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2061B1 - 키 제어 방법 및 키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키 제어 방법 및 키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2061B1
KR102322061B1 KR1020200181095A KR20200181095A KR102322061B1 KR 102322061 B1 KR102322061 B1 KR 102322061B1 KR 1020200181095 A KR1020200181095 A KR 1020200181095A KR 20200181095 A KR20200181095 A KR 20200181095A KR 102322061 B1 KR102322061 B1 KR 102322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key
control device
voltage
control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1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충영
송봉용
이기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튠잇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튠잇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튠잇
Priority to KR1020200181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2061B1/ko
Priority to US18/268,659 priority patent/US20240051500A1/en
Priority to PCT/KR2021/000296 priority patent/WO202213905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40Features of the power supply for the anti-theft system, e.g. anti-theft batteries, back-up power supply or means to save battery power
    • B60R25/403Power supply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40Features of the power supply for the anti-theft system, e.g. anti-theft batteries, back-up power supply or means to save battery power
    • B60R25/406Power supply in the remote ke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40Features of the power supply for the anti-theft system, e.g. anti-theft batteries, back-up power supply or means to save battery pow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56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키 제어 방법 및 키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키 제어 방법은, 리모컨 회로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리모컨 제어 장치가 사용자 기기로부터 차량 제어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리모컨 제어 장치와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리모컨 제어 장치로부터 전원 인가 신호 및 활성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리모컨 회로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키 제어 방법 및 키 제어 장치{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KEY}
본 발명은 키 제어 방법 및 키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 또는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가 널리 사용됨에 따라, 이러한 모바일 기기 또는 웨어러블 기기에서 차량 또는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기술이 주목 받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로 인해 사용자는 물리적인 키를 항상 휴대하지 않아도 차량 또는 전자 기기를 제어할 수 있게 되었다. 예를 들어, 차량의 경우, 물리적인 리모컨 키를 차량에 탑재하고, 모바일 기기 또는 웨어러블 기기(이하 '사용자 기기')에서 차량 또는 전자 기기의 제어를 요청하면, 해당 제어 요청을 수신하여 이를 물리적인 리모컨 키에 전달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량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사용자 기기와 물리적인 리모컨 키 사이에서 제어 요청을 전달하는 중간 매개 장치가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현되는 키 제어 방식에서, 중간 매개 장치는 사용자 기기의 제어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따라 물리적인 리모컨 키를 직접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기기로부터 차량에 시동을 걸기 위한 제어 요청을 수신한 중간 매개 장치는 물리적인 리모컨 상의 시동 키 또는 버튼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구동 신호를 수신한 물리적인 리모컨 키는 실제로 차량의 시동을 걸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악의적인 목적을 가진 자가 중간 매개 장치로 출력되는 신호가 아닌, 다른 경로를 통해 물리적인 리모컨 키를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면, 차량의 도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식으로 구현되는 키 제어 방식에 있어서 허용되지 않은 방법으로 물리적인 리모컨 키를 동작시켜 차량을 탈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 기기와 물리적인 리모컨 키 사이에서 제어 요청을 전달하는 중간 매개 장치가 사용되는 키 제어 방법에 있어서, 허용되지 않은 방법으로 물리적인 리모컨 키를 동작시켜 차량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키 제어 방법 및 키 제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 제어 방법은, 리모컨 회로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리모컨 제어 장치가 사용자 기기로부터 차량 제어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리모컨 제어 장치와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리모컨 제어 장치로부터 전원 인가 신호 및 활성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리모컨 회로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에 성공하고, 상기 활성화 신호가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전원 인가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리모컨 회로에 정상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에 성공하고, 상기 활성화 신호가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전원 인가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리모컨 회로에 전압을 인가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에 성공하고, 상기 활성화 신호가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리모컨 회로에 전압을 인가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에 실패한 경우, 상기 전원 인가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리모컨 회로에 파손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손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는, 스텝 업 회로를 통해, 상기 전원 인가 신호를 상기 리모컨 회로를 파손할 수 있는 미리 결정된 전압까지 승압하는 단계; 및 상기 승압된 전압을 상기 파손 전압으로서 상기 리모컨 회로에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에 실패한 경우는, 상기 리모컨 제어 장치와의 인증 시도가 없는 경우 또는 상기 리모컨 제어 장치와의 인증 시도는 있었으나 인증에 실패한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손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리모컨 회로에 상기 파손 전압을 인가하기 전에, 상기 리모컨 제어 장치와 2차 