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1257B1 - 금속이 포함된 밀폐용기 뚜껑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금속이 포함된 밀폐용기 뚜껑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1257B1
KR102321257B1 KR1020210067313A KR20210067313A KR102321257B1 KR 102321257 B1 KR102321257 B1 KR 102321257B1 KR 1020210067313 A KR1020210067313 A KR 1020210067313A KR 20210067313 A KR20210067313 A KR 20210067313A KR 102321257 B1 KR102321257 B1 KR 102321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flat plate
metal
container
plat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7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동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릴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릴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릴팡
Priority to KR1020210067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12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1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1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5/00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 B65D45/02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axial pressure to engage closure with sealing surface
    • B65D45/16Clips, hooks, or clamps which are removable, or which remain connected either with the closure or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C-shaped
    • B65D45/20Clips, hooks, or clamps which are removable, or which remain connected either with the closure or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C-shaped pivoted
    • B65D45/22Clips, hooks, or clamps which are removable, or which remain connected either with the closure or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C-shaped pivoted resil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56Stoppers or lids for bottles, jars, or the like, e.g. closures
    • B29L2031/565Stoppers or lids for bottles, jars, or the like, e.g. closures for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이 포함된 밀폐용기 뚜껑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금속이 포함된 평판부의 측면을 따라 상측과 하측 표면을 둘러싸도록 테두리부가 사출 성형되어, 내부에 음식물을 수납할 수 있는 용기 상부에 결합되는 뚜껑에 금속이 포함되어 친환경적이며 내구성이 향상된 금속이 포함된 밀폐용기 뚜껑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금속이 포함된 밀폐용기 뚜껑 및 그 제조방법{AIRTIGHT CONTAINER LID CONTAINING METAL AND PLASTIC, AND DIRECT INSERT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밀폐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내부에 음식물을 수납할 수 있는 용기 상부에 결합되는 뚜껑에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금속이 포함된 밀폐용기 뚜껑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장시간 보관하거나, 음식물 또는 냄새 등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밀폐용기에 음식물을 담아 보관한다.
상기 밀폐용기는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용기와, 용기의 상향개구를 개폐하는 뚜껑, 및 용기와 뚜껑 사이를 밀폐시키는 패킹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밀폐용기와 뚜껑은 합성수지로 제조되어 음식물에 의해 쉽게 변색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최근에는 합성수지로 제조된 밀폐용기에서 환경호르몬이 배출되는 연구 결과에 의해 친환경 밀폐용기가 각광받고 있다.
다음은 밀폐용기 뚜껑에 관한 배경기술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발명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1938호로, 스테인리스로 형성된 용기와, 잠금 기능을 갖되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뚜껑으로 구성된 잠금 수단이 형성된 플라스틱 뚜껑을 갖는 금속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문헌 1 발명의 밀폐용기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뚜껑이 스테인리스로 형성된 용기 상부에 잠김 구조를 형성시키기 위해, 결착수단을 갖는 테두리단부재가 용기 상부에 끼워 사용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다음으로, 문헌 2 발명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7891호로, 용기 뚜껑에 구비된 스테인리스 재질의 잠금 날개가 용기 본체의 상단 테두리를 다단 절곡하여 형성된 걸림부에 탄성적으로 걸려 뚜껑 잠금이 이루어지는 탄성 걸림식 스테인리스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문헌 2 발명의 용기, 뚜껑과 잠금 날개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합성수지 밀폐용기에 비해 무게가 상대적으로 무거워 외부에서 휴대하여 사용하기에 한계가 있다.
또한, 문헌 2 발명의 뚜껑과 날개가 일체형으로 제조되지 못하고, 잠금 날개가 뚜껑에 힌지로 고정되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뚜껑과 잠금 날개의 테두리 마감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면 사용자가 다칠 수 있다.
다음으로, 문헌 3 발명은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2456호로, 음식물과 접촉하는 플라스틱 뚜껑의 내측부에 인체에 무해한 재료를 뚜껑의 내측부와 일치하고 용기 입구를 덮는 형상으로 성형한 것을 부착하여 음식물이 오염되지 않도록 구성된 유리나 도자기 또는 금속제를 플라스틱 뚜껑의 내측부에 부착한 뚜껑에 관한 것이다.
