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1975B1 - 분리형 조리기구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분리형 조리기구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1975B1
KR102321975B1 KR1020207010549A KR20207010549A KR102321975B1 KR 102321975 B1 KR102321975 B1 KR 102321975B1 KR 1020207010549 A KR1020207010549 A KR 1020207010549A KR 20207010549 A KR20207010549 A KR 20207010549A KR 102321975 B1 KR102321975 B1 KR 102321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induction range
module
coil circuit
rice coo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0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2940A (ko
Inventor
이둥 허
Original Assignee
포샨 순더 메이디 일렉트리컬 히팅 어플라이언시스 메뉴팩쳐링 코.,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샨 순더 메이디 일렉트리컬 히팅 어플라이언시스 메뉴팩쳐링 코.,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포샨 순더 메이디 일렉트리컬 히팅 어플라이언시스 메뉴팩쳐링 코.,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52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2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1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1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83Warming devices with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2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1/00Devices having a modular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형 조리기구 및 그 제어 방법을 개시하는 바, 제어 방법은, 베이스(10)가 통전된 후, 인식 모듈(11)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인식 모듈(11)의 상태 정보가 제1 상태인 경우, 베이스(10)가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금지하고 베이스(10)가 전기밥솥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단계; 인식 모듈(11)의 상태 정보가 제2 상태인 경우,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21)에 의해 피드백 신호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검출된 경우, 베이스(10)가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금지하고 베이스(10)가 전기밥솥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단계; 및 검출되지 않은 경우, 베이스(10)가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허용하고 베이스(10)가 전기밥솥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금지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당해 방법은 베이스(10)와 기구 본체(20)의 분리/조합 상태를 효과적으로 인식 가능하고, 단일한 인식 방식이 무효화되는 경우에 조합 상태가 검출되지 않음으로 인해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에 머물게 되면서 기구 본체(20)가 지속적으로 가열되는 안전 문제가 초래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회피된다.

Description

분리형 조리기구 및 그 제어 방법
본 발명은 가전제품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리형 조리기구의 제어 방법, 분리형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현재, 소형 가전제품은 이미 사람들의 일상 생활에 보급되었고 한 가족에 기본적으로 하나 또는 복수의 전기밥솥, 전기압력솥 등의 가전제품을 소유하고 있다. 그러나 제품이 다양화됨에 따라, 집의 주방에 놓일 수 있는 제품도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 집에 있는 가전제품을 가급적 줄이고 주방 공간의 점용을 줄이고자 전기밥솥, 전기압력솥 등의 가전제품을 분리형 조리기구로 통합시킬 수 있다.
그러나, 실제 사용에서, 현재의 분리형 조리기구는 기구 본체와 베이스 사이의 상태를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인식하기 어렵고, 따라서 분리형 조리기구에 대한 정확한 제어를 구현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기술에서의 기술 문제 중 하나를 적어도 어느 정도 해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분리형 조리기구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는 베이스와 기구 본체의 분리/조합 상태를 효과적으로 인식 가능하고, 단일한 인식 방식이 무효화되는 경우에 조합 상태가 검출되지 않음으로 인해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에 머물게 되면서 기구 본체가 지속적으로 가열되는 안전 문제가 초래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회피된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분리형 조리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실시예는 분리형 조리기구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바, 상기 분리형 조리기구는 베이스 및 기구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기구 본체는 상기 베이스에 놓기에 적합하고 상기 베이스로부터 분리 가능하며, 상기 베이스 내에는 인식 모듈, 코일 플레이트,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베이스가 통전된 후, 상기 인식 모듈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인식 모듈의 상태 정보가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베이스가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금지하고 상기 베이스가 전기밥솥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단계; 상기 인식 모듈의 상태 정보가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에 의해 피드백 신호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에 의해 피드백 신호가 검출된 경우, 상기 베이스가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금지하고 상기 베이스가 전기밥솥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에 의해 피드백 신호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베이스가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베이스가 전기밥솥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금지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분리형 조리기구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베이스가 통전된 후, 인식 모듈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인식 모듈의 상태 정보가 제1 상태인 경우, 베이스가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금지하고 베이스가 전기밥솥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허용하며; 인식 모듈의 상태 정보가 제2 상태인 경우,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에 의해 피드백 신호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에 의해 피드백 신호가 검출된 경우, 베이스가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금지하고 베이스가 전기밥솥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허용하며;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에 의해 피드백 신호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베이스가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허용하고 베이스가 전기밥솥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금지한다. 당해 방법은 베이스와 기구 본체의 분리/조합 상태를 효과적으로 인식 가능하고, 단일한 인식 방식이 무효화되는 경우에 조합 상태가 검출되지 않음으로 인해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에 머물게 되면서 기구 본체가 지속적으로 가열되는 안전 문제가 초래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회피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술한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분리형 조리기구의 제어 방법은 하기의 추가적인 기술 특징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식 모듈은 리드 스위치(reed switch)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리드 스위치가 닫힌 경우는 상기 제1 상태에 대응되고, 상기 리드 스위치가 열린 경우는 상기 제2 상태에 대응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가 통전된 후, 상기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이 닫힘 상태에 있다면, 상기 인식 모듈의 상태 정보가 제2 상태인 경우에 상기 코일 플레이트를 제어하여 가열 솥 검출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가열 솥 검출 신호에 따라 상기 베이스에 현재 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여기서, 상기 베이스에 현재 솥이 있다면, 상기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을 제어하여 작업시킴으로써 