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2846B1 - 근관충전과정의 평가를 위한 근관을 포함하는 치아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근관충전과정의 평가를 위한 근관을 포함하는 치아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2846B1
KR102322846B1 KR1020200036339A KR20200036339A KR102322846B1 KR 102322846 B1 KR102322846 B1 KR 102322846B1 KR 1020200036339 A KR1020200036339 A KR 1020200036339A KR 20200036339 A KR20200036339 A KR 20200036339A KR 102322846 B1 KR102322846 B1 KR 102322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t canal
tooth
root
manufacturing
ap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6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1318A (ko
Inventor
양성은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36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2846B1/ko
Priority to PCT/KR2020/018525 priority patent/WO2021194055A1/ko
Publication of KR20210121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1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86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Arrangement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d tomography [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Arrangement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d tomography [CT]
    • A61B6/032Transmission computed tomography [CT]
    • A61B6/1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1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87Artificial resin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34Making or working of models, e.g. preliminary castings, trial dentures; Dowel pins [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B29C64/124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using layers of liquid which are selectively solidifi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10/0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50/0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33Y50/02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10Constructive solid geometry [CSG] using solid primitives, e.g. cylinders, cub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283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for dentistry or oral hygie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36Dental; Tee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ophys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lgebra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관충전과정의 평가를 위한 근관을 포함하는 치아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융점은 높지만 근관 형성시 k-file 과 같은 기구를 이용하여 후가공이 가능한 정도의 경도로 이루어질 수 있는 소재 및 근관충전과정의 평가를 위한 근관을 포함하는 치아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a) 치아에 대한 CT 렌더링을 수행하는 단계; b) 상기 CT 렌더링된 파일을 이용하여 치아 및 근관부의 형상을 모델링하는 단계; 및 c) 상기 모델링된 근관부의 형상에 따라 3D 프린팅을 수행하여 치아를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관충전과정의 평가를 위한 근관을 포함하는 치아의 제작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근관충전과정의 평가를 위한 근관을 포함하는 치아의 제작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TOOTH INCLUDING ROOT CANAL FOR EVALUATING ROOT CANAL FILLING EFFICACY}
본 발명은 근관충전과정의 평가를 위한 근관을 포함하는 치아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융점은 높지만 근관 형성시 k-file 과 같은 기구를 이용하여 후가공이 가능한 정도의 경도로 이루어질 수 있는 소재 및 근관충전과정의 평가를 위한 근관을 포함하는 치아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실습생들이 근관치료를 위한 근관충전과정에 대해 실습을 수행할 때 실제 발거된 치아를 사용해 왔다. 하지만, 치관과 치근의 상태가 좋은 충분한 수의 치아샘플을 얻기가 힘들고, 근관의 크기나 길이을 맞춘 같은 조건의 치아 샘플을 구하기가 어려웠기 때문에 실습생들의 근관충전과정을 평가할 때 신뢰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 근관치료과정을 구강밖에서 실습하기 위해 3D 프린터로 제작된 치아들이 일부 제작되고는 있지만 종래의 제품들은 근관형성이나 충전과정에서 재료상 여러 문제점을 보이고 있다.
구체적으로, 근관충전과정은 흔히 180~220도의 열을 가해 근관충전재인 거터퍼쳐를 자르고 이를 녹여 3차원적으로 근관을 밀폐하는 가압근충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렇게 열을 가할 때 시판되는 제품은 표면이 녹게되어 근관충전과정을 시행하기가 어려웠다.
