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1516B1 -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1516B1
KR102321516B1 KR1020200043100A KR20200043100A KR102321516B1 KR 102321516 B1 KR102321516 B1 KR 102321516B1 KR 1020200043100 A KR1020200043100 A KR 1020200043100A KR 20200043100 A KR20200043100 A KR 20200043100A KR 102321516 B1 KR102321516 B1 KR 102321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photographing
drone
terminal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3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6167A (ko
Inventor
이수현
김창우
Original Assignee
디아이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아이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아이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3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1516B1/ko
Publication of KR20210126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6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1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1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3Propulsion using external fans or propell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06Apparatus mounted on flying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B64C2201/024
    • B64C2201/108
    • B64C2201/127
    • B64C2201/141
    • B64C2201/16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Abstract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이 제공된다. 상기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은,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장착되어, 상기 바디부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프로펠러부,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고, 상기 바디부 내에 장착된 통신부, 상기 바디부의 하부면에 장착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갖는 대상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영용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촬영용 단말기와 상기 대상체가 기준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로펠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 및 그 동작 방법{Drone comprising self camera and method of operating of the same}
본 출원은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 및 그 동작 방법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촬영 대상체와 기준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원격 제어하여 촬영 대상체를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는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 및 그 동작 방법에 관련된 것이다.
드론(Drone)은 조종자가 탑승하지 않은 상태로 항행할 수 있는 비행체로, 자동 또는 원격 조종으로 비행하며 일회용 또는 재사용할 수 있는 동력 비행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초기에는 군사용으로 개발되었으나 근래에는 농업, 광업, 치안, 물류, 에너지, 방송 산업 분야로 활발히 활용되며 민간 시장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드론은 사업용 드론과 개인용 드론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사업용 드론은, 운송, 농수산업, 인프라 관리에서 사용되는 드론으로, 각 산업계에서 드론은 운송을 위한 배송 및 유인드론, 농수산업에서 사용되는 방제 무인헬기와 농업드론, 접근성이 떨어지는 인프라 관리를위한 전력선, 교량 관리 드론 등으로 분류되며, 개인용 드론은 오락 및 스포츠 분야에서 사용되는 드론으로 촬영 레이싱 드론 등이 대표적이다.
다양한 분야에서 드론에 대한 활용 분야가 확대됨에 따라, 소비자의 니즈에 따른 기능을 갖는 드론에 대한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 공개 공보 10-2020-0027265에는, 드론의 둘레면 일측을 함몰시켜 형성되는 이동몸체장착홈, 상기 이동몸체장착홈에 끼워져 수직방향으로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이동몸체와, 상기 이동몸체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레크로 구성된 이동몸체부, 상기 레크와 기어물림되며 상기 드론의 내부에 설치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과 축 결합되어 상기 피니언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로 구성된 구동부, 상기 이동몸체에 카메라 렌즈가 외측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카메라모듈부, 상기 구동부와 상기 카메라모듈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모터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레크와 피니언을 작동하게 함으로써 상기 이동몸체를 상하로 이동시키고, 상기 카메라모 듈부의 셔터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드론을 일정 고도만큼 이륙시킨 후, 드론 자체는 그 고도를 유지하면서 이동몸체를 수직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카메라렌즈가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점검 대상 부위를 상·하로 촬영하여 점검 대상물의 이상 유무를 정확하게 판단 가능한 드론이 개시되어 있다.
