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1509B1 - 동적 배후지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동적 배후지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1509B1
KR102321509B1 KR1020180091881A KR20180091881A KR102321509B1 KR 102321509 B1 KR102321509 B1 KR 102321509B1 KR 1020180091881 A KR1020180091881 A KR 1020180091881A KR 20180091881 A KR20180091881 A KR 20180091881A KR 102321509 B1 KR102321509 B1 KR 102321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terland
walking
base station
base stations
pop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1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6595A (ko
Inventor
정상욱
김혜주
박정윤
부유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80091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1509B1/ko
Publication of KR20200016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6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1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1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4Market segmentation
    • G06Q30/0205Location or geographical consid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적 배후지 생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정 건물이 포함된 기준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 영역 내에 일정 시간 동안 체류하는 보행 인구들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보행 인구들이 상기 기준 기지국에 도달하기 전에 경유한 유입 기지국들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유입 기지국들에서 상기 기준 기지국으로 유입되는 보행 인구 정보를 계산하는 단계; 및 유입 기지국 별 보행 인구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건물의 배후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동적 배후지 생성 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GENERTING A DYNAMIC INFLOW AREA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특정 건물의 배후지를 생성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동 인구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건물의 배후지를 동적으로 생성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시티(Smart city) 또는 스마트 도시는 다양한 유형의 전자 데이터 수집 센서를 사용하여 자산과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도시 지역이다.
최근 스마트 시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도시를 구성하는 공간(area), 사람(people), 시간(time) 등에 대한 개념 정립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공간 위의 건물, 조형물, 설치물 등이 주변 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또는 어떤 사람들을 유입시키는 기반이 되는지 등에 대한 개념의 정립이 필요해지고 있다.
한편, 종래에는 부동산 전문가 또는 상권분석 전문가 등의 경험적인 판단에 기초하여 공간을 블록 단위로 형성하고, 블록 단위의 영역을 배후지로 정의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배후지는 주로 상권분석 시스템에서 건물 별 상권 정보(가령, 인근 유동인구 수, 인근 경쟁업체 수 등)를 집계 또는 분석하기 위한 공간적인 범위로써 활용되고 있다.
그런데, 블록 단위의 배후지 생성 방법은, 부동산 전문가 또는 상권분석 전문가 등이 전국을 블록 단위로 분할하기 때문에 잘 아는 지역과 그렇지 못한 지역에 대한 편차가 크고, 업데이트 주기가 느리며, 상권의 이동 속도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가령,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상권 블록 내에 존재하는 건물 A와 건물 B의 경우, 물리적으로 매우 떨어져 있어 각 건물이 가지는 배후지의 속성(즉, 유동 인구의 연령층, 방문 목적 등)이 서로 상이할 것으로 보여짐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상권 블록 내에 존재하기 때문에 동일한 속성 정보를 부여하는 오류를 범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건물을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반경에 해당하는 영역을 해당 건물의 배후지로 정의하는 배후지 생성 방법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반경 기준의 배후지 생성 방법 역시 사람들이 잘 건너가지 않아 실제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기 어려운 '큰길 건너편', '하천 건너편' 등이 배후지에 포함될 수 있는 한계를 가진다. 따라서, 실질적인 유동 인구의 흐름을 반영한 배후지를 생성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특정 건물 및 그 인접 영역으로 유입되는 보행 인구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건물의 배후지를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특정 건물의 종류 또는 특징 등에 따라 서로 다른 임계치를 부여하여 해당 건물의 배후지를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특정 건물이 포함된 기준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 영역 내에 일정 시간 동안 체류하는 보행 인구들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보행 인구들이 상기 기준 기지국에 도달하기 전에 경유한 유입 기지국들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유입 기지국들에서 상기 기준 기지국으로 유입되는 보행 인구 정보를 계산하는 단계; 및 유입 기지국 별 보행 인구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건물의 배후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적 배후지 생성 방법을 제공한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적 배후지 생성 방법은, 보행 인구들의 이동 단말기들과 다수의 기지국 간에 송수신되는 LTE 신호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LTE 신호 데이터는, 셀 커버리지 영역 내에 존재하는 보행 인구들의 수, 보행 인구들의 위치, 보행 인구들의 체류 시간, 보행 인구들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 보행 인구들의 단말 식별 정보, 보행 인구들의 위치에 대응하는 기지국 정보, 보행 인구들의 이름/나이/성별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적 배후지 생성 방법에서, 유입 기지국들은 기준 기지국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존재하는 인접 기지국들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적 배후지 생성 방법에서, 유입 기지국들에서 기준 기지국으로 유입되는 보행 인구 정보는 보행 인구들의 유입 비율 또는 유입량임을 특징으로 한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후지 생성 단계는, 보행 인구들의 유입 비율 또는 유입량을 기반으로 유입 기지국들을 내림차순으로 정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후지 