상기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에 의해 피드백 신호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베이스에 현재 솥이 없다면, 상기 베이스가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베이스가 전기밥솥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금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내에는 제1 무선 통신 모듈이 더 설치되는 바, 여기서, 상기 베이스가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이 금지되고 상기 베이스가 전기밥솥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이 허용되는 경우, 상기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과 현재 상기 베이스에 놓인 기구 본체 내의 무선 수신 코일 회로 모듈이 무선 전기 공급 연결을 구축하고, 상기 제1 무선 통신 모듈과 상기 기구 본체 내의 제2 무선 통신 모듈이 무선 통신 연결을 구축함으로써 현재 상기 베이스에 놓인 기구 본체와 상기 베이스의 통신 데이터 인터랙션을 구현하고 현재 상기 베이스에 놓인 기구 본체와 상기 베이스의 통신 데이터 인터랙션에 따라 상기 코일 플레이트의 가열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가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이 허용되고 상기 베이스가 전기밥솥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이 금지되는 경우, 상기 코일 플레이트를 제어하여 상기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가열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의 제2 측면의 실시예는 분리형 조리기구를 제공하는 바, 이는, 베이스 및 기구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기구 본체는 상기 베이스에 놓기에 적합하고 상기 베이스로부터 분리 가능하며, 상기 베이스 내에는 인식 모듈, 코일 플레이트,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 및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은 상기 베이스가 통전된 후, 상기 인식 모듈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여기서, 상기 인식 모듈의 상태 정보가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은 상기 베이스가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금지하고 상기 베이스가 전기밥솥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허용하며; 상기 인식 모듈의 상태 정보가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은 상기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에 의해 피드백 신호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에 의해 피드백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은 상기 베이스가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금지하고 상기 베이스가 전기밥솥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허용하며; 상기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에 의해 피드백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은 상기 베이스가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베이스가 전기밥솥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금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리기구는, 조리 기구의 베이스 내에 인식 모듈, 코일 플레이트,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 및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이 설치되고,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은 베이스가 통전된 후, 인식 모듈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여기서, 인식 모듈의 상태 정보가 제1 상태인 경우,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베이스가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금지하고 베이스가 전기밥솥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허용하며; 인식 모듈의 상태 정보가 제2 상태인 경우,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은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에 의해 피드백 신호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에 의해 피드백 신호가 검출된 경우,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은 베이스가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금지하고 베이스가 전기밥솥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에 의해 피드백 신호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은 베이스가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허용하고 베이스가 전기밥솥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금지한다. 당해 분리형 조리기구는 베이스와 기구 본체의 분리/조합 상태를 효과적으로 인식 가능하고, 단일한 인식 방식이 무효화되는 경우에 조합 상태가 검출되지 않음으로 인해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에 머물게 되면서 기구 본체가 지속적으로 가열되는 안전 문제가 초래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회피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술한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분리형 조리기구는 하기의 추가적인 기술 특징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식 모듈은 리드 스위치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리드 스위치가 닫힌 경우는 상기 제1 상태에 대응되고, 상기 리드 스위치가 열린 경우는 상기 제2 상태에 대응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가 통전된 후, 상기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이 닫힘 상태에 있다면, 상기 인식 모듈의 상태 정보가 제2 상태인 경우에 상기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이 상기 코일 플레이트를 제어하여 가열 솥 검출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가열 솥 검출 신호에 따라 상기 베이스에 현재 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여기서, 상기 베이스에 현재 솥이 있다면, 상기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이 상기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을 제어하여 작업시킴으로써 상기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에 의해 피드백 신호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베이스에 현재 솥이 없다면, 상기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이 상기 베이스가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베이스가 전기밥솥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금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내에는 제1 무선 통신 모듈이 더 설치되는 바, 여기서, 상기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에 의해 상기 베이스가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이 금지되고 상기 베이스가 전기밥솥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이 허용되는 경우, 상기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과 현재 상기 베이스에 놓인 기구 본체 내의 무선 수신 코일 회로 모듈이 무선 전기 공급 연결을 구축하고, 상기 제1 무선 통신 모듈과 상기 기구 본체 내의 제2 무선 통신 모듈이 무선 통신 연결을 구축함으로써 현재 상기 베이스에 놓인 기구 본체와 상기 베이스의 통신 데이터 인터랙션을 구현하고 현재 상기 베이스에 놓여진 기구 본체 내의 전기밥솥 제어 모듈이 현재 상기 베이스에 놓인 기구 본체와 상기 베이스의 통신 데이터 인터랙션에 따라 상기 코일 플레이트의 가열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가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이 허용되고 상기 베이스가 전기밥솥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이 금지되는 경우, 상기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은 상기 코일 플레이트를 제어하여 상기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가열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리기구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리기구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리기구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리기구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리기구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리기구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아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는 바, 상기 실시예의 예시는 첨부 도면에 도시되고, 여기서, 같거나 유사한 부호는 시종일관 같거나 유사한 소자거나 또는 같거나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소자를 나타낸다. 아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한 것인바, 이를 본 발명에 대한 한정으로 이해하여서는 안된다.