일 예로, PLA의 경우 낮은 용융점으로 가압근충에 사용되는 기구를 적용했을 때 녹아내리는 성질을 보였으며, 무른 경도로 인해 손톱으로도 긁힐 정도의 성질을 갖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BGS-7의 경우 용융점은 높지만 상대적으로 너무 경도가 높아 파일등의 형성기구를 사용하여 후가공을 수행하는 것이 어려워 역시 재료로 적당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용융점은 높지만 근관 형성시 k-file 과 같은 기구를 이용하여 후가공이 가능한 정도의 경도로 이루어질 수 있는 소재 및 근관충전과정의 평가를 위한 근관을 포함하는 치아의 제작방법이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39089호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융점은 높지만 근관 형성시 k-file 과 같은 기구를 이용하여 후가공이 가능한 정도의 경도로 이루어질 수 있는 소재 및 근관충전과정의 평가를 위한 근관을 포함하는 치아의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a) 치아에 대한 CT 렌더링을 수행하는 단계; b) 상기 CT 렌더링된 파일을 이용하여 치아 및 근관부의 형상을 모델링하는 단계; 및 c) 상기 모델링된 근관부의 형상에 따라 3D 프린팅을 수행하여 치아를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관충전과정의 평가를 위한 근관을 포함하는 치아의 제작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치아에 대한 CT영상을 얻는 단계; a2) 상기 CT영상에서 상기 치아의 슬라이스 영역을 드로잉하여 3D이미지로 구현하는 단계; 및 a3) 상기 3D 이미지를 STL 파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1) 단계는, 투과도는 80kV, 방사선량은 8mA의 조건으로 CT를 촬영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3) 단계에서, 상기 STL 파일은 Molar 및 Bicuspid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STL 파일을 불러오는 단계; b2) 3D 프린팅에서 최소 구현 가능한 사이즈로 측방근관 및 치근첨에 대한 모델링을 수행하여 1차 모델링 데이터를 얻는 단계; 및 b3) 상기 1차 모델링 데이터에서, 중앙근관 및 부근관의 형태를 2차 모델링하여 2차 모델링 데이터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2) 단계에서, 상기 측방근관의 직경은 1~3mm, 치근첨의 직경은 0.5~0.6mm로 모델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3) 단계에서, 중앙근관의 직경은 0.7~0.9mm로 형성되며, 상기 중앙근관이 복수로 마련될 때, 상기 중앙근관 사이의 간격은 1~3mm로 모델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3) 단계에서, 상기 부근관은 치근첨으로부터 3mm내 범위에서 형성되며, 치근첨에 가까울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모델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치근첨의 직경은 0.5~0.8mm로 모델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모델링된 근관부의 형상에 따라 3D 프린팅을 수행하여 치아샘플을 제작하는 단계; c2) 상기 치아샘플의 치근첨의 구멍을 확인하여 불량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c3) 정상으로 제작된 상기 치아샘플을 세척하는 단계; 및 c4) 세척된 상기 치아샘플을 UV경화시켜 치아를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3) 단계에서, 상기 치아샘플은 1차로 초음파 세척을 수행하여 광경화성 액체수지의 잔여물을 세척하도록 마련되며, 2차로 에어 세척을 통해 세척액이 제거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4) 단계 이후에, 상기 치아의 근관부의 막힘 정도를 확인하여 불량 여부를 재확인하고, 불량 확인 시 근관부 형상을 넓힌 후 다시 세척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효과는, 가압근충기구에도 표면이 녹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고, 근관형성시에도 적당한 경도로 표면이 삭제되는 양상을 보여 근관형성과정을 수행하기 용이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관충전과정의 평가를 위한 근관을 포함하는 치아의 제작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부의 작동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관충전과정의 평가를 위한 근관을 포함하는 치아의 제작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에 대한 CT렌더링을 수행하는 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olar: type V 파일로 변환한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Bicuspid: type II 파일로 변환한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CT 렌더링된 파일을 이용하여 치아 및 근관부의 형상을 모델링하는 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olar 및 Bicuspid 파일의 전체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1차 모델링 데이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차 모델링 데이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근첨의 직경에 따른 치아샘플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델링된 근관부의 형상에 따라 3D 프린팅을 수행하여 치아를 제작하는 단계의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설명하고자하는 치아(10)의 주요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치아(10)는 몸체(11), 측방근관(12), 치근첨(13), 중앙근관(14) 및 부근관(15)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11)는 치아의 외형을 형성하는 부분을 지칭한다.
상기 측방근관(12)은 주근관으로부터 수직으로 유래하여 치주인대와 연결되는 한 쌍의 근관을 지칭한다.
상기 치근첨(13)은 상기 치아(10)의 단부에 형성되는 근단공을 지칭한다.
상기 중앙근관(14)은 한 쌍의 상기 측방근관(12)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근관을 지칭한다.