생성 단계는, 해당 건물의 업종에 따라 서로 다른 임계치를 부여하고, 상기 임계치에 대응하는 유입 기지국들의 셀 커버리지 영역들을 통합하여 해당 건물의 배후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특정 건물이 포함된 기준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 영역 내에 일정 시간 동안 체류하는 보행 인구들을 검출하는 과정; 상기 보행 인구들이 상기 기준 기지국에 도달하기 전에 경유한 유입 기지국들을 검출하는 과정; 상기 유입 기지국들에서 상기 기준 기지국으로 유입되는 보행 인구 정보를 계산하는 과정; 및 유입 기지국 별 보행 인구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건물의 배후지를 생성하는 과정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특정 건물이 포함된 기준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 영역 내에 일정 시간 동안 체류하는 보행 인구들을 검출하는 보행인구 검출부; 상기 보행 인구들이 상기 기준 기지국에 도달하기 전에 경유한 유입 기지국들을 검출하고, 상기 유입 기지국들에서 상기 기준 기지국으로 유입되는 보행 인구 정보를 계산하는 유입정보 검출부; 및 유입 기지국 별 보행 인구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건물의 배후지를 생성하는 배후지 생성부를 포함하는 동적 배후지 생성 장치를 제공한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적 배후지 생성 장치는, 보행 인구들의 이동 단말기들과 다수의 기지국 간에 송수신되는 LTE 신호 데이터를 수집하는 무선신호 수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동적 배후지 생성 방법 및 그 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특정 건물 및 그 인접 영역으로 유입되는 보행 인구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건물의 배후지를 동적으로 생성함으로써, 해당 배후지 정보를 통해 상권의 이동 및 핫플레이스의 변화 등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특정 건물의 업종에 따라 서로 다른 임계치를 부여하여 해당 건물의 배후지를 동적으로 생성함으로써, 해당 배후지 정보를 신규 매장 출점 등과 같은 다양한 마켓팅에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동적 배후지 생성 방법 및 그 장치가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배후지 생성 방법들을 예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적 배후지 생성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적 배후지 생성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5는 기준 기지국과 유입 기지국의 관계를 예시하는 도면;
도 6은 기준 기지국 내 보행 인구들의 유입 기지국 별 유입량을 예시하는 도면;
도 7은 건물의 업종에 따른 임계치 별 배후지 형태를 예시하는 도면;
도 8은 시간대별 보행 인구의 유입량 변화에 따른 배후지 형태를 예시하는 도면;
도 9는 계절별 보행 인구의 유입량 변화에 따른 배후지 형태를 예시하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특정 건물 및 그 인접 영역으로 유입되는 보행 인구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건물의 배후지를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건물의 종류 또는 특징 등에 따라 서로 다른 임계치를 부여하여 해당 건물의 배후지를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통신 네트워크(110), 서버(120) 및 사용자 단말(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20)와 사용자 단말(130)은 통신 네트워크(110)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110)는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근거리 네트워크(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네트워크(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네트워크(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110)는 공지의 월드 와이드 웹(WWW: World Wide Web)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110)는 상기 열거된 네트워크에 국한되지 않고, 공지의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 공지의 전화 네트워크, 공지의 유/무선 텔레비전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서버(120)는, 서비스 제공 서버로서, 사용자 단말(130)에서 요청하는 통신 서비스(communic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버(120)가 웹 서버인 경우,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30)에서 요청하는 컨텐츠를 웹 페이지 형태로 구성하여 해당 단말(130)로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서버(120)는 특정 지역에 관한 상권 정보를 사용자 단말(13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120)는 해당 지역에 존재하는 건물들의 배후지를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동적 배후지 생성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20)는 각 건물들의 배후지 정보를 해당 지역에 관한 상권 분석에 활용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30)은 서버(12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기반으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버(120)가 웹 서버인 경우, 사용자 단말(130)은 서버(120)로부터 제공받은 컨텐츠를 기반으로 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130)은 상권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하, 설명의 편의상, '상권 분석 애플리케이션'이라 칭함)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30)은 앱 스토어(app store), 플레이 스토어(play store) 등에 접속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거나 혹은 별도의 저장매체를 통해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30)은 서버(120) 또는 타 기기와의 유/무선 통신을 통해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30)은 기 설치된 상권 분석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특정 지역에 관한 상권 분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30)은 서버(12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다양한 상권 분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사용자 단말(130)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데스크톱 컴퓨터(desk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적 배후지 생성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동적 배후지 생성 장치(300)는 무선신호 수집부(310), 보행인구 검출부(320), 유입정보 검출부(330) 및 배후지 생성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동적 배후지 생성 장치(3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상에서 설명되는 동적 배후지 생성 장치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무선신호 수집부(310)는 보행자들의 이동 단말기들과 다수의 기지국 간에 송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선 신호는 LTE(Long Term Evolution) 신호일 수 있다.