문헌 3 발명의 뚜껑은 유리, 도자기 또는 금속제로 성형된 격막을 플라스틱 뚜껑 내측부에 끼움 결합되어, 중력이나 이동 과정 중에 발생되는 진동으로 인해 상기 격막이 내측부에서 쉽게 이탈되어 음식물이 오염될 수 있다.
다음으로, 문헌 4 발명은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6656호로, 용기와 뚜껑이 유리 또는 도자기 재질로 성형된 비합성수지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문헌 4 발명의 밀폐용기와 뚜껑은 유리 또는 도자기 재질로 구성되어 있어, 합성수지 밀폐용기에 비해 무게가 상대적으로 무겁고,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배경기술문헌>
(문헌 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1938호
(문헌 2)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7891호
(문헌 3)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2456호
(문헌 4)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6656호
본 발명은 상기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내부에 음식물을 수납할 수 있는 용기 상부에 결합되는 뚜껑에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금속이 포함된 밀폐용기 뚜껑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2개 이상의 다른 재료를 조합하여 밀폐용기 뚜껑이 일체형으로 제조되어 강성과 안정성이 향상 및, 접착 또는 조립 불량이 감소되어 대량 생산이 가능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밀폐용기 뚜껑에 금속이 포함되어 있어 환경호르몬의 영향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우수한 밀폐력을 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밀폐용기 뚜껑의 사출 성형 시에 수축되는 힘에 의해 금속이 포함된 평판부가 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금속이 포함된 밀폐용기 뚜껑은 금속이 포함된 평판부(120)의 측면을 따라 상측과 하측 표면을 둘러싸도록 테두리부(110)가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금속이 포함된 밀폐용기 뚜껑은 하부에 용기(200)가 결합되기 위해, 테두리부(110) 하부에 홈(1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이 포함된 밀폐용기 뚜껑에 기밀성을 부여하기 위해, 홈(112)에 기밀부(13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평판부(120)의 가장자리 일부분 또는 전체에 공들(121)이 뚫려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이 포함된 밀폐용기 뚜껑이 용기(200)에 고정 결합되기 위해, 테두리부(110) 측면에 날개부(14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사출 성형 시에 테두리부(110)가 수축되어 평판부(120)가 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평판부(120) 일부분 또는 전체에 패턴부(122)가 외측 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금속이 포함된 밀폐용기 뚜껑 제조방법은 평판부(120)가 금속 가공되는 단계; 결합되는 용기(200) 형상에 맞는 뚜껑 금형에 상기 평판부(120)가 삽입되는 단계; 및 상기 금형에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금속이 포함된 밀폐용기 뚜껑이 제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2개 이상의 다른 재료를 조합하여 사출 성형됨에 따라, 밀폐용기 뚜껑이 일체형으로 제조되어 내구성이 향상 및 밀폐력이 우수하고, 접착 또는 조립 불량이 감소되어 대량 생산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평판부의 상측과 하측 표면을 테두리부가 둘러싸도록 사출 성형됨에 따라, 상기 뚜껑 사용 시에 테두리부가 평판부에서 들뜨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 또는 세척 시에 이물질이 끼거나, 누수가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밀폐용기 뚜껑에 금속이 포함되어 있어 냄새와 색 배임이 적고, 환경호르몬의 영향이 최소화되어 장기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금속이 포함된 상기 뚜껑의 사출 성형 시에 합성수지가 수축되는 힘에 의해 평판부가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을 절반으로 절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평판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날개부가 포함된 뚜껑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날개부가 포함된 뚜껑을 절반으로 절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날개부가 포함된 뚜껑과 용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형태의 날개부가 포함된 뚜껑과 용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패턴부가 포함된 평판부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선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패턴부와 비패턴부가 포함된 평판부의 평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0: 뚜껑
110: 테두리부, 111: 제1지지부, 112: 홈,
113: 제2지지부, 114: 결합부
120: 평판부
121: 공, 121-1: 제1공, 121-2: 제2공
122: 패턴부, 123: 비패턴부
130: 기밀부
140: 날개부, 141: 걸림부, 142: 걸림요부
143: 결합홈
200: 용기
210: 절곡부 220: 돌출부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이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이 가해질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 특징들, 실시예들 또는 구현예들은 단독으로 또는 다양한 조합들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청구범위에 의해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하고,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사람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금속이 포함된 밀폐용기 뚜껑은 설명의 편의상 뚜껑(100)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상기 뚜껑(100)은 테두리부(110)와 평판부(120)가 포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뚜껑(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부(120)의 측면을 따라 상측과 하측 표면을 둘러싸도록 테두리부(110)가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여기서, 뚜껑(100)은 하부에 결합되는 용기(20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뚜껑(100)은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다각형은 삼각형 또는 사각형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삼각형은 정삼각형, 이등변삼각형 또는 직각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각형은 정사각형, 직사각형, 마름모형, 평행사변형, 사다리꼴 또는 연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뚜껑(100)은 원형 또는 타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에 뚜껑(100) 하부에 결합되는 용기(200)가 상부가 개방된 원기둥 또는 타원기둥으로 형성되어 보관 시에 안정성이 증가되는 이점이 있다.