인증을 시도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인증에 실패한 경우, 상기 리모컨 회로에 상기 파손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손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2차 인증에 성공하고, 상기 활성화 신호가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리모컨 회로에 정상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손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2차 인증에 성공하고, 상기 활성화 신호가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리모컨 회로에 전압을 인가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 제어 장치는, 턴 온되어 스텝 업 회로를 통해 승압된 전압을 출력하는 제1 트랜지스터; 턴 온되어 리모컨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전원 인가 신호를 출력하는 제2 트랜지스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리모컨 제어 장치가 사용자 기기로부터 차량 제어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리모컨 제어 장치와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리모컨 제어 장치로부터 전원 인가 신호 및 활성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트랜지스터를 제어하여, 리모컨 회로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증에 성공하고, 상기 활성화 신호가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전원 인가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2 트랜지스터를 턴 온시켜 상기 리모컨 회로에 정상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증에 성공하고, 상기 활성화 신호가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전원 인가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리모컨 회로에 전압을 인가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증에 성공하고, 상기 활성화 신호가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리모컨 회로에 전압을 인가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증에 실패한 경우, 상기 전원 인가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트랜지스터를 턴 온시켜 상기 리모컨 회로에 파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파손 전압은, 상기 스텝 업 회로를 통해, 상기 전원 인가 신호를 상기 리모컨 회로를 파손할 수 있는 미리 결정된 전압까지 승압된 전압일 수 있다.
상기 인증에 실패한 경우는, 상기 리모컨 제어 장치와의 인증 시도가 없는 경우 또는 상기 리모컨 제어 장치와의 인증 시도는 있었으나 인증에 실패한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리모컨 회로에 상기 파손 전압을 인가하기 전에, 상기 리모컨 제어 장치와 2차 인증을 시도하고, 상기 2차 인증에 실패한 경우, 상기 제1 트랜지스터를 턴 온시켜 상기 리모컨 회로에 상기 파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2차 인증에 성공하고, 상기 활성화 신호가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트랜지스터를 턴 온시켜 상기 리모컨 회로에 정상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2차 인증에 성공하고, 상기 활성화 신호가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리모컨 회로에 전압을 인가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용자 기기와 물리적인 리모컨 키 사이에서 제어 요청을 전달하는 중간 매개 장치가 사용되는 키 제어 방법에 있어서, 허용되지 않은 방법으로 물리적인 리모컨 키를 동작시켜 차량 탈취를 시도하는 것을 탐지하고, 차량 탈취 시도로 판단된 경우 리모컨 키를 파손시키는 방법으로 차량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 제어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 제어 방법, 키 제어 장치 및 사용자 기기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따른 키 제어 방법, 키 제어 장치 및 사용자 기기 중 적어도 일부는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고,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키(key)"라는 용어는 차량용 리모컨을 의미할 수도 있으나, 그 외 다양한 전자 기기들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리모컨들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때로는 용어 "키"는 용어 "리모컨"과 혼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 제어 시스템(1)은 키 제어 장치(10), 키 제어 장치(10)에 의해 제어되는 다른 장치(20) 및 키 제어 장치(10)를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기기(30, 32)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른 장치(20)가 차량인 경우를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가 키 제어 장치(10)를 이용하여 다른 장치(20), 즉 차량을 제어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아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다양한 구성 및 특징들은 리모컨 조작을 통해 동작이 가능한 임의의 전자 기기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키 제어 장치(10)는 물리적인 리모컨에 대응하는 리모컨 회로(14)를 이용하여 다른 장치(20)를 제어하게 되는데, 이 때 리모컨 회로(14)는 차량에 대한 리모컨 회로일 수 있지만, 임의의 전자 기기에 대한 리모컨 회로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전자 기기의 예로서, 에어컨, 선풍기, 청소기, 냉장고 등 리모컨으로 제어 가능한 다양한 가전 제품을 들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기기(30, 32)는 사용자로 하여금 키 제어 장치(10)를 이용하여 다른 장치(20)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다. 사용자 기기(30, 32)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및 프로세서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 또는 웨어러블 기기로 구현될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은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기기(30, 32)는 임의의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기기(30, 32)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기기(30, 32)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터치 패널 상에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터치 입력 또는 제스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기기(30, 32)는 네트워크(40)를 통해 제어 요청을 키 제어 장치(1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네트워크(40)는 Wi-Fi 네트워크, 3G, 4G, 5G를 비롯한 이동 통신 네트워크, 블루투스 네트워크 등을 비롯한 무선 네트워크, LAN(Local Area Network)을 비롯한 무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와 유선 네트워크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네트워크(40)는 키 제어 장치(10)와 사용자 기기(30, 32)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임의의 형태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키 제어 장치(10)는 사용자 기기(30, 32)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요청에 따라 다른 장치(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키 제어 장치(10)는 리모컨 제어 장치(12), 리모컨 회로(14) 및 전원 제어 유닛(16)을 포함할 수 있다.
