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2394B1 - one-touch type cover and packaging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one-touch type cover and packaging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2394B1
KR102322394B1 KR1020210022482A KR20210022482A KR102322394B1 KR 102322394 B1 KR102322394 B1 KR 102322394B1 KR 1020210022482 A KR1020210022482 A KR 1020210022482A KR 20210022482 A KR20210022482 A KR 20210022482A KR 102322394 B1 KR102322394 B1 KR 102322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base
cover body
cover
main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24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성용
홍원섭
Original Assignee
홍성용
홍원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용, 홍원섭 filed Critical 홍성용
Priority to KR1020210022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239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394B1/en
Priority to PCT/KR2022/002396 priority patent/WO202217733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57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made separately from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76Hinges without elastic bia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65D83/081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66Wet w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one-touch cover which comprises: a base where a vertically penetrated opening hole is formed; a cover main body connected to the base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hole; and a hinge unit connecting the cover main body and the base. When the cover main body closes the opening hole, a portion of the hinge unit is bent to form a curvatur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Description

원터치 덮개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 용기{one-touch type cover and packaging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One-touch type cover and packaging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원터치 덮개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one-touch cover and a packaging container including the same.

물 티슈는 합성섬유, 비스코스 섬유, 면 섬유, 셀룰로즈 섬유 및 천연 식물성 섬유 등을 얇은 조직화하여 티슈(tissue)로 만들고, 여기에 물을 첨가하고 살균한 것이다.A wet tissue is a tissue obtained by thinning synthetic fibers, viscose fibers, cotton fibers, cellulose fibers, and natural vegetable fibers, and then adding water thereto and sterilizing them.

물 티슈는 수분 증발을 방지하고 휴대하기 용이하게 비닐팩과 같은 용기에 보관되어 판매된다.Wet tissues are stored and sold in containers such as plastic bags to prevent moisture evaporation and facilitate portability.

도면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용기는 내부에 내용물인 물 티슈가 보관되며 물 티슈를 꺼내기 위한 인출홀(1a)이 형성된 용기본체(1), 그리고 용기본체(1)의 일면에 부착되며 인출홀(1a)을 개폐하는 덮개(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8 and 9 , the container holds the water tissue as the content therein and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container body (1), in which the withdrawal hole (1a) for taking out the wet tissue is formed, and the container body (1). and a cover 2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ithdrawal hole 1a.

덮개(2)는 용기본체(1)의 일면에 부착되어 있고 인출홀(1a)과 연결된 개방홀(21a)이 형성된 베이스(21), 베이스(21)와 결합되어 개방홀(21a)을 열고 닫는 덮개본체(22), 베이스(21)와 덮개본체(22)의 일측에서 덮개본체(22)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 잠금부(23) 및 베이스(21)와 덮개본체(22)를 타측에서 연결하고 있는 힌지부(24)를 포함한다.The cover 2 is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1 and is coupled to the base 21 and the base 21 having an opening hole 21a connected to the withdrawal hole 1a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hole 21a. The cover body 22, the base 21 and the locking part 23 that maintains the closed state of the cover body 22 on one side of the base 21 and the cover body 22, and the base 21 and the cover body 22 are connected from the other side and a hinge part 24 that is doing it.

베이스(21)와 덮개본체(22)가 결합된 상태에서 힌지부(24)는 접히며 탄성력이 발생한다(도 9의 a 참조). 잠금부(23)의 잠금이 해제되면 힌지부(24)의 탄성력에 의해 덮개본체(22)는 힌지부(24)를 기준으로 회동되어 개방홀(21a)을 완전히 개방하게 된다(도 9의 b 참조).In a state in which the base 21 and the cover body 22 are coupled, the hinge part 24 is folded and an elastic force is generated (see FIG. 9 a). When the locking part 23 is unlocked, the cover body 22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hinge part 24 by the elastic force of the hinge part 24 to completely open the opening hole 21a (FIG. 9b). Reference).

한편, 힌지부(24)에는 접힘선(24a)이 형성되어 있다. 접힘선(24a)은 힌지부(24)의 일부분이 제거되어 형성된다. 접힘선(24a)이 형성된 힌지부 부분은 접힘선(24a)이 형성되지 않은 힌지부 부분에 비하여 두께가 얇다. 덮개본체(22)의 반복적인 회동으로 접힘선(24a) 부분의 강도가 약해지면서 탄성력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에 잠금부(23)의 잠금 해제 시 덮개본체(22)의 개방이 이루어지지 않아 사용자가 덮개본체(22)를 직접 열어야 했다.On the other hand, a fold line 24a is formed on the hinge part 24 . The fold line 24a is formed by removing a portion of the hinge portion 24 . The hinge portion on which the fold line 24a is formed is thinner than the hinge portion on which the fold line 24a is not formed. As the strength of the fold line 24a was weakened due to repeated rotation of the cover body 22, a phenomenon in which the elastic force was lowered occurred. Accordingly, when the locking part 23 is unlocked, the cover body 22 is not opened, so the user has to directly open the cover body 22 .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5-0003762호 (2015.10.14.)Public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5-0003762 (2015.10.14.)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4628호 (2002.02.02.)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264628 (2002.02.02.)

본 발명은 용기본체에 결합되는 원터치 덮개의 베이스와 덮개본체를 연결하는 힌지부를 개선하여 덮개본체의 개방성을 높이는 기술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chnique for increasing the openness of the cover body by improving the hinge portion connecting the base and the cover body of the one-touch cover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덮개는 상하 관통된 개방홀이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개방홀을 여닫을 수 있는 덮개본체 및 상기 덮개본체와 상기 베이스를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한다.The one-touch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having an upper and lower penetrating opening hole formed therein, a cover body connected to the base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hole, and a hinge part connecting the cover body and the base.

상기 덮개본체가 상기 개방홀을 닫고 있을 때 상기 힌지부는 일부분이 휘어져 소정의 지름을 갖는 곡률을 이룰 수 있다.When the cover body closes the opening hole, a portion of the hinge portion may be bent to achieve a curvatur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상기 힌지부는 상기 베이스에 형성된 받침대, 상기 받침대와 연결되어 되어 있는 메인힌지, 상기 메인힌지와 연결된 누름대 및 상기 누름대와 상기 덮개본체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힌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hinge part may include a pedestal formed on the base, a main hinge connected to the pedestal, a presser connected to the main hinge, and at least one auxiliary hinge connecting the presser and the cover body.