또 다른 예로, 뚜껑(100)은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에 뚜껑(100) 하부에 결합되는 용기(200)가 상부가 개방된 사각기둥으로 형성되어 보관 시에 공간 활용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상기 테두리부(110)는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지는 유해물질이나 환경호르몬이 용출되지 않는 합성수지 또는 생분해성수지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합성수지는 테두리부(110)가 사출 성형되기 위해, 열가소성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일예로,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또는 폴리시클로헥산-1,4-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cyclohexane-1,4-dimethylene terephthalate): PCT)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폴리프로필렌(PP)은 반투명하고, 내열내냉온도 ­20~120℃까지 활용이 가능하며, 내충격성이 우수하여 떨어뜨려도 잘 깨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
예컨대, 폴리시클로헥산-1,4-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CT)는 비스페놀A(Bisphenol A: BPA)를 비롯한 인체에 유해한 가소제가 첨가되지 않아 안정성을 가지며, 투명하고, 내구성이 강하며, 음식물의 냄새와 색이 잘 배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폴리시클로헥산-1,4-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CT)는 무게가 가볍고, 끊는 물에 소독이 가능하여 위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에, 테두리부(110)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사출 성형됨에 따라 반투명 또는 투명하게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깔끔한 느낌을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수지에 안료가 혼합될 경우에는 불투명 또는 임의의 색조를 갖는 테두리부(110)가 사출 성형되어,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느낄 수 있다.
여기서, 안료는 무기안료 또는 유기안료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무기안료가 사용될 경우에는 은폐성이 크기에 테두리부(110)가 불투명하게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예컨대, 유기안료가 사용될 경우에는 은폐성이 적으나, 착색력이 우수하여 투명하면서도 임의의 색조(적색, 황색, 청색, 녹색 등의 계열)를 갖는 테두리부(110)가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200) 상부에 결합되기 위해 테두리부(110) 하부에 제1지지부(111), 홈(112) 및 제2지지부(113)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111)와 제2지지부(113)는 테두리부(110) 하부에 하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지지부(111)와 제2지지부(113) 사이에 홈(112)이 형성되어, 테두리부(110) 하부는 단면이 하부 방향이 개방된 ㄷ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지지부(111)는 테두리부(110) 하부에 용기(200) 상단의 테두리 부분이 인입되어 끼움 결합되기 위해, 상기 제2지지부(113)보다 길게 형성되거나, 제2지지부(113)와 같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제1지지부(111)와 제2지지부(113) 사이의 길이가 용기(200) 상단의 테두리 부분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뚜껑(100)이 용기(200)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상기 홈(112)으로 용기(200) 상단의 테두리 부분이 인입되어 끼움 결합되어 밀폐용기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밀폐용기에 기밀성을 부여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112)에 기밀부(130)가 삽입되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밀부(130)는 용기(200)에 수납된 음식물이나, 냄새 등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제가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고무제는 유해물질이나 환경호르몬이 용출되지 않는 실리콘 수지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기밀부(130)는 뚜껑(100) 세척 시에 상기 홈(112)에서 분리 세척이 가능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평판부(120)는 뚜껑(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에게 친환경 뚜껑(100)을 제공하기 위해, 금속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금속이 사용된 평판부(120)가 포함된 뚜껑(100)은 상기 금속에 의해 용기(200)에 수납된 음식물의 냄새와 색 배임이 적어 장기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금속은 스테인리스, 구리, 알루미늄, 은 또는 티타늄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스테인리스는 쉽게 녹슬지 않고, 열전도와 내구성이 우수하며, 환경호르몬이 배출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예컨대, 구리는 미생물에 대한 살균 효과가 있고, 보온, 보냉 효과가 있으며, 내구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예컨대, 알루미늄은 열전도율이 높으며, 빛과 산소, 습기 등을 차단하여 세균 증식을 막거나 최소화할 수 있고, 가벼워 깨질 우려가 없어 운반과 취급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예컨대, 은은 세균의 번식을 막는 살균 효과가 있는 장점이 있다.