아래, 첨부 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분리형 조리기구의 제어 방법 및 분리형 조리기구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리기구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분리형 조리기구는 베이스(10) 및 기구 본체(20)를 포함할 수 있고, 기구 본체(20)는 베이스(10)에 놓기에 적합하고 베이스(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분리형 조리기구의 베이스(10)는 각각 복수의 서로 다른 유형의 기구 본체(20)를 놓기에 적합할 수 있고, 하나의 베이스(10)를 서로 다른 유형의 기구 본체(20)에 결합시켜 작업시킴으로써 서로 다른 조리 기구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구 본체(20)는 일반 솥일 수 있고, 베이스(10)를 통해 일반 솥에 열원을 공급하고; 기구 본체(20)는 압력 장치를 구비하는 압력솥 솥체일 수도 있고, 베이스(10)와 분리형 전기압력솥을 구성하고; 기구 본체(20)는 밥짓기 장치를 구비하는 전기밥솥 솥체일 수도 있고, 베이스(10)와 분리형 전기밥솥 등을 구성한다. 이로써 하나의 베이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조리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주방 공간의 점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10)는 교류인 도시 전기에 직접 연결될 수 있고 기구 본체(20)는 교류인 도시 전기에 직접 연결되지 않아도 되며, 기구 본체(20)가 베이스(10)에 놓일 경우, 베이스(10)는 기구 본체(20)에 전원 또는 열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10) 내에는 인식 모듈(11), 코일 플레이트(12),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13) 및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14)이 설치될 수 있고, 기구 본체(20)가 베이스(10)에 놓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14)은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13)을 통해 기구 본체(20)에 필요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고 코일 플레이트(12)를 통해 기구 본체(20)에 필요한 열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기구 본체(20)는 일반 솥일 수도 있고 압력솥 솥체 또는 전기밥솥 솥체일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기구 본체(20)에 필요한 열 에너지는 서로 다르므로, 현재의 기구 본체(20)를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검출함으로써, 기구 본체(20)가 실제로 압력솥 솥체 또는 전기밥솥 솥체일 때 일반 솥으로 검출되면 베이스(10)가 압력솥 솥체 또는 전기밥솥 솥체를 지속적으로 가열하게 되어 압력솥 솥체 또는 전기밥솥 솥체에 회손이 발생되거나 또는 안전 사고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리기구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분리형 조리기구의 제어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1, 베이스가 통전된 후, 인식 모듈의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식 모듈은 리드 스위치를 포함하고, 여기서, 리드 스위치가 닫힌 경우는 제1 상태에 대응되고, 리드 스위치가 열린 경우는 제2 상태에 대응된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식 모듈(11)은 리드 스위치(111)와 자석(112)을 포함할 수 있고, 리드 스위치(111)는 베이스(10)에 설치되고, 자석(112)은 기구 본체(20)(예를 들면 압력솥 솥체 또는 전기밥솥 솥체) 내에 설치되고, 당해 기구 본체(20)가 베이스(10)에 놓이는 경우, 자석(112)이 리드 스위치(111)에 접근하여 리드 스위치(111)의 리드(reed)를 자기화시키고 리드의 접촉점 부분이 자력에 의해 흡인되고, 흡인력이 리드의 탄성력보다 큰 경우, 리드 스위치(111)의 상시 열림 접촉점이 닫히게 되고 리드 스위치(111)가 닫힘 상태에 머무르게 되는 바, 이는 압력솥 솥체 또는 전기밥솥 솥체가 베이스(10)에 놓임을 나타낸다. 기구 본체(20)가 베이스(10)에 놓이지 않은 경우, 리드 스위치(111)는 열림 상태에 있고, 이는 압력솥 솥체 또는 전기밥솥 솥체가 베이스(10)에 놓이지 않음을 나타내다. 또한, 일반 솥에는 자석(112)이 설치되지 않으므로, 일반 솥이 베이스(10)에 놓이는 경우, 리드 스위치(111)도 열림 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리드 스위치(111)가 닫힌 경우, 압력솥 솥체 또는 전기밥솥 솥체가 베이스(10)에 놓이고, 이는 제1 상태(즉, 조합 상태)이고; 리드 스위치(111)가 열린 경우, 기구 본체(20)가 베이스(10)에 놓이지 않거나 또는 일반 솥이 베이스(10)에 놓이고, 이는 제2 상태(즉 분리 상태)이다.
단계S2, 인식 모듈의 상태 정보가 제1 상태인 경우, 베이스가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금지하고 베이스가 전기밥솥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구체적으로, 제1 상태에 대응되는 기구 본체가 압력솥 솥체 또는 전기밥솥 솥체이므로 이때 베이스가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금지하고 베이스가 전기밥솥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단계S3, 인식 모듈의 상태 정보가 제2 상태인 경우,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에 의해 피드백 신호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인식 모듈의 상태 정보가 제2 상태인 경우에 또한 베이스 내의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에 의해 피드백 신호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나아가 더 판단함으로써 베이스에 압력솥 솥체 또는 전기밥솥 솥체가 없다는 것을 나아가 결정한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구 본체(20)는 교류인 도시 전기에 직접 연결되지 않아도 되므로 기구 본체(20)(예를 들면 압력솥 솥체 또는 전기밥솥 솥체)에 무선 수신 코일 회로 모듈(21)을 설치함으로써 무선 수신 코일 회로 모듈(21) 및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13)을 통해 전자기 커플링하여 전기 에너지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전기 에너지 전송은, 무선 수신 코일 회로 모듈(21)과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13)이 상호 매칭되고 위치가 대응되는 것이 필요하므로 또한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을 통해 베이스에 압력솥 솥체 또는 전기밥솥 솥체가 있는지 여부를 나아가 더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14)은 리드 스위치(111)가 열린 것이 검출된 경우, 또한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13)을 제어하여 작업시키는 바, 즉,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13)에 교류 전기를 통전시켜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13)이 교류 전자기장을 발생하도록 하고, 무선 수신 코일 회로 모듈(21)은 교류 전자기장의 작용 하에 유도 기전력을 발생시키며, 이때 기구 본체(20) 내의 전기밥솥 제어 모듈(22)은 전기 에너지를 획득하고 하나의 피드백 신호를 무선 수신 코일 회로 모듈(21)로 송신하고 이를 무선 수신 코일 회로 모듈(21)을 통해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13)로 커플링 전송한다.