상기 덮개본체가 상기 개방홀을 닫을 때 휘어지는 메인힌지는 상기 받침대와 상기 누름대가 접하면서 더 이상 휘어지지 않을 수 있다.The main hinge, which is bent when the cover body closes the opening hole, may not be bent any more as the support and the presser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보조힌지에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홈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받침대와 상기 누름대가 접하면 상기 보조힌지의 라인홈 형성 부분이 구부러질 수 있다.At least one line groove is formed in the auxiliary hing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when the pedestal and the presser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line groove forming portion of the auxiliary hinge may be bent.

상기 힌지부는 상기 메인힌지에 복수 형성된 엠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inge part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emboss formed on the main hinge.

상기 메인힌지와 상기 엠보의 면적비는 1:0.07 내지 0.09일 수 있다.An area ratio between the main hinge and the embossing may be 1:0.07 to 0.09.

상기 메인힌지의 양측에는 내측 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홈의 깊이 숫자는 상기 메인힌지의 폭 숫자보다 작을 수 있다.Guide grooves are formed in both sides of the main hinge in an inward direction, and a depth number of the guide groove may be smaller than a width number of the main hinge.

상기 가이드홈은 원호일 수 있다.The guide groove may be an arc.

상기 메인힌지와 상기 보조힌지의 면적비는 1:0.6 내지 0.8일 수 있다.An area ratio between the main hinge and the auxiliary hinge may be 1:0.6 to 0.8.

상기 보조힌지와 상기 메인힌지의 두께비는 1:0.6 내지 1일 수 있다.A thickness ratio of the auxiliary hinge and the main hinge may be 1:0.6 to 1.

상기 받침대는 상기 베이스에서 돌출되어 상기 누름대와 접하는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경사면은 상기 경사면은 상기 베이스의 하면과 평행을 이루는 가상의 수평선(L)과 예각을 이루며 그 각도(D)는 5° 내지 30°일 수 있다.The pedestal has an inclined surface that protrudes from the base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resser, and the inclined surface forms an acute angle with an imaginary horizontal line (L) parallel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and the angle (D) is 5° to It may be 30°.

상기 누름대에는 상기 경사면과 접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A protrusion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may be formed on the presser.

상기 덮개본체와 상기 보조힌지의 길이비는 1:0.6 내지 0.8 이고, 상기 덮개본체와 상기 메인힌지의 길이비는 1:0.4 내지 0.6일 수 있다.A length ratio of the cover body and the auxiliary hinge may be in a range of 1:0.6 to 0.8, and a length ratio between the cover body and the main hinge may be in a range of 1:0.4 to 0.6.

상기 곡률은 반원을 이루며, 상기 반원의 지름은 2㎜ 내지 4㎜일 수 있다.The curvature forms a semicircle, and the diameter of the semicircle may be 2 mm to 4 mm.

상기 곡률은 타원을 이루며, 상기 타원의 장축과 단축의 길이비는 1:0.5 내지 0.7일 수 있다.The curvature forms an ellipse, and a length ratio of a major axis and a minor axis of the ellipse may be 1:0.5 to 0.7.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는 상기와 같이 기재된 원터치 덮개, 그리고 내부에 내용물이 담길 수 있으며 일면에 상기 내용물을 인출하기 위한 인출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일면에 상기 원터치 덮개가 배치되어 있는 용기본체를 포함한다.The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one-touch cover described above, and the contents can be contained therein, and a withdrawal hole for withdrawing the contents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one-touch cover is disposed on the one side, Includes a container body with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덮개본체가 베이스와 접할 때 메인힌지는 휘어져 원형을 이룬다. 돌출부가 받침대에 접하면 메인힌지는 더 이상 휘어지지 않고 원형 상태를 유지한다. 메인힌지는 곡률을 이루게 되어 꺾이거나 접히지 않아 손상 변형이 방지된다. 이에 메인힌지의 수명이 극대화되며 내용물의 사용 수명 또한 향상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ver body is in contact with the base, the main hinge is bent to form a circle. When the protrusion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edestal, the main hinge does not bend any more and maintains a circular state. The main hinge forms a curvature and does not bend or fold to prevent damage and deformation. This maximizes the lifespan of the main hinge and improves the service life of the content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받침대의 경사면에 의해 보조힌지가 단계적으로 휘어지면서 탄성력이 발생한다. 이에 보조힌지의 탄성력과 메인힌지의 탄성력에 의해 잠금 해제 시 덮개본체는 힌지부를 기준으로 신속히 회동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astic force is generated as the auxiliary hinge is bent stepwise by the inclined surface of the pedestal. Accordingly, when the lock is releas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auxiliary hinge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main hinge, the cover body can be rotated quickly based on the hinge part.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덮개본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2의 원터치 덮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도 4를 V-V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6은 도 5의 B 부분 확대도.
도 7은 도 6의 덮개본체가 베이스의 개방홀을 닫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도 8은 종래의 원터치 덮개를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도 8의 원터치 덮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cover body of Figure 1;
Figure 3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ure 2;
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one-touch cover of Figure 2;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of FIG. 4;
6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of FIG. 5 ;
7 is an operatio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body of FIG. 6 closes the opening hole of the base.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ventional one-touch cover.
Figure 9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one-touch cover of Figure 8;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similar part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덮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포장 용기에 적용될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원터치 덮개가 적용된 포장 용기 위주로 설명한다.The one-touch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ereinafter, the packaging container to which the one-touch cover is applied will be mainly described.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Then, a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덮개가 용기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덮개본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3은 도 2의 A 부분 확대도이며, 도 4는 도 2의 원터치 덮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를 V-V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B 부분 확대도이고, 도 7은 도 6의 덮개본체가 베이스의 개방홀을 닫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ne-touch cover is combined with a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cover body of FIG. 1, and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one-touch cover of FIG. 2,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in FIG. 4,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of FIG. 5, and FIG. 7 is the cover body of FIG. It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closing the open hole of the base.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는 원터치 덮개(100). 그리고 용기본체(1)를 포함한다. 원터치 덮개(100)는 베이스(110), 덮개본체(120) 및 힌지부(140)를 포함하며 힌지부(140)를 개선하여 덮개본체(120)의 개방성을 높인다.First, 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one-touch cover 100 . And it includes a container body (1). The one-touch cover 100 includes a base 110 , a cover body 120 , and a hinge part 140 , and improves the hinge part 140 to increase the openness of the cover body 120 .

