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2200B1 - IoT환경에서 고객 중심의 전시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IoT환경에서 고객 중심의 전시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2200B1
KR102322200B1 KR1020150088944A KR20150088944A KR102322200B1 KR 102322200 B1 KR102322200 B1 KR 102322200B1 KR 1020150088944 A KR1020150088944 A KR 1020150088944A KR 20150088944 A KR20150088944 A KR 20150088944A KR 102322200 B1 KR102322200 B1 KR 102322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s
exhibition
work
user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8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0135A (ko
Inventor
김영규
김인환
Original Assignee
주성디자인랩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디자인랩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성디자인랩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8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2200B1/ko
Publication of KR20170000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IoT 환경에서 전시 작품을 제공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스마트 폰을 통하여 전시장에 존재하는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스마트 폰의 디스플레이에 스탬프가 포함된 복수의 작품을 출력하거나 상기 작품에 대한 설명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작품 및 상기 작품에 대한 설명과 관련된 정보들을 전자 카탈로그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전자 카탈로그를 표시하되, 상기 전자 카탈로그를 파일로 전송하거나 프린트로 출력하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IoT환경에서 고객 중심의 전시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USER-FRIENDLY EXHIBITION IN THE IOT ENVIRONMENT}
아래의 설명은 IoT 기반의 고객 중심의 전시장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전시관, 미술관, 또는 박람회 등의 장소에서 사용자가 전시된 작품 또는 사업 결과물을 관람하기 위해서는 작품 등에 대한 설명서를 읽거나, 카탈로그를 가지고 다니며 정보를 습득하였다. 그리고 전시관은 큐레이터 또는 가이드의 직접 안내 또는 중앙 및 각 전시관별 안내방송이 제공해 왔다. 그런데, 이는 원하는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가이드 시작 시점을 정확하게 맞추어 미술관 및 각 전시장을 방문해야 하는 불편함과 함께 원거리에서 이용할 경우 청취 및 내용의 정확한 이해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인터넷을 통하여 미술관의 홈페이지에 접속, 전시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나 이는 일반적으로 인터넷이 가능한 PC와 인터넷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가 구비되어 있는 한정적인 조건 하에서만 이용이 가능하며 또한 전시장에서 작품을 직접 관람하면서 작품과 관련 전시 정보간의 일대일 매치를 통해 실시간으로 정보를 열람하는 것이 곤란한 점이 있다.
이에 따라 작품 중심, 전시 중심의 관람 서비스로부터 소통 중심 고객 중심의 관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24524호는 전시시설물에 대한 정보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습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은 스마트 기기에 작품 및 작품에 대한 설명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 중심의 관람 서비스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고유의 전자 카탈로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자 카탈로그 및 스탬프를 파일로 전송하거나 프린트로 출력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IoT 환경에서 전시 작품을 제공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스마트 폰을 통하여 전시장에 존재하는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스마트 폰의 디스플레이에 스탬프가 포함된 복수의 작품을 출력하거나 상기 작품에 대한 설명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작품 및 상기 작품에 대한 설명과 관련된 정보들을 전자 카탈로그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전자 카탈로그를 표시하되, 상기 전자 카탈로그를 파일로 전송하거나 프린트로 출력하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스마트 폰으로부터 상기 전시장에 부착된 NFC를 태깅(Tagging)하여 수신되거나, 상기 스마트 폰으로부터 상기 전시장에 존재하는 비콘(Beacon)에 근접시킴으로써 식별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스마트 폰의 디스플레이에 스탬프가 포함된 복수의 작품을 출력하거나 상기 작품에 대한 설명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전시장에 부착된 복수의 NFC 태그를 태깅(Tagging)함에 따라 상기 작품의 정보 또는 상기 전시장의 식별 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복수의 작품들에 대하여 단일의 그룹으로 생성하고 1장의 사진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스마트 폰의 디스플레이에 스탬프가 포함된 복수의 작품을 출력하거나 상기 작품에 대한 설명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전시장에 존재하는 비콘을 통하여 기설정된 범위 이내에 상기 스마트 폰이 감지되면, 수신된 비콘 정보와 연관된 작품에 대한 동영상 설명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스탬프가 포함된 복수의 작품을 출력하거나 상기 작품에 대한 설명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비콘을 통하여 기설정된 범위 이내에 상기 단말이 감지되면, 수신된 비콘 정보와 연관된 카메라에서 자동으로 사진을 찍어 상기 단말로 전송하거나, 상기 단말로 네트워크 카메라와 연결되어 원하는 사진을 찍을 수 있는 IoT 