Ⅶ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8은 도 6을 Ⅷ-Ⅷ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9는 도 8의 촬영몸체를 Ⅸ-Ⅸ선을 따라 절단하여 내부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10은 도 6의 회수부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종자 촬영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종자 촬영 장치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종자 촬영 장치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을 Ⅳ-Ⅳ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배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촬영부의 내부를 나타낸 분해도이며, 도 7은 도 6을 Ⅶ-Ⅶ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을 Ⅷ-Ⅷ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촬영몸체를 Ⅸ-Ⅸ선을 따라 절단하여 내부를 나타낸 평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6의 회수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종자 촬영 장치(1)는 촬영할 종자를 공급하는 공급부(20), 공급된 종자를 이동하는 이동부(30) 및 이동되어 떨어지는 종자를 촬영하는 촬영부(40)를 포함한다. 종자 촬영 장치(1)는 베이스(10) 및 제어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종자 촬영 장치(1)는 종자의 크기, 모양, 색상 등 특성 분석을 위해 이미지를 대량으로 획득하여 우량 종자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종자는 벼, 보리, 밀, 콩 각종 씨앗 등일 수 있다.
베이스(10)는 기설정된 넓이를 갖는다. 베이스(10)의 상면 일측에는 공급부(20), 이동부(30) 및 제어부(50)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면 타측에는 촬영부(40)가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10)의 상면에 공급부(20), 이동부(30), 제어부(50) 및 촬영부(40)가 모두 배치되어 있으므로 종자 촬영 장치(1)의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다. 한편, 종자 촬영 장치(1)를 설치하였을 때 움직이지 않도록 베이스(10)의 하면에 미끄럼방지패드(도시하지 않음)가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0)는 케이스(51)와 회로부(52)(도면 도 4 참조)를 포함한다. 케이스(51)는 베이스(10)의 상면 일측에 배치되면서 케이스(51)의 상면에 공급부(20)와 이동부(30)가 배치되어 있다. 아울러, 케이스(51)의 외부면에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53)들이 배치되어 있으며, 스위치(53)들은 회로부(5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회로부(52)는 공급부(20), 이동부(30) 및 촬영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면 도 4를 더 참고하면, 공급부(20)는 케이스(51)의 상면에서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지지대(21), 드럼구동부(24), 드럼(23) 및 호퍼(25)를 포함한다.
지지대(21)는 브래킷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이 케이스(51)의 상면에 체결수단(도시하지 않음)으로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다. 지지대(21)는 케이스(5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면이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지지대(21)는 상기 케이스(51)와 결합된 제1브래킷(211), 제1브래킷(211)의 상면에 배치되어 경사진 제2브래킷(212)을 포함한다. 제2브래킷(212)은 중앙 부분이 제1브래킷(211)의 상면과 결합되어 있으며 4곳의 가장자리가 경사진 상면과 수직하게 상부로 구부러져 있다. 여기서 제2브래킷(212)의 구부러진 일측부분의 길이(L1)가 구부러진 타측부분의 길이(L2)보다 길다.
제2브래킷(212)의 구부러진 타측부분에는 롤러(22)가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롤러(22)의 개수는 공급부(20)의 설계에 따라 달라진다.
드럼구동부(24)는 서브모터 따위를 포함한다. 드럼구동부(24)는 제2브래킷(212)의 구부러진 일측부분에 장착되어 있다. 드럼구동부(24)는 구부러진 일측부분과 직각을 이루고 있다. 드럼구동부(24)는 회로부(5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50)의 제어로 작동한다.
드럼(23)은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2브래킷(212)의 구부러진 가장자리들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드럼(23)의 일측은 롤러(22)에 지지되어 있으며 타측은 드럼구동부(24)와 결합되어 있다. 이에 드럼(23)은 드럼구동부(24)의 구동으로 지지대(21)에서 기울어진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다.
드럼(23)은 베이스(10)를 기준으로 15° 내지 25°각도(D)로 경사져 있다. 이에 드럼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베이스(10)와 가까워진다.
드럼(23)은 베이스를 기준으로 20°각도(D)로 기울어질 수 있다. 드럼(23)의 기울어진 각도가 15°미만이면 투입공간(231)으로 많은 수량의 종자를 투입할 수 없다.