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13)은 당해 피드백 신호를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당해 피드백 신호에 따라 베이스에 압력솥 솥체 또는 전기밥솥 솥체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단계S4,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에 의해 피드백 신호가 검출된 경우, 베이스가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금지하고 베이스가 전기밥솥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단계S5,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에 의해 피드백 신호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베이스가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허용하고 베이스가 전기밥솥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금지한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13)에 의해 피드백 신호가 검출된 경우, 이는 베이스(10)에 압력솥 솥체 또는 전기밥솥 솥체가 놓여 있음을 말해주고, 인식 모듈(11)이 무효화되었을 수 있고, 이때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14)은 베이스가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금지하고 베이스가 전기밥솥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13)에 의해 피드백 신호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이는 인식 모듈(11) 및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13)의 이중 검출 하에서도 압력솥 솥체 또는 전기밥솥 솥체가 검출되지 않았음을 말해주고, 이때 베이스가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허용하고 베이스가 전기밥솥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금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인식 모듈 및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을 통해서도 모두 압력솥 솥체 또는 전기밥솥 솥체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만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의 사용이 허용되고, 이로써 단일한 인식 방식의 적용이 무효화되는 경우에 조합 상태(압력솥 솥체 또는 전기밥솥 솥체는 베이스에 놓임)가 검출되지 않음으로 인해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에 머물게 되면서 기구 본체가 지속적으로 가열되는 안전 문제가 초래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회피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내에는 제1 무선 통신 모듈이 더 설치되고, 여기서, 베이스가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이 금지되고 베이스가 전기밥솥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이 허용되는 경우,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과 현재 베이스에 놓인 기구 본체 내의 무선 수신 코일 회로 모듈이 무선 전기 공급 연결을 구축하고, 제1 무선 통신 모듈과 기구 본체 내의 제2 무선 통신 모듈이 무선 통신 연결을 구축함으로써 현재 베이스에 놓인 기구 본체와 베이스 사이의 통신 데이터 인터랙션을 구축하고 현재 베이스에 놓인 기구 본체와 베이스의 통신 데이터 인터랙션에 따라 코일 플레이트의 가열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10)에는 제1 무선 통신 모듈(15)이 더 설치되고, 동시에 기구 본체(20)(예를 들면 압력솥 솥체 또는 전기밥솥 솥체)에는 제2 무선 통신 모듈(23)이 더 설치되고, 제1 무선 통신 모듈(15)과 제2 무선 통신 모듈(23)은 적외선 통신 모듈 등일 수 있다.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14)이 인식 모듈(11) 및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13)을 통해 기구 본체(20)가 압력솥 솥체 또는 전기밥솥 솥체라고 판단하는 경우,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14)은 베이스가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금지하고 베이스가 전기밥솥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바, 이때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14)은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13)에 교류 전기를 통전시켜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13)이 교류 전자기장을 발생하도록 하고, 무선 수신 코일 회로 모듈(21)은 교류 전자기장의 작용 하에 유도 기전력을 발생시킴으로써 기구 본체(20) 내의 전기밥솥 제어 모듈(22)에 전기를 공급한다. 다음, 전기밥솥 제어 모듈(22)은 제2 무선 통신 모듈(23)을 제어하여 제1 무선 통신 모듈(15)과 무선 통신 연결을 구축하여 관련된 가열 데이터 정보를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14)에 전송함으로써,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14)이 수신된 관련되는 가열 데이터 정보에 따라 코일 플레이트(12)의 가열을 제어하도록 하는 바, 예를 들면 코일 플레이트(12)를 제어하여 기구 본체(20) 내의 솥을 유도 가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가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이 허용되고 베이스가 전기밥솥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금지되는 경우, 코일 플레이트를 제어하여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가열한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14)이 인식 모듈(11) 및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13)을 통해 기구 본체(20)가 없거나 또는 기구 본체(20)가 일반 솥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14)은 베이스가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허용하고 베이스가 전기밥솥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금지하며, 이때 코일 플레이트(12)를 제어하여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가열한다. 여기서, 설명해야 할 것은, 코일 플레이트(12)를 제어하여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예를 들면 공명 가열)로 가열하는 경우, 우선 현재 베이스에 일반 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존재한다면, 재가열하고; 아니면, 가열을 금지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리기구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당해 분리형 조리기구의 제어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101, 베이스에 통전한다.
단계S102,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이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을 구동하여 작동시키고 리드 스위치의 상태를 검출한다.
단계S103, 리드 스위치가 닫혔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Yes인 경우, 단계S104를 수행하고; No인 경우, 단계S105를 수행한다.
단계S104,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를 금지하고 전기밥솥 작업 모드를 허용한다.
단계S105,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에 의해 피드백 신호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Yes인 경우, 단계S104로 돌아가고; No인 경우, 단계S106을 수행한다.