LTE 통신 시스템에서는 모든 기지국이 자신의 셀 커버리지 영역(cell coverage area)에 존재하는 이동 단말기들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LTE 신호들을 송수신하도록 하고, 상기 LTE 신호들에 관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보관하고 있다. 따라서, 무선신호 수집부(310)는 LTE 신호들에 관한 데이터를 LTE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
이러한 LTE 신호들은, 특정 셀 커버리지 영역 내에 존재하는 보행자들의 수, 보행자들의 위치, 보행자들의 체류 시간, 보행자들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 보행자들의 단말 식별 정보, 보행자들의 위치에 대응하는 기지국 정보, 보행자들의 이름/나이/성별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보행인구 검출부(320)는 배후지 생성의 대상이 되는 건물이 포함된 셀 커버리지 영역을 담당하는 기지국(이하, 설명의 편의상 '기준 기지국'이라 칭함)을 검출할 수 있다. 이때, 보행인구 검출부(320)는 해당 건물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기준 기지국을 검출할 수 있다.
보행인구 검출부(320)는 기준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 영역 내에 일정 시간 동안 체류하는 보행 인구를 검출할 수 있다. 이는 특정 건물의 근처를 일정 시간 동안 체류하는 보행 인구가 해당 건물의 사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보행인구 검출부(320)는 기준 기지국으로부터 수집된 LTE 신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당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 영역 내에 일정 시간 동안 존재하는 보행자들을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행자들이 체류하는 일정 시간은 약 10분 정도로 설정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유입정보 검출부(330)는 기준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 영역 내에 존재하는 보행자들이 해당 기지국에 도달하기 전에 일정 시간 동안 관측된 인접 기지국들을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행자들이 관측된 일정 시간은 약 1시간 정도로 설정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유입정보 검출부(330)는 기준 기지국 내의 보행자들이 소유한 이동 단말기들의 LTE 신호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보행자들이 경유한 인접 기지국들을 검출할 수 있다.
한편, 보행자들이 경유한 인접 기지국들이 매우 넓은 지역에 걸쳐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유입정보 검출부(330)는 보행 인구의 특성을 반영하고자 기준 기지국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존재하는 기지국들(이하, 설명의 편의상, '유입 기지국'이라 칭함)을 검출하여 해당 건물의 배후지 생성에 활용할 수 있다. 여기서, 일정 거리는 통상 도보권으로 알려진 500m로 설정되거나 혹은 그 두 배인 1km로 설정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유입정보 검출부(330)는, 유입 기지국 별로, 유입 기지국에서 기준 기지국으로 이동한 보행자들의 유입 비율(또는 유입량)을 계산할 수 있다. 이때, 유입정보 검출부(330)는 기준 기지국 내의 보행자들에 관한 LTE 신호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보행자들의 유입 비율(또는 유입량)을 계산할 수 있다.
배후지 생성부(340)는 보행자들의 유입 비율(또는 유입량)을 기반으로 유입 기지국들을 내림차순으로 정렬할 수 있다. 즉, 배후지 생성부(340)는 보행자들의 유입 비율이 높은 기지국에서 보행자들의 유입 비율이 낮은 기지국 순으로 정렬할 수 있다.
배후지 생성부(340)는 특정 건물의 종류 또는 특징 등에 따라 서로 다른 임계치를 부여하고, 상기 임계치에 대응하는 유입 기지국들의 셀 커버리지 영역들을 통합하여 해당 건물의 배후지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서로 다른 임계치를 부여하는 이유는, 해당 건물의 업종에 따라 상권에 영향을 미치는 범위가 다르기 때문이다.