상기 부근관(15)은 치근단부위에서 관찰되는 작은 분지형태의 근관으로서, 상기 측방근관(12)과 상기 치근첨(13) 사이의 근관을 형성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관충전과정의 평가를 위한 근관을 포함하는 치아의 제작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부의 작동 사진이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근관충전과정의 평가를 위한 근관을 포함하는 치아의 제작장치(100)는 렌더링부(110), 모델링부(120), 3D 프린터부(130), 검사부(140), 세척부(150) 및 경화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렌더링부(110)는 치아에 대한 CT 렌더링을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치아는 실제 치아일 수도 있고, 모형 치아일 수도 있다.
상기 모델링부(120)는 상기 렌더링부(110)에서 CT 렌더링된 파일을 이용하여 치아 및 근관부의 형상을 모델링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3D 프린터부(130)는 상기 모델링부(120)에서 상기 모델링된 치아 및 근관부의 형상에 따라 3D 프린팅을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3D 프린터부(130)는 빌드플레이트(131) 및 조사기(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빌드프레이트(131)는 수지 필름 또는 수조의 상부에 마련되어 치아샘플(S)이 프린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조사기(132)는 상기 빌드플레이트(131)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수지 필름 또는 수조에 패터닝된 광을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 3D 프린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3D프린터부(130)는 DLP방식, SLS 등의 3D 프린팅 방법이 가능한 장치라면 모두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3D 프린팅을 위한 소재(R)는 가압근충기구에 의해 표면이 녹지 않도록 용융점이 230도 이상 800도 이하인 레진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재(R)는 로크웰 경도가 90 이상 120이하로 마련될 수 있다. 로크웰 경도가 90보다 작을 경우, 너무 물러서 쉽게 손상될 수 있으며, 로크웰 경도가 120보다 클 경우, 실습 때 k-file 등으로 치아를 일부 삭제할 때 삭제가 이루어지지 않게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소재(R)로 전술한 물성을 갖는 ABS(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수지) 레진을 사용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검사부(140)는 상기 3D 프린터부(130)로부터 제작된 치아샘플(S)에 대해 불량 여부를 검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세척부(150)는 상기 검사부(140)로부터 정상으로 확인된 치아샘플(S)에 대해 세척하고 건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경화부(160)는 상기 세척부(150)에서 세척 및 건조된 치아샘플(S)을 경화시켜 상기 치아(10)를 최종 완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관충전과정의 평가를 위한 근관을 포함하는 치아의 제작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에 대한 CT렌더링을 수행하는 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근관충전과정의 평가를 위한 근관을 포함하는 치아의 제작방법은 먼저, 치아에 대한 CT 렌더링을 수행하는 단계(S10)를 수행할 수 있다.
치아에 대한 CT 렌더링을 수 행하는 단계(S10)는 먼저, 상기 치아에 대한 CT영상을 얻는 단계(S11)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치아에 대한 CT영상을 얻는 단계(S11)는 투과도는 80kV, 방사선량은 8mA의 조건으로 CT를 촬영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80kV, 85kV, 90kV 및 8mA, 10mA의 조건으로 촬영된 cone beam CT의 영상 데이터를 확인하여 렌더링한 결과, 80KV 및 8mA의 값으로 촬영한 CT 영상이 가장 최적화되었으며, 타 조건의 경우 노이즈 발생 및 definition이 낮아지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투과도는 80kV, 방사선량은 8mA의 조건으로 CT를 촬영하도록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치아에 대한 CT영상을 얻는 단계(S11) 이후에는, CT영상에서 치아의 슬라이스 영역을 드로잉하여 3D이미지로 구현하는 단계(S12)를 수행할 수 있다.
CT영상에서 치아의 슬라이스 영역을 드로잉하여 3D이미지로 구현하는 단계(S12)는, CT 렌더링 전용 소프트웨어로 이루어진 렌더링부(110)를 통해 촬영된 CT 영상 데이터의 각 슬라이스 영역을 드로잉하여 3D로 구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CT영상에서 치아의 슬라이스 영역을 드로잉하여 3D이미지로 구현하는 단계(S12) 이후에는, 3D 이미지를 STL 파일로 변환하는 단계(13)를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olar: type V 파일로 변환한 사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Bicuspid: type II 파일로 변환한 사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이미지를 STL 파일로 변환하는 단계(13)에서, 상기 STL 파일은 Molar 및 Bicuspid 파일로 마련될 수 있다.