단계S106,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를 허용하고 전기밥솥 작업 모드를 금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분리형 조리기구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인식 모듈 및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 이 2가지 방식을 통해 신호 커플링을 구현함으로써 기구 본체와 베이스의 분리 검출 및 조합을 구현하고, 나아가 정확한 작업 모드를 결정하는 바, 단일한 인식 방식이 무효화되는 경우에 조합 상태가 검출되지 않음으로 인해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에 머물게 되면서 기구 본체가 지속적으로 가열되는 안전 문제가 초래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회피된다. 또한,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가 금지되고 전기밥솥 작업 모드가 허용되는 경우, 제1 무선 통신 모듈과 제2 무선 통신 모듈은 또한 신호 커플링하였으므로 나아가 더 제1 무선 통신 모듈 및 제2 무선 통신 모듈에 따라 기구 본체와 베이스의 분리 검출 및 조합 검출을 구현할 수도 있는 바, 즉, 3가지 방식으로 공동 검출함으로써 검출의 신뢰성이 대폭 향상되고 분리형 조리기구의 작업 안전성이 보장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가 통전된 후,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이 닫힘 상태에 있다면, 인식 모듈의 상태 정보가 제2 상태인 경우에 코일 플레이트를 제어하여 가열 솥 검출 신호를 출력하고, 가열 솥 검출 신호에 따라 베이스에 현재 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여기서, 베이스에 현재 솥이 있다면,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을 제어하여 작업시킴으로써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에 의해 피드백 신호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베이스에 현재 솥이 없다면, 베이스가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허용하고 베이스가 전기밥솥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금지한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14)에 의해 리드 스위치(111)가 열린 것이 검출된 경우,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2가지 가능성이 존재하는 바, 한가지는 기구 본체(20)가 일반 솥인 경우이고 다른 한 가지는 베이스(10)에 기구 본체(20)가 없는 경우이므로, 이때 우선 코일 플레이트(12)를 제어하여 가열 솥 검출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베이스(10)에 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솥이 있는 경우,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13)를 제어하여 작업시키는 바, 즉,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13)에 교류 전기를 통전시켜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13)이 교류 전자기장을 발생하도록 하고, 무선 수신 코일 회로 모듈(21)은 교류 전자기장의 작용 하에 유도 기전력을 발생시키고, 이때 기구 본체(20) 내의 전기밥솥 제어 모듈(22)은 전기 에너지를 획득하고 하나의 피드백 신호를 무선 수신 코일 회로 모듈(21)로 송신하고, 이를 무선 수신 코일 회로 모듈(21)을 통해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13)로 커플링 전송한다.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13)은 당해 피드백 신호를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14)은 나아가 당해 피드백 신호에 따라 베이스에 압력솥 솥체 또는 전기밥솥 솥체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베이스(10)에 솥이 없는 경우, 베이스가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허용하고 베이스가 전기밥솥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금지한다.
다시 말해,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을 통해 나아가 기구 본체가 압력솥 솥체 또는 전기밥솥 솥체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전에, 또한 베이스에 솥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바, 솥이 있다면 다시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을 통해 기구 본체가 압력솥 솥체 또는 전기밥솥 솥체인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분리형 조리기구가 스탠바이 상황 하에 무선 검출을 작동함으써 초래되는 전력 소모가 보다 높은 문제가 효과적으로 회피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리기구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당해 분리형 조리기구의 제어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201, 베이스에 통전한다.
단계S202,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이 작동하고 리드 스위치의 상태를 검출한다.
단계S203, 리드 스위치가 닫혔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Yes인 경우, 단계S208을 수행하고; No인 경우, 단계S204를 수행한다.
단계S204,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이 코일 플레이트를 소정 시간(예를 들면 10s~1min) 구동하여 단시간(예를 들면 1~2s)의 가열 솥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단계S205, 솥이 있다고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Yes인 경우, 단계S206를 수행하고; No인 경우, 단계S209를 수행한다.
단계S206,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이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을 구동하여 무선 수신 코일 회로 모듈에 전기를 공급한다.
단계S207,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에 의해 피드백 신호가 있다는 것이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Yes인 경우, 단계S208을 수행하고; No인 경우, 단계S209를 수행한다.
단계S208,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를 금지하고 전기밥솥 작업 모드를 허용한다.
단계S209,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를 허용하고 전기밥솥 작업 모드를 금지한다.
상술한 것을 종합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분리형 조리기구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베이스가 통전된 후, 인식 모듈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인식 모듈의 상태 정보가 제1 상태인 경우, 베이스가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금지하고 베이스가 전기밥솥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허용하며; 인식 모듈의 상태 정보가 제2 상태인 경우,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에 의해 피드백 신호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에 의해 피드백 신호가 검출된 경우, 베이스가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금지하고 베이스가 전기밥솥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허용하며;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에 의해 피드백 신호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베이스가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허용하고 베이스가 전기밥솥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금지한다. 당해 방법은, 베이스와 기구 본체의 분리/조합 상태를 효과적으로 인식 가능하고, 단일한 인식 방식이 무효화되는 경우에 조합 상태가 검출되지 않음으로 인해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에 머물게 되면서 기구 본체가 지속적으로 가열되는 안전 문제가 초래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회피된다.
