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1979B1 - Water pipe monitoring system operation method - Google Patents

Water pipe monitoring system operation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1979B1
KR102321979B1 KR1020200150693A KR20200150693A KR102321979B1 KR 102321979 B1 KR102321979 B1 KR 102321979B1 KR 1020200150693 A KR1020200150693 A KR 1020200150693A KR 20200150693 A KR20200150693 A KR 20200150693A KR 102321979 B1 KR102321979 B1 KR 102321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
local terminal
data
terminal box
collection peri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06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재기
장훈기
어필선
전홍구
Original Assignee
한빛이디에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빛이디에스(주) filed Critical 한빛이디에스(주)
Priority to KR1020200150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197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1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19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operating a water supply pipe monitoring system.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operating a water pipe monitoring system with improved reliability in terms of a system operation. A method of operating a water supply pip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collecting, by a data collection unit, sensing value data and SoC data from all local terminal boxes installed in a jurisdictional section at a data collection cycle for each diagnostic point; and setting a data collection period for each local terminal box within the jurisdictional section on the basis of the collected sensing value data and SoC data by the collection period set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basis of collected sensing value data and SoC data, the data collection period for each local terminal box within the jurisdictional section is varied. Thus, a water supply pipeline monitoring system can be operated while maintaining a balance between system power supply st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monitoring system.

Description

상수관로 모니터링 시스템 운영 방법{Water pipe monitoring system operation method}Water pipe monitoring system operation method

본 발명은 상수관로의 누수 여부 및 누수 위치를 감시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의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operating a monitoring system for monitoring whether a water pipe is leaking or not and the location of the leak.

현재 국내 상수관로는 대부분 지하에 매설되어 있으나, 노후화된 관로가 상당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또한 유지관리 미흡으로 관로의 노후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용수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간 누수량은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것은 수자원의 큰 손실이며, 압력손실로 인한 추가적인 가압 설비가 필요할 수 있고 또한 누수가 발생한 관로 주변의 토질 약화 등을 초래하여 관로망의 유지관리를 더욱 어렵게 할 수 있다.Currently, most of the domestic water supply pipelines are buried underground, but aging pipelines account for a significant portion, and the deterioration of pipelines is accelerating due to insufficient maintenance.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annual amount of leakag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water supply will be significant. This is a big loss of water resources, and additional pressurization equipment may be required due to pressure loss, and it may also cause weakening of the soil around the leaked pipeline, making it more difficult to maintain the pipeline network.

누수가 발생하는 원인은 부식에 의한 강도 저하, 관로 연결 부위의 재질 및 구조의 부적절, 설계 및 시공기술, 수압이나 수질로 인한 내부 부식의 내부요인과 매설된 관로의 주변환경이나 도로공사, 건설, 지진 등에 의한 손상을 포함하는 외부요인 등 다양하다. 이러한 다양한 원인에 의한 누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지 대책과 함께 실제 누수가 발생했을 경우, 이를 조기에 탐지하여, 평가하고 후속 대책을 세울 필요가 있다. The causes of leaks are the decrease in strength due to corrosion, inappropriate material and structure of the pipe connection part, design and construction technology, internal factors of internal corrosion due to water pressure or water quality,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buried pipe, road construction, construction, There are various factors such as external factors including damage caused by earthquakes and the like. In order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leaks due to these various causes, it is necessary to detect, evaluate, and take follow-up measures when an actual leak occurs along with various preventive measures.

기존의 누수위치 탐지는 휴대용 장비를 이용하여 누수가 예상되는 위치를 직접 순회하며 탐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이는 매우 비효율적인 방식으로,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식으로, 관로 상에 다수의 센서를 설치하여 누수가 발생한 지점의 양 센서를 기준으로 탄성파를 측정하여 탐지하는 방식과 같이 센서 네트워크를 활용해 실시간 관로를 모니터링하는 기술이 제시되었다. Existing leak location detection was performed by directly traversing the location where the leak is expected using portable equipment and detecting it. This is a very inefficient method, and as a way to compensate for this, real-time pipelines are monitored using a sensor network, such as installing multiple sensors on the pipeline and measuring and detecting seismic waves based on both sensors at the point where the leak occurred. A monitoring technique was presented.

다만, 센서 네트워크를 활용해 실시간 관로를 모니터링하는 방식은 광역에 걸쳐 시스템이 구축되는 관계로 시스템 운영 면에서 상당한 신뢰성이 요구된다. However, the method of monitoring real-time pipelines using a sensor network requires considerable reliability in terms of system operation because the system is built over a wide area.

1. 등록특허공보 제10-1696675호 (등록일자 2017.01.10.)1.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696675 (Registration Date 2017.01.10.) 2. 등록특허공보 제10-1791953호 (공개일자 2017.10.25.)2.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791953 (published on October 25, 2017)

본 발명은 시스템 운영 면에서 신뢰성이 향상된 상수관로 모니터링 시스템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operating a water supply pipe monitoring system with improved reliability in terms of system opera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로 모니터링 시스템 운영 방법은 데이터 수집부가 관할 구간에 설치된 모든 로컬 단자함으로부터 진단 지점 별 데이터 수집 주기로 센싱값 데이터 및 SoC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및 수집 주기 설정부가 상기 수집된 센싱값 데이터 및 SoC 데이터에 기반하여, 관할 구간 내의 로컬 단자함 별 데이터 수집 주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method of operating a water supply pip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ollecting, by a data collection unit, sensing value data and SoC data at a data collection cycle for each diagnostic point from all local terminal boxes installed in a jurisdiction; and setting, by a collection period setting unit, a data collection period for each local terminal box within a jurisdiction based on the collected sensing value data and SoC data.