환경에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사진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출력된 작품 및 상기 작품에 대한 설명과 관련된 정보들을 전자 카탈로그로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카탈로그를 생성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고유의 카탈로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출력된 작품 및 상기 작품에 대한 설명과 관련된 정보들을 전자 카탈로그로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카탈로그에 포함되는 작품들의 개수, 상기 작품들의 사이즈, 상기 작품들의 배치 조절, 이미 제작된 카탈로그로부터 어느 하나의 작품을 다른 작품으로 대체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고유의 카탈로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IoT 환경에서 전시 작품을 제공하는 시스템은, 사용자가 스마트 폰을 통하여 전시장에 존재하는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스마트 폰의 디스플레이에 스탬프가 포함된 복수의 작품을 출력하거나 상기 작품에 대한 설명을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출력된 작품 및 상기 작품에 대한 설명과 관련된 정보들을 전자 카탈로그로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전자 카탈로그를 표시하되, 상기 전자 카탈로그를 파일로 전송하거나 프린트로 출력하도록 제공하는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스마트 폰으로부터 상기 전시장에 부착된 NFC를 태깅(Tagging)하여 수신되거나, 상기 스마트 폰으로부터 상기 전시장에 존재하는 비콘(Beacon)에 근접시킴으로써 식별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전시장에 부착된 복수의 NFC 태그를 태깅(Tagging)함에 따라 상기 작품의 정보 또는 상기 전시장의 식별 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복수의 작품들에 대하여 단일의 그룹으로 생성하고 1장의 사진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전시장에 존재하는 비콘을 통하여 기설정된 범위 이내에 상기 스마트 폰이 감지되면, 수신된 비콘 정보와 연관된 작품에 대한 동영상 설명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생성부는, 상기 전자 카탈로그를 생성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고유의 카탈로그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생성부는, 상기 카탈로그에 포함되는 작품들의 개수, 상기 작품들의 사이즈, 상기 작품들의 배치 조절, 이미 제작된 카탈로그로부터 어느 하나의 작품을 다른 작품으로 대체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고유의 카탈로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은 스마트 기기를 통하여 NFC 태그 또는 비콘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수신된 정보와 관련된 작품에 대하여 한장의 사진으로 출력하고, 작품에 대한 설명 동영상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중심의 관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은 전자 카탈로그를 생성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고유의 전자 카탈로그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전자 카탈로그 및 스탬프를 파일로 전송하거나 프린트로 출력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의 개괄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에서 작품 정보와 스탬프를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에서 작품과 관련된 동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에서 홀로그램 영상 및 기념 촬영을 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에서 관람 지도 및 운동량을 측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에서 SNS에 실시간으로 업로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에서 전자 카탈로그를 생성하고 스탬프를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의 전시 작품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의 개괄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100)과 사용자 단말(110)은 네트워크(120)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또는 더 적은 컴포넌트들, 커넥션들 및 상호 작용들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20)는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들, 컴퓨터들, 서버들, 각종 장치들 간의 통신 링크들을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매체일 수 있다. 네트워크(120)는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100)과 사용자 단말(110)이 서로 통신하기 위하여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Internet Protocol) 프로토콜 스위트(suite of protocols)를 사용하는 네트워크들 및 게이트웨이들의 월드와이드 컬렉션을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네트워크(120)는 인트라넷, LAN(local area network) 또는 WAN(wide area network)을 포함하거나 또는 그 일부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네트워크(120)는 인터넷의 일부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PC, 노트북,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 등으로,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100)과 관련된 웹/모바일 사이트의 접속 또는 서비스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실행이 가능한 모든 단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10)은 웹/모바일 사이트 또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제어 하에 서비스 화면 구성, 데이터 입력, 데이터 송수신, 데이터 저장 등 서비스 전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100)은 전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시 