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1178B1 - Detachable abutment - Google Patents

Detachable abut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1178B1
KR102321178B1 KR1020190108313A KR20190108313A KR102321178B1 KR 102321178 B1 KR102321178 B1 KR 102321178B1 KR 1020190108313 A KR1020190108313 A KR 1020190108313A KR 20190108313 A KR20190108313 A KR 20190108313A KR 102321178 B1 KR102321178 B1 KR 102321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body
elastic member
abutment
receiving spac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83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26894A (en
Inventor
박연희
Original Assignee
박연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연희 filed Critical 박연희
Priority to KR1020190108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1178B1/en
Publication of KR20210026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8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1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11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7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dditional friction enhan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74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xternal thre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6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with shock 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원에서는 어버트먼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와 크라운을 매개하여 크라운을 지지하는 어버트먼트는 내측에 설정된 크기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상체부와 상기 수용공간의 수용공간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며,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고정대를 통해 상기 상체부와 결합되는 하체부 및 상기 고정대의 외측에 배치되되 상기 고정대와 상기 수용공간 사이의 공간보다 적어도 작지 않은 크기를 가져서 상기 고정대가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면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면을 외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Disclosed herein is an abutment. The abutment for supporting the crown through the fixture and the crown of the impl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ze smaller than the receiving space of the receiving space and the upper body having a receiving space of a set size inside, and the The lower body coupled to the upper body through a holder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and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holder have a size not smaller than the space between the holder and the receiving space so that when the holder is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and an elastic member for pressing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to the outside.

Description

탈착이 가능한 어버트먼트{DETACHABLE ABUTMENT}Detachable abutment {DETACHABLE ABUTMENT}

본 발명은 어버트먼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체부와 하체부 간 결합력이 우수하고 분리가 용이한 어버트먼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but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butment having excellent bonding strength between an upper body and a lower body and easy separation.

일반적으로 임플란트는 치아의 결손이 있는 부위나 치아를 뽑은 자리의 턱뼈에 골 이식, 골 신장술 등의 부가적인 수술을 통하여 충분히 감쌀 수 있도록 부피를 늘린 턱뼈에 생체 적합적인 임플란트 본체(픽스츄어 : fixture)를 심어서 자연치의 기능을 회복시켜주는 치과 치료 시술이다.In general, an implant is a biocompatible implant body (fixture: fixture) that has increased volume so that it can be sufficiently covered through additional surgeries such as bone grafting and osteotomy in the jawbone at the site where the tooth is missing or where the tooth is extracted. ) is a dental treatment that restores the function of natural teeth.

임플란트는 정상적인 기능이 유지되고 있는 턱뼈와 식립된 임플란트 본체 표면과의 형태적, 생리적, 직접적 결합인 골유착(osseointegration)이 이루어진 후 임플란트 주위 턱뼈와 골 개조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은 임플란트는 여러 종류가 있으나 근래에는 나사 형태의 골 내 임플란트가 주로 사용된다.The implant undergoes osseointegration, which is a morphological, physiological, and direct connection between the jawbone, which maintains a normal function, and the implant body surface, and then undergoes a process of remodeling the jawbone and bone around the implant. There are several types of such implants, but in recent years, screw-type intraosseous implants are mainly used.

상기 임플란트는 크게 픽스쳐(fixture), 어버트먼트(abutment) 그리고 크라운(crown) 부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픽스쳐는 치아의 뿌리역할을 하는 부위로 주로 티타늄으로 제조되며, 상기 어버트먼트는 크라운과 픽스쳐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 자연치아의 목에 해당하고, 상기 크라운은 임플란트의 상부보철물로 자연치아에서 치아의 머리부분에 해당하며 상기 치아의 위치나 상태를 고려하여 금이나 세라믹 등의 재료를 이용한다.The implant is largely composed of a fixture, an abutment, and a crown portion, the fixture is a portion serving as a root of a tooth and is mainly made of titanium, and the abutment is a crown and a fixture The part that serves to connect the teeth corresponds to the neck of the natural tooth, and the crown is the upper prosthesis of the implant and corresponds to the head of the tooth in the natural tooth. use it

임플란트는 먼저, 임플란트 위치를 확인하고 드릴링을 하여 턱뼈 안에 임플란트 본체가 들어갈 공간을 만들어준다. 즉 임플란트 본체 직경에 맞는 크기가 될 때까지 여러 번의 드릴링을 한 후 조심스럽게 픽스츄어(fixture)를 심는다. 심어진 픽스츄어에 만족할 만한 골 유착이 이루어지면, 어버트먼트(abutment)를 연결하고 크라운(crown)을 결속시키는 과정이 진행된다.First, the implant position is confirmed and drilled to make space for the implant body in the jawbone. That is, after drilling several times until the size is suitable for the diameter of the implant body, the fixture is carefully planted. When satisfactory osseointegration is achieved in the implanted fixture,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abutment and binding the crown proceeds.

일반적으로 분리형 어버트먼트는 상체부와 하체부가 결합되어 제작되는데, 저작운동에 양 구성은 흔들리거나 분리되기가 쉽다. 음식을 씹는 과정에서 단단한 음식을 씹을 때 식립된 임플란트에 전달되는 충격이 작지 않다. 또한 임플란트가 식립된 사람은 상체부에 끼워진 크라운에 외부의 충격이 가해질 경우 지렛대의 원리로 인해 상체부와 하체부가 분리되기는 더욱더 쉬워진다. In general, the detachable abutment is manufactured by combining the upper and lower body parts, and both components are easily shaken or separated during mastication. When chewing hard food in the process of chewing food, the impact transmitted to the implanted implant is not small. In addition, when an external impact is applied to the crown fitted to the upper body, it becomes easier for the person with the implant to be separated from the lower body due to the principle of the lever.