여기서,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상기 관할 구간 전체에서 진단 지점 별 데이터 수집 주기로 제 1 그룹 로컬 단자함과 제 2 그룹 로컬 단자함에 교번하여 센싱값 데이터 및 SoC 데이터를 요청하고 수집할 수 있다. Here, the data collection unit may request and collect the sensing value data and the SoC data by alternating the first group local terminal box and the second group local terminal box at a data collection period for each diagnosis point in the entire jurisdiction.

그리고, 상기 수집 주기 설정부는 SoC가 레벨 1 이하인 로컬 단자함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SoC가 레벨 1 이하인 로컬 단자함이 존재하면, 상기 수집 주기 설정부는 SoC가 레벨 1 이하인 로컬 단자함이 서로 이웃하는 구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서로 이웃하는 구간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수집 주기 설정부는 단독으로 SoC가 레벨 1인 로컬 단자함에 슬립모드 전환 요청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llection period setting unit determines whether a local terminal box having an SoC of level 1 or less exists, and if there is a local terminal box having an SoC level 1 or less, the collection period setting unit is a section in which local terminal boxes having an SoC level 1 or less are adjacent to each other is determined,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adjacent section, the collection period setting unit may independently request a sleep mode changeover to the local terminal box having the SoC level 1 .

또한, 상기 수집 주기 설정부는 상기 단독으로 SoC가 레벨 1인 로컬 단자함으로부터 제 1 SoC 회복 메시지가 도착할 때까지 단독으로 SoC가 레벨 1인 로컬 단자함에 대한 데이터 수집을 중단할 수 있다. Also, the collection period setting unit may stop data collection for the local junction box having the SoC level 1 alone until a first SoC recovery message arrives from the local junction box having the SoC level 1 alone.

또한, 서로 이웃하는 구간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수집 주기 설정부는 서로 이웃하여 SoC가 레벨 1 이하인 로컬 단자함에 한해 데이터 수집 주기를 제 2 주기로 변경하여 설정하고, 상기 진단 지점 별 데이터 수집 주기의 초기값은 제 1 주기이고, 상기 제 2 주기는 상기 제 1 주기 보다 길 수 있다. In addi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are adjacent sections, the collection period setting unit sets the data collection period by changing the data collection period to the second period only for local terminal boxes with SoC level 1 or less adjacent to each other, and sets the data collection period for each diagnosis point. The initial value may be a first period, and the second period may be longer than the first period.

본 발명은 수집된 센싱값 데이터 및 SoC 데이터에 기반하여, 관할 구간 내의 로컬 단자함 별 데이터 수집 주기를 가변하는 것에 의해, 시스템 전원 공급 안정성과 모니터링 시스템의 신뢰성 간의 밸런스가 유지되면서 상수관로 모니터링 시스템이 운영되게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upply pipe monitoring system is operated while maintaining the balance between the system power supply stability and the reliability of the monitoring system by varying the data collection period for each local terminal box within the jurisdiction based on the collected sensing value data and SoC data. can make i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로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로컬 단자함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중앙 장치의 기능블록도이다.
도 4a는 도 3의 수집 주기 설정부가 데이터 수집 주기를 설정하는 프로세스에 대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4b는 도 3의 수집 주기 설정부가 데이터 수집 주기를 설정하는 프로세스에 대한 플로우차트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water supply pip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local terminal box of Fig. 1;
Fig. 3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central device of Fig. 1;
4A is a flowchart of a process in which the collection period setting unit of FIG. 3 sets the data collection period.
FIG. 4B is a flowchart of a process in which the collection period setting unit of FIG. 3 sets the data collection period.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describing each figure,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이하, 도 1 내지 도 4b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상수관로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해 종래 주지된 사항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단히 한다. 도 1은 전국 상수관로 중 전체 또는 일부에 해당하는 관할 구간(1000)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일 수 있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B, a water supply pipe monito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ereinafter, in order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f previously known matters will be omitted or simplified. 1 may be a monitoring system for a jurisdiction section 1000 corresponding to all or a part of a nationwide water supply pipeline.

본 발명의 상수관로 모니터링 시스템은 복수의 센서(1-1, 1-2, 1-3, 1-4, 1-5, 1-6, 1-7,,,, 1-n, 이하 '1'로 통칭), 로컬 단자함(100-1, 100-2, 100-3, 100-4, 100-5, 100-6, 100-7,,,, 100-n, 이하 '100'으로 통칭), 게이트웨이(200-1, ..., 200-m, 이하, '200'으로 통칭), 중앙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Water pipe monito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urality of sensors (1-1, 1-2, 1-3, 1-4, 1-5, 1-6, 1-7,,,, 1-n, hereinafter '1' '), local terminal box (100-1, 100-2, 100-3, 100-4, 100-5, 100-6, 100-7,,,, 100-n, hereinafter referred to as '100') , gateways 200-1, ..., 200-m,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200'), and a central device 300 .

상수관로(2)는 복수의 진단 지점(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n, 이하, '10'으로 통칭)으로 구획될 수 있다. 복수의 진단 지점(10)은 예를 들어, 맨홀 지점 마다 지정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pipe 2 is a plurality of diagnostic points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n,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10'. ) can be delimited. A plurality of diagnostic points 10 may be designated for each manhole point, for example.