드럼(23)의 내부에는 일측 방향으로 개방된 투입공간(231)이 형성되어 있다. 투입공간(231)에는 촬영을 위한 종자가 투입되어 보관된다. 투입공간(231)의 내부 둘레에는 나선홈(232)이 형성되어 있다. 나선홈(232)은 3줄 나사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나선홈(232)은 코일스프링의 배치로 형성된다. 코일스프링은 접착제 따위로 투입공간(231)의 둘레와 결합되어 있다. 코일스프링의 결합매체를 접착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드럼(23)이 드럼구동부(24)에 의해 회전하면 투입된 종자는 나선홈(232)에 의해 투입공간(231)에서 외측으로 밀려 배출된다. 이때 드럼(23)의 기울어진 각도가 25°를 초과하는 경우 많은 수량의 종자를 투입할 수 있으나 투입된 종자의 배출이 용이하지 않다.
호퍼(25)는 드럼(23)의 일측 아래위치하여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드럼(23)의 내부는 상하 관통되어 있다. 드럼(23)의 내부는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갈수록 협소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호퍼(25)의 양측은 제2브래킷(212)의 구부러진 좌우측부분과 결합되어 있다. 드럼(23)에서 배출되는 종자는 호퍼(25)의 가이드로 이동부(30)로 반듯하게 떨어진다.
도면 도 5를 더 참고하면, 이동부(30)는 진동발생부(31), 그리고 이동레일(32)을 포함한다. 이동부(30)는 케이스(51)의 상면에서 타측에 위치하여 드럼(23)의 일측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진동발생부(31)는 방진부(311), 진동몸체(312), 진동구동부(313) 및 텐션부(314)를 포함하며 떨어진 종자를 정렬하며 이동한다.
방진부(311)는 케이스(51)의 타측 상면에 복수 배치되어 있으며 러버부재(311a)와 코일스프링(311b)을 포함하며 진동몸체(312)를 케이스(51)의 상면에서 지지한다.
러버부재(311a)는 케이스(51)의 상면과 진동몸체(312)의 하면에 돌출된 형태로 결합되어 서로 마주하고 있다. 코일스프링(311b)은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다. 코일스프링(311b)의 양단은 러버부재(311a)와 결합되어 있다.
진동몸체(312)는 방진부(311)의 상부측에 배치되어 케이스(51)와 간격을 두고 마주하고 있다. 진동몸체(312)는 내부가 비어 있는 제1부분(312a)과 제1부분(312a)에서 연장된 제2부분(312b)을 포함한다. 진동몸체(312)의 하면을 기준으로 제2부분(312b)의 상면은 제1부분(312a)의 상면보다 낮다.
진동구동부(313)는 진동몸체(312)의 빈 공간에 배치되어 있으며 움직일 수 있다. 진동구동부(313)가 움직이면 진동몸체(312). 진동구동부(313)
진동몸체(312)진동구동부(313)방진부(311)는 흔들림에 의한 외력이 케이스(51)로 전달되지 않도록 외력을 흡수하는 동시에 진동몸체(312)가 케이스(51)의 위에서 용이하게 흔들릴 수 있도록 지지한다.
텐션부(314)는 제2부분(312b)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텐션브래킷(314a), 그리고 텐션연결부(314b)를 포함한다.
텐션브래킷(314a)은 제2부분(312b)의 상면으로부터 떨어져 있으며 양단이 제2부분(312b)의 상면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다.
텐션연결부(314b)는 텐션브래킷(314a)의 양측과 진동몸체(312)를 연결하고 있으며 판스프링(314c), 스페이서(314d) 및 체결수단(314e)을 포함한다.
판스프링(314c)은 기설정된 두께와 길이를 가지며 복수로 이루어져 있다. 판스프링(314c)의 상단은 텐션브래킷(314a)과 연결되어 있고 하단은 진동몸체(312)와 연결되어 있다.
스페이서(314d)는 고무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스페이서(314d)는 판스프링(314c)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이웃한 판스프링(314c)이 서로 접하지 않고 떨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스페이서(314d)의 두께는 판스프링(314c)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체결수단(314e)은 판스프링(314c)의 상단과 하단 그리고 스페이서(314d)를 관통하여 진동몸체(312) 그리고 텐션브래킷(314a)의 양단에 체결되어 있다.