예컨대, 티타늄은 가벼우며, 내구성이 좋고 부식이나 변색이 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평판부(120)에서 사용되는 금속은 상기 뚜껑(10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평판부(120)에서 사용되는 금속은 판 형상으로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다각형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삼각형 또는 사각형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평판부(120)는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금속판의 두께가 0.8mm 이하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0.1~0.8mm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금속판의 두께가 0.1mm 미만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사용되는 금속에 따라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고, 얇게 제조되는 데에 한계가 있어 제조 단가가 상승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금속판의 두께가 0.8mm 초과로 형성될 경우에는 사용되는 금속에 따라 무게가 증가되어 운반이 번거로울 수 있다.
다음은 상기 뚜껑(100) 제조방법에 관한 설명이다.
먼저, 평판부(120)가 금속 가공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평판부(120)가 금속 가공되는 단계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뚜껑(100) 하부에 결합되는 용기(200)의 형상과 대응되는 뚜껑(100)이 제조되기 위해 평판부(120)가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을 갖는 금속판으로 가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결합되는 용기(200) 형상에 맞는 뚜껑 금형에 상기 평판부(120)가 삽입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평판부(120)는 인서트 핀 또는 흡착 장치에 의해 뚜껑 금형 중심에 삽입될 수 있다.
이후, 금형에 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금속이 포함된 밀폐용기 뚜껑이 제조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금형에 앞서 설명된 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평판부(120)의 측면을 따라 상측과 하측 표면을 수지가 둘러싸도록 하여 테두리부(110)가 형성되는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수지에 금속이 삽입된 뚜껑(100)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인서트 사출 방식은 조립 단계가 불필요하며, 구성요소의 신뢰성이 향상되고, 내구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인서트 사출 방식은 접착 또는 조립 불량이 감소되어 대량 생산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뚜껑(100) 하부에 결합되는 용기(200)는 음식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일정 높이를 갖는 공간이 형성되되, 상부가 개방된 원기둥, 타원기둥 또는 다각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다각기둥은 삼각기둥 또는 사각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용기(200)는 금속 또는 비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스테인리스, 플라스틱, 유리 또는 도기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 폴리프로필렌(PP), 폴리시클로헥산-1,4-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CT), 유리 또는 도기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용기(200)가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될 경우에는 쉽게 녹슬지 않고, 열전도와 내구성이 우수하며, 환경호르몬이 배출되지 않고, 음식물의 냄새와 색 배임이 없어 위생적으로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컨대, 용기(200)가 폴리프로필렌(PP) 재질로 형성될 경우에는 스테인리스, 유리 또는 도기 재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벼우며, 내충격성이 우수하여 잘 깨지지 않고, ­20~120℃까지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컨대, 용기(200)가 폴리시클로헥산-1,4-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CT) 재질로 형성될 경우에는 투명하여 수납된 음식물의 식별이 가능하며, 내구성이 강하고, 음식물의 냄새와 색이 잘 배지 않는 장점이 있다.