아울러 임플란트 교체 시 필요에 따라 견고하게 결합된 어버트먼트의 상체부와 하체부는 분리될 수 있다. 하지만 강하게 결합된 어버트먼트의 양 구성은 분리가 쉽지 않아 분리과정에서 임플란트 주변 잇몸조직이나 치아에 손상을 줄 수 있다.In addition, when replacing the implant, the upper body and lower body of the firmly coupled abutment may be separated as needed. However, since both components of the abutment are strongly coupled, it is not easy to separate, which may damage the gum tissue or teeth around the implant during the separation process.

또한 식립된 임플란트의 상부에 위치한 크라운 역시 시간경과로 인한 마모나 임플란트 주위염 등으로 인해 교체가 필요할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임플란트에 사용되는 일체형 어버트먼트는 치과용 시멘트를 통해 크라운이 강하게 부착 및 고정되어, 어버트먼트와 결합된크라운의 교체가 상당히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Also, the crown located on the top of the implanted implant may need to be replaced due to wear or peri-implantitis due to the passage of time. However, in general, the integral abutment used for implants has a problem in that the crown is strongly attached and fixed through dental cement, so it is very difficult to replace the crown combined with the abutment.

(특허문헌01)한국등록특허 제10-2082885호(2020.02.28. 공고)(Patent Document 01) Korea Registered Patent No. 10-2082885 (2020.02.28. Announcement) (특허문헌02)한국공개특허 제10-2007-0112075호(2007.11.22. 공개)(Patent Document 0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112075 (published on Nov. 22, 2007)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어버트먼트의 상체부와 하체부가 강하게 결합되어 외부의 충격에도 불구하고 상체부가 흔들리거나 분리되지 않도록 하체부에 강하게 결합될 수 있는 상체부를 포함하는 어버트먼트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provide an abutment including an upper body that can be strongly coupled to the lower body so that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abutment are strongly coupled so that the upper body is not shaken or separated despite an external impact. .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와 크라운을 매개하여 크라운을 지지하는 어버트먼트에 있어서 내측에 설정된 크기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상체부와 상기 수용공간의 수용공간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며,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고정대를 통해 상기 상체부와 결합되는 하체부 및 상기 고정대의 외측에 배치되되 상기 고정대와 상기 수용공간 사이의 공간보다 적어도 작지 않은 크기를 가져서 상기 고정대가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면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면을 외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utment for supporting the crown via the fixture of the implant and the crown, the upper body having a receiving space of a set size on the inside and a smaller size than the receiving space of the receiving space, The lower body coupled to the upper body through the holder dispos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and disposed outside the holder have a size that is not smaller than the space between the holder and the accommodating space so that the holder is dispos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It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for pressing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고정대는 내측으로 들어가되 외주면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member is formed continuously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while entering the inner side may include a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elastic member can be seated.

또한, 상기 상체부는 어퍼파트와 로어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파트와 로어파트가 결합되어 상기 어퍼파트의 하단과 상기 로어파트의 하단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에 상기 탄성부재가 안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body portion may include an upper part and a lower part, and the elastic member may be seated in a gap formed between a lower end of the upper part and a lower end of the lower part by combining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상기 상체부는 외주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분리홀을 포함하고, 상기 홀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된 상기 고정대보다 높은 곳에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body por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separation hole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hole may be formed higher than the fixing rod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상기 고정대는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의 홈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 요철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체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하는 내주면을 따라 상기 제1 요철부와 맞물릴 수 있는 제2 요철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unit may include a first concave and convex portion formed with a plurality of groov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upper body may include a second concave and convex portion engageable with the first concave and convex portion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osition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have.

상기 고정대는 상면에 체결홈을 포함하고, 상기 하체부는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base may include a fastening groove on an upper surface, and the lower body may include a screw thread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결합된 상체부와 하체부의 고정력이 탁월하여 강한 교합력이나 외부 충격으로 인해 쉽게 분리되지 않으며 탄성부재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부체 및 하부체의 결합을 더욱더 견고하게 할 수 있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excellent fixing power of the combined upper and lower body parts, so that they are not easily separated due to strong occlusal force or external impact.

또한, 강하게 결합된 상체부와 하체부를 쉽게 분리하여 분리과정에서 강한 외력이 작용되어 발생될 수 있는 인접치나 잇몸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by easily separating the strongly coupled upper and lower body parts, damage to adjacent teeth or gums that may be caused by a strong external force applied during the separation process can be minimiz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상기 실시예 및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하체부 및 탄성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b는 상기 실시예의 상체부에 포함되는 어퍼파트 및 로어파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a는 상기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b 내지 6c는 상기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to 2C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above embodiment and modified examples.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mbodiment.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wer body and the elastic member of the embodiment.
5A to 5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n upper part and a lower part included in the upper body part of the embodiment.
6A is a sid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embodiment, and FIGS. 6B to 6C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above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에 대해 상술한다.Hereinafter, an abu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000)에 따른 어버트먼트에 대한 사시도로서, 상기 실시예(1000)는 크라운(미도시)이 장착될 수 있는 상체부(1200)와 픽스츄어(미도시)에 삽입되는 하체부(11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체부(1100)에 안착되어 상체부(1200)와 하체부(1100)의 결합력을 강화시키는 탄성부재(1300)를 포함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bu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embodiment 1000 is an upper body part 1200 and a fixture (not shown) to which a crown (not shown) can be mounted. It includes a lower body part 1100 that is inserted into the. It also includes an elastic member 1300 that is seated on the lower body 1100 to strengthen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upper body 1200 and the lower body 1100 .

상기 하체부(1100)는 도 2a에서 나타나듯이 적어도 일면에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마치 기둥과 같은 형태를 갖는 고정대(111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A , the lower body 1100 includes a fixing base 1110 extending in one direction on at least one surface and having a shape like a pillar.