가령, 배후지 생성부(340)는, 특정 건물의 업종에 따른 임계치가 높게 설정된 경우, 해당 건물의 배후지를 상대적으로 넓게 생성할 수 있고, 해당 건물의 업종에 따른 임계치가 낮게 설정된 경우, 해당 건물의 배후지를 상대적으로 작게 생성할 수 있다. 즉, 특정 건물의 업종에 따라 해당 건물의 배후지 형태가 동적으로 가변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적 배후지 생성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동적 배후지 생성 장치(300)는 보행자들의 이동 단말기들과 다수의 기지국 간에 송수신되는 LTE 신호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S410). 상기 LTE 신호들은, 특정 셀 커버리지 영역 내에 존재하는 보행자들의 수, 보행자들의 위치, 보행자들의 체류 시간, 보행자들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 보행자들의 단말 식별 정보, 보행자들의 위치에 대응하는 기지국 정보, 보행자들의 이름/나이/성별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동적 배후지 생성 장치(300)는 배후지 생성의 대상이 되는 건물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건물이 포함된 셀 커버리지 영역을 담당하는 기준 기지국을 검출할 수 있다(S420).
동적 배후지 생성 장치(300)는 기준 기지국으로부터 수집된 LTE 신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당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 영역 내에 일정 시간 동안 체류하는 보행 인구를 검출할 수 있다(S430).
동적 배후지 생성 장치(300)는 기준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 영역 내에 존재하는 보행자들이 해당 기지국에 도달하기 전에 일정 시간 동안 관측된 인접 기지국들을 검출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검출 방법은 보행 인구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지 않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동적 배후지 생성 장치(300)는, 상기 검출된 인접 기지국들 중에서 기준 기지국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존재하는 기지국들(즉, 유입 기지국들)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유입 기지국들을 해당 건물의 배후지 생성에 활용할 수 있다(S440).
통상, 기준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 영역 내에 일정 시간 동안 체류하는 보행자들은 해당 기지국에 인접한 다양한 지역으로부터 유입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기지국과 유입 기지국 간의 관계는 1:N의 관계를 갖게 된다.
동적 배후지 생성 장치(300)는 기준 기지국 내의 보행자들에 관한 LTE 신호 데이터를 기반으로 유입 기지국 별 보행 인구 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S450). 즉, 동적 배후지 생성 장치(300)는, 유입 기지국 별로, 유입 기지국에서 기준 기지국으로 이동한 보행자들의 유입 비율 또는 유입량을 계산할 수 있다. 가령,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적 배후지 생성 장치(300)는 다수의 유입 기지국에서 기준 기지국(610)으로 이동하는 보행자들의 수를 계산할 수 있다.
동적 배후지 생성 장치(300)는 유입 기지국 별 보행 인구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건물의 배후지를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S460). 즉, 동적 배후지 생성 장치(300)는 보행자들의 유입 비율(또는 유입량)을 기반으로 유입 기지국들을 내림차순으로 정렬할 수 있다. 그리고, 동적 배후지 생성 장치(300)는 해당 건물의 업종에 따라 서로 다른 임계치를 부여하고, 상기 임계치에 대응하는 유입 기지국들의 셀 커버리지 영역들을 통합하여 해당 건물의 배후지를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가령,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적 배후지 생성 장치(300)는 기준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 영역 내에 존재하는 특정 건물의 업종에 따라 서로 다른 4개의 임계치를 부여할 수 있다. 특정 지역에 동종의 경쟁업체들이 많이 존재하는 업종의 경우에는 해당 건물에 대해 낮은 임계치를 부여할 수 있고, 해당 지역에 동종의 경쟁업체들이 별로 존재하지 않는 업종의 경우에는 해당 건물에 대해 높은 임계치를 부여할 수 있다.