치아에 대한 CT 렌더링을 수행하는 단계(S10) 이후에는, CT 렌더링된 파일을 이용하여 치아 및 근관부의 형상을 모델링하는 단계(S20)가 수행될 수 있다.
CT 렌더링된 파일을 이용하여 치아 및 근관부의 형상을 모델링하는 단계(S20)는 모델링부(12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CT 렌더링된 파일을 이용하여 치아 및 근관부의 형상을 모델링하는 단계의 순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olar 및 Bicuspid 파일의 전체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CT 렌더링된 파일을 이용하여 치아 및 근관부의 형상을 모델링하는 단계(S20)는 먼저, STL 파일을 불러오는 단계(S21)가 수행될 수 있다.
STL 파일을 불러오는 단계(S21)에서는, 상기 렌더링부(110)에서 CT 렌더링을 통해 STL 파일로 변환한 Molar, Bicuspid 파일을 디자인 소프트웨어로 불러온 뒤, 전체 형상을 확인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9의 (a)는 Molar 파일, (b)는 Bicuspid 파일을 디자인 소프트웨어로 불러와 전체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1차 모델링 데이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STL 파일을 불러오는 단계(S21) 이후에는, 3D 프린팅에서 최소 구현 가능한 사이즈로 측방근관 및 치근첨에 대한 모델링을 수행하여 1차 모델링 데이터를 얻는 단계(S22)가 수행될 수 있다.
3D 프린팅에서 최소 구현 가능한 사이즈로 측방근관 및 치근첨에 대한 모델링을 수행하여 1차 모델링 데이터를 얻는 단계(S22)에서는, 상기 측방근관(12) 및 치근첨(13)의 형상 및 사이즈에 대한 모델링을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방근관(12)의 직경은 1~3mm, 치근첨(13)의 직경은 0.5~0.6mm로 모델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방근관(12)의 직경은 1mm 미만이 될 경우, 상기 검사부(140)에서 근관에 k-file등이 삽입되어 검사를 수행할 때, 치아샘플이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측방근관(12)의 직경은 1mm 이상이 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근첨(13)의 직경은 0.5mm 미만으로 형성될 경우, 근관 내부 홀에 도포된 액체 수지가 흘러 들어가 막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도 11을 더 참조하면, 3D 프린팅에서 최소 구현 가능한 사이즈로 측방근관 및 치근첨에 대한 모델링을 수행하여 1차 모델링 데이터를 얻는 단계(S22) 이후에는, 1차 모델링 데이터에서, 중앙근관 및 부근관의 형태를 2차 모델링하여 2차 모델링 데이터를 얻는 단계(23)가 수행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차 모델링 데이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1차 모델링 데이터에서, 중앙근관 및 부근관의 형태를 2차 모델링하여 2차 모델링 데이터를 얻는 단계(23)에서, 중앙근관(14)의 직경은 0.7~0.9mm로 형성되며, 상기 중앙근관(14)이 복수로 마련될 때, 상기 중앙근관(14) 사이의 간격은 1~3mm로 모델링될 수 있다.
또한, 1차 모델링 데이터에서, 중앙근관 및 부근관의 형태를 2차 모델링하여 2차 모델링 데이터를 얻는 단계(23)에서, 상기 부근관(15)은 치근첨(13)으로부터 3mm내 범위에서 형성되며, 치근첨(13)에 가까울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모델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치근첨(13)의 직경은 0.5~0.8mm로 모델링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근첨의 직경에 따른 치아샘플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치근첨(13)의 사이즈를 0.4mm, 0.5mm, 0.6mm가 되도록 프린팅한 결과, 내부 근관 및 치근첨 구현 여부를 확인하였을 때, 0.4mm일 때 액체 수지가 구멍을 막는 현상이 발생했다.