상기 고정대(1110)는 상체부(1200)와 하체부(1100)를 결합시키는 구성으로서, 하체부(1100)로부터 연장된 고정대(1110)는 상체부(1200)에 삽입되어 상체부(1200)가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시킨다.The fixture 1110 is a configuration for coupling the upper body 1200 and the lower body 1100, and the fixture 1110 extending from the lower body 1100 is inserted into the upper body 1200 so that the upper body 1200 is Fix it so that it does not wobble.

상기 고정대(1110)는 외주면을 따라 소정깊이 파여진 안착부(1122)를 포함한다. 상기 안착부는 상기 탄성부재가 안착될 수 있는 구성으로서, 탄성부재가 정해진 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탄성부재를 고정시킨다.The holder 1110 includes a seating portion 1122 that is dug a predetermined depth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seating portion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elastic member can be seated, and fixes the elastic member so that the elastic member does not deviate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상기 안착부의 위치는 특별히 정해지는 것은 아니나, 상기 실시예에서 도 2a에서 탄성부재(1300)에 의해 가리워져 있으나 도 6a와 같이 안착부(1122)는 고정대(1110)의 상측과 하측 사이에 형성된다.Although the position of the seating part is not particularly determined, in the embodiment, although it is covered by the elastic member 1300 in FIG. 2A , the seating part 1122 is form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ixing base 1110 as shown in FIG. 6A .

또한, 상기 상체부(1200)는 도 2a 내지 도 2c에서 나타나듯이 상기 고정대(1110)가 삽입되어 내재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포함한다. 상기 수용공간은 상체부(1200)의 하면에 형성되어 개구된 구성으로서 상체부(1200)와 하체부(1100)의 결합을 위한 고정대(1110)가 삽입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2A to 2C , the upper body part 1200 includes an accommodation space into which the fixing bar 1110 is inserted. The accommodating space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ody part 1200 and has an open configuration, and a fixing bar 1110 for coupling the upper body part 1200 and the lower body part 1100 may be inserted thereinto.

상기 상체부(1200)는 어퍼파트(1210)와 로어파트(1220)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파트(1210)와 로어파트(1220)가 결합하여 형성됨으로써 탄성부재(1300)가 안착될 수 있는 간극(1230)을 포함한다. 도 2a에 나타나듯이 일정깊이 파인듯한 형태를 갖는 간극(1230)에 탄성부재(1300)가 끼워질 수 있다.The upper body part 1200 includes an upper part 1210 and a lower part 1220, and is formed by combining the upper part 1210 and the lower part 1220 to form a gap in which the elastic member 1300 can be seated. (1230). As shown in FIG. 2A , the elastic member 1300 may be inserted into the gap 1230 having a shape like a predetermined depth.

구체적으로 상기 로어파트(1220)는 도 2a에서 나타나듯이 적어도 양면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수용공간에 고정대(1110)와 어퍼파트(1210)가 삽입된다. 수용공간에 삽입된 어퍼파트(1210)의 끝단은 요철부와 접하는 로어파트(1220)의 하단과 이격되어 간극(1230)이 발생된다. 상기 간극과 안착부 사이에 탄성부재가 내재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A , in the lower part 1220 , the fixing base 1110 and the upper part 1210 ar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formed by opening at least both sides. The end of the upper part 1210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end of the lower part 1220 in contact with the concave-convex portion, so that a gap 1230 is generated. An elastic member is embedded between the gap and the seating portion.

로어파트(1220)에 삽입된 어퍼파트(1210)의 하단과 상기 로어파트(1220)의 상단 간 길이는 로어파트(1220)에 형성된 수용공간의 깊이보다 짧아, 어퍼파트(1210)와 로어파트(1220) 사이에는 간극이 발생된다.The length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upper part 1210 inserted into the lower part 1220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part 1220 is shorter than the depth of the accommodation space formed in the lower part 1220, and the upper part 1210 and the lower part ( 1220), a gap is generated.

도 2a에서 나타나는 실시예에서 어퍼파트(1210)의 하단은 전방위로 있으므로 로어파트(1220)에 삽입된 어퍼파트(1210)의 하부는 대략 원통형과 같다. 이에 대응하여 로어파트(1220)의 하부 역시 고정대(1110)를 중심으로 에둘러 있으므로 대략 원통형과 같다. 따라서 어퍼파트(1210)와 로어파트(1220) 사이에 형성된 간극(1230)의 형상 역시 원통형과 유사하여 고리형인 탄성부재(1300)가 안착상 큰 문제없이 간극(1230)에 내재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A , since the lower end of the upper part 1210 is omnidirectional, the lower part of the upper part 1210 inserted into the lower part 1220 is approximately cylindrical. Correspondingly, since the lower part of the lower part 1220 is also surrounded by the fixing table 1110 as a center, it h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ccordingly, the shape of the gap 1230 formed between the upper part 1210 and the lower part 1220 is also similar to a cylindrical shape, so that the annular elastic member 1300 can be embedded in the gap 1230 without a big problem in seating.

상기 탄성부재(1300)는 외력에 의해 부피가 변형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상체부와 하체부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탄성부재(1300)는 절개부(1310)을 포함한다. 절개부(130)는 띠 형태의 탄성부재(1300)가 고정대의 둘레를 감싸며 배치될 때 양 단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 부분으로 지칭될 수 있다. 탄성부재는 어버트먼트의 안착부 및 간극 사이에서 상체부의 강한 압박에 의해 상, 하로 압박을 받지만, 절개부(1310)로 인하여 절개부(1310)의 크기가 커지거나 작아지는 방향으로 탄성부재(1300)의 부피가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다. 아울러, 탄성부재는 단순히 고정대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하면 되므로, 조립성이 향상된다.The elastic member 1300 is a configuration that can be deformed in volume by an external force, and can make the upper body part and the lower body part more firmly coupled. The elastic member 1300 includes a cutout 1310 . In the cutout 130 , a gap may be formed between both end surfaces when the elastic member 1300 in the form of a band wraps around the periphery of the fixture, and may be referred to as this portion. The elastic member is pressed up and down by strong compression of the upper body between the seating portion and the gap of the abutment, but the size of the cutout 1310 increases or decreas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ize of the cutout 1310 increases or decreases ( 1300) can be freely deformed. In addition, since the elastic member is simply disposed in the form of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fixing table, the assembling property is improved.