용기본체(1)의 내부에는 내용물이 보관될 수 있으며 일면에는 내용물을 인출할 수 있는 인출홀(1a)이 형성되어 있다. 인출홀(1a)의 주변에는 원터치 덮개(100)를 고정하기 위한 접착시트(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다. 용기본체(1)는 수지필름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용기본체(1)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 용기본체(1)의 재질은 달라질 수 있다. 내용물은 물 티슈일 수 있다. 그러나 내용물은 음식, 약품 등의 취식물, 비닐, 티슈 등의 생활용품 등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용기본체(1)에 담기는 내용물의 종류를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The contents can be stored inside the container body 1, and a withdrawal hole 1a through which the contents can be drawn out is formed on one surface. An adhesive sheet (not shown) for fixing the one-touch cover 100 is disposed around the draw-out hole 1a. The container body 1 may be made of a resin film. However, the container body 1 may be made of plastic. The material of the container body 1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contents. The content may be a wet tissue. However, the contents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such as food, edible food such as medicines, and household items such as plastic and tissue. The type of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body 1 is not specifically limited.

베이스(110)는 기설정된 넓이를 가지며 내부가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어 개방홀(110a)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110)의 상면에서 개방홀(110a)의 주변을 따라 안착홈(110b)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110)의 하면은 내용물이 담긴 용기본체(1)에 결합되어 있다. 이때 용기본체(1)의 인출홀(1a)과 개방홀(110a)은 연통된다.The base 110 has a predetermined width, and the inside is op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form an open hole 110a. A seating groove 110b is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open hole 110a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10 .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110 is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1 containing the contents. At this time, the lead-out hole 1a of the container body 1 and the open hole 110a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덮개본체(120)는 베이스(110)의 상면에서 개방홀(110a)을 여닫을 수 있다. 덮개본체(120)의 가장자리는 안착홈(110b)을 따라 위치하고 있다. 덮개본체(120)의 가장자리와 안착홈(110b)에는 돌출턱이 형성되어 있다. 덮개본체(120)의 돌출턱은 안착홈(110b)과 접하며 안착홈(110b)의 돌출턱은 덮개본체(120)와 접하여 개방홀(110a)의 기밀성을 유지한다.The cover body 120 may open or close the opening hole 110a i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10 . The edge of the cover body 120 is located along the seating groove (110b). A protrusion is formed in the edge of the cover body 120 and the seating groove 110b. The protruding jaw of the cover body 120 is in contact with the seating groove 110b, and the protruding jaw of the seating groove 110b is in contact with the cover body 120 to maintain the airtightness of the opening hole 110a.

덮개본체(120)는 힌지부(140)를 통해 베이스(110)와 연결되어 있다. 덮개본체(120)는 힌지부(140)를 기준으로 회동할 수 있다. 베이스(110)에 안착된 덮개본체(120)가 회동하지 않도록 덮개본체(120)와 베이스(110)는 잠금부(130)로 결속되어 있다.The cover body 120 is connected to the base 110 through the hinge unit 140 . The cover body 120 may rotate with respect to the hinge unit 140 . The cover body 120 and the base 110 are bound by a locking part 130 so that the cover body 120 seated on the base 110 does not rotate.

잠금부(130)는 덮개본체(120)와 베이스(110)를 선단에 배치되어 있으며 힌지부(140)는 덮개본체(120)와 베이스(110)의 후단에 배치되어 있다. 잠금부(130)는 덮개본체(120)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턱(131)과 베이스(110)의 선단에 배치되어 있고 걸림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 버튼(132)을 포함한다.The locking unit 130 is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 cover body 120 and the base 110 , and the hinge unit 140 is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cover body 120 and the base 110 . The locking part 130 includes a locking protrusion 131 formed on the tip of the cover body 120 and a button 132 disposed on the tip of the base 110 and having a locking groove (not shown) formed thereon.

걸림턱(131)이 걸림홈에 걸리면 덮개본체(120)와 베이스(110)는 결속되어 덮개본체(120)는 개방홀(110a)을 닫을 수 있다. 이때 힌지부(140)에는 탄성력이 발생할 수 있다. 버튼(132)의 선단을 누르면 걸림턱(131)이 걸림홈을 벗어날 수 있다. 덮개본체(120)는 힌지부(140)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하여 베이스(110)에서 떨어지게 되고 개방홀(110a)이 개방되어 용기본체(1)의 내용물이 노출될 수 있다. 회동하는 덮개본체(120)는 힌지부(140)의 탄성력에 의해 베이스(110)의 상면을 기준으로 35° 내지 130°각도 열릴 수 있다.When the locking jaw 131 is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the cover body 120 and the base 110 are bound, so that the cover body 120 can close the opening hole 110a. In this case, an elastic force may be generated in the hinge unit 140 . When the tip of the button 132 is pressed, the locking jaw 131 may escape the locking groove. The cover body 120 is rota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hinge part 140 to be separated from the base 110 and the opening hole 110a is opened to expose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body 1 . The rotating cover body 120 may be opened at an angle of 35° to 130°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1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hinge unit 140 .

한편, 베이스(110)의 무게는 5.00g 내지 6.00g일 수 있다. 베이스(110)의 바람직한 무게는 5.65g일 수 있다. 덮개본체(120)의 무게는 5.00g 내지 6.00g일 수 있다. 덮개본체(120)의 바람직한 무게는 5.40g일 수 있다. 덮개본체(120)의 무게는 베이스(110)의 무게보다 적을 수 있다. 그리고 덮개본체(120)의 두께는 0.8㎜ 내지 1.2㎜일 수 있다. 두께가 0.8㎜ 미만인 경우 덮개본체(120)가 외력에 의해 쉽게 휘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두께가 1㎜를 초과하는 경우 덮개본체(120)의 중량이 증가하여 열림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Meanwhile, the weight of the base 110 may be 5.00 g to 6.00 g. A preferred weight of the base 110 may be 5.65 g. The weight of the cover body 120 may be 5.00g to 6.00g. A preferred weight of the cover body 120 may be 5.40 g. The weight of the cover body 120 may be less than the weight of the base 110 . And the thickness of the cover body 120 may be 0.8 mm to 1.2 mm. When the thickness is less than 0.8 mm, a problem may occur that the cover body 120 is easily bent by an external force, and if the thickness exceeds 1 mm, the weight of the cover body 120 increases and the opening is not easily made.