센서(1)는 진단 지점(10) 마다 설치될 수 있다. 센서(S)는 맨홀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센서(1)는 음향센서일 수 있다. 주지된 바와 같이, 상수관로 특정 지점에서 누수와 같은 이상이 발생한 경우 누수에 대응한 소리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이상이 발생한 지점의 양측에 위치한 센서가 각각 소리를 감지한 시간 및 음파 속도를 이용해, 이상 발생 지점을 특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상 발생 지점을 특정하는 구체적인 사항은 논외로 한다. 이하에서, ‘센싱값’이라 함은 센서(1)에 의해 수집된 음향세기에 대응한 신호일 수 있다. The sensor 1 may be installed at each diagnostic point 10 . The sensor (S) may be installed inside the manhole. The sensor 1 may be an acoustic sensor. As is well known, when an abnormality such as a water leak occurs at a specific point in the water supply pipe,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water leak may be generated. In this case, the abnormality occurrence point may be specified using the time and the sound wave velocity at which the sensor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abnormality point each sensed the sound. In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details for specifying an abnormality occurrence point are excluded from discussion. Hereinafter, the 'sensing value' may be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ound intensity collected by the sensor 1 .

로컬 단자함(100)은 진단 지점 마다 설치될 수 있다. The local terminal box 100 may be installed at each diagnosis point.

게이트웨이(200)는 단위 지역(G1, ..., Gk) 마다 설치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200)는 로컬 단자함(100)과 중앙 장치(300) 간의 통신 호환을 제공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200)는 로컬 단자함(100)과 무선통신규격에 따라 통신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200)는 중앙 장치(300)와 유선통신규격에 따라 통신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200)는 무선통신규격과 유선통신규격 간의 호환을 위한 통신프로토콜 변환 기능을 내장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200)는 단위지역에 설치된 로컬 단자함(100)과 중앙 장치(300) 간의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The gateway 200 may be installed for each unit area (G1, ..., Gk). The gateway 200 may provide communication compatibility between the local terminal box 100 and the central device 300 . The gateway 200 may communicate with the local terminal box 100 according to a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 The gateway 200 may communicate with the central device 300 according to a wired communication standard. The gateway 200 may have a built-in communication protocol conversion function for compatibility between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s and wired communication standards. The gateway 200 may provide communication between the local terminal box 100 installed in a unit area and the central device 300 .

중앙 장치(300)는 관할 구간(1000)에 대한 전반적인 모니터링 및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he central device 300 may perform overall monitoring and control operations for the jurisdictional section 1000 .

도 2를 참조하면, 로컬 단자함(100)은 센싱값 수집부(110), 배터리(120), 태양광 발전부(130), SoC 수집부(140), 데이터 전송부(150), 통신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local terminal box 100 includes a sensing value collection unit 110 , a battery 120 , a solar power generation unit 130 , an SoC collection unit 140 , a data transmission unit 150 , and a communication unit 160 . ) may be included.

중앙 장치(300)로부터 데이터 요청이 있으면, 센싱값 수집부(110)는 센서(1)로부터 센싱값을 수집할 수 있다. When there is a data request from the central device 300 , the sensed value collecting unit 110 may collect a sensed value from the sensor 1 .

배터리(120)는 태양광 발전부(130)가 생산한 전력을 저장할 수 있다. 배터리(120)는 저장된 전력을 로컬 단자함(100)의 전원으로 제공할 수 있다. The battery 120 may store the power generated by the photovoltaic unit 130 . The battery 120 may provide the stored power as a power source of the local terminal box 100 .

태양광 발전부(130)는 태양광 패널을 포함하며, 태양광으로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The photovoltaic unit 130 includes a photovoltaic panel, and may generate power using sunlight.

SoC 수집부(140)는 배터리(120)의 SoC(State of Charge)를 파악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부(150)는 중앙 장치(300)의 데이터 요청이 있으면, 센싱값 수집부(110)를 통해 수집한 센싱값 데이터 및 배터리(120)의 SoC 데이터를 중앙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The SoC collection unit 140 may determine the SoC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120 . When there is a data request from the central device 300 , the data transmission unit 150 may transmit the sensing value data collected through the sensing value collection unit 110 and SoC data of the battery 120 to the central device 300 . .

통신부(160)는 무선통신규격에 따라, 로컬 단자함(100)과 게이트웨이(200) 간의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로컬 단자함(110)의 구체적인 동작은 후술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160 may provide communication between the local terminal box 100 and the gateway 200 according to a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 A specific operation of the local terminal box 110 will be described later.

도 3을 참조하면, 중앙 장치(300)는 데이터 수집부(310), 수집 주기 설정부(320), 이상 구간 판정부(330) 및 통신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the central device 300 may include a data collection unit 310 , a collection period setting unit 320 , an abnormal section determining unit 330 , and a communication unit 340 .

데이터 수집부(310)는 관할 구간(1000)에 설치된 모든 로컬 단자함(100)으로부터 센싱값 데이터 및 및 SoC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The data collection unit 310 may collect sensing value data and SoC data from all local terminal boxes 100 installed in the jurisdictional section 1000 .

수집 주기 설정부(320)는 데이터 수집부(310)가 수집한 센싱값 데이터 및 SoC 데이터에 기반하여 로컬 단말기(100)로부터의 데이터 수집 주기를 가변할 수 있다. The collection period setting unit 320 may vary the data collection period from the local terminal 100 based on the sensing value data and SoC data collected by the data collection unit 310 .

이상 구간 판정부(330)는 데이터 수집부(310)가 수집한 센싱값 데이터에 기반하여, 이상이 발생한 경우 그 이상이 발생한 지점을 판정할 수 있다. The abnormal section determining unit 330 may determine a point where the abnormality occurs when the abnormality occurs based on the sensed value data collected by the data collection unit 310 .

통신부(340)는 유선통신규격에 따라, 중앙 장치(300)와 게이트웨이(200) 간의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340 may provide communication between the central device 300 and the gateway 200 according to a wired communication standard.

이하, 수집 주기 설정부(320)가 로컬 단자함(100)으로부터 수집한 센싱값 및 SoC에 기반하여 로컬 단자함(100) 별(달리 표현하면, 진단 지점 별)로 센싱값 및 SoC 데이터 수집 주기를 설정하는 사항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llection period setting unit 320 sets the sensing value and SoC data collection period for each local terminal box 100 (in other words, by diagnosis point) based on the sensing value and SoC collected from the local terminal box 100 . Describe what to do.