또한 탄성부재는 위와 같이 형성될 뿐만 아니라, 원형띠의 형태로 형성되되 외측에서 내측으로 또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일정 영역만이 절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elastic member is not only formed as above, but also formed in the form of a circular band may be formed by cutting only a certain region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r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도 2a에서는 상기 절개부(1310)가 좁은 공간으로 인해 맞닿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내재된 탄성부재의 절개부(1310)는 이격되어 공간을 포함할 수도 있다. In FIG. 2A , the cutouts 1310 abut due to a narrow spac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us the cutouts 1310 of the embedded elastic member may be spaced apart and include a space.

상체부(1200)와 하체부(1100)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고정대(1110)의 직경과 상체부(1200)의 수용공간에 대한 직경은 대략 비슷하거나 수용공간의 직경이 조금 더 클 수 있다. 고정대(1110)가 상체부(1200)에 어렵지 않게 삽입되기 위해, 수용공간의 직경이 고정대(1110)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탄성부재는 다소 약해질 수 있는 결합력을 보충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In order to firmly couple the upper body 1200 and the lower body 1100, the diameter of the holder 1110 and the diameter of the upper body 1200 for the accommodation space may be approximately the same or the diameter of the accommodation space may be slightly larger. In order for the holder 1110 to be easily inserted into the upper body 1200 , the diameter of the accommodation space may be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holder 1110 . In preparation for such a case, the elastic member may serve to supplement the coupling force that may be somewhat weakened.

고정대(1110)의 안착부(1122)에 끼워진 탄성부재(1300)는 결합된 상체부(1200)가 분리되지 않도록 강한 저항력 작용을 위해 소정의 부피 이상일 수 있다. 상체부(1200)가 끼워져 구성된 어버트먼트의 내부에서 상체부(1200)의 강한 압박으로 소정부피 이상인 탄성부재(1300)는 부피가 크게 변형되어 고정대(1110) 및 상체부(1200)에 강한 반발력을 작용할 수 있다. 소정의 부피 이상인 탄성부재(1300)는 절개부를 통해 용이하게 부피변형을 일으켜 고정대(1110) 및 상체부(1200)에 발생될 수 있는 강한 반발력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안착부(1122) 및 간극(1230)의 형태에 맞추어 유동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The elastic member 1300 fitted to the seating part 1122 of the fixing table 1110 may have a predetermined volume or more to act as a strong resistance so that the coupled upper body part 1200 is not separated. The elastic member 1300 having a predetermined volume or more is greatly deformed in volume due to strong pressure of the upper body part 1200 inside the abutment in which the upper body part 1200 is fitted. can act. The elastic member 1300 having a predetermined volume or more can minimize the strong repulsive force that can be generated in the fixing table 1110 and the upper body 1200 by easily causing volume deformation through the cutout, and the seating portion 1122 and the gap ( 1230), it can be fluidly deformed according to the shape.

즉, 상체부(1200)와 하체부(1100)가 결합할 수 있는 다양한 경우 중에서, 탄성부재(1300)가 상체부(1200)의 간극(1230)에 내재된 채 상체부(1200)에 하체부(1100)가 삽입되는 경우는 고정대(1110)가 상체부(1220)의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면서 안착부(1122)가 탄성부재(1300)를 간극(1230)측으로 가압하여 탄성부재(1300)의 형태가 변형된다. 간극(1230)과 안착부(1122) 사이의 공간이 탄성부재(1300)의 부피와 비교하여 임의의 기준보다 작아지면, 상체부(1200) 및 하체부(1100)의 결합으로 탄성부재(1300)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절개부(1310)의 대향하는 양면이 접촉되고, 나아가 절개부(1310) 내 공간상실로 탄성부재(1300)는 부피가 줄어들며 고정대(1110) 및 로어파트(1220)측으로 더 강하게 가압을 하여 상체부(1200) 및 하체부(1100) 간 결합력 및 고정력을 더욱더 견고하게 한다.That is, among various cases in which the upper body part 1200 and the lower body part 1100 can be coupled, the elastic member 1300 is embedded in the gap 1230 of the upper body part 1200 and the lower body part is attached to the upper body part 1200 . When the 1100 is inserted, the seating portion 1122 presses the elastic member 1300 toward the gap 1230 while the fixing base 111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upper body 1220 to form the elastic member 1300 . is transformed When the space between the gap 1230 and the seating part 1122 is smaller than an arbitrary standard compared to the volume of the elastic member 1300, the elastic member 1300 by the combination of the upper body part 1200 and the lower body part 1100. The opposite both sides of the cutout 1310 are in contact with the pressure applied to the cutout 1310, and further, the volume of the elastic member 1300 is reduced due to the loss of space in the cutout 1310, and the fixing member 1110 and the lower part 1220 are stronger toward the side. By pressing, the coupling force and fixing force between the upper body part 1200 and the lower body part 1100 are further strengthened.

상기 상체부(1200)의 어퍼파트(1210)와 로어파트(1220)는 결합되되, 상기 로어파트(1220)의 수용공간의 하단에 탄성부재(1300)가 안착되고 어퍼파트(1210)가 삽입되어 어퍼파트(1210)의 하단이 탄성부재(1300)를 압박하며 고정시킨다. 어퍼파트(1210)와 로어파트(1220)는 단순결합으로 상체부를 형성할 수도 있으나, 삽입 후 용접 등의 방식으로도 양 구성이 결합되어 더욱더 견고하게 상체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The upper part 1210 and the lower part 1220 of the upper body part 1200 are coupled, and the elastic member 1300 is seated at the lower end of the receiving space of the lower part 1220 and the upper part 1210 is inserted. The lower end of the upper part 1210 presses and fixes the elastic member 1300 . The upper part 1210 and the lower part 1220 may form the upper body by simple coupling, but both components may be combined by welding after insertion to form the upper body more firmly.