아래, 본 발명의 실시예의 분리형 조리기구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분리형 조리기구는 베이스(10) 및 기구 본체(20)를 포함할 수 있고, 기구 본체(20)는 베이스(10)에 놓기에 적합하고 베이스(10)로부터 분리 가능하며, 베이스(10) 내에는 인식 모듈(11), 코일 플레이트(12),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13) 및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14)이 설치되고,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14)은 베이스(10)가 통전된 후, 인식 모듈(11)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여기서, 인식 모듈(11)의 상태 정보가 제1 상태인 경우,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14)은 베이스(10)가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금지하고 베이스(10)가 전기밥솥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허용하며; 인식 모듈(11)의 상태 정보가 제2 상태인 경우,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14)은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13)에 의해 피드백 신호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13)에 의해 피드백 신호가 검출된 경우,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14)은 베이스(10)가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금지하고 베이스(10)가 전기밥솥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허용하며;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13)에 의해 피드백 신호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14)은 베이스(10)가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허용하고 베이스(10)가 전기밥솥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금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식 모듈(11)은 리드 스위치(111)를 포함하고, 여기서, 리드 스위치(111)가 닫힌 경우는 제1 상태에 대응되고, 리드 스위치(111)가 열린 경우는 제2 상태에 대응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10)가 통전된 후,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13)이 닫힘 상태에 있는 경우, 인식 모듈(11)의 상태 정보가 제2 상태라면,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14)은 코일 플레이트(12)를 제어하여 가열 솥 검출 신호를 출력하고, 가열 솥 검출 신호에 따라 베이스(10)에 현재 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여기서, 베이스(10)에 현재 솥이 있다면,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14)은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13)을 제어하여 작업시킴으로써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13)에 의해 피드백 신호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베이스(10)에 현재 솥이 없다면,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14)은 베이스(10)가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허용하고 베이스(10)가 전기밥솥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금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10) 내에는 제1 무선 통신 모듈(15)이 더 설치되고, 여기서,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14)이 베이스(10)가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금지하고 베이스(10)가 전기밥솥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경우,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13)과 현재 베이스(10)에 놓되는 기구 본체(20) 내의 무선 수신 코일 회로 모듈(21)이 무선 전기 공급 연결을 구축하고, 제1 무선 통신 모듈(15)과 기구 본체(20) 내의 제2 무선 통신 모듈(23)이 무선 통신 연결을 구축함으로써 현재 베이스(10)에 놓인 기구 본체(20)와 베이스(10)의 통신 데이터 인터랙션을 구현하고 현재 베이스(10)에 놓인 기구 본체(20) 내의 전기밥솥 제어 모듈(22)은 현재 베이스(10)에 놓인 기구 본체(20)와 베이스(10)의 통신 데이터 인터랙션에 따라 코일 플레이트(12)의 가열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10)가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허용하고 베이스(10)가 전기밥솥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금지하는 경우,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14)은 코일 플레이트(12)를 제어하여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가열한다.
부연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분리형 조리기구에서 피력하지 않은 세부 사항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분리형 조리기구의 조리 제어 방법에서 피력되는 세부 사항을 참조할 수 있는 바,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리기구는, 조리 기구의 베이스 내에 인식 모듈, 코일 플레이트,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 및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이 설치되고,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은 베이스가 통전된 후, 인식 모듈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여기서, 인식 모듈의 상태 정보가 제1 상태인 경우,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베이스가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금지하고 베이스가 전기밥솥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허용하며; 인식 모듈의 상태 정보가 제2 상태인 경우,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은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에 의해 피드백 신호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에 의해 피드백 신호가 검출된 경우,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은 베이스가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금지하고 베이스가 전기밥솥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에 의해 피드백 신호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은 베이스가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허용하고 베이스가 전기밥솥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금지한다. 당해 분리형 조리기구이는 베이스와 기구 본체의 분리/조합 상태를 효과적으로 인식 가능하고, 단일한 인식 방식이 무효화되는 경우에 조합 상태가 검출되지 않음으로 인해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에 머물게 되면서 기구 본체가 지속적으로 가열되는 안전 문제가 초래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회피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용어 '중심', '종방향', '횡방향', '길이', '너비', '두께', '상', '하', '전', '후', '좌', '우', '연직', '수평', '정(頂)', '저(底)', '내', '외', '시계 방향', '시계 반대 방향', '축방향', '반경 방향', '원주 방향' 등이 가리키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는 첨부 도면에 도시한 방위 또는 위치 관계에 따른 것으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는 편의 및 설명의 간략화를 위한 것일 뿐, 가리키는 장치 또는 소자가 반드시 특정된 방위를 가지고 특정한 방위로 구성되고 조작됨을 시사하거나 암시하는 것이 아니므로 이를 본 발명에 대한 한정으로 이해하여서는 안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용어 '제1', '제2'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일 뿐, 이를 상대적 중요성을 시사 또는 암시하는 것으로, 또는 가리키는 기술 특징의 수량을 암묵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안된다. 따라서, '제1', '제2'로 한정되는 특징은 하나 또는 더 많은 당해 특징을 명시적으로 또는 암묵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별도로 명확하고 구체적인 한정이 있지 않은 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 '복수'의 함의는 2개 또는 2개 이상이다.