도 3 내지 도 6을 더 참고하면, 힌지부(140)는 받침대(141), 메인힌지(142), 누름대(144) 및 보조힌지(145)를 포함한다.3 to 6 , the hinge unit 140 includes a pedestal 141 , a main hinge 142 , a presser 144 , and an auxiliary hinge 145 .

받침대(141)는 베이스(110)의 후단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있다. 받침대(141)는 베이스(110)의 표면에서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진다. 받침대(141)의 상면은 경사면(141a)으로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141a)은 베이스(11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상승하는 형태로 경사져 있으며, 경사면(141a)은 베이스(110)의 하면(110d)과 평행을 이루는 가상의 수평선(L)과 예각을 이루며 그 각도(D)는 5° 내지 30°일 수 있다. 각도(D)가 5°미만으로 형성되면 힌지부(140)에 가해지는 탄성력이 미비하여 덮개본체(120)가 베이스(110)의 상면을 기준으로 35° 내지 130°각도로 열리지 않는다. 각도(D)가 30°를 초과하는 경우 힌지부(140)의 외부면이 돌출되는 형태로 변형되어 외관미가 저하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턱(131)이 걸림홈에 걸리지 않을 수 있으며, 걸림턱(131)이 걸림홈에 걸리기 위해 덮개본체(120)의 외관이 볼록해질 수 있다. 이에 원터치 덮개(100)의 전체적인 외관미가 저하될 수 있다.The pedestal 141 protrudes up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base 110 . The pedestal 141 has a progressively smaller cross-sectional area from the surface of the base 110 to the top. The upper surface of the pedestal 141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141a. The inclined surface 141a is inclined in the form of rising from the rear of the base 110 to the front, and the inclined surface 141a forms an acute angle with an imaginary horizontal line L parallel to the lower surface 110d of the base 110, and the The angle D may be 5° to 30°. When the angle D is formed to be less than 5°, the elastic force applied to the hinge unit 140 is insufficient, so that the cover body 120 does not open at an angle of 35° to 130°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10 . When the angle (D) exceeds 30°, the outer surface of the hinge unit 140 may be deformed in a protruding form, thereby deteriorating the appearance. In addition, the locking jaw 131 may not be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and the outer appearance of the cover body 120 may be convex in order for the locking jaw 131 to be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Accordingly,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one-touch cover 100 may be deteriorated.

메인힌지(142)는 베이스(110)의 후단에서 돌출되어 있다. 이때 메인힌지(142)의 상면과 하면은 각각 곡선을 이루고 있다. 메인힌지(142)는 가상의 수평선(L)과 기설정된 각도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메인힌지(142)는 가상의 수평선(L)과 평행을 이룰 수 있다. 메인힌지(142)는 외력에 의해 휘어질 수 있다. 이때 메인힌지(142)는 소정의 지름을 갖는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힌지(142)의 길이는 베이스(110)와 덮개본체(120)의 길이보다 짧다. 덮개본체(120)와 메인힌지(142)의 길이비는 1:0.4 내지 0.6일 수 있다. 길이비가 1:0.4 미만으로 형성되면 무게가 5.40g인 덮개본체(120)를 지지하지 못하여 덮개본체(120)가 회동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덮개본체(120)의 열림이 저하된다.The main hinge 142 protrudes from the rear end of the base 110 . At this time,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main hinge 142 form a curve, respectively. The main hinge 142 forms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virtual horizontal line L. However, the main hinge 142 may be parallel to the virtual horizontal line L. The main hinge 142 may be bent by an external force. In this case, the main hinge 142 may be formed to have a curvatur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The length of the main hinge 142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base 110 and the cover body 120 . The length ratio of the cover body 120 and the main hinge 142 may be 1:0.4 to 0.6. When the length ratio is formed to be less than 1:0.4, the cover body 120 cannot be rotated because it cannot support the cover body 120 having a weight of 5.40 g. Accordingly, the opening of the cover body 120 is reduced.

메인힌지(142)를 평면에서 본 면적은 200㎟ 내지 220㎟일 수 있고 두께는 0.3㎜ 내지 0.4㎜일 수 있다.The planar area of the main hinge 142 may be 200 mm 2 to 220 mm 2 and the thickness may be 0.3 mm to 0.4 mm.

메인힌지(142)의 두께가 0.3㎜ 미만으로 형성되면 덮개본체(120)가 개방홀(110a)을 닫을 때 휘어짐이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덮개본체(120)를 개방하기 위한 발생하는 탄성력이 미비하여 덮개본체(120)의 개방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반복적인 휘어짐이 발생하는 메인힌지(142)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메인힌지(142)의 두께가 0.4㎜를 초과해서 형성되면 두께 증가로 메인힌지(142)의 휘어짐이 용이하지 않다.When the thickness of the main hinge 142 is formed to be less than 0.3 mm,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ver body 120 is easily bent when the opening hole 110a is closed, but the elastic force generated for opening the cover body 120 is insufficient. Therefore, the opening of the cover body 120 is not easy. In addition, the lifespan of the main hinge 142 in which repeated bending occurs may be shortened. When the thickness of the main hinge 142 is formed to exceed 0.4 mm, it is not easy to bend the main hinge 142 due to an increase in thickness.

메인힌지(142)의 길이 방향 양측은 내측 방향으로 함몰된 가이드홈(142a)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홈(142a)은 반원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가이드홈(142a)은 메인힌지(142)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메인힌지(142)의 폭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예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홈(142a)의 둘레는 직선으로 형성되며 메인힌지(142)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협소해진다. 가이드홈(142a)의 깊이 숫자는 메인힌지(142)의 폭 숫자보다 작다. 가이드홈(142a)은 메인힌지(152)가 휘어져 원형을 이룰 때 휘어짐의 기준이 되어 메인힌지(152)는 일측의 편심되어 찌그러지지 않고 반원 형태로 휘어질 수 있다.On both sides of the main hinge 14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guide grooves 142a recessed in the inward direction are formed. The guide groove 142a is formed in a semicircle. However, as the thickness of the main hinge 142 increases, the guide groove 142a may be formed at an acute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hinge 142 . At this time, the circumference of the guide groove 142a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and the cross-sectional area becomes narrower toward the inside from the end of the main hinge 14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number of depths of the guide grooves 142a is smaller than the number of widths of the main hinge 142 . The guide groove 142a is a standard for bending when the main hinge 152 is bent to form a circle, so that the main hinge 152 is eccentric on one side and can be bent in a semicircular shape without being crushed.