따라서, 상기 치근첨(13)의 직경은 0.5~0.8mm로 모델링되어 상기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CT 렌더링된 파일을 이용하여 치아 및 근관부의 형상을 모델링하는 단계(S20) 이후에는, 모델링된 근관부의 형상에 따라 3D 프린팅을 수행하여 치아를 제작하는 단계(S30)가 수행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델링된 근관부의 형상에 따라 3D 프린팅을 수행하여 치아를 제작하는 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모델링된 근관부의 형상에 따라 3D 프린팅을 수행하여 치아를 제작하는 단계(S30)는, 먼저, 모델링된 근관부의 형상에 따라 3D 프린팅을 수행하여 치아샘플을 제작하는 단계(S31)가 수행될 수 있다.
모델링된 근관부의 형상에 따라 3D 프린팅을 수행하여 치아샘플을 제작하는 단계(S31)에서는 상기 모델링부(120)에서2차 모델링까지 완료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3D 프린터부(130)가 전술한 3D 프린팅 방법으로 치아샘플을 제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모델링된 근관부의 형상에 따라 3D 프린팅을 수행하여 치아샘플을 제작하는 단계(S31) 이후에는, 치아샘플의 치근첨의 구멍을 확인하여 불량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32)가 수행될 수 있다.
치아샘플의 치근첨의 구멍을 확인하여 불량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32)는, 검사부(140)가 k-file 등을 이용하여 치아샘플에 형성된 치근첨의 홀의 막힘 여부 및 형성 상태를 확인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치아샘플의 치근첨의 구멍을 확인하여 불량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32) 이후에는, 정상으로 제작된 상기 치아샘플을 세척하는 단계(S33)가 수행될 수 있다.
정상으로 제작된 상기 치아샘플을 세척하는 단계(S33)에서는 근관이 모델링된 바와 같이 형성된 치아 샘플에 대해 1차로 초음파 세척을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린팅 원료의 ABS레진의 경우 에탄올로 세척이 용이하다. 따라서, 멸균증류수와 에탄올을 9:1 비율로 세척액을 제작한 뒤, 초음파 세척기로 15분 내지 20분간 세척을 진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에탄올은 99.9%의 무수 에탄올을 사용하며, 초음파 세척 강도는 강이고, 온도는 25℃로 설정될 수 있다.
이처럼, 1차로 초음파 세척을 수행하여 광경화성 액체수지의 잔여물을 세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정상으로 제작된 상기 치아샘플을 세척하는 단계(S33)에서, 상기 치아샘플은 1차로 초음파 세척을 수행한 다음, 2차로 에어 세척을 통해 세척액이 제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세척부(150)는 2차례에 걸쳐 세척을 진행하고 건조를 수행하도록 마련되어 레진 및 세척액을 모두 제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정상으로 제작된 상기 치아샘플을 세척하는 단계(S33) 이후에는, 세척된 상기 치아샘플을 UV경화시켜 치아를 제작하는 단계(S34)가 수행될 수 있다.
세척된 상기 치아샘플을 UV경화시켜 치아를 제작하는 단계(S34)는, 최종 세척이 완료된 치아샘플의 경우 UV 경화기(XYZPRINTING, Eeezcure180)를 사용하여 30분 내지 35분 동안 경화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최종 경화가 완료된 샘플은 #15 k-file (Dentsply)를 이용하여 치근첨(13) 단공의 막힘정도를 재확인한 뒤 치아 제작을 완료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세척된 상기 치아샘플을 UV경화시켜 치아를 제작하는 단계(S34) 이후에, 상기 치아의 근관부의 막힘 정도를 확인하여 불량 여부를 재확인하고, 불량 확인 시 근관부 형상을 넓힌 후 다시 세척하도록 더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치아 제작 완료 후 불충분한 근관상태시 최종확인과 재세척근관의 크기 및 근관상태의 표준화를 위해 #35 h-file을 이용하여 치근단까지의 접근상태를 더 확인할 수 있다. 막힘 현상이 있는 경우, #30 Profile (Dentsply)로 근관재형성후 세척과정을 반복하여 치아 제작을 완료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치아
11: 몸체
12: 측방근관
13: 치근첨
14: 중앙근관
15: 부근관
100: 근관충전과정의 평가를 위한 근관을 포함하는 치아의 제작장치
110: 렌더링부
120: 모델링부
130: 3D 프린터부
131: 빌드플레이트
132: 조사기
140: 검사부
150: 세척부
160: 경화부

Claims (12)

  1. a) 치아에 대한 CT 렌더링을 수행하는 단계;
    b) 상기 CT 렌더링된 파일을 이용하여 치아 및 근관부의 형상을 모델링하는 단계; 및
    c) 상기 모델링된 근관부의 형상에 따라 3D 프린팅을 수행하여 치아를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치아에 대한 CT영상을 얻는 단계;