리모컨 제어 장치(12)는 사용자 기기(30, 32)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요청에 따라 리모컨 회로(14)를 제어할 수 있으며, 전원 제어 유닛(16)은 리모컨 회로(14)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을 리모컨 회로(14)에 인가할 수 있다. 리모컨 제어 장치(12), 리모컨 회로(14) 및 전원 제어 유닛(16)은 하나의 케이스로 패키지화되어 키 제어 장치(10)로서 다른 장치(2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리모컨 제어 장치(12), 리모컨 회로(14) 및 전원 제어 유닛(16)은 배선 작업이 끝나면 고강도의 절연체에 매몰되도록 구현하여, 악의적인 목적을 가진 자에 의한 파손을 어렵게 할 수 있다.
이하,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키 제어 장치(1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키 제어 장치(10)는 리모컨 제어 장치(12), 리모컨 회로(14) 및 전원 제어 유닛(1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 제어 유닛(16)은 PCU(Power Control Unit)로 지칭될 수도 있다.
먼저 리모컨 회로(14)부터 설명하면, 리모컨 회로(14)는 차량 또는 임의의 전자 기기에 대응하도록 제조된 물리적인 리모컨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모컨 회로(140)는 물리적인 리모컨 내부에 탑재된 PCB(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PCB는 전원 회로(142), 버튼 회로(144) 및 기타 회로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 회로(142) 및 버튼 회로(144)는 차량 또는 전자 기기의 제조사와 무관하게 일반적으로 PCB에 포함되는 구성들이나, 리모컨 회로(14)의 구체적인 제어 또는 동작 방식이나, 탑재한 버튼의 개수 등 세부 사양은 차량 또는 전자 기기의 제조사별로 상이할 수 있다.
전원 회로(142)는 리모컨 회로(14)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회로로서, 전원 회로(142)는 전원 제어 유닛(16)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원 회로(142)는 플러스 단자 및 마이너스 단자를 비롯한 복수의 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버튼 회로(144)는 리모컨 회로(14)를 조작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버튼이 배치된 회로를 의미할 수 있다. 리모컨 회로(14)가 그 자체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버튼 회로(144)에 배치된 버튼을 사용자가 직접 누름으로써 다른 장치(20)를 제어할 수 있지만, 이와 다르게 버튼 회로(14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리모컨 제어 장치(12)로부터 구동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하나 이상의 버튼을 누른 효과를 발생시킴으로써 다른 장치(2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버튼 회로(144)는 리모컨 제어 장치(12)로부터 구동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복수의 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리모컨 회로(14)는 다른 장치(20)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모컨 회로(14)는 통신 모듈을 통해 미리 결정된 값 또는 범위의 주파수를 갖는 RF 신호(Radio Frequency)를 이용하여 다른 장치(20)에게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리모컨 회로(14)는 다른 종류의 신호를 이용하여 다른 장치(20)를 제어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앞서 도 1과 관련하여, 리모컨 제어 장치(12), 리모컨 회로(14) 및 전원 제어 유닛(16)은 하나의 케이스로 패키지화되어 키 제어 장치(10)로서 다른 장치(2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될 수 있음을 설명하였는데, 이러한 경우, 키 제어 장치(10)는 예를 들어 RF 신호로 통신이 가능한 거리 내에서 다른 장치(2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리모컨 제어 장치(12)는 사용자 기기(30, 32)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요청에 따라 리모컨 회로(14)에 버튼 구동 신호(BS0 내지 BS3)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리모컨 제어 장치(12)는 프로세서(120), 전원 제공 모듈(122), 버튼 제어 모듈(124), 통신 모듈(126) 및 인증 모듈(128)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리모컨 제어 장치(12)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사용자 기기(30, 32)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요청에 따라 리모컨 회로(14)에 버튼 구동 신호(BS0 내지 BS3)를 출력하는 구체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원 제공 모듈(122)은 전원 제어 유닛(16)에 전원 인가 신호(P) 및 활성화 신호(EN)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제공 모듈(122)은 전원 제어 유닛(16)에 구비된 단자를 통해 전원 인가 신호(P) 및 활성화 신호(EN)를 전원 제어 유닛(16)에 제공할 수 있다. 전원 제어 유닛(16)은 후술할 동작 방식에 따라 전원 전압(PS0, PS1)을 리모컨 회로(14)에 제공할 수 있다.