본 출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촬영 대상체와 기준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유지되는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출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사진 촬영이 용이한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출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휴대용 단말기를 드론에 부착하여 촬영을 수행하는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출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촬영 각도로 촬영할 수 있는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출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은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은,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장착되어, 상기 바디부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프로펠러부,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고, 상기 바디부 내에 장착된 통신부, 상기 바디부의 하부면에 장착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갖는 대상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영용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촬영용 단말기와 상기 대상체가 기준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로펠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은, 상기바디부의 하부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된 제어 플레이트, 및 상기 제어 플레이트의 하부면에 결합된 일단, 및 상기 촬영용 단말기와 결합된 타단을 갖고, 상기 제어 플레이트의 하부면에서 아래로 연장하는 복수의 레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레그의 상기 일단들은, 상기 제어 플레이트의 하부면의 가장자리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레그의 상기 타단들은, 상기 촬영용 단말기의 가장자리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레그의 상기 타단들은, 상기 촬영용 단말기의 뒷면의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상기 촬영용 단말기의 전면 카메라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갖는 대상체를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통신하고, 상기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은, 상기 촬영용 단말기가 상기 대상체를 촬영한 이미지 및 영상 파일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르면,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은,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장착되어 상기 바디부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프로펠러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고 상기 바디부 내에 장착된 통신부, 상기 바디부의 하부면에 장착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갖는 대상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영용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촬영용 단말기와 상기 대상체가 기준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로펠러부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일정한 기준 거리 범위 내에 드론이 비행할 수 있도록 용이하게 제어하면서 셀프 촬영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다양한 활동을 즐기는 동시에 활동 장면을 이미지 파일 및 영상 파일로 용이하게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되지 않고, 방치되는 스마트 폰과 같은 단말기를 상기 촬영용 단말기로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프 카메라를 구히나 드론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의 다양항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에 포함된 제어 플레이트 및 촬영용 단말기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에 포함된 제어 플레이트 및 촬영용 단말기의 각도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프 카메라를 구히나 드론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100)은, 바디부(105), 제어부(110), 프로펠러부(120), 촬영용 단말기(130), 통신부(140), 및 데이터 저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05)는 상기 드론(100)의 몸체일 수 있다.
상기 프로펠러부(120)는 상기 바디부(105)에 장착되어, 상기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100)을 비행시킬 수 있다.
상기 통신부(140)는 사용자 단말기(160)와 다양한 무선 통신 방법(예를 들어, 블루투스, wi-fi 등)으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40)는 상기 바디부(105) 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촬영용 단말기(130)에 포함된 카메라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60)를 갖는 대상체(예를 들어, 사람, 동물 등)를 촬영하여 이미지 및 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촬영용 단말기(130)의 카메라에서 생성된 이미지 및 영상 파일은 상기 데이터 저장부(150)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촬영용 단말기(130)는 상기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100)의 상기 바디부(105)의 하부에 장착될 수 있다. 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촬영용 단말기(130)는 상기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100)의 상기 바디부(105) 상부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6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촬영용 단말기(130)와 상기 대상체가 기준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로펠러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160)와 상기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100)은 1:1로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100)이 대상체의 주변에 자동으로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60)는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PC, 무선충전 패드 등일 수 있다.