먼저, 초기 상태에서 데이터 수집부(310)가 관할 구간(1000) 전체에서 진단 지점(10) 별 데이터 수집 주기로 제 1 그룹 로컬 단자함(100)과 제 2 그룹 로컬 단자함(100)에 교번하여 센싱값 데이터 및 SoC 데이터를 요청하고 수집할 수 있다(S1). 여기서, 데이터 수집 주기의 초기값은 제 1 주기일 수 있다. 제 1 그룹 로컬 단자함(100)은 관할 구간 시작점(S)을 기준으로 홀수 번째 배치된 로컬 단자함(100)을 의미하고, 제 2 그룹 로컬 단자함(100)은 관할 구간 시작점(S)을 기준으로 짝수 번째 배치된 로컬 단자함(100)을 의미할 수 있다. 이상 징후가 발생하기 전에는 이웃하는 센서(S)는 한 개씩 교번하여 모니터링 하여도 모니터링 시스템의 신뢰도는 충분히 유지가 가능하므로 S1에서와 같이 모니터링하는 것이 소비 전력 저감 차원에서 유용할 수 있다. 센싱값 데이터 및 SoC 데이터 요청을 수신한 로컬 단자함(100)의 센싱값 수집부(110) 및 SoC 수집부(140)는 각각 센서값 및 SoC값을 획득하고 이를 데이터 전송부(15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전송부(150)는 센서값 및 SoC값을 데이터 수집부(310)에 제공할 수 있다. First, in the initial state, the data collection unit 310 alternately in the first group local terminal box 100 and the second group local terminal box 100 at the data collection cycle for each diagnostic point 10 in the entire jurisdictional section 1000 and the sensing value Data and SoC data can be requested and collected (S1). Here, the initial value of the data collection period may be the first period. The first group local terminal box 100 means the odd-numbered local terminal box 100 based on the starting point (S) of the jurisdiction section, and the second group local terminal box 100 is an even number based on the starting point (S) of the jurisdiction section. It may mean the second disposed local terminal box 100 . Even if the neighboring sensors (S) are alternately monitored one by one before an abnormality occurs, the reliability of the monitoring system can be sufficiently maintained, so monitoring as in S1 may be useful in terms of power consumption reduction. The sensing value collecting unit 110 and the SoC collecting unit 140 of the local terminal box 100 that have received the sensing value data and the SoC data request obtains the sensor value and the SoC value, respectively, and provides it to the data transmitter 150 . can In this case, the data transmission unit 150 may provide the sensor value and the SoC value to the data collection unit 310 .

그리고, 수집 주기 설정부(320)는 SoC가 레벨 1 이하인 로컬 단자함(100)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 S2에서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S1으로 복귀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llection period setting unit 320 may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local terminal box 100 having an SoC of level 1 or less ( S2 ). If it is determined that it does not exist in S2, it may return to S1.

S2에서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수집 주기 설정부(320)는 SoC가 레벨 1 이하인 로컬 단자함(100)이 서로 이웃하는 구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 S3에서 서로 이웃하는 구간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수집 주기 설정부(320)는 단독으로 SoC가 레벨 1인 로컬 단자함(100)에 슬립모드 전환 요청을 할 수 있다(S4). 그리고, 단독으로 SoC가 레벨 1인 로컬 단자함으로부터 제 1 SoC 회복 메시지가 도착할 때까지 단독으로 SoC가 레벨 1인 로컬 단자함에 대한 데이터 수집을 중단할 수 있다(S4). 이때, 수집 주기 설정부(320)는 단독으로 SoC가 레벨 1인 로컬 단자함에 대한 데이터 수집 주기를 무한대로 설정할 수 있다. 슬립모드 전환 요청을 수신한 로컬 단자함(100)의 SoC 수집부(140)는 배터리(120)의 SoC가 레벨 1을 초과한 때, 제 1 SoC 회복 메시지를 수집 주기 설정부(32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수집 주기 설정부(320)는 제 1 SoC 회복 메시지를 제공한 로컬 단자함(100)에 대한 데이터 수집 주기를 제 1 주기로 설정할 수 있다. S4와 같이 진행하는 것은 이상 징후 발생 상황을 대비하여 단독으로 SoC가 레벨 1 이하인 로컬 단자함의 SoC를 미리 충분히 확보하기 위함이다. S4 이후에 S1으로 복귀될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exists in S2, the collection period setting unit 320 may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section in which the local terminal box 100 having an SoC of level 1 or less is adjacent to each other (S3). If it is determined in S3 that there are no adjacent sections, the collection period setting unit 320 may independently request the sleep mode switch to the local terminal box 100 having the SoC level 1 (S4). In addition, data collection for the local junction box having the SoC level 1 may be stopped until the first SoC recovery message arrives from the local junction box having the SoC level 1 alone (S4). In this case, the collection period setting unit 320 may independently set the data collection period for the local terminal box having the SoC level 1 to infinity. When the SoC of the battery 120 exceeds level 1, the SoC collection unit 140 of the local terminal box 100 that has received the sleep mode switch request provides a first SoC recovery message to the collection period setting unit 320. can In this case, the collection period setting unit 320 may set the data collection period for the local terminal box 100 that has provided the first SoC recovery message as the first period. Proceeding as in S4 is to secure enough SoC in the local terminal box with an SoC of level 1 or less in advance in preparation for the occurrence of an anomaly. After S4, it may return to S1.