버튼 제어 모듈(124)은 리모컨 회로(14)에 버튼 구동 신호(BS0, BS1, BS2, BS3)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버튼 구동 신호(BS0 내지 BS3)는 리모컨 회로(14)의 하나 이상의 버튼을 온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버튼 온 신호를 의미할 수 있고, 리모컨 회로(14)의 하나 이상의 버튼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버튼 오프 신호를 의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버튼 구동 신호(BS0)는 버튼 회로(144) 상에 구현된 제1 버튼을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제1 버튼 온 신호 또는 제1 버튼 오프 신호를 의미할 수 있고, 제2 버튼 구동 신호(BS1)는 버튼 회로(144) 상에 구현된 제2 버튼을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제2 버튼 온 신호 또는 제2 버튼 오프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버튼 구동 신호(BS2)는 버튼 회로(144) 상에 구현된 제3 버튼을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제3 버튼 온 신호 또는 제3 버튼 오프 신호를 의미할 수 있고, 제4 버튼 구동 신호(BS3)는 버튼 회로(144) 상에 구현된 제4 버튼을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제4 버튼 온 신호 또는 제4 버튼 오프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도 2a에서는 리모컨 제어 장치(12)가 4 개의 버튼을 제어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4 가지의 제2 버튼 구동 신호만을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리모컨 제어 장치(12)는 통신 모듈(126)을 통해 사용자 기기(30, 32)로부터 제어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리모컨 제어 장치(12)는 Wi-Fi 네트워크, 3G, 4G, 5G를 비롯한 이동 통신 네트워크, 블루투스 네트워크 등을 비롯한 무선 네트워크, LAN을 비롯한 무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와 유선 네트워크의 조합을 액세스하도록 구현된 통신 모듈(126)을 통해 사용자 기기(30, 32)로부터 제어 요청을 수신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인증 모듈(128)은 리모컨 제어 장치(12)와 전원 제어 유닛(16) 사이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전원 제어 유닛(16)은 후술할 동작 방식에 따라, 리모컨 제어 장치(12)와 전원 제어 유닛(16) 사이의 인증에 성공한 경우에, 전원 전압(PS0, PS1)을 리모컨 회로(14)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리모컨 제어 장치(12)는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예를 들어, 키 제어 장치(10)가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 리모컨 제어 장치(12)는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고, 키 제어 장치(10)가 에어컨 외부에 설치되는 경우, 리모컨 제어 장치(12)는 에어컨으로부터 또는 에어컨에 인접하도록 배치된 전원 공급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1 및 도 2a를 참조하여 설명된 내용에 따르면, 일 시나리오에서, 사용자 기기(30, 32)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기기(30, 32)의 터치 패널 상에 차량의 원격 시동 버튼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원격 시동 버튼 이미지를 클릭 또는 터치하면, 애플리케이션은 클릭 이벤트 또는 터치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클릭 이벤트 또는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검출한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차량을 제어하고자 하는 제어 요청을 키 제어 장치(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리모컨 제어 장치(12)는 해당 제어 요청에 따라 리모컨 회로(14)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리모컨 회로(14)는 차량에 대한 원격 시동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도 2b를 참조하면, 전원 제어 유닛(16)은 특히 리모컨 제어 장치(12) 내부에 탑재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제어 유닛(16)은 리모컨 제어 장치(12)와 동일한 회로 기판 상에 구현되거나, 전원 제어 유닛(16)의 회로 기판과 리모컨 제어 장치(12)의 회로 기판들이 하나의 모듈로 패키지화되도록 구현되거나, 명시하지 않은 다양한 방식으로 전원 제어 유닛(16)은 리모컨 제어 장치(12) 내부에 탑재되거나, 심지어 전원 제어 유닛(16) 및 리모컨 제어 장치(12)의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하나의 단일 회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 대한 모든 설명은 도 1 및 도 2a와 관련하여 전술한 설명이 그대로 적용되므로, 여기서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 제어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 제어 유닛(16)은, 프로세서(160), 스텝 업 회로(162), 제1 트랜지스터(166) 및 제2 트랜지스터(168)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텝 업 회로(162)는 전원 인가 신호(P)를 미리 결정된 전압까지 승압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 인가 신호(P)는 리모컨 회로(14)를 구동할 수 있는 정상 전압으로, 예를 들어, 3.3 V의 전압일 수 있으며, 미리 결정된 전압은 리모컨 회로(14)를 파손할 수 있는 정도의 전압으로, 예를 들어, 24 V의 전압일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구체적인 전압 값들은 구현 목적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166)는 프로세서(160)의 제어에 따라 턴 온되어, 스텝 업 회로(162)를 통해 승압된 전압을 리모컨 회로(14)에 출력할 수 있다.