해당 건물의 업종에 따라 높은 임계치가 설정된 경우, 동적 배후지 생성 장치(300)는 해당 건물의 배후지를 상대적으로 넓게 생성할 수 있다. 가령, 임계치가 70%로 설정된 경우, 동적 배후지 생성 장치(300)는 기준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 영역 내에 일정 시간 동안 체류하는 전체 보행 인구를 기준으로 유입 비율이 높은 상위 70%에 해당하는 보행 인구들이 유입된 인접 기지국들의 셀 커버리지 영역들을 통합하여 해당 건물의 배후지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해당 건물의 업종에 따라 낮은 임계치가 설정된 경우, 동적 배후지 생성 장치(300)는 해당 건물의 배후지를 상대적으로 작게 생성할 수 있다. 가령, 임계치가 40%로 설정된 경우, 동적 배후지 생성 장치(300)는 기준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 영역 내에 일정 시간 동안 체류하는 전체 보행 인구를 기준으로 유입 비율이 높은 상위 40%에 해당하는 보행 인구들이 유입된 인접 기지국들의 셀 커버리지 영역들을 통합하여 해당 건물의 배후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처럼, 특정 건물의 업종에 따라 서로 다른 임계치를 부여하여 해당 건물의 배후지 형태를 동적으로 가변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유입 기지국에서 기준 기지국으로 이동하는 보행 인구의 유입량이 시간대별로 다르기 때문에, 오전 시간대에 해당하는 건물의 배후지 형태와 오후 시간대에 해당하는 건물의 배후지 형태가 서로 달라지는 특성을 갖는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유입 기지국에서 기준 기지국으로 이동하는 보행 인구의 유입량이 계절별로 다르기 때문에, 봄에 해당하는 건물의 배후지 형태와, 여름에 해당하는 건물의 배후지 형태와, 가을에 해당하는 건물의 배후지 형태와, 겨울에 해당하는 건물의 배후지 형태가 서로 달라지는 특성을 갖는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적 배후지 생성 방법은, LTE 신호 데이터를 기반으로 특정 건물의 배후지를 과학적이고 객관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적 배후지 생성 방법은 유동 인구의 흐름을 반영한 배후지를 동적으로 생성함으로써, 해당 배후지 정보를 통해 상권의 이동, 핫플레이스(hot place)의 변화 등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적 배후지 생성 방법은 특정 건물의 업종에 따라 서로 다른 임계치를 부여하여 해당 건물의 배후지를 동적으로 생성함으로써, 해당 배후지 정보를 신규 매장 출점 등과 같은 다양한 마켓팅에 활용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300: 동적 배후지 생성 장치 310: 무선신호 수집부
320: 보행인구 검출부 330: 유입정보 검출부
340: 배후지 생성부

Claims (10)

  1. 서버에서의 동적 배후지 생성 방법에 있어서,
    특정 건물이 포함된 기준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 영역 내에 일정 시간 동안 체류하는 보행 인구들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보행 인구들의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 간의 통신 신호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보행 인구들이 상기 기준 기지국에 도달하기 전에 경유한 유입 기지국들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통신 신호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유입 기지국들에서 상기 기준 기지국으로 유입되는 보행 인구 정보를 계산하는 단계;
    유입 기지국 별 보행 인구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검출된 유입 기지국들을 정렬하는 단계; 및
    상기 정렬된 유입 기지국들 중 사전 설정된 임계치에 대응하는 상위의 유입 기지국들의 셀 커버리지 영역을 통합하여 해당 건물의 배후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적 배후지 생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 인구들의 이동 단말기들과 다수의 기지국 간에 송수신되는 LTE 신호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적 배후지 생성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LTE 신호 데이터는, 상기 셀 커버리지 영역 내에 존재하는 보행 인구들의 수, 보행 인구들의 위치, 보행 인구들의 체류 시간, 보행 인구들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 보행 인구들의 단말 식별 정보, 보행 인구들의 위치에 대응하는 기지국 정보, 보행 인구들의 이름/나이/성별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배후지 생성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기지국들은, 상기 기준 기지국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존재하는 인접 기지국들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배후지 생성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 인구 정보는, 상기 보행 인구들의 유입 비율 또는 유입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배후지 생성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기지국 정렬 단계는,
    상기 보행 인구들의 유입 비율 또는 유입량을 기반으로 상기 유입 기지국들을 내림차순으로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배후지 생성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후지 생성 단계는,
    해당 건물의 업종에 따라 서로 다른 임계치를 부여하고, 상기 임계치에 대응하는 유입 기지국들의 셀 커버리지 영역들을 통합하여 해당 건물의 배후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배후지 생성 방법.