텐션부(314)는 진동몸체(312)를 따라 흔들린다. 서로 떨어진 판스프링(314c)들에 의해 진동몸체(312)의 흔들림은 감쇠하지 않고 텐션브래킷(314a)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동레일(32)은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텐션브래킷(314a)과 결합되어 있다. 이동레일(32)의 일단은 드럼(23)의 일측인 호퍼(25)의 아래에 위치하고 있으며 타측은 케이스(51)를 벗어나 베이스(10)의 타측 상부에 위치한다. 이동레일(32)의 상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홈(321)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이동홈(321)의 일측은 막혀 있고 타측은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레일(32)은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하향되게 경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동레일(32)은 텐션브래킷(314a)에 의해 흔들릴 수 있다.
호퍼(25)에서 떨어지는 종자는 이동홈(321)에 위치하며, 이동레일(32)의 흔들림으로 종자는 이동홈(321)에서 정렬된다. 그리고 종자는 이동레일(32)의 흔들림으로 이동홈(321)에서 이동레일(32)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한다. 이때 종자는 상하로 적층되지 않고 한 개씩 간격을 두고 이동하며, 종자는 이동레일(32)의 타측에서 촬영부(40)로 떨어진다. 이동홈(321)의 일측이 막혀 있으므로 이동홈(321)의 종자는 일측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도면 도 6 내지 도 9를 더 참고하면, 촬영부(40)는 받침브래킷(41), 촬영몸체(42), 카메라(45), 배경조명모듈(46), 공간조명모듈(47) 및 회수부(48)를 포함한다. 촬영부(40)는 센서부(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받침브래킷(41)은 베이스(10)의 타측에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 있으며 베이스(10)의 상면으로부터 기설정된 길이로 돌출되어 있다.
촬영몸체(42)는 받침브래킷(41)에 지지되어 있어 받침브래킷(41)의 하면과 베이스(10)는 간격을 두고 마주한다. 촬영몸체(42)는 이동레일(32)의 타측 아래에 위치하여 떨어져 있어 이동레일(32)의 진동이 촬영몸체(42)에 전달되지 않는다.
촬영몸체(42)의 내부에는 촬영공간(4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동레일(32)의 타측과 일치하는 촬영몸체(42)의 상면에는 촬영공간(421)과 연결된 유입홀(422)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이동레일(32)의 타측에서 떨어지는 종자는 유입홀(422)을 통해 촬영공간(421)을 통과한다. 유입홀(422)과 일치하는 촬영몸체(42)의 내부 바닥에는 촬영공간(421)을 통과한 종자가 배출되는 배출홀(423)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촬영몸체(42)의 외부둘레 적어도 일부분에 개방홀(424)이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는 촬영몸체(42)의 외부에서 개방홀(424)을 통해 촬영공간(421)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개방홀(424)에는 종자의 배출을 막는 투명창(43)이 분리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센서부(44)는 제어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촬영몸체(42)의 상면에 배치되어 이동레일(32)에서 유입홀(422)로 떨어지는 종자를 감지한다. 센서부(44)는 레이저를 이용한 감지센서를 포함한다. 센서부(44)는 종자의 색상 또한 감지할 수 있다.
카메라(45)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촬영몸체(42)에 90°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촬영공간(421)을 통과하는 종자를 양방향에서 촬영한다. 카메라(45)는 공지의 라인 스캔용 풀 컬러 카메라(Full color camera)를 포함한다.
카메라(45)는 센서부(44)가 종자를 감지하면 떨어지는 종자를 분당 100EA 이하 촬영하여 이미지를 획득한다. 이미지 포맷은 RAW 파일 형식을 기본으로 하되 JPG, PNG, BMP 등으로 전환할 수 있다. 카메라(45)는 이미지를 데스크탑, 노트북, 개인 휴대 단말기 등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는 제어부(50)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저장된 이미지는 무선통신 또는 케이스(51)에 장착된 단말포트(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배경조명모듈(46)은 한 쌍의 이루어져 있으며 카메라(45)와 마주하는 촬영공간(421)의 내부면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배경조명모듈(46)은 떨어지는 종자를 사이에 두고 카메라(45)와 마주한다. 배경조명모듈(46)은 배경플레이트(461), 그리고 배경램프(462)를 포함한다. 배경플레이트(461)는 빛이 투과할 수 있으며 파란색을 기본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경플레이트(461)의 색상을 파란색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배경램프(462)는 제어부(50)와 연결되어 있고 화이트 엘이디(White LED)를 포함한다. 배경램프(462)는 떨어지는 종자의 색상에 따라 온/오프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부(44)가 감지한 종자가 어두운 색에 가까우면 배경램프(462)는 '온'되어 발광한다. 그러나 센서부(44)가 감지한 종자가 밝은 색에 가까우면 배경램프(462)는 '오프'될 수 있다. 배경조명모듈(46)에 의해 촬영공간(421)을 통과하는 종자가 촬영공간(421)과 구획되어 카메라(45)에 선명하게 찍힐 수 있다. 배경조명모듈(46)은 센서부(44)의 신호를 받지 않고 사용자의 조작으로 온/오프될 수 있다.