예컨대, 용기(200)가 유리 재질로 형성될 경우에는 투명하여 수납된 음식물의 식별이 가능하며, 음식물의 냄새와 색이 잘 배지 않아 장기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컨대, 용기(200)가 도기 재질로 형성될 경우에는 통기성이 우수하여 음식물을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고, 음식물의 냄새와 색이 잘 배지 않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의 뚜껑(100)에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평판부(120)에 공(121)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뚜껑(100)은 공(121)과 결합부(114)를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형성되기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상기 공(121)은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제조된 뚜껑(100)의 테두리부(110)의 내구성이 향상되기 위해, 평판부(120)의 가장자리 일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다수개가 뚫려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공(121)과 공(121) 사이의 간격이 규칙적으로 형성되거나, 불규칙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121)은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121)은 제1공(121-1)과 제2공(121-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1공(121-1)은 평판부(120)의 가장자리 중심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공(121-2)은 평판부(120)의 가장자리 중심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공(121-2)의 지름이 제1공(121-1)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앞서 실시예 1에서 설명된 결합되는 용기(200) 형상에 맞는 뚜껑 금형에 상기 평판부(120)가 삽입되는 단계에서 인서트 핀에 제2공(121-2)이 걸리기 위해, 제1공(121-1)의 지름보다 제2공(121-2)의 지름이 크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평판부(120)에 공들(121)이 포함됨에 따라, 테두리부(110)에 결합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114)는 평판부(12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공들(121)에 수지가 기둥을 형성하여 테두리부(110) 상단 내측면에 테두리부(110)의 상측과 하측을 연결함으로써, 평판부(120)가 테두리부(110)에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만일, 뚜껑(100)에 결합부(114)가 포함되지 않을 경우에는 평판부(120)에 맞닿는 테두리부(110)의 부분이 외측방향으로 벌어지게 되어 사용 또는 세척 시에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벌어진 틈을 통해 누수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상기 결합부(114)는 테두리부(110)의 상측과 하측을 연결하는 기둥이 형성되어, 평판부(120)에 맞닿는 테두리부(110)의 부분이 외측방향으로 벌어지는 문제를 개선하여,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거나, 누수가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평판부(120)에 상기 공(121)이 포함됨에 따라, 앞서 설명된 실시예 1의 평판부(120)가 금속 가공되는 단계에 평판부(120)의 가장자리 일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상기 공(121)이 다수개가 뚫리는 과정이 추가로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의 뚜껑(100)에 잠금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테두리부(110) 외측면에 날개부(14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뚜껑(100)은 날개부(140)를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형성되기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상기 날개부(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부(110) 외측면 상단에 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일체 형성되되, 상하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때, 날개부(140) 재질은 앞서 설명된 테두리부(11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날개부(140)는 상기 테두리부(110)의 각 변에 형성되어 총 2~4개가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날개부(140)가 2개가 형성될 경우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뚜껑(100)의 형상이 원형, 타원형 또는 삼각형일 경우에 날개부(140)가 3개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뚜껑(100)의 형상이 원형, 타원형 또는 사각형일 경우에 날개부(140)가 4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날개부(140)가 테두리부(110) 외측면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기 위해, 테두리부(110)와 날개부(140) 사이에 힌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는 테두리부(110)와 날개부(140)의 경계부분으로, 테두리부(110)와 날개부(140)의 두께보다 가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날개부(140)는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유연하고 자유롭게 접혔다 펴졌다할 수 있다.
여기서, 날개부(140)는 뚜껑(100)이 용기(200) 상부에 걸림 결합되어 밀폐력이 향상되기 위해, 걸림부(141) 또는 결합홈(143)이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걸림부(141)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부(140) 배면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타단이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날개부(140)와 걸림부(141) 사이에 걸림요부(14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걸림부(141)는 단면 형상이 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부(141)는 날개부(140) 배면에 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일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걸림부(141)와 걸림요부(142)가 포함된 뚜껑(1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200) 상단 외측면 테두리에 형성된 절곡부(210)에 걸림 결합되어 밀폐력이 향상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용기(200) 상단 면에 테두리부(110) 하단에 포함된 기밀부(130)가 맞닿도록 배치되고, 제2지지부(113) 외측면은 용기(200) 상단 내측면에 맞닿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날개부(140)가 힌지부를 중심으로 접혀지게 되면, 용기(200) 상단 외측면 테두리에 형성된 절곡부(210)가 걸림부(141)와 걸림요부(142)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즉, 뚜껑(100)에 의해 용기(200)가 잠길 수 있다.