메인힌지(142)의 외부면에는 엠보(143)들이 형성되어 있다. 엠보(143)들은 원형의 돌기 형태로 돌출되어 있다. 엠보(143)의 돌출길이는 메인힌지(142) 두께의 20% 내지 40%를 초과하지 않는다. 엠보(143)는 메인힌지(142)의 폭 방향과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엠보(143)들의 원형 지름은 0.5㎜ 내지 0.7㎜일 수 있다. 평면에서 바라본 메인힌지(142)와 엠보(143)들의 면적비는 1: 0.4 내지 0.6일 수 있다. 메인힌지(142)와 엠보(143)들의 면적비가 1: 0.4 미만인 경우 엠보(143)의 효과가 미비하여 엠보(143) 효과가 없으며, 메인힌지(142)와 엠보(143)들의 면적비가 1: 0.6을 초과할 경우 메인힌지(142)의 두께 증가로 메인힌지(142)의 휘어짐이 용하지 않다.Emboss 143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hinge 142 . The embossed 143 protrude in the form of circular protrusions. The protrusion length of the embossing 143 does not exceed 20% to 40% of the thickness of the main hinge 142 . The embossing 143 is arranged along the width direction and the length direction of the main hinge 142 . The circular diameter of the embossing 143 may be 0.5 mm to 0.7 mm. The area ratio of the main hinge 142 and the embossed 143 when viewed from a plane may be 1: 0.4 to 0.6. When the area ratio of the main hinge 142 and the emboss 143 is less than 1: 0.4, the effect of the emboss 143 is insignificant and the emboss 143 has no effect, and the area ratio between the main hinge 142 and the emboss 143 is 1: If it exceeds 0.6, the bending of the main hinge 142 is not easy due to an increase in the thickness of the main hinge 142 .

엠보(143)들은 메인힌지(142)가 휘어질 때 메인힌지(142)의 외부면을 당겨주어 메인힌지(142)가 꺾이거나 접이는 형태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엠보(143)는 메인힌지(142)가 휘어질 때 곡률 형태를 이루도록 한다.The embossing 143 pulls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hinge 142 when the main hinge 142 is bent, thereby preventing the main hinge 142 from being deformed into a bent or folded form. The embossing 143 forms a curvature shape when the main hinge 142 is bent.

한편, 엠보(143)들은 메인힌지(142)의 내부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엠보(143)는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엠보(143)의 구조는 힌지부(140)의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Meanwhile, the embossing 143 may also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hinge 142 . At this time, the embossing 143 may be formed in a depressed shape. The structure of the embossing 143 may vary depending on the design of the hinge unit 140 .

누름대(144)는 베이스(110)와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메인힌지(142)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 누름대(144)는 메인힌지(1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누름대(144)의 길이는 메인힌지(142)의 길이보다는 길고 덮개본체(120)의 길이 보다는 짧다.The presser 144 is connected to the main hinge 142 that is farthest from the base 110 . The press bar 144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hinge 142 , and the length of the press bar 144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main hinge 142 and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cover body 120 .

누름대(144)에서 메인힌지(142)와 연결된 부분에는 돌출부(144a)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44a)는 메인힌지(1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메인힌지(142)가 가상의 수평선(L)과 평행을 이룰 때 누름대(144)는 메인힌지(142)에서 상부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누름대(144)는 돌출된 상태에서 하부로 경사져 있다. 그러나 누름대(144)는 경사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돌출부(144a)는 메인힌지(142)가 곡률 형태로 휘어졌을 때 경사면(141a)과 접할 수 있다.A protrusion 144a is formed at a portion connected to the main hinge 142 in the presser 144 . The protrusion 144a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hinge 142 . When the main hinge 142 is parallel to the virtual horizontal line L, the presser 144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main hinge 142 . And the presser 144 is inclined downward in the protruding state. However, the pressing bar 144 may not form an inclination. The protrusion 144a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141a when the main hinge 142 is bent in a curvature shape.

보조힌지(145)는 누름대(144)와 덮개본체(120)를 연결하고 있다. 보조힌지(145)의 길이는 메인힌지(142)의 길이보다 길고 덮개본체(120)의 길이보다는 짧다. 덮개본체(120)와 보조힌지(145)의 길이비는 1:0.6 내지 0.8일 수 있다. 보조힌지(145)의 두께는 0.4㎜ 내지 0.5㎜일 수 있다. 보조힌지(145)와 메인힌지(142)의 두께비는 1:0.6 내지 1.0일 수 있다. 메인힌지(142)와 보조힌지(145)의 면적비는 1:0.6 내지 0.8일 수 있다. 메인힌지(142)가 보조힌지(145)보다 얇으므로 메인힌지(142)가 휘어지면서 원형으로 형성된 후 보조힌지(145)가 휘어지게 된다. 메인힌지(142)가 보조힌지(145)보다 더 두꺼우면 보조힌지(145)가 메인힌지(142)보다 먼저 휘어지게 되므로 메인힌지(142)는 원형으로 형성되지 못한다. 그리고 덮개본체(120)가 베이스(110)에 밀착되지 못하고 들뜨게 된다. 또한 보조힌지(145)가 먼저 휘어지게 되면서 보조힌지(145)의 외부면이 돌출된 형태로 구부러져 원터치 덮개(100)의 외관이 저해될 수 있다.The auxiliary hinge 145 connects the press bar 144 and the cover body 120 . The length of the auxiliary hinge 145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main hinge 142 and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cover body 120 . The length ratio of the cover body 120 and the auxiliary hinge 145 may be 1:0.6 to 0.8. The thickness of the auxiliary hinge 145 may be 0.4 mm to 0.5 mm. A thickness ratio of the auxiliary hinge 145 and the main hinge 142 may be 1:0.6 to 1.0. The area ratio of the main hinge 142 and the auxiliary hinge 145 may be 1:0.6 to 0.8. Since the main hinge 142 is thinner than the auxiliary hinge 145 , the main hinge 142 is bent to form a circular shape, and then the auxiliary hinge 145 is bent. If the main hinge 142 is thicker than the auxiliary hinge 145 , the auxiliary hinge 145 is bent before the main hinge 142 , so the main hinge 142 is not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the cover body 120 is lifted without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base 110 . In addition, as the auxiliary hinge 145 is bent first, the outer surface of the auxiliary hinge 145 is bent in a protruding form, thereby impairing the appearance of the one-touch cover 100 .