공간조명모듈(47)은 촬영몸체(42)의 내부 상면에 배치되어 있는 공간상부조명(47a), 그리고 촬영몸체(42)의 내부 하면에 배치되어 있는 공간하부조명(47b)을 포함하며 촬영공간(421)을 통과하는 종자를 비추어 종자에 그림자 따위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공간상부조명(47a)은 조명몸체(471), 조명창(473) 및 공간램프(472)를 포함한다.
조명몸체(471)는 촬영몸체(42)의 내부 상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중앙 부분이 유입홀(422)과 일치한다. 조명몸체(471)의 중앙 부분에는 유입홀(422)과 연결된 제1통과홀(471a)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이동레일(32)에서 떨어지는 종자는 유입홀(422)과 제1통과홀(471a)을 통하여 카메라(45)와 배경조명모듈(46)의 사이를 통과하며, 카메라(45)는 종자를 촬영한다.
조명몸체(471)의 내부는 비어 있으며, 촬영공간(421)의 바닥면과 마주하고 있는 조명몸체(471)의 하면은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개방홀들이 형성되어 있다.
조명창(473)은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개방홀마다 배치되어 있다.
공간램프(472)는 제어부(50)와 연결되어 있으며 조명몸체(471)의 내부에 복수 배치되어 있다. 공간램프(472)는 화이트 엘이디를 포함할 수 있다. 공간램프(472)는 조명창(473)을 통해 촬영공간(421)의 내부 바닥면으로 빛을 비춘다. 이에 공간램프(472)는 카메라(45)와 배경조명모듈(46)의 사이를 통과하는 종자를 비추게 된다.
공간하부조명(47b)은 촬영공간(421)의 내부 바닥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공간상부조명(47a)과 마주하고 있다. 공간하부조명(47b)은 공간상부조명(47a)의 조명몸체(471), 조명창(473) 및 공간램프(472)와 동일한 조명몸체, 조명창 및 공간램프를 포함한다.
공간하부조명(47b)의 조명몸체 중앙에는 배출홀(423)과 일치하는 제2통과홀(471b)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촬영공간(421)으로 떨어져 카메라(45)에 촬영된 종자는 제2통과홀(471b)과 배출홀(423)을 통해 촬영몸체(42)의 외부로 배출된다.
아울러, 촬영공간(421)의 내부 상면과 마주하고 있는 공간하부조명(47b)의 조명몸체의 상면에 개방홀이 복수 형성되고, 개방홀에 조명창이 배치되어 있다.
공간하부조명(47b)의 공간램프는 조명창을 통해 촬영공간(421)의 내부 상면으로 빛을 비춘다.
공간상부조명(47a)과 공간하부조명(47b)이 촬영공간(421)의 상부와 하부에서 종자가 촬영되는 위치(카메라(45)와 배경조명모듈(46)의 사이)로 빛을 비추게 되면서 종자에 그림자 따위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종자의 외형과 색상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도면 도 10을 더 참고하면, 회수부(48)는 가이드부재(481), 그리고 회수몸체(482)를 포함하며 배출홀(423)을 통해 배출되는 종자를 회수한다.
가이드부재(481)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으며 촬영몸체(42)의 저면에 결합되어 있다. 한 쌍의 가이드부재(481)가 서로 마주하고 있는 부분에는 가이드부재(48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홈(481a)이 형성되어 있다.