만일, 날개부(140)가 힌지부를 중심으로 펼쳐지게 되면, 상기 걸림부(141)와 걸림요부(142)가 용기(200) 상단 외측면 테두리에 형성된 절곡부(210)에서 걸림 결합이 풀릴 수 있다. 즉, 뚜껑(100)이 용기(200)에서 잠금 해제될 수 있다.
예컨대, 걸림홈(143)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200) 상단 외측면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220)에 대응되는 날개부(140)에 결합홈(143)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걸림홈(143)은 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타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걸림홈(143)은 날개부(140)에 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걸림홈(143)이 포함된 뚜껑(1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200) 상단 외측면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220)에 걸림홈(143)이 끼움 결합되어 밀폐력이 향상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용기(200) 상단 면에 테두리부(110) 하단에 포함된 기밀부(130)가 맞닿도록 배치되고, 제2지지부(113) 외측면은 용기(200) 상단 내측면에 맞닿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날개부(140)가 힌지부를 중심으로 접혀지게 되면, 용기(200) 상단 외측면에 형성된 돌출부(220)로 상기 결합홈(143)이 인입되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즉, 뚜껑(100)에 의해 용기(200)가 잠길 수 있다.
만일, 날개부(140)가 힌지부를 중심으로 펼쳐지게 되면, 상기 결합홈(143)이 용기(200) 상단 외측면에 형성된 돌출부(220)에서 끼움 결합이 풀릴 수 있다. 즉, 뚜껑(100)이 용기(200)에서 잠금 해제될 수 있다.
여기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00)은 날개부(140)에 의해 걸림 또는 끼움 결합 방식으로 용기(200)와 결합됨에 따라, 테두리부(110) 하부에 형성된 제1지지부(111) 길이가 제2지지부(113)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실시예 1의 금형에 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금속이 포함된 밀폐용기 뚜껑이 제조되는 단계에서 상기 금형은 테두리부(110) 외측면에 상기 힌지부와 날개부(140)가 포함되고, 걸림부(141)와 걸림요부(142), 또는 걸림홈(143)이 포함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테두리부(110) 외측면에 상기 힌지부와 날개부(14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되, 날개부(140)에 걸림부(141)와 걸림요부(142), 또는 걸림홈(143)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뚜껑(100)이 제조될 수 있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평판부(120)에 패턴부(12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패턴부(122)를 제외한 구성은 각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기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상기 패턴부(122)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00) 인서트 사출 성형 시에 테두리부(110)가 수축되어 평판부(120)가 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평판부(120) 윗면의 일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외측 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패턴부(122)는 평판부(120) 일 측변을 중심으로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뚜껑(100)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사출 후에 테두리부(110)가 수축하게 되면서 평판부(120)의 길이가 긴 변을 중심으로 수직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게 되어 평판부(120)가 휠 수 있다.
이에, 위와 같은 평판부(120)가 휘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평판부(120)의 길이가 긴 변을 중심으로 패턴부(122)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패턴부(122)는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부(120)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경우에는 122a로 표시될 수 있다. 이에, 패턴부(122a)는 평판부(120)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볼록하게 노출 될 수 있다.
또한, 패턴부(122)는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부(120)에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경우에는 122b로 표시될 수 있다. 이에 패턴부(122b)는 평판부(120)에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오목하게 노출 될 수 있다.