    a2) 상기 CT영상에서 상기 치아의 슬라이스 영역을 드로잉하여 3D이미지로 구현하는 단계; 및
    a3) 상기 3D 이미지를 STL 파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1) 단계에서는, 80kV의 투과도 및 8mA의 방사선량으로 상기 치아를 촬영하여 상기 CT영상을 획득함에 따라 상기 치아에 대한 선명도를 향상시키고 상기 치아에 대한 노이즈를 최소화시키며,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근관부는 부근관을 포함하여 모델링 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부근관은 측방근관과 치근첨 사이에 연장 형성되되 양측면으로도 분기되어 연장 형성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STL 파일을 불러오는 단계; 및
    b2) 3D 프린팅에서 최소 구현 가능한 사이즈로 측방근관 및 치근첨에 대한 모델링을 수행하여 1차 모델링 데이터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치근첨은 0.5~0.8mm의 직경을 가지도록 모델링됨에 따라 광경화성 액체수지가 상기 치근첨의 내부를 막는 현상을 방지하며,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3D 프린팅에 사용되는 소재는,
    가압근충기구에 의해 표면이 녹지 않도록 용융점이 230도 이상 800도 이하이면서 로크웰 경도가 90 이상 120이하인 ABS(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수지) 레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모델링된 근관부의 형상에 따라 3D 프린팅을 수행하여 치아샘플을 제작하는 단계;
    c2) 상기 치아샘플의 치근첨의 구멍을 확인하여 불량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c3) 정상으로 제작된 상기 치아샘플을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c3) 단계에서는 25℃의 온도에서 멸균증류수와 99.9%의 무수 에탄올인 에탄올을 9:1 비율로 세척액을 제작한 뒤, 초음파 세척기로 상기 치아샘플을 15분 내지 20분간 세척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관충전과정의 평가를 위한 근관을 포함하는 치아의 제작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3) 단계에서,
    상기 STL 파일은 Molar 및 Bicuspid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관충전과정의 평가를 위한 근관을 포함하는 치아의 제작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3) 상기 1차 모델링 데이터에서, 중앙근관 및 부근관의 형태를 2차 모델링하여 2차 모델링 데이터를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관충전과정의 평가를 위한 근관을 포함하는 치아의 제작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b2) 단계에서,
    상기 측방근관의 직경은 1~3mm, 치근첨의 직경은 0.5~0.6mm로 모델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관충전과정의 평가를 위한 근관을 포함하는 치아의 제작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b3) 단계에서,
    중앙근관의 직경은 0.7~0.9mm로 형성되며,
    상기 중앙근관이 복수로 마련될 때, 상기 중앙근관 사이의 간격은 1~3mm로 모델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관충전과정의 평가를 위한 근관을 포함하는 치아의 제작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b3) 단계에서,
    상기 부근관은 치근첨으로부터 3mm내 범위에서 형성되며, 치근첨에 가까울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모델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관충전과정의 평가를 위한 근관을 포함하는 치아의 제작방법.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4) 세척된 상기 치아샘플을 UV경화시켜 치아를 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관충전과정의 평가를 위한 근관을 포함하는 치아의 제작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c3) 단계에서,
    상기 치아샘플은 1차로 초음파 세척을 수행하여 상기 광경화성 액체수지의 잔여물을 세척하도록 마련되며, 2차로 에어 세척을 통해 세척액이 제거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관충전과정의 평가를 위한 근관을 포함하는 치아의 제작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c4) 단계 이후에,
    상기 치아의 근관부의 막힘 정도를 확인하여 불량 여부를 재확인하고, 불량 확인 시 근관부 형상을 넓힌 후 다시 세척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관충전과정의 평가를 위한 근관을 포함하는 치아의 제작방법.