제2 트랜지스터(168)는 프로세서(160)의 제어에 따라 턴 온되어, 리모컨 제어 장치(12)로부터 수신되는 전원 인가 신호(P)를 전압을 리모컨 회로(14)에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리모컨 제어 장치(12)가 사용자 기기(30)로부터 차량 제어 요청을 수신한 경우, 단자(TX, RX)를 통해 리모컨 제어 장치(12)와 인증을 수행하고, 리모컨 제어 장치(12)로부터 전원 인가 신호(P) 및 활성화 신호(EN)를 수신하고, 제1 트랜지스터(166) 및 제2 트랜지스터(168)를 제어하여, 리모컨 회로(14)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60)는, 인증에 성공하고, 활성화 신호(EN)가 제1 상태인 경우, 전원 인가 신호(P)가 수신되면, 제2 트랜지스터(168)를 턴 온시켜 리모컨 회로(14)에 정상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상태는 논리 1 또는 참(true)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는, 리모컨 제어 장치(12)에서 수신되는 활성화 신호(EN)가 온(ON) 상태이면서, 리모컨 제어 장치(12)에서 전원 제어 유닛(16)으로 전원 인가 신호(P)도 수신되는, 키 제어 장치(10)가 정상 동작하는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60)는, 인증에 성공하고, 활성화 신호(EN)가 제1 상태인 경우, 전원 인가 신호(P)가 수신되지 않으면 리모컨 회로(14)에 전압을 인가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는, 리모컨 제어 장치(12)에서 수신되는 활성화 신호(EN)가 온(ON) 상태이지만, 리모컨 제어 장치(12)에서 전원 제어 유닛(16)으로 전원 인가 신호(P)가 수신되지 않았기 때문에, 전원 제어 유닛(16)이 리모컨 회로(14)에 전원을 인가할 수 없는 상태이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60)는, 인증에 성공하고, 활성화 신호(EN)가 제2 상태인 경우, 리모컨 회로(14)에 전압을 인가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제2 상태는 논리 0 또는 거짓(false)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전원 인가 신호(P)가 수신 여부에 관계 없이, 리모컨 제어 장치(12)에서 수신되는 활성화 신호(EN)가 오프(OFF) 상태인 경우에 해당하기 때문에, 전원 제어 유닛(16)이 리모컨 회로(14)에 전원을 인가할 수 없는 상태이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60)는, 인증에 실패한 경우, 전원 인가 신호(P)가 수신되면, 제1 트랜지스터(166)를 턴 온시켜 리모컨 회로(14)에 파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여기서, 파손 전압은, 스텝 업 회로(162)를 통해, 전원 인가 신호(P)를 리모컨 회로(14)를 파손할 수 있는 미리 결정된 전압까지 승압한 전압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에 실패한 경우는, 리모컨 제어 장치(12)와의 인증 시도가 없는 경우 또는 리모컨 제어 장치(12)와의 인증 시도는 있었으나 인증에 실패한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리모컨 제어 장치(12)와의 인증 시도가 없는 경우에, 전원 인가 신호(P)가 수신되었다는 것은, 악의적인 목적을 가진 자가 리모컨 제어 장치(12)와 리모컨 회로(14) 사이의 배선을 제거하고, 허용되지 않은 방법으로 소정의 신호를 리모컨 회로(14)에 인가하여 물리적인 리모컨 키를 동작시켜 차량 탈취를 시도하는 상황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60)는, 리모컨 회로(14)에 파손 전압을 인가하기 전에, 리모컨 제어 장치(12)와 2차 인증을 시도할 수 있다. 2차 인증에도 실패한 경우, 프로세서(160)는 제1 트랜지스터(166)를 턴 온시켜 리모컨 회로(14)에 파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리모컨 회로(14)를 파손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허용되지 않은 방법으로 물리적인 리모컨 키를 동작시키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만일, 리모컨 회로(14)에 파손 전압을 인가하기 전에, 리모컨 제어 장치(12)와 2차 인증을 시도하였는데, 2차 인증에 성공하고, 활성화 신호(EN)가 제1 상태인 경우라면, 프로세서(160)는, 제2 트랜지스터(168)를 턴 온시켜 리모컨 회로(14)에 정상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리모컨 회로(14)에 파손 전압을 인가하기 전에, 리모컨 제어 장치(12)와 2차 인증을 시도하였는데, 2차 인증에 성공하고, 활성화 신호(EN)가 제2 상태인 경우라면, 프로세서(160)는, 리모컨 회로(14)에 전압을 인가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기기와 물리적인 리모컨 키 사이에서 제어 요청을 전달하는 중간 매개 장치가 사용되는 키 제어 방법에 있어서, 허용되지 않은 방법으로 물리적인 리모컨 키를 동작시켜 차량 탈취를 시도하는 것을 탐지하고, 차량 탈취 시도로 판단된 경우 리모컨 키를 파손시키는 방법으로 차량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키 제어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 