상기 패턴부(122, 122a, 122b)가 평판부(120)에 복수 개가 형성될 경우에는, 패턴부들(122, 122a, 122b)의 사이 간격이 규칙적으로 형성되거나, 불규칙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의 평판부(120)가 금속 가공되는 단계에 평판부(120) 윗면의 일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외측 또는 내측 방향으로 패턴부(122)가 돌출 형성되는 과정이 추가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패턴부(122)가 포함된 뚜껑(100)은 테두리부(110) 수축 시에, 패턴부(122)에 의해 평판부(120)가 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내구성이 향상된 뚜껑(100)이 제조될 수 있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4의 평판부(120)에 비패턴부(123)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패턴부(123)를 제외한 구성은 실시예 4와 동일하게 구성되기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상기 비패턴부(123)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부(120) 윗면 중심부분에 앞서 설명된 패턴부(122)가 형성되지 않도록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비패턴부(123)는 실시예에서 설명된, 결합되는 용기(200) 형상에 맞는 뚜껑 금형에 상기 평판부(120)가 삽입되는 단계에서 패턴부(122)가 포함된 평판부(120)가 흡착 장치에 의해 뚜껑 금형 중심에 삽입되기 위해, 평판부(120) 윗면 중심부분에 비패턴부(123)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평판부(120) 윗면 중심부분에 평평한 비패턴부(123)가 형성됨에 따라, 흡착 장치에 의해 평판부(120)가 공기 흡착 방식으로 상기 금형 중심에 위치하여 인서트 사출 성형 시에 평판부(120)가 금형에서 떨어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비패턴부(123)에 도형, 로고 또는 삽화 등이 음각 또는 양각으로 각인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실시예 1, 2 또는 4의 평판부(120)가 금속 가공되는 단계에 평판부(120) 윗면 중심부분에 형성되는 비패턴부(123)를 제외한 평판부(120) 윗면의 일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외측 또는 내측 방향으로 패턴부(122)가 돌출 형성되는 과정이 추가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패턴부(122)와 비패턴부(123)가 포함된 뚜껑(100)은 테두리부(110) 수축 시에, 패턴부(122)에 의해 평판부(120)가 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내구성이 향상되고, 비패턴부(123)에 도형, 로고 또는 삽화 등이 각인되면 심미감이 향상된 뚜껑(100)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금속이 포함된 밀폐용기 뚜껑 및 그 제조방법으로, 내부에 음식물을 수납할 수 있는 용기 상부에 결합되는 뚜껑에 금속이 포함되어 내구성이 향상되는 산업상 이용가능한 발명이다.

Claims (9)

  1. 금속이 포함된 밀폐용기 뚜껑은 스테인리스, 구리, 알루미늄, 은 또는 티타늄 중 어느 하나의 금속이 포함되되, 수지가 가장자리 일부분에 공들(121)이 뚫려 형성된 평판부(120)의 측면을 따라 상측과 하측 표면을 둘러싸도록 테두리부(110)가 사출 성형되며,
    상기 금속이 포함된 밀폐용기 뚜껑은 하부에 용기(200)가 결합되기 위해 테두리부(110) 하부에 홈(112)이 형성되고, 용기(200)에 고정 결합되기 위해 테두리부(110) 측면에 날개부(140)가 형성되며,
    공들(121)에 수지가 채워져 테두리부(110)의 상측과 하측을 연결하는 결합부(114)가 형성되고,
    평판부(120) 윗면에 비패턴부(123)가 평평하게 형성되며,
    비패턴부(123)에 흡착 장치가 공기 흡착되어 사출 성형 시에 평판부(120)가 금형에서 떨어지지 않고,
    사출 성형 시에 테두리부(110)가 수축되어 평판부(120)가 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비패턴부(123)를 제외한 평판부(120)에 복수 개의 패턴부(122)가 형성되며,
    패턴부(122)는 직선으로 형성되되, 평판부(120)에 외측 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평판부(120)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단면이 파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이 포함된 밀폐용기 뚜껑.
  2. 청구항 1에 있어서,
    비패턴부(123)에 도형, 로고 또는 삽화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각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이 포함된 밀폐용기 뚜껑.
  3. 청구항 1에 있어서,
    금속이 포함된 밀폐용기 뚜껑에 기밀성을 부여하기 위해, 홈(112)에 기밀부(13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이 포함된 밀폐용기 뚜껑.