상기 대상체의 주변에서 상기 촬영용 단말기(130)에 의해 촬영된 상기 대상체의 이미지 및 영상 파일은,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 저장부(15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160)로부터 상기 통신부(140)를 통해 전송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대상체의 이미지 및 영상 파일은, 상기 통신부(140)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160)로 실시간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대상체의 이미지 및 영상 파일은 외부 서버로 실시간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100)은 자동 고도 센서를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100)은 기준 고도 범위 내에서 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100)의 상기 촬영용 단말기(130)는 자동촬영방식, 또는 수동촬영방식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160)의 명령에 따라 상기 대상체를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m~30m 까지 수동지정하여 상기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100)이 상기 대상체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100)은 항공법에 걸리지 않는 30M로 제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은, 라즈베리파이 + ( NAVIO+ ), 가속도센서 + 자이로센서 (IMU 센서), GPS 모듈, Wifi 모듈, Bluetooth 모듈, 초음파 센서, 무선충전방식(공진방식), 카메라(1080p), 짐벌, 리모콘컨트롤러, 및 리튬폴리늄배터리를 포함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에 자율 비행 시스템, 충돌 방지 시스템, 고도 제한 시스템, 다이폴코일을 이용한 무선자기공진방식 충전부가 장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의 다양항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10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160)를 갖는 사용자가 자전거를 타거나, 암벽 등반을 하는 등 레저 스포츠를 즐기는 동안에도, 상기 사용자로부터 기준 거리 범위 내에 자동적으로 위치하여, 상기 사용자를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사용자는 사진 촬영에 신경쓰지 않고 다양한 활동을 즐기는 동시에, 상기 사용자의 활동 장면을 용이하게 촬영, 저장, 및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에 포함된 제어 플레이트 및 촬영용 단말기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에 포함된 제어 플레이트 및 촬영용 단말기의 각도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100)은, 상기 바디부(105)의 하부면에 장착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160)를 갖는 대상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상기 촬영용 단말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촬영용 단말기(130)는,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촬영용 단말기(130)는 단말기 교체 후 사용하지 않고 방치된 단말기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되지 않고 방치된 단말기를 드론의 상기 바디부(105)에 부착하여, 촬영용으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촬영용 단말기(130)는 상기 바디부(105)의 하부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100)은, 제어 플레이트(138) 및 상기 복수의 레그(136a, 136b, 136c, 136d)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플레이트(138)는 상기 바디부(105)의 하부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플레이트(138)는 상기 바디부(105)의 하부면에 자석 또는 후크 등을 이용하여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또는, 일 변형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플레이트(138)는 상기 바디부(105)와 별개의 구성이 아닌, 상기 바디부(105)의 일부분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 플레이트(138)는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되지 않고, 상기 바디부(105)와 일체(one body)를 이룰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레그(136a, 136b, 136c, 136d)의 일단들이 상기 제어 플레이트(138)의 하부면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레그(136a, 136b, 136c, 136d)의 상기 일단들은, 상기 제어 플레이트(138)의 하부면의 가장자리에 고정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레그(136a, 136b, 136c, 136d)의 타단들에 상기 촬영용 단말기(130)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레그(136a, 136b, 136c, 136d)의 상기 타단들에 각각 제1 자석 패드가 제공되고, 상기 촬영용 단말기(130)의 뒷면에 제2 자석 패드들이 부착되어, 상기 제1 자석 패드 및 상기 제2 자석 패드 사이의 자기적 인력에 의해, 상기 촬영용 단말기(130)가 상기 복수의 레그(136a, 136b, 136c, 136d)의 상기 타단들이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레그(136a, 136b, 136c, 136d)의 상기 일단들이 상기 제어 플레이트(138)의 하부면의 가장자리에 고정 결합되는 경우, 복수의 레그(136a, 136b, 136c, 136d)의 상기 타단들은 상기 촬영용 단말기(130)의 뒷면의 가장자리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촬여용 단말기(130)의 전면 카메라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160)를 갖는 상기 대상체를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레그(136a, 136b, 136c, 136d)는 각각, 유니버셜 조인트(134a) 및 변동 로드(134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동 로드(134b)는, 상기 제어 플레이트(138) 내부에 구비된 모터부(예를 들어, 리니어 모터(linear motor))에 의해 구동되어, 길이가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제어 플레이트(138)는,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105)의 하부면에 장착될 수 있고, 상기 바디부(105)의 하부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부(105)의 상기 통신부(140) 및 상기 제어부(11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모터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60)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결론적으로, 상기 변동 로드(134b)의 길이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16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레그(136a, 136b, 136c, 136d)의 상기 변동 로드(134b)의 길이가 변화되어, 상기 촬영용 단말기(130)의 전면 카메라의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160)를 갖는 상기 대상체를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레그(136a, 136b, 136c, 136d)에 포함된 상기 변동 로드(134b)의 길이는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으며, 개별적으로 길이가 제어되는 상기 변동 로드(134b)에 의해 상기 복수의 레그(136a, 136b, 136c, 136d)의 길이가 변화되고 상기 복수의 레그(136a, 136b, 136c, 136d)의 길이 변화에 맞춰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134a)가 벤딩(bending)되어, 상기 촬영용 단말기(130)의 