S3에서, 서로 이웃하는 구간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수집 주기 설정부(320)는 서로 이웃하여 SoC가 레벨 1 이하인 로컬 단자함(100)에 한해 데이터 수집 주기를 제 2 주기로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다(S5). 여기서, 제 2 주기는 제 1 주기 보다 긴 주기일 수 있다. 이는 이상 징후 발생 전이라면, 서로 이웃하여 SoC가 레벨 1 이하인 로컬 단자함(100)에 한해 데이터 수집 주기를 제 2 주기로 변경하여 설정하여도 모니터링 시스템의 신뢰도를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모니터링 구간에 공백 영역이 생길 수 있으므로, 서로 이웃하여 SoC가 레벨 1 이하인 로컬 단자함(100)이 존재하면 그 이웃하는 로컬 단자함(100)을 모두 슬립모드로 전환할 수 없으므로, 데이터 수집 주기를 길게하면서 SoC를 회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S3,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are adjacent sections, the collection period setting unit 320 may set the data collection period by changing the data collection period to the second period only for the local terminal box 100 with an SoC of level 1 or less adjacent to each other ( S5). Here, the second period may be a longer period than the first period. This is because the reliability of the monitoring system can be maintained even when the data collection period is changed to the second period only for the local terminal box 100 having an SoC of level 1 or lower adjacent to each other before the occurrence of an abnormality. And, since there may be a blank area in the monitoring section, if there are local terminal boxes 100 with SoC level 1 or lower adjacent to each other, all of the neighboring local terminal boxes 100 cannot be switched to the sleep mode, so the data collection cycle is reduced. It is desirable to restore the SoC while lengthening.

그리고, 수집 주기 설정부(320)는 수집된 센싱값 중 이상 징후에 대응한 센싱값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 S6에서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S1으로 복귀될 수 있다. S6에서, 이상 징후에 대응한 센싱값은 기 설정된 이상 발생 판단 기준이 되는 센싱값 임계치의 일정 비율(예를 들어, 50%, 이하, ‘제 1 임계치’이상인 센싱값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llection period setting unit 320 may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sensed value corresponding to an abnormality among the collected sensed values (S6). If it is determined that it does not exist in S6, it may return to S1. In S6 , the sensed value corresponding to the abnormality may be a sensing value that is a predetermined ratio (eg, 50%, less than or equal to the 'first threshold') of a threshold of a sensing value serving as a preset abnormality occurrence determination criterion.

S6에서, 이상 징후에 대응한 센싱값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수집 주기 설정부(320)는 이상 징후가 존재하는 구간을 선정할 수 있다(S7). 이때, 수집 주기 설정부(320)는 수집된 센싱값 중 1 순위 및 2 순위로 크기가 큰 센싱값을 제공한 로컬 단자함(100) 사이의 상수관로를 이상 징후가 존재하는 구간으로 선정할 수 있다. In S6 ,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nsed value corresponding to the abnormal symptom exists, the collection period setting unit 320 may select a section in which the abnormal symptom exists ( S7 ). At this time, the collection period setting unit 320 may select a constant pipe between the local terminal box 100 that provides a large sensing value in the first and second order among the collected sensing values as a section in which anomalies exist. .

이때, 수집 주기 설정부(320)는 이상 징후가 존재하는 구간 양측에 위치한 로컬 단자함(100) 모두의 SoC가 레벨 2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8). 여기서, S8에서의 레벨 2는 S2에서의 레벨 1 보다 낮은 수치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llection period setting unit 320 may determine whether the SoC of all of the local terminal boxes 100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ection in which the abnormality exists exceeds level 2 (S8). Here, level 2 in S8 may be a lower value than level 1 in S2.

S8에서, 이상 징후가 존재하는 구간 양측에 위치한 로컬 단자함(100) 모두의 SoC가 레벨 2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상 징후가 존재하는 구간 양측에 위치한 로컬 단자함(100)의 데이터 수집 주기를 제 3 주기로 변경할 수 있다(S9). 여기서, 제 3 주기는 S1에서의 제 1 주기 보다 짧은 주기일 수 있다. 그리고, 이상 징후가 존재하는 구간 양측에 위치한 로컬 단자함(100)에 이웃한 로컬 단자함(100)의 데이터 수집 주기를 중단할 수 있다(S9). 이는 이상 징후가 존재하는 구간 양측에 위치한 로컬 단자함(100)이 이상 징후가 존재하는 구간 양측에 위치한 로컬 단자함(100)에 이웃한 로컬 단자함(100)의 모니터링 책무를 대신하기 때문에, 이상 징후가 존재하는 구간 양측에 위치한 로컬 단자함(100)에 이웃한 로컬 단자함(100)의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제거하기 위함이다. S9 다음에 S1으로 복귀할 수 있다. In S8,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oC of both the local terminal boxes 100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ection in which the abnormality exists exceeds level 2, the data collection period of the local terminal boxes 100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ection in which the abnormality exists is removed. It can be changed to 3 cycles (S9). Here, the third period may be a shorter period than the first period in S1. And, it is possible to stop the data collection period of the local terminal box 100 adjacent to the local terminal box 100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ection where the abnormality exists (S9). This is because the local terminal box 100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ection where the anomaly exists replaces the monitoring responsibility of the local terminal box 100 adjacent to the local terminal box 100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ection where the anomaly exists. This is to remove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of the local terminal box 100 adjacent to the local terminal box 100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ection. After S9, it can return to S1.