KR1020200036339A 2020-03-25 2020-03-25 근관충전과정의 평가를 위한 근관을 포함하는 치아의 제작방법 KR102322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339A KR102322846B1 (ko) 2020-03-25 2020-03-25 근관충전과정의 평가를 위한 근관을 포함하는 치아의 제작방법
PCT/KR2020/018525 WO2021194055A1 (ko) 2020-03-25 2020-12-17 근관충전과정의 평가를 위한 근관을 포함하는 치아의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339A KR102322846B1 (ko) 2020-03-25 2020-03-25 근관충전과정의 평가를 위한 근관을 포함하는 치아의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1318A KR20210121318A (ko) 2021-10-08
KR102322846B1 true KR102322846B1 (ko) 2021-11-09

Family

ID=77891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339A KR102322846B1 (ko) 2020-03-25 2020-03-25 근관충전과정의 평가를 위한 근관을 포함하는 치아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22846B1 (ko)
WO (1) WO20211940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14625B (zh) * 2022-03-25 2023-11-21 兰州大学 一种利用3d打印方式制作个性化根管填充物的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56287A1 (en) * 2011-05-13 2012-11-22 Materialise Dental N.V. Endodontic treatment simul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1498A (ja) * 1992-02-26 1993-09-21 Kanebo Ltd 歯牙模型
US7530812B2 (en) * 2006-07-11 2009-05-12 Chyz Grant T Three-dimensional dental training system
JP2011085614A (ja) * 2009-10-13 2011-04-28 Jsr Corp 歯牙模型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539089B1 (ko) 2014-03-21 2015-07-24 라파바이오 주식회사 3d 프린터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 제조 방법
KR101821772B1 (ko) * 2015-11-16 2018-01-24 이병극 3d 조형물의 후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56287A1 (en) * 2011-05-13 2012-11-22 Materialise Dental N.V. Endodontic treatment simul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94055A1 (ko) 2021-09-30
KR20210121318A (ko) 2021-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23742B1 (de) Herstellung einer dentalprothese durch aufdrucken der prothesenbasis auf die prothesenzähne
DE102005035475B4 (de) Verfahren, computerlesbares Medium, Computerprogramm die Herstellung von Zahnersatzteilen betreffend
US20100256649A1 (en) Method for producing a drill assistance device for at least one implant hole in a bone structure and device obtained
KR101886265B1 (ko) 근관 치료 시뮬레이션 시스템
JP5198498B2 (ja) 歯科手術用テンプレートの製造方法
Campello et al. Influence of solvent and a supplementary step with a finishing instrument on filling material removal from canals connected by an isthmus
KR102322846B1 (ko) 근관충전과정의 평가를 위한 근관을 포함하는 치아의 제작방법
DE102014110154A1 (de) Dentalprothese zur Bestimmung von Abrasionsfacetten
CN103258070A (zh) 利用数字三维形状虚拟设计桩核修复
DE102018119027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auteils mit Stereolithographie
DE102013003913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Prothesenbasis
EP3649983B1 (de) Dentalprothesen-herstellverfahren
JP2010005392A (ja) コンピュータ誘導人工歯根手術のために使用するサージカルテンプレートを製造する方法
KR102307369B1 (ko) 근관을 포함하는 치아의 3d 프린팅용 소재 및 이를 이용한 치아의 제작방법
EP1543797A1 (d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dentalkeramischen Struktur
EP3687764A1 (de) Anatomische silicon-modelle und deren additive herstellung
US20230356472A1 (en) Transparent support bath for embedded 3d printing and system for in process monitoring
CH664488A5 (de) Isoliermittel zur trennung einer in einer kavitaet polymerisierten composite-zahnfuellung.
Angerame et al. Computed microtomography study of untreated, shaped and filled mesiobuccal canals of maxillary first molars
DE102007002143A1 (de) Verfahren zum Modellieren oder Herstellen einer Zahnersatzversorgung, computerlesbarer Datenträger und Computer
EP3908226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auteils mit hilfe eines dreidimensionalen druckverfahrens
Zakariasen et al. Microleakage associated with modified eucapercha and chloropercha root-canal-filling techniques.
EP2965710A1 (de) Individualisierte Negativformen
WO2008040400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rothetischen bauteils der zahnmedizin
DE102012108202B4 (de) Verfahren zum Aufschmelzen eines lichthärtenden Epoxidverbundstoffs auf eine Fläche aus Zirkonoxid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