기울기가 조절되고, 이로 인해, 촬영 각도가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레그(136c) 및 제4 레그(136d)의 길이가 길어지고, 제1 레그(136a) 및 제2 레그(136b)의 길이가 고정된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길어진 상기 제3 레그(136c) 및 상기 제4 레그(136d)에 의해, 상기 복수의 레그(136a, 136b, 136c, 136d)의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134a)가 벤딩(bending)되면서, 상기 촬영용 단말기(130)가 기울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레그(136c) 및 상기 제4 레그(136d)에 인접한 상기 촬영용 단말기(130)의 일변이, 상기 일변에 대향하는 타변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레벨에 위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촬영용 단말기(130)의 전면 카메라의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제1 레그(136a) 및 상기 제4 레그(136d)의 길이가 길어지고, 상기 제2 레그(136b) 및 상기 제3 레그(136c)의 길이가 고정된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길어진 상기 제1 레그(136a) 및 상기 제4 레그(136d)에 의해 상기 복수의 레그(136a, 136b, 136c, 136d)의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134a)가 벤딩(bending)되면서, 상기 촬영용 단말기(130)가 기울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레그(136a) 및 상기 제4 레그(136d)에 인접한 상기 촬영용 단말기(130)의 일변이, 상기 일변에 대향하는 타변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레벨에 위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촬영용 단말기(130)의 전면 카메라의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상기 드론(100)은, 바디부(105), 상기 바디부(105)에 장착되어 상기 바디부(105)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프로펠러부(120), 상기 사용자 단말기(160)와 통신하고 상기 바디부(105) 내에 장착된 통신부(140), 상기 바디부(105)의 하부면에 장착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160)를 갖는 대상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영용 단말기(130),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16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촬영용 단말기와 상기 대상체가 기준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로펠러부(120)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되지 않고, 방치되는 스마트 폰과 같은 단말기를 상기 촬영용 단말기(130)로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용 단말기(130)와 결합된 상기 복수의 레그(136a, 136b, 136c, 1356d)의 길이 제어를 통해, 상기 촬영용 단말기(130)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상기 촬영용 단말기(130)의 전면 카메라의 각도를 용이하게 제어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 가능한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100)이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의 변형 예가 설명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변형 예에 따르면, 상술된 상기 드론(100)의 상기 바디부(105)의 하부면에 하우징(210)이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 공간에 카메라(24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240)의 상단은 연결 로드(236) 및 유니버셜 조인트(232)에 의해, 상기 하우징(210)의 상단의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10)의 하단은 개방되어, 개방된 영역을 통해 상기 카메라(240)를 통해 대상체가 촬영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10)의 측벽의 내벽 상에는 코일부(252, 254)가 제공되고, 상기 코일부(252, 254)와 마주보는 상기 카메라(240)의 측벽 상에는 자성부(242, 244)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코일부(252, 254)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 및 세기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160)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상기 코일부(252, 254)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서, 상기 코일부(252, 254) 및 상기 자성부(242, 244) 사이에 인력 또는 척력이 작용하여, 상기 카메라(240)가 제1 코일부(252) 또는 제2 코일부(254)에 인접하도록,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232)에 의해 기울여 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카메라(240)의 각도가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 제1 코일부(252) 및 제1 자성부(242)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제1 코일부(252)에 전류가 흐르거나, 또는 상기 제2 코일부(254) 및 제2 자성부(244) 사이에 척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제2 코일부(254)에 전류가 흐르는 경우, 상기 카메라(240)가 상기 제1 코일부(252)에 인접하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또는,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제1 코일부(252) 및 상기 제1 자성부(242) 사이에 척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제1 코일부(252)에 전류가 흐르거나, 또는 상기 제2 코일부(254) 및 상기 제2 자성부(244)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제2 코일부(254)에 전류가 흐르는 경우, 상기 카메라(240)가 상기 제2 코일부(254)에 인접하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하우징(210)의 측벽에는 3개 이상의 코일부가 제공되고, 상기 3개 이상의 코일부와 마주보는 상기 카메라(240)의 측벽에는 3개 이상의 자성부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 로드(236)가 연장하는 방향을 바라보는 뷰(view)에서, 상기 카메라(240)의 측벽에 4개의 자성부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4개의 자성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하우징(210)의 측벽에 4개의 코일부가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하우징(210)의 제1 내지 제4 측벽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4 측벽의 내벽 상에 상기 4개의 코일부가 제공되고, 상기 4개의 코일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카메라(240)의 측벽에 4개의 자성부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3개 이상의 코일부는 각각 개별적으로 전류의 방향 및 세기가 제어되되, 2개 이상의 코일부에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카메라(240)는 다양한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다.