본 발명에서, 별도로 명확한 규정과 한정이 있지 않은 한, 용어 '장착', '상호 연결', '연결', '고정' 등은 광범위한 의미로 이해되어야 하는 바, 예를 들면, 고정 연결일 수도 있고 탈착 가능한 연결일 수도 있고 또는 일체화된 것일 수도 있으며; 기계 연결일 수도 있고 전기 연결일 수도 있으며; 직접 연결일 수도 있고 중간 매개체를 통한 간접 연결일 수도 있고 2개의 소자의 내부 연통 또는 2개 소자의 상호 작용 관계일 수도 있다. 당업자라면,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상술한 용어가 본 발명에서의 구체적인 함의를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별도로 명확한 규정과 한정이 있지 않은 한,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상' 또는 '하'에 있다는 것은, 제1 및 제2 특징의 직접 접촉이거나 또는 중간 매개체를 통한 제1 및 제2 특징의 간접 접촉일 수 있다.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위', '상방' 및 '상면'이라는 것은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바로 상방 또는 경사 상방이거나, 또는 단지 제1 특징의 수평 높이가 제2 특징보다 높음을 나타낼 수 있다.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아래', '하방' 및 '하면'이라는 것은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바로 하방 또는 경사 하방이거나, 또는 단지 제1 특징의 수평 높이가 제2 특징보다 낮음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 참조 용어로서 '일 실시예', '일부 실시예', '예시', '구체적인 예시', 또는 '일부 예시' 등의 설명은 이러한 실시예 또는 예시를 결부하여 설명되는 구체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징점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술의 용어에 대한 예시적인 서술은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 또는 예시에 대한 것이 아니다. 그리고, 설명되는 구체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징점은 임의의 하나 또는 복수 개 실시예 또는 예시에서 적합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호 모순되지 않은 상황에서,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서로 다른 실시예 또는 예시 및 서로 다른 실시예 또는 예시의 특징을 결합하고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비록 위에서 이미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를 본 발명에 대한 한정으로 이해하여서는 안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의 상술한 실시예에 대한 변화, 수정, 치환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Claims (10)

  1. 분리형 조리기구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 조리기구는 베이스 및 기구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기구 본체는 상기 베이스에 놓기에 적합하고 상기 베이스로부터 분리 가능하며, 상기 베이스 내에는 인식 모듈, 코일 플레이트,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베이스가 통전된 후, 상기 인식 모듈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인식 모듈의 상태 정보가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베이스가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금지하고 상기 베이스가 전기밥솥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단계;
    상기 인식 모듈의 상태 정보가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에 의해 피드백 신호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에 의해 피드백 신호가 검출된 경우, 상기 베이스가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금지하고 상기 베이스가 전기밥솥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에 의해 피드백 신호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베이스가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베이스가 전기밥솥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금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조리기구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 모듈은 리드 스위치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리드 스위치가 닫힌 경우는 상기 제1 상태에 대응되고, 상기 리드 스위치가 열린 경우는 상기 제2 상태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조리기구의 제어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가 통전된 후, 상기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이 닫힘 상태에 있다면, 상기 인식 모듈의 상태 정보가 제2 상태인 경우에 상기 코일 플레이트를 제어하여 가열 솥 검출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가열 솥 검출 신호에 따라 상기 베이스에 현재 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여기서,
    상기 베이스에 현재 솥이 있다면, 상기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을 제어하여 작업시킴으로써 상기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에 의해 피드백 신호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베이스에 현재 솥이 없다면, 상기 베이스가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베이스가 전기밥솥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조리기구의 제어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내에는 제1 무선 통신 모듈이 더 설치되고, 여기서, 상기 베이스가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이 금지되고 상기 베이스가 전기밥솥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이 허용되는 경우, 상기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과 현재 상기 베이스에 놓인 기구 본체 내의 무선 수신 코일 회로 모듈이 무선 전기 공급 연결을 구축하고, 상기 제1 무선 통신 모듈과 상기 기구 본체 내의 제2 무선 통신 모듈이 무선 통신 연결을 구축함으로써 현재 상기 베이스에 놓인 기구 본체와 상기 베이스의 통신 데이터 인터랙션을 구현하고 현재 상기 베이스에 놓인 기구 본체와 상기 베이스의 통신 데이터 인터랙션에 따라 상기 코일 플레이트의 가열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조리기구의 제어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가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이 허용되고 상기 베이스가 전기밥솥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이 금지되는 경우, 상기 코일 플레이트를 제어하여 상기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조리기구의 제어 방법.
  6. 분리형 조리기구에 있어서,
    베이스 및 기구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기구 본체는 상기 베이스에 놓기에 적합하고 상기 베이스로부터 분리 가능하며, 상기 베이스 내에는 인식 모듈, 코일 플레이트,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 및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은 상기 베이스가 통전된 후, 상기 인식 모듈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여기서,
    상기 인식 모듈의 상태 정보가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은 상기 베이스가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금지하고 상기 베이스가 전기밥솥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허용하며;
    상기 인식 모듈의 상태 정보가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은 상기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에 의해 피드백 신호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에 의해 피드백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은 상기 베이스가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금지하고 상기 베이스가 전기밥솥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허용하며;
    상기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에 의해 피드백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은 상기 베이스가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베이스가 전기밥솥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조리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 모듈은 리드 스위치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리드 스위치가 닫힌 경우는 상기 제1 상태에 대응되고, 상기 리드 스위치가 열린 경우는 상기 제2 상태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조리기구.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가 통전된 후, 상기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이 닫힘 상태에 있다면, 상기 인식 모듈의 상태 정보가 제2 상태인 경우에 상기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이 상기 코일 플레이트를 제어하여 가열 솥 검출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가열 솥 검출 신호에 따라 상기 베이스에 현재 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여기서,
    상기 베이스에 현재 솥이 있다면, 상기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이 상기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을 제어하여 작업시킴으로써 상기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에 의해 피드백 신호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베이스에 현재 솥이 없다면, 상기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이 상기 베이스가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베이스가 전기밥솥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조리기구.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내에는 제1 무선 통신 모듈이 더 설치되고, 여기서, 상기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이 상기 베이스가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금지하고 상기 베이스가 전기밥솥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경우, 상기 무선 송신 코일 회로 모듈과 현재 상기 베이스에 놓인 기구 본체 내의 무선 수신 코일 회로 모듈이 무선 전기 공급 연결을 구축하고, 상기 제1 무선 통신 모듈과 상기 기구 본체 내의 제2 무선 통신 모듈이 무선 통신 연결을 구축함으로써 현재 상기 베이스에 놓인 기구 본체와 상기 베이스의 통신 데이터 인터랙션을 구현하고 현재 상기 베이스에 놓인 기구 본체 내의 전기밥솥 제어 모듈이 현재 상기 베이스에 놓인 기구 본체와 상기 베이스의 통신 데이터 인터랙션에 따라 상기 코일 플레이트의 가열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조리기구.