보조힌지(145)에는 라인홈(145a)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라인홈(145a)은 보조힌지(145)의 폭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라인홈(145a)은 보조힌지(145)의 폭의 숫자에 따라 1개 형성될 수 있다. 누름대(144)가 경사면(141a)과 접하고 있을 때 보조힌지(145)는 복수의 라인홈(145a)에 의해 다단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누름대(144)와 받침대(141)가 접한 상태에서 보조힌지(145)의 구부러짐으로 곡선으로 휘어진 메인힌지(142)는 더 이상 휘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메인힌지(142)는 꺾이거나 접이지 않을 수 있다.A line groove 145a is formed in the auxiliary hinge 145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line grooves 145a are formed at intervals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auxiliary hinge 145 . However, one line groove 145a may be form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widths of the auxiliary hinge 145 . When the presser 144 is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141a, the auxiliary hinge 145 may be bent in multiple stages by the plurality of line grooves 145a. The main hinge 142 bent in a curve due to the bending of the auxiliary hinge 145 in a state in which the presser 144 and the pedestal 141 are in contact may not be bent any longer. Accordingly, the main hinge 142 may not be bent or folded.

다음은 위에서 설명한 원터치 덮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one-touch cover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용기본체(1)에 담긴 내용물을 보호하기 위해 덮개본체(120)는 베이스(110)와 접하여 개방홀(110a)을 닫고 있다(도면 도 1 참조). 이때 힌지부(140)는 휘어져 탄성력을 유지하고 있다. 사용자가 버튼(132)을 누르면 걸림홈에서 걸림턱(131)이 벗어나 잠금이 해제된다. 덮개본체(120)는 힌지부(140)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하여 베이스(110)와 떨어진다. 덮개본체(120)는 베이스(110)의 상면을 기준으로 30° 내지 130°각도(D)로 열려 개방홀(110a)을 개방하며 메인힌지(142)의 상면과 하면은 곡선을 이루고 있다. 인출홀(1a)의 주변이 노출되며 내용물을 인출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도면 도 2 참조).In order to protect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body 1, the cover body 120 is in contact with the base 110 and closes the opening hole 110a (see FIG. 1). At this time, the hinge portion 140 is bent to maintain the elastic force.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132, the locking jaw 131 is released from the locking groove and the lock is released. The cover body 120 is rota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hinge unit 140 to separate from the base 110 . The cover body 120 is opened at an angle D of 30° to 130°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10 to open the opening hole 110a,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main hinge 142 are curved. The periphery of the withdrawal hole 1a is exposed and the contents can be drawn out (refer to FIG. 2).

도 7을 참고하여 덮개본체(120)를 닫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The closing of the cover body 1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

사용자는 내용물을 인출 후 개방홀(110a)을 닫기 위해 열린 덮개본체(120)를 베이스(110)의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두께가 보조힌지(145)의 두께보다 얇은 메인힌지(142)는 상면과 하면이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고 가이드홈(142a)을 기준으로 휘어지면서 원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엠보(143) 가 메인힌지(142)의 외부면을 보강하게 되어 메인힌지(142)는 접히거나 꺾이지 않고 원형으로 형성된다. 돌출부(144a)가 경사면(141a)과 접하면 메인힌지(142)는 더 이상 휘어지지 않는다. 메인힌지(142)는 소정의 지름을 갖는 곡률의 원형으로 형성된다. 원형의 지름(I)은 2㎜ 내지 4㎜로 형성될 수 있다. 원형의 지름(I)이 2㎜ 미만으로 형성되면 메인힌지(142)의 폭이 짧아 원형은 잘 성형되나 덮개본체(120)의 무게를 이기지 못하여 덮개본체(120)를 일으켜 세워지지 않는다. 원형의 지름(I)이 4㎜를 초과하는 경우 원형의 지름이 커지므로 덮개본체(120)의 회동 범위가 증가하게 되었다(도면 도 7의 a 참조).The user may rotate the open cover body 120 in the direction of the base 110 to close the opening hole 110a after withdrawing the contents. The thickness of the main hinge 142, which is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auxiliary hinge 145,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while curved with respect to the guide groove 142a,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main hinge 142 are curved. At this time, the emboss 143 reinforces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hinge 142 so that the main hinge 142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without being folded or bent. When the protrusion 144a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141a, the main hinge 142 is no longer bent. The main hinge 142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of curvatur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The diameter (I) of the circle may be formed in a range of 2 mm to 4 mm. When the diameter (I) of the circle is formed to be less than 2 mm, the width of the main hinge 142 is short and the circle is well formed, but the cover body 120 is not lifted up because it cannot overcome the weight of the cover body 120 . When the diameter of the circle (I) exceeds 4 mm, the rotation range of the cover body 120 is increased because the diameter of the circle is increased (see FIG. 7 a).

원형의 메인힌지(142)에는 탄성력이 발생하며 덮개본체(120)를 회동시키는 외력을 제거하면 원형의 메인힌지(142)는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그러나, 도면에는 형성하지 않았지만 메인힌지(142)의 곡률은 타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타원의 장축과 단축의 길이비는 1:0.5 내지 0.7일 수 있다.An elastic force is generated in the circular main hinge 142 , and when the external force rotating the cover body 120 is removed, the circular main hinge 142 may return to its original state by the elastic force. However, although not formed in the drawings, the curvature of the main hinge 142 may be formed in an ellipse. In this case,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major axis to the minor axis of the ellipse may be 1:0.5 to 0.7.