S8에서, 이상 징후가 존재하는 구간 양측에 위치한 로컬 단자함(100) 모두의 SoC가 레벨 2를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수집 주기 설정부(320)는 이상 징후가 존재하는 구간 양측에 위치한 로컬 단자함(100) 모두의 SoC가 레벨 2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0). S10에서, 이상 징후가 존재하는 구간 양측에 위치한 로컬 단자함(100) 모두의 SoC가 레벨 2 이하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SoC가 레벨 2를 초과한 로컬 단자함(100)의 수집 주기 만을 제 3 주기로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다(S11). 그리고, SoC가 레벨 2 이하인 로컬 단자함(100)에게 슬립 모드 전환 요청을 할 수 있다(S11). 그리고, SoC가 레벨 2 이하인 로컬 단자함(100)으로부터 제 2 SoC 회복 메시지가 도착할 때까지 SoC가 레벨 2 이하인 로컬 단자함(100)의 데이터 수집을 중단할 수 있다(S11). 수집 주기 설정부(320)는 SoC가 레벨 2 이하인 로컬 단자함에 대한 데이터 수집 주기를 무한대로 설정할 수 있다. 슬립 모드 전환 요청을 수신한 로컬 단자함(100)의 SoC 수집부(140)는 배터리(120)의 SoC가 레벨 2를 초과한 때, 제 2 SoC 회복 메시지를 수집 주기 설정부(32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수집 주기 설정부(320)는 제 2 SoC 회복 메시지를 제공한 로컬 단자함(100)에 때한 데이터 수집 주기를 제 3 주기로 변경 설정할 수 있다. S11과 같이 진행하는 것은 이상 징후 발생 상황을 대비하여 단독으로 SoC가 레벨 2 이하인 로컬 단자함의 SoC를 미리 충분히 확보하기 위함이다. S11 이후에 S1으로 복귀될 수 있다. In S8,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oC of both the local terminal boxes 100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ection in which the anomaly exists does not exceed level 2, the collection period setting unit 320 sets the local terminal box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ection in which the anomaly exists. (100)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all SoCs are level 2 or less (S10). In S1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oCs of all of the local terminal boxes 100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ection in which the abnormality exists are not level 2 or lower, only the collection period of the local terminal boxes 100 in which the SoC exceeds level 2 is changed to the third period and can be set (S11). Then, the SoC may make a sleep mode change request to the local terminal box 100 of level 2 or lower (S11). In addition, data collection of the local junction box 100 having the SoC level 2 or lower may be stopped until a second SoC recovery message arrives from the local junction box 100 having the SoC level 2 or lower ( S11 ). The collection period setting unit 320 may set the data collection period for the local terminal box having the SoC level 2 or less to infinity. When the SoC of the battery 120 exceeds level 2, the SoC collection unit 140 of the local terminal box 100 that has received the sleep mode transition request provides a second SoC recovery message to the collection period setting unit 320. can In this case, the collection period setting unit 320 may change and set the data collection period timed in the local terminal box 100 providing the second SoC recovery message to the third period. Proceeding as in S11 is to secure enough SoC in the local terminal box with SoC level 2 or less in advance in preparation for an anomaly occurrence situation. After S11, it may return to S1.

S10에서, 이상 징후가 존재하는 구간 양측에 위치한 로컬 단자함(100) 모두의 SoC가 레벨 2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수집 주기 설정부(320)는 태양광 발전 시간대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2). 태양광 발전 시간대는 충분한 마진을 위해,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일 수 있다. In S1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oC of all of the local terminal boxes 100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ection in which the abnormality exists is level 2 or less, the collection period setting unit 320 may determine whether it is a solar power generation time period (S12) . The solar power generation time zone may be from 10 am to 5 pm for a sufficient margin.

S12에서 태양광 발전 시간대인 것으로 판단되면, 이상 징후가 존재하는 구간 양측에 위치한 로컬 단자함(100)의 데이터 수집 주기를 제 4 주기로 변경할 수 있다(S13). 제 4 주기는 제 3 주기 보다 길고 제 1 주기 보다 짧을 수 있다. 이는 제 4 주기를 제 3 주기 보다 길게 하여, 이상 발생 전 이상 징후가 존재하는 구간 양측에 위치한 로컬 단자함(100)이 태양광 발전을 이용해 SoC 회복을 위한 시간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이상 징후가 존재하는 구간 양측에 위치한 로컬 단자함(100)의 양측에 이웃한 로컬 단자함(100)의 데이터 수집을 중단할 수 있다(S13). 이는 이상 징후가 존재하는 구간 양측에 위치한 로컬 단자함(100)이 이상 징후가 존재하는 구간 양측에 위치한 로컬 단자함(100)의 양측에 이웃한 로컬 단자함(100)의 모니터링 책무를 대신하기 때문이다. S13 이후에 S1으로 복귀될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the solar power generation time zone in S12, the data collection cycle of the local terminal box 100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ection in which the abnormality exists may be changed to the fourth cycle (S13). The fourth period may be longer than the third period and shorter than the first period. This is to make the fourth period longer than the third period, so that the local terminal boxes 100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ection in which anomalies exist before the occurrence of anomalies provide time for SoC recovery using solar power generation. In addition, data collection of the local terminal boxes 100 adjacent to both sides of the local terminal boxes 100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ection in which the abnormality exists may be stopped (S13). This is because the local terminal box 100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ection in which the anomaly exists replaces the monitoring responsibility of the local terminal box 100 adjacent to both sides of the local terminal box 100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ection in which the anomaly exists. After S13, it may return to S1.

S12에서 태양광 발전 시간대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이상 징후가 발생한 구간 양측에 위치한 로컬 단자함(100)이 제공한 센싱값 중 어느 하나가 제 2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4). 여기서, 제 2 임계치는 S6에서의 제 1 임계치 보다 큰 값이고, 기 설정된 이상 발생 판단 기준이 되는 센싱값 임계치 보다 작은 값일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not the solar power generation time zone in S12,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any one of the sensing values provided by the local terminal boxes 100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ection where the abnormal symptom occurs exceeds the second threshold (S14). Here, the second threshold value may be a value greater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in S6 and may be a value smaller than a preset sensing value threshold value serving a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occurrence of an abnormality.