제어 방법은, 리모컨 회로(14)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리모컨 제어 장치(12)가 사용자 기기(30)로부터 차량 제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401), 전원 제어 유닛(16)이 리모컨 제어 장치(12)와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S403), 전원 제어 유닛(16)이 리모컨 제어 장치(12)로부터 전원 인가 신호(P) 및 활성화 신호(EN)를 수신하는 단계(S405) 및 전원 제어 유닛(16)이 리모컨 회로(14)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S407)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단계(S403)에서 인증에 성공하고, 단계(S405)에서 리모컨 제어 장치(12)에서 수신되는 활성화 신호(EN)가 온(ON) 상태이면서, 리모컨 제어 장치(12)에서 전원 제어 유닛(16)으로 전원 인가 신호(P)도 수신되는, 키 제어 장치(10)가 정상 동작하는 경우에 해당하므로, 단계(S407)에서 전원 제어 유닛(16)은 리모컨 회로(14)에 정상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 제어 방법은, 리모컨 회로(14)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리모컨 제어 장치(12)가 사용자 기기(30)로부터 차량 제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501), 전원 제어 유닛(16)이 리모컨 제어 장치(12)와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에 성공하는 단계(S503), 전원 제어 유닛(16)이 리모컨 제어 장치(12)로부터 온(ON) 상태의 활성화 신호(EN)를 수신하는 단계(S505)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 전원 제어 유닛(16)은 전원 인가 신호(P)를 수신하지 않았기 때문에 리모컨 회로(14)에 전압을 인가하지 않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 제어 방법은, 리모컨 회로(14)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리모컨 제어 장치(12)가 사용자 기기(30)로부터 차량 제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601), 전원 제어 유닛(16)이 리모컨 제어 장치(12)와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에 성공하는 단계(S603), 전원 제어 유닛(16)이 리모컨 제어 장치(12)로부터 오프(OFF) 상태의 활성화 신호(EN)를 수신하는 단계(S605)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 전원 제어 유닛(16)은 온(ON) 상태의 활성화 신호(EN)를 수신하지 않았기 때문에 리모컨 회로(14)에 전압을 인가하지 않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 제어 방법은, 전원 제어 유닛(16)과 리모컨 제어 장치(12)와의 인증 시도가 없었고, 전원 제어 유닛(16)이 전원 인가 신호를 수신한 경우, 즉, 악의적인 목적을 가진 자가 리모컨 제어 장치(12)와 리모컨 회로(14) 사이의 배선을 제거하고, 허용되지 않은 방법으로 소정의 신호를 리모컨 회로(14)에 인가하여 물리적인 리모컨 키를 동작시켜 차량 탈취를 시도하는 상황에서, 전원 제어 유닛(16)과 리모컨 제어 장치(12)와 2차 인증을 1회 이상 수행해보고, 2차 인증에도 실패한 경우로서, 전원 제어 유닛(16)은 리모컨 회로(14)에 파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리모컨 회로(14)를 파손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허용되지 않은 방법으로 물리적인 리모컨 키를 동작시키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 제어 방법은, 리모컨 회로(14)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리모컨 제어 장치(12)가 사용자 기기(30)로부터 차량 제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801), 전원 제어 유닛(16)이 리모컨 제어 장치(12)와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에 실패하는 단계(S803), 전원 제어 유닛(16)이 리모컨 제어 장치(12)로부터 전원 인가 신호(P)를 수신하는 단계(S80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역시 차량 탈취의 위험이 있는 비정상적인 상황으로 판단하여, 전원 제어 유닛(16)과 리모컨 제어 장치(12)와 2차 인증을 1회 이상 수행해보고, 2차 인증에도 실패한 경우로서, 전원 제어 유닛(16)은 리모컨 회로(14)에 파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리모컨 회로(14)를 파손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허용되지 않은 방법으로 물리적인 리모컨 키를 동작시키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 제어 방법, 키 제어 장치 및 사용자 기기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 제어 방법, 키 제어 장치 및 사용자 기기는 컴퓨팅 