작품 플랫폼 상에 구현될 수 있으며, 전시 서비스를 이용하는 클라이언트(client)인 사용자 단말(110)을 대상으로 전시장의 작품 및 작품에 대한 설명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100)은 전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시 작품 제공 서버(미도시)의 플랫폼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시 작품 제공 서버와 별개의 시스템으로 구축되어 전시 작품 제공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전시장의 작품 작품에 대한 설명을 제공받는 형태로 구현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그리고,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100)은 적어도 일부의 구성 요소가 사용자 단말(110) 상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되거나, 혹은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200)은 프로세서(210), 버스(2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 메모리(240) 및 데이터베이스(25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40)는 운영체제(241) 및 서비스 제공 루틴(24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수신부(211), 출력부(212), 생성부(213) 및 제공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200)은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메모리(240)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40)에는 운영체제(241)와 서비스 제공 루틴(242)을 위한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drive mechanism, 미도시)을 이용하여 메모리(24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메모리(240)에 로딩될 수도 있다.
버스(220)는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200)의 구성요소들간의 통신 및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버스(220)는 고속 시리얼 버스(high-speed serial bus), 병렬 버스(parallel bus), SAN(Storage Area Network) 및/또는 다른 적절한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는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200)을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컴퓨터 하드웨어 구성요소일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는, 이더넷 카드와 같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광학 송수신기,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 혹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의 다른 예들은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들 및 USB 내의 블루투스(Bluetooth), 3G 및 WiFi 등을 포함하는 무선기기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컴퓨팅 디바이스는, 서버, 모바일 폰, 혹은 다른 네트워크화된 컴퓨팅 디바이스와 같은 외부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를 사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는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300)을 무선 또는 유선 커넥션을 통해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시킬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50)는 전시장 내의 작품에 대한 정보 등을 관리하기 위하여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저장 및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50)는 NFC 에 작품 및 전시장의 정보, 비콘에 작품에 대한 설명을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이동 경로, 전자 카탈로그에 포함되는 작품, 이동경로, 설명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도 2에서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200)의 내부에 데이터베이스(250)를 구축하여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스템 구현 방식이나 환경 등에 따라 생략될 수 있고 혹은 전체 또는 일부의 데이터베이스가 별개의 다른 시스템 상에 구축된 외부 데이터베이스로서 존재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프로세서(21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200)의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4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에 의해, 그리고 버스(220)를 통해 프로세서(210)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수신부(211), 출력부(212), 생성부(213) 및 제공부(214)를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는 메모리(24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수신부(211)는 사용자가 스마트 폰을 통하여 전시장에 존재하는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출력부(212)는 식별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스마트 폰의 디스플레이에 스탬프가 포함된 복수의 작품을 출력하거나 작품에 대한 설명을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12)는 전시장에 포함된 복수의 NFC 태그를 태깅(Tagging)함에 따라 작품의 정보 또는 전시장의 식별 정보를 추출한 후, 복수의 작품들에 대하여 단일의 그룹으로 생성하고 1장의 사진으로 제공할 수 있다. 출력부(212)는 전시장에 존재하는 비콘을 통하여 기설정된 범위 이내에 스마트 폰이 감지되면, 수신된 비콘 정보와 연관된 작품에 대한 동영상 설명을 제공할 수 있다. 출력부(212)는 비콘을 통하여 기설정된 범위 이내에 상기 단말이 감지되면, 수신된 비콘 정보와 연관된 카메라에서 자동으로 사진을 찍어 상기 단말로 전송하거나, 상기 단말로 네트워크 카메라와 연결되어 원하는 사진을 찍을 수 있는 IoT 환경에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사진을 제공할 수 있다.