S14에서 제 2 임계치를 초과하는 센싱값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수집 주기 설정부(320)는 이상 징후가 발생한 구간 양측에 위치한 두 로컬 단자함(100)의 데이터 수집 주기를 제 4 주기로 변경 설정할 수 있다(S16). 이때, S13과 달리, 수집 주기 설정부(320)는 이상 징후가 발생한 구간 양측에 위치한 두 로컬 단자함(100)이 서로 교번하며 제 4 주기 도래시마다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데이터 수집 주기를 변경 설정할 수 있다(S16). 이는 태양광 발전이 되지 않는 시간대에서, S13 대비 SoC 회복에 대한 충분한 마진을 부여하기 위함이다. S16이후에 S1로 복귀할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in S14 that there is no sensed value exceeding the second threshold, the collection period setting unit 320 sets the data collection period of the two local terminal boxes 100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ection where the abnormality occurs to change to the fourth period. can be (S16). At this time, unlike S13, the collection period setting unit 320 may change and set the data collection period so that the two local terminal boxes 100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ection in which the abnormal symptom occurs alternate with each other and transmit data every fourth period arrives ( S16). This is to provide a sufficient margin for SoC recovery compared to S13 in a time period when solar power is not generated. After S16, it is possible to return to S1.

S14에서, 제 2 임계치를 초과하는 센싱값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수집 주기 설정부(320)는 이상 징후가 발생한 구간 양측에 위치한 로컬 단자함(100)이 제공한 센싱값 중 최대 센싱값에 비례하여 이상 징후가 발생한 구간 양측에 위치한 로컬 단자함의 데이터 수집 주기를 단축할 수 있다(S15). 이때, 수집 주기 설정부(320)는 초기값을 제 1 주기로 하고, 센싱값이 제 2 임계치를 초과한 정도에 비례하여 데이터 수집 주기를 단축할 수 있다. 이때, 수집 주기 설정부(320)는 데이터 수집 주기 최소값이 제 3 주기가 되는 범주에서 데이터 수집 주기를 단축할 수 있다. 제 2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이상 징후의 위급성을 고려하여 SoC를 최소한으로 회복시키며서 이상 징후를 추종해 이상 발생 이벤트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 하기 위해서 S15와 같이 데이터 수집 주기를 조정할 수 있다. S15이후에 S1로 복귀할 수 있다. In S14,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sensed value exceeding the second threshold, the collection period setting unit 320 is proportional to the maximum sensed value among the sensed values provided by the local terminal boxes 100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ection in which the abnormality occurs Thus,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data collection period of the local terminal boxe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ection where the abnormality occurs (S15). In this case, the collection period setting unit 320 may set the initial value as the first period and shorten the data collection period in proportion to the extent to which the sensed value exceeds the second threshold. In this case, the collection period setting unit 320 may shorten the data collection period in a range in which the minimum data collection period value is the third period. When the second threshold is exceeded, the data collection cycle can be adjusted as shown in S15 in order to monitor the occurrence of an anomaly event by following the anomaly while recovering the SoC to a minimum in consideration of the urgency of the anomaly. After S15, it is possible to return to S1.

S1 내지 S16을 통해, 로컬 단자함 별 데이터 수집 주기가 최종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Through S1 to S16, the data collection period for each local terminal box may be finally determined.

도 4a 및 도 4b의 프로세스는 전체 또는 일부가 생략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The processes of FIGS. 4A and 4B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in which all or part of the process is omitted.

1-1, 1-2, 1-3, 1-4, 1-5, 1-6, 1-7,... , 1-n : 센서
2 : 상수관로
10-1, 10-2, 10-3, 10-4, 10-5, 10-6, 10-7,... , 10-n : 진단지점
100-1, 100-2, 100-3, 100-4, 100-5, 100-6, 100-7,... , 100-n : 로컬 단자함
110 : 센싱값 수집부
120 : 배터리
130 : 태양광 발전부
140 : SoC 수집부
150 : 데이터 전송부
160 : 통신부
200-1,... , 200-m : 게이트웨이
300 : 중앙 장치
310 : 데이터 수집부
320 : 수집 주기 설정부
330 : 이상 구간 판정부
340 : 통신부
1-1, 1-2, 1-3, 1-4, 1-5, 1-6, 1-7,... , 1-n : sensor
2: water pipe
10-1, 10-2, 10-3, 10-4, 10-5, 10-6, 10-7,... , 10-n : diagnosis point
100-1, 100-2, 100-3, 100-4, 100-5, 100-6, 100-7,... , 100-n : local terminal box
110: sensing value collection unit
120: battery
130: solar power generation unit
140: SoC collection unit
150: data transmission unit
160: communication department
200-1,... , 200-m : gateway
300: central unit
310: data collection unit
320: collection period setting unit
330: abnormal section determination unit
340: communication department

Claims (5)