장치(500)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500)는 버스(520)를 통해 통신하는 프로세서(510), 메모리(53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54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550) 및 저장 장치(56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500)는 또한 네트워크(40), 예컨대 무선 네트워크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7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70)는 네트워크(40)를 통해 다른 개체와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MCU(Micro Controller Unit), AP(Application Processor),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메모리(530) 또는 저장 장치(560)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 임의의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도 1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기능 및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530) 및 저장 장치(560)는 다양한 형태의 휘발성 또는 비 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ROM(read-only memory)(531) 및 RAM(random access memory)(53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메모리(530)는 프로세서(5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고, 메모리(530)는 이미 알려진 다양한 수단을 통해 프로세서(51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키 제어 방법, 키 제어 장치 및 사용자 기기 중 적어도 일부는 컴퓨팅 장치(500)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고,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키 제어 방법, 키 제어 장치 및 사용자 기기 중 적어도 일부는 컴퓨팅 장치(5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제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용자 기기와 물리적인 리모컨 키 사이에서 제어 요청을 전달하는 중간 매개 장치가 사용되는 키 제어 방법에 있어서, 허용되지 않은 방법으로 물리적인 리모컨 키를 동작시켜 차량 탈취를 시도하는 것을 탐지하고, 차량 탈취 시도로 판단된 경우 리모컨 키를 파손시키는 방법으로 차량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턴 온되어 스텝 업 회로를 통해 승압된 전압을 출력하는 제1 트랜지스터;
    턴 온되어 리모컨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전원 인가 신호를 출력하는 제2 트랜지스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리모컨 제어 장치가 사용자 기기로부터 차량 제어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리모컨 제어 장치와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리모컨 제어 장치로부터 전원 인가 신호 및 활성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트랜지스터를 제어하여, 리모컨 회로에 전원을 인가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증에 실패한 경우, 상기 전원 인가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트랜지스터를 턴 온시켜 상기 리모컨 회로에 파손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리모컨 회로에 상기 파손 전압을 인가하기 전에, 상기 리모컨 제어 장치와 2차 인증을 시도하고,
    상기 2차 인증에 실패한 경우, 상기 제1 트랜지스터를 턴 온시켜 상기 리모컨 회로에 상기 파손 전압을 인가하는,
    키 제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증에 성공하고, 상기 활성화 신호가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전원 인가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2 트랜지스터를 턴 온시켜 상기 리모컨 회로에 정상 전압을 인가하는, 키 제어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증에 성공하고, 상기 활성화 신호가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전원 인가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리모컨 회로에 전압을 인가하지 않는, 키 제어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증에 성공하고, 상기 활성화 신호가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리모컨 회로에 전압을 인가하지 않는, 키 제어 장치.