또한, 상체부는 어퍼파트와 로어파트를 포함하여 적어도 2개의 구성이 결합되어 형성되어 탄성부재의 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로어파트의 수용공간에 탄성부재가 안착된 후 어퍼파트가 로어파트와 결합되어 탄성부재가 양 구성의 간극에 쉽고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추후에 고정대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탄성부재가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탄성부재가 반드시 어퍼파트와 로어파트의 사이에 안착된 후 상체부와 하체부가 결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탄성부재가 안착부에 안착된 후 어퍼파트와 로어파트가 결합되어 형성된 상체부가 하부체와 결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upper body portion is formed by combining at least two components including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to facilitate seating of the elastic member. That is, after the elastic member is seat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of the lower part, the upper part is combined with the lower part, so that the elastic member can be easily and stably seated in the gap between the two components. Therefore, the elastic member may not be separated during the subsequent insertion of the fixing rod into the receiving space. However, after the elastic member is seated between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the upper body part and the lower body part do not have to be coupled. may be combined with

상기 탄성부재(1300)가 삽입된 상체부(1200)에 하체부(1100)의 고정대(1110)가 삽입되어 어버트먼트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대(1110)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탄성부재(1300)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저항을 최소화하여 어퍼파트(1210)와 로어파트(1220)의 용이한 결합을 위해, 고정대(1110)의 상부는 도 2a에서 나타나듯이 라운드 처리될 수 있다. 따라서 상체부(1200)에 내재된 탄성부재(1300)는 라운드 처리되어 완만하게 경사진 고정대 상부의 테두리를 통해 부드럽게 안착부(1122)까지 도달될 수 있다.The fixing bar 1110 of the lower body 1100 may be inserted into the upper body 1200 into which the elastic member 1300 is inserted to form an abutment. For easy coupling of the upper part 1210 and the lower part 1220 by minimizing the resistance that may occur due to the elastic member 1300 in the process in which the fixture 1110 is inserted, the upper part of the fixture 1110 is shown in FIG. It can be rounded as shown in 2a. Accordingly, the elastic member 1300 embedded in the upper body part 1200 may be rounded and smoothly reach the seating part 1122 through the rim of the gently inclined upper part of the holder.

상기 상체부(1200)는 도 2a에서 나타나듯이 외주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분리홀(1250)을 포함할 수 있다.The upper body 1200 may include at least one separation hole 1250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s shown in FIG. 2A .

상기 분리홀(1250)은 상체부(1200)와 하체부(1100)를 분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식립된 어버트먼트에 일정길이 이상의 핀(미도시)과 같은 구성을 분리홀(1240)에 삽입 후 상기 핀을 파지할 수 있는 기구를 이용하여 인접치를 받침대로 삼아 지렛대 원리나 직접 당기는 방식 등 다양한 방법으로 상체부(1200)와 하체부(1100)를 분리할 수 있다.The separation hole 1250 is a configuration for separating the upper body part 1200 and the lower body part 1100, and a configuration such as a pin (not shown) having a length longer than a certain length is inserted into the separation hole 1240 into the abutment installed. Then, the upper body 1200 and the lower body 1100 can be separated by using a mechanism capable of gripping the pin using the adjacent teeth as a pedestal, using a lever principle or a direct pulling method.

상기 실시예에서 분리홀(1250)은 상체부(1200)의 외주면에 등 간격으로 대칭되게 이격되어 4개로 구성되어, 상체부(1200)와 하체부(1100)가 강하게 결합되었더라도 사방에서 외력을 가하여 쉽게 분리할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separation holes 1250 are symmetrically spaced apart at equal interval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body part 1200 and are composed of four, even when the upper body part 1200 and the lower body part 1100 are strongly coupled to each other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from all directions. can be easily separated.

상기 분리홀(1250)은 상체부(1200)에 삽입되는 고정대(1110)보다 높은 곳에 형성되어 하체부(1100)와 결합된 상체부(1200)를 보다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즉, 어버트먼트 부근의 잇몸으로부터 충분하게 이격되어 분리홀(1250)이 위치하여 분리홀(1250)에 삽입된 핀을 파지할 수 있어서, 상체부(1200)와 하체부(1100)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핀을 파지하는 기구가 인접치에 지지되어 회전(지렛대 원리 이용)될 때, 고정대(1110)의 큰 저항없이 상체부(1200)가 회전되며 하체부(1100)와 분리될 수 있다.The separation hole 1250 is form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fixing bar 1110 inserted into the upper body part 1200 , so that the upper body part 1200 coupled with the lower body part 1100 can be more easily separated. That is, the separation hole 1250 is located sufficiently spaced apart from the gum near the abutment to grip the pin inserted into the separation hole 1250, so that the upper body part 1200 and the lower body part 1100 can be separated. can In addition, when the mechanism for gripping the pin is supported by adjacent teeth and rotated (using the lever principle), the upper body part 1200 is rotated without a large resistance of the holder 1110 and can be separated from the lower body part 1100 .