데이터 수집부가 관할 구간에 설치된 모든 로컬 단자함으로부터 진단 지점 별 데이터 수집 주기로 음향센서에서 검출된 음향 센싱값 데이터 및 태양광 발전부의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의 SoC(State of Charge)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및
수집 주기 설정부가 상기 수집된 음향 센싱값 데이터 및 SoC 데이터에 기반하여, 관할 구간 내의 로컬 단자함 별 데이터 수집 주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상기 관할 구간 전체에서 진단 지점 별 데이터 수집 주기로 관할 구간 시작점을 기준으로 홀수 번째 배치되는 제 1 그룹 로컬 단자함과 짝수 번째 배치되는 제 2 그룹 로컬 단자함에 교번하여 음향 센싱값 데이터 및 SoC 데이터를 요청하고 수집하여 태양광 발전부에서 생산한 전력의 소비를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관로 모니터링 시스템 운영 방법.
Collecting, by the data collection unit, SoC (State of Charge) data of a battery that stores the power of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unit and the acoustic sensing value data detected by the acoustic sensor at a data collection cycle for each diagnostic point from all local terminal boxes installed in the jurisdictional section; and
Based on the collected sound sensing value data and SoC data, the collection period setting unit setting a data collection period for each local terminal box within the jurisdictional section,
The data collection unit alternates between the first group local terminal box arranged in odd number and the second group local terminal box arranged in even number based on the starting point of the jurisdiction section at a data collection cycle for each diagnostic point in the entire jurisdictional section to obtain acoustic sensing value data and SoC data A method of operating a water pipe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reduces the consumption of electricity produced by the solar power generation unit by requesting and collecting.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주기 설정부는 SoC가 레벨 1 이하인 로컬 단자함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SoC가 레벨 1 이하인 로컬 단자함이 존재하면, 상기 수집 주기 설정부는 SoC가 레벨 1 이하인 로컬 단자함이 서로 이웃하는 구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서로 이웃하는 구간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수집 주기 설정부는 단독으로 SoC가 레벨 1인 로컬 단자함에 슬립모드 전환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관로 모니터링 시스템 운영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collection period setting unit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local terminal box with an SoC of level 1 or less,
If there is a local terminal box having an SoC of level 1 or less, the collection period setting unit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section adjacent to a local terminal box having an SoC of level 1 or les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are no adjacent sections, the collection period setting unit alone requests a sleep mode switch to a local terminal box having a level 1 SoC.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주기 설정부는 상기 단독으로 SoC가 레벨 1인 로컬 단자함으로부터 제 1 SoC 회복 메시지가 도착할 때까지 단독으로 SoC가 레벨 1인 로컬 단자함에 대한 데이터 수집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관로 모니터링 시스템 운영 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The collection period setting unit alone stops data collection for the local junction box with the SoC level 1 until the first SoC recovery message arrives from the local junction box with the SoC level 1 alone. Way.
제 3 항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구간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수집 주기 설정부는 서로 이웃하여 SoC가 레벨 1 이하인 로컬 단자함에 한해 데이터 수집 주기를 제 2 주기로 변경하여 설정하고,
상기 진단 지점 별 데이터 수집 주기의 초기값은 제 1 주기이고,
상기 제 2 주기는 상기 제 1 주기 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관로 모니터링 시스템 운영 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are adjacent sections, the collection period setting unit changes and sets the data collection period to the second period only for local terminal boxes with SoC level 1 or lower adjacent to each other,
The initial value of the data collection period for each diagnosis point is the first period,
The second period is a water supply pipe monitoring system operat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longer than the first period.
KR1020200150693A 2020-11-12 2020-11-12 Water pipe monitoring system operation method KR1023219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693A KR102321979B1 (en) 2020-11-12 2020-11-12 Water pipe monitoring system opera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693A KR102321979B1 (en) 2020-11-12 2020-11-12 Water pipe monitoring system operation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1979B1 true KR102321979B1 (en) 2021-11-04

Family

ID=78521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0693A KR102321979B1 (en) 2020-11-12 2020-11-12 Water pipe monitoring system operation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1979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6675B1 (en) 2015-04-08 2017-01-19 조선남 System for checking leakage of underground pipe
KR101791953B1 (en) 2017-01-12 2017-11-01 (주)한국빅텍 Leak sensing system and leak sens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821269B1 (en) * 2017-03-15 2018-01-23 주식회사 한일환경테크 Remote Terminal Unit of waterworks and sewage observ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6675B1 (en) 2015-04-08 2017-01-19 조선남 System for checking leakage of underground pipe
KR101791953B1 (en) 2017-01-12 2017-11-01 (주)한국빅텍 Leak sensing system and leak sens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821269B1 (en) * 2017-03-15 2018-01-23 주식회사 한일환경테크 Remote Terminal Unit of waterworks and sewage observa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785299U (en) A kind of piping lan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WO2022105340A1 (en) Sound wave-based pipe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US1119396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 material medium
CN104613885B (en) A kind of tunnel interior conduit monitoring and warning system
JPH11256627A (en) Method for using whole pipeline in underground buried substance and structure as overall emergency predict alarm sensor, and overall emergency predict disaster-prevention monitor system
CN106015949B (en) A kind of sound wave line leakage system
KR101278485B1 (en) Manhole cover for manhole control
JP6136031B2 (en) Piping abnormality detection data logger device, piping structure and piping abnormality detection system
KR101062361B1 (en) A leak sencing apparatus and a system having the same
CN207316488U (en) A kind of long distance wireless routine for pipe-line transportation system leakage or gas leakage
CN107859878A (en) A kind of monitoring system of long petroleum pipeline
CN213236990U (en) Pipeline monitoring platform based on NB IOT
CN107332917A (en) Underground pipe gallery space environment collecting method and system with breakdown judge
WO2023098073A1 (en) Anti-seismic performance abnormality early-warning system and method for urban underground utility tunnel
KR101382232B1 (en) Leak sensing system
KR102321979B1 (en) Water pipe monitoring system operation method
KR102317029B1 (en) Water pipe monitoring system operation method based on frequency and amplitude analysis
CN105332862A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etecting working state of wind turbine generator set
CN116972957A (en) Vibration detection method and system for power transmission GIL pipeline
CN112856249A (en) Urban water supply pipe network leakage monitoring method
CN103133871A (en) Pipeline online dynamic smart detection system and detection method thereof
CN105953988B (en) Boiler and its heating surface inner leakage detection method and device
CN205486719U (en) Change of current valve monitoring system that leaks
CN213872242U (en) Leak source detection device and water supply pipe network provided with same
TWI788513B (en) solar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