회수몸체(482)는 내부에 회수공간(482a)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이 개방되어 있다. 회수몸체(482)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슬라이딩편(482b)이 형성되어 있다. 회수몸체(482)의 상단은 한 쌍의 가이드부재(481)의 사이에 위치하여 슬라이딩편(482b)이 슬라이딩홈(481a)에 삽입되어 있다. 아울러, 회수몸체(482)의 상면은 촬영몸체(42)의 하면과 접하며 하면은 베이스(10)와 접하고 있다.
회수몸체(482)가 한 쌍의 가이드부재(481)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을 때 회수공간(482a)은 배출홀(423)과 일치한다. 이에 배출홀(423)을 통해 배출된 종자는 회수공간(482a)으로 유입되어 저장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종자의 회수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회수몸체(482)의 적어도 일부분은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종자를 회수한 회수몸체(482)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481)의 사이에서 직선 운동하여 촬영몸체(42)의 하면을 벗어날 수 있다.
한편, 회수몸체(482)가 한 쌍의 가이드부재(481)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을 때 회수몸체(482)의 상면이 촬영몸체(42)의 하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회수몸체(482)와 일치하는 베이스(10)에는 탄성가압편(11)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가압편(11)은 베이스(10)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촬영몸체(42)의 하면 방향으로 구부러져 탄력적으로 회수몸체(482)를 촬영몸체(42)의 방향으로 가압한다.
탄성가압편(11)의 가압력에 의해 회수몸체(482)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481)의 사이에서 쉽게 빠지지 않는다. 이에 종자 촬영 장치(1) 이동 중 회수몸체(482)가 한 쌍의 가이드부재(481)의 사이에서 빠지지 않는다.
따라서, 대량의 종자를 종자 촬영 장치를 통해 영상 촬영함으로 종자의 특성에 대한 표현형 정보를 손쉽게 획득함으로 시간과 노동력에 대한 비용 절감에 대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종자 촬영 장치를 통해 대량으로 생산된 정보로 유전자기능 규명 등 생명공학기술을 이용한 종자개량 및 신품종 개발에 활용하여 산업적 활용을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종자 촬영 장치 10: 베이스
11: 탄성가압편 20: 공급부
21: 지지대 211: 제1브래킷
212: 제2브래킷 22: 롤러
23: 드럼 231: 투입공간
232: 나선홈 24: 드럼구동부
25: 호퍼 30: 이동부
31: 진동발생부 311: 방진부
311a: 러버부재 311b: 코일스프링
312: 진동몸체 312a: 제1부분
312b: 제2부분 313: 진동구동부
314: 텐션부 314a: 텐션브래킷
314b: 텐션연결부 314c: 판스프링
314d: 스페이서 314e: 체결수단
32: 이동레일 321: 이동홈
40: 촬영부 41: 받침브래킷
42: 촬영몸체 421: 촬영공간
422: 유입홀 423: 배출홀
424: 개방홀 43: 투명창
44: 센서부 45: 카메라
46: 배경조명모듈 461: 배경플레이트
462: 배경램프 47: 공간조명모듈
47a: 공간상부조명 47b: 공간하부조명
471: 조명몸체 471a: 제1통과홀
471b: 제2통과홀 472: 공간램프
473: 조명창 48: 회수부
481: 가이드부재 481a: 슬라이딩홈
482: 회수몸체 482a: 회수공간
482b: 슬라이딩편 50: 제어부
51: 케이스 52: 회로부
53: 스위치

Claims (19)

  1. 투입된 종자를 배출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에서 상기 종자를 공급받고 상기 종자를 정렬하면서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의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이동부에서 떨어지는 상기 종자를 촬영하는 촬영부;
    를 포함하며,
    상기 촬영부는
    상기 이동부에서 떨어지는 상기 종자가 내부를 통과하는 촬영몸체;
    상기 촬영몸체에 복수 배치되어 상기 촬영몸체를 지지하는 받침브래킷;
    상기 촬영몸체에 배치되어 있으며 떨어지는 상기 종자를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상기 촬영몸체의 내부에 위치하여 떨어지는 상기 종자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와 마주하여 적어도 하나의 배경조명모듈;
    상기 촬영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공간조명모듈; 및
    상기 촬영몸체의 아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촬영몸체를 통과한 상기 종자를 받는 회수부;
    를 포함하는
    종자 촬영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공급부는
    지지대;
    종자가 투입되는 내부가 일측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와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된 드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구동부; 및
    상기 지지대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고 회전하는 상기 드럼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
    를 포함하며,
    상기 드럼의 내부에는 나선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드럼의 회전으로 투입된 종자는 상기 나선홈을 따라 이동하여 개방된 일측을 통해 상기 이동부로 떨어지는
    종자 촬영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공급부는
    상기 드럼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드럼의 내부를 상기 이동부와 연결하는 호퍼를 더 포함하는 종자 촬영 장치.