상기 분리홀(1250)은 도 2a에서 나타나듯이 어퍼파트(1210)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분리홀(1251)은 도 2b에서 나타나듯이 로어파트(1220)에 형성될 수도 있어 분리홀이 형성되는 위치는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미도시되어 있지만, 분리홀은 어퍼파트와 로어파트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분리홀은 잇몸에 어버먼트가 식립되었을 때, 잇몸에 파묻히지 않는 위치의 상체부에 형성되면 그 위치는 문제되지 않는다.The separation hole 1250 may be formed in the upper part 1210 as shown in FIG. 2A , but the separation hole 1251 may be formed in the lower part 1220 as shown in FIG. 2B , so that the separation hole is formed. is not necessarily limited. Also, although not shown, the separation hole may be formed in both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That is, if the separation hole is formed in the upper body at a position not to be buried in the gum when the abutment is implanted in the gum, the position is not a problem.

상체부(1200)는 도 2c에서 나타나듯이 어퍼파트(1210)의 하단이 로어파트(1220)의 상단과 접촉되어 양 구성의 간극없이 상체부(1200)가 형성될 수도 있다. 탄성부재(1300)는 간극의 부재로 내재되는 공간에 위치되는 경우 내측으로 더 큰 압력을 받으며, 이 압력의 반작용으로 인하여 탄성부재는 외측으로 더욱 강하게 상체부(1200)를 가압하여, 상체부(1200)와 하체부(1100)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2C , the upper body part 1200 may be formed with the lower end of the upper part 1210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lower part 1220 without a gap between the two components. The elastic member 1300 receives a greater pressure inward when it is positioned in a space embedded as a member of the gap, and due to the reaction of this pressure, the elastic member presses the upper body 1200 outward more strongly, and the upper body ( 1200) and the lower body 1100 may be firmly coupled.

아울러, 도 2c와 같이 고정대(1110)의 상부가 라운드 처리됨 없이 각진 테두리가 형성되어 내재된 탄성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c , an angled rim is formed without the upper portion of the holder 1110 being round, so that it is possible to more reliably prevent the internal elastic member from being separated.

상기 고정대(1110)는 도 3에서 나타나듯이 외주면을 따라 이격되는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되는 제1 요철부(11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base 1110 may include a first concave-convex portion 1130 in which a plurality of grooves spaced apart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re formed as shown in FIG. 3 .

상기 제1 요철부(1130)는 음각된 홈과 상기 홈에 상대적으로 돌출된 구성이 고정대(1110)의 둘레를 따라 반복되어 형성되어 있다. The first concave-convex portion 1130 is formed by repeating an engraved groove and a configuration protruding relative to the groov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holder 1110 .

또한, 상기 상체부는 수용공간에 위치하는 내주면을 따라 복수 개의 홈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요철부(126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2요철부(1260)는 제1요철부(1130)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된다. 상체부의 제2요철부(1260)의 돌출된 구성이 고정대(1110)의 제1요철부(1130)에 홈에 배치되고, 제1요철부(1130)의 돌출된 구성이 제2요철부(1260)의 음각된 홈에 배치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상체부(1200)는 고정대(1110)에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Also, the upper body portion may include a second concave-convex portion 1260 in which a plurality of grooves are spaced apart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ositioned in the receiving space. The second uneven portion 1260 is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uneven portion 1130 . The protruding configuration of the second concave-convex portion 1260 of the upper body is disposed in the groove in the first concave-convex portion 1130 of the fixture 1110, and the protruding configuration of the first concave-convex portion 1130 is the second concave-convex portion 1260 ) is arranged in the engraved groove and combined. Accordingly, the upper body part 1200 may be non-rotatably coupled to the fixture 1110 .

추가적으로 상기 상체부(1200)와 하체부(1100)는 크라운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플랜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Additionally, the upper body part 1200 and the lower body part 1100 may include a flange that can stably support the crown.

상기 상체부(1200)는 도 2a 내지 2c에서 나타나듯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외주면이 경사지고, 하단에 제2 플랜지(124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플랜지(1240)는 상체부(1200)와 유사하게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경사진다.As shown in FIGS. 2A to 2C ,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body part 1200 is inclined so that the diameter increases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nd includes a second flange 1240 at the lower end. The second flange 1240 is inclined so that the diameter increases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similarly to the upper body part 1200 .

상기 상체부(1200)의 외주면은 경사지어 크라운이 쉽게 삽입될 수 있고, 크라운은 제2 플랜지(1240)의 상면에 안착되어 일정깊이 이상의 삽입이 제한된다.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body part 1200 is inclined so that the crown can be easily inserted, and the crown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flange 1240 so that insertion of more than a certain depth is restricted.

상기 제2 플랜지(1240)에 대향하도록 하체부(1100)는 제1 플랜지(1140)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2 플랜지(1240)에 안착된 크라운은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The lower body 1100 includes a first flange 1140 to face the second flange 1240 . Accordingly, the crown seated on the second flange 1240 may be supported more stably.

상기 고정대(1110)는 도 4에서 나타나듯이 상면에 일정한 깊이로 파여진 체결홈(1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홈(1150)의 형상은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실시예에서 체결홈(1150)은 육각형상으로 구비되어 헥사 드라이버가 삽입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the fixing base 1110 may include a fastening groove 1150 dug to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upper surface. The shape of the fastening groove 1150 is not limited, but in the embodiment, the fastening groove 1150 is provided in a hexagonal shape so that a hex driver can be inserted.

상기 하체부(1100)는 체결홈(1150)을 포함하며, 도 4에서 나타나듯이 하측의 외주면에 나사산(1160)을 포함한다. 따라서 체결홈(1150)에 삽입된 헥사 드라이버의 회전으로 상기 나사산을 통해 하체부(1100)는 픽스츄어에 회전되어 삽입될 수 있다.The lower body 1100 includes a fastening groove 1150, and includes a screw thread 1160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side as shown in FIG. Accordingly, the lower body 1100 can be rotated and inserted into the fixture through the screw thread due to the rotation of the hexa driver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1150 .