생성부(213)는 출력된 작품 작품에 대한 설명과 관련된 정보들을 전자 카탈로그로 생성할 수 있다. 생성부(213)는 전자 카탈로그를 생성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고유의 카탈로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부(213)는 카탈로그에 포함되는 작품들의 개수, 작품들의 사이즈, 작품들의 배치 조절, 이미 제작된 카탈로그로부터 어느 하나의 작품을 다른 작품으로 대체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고유의 카탈로그를 생성할 수 있다.
제공부(214)는 생성된 전자 카탈로그를 표시하되, 전자 카탈로그를 파일로 전송하거나 프린트로 출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에서 작품 정보와 스팸프를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은 IoT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사용자 중심의 전시 작품을 제공할 수 있다. 사물 인터넷(IoT)은 모든 사물(예를 들면, IoT 장치)이 인터넷에 연결되어 외부에서 사물을 제어할 수 있는 기술로서, 단방향 통신을 통하여 사람의 조작으로 가전제품, 전자기기뿐만 아니라 헬스케어, 원격 검침, 스마트 폰, 스마트 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물을 네트워크로 연결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사물 인터넷은 센서를 통하여 유형 사물과 주위 환경으로부터 정보를 바탕으로 사물간 대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사물 인터넷에서 사물끼리 통신을 하기 위하여 사물끼리 통신을 주고 받을 수 있는 통로, 사물끼리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언어가 필요한데, 예를 들면,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IoT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 기술을 활용하여 사물간 온도, 습도, 위치 등과 같은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전시장(350)에서 사용자 단말(330), 예를 들면, 스마트 폰을 통하여 전시장에 부착된 작품(310)과 관련된 NFC 태그(320)를 태깅할 수 있다.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330)로부터 NFC태그(320)가 태깅됨에 따라 태깅된 작품(310)에 대하여 스마트 폰(330)에 스탬프가 찍힌 작품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NFC 태그에는 작품의 정보 또는 전시장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330)로부터 NFC 태그(320)가 태깅됨에 따라 작품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스마트 폰(330)을 통하여 NFC 태그(320)된 복수의 작품들에 대하여 단일의 그룹으로 생성하고 1장의 사진(340)으로 스마트 폰(33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에서 작품과 관련된 동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은 전시장에 존재하는 비콘(Beacon)을 통하여 기설정된 범위 이내에 사용자 단말이 감지됨에 따라 비콘 정보와 연관된 작품에 대한 동영상 설명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전시장에서 작품(420)에 대한 설명을 보거나 듣기 위하여 전시장에 존재하는 비콘에 스마트 폰(430)을 근접시킬 수 있다. 이때, 비콘은 예를 들면, 30cm~100cm 이내에 존재하는 스마트 폰을 감지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의 작품에 대하여 작품 근처에 비콘이 존재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설명을 획득하고자 하는 작품에 존재하는 비콘에 근접시킴에 따라 원하는 작품에 대한 설명을 획득할 수 있다. 또는, 비콘에 작품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스마트 폰(430)이 감지되었을 경우, 각각의 비콘에 저장되어 있는 작품을 추출하여 해당하는 작품에 대한 설명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은 수신된 비콘 정보에 기초하여 스마트 폰(430)에 설명을 제공할 수 있으며, 텍스트 위주의 설명, 동영상 설명 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은 비콘으로부터 스마트 폰(430)이 감지되면, 비콘 정보와 연관된 작품에 대한 동영상 설명(440)을 스마트 폰에 제공하게 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에서 홀로그램 영상 및 기념 촬영을 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가 보고 듣고 느낀 것을 기록으로 남기고 싶은 것 또는 작가에게 궁금한 점에 대하여 홀로그램 영상을 제공할 수 있고, 홀로그램 영상에 대하여 스마트 폰으로 사진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전시장에는 프로젝터(510), 네트워크 카메라(520), 위치 감지 센서(530)가 존재할 수 있으며, 사용자(540)가 전시장에 위치할 경우, 위치 감세 센서로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고, 네트워크 카메라(520)의 프로젝터(510)에서 작가의 홀로그램 영상을 띄우고, 카메라로 사진을 찍어 찍은 사진을 스마트 폰(55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가 홀로그램 영상을 볼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으며, 홀로그램 영상에 대하여 찍힌 사진을 스마트 폰(550)으로도 볼 수 있도록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에서 관람 지도 및 운동량을 측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가 작품을 다 보고 왔는지 잘 모르는 경우를 대비하여 실내 위치 측위 기술(LBS)을 이용하여 전시장 관람지도를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치 측위 기술은 AP, Wi-Fi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이 움직인 이동 경로를 파악할 수 있다.