  4. 제2항에서,
    상기 나선홈은 3줄 나사인 종자 촬영 장치.
  5. 제2항에서,
    상기 공급부, 상기 이동부 및 상기 촬영부를 지지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드럼의 회전 중심은 상기 베이스의 상면을 기준으로 15° 내지 25°경사져 있으며 상기 드럼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상기 베이스와 가까워지는
    종자 촬영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이동부는
    진동발생부; 그리고
    일단이 상기 드럼의 일측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진동발생부와 연결되어 흔들릴 수 있는 이동레일;
    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레일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종자가 정렬되면서 이동하는 이동홈이 형성되어 있고, 정렬된 종자는 상기 이동레일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하여 상기 촬영부로 떨어지는
    종자 촬영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진동발생부는
    방진부;
    상기 방진부에 배치되어 있고 진동할 수 있는 진동몸체;
    상기 진동몸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진동몸체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구동부; 및
    상기 진동몸체와 상기 이동레일을 연결하여 상기 진동몸체의 진동을 전달하는 텐션부;
    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레일은 상기 공급부, 상기 촬영부 및 상기 진동몸체와 떨어져 있는
    종자 촬영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텐션부는
    상기 이동레일과 연결되어 있는 텐션브래킷; 그리고
    상기 텐션브래킷과 상기 진동몸체를 연결하고 있는 텐션연결부;
    를 포함하는
    종자 촬영 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텐션연결부는
    일단이 상기 진동몸체와 결합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텐션브래킷과 연결된 복수의 판스프링;
    상기 판스프링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위치하여 이웃한 판스프링의 사이에 배치되어 판스프링들을 떨어뜨리는 복수의 스페이서; 및
    상기 판스프링의 일단과 타단 그리고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를 관통하는 체결수단
    을 포함하는
    종자 촬영 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텐션브래킷은 중앙 부분이 상기 이동레일의 하면과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텐션브래킷의 양단은 구부러져 상기 체결수단으로 상기 판스프링과 연결되어 있는
    종자 촬영 장치.
  11. 삭제
  12. 제1항에서,
    상기 공급부, 상기 이동부 및 상기 촬영부를 지지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촬영몸체는 내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경조명모듈, 상기 공간조명모듈이 위치하고 상기 종자가 떨어지는 촬영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촬영몸체의 상면에는 상기 이동부에서 떨어지는 상기 종자가 상기 촬영공간으로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촬영몸체의 하면에는 상기 촬영공간을 통과한 상기 종자가 배출되는 배출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출홀은 상기 회수부와 연결된
    종자 촬영 장치.
  13. 제1항에서,
    상기 촬영몸체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개방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방홀에 배치되어 있는 투명창을 더 포함하는 종자 촬영 장치.
  14. 제12항에서,
    상기 촬영부는
    상기 유입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부에서 상기 촬영공간으로 떨어지는 상기 종자를 감지하는 센서부;
    를 더 포함하는
    종자 촬영 장치.
  15. 제12항에서,
    상기 공간조명모듈은
    상기 촬영몸체의 내부 상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유입홀과 연결된 제1통과홀이 상하 관통된 공간상부조명; 그리고
    상기 촬영몸체의 내부 바닥에 배치되어 상기 공간상부조명과 마주하고 있으며 상기 배출홀과 연결된 제2통과홀이 상하 관통된 공간하부조명;
    을 포함하는
    종자 촬영 장치.
  16. 제15항에서,
    상기 공간상부조명은
    상기 제1통과홀이 형성되어 있는 조명몸체;
    상기 조명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공간램프; 및
    상기 공간하부조명과 마주하고 있는 상기 조명몸체의 일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공간램프의 빛이 투과되는 복수의 조명창;
    을 포함하는
    종자 촬영 장치.