도 6a 내지 6c는 변형예로서, 하체부(1102)는 둥글게 형성된 고정대의 하단(1132)에 각진 형태가 포함되어 상체부와 하체부(1102) 간 회전방지를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고정대(1102)의 하단은 각진 면의 개수가 일정하게 정해지는 것은 아니나, 도 6a에서는 6개의 각진 면을 나타낸다. 또한 고정대와 접하는 상체부의 내주면(1262)도 도 6b에서 나타내듯이 각진형태의 고정대 하단(1132)에 맞추어 각이 진 내면을 포함하여 상체부 및 하체부(1102)의 회전을 더욱더 방지할 수 있다. 6A to 6C are modified examples, and the lower body 1102 may have an angled shape included in the lower end 1132 of the round fixture to facilitate rotation prevention between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1102 . The lower end of the fixing table 1102 does not have a constant number of angled faces, but 6 angled faces are shown in FIG. 6A . In additi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262 of the upper body in contact with the fixture includes an angled inner surface to match the lower end 1132 of the angled fixture as shown in FIG. 6B , thereby further preventing rotation of the upper and lower body 1102 .

고정대의 안착부(1222)은 도 6a와 같이 상하로 부드럽게 라운드 지어져 로어파트의 장착이 쉽고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안착부(1222)가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움푹 파여, 탄성부재가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다. 즉, 조립이 완성된 어버트먼트 위에 안착 및 고정된 크라운이 필요에 의해 분리되어야 하는 경우, 크라운 파지 후 크라운 및 상체부에 인력 등의 외력을 가하여 탄성부재가 안착부(1222)의 라운드 지어진 표면을 따라 부드럽게 이탈되며 크라운 및 상체부가 하체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The mounting portion 1222 of the fixture is smoothly rounded up and down as shown in FIG. 6A , so that the lower part can be easily and firmly installed. In addition, the seating portion 1222 is dented inwardly, so that the elastic member can be easily detached. That is, when the crown seated and fixed on the assembled abutment needs to be separated as necessary, the elastic member is rounded on the surface of the seating part 1222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such as an attractive force, to the crown and upper body after the crown is gripped. The crown and upper body can be separated from the lower body.

로어파트(1222)는 도 6b에서 나타나듯이 고정대의 각진하단면과 간극없이 접촉되기 위해 내주면의 하단(1262)에 각진면을 포함하고, 그 상단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탄성부재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고 안착부와 접하여 상체부와 하체부의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다. 어퍼파트는 도 6c와 같이 일면이 개구되어 고정대의 상부가 삽입될 수 있다.The lower part 1222 includes an angled surface at the lower end 1262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order to be in contact with the angled lower end surface of the fixture without a gap, as shown in FIG. And in contact with the seating part, it is possible to firmly bond the upper and lower body parts. The upper part is opened on one side as shown in FIG. 6c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fixture can be inserted.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체부는 분리형으로서 복수 개의 구성(어퍼파트와 로어파트)이 합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body portion may be formed by match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upper part and lower part) as a separate type.

또한 어퍼파트(1210)는 도 2a에서 나타나듯이 내부가 양방향으로 개구되어 텅 비어 있을 수 있지만, 어퍼파트(1212)는 도 6c와 같이 일면이 제한적으로 개구될 수도 수도 있다. 로어파트는 어퍼파트가 안착될 수 있도록 내벽이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내벽은 상체부와 하체부가 결합되어 고정대를 강하게 압박함과 동시에 어퍼파트 및 탄성부재를 지지한다.In addition, the upper part 1210 may be empty by opening in both directions as shown in FIG. 2A , but the upper part 1212 may have a limited opening on one side as shown in FIG. 6C . The inner wall of the lower part protrudes so that the upper part can be seated. Accordingly, the inner wall is coupled to the upper body and lower body to strongly press the fixing base and support the upper part and the elastic member.

로어파트는 탄성부재와 함께 고정대와 밀착되어 로어파트의 수용공간 대부분의 영역에서 고정대에 강한 압박을 가하여 상체부와 하체부는 견고하게 결합된다.The lower par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xture together with the elastic member, and strong pressure is applied to the fixture in most areas of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lower part, so that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are firmly coupled.

상체부는 어퍼파트와 로어파트로 구성되어 강한 압박에 따라 발생되는 응력으로 인해 파손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상체부는 복수 개의 구성으로 결합되어 구성됨으로써 하체부와 결합에 따른 저항력에 보다 쉽게 견딜 수 있다. 즉, 상체부의 특정 부분에서 발생되는 응력들이 복수 개의 구성 간 결합부근에서 차단되어 높은 응력에 따른 상체부 전체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The upper body is composed of an upper part and a lower part, so the risk of breakage can be reduced due to the stress generated by strong pressure. The upper body portion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a plurality of components, so that it can more easily withstand the resistance force caused by the combination with the lower body portion. That is, stresses generated in a specific part of the upper body are blocked near the coupling between the plurality of components, thereby preventing the entire upper body from breaking due to high stress.

또한 상기 상체부는 특정부분에서의 강한 외력에 따라 어느 하나의 구성이 파손되더라도, 상체부 전체를 교체할 필요 없이 파손된 구성만 교체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even if any one of the components of the upper body is damaged due to a strong external force in a specific part, only the damaged components may be replaced without replacing the entire upper body.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In the abov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add, change, delete or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etc., and this will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전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terms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또한, 본원에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송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when a component is "included" herein,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하체부 : 1100, 1102
고정대 : 1110, 1112
안착부 : 1122
제1 요철부 : 1130
제1 플랜지 : 1140
체결홈 : 1150
나사산 : 1160, 1162
상체부 : 1200
어퍼파트 : 1210, 1212
로어파트 : 1220, 1222
간극 : 1230
제2 플랜지 : 1240
분리홀 : 1250, 1251, 1252
제2 요철부 : 1260
탄성부재 : 1300
절개부 : 1310
Lower body: 1100, 1102
Fixture: 1110, 1112
Seating part: 1122
1st uneven part: 1130
1st Flange: 1140
Fastening groove : 1150
Thread: 1160, 1162
Upper body: 1200
Upper part: 1210, 1212
Lower part : 1220, 1222
Gap: 1230
2nd flange: 1240
Separation hole: 1250, 1251, 1252
2nd concave-convex part: 1260
Elastic member: 1300
Cutout: 1310