  8. 청구항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방법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9. 특정 건물이 포함된 기준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 영역 내에 일정 시간 동안 체류하는 보행 인구들을 검출하는 보행인구 검출부;
    상기 검출된 보행 인구들의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 간의 통신 신호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보행 인구들이 상기 기준 기지국에 도달하기 전에 경유한 유입 기지국들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유입 기지국들에서 상기 기준 기지국으로 유입되는 보행 인구 정보를 계산하는 유입정보 검출부; 및
    유입 기지국 별 보행 인구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검출된 유입 기지국들을 정렬하고, 상기 정렬된 유입 기지국들 중 사전 설정된 임계치에 대응하는 상위의 유입 기지국들의 셀 커버리지 영역을 통합하여 해당 건물의 배후지를 생성하는 배후지 생성부를 포함하는 동적 배후지 생성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 인구들의 이동 단말기들과 다수의 기지국 간에 송수신되는 LTE 신호 데이터를 수집하는 무선신호 수집부를 더 포함하는 동적 배후지 생성 장치.
KR1020180091881A 2018-08-07 2018-08-07 동적 배후지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KR102321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881A KR102321509B1 (ko) 2018-08-07 2018-08-07 동적 배후지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881A KR102321509B1 (ko) 2018-08-07 2018-08-07 동적 배후지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6595A KR20200016595A (ko) 2020-02-17
KR102321509B1 true KR102321509B1 (ko) 2021-11-04

Family

ID=69670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1881A KR102321509B1 (ko) 2018-08-07 2018-08-07 동적 배후지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15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0359B1 (ko) * 2022-12-13 2023-09-20 한국교통연구원 도시계획시설 및 근린생활시설 이용분석 기반의 생활권 계획 지원 서버 및 그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4199A (ja) * 2001-05-11 2002-11-22 Nri & Ncc Co Ltd 商圏自動設定システム
KR101752094B1 (ko) * 2016-04-07 2017-07-11 주식회사 조이코퍼레이션 매장 운영 분석 장치 및 방법
KR101810169B1 (ko) * 2016-05-17 2017-12-19 김명락 유동인구 패턴정보 기반의 미래입점객수 예측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2085A (ko) * 2010-12-23 2012-07-03 주식회사 케이티 위치 기반의 창업 지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15336A (ko) * 2011-08-03 2013-02-1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상권정보 제공 시스템, 장치,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4199A (ja) * 2001-05-11 2002-11-22 Nri & Ncc Co Ltd 商圏自動設定システム
KR101752094B1 (ko) * 2016-04-07 2017-07-11 주식회사 조이코퍼레이션 매장 운영 분석 장치 및 방법
KR101810169B1 (ko) * 2016-05-17 2017-12-19 김명락 유동인구 패턴정보 기반의 미래입점객수 예측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0359B1 (ko) * 2022-12-13 2023-09-20 한국교통연구원 도시계획시설 및 근린생활시설 이용분석 기반의 생활권 계획 지원 서버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6595A (ko) 2020-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arayanan et al. Lumos5G: Mapping and predicting commercial mmWave 5G throughput
Calderoni et al. Deploying a network of smart cameras for traffic monitoring on a “city kernel”
US9830817B2 (en) Bus station optimization evaluation method and system
Demissie et al. Intelligent road traffic status detection system through cellular networks handover information: An exploratory study
Ikanovic et al. An alternative approach to the limits of predictability in human mobility
Guan et al. Delineating urban park catchment areas using mobile phone data: A case study of Tokyo
US201201155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opulation tracking, counting, and movement estimation using mobile operational data and/or geographic information in mobile network
Gong et al. Exploring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intra-urban trips using metro smartcard records
CN102609616A (zh) 一种基于手机定位数据的动态人口分布密度检测方法
WO2020187070A1 (zh) 区域的划分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CN105376709A (zh) 基于移动通信技术统计区域人口数量的方法及系统
WO2015072357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人口流量推定装置、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人口流量を推定する方法
US10645531B1 (en) Route building engine tuning framework
US10657806B1 (en) Transformation of point of interest geometries to lists of route segments i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raffic analysis
Malmi et al. Checking in or checked in: comparing large-scale manual and automatic location disclosure patterns
Zhang et al. Identifying region-wide functions using urban taxicab trajectories
KR20140099370A (ko) 사용자 타겟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그 서비스 제공방법
WO2015072356A1 (ja) 属性決定装置、通信端末、属性決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80134553A (ko) 혼잡도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ang et al. Big data in telecommunication operators: data, platform and practices
Yao et al. Understanding human activity and urban mobility patterns from massive cellphone data: Platform design and applications
KR102321509B1 (ko) 동적 배후지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Yang et al. Detecting home and work locations from mobile phone cellular signaling data
Zhao et al. Urban crowd flow forecasting based on cellular network
Xu et al. Exploring intra-urban human mobility and daily activity patterns from the lens of dockless bike-sharing: A case study of Beijing, Chi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