한편, 경사면(141a)의 각도에 의해 덮개본체(120)의 전방은 베이스(110)의 전방으로부터 들뜬 상태가 되어 걸림턱(131)(도 2 참조)이 걸림홈에 걸리지 않은 상태가 된다. 사용자가 덮개본체(120)의 전방을 베이스(110)의 방향으로 누르면 경사면(141a)과 접하고 있는 돌출부(144a)의 부분에 응력이 발생한다. 이때 돌출부(144a)가 경사면(141a)과 접하고 있으므로 라인홈(145a)이 형성된 보조힌지(145) 부분이 베이스(110)의 바닥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휘어지면 걸림턱(131)은 걸림홈에 걸릴 수 있다. 덮개본체(120)의 잠금 상태가 되어 덮개본체(120)는 베이스(110)와 접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도면 도 7의 b, c 참조).On the other hand, by the angle of the inclined surface 141a, the front of the cover body 120 is in a state of being lifted from the front of the base 110, and the locking jaw 131 (see FIG. 2) is not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When the user presses the front of the cover body 120 in the direction of the base 110, stress is generated in the portion of the protrusion 144a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141a. At this time, since the protrusion 144a is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141a, when the part of the auxiliary hinge 145 in which the line groove 145a is formed is bent stepwise toward the bottom of the base 110, the locking jaw 131 can be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have. When the cover body 120 is locked, the cover body 120 maintains a state in contact with the base 110 (see FIG. 7 b and c).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르면, 덮개본체(120)가 베이스(110)와 접할 때 메인힌지(142)는 휘어져 원형을 이룬다. 돌출부(144a)가 받침대(141)에 접하면 메인힌지(142)는 더 이상 휘어지지 않고 원형 상태를 유지한다. 메인힌지(142)는 곡률을 이루게 되어 꺾이거나 접히지 않아 손상 변형이 방지된다. 이에 메인힌지(142)의 수명이 극대화되며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내용물의 수분 보유 수명 또한 향상된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cover body 120 is in contact with the base 110, the main hinge 142 is bent to form a circle. When the protrusion 144a is in contact with the pedestal 141, the main hinge 142 is no longer bent and maintains a circular state. The main hinge 142 has a curvature and is not bent or folded to prevent damage and deformation. Accordingly, the lifespan of the main hinge 142 is maximized, and the moisture retention life of the contents containing moisture is also improved.

이와 같은 원터치 덮개(100)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과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VA), 엘라스토머(Elastomer)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어느 하나는 70 ~ 80:20 ~ 30 중량비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이 70 중량비 미만으로 형성되면 LDPE, EVA, 엘라스토머의 중량비가 증가하여 힌지부의 탄성력이 저하될 수 있다. 그리고 폴리프로필렌이 80 중량비를 초과하는 경우 힌지부의 강도가 증가하여 쉽게 파손될 수 있다.Such a one-touch cover 100 is made of polypropylene (PP),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VA), elastomer, and combinations thereof.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70 to 80: 20 to 30 may include a weight ratio. When the polypropylene is formed in a weight ratio of less than 70, the weight ratio of LDPE, EVA, and elastomer may increase, so that the elastic force of the hinge part may be reduced. In addition, when the polypropylene exceeds 80 weight ratio, the strength of the hinge part is increased, and thus it may be easily broken.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s within the scope of the

1: 용기본체 1a: 인출홀
100: 원터치 덮개 110: 베이스
110a: 개방홀 110b: 안작홈
120: 덮개본체 130: 잠금부
131: 걸림턱 132: 버튼
140: 힌지부 141: 받침대
141a: 경사면 142: 메인힌지
142a: 가이드홈 143: 엠보
144: 누름대 144a: 돌출부
145: 보조힌지 145a: 라인홈
1: container body 1a: draw-out hole
100: one-touch cover 110: base
110a: open hole 110b: anzac home
120: cover body 130: lock
131: jamming jaw 132: button
140: hinge 141: pedestal
141a: inclined surface 142: main hinge
142a: guide groove 143: emboss
144: press bar 144a: protrusion
145: auxiliary hinge 145a: line groove

Claims (15)

상하 관통된 개방홀이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개방홀을 여닫을 수 있는 덮개본체 및
상기 덮개본체와 상기 베이스를 연결하는 힌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부는
상기 베이스에 형성된 받침대,
상기 받침대와 연결되어 되어 있는 메인힌지,
상기 메인힌지와 연결된 누름대 및
상기 누름대와 상기 덮개본체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힌지
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본체가 상기 개방홀을 닫고 있을 때 상기 힌지부는 일부분이 휘어져 소정의 지름을 갖는 곡률을 이루고,
상기 메인힌지와 상기 보조힌지의 면적비는 1:0.6 내지 0.8인
원터치 덮개.
Base with upper and lower penetrating open holes,
a cover body connected to the base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hole; and
A hinge part connecting the cover body and the base
includes,
The hinge part
a pedestal formed on the base;
The main hinge connected to the pedestal,
a press bar connected to the main hinge, and
at least one auxiliary hinge connecting the press bar and the cover body
includes,
When the cover body closes the opening hole, a portion of the hinge portion is bent to form a curvatur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The area ratio of the main hinge and the auxiliary hinge is 1:0.6 to 0.8.
One-touch cover.
제1항에서,
상기 덮개본체가 상기 개방홀을 닫을 때 휘어지는 메인힌지는 상기 받침대와 상기 누름대가 접하면서 더 이상 휘어지지 않는
원터치 덮개.
In claim 1,
The main hinge, which is bent when the cover body closes the opening hole, is no longer bent as the support and the presser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One-touch cover.
제2항에서,
상기 보조힌지에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홈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받침대와 상기 누름대가 접하면 상기 보조힌지의 라인홈 형성 부분이 구부러진
원터치 덮개.
In claim 2,
At least one line groove is formed in the auxiliary hing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when the pedestal and the presser are in contact, the line groove forming portion of the auxiliary hinge is bent.
One-touch cover.
제2항에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메인힌지에 복수 형성된 엠보를 더 포함하는 원터치 덮개.
In claim 2,
The one-touch cover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emboss formed on the hinge portion of the main hinge.
제4항에서,
상기 메인힌지와 상기 엠보의 면적비는 1:0.07 내지 0.09인 원터치 덮개.
In claim 4,
An area ratio of the main hinge and the embossing is 1:0.07 to 0.09 for a one-touch cover.
제2항에서,
상기 메인힌지의 양측에는 내측 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홈의 깊이 숫자는 상기 메인힌지의 폭 숫자보다 작은 원터치 덮개.
In claim 2,
The one-touch cover has guide groov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in hinge in an inward direction, and a depth number of the guide groove is smaller than a width number of the main hinge.
제6항에서,
상기 가이드홈은 원호인 원터치 덮개.
In claim 6,
The guide groove is a one-touch cover that is an arc.
제1항에서,
상기 덮개본체와 상기 보조힌지의 길이비는 1:0.6 내지 0.8 이고, 상기 덮개본체와 상기 메인힌지의 길이비는 1:0.4 내지 0.6인 원터치 덮개.
In claim 1,
The length ratio of the cover body and the auxiliary hinge is 1:0.6 to 0.8, and the length ratio between the cover body and the main hinge is 1:0.4 to 0.6 of the one-touch cover.
제2항에서,
상기 보조힌지와 상기 메인힌지의 두께비는 1:0.6 내지 1인 원터치 덮개.
In claim 2,
The thickness ratio of the auxiliary hinge and the main hinge is 1:0.6 to 1 of the one-touch cover.
제2항에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베이스에서 돌출되어 상기 누름대와 접하는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경사면은 상기 베이스의 하면과 평행을 이루는 가상의 수평선(L)과 예각을 이루며 그 각도(D)는 5° 내지 30°인
원터치 덮개.
In claim 2,
The pedestal has an inclined surface protruding from the base and in contact with the presser, the inclined surface forms an acute angle with an imaginary horizontal line (L) parallel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and the angle (D) is 5° to 30°
One-touch cover.
상하 관통된 개방홀이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개방홀을 여닫을 수 있는 덮개본체 및
상기 덮개본체와 상기 베이스를 연결하는 힌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베이스에 형성된 받침대,
상기 받침대와 연결되어 되어 있는 메인힌지,
상기 메인힌지와 연결된 누름대 및
상기 누름대와 상기 덮개본체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힌지
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는 상기 베이스에서 돌출되어 상기 누름대와 접하는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누름대에는 상기 경사면과 접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원터치 덮개.
Base with upper and lower penetrating open holes,
a cover body connected to the base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hole; and
A hinge part connecting the cover body and the base
including,
The hinge part
a pedestal formed on the base;
The main hinge connected to the pedestal,
a press bar connected to the main hinge, and
at least one auxiliary hinge connecting the press bar and the cover body
includes,
The pedestal has an inclined surface protruding from the base and in contact with the presser, and a protrusion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the presser.
One-touch cover.
제11항에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베이스의 하면과 평행을 이루는 가상의 수평선(L)과 예각을 이루며 그 각도(D)는 5° 내지 30°인
원터치 덮개.
In claim 11,
The inclined surface forms an acute angle with an imaginary horizontal line (L) parallel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and the angle (D) is 5° to 30°
One-touch cover.
제1항에서,
상기 곡률은 반원을 이루며, 상기 반원의 지름은 2㎜ 내지 4㎜인 원터치 덮개.
In claim 1,
The curvature forms a semicircle, and the semicircle has a diameter of 2 mm to 4 mm.
제1항에서,
상기 곡률은 타원을 이루며, 상기 타원의 장축과 단축의 길이비는 1:0.5 내지 0.7 인 원터치 덮개.
In claim 1,
The curvature forms an ellipse, and the length ratio of the major axis and the minor axis of the ellipse is 1:0.5 to 0.7 of the one-touch cover.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정의되어 있는 원터치 덮개, 그리고
내부에 내용물이 담길 수 있으며 일면에 상기 내용물을 인출하기 위한 인출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일면에 상기 원터치 덮개가 배치되어 있는 용기본체
를 포함하는 포장 용기.
One-touch cover as defined in any one of claims 1 to 14, and
The container body in which the contents can be contained therein, a withdrawal hole for withdrawing the contents is formed on one surface, and the one-touch cover is disposed on the one surface
A packaging container comprising a.
KR1020210022482A 2021-02-19 2021-02-19 one-touch type cover and packaging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KR1023223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482A KR102322394B1 (en) 2021-02-19 2021-02-19 one-touch type cover and packaging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PCT/KR2022/002396 WO2022177336A1 (en) 2021-02-19 2022-02-18 One-touch cover and packaging container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482A KR102322394B1 (en) 2021-02-19 2021-02-19 one-touch type cover and packaging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2394B1 true KR102322394B1 (en) 2021-11-05