  17. 제1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경조명모듈은
    상기 카메라와 마주하고 있는 배경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배경플레이트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배경램프;
    를 포함하며,
    상기 배경램프는 상기 종자의 색상에 따라 온/오프되는
    종자 촬영 장치.
  18. 제12항에서,
    상기 회수부는
    상기 촬영몸체에 배치되어 있고 슬라이딩홈이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부재;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딩편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상면으로 개방된 회수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회수몸체;
    를 포함하며,
    상기 회수공간은 상기 배출홀을 통해 상기 촬영몸체의 내부와 연통되어 있는
    종자 촬영 장치.
  19. 제18항에서,
    상기 회수몸체는 상기 촬영몸체의 하면과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회수몸체의 하면과 접하는 상기 베이스의 부분에는 상기 회수몸체를 상기 촬영몸체의 하면으로 가압하는 탄성가압편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가압편은 상기 베이스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상기 촬영몸체의 하면 방향으로 구부러져 상기 회수몸체를 가압하는
    종자 촬영장치.
KR1020200071025A 2020-06-11 2020-06-11 종자 촬영 장치 KR102323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025A KR102323050B1 (ko) 2020-06-11 2020-06-11 종자 촬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025A KR102323050B1 (ko) 2020-06-11 2020-06-11 종자 촬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3050B1 true KR102323050B1 (ko) 2021-11-10

Family

ID=78500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1025A KR102323050B1 (ko) 2020-06-11 2020-06-11 종자 촬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305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38579A (ja) * 2012-04-20 2013-11-28 Hiroshima Univ 穀粒成分分析装置および穀粒成分分析方法
KR101341845B1 (ko) 2012-11-12 2013-12-16 유문식 고하중용 디스크받침
JP2014089120A (ja) * 2012-10-30 2014-05-15 Kubota Corp 粒状体検査装置
KR101424147B1 (ko) 2012-12-03 2014-08-01 대한민국 종자 품질 판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종자 품질 판정 시스템
KR20170090680A (ko) * 2016-01-29 2017-08-08 이석정 이형 제품 중량별 분류장치
JP2019053006A (ja) * 2017-09-19 2019-04-04 日本電子株式会社 容器供給ユニット及び自動分析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38579A (ja) * 2012-04-20 2013-11-28 Hiroshima Univ 穀粒成分分析装置および穀粒成分分析方法
JP2014089120A (ja) * 2012-10-30 2014-05-15 Kubota Corp 粒状体検査装置
KR101341845B1 (ko) 2012-11-12 2013-12-16 유문식 고하중용 디스크받침
KR101424147B1 (ko) 2012-12-03 2014-08-01 대한민국 종자 품질 판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종자 품질 판정 시스템
KR20170090680A (ko) * 2016-01-29 2017-08-08 이석정 이형 제품 중량별 분류장치
JP2019053006A (ja) * 2017-09-19 2019-04-04 日本電子株式会社 容器供給ユニット及び自動分析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2160A (en) Digital image capture system for photo identification cards
US6441828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8208180B2 (en) Covering device, and image reading apparatus equipped with the covering device
KR102323050B1 (ko) 종자 촬영 장치
US20180124263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EP1677509B1 (en) Image reading apparatus having support structure
US20110267661A1 (en) Book scanning device
US7583821B2 (en) Apparatus for classifying a material by analyzing the material's surface,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
JP7402942B2 (ja) 画像形成装置
JP3962746B2 (ja) 画像読取装置
US7942393B2 (en) Angle adjusting device and display module tes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WO2008030342A2 (en) Portable image capture and camera device
JP4747614B2 (ja) 画像形成装置
US20190059327A1 (en) Ball trainer with launcher function and dropper function and training box
US20080303204A1 (en) Paper feeding device
CN1137650A (zh) 便携式信息处理装置及其支架
US20210222846A1 (en) Lamp with Hanging Function
US20100202146A1 (en) Desk lamps with digital photo frames
CN100421447C (zh) 图像读取装置
US20040096237A1 (en) Image forming device
CN111414777B (zh) 扫描器及扫描方法
JP4539459B2 (ja) 画像読取装置
JP7031163B2 (ja) 画像形成装置
US8113668B2 (en) Extendable real object projector
CN1404299A (zh) 用于图像数据的印相委托受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