  15. 삭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파손 전압은,
    상기 스텝 업 회로를 통해, 상기 전원 인가 신호를 상기 리모컨 회로를 파손할 수 있는 미리 결정된 전압까지 승압된 전압인, 키 제어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에 실패한 경우는, 상기 리모컨 제어 장치와의 인증 시도가 없는 경우 또는 상기 리모컨 제어 장치와의 인증 시도는 있었으나 인증에 실패한 경우를 포함하는, 키 제어 장치.
  18. 삭제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2차 인증에 성공하고, 상기 활성화 신호가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트랜지스터를 턴 온시켜 상기 리모컨 회로에 정상 전압을 인가하는, 키 제어 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2차 인증에 성공하고, 상기 활성화 신호가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리모컨 회로에 전압을 인가하지 않는, 키 제어 장치.
KR1020200181095A 2020-12-22 2020-12-22 키 제어 방법 및 키 제어 장치 KR102322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095A KR102322061B1 (ko) 2020-12-22 2020-12-22 키 제어 방법 및 키 제어 장치
US18/268,659 US20240051500A1 (en) 2020-12-22 2021-01-11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key
PCT/KR2021/000296 WO2022139056A1 (ko) 2020-12-22 2021-01-11 키 제어 방법 및 키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095A KR102322061B1 (ko) 2020-12-22 2020-12-22 키 제어 방법 및 키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2061B1 true KR102322061B1 (ko) 2021-11-04

Family

ID=78521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1095A KR102322061B1 (ko) 2020-12-22 2020-12-22 키 제어 방법 및 키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051500A1 (ko)
KR (1) KR102322061B1 (ko)
WO (1) WO2022139056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0635A (ko) * 2010-04-29 2011-11-04 주식회사 자스텍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의 전원 관리 장치 및 방법
WO2013160961A1 (ja) * 2012-04-27 2013-10-31 三菱電機株式会社 盗難検出通報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載情報装置
US20200290564A1 (en) * 2017-10-04 2020-09-17 Huf Huelsbeck & Fuerst Gmbh & Co. Kg Access controller for vehicles, comprising a security device
KR20200133918A (ko) * 2019-05-21 2020-12-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전원 관리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58704B2 (en) * 2012-09-04 2015-06-16 Craig Alexander Colburn Electronic vehicle key
US8841987B1 (en) * 2013-11-22 2014-09-23 Local Motion, Inc. Upgrade kit for an ignition key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0635A (ko) * 2010-04-29 2011-11-04 주식회사 자스텍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의 전원 관리 장치 및 방법
WO2013160961A1 (ja) * 2012-04-27 2013-10-31 三菱電機株式会社 盗難検出通報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載情報装置
US20200290564A1 (en) * 2017-10-04 2020-09-17 Huf Huelsbeck & Fuerst Gmbh & Co. Kg Access controller for vehicles, comprising a security device
KR20200133918A (ko) * 2019-05-21 2020-12-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전원 관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51500A1 (en) 2024-02-15
WO2022139056A1 (ko) 2022-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16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electronic device
CN104163158B (zh) 车辆远程控制方法及其系统以及能实现远程控制的车辆
US20170129425A1 (en) Remote control of a motor vehicle during a parked phase
CN109624919B (zh) 车辆防盗系统配置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以及终端
JP2012192754A (ja) 車載機器制御装置
US10249117B2 (en) Vehicular electronic key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key
WO2022078193A1 (zh) 车辆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9509822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selectively applying security in mobile device
US20170249003A1 (en) Portable terminal
JP2018204311A (ja) 車両用制御システム
KR20190081118A (ko)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140117779A1 (en)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hecking reset function
KR102322061B1 (ko) 키 제어 방법 및 키 제어 장치
US1193418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afety-enabled control
JP2019090229A (ja) バレットキー及びバレットキー制御方法
US20200327752A1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US10070451B2 (en)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RU2690761C1 (ru) Ключевое устройство
CN111107516A (zh) 车辆设防方法、系统及存储介质
CN112612593A (zh) 蓝牙控制方法、装置、终端设备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16013155A1 (ja) 車両用装置及び状態遷移プログラム製品
US20160274920A1 (en) Method and device for integrated usability control
JP7496722B2 (ja) 通信制御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車両、並びに通信制御方法
US20230365102A1 (en) Electronic key system
US2023006118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equipped vehicl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recorded with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