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620)에 사용자가 전시장 내에서 이동한 경로(610)에 대하여 관람 지도로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움직인 이동 경로(610)에 대하여 운동량을 측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스마트 폰(620)에 제공된 관람 지도를 통하여 사용자가 이동한 이동 경로(610)를 파악할 수 있고, 운동 시간, 이동 거리, 칼로리 소비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이동 경로에 대하여 1m 이동 시 1원을 기부할 수 있고, 기부 프로그램과 연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전시장에서 1.3km를 이동함에 따라 네팔 지진 피해 복구를 위한 유니세프에 기부할 수 있다. 스마트 폰에 연동된 기부 프로그램은 기부 참여자, 기부 목표 금액, 현재 기부 금액. 응원 글 달기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에서 SNS에 실시간으로 업로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은 스마트 폰으로 전송된 사진을 실시간으로 SNS(710)에 자동으로 업로드할 수 있다. NFC를 통하여 태깅함으로써 인식된 스탬프가 포함된 복수의 작품들, 복수의 작품들에 대하여 제공된 1장의 사진, 홀로그램 영상 및 기념 촬영, 이동 경로에 대하여 SNS에 업로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은 업로드된 사진을 통하여 더 많은 관객 작가가 소통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고, SNS에 의한 바이럴 마케팅 효과로 더 많은 고객이 전시장에 올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에서 전자 카탈로그를 생성하고 스탬프를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은 출력된 작품 및 작품에 대한 설명과 관련된 정보들에 대하여 전자 카탈로그(810)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전자 카탈로그를 스마트 폰(830)에 표시하되, 전자 카탈로그(810)를 파일로 전송하거나 무선 통신을 통하여 프린트(840)로 출력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은 전자 카탈로그를 생성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고유의 카탈로그를 생성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은 카탈로그에 포함되는 작품들의 개수, 작품들의 사이즈, 작품들의 배치 조절, 이미 제작된 카탈로그로부터 어느 하나의 작품을 다른 작품으로 대체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고유의 카탈로그를 생성할 수 있다.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가 보고, 듣고, 걷고, 찍은 것을 전자 카탈로그에 표시 후 파일로 전송하거나 프린트로 출력할 수 있고, 사용자 고유의 카탈로그(810) 및 스탬프(820)를 제작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시장을 방문한 학생들은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이 제공하는 전자 카탈로그를 통하여 파일 또는 프린트로 출력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시 후 과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도한,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은 전자 카탈로그 및 스탬프 출력을 유료 서비스로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의 전시 작품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910)에서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은 스마트 폰을 통하여 전시장에 존재하는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식별 정보란, 스마트 폰으로부터 전시장에 부착된 NFC를 태깅하여 수신되거나, 스마트 폰으로부터 전시장에 존재하는 비콘에 근접시킴으로써 식별될 수 있다.
단계(920)에서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은 스탬프가 포함된 복수의 작품을 출력하거나 작품에 대한 설명을 출력할 수 있다.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은 전시장에 부착된 복수의 NFC 태그를 태깅함에 따라 작품의 정보 또는 전시장의 식별 정보를 추출한 후, 복수의 작품들에 대하여 단일의 그룹으로 생성하고, 1장의 사진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은 전시장에 존재하는 비콘을 통하여 기설정된 범위 이내에 스마트 폰이 감지되면, 수신된 비콘 정보와 연관된 작품에 대한 동영상 설명을 제공할 수 있다.