Claims (6)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와 크라운을 매개하여 크라운을 지지하는 어버트먼트에 있어서,
내측에 설정된 크기의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된 상체부;
상기 상체부의 하단에 연장되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제2 플랜지;
상기 수용공간의 수용공간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며,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고정대를 통해 상기 상체부와 결합되는 하체부;
상기 하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플랜지에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제1 플랜지; 및
상기 고정대의 외측에 배치되되 상기 고정대와 상기 수용공간 사이의 공간보다 적어도 작지 않은 크기를 가져서 상기 고정대가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면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면을 외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어버트먼트.
In the abutment for supporting the crown by mediating the fixture and the crown of the implant,
an upper body portion having a receiving space of a set size on the inside, and formed such that the diameter increases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 second flange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upper body, the diameter of which increases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 lower body having a smaller size than the receiving space of the receiving space, and coupled to the upper body through a fixing bar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a first flange formed in the lower body portion and formed to face the second flange; and
The abutment comprising an elastic member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holder and having a size not smaller than the space between the holder and the accommodating space so as to press the inn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space to the outside when the holder is dispos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men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는 내측으로 들어가되 외주면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어버트먼트.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member is formed continuously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butment including a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elastic member can be seate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부는 어퍼파트와 로어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파트와 로어파트가 결합되어 상기 어퍼파트의 하단과 상기 로어파트의 하단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에 상기 탄성부재가 안착될 수 있는, 어버트먼트.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body includes an upper part and a lower part,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allow the elastic member to be seated in a gap formed between a lower end of the upper part and a lower end of the lower par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부는 외주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분리홀을 포함하고,
상기 홀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된 상기 고정대보다 높은 곳에 형성되는, 어버트먼트.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body includes at least one separation hol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hole is formed in a higher place than the fixing rod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the abutmen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는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의 홈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 요철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체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하는 내주면을 따라 상기 제1 요철부와 맞물릴 수 있는 제2 요철부를 포함하는, 어버트먼트.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unit includes a first concave-convex portion formed with a plurality of grooves spaced apart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upper body portion includes a second concave-convex portion engageable with the first concave-convex portion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ositioned in the receiving spa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는 상면에 체결홈을 포함하고,
상기 하체부는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나사산을 포함하는, 어버트먼트.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unit includes a fastening groove on the upper surface,
The lower body portion includes a thread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 abutment.
KR1020190108313A 2019-09-02 2019-09-02 Detachable abutment KR1023211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313A KR102321178B1 (en) 2019-09-02 2019-09-02 Detachable abut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313A KR102321178B1 (en) 2019-09-02 2019-09-02 Detachable abut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894A KR20210026894A (en) 2021-03-10
KR102321178B1 true KR102321178B1 (en) 2021-11-03

Family

ID=75148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313A KR102321178B1 (en) 2019-09-02 2019-09-02 Detachable abut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117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9107B1 (en) * 2021-10-06 2023-02-14 임종화 One body-type abutment for implants with improved load distribution and prosthesis bonding
KR102504214B1 (en) 2021-10-08 2023-03-03 아이핸즈코퍼레이션 주식회사 Dual type abutment capable of reusing crown for impla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9730A1 (en) 2013-08-30 2015-03-05 株式会社ジーシー Attachment for plate denture
KR101495480B1 (en) 2014-05-14 2015-03-25 최종훈 links abutment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2075A (en) 2006-05-19 2007-11-22 오성균 Separable abutment for dental implant and method for making dental prosthesis using the same
US7704076B2 (en) * 2006-12-20 2010-04-27 Zest Ip Holdings Llc Dental attachment assembly and method
KR101646168B1 (en) * 2014-09-17 2016-08-0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Dental Implant assembly
KR20180003080A (en) * 2016-06-30 2018-01-09 수성대학교 산학협력단 Sustainable Overdenture system
KR102075453B1 (en) * 2017-09-15 2020-02-10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Dental implant system
KR102082885B1 (en) 2017-12-12 2020-02-28 김태훈 Abutment for impla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9730A1 (en) 2013-08-30 2015-03-05 株式会社ジーシー Attachment for plate denture
KR101495480B1 (en) 2014-05-14 2015-03-25 최종훈 links abutment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894A (en) 202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97492B (en) Detachable implant combination prosthesis
EP2119414B1 (en) Coupling for a multi-part dental implant system
KR101633258B1 (en) Implant combined prosthesis that is easy to perform and correct
KR101937300B1 (en) Inclined implant with bushing
US11638632B2 (en) Dental implant
US6152737A (en) Support post for use in dental implant system
KR102085066B1 (en) Dental implant
US4846683A (en) Axially short dental implant fixture
KR102321178B1 (en) Detachable abutment
US20190117348A1 (en) Screwless dental implant connection
EP1745758B1 (en) Dental implant for magnetic attachment
KR102097423B1 (en) Detachable implant structure for preventing abutment sinking
KR102321570B1 (en) Dental Implant
KR20130097036A (en) Fixture for implantation having elastic adaptor for combining abutment
KR20090002387A (en) Double contact type dental implant system
JP2019524384A (en) Dental implant structure
JP7136470B2 (en) dental implant
KR20130073729A (en) Connecting member for implant
KR102096885B1 (en) A fixture of dental implants
KR101331496B1 (en) An implant device
KR101486851B1 (en) Dental Implant Abutment
KR20080049377A (en) Implant unit using dentistry
KR101087921B1 (en) Dental implant
KR20210012179A (en) Dual spring type dental implant whichof crown is detached easily
JP2010252902A (en) Impl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