  4. 청구항 1에 있어서,
    날개부(140)는 상기 금속이 포함된 밀폐용기 뚜껑이 용기(200) 상부에 걸림 결합되기 위해 걸림부(141) 또는 결합홈(143)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이 포함된 밀폐용기 뚜껑.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의 금속이 포함된 밀폐용기 뚜껑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평판부(120)가 금속 가공되는 단계;
    공(121)에 인서트 핀이 걸리거나, 흡착 장치가 비패턴부(123)에 공기 흡착되어 상기 평판부(120)가 결합되는 용기(200) 형상에 맞는 뚜껑 금형에 삽입되는 단계; 및
    상기 금형에 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공들(121)에 수지가 채워져 테두리부(110)의 상측과 하측을 연결하는 결합부(114)가 형성되어, 금속이 포함된 밀폐용기 뚜껑이 제조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평판부(120)가 금속 가공되는 단계는 평판부(120)의 가장자리 일부분에 공들(121)이 뚫리며, 평판부(120) 윗면에 형성되는 비패턴부(123)를 제외한 평판부(120)에 복수 개의 패턴부(122)가 직선으로 형성되되, 외측 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평판부(120)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단면이 파형으로 형성되는 과정이 포함되며,
    상기 금형은 테두리부(110) 측면에 날개부(14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이 포함된 밀폐용기 뚜껑의 제조방법.
  8. 청구항 7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이 포함된 밀폐용기 뚜껑.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의 금속이 포함된 밀폐용기 뚜껑이 포함된 밀폐용기.
KR1020210067313A 2021-05-26 2021-05-26 금속이 포함된 밀폐용기 뚜껑 및 그 제조방법 KR102321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313A KR102321257B1 (ko) 2021-05-26 2021-05-26 금속이 포함된 밀폐용기 뚜껑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313A KR102321257B1 (ko) 2021-05-26 2021-05-26 금속이 포함된 밀폐용기 뚜껑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1257B1 true KR102321257B1 (ko) 2021-11-03

Family

ID=78505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7313A KR102321257B1 (ko) 2021-05-26 2021-05-26 금속이 포함된 밀폐용기 뚜껑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125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6845A (ko) * 2000-03-30 2000-07-05 김창근 용기
KR100597894B1 (ko) * 2004-12-20 2006-07-20 문제구 기밀수단을 갖는 밀폐용기 및 그 제조장치
KR101102857B1 (ko) * 2009-08-07 2012-01-10 남연우 주방용기
JP2013151979A (ja) * 2012-01-25 2013-08-08 Toppan Printing Co Ltd アルミ蓋材および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6845A (ko) * 2000-03-30 2000-07-05 김창근 용기
KR100597894B1 (ko) * 2004-12-20 2006-07-20 문제구 기밀수단을 갖는 밀폐용기 및 그 제조장치
KR101102857B1 (ko) * 2009-08-07 2012-01-10 남연우 주방용기
JP2013151979A (ja) * 2012-01-25 2013-08-08 Toppan Printing Co Ltd アルミ蓋材および容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76459C (zh) 用于储存食品的非塑料容器
USD591148S1 (en) Container
USD555979S1 (en) Drinking cup
USD530217S1 (en) White wine bottle
USD565412S1 (en) Jacketed container with window
ES2417149T3 (es) Dispositivo de envase de doble cubierta
USD537293S1 (en) Store container lid
USD460545S1 (en) Air freshener
USD516923S1 (en) Vial with cap
KR102321257B1 (ko) 금속이 포함된 밀폐용기 뚜껑 및 그 제조방법
CA2566034A1 (en) Plastic article
JP4384760B2 (ja) 容器の外蓋
KR20100125050A (ko) 보관용기
US20200215732A1 (en) Insert-molded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and insert-molded container
CN111003346A (zh) 白酒包装瓶盖
KR200449423Y1 (ko) 복수의 격실을 갖는 식품 용기
KR200269073Y1 (ko) 압력의 변화에 작용하는 마개를 갖는 용기 뚜껑
US10486848B2 (en) Storage container with sealable opening in base
CN218571592U (zh) 一种可拆卸的烫印摆挂件
USD1014268S1 (en) Perfume bottle
KR100440784B1 (ko) 뚜껑을 밀폐 결합시킬 수 있는 비합성수지제 음식물보관용기
CN201617537U (zh) 具有印泥盒的相架
JP6830740B2 (ja) インサート成形容器の製造方法及びインサート成形容器
JP5469557B2 (ja) 合成樹脂製多重容器とこの製造方法
KR200485119Y1 (ko) 식품 포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