단계(930)에서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은 출력된 작품 및 작품에 대한 설명과 관련된 정보들을 전자 카탈로그로 생성할 수 있다.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은 전자 카탈로그를 생성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고유의 카탈로그를 생성할 수 있다.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은 카탈로그에 포함되는 작품들의 개수, 작품들의 사이즈, 작품들의 배치 조절, 이미 제작된 카탈로그로부터 어느 하나의 작품을 다른 작품으로 대체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고유의 카탈로그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940)에서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은 전자 카탈로그를 표시하되, 파일로 전송하거나 프린트로 출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3)

  1. IoT 환경에서 전시 작품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단말을 통하여 전시장에 존재하는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스탬프가 포함된 복수의 작품을 출력하거나 상기 작품에 대한 설명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작품 및 상기 작품에 대한 설명과 관련된 정보들을 전자 카탈로그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전자 카탈로그를 표시하되, 상기 전자 카탈로그를 파일로 전송하거나 프린트로 출력하도록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작품에 대한 작가의 홀로그램 영상을 띄운 후 상기 사용자와 상기 작가의 홀로그램 영상을 촬영한 사진을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전시장에서 이동한 이동 경로에 대한 관람 지도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 경로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운동량을 측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운동 시간, 이동 거리 및 칼로리 소비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IoT 환경에서 전시 작품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전시장에 부착된 NFC를 태깅(Tagging)하여 수신되거나,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전시장에 존재하는 비콘(Beacon)에 근접시킴으로써 식별되는 것
    을 포함하는 IoT 환경에서 전시 작품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스탬프가 포함된 복수의 작품을 출력하거나 상기 작품에 대한 설명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전시장에 부착된 복수의 NFC 태그를 태깅(Tagging)함에 따라 상기 작품의 정보 또는 상기 전시장의 식별 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복수의 작품들에 대하여 단일의 그룹으로 생성하고 1장의 사진으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IoT 환경에서 전시 작품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스탬프가 포함된 복수의 작품을 출력하거나 상기 작품에 대한 설명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전시장에 존재하는 비콘을 통하여 기설정된 범위 이내에 상기 단말이 감지되면, 수신된 비콘 정보와 연관된 작품에 대한 동영상 설명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IoT 환경에서 전시 작품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스탬프가 포함된 복수의 작품을 출력하거나 상기 작품에 대한 설명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비콘을 통하여 기설정된 범위 이내에 상기 단말이 감지되면, 수신된 비콘 정보와 연관된 카메라에서 자동으로 사진을 찍어 상기 단말로 전송하거나, 상기 단말로 네트워크 카메라와 연결되어 원하는 사진을 찍을 수 있는 IoT 환경에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사진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IoT 환경에서 전시 작품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된 작품 및 상기 작품에 대한 설명과 관련된 정보들을 전자 카탈로그로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카탈로그를 생성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고유의 카탈로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IoT 환경에서 전시 작품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된 작품 및 상기 작품에 대한 설명과 관련된 정보들을 전자 카탈로그로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카탈로그에 포함되는 작품들의 개수, 상기 작품들의 사이즈, 상기 작품들의 배치 조절, 이미 제작된 카탈로그로부터 어느 하나의 작품을 다른 작품으로 대체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고유의 카탈로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IoT 환경에서 전시 작품 제공 방법.