Family

ID=78507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2482A KR102322394B1 (en) 2021-02-19 2021-02-19 one-touch type cover and packaging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239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7336A1 (en) * 2021-02-19 2022-08-25 홍성용 One-touch cover and packaging container comprising sam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8491Y2 (en) * 1989-02-02 1997-03-12 中央化学 株式会社 Packaging containers
KR200264628Y1 (en) 2001-11-14 2002-02-16 유상현 lid of wet tissue pack
KR20150003762U (en) 2015-08-17 2015-10-14 박진성 Airtight lid for wet tissue pack
KR102022282B1 (en) * 2019-04-16 2019-09-18 (주)그로우 One Touch Cover for Wet Tissue Container
KR102069466B1 (en) * 2019-04-17 2020-01-22 이승현 System for opening hole by reverse arch typed neck having potential energy
JP2020019528A (en) * 2018-07-31 2020-02-06 勇治 篠原 Packaging contain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8491Y2 (en) * 1989-02-02 1997-03-12 中央化学 株式会社 Packaging containers
KR200264628Y1 (en) 2001-11-14 2002-02-16 유상현 lid of wet tissue pack
KR20150003762U (en) 2015-08-17 2015-10-14 박진성 Airtight lid for wet tissue pack
JP2020019528A (en) * 2018-07-31 2020-02-06 勇治 篠原 Packaging container
KR102022282B1 (en) * 2019-04-16 2019-09-18 (주)그로우 One Touch Cover for Wet Tissue Container
KR102069466B1 (en) * 2019-04-17 2020-01-22 이승현 System for opening hole by reverse arch typed neck having potential energ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7336A1 (en) * 2021-02-19 2022-08-25 홍성용 One-touch cover and packaging container compris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42285B1 (en) Lid
US20060124654A1 (en) Sealed food box
KR102322394B1 (en) one-touch type cover and packaging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KR102022282B1 (en) One Touch Cover for Wet Tissue Container
US3843034A (en) Device for severing a preferably moistened tissue web
US20170150852A1 (en) Water tissue
CN107635888B (en) Dispensing container
CN113548314B (en) Cover body
CN208963681U (en) The sealed package of improvement
CN108910266A (en) A kind of improvement structure of sealed package
KR101898089B1 (en) One Touch Cover for Wet Tissue Container
CN206719906U (en) Locking device and anti-counterfeit package box
KR102102373B1 (en) One Touch Cover for Wet Tissue Container
KR102164257B1 (en) Open and close cover for wet tissue case
CN209291056U (en) Novel seal packing container
KR102013532B1 (en) Automatic opening apparatus for outlet hole of pack by using elastic force of structural mechanics
TWM616715U (en) Sealed container for wet tissues
KR20230054175A (en) one-touch type cover and packaging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CN113830426B (en) Wet towel cover with convenient paper extraction opening
JP2019099655A (en) Hot-melt adhesive, bonding method and wet sheet package
RU2776438C1 (en) Lid
KR102556204B1 (en) One Touch Cover for Wet Tissue Container
CN213058228U (en) Packaging bag with perspective window and pressure prevention function
CN213414848U (en) Multifunctional packaging box
CN214876862U (en) Wet tissue container fl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