상술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당업자들에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
110: 제어부
120: 프로펠러부
130: 촬영용 단말기
134a: 유니버셜 조인트
134b: 변동 로드
136a, 136b, 136c, 136d: 레그
140: 통신부
150: 데이터 저장부
160: 사용자 단말기
210: 하우징
232: 유니버셜 조인트
236: 연결 로드
240: 카메라
242, 244: 자성부
252, 254: 코일부

Claims (5)

  1.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장착되어, 상기 바디부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프로펠러부;
    상기 바디부의 하부면에 장착되어 대상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영용 단말기;
    상기 바디부의 하부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된 제어 플레이트; 및
    상기 제어 플레이트의 하부면에 결합된 일단, 및 상기 촬영용 단말기와 결합된 타단을 갖고, 상기 제어 플레이트의 하부면에서 아래로 연장하는 복수의 레그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레그의 상기 일단들은, 상기 제어 플레이트의 하부면의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레그의 상기 타단들은, 상기 촬영용 단말기의 가장자리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포함하는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
  2. 제1 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고, 상기 바디부 내에 장착된 통신부; 및
    상기 프로펠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촬영용 단말기와 상기 대상체가 기준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로펠러부를 제어하고,
    상기 촬영용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갖는 상기 대상체를 촬영하는 것을 포함하는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통신하고,
    상기 촬영용 단말기가 상기 대상체를 촬영한 이미지 및 영상 파일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레그의 상기 타단들은, 상기 촬영용 단말기의 뒷면의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상기 촬영용 단말기의 전면 카메라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갖는 대상체를 촬영하는 것을 포함하는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
  5. 삭제
KR1020200043100A 2020-04-09 2020-04-09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 및 그 동작 방법 KR102321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100A KR102321516B1 (ko) 2020-04-09 2020-04-09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100A KR102321516B1 (ko) 2020-04-09 2020-04-09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6167A KR20210126167A (ko) 2021-10-20
KR102321516B1 true KR102321516B1 (ko) 2021-11-19

Family

ID=78268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3100A KR102321516B1 (ko) 2020-04-09 2020-04-09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15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3311A (ko) 2022-04-05 2023-10-12 주식회사 아르고스다인 셀프 드론 촬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127084A1 (en) * 2016-11-23 2019-05-02 Chi Pang Yau Camera mounting apparatus for airborne oblique photogrammetric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8003A (ko) * 2015-11-18 2017-05-26 최현일 스마트폰을 장착할 수 있는 휴대용 리모트 컨트롤 무인 드론
KR20170059893A (ko) * 2015-11-20 2017-05-31 주식회사 드론메이트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
KR20170095056A (ko) * 2016-02-12 2017-08-22 전준필 복수의 회전자를 가진 무인비행기를 이용한 방범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127084A1 (en) * 2016-11-23 2019-05-02 Chi Pang Yau Camera mounting apparatus for airborne oblique photogrammetric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3311A (ko) 2022-04-05 2023-10-12 주식회사 아르고스다인 셀프 드론 촬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6167A (ko) 2021-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7961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tonomous photography and videography
US11899472B2 (en) Aerial vehicle video and telemetric data synchronization
US2022008307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ircraft, device, and aircraft
US11377211B2 (en) Flight path generation method, flight path generation system, flight vehicle, program, and storage medium
US20190318636A1 (en) Flight route display method, mobile platform, flight system,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KR20170059893A (ko)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
US20160124435A1 (en) 3d scanning and imaging method utilizing a self-actuating compact unmanned aerial device
JP6281720B2 (ja) 撮像システム
JPWO2018193574A1 (ja) 飛行経路生成方法、情報処理装置、飛行経路生成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200150662A1 (en) Flying body, living body detection system, living body detection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N107580161B (zh) 摄影设备及方法、移动摄影装置、摄影用移动体及其控制装置
WO2019009171A1 (en) IMAGING DEVICE, DRONE EQUIPPED WITH CAMERA, METHOD OF CONTROLLING MODE AND PROGRAM
CN107231518A (zh) 摄影设备、摄影用移动体和移动体用摄影控制装置
KR102321516B1 (ko)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 및 그 동작 방법
WO2020014953A1 (zh) 一种图像处理方法及设备
WO2020225979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6481228B1 (ja) 決定装置、制御装置、撮像システム、飛行体、決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495562B1 (ja) 無人飛行体による空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29219B2 (ja) 操作端末、及び移動体
JP6475568B2 (ja) 撮像装置および飛行制御方法
KR20210136191A (ko)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
JP6471272B1 (ja) 長尺画像生成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80000110A (ko) 드론 및 그 제어방법
US11238281B1 (en) Light source detection in field of view
KR20230027705A (ko) 컨트롤러 조작하는 사람을 자동으로 촬영하는 드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