  8. IoT 환경에서 전시 작품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단말을 통하여 전시장에 존재하는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스탬프가 포함된 복수의 작품을 출력하거나 상기 작품에 대한 설명을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출력된 작품 및 상기 작품에 대한 설명과 관련된 정보들을 전자 카탈로그로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전자 카탈로그를 표시하되, 상기 전자 카탈로그를 파일로 전송하거나 프린트로 출력하도록 제공하는 제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작품에 대한 작가의 홀로그램 영상을 띄운 후 상기 사용자와 상기 작가의 홀로그램 영상을 촬영한 사진을 상기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전시장에서 이동한 이동 경로에 대한 관람 지도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이동 경로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운동량을 측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운동 시간, 이동 거리 및 칼로리 소비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IoT 환경에서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전시장에 부착된 NFC를 태깅(Tagging)하여 수신되거나,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전시장에 존재하는 비콘(Beacon)에 근접시킴으로써 식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환경에서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전시장에 부착된 복수의 NFC 태그를 태깅(Tagging)함에 따라 상기 작품의 정보 또는 상기 전시장의 식별 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복수의 작품들에 대하여 단일의 그룹으로 생성하고 1장의 사진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환경에서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전시장에 존재하는 비콘을 통하여 기설정된 범위 이내에 상기 단말이 감지되면, 수신된 비콘 정보와 연관된 작품에 대한 동영상 설명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환경에서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상기 전자 카탈로그를 생성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고유의 카탈로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환경에서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상기 카탈로그에 포함되는 작품들의 개수, 상기 작품들의 사이즈, 상기 작품들의 배치 조절, 이미 제작된 카탈로그로부터 어느 하나의 작품을 다른 작품으로 대체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고유의 카탈로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환경에서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
KR1020150088944A 2015-06-23 2015-06-23 IoT환경에서 고객 중심의 전시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322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944A KR102322200B1 (ko) 2015-06-23 2015-06-23 IoT환경에서 고객 중심의 전시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944A KR102322200B1 (ko) 2015-06-23 2015-06-23 IoT환경에서 고객 중심의 전시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135A KR20170000135A (ko) 2017-01-02
KR102322200B1 true KR102322200B1 (ko) 2021-11-09

Family

ID=57810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8944A KR102322200B1 (ko) 2015-06-23 2015-06-23 IoT환경에서 고객 중심의 전시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22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852B1 (ko) * 2018-06-28 2019-05-30 (주)인아웃에스씨 관람객의 인지범위를 고려한 전시공간분석 기반 전시회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074B1 (ko) * 2013-07-10 2014-03-13 임동주 마일리지를 기반으로 한 유비쿼터스 전시컨벤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5620A (ko) * 2012-12-21 2014-07-08 (주)젠트정보기술 Nfc마커를 이용한 전시공간 정보제공 시스템
KR20140137680A (ko) * 2013-05-23 2014-12-03 주식회사 이상네트웍스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전시회 입장권 발권 및 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074B1 (ko) * 2013-07-10 2014-03-13 임동주 마일리지를 기반으로 한 유비쿼터스 전시컨벤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135A (ko) 2017-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3279B1 (ko) IoT환경에서 관람객의 활동 기반 전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9501768B2 (en) Smart ticketing in fare collection systems
US20160212591A1 (en) Exhibition guide apparatus, exhibition display apparatus, mobile terminal, and exhibition guide method
TW201428236A (zh) 室內定位系統及方法
KR20120090388A (ko) Qr 코드를 이용한 사용자 디바이스 및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CN103455789A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和程序
US9607094B2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method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JP6478286B2 (ja) 拡張現実コンテンツを選別するための方法、装置、およびシステム
KR20130025200A (ko) 증강 현실을 이용하여 실내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EP296081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ccess method, and terminal device
KR102322200B1 (ko) IoT환경에서 고객 중심의 전시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90428A (ko) 주변 센싱 정보에 대한 가격 입찰을 통해 노출 광고를 결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20060A (ko) 정보 제공 시스템, 이동통신단말 및 방법
US2014027401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cellular enabled content playback device
TWI811198B (zh) 收集系統、終端用程式以及收集方法
KR101879857B1 (ko) 가상 태깅 동작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Villarrubia et al. Hybrid indoor location system for museum tourist routes in augmented reality
JP3196713U (ja) 双方向の展示支援システム
KR20170039463A (ko) 사용자 장치, 비콘,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20210014921A1 (en) Offline device management
JP2017102854A (ja) プログラム、ユーザ端末、記録装置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20200120215A (ko) 위치 기반 기술과 데이터를 결합한 인터랙티브 디스플레이 광고 시스템 및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60094596A (ko) 비콘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액자 전시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29153A (ko) 경로 안내를 위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9672798A (zh) 信息处理装置以及存储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