  10.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가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이 허용되고 상기 베이스가 전기밥솥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것이 금지되는 경우, 상기 인덕션 레인지 제어 모듈은 상기 코일 플레이트를 제어하여 상기 인덕션 레인지 작업 모드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조리기구.
KR1020207010549A 2017-10-24 2017-11-20 분리형 조리기구 및 그 제어 방법 KR1023219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1003976.4 2017-10-24
CN201711003976.4A CN109691869B (zh) 2017-10-24 2017-10-24 分体式烹饪器具及其控制方法
PCT/CN2017/111888 WO2019080220A1 (zh) 2017-10-24 2017-11-20 分体式烹饪器具及其控制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2940A KR20200052940A (ko) 2020-05-15
KR102321975B1 true KR102321975B1 (ko) 2021-11-03

Family

ID=66228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0549A KR102321975B1 (ko) 2017-10-24 2017-11-20 분리형 조리기구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684208B2 (ko)
EP (1) EP3685711B1 (ko)
JP (1) JP6855638B2 (ko)
KR (1) KR102321975B1 (ko)
CN (1) CN109691869B (ko)
WO (1) WO2019080220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47832A1 (en) 2008-12-16 2010-06-17 Barker Iii Charles R Induction cookware identifying
CN202076854U (zh) 2011-04-20 2011-12-14 九阳股份有限公司 安全耦合器及其烹饪器具
US20130320000A1 (en) 2012-05-29 2013-12-05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to detect a position of a cookware utensil in an induction cooktop system
US20170064775A1 (en) 2014-02-21 2017-03-02 Morphy Richards Limited Magnetic Method for Determining A Cooking Appliance Characteristic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701051U (zh) * 2010-06-24 2011-01-12 王静轩 嵌入射频识别标签的炊具智能识别系统
DE102011088675A1 (de) * 2011-12-15 2013-06-2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ochfeldplatte
CN103960956A (zh) * 2013-01-31 2014-08-06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烹饪加热装置及烹饪控制方法
CN104427671B (zh) * 2013-09-10 2017-11-10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电磁加热装置、烹饪设备及其控制方法
CN204717779U (zh) * 2015-04-08 2015-10-21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电磁炉、锅具和电加热装置
US10440778B2 (en) * 2015-10-13 2019-10-08 Whirlpool Corporation Temperature controlling device for an appliance heating element
CN205849261U (zh) * 2016-05-23 2017-01-04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用于烹饪器具的无线供电系统和烹饪器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47832A1 (en) 2008-12-16 2010-06-17 Barker Iii Charles R Induction cookware identifying
CN202076854U (zh) 2011-04-20 2011-12-14 九阳股份有限公司 安全耦合器及其烹饪器具
US20130320000A1 (en) 2012-05-29 2013-12-05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to detect a position of a cookware utensil in an induction cooktop system
US20170064775A1 (en) 2014-02-21 2017-03-02 Morphy Richards Limited Magnetic Method for Determining A Cooking Appliance Characteristi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45810A1 (en) 2020-08-06
JP2020536701A (ja) 2020-12-17
US11684208B2 (en) 2023-06-27
JP6855638B2 (ja) 2021-04-07
EP3685711B1 (en) 2021-04-28
EP3685711A1 (en) 2020-07-29
KR20200052940A (ko) 2020-05-15
WO2019080220A1 (zh) 2019-05-02
EP3685711A4 (en) 2020-12-02
CN109691869A (zh) 2019-04-30
CN109691869B (zh) 2020-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08139B2 (ja) 非接触給電装置および非接触電力伝送システム
US9955529B2 (en) Smart cookware
EP3063852B1 (en) Thermal barrier for wireless power transfer
CN108291724A (zh) 用于智能下置型感应灶的支撑烹饪容器的装置
EP3178149B1 (en) Wireless power apparatus, system and method
JP4850220B2 (ja) 誘導加熱調理器
EP2859776B1 (en) A wireless kitchen appliance
EP2957147A1 (en) Wireless inductive power transfer with temperature control of the receiver
WO2013098240A1 (en) Induction heating cooktop communication system
WO2016125227A1 (ja) 非接触電力伝送装置、電気機器、及び非接触電力伝送システム
CN105326388A (zh) 一种基于无线控制的智能电水壶
KR20200106853A (ko) 인덕션 코일 제어 방법 및 인덕션 코일 장치
US11555867B2 (en) Electric pot having improved relay installation position
KR20210048239A (ko) 소물 가전 및 소물 가전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KR102321975B1 (ko) 분리형 조리기구 및 그 제어 방법
CN209678212U (zh) 一种智能热水壶
KR101621389B1 (ko) 전기레인지
CN214094614U (zh) 炊具
CN205181069U (zh) 电热烹饪器具
CN105661916A (zh) 安全餐桌装置
CN201528443U (zh) 一种适用于电磁加热器具上的信号发射装置
CN112056941A (zh) 无线供电养生壶加热装置
JP2002134262A (ja) 誘導加熱調理器
CN105816028A (zh) 电热水壶
CN103826340A (zh) 低待机功耗的电磁加热烹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